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아동기의 정서발달이 학교생활적응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김현희 호남신학대학교 특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아동기의 정서발달이 학교생활적응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김현희 상담심리학과 호남신학대학교 상담대학원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기의 정서발달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과 아동기의 정서발달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4학년, 5학년, 6학년을 대상으로 아동 300명을 무작위로 선정하였으며 선정된 조사대상자에 대하여 정서발달, 학교생활적응,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대한 내용으로 구성된 구조화된 설문지로 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300부 중 유효한 설문지 270부의 수집된 자료를 가지고 첫째, 연구 대상자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 및 주요 변수들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기술통계를 실시하였고, 둘째, 주요 변수들간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Pearson 단순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셋째, 정서발달이 학교생활적응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된 결론을 제시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초등학교 4학년에서 6학년까지 비슷한 비율로 참여하였으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약간 높은 비율로 참여하였다. 동거가구원의 경우는 아버지와 어머니의 형제, 자매로 구성된 가구원들이었으며, 첫째나 둘째 비율이 전체적으로 높았으며, 주 양육자는 부모 비율이 높고, 주 양육자 학력은 대학 졸업이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양육자의 직업은 사무직, 자영업, 공무원의 비율이 비교적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참여 아동의 종교의 경우 기독교가 가장 높았으며, 친한 친구의 경우 6명 이상이 가장 높은 아동들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정서발달, 학교생활적응,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평균과 표준편차, 왜도와 첨도 범위를 고려할 때 모든 변인이 정규분포 됨을 알 수 있었다. 정서발달의 하위변인인 삶의 만족도, 자아 탄력성, 자존감 순으로 점수가 분포하였으며, 학교생활적응의 경우 담임교사 적응, 학교 규칙 적응, 교우관계 적응, 학교행사 적응, 학습활동 적응 순으로 나타났다.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자신감, 자기조절, 과제난이도 순으로 점수가 분포되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정서발달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종교와 친한 친구의 수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교와 친한 친구 수에 따른 정서발달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교생활적응의 차이는 학년과 아버지와의 동거 유 · 무, 주 양육자의 대상 유무, 친한 친구의 수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차이는 주 양육자의 대상 유무, 주 양육자의 직업에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정서발달, 학교생활적응, 학업적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한 결과 변수 간에 다중공선성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정서발달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정서발달 하위 요인인 자아 탄력성, 자존감, 삶의 만족 등은 학교생활적응 모든 하위 요인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즉 정서발달이 높아지면 아동의 학교생활 전반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여덟째, 아동기의 정서발달이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 탄력성, 자신감, 삶의 만족의 정서발달 하위 요인 모두는 학업적 자기효능감 모든 하위 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즉 정서발달이 높아지면 아동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높아짐을 알 수 있다. 이런 결과를 요약하면, 아동기의 정서발달은 초등학교 학생들의 학교생활적응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매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초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상담의 경우 인지적이고 행동적인 접근 보다는 정서에 집중하여 상담을 진행하는 것이 초등학교 아동들의 학교생활 전반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유념할 필요가 있다. 또한 아동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안정적인 주 양육자의 유 · 무와 주 양육자의 적극적 돌봄이 중요함을 본 연구를 통하여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주 양육자의 양육 태도가 아동들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아동기 상담은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주 상담과 함께 주 양육자와의 상담을 병행함으로 더욱 상담의 기대효과가 클 것이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아동기의 정서발달이 학교생활적응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탐구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주제어: 아동기, 정서발달, 학교생활적응, 학업적 자기효능감

      • 조경설계공모안에 나타난 전통재현의 양상 : 택지개발사업 조경설계공모를 대상으로

        김현희 서울시립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is to look into the aspect of representing traditional landscape observed in landscape design competitions. It aims to find out the contents and errors of representing traditional landscape and then explore its direction and rationality. This research is limited to the landscaping competition for housing land development projects, which were mostly ordered among landscape plans between 2007 and 2013. The design plan reflecting the traditional contents and elements for representing traditional landscape among the panel submitted in the that require design planning taking into account 'tradition' according to the relevant design guidelines, were selected for this research. 16 designs in total were chosen for study among the ones submitted for 'landscape design competitions for city infrastructure of Minrak (2) District in Uijeongbu', 'Landscape Architecture Design Competition for Wirye New town Land Development', and ‘The Design Competition for Dongtan (2) District Land Development Phase 1’, ‘The Design Competition for Dongtan (2) District Land Development Phase 2’, ‘The Design Competition for Dongtan (2) District Land Development Phase 3’. The analysis on these designs were carried out based on the texts as expressive means of each design, extracting representing targets and facilities, and types of landscape trees, and then breaking down masterplan, elevations & cross sections, diagrams, images and perspective that can be regarded as nonverbal expressive design media, to draw out the composition and placement of representing space, the design of representing facilities, representing expressive strategies and reappearance scener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representing targets dealt with in the landscape design competitions were divided into the categories of traditional village, traditional landscape, and traditional thoughts and culture, with the concept and components of a traditional village standing out. In regards to the types of representing landscape facilities , traditional structures such as a square-shaped pond and a pavilion as well as introducing facilities including Sotdae (a pole erected to pray for a good harvest) and Jangseung (a Korean traditional totem pole at the village entrance) were pointed out as a top priority. For landscape trees, it was suggested that a village forest be formed and a tree for providing a resting place for villagers be planted, along with the planting method of trees according to the Five Elements philosophy. The composition and placement of representing space, were most likely to restrict to the main park, embodying a traditional theme. The design of landscape facilities was largely representing in a direct way, but there were some abstract and de-constructive reappearances. Elevational and section drawings, diagrams and images that contain expert materials related to tradition, were used as an expressive strategy for representation to heighten traditional recreation. When it comes to recreating scenery, the traditional water landscape with ponds and traditional pavilions seemed predominant or the landscape of an agricultural village. Through a site survey on the two targets of 'landscape design competitions for city infrastructure of Minrak (2) District in Uijeongbu', and ‘The Design Competition for Dongtan (2) District Land Development Phase 1’, the designs submitted to the contests and the constructing results, were compared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analysis outcome, the village road or forest appearing as a representing object was actually created within the park. However, if it was decided to adopt an abstract concept like a method of appreciating views as a representing target, it turned out that it would be difficult to come true as a physical space. Furthermore, lack of understanding traditional landscape led to making mistakes in the process of interpreting the targeted objects to be representing. as well as in fact, the relevant project could not be accomplished by choosing the targets for recreation such as a wash place without any consideration of the circumstances. After going over the spacial direction and composition for representation, it came to an conclusion that much of the space suggested in the design contests had actually been created, while for the space for exercise and plaza excluded pursuant to the change in design, they were also added to function as a neighboring park. In addition, both of them were built to have a traditional water space called 'Bangjiwondohyeong' in Korean (which means a figure used to create a pond with a kind of island in its center) as a main space. However, since the backgrounds, cozy feelings of being embraced from them or viewing objects were not carefully put into consideration, the spacial sense or beauty that we can discover in traditional space, was hard to be felt. In Minrak District 2, Uijjeongbu, the neighborhood park No. 7 was suggested as a recreating scenery for a site to experience farming, but later changed to terraced lawn stands. It appears to me that this is the result of reflecting the conditions of the target and the difficulties of the park's maintenance control. The traditional facilities in the pubic contests showed a slanted trend to plot out space like a pond and a pavilion, and focus on buildings with recreating power. In particular, the pavilion and floor in the first-stage design contest for Dongtan District 2 in Hwaseong that were designed and offered based on an abstract and de-constructive recreating method were later adopted after changing them to a “Chong”(traditional pavilion) and “Lu”(a korea tall building). As you can see here, the originally designed facilities were not being installed, but rather being built as traditional structures. Like this, we can easily learn that as the traditional recreation has been introduced, a variety of representing targets or facilities are being selected with the suggesting of professional strategies. Therefore, through looking into the aspects of representing traditional landscape in the landscape design competitions, it can be said to be meaningful for this study to have discovered the diversity and possibility of representing tradition and examined its errors and limits. keyword: residential land developments, design media, traditionality, design trends, representation 본 연구는 조경설계공모안에 나타난 전통재현의 양상을 살펴보기 위한 연구이다. 조경설계공모안에서 전통재현의 내용과 오류를 찾고 앞으로 전통재현을 위한 계획방향과 합리성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조경설계공모 중 가장 많이 발주된 2007년부터 2013년 내 택지개발사업 조경설계공모를 연구범위로 한정했다. 설계지침에서 ‘전통’을 고려한 설계안을 요구하고 있는 설계 공모 중 설계도판에서 전통재현의 내용과 요소가 반영되어 있는 설계공모안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연구대상은 ‘의정부민락2지구 도시기반시설 조경설계공모’, ‘위례신도시 택지개발지구 조경설계공모’, ‘화성동탄2지구 택지개발사업1단계 조경기본 및 실시설계공모’, ‘화성동탄2지구 택지개발사업2단계 조경기본 및 실시설계공모’, ‘화성동탄2지구 택지개발사업3단계 조경기본 및 실시설계공모’에 제출된 16개 공모안이다. 분석방법은 설계 도판의 언어적 표현 매체인 텍스트를 분석하여 재현 대상, 재현 시설물과 식재 유형을 추출하고 비언어적 표현 매체인 평면도, 입단면도, 다이어그램, 사례이미지, 투시도를 분석하여 재현 공간의 구성과 배치, 재현 시설물의 디자인, 재현 표현 전략, 재현 경관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조경설계공모안에서 다루고 있는 재현 대상은 전통마을, 전통경관, 전통사상과 문화로 나누어지며 전통마을의 개념과 구성요소가 두드러졌다. 재현 시설물로는 방지, 정자와 같은 보편적 전통시설물들이 자주 나타났으며 솟대, 장승 등 전통마을에 설치되었던 시설 도입도 우세하게 나타났다. 식재 측면에서 살펴본 결과 마을숲, 정자목을 도입하고 있었으며 오행사상에 따른 배식방법에 의한 식재가 나타났다. 평면도를 분석하여 살펴본 재현 공간의 구성과 배치는 설계공모 대상지 내 핵심이 되는 공원에 한정하여 전통테마를 구현하는 경우가 많았다. 재현 시설물의 디자인은 직설적 재현 방식의 시설물들이 주로 나타났지만 추상적·해체적 재현 방식을 통한 시설물 디자인도 나타났다. 입단면도, 다이어그램, 사례이미지 등 시각적 표현 매체들의 재현 표현 전략은 전통조경과 관련된 전문적 자료를 사용하여 전통재현을 강조하고 있었다. 재현 경관은 지당과 전통정자가 나타나는 전통 수경관이 우세하게 나타났으며 재현 시설물이 중심이 되는 경관이나 농촌마을경관 등이 재현 경관으로 표현되었다. 그리고 본 연구 대상 중 ‘의정부민락2지구 도시기반시설 조경설계공모’와 ‘화성동탄2지구 택지개발사업1단계 조경기본 및 실시설계공모’ 대상지 두 군데의 현장조사를 통해 설계공모안과 조성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재현 대상으로 나타난 마을길이나 마을숲은 공원 내 조성되지만 경관감상법과 같이 추상적 개념을 재현 대상으로 도입하는 경우에 물리적 공간으로 구현되기 어려운 점을 파악하였다. 또한 전통조경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재현 대상을 해석하는데 오류를 범하기도 했으며 대상지 여건을 고려하지 않고 빨래터와 같은 재현 대상을 도입하여 실제로 조성되지 못한 문제점도 나타났다. 재현 공간의 구성과 배치를 살펴본 결과 설계공모안에 제시된 공간의 대부분은 조성되었지만 설계변경을 통해 배제되었던 운동공간과 광장 등 근린공원의 기능이 도입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두 곳 모두 전통재현 공간으로 방지원도형의 전통 수공간을 핵심공간으로 조성하였다. 하지만 배경처리나 그로 인해 형성되는 위요감 또는 조망대상 등이 면밀하게 고려되지 못하고 있어 전통공간이 가지는 공간감이나 아름다움을 느끼기에 한계가 있었다. 의정부민락2지구에서 근린공원7호를 농업체험용지로서의 재현 경관을 제시하였지만 계단식의 잔디스탠드로 변경되었다. 이는 대상지의 여건과 공원 유지관리 측면의 어려움이 반영된 것이라고 판단된다. 설계공모안에서 제시된 전통 시설물들은 지당, 정자 등과 같이 공간을 구획하면서 재현 전달력이 있는 시설물에 편향되어 설치되고 있었다. 특히 화성동탄2지구 1단계 설계공모안에서 추상적·해체적 재현 방식에 의해 디자인되어 제시된 정자와 마루는 전통정자와 누각으로 변경되어 도입되었다. 이처럼 디자인된 시설물이 설치되지 못하고 전통 시설물로 도입되고 있었다. 조경설계공모안에서 전통재현을 제시하는 경우 다양한 재현 대상이나 재현 시설물을 도입하고 전문성 있는 전략을 제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친숙하고 보편화된 전통에 머무르려는 경향에서 벗어나 발전과정으로서의 전통재현을 위해서 새로운 시각과 시도가 필요하다. 설계 과정에서 전문성을 바탕으로 한 재현 접근과 디자인 모색이 필요하다. 그리고 근린공원으로서 공원 이용자의 요구를 고려한 재현 공간을 조성하고 재현 요소의 구체적이고 적절한 시공으로 재현 결과물을 도출해내고자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처럼 본 연구는 조경설계공모안에 나타난 전통재현의 양상들을 살펴봄으로써 전통재현의 오류와 한계를 짚어보고 조경설계에서 전통재현의 다양성과 가능성을 찾아보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주제어: 택지개발사업, 설계 매체, 전통성, 설계 경향, 재현

      • 온라인 게임이 청소년의 폭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FPS, RPG, 전략시뮬레이션 게임 이용자를 중심으로

        김현희 성균관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온라인 게임을 이용하는 청소년들에게 무분별하게 노출되어 있는 폭력성향의 온라인 게임이 청소년이용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해 청소년 이용자들이 가장 즐겨하는 온라인 게임의 3장르, FPS 게임, 전략시뮬레이션 게임, RPG 의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공격성과 폭력성, 그리고 폭력에 대한 둔감성이 게임장르간 이용자의 차이를 나타나는지 확인해 보았다. 연구결과 FPS 게임, 전략시뮬레이션 게임, RPG의 세 장르간의 게임 중 FPS 게임은 다른 두 장르의 게임보다 "공격적 행동"과 "공격성향", 그리고 "폭력의 흥분성"에서 낮은 결과값을 나타내어, 폭력성에 가장 많은 영향을 받는 장르의 게임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폭력의 둔감성"에서는 세 장르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폭력적인 장면이 노출되는 온라인 게임을 이용하는 청소년들은 "공격적 행동", "공격성향" 그리고 "폭력의 흥분성", "폭력의 둔감성"에 쉽게 노출되어 있으며, 폭력성의 영향을 쉽게 받게 된다. 그 중 특히 폭력적인 장르의 게임인 FPS 게임을 이용하는 청소년들은 "공격적 행동", "공격성향", "폭력의 흥분성"에서 더 많은 영향을 받게 되므로, 온라인 게임의 청소년 이용에 대한 올바른 등급심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violent online games for adolescent.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between online games by genres, especially Role Playing Game, First Shooting Game and Simulation Game. The results of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Static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First Shooting Game and other games about "violent act", "violent character" and "violent arousal". First Shooting Game has an effected on violence more than other genres. But "violent desensitization" was not founded static correlations. The users of violent online games under exposure "violent act", "violent character" and "violent arousal", so under the influenced violence easily. Especially the users of First Shooting Game are more influenced "violent act", "violent character" and "violent arousal" than other genre games. It is necessary to right discuss about adolescent uses of violent online games.

      • 고등학교 영어수업에서의 교과서 CD-ROM 활용도 분석

        김현희 서울시립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본 연구는 현재 고등학교에서 사용되는 영어 교과서 CD-ROM을 영어의 4skills를 기준으로 분석하고 현장에서 활용하고 있는 교사와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CD-ROM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아 영어 수업에서 CD-ROM 활용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 개선되어야 할 점은 무엇인지 파악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고등학교에서 사용하는 3종의 CD-ROM을 선택하여 영어의 4skills 영역을 다양하게 다루고 있는지 조사하였다. 그리고 고등학교 교사 총 30명, 학생 총 60명을 대상으로 교과서 CD-ROM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교과서 CD-ROM에서 읽기와 듣기 영역이 쓰기나 말하기 영역에 비하여 활용할 수 있는 자료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쓰기나 말하기 영역을 학습할 수 있는 내용이나 기능이 적어서 CD-ROM을 활용한 수업을 진행하였을 때, 전 영역에 대한 균형 있는 영어 학습이 어렵다고 분석되었다. 둘째, 고등학교 교사들은 교과서의 읽기와 듣기를 지도할 때 학습자들에게 다양한 과업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CD-ROM을 활용하였고, 이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내신과 수능위주의 교육 현실로 인하여 읽기와 듣기 영역을 중요하게 생각하기 때문에 다른 영역을 학습할 수 있는 기회가 현저히 적음에도 불구하고 CD-ROM에 대해 대체로 만족감을 느끼는 것으로 분석된다. 셋째, 교사와 마찬가지로 고등학생들 또한 영어수업 중 교과서 CD-ROM 활용의 빈도가 가장 높은 영역은 듣기와 읽기라고 생각했고 이에 대한 만족도 또한 교사와 비슷했다. 교사가 CD-ROM을 사용함으로써 학생들은 수업에 흥미와 관심을 가진다는 긍정적 효과를 언급하였지만 현실적으로 내신과 수능을 준비하는데 이러한 CD-ROM의 활용이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하였다. 앞으로의 영어교육에 있어서 고등학교 교과서 CD-ROM이 효율적으로 활용되기 위한 개선점으로, 교사와 학생들은 애니메이션이나 동영상과 같은 다양한 시청각자료를 제공하고, 지속적인 업데이트를 통하여 내용을 보완하며, 수준별 학습이 가능한 멀티미디어를 개발할 것을 강조하였다. 현장에서 교과서 CD-ROM을 사용하고 있는 교사와 학생들의 의견이 적극적으로 반영되어야 하며, 현실적으로 고등학교 학생들에게 도움이 되는 내신과 수능에 연계된 교과서 CD-ROM을 개발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 고등학교 영어교과서 CD-ROM ABSTRACT An Analysis of the Practical Use of High School English Textbook CD-ROMs in Classroom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four contemporary high school English textbooks and discover systematic problems as well as effective improvements to be implemented. For this purpose, three textbook CD-ROM’s often used in national high school curriculum were selected. Our methodology sought to examine whether each piece of software addressed necessary language skills in a well rounded, balanced manner. The four essential language skills are speaking, listening, reading, and writing, all of which are supposed to be covered equally. Each textbook program was judged by its ability to conform to this standard. A survey was carried out, in which a total of 30 high school teachers and 60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lassroom materials are more heavily directed towards reading and listening skills than speaking or writing. The creative functions of language are more stifled compared to the receiving end of language study, reading and listening. On the other hand, it was shown that most participants surveyed found it difficult to achieve a productive learning environment that addressed the 4 language skills harmoniously due to a shortage of activities and functions that involved speaking and writing. Second, we found that high school teachers mostly use CD-ROM’s when they teach reading and listening skills because of certain advantages. For example, CD- ROM’s introduce a variety of tasks for learners. Teachers, in particular, regard CD- ROM’s with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Although students have relatively fewer opportunities to learn other skills, most teachers feel satisfied with CD-ROM’s. Within Korea’s English educational system, reading and listening skills seem to be considered more important than speaking and writing ones due to the importance of university entrance exams. Third, students and teachers perceptions were that reading and listening sections of textbook materials were the most utilized in high school classrooms, and the students’ satisfaction level towards using English textbook CD-ROM’s also received positive evaluations. Their feedback pointed out that use of CD-ROM’s was useless for preparing for university entrance exams or high school midterms and finals, despite their usefulness in helping learner’s increase their interest and attention during lessons. To improve high school textbook CD-ROM’s effectively in the Republic of Korea’s English public educational system, teachers and students emphasize on providing various visual and auditory aids like animations and video materials, constant updates to CD-ROM’s, and development of multimedia content at various levels. In addition, the opinions of teachers and students who attempt to utilize them in their classes should be reflected and taken into consideration, in addition to further efforts to develop CD-ROM’s that address school exams.

      • 얼굴이미지와 화장품 브랜드 개성 지각이 브랜드 선호에 미치는 영향

        김현희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여성 소비자들이 지각한 얼굴이미지와 화장품 브랜드 개성이 브랜드 선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화장품 관련업체에 신상품 기획, 차별화된 마케팅 및 홍보 전략 개발을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먼저 여성 소비자들이 즐겨 사용하는 국내산과 외국산 화장품 브랜드 10종을 선정한 후 화장품에 대한 특성에 대하여 문헌분석을 한 후 20-30대 여성 소비자 6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여성 소비자들은 얼굴의 눈, 눈썹, 입술 부위에 대한 만족도가 높았고, 피부에 대한 만족도는 가장 낮았으나, 중요도는 가장 높았다. 얼굴의 여러 부위에 대한 중요도는 만족도보다 더 높았으며, 피부의 중요도와 만족도의 차이가 가장 켰다. 둘째, 화장품 브랜드 개성은 심미성, 성실성, 흥미성, 유능함, 대담함 등 5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총설명력은 63.54%였다. 국내산 화장품은 외국산 화장품보다 성실성이 더 높게 지각되었다. 브랜드 개성을 기준으로 화장품 브랜드 포지션을 분석한 결과 성실성이 높은 라네즈와 라끄베르가 한 그룹, 대담함이 높은 헤라, SK-II, 에스티로더가 한 그룹, 심미성과 유능함이 높은 크리스챤 디올, 샤넬, 바비브라운이 한 그룹을 형성하였다. 화장품 브랜드 개성의 심미성은 샤넬과 크리스챤 디올이 가장 높았으나, 더페이스샵은 가장 낮았다. 성실성은 라네즈, 헤라, 더페이스샵이 가장 높았고, 이자녹스와 샤넬은 가장 낮았다. 흥미성은 바비브라운이 가장 높았고, 유능함은 샤넬, 크리스챤 디올, 바비브라운이 가장 높았으나, 이자녹스와 더페이스샵은 가장 낮았다. 대담함은 헤라, 샤넬, 크리스챤 디올, 에스티로더, SK-II가 높았고, 라네즈와 라끄베르가 가장 낮았다. 셋째, 30대 고등학교나 대학교를 졸업하거나, 소득과 용돈이 많은 기혼 여성 소비자들의 얼굴만족도가 높았으며, 20대의 미혼, 용돈을 많이 쓰는 여성 소비자들의 얼굴중요도가 높았다. 나이가 많고, 기혼이거나, 소득이 적은 여성 소비자들은 화장품 브랜드 개성이 성실성을 높게 지각하였으며, 학력이 높고, 소득이 낮은 여성 소비자들은 유능함을 높게 지각하였다. 대도시에 거주하거나 30대, 기혼, 용돈을 적게 지출하는 여성 소비자들은 대담함을 높게 지각하였다. 중소도시에 거주하거나 30대, 기혼 여성 소비자들은 국내산 화장품을 더 선호했고, 대도시에 거주하거나 학력이나 소득이 많거나 또는 용돈 지출이 많은 경우 외국산 화장품을 더 선호했다. 학력이 낮은 여성 소비자들은 라끄베르를 더 선호했으나, 대학생들은 바비브라운을 선호하였다. 넷째, 여성 소비자들은 얼굴만족도가 높을수록 화장품의 브랜드 개성 중 심미성, 성실성, 흥미성, 유능함, 대담함을 높게 지각하였고, 얼굴중요도가 높을수록 화장품 브랜드의 유능함을 높게 지각하였다. 여성 소비자들은 얼굴만족도가 높을수록 국내산 화장품의 브랜드 개성 중 성실성, 흥미성, 유능함을 높게 지각하였다. 여성 소비자들은 얼굴만족도가 높을수록 외국산 화장품 브랜드 개성 중 성실성과 대담함을 높게 지각하였으며, 얼굴중요도가 높을수록 외국산 화장품 브랜드의 심미성과 유능함을 높게 지각하였다. 여성 소비자들은 얼굴만족도가 높을수록 헤라 브랜드 개성의 심미성, 성실성, 흥미성, 유능함, 대담함을 높게, 이자녹스의 흥미성을 높게, 라끄베르의 성실성을 높게, 더페이스샵의 유능함을 높게, 샤넬의 브랜드 개성 중 심미성, 성실성, 대담함을 높게, 크리스챤 디올의 흥미성과 대담함을 높게, 에스티로더의 유능함을 높게, 바비브라운의 성실성을 높게 지각하였다. 얼굴중요도가 높을수록 더페이스샵의 대담함을 낮게, 샤넬의 심미성과 유능함을 높게, 바비브라운의 심미성, 흥미성, 유능함을 높게 지각하였다. 여성 소비자들은 화장품 브랜드 개성 중 심미성, 성실성, 유능함을 높게 지각하고 대담함을 낮게 지각하는 경우 화장품 브랜드 선호가 높아졌다. 여성 소비자들은 얼굴만족도가 낮고, 화장품 브랜드 개성 중 심미성, 성실성, 유능함을 높게 지각하는 경우 국내산 화장품 브랜드 선호가 높아졌다. 여성 소비자들은 얼굴만족도가 낮고, 화장품 브랜드 개성 중 심미성, 성실성, 유능함을 높게 지각하나, 대담함을 낮게 지각하는 경우 국내산 화장품 브랜드 선호가 높아졌다. 여성 소비자들은 화장품 브랜드 개성 중 유능함을 높게 지각하는 경우 라네즈의 브랜드 선호가 높아졌고, 심미성과 흥미성을 높게 지각하는 경우 헤라의 브랜드 선호가 높아졌다. 여성 소비자들은 얼굴만족도를 낮게 지각하고, 화장품 브랜드 개성 중 심미성, 성실성, 유능함을 높게 지각하나, 대담함은 낮게 지각하는 경우 이자녹스의 브랜드 선호가 높아졌으며, 심미성과 흥미성을 높게 지각하는 경우 라끄베르의 브랜드 선호가 높아졌다. 얼굴만족도가 낮고, 심미성, 성실성, 유능함을 높게 지각하는 경우 더페이스샵의 브랜드 선호가 높아졌다. 여성 소비자들은 화장품 브랜드 개성 중 심미성, 성실성, 유능함을 높게 지각하는 경우 샤넬의 브랜드 선호가 높아졌고, 얼굴중요도와 심미성과 성실성을 높게 지각하나 대담함은 낮게 지각하는 경우 크리스챤 디올의 브랜드 선호가 높아졌다. 여성 소비자들은 화장품 브랜드 개성 중 심미성과 유능함을 높게 지각하는 경우 에스티로더의 브랜드 선호가 높아졌고, 심미성, 성실성, 유능함을 높게 지각하고 대담함은 낮게 지각하는 경우 바비브라운의 브랜드 선호가 높아졌으며, 심미성, 성실성, 흥미성, 유능함을 높게 지각하는 경우 SK-II의 브랜드 선호가 높아졌다.

      • 退溪 李滉의 人性論 硏究 : 聖學十圖를 中心으로

        김현희 공주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The study of Toegye Yi Hwang's theory of human nature - centered around Sunghaksipdo - Hyun hee, Kim Department of Sino-Korean Literature Graduate School of Kong Ju National University Kong Ju,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Suk-joon, Song) This paper focuses on the study of human nature through the Toegye's Ten Diagrams of Sage Learning(聖學十圖) which was submitted to the king Seon Jo. In Toegye's life, he pursued to increase the Li(理) academically and to have lived a practical life as Kyeong(敬) humanly. Toegye explained the characters of Ten Diagrams of Sage Learning(聖學十圖) in two categories. First, from the way of heaven, Human beings come into the world. When human beings are born, they receive the Li(理) and Kyeong(敬) . When they understand the Li(理) and Kyeong(敬), they can establish their heart on learning. The second, during realizing human beings' mind, universal order is expressed dynamically through earnest and genuine practice and moral culture. This is Ten Diagrams of Sage Learning(聖學十圖).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at Ten Diagrams are possible only through the Kyeong(敬) and give a view of the practical harmony. Toegye adopted Diagrams which coincided with his ideal and wrote his own making as wise man's words - e.g. Diagram of the Elementary Learning (小學), Diagram of Rules of the White Deer (白鹿洞規圖), The second and the last diagram of the mind combines and governs the nature and the feelings(心統性情圖 中·下圖), Diagram of the admonition on "Rising Early and Retiring Late (夙興夜寐箴圖). Ten Diagrams of Sage Learning(聖學十圖) is summed up like this. In his comprising ten diagrams, he arranged them in two structural categories : his own philosophical system and educational system. From the first diagram to the fifth diagram, 5 diagrams' root is put on the ways of heavens and practiced humanity and virtue. From the sixth diagram to the tenth diagram, he viewed them which root was put on the mind and practiced the Kyeong(敬) in daily life. In other wards, the first 5 diagrams find transcendental standard and establish to build the character. The last 5 diagrams find the human nature's inner base and establish the behavior. That is to say, the former is the way from the heaven to human being while the latter is the way from the mind to the practice. Therefore Ten Diagrams of Sage Learning(聖學十圖) has two origins : the way of heaven and the mind of human. The two origins interact and balance as unit point of human being. And they can be specific expression of Sim(心 ) and Li(理) which conflict and harmony. The chronic disease of modern society comes from moral paralysis. As the science develops rapidly, human relationship has been established as a mechanical relationship. Toegye explored an ideal society through education in positive of reality. In this point, personal realizable education through Kyeong(敬) must be recast to fit the modern time and is used in today's school education. If possible, it can be expected that education through Kyeong(敬) contributes to establish of modern values and to recover the humanity. ■■■■■■■■■■■■■■■■■■■■■■■■■■■■■■■■■■■■■■■ *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Graduate School, KongJu National University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Literature Conferred in February 2010.

      • 초등학교 교과서의 직업 내용 분석틀 개발 및 적용

        김현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analysis framework of occupational contents i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and to apply the analysis framework to the analysis of occupational contents in 6th grade elementary school textbook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wo study contents were established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presented as follows. Through this study, we developed an occupational contents analysis framework for elementary school textbooks consisting of 10 indicators in five areas from the perspective of improving job understanding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is is characterized by the development of the occupational contents analysis framework in consideration of the ultimate direction of textbook occupational contents analysis, taking a leap forward from most prior studies that focused on identifying the number of jobs or distribution status of textbooks. In order to develop a framework for occupational contents analysis i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the researcher examined career development theories related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prior study on occupational contents analysis in textbooks, and explored the characteristics of occupation information and "2015 School Career Education Goals and Achievement Standards." This showed that the ultimate direction of textbook occupational contents analysis and analysis framework development should be focused on enhancing students' ‘understanding of work and occupation world’. Based on this direction, five areas of analysis were established in relation to "2015 School Career Education Goals and Achievement Standards", ‘Occupation Diversity’, ‘Occupation Variability’, ‘Occupation Positiveness’, ‘Concreteness of Occupation Information’ and ‘Openness to Occupations’. In response, two analysis items and indicators were specified respectively to structure the occupational contents analysis framework. Furthermore, by preparing a draft analysis framework and applying it to three textbooks on a trial basis, the analysis framework could be modified and supplemented to finally develop an applicable occupational contents analysis framework. The occupational contents analysis framework of elementary school textbooks developed in this study was applied to 20 books on 10 subjects of 6th grade elementary school textbooks. A total of 491 occupational contents analysis data in the 6th grade elementary school textbooks were provided, of which 420 were presented in the occupational dictionar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indicator in the occupational contents analysis framework, the entire occupational contents analysis data in textbooks were sometimes used, and only some were used. In order to ensur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overall analysis results, the review commissioner comprised of one elementary school teacher and one professional professor was reviewed, amended, and supplemented in the relevant field. The main results of occupational contents analysis in the 6th grade elementary school textbooks are presented in order according to the five areas of analysis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Occupation Diversity’, the frequency of presentation of occupational contents in textbooks was concentrated on two large occupational group(55.3%). Compared to the actual status of workers, management jobs were about 7.4 times higher and professionals 3.4 times higher, showing a tendency to discrepancy. Second, in terms of ‘Occupation Variability’, there were not many contents that past occupations(68 cases), new occupations(11 cases), and suggested changes of current occupations(8 cases). Third, in terms of ‘Occupation Positiveness’, 38 cases(7.7%) suggested the contributing value of the occupation. The case of suggesting content that could lead to positive or negative perceptions of occupation differed according to occupational groups. In particular, the ratio of positive perception of traditional professionals(39.2%) was high. Fourth, in terms of ‘Concreteness of Occupation Information’, the ratio of data containing specific occupation information such as explanation of occupation content(37.7%), attitude and posture of professionals(5.9%), qualifications and abilities(3.9%) was not high. Finally, in terms of ‘Openness to Occupations’, the presentation status of gender for men and women(63.2% for men, 36.8% for women) among the occupation data presented in the textbook showed a similar distribution to the actual gender ratio of workers. Although the number of cases is small, some cases have been presented to help resolve gender stereotypes or biases. Meanwhile, information related to overcoming physical constraints on professionals was not found in textbooks analyzed in the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meaningful as a new approach to occupational contents analysis in elementary school textbooks. In particular, the result of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 occupational contents for textbooks that indirectly affect elementary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work and occupation world’. It is also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s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presentation of occupational contents in the development of textbooks in the futu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researcher specifically suggested the use of the findings, the direction of career education and the direction of presentation of occupational contents in textbooks, and follow-up study.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과서의 직업 내용을 분석하기 위한 틀을 개발 및 타당화하고, 이 틀을 초등학교 6학년 교과서에 제시된 직업 내용 분석에 적용하는 데 있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두 가지의 연구 내용을 설정하여 연구를 추진하였으며, 이에 따른 연구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이 연구를 통해 초등학생의 직업이해 제고를 위한 관점에서 5영역의 10개 지표로 구성된 초등학교 교과서의 직업 내용 분석틀을 개발하였다. 이는 교과서의 직업 내용 분석에 있어서 직업의 개수나 분포 현황을 파악하는 것에 치중하였던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서 한 단계 도약하여 교과서 직업 내용 분석의 궁극적인 방향성을 고려하여 직업 내용 분석틀을 개발하였다는 점에서 특징적이라고 할 수 있다. 연구자는 초등학교 교과서의 직업 내용 분석틀을 개발하기 위하여 초등학생과 관련된 진로발달 이론과 교과서 직업 내용 분석에 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직업 정보의 특성과 ‘2015 학교 진로교육 목표 및 성취기준’을 탐색하였다. 이를 통하여 교과서 직업 내용 분석 및 분석틀 개발의 궁극적인 방향이 학생의 ‘일과 직업세계 이해’ 제고라는 방향에 초점을 두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방향성을 토대로 ‘2015 학교 진로교육 목표 및 성취기준’과 관련지어 ‘직업의 다양성’, ‘직업의 변화성’, ‘직업의 긍정성’, ‘직업 정보의 구체성’, ‘직업에 대한 개방성’ 5가지의 분석 영역을 설정하였고, 이에 대하여 각각 2개씩의 분석 항목 및 지표를 구체화하여 직업 내용 분석틀을 구조화하였다. 또한 분석틀 초안을 마련하여 3권의 교과서에 시범 적용함으로써 분석틀을 수정 및 보완하여 실제로 적용 가능한 직업 내용 분석틀을 최종 개발할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초등학교 교과서 직업 내용 분석틀을 초등학교 6학년 교과서 10과목 20권에 적용하여 직업 내용을 분석하였다. 초등학교 6학년 교과서의 직업 내용 분석 자료의 수는 총 491건이었으며, 이 가운데 직업사전에 수록된 분석 자료의 수는 총 420건이었다. 직업 내용 분석틀의 각 지표의 특성에 따라 교과서의 직업 내용 분석 자료 전체가 사용되는 경우도 있었고 일부 자료만 사용되는 경우도 있었다. 전체적인 분석 결과에 대해 신뢰성 및 타당성 확보를 위하여 연구자 외에도 초등교사 1인과 관련 분야 전문가 교수 1인으로 구성된 검토 위원으로부터 검토 및 수정·보완의 과정을 거쳤다. 초등학교 6학년 교과서의 직업 내용 분석의 주요 결과를 5가지 분석 영역에 따라 순서대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업의 다양성’ 면에서 교과서 직업 내용의 제시 빈도가 2개의 대분류 직업군에 편중(55.3%)되어 있었으며, 실제 종사자 현황과 비교해서도 관리직이 약 7.4배, 전문직이 약 3.4배 높게 나타나 불일치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직업의 변화성’ 면에서 과거 직업(68건), 신직업(11건), 현재 직업의 변화성(8건) 등 직업의 변화성을 제시하는 내용 자료는 많지 않은 편이었다. 셋째, ‘직업의 긍정성’ 면에서 직업의 기여적 가치를 제시한 경우가 38건(7.7%)으로 나타났으며, 직업에 대한 긍정 또는 부정적 인식을 불러올 수 있는 내용을 제시한 경우는 직업군에 따라 차이를 보였는데 특히 전통적 전문직에 대한 긍정적 제시 비율(39.2%)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직업 정보의 구체성’ 측면에서도 전체 분석 자료 대비 직무 내용에 대한 설명(37.7%), 직업인의 태도·자세(5.9%), 자격·능력(3.9%) 등 구체적인 직업 정보를 담고 있는 자료의 비율이 높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직업에 대한 개방성’ 측면에서 교과서에 제시된 직업인 자료 중 남녀 성별 제시 현황(남성 63.2%, 여성 36.8%)이 실제 종사자의 남녀 성비 현황과 비슷한 분포를 보였으며, 사례 수가 적지만 성별 고정관념이나 편견을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되는 내용을 수록한 사례가 일부 제시되었다. 한편, 직업인의 신체적 제약을 극복하는 것과 관련된 내용은 이 연구에서 분석한 교과서에서는 찾아볼 수 없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초등학교 교과서의 직업 내용 분석에 대한 새로운 접근으로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특히, 이 연구의 결과는 초등학생들의 ‘일과 직업세계 이해’에 있어서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교과서에 대하여 직업 내용을 분석하고, 또 앞으로 교과서 개발에 있어서 직업 내용의 제시 방향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도 의미가 있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 결과의 활용 측면, 초등학교 진로교육 및 교과서의 직업 내용 제시 방향 측면, 그리고 후속 연구 측면에서 구체적으로 제언하였다.

      • IC-MS를 이용한 과염소산이온의 분석방법의 정립 및 활성탄을 이용한 흡착제거

        김현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Ammonium perchlorate, a key ingredient in solid rocket propellants, has recently been found in ground and surface waters in the USA in a number of states. Perchlorate is persistent in the environment due to its high solubility and extreme stability in aqueous media. Perchlorate interferes with the ability of the thyroid gland to take up iodide in amounts necessary to produce sufficient levels of thyroid hormones. US EPA has established an official reference dose of 0.0007 mg/kg/day for perchlorate. Ion chromatography (IC) coupled with conductivity detector (CD) is a common system for the determination of perchlorate in water samples. Although the IC method with CD has been widely used for the determination of trace level perchlorate ion in water, sensitivity decreases dramatically as the complexity of the matrices increases. Here I proposed the application of ion chromatography coupled with mass spectrometry (IC-MS) to significantly improve selectivity in the detection of perchlorate. The calculated minimum report level (MRL) of the method was 0.1 μg/L.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perchlorate were 0.30 μg/L in the samples taken from the 6 source water intake stations and 0.29 μg/L in the samples taken from the 6 water treatment plants in Seoul. The concentration of source and treated water revealed that removal of perchlorate was difficult by conventional water treatment process. Therefore,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perchlorate removal using activated carbon, with consideration advanced water treatment process. Adsorption isotherm and kinetic test did an experiment on filtered, diluted (filtered + deionized, 1:1) and deionized water spiked perchlorate. The result of adsorption isotherm experiment showed that perchlorate removal ratio was decreased with an increase of TOC concentration. Also the result of adsorption isotherm experiment applied to Freundlich equation. The results were k=0.0030, 1/n=0.249 for filtered water, k=0.0055, 1/n=0.288 for diluted water, and k=0.0980, 1/n=0.622 for deionized water. The kinetic test result was appeared that perchlorate removal ratio decreased with an increase of TOC concentration, like adsorption isotherm. Therefore, if perchlorate is detected in source water, GAC (granualar activated carbon) filtration after sand filtration process is more effective than injection PAC (powdered activated carbon) with coagulant at mixing step. 과염소산이온(ClO4-)은 자연적으로 존재하기도 하지만, 주로 로케트 추진제 제조 등의 공정에 사용되어 인간에 의해 화학적으로 합성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과염소산이온은 과다 노출시 갑상선 호르몬의 생산을 방해하고 갑상선의 호르몬생산과 대사 작용에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미국의 여러 지역에서 과염소산이온이 하천수에 유입되어 최소한 15만명의 사람들에게 공급되었고, 국내에서도 2006년 낙동강수계 점검 결과 과염소산이온의 존재가 확인됨에 따라 체계적인 관리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미량의 과염소산이온 분석을 위해 이온크로마토그래피 질량분석법(IC-MS, ion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을 적용하였고, 그 정량한계(MRL, minimum report revel)를 0.1 μg/L까지 낮출 수 있었다. 최적화된 IC-MS를 이용한 분석방법을 서울시 6개 아리수정수센터의 취수원수 6점 및 정수 6점의 시료에 대하여 2007년 11월, 2008년 3월 2회에 걸쳐 적용한 결과, 원수에는 평균 0.30 μg/L, 정수에는 평균 0.29 μg/L의 농도로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나서 기존의 정수처리공정에서는 과염소산이온이 제거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과염소산이온의 제거를 위해 향후 서울시 등에 도입될 예정인, 여과수를 입상활성탄으로 한번 더 여과하는, 고도처리방법을 염두에 두어 활성탄을 이용한 흡착제거실험을 진행하였다. 여과수, 희석수(여과수와 증류수를 1:1로 희석)와 증류수에 과염소산이온 용액을 제조하여 등온흡착실험과 흡착속도실험을 하였다. 등온흡착실험 결과 총유기탄소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과염소산이온의 제거율이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Freundlich 모델에 적용해본 결과 여과수의 경우 k=0.0030, 1/n=0.249, 희석수의 경우 k=0.0055, 1/n=0.288 그리고 증류수의 경우 k=0.0980, 1/n=0.622를 얻을 수 있었다. 흡착속도 실험결과 등온흡착실험과 마찬가지로 총유기탄소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과염소산이온의 제거율이 낮게 나타났으며, 교반 후 약 200분 정도까지 총 제거율의 약 70% 정도가 제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취수원수에 과염소산이온의 유입이 발생하였을 경우 정수처리 공정에서 활성탄으로 흡착, 제거하려면, 분말의 형태로 응집제와 함께 투입하여 제거하는 방법보다 여과수를 활성탄 입상 여과로 처리하는 공정이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된다.

      • 한식당메뉴의 영어표기에 관한 연구

        김현희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MA.(MS.) Thesis A Study on the Transliteration in English of Korean Restaurant Menus Kim, Hyun Hee Department of Foodservise & Culinary Management Graduate School, Kyonggi University It i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dietary life, which is part of the most fundamental human life, is a barometer of culture in every country. In the 21 century's global village, dietary life functions as a cultural mission. Now that the tourist industry comes into the spotlight, every national, public and local institution tries to attract foreign tourists, and the restaurant industry should be ready to receive foreign tourists as well. Despite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foreigners using restaurants, the importance of the menu is not well recognized. For foreigners with poor Korean proficiency, each menu has a decisive impact on their selection of dish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transliteration of Korean menus into English in Korean restaurants. In an effort to suggest how to transliterate Korean menus more effectively. A literature review and experimental analysis were implemented to serve the purpose of the study. As for the literature review, literature on Korean food culture, the kinds of Korean menus and Korean table settings were checked. And how to Romanize Korean, how to Romanize Korean menus and how to transliterate menus into English were discussed. An experimental analysis was conducted by selecting three different sorts of Korean restaurants according to five selected Korean-to-English transliteration principles: hotel Korean restaurants, Korean restaurants designated by Korea Tourism Organization, and Korean restaurants located in Insa-dong. Besides, foreigners were asked to evaluate Korean-to-English transliterations. The Korean restaurants located in Insa-dong to which foreigners paid the most frequent visits transliterated menus into English in the right manner, but that was not the case for the hotel Korean restaurants, and Korean restaurants designed by Korea Tourism Organization. And the foreigners had the best understanding of the transliterated menus from Korean restaurants in Insa-dong as well, though there was a very slight difference in their level of understanding. When it comes to the tourist industry, the restaurant industry is one of promising industries concerned, and that industry should make a sustained development to satisfy user needs, as foreigners are likely to have more expectations from restaurants. Although Korea Tourism Organization have issued a collection of tourism information on transliteration every year, the findings of the study justified the need for more dynamic and extensive publicity activities. In this study, there are some suggestions on that issue. First, government and public office workers should receive education on how to treat foreigners. Second, the collections of tourism information on transliteration that are on sale should be sent to restaurants free of charge. Third, energetic PR efforts should be made to inform about Korean food ingredients. Fourth, there will be less problems with Korean-to-English transliteration if Korean restaurants are legally required to transliterate their menus.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식생활은 그 나라의 대표적인 문화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21세기 지구촌 한가족 시대가 도래한 지금 식생활은 비단 식을 넘어선 문화사절단으로서의 역할을 자리잡고 있다. 관광산업이 부각을 나타내는 이때, 각 국․공립기관 및 지역단체들은 외국인 관광객 유치를 위해 노력하고 있는 사회적인 상황에 부합하여, 외식업체에서도 외국인 관광객을 맞이할 준비를 해야 할 때이다. 외식업체를 이용하는 외국인의 수가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메뉴에 대한 중요성은 제대로 인식되고 있지 않다. 특히 한국어가 자유롭지 못한 외국인들의 경우 메뉴는 음식선택의 절대적인 영향을 준다. 이에 본 연구는 한식당에서 사용중인 메뉴의 영어표기에 대한 문제점을 규명해 보고 메뉴의 올바른 표기의 활용방법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연구와 실증분석를 실시하였다. 문헌연구는 본 연구의 이론적 기초인 한식당 메뉴의 고찰에서 한국의 식문화와 한식메뉴의 종류, 그리고 한식상차림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표기법에서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음식메뉴의 로마자 표기법, 마지막으로 메뉴의 영문표기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더불어 실증분석에서는 호텔 한식당, 관광공사지정 한식당, 그리고 인사동 한식당으로 구분하여 메뉴의 영문표기의 원칙 중에서 5가지 선택하여 평가하였으며, 외국인검증도 실시하였다. 메뉴의 영문표기에서는 호텔한식당과 관광공사지정 한식당 보다 외국인이 가장 많이 찾는 인사동에 위치한 한식당이 올바른 표기법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외국인의 이해도 검증에서도 근소한 차이로 인사동 한식당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관광산업 중에서도 외식산업은 미래 유망산업으로서 지속적인 발전을 통하여 이용객들을 만족시켜야 하겠다. 그 주체가 외국인일 경우 그 요구가 더 심화될 수 있다. 한국관광공사에서 매년 관광안내표기 용례집을 발간하고 있지만, 본 연구의 결과로 미루어 활발한 홍보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해서 본 연구에서 몇가지 개선방안을 제언하면, 첫째, 외국인 대응방법에 관한 관공서 교육을 실시하고, 둘째, 현재 판매되는 용례집을 요식업 종사자들에게 무료로 발송한다. 셋째, 한식재료의 홍보를 적극적으로 실시하고, 넷째, 한식메뉴의 정량표기를 의무화 한다면 영문표기의 문제점을 감소시킬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