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성토 되메움 구간 얕은기초의 탄성침하량 산정에 관한 연구

        김현도 대진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얕은기초의 경우 지표면 부근의 지반상태가 양호하며 구조물의 안정성과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한다면 지표면에 직접 기초구조물을 구축하는 경제적인 공법이다. 얕은기초는 설계 및 시공이 간편하여 다양한 토목 및 토목구조물에 대표적인 기초형식이지만 실무에서 설계자들이 얕은기초를 비교적 선호하지 않는 이유는 허용 부등 침하량에 대한 명확한 규정이 미흡한 점과 절대 침하량이 크다는 일반적인 관념 및 침하량 예측방법의 신뢰성 등을 대표적인 이유로 들 수 있다. 그러나 지난 수십년간 얕은기초의 침하량 예측에 대한 많은 시험과 연구가 진행되어 초기 탄성이론에 근거한 침하량 예측부터 최근 수치해석을 이용한 침하량 예측까지 다양하게 발전되어 왔으며 실제 국토교통부의 구조물 기초설계기준에 의하면 탄성이론에 근거하여 기초의 강성 및 형태에 따른 기초 구조물의 침하량을 산정하도록 명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성토구간 상부에 설치되는 지하차도의 현장사례를 토대로 얕은기초의 침하량 검토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침하량 검토를 위한 방법은 탄성이론에 의한 침하량 산정방법과 변형률 영향계수를 이용한 탄성침하량 산정방법을 토대로 탄성이론에 의한 침하량 검토를 수행하였다. 또한 연구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3차원 유한요소해석을 통한 수치해석을 수행하여 침하량 예측 및 부등침하 검토를 추가로 실시하였고 두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고성토구간 상부에 설치된 지하차도의 침하 안정성을 평가한 결과 지하차도 중앙부에서는 허용침하량 기준을 만족하였으나 복토하중에 의해 가장자리 일부 구간에서는 미소하게 초과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수치해석 모델링의 경우 최악의 다짐조건을 적용한 검토결과로서 시공다짐 관리를 시행하면 허용기준을 만족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침하량 결과를 비교분석한 경우 전체적인 최대침하량은 수치해석을 통한 결과에서 탄성이론을 통한 결과보다 크게 발생하는 경향이 나타나 수치해석 방법을 통한 침하량 안정성 평가가 좀 더 신뢰도가 큰 것으로 평가된다.

      • 치과용 임플란트의 파절과 나사풀림에 대한 고찰

        김현도 전남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경제적인 여유와 심미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인하여 결손 치아를 대체하기 위한 구강 내 임플란트 식립을 많은 사람들이 선호하고 있고 이에 대한 연구 및 시도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현대 치의학의 목표는 환자의 정상기능, 발음, 건강과 심미를 회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궁극적인 목적에 따라서 치주질환이나 손상, 다른 원인에 의하여 치아를 상실한 건강한 구강건강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에게 있어서 임플란트는 이상적인 선택이다. 단순히 결손 부분 대체를 위해서 뿐만 아니라 다수치아의 결손시 지대치로서 역할을 위한 목적으로서도 많이 이용되고 있다. 임플란트 매식을 통한 인공치아를 통해 자연스런 미소와 발음, 그리고 편안한 저작을 도와주고 특히 틀니 환자에게는 유지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해 줄 수 있다. 구강내의 임플란트 식립은 치아의 상실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해 주는 방안으로 최선의 선택이라 할 수 있지만 임플란트 식립 후에 겪게 되는 예기치 않은 문제는 시술가나 환자에게 있어서 크나 큰 고민거리가 아닐 수 없다. 이번 고찰의 목적은 임플란트 식립 후 발생하는 문제들 중 흔히 발생하는 문제점인 임플란트의 파절과 임플란트 나사의 풀림현상에 대해서 알아보고 이에 대한 예방책을 강구해보도록 한다. 임플란트의 파절은 여러 원인에 의해 발생하지만 가장 큰 원인은 비기능적 하중(parafunctional load)의 작용에 의해 발생한다. 이런 현상에 대한 예방책은 환자의 과도한 비기능력을 중지시키거나 줄이기 위한 교합보호(occlusal guard)같은 장치가 선행되어야 하고, 캔틸레버의 사용을 줄이고, 임플란트의 지름을 증가시킴으로써 예방될 수 있다. 또한 임플란트 나사풀림과 관련해서는 회전력이 가해질 때 임플란트 나사의 내부에 발생하는 전하중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이런 전하중을 늘리기 위한 재질의 선택에 있어서 금피복된 금합금 나사를 사용하고 제조사에서 권장하는 회전력을 부여하기 위해 기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토크렌치를 사용해야한다. 또한 임플란트 나사의 수명을 고려하여 10년 내에 임플란트의 교체가 필요하다. 과도한 비기능적인 힘에 의한 국소적인 응력의 집중도 나사풀림의 중요한 원인이 되므로 이에 대한 원인 제거가 선행조건이 되어야겠다.

      • CO2 공급 및 인공광원이 상추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김현도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시설재배에서 안정적인 상추의 생산기술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 CO2 공급이 상추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2) 인공광원이 상추의 발아와 유묘활력에 미치는 영향 3) 인공광원이 상추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상추재배에 CO2를 공급하면 대조구에 비해 엽수, 엽면적, 초장, 생체중 및 건물중 등 전반적인 생육이 우수하였다. 상대생장률은 처리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나 엽면적지수는 CO2 처리구가 높았다. 식물체의 수용성 비타민인 Vitamin C, B1, B2, B5, B6 함량은 CO2 공급에 의해 차이는 없었으나 Vitamin B3는 CO2 처리구가 대조구 보다 0.5 mg/kg 높았다. 식물체의 T-N율 비롯한 P, Ca, Mg, Mn, Zn 등의 무기함량은 CO2 처리구에서 높았다. 따라서 시설 상추재배에 CO2를 시용하면 생산량이 증가하였으며, 생육을 촉진하여 조기수확이 가능하였다. ‘토말린’과 ‘선풍골드’의 발아율은 메탈할라이트등(MH)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발아속도 개념인 T50은 고압나트륨등(HPS) 처리구에서 가장 빨랐다. 두 품종 모두 Red + Green + Blue LED(RGB-L)에서 엽수와 근장, 줄기직경 등 생육이 좋았으며, 유묘활력도 우수하였다. 초장은 Red + Green + Blue LED(RGB-L) 처리구에서 가장 짧았지만 잎의 형태는 둥글고 엽육이 두텁게 생장하여 생체중 및 건물중이 가장 높았다. 또한 안토시아닌이 발현이 우수하여 엽색이 적색으로 나타내었다. 반면 메탈할라이트등(MH)에서는 엽형지수가 높고 도장하며 생육이 불량하였다. Red Led와 Bule Led는 혼합광원에 비해 생육이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따라서 Red + Green + Blue LED(RGB-L) 및 Red + Green + Blue + Far-Red LED(RGBFR-L) 혼합광원 처리구에서 상추 유묘의 활력에 가장 효과적이었다. 인공광원의 종류에 따라 상추생육 및 품질에 차이가 있었다. Red + Green + Blue LED(RGB-L)는 초장이 짧았지만 엽육이 두터워 생체중과 건물중이 높았다. 또한 두 품종 모두 안토시아닌 함량이 높았으며 엽색이 진한 적색으로 발현되었다. Red + Green + Blue + Far-Red LED(RGBFR-L)과 고압나트륨등(HPS) 처리도 엽면적이 높고 전반적인 생육이 우수하였으며 엽색은 진한 녹색으로 발현되었다. 엽록소 함량은 Red + Green + Blue + Far-Red LED(RGBFR-L)에서 가장 높았고, 메탈할라이트에서 가장 낮았다. Red Led 처리에서는 식물체의 엽장이 길고 엽폭이 좁아 엽형지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도장하는 경향을 보였다. 두 품종 모두 Red + Green + Blue LED(RGB-L)에서 안토시아닌 함량이 높았다. 정식 후 36일째 ‘토말린’은 RGB-L 혼합 처리구에서 8.37 mg/100g으로 대조구보다 7배 이상 높았고 ‘선풍골드’는 5.31 mg/100g으로 대조구보다 5배 이상 높았다. 따라서 상추의 생육과 품질향상을 위해서는 단일광원을 처리하는 것보다는 적색광, 청색광, 녹색광 및 원적색광을 적절하게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 TIPS법에 의한 多孔性 Poly(L-lactic acid) 支持體의 製造 및 PEG-PLLA Diblock Copolymer의 影響에 關한 硏究 : Effct of PEG-PLLA Diblock Copolymer on preparation of PLLA scaffold via thermally induced phase separation(TIPS)

        김현도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박사

        RANK : 247631

        PLLA-dioxane-water의 3성분계상에 첨가제(PEG, PEG-PLLA diblock coplymer) 를 첨가하고 상분리 거동을 이용하여 공극 간의 연결성이 우수하고 균일한 공극 형태를 나타내는 다공성 PLLA 지지체를 얻을 수 있었다. UCST 거동을 보이는 PLLA의 상분리 법을 이용하기 위해 상분리도는 시각적 혼탁도의 측정을 통하여 수행 되었다. 측정된 상분리도는 첨가제의 물리 화학적 형태에 따라 물과 강한 상호작용을 하는 PEG의 양과 비율이 증가 할수록 상분리 온도는 상승하였다. 지지체의 구조적 형태는 상분리 거동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즉 냉각 온도, 냉각 깊이, 상분리 시간, 고분자 농도와 첨가제의 양과 구조적 형태에 따라 조절 되었다. PLLA의 농도는 4.5 wt%, 용매와 비용매인 dioxane과 물의 비율은 무게비 87:13, 그리고 냉각 온도는 30~33℃에서 가장 좋은 구조의 지지체를 얻을 수 있었다. 그리고 친수/소수성을 지니는 diblock copolymer의 첨가로 상분리 후기 단계에서 고분자와 용매의 완전한 분리가 발생되지 않았고, 또한 계면장력을 낮추어 공극간의 상호 연결성을 유지 시켜주어 50 ㎛에서 300㎛ 이상의 큰 공극의 크기를 갖는 지지체를 만들 수 있었다. 제조된 PLLA 지지체는 MC3T3-E1 (쥐의 뼈 모세포) 세포의 체외 배양을 통한 3차원적 성장에 우수한 구조적 형태를 제공하였고, 특히 효과적인 diblock copolymer를 첨가하여(diblock1 0.5wt%) 제조된 PLLA 지지체에서 우수한 세포간의 상호작용과 성장을 보였다.

      • 왕겨재를 이용한 토질 안정처리

        김현도 蔚山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연약한 해성 퇴적토는 해안 지역을 따라 넓게 분포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고함수비이며, 다량의 유기물을 함유하고 있어 토질 공학적으로 많은 문제점을 야기 시키고 있다. 연약한 해성토를 개량하기 위한 공법은 오래 전부터 연구되어져 왔으며, 많은 성과를 거두어 왔다. 연약 지반 개량 공법으로써, 생석회는 아주 오래 전부터 사용되어져 왔으며, 근래에는 생석회와 함께 화학적 첨가제를 혼합하여 그 효과를 증대시키려는 노력이 있었다. 또한, 생석회에 의한 화학적 반응을 촉진하기 위하여 화산재, fly ash, rice husk ash와 같은 포졸란 재료를 이용한 방법이 많이 연구되어져 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울산지역에서 발생되는 연약한 건설잔토(surplus soil)의 토질 안정화를 목적으로, 생석회와 RHA(rice husk ash, 왕겨재)를 혼합하여 연약지반을 개량코자 하였으며, atterberg 한계 시험, 일축압축강도, 압밀 시험 등의 실내 시험을 통하여 개량 정도를 평가하였다. 아울러, 혼합토의 화학적 구성성분과 미세구조를 분석하여 강도 발현의 원인들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대상토는 자연 건조시료, 350℃ 가열 처리토, 700℃ 가열 처리토로써 유기물 함유율이 각각 다른 3가지 시료이며, 각 대상토에 대하여 생석회 10%와 RHA 0%, 10%, 20%를 첨가하여 공학적 특성을 개선코자 하였다. 각 대상토에 RHA와 생석회를 첨가한 혼합토에 대하여 특성시험과 역학시험을 실시한 결과, 유기물 함유율이 8.67%인 자연건조시료의 경우, 재령에 따른 강도 발현이 매우 미약하였으나, 350℃, 700℃ 가열 처리된 유기물 제거토는 강도 발현이 매우 신속하게 발생되었다. 또한, 생석회와 함께 RHA가 첨가되었을 경우, 공시체의 초기 강도 발현이 매우 크게 발생되었으며, 28일 재령 이후 강도발현이 둔화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경향은 pH 측정 결과를 통해 잘 설명되어질 수 있다. RHA가 첨가된 공시체의 경우, 초기 재령 단계에서 pH가 급격히 감소되었으며, 이는 생석회와 포졸란 재료인 RHA의 반응이 매우 신속하게 발생됨을 의미한다. 강도 발현에 대한 유기물의 영향을 분석하고자 유기물 제거에 따른 강도비를 구한 결과, 자연 건조시료에 대한 350℃ 가열 처리토의 강도 증가비(□)의 경우, 유기물 함유율이 8.67%에서 6.45%로 감소됨으로 인하여 최대 12배의 강도 증가를 나타내었으며, 자연 건조시료에 대한 700℃ 가열 처리토의 강도 증가비(□)는 유기물 함유율이 8.67%에서 3.84%로 감소됨으로 인하여 최대 50배의 강도 증가를 나타내었다. 유기물 함유율 8.67%인 자연건조시료의 경우, 유기물에 의해 칼슘이온(Ca^2+) 이온의 흡수, 흙의 교환영역에서 점토 광물과 칼슘이온(Ca^2+) 사이의 화학적 반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한 결과로 사료된다. 압축특성에 있어서는 C_s/C_c에 의한 팽창특성을 비교한 결과, 각 대상토에 대하여 생석회를 첨가한 경우에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나, 강도 발현과 압축성을 동시에 개선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생석회와 함께 RHA를 첨가하는 것이 유효할 것으로 판단된다. Weak marine clay deposits are present in several regions in the world and they are making severe problems for structures founded in these deposits. The construction of many coastal and offshore structures in these deposits is confronted with many geotechnical problem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engineering behavior of marine clays using appropriate ground-improvement techniques. A large number of ground improvement technique are developed for such a soft clay deposit. Fly ash or pozzolanic materials, which are classified as wastes, may be used to make these soil stabilization. Recent researches, showed that rice husk ash is a potential material due to its pozzolanic activity for soil improvement. Rice husk ash(RHA) is also a easily obtainable a pozzolanic material considering it is sufficiently produced and widespread in korea. In this paper, a laboratory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to change the geotechnical properties of clayey soil with quicklime and rice husk ash for soil improvement. The organic content of soils is 8.67%, 6.45% and 3.84% respectively. The geotechnical properties of treated soil were evaluated by a series of laboratory unconfined-compression test, consolidation test and etc. The indicate that the presence of RHA enhanced the efficiency of lime stabilization. Especially, the increase in strength is very high at the first stage, while the significant improvement occures in a sample C with organic content of 3.84%. These results can be identified by X-ray diffraction(XRD)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SEM). The results of consolidation test indicate that the presence of RHA with lime reduce properties of swelling of soil. The more organic content of soils, the less effective of improvements.

      • PC를 이용한 천해저 탄성파 탐사 자료 취득 및 처리에 관한 연구

        김현도 東亞大學校 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7631

        아날로그 방식으로 취득되던 천해저 탄성파 탐사의 자료 취득을 대처하기 위하여 PC를 이용한 디지털 탄성파 탐사 자료 취득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자료 취득을 위하여 12비트의 해상도와 225㎑의 자료추출 능력을 가진 A/D 변환기를 사용했으며 자료 취득 소프트웨어는 Windows 프로그램으로 개발되어 운용의 용이성을 제공하였다. 현장에서 취득된 자료는 PC 하드디스크에 파일단위로 저장되며, 이렇게 저장된 원시 자료는 자료처리 과정을 거쳐 신호대 잡음비와 수직 및 수평 해상도를 향상시킬 수 있었다. 자료 처리 과정에는 이득 회수, 필터링, 디콘볼류션, 뮤우팅 등이 포함되며, 특히, 예측 디콘볼류션을 통하여 천해 탐사에서 많이 나타나는 복반사를 어느 정도 제거할 수 있었다. A digital seismic data acquisition and processing system using a PC has been developed in order to replace the analog data acquisition system of shallow marine seismic survey. An A/D converter that has 12bits of resolution and 225kHz of conversion rate was used to acquire data, and a data acquisition software was developed as a Windows program which provides convenience of use. Raw data acquired at field was saved to the hard-disk With a data processing of the raw data signal to noise ratio, vertical and horizontal resolutions could be improved. The digital processing of the raw data includes gain recovery, filtering, deconvolution, and muting. With the prediction deconvolution algorithm multiple reflections appearing on shallow marine seismic section could be successfully removed.

      • Georg Simmel의 "사회학적 미학"을 통해서 본 '개체성과 일반성의 연합'

        김현도 서강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631

        짐멜의 다양한 연구들에 대한 근본적 방법론 중 하나이고 근대 사회학에 기여한 그의 공로를 적절하게 평가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사회학적 미학"이다. 본 논문은 짐멜의 "사회학적 미학"의 몇몇 특성을 연구함으로써 "형식 사회학"의 적용가능성을 심화하고 확장시키고자 한다. 특히, 두 개의 범주, 즉 "거리두기"와 "개체성과 일반성의 연합"이라는 범주가 강조된다. 첫 번째 범주, "거리두기"는 짐멜이 학문적 이방인이었을 뿐만 아니라, 근대적 삶의 다양한 특성을 표현하고자 한 예술가였음을 보이기 위해 고려될 것이다. 이 범주와 관련하여, 본 논문은 예술가의 미학적 거리두기와 사회학적 만보객으로서 그리고 그의 글, '영원성의 관점에서 본 스냅사진들'을 통해서 짐멜의 사회학적 거리두기를 분석한다. 두 번째 범주, "개체성과 일반성의 연합"은 현행의 사회적 형식들과 그것들의 변화가 개인의 발전과 공동체의 보존이 공존할 수 있음을 입증한다고 제안하고자 연구된다. 이를 위해, 이 범주는 예술 작품에 대한 짐멜의 분석과 사교성, 유행, 그리고 양식을 예를 들면서 사회적 형식에 대한 그의 분석에 관련된다. 위의 두 범주들에 대한 분석은 짐멜이 개인과 사회라는 이원론을 극복하고자 노력하였다는 의견을 뒤받침 할 것이다. 결과적으로, 짐멜의 사회학적 미학은 현 사회의 복잡성과 불확정성에 대한 사회학적 분석틀을 제공하기에 충분히 유용한 함의들을 가지고 있다. 주요 용어 : 사회학적 미학, 거리두기, 사회학적 만보객, 영원성의 관점에서 본 스냅사진들, 개체성과 일반성의 연합, 예술작품, 사회적 형식 'Unity of Individuality and Generality' In "Sociological Aesthetics" of Georg Simmel It is "Sociological aesthetics" that is a fundamental methodology of Georg Simmel's various sorts of studies and makes it possible to evaluate properly his contributions to the modern sociology. This paper is planned to deepen and extend availabilities of "Formal sociology", studying some characteristics of Simmel's "Sociological aesthetics". Especially two categories, "Being at a distance" and "Unity of individuality and generality", are focused on. The first category, "Being at a distance" is considered in order to show Simmel was not only academic stranger, but an artist to express various features of modern lives. Related to this category, this paper considers the aesthetical "Being at a distance" of Simmel as an artist and the sociological it as a sociological fl neur through his articles, 'Snaps shots from aspect of eternity'. The second category, "Unity of individuality and generality" is studied to suppose that contemporary social forms and their changes prove the possibility of the coexistence of individual's development and community preservation. For this, this category is related to Simmel's analyses of works of art and social forms taking sociability, fashion, and style for instances. The analyses of above two categories support the opinion that he tried to overcome the dualism of the individual and the society. As a result, Sociological aesthetics of Simmel has implications available enough to give us a sociologically analytical framework for complexities and uncertainties of contemporary societies. Key words : Sociological aesthetics, Being at a distance, Sociological fl neur, Snaps shots from aspect of eternity, Unity of individuality and generality, Works of Arts, Social Forms

      • 중고물품 E-Commerce를 위한 협업 필터링 기반의 분산 처리형 추천 시스템 설계 및 구현

        김현도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전자 상거래에서 추천 서비스 제공은 옵션이 아닌 필수가 되었다. 넷플릭스에 따르면, 자사 추천 시스템을 통한 컨텐츠 소비가 80%에 달한다고 하며, 시스템의 기술 가치 평가액은 무려 1.5조원에 이른다고 한다. 반면 중고물품 상거래의 경우, 연 2.5 조원에 달하는 거래 규모에도 불구하고, 추천 시스템에 대한 충분한 연구 및 논의가 이뤄지고 있지 못한 형편이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추천 시스템 알고리즘 및 방법론을 검토하고 이를 중고거래 추천 서비스로 제공할 수 있을지 연구한다. 먼저, ‘상품/구매자/판매자’와 같은 상거래의 주요 개념에 대해 새롭게 고찰하였다. 예를 들어, 중고 거래 시장에서 상품은 생명 주기를 가지며 한번 판매되면 다시는 동일한 제품을 구매할 수 없다. 또한 일반 상거래와 반대로 구매 행위는 중요하지 않으며, 오히려 판매 행위가 추천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중요 데이터로 작용한다. 본고에서는 이처럼 개념을 새롭게 정립하여 추천 시스템 설계 및 구현에 적극 반영하였다. 또한 중고거래 물품에 대한 추천 시스템 구축은, 양적으로 보면 대규모 데이터셋을 처리해야만 하고, 질적으로 보면 실시간에 준하는 추천 서비스 제공해야 하는 이중의 과제를 안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분산처리형 협업 필터링 알고리즘을 도입하였으며, 따라서 기존의 일반적인 이웃기반 모델(Neighborhood Model)을 지양하고 잠재 요인 모델(Latent Factor Model), 그 중에서도 ALS 알고리즘을 도입하여 위의 이중의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실제 구현 과정에서는 3종의 언어를 사용하여 다양한 방법론과 접근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R을 통해 유사도 기반의 추천 원리를 살펴 보았으며, 싱글 코어 vs 멀티 코어 구도로 대비시켜 볼 수 있도록 ALS 알고리즘을 파이썬 코드와 스칼라 코드로 각각 구현해 보았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로, Spark 플랫폼 기반에서 AWS EMR을 통한 서버 분산 처리를 통해 백만 개 정도의 대규모 데이터 셋을 가지고 목표 시간 내에 추천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었다. 부수적으로 Single Core에서 작동하는 Python Code와 비교 테스트하여 서버 분산 처리가 절대적으로 필수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고, 또한 EMR 클러스터 구성의 최적화에 대해서도 테스트를 진행하여 불필요한 리소스 낭비가 없도록 하였다. In E-Commerce, recommendation services has become mandatory. According to Netflix, the consumption of the contents through the recommendation system has reached up to 80%, and the technology of the system is worth 1.5 trillion won. However, there has not been enough researches and discussions on the recommendation system for the second hand E-Commerce with its market size of 2.5 trillion won a year. This paper reviews existing recommendation system algorithms and methodologies and see whether they can be used as a recommendation service in second-hand online markets. First, the terms of 'product, buyer, seller' were redefined fot use in the second hand e-commerce. For example, in the secondary market, a product has a life cycle and once it is sold, it cannot be bought again. Also, contrary to The General E-Commerce, purchase behaviors are not important, but rather sales behaviors can be used as an important data source in establishing recommendation system. In this paper, I elabora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cond hand e-commerce and reflected them to the recommendation system. In addition, the establishment of recommendation system for secondhand commodities has a dual task of providing large-scale datasets in quantitative terms and quality-based recommendation services in realtime. In order to solve the issues mentioned, a distributed processing type collaborative filtering algorithm is employed and the conventional Neighborhood Model is avoided and Latent Factor Model (ALS) algorithm is applied. In the actual implementation process, various methods and approaches were proposed using 3 languages. First, I looked at the principle of similarity-based recommendation through R, and implemented ALS algorithm with Python code and Scala code in order to contrast between single-core and multi-core composi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I could provide recommendation data within the target time from about one million large data sets using server distribution processing on AWS EMR Spark platform. it was also verified that the distributed server processing is absolutely necessary by comparing with the Python code that operates on Single Core, and the optimization of the EMR cluster configuration was also tested to avoid unnecessary resource was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