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권침해를 경험한 초등학교 교사의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박기남 호남신학대학교 특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47

        교권침해를 경험한 초등학교 교사의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박기남 상담심리학과 호남신학대학교 상담대학원 본 연구의 목적은 교권침해를 경험한 초등학교 교사의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관계에 대해서 알아보고, 스트레스가 우울의 관계에 있어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데 있다. 연구목적을 이루기 위한 연구문제는 첫째, 교권침해를 경험한 초등학교 교사의 스트레스, 우울, 자기효능감 사이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둘째, 교권침해를 경험한 초등학교 교사의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자기효능감은 매개효과가 있는가? 로 선정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전국에 소재한 초등학교 교사 200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통해 교권침해 경험으로 인한 스트레스, 우울, 자기효능감의 정도를 측정하였으며, 이 중 교권침해를 경험한 교사 168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교사들 중 73.82%가 여성이었으며, 30-39세 연령대에서 가장 많은 참여가 이루어졌다. 교육 경력은 10년 이상에서 20년 미만인 교사들이 가장 많았고, 학교 규모는 36개 이상의 학급을 가진 교사들이 가장 많았다. 학급 당 학생 수는 주로 21명 이상이었고, 대부분이 담임 교사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다. 또한 대부분의 학교가 도시에 위치하였고, 학사 학위를 보유한 교사들이 많았다. 결혼 여부에서는 기혼 교사가 미혼 교사보다 많았으며, 기독교가 가장 많은 종교로 나타났다. 심리 상담 경험은 31.5%의 교사가 경험이 있었다. 교사들이 주로 스트레스를 받는 원인은 학부모에서 나타났으며, 스트레스 해소 방법 중 가장 흔한 것은 취미 활동이었다. 교사들은 스트레스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기보다는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자아효능감은 평균 대비 자신감과 과제 난이도에서 낮은 결과를 보였지만, 자기조절효능감은 평균보다 높아 전체 자아효능감 점수에서 자기조절효능감의 비중이 높았다. 우울에 대한 평균 점수는 41.9점으로 나타났다. 나이에 따른 스트레스 차이를 조사한 결과, 20-29세 그룹과 30-39세 그룹은 50세 이상 그룹보다 높은 스트레스를 경험하였다. 교육 경력에 따른 스트레스 차이에서는 10년 미만 교육 경력 그룹이 20년 이상 교육 경력 그룹보다 높은 스트레스를 보였다. 직위에 따른 스트레스 차이에서는 담임 교사 그룹이 관리자(교장, 교감) 그룹보다 높은 스트레스를 경험했다. 결혼 여부에 따라서는 미혼 교사들이 기혼 교사들보다 높은 스트레스 수준을 보였다. 심리 상담 경험에 따른 스트레스 차이에서는 6회 이상 심리 상담을 받은 그룹이 심리 상담 경험이 없거나 1회로 응답한 그룹보다 높은 스트레스를 경험했다. 또한 6회 이상이 1회로 응답한 그룹보다 높은 스트레스를 보였다. 그리고 교육권을 침해받은 초등학교 교사들의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전체 자기효능감이 일부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 중 하나인 자신감은 교육권을 침해받은 초등학교 교사들의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서 일부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효능감의 다른 하위요인인 자기조절 효능감과 과제 난이도 선호도 역시 교육권을 침해받은 초등학교 교사들의 스트레스와 우울 간의 영향에서 일부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된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제언하자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실천적 제언으로는 첫째, 교사의 교권 보호 및 강화를 위해 정책을 개정 및 수립해야 한다. 둘째, 교사 복지 및 지원 체계를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정기적인 심리 상태 평가 및 모니터링을 시행해야 한다. 넷째, 교육 커뮤니티 및 네트워크 지원을 해야 한다. 다섯째, 멘토링 및 동료 지원 프로그램을 마련한다. 여섯째, 정서적 지원을 위한 정기적인 모임 및 워크숍이 필요하다. 정책적 제언으로는, 첫째, 교권 보호 및 강화를 위한 정책 개정과 수립이 필요하다. 둘째, 교사 복지 및 지원 체계 강화가 필요하다. 셋째, 정기적인 심리 상태 평가 및 모니터링을 실시해야 한다. 넷째, 교육 커뮤니티 및 네트워크 지원이 필요하다. 다섯째, 직무 스트레스 관리를 위한 정책 개발이 필요하다. 여섯째, 교육정책 결정 과정에서 교사의 참여 증진해야 한다. 일곱째, 교사 전문성 강화 및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 여덟째, 학생과 학부모의 인식 개선을 위한 연수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아홉째, 학교 환경 개선 및 안전한 교육 환경 조성을 위한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 제언들은 현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환경과 교사의 복지에 대한 더 깊은 이해를 촉진하고, 관련 분야의 연구 및 정책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초등학교 교사, 교권침해, 스트레스, 우울, 자기효능감

      • 도시공원녹지 정책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도시공원녹지 면적의 적정성을 중심으로

        박기남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평생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has the purpose to compare and research the conditions of domestic and overseas urban green area policy, systems, and park green areas, and based on these results induce development directions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methods for park green area policies in Korea. This thesis also examined domestic and overseas examples of park green area size standards and target levels, and studied appropriate area size by reviewing with focus on 7 capital and metropolitan cities in Korea. And now, the followings are major problems and improvement suggestions for park green area policy in Korea from domestic and overseas examples. First, the park green area systems in Korea are largely focused on the functions as land utilization and city planned facilities rather than functional improvement as open space. Considering the functions as modern cities that pursue sustainability with emphasis on atmosphere, energy, and ecological self supplying and circulation, the role of park as infrastructure is also important, but the function of strengthening the environmental capacity that can heighten ecological health and reduce urban counteractions like pollutions, etc will need be emphasized. Second, in the standpoint of landscape whose importance are rising recently, Korea still has insufficient landscape on park green area. The reality is that urban basic plans are established separately from park green area plans and landscape plans, and also in organizing and managing parks, no significant considerations are given to landscape. Third, through expansion of cities by integration of city and forest region, many forests are incorporated into city area, and via city planning, forest areas were converted to green space purpose area. In other words, in spite of conversion of former simple forests to urban forest in their roles and functions, no appropriate managerial models have been developed yet. Not much considerations are given in establishing policies to efficiently utilize the functions of urban forests in the suburbs where population densities are low and environments are comparatively well managed, rather than unnecessarily holding on to urban centers where populations are so dense and environments are deteriorated through expansion of city. Fourth, in organizing and managing park green area, participation of citizens are low and institutional grounds to utilize them are so weak. Fortunately enough, the system for green area utilization contract and afforestation contract is enacted by 'Urban Park, Green Area, etc Act' of which operative part was revised in 2005, however still there is task left to adapt it to the circumstance in Korea. To improve the institution for the enhancement of urban forest functions and development directions, following suggestions are given. First, complements need be made on urban green area systems in a way to advance from the current land utilization to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improvement. Secondly, by further associating city plan and landscape plan, more of the urban open spaces need be made available. Thirdly, green spaces need be further associated with urban forests that serve as green source in urban area rather than operate only some limited park green area by city plan facilities. Fourthly, considering the eventual role of urban green area to organize comfortable living environment for urban citizens and let them conveniently use and benefit from those environment, participations of citizens in organizing and managing urban green area need be encouraged. 본 연구는 국내/외 도시녹지 정책과 제도, 공원녹지 실태를 비교 연구하고 이를 토대로 우리나라 공원녹지정책의 발전방향과 제도개선 방안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공원녹지 면적기준과 목표량에 대하여 국내/외 사례 등을 통하여 살펴보고 우리나라 특별시/광역시 7개 도시를 중심으로 검토하여 그 적정면적을 고찰하였다. 먼저 국내/외 사례를 통해 비교 연구한 우리나라 공원녹지정책의 주요 문제점과 그 개선을 위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의 공원녹지제도는 오픈 스페이스(open space)로서의 기능 증진보다는 토지이용과 도시계획시설로서의 기능에 초점이 맞춰져있다. 대기와 에너지, 생태 측면의 자족과 순환을 중시하는 지속가능한 도시를 지향하는 현대도시의 기능을 고려할 때 기반시설로서의 공원의 역할도 중요하지만 그 본래적인 기능은 생태적인 건전성을 높이고, 공해 등 도시의 역작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환경용량 강화 기능이 강조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최근에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경관 측면에서 볼 때도 우리나라는 아직도 공원녹지의 경관 기능은 취약한 편이다. 실제로도 도시기본계획은 공원녹지계획과 경관계획을 별도로 수립하고 있으며, 공원을 조성하고 관리하는 측면에서도 경관에 대한 고려는 미흡한 실정이다. 셋째, 도/농 통합시 탄생과 도시의 확장으로 인하여 많은 산림이 도시지역에 편입되고 있으며, 도시계획을 통하여 농림지역이 녹지지역으로 용도지역이 바뀌었다. 즉, 종래의 단순 산림에서 도시림으로 그 역할과 기능이 전환되었음에도 이에 합당한 관리 모델이 발달하지 못하고 있다. 도시의 확장 과정을 통해 인구가 밀집하고 환경이 가장 악화된 도심보다는 인구밀도가 낮고 비교적 양호한 환경이 유지되고 있는 도시 외곽지역의 도시림의 기능을 잘 활용하는 정책적 고려가 부족한 것이다. 넷째, 공원녹지를 조성하고 관리하는 과정에서 시민참여가 매우 낮고, 이를 활성화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도 취약한 편이다. 다행히 2005년 전문 개정된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에서 녹지활용계약 및 녹화계약제도가 도입되었지만 우리의 실정에 맞도록 정착하는 과제가 남아 있다. 앞으로 도시녹지의 기능을 높이기 위한 제도적 개선점과 향후 발전방향에 대한 정책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녹지에 관한 제도가 현재의 토지이용계획 중심에서 생태적, 환경적기능을 제고하는 방향으로 보완되어야 한다. 둘째, 도시계획 및 경관계획과의 연계성을 높여 도시 오픈 스페이스(openspace)의 기능을 다양하게 발휘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셋째, 도시계획시설로서의 공원녹지뿐만 아니라 도시지역내 산림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도시림과의 연계를 강화하여야 한다. 넷째, 도시녹지의 궁극적인 기능은 도시민의 쾌적한 생활환경을 조성하여 주민들이 편리하게 이용하고 그 혜택을 누리도록 하는데 있다는 측면에서 도시녹지의 조성 및 관리에 시민참여를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

      • 로마서 5-6장 담화분석 : Systemic- Functional Linguistics 모델 적용

        박기남 총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로마서를 연구하는 학자들은 로마서에 대하여 역사적 시대의 흐름에 따라 다양한 신학적 주제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로마서는 그 다양한 신학적 주제들을 동등한 중요성과 비중으로 강조하는 기독교 교리 모음집이 아니다. 오히려 로마서는 특정한 상황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목회 서신이다. 즉, 로마서는 특정한 상황에서 저자 바울이 독자인 로마 교회에 전달하고자 하는 자신의 특정한 주제와 의도를 담지한 사회적 의사소통 사건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텍스트의 언어학적 분석방법인 담화분석의 체계적-기능적 언어학(SFL) 모델 방법론을 적용하여 로마서 5-6장의 중심 주제와 의도를 파악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은 먼저 로마서 5-6장의 중심 주제에 대한 기존 연구를 조사하였다. 기존 학자들은 교리적인 권면이나 충고의 관점과 학자들이 처한 사회적 상황의 관점 그리고 바울과 이스라엘의 과거의 상황의 관점에서 로마서 5-6장의 중심 주제를 연구하였다. 또한, 일부 학자는 로마서를 기록한 당시의 역사적 정황은 고려하였으나, 로마서의 5-6장의 중심 주제와 정황의 일관성에 대한 고려는 미흡하였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담화의 문맥적(co-textual) 차원과 정황적(contextual) 차원을 고려하는 담화분석의 SFL모델 방법론을 활용하여 본문을 분석하였다. SFL모델은 담화의 본문의 기능(textual metafunction)을 제시하고, 텍스트를 수평적으로 조직화하는 응집적인 연결 지표들과 수직적으로 조직화하는 현저성의 지표들을 분석한다. 응집적인 연결은 접속사 등에 의한 유기적 연결과 언어적 요소에 의한 구성요소적 연결이 있다. 현저성의 지표에는 동사의 시제 형태, 법, 태, 그리고 인칭과 수와 같은 어휘-문법적 체계의 유표성과 의미론적 강조의 지표가 있다. 그리고 현저성은 담화의 상대적이 배경(background)과 주제(theme) 그리고 초점(focus)을 나타낸다. 본 논문은 SFL모델 방법론을 적용하여 로마서 5-6장의 co-text와 context를 분석한 결과 로마서 5-6장의 중심 주제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5장의 중심 주제는 하나님의 은혜와 하나님의 사랑의 표현인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이라는 의로운 행위는 아담의 범법행위가 모든 사람에게 가져오는 죽음이라는 유죄 선고의 결과를 뛰어넘어 최종적으로 완성된 축복의 시기의 영원한 생명을 가져오는 무죄 선고의 결과를 가져온다는 것이다. 6장의 중심 주제는 우리가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과 같은 공동의 경험에 참여하여 본질이 변화되는 새로운 상태가 되었다면, 우리는 죄의 세력에 묶여있던 속박으로부터 풀려난 상태가 되었다. 그러므로 우리는 죄의 세력에 대해서는 죽은 자로 간주하고, 하나님의 유익을 위하여서는 살아가는 자로 간주하라는 명령이다. 그리고 5-6장의 논증의 결론은 죄의 세력에 공헌한 수고에 대한 보상은 영원한 죽음이지만, 하나님의 자비로운 호의로서의 선물인 예수 그리스도의 의로운 행위의 결과는 최종적으로 완성된 복된 시기의 영원한 생명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로마서 5-6장의 핵심적 중심 주제는 “영원한 생명”으로 귀결된다. 바울이 “영원한 생명”이라는 핵심적 중심 주제를 제시하는 의도는 다음과 같다. 우리가 아담의 범법 행위의 결과로 모든 사람에게 들어온 영원한 죽음의 속박으로부터 벗어나서 “영원한 생명”에 이를 수 있는 유일한 길은 오직 하나님의 은혜로운 사랑의 표현인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죽음이라는 의로운 행위뿐이다. 즉, “영원한 생명”에 이르는 길에는 어떠한 인간적인 요소도 전혀 개입되지 않는다. 따라서 바울의 의도는 하나님의 구원 역사에 있어서 유대인과 이방인 사이의 장벽인 할례의 시행과 율법 행위의 준수를 폐지함으로써 그리스도의 교회 안에서 하나로 연합시키려는 것이다. 본 논문이 제시하는 “영원한 생명”이라는 중심 주제와 의도는 로마 교회의 정황과 바울의 정황과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있다. 즉, 로마 교회의 정황은 유대인과 이방인 사이의 할례의 시행과 율법의 준수로 인한 교회내부의 분열과 갈등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고, 바울의 정황은 서바나 선교 사역을 위하여 로마 교회가 후원할 수 있도록 설득하고 이방인과 유대인 모두를 포용할 수 있는 복음에 대한 소개와 논증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논문은 로마서의 정황 즉 바울의 정황과 로마 교회의 정황과 일관성을 유지하는 로마서 5-6장의 중심 주제와 의도를 밝혔다. 아울러 본 논문이 채택한 담화분석의 SFL모델은 텍스트의 co-text와 상황적 context의 일관성을 유지하는 저자의 중심 주제와 의도를 바르게 해석하는 방법론임을 입증하였다. ABSTRACT Scholars who study Romans have presented various theological themes for Romans according to the flow of historical times. However, the Book of Romans is not a collection of Christian doctrine that emphasizes its various theological themes with equal importance. Rather, Romans is a pastoral epistle that is closely related to a particular situation. In other words the book of Romans is a social communication event in which the author Paul conveys a specific theme and intention to its readers at church of Rom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grasp the central theme and intention of Romans 5-6 by applying the systematic-functional linguistics (SFL) model methodology of discourse analysis. This thesis first investigated the central topic of existing studies on Romans 5-6. The central themes presented by scholars previously were studied from the viewpoint of doctrinal exhortations or advice, in the context of the scholars' social situation, and from the historical perspective of Paul and Israel. Although the scholars considered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book of Romans, their studies were found to be inconsistent with respect to the central theme and the historical context. As a solution this thesis analyzed the text using the SFL model methodology of discourse analysis that considered the co-textual and contextual level of discourse. The SFL model presents the textual metafunction of the discourse. The textual metafunction analyzes the cohesive connection indicators that organize the text horizontally and the prominence indicators that organize the text vertically. There are two types of cohesive connection: An organic connection connected by conjunctions. and a component connection connected by a linguistic element. Prominence indicators include both the lexical-grammatical system, such as the verb forms (tense, mood and voice) and the frist, second and third person pronouns, and the indicators of semantic emphasis. In addition prominence represents the background, theme, and focus of the discours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text and context of Romans 5-6 by applying the SFL model methodology, this thesis suggests the central theme of Romans 5-6 as follows: The central theme of Chapter 5 is that the righteous act of the death of Jesus Christ, which is an expression of God's grace and the love of God, goes beyond the condemnation consequences of Adam's transgression of death for all. It brought the final verdict of acquittal offering the eternal life upon the completion of God’s Kingdom. The central theme of Chapter 6 is that when we enter our transgression via participation in the experience of the death of Jesus Christ, we are set free from the bondage of the power of sin. Therefore, we are commanded to regard ourselves as dead from the power of sin and alive to the good of living God. The argument in chapters 5-6 concludes that the reward for the effort contributed to the power of sin is eternal death, whereas, the result of the righteous deed of Jesus Christ, the gift of God's merciful favor, is eternal life in the final consummation of blessed times. Thus, the central central theme of Romans 5-6 boils down to “eternal life.” Paul’s intention of presenting the central central theme of “eternal life” is as follows. It is only through the righteous act of Jesus Christ's death on the cross that we are freed from the bondage of eternal death, which came to all men as a result of Adam's transgression, and attain “eternal life”. The human factor is never involved in the path to “eternal life.” Therefore, Paul's intention is to unite the congregation of the church of Rome by abolishing the practice of circumcision and observance of the law, which are barriers between Jews and Gentiles in God's salvation history. This thesis proves that the central theme and the intentino of “eternal life” are consistent with the context of Paul and the church of Rome. In other words, the context of the Roman church is to resolve division and conflict between Jews and Gentiles due to its practice of circumcision and observance of the law. The context of Paul is to present an introduction and demonstration of the gospel that can embrace both Gentiles and Jews for the mission ministry in Spain. This thesis reveals the central theme and intention of Romans 5-6 which maintain consistency with the situations of Paul and the Roman church. In addition, this thesis proved that the SFL model of discourse analysis is a methodology which can correctly interpret the author's central theme and intention in maintaining the consistency between the co-text context and the situational context of the text.

      • 특발성 안면마비 예후인자에 대한 후향적 통계분석 : A Retrospective Statistical Analysis of Prognostic Factors of Idiopathic Facial Palsy

        박기남 대전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특발성 안면마비 환자의 예후인자에 대한 후향적 통계분석 연구목적 : 본 연구는 2015년 대전대학교 부속 둔산한방병원에서 입원치료받은 특발성 안면마비 환자를 대상으로 안면마비에 영향을 미치는 임상적 예후인자를 후향적 통계 분석을 통하여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2015년에 대전대학교 부속 둔산한방병원에 입원한 특발성 안면신경마비 환자에 대하여 환자에 대한 변인과 치료적 변인을 조사하였다. 조사된 의학적 자료를 IBM SPSS ver24.0을 이용하여 독립표본 T 검증, 분산분석(ANOVA), 단순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 1. 발병 초기 마비정도는 연령과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으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초기 마비정도가 심했다. 2. 입원 치료 후 마비정도는 연령, 고혈압, 공복혈당(FBS)과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으며, 수치가 높을수록 안면마비 회복이 느렸다. 한방병원에서 치료받은 횟수와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으며, 치료횟수가 많을수록 안면마비 회복이 빠른 경향이 있었다. 3. 1년 뒤 마비정도는 연령, 고혈압, 당뇨, 공복혈당(FBS), 초기 마비정도와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으며, 수치가 높을수록 안면마비 회복이 느렸다. 결론 : 연령, 발병계절, 고혈압, 당뇨, 공복혈당(FBS), 초기마비정도, 한방병원에서 치료횟수는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으며, 한방병원에서의 치료만 횟수가 증가할수록 안면마비 예후와 긍정적(+) 상관관계를 가졌고, 나머지 항목은 수치가 높을수록 안면마비 예후와 부정적(-) 상관관계를 가졌다. 성별, 마비방향, 음주, 흡연, 안면마비 과거력, 발병계절, 총 치료 횟수 및 BC, CBC, UA 항목은 안면마비 예후와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 제품디자인에 나타나는 유머 표현에 관한 연구 : 주방 용품을 중심으로

        박기남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디지털 세상이 펼쳐지고 아무리 세상이 빨리 변화한다 해도 변하지 않는 인간 내면에는 유희라는 감성이 존재한다. 이제 사실적이고 복잡한 것에 더 이상 감성을 느끼지 못하는 오늘날의 소비자들은 웃음과 여유로움을 느낄 수 있는 디자인을 요구하며 제품의 특성만으로 만족하는 것이 아니라 감성을 만족시켜 주는 제품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유머'는 복잡한 현실을 실소로 웃어넘길 수 있는 순간의 여유를 줄 수 있다. 따라서 스스로 즐거움을 찾고자 고심하는 현대인들에게 기능적인 측면은 물론 감성적인 측면까지 고려해 주는 디자인 제품들은 현대인을 위한 세심한 배려이며 제품의 소비를 극대화하는 가장 강력한 요인 중의 하나가 유머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유머적 표현은 현대 디자인에 있어서 놓쳐서는 안 될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이미 여러 선행연구를 통하여 디자인에 있어서 유머 요소의 도입에 대한 효용성이 증명되어 디자인 요소로서의 중요성이 인식되고 있지만, 그 표현에 있어서는 직관에 의존하는 경우를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유머'을 키워드로 하여 제품 디자인에 나타나는 유머 발생 요소와 그 표현방법은 무엇인지 분석하고, 내용과 의미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각 연구는 문헌 조사와 발생 배경, 사례 분석, 유형 분류 및 분석으로 순차적으로 진행되며, 도출되어진 결과를 종합하고 재해석함으로써 유머 요소의 발생과 그 표현하는 방법이 구체화되어 전달되도록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우선 제품디자인과 유머 요소를 논하기 위해 유머 요소가 확산된 배경에 대해서 기술한다. 그리고 유머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문헌을 통하여 유머 일반에 관한 이론적 개념과 특성을 정리하고 유머가 깃들여 있는 사례를 바탕으로 하여 ⓐ 해학(Humor), ⓑ 기지(Wit), ⓒ 풍자(Satire), 그리고 ⓓ 반어(Irony)로 유머 유형을 제시, 분류하였다. 3장에서는 유머 표현 방법으로 과장과 축소, 왜곡과 단순화, 이질적 요소의 도입 등의 형태적 ⓐ 부조화적 접근과 순간 눈에 와서 닿는 자극만이 아닌 그 이상의 내용, 기능, 재질, 그래픽 등에 의한 ⓑ 연상적 접근, 마지막으로 해체나 엽기 등이 유머러스한 요소로 작용된 ⓒ 그로데스크한 접근으로 구분하였다. 4장에서는 분석으로 도출된 요소를 바탕으로 인체를 소재로 한 주방 용품의 사례에 있어서 유머 표현 유형을 설문조사를 통하여 비교분석하고 그 내용과 상관성을 밝히는 장으로, 첫째 부조화적 접근 표현은 ⓐ 과장과 축소, ⓑ 왜곡과 단순화, ⓒ 이질적 요소의 도입 등으로 구분하여 분석한다. 둘째 연상적 접근 표현으로는 제품이 담고 있는 ⓐ 내용 ⓑ 기능, ⓒ 재질, ⓓ 그래픽 등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세 번째 분류는 그로테스크한 접근에 의한 표현으로 ⓐ 해체, ⓑ 엽기로 분류하고 제품 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기술하였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유머 표현 요소를 도입하여 제시된 제품의 유머적 표현을 입증하기 위하여 위에서 분석한 것들이 구체적으로 실천되기 위한 방법을 구체화시켜 최종 Prototype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디자인의 여러 표현 방법 중에서 유머를 주제로 한 표현 방법을 찾아보는 연구로, 감성적 디자인을 위한 유머러스한 표현과 적용 방법에 관한 연구는 더욱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제품 디자인에 있어서 디자인의 또 다른 해석으로 기대한다. All men have a humor in a mind. The digital world stretches as for the feelings to be called a humor, and the world turned into quickly, running out exists in human heart. That is true, and a consumer cannot feel sensitivity in complicated thing any more any more. Consumers of the day request a design to be able to feel being to laughter and room, consumers are showing their trend to prefer the product which it is not to be satisfied, and satisfy a sensitivity of a consumer with only a characteristic of a product. A humor can give laughter to a consumer with an enemy immediately. And what they can hand over to consumers must give that they goes for happiness on the abrupt laughter that they cannot control in this situation. The functional side and sensitivity must give the side that let there be a few them to the modern people who take pains in order to find pleasure in person. It is the strongest force these things are cautious considerations for modern people, and to maximize consumption of a product. These things are just humors. Therefore, a humor enemy expression is highlighted with the element that you must not miss in a modern design. Utility about introduction of a humor element was already proved in a design through a lot of preceding study. It was proved importance as a design element was recognized, to thing the humor. We can read a case to depend on an external aspect for in the expression. It is the humor occurrence it is made 'humor' a key word, and to appear with a product design and looks up a cow in study to have read in this. I studied what the expression way was on analysis and contents and meaning. Each study is proceeded by documentation and occurrence background, reward analysis, tangible classification and analysis in order, and it is repeatedly so that a way to express occurrence and him of a humor element with what humor synthesizes the drawn results, and reinterpret humor is delivered on embodiment. First of all it is a product design and a humor and recognizes relation of a cow in a Chapter 2 and recognizes occurrence background of a humor. Also, chapter 2 straightened up the theoretical concept and characteristic that a humor was general through a lot of materials in order to help understanding of a humor, and a humor based on the reward that was collars, and presentation classified a humor type into ⓐ Humor, ⓑ Wit, ⓒ Satire, and ⓓ Irony. Three configuration recognizes exaggeration and reduction, distortion and forms such as simplification, introduction of a heterogeneous element with a humor expression way. It is not only a stimulus it comes to ⓐ disharmony enemy approach and moment snow, and to touch, and it is contents more than him. Dismantling or bizarre is for it to have been worked with a delight element by a function, materials, graphic by ⓑ association enemy approach , the last that partitioned off ⓒ grotesque approach. I recognize a reward of the kitchenware which did a human body with a material with a base with an element drawn by analysis in a Chapter 4. With analysis comparative through a humor expression tangible inquiry, clarifies the contents and a correlation. A first disharmony enemy approach expression classifies them into reduction, ⓑ distortion and simplification, introduction of a ⓒ heterogeneous element with ⓐ and a chapter and analyzes. It is the ⓐ contents that a product is making in the second association enemy approach expression. In this thesis classified a ⓑ function, ⓒ materials, ⓓ graphic and analyzed and, finally, thesis classified classification into ⓐ dismantling, ⓑ bizarre in an expression by approach three times and analyzed a product reward to the center and described them. Finally, I proved humor a few expression of the product which introduced a humor expression element in a Chapter 5, and was presented. What that analyzed for proof studied a way for it to be practiced concretely, presented Prototype by the last. I looked for an expression way to have held a humor in the subject among a lot of expression ways of a design in this study. An amusement expression for a sensitivity enemy design and study about an application way must be more consistently performed. Another interpretation of a design expects to be investigation in a product design in the future.

      • InGaN/GaN 발광 다이오드에서 압전 전기장 효과와 인듐 국소화 효과 분리

        박기남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InGaN/GaN LED에서 가장 주목 받는 활성층 특이성은 크게 강한 압전 전기장의 존재와 인듐 뭉침 현상으로 인한 운반자 국소화 현상을 들 수 있다. 이 두 가지 효과 모두 발광 피크 에너지가 청색으로 이동하는 영향을 주게 된다. 또한 이 두 가지의 효과는 서로 겹쳐서 나타나므로 어떤 효과가 발광 피크 에너지 변화에 더 크게 기여하는지 정확히 알 수 없다. 현재까지도 여러 연구기관이나 연구팀에서도 두 효과를 정확히 분리하여내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발광 피크 에너지 변화에 영향을 주는 압전 전기장에 의한 효과와 인듐 뭉침 현상의 효과에 대해 정확히 분리하는 연구를 진행 하였다.

      • 골프선수의 보증광고 활동에 대한 인식이 브랜드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통한 전략적 제안

        박기남 공주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nvestigates about activity and how to affect the brand image of an enterprise by activity according as the golf marketing is rising among the marketing communication in sports sponsor-ship. This study use own entry questioner that 223 customers of golf club in K do D city and C do K city answered it. For more in detail, this study analyzes the difference and relation of factors by using SPSS 14.0 version and executing t-test, one way-ANOVA.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first, customers are interested in the logo attached tools or clothes of golf players, especially "a cap" and "a breast" is most impressive ever. This study find out that there might be differences advertisement effects between male and female players in case of "a breast", and "belt" is embossed at the front side whenever they do the specific action like address , finish, so it might need new conspicuous logo, so compare with the previous logo position and what differences there are between previous logo position Also customers gets information of golf through TV, so the exposure time of TV and broad cast are the best way to rise the effect, in addition using offline ad, it might be better. Secondly, about 30 and 40 years old customers affect the brand image of an age much more than about 20 years old customers, because they are the main character of society in economic and social. So enterprises need to support a variety of scholarship to the younger generation who enjoy playing golf, also an original, novel and quite a new impression on ad strategies could expand the existing image of the younger generation. Third,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ose who possess attainments of the university and lower educational graduates, the formers are higher service image of brand than the latter in case of the brand image of an educational background Fourth, professionals are much more satisfied with brand image in the career domain than others, because they are delicate and they have more detailed sense, further more they tend to be more creative than others, so that's why they could look forward to making a good profit and high image marketing from a consumer's point. Fifth, there are differences the need of brand advertisement between the over 7~10 years and the less of 2 years or the less of 2~7years according to the career of playing golf. Those who have lots of career or experiences are much more interested in sports than those who have less career or experiences, but formers tend to insist only own their brand, so they don't need others advertisements and they are not interested with other brands anymore. Therefore the golf tournament is good way to improve their reputation by using only their own product and free lease.

      • MLCC의 내부전극 형성을 위한 스크린 인쇄용 니켈 페이스트의 물성연구

        박기남 부경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electronics industry is continuously developing. In order to satisfy the required performance of each product, the requirements of component that have a variety of functions or a particular function is increased. Since 2000, the trend to miniaturization of electronic components, as well as multiple functions has been rapidly progressing. Miniaturization and performance enhancement of electronic components have also been proceeding rapidly. In particular, a smart phone using touch screen panel, a tablet PC, etc. a variety of products has continued to rapid development. The small size and high capacity requirements of the MLCC (Multi Layer Ceramic Condenser) is increasing. MLCC of electronic goods based on a ceramic material that is a key component. Communications, consumer electronics, computer, automotive industry is a key market. particular, Digital Products such as PC, mobile phone, smart phone, digital TV is used in many products. The size and performance of electronic products depends on the MLCC. Therefore, the research for miniaturization and high capacity continues to progress. MLCC is composed of a dielectric material, the inner electrode, the outer electrode. As forming a thin dielectric layer and the electrode, the miniaturization becomes possible. The internal electrode is formed by printing and firing a paste of the uniformly dispersed metal powder and glass frit in a high-viscosity liquid to a dielectric sheet. Conventionally, the Pd was used as the electrode material. However, the nickel was converted to the price issue of Pd. Also, preparation method was converted to gravure printing method in a screen printing method. MLCC manufacturer was used screen printing for several reasons. However,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thickness printable 4~5㎛, the MLCC manufacture using a gravure printing method for a thin film. I think if using 50∼100㎚ size Ni powder, Screen printing can be produced.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reate formulations that the nickel paste for screen printing, which can be the thickness 1.2㎛ after firing.

      • 어린이집 원장의 보육교사 채용 및 자질에 대한 인식

        박기남 경성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preschool director's perception on recruitment difficulties and the qualities of preschool teachers in preschool centers will turn out by the type of institutions, director's age, career, educational background, major and institution's capacity. This study was conducted by using a method of quantitative research through questionnaire in parallel with a method of qualitative research to materialize the unexplained parts from the way of quantitative research. It is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ising teacher training system in high quality with preparing measures to the desirable demand and supply of preschool teachers. The research questions to achieve its goal are as follows: Question1. what is the preschool director's perception for preschool teacher recruitment? First, what is the preschool director's perception on the difficulties in preschool teacher recruitment? Second, what is the preschool director's perception on the factors affecting a matter of preschool teacher recruitment? Third, what is the preschool director's perception on the solution to the matter of preschool teacher recruitment? Question2. what is the preschool director's perception on the quality of preschool teachers? First, what is the preschool director's perception on the desirable teachers models and the quality of preschool teachers? Second, what is the preschool director's perception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preschool teachers? Third, what is the preschool director's perception on the counterplan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preschool teachers? The research objects are 531 teachers in preschool centers located Busan.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y researcher of this study and is consisted of questions about the preschool director’s perception on recruitment difficulties of preschool teachers and influencing factors of preschool teacher qualitie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sed by SPSS 19.0 program and Fisher exact test and one-way ANOVA(whit Welch test) were conducted and also Games-Howell test and Scheffé test were carried out as post-hoc test for its goal. Besides, the interview data was analysed by criteria of Bogdan and Biklen(1991) and went through the Member check process under the proposal of Lincoln and Guba(1985).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 First, preschool directors think that the difficulty with hiring preschool teachers is because of the demand and supply system of preschool teachers. Namely, there are many qualification holders by abusing the daycare teacher certification but they feel difficulty with hiring a qualified teacher. The factors affecting daycare teacher recruitment are related to the factors of teacher's turnover decision, their working place choice, teaching assistant system. Also, It appears that the factor of turnover decision is lower pay and excessive work related to their duties, and teaching assistant system negative affects the demand and supply of daycare teacher. The solution to a matter of daycare teacher recruitment is that it is urgent for daycare teachers to improve the image of preschool teacher's duties in order to encourage high-quality teachers to apply for a preschool teacher. For this, it definitely needs to prepare the counterplan for enhancing pride of their job through improvements in the treatment of preschool teachers and work environment. Second, the preschool director's perception about the quality of preschool teacher is that the ethical aspects of a teacher is very important in desirable teachers models. It shows that the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a preschool teacher are educational background of 2, 3year college diploma or higher, a career of 2~4years, a married person for infants and a single person for early children and an age of 20s~30s and these are proper qualities to be a preschool teacher. Also, it needs not only to reform the preschool teacher qualification examination system but also to unification of teacher certification in the way of improving the qualities of preschool teachers.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를 중심으로 어린이집 원장의 배경변인별 보육교사 채용의 어려움과 교사의 자질에 대한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바람직한 보육교사 수급대책 마련과 함께 양질의 교사양성방안을 강구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보육교사 채용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의 인식은 어떠한가? 1-1. 보육교사 채용의 어려움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의 인식은 어떠한가? 1-2. 보육교사 채용 문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의 인식은 어떠한가? 1-3. 보육교사 채용 문제 해결방안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의 인식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보육교사 자질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의 인식은 어떠한가? 2-1. 바람직한 교사상 및 자질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의 인식은 어떠한가? 2-2. 보육교사 자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의 인식은 어떠한가? 2-3. 보육교사 자질을 높이기 위한 방안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의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 53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설문지는 어린이집 원장의 보육교사 채용 및 자질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연구자가 직접 고안하였다. 본 연구절차는 설문조사와 면담으로 각각 구분하여 실시하였으며, 설문조사는 보육교사 채용 및 자질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의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 Fisher exact test와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고 사후검증으로는 Games-Howell test를 실시하였다. 추가적으로 바람직한 보육교사상과 교사의 자질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의 인식을 살펴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고 사후검증으로 Scheffé test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SPSS 19.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면담은 Bogdan and Biklen(1991)의 준거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Lincoln and Guba(1985)가 제안한 바에 따라 Member check 과정을 거쳤다. 본 연구의 결론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원장들은 보육교사 채용의 어려움을 보육교사 수급체계 때문이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즉, 보육교사 자격증의 남용으로 보육교사 자격증 소지자는 많으나 자격 있는 교사를 채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고 인식하였다. 보육교사의 채용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교사의 이직 결정요인, 근무지 선택 시 결정요인, 보조교사 제도와 관련이 있었다. 이직 결정요인은 직무와 관련된 것으로 낮은 임금과 업무과중으로 나타났으며 보조교사제도가 보육교사 수급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 채용 문제의 해결방안으로는 우선 고급인력들이 많이 지원할 수 있도록 보육교사에 대한 직무 이미지 개선이 시급하다고 볼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보육교사의 처우 및 업무환경 개선을 통하여 교사의 자긍심 강화를 위한 방안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 자질에 대한 어린이집 원장의 인식은 바람직한 교사상으로 교사의 윤리적인 측면을 가장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 자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2·3년제 대학 졸업 이상의 학력, 2-4년 정도의 경력, 영아들에게는 기혼 교사 유아들에게는 미혼교사의 자질이 요구되고, 20~40대 연령이 보육교사로 적절한 자질을 갖춘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육교사 자질 향상방안에 대해서는 보육교사 자격 검정 방식 개선과 교원자격 일원화가 필요한 것으로 밝혀졌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