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동료 인상관리가 종업원의 조직 내 행동에 미치는 영향

        박소담 광운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s impression management and impression management motive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impression management motive and employee's organizational behavior(i.e. task performance, voice behavior, helping). Also,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role of impression management motiv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s impression management and employee'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the moderating role of internal locus of contro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s impression management and impression management motive. Making use of the survey research method, data were gathered from 251 employees from a number of companies.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s impression management and employee's organizational behavior is significantly positive. Impression management motive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s impression management and employee'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internal locus of control did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s impression management and impression management motive.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 for future research tasks were discussed with limitations. 본 연구는 동료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첫째, 동료 인상관리와 종업원의 인상관리 동기 및 과업수행, 발언행동, 도움행동 간 관계에 대해서 살펴보았고, 둘째, 동료 인상관리가 종업원의 과업수행, 발언행동, 도움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종업원 인상관리 동기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으며, 셋째, 동료 인상관리가 종업원의 인상관리 동기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내적 통제소재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다양한 기업에 종사하고 있는 251명의 종업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동료 인상관리는 인상관리 동기 및 과업수행, 발언행동, 도움행동과 정적인 관련이 있었으며, 인상관리 동기는 동료 인상관리와 과업수행, 발언행동, 도움행동 간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종업원의 내적 통제소재 수준이 낮을 때보다 높을 때 동료 인상관리와 인상관리 동기 간 정적 관계가 더 강하게 나타났기 때문에 내적 통제소재는 동료 인상관리와 인상관리 동기 간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학문적 의의, 실무적 시사점, 제한점 및 향후 연구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 정보그래픽 비주얼 표현 요소에 따라 수용자 정보처리과정에 미치는 영향 연구

        박소담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re is a modern disease newly appearing, called Information Fatigue Syndrome’, which is a new name of disease created in the information pollution in this modern society likely to be expressed as ‘Information Flood’ or ‘Information Explosion’. Due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the amount of information we deal with has increased over 500 times now than 10 years ago, further providing an opportunity to change the existing ays of deliver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With the advent of the age of one-person media, every user has turned into the subject of content providers, showing a diversity of characters in the way of visualizing information. Their creative expression methods give pleasures to people using the information, but it is true that a great deal of time and expenses are spent on distinguishing necessary information from unnecessary information due to the excessive amount of information spread in an indiscreet way on the otherhand. To visualize concepts for users to directly and immediately acquire a great deal of information to deliver information more effectively and to reduce cognitive confusion, it became more necessary to organize information. As a matter of fact, the analysis and application of users’ perceptions by the presentation modes of information have been important issues recently, but there are not sufficient researches on the visualization expression likely to appeal to information receivers’ awareness and value systems to the contrary. Nigel Holmes, an information graphic designer who used to be an illustrator, presented a concept called ‘Explanation Graphics’ through Time Magazine, and 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show how to make the overflow of raw data digestible, easily comprehensible and even changeable into effective information with wits and humors sometim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essage types by visual expression elements on the information delivery stage’ by focusing more on visual elements out of those from Nigel Holmes’ research. In other wor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what visual elements are easily noticed, more advantageous in delivering information more accurately and efficiently and even proper to remain in receivers’ memories for a longer time.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s above, this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visual expression elements for the concept of information graphics and the visualization of information, through which it examined the information processing stage on which each visual element can has effect. By focused on oversea award products and domestic and foreign designers’ websites and books on the basis of theoretical backgrounds, this study classified all the visual expression cases into 4 kinds of formative elements, such as typography, figure, icon/ pictograms and photography, out of Jacques Bertin’s visual elements of information. Lastl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ssage delivery effect by changing visual expression elements with a single concept through the questionnaire designed for this study in order to deduce conclusions. As for the analysis method for this survey research, the data was statistically processed with SPSS 12.0 through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and two-way ANOVA. For the verification of reliability, this study used Cronbach's Alpha value. If the value was over 0.7, the reliability was found to be high.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below. Firstly, icon/pictogram graphic elements showed the highest degree of attention regardless of the degree of involvement, and it was the highest even in the thinking type research. Unlike languages, icons are picture signs that deliver implicative meanings through ‘visual elements’ such as colors and shapes, so they enable us to interpret intuitionally.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that they are the most effective graphic elements in the attention stage. 01) Steven Heller, Nigel Holmes on Information Design, 2006 Secondly, this study found that readability, one of the most important functions of information graphics, showed the highest degree of icon/ pictograms regardless of involvement or thinking types. It could be interpreted as the most effective graphic element in the understanding stage since graphic information, perceived as a parallel mode, can be delivered more than text information. Thirdly, in the aspect of memory, this study found there was no large difference in each type depending on involvement and thinking types, but icon/ pictograms and photography had stronger memory stimuli than the other elements. Consequently, this study deduced a result that visual expression element having the most effect on attention, understanding and memory, the process of information processing, are the very icon/pictograms in common. ‘정보피로증후군’이라는 새로이 생겨난 현대병이 있다. 이것은 ‘정보의 홍수’, ‘정보의 과다’,‘정보의 폭발’로 표현되는 현대의 정보 공해(Information Pollution) 속에서 생겨난 새로운 병명이다. 정보기술(Information Technology)의 발달로 인해 우리가 접하는 정보가 10년 전에 비해 500배 이상 늘어났고 이것은 정보를 전달하는 방식 및 수용하는 방식의 변화를 도모하는 계기가 되었다. 1인 미디어 시대의 도래로 스스로가 콘텐츠의 공급의 주체로 자리잡으면서 정보를 시각화하는 방식들에서도 개성이 넘치며 다양해지고 있고, 그 창의적인 표현 방법이 정보를 접하는 이에게 즐거움을 주기도 하나, 한편으로는 지나친 정보의 양과 그 무분별함으로 인해 쓸모있는 정보와 불필요한 정보를 구별하는 데 많은 시간과 비용을 사용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보다 효과적인 정보전달을 위해 다량의 정보를 즉각적, 직접적으로 습득할 수 있도록 개념을 시각화할 뿐만 아니라 인지적 혼돈을 줄이기 위해 정보를 조직화 해야 할 필요성이 커졌다. 정보의 제시양식에 따른 사용자의 인지에 대한 분석과 적용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나, 이에 비해 수용자들의 변화된 의식과 가치체계에 호소할 수 있는 시각화 표현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일러스트레이터 출신의 정보그래픽 디자이너 나이젤 홈즈(Nigel Holmes)는 Time Magazine을 통해 ‘설명을 위한 그래픽(Explanation Graphic)’ 개념을 내 놓았는데, 날것의 데이터(Raw Data)의 범람을 어떻게 소화해내고(Digestible), 쉽게 이해시키며 (Easily Comprehensible), 때로는 위트와 유머를 담아 효과적인 정보로변화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본인은 나이젤 홈즈(Nigel Holmes)의 연구 중 시각적 요소에 더 초점을 맞춰 ‘비주얼 표현요소에 따른 메시지 유형이 정보처리과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어떤 비주얼 표현 요소가 눈에 쉽게 띄는지, 정확하고 효율적인 정보 전달에 유 리한 비주얼 표현 요소는 무엇인지, 또 수용자들의 기억에 더 오랜 기간 동안 저장되는데 적합한 표현 요소는 무엇인지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먼저, 정보그래픽의 개념과 정보 시각화를 위한 비주얼 표현 요소를 이해하고 이를 통해 각 요소가 영향을 줄 수 있는 정보처리과정에 대해 알아본다.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해외 어워드 수상작과 국외 및 국내 디자이너의 웹사이트와 서적을 중심으로 정보그래픽 비주얼 표현 사례를 자크버틴(Jacques Bertin)의 ‘정보의 시각화 요소’ 중 4가지 형태적 요소(타이포그래피, 도형, 아이콘/ 픽토그램, 포토그래피)로 나누어 고찰한다. 마지막으로, 하나의 컨셉으로 비주얼 표현 요소를 달리하여 본인이 직접 디자인한 설문지를 통해 메시지 전달 효과를 조사한 후, 결론을 도출한다. 설문조사 분석방법은 SPSS 12.0을 사용하여 통계적 자료처리를 하였으며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신뢰도 검증은 Cronbach’s Alpha값을 사용하였다. 그 값이 0.7이상으로 신뢰도가 매우 높음을 확인하였으며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이콘/ 픽토그램 그래픽 요소는 관여도와 무관하게 가장 높은 주목도를 나타냈고, 사고유형별 조사에서도 가장 높게 나타났다. 언어와 달리, 아이콘은 색상, 형태 등의 ‘시각적 요소’를 통해 함축적으로 의미를 전달하는 그림 기호이므로,단지 보는 것만으로도 직관적 해석이 가능하여 주의 단계에서 가장 효과적인 그래픽 요소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정보 그래픽의 가장 중요한 기능인 가독성 역시 관여도나 사고유형과 무관하게 아이콘/ 픽토그램이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동시적 모드(Parallelmode)로 인식되는 그래픽 정보가 문자 정보에 비해 많은 양의 정보를 전달 할 수 있기 때문에 이해 단계에서 가장 효과적인 그래픽 요소로 해석된다. 셋째, 기억 측면에서는 관여도와 사고유형에 따라 각 유형별로 큰 차이가 없었으나 아이콘/ 픽토그램과 포토그래피가 다른 두 요소에 비해 기억 자극이 강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로써 정보처리의 과정인 주의, 이해, 기억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비주얼표현 요소는 공통적으로 아이콘/ 픽토그램이라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아이콘/ 픽토그램 그래픽 요소가 주목성과 가독성, 기억의 측면에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디자이너의 역량이나 표현되는 디자인 요소의 퀄리티에 따라 수용자의 반응이 달라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겠으나, 동일한 퀄리티의 디자인을 구현해 낸다는 조건 하에 인지적 측면에서 더 효율적이고 중요한 디자인 요소가 무엇인지를 연구하는데 그 의의를 두었다. 연구의 범위와 목적은 정보 커뮤니케이션의 효율성 측면에 집중하고 있다. 하지만, 심미적 특성이 배제된 채 그 효율성에만 집중하여 하나의 그래픽 요소만으로 정보를 일률적으로 나타낼 수는 없다. 심미성과 효율성, 이 두가지를 모두 추구하는 것이 현 시대 디자이너의 역할이며, 이에따라 디자이너는 유연하게 비주얼 표현 요소를 적용할 줄 아는 감각을 키워야 한다.

      • 혼합연령 학급의 자유놀이에 나타나는 유아들의 또래 관계 경험

        박소담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혼합연령 학급의 자유놀이를 지속적으로 관찰하여 연구함으로써 혼합연령 학급의 자유놀이에 나타나는 또래 관계 경험을 이해하는 데 목적이 있다. 위와 같은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혼합연령 학급 유아들의 자유놀이에 나타나는 또래 관계 경험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S초등학교 병설유치원 만 3, 4, 5세 혼합연령 학급의 유아 9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연구 기간은 2020년 9월 1일부터 12월 18일까지 15주이며 연구자는 만 3, 4, 5세 혼합연령 학급의 자유놀이에 나타나는 유아의 또래관계 경험을 이해하기 위해 참여관찰기록, 연구자 저널, 유아 면담, 문서 자료 등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정리하고 의미에 따라 분류하고 해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를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시로 변화하는 대장-부하 같은 관계를 경험하였다. 유아들은 놀이에서 권력에 따라 마치 대장-부하 같은 관계를 경험하였고 이는 고정되지 않고 권력이 이동하는 양상에 따라 수시로 변화하는 모습을 보였다. 둘째, 평등한 상호 우정 관계를 경험하였다. 유아들은 놀이에서 권력에 따른 위계적인 관계를 경험하기도 하지만 연령에 관계 없이 평등한 위치에서 수평적인 우정 관계를 맺는 모습을 보였다. 셋째, 마음을 나누는 가족과 같은 관계를 경험하였다. 유아들은 실제 혈육 관계가 아닐지라도 놀이에서 형제, 자매 관계를 맺는 경험을 하였고 함께 배려, 협력하며 동질감과 결속력을 느끼는 마음을 나누는 또 다른 의미에서의 가족과 같은 관계를 맺는 모습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른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혼합연령 학급 유아들의 또래 관계 경험은 서로 다른 연령이 모인 만큼 관계의 양상이 더욱 다양하게 나타났고 동일 연령에 비해 복잡한 사회적 상호작용이 활발하게 일어났으며 이는 사회성 발달에 중요한 경험이 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혼합연령 학급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들의 올바른 이해가 필요할 것이다. 둘째, 혼합연령 학급 유아들의 또래 관계를 경험하며 관계를 맺는 것에 대해 유능한 존재이다. 유아들은 연령에 따라 관계 형성의 속도는 차이가 있으나 각자 나름대로 성장하며 관계를 맺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유아들의 또래 관계를 있는 그대로 인정해주며 고유한 존재라는 인식이 필요하다. 셋째, 혼합연령 학급 유아들의 또래 관계 경험은 복잡하고 역동적인 특성으로 겉으로 드러나는 표면적인 관계보다 그 관계의 내면과 의미를 파악하는 데 중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 Irisin이 유방암 세포의 이동성 및 침윤성 억제에 미치는 효과임상보건학과

        박소담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융합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Breast cancer is the second most commonly diagnosed female cancer in the United States after skin cancer and 80 percent of breast cancer tumors are characterized by metastasis. Breast cancer is the second most diagnosed female cancer in Korea after thyroid cancer in 2018. Metastasis refers to the series of cascades reactions to move to another tissue far from the primary tumor. In order for metastasis to occur, basal membrane destruction and invasions into surrounding tissues are essential which is important to enter blood vessel or lymphoid. MMPs are well-known enzymes involved metastasis in the tumor microenvironment and exert the decomposition of extracellular matrix. The 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s (TlMPs) is a factor that endogenously inhibits MMPs. Of many myokines, irisin is one of the most recently discovered myokines that is secreted during the muscle contraction after being split from fibronectin type III domain containing 5 (FNDC5). The object of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irisin on metastatic properties of breast cancer. Triple-negative breast cancer cells, MDA-MB-231 and Hs578T were treated with 5, 10 or 20 nM of irisin. In both cell lines, cell viability and cell migration assay were performed to analyze the cell survival and migrating property. Western blot assay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expression of MMPs. It was found that irisin did not affect cell viability, whereas it inhibited cell migration and invasion in both cell lines. Furthermore, irisin inhibited metastatic characteristic by down-regulating the expression of MMP-2 and MMP-9 and up-regulating the expression of TIMP-1 and TIMP-2. Expression of MMP-2 and MMP-9 also decreased in Hs578T cell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irisin secreted by exercise can be a therapeutic benefit against breast cancer metastasis and invasion. 삼중음성유방암환자들은 진단 후 5년이내의 생존률이 상대적으로 낮으며, 전이성 재발의 위험률도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이가 시작되면 사망률이 급격하게 증가하기 때문에 전이의 억제는 암 치료에 필수적인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전이에 관련된 인자로는 Matrix metalloproteinase (MMPs)와 Tissue inhibitors of metalloproteinases (TIMPs) 가 있는데, MMPs는 세포의 기저막을 파괴하는 과정에 필요한 인자이고 TIMPs는 MMPs의 활성을 방해하는 인자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전이의 감소 과정에는 MMPs의 억제 혹은 TIMPs의 증가가 요구된다. 신체활동 시 분비되는 myokines 중 하나인 irisin은 암의 예방과 전이 억제에 관련이 있다고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그 기전에 대한 연구는 부재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운동 시 분비되는 myokine 중 하나인 irisin을 처리하여 in vitro수준에서 운동이 유방암 이동성과 침윤성 억제에 영향을 미치는 지, MMPs를 매개로 한 전이 억제 메커니즘에 관여하는 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irisin을 처리하였을 때, 특히 20nM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MDA-MB-231 유방암 세포와 Hs578T 유방암세포에서 모두 세포 생존률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이동성과 침윤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MDA-MB-231 유방암세포에서는 vimentin의 발현을 감소시킴으로써 유방암세포의 악성도 감소를 확인했으며, MMP-2, MMP-9의 발현을 감소시킴으로써 이동성 및 침윤성 억제에 관여함을 확인했다. 또한 TIMP-1과 TIMP-2의 발현을 단백질 수준에서 증가시킴을 확인했다. 다른 삼중음성유방암세포 Hs578T 세포에서도 역시 MMP-2와 MMP-9의 발현 감소를 확인했다. 결과적으로 운동시 분비되는 물질인 irisin이 TIMP-1과 TIMP-2의 발현을 증가시켜 MMP-2와 MMP-9의 효소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유방암 전이 억제 메커니즘에 관여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결과는 운동이 유방암의 이동성과 침윤성을 감소시켜 전이 억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하나의 근거로 제시될 수 있다.

      • 가압 순산소 연소 연계 CO2 가스화 공정에 대한 연구

        박소담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Coal and biomass have the advantage of highly supply stability and rich reserves. Clean fuel conversion technology that can minimized the impact on global warming is required to continue to use solid fuels when the existing generation method using combustion has reached its limit due to climate change problems. Pressurized oxy-fuel combustion is a research field that has recently been attracting attention as it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atmospheric oxy- combustion technology by improving combustion efficiency, recovering latent heat, and simultaneously reducing NOx/SOx. Gasification is an technology that can convert solid fuel into clean syngas, and various gasifiers can be used depending on a different purpose. And also gasification can optionally constitute a process that can maximize hydrogen production, in which case hydrogen, which is free from CO2 emissions such as fuel cells and hydrogen turbines, can be supplied in large quantities to the hydrogen needed for high-efficiency power generation and transportation systems. This study targeted a gasification system with a pressurized oxy combustion. It is a complex system that can use the exhaust gas of hightemperature and high-pressure generated from combustor as a gasification agent and unreacted gas generated from gasification as a fuel entering the combustor. A CO2 of high-temperature, which occupies most of the combustion gas, is supplied to the gasifier with a certain amount of O2 and H2O to be used as a gasification agent, supply of reaction and fluidizing agent. Since the pressurized oxy combustor supplies pure oxygen instead of air to burn the fuel, the main components of the exhaust gas are CO2 and H2O. These gases are supplied to the gasifier, and it affects the yield of the CO, H2 and CO2 in the syngas through the boudouard reaction and the steam gasification reaction. Since combustion gas supplies heat necessary for gasification, it affects the gasifier reaction temperature and syngas quality. Commercial process analysis tools were used to simulate the process and to derive optimal operating conditions. The chemical reaction for the combustion and gasification process simulation utilized experimental results conducted in the previous research,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experimental results were adequately simulated within an error rate of 10%. Based on this, the performance of the process was grasped under various operating conditions, and the efficiency was analyzed focusing on carbon conversion rate, energy conversion and lower heating value of syngas. 석탄과 같은 탄화수소 연료는 지역적으로 편재되어 있지 않아 공급 안정성이 높고 매장량이 풍부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기후변화 문제로 보일러 중심의 단순 연소를 이용한 기존 발전 방식이 한계에 부딪힌 시점에서 고체연료를 지속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지구온난화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청정연료 전환 기술이 필요하다. 가압 순산소 연소는 연소 효율 향상, 잠열 회수, NOx/SOx의 동시 저감을 통해 상압 순산소 연소 기술의 한계를 극복한 방식으로 최근 주목받고 있는 연구 분야이다. 가스화는 고체 연료를 청정 합성가스로 전환할 수 있는 기술로 목적에 따라 다양한 가스화제를 활용할 수 있다. 가스화는 선택적으로 수소 생산을 극대화 할 수 있는 공정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연료전지, 수소 터빈 등 CO2 배출에서 자유로운 수소 기반 고효율 발전 및 수송 시스템에 필요한 수소를 대량으로 공급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가압 순산소 연소와 연계한 가스화 시스템을 대상으로 하였다. 가압 순산소 연소에서 생성된 고온·고압의 배가스를 가스화제로 사용하고 가스화에서 발생된 미반응 촤를 연소기 연료로 사용할 수 있는 복합 시스템이다. 서로 다른 복수의 반응기 간 열·물질 전달에 강점이 있는 이중 유동층 시스템을 이용하여 연소-가스화 연계 반응기를 구성하였다. 이때 연소가스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고온의 CO2는 일정량의 H2O, O2와 함께 가스화기로 공급되어 가스화제, 반응열 공급 및 유동화제로 사용된다. 가압 순산소 연소기는 공기 대신 순수한 산소를 공급하여 연료를 연소하기 때문에 배가스의 주성분이 CO2와 H2O이며 이 가스들은 가스화기로 공급되어 각각 부다 반응, 스팀 가스화 반응을 통해 합성가스 내 CO, H2, CO2의 수율에 영향을 미친다. 뿐만 아니라 연소가스는 가스화에 필요한 현열을 공급하기 때문에 가스화기 반응온도 및 합성 가스의 품질에 영향을 준다. 공정 구성 및 최적 운전 조건 도출을 위해 상용 공정 해석 프로그램을 활용 하였으며 이때 유동층 내부의 세밀한 수력학적 모사는 제외하였다. 연소 및 가스화 공정 모사를 위한 화학반응은 기존연구에서 수행된 실험결과를 활용하였으며 같은 조건에서 합성가스 조성을 기준으로 비교할 경우 10% 오차율 이내에서 적절하게 모사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토대로 다양한 운전 조건 하에서 공정의 성능을 파악하였으며 합성가스 발열량, 탄소 전환율, 에너지 전환율등을 중심으로 효율을 분석하였다.

      •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의 또래비교행위 및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아동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부적응적 완벽주의의 매개효과

        박소담 명지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peer-to-peer acts and wealth and simulated psychological control of late parents on the academic self-efficacy of children and verifying the role of the intermediation of maladaptive perfectionism in the relation of child's perceived peer comparison and wealth to simulated psychological control and child's academic self-efficacy. The following research issue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effect of child's perceived peer social comparison on the academic self-efficiency of children? Second, what about the influence of father and mother psychological control on a child's academic self-efficacy? Third, what about the medial effect of maladaptive perfectionism in the child's perceived peer social comparison acts on the academic self-efficiency of children? Fourth, what about the medial effect of maladaptive perfectionism in the psychological control of father and mother on the academic self-efficiency of children? Two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Busan asked 515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fifth and sixth grade about their child's perceived peer social comparison, psychological control of their fathers and mothers,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academic self-efficiency. Of the 515 parts, 489 were used as the final analysis data for this study, with the exception of the missing questionnaires and 26 unresponsive questionnaires. This data was analyzed Frequency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simple regress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through SPSS 21.0 for statistic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we looked at the variables tha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soci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children. There were significant gender-specific differences only in the comparative behavior of parents and in the psychological control of fathers. It is perceived that parents compare themselves more with their peers than girls about their fathers' relative behavior and psychological control of their parents, and that fathers interfere. but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is does not significantly affect Maladaptive perfectionism or academic self-efficacy. It has been shown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 maladaptive perfectionism in children's school years. This can be explained as the higher the grade of a child, the more likely the maladaptive perfectionism is. Second, to find out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child's perceived peer social comparison, the psychological control of the father and mother and maladaptive perfectionism on the academic self-efficacy, we first looked at the correlation. Th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whole variable and the subcomponents in the correlation analysis. If we look at this in detail, the peer-to-peer behaviors of parents, psychological control of fathers and mothers, and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academic self-efficacy were all related. And the comparative behavior of parents' peers, the psychological control of fathers and mothers, and the maladaptive perfectionism, showed a static correlation. his means that if a child feels that his or her parents compare him to his or her peers or if he or she is psychologically controlled by them, maladaptive perfectionism is formed, and academic self-efficacy is diminished. Third, the relative influence of child's perceived peer comparison, maladaptive perfectionism on the academic self-efficacy of the child, children's academic self-efficacy was followed by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explanation was given by their parents' peer-to-peer comparisons. Recognizing the relative influence of father and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and maladaptive perfectionism, on the academic self-efficacy of children, both showed in the order of maladaptive perfectionism, father or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This shows that the strongest predictor factor that explains a child's academic self-efficacy is maladaptive perfectionism. Fourth, the medial effects of maladaptive perfectionism were looked at the effects of children's perceived peer comparison and the effects of father and 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on academic self-efficacy. The results showed that in the course of a child's peer-to-peer comparison and father-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affecting the academic self-efficacy of the child, in the course of the child's perceived parental control, in addition to the child's peer-to-peer comparison and the degree of father-mother's psychological control, the child's academic self-efficiency was reduced. This study was intended to reveal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ffects of parental peer comparison and the psychological control of father and mother on the academic self-efficacy of children and the medial effects of maladaptive perfectionism on children in the senior grade of elementary school. It would be more effective to support and accommodate children's abilities than to compare them to their peers according to their parents' standards, impose parental standards on their children, and withdraw their affection when they do not meet their parents' standards. It is also expected to provide a basis for further study of peer comparison of parents who lack research.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의 또래비교행위 및 부와 모의 심리적 통제가 아동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의 또래 비교행위 및 부와 모의 심리적 통제와 아동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완벽주의의 매개 역할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의 또래 비교 행위가 아동의 학업적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가? 둘째, 부와 모의 심리적 통제가 아동의 학업적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가? 셋째,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의 또래비교 행위가 아동의 학업적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부적응적 완벽주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넷째, 부와 모의 심리적 통제가 아동의 학업적 자기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부적응적 완벽주의 매개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이를 위하여 부산에 소재한 초등학교 두 곳에서 5학년 6학년 아동 515명을 대상으로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또래 비교행위, 부와 모의 심리적 통제, 부적응적 완벽주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관한 질문지를 실시 하였다. 515부 중 누락된 문항이나 무성의하게 응답한 질문지 26부를 제외하고 489부를 본 연구의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이 분석 자료는 SPSS 21.0을 통해 빈도분석, Pearson의 상관관계, 단순회귀분석, 중다회귀분석, 단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통계분석 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는 변인에 대해 살펴보았다. 아동의 부모의 또래 비교행위, 부의 심리적 통제에서만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이는 남아가 지각하는 부모의 또래 비교행위와 부의 심리적 통제에 대하여 여아보다 부모가 자신을 또래와 더 비교한다고 지각하고, 부가 심리적으로 간섭과 방해를 한다고 지각하지만, 이것이 부적응적 완벽주의나 학업적 자기효능감에는 유의미하게 영향 미치지 않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아동의 학년에 따라 부적응적 완벽주의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것은 아동의 학년이 높을수록 부적응적 완벽주의의 성향이 높아진다는 것으로 해설할 수 있다. 둘째,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의 또래 비교행위, 부와 모의 심리적 통제와 부적응적 완벽주의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먼저 각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상관분석에서 전체 변인과 하위요인들 간의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또래비교 행위, 부와 모의 심리적 통제,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부적 상관을 보였고,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또래 비교행위, 부와 모의 심리적 통제와 부적응적 완벽주의는 정적 상관을 보였다. 이는 아동이 부모가 자신을 또래와 비교한다고 지각하거나 부모에게 심리적 통제를 받으면 부적응적 완벽주의가 형성되고,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의 또래 비교행위, 부적응적 완벽주의가 아동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아동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부적응적 완벽주의,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의 또래 비교행위 순으로 설명력이 나타났고, 부와 모의 심리적 통제, 부적응적 완벽주의가 아동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둘 다 모두 부적응적 완벽주의, 부 또는 모의 심리적 통제 순으로 설명력이 나타났다. 이는 아동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설명하는 가장 강력한 예측 요인은 부적응적 완벽주의로 나타났다. 넷째,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의 또래 비교행위 및 부와 모의 심리적 통제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부적응적 완벽주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의 또래 비교 행위 및 부와 모의 심리적 통제가 학업적 자기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부적응적 완벽주의 수준이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의 또래 비교행위 및 부와 모의 심리적 통제 정도와 함께 아동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떨어트리는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의 또래 비교행위 및 부와 모의 심리적통제가 아동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과 부적응적 완벽주의의 매개효과에 대한 관계를 밝히려고 하였다. 또한 부모가 아동의 학업성취를 위하여 취하는 또래 비교행위나 심리적 통제 방법이 오히려 아동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떨어트리고 부적응적 완벽주의를 형성함으로 부모의 양육 태도 방식에 대한 변화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부모는 부모의 기준에 맞춰 아동을 또래와 비교하거나, 아동에게 부모의 기준을 강요하고, 부모의 기준에 맞지 않을 때 애정을 철회하는 등의 심리적 통제를 하는 것 보다 아동의 능력을 지지해주고 아동을 수용해주는 것이 더욱 효과적일 것이다. 또한 연구가 부족한 부모의 또래 비교행위에 대한 후속 연구의 기초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과학관과 연계한 고등학교 1학년 통합과학 생명과학 영역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박소담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field experience study program for the first grade integrated science subject life science field of 2015 revised curriculum high school using exhibits of gwacheon national science museum. Out of a total of 70 exhibits at the Natural History Hall of the gwacheon national science museum, 13 are exhibits that correspond to the life sciences area of the integrated science school. As 10 of these exhibits are exhibits explaining 'evolution', the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the contents of Small Unit 1 and 2 of the discontinued Unit 2 of the Unit 7 Biological Diversity and Maintenance. The field experience study program consisted of teacher preparation stage, pre-learning stage, field learning stage, and post-learning stage, so that students could learn about variation, natural selection and evolution through each stage. In the teacher preparation stage, study materials were organized so that students could acquire learning materials in various ways, from the stage of survey, group placement, and study materials development and production. In the pre-learning stage, the students made a learning plan so that they could learn the contents of the subject well during the field learning stage. In the field learning stage, the learning guidelines were organized so that students could perform well on-site experience learning at the National Gwacheon National Science Museum, and study materials were prepared to accommodate the learning content. In the post-learning stage, the content learned in the field-learning phase was organized to be published based on study materials. Presentation classes were organized to enhance students' presentation and opinion-closing skills. In addition, the contents of the course were organized so that the contents could be structured by finalizing the contents of the course. It also presented a method to evaluate after the execution of the program. This suggests that not only infants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but also high school students can use science education.

      • 도시 구성요소를 활용한 디지털 일러스트레이션 연구 : 서울시 자치구 상징물을 중심으로

        박소담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tilize analyzed urban components to create digital illustrations and demonstrate the potential utility of the artwork, as well as its intrinsic value as fine art. Illustration has been increasingly used across various fields as its significance has expanded. However, in the case of South Korea, it's challenging to find instances where illustrations have been utilized as artworks. In particular, the outcomes derived from utilizing regional symbols so far have been predominantly uniform, leaning heavily towards a graphic design-oriented approach. There has been a tendency to depict individual prominent landmarks rather than focusing on regional identity as a whole. In the current stage of post-COVID-19 recovery, with international visitors returning to Seoul, there is a need for more diversified and detailed information to attract them to various regions. Therefore, I researched the necessity of illustrations that captur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and incorporated the results into artworks. Furthermore, by embodying a pure artistic essence, I attributed value to them as pieces of fine art. The study begins with a review of the concept of urban components and a literature review. Visual elements are categorized into natural and artificial factors, comparing examples from Seoul, San Diego and New York. The research then delves into the overview of digital illustration, its tools, history, classification based on software, and its applications. Adobe Illustrator, Adobe Photoshop, and Procreate are chosen for their strengths in brush and layer usage, vector systems, and image editing capabilities. Additionally, the artworks utilizing urban components were categorized by artist, analyzing their characteristics based on themes, subjects, materials, colors, and distinct features. This analysis influences the researcher's approach to planning, shaping, materials, and composition of artwork. The main subjects, landmarks and buildings were illustrated in black-and-white line art, and color was applied to the background to create distinctions between regions. The background colors featured high saturation, with complementary colors used as accent points. Digital programs were utilized, while maintaining a hand-drawn feel. The process of creating the artwork proceeded in a total of six steps. First, selected visual elements for each district. The visual elements to be used in each district were chosen, representing the identity of the district, including landmarks, public facilities, and natural environments. Second, to achieve a traditional marker feel, the researcher modified the Tinderbox brush from the Procreate brush library. Research was conducted on methods to evoke a traditional painting feel in digital illustration, and the solution involved modifying brushes for use. Three different thicknesses were created for outlining, drawing lines, and detailed work. Third, pencil and paper were utilized to sketch the visual elements to be used in each district, establishing the overall composition. Fourth, visual elements and the background were drawn using Procreate and Tinderbox-modified brushes. Individual elements were created on separate layers, considering the scalability of the artwork. Line drawing techniques were used for intuitive expression, and the background was freely created using various brush shapes. Background colors were selected based on the Obangsaek which is the Korean five directional traditional colors and the locations of the districts. Fifth, creating the metropolitan subway map using Adobe Illustrator. Leveraging the feature of Adobe Illustrator where line thickness remains consistent even when resizing, the researcher included the metropolitan subway map in the artwork. This allowed for easy selection and reflection of the necessary regional routes from the overall map. Sixth, finalizing the artwork using Photoshop. Photoshop was used to merge all layers into a single composition. Color adjustments and additional detail work were carried out in this final step. The completed artwork stands out due to the modification of digital drawing program brush, deviating from the standard brushes, and the use of the Obangsaek colors to indicate the directionality of each region. The exhibition and sale of the completed artworks confirmed their value as fine art. Additionally, these pieces, encompassing prominent elements representing the region, hold significance as visual symbols that allow viewers to identify the specific locale they represent. In this study, digital illustrations of the city were created, but limitations arose as only specific regions were depicted, often relying heavily on well-known areas and elements. Therefore, a follow-up study is warranted to create artworks analyzing the visual elements of districts with relatively fewer symbols or landmarks, aiming to depict and represent these regions visually. 본 연구는 분석한 도시 구성요소를 활용하여 디지털 일러스트레이션을 제작하고, 작품 활용 가능성과 순수 예술로서의 가치를 증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일러스트레이션은 그 의미가 확장되면서 다양한 분야에 쓰이고 있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작품으로 활용된 사례를 찾기는 힘들다. 특히, 지금까지의 지역 상징물이 활용된 결과물은 그래픽 디자인적 성향이 강한 획일적 결과물이었으며, 지역 단위보다는 주요 명소를 개별적으로 표현하는 경향이 있었다. 또한, 코로나-19의 일상 회복 단계를 거친 요즘 해외 방문객들이 다시 서울을 찾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관광 목표나 목적지는 특정 지역에 편중되어 있어 목적지의 세분화와 디테일한 안내를 통해 보다 많은 유입 효과를 거둘 필요가 있다. 따라서 각 지역의 특징을 살린 일러스트레이션의 필요성에 관해 연구하고 그 결과를 작품에 접목시켰다. 연구 결과물은 순수 예술의 성향을 가지고 있어 예술품으로서 가치를 부여하였다. 기술 과정에서 도시 구성요소의 개념에 대한 고찰과 문헌조사를 진행했으며, 시각적 요소는 자연적 요소와 인공적 요소로 나누어 서울과 샌디에이고, 뉴욕의 예시를 비교했다. 이어 디지털 일러스트레이션의 개요와 그 도구의 역사, 개별 프로그램의 특성, 구동 방법에 따른 분류, 활용 분야에 대한 문헌조사를 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그 예시를 정리했다. 이러한 이론 정리를 통해 디지털 일러스트레이션이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는 것을 확인했고, 작품 제작에 브러시와 레이어 활용에 강점이 있는 프로크리에이트, 벡터 시스템으로 구동되어 사이즈 변경이 용이한 어도비 일러스트레이터, 이미지 편집과 레이어 활용이 편리한 어도비 포토샵을 활용하기로 결정했다. 또한, 도시 구성요소를 활용한 작품을 작가별로 정리하여 그 특징을 주제, 소재, 재료, 색채, 특징으로 분류하여 분석했다. 이러한 과정은 연구자의 작품 기획과 조형, 소재, 구성에 영향을 주었다. 주소재인 랜드마크와 건축물을 흑백의 라인 아트로 작업하고 배경에 컬러를 주어 지역마다 차이점을 주었다. 배경컬러는 높은 채도를 사용하고 보색을 포인트 컬러로 활용했다. 디지털 프로그램을 활용하였고, 핸드 드로잉의 느낌을 주었다. 작품 제작 방법은 총 6단계로 진행됐다. 첫 번째, 각각의 자치구에 활용될 시각적 요소를 선정했다. 이 시각적 요소에는 랜드마크, 공공시설물, 자연환경 등이 포함되는데 자치구의 정체성을 나타낸다. 두 번째, 전통적 도구인 마커 느낌을 내기 위하여 프로크리에이트 브러시 라이브러리에 있는 틴더박스를 변형했다. 디지털 일러스트레이션에서도 전통 회화 느낌을 낼 수 있는 방법을 연구했으며, 해결책으로 브러시를 변형하여 활용하는 방법을 선택했다. 총 3가지 굵기로 제작하여 외곽선, 드로잉선, 디테일을 위한 선으로 활용했다. 세 번째, 전반적인 구도를 잡기 위해 연필과 종이를 활용하여 각 자치구에 활용될 시각적 요소를 스케치했다. 네 번째, 프로크리에이트와 틴더박스 변형 브러시로 시각적 요소와 배경을 그렸다. 이때 작품의 확장성을 고려하여 분리된 레이어에 개별 요소를 제작했다. 직관적인 표현을 위해 라인 드로잉 기법을 활용했고, 배경은 다양한 형태의 브러시를 사용하여 자유롭게 제작했다. 배경 컬러는 오방색과 자치구의 위치를 바탕으로 선정했다. 다섯 번째, 작품의 크기를 변형해도 선의 굵기가 변하지 않는 특징이 있는 어도비 일러스트레이터를 활용하여 작품에 포함된 수도권 전철노선도를 그렸다. 따라서 전체 노선도에서 필요한 지역의 노선을 선택하여 작품에 반영하기가 용이했다. 여섯 번째, 포토샵을 활용하여 모든 작업의 레이어를 하나의 작업으로 합쳤고, 작품의 컬러를 조정하고 디테일 작업을 추가하였다. 이러한 과정으로 완성된 작품은 기존에 디지털 드로잉 프로그램에서 제공하는 브러시를 그대로 사용하지 않고 변형시켜 사용하고, 오방색을 활용하여 지역의 방향성을 포함했다는 점에서 다른 작품과 차이가 있다. 완성된 작품의 전시와 판매를 통해 순수 예술로서의 가치를 확인했으며, 지역의 상징물을 포함한 결과물은 작품을 보고 어떤 지역인지 알아볼 수 있는 시각적 상징물로서 의미가 있다. 본 연구에서 도시 디지털 일러스트레이션을 제작했으나, 특정 지역만 제작되었고 이미 유명한 지역과 요소가 많이 활용됐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상징물이 적은 자치구의 시각적 요소를 분석한 작품을 제작하는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 공무원 맞춤형 복지제도의 개선방향 : 경찰공무원을 중심으로

        박소담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Cafeteria plan has been implemented in Korean government officials, which has three objects: firstly, from the view point of government, it aims to spend welfare budget efficiently and appropriately; secondly, to improve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and finally, to pursue the improvement of the administrative efficiency steadily. The Cafeteria plan is designed for a civil servant to choose benefits based on his or her preference and needs, which derive from individual points stored in proportion to seniority and performance. However, from the viewpoint of the police, this system doesn't work properly because it offers same benefits to every civil servant on general rules which are regulated by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So it is impossible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lice in Cafeteria plan. This paper uses qualitative research method called FGI(Focus Group Interviews) in order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liceman's duty. Through the FGI, the actual data for this study can be collected. By applying this investigated data into NVivo 2.0, which is one of the CAQDAS(Computer-Aided Qualitative Data Analysis Software) programmes and a leading qualitative data investment programme, it provides the researcher not only with the answer of wondering if there is any accurate research procedure to follow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but also with the anticipated result by investigating and coding various and significant opinions from street-level policemen. As a result, the researcher figures out some institutional inertias of Cafeteria plan, such as the allocation of low-level point to each policeman, the component without the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liceman's duty, unjustified payment system and low quality facilities from the budget limitation. So this paper suggests five step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Firstly, Cafeteria plan must be founded on the sufficient financial support. It means that because the present benefit level of the policeman is inferior to that of civil servants, it is necessary to compensate the policeman's benefit to the equal level compared to the civil servants in other organizations. Secondly, it must improve the payment system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and the riskiness of the policeman's duty. Thirdly, it must provides the policemen with the needs of various educational programmes as well as introduces the selective benefit plan and the double-guarantee allowance. Fourthly, this paper points out the factors as to who manages the Cafeteria plan. In addition, it suggests the compensatory benefits for the policeman who works in a inferior workplace. Finally, this paper deals with the Disused Budget Withdrawal System which is due to be implemented. The point that this paper want to say is to provide the policemen with the actual advantages through the proper budget plan. 정부는 공무원 복지예산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공무원 처우개선을 통해 그에 따른 직무만족도를 증가시키고 행정능률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취지에서 공무원 맞춤형(Cafeteria plan) 복지제도를 도입하여 시행하고 있다. 공무원 맞춤형 복지제도는 연공 및 성과 등을 기준으로 사전에 설계되어 제공되는 복지혜택중에서 공무원이 본인의 선호와 필요에 따라 개별적으로 부여된 복지점수(point)를 사용하여 자신에게 적합한 복지혜택을 선택할 수 있는 제도를 말한다. 그러나 경찰공무원의 입장에서 보면 현재 실시되고 있는 공무원 맞춤형 복지제도가 행정안전부(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소속공무원에 대해 일률적인 항목들에 대해 일반적인 기준에 따라 거의 공통적인 복지 혜택을 부여하고 있기 때문에 경찰공무원의 특수성을 전혀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찰공무원에게 맞춤형 복지제도를 시행하는데 있어서 경찰업무의 고유한 특수성을 반영하기 위한 방법을 알아보기 위하여 질적연구방법의 하나인 FGI(Focus Group Interviews)를 통해 일선 경찰공무원들의 현실적인 제언을 조사하여 수렴 하였으며,그 자료를 토대로 CAQDAS(Computer-Aided Qualitative Data Analysis Software)프로그램의 하나이며 대표적 질적자료분석 프로그램인 NVivo 2.0에 적용함으로써 질적연구방법론을 취한 연구자들의 경우 연구맥락에 지나치게 의존하여 명확한 연구 절차가 없는 것은 아닌가에 대한 의문에 답함과 동시에 다양한 실무자들의 방대하고 심층적인 의견의 수치를 코딩하여 빈도로 나타내었다. 그 결과 예산상의 한계로 인하여 경찰공무원 개인별 낮은 포인트 배정과 구성항목, 특수성이 배제된 제도의 내용, 보수체계의 비정당성과 경찰시설의 낙후성 등 현재 한국의 경찰공무원의 맞춤형 복지제도의 문제점이 드러났으며 그 해결방안으로 첫째, 안보적 차원에서 타 기관과 대등한 대가가 실현되어 진정한 맞춤형 복지제도의 발판을 위한 안정성을 구축해야 하며, 두 번째로 경찰업무의 특수성, 위험성에 대한 보상으로 수당체계도 현실화 되어야 한다. 또한 세 번째로 제도의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용자에 대한 철저한 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며, 맞춤형 복지제도의 취지에서 벗어난 강제가입을 기본으로 하는 보험적용에서 벗어나 선택적 보험모형의 설계나 중복보장 인정 등의 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필요성을 제시하였으며 넷 째로 제도적으로는 경찰공무원 맞춤형 복지서비스제도를 특성화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문제인 운영주체 및 위탁운영기관에 관련된 사항을 짚어 보았고, 경찰 특수지근무자에 대한 특별혜택에 관한 장치 마련도 강구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현재 실시 초읽기에 들어가 있는 불용예산 해소제도에 관해 논의 하였으며 적정한 예산의 책정을 통한 진정한 수혜 등을 논하였다.

      • 영자신문을 활용한 중등 영어 수업 연구 : A Study of Teaching Plans Using English Newspapers in Middle School English Class

        박소담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presents some teaching plans using English newspaper articles as text. Each 2-hour teaching plan consists of activities for motivation, skimming, study of new words and reading comprehension in the first session and review and grammar activities in the second session. Also a Formative Test is suggested to check the students' comprehension at the end of each lesson plan. The teaching plans are for the high level students in third grade of middle school.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present effective and interesting teaching plans and diverse worksheets that can be used in the classrooms. 21세기는 인터넷 문화가 급속도로 발달하여 세계가 하나로 이어지는 국제화시대이다. 학생들 역시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그러한 변화에 발맞추어 영어 교육도 실용성 위주의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살아있는 교과서’로 불리우는 신문은 현재 우리 사회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들을 다루고 있으므로 영어를 외국어로 공부하는 학습자들에게 실용적인 학습매체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교과서 중심 영어 학습에 더하여 다양한 방식의 영어 학습을 시도하고 있는 현 교육의 취지에 맞게 영자신문의 교육적 가치와 바람직한 영자신문의 조건에 대해 알아보고 학습자가 흥미를 가질만한 기사를 중심으로 실제 수업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각각의 수업 지도안은 2차 시로 구성되어 도입, 발전/전개, 마무리 세단계로 나누어져 있으며, 1차시는 새로운 단어 배우기 및 내용 이해 중심의 지도안, 2차시는 복습 및 문법 활동중심의 지도안이 들어있다. 그리고 수업의 마지막에는 형성평가를 구성하여 학생들이 그날 배운 내용을 이해하였는지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본 논문은 중학교 수준별 수업 상 반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다는 점을 전제로 하였으며, 학습자들의 성격과 흥미를 고려하여 현재 상황과 관련이 있는 기사를 선정하고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수업에 참여 할 수 있도록 다양한 워크시트를 개발하려 노력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