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이성 골암에 의한 골질 변화 분석 및 골절 위험성 예측

        박선욱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전이성 골암으로 인한 뼈의 구조적 특성 및 골화 정도 분포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여 통합적인 골질을 평가하고, 생체 내 미세단층촬영 영상을 이 용한 기계적 강성도 예측을 통하여 골절 위험성을 예측하였다. 전이성 골암은 그 위해성이 충분히 인지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기술적인 한 계와 다른 장기의 암에 비해 좁은 시장성 등을 이유로 충분한 연구가 진행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최근 들어 발병 인구가 증가하고, 연령층도 육아에 서부터 성인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분포되고 있어 사회적으로 심각한 문제로 대두 되고 있다. 골암에 관한 체계적인 연구가 진행되기 위해서는 우선 골암 발병 정도 를 명확히 진단할 수 있는 근거가 확립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임상 의학, 제약 분 야와 더불어 생체역학을 적용한 과학적 연구 방법론 확립이 적극적으로 요구된다. 본 연구를 위해 실험동물의 대퇴골에 국부적으로 암세포를 주입한 전이성 골 암 동물모델을 개발하였고, 이를 방사선 영상법, 생화학적 표지자 검사, 그리고 양 전자 단층촬영을 통해 검증하였다. 암세포 주입 후 생체 내 미세단층촬영을 수행 하여 뼈의 미세구조와 골화 정도 분포 변화를 정량적인 방법으로 장기간 관찰하 였다. 그리고 생체 내 미세단층 촬영 정보를 기반으로 계산된 축강성도, 굽힘강성 도, 뒤틀림강성도를 통해 골절 위험성을 예측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전이성 골 암으로 인하여 뼈의 용해성 결손이 발생하여, 통합적인 골질이 약화되고 골절 위 험성이 증가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에서는 전이성 골암으로 인한 뼈의 구조적, 기계적 특성 변화를 확인하 기 위한 적합한 실험동물을 개발하였으며, 생체 내 미세 단층촬영을 이용한 통합 적인 골질 변화 분석 및 골절 위험성 예측을 수행하였다. 향후 보완된 연구를 통 해 전이성 골암의 진단 및 치료 효과, 그리고 골절 위험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방법론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보육교사의 보육신념과 전문성에 대한 인식이 교사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박선욱 대진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보육교사는 보육의 질을 좌우하는 가장 중요한 핵심요소이므로, 현대사회가 요구하는 질 높은 보육서비스는 보육교사의 역할수행에 달라질 수 있다. 영유아의 전반적인 발달을 책임지는 보육교사가 그 역할을 잘 수행하기 위해서는 보육에 대해 가지고 있는 철학이자 가치관인 보육 신념과 보육교사의 역할이 갖는 전문적인 특성에 대한 인식이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보육신념과 전문성에 대한 인식이 보육교사의 역할수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경기도 의정부시, 양주시, 포천시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 201명을 대상으로 보육신념, 전문성에 대한 인식, 교사의 역할수행에 대한 설문지를 사용하여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for Win. 22.0을 통해 분석하였고, 자료의 분석을 위해 빈도분석과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Cronbach's α값을 산출하였다. 보육교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보육신념, 전문성에 대한 인식, 교사의 역할수행의 집단간을 알아보기 위해 ANOVA 분석과 Scheffe 사후 검증을 하였다. 또한 보육교사의 보육신념, 전문성에 대한 인식, 교사의 역할수행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과 교사의 역할수행에 대한 보육교사의 보육신념, 전문성에 대한 인식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보육신념은 보육교사의 연령에서 행동주의 신념에서 차이가 있었고, 최종학력에서는 성숙주의, 상호작용주의가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어린이집 설립유형, 교사의 경력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전문성 인식에서는 보육교사의 연령과 어린이집 설립유형에는 차이가 없었고 최종학력과 경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교사역할수행은 연령에는 차이가 없었고, 어린이집 설립유형에서 법인, 직장. 기타, 국공립이 학습촉진자로서의 역할에서 차이가 있었고, 최종학력과 경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보육교사의 보육신념과 전문성 인식 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보육신념의 하위요인인 성숙주의와 상호작용주의 신념은 전문성과 정적상관관계로 나타났다. 행동주의 신념은 전문성의 하위요인인 전문기술과 기술요구에만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보육신념과 교사의 역할수행 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보육신념의 하위요인인 성숙주의와 상호작용주의 신념은 교사의 역할수행서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로 높게 나타났고, 행동주의 신념은 지역사회유지의 역할에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따라서 보육교사의 보육신념은 성숙주의가 높을수록, 상호작용주의가 높을수록 역할수행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셋째,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교사의 역할수행 간의 상관관계에는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전문성이 높을수록 교사의 역할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나타났다. 따라서, 보유교사의 전문성은 하위요소인 직업윤리가 높을수록, 사회봉사성이 높을수록, 전문기술과 기술요구가 높을수록 역할수행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보육교사가 현대 사회에서 요구되는 양질의 보육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문가로서 그 역할을 잘 수행하기 위해서 보육교사의 신념 및 전문성 인식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이후에 보육교사를 위한 교사 교육에서 이루어져야 할 보육교사의 신념 및 전문성 인식에 대한 교육 내용을 선정하는 데에 도움이 되는 기초 연구로서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As the childcare teacher is the most important, core element that determines the quality of the childcare, the high-quality childcare service that is demanded by the modern society can be different according to the childcare teacher's playing the role. It can be said that, in order for the childcare teacher, who bears the responsibility for the overall development of the infants, to play the role well, the childcare belief, which is both a philosophy and a system of the values, and the recognition regarding the special, professional characteristics, which is possessed in the role as a childcare teacher, have the important influences. As a resul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take a look at what influences the childcare belief and the recognition regarding the expertise of a childcare teacher have on playing the role as a childcare teacher. For this research, with the 201 childcare teachers who had been working at the daycare centers in Euijeongbu City, Yangju City, and Pocheon City in Gyeonggi-do as the subjects, by using a survey questionnaire regarding the recognition of the childcare belief and the expertise and regarding the role played by a childcare teacher, the data had been collected. The data that had been collected were analyzed through the SPSS for Win. 22.0. And, for the analysis of the data, the frequency analysis was carried out. And, in order to find out the level of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tool, the Cronbach's α value was calculated. In order to find out about the childcare belief resulting from the special,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childcare teachers, the recognition regarding the expertise, and the between-the-groups of the role playing of the teachers, an ANOVA analysis and the afterwards Scheffe verification were carried out. Also, in order to take a look at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hildcare belief and the recognition regarding the expertise of the childcare teachers and the role playing of the teachers, the correlation analyses had been carried out. And, in order to take a look at the relative influences of the childcare belief of the childcare teachers regarding the role playing of the teachers and the recognition regarding the expertise of the childcare teachers, by carrying out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arrived at. Firstly, the childcare belief had the difference in relation to the age of the childcare teacher and the behavioristic belief. And, regarding the final academic background, the maturity principle and the interaction principle ha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Regarding the types of the establishment of the daycare centers and the career experiences of the teacher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Regarding the recognition of the expertise, there were no differences with the age of the childcare teacher and the type of the establishment of the daycare center. And there were the significant differences regarding the final academic backgrounds and the career experiences. Regarding the role playing of the teachers, there were no differences regarding the age. And, regarding the types of the establishments of the daycare centers, there were the differences of the corporations, the workplaces, and the others. And the national had the difference in terms of the role as the promoter of the learning. And there were the significant differences regarding the final academic background and the career experience. Secondly, i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hildcare belief and the recognition of the expertise on the part of the childcare teachers, the positive correlation was shown. The beliefs of the principle of maturity and the principle of interaction, which are the lower ranking factors of the childcare belief, appeared as having the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expertise. Regarding the belief of behaviorism, the positive correlations appeared with the professional technologies and the technological demands, which are the lower-ranking factors of expertise, only. And, regard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hildcare belief and the role playing of the teacher, the positive correlation was shown. The beliefs of the principle of maturity and the principle of interaction, which are the lower-ranking factors of the childcare belief, both showed the high,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role playing of the teacher. And the belief of the principle of behaviorism showed the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role of the maintenance of the community. As a result, it was able to find out that the level of the playing of the role of the childcare belief of the childcare teacher was higher the higher the principle of maturity and the higher the principle of the interaction. Thirdly, regard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ecognition of the expertise of the childcare teacher and the role playing of the teacher, both of them showed the positive correlations. It appeared that, the higher the expertise, there was the influence on the role playing of the teacher. As a result, were able to find out that, regarding the expertise of the childcare teacher, the higher the work ethic, which is a lower-ranking element, the higher the social service, and the higher the professional technologies and the technological demands, the higher the level of the role playing was. Regarding this research, by taking a look at what influences the belief and the recognition of the expertise of the childcare teacher has in carrying out the role as an expert who provides the good quality childcare service that is demanded from the childcare teachers by the modern society, it can be said that it has the meaning as a foundational research that proves to be helpful in selecting the educational contents regarding the belief of the childcare teacher and the recognition of the expertise which must be materialized in the teachers education for the childcare teachers later on.

      • 퍼스 기호학 관점에서의 현대 젠더리스 패션 스타일 표현 특성 연구

        박선욱 한양사이버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다양한 가치가 공존 하는 사회에서 패션의 변화와 젠더리스 스타일의 패션이 의미하는 사회적 단면에 주목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젠더리스 스타일 동향에서 패션의 관념적인 의미와 시각적인 기호와의 연관성 및 상징성의 의미가 주는 내포적 의미를 기호학적 의미로 분석하였으며, 분석 방법은 퍼스의 기호학을 중심으로 젠더리스 스타일이 의미하는 상징과 표현특성을 관련된 저술, 선행 연구 및 사례분석을 통해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사회의 패션에 나타난 젠더리스 스타일의 표현 특성을 파악하여 그들의 변화하는 패션에 대한 인식을 기호학적으로 분석 정리하는 것이다. 젠더리스 스타일이 보여주는 패션의 기호적 의미는 각자의 개성과 자기중심적 사고로 사회적 관념과 전통 등을 배제한 자기만의 스타일 즉 인간중심적 디자인의 욕구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적극적인 사고방식과 보다 자유로운 감성을 추구하게 하는 패션 트렌드의 한축으로써 젠더리스 스타일이 보여주는 패션의 기호적 의미에 대한 시각을 제공하였으며, 향후 더욱 다양화되는 패션 디자인을 위한 시사점 모색 및 방향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젠더리스 패션에 대한 기호학적 분석의미가 시대의 변화에 따라 각자의 개성과 자기중심적 사고로 사회적 관념과 전통 등을 배제한 자기만의 스타일 자아가 분출된 것이며, 인간중심적 디자인의 욕구에 의해 적극적인 사고방식과 보다 자유로운 감성을 추구하게 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젠더리스 패션은 패션트랜드의 한축으로써 현 시대의 사회상을 보여주고 있을 뿐 아니라, 다양한 디자인에서 인간중심적인 디자인의 발전방향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 단청이미지의 장신구 연구 : 에폭시수지를 중심으로

        박선욱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단청은 화려한 색채와 절제미, 균형미가 있는 문양이 조화되어 아름다움을 표현한다. 이는 일찍부터 우리 민족의 미감(美感)을 표현하는 주요한 방법으로 고분벽화와 건축물의 채색 등을 통해 시대마다 다양한 색감과 문양을 유지 ·발전시켜왔다. 단청의 강렬한 색채와 다양한 문양의 배합은 자칫 지나친 화려함으로 다소 가볍게 보일 수 있지만 색채와 문양의 배열과 조화는 안정감과 무게감을 주는 요인으로 작용한다. 궁궐과 사찰, 향교 등에 그려진 단청은 오방색과 간색 그리고 문양의 어우러짐으로 연구자에게 보석과도 같은 화려함을 느끼게 하였다. 이런 단청의 색채 및 문양을 바탕으로 화려함과 장엄(莊嚴)함에서 오는 이미지를 연구자의 주관적인 해석에 의해 장신구로 표현하는 것이 이 논문의 연구목적이다. 단청이미지를 장신구로 형상화하기 위해 먼저 전국 궁궐과 사찰, 향교 등의 현장답사로 단청의 분위기를 파악하였고, 문헌과 자료를 조사함으로써 단청에 대한 이해의 여건을 가졌다. 더불어 한국전통공예건축학교의 단청과정을 수료하여 단청의 실제 경험과 전문성을 추구하였다. 단청이미지는 개별 문양의 의미나 상징성에 대한 부분적 인식보다는 수많은 문양과 색채가 군화(群化)를 이루면서 서로 튀거나 어긋나지 않고 조화를 이루는 화려한 아름다움이다. 이러한 단청이미지를 장신구의 구심체인 보석으로 표현함에 있어서 에폭시수지를 매체로 선택하였다. 오방색을 판상으로 만들어 점 · 선 · 면으로 절단하고, 평면으로 이루어진 단청문양을 입체적으로 구성하여 편린화(片鱗化)한 다음 다시 색채와 문양의 편린들을 조합하여 다각적인 보임을 갖는 괴상(塊狀)의 고형으로 제작하였다. 이 과정의 반복으로 색채와 문양의 편린적 이입을 통해 입체적 구성의 시각적 가치를 갖는 장신구를 만들었다. 단청의 입체화 과정에서 단순히 과거 그대로의 문양을 답습하지 않고 색상과 문양의 편린화를 통해 현대 장신구로 표현해보고자 한 것이다. 에폭시수지는 안료와 염료의 배합으로 색상을 자유롭게 연출할 수 있고, 귀보석이나 준보석에 비해 연구자의 의도대로 가공이 용이하다. 연마를 통해 표면 광택을 보일 수 있으며, 투명 에폭시수지는 투과성이 있어서 깊이감을 표현할 수 있다. 또 내구성이 우수하여 마모에 잘 견디고, 재질이 가벼워서 장신구로 착용할 때 무게의 부담감을 덜 수 있다. 이런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에폭시수지를 단청이미지 장신구제작에 활용하고자 한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단청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단청의 의미 및 기원과 현존하는 대부분의 단청이 채색된 조선시대의 단청을 살펴보고, 단청에 사용되는 문양 가운데 연구자가 작품제작에 활용한 문양과 단청의 색채인 오방색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연구작품의 조형분석에서는 재료분석을 통해 합성수지의 분류 및 에폭시수지의 특성과 착색제인 안료와 염료에 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단청이미지의 조형화 과정에서는 단청의 이미지와 수지에 의한 단청이미지의 조형의도 그리고 에폭시수지의 고형화(固形化) 과정인 제작과정과 연구작품을 전개하였다. 단청이미지의 장신구 연구는 에폭시수지를 이용하여 화려한 색채와 다양한 문양의 조화 속에서 아름다움과 위엄을 보이는 우리 전통문화유산인 단청의 입체적 표현이다. 이를 계기로 우리 문화를 보다 가깝게 접근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고자 한다. 또한 다채로운 색감과 다양한 조형으로 개성을 연출할 수 있는 장신구 연구로 귀보석이 중심을 이루던 장신구와 경제적인 차별화를 통해 장신구 저변확대를 꾀하려는 것이다. 나아가 수지를 비롯한 다양한 다른 조형 재료를 활용한 시도가 지속적으로 전개되길 기대한다.

      • 투명전극을 통한 전기구동 나노선 LED

        박선욱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Intergrating micro, nano-scale light source with other passive components in a single chip has been one of critical challenges in photonics and optoelectronics. In additional, driving the active optical elements by direct current injection has been a long standing goal since it is not easy to make an electrode capable of inject a current without affect optical characteristics of the optical device. In this work, we used epitaxially grown III-V semiconductor compounds with vertical p-i-n junction and multi-quantum wells (MQWs) to fabricate nanowires that can serve as nano-scale light sources. In additional, in order to inject current to the fabricated nanowires, we used the CVD-grown multilayer graphene (MLG) that shows the excellent flexibility, high conductivity and transparency as transparent electode. In experiment, we first transferred CVD-grown MLG on device substrate using PMMA transfer method. Then we utilized PDMS micro-tip transfer technique to pick-up the pre-fabricated nanowires from a epi-wafer and transferred them to the desired locations on the device substrate that was already covered with MLG. Using O2 plasma etching, we defined the transparent electrodes for electrically pumping nano-scale LEDs. In optical characterization, we injected current to the nanowires through the graphene electrodes and observed clear electroluminescence (EL) of the device from both the charge-coupled device (CCD) and spectrum. 높은 굴절률을 갖는 III-V 반도체 물질은 가시광 및 통신파장 대역에서 광구속력이 뛰어나 나노 및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광도파로, 광변조기 및 광원 등의 광소자로 제작되었을 시 많은 장점을 갖는다. 이들 개별 광소자들은 그 크기가 작아 저전력으로 구동이 가능하며 초고속 고집적 광회로를 구성하는 필수 단위소자들이다. 이러한 소자들은 실제로 하나의 칩안에 집적시켜 광회로를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개별 소자들을 전기적으로 제어하거나 구동시킬 수 있어야 하며, 광회로를 구성하는 다른 광학구조와 결합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기존에 연구되었던 나노크기의 전기구동 III-V 광원은 III-V 물질이 성장된 epi-기판에 광원이 고정되어 있어 다른 광학구조와 결합이 어렵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중심파장 680 nm의 빛을 내는 다중양자우물과 수직적으로 p-i-n 접합을 가지고 있는 III-V 반도체 물질인 AlGaInP를 이용하여 나노선을 제작하였으며, 제작된 나노선에 전류를 주입하기 위해 광투과율이 뛰어나고 높은 전하수송도를 가지는 CVD 다층 그래핀을 PMMA 전송 방법을 사용하여 소자기판에 전사한 후 PDMS 마이크로 팁을 사용하여 epi-기판에서 나노선을 때어내어 전사된 다층 그래핀 위 원하는 곳으로 나노선을 전사하였다. PDMS 마이크로 팁 전사방법을 이용하면 III-V 화합물 반도체 광원을 광학구조가 제작된 기판 위 원하는 곳으로 전사하여 광원과 광학구조의 결합이 더욱 좋아질 것으로 기대한다.

      • 태권도전공 대학생이 인식하는 교수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 수업몰입 및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박선욱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he prefessor's nonverbal communication can affects Taekwondo majored student's immersion and satisfaction on the class. For this study, 350 undergraduates of 4 year course college in capital city area have participated in the survey, and we have collected 311 questionnaires excluding 39 questionnaires which are not suitabl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the collected data has been processed using the SPSS 20.0 for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is study shows research findings as follows :- First, by the difference analysis in accordance with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are found in nonverbal communication by genders in terms of external language and aural language, and by abilities in terms of external language. Also study shows meaningful difference of class-immersion in terms of recognitive immersion, conductive immersion by abilities. Furthermore, this shows difference of class-satisfaction by genders in terms of efficiency of class. Second, nonverbal communication has statistically meaningful affection to student's immersion on the class. Third, nonverbal communication has meaningful affection to the students' satisfaction on the class. Fourth, the immersion on the class also meaningfully affects the satisfaction of students. In conclusion, Taekwondo professor's nonverbal communication affects students' immersion on the class and this immersion affects their satisfaction on the class. And the satisfaction on the class brings more functional and qualitative achievement. 본 연구는 태권도전공 대학생이 인식하는 교수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 수업몰입 및 수업만족도에 영향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수도권 4년제 대학의 태권도전공 학생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고 그중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지 않은 39부를 제외한 최종 311부를 회수하였다. 본 연구는 SPSS 20.0을 사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분석 결과,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은 성별과 특기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수업몰입은 특기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수업만족도는 성별에서 수업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교수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은 수업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은 수업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수업몰입은 수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태권도 교수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사용을 이 태권도전공 대학생의 수업에 대한 몰입을 높이고, 몰입으로 하여금 수업에 만족할 수 있게 하여 이러한 만족을 통해 기능적, 질적 성취를 가져다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기후변화에 따른 난대성 상록활엽수의 분포변화

        박선욱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기후변화에 따른 난대성 상록활엽수의 지리적 분포의 시공간적 변화를 예측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반도에 자생하는 난대성 상록활엽수 85종을 목록화하고, 분포 패턴과 외관형에 따라 그룹화하였다. 각각의 그룹을 대표할 수 있는 총 18종의 난대성 상록활엽수를 선정하고 Generalized Additive Model(GAM)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각각 종들에 대하여 종분포모델을 개발하였다. 모형개발을 통해 난대성 상록활엽수의 분포에 영향을 주는 기후요소(최한월최저기온, 겨울철강수량)를 분석하고 잠재서식지를 추정하였다. GAM 종분포모형들을 활용하여 미래기후변화에 따른 난대성 상록활엽수의 분포변화를 예측하였다. 종분포모형의 예측력을 높이고 인간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인간의 토지이용을 고려한 잠재서식지를 추정하였다. 난대성 상록활엽수 85종은 분포 지역에 따라 중부해안형, 남서해안형, 남해내륙형, 남해안형, 고립형으로 분류되었고, 외관형에 따라 교목, 관목, 덩굴 및 기생목으로 나누어졌다. 각 분류군별로 분포지점이 50곳 이상인 18종의 난대성 상록활엽수를 대표종으로 선정하였다. 대표종별로 GAM 분포모형을 개발한 결과 최한월최저기온은 모든 종에 유의한 영향을 주며 겨울철강수량은 종에 따라 각기 다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GAM 예측 결과, 현재 기후조건에서 잠재서식지 면적은 붉가시나무와 다정큼나무가 각각 최대와 최소값을 보였으며, 토지이용을 고려하였을 때는 마삭줄과 참식나무가 각각 최대값과 최소값을 갖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미래 잠재서식지 면적은 2050년에 RCP 4.5 보다 RCP 8.5에서 넓었으며, 2070년에 RCP 8.5보다 RCP 4.5가 넓게 나타났다. 이는 RCP 시나리오에 따라 겨울철강수량의 감소가 시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것이 원인으로 분석되었다. 난대성 상록활엽수는 기후변화에 따라 한반도 중부까지 북상할 것으로 예상되는 종으로써, 종분포모형을 통한 기후요소 분석과 미래 예측은 기후변화에 따른 한반도의 식물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의 변화를 이해하고, 이에 따른 관리대책을 마련하는데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warm temperature evergreen broad-leaved woody plants (warm evergreens) in relation to climatic factors i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n project the future distributions under climate changes. For this, the geographical range of 85 warm evergreen species, which are native to the Korean Peninsula, were first listed up and then classified into several categories based on the patterns of geographical distributions and plant physiognomies. The warm evergreens represent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ategory were selected from the 85 species. Potential habitats of the selected warm evergreens were projected in relation to coldest month mean temperature and coldest quarter precipitation using Generalized Additive Model (GAM) algorithm, a species distribution model(SDM). Then, the future distributions of warm evergreens were projected with GAMs under climate changes. The current and future climate data were obtained from the worldclim website. The current climate data were the average of fifty years. The future climate conditions in 2050 and 2070 were projected based on HadGem2-AO model according to RCP 4.5 and 8.5 scenarios. In addition, the land-use data were employed to estimate human influences on the potential habitats of warm evergreens. The warm evergreens were categorized into tree, shrub and vine according to plant physiognomies and middle coastal type, southeastern coastal type, southern inland type, southern coastal type and isolated type based on spatial patterns of geographical distributions. 18 warm evergreens representing the characteristics of plant physiognomic groups and regional groups were selected based on the number of presence data, > 50 presence data for each species. The result of GAM models showed that coldest month mean temperature was a significant factor to determine the presence of all warm evergreens but coldest quarter precipitation was for several species out of 18. Quercus acuta showed the maximum area of potential habitat and Raphiolepis indica var. umbellate the minimum area under current climate. As considering the types of land-use, Trachelospermum asiaticum var. intermedium presented the maximum area of potential habitat and Neolitsea sericea the minimum area. In general, the maximum potential habitats of 18 warm evergreens were projected according to RCP 8.5 scenario in 2050 and RCP 4.5 scenario in 2070. Spatiotemporal changes in coldest quarter precipitation according to climate change scenarios account for the variations in future projec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us understand changes in the function and processes of plant ecosystem of the Korean Peninsula under climate changes and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management practice of warm evergreens.

      • 在日韓國人의 終焉

        박선욱 濟州大學校 通譯大學院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책의' 재일한국인의 종언'이란 제목을 보면 언뜻 의아해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표현자체가 약간 극단적이기 때문이기도 하겠지만 확실히 무엇을 뜻하는지 와 닿지 않는 부분도 있으리라 본다. '재일한국인의 종언'f이란 재일들의 존재자체의 종언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지금까지의 재일로서의 삶에 대한 존재의미를 없애는 것을 의미한다. 그것은 더 이상 재일로서의 삶이 아니라 일본사회에서 일본국적을 취득하고 당당한 사회구성원으로서 살아가야 하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그들은 한국국적을 유지한 채 일본사회에서는 이방인과도 같은 존재로 살아왔다. 하지만 일본에서 태어나 자라서 교육받고 앞으로도 평생을 일본에서 살아가야 하는 그들이 과연 한국국적을 보유하고 있다는 사실만으로 한국인의 정체성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그러한 상황에 놓인 그들에게 한국국적은 일종의 굴레와도 같은 의미일 뿐이다. 따라서 그들에게는 정체성과 귀속의 괴리가 있다. 즉, 한국국적을 보유한 한국인이라는 엄연한 사실에도 불구하고 한국인이라는 의식자체가 결여되어 있으며 또한 일본사회에서 외국인으로 남아 있으면서도 또한 외국인의식이 결여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그들의 정체성은 일본인에 가까우며 그러한 정체성에 맞추어 귀속을 즉, 국적을 바꾸는 길이 가장 현명하며 보편적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일본국적을 취득함으로써 지금까지 마치 공중에 떠있는 존재처럼 모호한 삶이 아닌 당당한 국민국가의 구성원이 되어 권리와 의무를 행하며 살아가게 되는 것이다. 지금은 그러한 재일들의 선택을 비판하기보다는 용기와 힘을 보태주어야 할 것이다. 그럼으로써 본국의 한국인들과도 진정한 평등관계에서 지속적인 유대관계가 가능해질 것이다.

      • 대학생의 대학생활 스트레스와 대처방식, 자아존중감, 부적응적 완벽주의가 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향

        박선욱 인제대학교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대학생활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방식, 자아존중감, 부적응적 완벽주의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대학생의 자살예방정책 마련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목적에 따라 선행 연구를 기초로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포함하는 연구모형을 설계하였으며, 부산경남지역 대학생 350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실증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자살생각의 변이를 단변량 분석한 결과 대학생활만족도만이 유의한 변이를 보였다. 즉, 대학생활만족도가 낮을수록 자살생각이 유의하게 강하였다. 둘째,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회귀분석의 결과, 부적응적 완벽주의, 대인관계스트레스, 남학생, 정서중심대처방식이 자살생각에 유의한 정의 영향이 있었고, 자아존중감은 유의한 역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유의한 변수 중에서도 자아존중감의 영향력이 가장 컸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대학생활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노력이 자살생각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대학생의 자살예방을 위해서는 남학생에 대한 자살위험 관리, 대인관계 기술 향상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개선, 부적응적 완벽주의 성향의 완화, 그리고 자아존중감 강화를 위한 교육 및 훈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특히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다각적인 방안의 모색이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factors affecting suicidal ideation, and, based on the analysis, to suggest implication for suicide prevention policy among college students. Empirical model including affecting factors such as campus life stress, stress coping type, self-esteem, and maladjustment perfectionism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former researches. Data were collected from 350 college students at Busan Metropolitan City areas using self-administered structured questionnair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suicidal ideation was significantly lower among students with higher campus life satisfaction. Second, significant positive affecting factors on suicidal ideation were maladjustment perfectionism, interpersonal stress, boys, emotion oriented coping type, whereas, negative factors were self-esteem. Among significant affecting factors, self-esteem was the biggest influencing one. Above results imply that measures improving campus life satisfaction and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for improving human relation skills and stress coping type, mitigating maladjustment perfectionism, and enhancing self-esteem be explored and executed properly.

      •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기업 이미지, 고객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KT&G 사례를 중심으로

        박선욱 서경대학교 경영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담배와 같이 부정적으로 인식되는 제품을 판매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관련 기업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담배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기업 이미지 및 고객 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일반적인 제품(서비스)을 연구한 선행 연구의 결과와는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담배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은 KT&G의 사회적 책임 활동 사례를 통해 살펴보았다. 이 연구를 통해 의미 있는 결과가 도출 된다면 향후 관련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에 대한 전략적 차원의 접근 방향 및 지향점을 제시할 것이라 생각하며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대상은 19세 이상의 흡연자중, 서울에 거주하고 있는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직접 대면하여 설문조사를 하였다. 설문조사기간은 2014년 10월 29일부터 11월 7일까지, 설문지는 총 300부를 배부하고 250부를 회수하였지만 자료 이용에 유의하지 않다고 고려되어지는 것을 제외한 총 204부의 설문지가 분석대상으로 사용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표본의 인구 통계학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설검증에 앞서 연구모형에 포함된 구성 개념들의 타당성을 살펴보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는데,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적은 수의 요인적재량에 대해 유의한 변수들을 찾는 과정을 거쳤다. 마지막으로 측정도구에 대한 신뢰성 검증을 위해 설문 항목간 일관성을 살펴보았는데 Cronbach'α 계수를 사용하여 신뢰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독립변인으로 사회적 책임 활동(경제적 책임, 법률적 책임, 윤리적 책임, 자선적 책임)을 설정하였고 기업 이미지와 고객 만족을 매개변인 및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여, 유의성 확인을 위한 선형회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사회적 책임 활동이 담배를 판매하는 기업의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평가는 독립변인의 민감도를 표시하는 Beta값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T통계값을 구현하는 점에서 본 연구모형의 가설검정 결과는 모두 의미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얻어진 본 연구의 결론을 종합해 다시 말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담배를 판매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기업 이미지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1은 채택되었다. 둘째, ‘기업 이미지가 고객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라는 가설2도 채택되었다. 이 두 가지 결론은 담배를 판매하는 기업이라 할지라도 사회적 책임 활동이 기업 이미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며 기업 이미지가 고객 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사회적 책임 활동의 필요성이 있다는 것을 밝히고 있는 것이다. 또한 현재까지 담배를 판매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에 대한 연구가 전무했기에 이 연구가 담배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과 관련하여 활발한 연구의 시작점이 되었으면 한다. 마지막으로 이런 사실을 통해 관련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에 대한 전략적 차원의 접근 방향 및 지향점을 작게나마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