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리더십 유형이 직무성과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박명선 한양대학교 기업경영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요약> 급속하게 변화되는 경영패러다임에서 기업이 생존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전략과 구조, 문화를 끊임없이 발전시켜 경쟁력을 높여야 할 것이다. 경영자의 능력은 중요해 지고 있으며, 경영자의 역량은 급변하는 환경에서 기업의 경쟁력이 될 수 있다. 또한 경영자들은 조직 구성원들 내적동기를 강화시키는 것이 중요한 것임을 인지하게 되었다. 조직 구성원들의 내적 동기는 임파워먼트를 통하여 강화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기업에서 이용되고 있는 거래적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이 기업 구성원의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거래적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 그리고 구성원들의 임파워먼트가 그들의 직무성과와 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논문의 연구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변혁적 리더십 카리스마, 동기부여 요인과 거래적 리더십 요인 세 가지 모두는 임파워먼트 영향력 요인과 양의 관계를 가지고 있고, 임파워먼트 영향력 요인은 직무성과와 양의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직무성과는 경영성과와 양의 관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변혁적 리더십 카리스마, 동기부여 요인과 거래적 리더십 요인 모두는 임파워먼트의 영향력 요인과 직무성과를 거쳐 경영성과에 영향을 준다. 둘째, 리더십 유형요인 중 거래적 리더십 요인만이 임파워먼트 요인 중 업무 의미성과 양의 관계가 있고, 업무 의미성 요인은 다시 직무성과와 양의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직무성과는 경영성과와 양의 관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거래적 리더십 요인은 임파워먼트의 업무 의미성과 직무성과를 거쳐 경영성과에 영향을 준다. 셋째, 임파워먼트 요인들을 통제하고, 리더십 요인들이 직무성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한 결과 변혁적 리더십 요인인 카리스마는 직접·간접 모두 직무성과 양의 관계를 가지고 있다. 넷째, 경영성과와 양의 관계가 나타나는 직무성과, 임파워먼트의 두 요인 업무 의미성과, 영향력 등을 통제하고도 리더십 요인들이 경영성과와 직접적인 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거래적 리더십은 경영성과에 직∙간접적 양의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카리스마와 동기부여 같은 변혁적 리더십은 경영성과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음과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첫째, 표본으로 선정 된 대상자들이 수도권의 집중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들이 기업 전체의 구성원을 대변하기는 어렵다는 한계점이 있다. 둘째, 조사 시점이 2017년 1월~3월 이라는 단일시점을 사용하고 있다. 즉 현재의 자료는 횡단적인 자료라 할 수 있는데 이 조사가 다른 시점에서도 동일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다. 따라서 횡단적인 연구가 아니라 다양한 시점의 종단적인 연구가 필요로 할 것이다.

      • L. v. Beethoven의 Piano Sonata Op.7 연구 분석

        박명선 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Op. 7 is the broadest and richest in expression among sonatas of the 1st period, shows a prototype and a mature aspect of sonatas, presents well musical features of Beethoven's, and realizes his gifted talent as a perfectly completed work to the minutest part. This thesis aims at more deeper understanding of parts, by playing the piano, which people don't notice. As a result of analyzing Beethoven's piano sonata Op. 7,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drawn. Firstly, this consists of four movements in form, unlike classical sonatas which has 3 movements and it extends its scale and form in conformity with a title, compared with previous works. The 1st movement is a typical sonata with a allegro one. The 2nd movement, an aria, consists of complex three sections which are A, B and A' and are well balanced. The 3rd movement consists of complex three sections and it has simple phrases and passages with a well composed form. The final movement is a sonata with a rondo and it has a bold and fine form to avoid dullness in the development and repetition. Secondly, its melody develops tunes with melodic sequence and repeat sequence and makes much use of harmonic sequence and grace notes. Regarding main rhythms in each movement, thirdly, it gives an impression of nine-eights and twelve-eights time using Sfz.(sforzando) and shows various forms of rhythms like a polyrhythm employing different rhythms on each part of voices. Fourthly, it is handled with the tonic 3rd chord in a main harmony. As altered chords, It. 6, Gr. 6, Fer. 6 and a subtracted 7th chord appear and they also appear with fortissimos and Sfz. on parts of emphasis. As non-chords, escape-tones, appoggiaturas and frequent pedal-point are used and variety of chords are shown by virtue of proceeding chromatic chords. A transition part has a diatonic-modulation in according to a classical form, E♭major in 2nd movement has the 3rd chord relative modulation, and minor in 3rd movement also has the same modulation. In this way, we can notice Beethoven's firm organizing ability of music in that the whole sonata shows a unified structure by virtue of a repeated/developed motive in a complete from and presents various expressions, which vary in a range. It can be also indicated that Beethoven unfolded his own world about tones although affected by Mozart and Haydn.

      • 화학적 간손상 후 재생 과정에 있어서의 'Hepatic progenitor cells'의 동태에 관한 연구

        박명선 고신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박사

        RANK : 247631

        연구배경 및 목적: 난원 세포(oval cell)는 간암 발암 기전의 형태학적 연구에서 간암 발생 초기에 출현한다고 Farber 등이 처음으로 기술하였다. 이후 동물 실험을 통해 이 세포의 생물학적 의의에 대하여 많은 관심의 대상이 되어 왔으나 인체에서는 이 세포에 대응하는 세포나 그 의의에 대해서는 많이 연구되지 못하고 있다가 최근 줄기 세포(stem cell)가 유전자 치료의 표적 세포로서의 가치를 가진다는 점과 급성 간 부전 상태에서 간이식의 전 단계 처치로서 간세포 이식의 한 방편으로 연구되고 있는 등의 최근 연구에 힘입어 난원 세포가 재조명되고 있다. 화학적 발암제에 의한 저항성 간세포 (resistant hepatocyte, RH) 발암실험의 모델을 통하여 난원 세포의 증식과 분화에 관한 연구가 가능하였다. 이에 연구자는 정상 간세포의 재생 능력이 약화된 인체의 여러 간 질환과 유사하게 간세포의 선택적인 분열 억제시킨 실험 모델을 통하여 간의 재생을 담당하는 간 줄기 세포의 후대세포들의 동태를 파악하고자 본 실험을 시작하였다. 재료 및 방법: 실험 동물(sD, 200-220 gm) 20 마리를 대상으로 gastrostomy를 시행한 후 2-acetylaminofluorene (AAF, 10 mg/kg)를 4일간 위 도관을 통하여 위장관에 직접 투여하고 투여 5일째 부분 간 절제술을 시행한 다음 다시 2-AAF를 5일간 더 투여하였다. 실험 동물은 마지막 투여를 기점으로 1, 3, 5, 7, 9, 14일 후에 3 마리씩 희생시켰으며, 재생에 관련된 세포들의 증식 성향을 보기 위해 희생 1시간 전에 Brd∪ (100 mg/kg)를 복강 내 주사하였다. 인산 완충용액으로 관류한 다음 광학 현미 경적 검색과 항 Brd∪ 항체를 이용한 면역조직학적 검색을 위해 4% 중성 포르말린에 고정하고 전자현미경 표본 제작을 위해 일부의 신선 간 조직을 2% glutaraldehyde에 고정하였다. 증식성 세포들의 분석과 Brd∪ incorporation은 현미경(American Optical microStar) 고배율 단위면(28.26 ㎛^(2), r=3 ㎛, x400)을 기준으로 준 정량적으로 계수하였다. 결과: 1) 난원 세포의 증식은 실험 초기부터 시작되어 간의 무게가 정상으로 회복되는 POD 9일에 정점을 이루다가 14일에 감소함을 보여 간 재생의 주된 구성 세포임이 확인되었다. 2) Brd∪ incorporation으로 확인된 난원 세포의 증식 양상은 문맥 주변부로부터 소엽 중심성으로 이행하는 수견을 보였다. 3) 난원 세포는 실험 초기에 담세관성 상피세포로의 분화가 우세한 반면에 후기로 갈수록 호염기성의 작은 간세포를 경유하는 간세포성 분화를 나타내는 이중성 분화를 보였다. 4) 호염기성의 작은 간세포는 난원세포와 무관하게 중심정맥 영역에서도 관찰되기도 하나 대부분 난원세포 증식의 변연부에서 주로 출현하였고 난원 세포에 비해 실험후기에 우세하였다. 5) 전자현미경적으로 문맥주변의 증식영역을 구성하는 세포는 시기에 따라 그 구성의 차이는 있으나 미분화성 세포, 담관 분화성 세포, 간세포성 분화를 보였다. 6) 골수의 조혈세포는 난원 세포 증식의 면연부에서 집락을 이루고 있으며, 난원세포의 증식이 현저한 시기에 속발하여 출현하였다. 결론: 결론적으로 본 실험에 사용된 2-AAF/부분 간 절제술은 난원 세포로 대표되는 잠재성 줄기세포를 통한 간 재생 모델임이 확인되었으며, 이 모델에 의한 간의 재생은 난원 세포의 소엽중심성향의 증식과 간세포성 분화에 주로 기인하고 있으며, 호염기성의 작은 간세포외에 골수외 조혈 세포가 재생과정에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Background; Oval (OV) cells had been described as an uncertain type of cells in early neoplastic process of animal hepatocarcinogenesis model. Although biological significance of OV cells is not elucidated in human, they showed cholangiolar and hepatocytic bipotential differentiation in animals, especially rodents. With recent studies emphasizing on a possible targer of gene therapy and cell transplantation of hepatic stem cellsm biological investigation of OV cells become to be an important issue. In present study, the authors pursue the fate of hepatic atem cell progenitor cells such as OV cells using 2-acetylaminofluorene (AAF)/partial hepatectomy (PH) of resistant hepatocyte (RH) model. Materials & Methods; Through gastrostomy tube, 2-AAF (10 mg/kg) was administrated daily for 10 days in SD rats. Seventy percent PH was performed at 5th day of 2-AAF treatment. Animals were killed 1,3,5,7,9 and 14 days following the last day of 2-AAF. Bromodeoxyuridine (Brd∪) (100 mg/kg) was given intraperitoneally 1 hour before killing in each experiment. Hematoxylin eosin-stained histological sections and morphometric changes were analysed by microscope (Americal Optical microStar) with right angle section of portal regions by means of unit areas of high power view. For Brd∪ incorporation, the sections were immunostained by an anti-Brd∪ antibody and labelled nuclei were counted. For electron microscopy, fresh liver tissues fixed with 2% glutaraldehyde were processed by routine method. Results; 1) It was confirmed that periportal OV cells are a major component of AAF/PH-induced hepatic regenreation based on OV cell proliferation in concord with restoration of liver weight. 2) With BrdU incorporation, OV cell proliferative activity migrates toward pericentral zone from periportal zone. 3) OV cells show bile ductular differentiation with progressive regression and later hepatocytic differentiation through basophilic small hepatocytic transition. 4) In contrast to OV cells, basophilic small hepatocytes emerged from periphery of Ov cell proliferative zone in late period of regeneration, inspite of independent pericentral localization of small proportion. 5) Ultrastructurally 3 type of OV cells, at least, were noted in periportal proliferative zone; predominant biliaty differentiated cells, sparce undifferentiated small cells and hepatocytic transitional cells. 6) Colonized hematopoietic cells with a few blast-like cells were noted followinf OV cell proliferation chiefly in areas of periphery of OV cell proliferative zone. Conclusions; It was confirmed that AAF/PH is a hepatic regeneration model through OV cell proliferation In this model, hepatic regeneration could be accomplished with periportal OV cell proliferation and subsequent hepatocytic differentiation via small basophilic hepatocytic transition, in addition to a possible role of extramedullary hematopoietic cells.

      • 품질경영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서울지역 특급호텔을 중심으로

        박명선 한국교통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요 약 제 목 : 품질경영이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최근 서비스 산업 중 호텔산업분야는 기업 간의 경쟁의 심화와 세분화된 고객의 요구, 혁신적인 기술의 발전 등 치열한 경쟁과 경영환경의 급속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이러한 노력의 일부로서 리더십, 고객만족, 다양한 전략, 정보시스템, 기업의 성과 등 단편적인 관점이 아닌 포괄적인 관점에서 접근하는 품질관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호텔기업은 우수한 품질의 서비스를 제공하여 이익을 극대화 시켜야 하며 이를 위한 다양한 활동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품질경영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여 품질경영활동에 대한 개념의 정립과 호텔 내 품질경영활동 도입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즉, 품질경영활동이 조직원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고객지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분석을 통해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 특급호텔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실증분석 결과, 품질경영요소 중 인적자원관리와 고객관리가 조직몰입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인적자원관리가 직무만족에도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이 모두 고객지향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호텔기업과 같은 서비스기업에서는 조직원들을 위한 개인적 차원에서는 전문가 양성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지원하고 기업의 조직적 차원에서는 고객만족 및 고객관리의 중요성을 공유함으로서 개인에게만 고객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이 아닌 전사적 차원에서 고객관리를 실시함으로서 조직원들의 회사에 대한 애착 및 신뢰를 높여나가도록 해야 하겠다.

      • 어머니 자아분화와 유아의 정서지능에 관한 연구

        박명선 상명대학교 복지상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어머니의 자아분화 수준에 따른 유아의 정서지능과의 관계를 살펴봄에, 가까운 대인관계 속에서 고유한 속성이 한 세대에서 다음세대로 전이 된다는 Bowen이론에 준하여 연구하였다. 유아들과 정서적 유대감과 상호작용의 주된 담당자인 어머니라는 전제하여, 다양한 유아의 행동 및 정서지능을 이해하는데 있어 어머니의 자아분화와 출생가족 영향력으로부터의 영향에 따른 유아의 정서지능 관계를 알아보았다. 어머니의 현재 자아분화 수준에 따라 유아의 정서지능에 차이가 있었다. 어머니의 정신내적분화는 타인조절/대인관계능력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즉 정신내적분화가 잘 이루어진 어머니의 자녀는 타인조절/대인관계 능력이 더 뛰어났다. 유아의 정서지능 하위변인 중 타인의 정서적 반응을 능숙하게 인식하고, 그 사람의 반응에 감정이입적으로 반응하는 타인인식능력이 높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또 본 연구에서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원 가족과의 영향요인인 삼각화, 가족투사의 분화수준에 따라 어머니의 자아분화 수준이 유아의 정서지능인 자기인식 표현 능력, 자기조절능력, 타인인식능력, 타인조절/ 대인관계 능력에 차이를 미치는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어머니의 삼각화 수준이 높아질수록 유아의 자기조절 능력은 떨어지며, 이는 삼각화 점수가 높을수록 현재 어머니의 자아분화 중 과거출생가족인 원 가족과의 영향인 삼각화가 미분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자아분화가 낮은 어머니는 삼각화를 통해 특정 자녀를 자신들의 문제에 끌어 들이며 미분화에서 오는 갈등을 자녀에게 투사하는데, 어머니의 삼각화가 덜 이루어질수록 유아의 정서지능 중 자기조절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어머니의 자아분화수준과 유아의 정서지능과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유아와 과장 직접적이고 일차적인 관계인 어머니의 자아분화수준 및 과거 출생 원 가족 영향력에 대한 중요성과 유아의 정서지능 발달에 따른 어머니의 정서적 요인들에 대한 재해석의 필요함을 입증하였다. 또한 가족체계 내에서의 바람작하고 원만한 어머니와 유아의 정서관계 형성 및 건강한 가족을 위해서 어머니 스스로의 사고와 감정의 조절, 긍정적인 자세 등 유아의 정서지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들의 자아분화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및 부모교육이 유아 교육 및 보육현장에서 이루어져 유아의 정서지능 향상에 도움을 주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s differentiation in self-consciousness and the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based on the Bowen's theory that illustrates the unique personal attribute could be passed on to the next generation under the environment of close personal relationship. This study focuses on the role of mother as a mediator in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raction with others. The author made an attempt to analyze the influence of mother's differentiation in self-consciousness and family background on the infant's behavior and emotional intellignce.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mother's level of differentiations in self-consciousness do influence the young children's level of emotional quotients. The findings also illustrate that the well developed mother's internal emotional differentiation affect and improve her ability to regulate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young children who has been influenced by the mother's well developed internal emotional differentiation will develop a capacity to recognize other's emotional response more adeptly through an empathy. The study found that the mother's level of development in triangulation and differentiation in family projection with her own family are key factors for young children in developing and explaining the differences in the emotional intellignce , including capacity to express consciousness, to regulate behavior, and to recognize others, and to manage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findings also suggest that mother of young children with high level of triangulation with her own family implies deterioration in young children's self-regulatory capacity. The mother who has low level of differentiation in self-consciousness brings one of her kid into her own affair to project conflict arising from poor differentiation into her kids. It implies that mother of young children with low level of triangulation will contribute positive impact on infant's emotional intellignce, including self-regulatory capacity. The study found an importance and need for evaluation of mother's level of differentiation in self-consciousness in connection with her relationship with family as a key factor influencing young children's development in the emotional quotient. This study focuses on a role of mothers as a primary source of emotional influence to the young children. The study concludes with illustrating the significance of educating mothers in the field of day-care to enable them nurturing capacity of regulating emotions, self-consciousness, and positive attitude for the benefit of young children's to develop positive emotional intellig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