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소/중견 건설 엔지니어링 기업의 프로젝트 관리 성숙도 측정

        박성준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47

        최근, 건설 엔지니어링 분야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여 해외 수주비율을 높이기 위한 정부의 정책이 쏟아지고 있다. 그 중 엔지니어링 기업의 경우, 기본설계, CM/PM과 같은 프로젝트 기획 및 관리역량을 키워 고부가 소프트 기술영역으로의 진출을 도모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 시장에서의 경쟁력만으로 해외진출을 도모하기에는 여러 가지 부족한 부분이 많은 것이 사실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국토교통부는 PMC, FEED 개념을 응용한 사업모델을 공공분야에 시범 적용하는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PMC 사업이란 프로젝트의 목적물을 달성하기 위해 전담조직을 구성하고, 규정된 관리체계에 따라 프로젝트를 실행하는 전문사업관리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프로젝트 초기 사업성에 대한 타당성분석, 프로젝트 금융, 계약협상, 리스크 관리 등을 비롯하여 설계, 조달, 일정관리, 비용관리, 품질관리 및 운영유지관리 등 프로젝트 전반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지식을 필요로 한다. 업계 관련 보고서에서는 중소/중견 건설 엔지니어링 기업이 PMC 사업과 같은 고부가 소프트 기술영역으로 진출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역량은 ‘프로젝트 기획 및 관리’라는 조사결과를 내기도 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우리 중소/중견 건설 엔지니어링 기업들의 프로젝트 관리 성숙도 즉, 프로젝트 관리능력 및 프로세스의 활용능력을 측정하기로 하였다. 선행 연구에서 조사가 미흡했던 건설 엔지니어링 분야, 특히 중소/중견 기업 위주의 프로젝트 관리 성숙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해당 분야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총 63개의 설문이 수집되었으며 그 중 대기업, 공공기업 및 건설업(시공부문)에서 수집된 9개의 설문과 중복 제출된 설문 2개를 제외하여 총 52개의 설문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전체 영역의 성숙도는 2.95로 나타났으며, 가장 높은 영역은 의사소통관리 영역, 가장 낮은 영역은 윤리경영부문으로 나타났다. 2011년 김승철의 연구와 2015년 장미경의 선행연구와 비교했을 때 본 연구결과의 프로젝트 관리 성숙도가 낮게 평가되었다. 그 이유는 대부분의 선행연구가 상대적으로 프로젝트 관리 성숙도가 높은 건설 대기업과 엔지니어링 분야를 함께 분석하였거나, 중소기업의 표본이 과소하여 건설 엔지니어링 분야의 성숙도가 명확히 파악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건설 대기업과의 비교에서는 그 격차가 더욱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격차의 이유는 기존 연구에서는 대기업이 중소기업에 비해 자본규모가 크고 인적/물적 자원이 풍부하여 직원들의 교육훈련에 충분한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라고 평가하였다. 중소기업에서도 내부적 운영 시스템을 구축하고 교육훈련의 기회를 늘려 대기업, 해외선진기업과의 프로젝트 관리 능력의 차이를 극복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야 할 것이다. Recently, government policy is pouring it raises the global competitiveness and the overseas order. In the case of this engineering firms, it is planning to advance into the area of ​​high added-value software technology by developing project planning and management capabilities such as basic design and CM/PM. However, it is true that there are many deficiencies in the advancement of overseas markets only by domestic market competitive power. To improve this,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MOLIT) is establishing a pilot project to apply the business model for the concept of PMC and FEED to the public sector. The PMC project is a professional project management that organizes a dedicated organization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e project and executes the project according to the prescribed management system. It requires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knowledge of the overall project including design, procurement, schedule, cost, quality and O&M as well as feasibility analysis of project initial stage, project finance, contract negotiation and risk management. It is researched that ‘project planning and management’ is the most important competence for Small and medium-sized construction engineering enterprises(construction engineering SMEs) to enter the high added-value software technology field such as the PMC project. In relation to this study, I tried to measure project management ability and process utilization ability of construction engineering SMEs, that is, project management maturity. In order to measure the project management maturity in the construction engineering field, especially SMEs, which had not been surveyed in previous studies, this study surveyed the workers in the field. A total of 63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including 52 questionnaires excluding 9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large firms, public sectors, construction sector, 2 duplicate questionnaires. As a result, the maturity level of the whole area was 2.95, the highest area was communication management area and the lowest area was ethical management area. The maturity of project management in this study was evaluated to be low compared to the previous researches of 2011(Seung-chul Kim) and 2015(Mi-Kyung Chang). The reason for this is that most of the preceding researches have analyzed the engineering field with the large construction firms with relatively high project management maturity, or the sample of construction engineering SMEs is small. So the maturity of the construction engineering field is not clearly understood. Compared with the construction large firms, the gap widened. The reason for this is that large construction firms have a larger capital size and a richer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compared to construction engineering SMEs, so sufficient investment is being made in the training of employees. Construction engineering SMEs should also be encouraged to build an internal operating system and increase opportunities for education and training to overcome differences in project management ability.

      • 의사-환자간의 관계와 의료서비스 재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박성준 동아대학교 199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서비스 분야에 있어서 서비스제공자와 고객간의 관계가 장기적 거래의 성격을 반영하여, 지속적 상호작용을 하고 있음에 착안하고, 의료서비스 분야에 적용하여 의사-환자간의 관계의 특성을 알아보고 의료서비스의 의사-환자간의 관계유형별간의 미래 재구매의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의사-환자간의 관계에 관한 마케팅 시사점은 무형의 서비스로서 그 판매상의 어려움을 극복하고 고객들이 구매하고 사용한 후의 측정하기 어려운 신용에 관한 서비스를 규명하고자 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더욱이 이 내용에는 의사-환자간의 지속적인 상호작용과 환자의 장기간 헌신을 보이는 내용을 포함하기 때문에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여기서 소개된 연구모델은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작성하였으며, 고객에 의해 인식된 관계유형을 도출하는데 검토되어질 것이다. 본 연구에서의 주요한 변수들은 의료서비스의 제공자와 고객간의 관계 즉 환자에 의해 인식되어진 의사-환자간 관계의 질적 측면을 고려하게 된다. 의사-환자간의 관계모델은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병원에서 뿐만 아니라 최근에 진료를 받았던 경험이 있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측정되어졌으며, 의사-환자간 관계 모델은 의료서비스에 있어 구조적인 특징과 지속적 판매 거래를 알아보기 위한 것임을 보여준다. 의사-환자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먼저 의사의 속성변수 즉, 호감, 전문가, 믿음성을 가지고 측정되어졌으며, 환자의 속성은 환자의 인구통계학적 변수로 측정하였으며, 의사-환자간 관계형성 요인으로서의 변수는 상호협력, 상호개방성, 협력적 의도, 신뢰성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마케팅 성과에 관한 변수로는 재구매의도에 관한 변수만으로 측정하였다. 이상의 측정변수들은 설문지 조사를 통해 통계적 분석을 실행하여 얼마나 의사-환자간의 관계가 중요한지, 의사 및 환자간의 속성중 어떠한 변인이 지속적 관계형성을 위해 영향을 미치는지, 의사-환자간의 결속된 관계가 의료서비스 재구매의도에 얼마나 큰 공헌을 하는지를 보여준다. 날로 경쟁이 격심해져가는 병원경영에 의료서비스의 효율적인 판매에 관한 의사의 좋은 지침이 될 것으로 여겨진다. Marketing theory and practice have focused persistently on exchange between buyers and sellers. Unfortunately, most of the researches and too many of the marketing strategies treat buyer-seller exchanges as discrete events, not as ongoing relationship. Like that, doctor-patient relationship is important on medical care service. Doctor-patient relationship marketing is recommended as a strategy to overcome service intangibility and may be appropriate for 'credence' services that are difficult for customers to evaluate even after purchasing and using. In addition, it is necessary because exchange in many service contexts involves long-term commitment and a continuous stream of interaction between doctor and patient. The study model is advanced and tested, and examines the nature, consequences, and antecedents of relationship types as perceived by the customer. What is the focal variables in this study is quality of the medical care service provider-customer relationship, that is, doctor-patient relationship is perceived by the patient.

      • 청소년기 사회적 관계의 발달궤적과 예측요인

        박성준 서울시립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청소년기에 이르러 사회적 관계가 확대된다는 기존 이론 및 연구들의 주장을 바탕으로 청소년기 사회적 관계의 발달궤적을 증명하고, 이를 예측할 수 있는 요인들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실증적 분석을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의 중1 패널 1~4차년도 종단자료를 활용하였다. 청소년의 또래관계, 교사관계, 지역사회관계를 중심으로 사회적 관계를 설정하였으며, 청소년기 사회적 관계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떠한 발달궤적을 나타내는지 확인하고자 2차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청소년기 사회적 관계의 발달궤적을 설명할 수 있는 변인으로 인구사회학적 요인, 심리적 요인, 가족 요인을 설정하여 공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기 사회적 관계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하며, 발달궤적에 개인차가 나타났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요인 중 청소년의 거주지역은 사회적 관계의 초기치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심리적 요인 중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자아탄력성은 사회적 관계의 초기치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이 중에서 자아탄력성은 변화량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넷째, 가족 요인측면에서 가족구성은 사회적 관계의 초기치에 영향을 미쳤으며 가족의 빈곤여부는 사회적 관계의 변화량에 영향을 미쳤다. 또한 부모의 학력수준과 부모와의 애착은 사회적 관계의 초기치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이 중에서 부모와의 애착은 사회적 관계의 변화량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기 사회적 관계의 발달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예방적 차원의 조기개입이 필요하다. 둘째,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심리적 요인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 및 프로그램을 운영할 필요가 있다. 셋째, 취약계층 청소년들이 사회적 관계망을 형성하고 긍정적인 환경적 지지를 받을 수 있도록 복지적․교육적 지원을 해야 한다. 넷째, 빈곤 청소년에 대한 장기적인 관점의 개입이 요구된다. 다섯째, 사회적 관계 형성에 취약한 청소년들을 위해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에 대한 지원이 확대되어야 한다. 여섯째, 청소년기 사회적 관계의 발달을 저해하는 사회문화적 인식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청소년기 사회적 관계의 형성과 발달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적․실천적 방안을 마련함에 있어서 기초자료로서의 가치를 가진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adolescents' social relationships and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the developmental trajectories. Four waves of the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KCYPS) data (2010, 2011, 2012, 2013) was used. Social relationships in adolescence were comprised of three subscales including peer relationships, adolescent-teacher relationships, and adolescent-community relationships. Trajectories of social relationships in adolescence were analyzed to examine whether any changes have occurred over time using second-order latent growth modeling. In addition, analysis of covariance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sociodemographic factors, psychological factors, and family factors influencing inter-individual differences. Mplus 7.0 was used to conduct all analyses. Findings indicated that social relationships in adolescence gradually increased over time and revealed inter-individual differences. Findings showed that residential area, as a sociodemographic factor, significantly affected the initial levels of social relationships. Regarding the psychological factors, self-esteem and resilience of adolescent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initial levels of social relationships, and resilience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rates of change. Among the family factors, family composition was significantly linked to the initial levels of social relationships and absolute poverty was significantly linked to the rates of change. Also, educational level of parents and adolescent-parent attachment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initial levels of social relationships, and adolescent-parent attachment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rates of change. The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successful development of adolescents' social relationships. The findings suggested that preventive early intervention and support are needed in order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social relationships in adolescence. The findings confirmed the importance of the psychological factors including self-esteem and resilience. Thus, programs that focus on improving self-esteem and resilience needs to be developed and be implemented. Regarding the significant roles of family attachment, poverty, parents' educational level and residential area in establishing social relationships, vulnerable adolescents should receive welfare assistance and educational support to form social networks and to promote positive environmental support. Specifically, Educational Welfare Priority Support Project should be expanded. The findings highlighted the longitudinal effect of poverty on developing social relationships. Accordingly, longitudinal interventions for adolescents in poverty are required. Lastly, there is a need to change sociocultural misperception to inhibit development of social relationships in adolescence. This study contributed to the literature by providing important empirical evidence to suggest policy and practice implications for developing adolescents' social relationships successfully in a longitudinal perspective.

      • PWM 주파수와 다른 여자 주파수를 갖는 RDCLESS 기법

        박성준 국민대학교 자동차공학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환경규제의 강화로 인해 전기차에 대한 수요와 성능에 대한 요구가 증가함으로 인해 트랙션모터와 인버터에 대해 여러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차세대 전기차에 사용되는 전동기는 원가절감과 주행가능 거리를 향상시키기 위해 소형화, 경량화, 고효율화가 필수적이며, 이와 동시에 고토크, 고출력 요구사항을 만족해야한다. 이에 적합한 전동기로는 영구자석형 동기전동기(PMSM)을 꼽을 수 있다. PMSM의 경우 고성능 제어를 수행하기 위해 회전자의 절대위치를 알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전기차에는 진동 및 충격에 강인한 어플리케이션인 레졸버가 주로 사용된다. 레졸버는 여자신호가 인가되면 진폭으로 변조된 위치신호인 사인, 코사인 신호를 출력한다. 해당 위치신호를 모터의 제어에 사용하기 위한 위치정보로 변환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RDC소자를 사용해야 하며 RDC 소자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DSP에서 추가적인 회로와 신호처리 시스템을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연산해야 한다. 본 논문은 Single Core 환경에서 Frequency Shifting Demodulation 기법을 이용해 여자신호와 모터 PWM의 주기가 다르더라도 사용할 수 있는 RDCLESS 시스템을 구현하고, SOGI_FLL기법을 이용하여 한계를 개선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눈문에서는 제안하는 기법에 대해 MATLAB Simulink로 시뮬레이션을 통해 타당성을 검증하였고, MPC5777C MCU를 적용한 인버터로 실험하여 제안하는 알고리즘의 성능을 검증한다.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raction motors and inverters as the demand for electric vehicles and performance increases recently due to the reinforcement of environmental regulations. Electric motors used in next-generation electric vehicles require miniaturization, weight reduction, and high efficiency in order to reduce cost and improve mileage, and must satisfy high torque and high power requirements. As an electric motor suitable for this, a permanent magnet type synchronous motor (PMSM) may be selected. In the case of PMSM, it is necessary to know the absolute position of the rotor to perform high-performance control, and to this end, Resolver, an application that is resistant to vibration and impact, is mainly used in electric vehicles. When the excitation signal is applied, the resolver outputs a sine and a cosine signal, which are position signals modulated by amplitude. A separate RDC device shall be used to convert a position signal into position information to be used for controlling a motor, and if not, the position information shall be calculated using an additional circuit and signal processing system in DSP. This paper aims to implement the RDCLESS system that can be used even if the cycles of female signals and motor PWM are different using the Frequency Shifting Demodulation technique in a single core environment, and to improve the limitations using the SOGI_FLL technique. In this paper,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technique is verified through simulation with MATLAB Simulink, and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algorithm is verified by experimenting with an inverter applied with MPC5777C MCU.

      • 전통적 스포츠와 뉴 스포츠 수업 참여자의 운동 능력별 동기요인 분석

        박성준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ing differences. How different when students, who are using one of alternative sports program called New sports, than students, who are using traditional sports class, and comparing in intrinsic motivation, enjoyment, and sources or worry. From the result, depends on lesson types from whole class, there are no consideration. But, from the physical ability in group differences and male and female differences, we found that Traditional Sport and New sports were required. Results showed that male students who are good at physical active are interestedin Traditional sport class than New sports class, in intrinsic motivation and enjoyment way. But the other sides,male students who are not good at physical active, they were more participate in New Sports class than Traditional Sports class, both intrinsic motivation and enjoyment way. Especially, for women, lack of physical ability, came out high participation in intrinsic motivation and enjoyment when they were in New sports class. However, Worries of physical education didn’t come out huge difference between students who has similar ability depends on lesson type. When apply the new program and process it, we need to precise identifying the objects and effectiveness. A fact, many teachers doesn’t even recognize what their class for and doesn’t know the purpose of class. For successful physical education, and when perfectly divide students who are in New sports, it will helpful to develop and easy to apply

      • 정보교과 수업에 따른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정보교과성취도의 관계에 대한 연구: 서울지역 정보 특성화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박성준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정보 특성화고 학생들의 정보교과 수업에 따른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정보교과성취도 수준을 알아보고, 자기효능감이 진로성숙도와 정보교과성취도에 미치는 영향과 진로성숙도가 정보교과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 소재의 2개의 정보 특성화 고등학교에 재학 중이며 IT관련 학과를 수료중인 2학년, 3학년 학생 214명을 대상으로 학업적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학업성취도 척도 설문도구를 이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학업성취도의 경우 정보교과목에 한정된 질문으로 정보교과성취도로 정의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성별, 학년, 정보교과목에 대한 교외학습(개인과외, 학원 등)․개인학습 여부에 따른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정보교과성취도의 차이는 없었다. 학생들이 대략적으로 인식하는 본인의 성적을 상, 중, 하로 하는 질문으로 측정된 인구통계학적 특성에서는 자기효능감, 정보교과성취도 수준을 성적의 상위 집단일수록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진로성숙도는 일부 하위요인에서 성적의 상, 하, 중으로 높게 인식하는 것을 제외하고 대체적으로 성적의 상위 집단일수록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보 특성화고 학생들이 정보교과목을 학습하면서 얻어진 자기효능감은 진로성숙도와 정보교과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정보 특성화고 학생들의 진로성숙도는 정보교과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정보교과성취도 향상을 위한 교육제도의 발전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the self-efficacy, career maturity, and information course achievement of information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their information classes. We also investigate how their self-efficacy affects their career maturity and information course achievement, and how their career maturity affects their information course achievement. To this end, we conducted a survey with 214 students who were second or third grade students of two information specialized high schools in Seoul and studying IT-related major at the time of the survey. We asked questions related to the level of academic self-efficacy, career maturity, and academic course achievement. For academic course achievement, the questions were restricted to information course subjects and it was defined as information course achievement. The main findings of our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is not so much difference in self-efficacy, career maturity, and information course achievement, based o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grade, out-of-school learning and individual learning on information course subjects. I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alysis that consists of the questions asking whether students generally perceive their grades as high, medium, or low, higher-grade students tend to recognize themselves as having higher self-efficacy and information course achievement than lower-grade students. Higher-grade students also generally perceive themselves as having higher career maturity, except for some sub-factors of the career maturity where the career maturity is perceived to be higher in the order of high, low, and middle grades. Second, the self-efficacy of information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obtained from information course subjects affects positively to their career maturity and information course achievement. Third, the career maturity level of information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affects their information course achievement positively.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the direction of the educational system to improve the level of the self-efficiency, career maturity, and information course achievement of information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 반응표면법을 이용한 집중권선 동기형 릴럭턴스전동기의 토크리플 저감 최적설계

        박성준 한밭大學校 産業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동기형 릴럭턴스전동기의 고정자 권선이 종래의 분포권선형이 아니라, 슬롯수 감소 및 집중권선형으로 했을 때는 공장 제조시 권선 작업이 단순해지며 동손이 저감되고 저가의 전동기를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인 최적설계기법들과는 달리 반응표면법은 여러 개의 독립변수와 출력간의 인과관계를 규명해내는 통계적인 근사기법으로 최근 전기기기의 설계에 있어 효과적인 최적화 방법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SynRM의 토크리플을 줄이기 위해서는 많은 설계변수의 상호작용에 대한 영향을 고려해야하므로 실질적인 목적함수 형태를 구하기가 어려우며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최적화를 수행한다 하더라도 많은 계산 시간이 요구된다. 그러므로, 설계변수와 응답에 대한 관측 자료로부터 해석적인 근사모형을 제시함으로써 실질적인 목적함수를 쉽게 만들 수 있는 RSM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집중권선형 6슬롯 SynRM의 토크리플 저감에 따라 동손이 저감되고 생산 단가가 저감되므로 저가의 고성능 전동기를 확보할 수 있으며 높은 산업 경쟁력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SynRM has advantage such as low cost and higher efficiency than induction machines. However, the vibration and noise of SynRM caused by torque ripple are relatively greater than other machines. If stator windings of a SynRM are not a conventional distributed one but the concentrated one, the decreasing of copper loss and decreasing of the production cost due to the simplification in factory are obtained.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is recently been recognized as an effective optimization approach for modeling performance of electrical devices by using statistical fitting method. A polynomial model is generally to be constructed to represen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formance and design parameters in RSM. Therefore, this model can be used to predict the performance as a function of design variables, and design optimization can be carried out with much easily. The quality of the fitted model is evaluated by checking the statistics indexes based on the data of numerical experiments. This paper deals with optimization procedure of SynRM to improve torque performance by RSM. The focus of this paper is the optimum design relative to torque density, torque ripple and inductances on the basis of open width of slot, teeth width, slot depth, in order to improve performance and production cost problem of a SynRM.

      • 경력전환 신학대학원생의 전환학습 경험을 통한 서번트 리더로서의 소명의식 발전과정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박성준 숭실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rocess of career change and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the second-career seminarians’ sense of calling as servant leader through a transformative learning experience at theological seminary.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this study adopted Narrative Inquiry method and chose three seminary students with at least 10-years secular job experience before entering into a theological seminary.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February 17, 2015 to February 11, 2016, by in-depth interviews and telephone calls, and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process of narrative analysis proposed by Bedford and Landry(2010), which includes participants' individual narratives on the process of career change and learning experiences, the meaning of learning experiences on the basis of common themes emerged from the entire narratives, and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the sense of calling as servant leader.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were as follows. First, the narratives of each participant were divided into four stories such as the story of life before career change, the story of life during career transition, the story of learning experiences at theological seminary, and the story of a changed life after learning experiences at theological seminary. Second, the meanings of participants’ learning experiences in the seminary were the transformation of self-identity and pastoral image, the transformation of the theology of church, and the transformation of leadership philosophy and leadership style. Finally, from the Wesleyan theological perspective which is the theological background of the participants, five stages were emerged as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the sense of calling as a servant leader. Those were preliminary preparation stage, awakening stage, transformation stage, deepening stage, and integration stage. To be more specific, the first stage of the preliminary preparation is the stage that the participants were preparing to become future pastors under the divine providence, without consciousness. The second stage of awakening is the stage that the participants were intensively struggling about their identity and pastoral calling as servant leader by going through critical incidents and external shocks. The third stage of transformation is the stage that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transformation on self-identity from laity to pastor, through the critical self reflection initiated by confusing and disorienting dilemma. The fourth stage of deepening is the stage that the participants experienced constant change in their sense of calling as servant leader, including self-identity and pastoral image, theology of church, and leadership philosophy and leadership style, through theological study and ministry experience in the seminary. The fifth stage of integration is the stage that the participants moved forward to the new ministry field with new pastoral image, new theology of church, and new leadership style. However, this stage refers not to the absolute level of the finished state but to continuing to grow and open towards the continuous integration in development. The conclusions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uthentic concept of servant-leadership which is more consistent with the original intent of Greenleaf(1970) should include both personal characteristics of servant leader and social responsibility of organization. Second, the dynamic point of view should be applied on the calling in order to have the full understanding on the sense of calling. Third, multi-dimensional understanding should be applied to the pastoral calling in order to provide a framework for career development of pastors. Fourth, in order to effectively promote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seminarians’ sense of calling, both theological study and ministry experience should be integrated in the theological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세속 직업에 종사하다가 경력을 전환하여 신학대학원에 입학한 경력전환 신학대학원생의 경력전환 과정과 이들의 신학대학원 학습경험을 통한 서번트 리더로서의 소명의식 발전과정을 내러티브적 관점에서 탐구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경력을 전환하여 신학대학원에 입학할 당시 사회생활 경력 10년 이상 또는 연령이 40대 이상이었던 3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2015년 2월 17일부터 2016년 2월 11일까지 약 1년에 걸쳐 연구참여자들과 장기적 관계를 유지하며 심층면담과 전화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 참여자의 경험을 하나의 이야기로 삼차원공간 안에서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내러티브 연구의 특징을 살리기 위해 Bedford와 Landry(2010)가 제시한 내러티브 분석과정에 따라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첫째로 연구 참여자들의 전체 내러티브에서 나타난 공통된 영역을 중심으로 연구참여자별로 경력전환 과정과 학습경험에 대한 이야기를 내러티브 형식으로 분석하였다. 두 번째로 연구참여자들의 전체 내러티브 중에서 학습경험 영역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주제를 중심으로 학습경험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핵심적인 연구주제인 ‘서번트 리더로서의 소명의식의 발전과정’이라는 관점에서 연구참여자들의 내러티브를 재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먼저 연구참여자들의 전체적인 경력전환 및 학습경험 이야기는 먼저 김성광의 경우 ‘이제는 나도 예수가 갔던 그 길을 따라서’로, 박수길은 ‘나의 완전한 실패의 길, 하나님의 완전한 성공의 길’로, 그리고 김규만의 경우 ‘이제서야 내 몸에 잘 맞는 옷을 입은 것처럼’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각 연구참여자들의 이야기는 크게 경력전환 이전의 삶 이야기, 경력전환 과정의 삶 이야기, 신학대학원에서의 학습경험 이야기, 신학대학원 학습경험 이후 변화된 삶의 이야기 등 네 가지로 구분되어 나타났다. 둘째로 연구참여자들의 신학대학원에서의 학습경험의 의미는 자아정체성 및 목회자상의 전환, 교회관의 전환, 리더십 철학과 리더십 스타일의 전환 등 세 가지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참여자들의 신학적 배경인 웨슬리 신학적 관점에서 본 연구참여자들의 서번트 리더로서의 소명의식의 발전과정은 예비적 준비단계, 각성단계, 전환단계, 심화단계, 그리고 통합단계 등 5단계로 나타났다. 첫째 예비적 준비단계는 연구참여자들이 경력전환 이전의 삶 속에서 자신이 미처 자각하지 못한 상태지만 이미 신적인 선행적 섭리 하에 서번트 리더로서 미래 목회자가 되기 위한 준비를 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둘째 각성단계는 연구참여자들이 여러 가지 외적인 충격 사건들을 겪으면서 서서히 자신들의 정체성과 서번트 리더로서의 목회소명에 대해 본격적으로 고민하는 단계이다. 셋째 전환단계는 앞의 각성단계에서 혼란스러운 딜레마를 경험한 연구참여자들이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깊이 있는 비판적 자기성찰의 과정을 통해 평신도에서 목회자로 자기정체성이 전환되는 경험을 하는 단계이다. 넷째 심화단계는 경력 방향을 전환한 연구참여자들이 신학대학원에서의 신학수업과 재학 중 현장목회 경험을 통해서 자신들의 목회자상, 교회관, 그리고 리더십 철학과 스타일에 강한 도전을 받으며 지속적으로 변화되어져 가는 단계이다. 다섯째 통합단계는 연구참여자들이 신학대학원의 모든 과정을 마치고 변화된 목회자상, 교회관, 그리고 새로운 리더십 스타일을 가지고 새로운 사역지를 향해 나아가는 단계이다. 다만 이 단계에서의 통합은 절대적 수준의 완성된 상태라기 보다는 계속적인 성장과 발전을 향해 열려 있는 상태의 통합을 의미한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진정한 서번트 리더십의 개념은 리더의 개인적 서번트적 특성과 더불어 조직의 사회적 책임성 내지 사회적 영향력 차원의 관점을 포함하는 것이 Greenleaf(1970)가 주창한 서번트 리더십 개념의 본래 의도에 더욱 부합하다. 둘째, 소명의식에 대한 온전한 이해를 위해서는 ‘동적(dynamic)’ 내지 ‘변화가능성’ 관점이 반영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성인학습자들이 전 생애에 걸쳐 자신의 잠재적 소명을 계속적으로 탐색할 수 있는 적극적인 관점을 제공할 수 있다. 셋째, 목회소명에도 다차원적 이해가 적용되어야 한다. 즉 ‘다중적 소명’의 개념을 적용한 목회소명에 대한 다차원적 이해를 통해 목회자들도 자신만의 독특한 전문성과 경력개발 방향을 설정해 나갈 수 있는 틀을 제시할 수 있다. 넷째, 신학교육에 있어 목회후보생들의 소명의식 발전과정을 효과적으로 촉진하기 위해서는 학습적 요소와 사역경험적 요소가 통합적으로 포함되어 상호 시너지가 발휘되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ADHD치료 과정 속 청소년의 자기정체성 재구조화를 위한 목회상담 방법론 연구

        박성준 장로회신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세상을 살아가는 모든 실존에게는 이야기가 있다. 특히 청소년 시절의 이야기는 한 개체로서 인간으로 하여금 자기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도록 이끄는 중요한 근거가 된다. 개인의 이야기는 한 국가의 역사가 되면 또한 개인에게 있어서 가장 중요한 기록으로써 한 개인의 삶을 만들어 가며, 중요한 버팀목이 된다. 자신의 역사를 만들어 가는 청소년기의 아이들은 다양한 문화와 다양한 누군가와의 만남, 청소년기 이루어가는 집단 속에서의 경험들을 통해 자신들의 이야기를 써 내려가며, 청소년으로써의 정체성을 세워 나간다. 하지만 청소년기 어떠한 집단속에서 누군가를 만나고, 그 만남을 통한 경험들, 또 다양한 문화 속에서 이루어진 경험들은 청소년기의 정체성을 파괴 시킬 수 도 있다. 이 연구는 현대 사회의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어 정체성이 파괴 될 수도 있는 청소년기 ADHD에 관한 연구이다. ADHD 청소년들은 가정에서는 부모님과 형제들, 학교에서는 선생님들과 친구, 또래집단으로부터 문제의 대상으로 이야기된다. ADHD 청소년들은 일반 아이들보다 과잉적인 활동으로 인해 학교에서나 가정에서나 문제를 가진 이들로 인식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로인해 그들은 자신의 현재 숨어서 살아가야 하는 범죄자처럼 자신을 인식하여 자신의 삶이 아닌 타인의 삶을 살아가고 있는 어려운 시간을 경험하고 있으며 그에 따른 고통과 아픔을 호소하고 있다. 본 연구는 ADHD 청소년이 문제의 대상만으로 인식되어야 할 존재가 아니라는 것을 증명하려는 연구이다. ADHD 청소년들은 자기의 삶 살아내고 있으며, 하나님이 창조하신 존귀한 존재로써 가치가 있는 대상으로 존재하고 있다. 이 연구는 ADHD 청소년의 삶을 유심히 살펴보며, 현재 그들이 속해 있는 집단, 곧 가정과 학교에서 ADHD 청소년들이 행동하는 방식들로 인해 집단 속에서 이야기 되어지고 있는 모습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 해보려한다. 이들이 살아가는 모습들은 자신의 예상과 다른 삶의 결과로 나타나 그들과 함께 하는 이들로부터 다른 대우를 받게 됨에 따라 정신적인 고통과 아픔을 호소하고 있다. 연구자는 그 호소에 대한 해결 방법론으로 목회상담적 치료 방법의 적용을 해 보려한다. ADHD 청소년에 대한 치료방법론은 목회상담 방법으로써 신하되어주기, 친구되어주기, 부모되어주기, 목회자 되어주기 방법론으로 상담을 진행 및 진행결과를 정리하였다. 목회상담 치료방법을 통하여 매 회기 연구 대상의 변화와 대상의 자기정체성에 대한 새로운 경험들을 통해 재구조화가 어떻게 진행되어 가는지를 살펴보았다. 이후 대상청소년의 심리검사 결과를 살펴봄으로써 목회상담 치료방법의 효과를 증명하려 하였다. 이와 함께 연구 결과를 종합 분석함으로 연구 문제에 대한 결론을 제시하여 결론을 근거로 연구자의 의견을 제언하였다. 목회 상담은 일반상담과 다른 관점에서 상담을 하는 방법론이다. 목회상담은 하나님의 은혜를 통한 시선으로 내담자를 바라보며 내담자를 상담하는 방법론으로 많은 이들이 죽은 나무라고 하는 나무를 바라볼 때에도 다른 이들과 다른 관점에서 그 나무를 바라보며 그 나무가 살아있는 나무이며, 살아가야 하는 나무로써 바라보며 상담을 해 나가야 하는 목회적 돔봄자로써의 상담법이다. 목회상담자에게 맡겨진 삶이란 세상이 이해하지 않는 다양한 경험들로 자신들을 만들어가고 있는 이들과의 만남이다. 그들은 세상의 불 확신성과 경쟁에 따라 상처를 받은 이들로 누군가의 도움의 손길을 바라고 있다. 목회상담가는 그들을 치유하고, 양육하며, 인도함으로 하나님과의 온전한 회복이 이루어 갈 수 있도록 끊임없는 헌신과 수고, 그들을 위한 목회적인 돌봄의 모습이 지속되어 나아갈 수 있도록 이 연구가 작은 도움이라도 되길 기대해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