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성인여성의 대인관계 스트레스 개선을 위한 감각운동 심리치료 온라인 집단상담 효과검증

        박규리 국제뇌교육종합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인관계 스트레스를 느끼는 성인여성을 대상으로 신체기반 심리치료인 감각운동 심리치료를 온라인 환경에 적합하게 구성하고 적용하여 대인관계 스트레스, 친밀관계경험의 효과를 검증하고 마음챙김 능력의 변화를 측정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감각운동 심리치료의 이론과 체험내용으로 구성된 워크시트를 분석하여 집단상담으로 구성하였다. 구성된 프로그램을 전문가의 내용타당도 검증과 예비연구를 실시하고 검증하였고, 이를 통해 프로그램을 수정 보완하여 최종 프로그램을 확정하였다. 본 연구의 진행은 연구자의 소셜 미디어 네트워크, 온라인 커뮤니티, 관련 학회 홈페이지 게시판을 통해 모집된 29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16명과 통제집단 13명을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은 1회 55분씩 총 16회기(매주 2회기 씩, 8주)에 걸쳐 감각운동 심리치료 온라인 집단상담에 참여하였다. 효과검증을 위해 개인 사정으로 중도 탈락한 3명을 제외한 26명(실험집단 13명, 통제집단 13명)을 대상으로 사전-사후-추후 대인관계 스트레스, 친밀관계 경험, 마음챙김 능력을 측정하였고, 효과사정척도는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8주 처치기간 동안 측정되었다. 본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인관계 스트레스의 하위요인 아랫사람과의 관계와 동등한 관계에서 느끼는 대인관계 스트레스는 통제집단에 비해 실험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둘째, 친밀관계경험의 하위요인 애착불안과 애착회피는 통제집단에 비해 실험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셋째, 마음챙김 능력의 하위요인 비자동성, 관찰, 기술, 자각행위, 비판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실험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넷째,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8주간 측정한 효과사정척도(개인생활, 대인관계, 대인관계감정, 사회생활, 전반적 행복감, 자신에 대한 만족감)에서 대인관계 감정은 2주차에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으며 6주차부터 8주차까지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고, 개인생활, 대인관계, 사회생활, 전반적 행복감, 자신에 대한 만족감은 6주차부터 8주차까지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은 감각운동 심리치료 온라인 집단상담이 대인관계 스트레스를 느끼고 있는 성인여성의 대인관계 스트레스 및 친밀관계경험, 그리고 마음챙김 능력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애착에 근거한 대인관계 문제를 다루는 신체 기반의 감각운동 심리치료 집단상담을 온라인으로 적용하여 효과를 최초 검증한 국내 연구로서 의의가 있다.

      • 뇌졸중 편마비 환자에게 상지 재활 로봇을 이용한 집단 훈련과 분산 훈련 적용 방법에 따른 효과 : 무작위 배정 시험연구

        박규리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목적: 재활 로봇의 효과가 입증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집단 훈련 (Massed practice, MP), 분산 훈련(Distributed practice, DP)의 적용 방식은 정립되어 있지 않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MP와 DP가 상지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는 것으로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재활 로봇을 이용한 적용 순서에 따른 효과와 각 훈련 방법의 효과를 확인하는 것이다. 방법: 총 34명의 뇌졸중 환자를 모집하였고 4명은 중도 퇴원으로 탈락되었고 최종적으로 30명이 본 연구를 마쳤다. 모집된 참여자들은 MDP 그룹(MP 후 DP) 또는 DMP 그룹(DP 후 MP)으로 무작위 배정되었다. 각 그룹에는 MP와 DP를 각 10회씩 수행되었다(2주 간 x 주 5회, 손을 뻗는 것과 유사한 지점 대 지점 가리키기 과제 반복, 640회). MP는 훈련 중 휴식이 없는 연속 훈련으로 수행되었고, DP는 훈련 사이에 훈련 시간과 동일한 휴식 시간으로 본 연구에서 수행되었다. 훈련은 상지 재활 로봇 (Inmotion2.0, MIT, US)를 사용하였다. 피험자는 중재 전, 중재 10회 후 그리고 중재 종료 후인 20회 후에 총 3회에 걸쳐 평가하였다. 측정 도구로는 상지 기능을 평가하는 Fugl-Meyer Assessment 평가와 Inmotion2.0의 평가 프로그램으로 지점 대 지점 가리키기(부드러움, 도달 오류, 평균 속도, 최대 속도, 도달 오류) 및 원 그리기(원 크기, 원 독립)이 로봇 평가되었다. 또한, 근육의 경직 정도를 측정하는 수정애쉬워드 경직 척도를 사용하였다. 결과: 순서에 따른 적용 방법은 그룹 MDP에서 원 크기 항목은 각 시점 차이의 값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p=0.024), 그룹 DMP에서는 FMA_T (p=0.002)와 원 독립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p=0.005). MP와 DP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MP에서는 FMA_T (p=0.015), 지점 대 지점의 부드러움 항목 (p=0.015) 그리고 원 독립성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p=0.047), DP에서는 FMA_T (p=0.022)와 원 크기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p=0.000). 결론: MP는 움직임의 질 측면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DP는 움직임의 정확성 측면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그룹 MDP에서는 DP 중재 전후 결과와 유의한 항목이 비슷하게 보였으며, 그룹 DMP는 MP 중재 전후 결과와 유의한 항목이 비슷하게 일치함을 보였다. 이로서 순서 적용에 따른 결과는 중재 마지막 10회 수행의 영향으로 유사한 결과를 알 수 있었다.

      • 학습민첩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잡크래프팅의 매개효과와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박규리 중앙대학교 글로벌인적자원개발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agility and innovation behavior,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job crafting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Through this, we tried to explore the organizational application plan by understanding the potential drivers and structures of employees' innovation behavior from the perspective of learning, and by examining the effects of job attitudes and trust of employees on innovation behavior. To verify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incumbents in Korea to secure a total of 337 copies of responses, and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SPSS 23.0 and AMOS 23.0.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relationship of learning agility to job crafting and innovation behavior, learning agility as an independent variable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crafting as a mediating variable and innovation behavior as a dependent variable.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rafting and innovation behavior, the reduction of challenging job resources, structural job resources, and disruptive job demands among the sub-factors of job crafting as a mediator have a positive effect, but social job resources are improved that no static effect. Third, job crafting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agility and innovation behavior.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in the path of learning agility, job crafting, and innovation behavior, it was found that job crafting had a reinforcing moderating effect that strengthened the influence on innovation behavior.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ed effect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in the path of learning agility, job crafting, and innovation behavior influence,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the stronger.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based on the abov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ince learning agility has a positive effect on job crafting and innovation behavior,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alented people with high learning agility and to create an atmosphere to recruit / cultivate them as a way to encourage innovation behavior of employee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 acquisition of new knowledge or skills in the course of job performance, and to reflect them in the actual organization to create an environment for participation in the innovation process. Second, since job crafting has a positive effect on innovation behavior, it is necessary to ensure the discretion of employees rather than to carry out work according to existing practices. Third, since learning agility has a positive influence on innovation behavior through job crafting, it is necessary to actively use learning agility and self-directedness inherent in job crafting. Fourth,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role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on innovation behavior, and to create an atmosphere that values ​​the creative opinions of employees and participates in the process of innovat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nd implications, the limitations of the research will be revealed, and the following suggestions will be made for further research. First, although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incumbent firms in Korea,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research to more diverse members in terms of position and years of service. Second, in the case of learning agility and job crafting, the research model was set up through theoretical studies of similar concepts in the situation of insufficient domestic research. Therefore,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new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nd continuously study them based on the results of subsequent studies. Fourth, this study has a limitation in generalization of research results due to self-report data survey. If various research methods such as face-to-face interviews and follow-up observations are introduced to secure objectivity of future research, meaningful results can be expected.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민첩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확인하고, 이 둘의 관계에서 잡크래프팅의 매개효과와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학습의 관점에서 구성원의 혁신행동에 대한 잠재적 동인과 구조를 이해하고, 직무 태도 및 구성원의 조직에 대한 신뢰가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조직 적용 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검증하기 위해 국내 기업 재직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337부의 응답 자료를 확보하고, SPSS 23.0과 AMOS 23.0을 활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밝혀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민첩성이 잡크래프팅과 혁신행동에 미치는 관계를 검증한 결과 독립변인인 학습민첩성은 매개변인인 잡크래프팅과 종속변인인 혁신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잡크래프팅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관계를 검증한 결과 매개변인인 잡크래프팅의 하위요소 중 도전적 직무자원 감소, 구조적 직무자원 증진, 방해적 직무요구 감소는 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사회적 직무자원 증진은 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민첩성과 혁신행동의 영향관계에서 잡크래프팅은 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습민첩성과 잡크래프팅, 혁신행동 영향관계 경로에서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조직지원인식의 수준에 따라 잡크래프팅이 혁신행동에 대한 영향력을 강화하는 강화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민첩성과 잡크래프팅, 혁신행동 영향관계 경로에서 조직지원인식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조직지원인식 수준이 높아질수록 강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을 도출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민첩성은 잡크래프팅 및 혁신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구성원의 혁신행동을 장려하는 방법으로 높은 학습민첩성을 가진 인재의 특징을 이해하고, 이를 채용/육성하는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직무 수행과정에서 새로운 지식이나 기술을 습득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실제 조직에 반영되게 함으로써 혁신 과정에 함께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 둘째, 잡크래프팅은 혁신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기존의 관행대로 업무를 수행하기 보다 구성원의 재량을 보장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학습민첩성은 잡크래프팅을 매개로 혁신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학습민첩성 및 잡크래프팅에 내재된 자기주도성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넷째, 혁신행동에 대해 조직지원인식의 역할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으며, 구성원의 창의적인 의견을 가치 있게 여기고 혁신의 과정에 동참할 수 있도록 분위기를 조성해야 한다. 연구결과와 시사점을 바탕으로 연구의 한계점을 밝히고, 향후 발전적인 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국내 기업 재직자를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나, 직급/직책 및 근속기간 등에서 보다 다양한 구성원을 대상으로 연구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학습민첩성, 잡크래프팅의 경우 국내 연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유사한 개념의 이론적 연구를 통해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따라서 향후에는 관련 후속 연구결과를 토대로 변인 간의 관계를 새롭게 설정하고 지속적으로 연구할 필요가 있다. 넷째, 본 연구는 자기보고식 자료조사로 인해 연구결과의 일반화에 있어 한계를 갖는다. 추후 연구의 객관성 확보를 위해 대면 인터뷰, 추적관찰 등 다양한 연구방법이 도입된다면 의미 있는 결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 아이스너의 교육론에 기반한 수업의 예술성에 대한 실천 방향 연구

        박규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교사에 대한 과거의 형식적인 통념에서 벗어나, 우리 시대에 요구되는 새로운 교육을 실행할 교사상을 아이스너의 예술가적 교사상에 근거하여, 그 실천성을 모색하는 것을 목표를 하였다. 예술가적 교사상을 제안한 아이스너는 “교육이 곧 예술이며 교사가 예술가와 같다”고 주장하며, 모든 교사들이 활발하게 교육적 상상력을 발휘하여 수업을 할 것을 요구하였다. 그의 심미적인 교육관을 수업설계와 진행과 결과 평가에 이르는 전체 과정에 반영하여, 예술적 교육과정이라는 통합적 이론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그 중에서도 수업 예술성으로 대변되는 아이스너의 교육이론의 현실적 양태인 교육적 감식안과 교육적 비평 개념의 의미와 가치를 살펴보았다. 아이스너의 교육론은 질적 연구에 기반한다. 양적인 평가는 수량적인 자료에 의존하여 신뢰도를 높이는 반면, 질적인 평가는 서술적인 자료에 의존하며 타당도를 높이는 것을 중시한다. 그리고 양적인 평가에서는 객관성을 강조하지만, 질적인 평가에서는 주관성의 장점을 최대한 이용하여 가치 판단을 허용하고 해석을 중시한다. 이러한 질적 특성에 기반을 둔 아이스너식 교육 이론의 핵심은 수업 예술성과 예술가적 교사이다. 수업 예술성은 표면적으로 계량화하기 쉬운 교육의 방법이나 결과에 치우치지 않고 생동적이고 유연한 교수학습 방법과 결과 측정 방법을 뜻한다. 예술가적 교사는 수업 예술성을 지니고 창조적인 지성을 발휘하여 교육의 새로운 의미와 가치를 실현해가는 주체이다. 예술가적 교사가 수업 예술성을 교육현장에 실현되는데 필요한 핵심적인 역량이 교육적 감식안과 교육적 비평이다. 교육적 감식안은 단순히 아는 것이 아니라 본질을 꿰뚫어 알아차리고 대상의 미묘한 질적 차이를 인식하여 가치를 평가하는 것으로 교사가 학습자와 교육에 대한 총체적인 이해를 필요로 한다. 예술가적 교사는 이 교육적 감식안이라는 특성화된 관찰 능력을 가지고 수업에 임하여야하나, 그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교육적 감식안이라는 관찰은 개인적인 차원이며 이것이 사회적 차원으로 변화하기 위해서는 교육적 비평이 필요하다. 아이스너는 학습 결과를 수치로 나타내는 전통적인 평가방식과는 달리. 교육적 비평이라는 새로운 서술식 평가방식을 주장하였다. 비유, 묘사적인 언어를 통해 관찰 대상의 특징이나 변화를 상세히 표현하는 방식이다. 아울러 이 연구는 예술가적 교사와 수업 예술성이 예술 분야와 관련된 미술, 음악교과에만 국한되지 않고, 본래 아이스너의 의도처럼 보다 적극적인 의미로 확장시켜 모든 교과에 반영할 수 있다는 것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수업 예술성은 교육적 감식안과 비평이라는 교사의 역량에 기반을 둔 구체적인 실천을 필요로 한다. 교육적 감식안은 학습자의 미묘한 변화를 감지하여 알아채는 교사의 특성화된 관찰능력이며, 교육적 비평은 감식한 대상의 특징을 언어로 비평하여 상세히 기록하는 능력이다. 교육적 감식안이 모든 교과에서도 충분히 실현이 가능하다는 것을 입증하기 위해 감식안이 적용될 수 있는 영역을 살펴보았다. 감식안은 미적 경험과 수업지식, 수업의 구조적인 차원, 평가적인 차원, 학습자 및 상황 차원에서 적용이 가능하였다. 그리고 교육 비평의 능력 또한 다른 전체 과목에도 적용하는 것이 충분히 가능함을 입증하기 위하여 교육 비평에서 사용할 수 있는 표현 방식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아이스너의 질적 연구에서는 기존의 양적 연구 방식에서 주로 사용하던 수치나 계량화된 언어적 표현보다 폭넓은 언어적 표현을 교육의 평가기술 방식으로 인정한다. 점수를 매기는 단순한 평가 방식이 아니라 언어를 적극적으로 사용하여, 비유적인 은유나 상황을 그리 듯이 묘사하는 서술적 언어를 쓴다. 교육비평을 실천적으로 해석하기 위하여 기존의 교육 평가 도구의 성질과 비교하였다. 일반적인 평가도구의 성질로 꼽히는 신뢰도, 객관도, 타당도 중에서 아이스너의 평가는 타당도가 높았다. 타당도는 측정하고자 목표하였던 개념과 내용을 적절한 방법으로 측정하는 것을 말한다. 양적 평가에서는 평가자의 주관을 배제하며 측정오차가 적어 신뢰도와 객관도는 높지만, 타당도는 다소 낮다. 정의적, 심동적인 학습목표 학습목표는 크게 세가지인 인지적, 정의적, 심동적 목표의 세가지 영역으로 나뉜다. 인지적 영역은 학습자가 알지 못했던 지식을 깨달아 알게 되는 이해의 측면이다. 정의적 영역은 학습자의 자세나 태도, 도덕적인 가치의 측면을 다룬다. 심동적인 영역은 학습자가 수업 이후 얻게 되는 운동 실력이나 연주 실력과 같은 기술, 솜씨 등의 신체적 영역을 일컫는다. 의 수업에서 학습자가 배운 진실된 앎의 정도를 수치로 알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반면 아이스너의 질적인 평가는 감식안을 통해 자세히 관찰하고 그 결과를 언어와 비언어적 자료로 풍부하게 기록하기에 심층적인 해석이 가능하다. 기존의 평가방식이 신뢰도와 객관도를 향상시킬 것을 추구하면서 타당도의 부분에서는 일견 타협하였던 부분을 질적 평가는 반대로 충족시키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교육 비평의 결과를 활용하는 측면을 검토하며 질적 평가에서 사용되는 일반화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교육에서 일반화란 알아낸 교육의 결과를 어떻게 활용 할 것인지를 뜻하는 것으로서 확대하여 적용하는 측면이 크다. 양적인 평가에서는 표본 집단에서 수집된 결과를 전체 집단에 확대하는 통계적인 일반화를 쓴다. 반면, 아이스너의 질적 평가는 특수한 상황에 대한 성찰을 무리하게 확대시켜 일반화하지 않고, 유사한 상황에 적용시켜 결과를 예상할 수 있는 자연스러운 일반화를 쓴다. 선행 연구자가 구체적인 상황에 대한 심층적인 해석으로 완성한 교육비평문을 후속 연구자가 읽게 됨으로써, 간접적인 경험치를 축적할 수 있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연구를 끝맺으며 아이스너가 주창한 수업의 예술성이 실제적으로 현실에 정착될 수 있는 방안을 제언하였다. 첫째는 교사들의 패러다임 전환으로 수업을 경제적인 논리로 보며 편리성과 효율성을 추구하는 익숙한 체제를 벗어나 교육의 본질을 회복할 수 있도록 학교와 교사의 인식을 전환하는 것이다. 둘째는 아이스너의 수업 예술성에 대한 실천적인 노력의 일환으로서 수업 사례와 자료가 공유되어야 한다. 다른 교사의 수업을 직접 관찰할 수 있는 공개 수업회, 동료 장학 및 연구회가 활성화 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는 수업의 예술성에 대해 피드백을 줄 수 있는 전문적인 자문단이 구성되어야 한다. 전문단이 주축을 이루어 수업을 코칭하고 컨설팅을 할 수 있다면 수업 예술성이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시행될 수 있을 것이다. 넷째로 수업 장학을 위한 연수의 기회가 교사들에게 충분히 제공되어야 한다. 각 지역, 각 교급마다 특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 학교 현장에 맞게 수업 예술성을 연구하고 발전시켜 나가는 장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수업 예술성이라는 개념을 일부 예체능 관련 교과에만 한정시켜 논의하지 않고, 전체의 교과로 적용 범위를 확장시켰다. 그리고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질적 평가의 성질을 검토하며 교육적 감식안이 활성화 될 수 있는 토대와 비평의 표현 방식 및 결과 활용 방법 등의 실천적인 방향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주제어: 아이스너, 수업의 예술성, 교육적 감식안, 교육적 비평, 질적 평가

      • 만 5세 자녀를 둔 어머니의 패러디 그림책 읽기 경험에 관한 연구

        박규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만 5세 자녀들 둔 어머니들의 패러디 그림책 읽기에 관해 탐구해 보고 그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패러디 그림책의 가치를 확인하며, 유아의 패러디 그림책 읽기의 적절한 성인의 역할을 지원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만 5세 자녀를 둔 어머니의 패러디 그림책 읽기 경험은 어떠한가? 1-1. 독자로서 어머니들의 패러디 그림책 읽기 경험은 어떠한가? 1-2. 자녀와 함께한 어머니들의 패러디 그림책 읽기 경험은 어떠한가? 1-3. 자녀 양육자로서 어머니들의 패러디 그림책 읽기 경험은 어떠한가? 연구자는 2021년 4월부터 5월까지 4회에 걸쳐 연구도서로 선정된 패러디 그림책 16권을 각 주차의 읽기 목적에 맞게 적절하게 분류하여 총 6명의 연구참여자 어머니들에게 제공하였다. 각자의 가정에서 어머니 혼자 그리고 유아들과 함께 읽어보면서 패러디 그림책 읽기의 경험을 3회에서 4회의 개별 면담 과정을 통해 공유하였다. 이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참여 어머니들은 독자의 위치에서 패러디 그림책의 작가 의도를 잘 파악하며 패러디 그림책의 즐거움을 느꼈다. 생소했던 패러디 그림책에 관한 관심이 생기고, 이것은 또 다른 패러디 그림책에 관한 관심으로 이어졌다. 어머니들의 패러디 그림책 읽기의 역할은 원작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는 패러디 그림책만의 특이성을 이해하고, 유아들의 상호텍스트성의 발현을 위한 비교 읽기와 패러디 그림책의 내용에 대해 유아들과 이야기를 나누며 상호작용하는 것이었다. 이를 통해서 어머니와 유아들은 패러디 그림책만의 문학적 구조에 대해 더 잘 이해할 수 있었고, 자녀들과 이야기를 나누면서 자녀의 새로운 점을 발견할 수 있었던 의미 있는 시간이 되었다. 그리고 자녀를 양육하는 입장에서 어머니들의 패러디 그림책 읽기는 자신의 양육 경험을 되짚어보면서 성찰하는 계기가 되었다. 본 연구는 교사와 부모들에게 패러디 그림책의 효율적 읽기에 대한 기초자료와 패러디 그림책을 포함한 그림책 관련 부모교육 프로그램 활용에 있어 기초자료가 되리라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ading of parody picture books by mothers of 5-year-old children and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in depth. The study is to confirm the value of parody picture books and to support the role of adults in reading parody picture books for children.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What is the experience of reading parody picture books of mothers of 5-year-old children? 1-1. What is the mother's experience of reading parody picture books as a reader ? 1-2. What is the experience of reading parody picture books of mothers with their children? 1-3. What is the mother's experience of reading parody picture books as a parent? The researcher classified 16 parody picture books selected as research books 4 times from April to May 2021 for the reading purpose of each week and provided them to the mothers of a total of six study participants. The experience of reading parody picture books was shared through individual interviews 3 to 4 tim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data collect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mothers participating in the study understood the author's intentions of the parody picture book from the reader's point of view and felt the joy of the parody picture book. Through this, interest in parody picture books that were unfamiliar arose, and this led to the search for another parody picture book. The role of mothers in reading parody picture books was to understand the uniqueity of parody picture books based on the original work, and to interact with children by talking to them about the contents of parody picture books and comparative reading for the expression of intertextuality of children. Through this, mothers were able to better understand the literary structure of parody picture books and it was a meaningful time to discover new things about their children while talking with them. And from the perspective of raising children, reading parody picture books by mothers provided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their own parenting experiences.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a basic data for teachers and parents to effectively read parody picture books and to use picture book-related parent education programs including parody picture books.

      • 남녀노인의 상실경험과 우울간의 관계 : 스트레스 대처양식의 조절효과

        박규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Relationships between Loss Experience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Men and Women: Focused on the Moderating Stress Coping Styles Park, Gyu-Ri Dept. of Child Development & Family studies The Graduate School Pusan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oderating effect of Stress Coping Style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Loss Experience and Depression of the Elderly Men and Wome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72 elderly men and women aged over 60 years in Busan, Gyeong-Buk. For the data analysis, frequency, Cronbach’s α.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SPSS 21.0 program.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elderly’s loss experience and emotion-focused coping styles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depression. And problem-focused coping styles, social support-seeks coping styles had negative correlations with the relational depression. Second, problem-focused coping styles modera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physical health loss experience, economy loss experience, role loss experience and depression in the male group. Third, social support-seeks coping styles modera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economy loss experience and depression in the female group. Keywords : Depression, Loss Experience, Stress Coping Styles, Gender Difference

      • 鏡虛禪詩硏究

        박규리 東國大學校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dissertation studies how Ven. Gyeongheo’s (鏡虛) Seon doctrines manifested themselves in his Seon poetry. Before examining Ven. Geongheo’s Seon poetry, a review is made on the preceding studies of Seon poetry in general. In the wake of the review, several problems are found out in the conventional concepts of Seon poetry. In order to establish a proper concept of Seon poetry, the following issues should be addressed appropriately: What is the essential character of Seon poetry that distinguishes it from other categories of poetry?; what is the unique topic of Seon poetry?; and what is the distinctive character of Seon poetic language? The arguments this dissertation makes on those issues are as follows. Firstly, Seon poetry is one of the media expressing the experience and the spiritual world of Seon enlightenment, together with other Seon expressions and rhetorics such as “teachings in skill-in-means appropriate to the aptitudes of the audience,” “hitting with a stick” or “shouting,” and so forth. Secondly, enlightenment is not simply a subject but the very essence of Seon poetry. A Seon poem, by definition, is a song of enlightenment―a lyric of the One Mind, i.e., a linguistic expression of the world of enlightenment. It is not that a particular kind of poetic form, subject, or rhetorical technique characterizes a lyric as a Seon poem. What makes a poem a song of Seon experience is the enlightenment the poet expresses by it. Thirdly, the language of Seon poetry consists in “live words” (活句) that destroy and deconstruct all the biased preconceptions and conventional views. They should be regarded as skill-in-means for the world of enlightenment and understood as such. Any attempt to understand Seon poetry, therefore, should put the focus on its essential function of manifesting the world of enlightenment. Ven. Gyeongheo’s Seon poems can never be appreciated properly when read separate from his Seon experiences and doctrines. The core points of “Gyeongheo Seon” are: the practices based upon the “simultaneous cultivation of sam?dhi and praj??” (定慧雙修) and Ganhwa (看話) meditation; the non-duality of the absolute and the conventional (眞俗不二), based upon the doctrine of praj??-??nyat? (般若空); and the “living as a person of nirv??a (無事人) engaging with the phenomenal world while abiding in the absolute truthfulness.” The practices based upon the “simultaneous cultivation of sam?dhi and praj??” and Ganhwa meditation are typical to “the study of live words” emphasized by so-called the Patriarchal Seon. The associations for Seon cultivation organized by Ven. Gyeongheo at the Beomeo Monastery and Haein Monastery also aimed at that kind of practices. Ven. Gyeongheo did not teach his way of enlightenment only. He embraced both the subitist and the gradualist doctrines of Seon, and even the Pure Land Buddhist practices when organizing the associations for Seon practices. It means that he was embodying the Bodhisattva Path―the ultimate completion of compassion as well as of personal enlightenment―and the principle of non-duality of the absolute and the conventional. His later careers as “a person of nirv??a” in particular showed well that he was acting out the principle of non-duality by “working as the master wherever he may be” (隨處作主), “making all the places he goes the locus of truth” (立處皆眞), and “engaging with the phenomenal world while abiding in the absolute truthfulness.” In short, the essence of “Gyeongheo Seon” lies in the enlightenment to the ultimate principle that transcends even the “Two Truths” and “Middle Path.” This dissertation then classifies and assesses Gyeongheo’s Seon poems in four categories: Poems regarding the experience of enlightenment; those sung for transmission of the Dharma, i.e., the One Single Ineffable Truth (無門一法); those that are regarding hwadu (話頭) that the Seon Patriarchs emphasized should be studied as “live words”; and those regarding the transcendental and extra-ordinary state of the enlightened spirit. Ven. Gyeongheo’s “Song of Enlightenment” (悟道歌) is a dharma-talk, a g?th?, and a poem of enlightenment experience all at once. It expresses the process and the state of his enlightenment in detail. Two poems of transmission of the Dharma by Ven. Gyeongheo are intact. A Seon poem of this type used to be addressed to an enlightened disciple by the master. Ven. Gyeongheo expressed his official recognition of the students enlightenment through so-called “the One Single Ineffable Truth.” This is a new poetic form transcending the conventional rhythms and rules. Ven. Gyeongheo always emphasized hwadu meditation in his sermons, essays and letters. He does the same in several of his poems, which therefore may be grouped into the category of “poems of hwadu.” As of the poems expressing the transcendental and extra-ordinary state of the enlightened spirit, Ven. Gyeongheo wrote more of them in his later years. The enlightened state of non-arising, non-attachment and the non-duality constitutes their philosophical background; and his life as “a person of nirv??a in ordinary everyday activities” (平常無事人) works as their frame. Finally, this dissertation discusses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Ven. Gyeongheo’s poetry in three topics: the lofty and clear intuition with “quiescent illumination”; “deep and subtle ironies and paradoxes”; and “the harmony of all-encompassing middle path and the beauty of asa?sk?ta.” The poetic dictions of intuition and quiescent illumination show that Ven. Gyeongheo’s poetry is based upon his experience and state of enlightenment. He also uses ironies and paradoxes frequently in order to express the ultimate ineffable truth. Ven. Gyeongheo, as well known, lived a life of freedom in his later years as neither a monk nor a layman. His poems from those years express such state of great freedom from all kinds of fetters and frames, exposing “the harmony of all-encompassing middle path and the beauty of asa?sk?ta” as the most important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Ven. Gyeongheo’s Seon poetry.

      • 6시그마를 통한 ITSM 정착의 핵심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 국내 A사를 중심으로

        박규리 동국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Six Sigma which improves enterprise’s ability to compete has been used for years as a qualified management methodology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Today, however, it has been widely introduced in the financial and service industries as well. Recently, as the importance of IT management is increasing, many companies have adopted ITSM(IT Service Management) as a solution to varieties of IT management issues. In addition, some advanced companies in ITSM is using 6 Sigma technique in the implementation of ITSM.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nd analyze critical success factors of 6 Sigma in applying to the implementation of ITSM. A case company, which is known to be successful in applying 6 sigma in their implementation of ITSM, was selected. Seven critical success factors of 6 Sigma was identified from literature review and were analyzed for the case company. The factors include leadership of CEO, capability and level of 6 Sigma Belts, accurate data, advance preparations, building systems, evaluation and incentive, and training. The result of this study is that of those 7 factors, leadership of CEO and capability and level of 6 Sigma Belts seems to be the strongest factors. However, the study analyzed and explained what the case company has done for the remaining factors. The critical success factors identified and analyzed in the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an useful material for companies to apply 6 Sigma in the implementation of ITSM. 기업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6시그마는 본래 제조업에서 품질혁신 기법으로 사용되어 왔으나, 현재는 광범위하게 제조업을 포함한 금융 및 서비스 분야에서 기업의 경영혁신 수단으로 도입되고 있다. 최근 IT분야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면서 기업의 IT부문 관리자들은 다양한 이슈들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ITSM 도입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고 적용하고 있다. 나아가서 6시그마를 통해 ITSM 정착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그 결과 ITSM의 정착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6시그마의 핵심 성공요인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6시그마를 통한 ITSM 정착의 핵심 성공요인을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문헌연구를 통해 국내 기업의 다양한 분야에 적용된 6시그마 성공사례들과 성공요인들을 살펴본다. 또한 문헌에서 살펴본 6시그마 성공요인들이 사례기업에도 적용되는지 확인한다. 사례기업에서 살펴본 6시그마 성공요인은 다음과 같다. 최고경영층의 리더십, 벨트의 능력 및 수준, 정확한 데이터, 사전준비, 시스템 구축, 평가 및 성과보상, 교육과 훈련으로 총 7가지이다. 본 연구의 결과 사례기업의 가장 영향력있는 6시그마 성공요인은 최고경영층의 리더십과 벨트의 능력 및 수준이라 판단된다. 그러나 이들을 제외한 나머지 6시그마 성공요인들이 사례기업의 ITSM 정착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는 것은 아니다. 다만 각각의 6시그마 성공요인들을 다양한 사례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위의 두 가지 요인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고 판단된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6시그마를 통한 ITSM 정착의 핵심 성공요인을 통해 향후 6시그마를 ITSM에 적용하고자 할 때 유용한 자료로 사용되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