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치과위생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감정노동, 직무만족,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노선미 을지대학교 보건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급격한 치과의료의 발전과 의료 수요의 증가로 의료기관의 경쟁이 심해지며 환자중심의 의료경영으로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치과위생사의 전문직으로 역할이 중요하지만 이직률이 높고 공급부족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함으로써 치과위생사의 인력관리 운용과 치과의료서비스의 질적 향상에 도움이 되고자 실시되었으며, 이를 위해 치과위생사의 감정노동, 직무만족, 사회적 지지 정도를 알아보고 각 변인들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 경기도에 소재한 치과 병∙의원, 대학병원 및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2017년 6월 18일부터 8월 4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총 224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응답이 미비한 1부를 제외하고 총 223부를 자료분석에 사용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치과위생사의 감정노동은 4점 만점에 2.49점, 직무만족은 5점 만점에 3.14점, 사회적 지지는 4점 만점에 3.04점, 이직의도는 5점 만점에 3.07점 이었다. 치과위생사의 이직의도는 감정노동의 하위요인인 고객응대의 과부하 및 갈등, 감정부조화 및 손상, 조직의 지지 및 보호체계 결여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직무만족의 하위요인인 업무만족, 직장만족, 그리고 사회적 지지와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초과근무횟수와 업무만족 및 직장만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치과 의료기관에서는 초과근무를 낮추고, 업무만족과 직장만족을 높일 수 있는 근무환경 개선 등의 여러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 지각된 부부관계 및 부모양육태도에 따른 초등학생의 인터넷 게임중독에 관한 연구

        노선미 평택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그 동안 초등학생의 인터넷 게임중독 연구는 부모양육태도와의 관계에 집중되어 정작 가정의 안전성과 , 지속성의 중심축인 부부관계와 인터넷 게임중독의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정환경 중에서도 자녀의 성장과 발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부부관계, 부모의 양육태도등 부모환경을 중심으로 인터넷 게임중독과의 관계를 연구함으로써, ‘청소년기와 성인기 문제행동의 전조’라 할 수 있는 초등학생의 인터넷 게임중독을 사전에 예방하도록 가족환경을 조성하고, 초등학생의 인터넷 게임중독에 관한 적절한 지도와 부부관계와 부모의 양육태도를 개선하는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했다. 특히 이를 위해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부관계 및 부모양육태도에 따라 초등학생의 인터넷 게임중독 수준이 어떠한지를 밝혔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아동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인터넷 게임중독 수준은 어떠한가? 둘째, 아동들이 지각한 부모의 부부관계에 따라 인터넷 게임중독 수준은 어떠한가? 셋째,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라 인터넷 게임중독 수준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당진군 소재의 4개의 초등학교 5~6학년 남녀학생 519명을 대상으로 했다. 이들은 무작위 군집샘플링하여 선정되었고, 이들에게 설문지 배포하여 조사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도구는 설문지이다. 우선 지각된 부부관계를 측하기 위하여 Olson , Fournier와 Druckmen(1982)에 의해 개발된 ENRICH의 12개 하위요인 중 부부만족도 요인을 김선미(1995)가 번안하여 수정한 부부관계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또한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 척도’는 스웨덴에서 제작된 EMBU의 단축형으로, 조한익(2007)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인터 넷 게임중독의 측정은 한국정보문화진흥원(2006)에서 개발한 아동용 인터넷 게임중독 척도를 사용했다. 연구결과를 분석함에 있어서, 아동들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빈도분석을, 아동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터넷 게임중독 수준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교차분석을, 지각된 부부관계와 부모양육태도에 따른 인터넷 게임중독 수준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t-test 및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사용하였다. 또한 각 집단 간의 평균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Duncan 사후검정 방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다음과 같았다. 아동들은 남자, 6학년이 좀 더 많이 응답하였다. 가정형태는 일반가정이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경제상황과 학교성적은 대부분 중위권이라고 답했다. 인터넷 게임 이용현황은 주로 게임을 목적으로 했고, 인터넷 게임을 하는 이유는 대부분 ‘재미있고’, ‘심심해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게임을 시작한 시기는 대부분 초등학교 1-4학년 사이였다. 인터넷의 사용시간은 하루 평균 2시간 미만으로 이용하고 있으며, 소수이기는 하지만 3~5시간 이용 아동도 5.6%에 이르고 있어, 특별한 지도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그 외에 부모님이 인터넷 게임에 대한 이해도는 ‘보통이’와 ‘대체로 알고 계신다’로 대답했고, 부모님의 인터넷 게임지도는 대부분 이용시간을 정해주거나, 약간 걱정과 잔소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 게임의 영향에 대해 아동들은 절반 이상이 좋은 영향을 주었다고 생각했지만 ‘나쁜영향’도 46.5%나 되었다. 인터넷 게임중독 예방에 관한 교육을 받은 적이 있는지를 질문한 결과, 교육을 받은 아동과 받지 않은 아동이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대상인 아동들의 인터넷 게임중독 실태는 전체 아동들의 21.8%가 위험 수준의 아동이었고, 이 중에서 고위험 이용자군이 7.1%를 차지하고 있었다. 인터넷 게임중독수준은 아동의 일반적인 특성 중에서 성별, 가족형태, 학교성적, 부모님의 인터넷 이해, 인터넷의 영향력 등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인터넷 게임중독 수준에 있어서, 성별로는 남자아동이 높고, 가족형태별로는 일반가정에 비해 결손가정이 더 높았다. 학교성적별로는 학교성적의 상ㆍ중위권 아동보다 하위권 아동이 더 높았다. 또한 부모의 인터넷 이해도 부분에서는 부모가 인터넷에 대해 모르고 있는 경우 인터넷 게임중독 수준이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인터넷의 영향력은 인터넷이 나쁜 영향을 준다고 생각하는 아동이 그렇지 않은 아동보다 인터넷 중독 위험수준이 높았다. 셋째, 인터넷 게임중독 수준이 지각된 부부관계에 따라 어떻게 다른지는 다음과 같았다. 즉 아동이 부가 모에 대해 긍정적이라고 지각하는 경우, 아동들은 인터넷 게임을 일반적으로 이용하고 있었고, 반면에 아동이 부가 모에 대해 부정적이라고 지각하는 경우, 아동들의 인터넷 게임중독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마찬가지로 아동이 모가 부에 대해 긍정적이라고 지각하는 경우, 아동들은 인터넷 게임을 일반적으로 이용하고 있었고, 아동이 모가 부에 대해 부정적이라고 지각하는 경우, 아동들의 인터넷 게임중독 수준은 높게 나타났다. 넷째, 인터넷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강의 듣기 전략 교육 연구

        노선미 배재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most important means in a man's communication is a language. The ultimate goal to learn the second language is to skillfully perform the four functions in a language in a situation of communication. The communication is an interactive action to receive the linguistic information through an understanding and to make a meaningful expression with such a linguistic information. Subsequently, the communication using a language is largel Recently, as th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gets active,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s is gradually increasing. And their purpose of learning has been diversified. Most foreign students learn the Korean language for the purpose of entering the university or graduate school with an academic aim. However, despite the fact that foreign students who entered the university or graduate school are the ones who completed the minimum level 4 or above in a Korean language institution, they have had many difficulties in listening to undergraduate lectures. In this regard, this paper provided of strategic education to enhance a lecture listening ability of foreign students who entered the university. The formation of this thesis is as follows: Chapter Ⅰ described the purpose and target of research and reviewed the existing studies relating to listening by dividing them into a discussion on teaching methodology, discussion on textbook, and discussion on evaluation of listening. The number of prior researches on Korean listening was noticeably less than the one of research on reading or writing. In addition, most researches remained in the aspect of Korean textbook and methodology for an ordinary purpose. In most cases, the comprehensive content was mostly handled. Although the study on Korean for academic purpose is a research topic on a recently rapid increase and the discussion on reading or writing function has been actively made, the number of research on listening to academic-purpose Korean language is considerably few. In this chapter, the author examined the details on existing studies regarding the listening to academic-purpose Korean language and reviewed the method of lecture listening strategy to improve the lecture listening ability for foreign students by comparing with the author's opinion. Chapter Ⅱ dealt with two theories for the purpose of this thesis to study the method of lecture listening strategy. Firstly, it reviewed the definition of a concept for listening regarding the listening education for an ordinary aim as well as the definition of the listening ability. Moreover, it reviewed the research materials on existing listening and confirmed the general theory on listening and Schema Theory relating to listening. And it examined the principle of listening education regarding Korean language. Secondly, it studied the concept and meaning of listening strategy as well as the theory on listening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 and confirmed the theoretical basis relating to classes. In Chapter Ⅲ, a survey was implemented as a method of in-depth interview to analyze a lecture type. The subject for interview was set as specialized teachers who taught the courses relating to Business Administration in universities of Daejon and Chungcheongnam-do. This thesis reflected the reality that most learners of academic purpose wanted to study the Business and Commerce field to major in Business Administration or Trade and reviewed the lecture type in Business Administration Department and the required strategies per type. First of all, after directly auditing classes of professors subject to an interview for more than 1 hour, the author collected the data by conducting the interview on professors. Based on the result of such data analysis, the author prepared the basis to develop a means to lecture listening strategy relating to Business Administration major. Chapter Ⅳ suggested a means to educate the lecture listening strategy of academic purpose based on the discussion in Chapter III. Firstly, it provided the method to educate lecture listening strategy with a focus on strategy necessary for university curriculum. In terms of the inherent strategy, the author divided the lecture listening strategic method to utilize the characteristic per lecture type as a listening strategy into the stages of before listening to a lecture, during the listening, and after the listening and thus proposed the relevant strategic method. Chapter Ⅴ comprehensively summarized the discussions and described the meaning of this study as well as insufficient points in terms of developing a logic in research and future assignment, etc.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found in the fact that it has an effect on improvement of lecture listening ability essential to University mathematics by utilizing the effective lecture listening strategy for foreign students who study Korean language for academic purpose. 인간이 의사소통 하는데 가장 중요한 수단은 언어이다. 제 2언어 학습의 궁극적인 목표는 언어의 네 가지 기능을 의사소통적 상황에서 능숙하게 수행하는 것이다. 의사소통이란 이해를 통해 언어적 정보를 내재화하고, 그 언어적 정보로 유의미한 표현을 하는 상호작용이다. 따라서 언어를 이용한 의사소통은 크게 이해 행위와 표현 행위로 구별한다. 이해란 상대방의 의사를 받아들이는 것이고, 표현이란 자신의 의사를 전달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해라고 함은 음성 언어를 매개로 하여 정보를 얻고 처리하는 과정인 듣기와, 문자 언어를 매개로 하여 정보를 얻고 처리하는 과정인 읽기 과정이다. 즉 언어는 이해 처리 과정과 표현 활동과의 순환적인 과정으로 의사소통 활동을 만들어 낸다. 따라서 성공적인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효과적으로 이해하는 듣기 능력의 역할이 아주 크다. 의사소통 상황에서의 듣기는 더 이상 일방향의 소극적인 입력이 아니라, 의사소통의 한편을 담당함으로써 대화에 참여하여 담화를 구성하는, 중요한 축이 된다. 따라서 원활하고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듣기 기술을 가르치고 학습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학습자는 학습자 자신의 필요와 목적에 따라 전략적이고 능동적인 듣기를 할 수 있어야 한다. 최근 한국어 교육이 활발해짐에 따라 외국인 유학생들의 수도 점차 늘고 있고, 그들의 학습 목적도 다양해졌다. 대부분의 외국인 유학생들은 대학이나 대학원에 진학하여 학문을 하려는 목적으로 한국어를 학습한다. 그러나 대학이나 대학원에 진학한 외국인 유학생들은 한국어 교육기관에서 최소 4급 이상을 이수한 학습자임에도 불구하고, 학부 강의를 들을 때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대학에 입학한 외국인 유학생들이 강의 듣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략에 대해 고찰했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대상을 밝히고 듣기와 관련된 기존의 연구들을 교수법에 대한 논의, 교재에 대한 논의, 듣기의 평가에 대한 논의로 구분하여 검토했다. 한국어 듣기에 대한 대부분의 선행 연구 연구는 일반 목적의 한국어 교재 및 교수법 측면에 머물렀고, 포괄적인 내용이 많이 다루어졌다. 학문 목적의 한국어에 대한 연구는 요즘 새롭게 급부상하는 연구 주제로서 읽기나 쓰기 기능에 대한 논의는 활발한데 반해, 학문목적 한국어의 듣기에 대한 연구는 그 수가 현저히 적었다. 따라서 이 장에서는 학문 목적 한국어 듣기에 대한 기존의 연구 내용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보고 필자의 견해와 비교하여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강의 듣기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강의 듣기 전략 방안이 무엇인지 살펴보기로 하였다. Ⅱ장에서는 강의 듣기 전략 방안에 대한 연구를 하고자 하는 본고의 목적을 위해 두 가지 이론적인 내용을 다루었다. 첫째, 일반 목적 듣기 교육에 관하여 듣기의 개념 정의와 듣기 능력은 무엇인지도 함께 살펴보았다. 또 기존의 듣기에 관한 연구물들을 검토하고 듣기에 대한 전반적인 이론과 듣기와 관련한 스키마 이론에 대해서도 확인하였다. 그리고 한국어 듣기 교육의 원리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둘째, 학문 목적의 듣기 교육에 관련한 이론과 함께 듣기 전략에 대한 개념과 의미를 살펴보고 수업과 관련하여 이론적인 근거를 확인하였다. Ⅲ장에서는 강의 유형을 분석하기 위해서 심층 면접의 방법으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면접 대상은 대전· 충남지역의 대학교에서 경영학부 전공과 관련한 과목을 가르치고 있는 전공 교수자로 설정하였다. 본고에서는 학문목적 학습자들의 대다수가 경영학이나 무역학을 전공하고자 경상 계열로 진학하는 현실을 반영하여, 경영학과에서의 강의 유형이 어떤 것들이 있으며 그 유형별로 어떠한 전략들이 요구되어지는지 살펴보았다. 우선, 면접 대상 교수들의 수업을 1시간 이상 직접 청강한 후에 교수들의 면접을 병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 자료 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경영학부 전공과 관련한 강의 듣기 전략 방안을 개발하는 근거를 마련하였다. Ⅳ장에서는 3장의 논의를 바탕으로 학문 목적의 강의 듣기 전략을 제시하였다. 대학 교육 과정에 필요한 전략 중심의 강의 듣기 전략을 먼저 제시하였다. 전략은 강의 유형별 특징을 듣기 전략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강의 듣기 전략 방안을 강의 듣기 전, 강의 듣기 중, 강의 듣기 후 단계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Ⅴ장에서는 종합적으로 논의의 내용에 대해 정리해보면서 본 연구의 의의를 밝히고 연구의 논리 전개에 있어서의 부족한 점과 향후 과제 등에 대해 밝혔다. 본 연구는 학문 목적으로 한국어를 공부하는 유학생들에게 효과적인 강의 듣기 전략을 활용하여 대학 수학에 꼭 필요한 강의 듣기 능력 향상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특수학교 교사의 IEP 계획시 전환교육 중요도와 실행도에 대한 인식 특성

        노선미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surveyed the feature of recognition for the importance rate and execution rate of transition education with the existence of variables, that is, the gender difference of teacher, special educational experience, types of certification, main disability area of the school, different class of the school and IEP(Individualized Education Program) plan for the teacher of special school by the existence of transition education training. The purposes of study was the teacher majoring special subject of study and working in 20 special middle schools of Jeollabuk-do, Jeollanam-do and Gwangju City. And the questionnaire was collected by the posting and analyzed for the statistics. The data was analyzed and came into the conclusion based on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teachers with under 0-5 years and 5-10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recognized the importance rate of transition education by the teaching experience for the special education more than the teachers with 15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and teachers of visually impairment school recognized importance rate on the transition education for the disability area more than the teachers of auditory impairments school, and trained teacher recognized the importance rate of transition education more than the untrained teachers for the existence of training. Second, the teachers with more than 10 years of special educational experience performed the transition education more than the teachers with 5-10 years of special educational experience, and the special teachers executed the transition education more than the general teachers for the execution rate with existence of the certification. Third, the importance rate of transition education and its execution rate showed higher correlation with IEP plan for teachers in the special school. All subordinate area of importance rate showed higher correlation with IEP plan of execution rate and there were significance in the participation of student/family for the importance rate and participation of student/family for the execution rate, IEP form of importance rate and IEP form of execution rate , cooperation with related institute for the importance rate and cooperation with related institute for the execution rate, evaluation and modification of importance rate and evaluation and modification of execution rate, multi-disciplinary team participation of importance rate and multi-disciplinary team participation of execution rate, and the content of instructor's goal related to the transition of importance rate and the content of instructor's goal related to the transition of execution rate.

      • 경찰 과학수사요원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발생 영향요인

        노선미 호남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relationships among social support, resilience and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and especially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of PTSD in police crime scene investigators. Methods: A cross-sectional design is used, with a convenience sample of 226 police crime scene investigators at the 7 Metropolitan Police Agency. Data is collected through self-evaluation questionnaires from July to August, 2015. The data are analyzed using the t-test, χ2 -test, Fisher's exact test,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WIN 21.0 program. Results: The mean score of police crime scene investigators for PTSD is 13.69±15.11 points. 181 crime scene investigators (80.1%) are in low-risk group and 45 crime scene investigators (19.9%) are in high-risk group. Social support(t=5.68, p<.001) and resilience (t=5.47, p<.001) are higher in the high-risk group compared with the low-risk group.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 that 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Psychotherapy need are effect factors for PTSD. Conclusion: For the effective improvement of police crime scene investigators’s PTSD, intervention program including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increasing strategies should be established. Key words: Crime Scene Investigators,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s, Social support, Resilience

      • 디자인씽킹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과 놀이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노선미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디자인씽킹 활동이 만 5세 유아의 창의성과 놀이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실험을 통해 검증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design thinking activities on the improvement of creativity and playfulness of 5-year-old children.

      • 집단 따돌림 경험과 자아 개념에 따른 아동의 사회적 정보처리 과정 연구

        노선미 성균관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집단 따돌림 경험과 자아 개념에 따른 아동의 사회적 정보처리 과정 연구

      • 효율적인 표현을 위한 Cyber-Microcosm Ontology의 지식구조

        盧善美 慶北大學校 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dvanced ontology which is called Cyber-Microcosm Ontology (CMO) that can be used as the basis for situation developments in the virtual world. To fulfill the requirement for the basis, the CMO should have the structure which can represent dynamic situations in virtual world, qualitative changes of entities, and many-to-many relationships among entities. In this paper, by appending the newly designed mechanism such as semantics of relationships among entities, qualitative / quantitative information, complex many-to-many relationships among attributes and factors of entities and procedural knowledge of activity to the previously studied knowledge structures which only focused on the entities and primitive relationships, we fulfill the requirement for building the CM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