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새신자 양육을 위한 평신도 사역에 관한 연구

        박순옥 호서대학교 연합신학전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reality of new believer cultivation based on theory over ministry carer of lay believer, to provide an alternative as researching and comprehensively analyzing church cases over fostering new believer, and ultimately to let them do ministry as standing of the subject. Through this research, it is important to plan and prepare for fostering new believer so that many pastors could go beyond the step of simple support of existing services and administration on the ministering ground of cultivating new believers and ultimately let ministry of lay believer be trained as a subject. Research methods of this thesis, as a literature study, are theological one through relevant literature with the Bible, Church theory, lay believer theology, minister of lay believer, training disciple, new believer cultivation along with things which they experienced on the ministering ground of new believers cultivation. Range of this study is limited on new believers cultivation by meaning of minister of lay believer and new believers cultivation. Currently, all Korean church is not in the situation of depressed crisis. There are churches continuously to reconstruct. Plus, the number of new believers are growing. In order to recover really Korean church going back to the essence, they should concern about how they take care of believers newly flowed in church after being difficultly propagated and whom they set the subject of caring. The best way to solve this problem, this researcher made a conclusion through case study on new believers cultivation, is that the role of minister of lay believer has been incrementally expanding and specializing so ultimately it should stand as a subject of cultivation, when Korean church deals with new believers cultivation. Last but not least, this study did not deal with various mistry sites of pastors of lay believer within church besides, because it limited on activities and discipline of ministers of lay believer to foster new believer. In particular, I suggest to make sure that we would go back to the essence which Jesus cultivated in a stance of lay believer and set, if we deeply study on new believer cultivation of currently emerging church.

      • 外食産業振興 政策과 法制의 發展方案에 관한 硏究

        박순옥 群山大學校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Food-service industry, a higher value-added business, has already become a new growing force in service industry. As this study analyzes food service industry policies and laws for development of Food Service industry on focused the present state of laws in Korea, the government regards food­service industry as an infrastructure and brings it up for future-oriented industry. Nevertheless food­service industry contributed for making sound eating culture, improving national image and creating employment, there is few government polices related to food­service industry. So it is necessary to constitute a law to construct industrial foundation and prepare systems for supports.

      • 재한 몽골 유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관한 질적 연구 : 대학원생을 중심으로

        박순옥 신한대학교 지식복지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몽골 유학생의 대학생활 경험에 관한 연구로 대학생활에서 겪고 있는 여러 가지 어려움과 대처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그 어려움과 대처방법을 탐색하여 향후 대학생활 적응을 향상 시킬 수 있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연구는 경기북부 지역에 위치한 대학원에 재학 중인 몽골인 유학생 12명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하였고, 현상학적 자료 분석 방법 중 국내 논문에 소개되어 있는 Colaizzi의 분석 방법을 선택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는 ‘알 수 없는 환경 : 고독한 유학생활’, ‘환영과 친절한 대학원 생활’, ‘유학생활의 만족과 기대’, ‘글로벌 세상과 함께 ’의 4가지 영역이 도출되었다. 몽골유학생은 중국유학생을 포함한 외국 유학생들과 유사한 학업적, 경제적, 심리적, 사회문화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어려움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주변의 도움을 받거나 문제 해결을 위한 적극적 노력 혹은 종교단체로부터의 도움을 받고 있었다. 몽골 유학생들은 유학생활을 통해 전문적인 지식을 습득하여 졸업 후 사회적인 지위를 보장 받거나 대부분 몽골로 돌아가 전문 분야에서 일하기를 희망하였고 사회적으로 유학생을 위한 제도적 개편을 가장 많이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학생에 대한 연구로 몽골 유학생의 대학생활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로써 몽골 유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 향상을 위한 실질적인 토대가 되는 것에 그 의의를 두었다. A Study on the Mongolian students of the college experience, this study in university life is suffering from various difficulties and to learn about and the difficulties and responding method.Navigate through the measures in the event of future adaptation to college life that can improve and aimed. The study is 12 foreign students attending graduate school located in northern Mongolia, Gyeonggi-do, Korea, in-depth interviews with the phenomenological analysis methods of data.Introduced in article I selected the analysis of the colaizzi. Studies show that, in this work ‘an unknown environment : a lonely life studying abroad’, ‘I extend a warm welcome and friendly school life’, ‘studying abroad life satisfaction and expectations’, global world and ‘With four areas of the ’ was derived. Mongolian students are similar to Chinese students for overseas studies, including academic, economic, psychological, sociocultural and appear that having a hard time.In order to meet the challenge is around the active efforts to resolve the problem for help or being helped from religious groups. Mongolian students professional knowledge through studying abroad and guaranteed social position or most of its area of expertise back to Mongolia after graduation to work.And socially for the students hope appears to be the most looking forward to the institutional reform. Mongolian students with A Study on the students of the college experience, this study as qualitative study on the Mongolian students for college life adaptation elevation of the real foundation.Put sense to the. Mongolian students, experience, college life. : juyongeo

      • 어머니의 언어형태와 유아의 창의성과의 관계분석

        박순옥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언어형태와 유아의 창의성과의 관계를 알아보는 것에 목적을 두었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유아 및 어머니의 배경 특성에 따라 어머니가 사용하는 언어형태는 차이가 있는가? 둘째, 어머니의 언어형태에 따라 유아의 창의성에 차이가 있는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아산시에 위치한 유치원 4군데에 취원하고 있는 만 5세 유아와 그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도구로는 어머니의 언어형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Gumperz가 제작한 어머니의 자녀에 대한 언어형태 검사지를, 유아의 창의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Torrance가 제작한 창의적 사고력 검사의 도형검사 A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 될 수 있다. 첫째, 어머니의 언어형태는 유아의 성별에 따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론 인간관계지향형 언어에서는 남아보다 여아에게 인간관계 지향적 언어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는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 둘째, 어머니의 언어형태를 학력에 따라 비교해 보았을 때 명령지향성 언어는 차이가 없었고 지위지향형 언어와 인간관계지향형 언어에서는 고졸이하인 경우보다 대졸이상인 경우 좀더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의 언어형태는 직업을 가지고 있는 어머니가 직업이 없는 어머니보다 인간관계지향형 언어를 사용하는 빈도가 조금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그 차이가 거의 없어서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어머니의 언어형태중 인간관계 지향적 언어형태는 자녀의 창의성과 관계가 있었다. 창의성 영역의 하위 영역을 살펴보았는데 유아의 독창성 영역에서 어머니가 인간관계지향언어를 사용하는 경우에 창의성 점수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지위지향언어, 마지막으로 명령지향언어를 사용하는 경우로 나타났다. 나머지 하위 영역에는 어머니의 언어형태에 따른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erbal communication style of mothers and the creativity of children. To achieve this purpose, five years old children of four kindergartens in Asan city and their mothers were sampled. The questionnaire on verbal communication style of mothers of Gumperz were administered to the mothers, and A-type questionnaire on children's creative thinking ability of Torrence to the children. The collected data of mothers were analyzed by Bernstein's three verbal communication types and its detailed criteria, and children's data were analyzed by Ball and Torrence's scoring system.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verbal communication style of mothers by children's sex. But most mothers use more person-oriented verbal communication style to their female children rather than to their male children. 2. The mothers who had higher level of education showed more person-oriented and status-oriented verbal communication style. But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imperative verbal communication style by the mothers' educational level. 3.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mothers' verbal communication style by their job status even though the mothers with job used person-oriented verbal communication style more frequently than the mothers without job. 4.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reativity of the children by the mothers' communication style. The children whose mothers use person-oriented verbal communication style showed the most creativity, the next status-oriented verbal communication style, and the last imperative verbal communication style.

      • 매생이 가루를 첨가한 쌀국수의 품질 특성

        박순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매생이와 쌀을 이용하여 쌀가루에 매생이 분말 1.9, 3.8, 5.7%를 첨가하여 제조한 쌀국수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였다. 매생이 국수는 대조군에 비해 수분함량은 감소되었으나, 회분함량은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p<0.05). 무기질 함량은 전반적으로 대조군에 비해 매생이 첨가군에서 높게 나타났다. 조리 특성은 조리한 매생이 국수의 조리 후 중량, 부피, 탁도 모두 대조군에 비해 매생이 첨가군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001). 표면 색도의 경우 L값과 a 값은 감소하였고, b값은 증가하였다. 조리면에 대한 TPA(texture profile analysis) 결과 견고성(p< 0.0001)과 부착성(p<0.05)은 매생이 첨가군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부서짐성은 대조군에 비해 5.7%군에서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01). 응집성(p<0.05), 탄성(p<0.05), 검성(p<0.0001)은 매생이 첨가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매생이 국수의 저장성 실험은 5℃에서 8일간 저장한 국수의 pH 변화는 매생이 첨가군이 대조군에 비해 높게 유지 되었으며, 총균수와 진균류 측정에서 매생이 3.8% 첨가군이 다른 군에 비해 저장성이 높게 나타났다. 관능평가 결과 색과 외관의 기호도가 다른 군에 비해 3.8% 첨가군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of rice noodles containing different amounts of mesangi(Capsosiphon fulvescens) powder. The noodles were prepared with ratios of 1.9, 3.8, and 5.7% (w/w) of mesangi powder based on the flour weight. The noodles containing mesangi powder had lower moisture contents compared to the control, while amounts of ash were higher than in the control. For the cooking properties of the noodles, weight, volume, and turbidity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mesangi rice noodles than the control(p<0.0001). The mesangi rice noodles had lower Land a- values than the control, and these values de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s of mesangi powder while the b- value increased. Texture profile analysis of the cooked noodle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evels of hardness(p<0.0001) and adhesiveness(p<0.05) in the mesangi rice noodles compared to the control, while cohesiveness(p<0.05), springiness(p<0.05), and gumminess(p<0.0001) values were lower than those of the control. However, the values for hardness, adhesiveness, cohesiveness, and springines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mesangi rice noodle groups. The pH of the rice noodles gradually decreased over 8 days of storage time. The 3.8% mesangi rice noodles had lower total and fungus plate counts than the other noodles during 15~24 days of storage. However, the 3.8% mesangi noodles showed the highest overall acceptability score (p<0.05).

      • 팔레스트리나의 작곡 양식에 관한 연구 : 「마르첼로교황 미사곡」의 음악과 언어를 중심으로

        박순옥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중세-르네쌍스 시대의 음악은 언어중심의 음악이다. 팔레스트리나의 미사사곡은 라틴어의 억양법에 따라 음악보다는 전례가사가 잘 드러나도록 배려되어 있다. 종교개혁을 전후해서 전개된 반종교개혁의 시기, 주로 전례음악의 쇄신을 다루었던 트리덴트 공의회가 제시한 가톨릭 교회음악의 모범적 모델은 교회음악에 세속성을 배제하고 가사가 명료하게 전달되는 폴리포니성악음악이었다. 팔레스트리나의 마르첼로교황 미사곡은 트리덴트 공의회가 요구한 가톨릭 교회음악의 이상을 충족시키며 '음악과 언어' 의 관계를 새롭게 함으로써 고대로부터 지속되어온 미사전례 변천과정의 한 시기를 마감하는 계기를 마련한다. 팔레스트리나의 미사곡에서 가사와 선율은 지극히 잘 조화되어 있다. 이는 전례언어와 음악이 초대교회부터 서양음악의 형성, 발달과정과 함께 지속적인 변화의 단계를 거쳐 팔레스트리나의 작품에서 자유로운 음악언어로 완성되었으며, 미사곡 작곡의 새로운 시대가 시작되었음을 의미한다. 이 논문은 르네쌍스 시대 미사곡의 음악과 언어를 팔레스트리나의 마르첼로교황 미사곡을 통하여 연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교회음악에 바탕을 둔 서양음악의 형성과정, 팔레스트리나 미사곡에 미친 종교개혁과 반종교개혁과의 영향 그리고 마르첼로교황 미사곡에 대한 작곡배경과 음악 기법을 음악과 언어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팔레스트리나는 이 미사곡에서 당시 트리덴트 공의회의 전례음악적 요구에 따라 명확한 가사전달을 위해 상하성의 리듬을 일치시키는 기법을 사용하고 16세기 대위법에 이태리적 선율과 화성적 음향효과를 결합시켰다. 즉 가사가 긴 부분은 호모포니로, 가사가 짧은 부분은 폴리포니로 구성하여 가사전달을 명확하게 하였다. 이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화성적 음향 효과는 현대적 의미에서의 화성을 보여준다. 팔레스트리나의 미사곡에서 드러나는 자연스러운 선율의 진행, 엄격하게 제한하여 사용한 불협화음의 처리, 음악의 단순함은 16세기 후반의 아카펠라 양식을 대표하며, 결코 과장됨이 없는 언어의 표현은 자연스럽게 말해지는 언어로서 설득력을 가진다. 팔레스트리나의 마르첼로교황 미사곡은 서양음악사에서 음악적 언어와 함께 관통되어 온 미사곡의 역사와 함께 가톨릭 교회음악의 모범적인 모델로 평가되며, 교회음악의 완성자로서 그의 음악양식은 오늘에 이르기까지 많은 작곡가들에게 영향을 주고 있다. Music in the middle age and the Renaissance age is language oriented one. Masses of Palestrina is focused on the textual intelligibility rather than the melody according to the Latin intonation. According to the guideline for the exemplary model of catholic church music proposed by the Council of Trent, which initiated innovation 'of liturgical music in the era of the Counter Reformation, was polyphonic vocal music which deliver the lyrics clearly with elimination of all themes of reminiscent of secular music. By realizing the ideal of catholic church music required by the Council of Trent, and renovat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music and language', Palestrina's 'Missa Papae Marcelli' played a role as a momentum to close an era of transition of liturgy, which had been kept up from the ancient times. In the masses of Palestrina, the lyrics and the melody is in good harmony with each other. It means that the liturgical text and the melody has been completed as a free musical language in his music through the process of continuous changes from formation and development process of occidental music from the early church. Furthermore, it suggests that the new era of liturgical music has star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usic and the language of the Renaissance age through Palestrina's 'Missa Papae Marcelli'. For this purpose, formation process of occidental music based on church music is mentioned in the introduction. Later, the effects of both the Reformation and the Counter Reformation on Palestrina's masses is covered. Finally, the background of composition as well as the musical technique of 'Missa Papae Marcelli' are examined, focused on the melody and the liturgical text. According to the requirement by the Council of Trent for liturgical music, Palestrina used the technique of according the rhythms of upper and lower sound to satisfy textual intelligibility and associated the sixteenth century counterpoint to the Italian melody and acoustic effects in 'Missa Papae Marcelli'. To communicate text clearly, he used homophony for the long lyrics, and polyphony for the short ones, The harmonious acoustic effects appear naturally in this process show a harmony in the modem sense. The natural proceeding of melody, cacophonies used with strict limitation, and the simplicity of music represent Accapella style of the late sixteenth century. Moreover, the textual expression without any exaggeration has persuasive power like a natural spoken language. Palestrina's 'Missa Papae Marcelli' is taken as a exemplary model of catholic church music in the history of masses, advanced along with the musical language in the history of occidental music. So far, his music style as a consummator of church music has influenced many composers today.

      • 초등 미술과 수행평가에 관한 연구

        박순옥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세계는 정보화·세계화 시대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미래 정보화 사회에서는 단편적·사실적 지식을 암기하고 이해하는 능력보다는 정보의 탐색, 수집, 분석, 비판, 종합, 창출 능력, 자기 주도적인 평생 학습 능력, 효율적인 의사소통 능력, 협동적 문제해결 능력 등이 절실하게 요구된다. 최근 세계의 교육 선진국들에서는 이런 능력을 타당하게 평가할 수 있는 수행평가 방식을 적극적으로 도입하는 추세이다. 이를 위해서 학교 현장에서 수행평가 바람이 크게 일고 있는데 정작 학교 현장 교사들은 여러 요인으로 인해 이를 적극 수용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수행평가란 무엇이고, 왜 수행평가 도입이 되어야 하는가에 대해 정리 해 보았고 선행연구 분석으로 다른 나라(미국, 영국, 독일)의 미술평가 방향에 대해 살펴보고 우리 나라 미술과 수행평가를 실시하는데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으며 우리 나라 수행평가 실시상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에 대해 논의해보았다. 또한 미술과 수행평가 도구 개발절차에 따라 여러 가지 수행평가 방법에 적합한 도구를 개발,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미술과 수행평가 도입의 필요성 수행평가는 학생의 종합적인 능력을 정확하고 타당하게 파악하고, 수업 개선에 도움이 되는 의미 있는 평가 결과를 제공할 수 있고, 학생에 대한 바람직한 미술적 능력을 성장시키고, 개선하기 위한 자료로서, 과정과 결과를 동시에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수행평가는 미술과에서 요구하고 있는 표현능력, 미적 사고력이라고 할 수 있는 작품 비평능력이나 관찰력, 상상력 등을 고르게 평가하기 위한 평가방법의 다양화를 해결할 수 있으며, 자기평가, 동료평가 등의 여러 가지 방법으로 평가의 주체를 다양화해서 교사의 주관적인 평가를 보완할 수 있으므로 미술과에서의 수행평가 도입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우리 나라 수행평가 실시상의 문제점과 수행평가를 성공적으로 시행하기 위한 방안을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의 수행평가의 가치와 필요성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교사들의 인식이 부족하거나 수행평가 방법 및 절차, 그리고 결과 활용 방안에 대한 전문성이 부족하다. 해결 방안으로는 수행평가 전문적인 소양을 갖출 수 있도록 교사 연수 기회를 확대하여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한다. 둘째, 일선 학교에서 현재의 교육 여건상 수행평가 도구를 개발하여 활용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평가 연구기관이나 교육청에서 수행평가 방법을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예시 평가 문항 및 평가 도구 개발, 보급이 필요하다. 셋째, 교사의 업무 과다로 교육에 전념할 시간 확보가 어렵다. 이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동 학년 교사나 같은 지역 교사들이 팀 티칭을 이루어 수행평가 도구를 공동 개발하고 다양한 자료를 공유하거나 인터넷 사이트에 올려 정보 교환을 함으로써 이를 해결할 수 있으리라고 본다. 넷째, 평가의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 채점의 신뢰도를 높여야 하는데 평가 방법의 다양화, 반복평가, 동료평가등 다양한 해결책을 모색하는 시도가 필요하다. The world is becoming more international and information oriented. The information oriented society more requires us to have the ability to find, gather, criticize and synthesize the information, study actively, use the communication and problem-solving skills than to have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memorize the text book. Recently many education-developed countries accept the performance assessment which can assess properly those capacities. Although performance assessment system is booming in school, many teachers in school can't get it actively due to many factors. For this, we studied what performance assessment is and why performance assessment should be accepted. Also, we researched how Korean art performance assessment should be done, what the problems of doing performance assessment in Korea and how we solve those problems by analysis of American, British and Germany ca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at develop the material according to the various ways of doing performance assessment and the material developing process of art. * Need for acceptance of art performance assessment Performance assessment can properly evaluate the students' synthetic capacity, provide the meaningful assessment result that can help the class improvement and develope the desirable art capacity. Performance assessment is needed because it can equally evaluate the capacity to criticize works, observation and imagination capacity, which is aesthetic and expressive capacity. Also, it can vary the assessment agent through self-evaluation and fellow-evaluation and complement the teachers' subjective evaluation. * Problems of performance assessment in Korea and the ways the problems are carried out successfully. First, teachers don't know the value of performance assessment and need for it. They are not professional about the ways, process and result use of performance assessment. We can solve this problem by making teachers take the study and training course and attend it actively. Second, many schools have difficulty of developing and using material of performance assessment because of the education environment. That' why assessment institute and Institute of Education should develop and spread various example evaluation questions and material for easy using. Third, teachers have too much work and can't concentrate on education. For this, colleague teachers can make groups and do team teaching. They jointly develop material, share the various information and exchange their information by using the internet web board. Fourth, we should make the grading reliable to make the evaluation proper, and for that, we should try to find the various ways to do it such as variation of evaluation ways, repetitious evaluation and fellow-evaluation.

      • 한국 채색화의 재료 연구 : 고려시대의 불화를 중심으로

        박순옥 韓南大學校 敎育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간은 훌륭한 역사와 문화를 지니고 있는 국가나 민족을 존경하며, 그렇지 못한 국가나 민족을 경시하는 경향을 강하게 지니고 있다. 과거에 찬란한 역사와 문화를 창조했던 국가나 민족은 앞으로도 훌륭한 문화를 형성할 수 있는 저력을 갖고 있다고 판단하게 된다. 과거의 역사와 문화는 현재를 살찌게 하고 미래의 새 문화 창조를 가능케 하는 토대가 된다. 하나의 사상이나 문화의 심오함이 가장 잘 표현되는 것은 아마도 예술분야에서일 것이다. 문화의 핵심은 인간의 창의력과 직결되어 있는 예술이라 할 수 있다. 위대한 예술작품 뒤에는 종교가 그 배경을 이루는 경우가 많다. 이것이 유감없이 증명된 것은 우리나라의 불교예술에서이다. 이것은 우리 인간이 절대에 대한 궁극적인 믿음이 있을 때 스스로를 초극하는 불굴의 힘을 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간의 경지를 뛰어넘는 비범한 예술혼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일 것이다. 불교가 우리나라의 문화에 끼친 영향은 실로 막대하다. 우리의 경우 유형의 문화재는 대부분이 불교적인 것이다. 특히 오랫동안 불교를 국교로 정하여 섬겨온 고려시대에는 불화가 발달했는데 그 심오함과 예술성이 아주 뛰어나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의 자랑스런 문화가 있지만 우리 옛 그림, 특히 조선시대 중국의 산수화가 유입되기 이전에 많이 그려졌었던 채색화의 특성과 재료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문화적으로 풍성했던 시기인 고려시대의 문화역량이 집약된 문화유산인 고려불화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 사이버상의 보안경찰 활동 연구

        박순옥 광주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터넷은 국민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주요통신매체로 자리 잡고 있으며 국민 대부분의 생활수단으로 인터넷을 이용하고 있다. 인터넷의 급속한 발전과 확산은 우리생활에 편의성을 제공하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나 사이버 공간의 익명성과 광범위성 등을 악용하여 사이버 범죄에 이용하는 부정적인 요인도 내재되어 있다. 북한과 그 추종세력들은 인터넷의 이러한 점을 이용하여 사이버 공간을 '남한 사회 변혁을 위한 투쟁의 장'으로 활용하여 주체사상을 전파하고 반미․반정부 투쟁을 선전하는 공간으로 활용하고 있다. 특히, 이들은 북한이 해외에 개설되어 운용하고 있는 '우리민족끼리', '구국전선'등 대남선전용 사이트에서 불법 선전물을 내려 받아 국내 사회단체 게시판에 게재하는 등의 방법으로 불특정 다수인에게 전파하고 있으며, 국내 일부 사회단체에서는 자신들이 운영하는 홈페이지에 게재된 이들 대남혁명 투쟁 선전물에 대한 당국의 자진 삭제 협조 요청에 대해 표현의 자유를 이유로 장기 방치하고 있어 문제의 심각성을 더 해 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공간에서의 북한의 대남전략과 국내안보위해세력의 사이버투쟁 실태를 분석하고 사이버 치안을 책임지고 있는 사이버 보안경찰(사이버보안전문요원)의 조직 운영실태 및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에 따른 법령보완과 보안경찰 차원의 대책 등 다음과 같은 개선방안을 다각적으로 검토하여 보안경찰 활동의 발전적 대응방안을 모색하여 사이버상의 국가안보 질서 회복에 기여하고자 한다. 첫째, 북한은 사이버 공간의 특징인 활용의 편이성, 확산의 신속성, 대상의 광범위성, 통신의 쌍방향성, 경비의 저렴성, 정보의 축적성, 사용자의 익명성 등을 적극 활용하여 국내 주요기관 전산망 해킹, 사이버 대남공작과 대남선전 선동, 유언비어 살포를 통한 국론분열 조장, 역정보 누출, 정보교란 등 정교하고 다양한 대남 사이버 심리전 투쟁과 함께 친북 해외 및 국내 자생적 사이트를 활용해 대남 사이버 투쟁을 강화하는 정국교란을 기도할 것이다. 둘째, 북한의 대남 사이버투쟁이 본격화하면서 국내 사이버공간에서는 주체사상, 북한체제의 우월성 등 다양한 메시지가 전파되기 시작하였으며, 국내 안보위해세력은 사이버 통신, 사이버 선전선동(대남혁명노선과 반미․반정부투쟁 등), 사이버 시위(국가기관 홈페이지), 사이버 폭력(정부의 대북정책과 대통령 비방), 사이버 테러 등 사이버 공격수단이 다양화 되었다. 또한 국내 웹사이트에 친북 관련 게시물들이 매년 증가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북한의 대남 사이버투쟁에 적극 대처하기 위해서는 안보위해사범에 대한 인권시비 차원의 대책과 더불어 친북해외 사이트와 대남사이버 투쟁을 제도적으로 규제할 관련 법령 보완과 신설 방안을 적극 검토해야 할 것이다. 나아가 국민과 신세대 네티즌에 맞는 안보의식 확산 및 지속적인 사이버 안보교육, 그리고 민간차원의 자발적인 사이버 감시망을 구축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가 마련되어야 한다. 셋째, 북한은 국내 인터넷 매체가 급속히 확산되는 것을 이용하여 사이버 공간을 통해 국내 친북반한세력의 행동강령과 투쟁지침을 하달할 뿐 아니라, 반미․반정부 관련 유언비어를 조작․유포하여 국론분열을 조장하는 대남혁명공작도 수행하고 있다. 특히 북한은 인터넷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10대와 20대의 젊은 층을 대상으로 친북반한 의식을 주도하라는 지침을 내린 바 있다. 이러한 보안환경의 변화에 적극 대처하기 위해서는 보안사이버전문인력이 확보 되어야 한다. 특히, 우수한 인력 확보를 위해서는 내부적인 인력 양성과 신임순경 확보, 외부 전문인력의 활용, 전국에 있는 경찰 관련학과 졸업생을 활용하는 방안 등을 제시하였다. 또한 현실성 있은 예산확보와 집행이 필요함도 제시하였다. 그리고 사이버 사범은 고도의 컴퓨터지식과 기술을 이용하여 범행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이버 경찰의 실시간 대응을 제도적으로 보장해 주기 위한 법 개정의 필요성을 언급하고, 북한의 사이버공작 전술과 수행체제 및 투쟁행태에 대한 정확한 분석을 요구하였다. 「정보통신망법」과 「통신비밀보호법」 등 관련 법제의 보완과 「사이버안보법(가칭)」신설, 사이버안보 관련 부서의 확대 및 정예화, 일반 사이버 경보와 차별화된 안보부문의 '사이버안보경보시스템'의 구축 및 민간차원의 사이버 방어 네트워크 구축 등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사이버 안보는 보안경찰의 중요한 업무 영역중 하나가 되고 있다. 보안경찰은 인터넷이 지니는 취약성을 찾아내고 사이버 안보 위협으로부터 어떠한 도발 행위도 제거하고 보호하는 사이버 치안활동을 수행해야 한다. 보안경찰의 중요성에 대한 정부당국의 재인식과 적극적인 지원 대책을 통한 보안역량을 제고하여 급변하는 안보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해야 한다. 경찰에서는 보안사이버전문요원의 조직․인력․기술을 지속적으로 보강하고 디지털증거 관련 법 제도적 정비로서 명실상부한 세계 초일류 사이버 보안경찰로서 거듭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