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내 대학기록관의 기록물 보존관리 실태와 개선방안 : K대학 기록관을 중심으로

        박도연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looks through records' actual conditions of the University Archives in Daegu and aims to suggest enhancement plans for records' actual conditions of the University Archives. As discussed abov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urpose, contents and method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A pilot study also examines a study on records' preservation conditions, records' administrative conditions of the University Archives, and records' preservation of equipment and systems. Second, the study searches records' preservation management and preservation equipment, archives management organization at home and abroad and records' management organization of domestic and foreign universities. Among these, the study arranges the terms of preservation management in records' preservation management and closely inspects methods of records' preservation environment. Especially, methods of records' preservation environment are classified by physical, chemical and, biological preservation environment. In addition, preservation equipments can be cataloged in preservation equipment by records' management organization, preservation equipment by recording medium, and preservation equipment by records' preservation environment. Furthermore, the study discusses that the actual conditions of records' preservation management consists of management organization of domestic archives and management organization of foreign archives. Among these, management organization of domestic archives are based on Daejon branch of National Archives of Korea and Nara repository(SungNam library). The study examines Management organization of foreign archives through the function of conservation restoration and present conditions of facility management focused on restoration of ancient documents in America, Canada, England, Australia and France. Records' management organization of domestic and foreign universities consists of records' management organization of domestic universities and records' management organization of domestic universities and discuss the actual conditions of records' preservation management. The following domestic universities archives are examined: Seoul National University and Busan National University, and foreign universities archives of Harvard University, and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are examined. Third, the study discusses records' present conditions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archives. The study investigates the present conditions of University archives focused on organization and main business, present conditions of facility and records, present conditions of records' preservation equipment retention. Among these, the present conditions of records' preservation equipment retention consists of preservation facility equipment, preservation equipment, computing equipment, microfilm equipment. Based on these, the study analyzes records' preservation management of University archives classified by the analysis of organization and main business, the analysis of present conditions of facility and records, the analysis of present conditions of records' preservation equipment retention. Fourth, the study focuses on enhancement plans of preservation management of university archives. The enhancement plans for the preservation management of university archives consists of at the national level and at National University level. The study suggests the three improvement plans at the national level: the improvement of support systems for university archives, the improvement of legal standards of university archives' installation, and the establishment support of regional stronghold centers. The study also suggests the six enhancement plans at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level: the expansion of facility and equipment, a systematic understanding of records' present conditions, an advancement of preservation management and of securement experts, human resources sharing network, forging a joint cooperative system with neighboring organizations, and establishment of a joint preservation management center i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대학기록관(university archives)은 국가기록원으로의 이관이 아닌 자체적인 아카이브(archives)의 기능을 수행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대학기록관의 보존관리 기능을 강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현재 공공기록물법은 대학기록물 관리에 대한 특수성을 생각하지 않고, 일반적인 기록관(record center) 기능을 대학기록관에 그대로 적용하고 있어 대학기록관이 그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국내 대학기록관들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문제점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대학의 대학기록관 기록물 보존관리의 실태를 체계적으로 살펴보고, 대학기록관 기록물 보존관리의 효율적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K대학, P대학, S대학, H대학의 기록물 보존관리 담당자와의 면담을 통해 대학기록물의 보존관리 현황 및 기록물 보존관리 실태를 조사하고 이를 비교․분석하였다. 특히 조사한 기록물관리기관의 보존시설 및 장비의 기준 표와 해당 기록물관리기관의 보유 장비 현황 표를 바탕으로 하여 담당자와의 인터뷰에서 얻은 각 기록관의 보존관리 실태 자료들을 비교․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기록관의 조직을 비교․분석해 볼 때 현재 대학기록관의 전문 인력들이 담당하는 업무는 기록관리 총괄, 기록물 서비스, 기록물 전산관리시스템 운영, 기록물 정리 및 폐기, 기록정보서비스, 대외 협력 및 홍보, 대학행정기록 관리, 연구노트 관리, 일반행정, 정보공개 및 열람 제공 창구 운영, 학교사기록 관리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이들 업무는 대부분의 대학기록관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나, 보존관리와 관련된 업무는 다른 업무에 비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이의 근원적인 이유는 대학기록관에 근무하는 보존관리 전문 인력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둘째, 보존관리 업무 분석 결과, 항온항습기를 구비하고 있으나 운용을 하지 않고 있으며, 기록관이 보유하고 있는 기록물 중 탈산처리가 필요한 기록물은 많은 데 비해 탈산분무기는 용량이 작다. 또한 기록물의 보존상자를 중성지를 사용하고 있으며, 탈산장비나 소독장비를 전혀 구비하지 않은 곳도 있었다. 재난 상황에 대한 상세한 재난 대비책 및 구체적인 지침을 수립하지 않은 곳이 있으며, 가스식 휴대형 소화기와 분말소화기를 같이 비치하고 있는 곳도 있었다. 그리고 마이크로필름을 생산하는 보존장비를 갖추지 않아 보유하고 있는 보존장비를 제대로 운용하지 못한 곳도 있었다. 이와 같은 분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도출한, 국내 대학기록관의 보존관리의 개선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적 차원에서의 지역 거점보존관리센터 설립을 지원해야 한다. 대학기록관의 효율적인 기록물 보존관리를 위해서는 해당 대학 인근의 대학 역사기록관, 대학박물관, 대학도서관이나 지역 향토박물관, 국립 박물관 등 인근 지역 유사기관을 아우르는 지역 거점보존관리센터 설립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둘째, 대학기록관의 기록물을 효율적으로 보존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소장 기록물의 기록 매체별(종이 기록물, 행정 박물, 전자 기록물, 시청각 기록물) 현황 파악과 기록물 현황을 총체적 시스템화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 셋째, 각 대학기록관이 공통적으로 겪고 있는 전문 관리 인력 및 연구 인력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대학 내 유사 기관(대학기록관, 도서관, 박물관 등)간의 전문 인력 공유 제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넷째, 대학기록관의 기록물 보존처리 장비를 규격에 맞게 갖추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많은 비용이 발생하게 되며, 필수 전문 인력이 부족한 것은 국내 대학 및 기록물 관련 유사기관들이 공통적으로 겪고 있는 현상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 보다 집중적이고 조직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인근 대학끼리의 협력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이때의 협력체계는 각 대학교에서 일차적으로 공동보존관리실을 설립하고, 여기에다 인근 대학기록관들이 필요로 하는 보존 시설과 장비들을 서로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 북한이탈주민의 재입북과 재탈북 경험에 대한 다중 사례 연구

        박도연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재입북과 재탈북 경험이 있는 북한이탈주민의 상황을 보다 심도 있게 이해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인 다중 사례 연구의 일환으로 재탈북 경험이 있는 5명의 재탈북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진행하였다. 연구에 대한 분석 결과 참여자들의 ‘1차 탈북 동기’는 각자의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치밀하게 계획한 탈북’과 ‘우발적 동기에 의한 탈북’으로 나눌 수 있었다. 연구 참여자들의 탈북 동기는 각자의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났지만, 특수한 배경을 가진 연구 참여자를 제외한 나머지 연구 참여자들은 남한정착 과정에서 공통적으로 가족에 대한 그리움이 가장 큰 힘든 점이었고 북에 남겨두고 온 가족을 데려오기 위해 남한을 이탈했다고 응답하였다. ‘입북 후 생활’에서 자진 입북한 연구 참여자들은 북한에서 칙사 대접을 받으며 사회주의의 우월성을 홍보하는 등 대남공작과 북한체제 선전에 활동에 강요 동원되었다. 대부분의 연구 참여자들은 북에 남겨두고 온 가족을 남한으로 데리고 오기 위해 입북한 것이기 때문에 ‘재탈북 동기’는 공통적으로 가족을 데리고 오기 위함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재탈북민의 1차 탈북동기, 남한이탈 동기, 입북 후 생활, 재탈북 동기 등에 대해 이해함으로써 몇 가지 정책적인 개선 방안을 제언하였고 통일선교와 관련된 몇몇 정책적 함의도 담아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북한이탈주민 관리를 위한 정책당국과 북한이탈주민 선교에 관심이 있는 교회 혹은 선교단체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정리하자면, 본 논문은 기독교 선교활동이 재탈북 북한이탈주민들이 실제로 남한 정착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개선사항을 통해 향후 북한이탈주민의 안정적인 정착에 공헌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situation of North Korean refugees who have re-entered and re-entered North Korea.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five North Korean refugees who had defected to the North as part of a multi-case study,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study, the participants' "first motivation for North Korean refugees" varied depending on their respective circumstances, and could be divided into "densely planned North Korean refugees" and "accidentally motivated North Korean refugees." The motivations of the study participants varied depending on their environment, but the rest of the study participants, except for those from special backgrounds, said that their longing for their families was the most difficult thing in the process of settling in South Korea. Participants in the voluntary study in "Life After Entry" were forced to engage in operations against the South and propaganda of the North Korean regime, including promoting the superiority of socialism by being treated as an imperial envoy in the North. Most of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entered the North to bring their entire family back to the South, indicating that "re-defecting motivation from North Korea" was to bring their families in common. This study suggested several policy improvements by understanding the first and re-defecting motives and experiences for North Korean refugees and also contained some policy implications related to the unification mi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useful information to policy authorities for the management of North Korean refugees and churches or missionary organizations interested in missionary work for North Korean refugees. To sum up, this paper suggests that Christian missionary work can contribute to the stable settlement of North Korean refugees in the future through the difficulties that North Korean refugees face in settling in South Korea.

      • 권력형 성폭력에 대한 정신분석적 고찰 : 가피학 관계를 중심으로

        박도연 한신대학교 정신분석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미투 현상에서 관찰되는 권력형 성폭력의 가해자와 피해자의 가피학적 관계를 정신분석적인 관점에서 진행하였다. 연구자는 성격 진단적인 틀에서 벗어나 프로이트, 카렌 호나이, 낸시 초도로우, 그리고 제시카 벤자민의 이론을 중심으로 가피학적인 관점에서 보이는 가해자와 피해자의 관계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권력형 성폭력에서 가해자와 피해자의 가피학적 요소는 전오이디푸스기와 오이디푸스기에 형성된 성정체성과 연관이 있으며, 가학적인 성격의 구조와 피학적인 성격 구조를 가진 두 대상이 만날 때 발생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권력형 성폭력에 대해 제기한 세 가지 연구 문제를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권력형 성폭력에서 발생하는 가해자의 심리와 그 심리의 기원은 다음과 같다. 가해자는 피해자를 욕동의 대상으로 인식하며, 전오이디푸스기 어머니와의 분리과정에서 어머니를 부정하며 남성으로서의 성정체성을 획득한다. 남아는 초기 어머니에 대한 에로틱한 사랑을 지배성향으로 바꾸며, 모성 및 여성에 대한 평가절하와 어머니의 주체성을 부정하게 된다. 전능감과 에로틱한 지배환상을 갖게 된 가해자는 전형적인 가학적 태도로 여성인 피해자에게 복종을 강요하고 수동적인 존재로 존재하게 만든다. 권력형 성폭력에서 발생하는 피해자의 심리와 그 심리의 기원은 다음과 같다. 여아는 어머니와의 과동일시로 대상의 부정 대신 자기를 부정하며, 어머니로부터 독립하지 못한다. 독립성이 희생된 피해자는 무의식에 복종에 대한 기반을 마련하게 되며, 동시에 책임감 있는 아버지에 의해 보호받고 싶어 한다. 자율성이 파괴된 피해자는 아버지 전이를 일으킨 대상과 더 의존적인 관계를 유지하며 피학적 태도를 유지한다. 피해자가 이러한 양상을 지속할수록 또 다른 성범죄에 노출될 가능성이 크다. 권력형 성폭력의 가피학적인 관계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오이디푸스기의 개별화 과정에서 상호인정의 붕괴로 인해 가해자는 타자의 인정을 왜곡하게 된다. 자기주장과 상호인정의 긴장이 깨진 가피학 관계의 개선을 위해서는 유아와 어머니의 관계에서 어머니가 주체성을 갖는 주체로 거듭나야 한다. 동시에 아이로부터의 절대적인 부정과 무시를 극복하고, 유아의 주장을 인정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상호인정은 결국 대상을 지배하지 않으며 자기 안의 독립성과 의존성의 간극을 좁혀나가게 된다.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psychoanalyze the sadomasochistic relationship between the perpetrator and the victim of power-based sexual harassment cases which can be found in the MeToo movement. The researcher, in lieu of using a personality diagnostic tool, has mainly analyzed the sadomasochistic relationship between the perpetrator and the victim based on the theories suggested by Freud, Karen Horney, Nancy Chodorow and Jessica Benjamin. The sadomasochistic characteristics of the perpetrator and the victim found in power-based sexual harassment cases are related to one’s gender identity which is formed during the preoedipal and oedipal phases, and seem to take place when a subject with a sadistic personality structure and another subject with a masochistic personality structure meet. The three posed research questions with regard to power-based sexual harassment are as follows. The perpetrator’s mentality and its origin in power-based sexual harassment cases are as follows. The perpetrator perceives the victim as a drive; the perpetrator acquires a male gender identity during one’s preoedipal phase as he denies his own mother in the process of separation from his mother. The male infant transforms his erotic affection towards his mother during the early phases into a dominant personality, starts to devalue motherhood and women, and denies the subjectivity of his mother. The perpetrator now has a sense of omnipotence and erotic dominant fantasies with a typical sadistic attitude, and coerces female victims to be submissive and passive. The victim’s mentality and its origin in power-based sexual harassment cases are as follows. The female infant overidentifies herself with her mother, and denies herself in lieu of denying the subject, thus not being able to be independent from her mother. The victim, lacking independency, unconsciously makes room for submission, and simultaneously desires to be protected by a responsible father figure. The victim, with a destroyed sense of autonomy, maintains a more dependent relationship with a subject to whom she has created a paternal transference. The victim, having persisted such a tendency, has a high risk of being a victim of other sexual crimes. What are the means to enhance a sadomasochistic relationship in a power-based sexual harassment? The perpetrator distorts recognition of others, due to the destruction of mutual recognition during the process of individualization in the perpetrator’s oedipal phase. In order to enhance sadomasochistic relationships with a lack of balance between self-assertion and mutual recognition, the mother should have subjectiv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ant and the mother. Simultaneously, the mother should overcome the infant’s denial and disregard, and should be able to acknowledge the child’s self-assertion. Such a mutual recognition eventually results in not dominating the subject and narrowing the gap between independence and dependence within oneself.

      • 리튬이온 이차전지 음극재로서의 팽창흑연 제조 및 전기화학적 특성연구

        박도연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Although the previous studies of high capacity anode materials for Li-ion secondary batteries have focused on increasing amount of LI-ion intercalated, the study of high power anode materials emphasises the intercalation/deintercalation rate of Li-ion in anode material structure. When the expanded graphite having wider layer distance was applied to the anode materials for Li-ion secondary batteries, it was assumed that the intercalation/deintercalation of Li-ion could be done with ease as compared with the case of graphite. In this study, the natural graphite with well developed lamella structure was used to make the expanded graphite and the expanded graphite were prepared by using ammonium peroxodisulfate as an oxidizing agent and a high purity of sulfuric acid as intercalate. As the process variables, the amount of oxidizing agent, the acid treatment time, the heat treatment temperature and time were changed to find out the optimum manufacturing conditions of expanded graphite as the anode materials for Li-ion batteries. With increasing the amount of oxidizing agent, the charge/discharge characteristics of expanded graphite increased up to 8 wt.% and then it decreased with the further the increase. The analysis of SEM, XRD and Raman revealed that the layer structure of graphite was expanded uniformly allowing the easier intercalation/deintercalation of Li-ion until 8 wt.% of oxidizing agent. However the expanded graphite with the oxidizing agent treatment over 10 wt.% content showed that the distance of graphite layer excessively widened differentiating from those with the lower oxidizing agent treatments. When the intercalated samples were heat treated in the range of 800~1200℃ under nitrogen atmosphere, the charge/discharge characteristics was increased until 1000℃, but it was largely decreased with the heat treatment at 1200℃. In this high temperature treatment, the XRD result showed the deteriorated crystallinity. It was speculated that Li-ion intercalation/deintercalation could be inappropriate with the samples heat-treated at 1200℃. When the graphite samples were acid treated during 30~120 min, the charge/discharge characteristics was decreased with the increased acid treatment time. With the increased heat treatment time, the charge/discharge characteristics was improved. Comparing to the both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sulfur content remaining in the graphite influenced on the behavior of Li-ion movement. The charge/discharge characteristic was improved with the decreased sulfur content. After checking the electronic chemical analysis at the different preparing conditions, the optimal conditions were selected as the oxidizing agent of 8 wt.%, with 30 min's treatment and further heat treatment at 1000℃ for 120 min. The sample(A8-t30 T1000-t120) showed the improved charge/discharge characteristics such as 404.3 mAh/g of initial reversible capacity, 90.8 % of discharge rate capability at 10 C-rate, and 38.0 mAh/g of charge capacity at 10 C-rate. However, this expanded graphite still had potential plateaus and showed the decreased initial efficiency(53.7 %) as compared with the natural graphite(71.8 %).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potential plateaus and low initial efficiency, the expanded graphite was composited with the petroleum pitch. The composites were prepared by mixing the expanded graphite with 10 wt.% of oxidization agent and petroleum pitch at the ratio of 1:2. They showed the improved initial efficiency(77.8%) and the definitely decreased potential plateaus maintaining 389 mAh/g of initial reversible capacity. Thus, it was confirmed that expanded graphite had the possibly of application as high power anode materials. 기존 고용량 음극재의 연구는 삽입되는 리튬이온의 양을 늘리는데 중점을 두었다면, 고출력용은 음극재 구조내에서 삽입/탈리가 빠르게 이뤄지게 하는데 있다. 층사이가 이미 넓어진 팽창흑연을 리튬이온 이차전지 음극제에 적용할 때, 리튬이온의 삽입/탈리가 흑연의 거동보다 원활하게 될 것이라는 판단으로 본 연구를 진행 하였다. 팽창흑연을 제조하기 위해 층상구조가 잘 발달된 천연흑연을 이용하였고, 화학적인 방법에 의한 팽창재로 고순도의 황산과 산화제로서 암모늄퍼셜페이트를 이용하였다. 팽창흑연의 제조 조건으로 산처리 시 산화제의 양과 처리시간, 열처리 시 열처리 온도 및 처리시간을 변경하고, 이에 따른 물성 및 구조를 확인하고 전기화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충/방전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산화제의 양을 4, 6, 8 및 10 wt.%로 변화하였을 때, 8 wt.%까지 충/방전 특성이 향상되다가 10 wt.%부터 저하되었다. SEM, XRD 및 Raman 분석 결과로부터 구조적으로 8 wt.% 산화제 처리까지는 리튬의 삽입/탈리가 원활한 흑연층의 변화를 보여준 것으로 판단되었다. 하지만, 10 wt.%의 산화제 처리부터 흑연층의 거리가 과도하게 늘어나는 모습을 보여주며, 4, 6, 및 8 wt.%의 처리 때와는 다른 양상을 크게 나타내었다. 질소분위기의 열처리에서 온도를 800, 1000 및 1200℃로 달리하여 처리하였을 때, 800, 1000℃까지 충/방전 특성이 향상되다가 1200℃에서의 처리온도에서 특성이 크게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구조적으로 보았을 때, 처리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결정성의 저하를 보여주며, 특히 1200℃의 열처리에서 구조적으로 리튬이온의 삽입/탈리에 부적절한 구조가 되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산처리 시 처리시간을 30, 60 및 120 min으로 하였을 때,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충/방전 특성의 감소를 보였다. 열처리 시 처리시간을 30, 60 및 120 min으로 처리하였을 때 처리시간을 늘려줌에 따라 충/방전 특성의 향상을 보여주었다. 두 결과를 비교분석하였을 때, 흑연에 잔존하는 황성분이 리튬이온의 거동에 간섭하는 것으로 확인 할 수 있었고, 황성분이 적어질수록 충/방전 특성이 개선되었다. 여러 제조 조건의 변화에 따라 전기화학적 분석 결과를 확인하였을 때, 최적의 조건으로 8 wt.%의 산화제로 30분 동안 반응시키고, 이후 열처리 온도를 1000℃에서 120 min 동안 처리한 A8-t30 T1000-t120은 404.3 mAh/g의 초기가역용량, 10 C-rate에서 90.8%의 방전출력의 보였고, 10 C-rate에서 38.0 mAh/g의 충전용량을 보여주며 충/방전 특성의 개선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팽창흑연에서도 평탄전위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천연흑연(71.8 %)보다 저하된 53.7%의 초기효율을 보여주었다. 문제가 되는 팽창흑연의 충/방전 특성을 개선하고자 석유계 핏치와의 복합재를 시도하였다. 석유계 핏치와 10 wt.%의 산화제로 처리한 팽창흑연을 1:2 비율로 혼합하여 복합재를 제조 하였을 때, 389 mAh/g의 용량을 가지면서 평탄전위가 눈에 띄게 사라졌다. 또한 77.8 %의 초기효율을 보이며 크게 개선되었고, 팽창흑연의 고출력 음극재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팽창흑연으로서 초기방전용량과 충전용량의 향상은 고출력용 음극제로서 높은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또한, 석유계 핏치와 혼합으로 제조한 복합재를 통해 초기효율 향상 및 평탄전위 특성을 개선하였다. 음극제로서 팽창흑연의 우수한 특성과 개선 가능성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수행되지 못한 연구와 분석이 아쉬웠다. 위 결과를 좀 더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는 많은 연구가 수행될 필요성을 느꼈고, 본 연구 결과가 이 분야의 연구개발에 자그마한 도움이 되길 바란다.

      • 중등 역사 교사 4인의 교육과정 재구성 방법과 의미

        박도연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It has long been argued that history education is desirable to be conducted uniformly nationwide by country. Therefore, teachers usually have not tried that there were difficulties in the curriculum reconstruction in Korea’s contexts under the supervision of the teacher.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the government's biased history education could be carried out through the textbook issuance system and the revision of the curriculum. So it was widely believed that various methods of teaching were needed. Also, due to various changes in the class following social changes, teachers had to naturally curriculum reconstruction. The researcher tried to derive meaning through various experiences of history teachers curriculum reconstruction. Although many factors affecting curriculum reconstruction, teachers are most important. In this study, we discussed the methods and meaning of the curriculum reconstruction through the experience of four teachers performing the curriculum reconstruction. Two middle schools and two high school history teachers were selected to practice curriculum reconstruction. Two middle schools and two high school history teachers were selected to practice curriculum reconstruction. We looked at the history teachers' experience in the curriculum reconstruction through participating observations and in-depth interviews, and thought the results were to derive the meaning of the curriculum reconstruction of secondary school history teachers. The findings are how history teachers do curriculum reconstruction based on their experiences. First, it is reconstruction of the textbook. Curriculum reconstruction took place at a level not exceeding the level of the textbook, and details were to change the order of contents, to shorten the content, and to add the content. Second, It is reconstruction of the combined various subjects. In particular, subjects such as Korean language, music, and art were frequently used, and they were combined with subjects of social studies such as geography, general society, and ethics. Third, it is reconstruction of the trans textbook. This is a reconstruction based on the curriculum. For example, developing their own learning books, developing project classes, and developing and applying new learning models and so on. The followings are reasons of history teachers’ curriculum reconstruction, which were drawn by the researcher. First, curriculum reconstruction is the process in which research participants adapt to a given environment. The environment given to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is the historical trend, introduction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environment for school classes, policies of schools, and influence of fellow teachers and so on. Second, curriculum reconstruction is the process of attempting to try change the class. They hope that it will be a classroom where students attend classes hard and learning takes place. Third, curriculum reconstruction is to develop core skills of students. Fourth, curriculum reconstruction is a process to improve students ' historical thinking skills. Through curriculum reconstruction methods history teachers were encouraged to be active teachers. Teachers have been shown to gain confidence in and actively pursue classes through courses that proceed with classes and change their methods. It also showed increased autonomy for curriculum through curriculum reconstruction. The autonomy of teachers was strengthened in the development of the education process operation plan, oper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changes in assessment methods. In view of these net functions, curriculum reconstruction should be active in the field. For this,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a cooperative school culture that responds to the opinions of teachers who are active in curriculum reconstruction. 역사 교육은 예로부터 국가에 의해 통일적으로 시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주장이 우세하여, 교사의 주관대로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는 것에 대한 어려움이 존재했다. 뿐만 아니라 교과서 발행 제도와 교육과정 개정을 통한 정권 편향적인 역사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음도 확인되었다. 이로 인해 다양한 교수 학습 방법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입장이 확산되었으며 사회 변화에 따른 학교 현장의 다양한 변화에 따라 교사들은 자연스럽게 교육과정을 재구성을 하게 되었다. 따라서 연구자는 역사 교사들의 다양한 교육과정 재구성 방법을 통해 그 의미를 도출해보고자 하였다. 교육과정 재구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많지만, 그 주체가 교사라는 점에서 교사 요인의 중요성이 가장 크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다양한 교수 학습 방법의 변화를 모색하고 교육과정 재구성을 실천하고 있는 중학교 2명, 고등학교 2명의 역사 교사를 선정하여 참여관찰 및 심층면담을 하였다. 중등 역사 교사들이 교육과정을 어떤 방식으로 재구성하는지를 알아보고, 그 방법이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학교 현장의 다양한 고민을 심도 있게 파악하기 위하여 질적 연구 방법을 선택하였다. 연구를 통해 역사과 전체 단원을 통해 이루어지는 역사 교사들의 교육과정 재구성 방법을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를 통해 중등 역사 교사들의 교육과정 재구성의 의미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결과 역사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방법은 세 가지이다. 첫째, 교과서 내용의 재조직이다. 교과서 재구성은 교과서의 수준을 벗어나지 않는 수준에서 재구성이 일어났으며 세부 내용으로 내용 제시 순서 변경, 내용 축약, 내용 추가 등이 나타났다. 둘째, 교과 간 융합이다. 이는 역사 교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교과의 교육과정을 접목하여 수업에 활용하였다. 특히 국어, 음악, 미술 등의 교과가 자주 사용되었으며 지리나 일반사회, 윤리 등 사회교과군의 과목과도 융합이 이루어졌다. 셋째, 탈교과서 재구성이다. 이는 성전적 교과서 관점에서 벗어나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재구성이 일어난 것으로 자신만의 배움책 개발, 프로젝트 수업의 진행, 새로운 학습 모형의 개발과 적용 등을 통해 교육과정 재구성이 이루어졌다. 역사 교사들이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는 이유는 첫째, 변화된 환경에 적응해가는 과정이다. 본 연구에서 역사 교사에게 변화된 환경이란 시대적 흐름,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도입, 학교 수업 환경, 학교의 방침, 동료 교사의 영향 등이다. 둘째, 교육과정 재구성은 교사 스스로 수업에 대한 변화를 시도하는 과정이다. 학생들이 수업에 열심히 참여하고 배움이 일어나는 교실이 되기를 희망하며 교육과정 재구성을 하였다. 셋째, 학생들의 성장을 도모하는 과정이다. 역사 교사들은 학생들의 핵심 역량과 학생들의 역사적 사고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교육과정을 재구성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교육과정 재구성은 역사 교사들에게 다음 두가지로 의미가 있다. 첫째, 역사 교사들은 능동적인 교사로 변화하고 성장하였다. 교사들은 수업을 진행하고 수업의 방법을 변화시키는 과정을 통해 수업에 대한 자신감을 얻고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모습을 보였다. 둘째,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해 교육과정 자율권이 강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교육과정 운영 계획의 수립과 교수ㆍ학습 방법의 운영, 평가 방식의 변화 등에서 교사의 교육과정 자율권이 강화되었다. 이러한 순 기능으로 볼 때 교육과정 재구성은 현장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위해서 교육과정 재구성에 적극적인 교사들의 의견에 호응하는 협력적 학교 문화 구축이 중요하다.

      • 온라인 수업환경에서 대학생의 학습동기가 학업적응에 미치는 영향 : 온라인 사회적 현존감의 조절효과

        박도연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COVID-19로 인해 비자발적인 비대면 온라인 수업을 경험한 대학생의 학습동기가 학업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온라인 사회적 현존감의 조절효과를 밝히는 것에 목적이 있다. 우선 기존의 오프라인 학습환경에서 성공적인 학업적응에 미치는 변인으로 알려진 학습동기와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온라인 수업환경에서도 이가 적용 가능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오프라인 학습환경과 온라인 학습환경의 차이로 인해 대학생들은 혼란과 학업 스트레스를 겪으며 학업에 대한 부적응을 호소하고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학습동기를 증진시키고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참여자 간의 심리적인 거리감을 좁히면서 학업적응을 돕는 심리적인 요인으로 온라인 사회적 현존감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COVID-19의 발생 이후 온라인 학습을 경험해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고, 온라인 설문지의 형태로 배포 후 자료를 수집하였다. 모집된 인원은 총 603명으로 이중 불성실 응답 10부를 제외하고 593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프로그램은 SPSS 25.0을 이용하였으며, 변인 간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학습동기가 학업적응에 미치는 영향과 온라인 사회적 현존감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학습동기, 학업적응, 그리고 온라인 사회적 현존감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자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음이 검증되었다. 둘째, 학습동기가 학업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 온라인 사회적 현존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학습동기와 학업적응 간의 관계에서 온라인 사회적 현존감과 5가지 하위요인(사회적 존중, 사회적 공유, 열린 마음, 사회적 정체성, 친밀감)은 정적으로 조절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온라인 사회적 현존감은 학습동기가 학업적응에 미치는 정적인 영향을 높여주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즉, 학습동기가 학업적응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온라인 사회적 현존감이 증가시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온라인 사회적 현존감의 하위요인중 친밀감과 사회적 존중 영역에서 조절효과가 큰 것으로 검증되었다. 셋째, 학습동기와 온라인 사회적 현존감의 수준이 높을수록 학업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학습동기와 온라인 사회적 현존감이 낮을수록 적응에 대한 질적인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평균을 기준으로 학습동기와 온라인 사회적 현존감을 고·저 집단으로 분류하여 조절효과의 차이를 살핀 결과, 학습동기의 고·저 집단 모두에서 온라인 사회적 현존감이 높을수록 적응의 증가율이 높아짐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함의를 지닌다. 첫째, 온라인 사회적 현존감이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학습동기를 높이고 학업적응을 이뤄낼 수 있는 조절 변인이라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는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원활한 학업적응을 위해서 학습동기, 온라인 사회적 현존감의 향상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둘째, 온라인 학습환경에서의 적응을 위해 친밀감과 사회적 존중의 향상이 중요함을 밝혔다. 이는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참여자들 간 개인적인 경험을 공유하고 적시에 응답하는 것이 심리적 거리감을 좁히는 방법임을 시사한다. 셋째, 학습동기의 저하로 인해 학업적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도움이 필요한 대학생들을 위한 상담 및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에 있어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제언을 논의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figure out the moderating effect of online social presence in online environment between motivation and academic adjustment. First of all, this study confirms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motivation which is known to be a variable that affects academic adjustment success in the existing offline learning environment. In addition, since it has difference between the offline learning environment and the online learning environment, university students are complaining of academic maladjustment.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this study explores the moderating effect of online social presence as a psychological factor which improves the learning motivation and helps the participants narrow the psychological distance between them i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This study was conducted on university students who experienced online learning after the COVID-19 outbreak, and the survey materials were distributed in the form of online surveys and 603 answers were collected. It has 10 dishonest answers, so only 593 survey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is study were analyzed through the SPSS 25.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earson’s correlation with the variables was examined. In online environment, learning motivation shows a static correlation between online social presence and academic adjustment. Online social presence shows a static correlation between academic adjustment. Second, the moderating effect of online social presence wa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z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djustment. As a result, that the positive impact of learning motivation on academic adjustment increases online social presence. Third, qualitative differences in academic adjustment were revealed according to the level of online social presence in the group that feels low learning motivation and the group that feels high learning motivation. In other words, the more students feel the learning motivation and online social presence, the more adaptive they are to their studies. And the less students feel the motivation and presence of learning, the more maladjusted. The above results have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it is confirmed that online social presence is a regulator which can improves the motivation and adapts to learning in a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This suggests that learning motivation and online social presence should be improved in order to adapt smoothly to the online learning environment. Second,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a basic material for counseling and educational program development for university students who have difficulty adapting to their studies or need help in adapting to their studie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discusses th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 동산 · 부동산 이중매매와 배임죄 : 민사법과의 조화를 중심으로

        박도연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Korean Supreme Court gave a judgment which the double transaction to the real property comes under Art. 355 paragraph 2 of the Criminal Code, namely Misappropriation. Recently Korean Supreme Court gave a judgment(2008Do10479) which the double transaction to the movable property does not comes under Art. 355paragraph 2 of the Criminal Code, namely Misappropriation. My opinion, the application of the theory of betrayal must be done equally to the both the real property and the movable property. because The real property and the movable property are same in essential respect. Namely both are thing of the an object of the real right. And claim and preferential effect as real right are equally recognized both at the real property and the movable property. Also Anyone who purchase either the real property or the movable property expected value to take over the ownership even after he already paid the arrears or halfway money as well the deposit to the seller. And the structure of the double transferor to the movable property is similar with the double transferor to the real property. But Korean Supreme Court’s reasoning on punishment of “double selling of real estate” as a breach of trust under the Korean Criminal Code(Article 355 paragraph 2) has been criticized recently by some legal scholars and even by some Supreme Court Justices in other related Supreme Court rulings The opposing argument is that cooperative obligation of real estate registration is not first buyer’s business but seller’s own business and the breach of it leads only to the civil responsibility. However, seller’s breach of cooperative obligation of real estate registration is infringement of first buyer’s expectation for the real right of the object when he or she makes a intermediate payment. First buyer who already paid considerable amounts of money for the real estates which he or she originally wanted to buy lies on the inferior status compare to the seller and he or she could not be fully compensated by just being paid the same amount of money because market value of the real estate in Korea fluctuates so often. In addition, the obligation of real estate registration itself has its own normative meaning in that without it, and without cooperation of the seller, the buyer cannot obtain fully effective property right of real estate in Korea. That is why the breach of cooperative obligation of real estate registration cannot be just default of obligation. Decriminalization of “double selling of real estate” could cause chaos in real estate market in Korea. Prudential review should be preceded before quashing the Supreme Court existing rul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