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황해 박스코어 퇴적물에서 와편모조류 시스트의

        노연호 부경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황해 퇴적층에서 와편모조류 시스트 군집의 시간적 변화 특성과 그 원인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황해 중앙 및 남동 해역의 니질대에서 2개의 박스코어(AB01과 D06) 퇴적물이 채취되었으며, 각 코어 퇴적물의 연대 추정을 위한 210Pb 동위원소 분석과 함께, 약 2 ~ 5 cm 간격으로 채취된 부시료들에 대한 총유기탄소 및 총질소 함량 그리고 와편모조류 시스트 군집 분석을 실시하였다. 과잉 210Pb(excess 210PB activity) 동위원소 수직 분포에서 기울기 특성을 이용하여 계산된 각 코어 퇴적물의 퇴적율은 각각 0.07cm/yr, 1.70cm/yr 이며, 이를 이용하여 추가된 코어 퇴적물의 연대는 AB01은 최대 500년 에 달하며, D06은 30년에 달한다. 총유기탄소 및 총질소의 함량은 코어 AB01과 D06에서 총유기탄소 0.09 ~ 0.13%, 0.65 ~ 0.88%, 총질소 0.05 ~ 0.19%, 0.03 ~ 1.87%범위이다. 코어 AB01의 총유기탄소 및 총질소 함량은 전반적으로 코어의 상부로 갈수록 뚜렷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함량의 수직적 변화 특성에 따라 하부에서부터 3개의 구간(Zone1, 2, and 3)으로 뚜렷하게 세분된다. 최하부의 Zone1 은 1455 ~ 1730년 사이의 구간으로 전반적으로 총유기탄소와 총질소 함량이 각각 0.5% 및 0.07%미만으로 낮은 특성을 보이며, Zone2는 1730 ~ 1910년 사이의 구간으로 총유기탄소 및 총질소의 함량이 각각 0.08%와 0.1%까지 점이적 으로 증가하며, 최상부의 Zone3은 1910년에서 현재까지의 퇴적 구간으로 총유기탄소와 총질소의 함량이 각각 1.2%와 0.2%까지 크게 증가한다. 또한 코어 D06의 경우 퇴적물의 연령과 총유기탄소 및 총질소의 함량이 코어 AB01의 Zone3 에 해당하며, 이들 함량의 수직적 변화에 따라 1999년을 기준으로 하부에서부터 Zone 3a와 3b로 세분된다. 황해 퇴적물에서 출현이 확인된 와편모조류 시스트는 총 12속 19종이다. AB01 에서는 6속 11종, D06 은 12속 17종으로 AB01 보다 다양한 종이 출현하였다. AB01의 와편모조류 시스트 군집의 수직적 변화는 1580년대 Spiniferites spp. 에 의해서 증가하는 구간을 제외하고 전반적으로 상부로 갈수록 현존량은 높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현존량의 증가 경향에 따라 하부에서부터 3개의 구간(Zone1, 2, and 3)으로 뚜렷하게 세분된다. 최하부의 Zone1은 1450 ~ 1730년 사이의 구간으로 1580년대 Spiniferites spp. 의 높은 증가 구간이 특징을 보이며, Zone2는 1730 ~ 1910년 사이의 구간으로 Spiniferites spp. 의 감소와 Brigntedinium spp. 의 증가현상이 특징이며, Zone3 은 1910년대부터 현재까지의 퇴적구간으로 A.tamarense/catenella 과 O. centrocarpum 의 급격한 증가와 1990년 의 높은 현존량을 보인다. 또한 코어 D06의 경우하부에서부터 2개의 구간 (Zone3a, Zone3b) 로 세분되며, 이는 AB01 의 Zone3 에 해당하는 연대이다. Zone3a 는 1980 ~ 1997년 사이의 구간으로 Spiniferites spp. 의 현존량이 증가한다. Zone3b 는 Spiniferites spp.의 현존량이 감소하며 Brigntedinium spp.의 현존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총유기탄소, 총유기질소의 함량 변화 특성과 와편모조류 시스트 의 시간적 변화 특성이 잘 일치한다. 그 결과 Zone1은 Spiniferites spp. 는 1580년대 높은 현존량을 나타낸다. 감소하며 총유기탄소, 총질소의 함량은 점미적 으로 증가한다. 이는 유기물의 유입에 의한 현상으로 보이나 좀 더 많은 자료와 연구가 필요하다. Zone2 는 총유기탄소, 총질소의 함량이 점증적으로 증가하며, 총 와편모조류의 시스트의 현존량은 낮은 편이다. 특징적인 점은 자가영양종인 Spiniferites spp.의 현존량 감소와 종속영양종인 Brigntedinium spp.의 현존량 증가이다. Brigntedinium spp.이 Spiniferites spp 의 현존량 감소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생각된다. Zone3 은유기물의 함량이 크게 증가하는 구간으로 와편모조류 시스트의 현존량 또한 높아지는 구간이다. 특히 A.tamarense/catenella 과O. centrocarpum 이 우점하며 높은 함량을 보이는데 이는 성장에 충분한 영양염과 적합한 온도(비교적 낮은 수온)가 형성됨에 따라 생산력이 증가하였음을 지시한다. 또한 1910년대는 화석연료를 사용하면서 북반구의 퇴적물에서도 질소 안정동위원소 비율이 두 배 이상 증가하는 현상을 보이며, 우리나라 동해 남부 해역 퇴적물에서 Pb-207/Pb-206 도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여 시스트 의 증가와 잘 일치한다.1990년 A.tamarense/catenella 과 O. centrocarpum 의 급격한 증가는 해양투기의 투기의 영향으로 보인다. Zone3a 의 총유기탄소, 총질소의 함량에는 큰 변화가 나타나지 않으나 Spiniferites spp. 의 현존량의 증가가 나타난다. Zone3b 는 총유기탄소와, 총질소의 함량이 높아지면서 Spiniferites spp.의 감소와 Brigntedinium spp. 의 증가가 나타나는데 이는 황해 남동 해역 의 탁도가 높아져 광저해 현상에 의한 Spiniferites spp. 의 감소로 여겨진다. 본 연구결과, 황해 중앙 및 남동 해역의 니질대 퇴적물의 와편모조류 시스트 군집의 시간적 변화 및 총유기탄소, 총질소의 특징으로 구분되는 3개의 Zone과 2개의 Zone 로 나뉠 수 있었다. 특히, 황해 중앙 니질대 에서 1910년대 이후 급격한 와편모조류 시스트 현존량 증가현상은 최근 의 인간 활동에 의한 황해의 환경 변화를 잘 타내내는 지시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판단된다.

      • DEA-SBM 모형을 활용한 국내외 물류기업의 재무 효율성 비교 분석

        노연호 인하대학교 물류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domestic logistics industry has a low level of operational efficiency and management maturity compared to global logistics companies, so it is necessary to specialize and manage major operations to drive business expansion and growth. Considering these current status of the domestic logistics industry, many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analysis of the efficiency of various methods for each business sector of the domestic logistics companies. However, the existing studies were mainly conducted for all or a specific group of logistics companies. Therefore, this study divided domestic logistics companies into four groups, and also added global advanced logistics companies to analyze the efficiency trends according to groups, within groups, by company size, and asset-based or non-asset-based companies. Also in the analysis methodology, instead of the classic method BCC, CCR model or Malmquist for productivity analysis, efficiency analysis is performed by using DEA-SBM, which includes the weak point of slack when measuring efficiency. As a result of the efficiency analysis of all 61 logistics companies from 2010 to 2019, including global logistics companies, the overall efficiency of all logistics companies was analyzed to be a downward trend. By sector, the relative efficiency of domestic certified integrated logistics services, freight forwarding and warehouse service companies were found with downward trend, and it has been found that the output compared to input factors has not reached an appropriate level. On the other hand, the global logistics company sector is an upward trend and the inefficiency size is very low compared to the domestic logistics companies. As a result of efficiency analysis by size of logistics companies, the efficiency of mid-sized companies tends to be flat, while the efficiency of large and SMEs(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are showing a downward trend. In addition, as a result of the overall analysis of logistics companies by asset-based (Asset Based, Non-Asset Based), the overall SBM efficiency of non-asset based group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asset based group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fficiency of Korea's certified excellent logistics companies is on a downward trend compared to global logistics companies. Therefore,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government's policy support is needed along with efforts such as structural reform of the company itself. Second, the relative efficiency of logistics companies in the fields of domestic certified integrated logistics services, freight forwarding and warehouse service companies were found with downward trend, and overall, it is analyzed that the output compared to input factors has not reached an appropriate level. Third, the relative efficiency of the SMEs group is still 25~30% lower than the comparison groups. It is expected that we need to derive growth engines for SMEs, such as win-win cooperation between large and small companies. Forth, the relative DEA-SBM efficiency of the non-asset based group was high.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strategies to reduce non-current assets and increase net profit within the domestic logistics companies, and to introduce growth strategies that utilize M&A and direct investment used by global logistics companies. ​In this study, due to the limitations of information gathering, efficiency was analyzed by input and output factors only with limited DMU and indicators in financial statements. If this shortcoming is complemented, it is expected that more empirical and objective policy proposals can be made. 국내 물류산업은 글로벌 물류기업 대비 운영 효율성 및 관리 성숙도 수준이 낮아 사업 확대 및 성장을 견인할 주요 운영의 전문화 및 관리의 체계화가 필요하다. 이러한 국내 물류산업의 현황을 고려하여 국내 물류기업의 사업 분야별로 다양한 방식의 효율성 분석에 관한 연구가 많이 수행되었으나, 기존 연구들은 주로 물류기업 전체 또는 특정 그룹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 물류기업을 4대 그룹으로 구분하였고 더불어 글로벌 선진 물류기업을 추가하여 그룹간, 그룹내, 기업 규모별 및 자산 보유 방식에 따른 효율성 추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분석 방법론에서도 고전적인 방법인 BCC, CCR 모형이나 생산성 분석을 위한 Malmquist 대신에 효율성 측정 시에 약효율점인 슬랙(Slack)을 포함하는 DEA-SBM(Slack Based Model)을 활용하여 효율성 분석을 진행하였다. 글로벌 물류기업을 포함하여 2010년부터 2019년까지 총 61개 물류기업 전체를 대상으로 진행한 효율성 분석결과, 전체 물류기업의 효율성은 전반적으로 하강 추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야별로는 국내의 종합물류, 국제물류주선 및 물류창고 인증기업의 상대적인 효율성은 하강 추세이며, 전반적으로 투입요소 대비 산출이 적정 수준에 이르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글로벌 물류기업 분야내의 상대적인 효율성은 전반적으로 상승 추세이며, 전반적으로 국내 물류기업 대비 비효율성 크기가 매우 낮은 수준으로 분포되어 있어 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물류기업 규모별 효율성 분석결과, 중견기업의 효율성은 보합 추세에 있지만, 대기업계열과 중소기업의 효율성은 하강 추세를 보이고 있다. 또한, 자산 보유 방식(Asset Based, Non-Asset Based)에 의한 물류기업 전체 분석결과에서는 전반적으로 비자산 기반형 그룹의 상대적인 SBM 효율성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은 첫째, 글로벌 물류기업 대비 우리나라 인증 우수물류기업들의 효율성은 하강 추세에 있으며, 기업 자체의 구조개혁 등의 노력과 함께 정부의 정책적 지원을 보다 적극적으로 진행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둘째, 국내 종합물류, 국제물류주선과 물류창고 인증 분야 물류기업들의 상대적인 효율성은 하강 추세로 나타나 전반적으로 투입요소 대비 산출이 적정 수준에 이르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중소기업 그룹의 상대적인 효율성은 대기업관계사와 중견기업 그룹 대비 여전히 25~30% 정도 낮게 나타났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상생협력 촉진에 관한 법률과 같이 중소기업과의 상생이 사회적 이슈인 만큼 적합한 성장 동력을 도출해야 할 것으로 전망된다. 넷째, 전반적으로 비자산 기반형 그룹의 상대적인 DEA-SBM 효율성이 높게 나타났다. 국내 대기업계열과 중견기업 그룹 내에서는 비유동자산의 절감과 순이익을 높이기 위한 전략 수립과 함께 글로벌 물류기업들이 활용하는 M&A와 직접투자를 활용한 성장전략을 도입하는 것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수집의 한계로 인해 한정된 DMU와 재무제표상의 지표를 투입 및 산출요소로 선정하여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한정된 글로벌 물류기업 DMU로 인해 운송, 창고, 국제주선 등으로 그룹핑한 국내 인증우수물류기업들과의 SBM 효율성 비교 분석은 제외했다. 이와 같은 미비점을 보완하여 국내 물류기업과 글로벌 물류기업의 효율성을 분석한다면 보다 구체적이며 객관화된 정책 제안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