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모터 구동형 리트랙터와 관성 잠김 안전 버클을 포함하는 시트벨트의 기구 동역학 해석 및 실험적 검증

        박재순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A retractor is the major component of a seatbelt system that restraints passengers by locking the movement of webbing. Recently,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seatbelt systems, motorized retractors that remove slack and correct passenger posture just before air-bag expansion when collision is predicted are widely used. Key component of motorized retractors is the one-way clutch that engages and disengages the winding action of webbing according to the direction of motor revolution. Analytical investigation of action of the one-way clutch mechanism has been carried out to figure conditions for one-way locking, and to study the effect of various kinematic and dynamic design variables of one-way clutch. Using combination of ADAMS and LifeMOD softwares, dynamic simulation of operation of motorized retractors including Hybrid-III dummy model has been carried out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motorized retractors in various crash scenarios. To improve passenger safety, seatbelt systems with pre-tensioner that tightens seatbelt webbing using explosives just before collision are widely adopted. Even though seatbelt must not be unlatched without passenger's operation, release of a buckle due to explosion of pre-tensioner takes place in some situations resulting in serious injury to passengers. To prevent the unintended unlocking, a pendulum like part called anti-g mass is attached to the buckle to block displacement of release button. In this study, the unlocking conditions of anti-g buckle when pre-tensioner explodes has been theoretically investigated. Through multi-body model of the seatbelt system incorporating every detailed part of the buckle, dynamic analysis of the seatbelt system with pre-tensioner has been performed including the driver's body model that interacts with seatbelt system. The simulations results has been validated through actual sled test with driver dummy and the seatbelt system.

      • 金融市場 參與者의 市場規律에 관한 實證的 硏究

        박재순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risk factors of financial institutions that may give rise to moral hazard could not be reduced or controled due to the existence of uncertainties by radical and sudden changes in the financial environment as well as the improper business conduct of financial companies. Therefore, the importance of market discipline has risen as a supplement to regulatory discipline.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make an empirical analysis of whether or not a market discipline role of financial market players exists in the market of insured financial institutions under the deposit insurance system. This paper is differentiated from earlier studies in that we analyze not only market discipline by depositors and investors as financial market participants, but the response of insured financial institutions to market signals from the market players. The sample period runs from the first quarter of 2000 to the second quarter of 2009, and we test the same hypotheses on three sub-period samples: The first is the period after the foreign currency crisis which is from the first quarter of 2000 to the fourth quarter of 2002 when the government announced the end of the foreign currency crisis by completing the financial restructuring plan in response to the foreign currency crisis, the second is the normal period which is from the first quarter of 2003 to the second quarter of 2007, and the last is the period of the global financial crisis which is from the third quarter of 2007 to the second quarter of 2009. Panel data used in models for explanatory variables are major financial ratios regarding management risk factors of insured institutions and macro economic indices. The samples include every domestic bank in operation, such as seven general banks, six regional banks, and four specialized banks, and fifty six randomly selected mutual savings banks. Dependent variables are deposit growth rates, deposit interest rates, and the spread of deposit interest rates. Using the panel data set, this paper investigated the existence of market discipline by studying whether or not depositors and investors disciplined the bad financial firms by withdrawing their deposits or by demanding a risk premium in the form of higher interest rates, and examined the response of the institutions to the financial market participants. We exercised the joint hypothesis test with the estimators of the parameters on the major financial ratios. The empirical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Market discipline in terms of both the deposit growth rate and the deposit interest rate in banks was found to exist for total deposits, uninsured deposits, and insured deposits, respectively, during the whole sample period. It also existed for the deposit growth rate of total deposits and uninsured deposits during the normal period. However, it didn't exist during both the period after the foreign currency crisis and the period of the global financial crisis. 2. For mutual savings banks, market discipline for the deposit growth rate was shown in all banks and the large-sized mutual savings banks during the normal period. The discipline for the deposit interest rate appeared at medium-sized mutual savings banks during the period after the foreign currency crisis. 3. Market discipline by investors of financial debentures issued by banks existed in both all banks and general banks during the period of the global financial crisis. In addition, the majority of independent variables on the management risk factors supported market discipline. 4. Meanwhile, a moral hazard effect in banks existed on uninsured deposits for both the deposit growth rate and the deposit interest rate. Mutual savings banks pursued moral hazard, and it was related to the deposit attraction of mutual savings banks by offering higher interest rates and their aggressive business strategy by taking a high risk-high return investment approach, and so on. For investors of financial debentures, moral hazard was observed in all banks during the whole sample period, and in all banks and general banks during the period of the global financial crisis. 최근 금융이 자유화, 개방화 및 증권화 등으로 진전되고 전산과 통신시설이 매우 빠르게 발전함에 따라 대내외 금융환경이 급변하고 있으며, 이러한 환경 하에서 금융회사는 영업활동에서 나타나는 각종 리스크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없었다. 이에 따라 불확실성이 대폭 증대되었고, 또한 정보의 우위에 있는 금융회사가 위험선호전략을 추구하여 스스로 감내할 수 없는 정도로 위험자산에 투자함으로써 도덕적 해이를 야기하기도 하였다. 이에 규제규율의 보완수단으로서 시장규율의 중요성이 대두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예금보험제도에 가입한 부보금융회사에서 시장참여자에 의한 시장규율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시장규율을 확립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즉 본 논문은 예금자 및 투자자들이 시장참여자로서 시장규율을 행사하는지 여부와 시장참여자들이 보내는 시장신호에 따라 금융회사가 내부 경영위험요인을 개선하여 적절히 대응하는지 여부를 분석함으로써 시장참여자들의 예금자규율을 주로 분석한 기존 연구와 차별화하였다. 표본기간은 2000년 1분기부터 2009년 2분기까지로 하였는데, 이 기간에는 평시와 위기의 시기가 혼재되어 있어 금융시장의 위험수준에 차이가 존재하므로 다음과 같이 세분하였다. 즉 1997년 외환위기는 2002년 9월 정부가 외환위기 당시 도입한 공공차관의 상환계획을 발표하고 공적자금 상환대책을 마련하여 관련법률을 정비함에 따라 2002년말 마무리되었으며, 그 이후 금융위기가 없었다가 2007년 3월 미국의 subprime mortgage사태로 발생한 글로벌 금융위기와 관련하여 2007년 6월부터 위기대응방안을 마련하여 추진함으로써 2009년 2분기부터 회복되었다는 정부의 발표를 감안하여, 2001년 1분기부터 2002년 4분기까지를 외환위기 해소 직전시기, 2003년 1분기부터 2007년 2분기까지를 평상시기, 그리고 2007년 3분기부터 2009년 2분기까지를 글로벌 금융위기 시기로 하였다. 패널분석에서 사용한 시계열 자료와 관련하여, 설명변수는 금융회사의 경영위험요인을 잘 나타내주는 주요 재무지표와 거시경제변수로 하였다. 분석대상은 영업중인 국내은행과 저축은행으로 하였는데, 국내은행은 시중은행(7개), 지방은행(6개), 특수은행(4개)로 구분하였으며, 저축은행은 56개사를 무작위로 추출하여 사용하였다. 종속변수는 예금증가율, 예금금리, 금리스프레드로 하였다. 이와 같이 횡단면 및 시계열 자료를 구축한 후, 시장참여자들이 금융회사의 재무상태를 모니터링하고 그 결과에 따라 예금을 인출하거나 금리 premium을 요구함으로써 예금자규율 및 투자자규율을 행사하는지 여부와 금융회사가 경영위험요인을 개선하는 등으로 시장참여자들의 영향력 행사에 적절히 대응하는지를 실증 분석하였다. 시장규율에 대한 최종 판단은 금융회사의 경영위험변수에 대한 추정계수의 결합유의성에 대한 Wald test를 통하여 결정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국내은행은 전체 표본기간에 예금증가율과 예금금리에 대한 총예금, 비부보예금 및 부보예금에서 시장규율이 각각 분석되었다. 또한 평상시기에 예금증가율에 대하여 총예금과 비부보예금에서도 시장규율이 존재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외환위기 해소 직전시기 및 글로벌 금융위기 시기에는 시장규율이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2. 저축은행의 시장규율을 보면, 평상시기에 저축은행 전체 및 대형 저축은행에서 시장규율이 나타났다. 예금금리에 대한 시장규율은 외환위기 해소 직전시기에 중형 저축은행에서 나타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3. 금융채 투자자에 의한 시장규율을 보면, 글로벌 금융위기에 은행 전체와 시중은행에서 시장규율이 존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대부분의 경영위험변수가 시장규율을 지지하는 방향성을 보여주었다. 4. 한편, 도덕적 해이를 보면, 국내은행은 예금증가율과 예금금리에 대하여 비부보예금에서 존재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저축은행은 표본기간에 저축은행업권 전체에서 나타났는데, 이는 금리를 인상하여 예금을 유치하거나 고수익 고위험 위험선호전략을 추구하는 영업전략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금융채 투자자와 관련하여서는 표본기간에 은행 전체에서, 글로벌 금융위기 시기에 시중은행에서 각각 나타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 寄與分制度에 관한 硏究

        박재순 東亞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민법은 공동상속의 경우에 균분상속을 원칙으로 하면서, 다른 한편으로 상속재산분할에 있어서 형식적 평등주의를 지양하고 실질적 공평을 실현하기 위하여 기여분제도를 두고 있다. 여기서 기여분이란 공동상속인 중에 피상속인의 재산의 유지 또는 증가에 관하여 특별히 기여한 자가 있는 경우에 그 기여를 평가하여 이를 그의 상속분산정에 반영·가산하는 제도로서 1990년 민법개정에 의하여 제1008조의 2에 명문화되었다. 그러나 기여분제도의 신설로 인하여 기여상속인은 법정상속분을 넘는 액의 재산을 취득할 수 있게 됨으로써 상속분의 수정을 통한 실질적인 공평을 도모할 수 있게 되었지만, 반면에 다른 공동상속인은 법정상속분 상당의 상속재산을 취득할 수 있는가가 불확실하게 되었다. 또한 기여분을 주장하는 상속인의 입장에서도 기여분의 취득여부 및 취득정도를 예측하기 어려운 난점이 있어 그 지위가 안정적이지 못하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기여분액은 최종적으로 가정법원이 정하는 것으로 되어 있고 또 특별수익과 같이 이를 객관적으로 산정할 수도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여분의 구체적 요건과 산정기준·방법에 관하여 특별히 정함을 두고 있지 않는 현행 기여분제도 하에서 구체적으로 어떠한 경우에 기여분이 성립하고 또 기여분의 산정을 어떻게 할 것이냐는 결국 해석을 통하여 해결할 수밖에 없다. 공동상속인의 상속재산취득에 대한 예측가능성과 법적지위의 안정을 확보하기 위하여 기여분의 요건과 기여분액의 산정기준을 명확히 하고 이를 객관화하는 노력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기여분제도와 관련하여 특히 1990년대 후반부터 제기되어 온 비판 중의 하나는, 기여분규정의 엄격성 때문에 상속분에 있어서 실질적 형평을 의도하는 기여분제도가 현실에서 그 운용이 효율적이지 못하다는 것이다. 특히 민법 제1008조의 2 제1항 괄호에 기술되어 있는 부양기여분 제도는 오늘날 노령화사회에서 노친 부양의 유발·촉진책으로서 제대로 기능을 할 수 없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이러한 비판에 대해 법무부와 국회는 상속법을 개정하여 기존의 부양기여분제도를 보완하는 부양상속분제도를 도입하고자 한다. 그러나 부양상속분제도는 그 실질에 있어 부양기여분제도와 동일하기 때문에, 만약 부양상속분제도를 신설한다면, 이는 상속법질서에서 옥상옥을 인정하는 결과로 될 것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부양상속분제도는 이미 현행법질서 체계상으로도 적합하지 못한 제도라고 할 것이다. 그러나 부양상속분제도는 자녀들의 부모 부양기피 경향과 관련하여 부모에 대한 부양의무를 충실히 이행한 자에 대하여 상속분상의 혜택을 주고자 한다는 점에서 오늘날의 노친부양사상을 유발·촉진하는 진일보된 대안임을 부정할 수는 없을 것이다. 부양상속분제도를 인정함으로써 현행 부양기여분제도의 적용상의 문제점들, 예컨대 부양행위의 특별성 또는 부양행위와 재산증가의 인과관계의 요건이 완화될 수 있고, 이로써 일상적인 노친부양을 이행한 경우에도 상속인은 상속분상의 일정한 혜택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한편으로는 법무부가 도입하고자 하는 부양상속분제도가 실질적으로 현행 기여분제도와 취지면에서 중복된다는 점을 고려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위에서 언급한 부양상속분제도의 독자적인 장점을 고려하여, 부양상속분의 규정내용을 현행 부양기여분제도에 통합시키는 것이 더 적절하다고 사료된다. Civil Act has the contributory portion system to cease formal egalitarianism and realize substantial equality, while it in principle follows equalized inheritance in joint inheritance. The contributory portion system which was specified in Article 1008bis through the 1990 revisions of Civil Act means such a system to reflect and add contribution to calculation of his or her inheritance portion if there is(are) a person(s) among the joint heirs who made a special contribution toward maintaining or increasing the property of inheritee. The establishment of the contributory portion system enables the contributory heir to acquire the inherited property above the legal inheritance portion and accordingly brings substantial equality by modifying the inheritance portion, however, it became uncertain whether the joint heirs may acquire such property equal to their legal inheritance portion. Also, as for the heir claiming a contributory portion, his or her status is not deemed stable since it is difficult to forecast the possibility and extent of acquisition of contributory portion. The amount of contributory portion is finally determined by the family court and cannot be estimated by an objective criteria unlike a special benefit. Accordingly, under the current contributory portion system not specifying its detailed requirements, criteria and method, whether the contributory portion will be acknowledged or not and how it will be determined is supposed to be determined through interpretation. In this regard, such efforts to specify or objectify the requirements of contributory portion and assessment criteria of the amount are required for forecasting of acquisition of inherited property and stability in legal status of the heirs. One of the criticisms raised since the late 1990s regarding the contributory portion system is that the system searching for substantial equality in the inheritance portion is not effectively operated due to the strictness of its provision. Especially, the support contributory portion system provided in parenthesized Clause 1, Article 1008bis of Civil Act has been criticized for not functioning as a means of furthering supports for old parents in today's aging society. Facing these criticisms, the Ministry of Justice and the National Assembly are attempting to introduce the support inheritance portion system to supplement the existing contributory portion system by revising inheritance-related laws. However, since the support inheritance portion system is substantially identical with the support contributory portion system, the establishment of support inheritance portion system will result in adding unnecessary things in the hierarchy of inheritance laws. In this sense, the support inheritance portion system is not appropriate in the system of the current laws. In the other hand, the support inheritance portion system must be an advanced alternative to encourage and further the idea of old parents support in that it benefits in inheritance portion those who faithfully implemented the obligations of supporting parents in this society where people tend to avoid supporting their old parents. Because the acceptance of the support inheritance system will result in alleviating such problems in operating the current support contributory portion system, as the requirements of the particularity of supporting, or the correlation between supporting and property increase, and accordingly benefiting such heirs who implemented daily support for old parents in inheritance portion. In summary, considering that the support inheritance portion system the Ministry of Justice is planning to introduce substantially overlaps the current contributory portion system in terms of purpose and considering the inherent benefits of the support inheritance portion system as mentioned above, it is deemed more proper to incorporate the contents of the support inheritance portion system into the current support contributory portion system.

      • 우리나라 미술대학 입시의 입학사정관 제도

        박재순 충북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erformance test that was used as an important element of the admission process for college of fine arts in the past has been blamed for the impoverishment of art public education and intensified dependence on private education. In the process of learning functions and memorizing tricks of art for the performance test in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s after leaving school, students have lost artistic sensitivity and creativity. The performance test has no discrimination due to monotonous works largely produced by them, and even works as a barrier for students equipped with creativity and individuality without being influenced by art for the entrance exam to entering college of fine arts. Despite of such problems, the performance test has been maintained as the axis of the entrance exam for college of fine arts due to the reality such as convenience with low cost and absence of alternatives. It is now urgent to introduce the new admission process of the entrance exam for college of fine arts, suitable for the 21st century knowledge-based society. The college entrance exam should be changed to the selection method through multilateral evaluation to select creative talent equipped with potential and passion. In order to normalize the art public education in the crisis of withering, it is needed to have detailed and extensive researches and analyses on admission process, and then to implement the admission officer system suitable for it. Before suggesting educational methods to cope with the changing entrance exam, it is first needed to objectively see the reality of our art education world. Based on such viewpoint, we should actively seek for directions for the better future of Korean art education after realizing the necessity of changes. This study aims to suggest problems of the admission officer process shown in the field, and also to examine the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normalization of public education in the current system. We hope to see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performance test and educational system that can dig out students' individuality and creativity.

      • 가속수명시험에서 최적설계에 대한 연구

        박재순 忠南大學校 1990 국내석사

        RANK : 247631

        We study the ALT(Accelerated Life Testing) using the life data from parametric distributed model with arrhenius law. The selection of changing stress time point introduced so that the optimal test designment can be obtained.

      • 알루미늄 거푸집 使用 콘크리트의 表面마감성 向上에 관한 硏究

        박재순 淸州大學校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초고층 건축공사 현장에서 거푸집 공사는 공사기간과 공사비측면에서 밀도가 크고, 전체 공사의 품질을 좌우할 뿐만 아니라 안전에도 큰 영향을 미치는 매우 중요한 공종이다. 거푸집의 재질 또한 목재 및 합판 거푸집의 소형판재에서 점차 강재, 알루미늄 등 금속제 거푸집을 이용한 갱폼, 슬라이딩폼 및 터널폼 등의 시스템 거푸집으로 변모하게 되었고, 벽식 구조물의 경우은 금속제 시스템 거푸집이 주로 사용되고 있는데,이중 알루미늄 거푸집은 경합금을 주재료로 제작된 것으로 기본적인 형태는 기존의 강재 거푸집과 동일하나, 골조 품질 향상과 원가 절감, 시공성 향상이라는 장점으로 실무현자에서는 시스템 거푸집용 재질로서 각광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실무의 알루미늄 재질 거푸집인 경우는 강알칼리성인 콘크리트와 직접 접촉할 경우 알루미늄자체의 높은 이온화 경향으로 화학안정성이 저하하여 거푸집 탈형 후 콘크리트 표면에 부분적으로 색상이 변색되고, 콘크리트 내의 수산화칼슘과 반응하여 생성되는 수소가스로 인해 콘크리트의 표면에 Air pocket이 발생하는 등 콘크리트의 표면마감성을 저해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팀에서는 선행연구로서 형틀 AL 거푸집 이용시 콘크리트 표면 발생기포 문제점에 대하여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 알루미늄 거푸집 사용횟수의 증가에 따라 수입 과정에서 표면에 코팅되어 있는 연질의 폴리에틸렌 수지가 박리되어 노출된 알루미늄이 콘크리트와 반응하여 기포가 발생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알루미늄 거푸집의 표면마감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알루미늄 거푸집에 다양한 표면코팅재를 적용함으로써, 최적의 표면마감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알루미늄 거푸집 표면코팅재를 제안하고자 한다. 1) 굳지않은 콘크리트 특성으로 슬럼프, 슬럼프플로우, 공기량 및 단위용적질량은 모두 목표치를 만족하였다. 경화콘크리트 특성으로 압축강도는 관리재령 20일 이전인 14일경에 설계기준강도인 24MPa를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거푸집의 손상횟수에 따른 표면품질 특성으로 알루미늄 거푸집의 손상횟수가 증가할수록 전용횟수가 증가할수록 표면 공극의 개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표면조도의 경우 손상횟수 및 전용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거푸집 종류별 표면품질 특성으로 코팅합판 거푸집을 사용한 경우가 알루미늄 거푸집을 사용한 경우보다 표면공극의 개수가 적게 나타났으며, 표면조도의 경우는 초기에는 알루미늄 거푸집이 코팅합판보다 낮은 값을 나타냈으나, 전용횟수가 증가할수록 표면조도는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4) 박리제 종류에 따른 표면 품질 특성으로 박리제를 도포함에 따라 표면공극 발생이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수성박리제가 유성박리제보다 표면 공극발생 억제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고, 표면조도의 경우 박리제를 도포한 경우가 무도포보다 낮은 값을 갖는 것을 확인 하였으며, 유성박리제를 사용한 경우가 수성박리제를 사용한 경우보다 낮은 표면조도를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5) 양생온도에 따른 표면품질 특성으로 알루미늄거푸집의 경우 양생온도가 높아질수록 표면공극의 개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고온에 의한 반응촉진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표면조도특성으로 양생온도가 표면조도에 미치는 영향은 그다지 크지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6) 표면코팅재의 종류에 영향으로는 순수 알루미늄 거푸집만을 사용할 경우 수소가스와 표면 생기는 표면공극분포는 많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알루미늄 거푸집을 사용할 경우 표면코팅재로 코팅을 해야 콘크리트 표면마감성을 확보 할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존에 되어지고 있는 폴리에틸렌(PE)에 비해 불소수지(T), 폴리아미드수지(PA), 에폭시수지 (EP), 도료 중 유성에나멜 도료야 표면조도값이 낮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표면 공극분포눈 박리제를 도포하였을 때 그수가 저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7) 전용횟수에 따른 영향으로는 표면코팅재 대부분이 전용횟수가 증가 할수록 표면 조도값이 높아지는 것을 알수 있고, 폴리아미드수지(PA)에서는 표면조도값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나타냈고, 박리제를 도포할 경우 표면조도 값이 약간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는데, 표면 코팅재 자체의 평활성이 좋은면 박리제를 도포하는 것은 콘크리트 표면마감성에 안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면공극분포로는 표면조도와 같이 전용횟수가 증가하면서 공극갯수는 많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알루미늄 거푸집을 이용한 콘크리트 부재의 표면 마감성을 분석한 결과 알루미늄 거푸집을 사용시 박리제를 도포하였을 때 가장 우수한 품질을 나타냈으며, 전용횟수 및 손상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콘크리트 부재의 표면마감품질은 저하하는 것으로 나타 났으나, 폴리아미드수지로(PA)를 알루미늄 거푸집에 코팅할 경우 품질이 크게 저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폴리아미드수지(PA)와 박리제를 함께 사용할 경우 알루미늄 거푸집의 단점인 화학반응에 의한 콘크리트 품질저하를 방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