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내용 구조도 전략을 활용한 논술문 고쳐쓰기 지도 방안 연구

        민혜정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내용 구조도 전략을 활용한 논술문 고쳐 쓰기 지도 방안을 구안하는 데 있다. 글을 쓰는 활동은 언어로써 생각을 생성하고 조직하여 확장시키면서 의미를 구성해 가는 과정이다. 특히 고쳐 쓰기는 자기 글을 돌아보며 비판적으로 점검하고 문제를 해결해 가면서 쓰기 과정을 내면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필수적이다. 하지만 대부분의 학습자들은 고쳐 쓰기에 대한 인식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능동적이고 주체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고쳐 쓰기 전략을 실제 쓰기 과정에서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는 실제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고쳐 쓰기 지도 방법과 쓰기 능력에 따른 수준별 고쳐 쓰기 지도 방법이 적절히 제시되지 못한 데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쓰기 능력 수준이 다양한 학습자들이 자신의 글을 보다 적극적으로 돌아보고 점검하며 능동적으로 고쳐 쓰기에 참여할 수 있는 방법으로 내용 구조도 전략을 활용한 고쳐 쓰기 모형을 고안하였다. 특히 논술문과 같은 설득적인 글은 자신의 사고 과정을 보다 활발하게 살펴보아야 함으로 자기 점검과 자기 질문, 그리고 자기 조정의 고쳐 쓰기 전략은 매우 효과적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본래 내용 구조도가 가지고 있는 시각적인 구조화의 효과를 고쳐 쓰기에 적용해 봄으로써 자신의 글을 좀 더 면밀히 살펴보고 사고 과정을 활발히 진행시켜 보다 능동적인 고쳐 쓰기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물론 내용 구조 도와 관련해 고쳐 쓰기를 했을 때, 쓰기 능력의 향상을 가져온다는 기존 연구들은 종종 찾아볼 수 있다. 하지만 실제적으로 쓰기 능력 수준이 다른 학습자들에게 내용 구조 도를 어떻게 적용하여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구체적인 지도 방안은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그리고 내용 구조 도를 활용해 고쳐 쓰기를 진행했을 때, 쓰기 능력과 고쳐 쓰기 능력, 그리고 고쳐 쓰기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내용 구조도 전략을 활용한 논술문 고쳐 쓰기 지도 방안을 고안해 이를 쓰기 능력 수준이 다른 학습자 모두에게 적용하는 데 중점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1장에서는 고쳐 쓰기와 관련한 기존 연구 결과물의 한계를 검토해 보고, 보다 구체적이며 능동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고쳐 쓰기 방법, 학습자 수준별로 다양하게 제시할 수 있는 고쳐 쓰기 방법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2장에서는 작문 이론에 따른 고쳐 쓰기의 의미와 고쳐 쓰기의 필요성에 대해 고찰해 보고, 문제 해결 과정으로서의 논술문에서 자기 조정 전략 사용이 핵심적인 고쳐 쓰기에 주목해 보았다. 3장에서는 기존의 고쳐 쓰기 연구 방법 중에서 글 전체를 구조화하여 점검하는 데 내용 구조도 중심의 고쳐 쓰기가 가장 효과적임을 밝힌 후, 학습자 수준별 내용 구조도 전략을 활용한 고쳐 쓰기 지도 방안을 제시하였다. 4장에서는 전략의 활용 측면에 중점을 두어 내용 구조도 전략을 활용한 논술문 고쳐 쓰기 지도 모형을 실제 학습자들에게 적용하고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논의 점을 찾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이 내용 구조도 전략을 활용한 고쳐 쓰기 지도가 실제 쓰기 능력과 고쳐 쓰기 능력, 그리고 고쳐 쓰기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에 있었다. 이에 본 연구자는 학습자 수준에 적합한 교수․학습 방법과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내용 구조도 전략의 습득 및 적용을 위한 교재를 계발하여 4학년, 8학년 각각 21명을 대상으로 적용해 보았다. 적용은 사전, 사후 검사를 포함한 총 10차 시의 프로그램으로 이루어진 실험을 거쳐 이루어졌으며, 학습자들의 쓰기 능력 및 고쳐 쓰기 능력, 그리고 고쳐 쓰기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양적, 질적으로 탐구하였다. 적용의 결과, 4학년과 8학년 모두 쓰기 능력 및 고쳐 쓰기 능력 면에서 유의미한 효과를 드러냈다. 기존의 고쳐 쓰기 지도 방법이 학습자 수준에 따라 제시되지 못했던 점에 주목해 학습자 수준을 고려한 내용 구조도의 틀을 제공한 것도 상, 중, 하 모두에게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다. 좀 더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학습자들이 작성한 1차, 2차 결과물을 질적으로 분석한 결과, 내용, 조직, 표현 면에서 고르게 쓰기 능력과 고쳐 쓰기 능력이 향상되었다. 이는 내용 구조도 전략을 활용한 고쳐 쓰기가 초고를 여러 번 읽고 이를 구조화시켜 자신의 글을 돌아보며 점검하는 과정에서 조직은 물론 내용과 표현 면에서도 고르게 점검과 수정이 이루어졌음을 의미한다. 결국 내용 구조도 전략을 활용한 고쳐 쓰기는 의미 구성 과정에 대한 자기 점검과 자기 질문, 그리고 자기 수정을 활발히 이루는 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고쳐 쓰기에 대한 인식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4학년, 8학년 대부분이 사전 검사 때부터 고쳐 쓰기가 필요하다고 밝혔으나, 사후 검사를 통해 고쳐 쓰기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더욱 높아졌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주로 단어와 문장 수준의 고쳐 쓰기를 해야 한다고 했던 사전 검사와 달리 주로 글 전체 내용과 조직 중심의 고쳐 쓰기를 해야 한다고 밝힌 학습자들이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내용과 논의를 바탕으로 얻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내용 구조도 전략을 활용한 고쳐 쓰기는 학습자가 자신의 초고를 읽고 내용 구조 도를 작성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자기 점검과 자기 질문, 그리고 자기 수정으로 이어져 쓰기 능력과 고쳐 쓰기 능력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었다는 점이다. 둘째, 내용 구조도 전략을 활용한 고쳐 쓰기는 수준별 내용구조도 틀을 제공함으로써 상, 중, 하 학습자들 모두 고쳐 쓰기에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었다는 점이다. 셋째, 내용 구조도 전략을 활용한 고쳐 쓰기는 고쳐 쓰기에 대한 인식에도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와 고쳐 쓰기에 대한 중요성을 더욱 인식하게 되었다는 점이다. 넷째, 내용 구조도 전략을 활용한 고쳐 쓰기는 4학년, 8학년 학습자 모두에게 쓰기 능력과 고쳐 쓰기 능력, 그리고 고쳐 쓰기 인식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쓰기 과정에서 고쳐 쓰기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보다 구체적이고 능동적인 고쳐 쓰기를 할 수 있는 전략으로 학습자 수준별 내용 구조 도를 활용하였다는 의의를 지닌다. 아울러 내용 구조도 전략을 활용한 논술문 고쳐 쓰기 지도 모형을 실제 현장에 적용하여 쓰기 능력과 쓰기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검증하고 실제 활용 방안을 제시함으로 도움을 주고자 한 점도 그 의의라 할 수 있다. 내용 구조도 전략을 활용한 논술문 고쳐 쓰기 지도 방안이 실제 고쳐 쓰기 과정에서 자신의 글을 비판적으로 점검하여 문제를 발견함과 동시에 해결해 가는 동안 자신의 글쓰기 과정을 내면화하는 데 적극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ise instructional plans for essay revising with the content structural diagram strategy. A writing activity involves a process of creating, organizing, and expanding thoughts with language and building meanings. In particular, revising makes such an essential process in that it can help the writer look back on his or her writing, inspect it critically, solve problems, and internalize his or her writing process. Most students, however, lack a perception of revising and fail to use the revising strategy, which allows them to take an active and independent approach, in their actual writing processes. One of the reasons can be found in the absence of proper, concrete, and applicable instructional methods for revising and level-based revising according to the students' writing skills. Thus the investigator devised and applied an essay revising model with the content structural diagram strategy, which helps the students in diverse writing skill levels structurize their writings, look back on and inspect them more actively, and participate in revising more actively. The application results show that both the fourth and eighth graders experienced significant effects in writing skills, revising skills, and revising perceptions. Recognizing that the old revising instructional methods failed to reflect the different levels of the students, the investigator offered a framework of content structural diagram by considering their different levels and witnessed positive effects on all the upper, middle, and lower group. The research content and discussions led to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revising with the content structural diagram strategy helps the students naturally include self-inspection, self-questioning, and self-revision in the process of reading a draft and making a content structural diagram and thus improve their writing and revising skills evenly in terms of content, structure, and expression. Secondly, revising with the content structural diagram strategy offers the students a framework of content structural diagram and accordingly enables all the upper, middle, and lower group take active part in revising. Thirdly, revising with the content structural diagram strategy caused positive changes to the students' perceptions of revising. Finally, revising with the content structural diagram strategy has positive effects on the writing skills, revising skills, and revising perceptions of both the fourth and eighth graders. The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utilized a student levels-based content structural diagram as a strategy to help the students realize the importance of revising and engage in revising more actively and provided help to the scene of education by applying and demonstrating a revising instructional model with the content structural diagram strategy. Instructional plans for essay revising with the content structural diagram strategy will hopefully utilized by the students actively in a process in which they critically inspect their writings, solve problems, and internalize their writing processes.

      • 일본어 임용시험과 영어 임용시험 비교 분석 연구 : 2006~2008학년도 중등교사 임용 후보자 선정 경쟁시험 출제 문항 분석을 중심으로

        민혜정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本研究は韓国における日本語中等教師新規任用候補者選定競争試験(以下日本語任用試験)の出題問題の改善のため、3年間(2006~2008年度)の英語任用試験との比較を通じて、日本語任用試験の出題問題を客観的に分析し、有効な改善方向を提示しようとした。問題分析の基準にしたのは信頼性と妥当性といった評価の原理であり、さらに望ましい外国語教師の資質とコミュニカティブ․アプローチに基づいた第7次課程を分析し、構因妥当性(construct validity)の構因とした。 任用試験の出題傾向は有能な講師選考と直接的な関わりがあると同時に、公立学校教師を目指す受験者に教師としての必要な実力を身につけさせる基準にもなる。従って、試験の目的は、単なる少数人員選考であってはならない。 研究を通じて、日本語任用試験と英語任用試験の分析内容をまとめ、改善の方法を提示すると次のようである。 まず、教科教育学からは次のような結論が出た。 第一、日本語任用試験は第二言語習得理論と教授法の出題比率が英語任用試験に比べ、はるかに低かった。第二言語習得理論に関する研究と評価問題開発が必要である。 第二、日本語任用試験の教科教育学の出題問題には実際に教科教育学の能力とは関係が見られない教科内容学的知識を問う問題が出題された。教科教育学と教科内容学の統合的問題は、教科内容学の知識を教科教育学の知識によって分析する問題である。 第三、日本語任用試験には、実際の教室活動からかけ離れた理論の解説と名称を問う問題が多いのに対し、英語任用試験には教室活動の原理が先に提示され、原理に基づいた教室活動の分析力と適応力を問う問題が多かった。 結果的に、1.で提示した教科教育学の構因妥当度を日本語任用試験が満足しているとは言えない。外国語教師らしい授業運営能力とそれにふさわしい資質のある教師を選考するためには、日本語教育論の研究を進め、多様な教科教育学の構原を評価問題に反映しなければならない。 次に、教科内容学からは次のような結論が出た。 第一、日本語任用試験にはコトワザ、慣用句、オノマトペをはじめ、固有名詞も含めた単語の意味を問う問題の比率が高かった。語学概論の領域でさえ、語学概論の原理の理解に関わる能力より、単語暗記力を問う問題が出題された。その反面、英語任用試験には単語の意味を問う問題はなかった。 第二、日本語任用試験に教科内容学の問題の中では現在の国家水準の教育課程と教科教育学の内容からかけ離れた問題が見られた。教育過程で排除すべきと書いてある内容が出題される反面、重点をおいている社会言語学および談話分析にかかわる問題があまり見られないのは、教育課程に反する傾向であると言えよう。 第三、日本語任用試験には国家水準の教育過程にはない日本文学に関する幅広い問題が出題された。また、文学の問題は作品名や作者名を問う問題がほとんどであり、さらに、作品の本文から作品名と作者名を類推しなければならない問題もあった。その反面、英語任用試験にはそのような断片的な知識を問う問題はなく、作品鑑賞や文学教育の方法にかかわる問題が出題され、日本語任用試験と大きな差があることがわかった。第7次教育課程の主な目標は日常生活での意思疏通である。従って、日本文学の内容も意思疏通を円滑にする一面という観点から、学問的というより文化的に扱わなければならない。 第四、日本語任用試験には、異文化理解や、意思疏通の社会言語的な観点を問う問題はあまり見られなかった。その代わり、日本で行われる行事や使われる物の名称、地域名などような日常的な常識を問う問題が出題された。しかし、このような用語を知っているからといって、その文化をよく理解しているとは言えない。従って、物や行事の名称を問う問題より意思疏通の中で理解しなければならない社会言語学的な問題が出題されるべきである。 第五、日本語任用試験には、正答の範囲がなく、正答を推測しにくい問題や正答がいくつもありそうな問題が出題された。 本研究では、最後に2009学年度から改訂される任用試験の例示問題を分析し、改善の案を次のように提示する。 第一、多肢選択型問題を製作する際に多様な本から内容を集めると問題の脈略が曖昧になることがあるので、一つの問題で評価項目を明らかにすべきである。 第二、教科教育学と教科内容学が統合的に問われる問題の開発が必要である。 第三、改善任用試験では2次論述型筆記試験と3次教職適性深層面接が日本語で実施されるようになっているので1次選択型筆記試験の会話と作文問題は控え目にすることも考慮の対象になりうる。 第四、文学と文化は第7次教育課程の内容の範囲内で、教授ー学習過程に採り入れる際の方法論とそのために必要な知識を問う問題が開発されるべきである。 第五、わずか40個の問題で少人数を選考しなければならない1次選択型試験では難易度調節が重要な課題となる。問題の妥当性を害しない範囲で適切な難易度も保つ方法としては1次選択型試験の一つの問題の読む分量を増やす方法がある。 第六、少人数の出題委員が8つもある試験科目の問題を出題することは無理があるだけに、あらかじめ各科目の専門家から問題を集めその中から出題委員が問題を選択し出題する問題銀行方式の導入を提案したい。 本研究の結果がこれから日本語任用試験の問題出題における改善に小さくはあるが、参考になっていただきたい。また、これから評価問題に関する活発な研究が進められることを望む。

      • 다문화학생과 일반학생의 친구관계에 따른 학교적응 비교연구

        민혜정 경인교육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다문화 학생과 일반학생의 친구관계와 학교적응 수준과 개인별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 친구관계 수준에 따른 학교적응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한 연구이다. 이 연구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학생과 일반학생은 친구관계에서 차이가 있는가? ⅰ)다문화학생과 일반학생은 성별, 학년, 학업수준에 따른 친구관계에 차이가 있는가? ⅱ)다문화학생은 출생 국가 및 가정에서 사용하는 언어에 따른 친구관계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다문화학생과 일반학생은 학교적응에서 차이가 있는가? ⅰ)다문화학생과 일반학생은 성별, 학년, 학업수준에 따른 학교적응에 차이가 있는가? ⅱ)다문화학생은 출생 국가 및 가정에서 사용하는 언어에 따른 학교적응에 차이가 있는가? 셋째, 다문화학생과 일반학생의 친구관계 수준에 따른 학교적응에는 차이가 있는가? 이다. 이 연구문제를 알아보기 위하여 인천, 경기, 충남지역 소재 초등학교 3~6학년에 재학 중인 96명의 다문화학생과 150명의 일반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여 친구관계와 학교적응을 분석하였다. 설문 언어는 한국어로 제작, 사용하였으며 다문화학생의 경우 한국어로 기본적인 의사소통이 가능하여 질문을 읽고 응답하는데 어려움이 없는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다문화학생과 일반학생의 친구관계 수준은 다문화학생이 일반학생 보다 낮았지만 그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일반학생은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이, 중학년보다 고학년에서 친구관계 수준이 더 높았지만 다문화학생은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학업수준에 따른 친구관계는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한국출생 다문화학생이 중도입국학생보다 친구관계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학생과 일반학생의 학교적응 수준은 다문화학생이 일반학생 보다 평균은 낮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넷째, 일반학생은 남학생에 비해 여학생이, 3학년과 5학년보다 6학년의 학교적응 수준이 높았지만 다문화학생은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다문화학생과 일반학생 모두 학업수준이 높은 학생이 학교적응을 더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 적응에서도 한국출생 다문화학생이 중도입국학생보다 학교적응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다문화학생과 일반학생 모두에게 친구관계는 학교적응에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친구관계 상위 집단 내의 다문화학생과 일반학생 학교적응 수준은 유사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근거로 후속 연구에 요구되는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가 가지는 편의표집의 한계를 보완할 필요가 있다. 둘째, 다문화학생의 친구관계와 학교적응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셋째, 다문화학생 중 특히 중도입국 학생들의 학교생활에서의 어려움 해소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이 지원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문화학생의 학교적응에서 나아가 한국사회 적응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육적 방안과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 어린이들의 家庭에 대한 知覺에 관한 硏究

        민혜정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 사회가 복잡해지고 문화가 눈부시게 발전할수록 학교 교육만으로 교육의 기능과 책임을 감당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가정의 기능과 역할은 더욱 중요하다고 하겠다. 최근 들어 날로 더해가는 도덕성의 실추, 인간성의 매몰현상과 더불어 청소년의 비행과 문제 아동이 급격히 증가하는 근본 원인은 가정 교육의 약화 내지 부재 탓으로 사회 문제의 뿌리가 우리의 가정에 있음을 뜻한다. 이러한 현재의 아동교육에 관한 문제를 가정 안에서의 가족간의 역할과 기능이 아동에게 어떻게 지각되어 있는지를 파악하여, 학교 교육과 연관된 새로운 가정교육의 방향을 찾고자 하는데 연구의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가정의 전반적인 기능에 대한 아동들의 현재 지각의 정도를 조사 분석하기 위하여 가정의 보편기능적, 제도 및 구조적, 상호작용적 측면에서 아동의 지각을 조사한다. 둘째, 선행연구를 토대로 어린이들의 가정에 대한 지각에 변화를 알아본다. 셋째, 학교교육과 연관된 가정의 교육적 기능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적 자료를 수집한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조사 대상자를 표본이론에 맞추지 못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사용된 질문지는 신뢰도와 타당도를 충분히 검증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서울시내 초등학교 2개교의 3학년과 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통계적 처리는 頻度와 백분율을 기본적 자료로 처리하여 반응간의 차이유의는 카이 自乘法(Chi Square)을 활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첫째, 보편기능적 측면에서 보면 어린이들은 동성의 부모를 동일시하였으나, 자랄수록 아버지를 동일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가정에서 아버지의 권위를 인정하면서도 중요한 일의 결정에 있어서는 과거에는 아버지를, 현재에는 '의논해서 결정한다'라는 반응을 보였다. 부모들의 맞벌이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나 가족을 위해 더 수고하시는 분은 아버지라고 반응했다. 반면 생산활동은 아버지가 가정 일은 어머니가 하시길을 원하며, 가정 일에 대하여 아버지의 적극적인 참여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제도 구조적 측면에서 보면, 어린이들은 자신의 가정에 대해 비교적 행복하다고 반응했고, 행복의 조건으로는 '사랑과 이해'라고 했으며, 부모에 대한 불만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형제가 어려움을 당할 때에 과거에는 '도울 의무는 없지만 돕도록 노력하겠다'로 반응했고, 현재에는 '무조건 돕는다'로 나타났다. 셋째, 상호작용 측면에서 보면 어린이들은 가정에서 아들과 딸을 평등하게 대해 주는 것으로 반응했고, 어머니와 지내는 시간이 많이 있으나 고학년이 될수록 자신의 비밀은 가족에게 이야기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어린이들의 집안 일 참여정도는 과거에는 '누가 다함'으로 반응했으나, 현재에는 '못하게 한다'라고 반응한 것으로 보아 부모들이 집안일 보다는 공부하기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정에서 부부관계에 대한 어린이들의 생각은 과거에는 '아버지가 높고 어머니가 낮다'로 반응했으나, 현재에는 '친구같이 친함'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반응으로 보아 현대가정은 수평적이고 조화로운 가족간의 관계가 형성되어 가고 있는 것 같다. 연구의 제언으로는 첫째, 민주적인 가정을 이루기 위해 부모나 가족들이 자녀들과 함께 하는 대화의 시간을 의도적으로 가질 필요가 있고, 자녀교육에 있어서도 부모가 공동의 책임의식을 갖고 지도해야겠다. 둘째, 가족구성원의 공동체 의식 함양 및 인성교육 강화를 위해 가정과 연관된 학교단위 프로그램의 활용을 교사들이 적극적으로 실천하여야 하겠다. 셋째, 어린이들의 가정교육을 강화하고, 사회화의 기초가 되는 인간관계를 형성하기 위하여 조부모, 친척, 이웃과의 유대관계를 좀 더 친밀하게 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다. 넷째, 현대의 기술정보시대에 결핍되기 쉬운 가족의 정서교육과 인성교육을 위해 대중매체를 선별하여 교육에 활용하는 방법이 연구되어야 하겠다. As modem society is getting complicated and the culture is greatly developed, the function and the role of family become more important because it's impossible for school system alone to take the whole responsibility and function of education. Recently, the number of juvenile delinquency and problem child has rapidly increased with the fall of morality and the lost of humanity. It means the weakened function of family education is the fundamental cause of those problems and social problem is rooted in our families. This study is expected to find a way of new family education related to school education by realizing how children perceive the function and the role of family. The Object of Study First, in order analyze the level of present children's perception to a general family function, the perception of children will be surveyed in terms of a universal family function, system and structure, and interaction. Second, on the basis of precedent studies, the change of children's perception to family will be checked. Third, a basic data will be collected to establish an educational function of family related to school education. The limited points of this study are that it failed to make a sample group designed to meet a standard sampling theory, and the dependability and the validity of the questionnaire used for this has not been fully verified. The subjects were third and sixth grade children of the two elementary schools in Seoul. Chi Square was used to examine the statistic significance of differences between reactions based on the arrangement of basic data with frequency and percentage. The Results of Study First, in the universal function side, children identified the same sex parent as theirs with themselves but as they were getting older, they showed the tendency to identify their fathers. Although they admitted their father's authority, they responded that they made a decision through the consultation when they faced something important while their fathers usually decided alone in the past. Even if the number of dual-income husbands and wives has increased, it showed that most of children thought that father made more efforts for family. On the other hand, children expected father to be engaged in the productive action and mother with home matters. And also they wanted father's positive participation in the family matters. Second, in the systemic and structural side, children responded that they felt relatively happy with their families. The condition of happiness was love and understanding according to children's answers and they had no complaints about their parents. For the question which asked about what they were going to do when their brothers or sisters were in trouble, they said in the past that they would try to help even though there was no obligation. But the answer to help them unconditionally showed children's thinking has been little bit changed. Third, in the interactional side, children thought that were treated equally by family members regardless of their sex. It was revealed that they spent a lot of tie time with their mothers but as they were growing up, they kept their secrets and problems in their mind and didn't talk about those things to any family members. This study also showed that parents wanted their children to study rather than to do house chore by children's answers that their parents fcrced them not to participate in housework. In the past, children thought father was in higher position than mother but now according to this study, they think father and mother have close connection with each other like friends. It indicates that equal and harmonious relationship among family members is having been formed. The Suggestion of Study First, it's necessary that family members should intentionally have time for conversation with their children to make democratic family. And mothers and fathers have to educate children with equally shared responsibility. Second, teachers should apply positively the school-level programs related to family matters to the strengthening the unity of family and moral education. Third, it's important to mak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 and grandparents, relatives and neighbors get closer for family education and forming the social network which is fundamental for socialization. Fourth, it must be studied the way to use mass media selectively for the family education of emotion and morality which can easily lack in rapidly changed modern technology society.

      • 참회명상과 감사명상을 통한 정서 및 관계변화 연구

        민혜정 동국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and understand what emotional experience the participants go through and how emotions and relationships change through repentance meditation and gratitude meditation. In this study, deeper understanding of emotional experiences and relationships change by the use of qualitative method among the participants through meditations is to provide principle materials for meditation applications as an emotional healing proces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5 married women without meditation experiences are chosen as participants. The study uses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 The participants took 4 sessions of repentance meditation and 4 sessions of gratitude mediation from October 6, 2014. All their activities were collected, recorded, and analyzed for this study. To analyze these records, inter-case analysis and intra-case analysis methods are used. For inter-case analysis, theme-based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tically explore changes of participants emotional experiences through each meditation session. Theme-based analysis enables to find a main theme and sub-theme for each participant and helps withdraw a key concept. For intra-case analysis, Colaizzi method is applied to horizontally approach to common attributes of the participants and meaningful emotions and relational experiences. According to Colaizzi method, 23 themes, 9 theme groups, and 3 categories of negative and positive emotions, and relationships are deployed to state changes of emotions and relationships. The followings are conclusions of those changes. First, repentance meditation and gratitude meditation tend to provide the participants positive emotional experiences such as stability, happiness, vigorness, gratitude, love, and altruism. Repentance meditation makes them aware of their emotions and calms their distracted mind. Gratitude meditation tends to make meaningful influence to strengthen and expand positive emotional experiences. Those strengthened and expanded experiences are seen as a promoter to boost altruism and enlarge consciousness. Second, repentance meditation and gratitude meditation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changing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at a meaningful level. Negative emotions tend to decline while positive emotions increase. Repentance meditation is relatively more involved in negative emotions than positive emotions. The participants show signs of self-awareness, self-control, and transfer negative emotions to positive ones. Gratitude meditation is deeply involved in positive emotions. The participants tend to realize their positive emotions and actively embrace them to a more positive influence. Third, those emotional changes lead to a positive change on their relationships. Repentance meditation tends to more influence a new relationship with 'self' in a positive way. Gratitude meditation tends to more influence mature relationships with others such as family, neighborhood, community. Thus, they change their internal and external relationships positively through the meditation. This shows that repentance meditation and gratitude meditation help the participants to experience positive changes on their emotions and relationships. Furthermore, the study suggests that repentance meditation and gratitude meditation can be used as a healing method for distracted minds. Continuous sessions give a chance to look into a mechanism of the two meditations and figure out respective attributes.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provides significant information and proper timing to apply the meditation. In conclusion, this paper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further development of healing program using repentance meditation and gratitude meditation. 본 연구는 참회명상과 감사명상을 통해서 연구 참여자들이 어떠한 정서경험을 하며 정서 및 관계영역에서 어떤 변화가 일어나는지를 탐색하고 이해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 명상을 통한 정서 및 관계경험을 질적인 접근으로 탐색하여 심층적인 이해를 하는 것은, 정서 치유방법으로서의 명상의 활용가능성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데 연구의 의의를 둔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명상경험이 없는 5명의 기혼여성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질적사례연구방법으로 접근하였다. 2014년 10월 6일부터 참회명상 4회기, 감사명상 4회기의 총 8회기의 명상활동을 연구 집단에 진행하고 참여자기록, 녹취록, 관찰자기록, 연구자 기록을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사례 내 분석과 사례 간 분석을 실시하였다. 사례 내 분석에서는 참여자들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서 참회명상과 감사명상을 통해 어떤 정서경험을 하는지 종적인 변화내용의 탐색을 위해 주제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제별 분석을 통하여 각 참여자별로 중심주제와 소주제를 발견하고 중심개념을 도출하여 4단계로 나누어 기술하였다. 사례 간 분석에서는 참여자들의 공통된 속성이나 의미있는 정서 및 관계경험을 찾아 횡적인 관점으로 접근하여 Colaizzi의 분석방법을 적용하였다. Colaizzi의 분석방법에 따라 23개의 주제(theme), 9개의 주제군(theme group)과 부정적 정서, 긍정적 정서, 관계의 최종 3개로 범주로 도출되어 정서 및 관계변화내용을 기술하였다. 사례 내 분석과 사례 간 분석을 한 연구결과에 근거해서 참회명상과 감사명상을 통한 정서 및 관계변화 내용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참회명상과 감사명상을 통해서 안정감, 에너지, 기쁨, 감사, 행복, 사랑, 이타심 등의 긍정적 정서경험을 많이 하는 경향을 보였다. 참회명상은 자신의 정서를 자각하고 성찰시킴으로써 산란한 마음을 안정시켜 평온함을 느끼게 해주는 경향을 보였다. 이어진 감사명상은 긍정적 정서경험을 강화·확대시키는 데 의미 있는 영향을 주는 양상을 보였다. 강화되고 확대된 긍정적 정서 경험은 의식을 확장시키며 이타심 영역을 성장시키는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참회명상과 감사명상은 긍정적 정서와 부정적 정서를 의미 있는 수준에서 변화시켰다고 볼 수 있다. 부정적 정서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긍정적 정서는 증진되는 경향을 보였다. 참회명상은 상대적으로 부정적 정서에 더 관여하며 부정적 정서를 자각, 조절, 전환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부정적 정서를 통찰하게 되면서 좀 더 적응적인 형태로 조절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부정적 정서를 긍정적으로 재해석하면서 부정적 정서경험이 변화되기도 하였다. 감사명상은 긍정적 정서에 더 관여하며 긍정적 정서를 자각, 강화, 확장시키는 경향을 보였다. 명상활동을 통해 긍정적 정서를 더 잘 자각하고 적극적으로 수용하게 되면서 긍정적 정서표현이 증가 되고 이것은 강화·확대되는 경향을 보였다. 셋째, 참회명상과 감사명상을 통한 정서변화는 긍정적인 관계변화를 이끌었다고 볼 수 있다. 참회명상을 통한 정서변화는 자기 성찰과 함께 자신과의 새로운 관계 맺기에 더 영향을 주는 경향을 보였다. 이것은 개인 내적인 측면에서의 관계변화라고 할 수 있다. 감사명상을 통한 정서변화는 의식의 확장을 이끌어 타인과의 성숙한 관계 맺기와 환경과의 동반적 관계 맺기에 더 영향을 주는 경향을 보였다. 이것은 개인 외적인 측면에서의 관계변화라고 할 수 있다. 결국 참회명상과 감사명상을 통한 정서변화는 개인 내외적인 관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켰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의 결과, 참회명상과 감사명상을 통해서 정서 및 관계경험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참회명상과 감사명상이 정서 치유방법으로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참회명상과 감사명상을 연속적인 체험으로 구성하여 실시하면서 참회명상과 감사명상이 각각 정서의 어느 측면에 어떤 식으로 작용하는지도 살펴볼 수 있었기 때문에 참회명상과 감사명상의 각각의 특징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참회명상과 감사명상을 활용할 적절한 시점과 상황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데에도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결과는 참회명상과 감사명상을 활용한 치유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해본다.

      • 우리나라 제조업의 Lorenz 곡선 유형에 관한 연구

        민혜정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A estimation method for a specified parametric form of the Lorenz curve on the data directly is presented. Sarabia-Castillo-Slottje proposed a general estimation method which is need to minimize a non-linear function of the parameters. We applied the elasticities of L_(3) to estimation. We check expandability of parameter range with real data. Chapter 2 presents theoretical background of Lorenz curve. In chapter 3, we consider a specified parametric form of the Lorenz curve, which can be easily received a hint by a form of Pareto distribution. Finally, an application is presented for data from ministry of labor in Korea. The results are very robust across data sources.

      • 남북한 공용 한국지리교과서 내용체계에 관한 제언

        민혜정 공주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Since Germany and Yemen became united in the 1990s, the atmosphere of reconciliation has increasingly been created all over the world. Nevertheless, North and South Korea remain separated following Korean independence from Japanese rule in 1945. However, political and economic exchange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which began with the North-South Joint Declaration in June 15, 2000 have rapidly expanded, resulting in the February 13 agreement, the South-North Korean Summit meeting, and the operation of the railways on the Gyeongui Line in 2007. Such vigorous exchanges undoubtedly reduce tension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and advance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Korean people's long-cherished desire. Especially, a matter of integrating North and South Korean educations which have become completely different due to the long separation of the nation needs to be discussed in depth. Textbooks are the most fundamental education materials. The analysis of the contents of school textbooks in certain society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education of the society. Stark differences in the composition and content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n textbooks can become a big obstacle to the restoration of Korea's ethnic homogeneity. Therefore, North and South Korean textbooks absolutely should be integrated before the two Koreas become united. Especially, geography textbooks that reflect the common geographical concept of the Korean peninsula should be integrated more than any other subject textbooks. Indeed, they are more likely to be integrated than other textbooks. In other words, the understanding and ethnic homogeneity of the Korean peninsula should be restored through geography education. Currently, Korean geography textbooks under the 7th national curriculum in South Korea discussed North Korea in a separate chapter, leading student to have the perception that North Korea is the separate region. In addition, the content is too inadequate to reflect rapidly changing North Korean situation. Given that the fact that North Korea is a closed society different from South Korea and exists as a separate nation, it is understandable why North Korean region was discussed in a separate chapter. However in the age of globalization, we need to overcome and resolve the sadness over the separation of the nation. This study suggested a composition plan for Korean geography textbooks in both regional and systematic methods in the preparation for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e textbook composition plan in the regional method has the merits of explaining the features of the entire nation and discussing natural and cultural environments and human lives of each province and changing conditions of North Korea. However, its framework and content are still quire similar to those of South Korean geography textbooks being currently used. In the meantime, the textbook composition plan in the systematic method allows discussing North and South Korea as a whole, but even the titles of its units have failed to display the locality of North Korea. This study reorganized the contents of current North and South Korean textbook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arouse the necessity of new Korean geography textbooks, leading the government to embark on the development of new textbooks in order to narrow the gap between North and South geography education and to advance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rough the restoration of the nation's ethnic homogene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