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침 강장 흐름분획법과 유도 결합 플라즈마-질량분석계를 이용한 TiO2 콜로이드입자의 특성연구

        김현겸 한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입자크기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에는 광산란법(Light Scattering), 현미경법(Micro Scopic), 장 흐름 분획법(Field Flow Fractionation, FFF)등 다양한 방법들이 알려져 있다. FFF는 크로마토그래피(HPLC)와 같은 용리방법을 이용하는 분리기술로서 입자크기에 따른 분리를 제공하여 입자크기분포를 결정하는데 유용한 기술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용액 내 TiO2 콜로이드 입자를 분리/분석하기 위해 Sedimentation FFF (Sd-FFF)를 이용하였다. Sd-FFF는 나노크기의 콜로이드 입자들을 분리/분획하고 그들의 특성(예: 입자크기)을 결정하는데 특히 유용한 기술로 알려져 있다. 먼저 Sd-FFF를 이용하여 물속의 TiO2 콜로이드를 크기 별로 분리함으로써 입자크기분포(particle size distribution)를 결정하였다. Sd-FFF로부터 얻은 TiO2 입자의 크기는 60 - 110 nm의 분포를 보이고 있다. Sd-FFF로부터 용리되어 나오는 TiO2 콜로이드입자들을 3분 간격으로 분취하여 ICP-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검출기의 dwell time을 10 ms로 설정하고 time scan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이렇게 시간에 따라 분취하여 측정된 결과 값의 경향을 보면 시간이 지날수록 maximum peak들이 오른쪽으로 이동하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Sd-FFF를 이용하여 입자들을 세분화할 수 있었으며 ICP-MS에 의해서 이들의 분포를 확인할 수 있었다.

      • 생태학적 지수를 이용한 동해연안 인공어초의 기능도와 성숙도 평가

        김현겸 충북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8639

        This study compared ecological indices of marine algal communities and invertebrates, which are marine benthos that inhabit artificial reefs and natural reefs for ecological assessment of artificial reefs. The purpose is to calculate functionality indices (FI; estimation of stability of community structure and productivity) and maturity indices (MI; in comparison with ecological parameters of natural reefs) of artificial reefs installed in the east coast of Korea in order to utilize it as primary data to more objectively assess the function of artificial reefs. Benthos that inhabit artificial reefs as well as natural reefs located off of the town of Jangsa in the city of Sokcho (Jangsa-dong, Sokcho-si), the village of Susan in the district of Yangyang (Susan-ri, Yangyang-gun), the village of Odo in the city of Pohang (Odo-ri, Pohang-si), the village of Bonggil in the city of Gyeongju (Bonggil-ri, Gyeongju-si), and the village of Daesong in the district of Ulju (Daesong-ri, Ulju-gun) were examined per season from March to November of 2013. Parameters for deducing functionality and maturity were (1) abundance indices, (2) evenness indices, (3) diversity indices of periphytic invertebrates and marine algal communities. Functionality and maturity of periphytic invertebrates and marine algae were each deduced and averages were obtained. Comparison between functionality values from Sokcho and Yangyang presented Sokcho with the highest value of 97.00% in terms of artificial reefs and Sokcho with the highest value of 98.57% in terms of natural reefs. Comparison between Pohang and Gyeongju presented Pohang with the highest value of 82.24% in terms of artificial reefs as well as the highest value of 98.45% in terms of natural reefs. Maturity value of artificial reefs off of Sokcho was 97.00%, Yangyang was 92.77%, Pohang was 83.37%, Gyeongju was 59.72%, and Ulju was 95.10%. By more objectively assessing the function of artificial reefs based on the assessment results of artificial reefs' functionality and maturity, it can be utilized as primary data in establishing "ARENS; Artificial Reefs Eco-Natural Score". The values were not 100 for functionality of natural reefs. As this result confirms, it can be utilized as more objective data by applying weight in establishing health assessment indices of artificial reefs. In deducing an assessment of functionality, error can be reduced by selecting zones after subdividing the waters where installments were made (example: northern, central, southern Gangwon, or waters of Geongbuk, waters of Gangwon, etc). In calculating indices, credibility of objective assessment of artificial reefs can be increased by dividing it into a total of 5 categories (very high(100∼90), high(90∼70), mean(70∼50), low(50∼30), very low(30∼0); or 1st grades, 2nd grades, 3rd grades, 4th grades, 5th grades). A guideline that considers the peculiarities of pertinent waters in assessing functionality and maturity is necessary. According to this research result, distribution characteristic of marine algae in northern and central waters of Korea's east coast appeared to be hybrid. Therefore, marine algae appropriate for hybrid zone should be transplanted for marine afforestation.

      • 언어 인지 프로그램이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의 언어 이해 및 표현에 미치는 효과

        김현겸 가천대학교 ← 경원대학교 (X)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language-cognition program on language comprehension and expression with Alzheimer’s dementia.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a language-cognition program for 15 Alzheimer’s dementia patients of a weekly center in Seoul. In order to measure the effects, a data of language comprehension test and language expression test for before-and-after were collected and paired sample t-test was performed using SPSS 22.0.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the score of the language comprehension test through the sentence-picture matching tes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ean before-and-after program. Secondly, as the score of the language expression test through the single picture tes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otal number of CIUs and the mean of CIU ratio. The study shows that language-cognition programs are useful as a language therapy strategy for dementia patients. And the study also suggests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the intervention program for a symptom relief of dementia and delays in severe dementia by applying empirically the effect of language-cognition program for improving language and cognitive function of Alzheimer’s dementia patients and the method to utilize the program effectively.

      • 조리전공 대학생의 전공 선택 동기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 전문대학생을 중심으로

        김현겸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현재 우리나라 대학진학률은 2000년 후반 80%로, 과거 소수 부유층의 전유물처럼 여겨져 왔던 대학의 위상은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처럼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바뀌고 있다. 대학은 자아실현 뿐 만 아니라 한 분야에 전문 인력을 양성하여 인력을 사회에 배출하고, 학생들은 자기 자신의 자질을 충분히 발휘하여 유능한 인력으로 성장하기 위한 전문적인 지식을 습득할 기회를 얻는 곳으로 직업인, 전문인을 양성하는 직업대학으로서의 기능을 충실하게 실천하는 교육기관의 역할을 담당해야한다. 학생들은 대학을 통해서 자신이 중요시 하는 직업선택요인에 기초하여 여러 직업대안 중 가장 적합한 직업을 찾으려 노력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 인식에 따라 학생들의 개인적 요인, 환경적 요인 등을 분석․파악함으로써 조리전공 선택 학생들의 효과적인 직업선택에 도움을 주는 교육적인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서울 지역의 소재한 전문대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처리는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의 목적을 달성 하고자 한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직업선택 시 중요도에 대한 질문에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흥미와 적성이 가장 중요한 조건으로 대답하였다. 희망직종에 대한 질문은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제과제빵사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가 나온 것은 응답자의 전공유형이 제과제빵과가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난 것이 원인으로 사료된다. 희망 근무지에 대한 질문은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 호텔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개인 사업장, 프렌차이즈의 순으로 나타났다. 만족도에 대한 사항을 묻는 질문에 남학생과 여학생모두 실습수업에 가장 높은 평균값을 보였다. 남학생과 여학생모두 취업지도는 다른 만족도에 비해 낮은 비율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학생들의 설문을 통하여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취업지도의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학생들의 취업에 대한 정보전달과 지도가 필요할 것이며 취업지도에 대한 학교들의 꾸준한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1859년 쉴러 축제와 독일 시민계급의 문화민족주의

        김현겸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thesis examines the Schiller Festival of 1859 to analyze cultural nationalism in Germany before the establishment of the German Empire. In November 1859, festivals commemorating the 100th anniversary of Friedrich Schiller’s birth were held simultaneously in over 500 cities, mainly German-speaking areas in central Europe. The Schiller Festival of 1859 was organized voluntarily in each city by the German bourgeoisie, rising personages of the region. Having undergone the radicalization of the German Revolution of 1848~1849, they planned a decent and orderly festival. The festival basically made it possible to imagine the nation as an ethnic community that shared the cultural memory of Schiller. At the same time, the German bourgeoisie showed off their power and values they pursued in diverse programs within the festival. Cultural nationalism of the German bourgeoisie had complex goals of forming not only an ethnic community but also a civil society. Moreover, symbolic struggles over a common cultural capital, Schiller, took place in the festival. German bourgeoisie brought Schiller to the fore as a symbol of freedom, unification, and bourgeois values. The festival succeeded in eliciting a wide resonance in the German-speaking areas. However, various political and social forces representing regions, classes, religions, and political complexions attempted to weaken the symbolic power, which often resulted in overt conflicts. There were multi-layered competitions to take the initiative in Germany at the period when forming a nation-state was a significant goal. 19세기를 나폴레옹 전쟁으로 시작한 독일에서는, 영방국가(Territorialstaat)가 여전히 난립하던 현실 속에서 언어・역사・예술 등 문화적 기반을 바탕으로 민족과 민족국가를 형성하고자 하는 문화민족주의가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본 연구는 1871년 독일제국 수립 이전 독일 역내 문화민족주의를 분석하기 위해 1859년 쉴러 축제를 살핀다. 1859년 11월, 프리드리히 쉴러 탄생 100주년을 기념하는 축제가 중부 유럽의 독일어권을 중심으로 500여 개 도시에서 동시에 개최되었다. 축제는 지역 단위로 분산적・자발적인 기획으로부터 시작되었으며, 이를 주도했던 것은 당대 지역사회의 명사로 새롭게 거듭나고 있던 독일 시민계급(Bürgertum)이었다. 불과 10년 전인 1848년 혁명 당시 상층의 반(反)혁명과 하층의 과격화를 목도했던 시민계급은, 고하로부터의 압력을 적절히 이용하며 온건하고 질서정연한 축제를 기획했다. 1859년 쉴러 축제를 통해 지역민들은 쉴러라는 문화적 기억을 공유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인근 지역은 물론 독일어권 전역이 함께 축제를 벌이고 있다는 사실은, ‘쉴러를 기념하는 독일 민족’을 상상할 수 있도록 했다. 동시에 시민계급은 축제 속 다양한 행사들에서 자신들의 힘과 성취를 과시함으로써, ‘사회의 부르주아화’를 도모했다. 축제에는 족류적(ethnic) 통합과 시민사회의 창출이라는 시민계급의 복합적인 목표가 공존했다. 또한, 1859년 쉴러 축제는 시민계급이 쉴러라는 상징을 내세워 마련한 문화적 상징투쟁의 장이었다. 그들은 소위 ‘민족국가 형성기’를 주도하고자 하는 의지와 그들이 지향하는 부르주아적 가치를 쉴러라는 상징 속에 담았다. 축제가 독일어권을 중심으로 광범위한 공명을 이끌어내면서 상징투쟁의 장이 성공적으로 형성되었다. 시민계급을 경계하던 각계각층의 세력들은 이를 견제하며 그 효과를 약화시키고자 했다. 따라서 축제에는 미묘한 충돌상이 언제나 존재했고, 때로는 그 갈등이 심화되어 공공연하게 표출되기도 했다. 축제 속에서 전개된 치열한 상징투쟁에서 드러나듯이, 당시 독일 역내 지역・계층・종교・정치적 지향을 망라하는 다양한 정치・사회 세력들은 민족국가 형성기의 주도권을 둘러싸고 중층적 경쟁을 벌였다.

      • 온열요법이 신세포암세포주의 paclitaxel 감수성과 미세구조에 미치는 영향

        김현겸 인하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8639

        서론 : 항암계가 비록 맡은 종양의 치료에 주류를 이루고 있으나, 전이성 신세포암에는 아직까지 그 효과가 입증되지 못하여 임상 연구가 진행중이다. 최근에 많은 연구가들에 의하여 온열요법에 대한 암세포간의 미세구조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고 온열요법이 신세포암 세포주의 성장억제와 항암제 감수성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신세포암 세포주어 대한 화학요법제의 하나인 paclitaxel의 감수성과 온열요법이 이어 미치는 영향 및 신세포암 세포주의 미세구조의 변화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재료 및 방법 : 인체 신세포암 세포주어서 Caki-1 세포주와 A498 세포주를 배양하여 적정세포 농도를 결정한 후 각 세포주어 paclitaxel을 첨가한 후 37℃ 비가열 군과 43℃ 4시간 가열 군으로 나누어 생존분획을 산출하였다. 세포 성장은 MTT 비색분석법(colorimetric assay)으로 측정하였고 각 실험은 3회 반복 시행하여 그 평균치를 계산하였다. paclitaxel의 감수성은 각 세포주의 생존분획을 산출하여 알아내었고, 온열요법의 상승효과는 각 세포주의 가열 및 비가열 군에서 IC_(50)에 대한 DMF를 구하여 비교하였다. 배양 중인 A498세포주를 43℃로 1, 4, 8 시간동안 가열후 나타나는 미세구조의 변화에 대해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결과 : Caki-1 세포주와 A498 세포주의 37℃ 비가열군에서 paclitaxel에 대한 생존분획은 paclitaxel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감소되어 두 세포주 모두에서 paclitaxel에 대한 감수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Caki-1 새포주와 A498 세포주에서 온열요법과 병용하였을 매 생존분획은 37℃ 비가열군 보다 좌측변위를 보이며, DMP는 Caki-1 세포주에서 0.36, A498 세포주에서는 0.25로 각각 나타나 Caki-1 세포주 및 A498 세포주에 대하여 paclitaxel과 온열요법간에 상승효과(synergistic effect)가 있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A498 세포주를 43℃로 1시간 동안 온열요법을 가한 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했을 매, 세포막에 미소응모(microvilli)의 현저한 감소, 사립체(mitochondria)는 능선(crise)의 소실과 중심부 농도의 감소 및 과열이 관찰되었고, 조면형질내세망(rough endoplasmic reticulum)은 평면 형태어서 구형으로 변하였다. 또한 용해소체(lysosome)는 크기 및 수의 증가와 골지체(Golgi's apparatus)의 비대 및 지방과립체(lipid droplet) 수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이후 4시간동안 핵내부의 이질염색질(heterochromatin)의 농축이 현저히 관찰되었고 8시간까지는 세포질 파괴로 인한 공포(vacuole)가 현저히 증가하였고 헥막의 이중구조가 분리되어 일부에서는 소기포(blob)를 형성하였다. 결론 : 신세포암 세포주는 paclitaxel에 대하여 감수성이 있었고 온열요법은 미세구조의 변화를 초래하여 paclitaxel의 감수성에 상승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추측된다. Introduction : Although cytotoxic chemotherapy is regarded to be the mainstay of treatment for many solid tumors, its efficacy in renal cell carcinoma has yet to be demonstrated in prospective randomized clinical trials. Recently various studies have been performed for the effect of hyperthermia on ultrastructural change of malignant cell lines in vitro, and have shown that hyperthermia suppresses renal cell carcinoma cell growth in vitro and increases the sensitivity of chemotherapeutic agents in renal cell carcinoma. objectives :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hyperthermia on paclitaxel sensitivity and ultrastructural change of renal cell carcinoma cell lines. Materials and methods : Human renal cell carcinoma cell lines, Caki-1 and A498 were used. Various concentration of chemotherapeutic agent, paclitaxel was added to media with appropriate cell concentration. Each cell line was grouped into non-hyperthermia treated(37℃) and hyperthermia treated(43℃, 4hrs duration). And survival fraction of non-hyperthermia treated and hyperthermia treated group were calculated in each cell lines, The cell growth was measured by MTT colorimetric assay and each experiment was repeated three times. Paclitaxel sensitivity of each cell lines was determined from survival fraction. Synergistic effect of hyperthermia on paclitaxel sensitivity of the renal cell carcinoma cell lines was compared using DMD(dose modification factor) of IC_(50) of paclitaxel in each non-hyperthermia treated and hyperthermia treated group. A498 cell line, incubated in vitro were treated with a therapeutic dose of hyperthermia(43℃ for 1hr, 4hrs, 8hrs). Then all specimen at each times after treatment were examined in a Hitachi H-7100 electron microscope. Result : In non-hyperthermia treated group(37℃), The survival fraction of Caki-1 and A498 cell lines was decreased as paclitaxel concentration was increasing, respectively. It was suggested that both cell lines were sensitive to paclitaxel. In hyperthermia treated group(43℃), the survival fraction of Caki-1 and A498 cell lines was decreased as paclitaxel concentration was increasing, but showed left shift compared with non-hyperthermia treated group respectively, and DMF of paclitaxel in Caki-1 cell line was 0.36 and in A498 cell line was 0.25. These results suggest that hyperthermia have synergistic effect with paclitaxel on both Caki-1 and A498 cell lines. After treatment with local hyperthermia at 43℃ for 1hr, ultrastructure of the A498 cell line was examined on electron microscope. By 1hr, large numbers of microvilli on the plasma membrane were lost. Mitochondrial center appeared more lucent with loss of the cristae. These mitochondrial changes eventually progressed to rupture. Rough endoplasmic reticulum became progressively dilated, and had a spherical rather than flat shape. Lysosomes became progressively enlarged and increased in number. Golgi's apparatus became hypertrophied and lipid droplet became more numerous. By 4hrs, extreme condensation of heterochromatin was observed. By 8hrs, marked cytoplasmic vacuoles were developed from cytoplasmic distruction. and separation of two layers of the nuclear envelope formed nuclear blebs.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human renal cell carcinoma cell lines, Caki-1 and A498 are sensitive to paclitaxel, and hyperthermia have a synergistic effect with paclitaxel on these cell lines by changing ultrastructure of the t;umor cells.

      • hMAGEA2 promotes prostate cancer progression by regulating EFNA3 signaling pathway : 전립선암에서의 hMAGEA2의 작용 매커니즘에 대한 규명

        김현겸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human melanoma-associated antigen A2 (hMAGEA2) is a subfamily of cancer/testis antigens (CTAs). hMAGEA family are considered to affect many types of cancers and are researched as prognostic markers in cancer patients. We investigated how hMAGEA2 works in prostate cancer. First of all, we checked the hMAGEA2 expression level in human prostate tumor tissues compared to the normal prostate tissues. hMAGEA2 was significantly overexpressed in human prostate tumor tissues. To elucidate the function between hMAGEA2 expression and prostate cancer, we established the hMAGEA2 stably knockdown prostate cancer cell lines (PC3M, 22Rv1). We found that hMAEGA2 knockdown cell lines showed significantly decreased the cell proliferation, colony formation, migration and invasion abilities. Since hMAGEA2 knockdown decreased prostate cancer cell growth, we performed the apoptosis analysis. hMAGEA2 knockdown cell lin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apoptotic cells. In our microarray analysis, EphrinA3 (EFNA3) was downregulated in the hMAGEA2 knockdown cell lines. We confirmed that hMAGEA2 regulates EFNA3 by luciferase assay. We also confirmed these results by an in vivo xenograft prostate tumor model and human prostate cancer tissues. In conclusion, hMAGEA2 promotes prostate cancer progression by regulating EFNA3 signaling pathway and could be a potential therapeutic marker in prostate cancer. 전립선암은 전 세계적으로 남성에게서 자주 진단되는 암이고, 암환자에게서 높은 사망률을 보이는 암이다. 전립선암 환자는 주로 안드로겐 박탈요법 (Androgen-deprivation therapy, ADT)으로 치료를 받지만 내성, 재발 등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남아있기 때문에 효과적인 새로운 치료 마커가 필요한 실정이다. hMAGEA 유전자는 많은 유형의 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암 환자에서 예후 인자로 연구되어왔다. 그 중, hMAGEA2 유전자는 여러 종류의 암에서 과발현되어 온 유전자이며 종양유전자의 역할을 한다고 연구된 유전자이다. 하지만 hMAGEA2 유전자와 전립선암과의 상관관계와 매커니즘에 대해 자세한 연구가 부족했기에 본 연구에서 hMAGEA2 유전자가 전립선암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 연구를 수행했다. 우선, 정상적인 전립선 조직과 비교하였을 때, 인간 전립선 종양 조직에서 hMAGEA2 발현 수준을 확인했다. hMAGEA2는 인간 전립선 종양 조직에서 유의하게 과발현되었다. hMAGEA2의 과발현과 전립선암의 상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hMAGEA2 발현억제 된 전립선암 세포주 (PC3M, 22Rv1)를 확립하였다. hMAEGA2 유전자가 발현억제된 세포주에서 hMAGEA2 유전자의 발현이 정상적인 세포주에 비해 세포 증식, 콜로니 형성, 세포 이동 및 침투 능력이 현저히 감소된 것을 실험을 통해 보여주었다. hMAGEA2 유전자의 발현억제가 전립선암 세포주의 성장을 감소시켰기 때문에, 세포사멸 실험을 수행하였다. hMAGEA2 유전자의 발현억제는 세포주의 세포사멸 정도를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또한, hMAGEA2 유전자의 매커니즘을 연구하기 위한 microarray 분석에서, EphrinA3 (EFNA3)는 hMAGEA2 유전자가 발현억제된 세포주에서 발현이 억제되었다. hMAGEA2 유전자가 EFNA3 EFNA3의 프로모터 부위에 작용을 통해 EFNA3의 발현을 조절함을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전립선암 세포주의 이종 이식 종양 생쥐 모델 및 인간 전립선암 조직에 의해 이러한 결과를 확인했다. 결론적으로, hMAGEA2는 EFNA3 신호전달경로를 조절함으로써 전립선암 진행을 촉진하고 전립선암에서 잠재적인 치료 마커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 충적하천의 취수부에서 수중 수제 설치에 따른 수리학적 특성 연구

        김현겸 수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runoff discharge of rivers in Korea is unevenly distributed in the Summer, amounting 60% of total annual volume, and seasonal fluctuation makes flow conditions unstable. These rainfall and river characteristics have imposed significant obstructions against the water resource securement and use. While numer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to secure water resources, this study focused on the most basic method, direct intake from river. Intake facilities constructed on rivers for water intake have caused extensive changes on river channel's characteristics, especially around the intake points located at flow diversion. For stable control the flow around the intake points showing complicated flow characteristics, this study suggests the installation of Submerged vane, and the optimal conditions to installation were investigated. Installation of a series of Submerged vanes in groups can reduce the flow rate around the intake facility and at the flow diversion point, resulting prevention of structural damages and bed scour. Turbulent flow can also be controlled into a smooth pattern through vanes so to promote the flow stability. More, these vanes can be utilized to secure appropriate water volume. This study is purposed to define the optimal conditions of Submerged vane installation through hydrological analysis of impacts on river channel caused by the installation. The shape, interval, and size of Submerged cane were selected as objects of hydrological scale model studies, and the results were verified through RMA2, a 2-dimensional flow analysis program. Optimal dimensions and sizes of the Submerged vane are expected to be determined in this study in order to handle numerous potential problems that may occur around the intake points having very complicated flow characteristics. Further securement of original stability of the river channel as well as the maintenance of facilities are also anticip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