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나츠메소세끼 작품에 나타난 죽음의 양상 : 夏目漱石の作品における死の様相-『三四郎』『心』『文鳥』『それから』を中心にー : 김희은

        김희은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죽음이라고 하는 것은 누구나가 한번쯤은 생각해 봤을 법한 문제이다. 죽음의 의미는 무엇이며 죽음이란 어떤 것일까? 인간은 왜 죽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인가? 인간은 언젠가 죽음에 이르게 되는 존재이긴 하지만 그 이유에 대해서는 생각하지 못한다. 죽음은 우리들이 인생을 살아가는 동안에 한번은 맞아야 할 존재이다. 죽음을 잊어버린다는 것은 삶 자체도 잃게 된다. 죽음을 맞는 다는 것은 지금 현재 우리가 살아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라 생각한다. 만약 인간이 절대 죽지 않는다고 한다면 인간의 삶의 방식은 지금과는 완전히 달라지게 될 것이다. 사람에 따라서 나쁜 일만 하는 사람도 있으며, 살아가는 것에 대해 무의미함을 느끼는 사람도 있을지도 모른다. 이렇듯 죽음이라고 하는 것은 삶의 방식을 완전히 바꾸어 놓는 근본 원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인간의 生命과 壽命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有限한 존재이다. 그래도 우리들은 무한한 존재가 되기를 원하고 있다. 예를들어 현실에서는 불가능 하지만 영원한 존재를 문학이라든지, 예술, 종교를 통해서 그 죽음을 극복하려고 하는 것이다. 생과 사, 살아 간다는 것은 어떤 의미인 것인가, 죽어버린 다는 것은 어떤 의미인 것인가, 등을 문학을 통해 생각할 수 있다. 출생이 살아간다는 것의 시작이라고 한다면, 심장이 멈추는 것이 죽음을 의미하는 것일까? 이와 같은 生과 死에 대해서 누구라도 확실한 의미를 정의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무의식중에 받아들여진 生, 死 라고하는 관념은 충분히 고려해볼 만한 가치가 있다. 그것은 과학적인 의미에서 시작해서, 철학, 문학 등 여러 가지 분야에서 연구될 수 있다. 불유쾌한 삶을 보낸 漱石는 자신이 언젠가는 한번 도달하지 않으면 않되는 죽음에 대해 항상 생각하는 경향이 있었다. 그래서 그 죽음이라고 하는 것을 생보다 유쾌하다고 믿고 있었다. 하지만 漱石는 생에 책임을 가지고, 생에도 집착을 했다. 불유쾌한 생을 버리고 죽음의 세계를 파고 들어가는 것은 모순이라 생각했다. 왜냐하면 그는 인류의 한 존재임을 자각하고 그 속에서 살아가는 자신을 인정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漱石는 생의 고통을 극복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서 自殺의 소재를 들어, 작품을 집필하게 된다. 漱石의 작품과 죽음이라고 하는 것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어서 自殺이라든지 죽음의 이미지가 잘 描寫되어있다. 최근 학교의 폭력문제가 이슈가 되어 社會的인 문제가 되어오고 있다. 배신에 의한 죽음이라든가 反省의 의미로서의 자살이라든가. 죽음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 原因이 있다. 夏目漱石의 작품에 어떠한 죽음의 類型이 있으며 그 유형에 의해 죽음에 있어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가를 살펴보고 結論的으로 社會의 문제와 연결지어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漱石는 자기의 경험을 기본으로 작품을 執筆했다. 本稿에서는 그 작품들 중에서『三四郎』、『こころ』、『文鳥』、『それから』를 들어 죽음의 樣相을 살펴보고자 한다. 작품에 따라 조금씩 다른 죽음의 이미지가 내재되어 있어 그 죽음의 意味를 分析하고자 한다. 네 작품에서는 모두 知識人인 주인공에 의한 죽음을 그대로 보여주고 있다는 것에 가장 큰 공통점이 있다. 本稿에서 이 생의 의미에서 죽음의 의미까지 논하고자한다. .

      • 직업무용수의 신체상이 무용수행불안에 미치는 영향

        김희은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order to find out the influence of the physical image of professional dancers on anxiety of dance performance, this study was undertaken with the random selection of national, public and private dance companies that are currently in active status in Korea. 400 copies of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with the return of 267 copies, and with the exclusion of 29 copies with irresponsive answers and/or careless answers, 238 copies were used for actual analysis. The questionnaires were personally brought in by the researcher for each dance company, explained its contents and prepared the questionnaires in self-administering method, and recovered the finished questionnaires. In order to analyze such result, SPSS 18.0 statistics program was used to implement the t-test, one-way ANOVA, with the following conclusion. First, the physical image following general characteristics was shown to be higher for men with respect to satisfaction on appearance, satisfaction on weight, appearance and un-satisfaction factor of weight while the appearance and un-s1 factor was shown higher for married 40s with monthly average income of 2 million won or more. Second, the anxiety of dance performance following general characteristics was shown higher for women with respect to the anxiety on surrounding environment, lack of confidence, pressure of high expectation, and fear of failure, and the result showed higher impact of lack of confidence, and fear of failure in persons with 7 years or longer, pressure of high expectation for general member, and lack of confidence for singles with less than 4 years. And third, the anxiety of dance performance following the physical image has the positive (+) influence on the pressure of high expectation as the sub-variable of the anxiety of dance performance with respect to the satisfaction of appearance while the satisfaction of weight had the negative (-) influence on all sub-variables of the anxiety of dance performance. Dissatisfaction on appearance and weight was shown to make positive (+) influence on the sub-variable of the anxiety of dance performance with respect to the lack of confidence and pressure of high expectation. In conclusion, the physical image of professional dancers on anxiety of dance performance showed noticeable difference that the determination on the physical image for the professional dancers may build up the sense of anxiety when performing dance, and by having the positive perception on one’s appearance or physical shape is proven to be one of the ways to lower the sense of anxiety. 본 연구는 직업무용수의 신체상이 무용수행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현재 우리나라에서 활동 중인 국·공립, 시립, 도립 무용단을 무작위로 선정하였다. 4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267부를 수거하였으며, 이 중 무기입 및 불성실하게 응답한 29부를 제외한 238부를 실제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설문지는 연구자가 직접 무용단을 방문하여 내용을 상세하게 설명한 다음 자기평가 기입법(self-administering method)으로 설문지를 작성하고 완성된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이에 얻어진 결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SPSS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one-way ANOVA를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신체상은 외모만족, 체중만족, 외모 및 체중 불만족요인에서 남자가 높게 나타났으며, 외모 및 체중 불만족요인에서 월 평균 수입 200만원 이상인 40대 기혼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무용수행불안은 주위환경불안, 자신감결여, 주위기대부담, 실패공포요인에서 여자가 높게 나타났으며, 자신감결여, 실패공포요인에서 7년 이상, 주위기대부담요인에서 평단원, 자신감결여요인에서 미혼, 4시간미만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신체상에 따른 무용수행불안은 외모만족에서 무용수행불안의 하위변인인 주위기대부담에 정(+)의 영향을 미쳤고, 체중만족은 무용수행불안의 하위변인 모두 부(-)의 영향을 미쳤다. 외모 및 체중 불만족은 무용수행불안의 하위변인인 자신감결여, 주위기대부담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직업무용수의 신체상에 따른 무용수행불안감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직업무용수 자신의 신체상에 대한 판단은 무용수행 시 불안감을 조장할 수 있으며, 자신의 외모나 신체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이 불안감을 낮출 수 있는 방법의 하나임을 증명할 수 있다.

      • 화학사고 현장의 효과적인 대응을 위한 현장지휘체계 개선방안

        김희은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 산업이 고도화되면서, 화학물질 사용 또한 크게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화학사고도 더욱 빈번히 발생하여 2007년 16건에 불과했던 화학사고는 2013년 86건으로 급격히 증가하기 시작해 2015년 113건, 2016년 78건, 2017년 85건이 발생하였다. 특히 화학물질 사고는 화재폭발 이외에도 유해물질 누출 및 확산, 환경 오염 등 넓은 지역에 장기간에 걸친 피해를 줄 수 있으며, 대형 재난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신속한 사고대응체계의 구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해화학물질 사고의 효과적인 현장대응을 위해 비교론적 관점에서 국내외의 화학사고 재난대응 시스템을 분석하였다. 국내 화학물질관리법 및 관련 조직과 명령 체계와 미국의 ICS(Incident Command System) 및 독일의 계층적 위기관리 체계의 특징을 비교한 결과, 국내 재난관련 법령은 화학사고 관련 기관들의 역할과 책임에 대해 매우 모호하게 기술하고 있으며 기관 간 협업 및 소통에 있어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제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찾아내기 위해 구미 불산 누출사고, 플로리다 공장 폭발사고, 부르크하우젠 염소 누출사고 등의 사례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현장 지휘체계가 신속하게 구성되지 못하여 미숙한 초동 조치 및 화학 전문요원 부재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음을 발견했다. 그 결과, 본 연구에서는 화학사고 현장지휘체계의 개선을 위하여 재난현장 수습체계의 표준화와 수준별 화학사고 대응체계를 구축할 것을 제안하였다. Because of the industrial development, the use of toxic chemicals is also dramatically increasing. And it indicates that chemical accidents could occur more frequently in Korea, for instance, only the number of chemical incidents was 16 in 2007, but has grown to 85 incidents in 2017. In particular, since chemical accidents can cause not only fire and explosion, also long-term damage in large areas such as leakage or spread of hazardous materials and are likely to develop into large-scale disasters easily, establishing a prompt incident response system is highly needed. Therefore, this study has comparatively analyzed both domestic and foreign chemical incident response systems to improve the response system more effectively. By comparing the policies and laws related to incident response system in Korea to those in the United States and Germany, this study could identify the domestic system does not clearly describe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each accident-related institution and also has communication and coordination difficulties. In addition, to figure out possible onsite problems, this study has researched the actual events including the Gumi hydrofluoric acid gas leakage and other chemical accidents in Florida and Burghausen. This case study found the incident command system was not built quickly, resulting in lack of chemical experts and prompt first response. Consequently, this study proposed the standardization of the disaster management and the establishment of a level-specific chemical incident response system to improve the incident command system in chemical accidents.

      • 미용업 종사자의 사회적 교환관계가 직무스트레스와 조직신뢰에 미치는 영향 : 감성지능을 매개변수로

        김희은 서경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기계로는 대신할 수 없는 인적서비스 산업에 종사하는 미용업 종사자들은 조직 내에서 다양한 인간관계를 맺고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미용업 종사자의 사회적 교환관계가 직무스트레스와 조직신뢰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종사자 개개인의 감성지능이 매개변수로서 각 요인 간에 어떠한 매개효과를 나타낼 것인지에 대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실증조사를 위하여 서울·경기지역에서 근무하는 미용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2015년 5월 22일부터 6월 30일까지 총 5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최종 431부를 분석 자료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본 결과 20대의 미혼 여성이 가장 많았다. 최종학력은 고등학교 졸업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직장소재지는 도시번화가, 근무지 형태는 프랜차이즈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월평균 소득은 100만원이상 300만원 미만, 5년이상 10년미만의 경력을 가진 디자이너/에스테티션/아티스트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각 차원에 대해 알아본 결과, 조직구성원 간의 사회적 교환관계는 상사와의 관계, 동료와의 관계, 부하와의 관계 3가지 요인으로, 직무스트레스는 업무환경갈등, 조직 내 관계 갈등, 지원‧보상, 고객 갈등 인식의 4가지 요인으로, 조직신뢰는 단일차원으로, 감성지능은 감성활용, 자기감성이해, 감성조절, 타인감성이해의 4가지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셋째, 조직 구성원간의 사회적 교환관계가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 결과, 조직 구성원간의 사회적 교환관계는 직무스트레스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조직구성원 간의 사회적 교환관계가 조직신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 결과, 조직 구성원간의 사회적 교환관계는 조직신뢰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직무스트레스가 조직신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 결과, 직무스트레스는 조직신뢰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조직구성원 간의 사회적 교환관계가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감성지능의 매개효과를 알아본 결과, 독립변수인 ‘상사와의 관계’, ‘동료와의 관계’, ‘부하와의 관계’와 종속변수인 ‘업무환경갈등’, ‘조직 내 관계갈등’, ‘지원‧보상’, ‘고객갈등인식’간의 영향관계에서 감성지능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일곱째, 조직구성원 간의 사회적 교환관계와 조직신뢰에서 감성지능의 매개효과를 알아본 결과 독립변수인 ‘상사와의 관계’, ‘동료와의 관계’, ‘부하와의 관계’와 종속변수인 ‘조직신뢰’간의 영향관계에서 감성지능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조직 구성원의 사회적 교환관계와 직무스트레스, 조직신뢰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입증하였고, 사회적 교환관계와 직무스트레스, 조직신뢰간의 관계에서 감성지능의 매개효과를 알 수 있었다. 연구 결과에 따라 조직 구성원의 사회적 교환관계와 감성지능을 통해 종사자들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한 개선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 내 관리자는 선후배간 멘토링이나 팀워크 구축 등의 조직 개발활동과 같은 양질의 교환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여 종사자가 상사와의 관계나 팀 동료 간 우호적 관계를 형성할 수 있고, 관계수준을 높일 수 있는 지속 가능한 구조적인 시스템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관리자는 종사자들 개개인의 감성지능에 대한 섬세한 이해와 감성지능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나 다양한 문화활동을 할 수 있는 지원이 필요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인간관계를 맺으며 일하는 미용업 종사자가 좀 더 나은 환경에서 일할 수 있고, 관리자가 조직 내 관계와 구성원 개개인의 감성지능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를 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되었으면 한다. 또한, 미용업 종사자의 감성지능을 효과적으로 극대화 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과 이를 적용한 실증적 결과에 대한 연구가 추가된 후속 연구가 이루어져 효과적인 인적자원 관리 방안들이 제시되기를 기대한다. Cosmetology workers who are in personal social service industry that cannot be replaced by machines have multiple relationships within the organization. This research looked for how the social exchange relationship of cosmetology workers influences occupational stress and organizational trust, and how individual workers’ EQ will show mediated effect among factors as a parameter. For actual investigation, 5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mong cosmetology workers in Seoul, Gyeonggi area from May, 22, 2015 to June, 30, and among them, 431 were used for analysis. Using collected data on SPSS 21.0 statistics program, we implemented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concerning the subject is as follow. First, by analysing general characteristic, it was found that unmarried women who are in their 20’s were the largest. The highest level of education was a high school, and the location of a job being main street, type of workplace being franchises, average monthly income being over 1 million won under 3 million won, portion of designers / aestheticians / artists with 5 to 10 years of work experience being the highest. Second, according to the analysis on each dimension, social exchange relationship among members can be divided into 3 factors - the relationship with boss, peer workers, and subordinates- ,and occupational stresses into 4 factors – work environment conflict, relation conflict in an organization, support and incentive, and recognition of customer conflict -, and EQ into 4 factors – emotional utilization, understanding of self emotion, emotional control, and understanding of others’ emotion-, and lastly, occupational trust as a single dimension. Third, by analysing the impact of social exchange relationship on occupational stress, it was found that social exchange relationship among group members have positive relationship with occupational stresses, which is statistically important. Fourth, by analysing the impact of social exchange relationship on organizational trust, social exchange relationships had positive relationship with organizational trust, which is statistically important. Fifth, by analysing the impact of occupational stress on organizational trust, it was found that occupational stress has positive relationship with organizational trust, which is statistically important. Sixth, by analysing the mediator effect of EQ in the impact of social exchange relationship among members on occupational stresses, the mediator effect was verified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of ‘relationship with boss’, ‘relationship with peers’, ‘relationship with subordinates’, and dependent variables of ‘work environment conflict’, ‘relation conflict in organization’, ‘support and incentive’, ‘recognition of customer conflict’. Seventh, by analysing the mediator effect of EQ in organizational trust and social exchange relationship among members, the mediator effect was verified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of ‘relationship with boss’, ‘relationship with peers’, ‘relationship with subordinates’, and a dependent variable of ‘organizational trust’. Through this research, we ver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exchange relationship among members and occupational stress and organizational trust empirically, and could see the mediator effect of EQ between social exchange relationship among members and occupational stress and organizational trust. In reference to the results, improvements to effectively manage the workers by social exchange relationship and EQ are as follow. First, managers in organizations should make sustainable organizational structure that can enhance degree of relationship by enabling quality exchange relationship such as mentoring or solidarity of teamwork between senior-junior relationship and enabling the workers to make friendly relationship with bosses or peers. Second, managers should support the development of a program or various culture activities that can maximize the effect of EQ and make possible the delicate understanding of each individuals’ EQ. I hope this result becomes a base data to make better workplace for cosmetology workers who have various relationships and to help managers systematically manage relationships among members and individual EQ of organizational members. Also, I wish that a development of a program that can maximize the EQ of cosmetology workers effectively would be done, and that follow-up studies that added research on empirical results of applying the program are done, and that effective human resources management plans are suggested.

      • 확장된 로컬리티 개념을 통한 국내외 비엔날레 분석-통영국제트리엔날레를 중심으로-

        김희은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에서는 국내 비엔날레에서 보이는 이분화된 흐름, 즉 글로벌, 로컬 담론을 벗어나 ‘확장된 로컬리티’ 즉, 트랜스 로컬리티(Trans-locality)나 사이공간으로서의 로컬리티(In-between Space) 등의 개념을 대안적으로 제시하고 구체적 사례를 통해 통영국제트리엔날레가 향후 나아가야 할 방향과 전략에 대해 연구했다. 트랜스 로컬리티의 사례로 인도네시아의 족자 비엔날레, 사이공간으로서의 로컬리티 사례로는 베를린 비엔날레, 그리고 로컬리티 사례로는 국내의 광주, 제주 비엔날레를 다루었다. 해당 사례들은 모두 확장된 로컬리티 개념의 구체적 예시를 보여주며 장기간의 전략 모색을 통해 현재에 이르렀다. 마지막으로 2022 제1회 통영국제트리엔날레를 위의 로컬리티 개념 및 국내외 사례를 통해 분석했으며, 통영국제트리엔날레에 대한 제언을 통해 지속 가능한 전략을 모색할 수 있도록 했다. 통영국제트리엔날레가 지속 가능한 전략으로는 첫째, 동시대를 다루는 참여·교육프로그램 등의 확대를 통해 관람객, 지역주민의 적극적 참여를 끌어내는 사이공간으로의 역할을 해야 한다. 둘째, 다양한 로컬 구심점 형성을 통해 트랜스-로컬리티적 접근을 시도하고 지역주민의 공감을 끌어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통영의 과거-현재와 함께 다양한 장르를 다뤄야 한다. 통영 고유 요소인 12 공방, 통영 오광대, 남해안 별신굿, 통영국제음악제 등 다양한 장르를 포함한 트리엔날레로 확대해 차별점을 꾀하여야 한다. 결론적으로 기존 유명 비엔날레 형태의 답습을 넘어 더 실험적이고 실천적인 플랫폼 형태로 나아가는 것이 통영국제트리엔날레의 중장기적 전략이자 지속 가능성을 위한 방향이 될 수 있다. 또한 외연 확장에만 집중하는 것이 아닌 다양한 로컬 구심점을 끌어들여 지역주민의 충분한 공감대를 얻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 국내외 비엔날레 여러 비엔날레도 창설 초기 미숙한 시기를 거쳤다. 통영국제트리엔날레는 아직 1회를 치른 신생 비엔날레로서 현재의 미흡함을 다양한 전략적 모색을 통해 극복하고 지역 내 긍정적 역할을 지속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dichotomized phenomenon of Korean biennale art events digresses both global and local discourses, only to be substituted by the concept of locality, otherwise referred to as either ‘Trans-locality’ or ‘In-between Space’. The study, based on specific case studies, examines such tendencies to strategize the planning of the next Tongyeong Triennale. To understand trans-locality the Biennale Jogja which takes place in Indonesia has been referred to as the main example, and for locality of 'In-between space', the study looks at the Berlin Biennale. As for locality, the study references Gwangju and Jeju biennale. These are concrete case studies on the concept of expanded locality, in which the search for long-term strategy has resulted in what we see today. The plan for enabling Tongyeong Triennale to continue firstly requires an extended participation and education program where tourism is generated at the same time as having vigorous participation from the local people. In other words, locality of in-between space is needed. Secondly, trans-locality should be attempted by establishing a diverse range of local pivots to form a consensus. Thirdly, the past, present and future of Tongyeong requires to be taken into consideration to address its diverse potential. The twelve craft studios of Tongyeong, the Ogwangdae mask dance, Namhaeahn Byeolshingut (dance of the southern region), Tongyeong International Music Festival and the like should be expanded as part of the Triennale to set a difference. In conclusion, the Tongyeong Triennale should develop beyond imitating many famous existing biennale to establish a platform that it both experimental and practical in order for it to set a mid to long-term plan to sustain. Furthermore, it should not focus only on the external outlook of the event but it should concentrate more on establishing a consensus to attract the local people. For this more local pivotal focus is required. Even the local and global biennales, which are renowned, faced many problems when they were first initiated. Tongyeong Triennale has only been organized once. The study hopes that through much trial and error, the Tongyeong Triennale will overcome its problems to become a positive attraction for the local people and beyond.

      • 공연예술전공 대학생의 공연자신감과 숙달목표지향, 그릿, 스트레스대처 방식의 구조적 관계

        김희은 전주대학교 일바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공연예술전공 대학생의 공연자신감과 숙달목표지향, 그릿, 스트레스대처방식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연예술전공 대학생의 공연자신감과 숙달목표지향, 그릿, 스트레스대처방식 간의 구조적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전공, 전공경력, 연습시간에 따라 공연자신감과 숙달목표지향, 그릿, 스트레스대처방식의 구조적 모형에 차이가 있는가?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도, 전주, 광주 소재 6개 대학의 공연예술전공 대학생 38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이 중 불성실한 응답 및 이상치가 발견된 응답을 제외하고 총 350명의 자료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서 설정한 모형은 공연예술전공 대학생의 공연자신감과 숙달목표지향, 그릿, 스트레스대처방식 간의 구조적 관계를 타당하게 예측하여 공연예술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실증 자료를 설명하기에 적합하다. 둘째, 전공, 전공경력, 연습시간에 따라 공연자신감과 숙달목표지향, 그릿, 스트레스대처방식의 구조적 모형에 미치는 영향력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 공연예술전공 대학생의 공연자신감에 있어서 숙달목표지향이라는 성향적 요인 이외에 정서적 요인의 그릿과 인지적 요인의 스트레스대처방식이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향후 중요한 공연을 앞둔 상황에서의 스트레스나 미래가 불확실한 상황에서의 장기간 연습으로 어려움을 겪는 공연예술전공 대학생이 공연자신감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스트레스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스트레스관리와 흥미의 유지와 노력의 지속성에 초점을 맞춘 그릿을 강화하는데 중점을 둘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뿐만 아니라 다집단 분석을 실시하여 집단 간 경로계수를 비교한 결과 숙달목표지향과 그릿, 스트레스대처방식이 공연자신감에 미치는 영향력은 집단마다 서로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공연예술전공 대학생의 전공, 전공경력, 연습시간을 고려하여 공연자신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체계적인 상담지도와 진로교육에 있어서 다르게 개입할 필요성이 드러났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핵심어 : 공연예술전공 대학생, 숙달목표지향, 공연자신감, 그릿, 스트레스대처방식, 매개효과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erformance self-confidence, mastery goal orientation, grit, and stress coping style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performing arts. The following is specific research questions for achieving the purpose. First, how i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erformance self-confidence, mastery goal orientation, grit, and stress coping style formed? Second,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structural model of performance self-confidenc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grit, and stress coping style according to the students’ majors, careers, and length of practice time. In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387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performing arts at 6 different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Gyeonggi-do, Jeonju, and Gwangju. Except for the answers found to be untruthful or in abnormal range 350 out of the total 387 survey material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The results is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model set up in this survey is suitable to make a reasonable prediction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erformance self-confidence, mastery goal orientation, grit, and stress coping style, being appropriate to demonstrate the survey materials of the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performing arts. Second, the difference in influence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erformance self-confidence, mastery goal orientation, grit, and stress coping style according to the students’ majors, careers, and length of practice time was identified. As a result, in addition to mastery goal orientation as a dispositional factor, both grit as a emotional factor and stress coping style as a cognitive factor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performance self-confidence of the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performing arts. As such, for the students suffering from extreme stress ahead of performance or undergoing hardships while practicing for a long period of time with the uncertainty of their future to improve performance self-confidence, the study suggests that they should put emphasis on stress management to actively cope with the stress and grit reinforce focused on keeping them interested and persistent in hard work. Moreover, as a result of comparison the path coefficient among groups by conducting multiple group analysis, the impact of mastery goal orientation, grit, and stress coping style on performance self-confidence was identified to be different among groups. As such,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ed the necessity of different intervention in systematic consult coaching and career counseling for the students majoring in performing arts to improve performance self-confidence according to their majors, careers, and length of practice time. Key Words: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performing arts, performance self-confidenc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grit, stress coping style

      • 임부 부부의 성태도와 부부친밀도가 성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김희은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임부 부부의 성태도, 부부친밀도가 성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APIM(Actor and 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분석방법을 사용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B광역시 소재의 4곳의 여성전문병원에 산전관리를 위해 내원한 임부 부부 176쌍이며, 자료수집기간은 2016년 6월 18일부터 9월 24일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분석은 SPSS 18.0, AMOS 18.0을 사용하여 paired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와 APIM분석으로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임부의 성태도가 개방적일수록 임부의 성생활 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임부의 성태도는 임부의 성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자기효과가 있었다(β=.41, p<.001). 2) 배우자의 성태도가 개방적일수록 배우자의 성생활 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배우자의 성태도는 배우자의 성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자기효과가 있었다(β=.25, p<.001). 3) 임부의 성태도가 배우자의 성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상대방 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β=.12, p=.141). 4) 배우자의 성태도가 개방적일수록 임부의 성생활 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배우자의 성태도는 임부의 성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상대방효과가 있었다(β=.13, p=.021). 5) 임부의 부부친밀도가 높을수록 임부의 성생활 만족도는 높은 것을 나타났다. 즉, 임부의 부부친밀도는 임부의 성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자기효과가 있었다(β=.34, p<.001). 6) 배우자의 부부친밀도가 높을수록 배우자의 성생활 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배우자의 부부친밀도는 배우자의 성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자기효과가 있었다(β=.32, p<.001). 7) 임부의 부부친밀도가 배우자의 성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상대방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β=.01, p=.938). 8) 배우자의 부부친밀도가 임부의 성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상대방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β=.07, p=.202). 결론적으로 임부의 성생활만족도 향상을 위해서는 임부 자신의 성태도와 부부친밀도 향상과 배우자의 성태도 증가가 도움이 되며, 배우자의 경우 자신의 성태도와 부부친밀도의 향상이 도움이 되었다. 따라서 임부 부부의 성생활 만족도 향상을 위해서는 임부와 배우자를 포함한 중재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We carried out a descriptive correlational study using an Actor and Partner Interdependent Model (APIM) to determine the actor and partner effects of sexual attitudes and marital intimacy on the sexual satisfaction of a coupl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76 pairs of pregnant couples who made prenatal care visits to one of four women’s hospitals in B city. The study was carried out from June 18, 2016 to September 24, 2016. The data were analyzed by performing a paired t-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using SPSS 18.0 and AMOS 18.0, and the APIM to estimate the actor and partner eff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more open the sexual attitude of the pregnant women, the higher the sexual satisfaction of the pregnant women. In other words, the sexual attitudes of the pregnant women had an actor effect on the sexual satisfaction of the pregnant women(β=.41, p<.001). 2) The more open the sexual attitude of the husband, the higher the sexual satisfaction of the husband. In other words, the sexual attitudes of the husband had an actor effect on the sexual satisfaction of the husband(β=.25, p<.001). 3) The sexual attitudes of the pregnant women did not have a partner effect on the sexual satisfaction of the husband(β=.12, p=.141). 4) The more open the sexual attitude of the husband, the higher the sexual satisfaction of the pregnant women. In other words, the sexual attitudes of the husband had a partner effect on the sexual satisfaction of the pregnant women(β=.13, p=.021). 5) The higher the marital intimacy of the pregnant women, the higher the sexual satisfaction of the pregnant women. In other words, the marital intimacy of the pregnant women had an actor effect on the sexual satisfaction of the pregnant women(β=.34, p<.001). 6) The higher the marital intimacy of the husband, the higher the sexual satisfaction of the husband. In other words, the marital intimacy of the husband had an actor effect on the sexual satisfaction of the husband(β=.32, p<.001). 7) The marital intimacy of the pregnant women did not have a partner effect on the sexual satisfaction of the husband(β=.01, p=.938). 8) The marital intimacy of the husband did not have a partner effect on the sexual satisfaction of the pregnant women(β=.07, p=.202). In conclusion, more open sexual attitude and stronger marital intimacy of the pregnant women, and more open sexual attitude of the husband are helpful in improving the sexual satisfaction of pregnant women, whereas more open sexual attitude and stronger marital intimacy of the husband are helpful in improving the sexual satisfaction of the husband.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sexual satisfaction of pregnant couples, an intervention program targeting both the pregnant women and their husbands needs to be developed.

      •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김희은 가톨릭꽃동네대학교 사회복지상담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전국의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남녀 대학생 219명(남:90명, 여:129명)의 설문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을 통해 척도의 신뢰도 검사와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AMOS 26.0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는 자아존중감을 예측하는 변인이었다. 또한 부모의 양육태도의 모든 하위척도는 자아존중감과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부모의 양육태도의 하위요인은 애정차원, 성취차원, 합리차원, 자율차원 순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지지는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녀의 자아존중감 형성에 있어서 부모의 양육태도는 초기청소년기 이전만이 아니라 후기청소년기와 초기성인기에 속하는 대학생들에게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부모의 양육태도는 자아존중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녀의 사회적 관계 형성에 영향을 미쳐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밝히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 시기에 긍정적인 자아존중감 형성을 위해 부모 교육이나 부모 상담이 대학생 자녀를 둔 부모에게까지 확대 실시되어야 할 것과, 대학생들이 주로 접하게 되는 사회적지지를 점검하고, 활성화시키는 방안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