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국 농산물 물류현황 및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김해연 배재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중국의 “삼농”문제가 사람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농산물의 생산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지만 유통경로가 제대로 확보되지 않아 농산물 판매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냉동 및 신선도 또한 제대로 유지되지 않아 농산물 배송 과정 중의 감소를 초래하였고 크게는 농산물 물류의 효율성을 떨어뜨렸다. 미국과 같은 기타 선진국들과 비교해 봤을 때 중국의 농산물 물류는 아직 초보 단계에 머물러 있고 발전시켜야 될 부분이 많이 있다. 효율성이 높은 농산물 물류를 발전시키는 것은 농민들의 수입 증가를 촉진하고 농업의 산업화경영과 농업경제의 현대화를 추진하는 데 아주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본 논문은 농산품 물류의 특징과 현황에 대한 분석을 통해 현재 농산품 물류의 발전을 저해하는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관리수준이 낮고 중복된 건설 프로젝트 현상이 심각하며 전문기술 지식인재가 부족하고 농산품물류 정보시스템의 보편화 수준이 낮은 등의 문제가 현저하였다. 선진국가의 농산품 물류의 정책들을 분석하여 중국 농산품 물류 발전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하였다. 본 논문의 결과는 농산물 물류 발전을 위해 물류 자원의 통합을 통한 최적화하고 농산물 전문 물류 조직을 육성하기 위해 인력양성을 위한 정부 주도의 정책적 지원에 대한 당위성을 뒷받침 하는 근거가 될 것이다. In recent years, China's "three rural issues" have attracted much attention. Although the output of agricultural products continues to grow, the sales of agricultural products are facing difficulties due to the imperfect circulation channels. Frozen and fresh-keeping can not be well maintained, leading to the reduction in the distribution process of agricultural products, greatly reducing the logistics efficiency of agricultural products. Compared with the United States and other developed countries, China's agricultural products logistics is still in the primary stage, and there are many places to develop. The development of efficient logistics of agricultural products plays an important role in increasing farmers' income, promoting agricultural industrialization and agricultural economic modernization.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and current situation of agricultural product logistics, this paper analyzes the problems that impede the development of agricultural products logistics. The management level is low, the phenomenon of repeated construction projects is serious, the lack of professional technical knowledge and materials, and the general level of agricultural products logistics information system is low. This paper analyzes the policies of agricultural products logistics in developed countries, and puts forward policy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agricultural products logistics in China. The results of this paper will optimize the logistics of agricultural products through the integration of logistics resources, and provide the basis for government support in order to cultivate professional logistics organizations and cultivate talents for agricultural products.

      • 신세대 항생제의 개발동향

        김해연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많은 질병은 박테리아나 바이러스가 원인이 되고 있다. 박테리아에 기인되는 질병의 퇴치는 페니실린의 발견 후 급속한 발전을 이루어 수많은 의약품들이 합성되어졌다. 그러나 바이러스에 의한 질병은 치료제가 없거나 극히 일부만 알려져 있을 뿐이다. 또한 현재 가장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항생제의 내성에 대해서 무분별한 항생제 사용을 규제하는 한편, 내성균에 대한 지속적인 감시체제를 확립하는 일이 시급하다. 본 연구에서는 항생제의 최근 개발동향(Quinolone와 항바이러스제 등)을 살필 뿐 아니라 항균제 치료의 가장 큰 장애인 내성균을 퇴치할 차세대 항균제등을 살펴보았다. 이들 중 FACTIVE는 국내 최초로 FDA의 승인을 받은 유망한 차세대 항균제이다. Generally the reason of many diseases has come from bacteria or virus. Since the discovery of penicillin, the diseases caused by bacteria have accomplished rapid development and lots of agents have been synthesized. But the medicine of diseases caused by virus is still under the development. Still some diseases by virus have no remedies. Even if there are, they have been known to just few people. Also it is very urgent to control antibiotics abuses which cause the biggest problem today and to establish continuous monitoring systems about resistant bacteria. In this research we observe not only the latest development tendency of antibiotics (Quinolone and antiviral agents etc.) but also wish to recognize continuous soft palate motion direction about resistant bacteria. Among these antibiotics FACTIVE is promising the FDA approval at the domestic beginning and it should be a next generation antibiotics.

      • 공감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공감능력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김해연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공감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공감능력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공감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공감능력을 향상시키는가?', '공감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정서지능을 향상시키는가?'라는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C초등학교 3학년 7개 반을 대상으로 공감능력과 정서지능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2개 학급을 선정하여 한 학급은 실험집단으로, 다른 한 학급은 통제집단으로 배치하였으며 구성 인원은 각각 30명으로 하였다. 실험집단에는 7주 동안 총 13회기의 공감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를 가하지 않았으며, 실험이 끝난 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은 i-STATistics 프로그램(Kim & Baker, 2009)을 이용한 검사지 반응 분석과 각 회기별 소감문, 프로그램에 대한 설문지, 연구자의 관찰에 의한 내용 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검사지 반응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감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공감능력과 공감능력 하위변인 중 인지적 공감과 의사소통적 공감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공감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정서지능과 정서지능 하위변인 중 정서 인식 및 표현, 정서의 사고촉진, 정서지식의 활용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검사지 반응 분석 결과의 보완을 위한 내용 분석 결과, 공감교육 프로그램은 공감에 대한 아동들의 인식을 긍정적으로 변화시켰으며 공감 반응 기술을 습득하는 데에도 도움을 주었다. 또한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고 느끼며 공감적으로 반응하도록 하여 긍정적인 대인관계를 맺는데 영향을 주었으며 대인관계에서 겪게 되는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도 도움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공감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공감능력과 공감능력 하위변인 중 인지적 공감과 의사소통적 공감능력의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정서적 공감에서는 효과가 없었는데 그 이유는 2가지로 생각해볼 수 있다. 먼저 본 연구의 대상인 3학년 아동들은 자기중심적인 사고에서 탈중심적인 사고로 전환되어 가는 초기단계이므로 정서적 공감을 향상시키는데 필요한 타인의 상황에 대한 인식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정서적 공감은 의식적이기보다 무의식적인 감정의 일치 현상이므로 2회기의 짧은 처치로 향상되기 어려웠던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정서적 공감에서 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것이 연구 대상의 발달 한계 때문인지, 더 많은 개입과 지도를 필요로 하는 정서적 공감의 특성에 의한 것인지에 대해서는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다음으로 공감교육 프로그램은 초등학생의 정서지능과 정서지능 하위변인 중 정서 인식 및 표현, 정서의 사고촉진, 정서지식의 활용능력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감정이입과 정서조절 능력의 향상에는 효과가 없었다. 그 이유는 먼저 감정이입은 공감의 과정에서 정서적 공감이 더 깊이 일어난 것이라 할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정서적 공감과 관련된 활동이 2회기에 그침으로 인해 감정이입에서 향상을 나타내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다음으로 정서조절 능력이 향상되지 않은 이유는 정서조절 능력 발달에 선행하는 다른 하위 능력의 발달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활동 과정에서 겪은 부정적인 감정에 대한 수용과 반성적 평가가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추후 연구에서는 자신의 부정적인 감정을 수용하고 평가해보는 기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는 공감교육 프로그램이 대인관계에서 중요한 요소인 공감과 정서지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입증하였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특히 정서지능과 그 하위변인의 향상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으나 일부 하위변인에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것은 정서지능이 공감교육만으로 향상되기에는 너무 광범위한 능력이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공감의 어떤 요소가 정서지능의 어떤 하위변인에 영향을 주었는지에 대한 추후연구도 필요하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공감의 각 요소가 정서지능의 하위변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며, 본 연구에서 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정서적 공감에 대한 다양한 접근이 필요하다. 또한 본 프로그램을 통해 향상된 공감과 정서지능의 하위변인들을 유지하기 위한 추후지도와 연령에 따른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제안하는 바이다. 본 연구는 가정이라는 울타리를 벗어나 사회적인 관계를 맺어가는 초등학생들에게 타인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혀주고, 원만한 대인관계를 형성하는 데 필요한 의사소통 기술을 익히는데 도움을 주었다. 또한 순환적 공감 모형(Barrett-Lennard, 1981)에서 핵심 요소를 추출하여 프로그램의 단계를 체계화하였으며,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에서 다루어지지 않았던 의사소통적 공감을 측정하고 그 효과를 입증하였다. 무엇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how the empathy education program effects the empathic abil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To achieve this purpose, two research questions 'Does the Empathy Education program improve the empathic ability of children?'and 'Does the Empathy Education program improve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ren?' were established. To verify this questions, 7 classes of third grade in C elementary school in Seoul were pre-tested to gauge their empathic abil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Two classes were selected, one of which was designated as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the other class was designated as the control group, wi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each being composed of 30 students. 13 sessions of the empathy education program was conducted over 7 weeks with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no interventions were made in the control group. After the end of the experiment, a post-tested was conducted to assess the effect of the program. In verifying the effects of the program, quantitative analysis using the i-STATistics program, opinion documents for each term, opinion documents of children after the program, and qualitative study by teachers through observation were used. The results of quantitative analysis verifying the effects of the program were as follows; First, compared to control group,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empathy education program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empathic ability and its some sub-factors(cognitional empathy, communicative empathy). Second, compared to control group,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empathy education program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emotional intelligence and its some sub-factors(emotional perception and expression, emotional facilitation of thought, and understanding and analyzing emotion). To supplement the results of quantitative analysis, results from qualitative analysis indicated that children have a correct understanding of empathy and increased communication skills. Besides, they have an understanding of his or her own emotions as a foundation for recognizing the emotions of others and to employ language and behavior as means of expression. Cognitive, affective and communicative empathy education activities not only enhance comprehension of others, but also boost the ability to understand of one's own emotions and to utilize those emotions. The above results of this research informs us that the empathy education program has effects in improving the empathic ability and sub-factors of empathic ability(cognitive empathy and communicative empathy). Next, it was noted that the empathy education program has effects on improving the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me sub-factors of emotional intelligence(emotional perception and expression, emotional facilitation of thought, and understanding and analyzing emotion). As stated above, this research has the meanings that children gain a better understanding of others and get communication skills, which it is necessary in interpersonal relations. And this research is particularly meaningful in that it measured and verified the effect of the communicative empathy, which had been neglected in previous studies wher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e the subjec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s also significant in regards to emotional intelligence, because it brought about an improvement in emotional perception and expression, which undergo a critical, determining stage of development during the elementary school period and serves as the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other higher-level skills.

      • 중등부 펜싱선수와 일반학생의 골반 변위 비교 분석

        김해연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부 남자펜싱선수 및 동일 연령대의 일반학생을 대상으로 골반 변위 발생률과 변위 정도를 비교하고, 골반 변위 치료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펜싱선수들의 상해 예방은 물론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트레이닝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경기력 향상에 도움을 주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중학교 남자펜싱선수군 9명과 동일연령대의 일반중학생 10명 등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총 19명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펜싱선수들의 반복적인 편측 운동수행이 골반 변위를 유발하고 요통의 원인을 가져올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고 연구대상자의 신체적 특성, 하지길이, 대퇴위·하퇴위, 눈감고 외발서기를 측정하고 X-ray 촬영을 통해 장골길이, 장골너비, 천골너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는 SPSS 13.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평균 및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그룹간 및 그룹내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t-test를 실시하였다. 모든 분석의 통계적 유의수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그룹내 비교에서 장골너비의 좌·우 비교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그룹간 비교에서는 눈감고 외발서기와 장골길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펜싱선수군의 경력이 짧음에도 불구하고 반복적인 편측운동으로 장골길이에서 차이가 난 것으로 사료되며 향후 장기간의 훈련과정 속에 펜싱선수들의 과도한 훈련 및 부상 중의 과사용은 골반 변위는 물론 요골반부의 이상을 초래할 수 있을 것으로 추론된다. 결론적으로 요부의 변형은 펜싱선수들의 요통 및 기능 저하에 따른 경기력의 저하 및 운동 중 상해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이를 예방하는 프로그램과 골반의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보다 많은 분석이 요망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vent fencers from getting exercise injury, to recognize the necessity of systematic and scientific training and to help the improvement of the ability in one's game. The total number of subjects are 19, 9 of whom are middle school male fencers and 10 of whom same-aged normal students respectively. In this study, body composition, leg length, thigh circumference, calf circumference and standing on one leg with eyes closed are measured and ilium length, ilium width, sacral width are analysed with X-ray under the hyphothesis that repetitive one-sided exercise would induce hip displacement and back pain. SPSS 13.0 statistics program is used to calculate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of data and T-test is carried out to compare the intragroup and intergroup difference. Lastly, the statistic p-value(the level of significance) is set as p < .05. The study shows outstanding difference in intragroup comparision of left and right ilium width and intergroup comparision of standing on one leg with eyes closed. It can be inferred that ilium length difference is due to the repetitive one-sided exercise in spite of short career. thus fencers' over exercise and wounded fevcers' overuse under long training can cause not only hip displacement but also disorder of radial area. In conclusion, radial deformation could lead to the decrease of game improvement and injury during training in following of back pain and sthes decrease of ability, therefore the program preventing these and more analyses improving the ability of hip are reqired.

      • 플립칩 패키지 및 차체구조 접합을 위한 에폭시 접착소재 포뮬레이션 연구

        김해연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고유가 및 환경규제로 인한 에너지 소비 및 탄소 배출량 절감에 대한 요구가 급격히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자동차 산업에서 연비향상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연비향상을 위한 차체 경량화와 함께 강성 및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해 고장력강, 알루미늄, 마그네슘, 섬유강화 복합재료 등의 다양한 재료를 적용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재료의 사용에 따라 기존 용접방법으로 접합이 곤란해짐에 따라 이종재료 간 접합이 용이한 접착제의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접착제를 사용한 접합은 용접, 브레이징 및 납땜과 같은 기존의 접합을 대체할 수 있는 가장 유망한 방법 중 하나이다. 경화제의 경화거동 및 기계적 물성은 경화제와 촉매제, 커플링제를 포함한 경화시스템에 크게 의존한다. 전자패키징은 저가격화 및 접속피치 미세화와 전기적 성능 및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발전해 왔다. 플립칩 패키징 기술은 와이어 본딩기술에 비해 전기적 특성 및 방열성이 우수하고, 실장밀도 및 I/O 개수의 증가 등과 같은 장점으로 인해 모바일 전자기기 등에 적용이 증가하고 있다. 접속피치의 미세화에 따라 솔더 및 언더필을 사용하는 C4공법보다 ACP 및 NCP 등의 접착제를 이용한 플립칩 공법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플립칩 공정에 사용되는 접착제는 전도성 필러 첨가여부와 그 양에 따라 ICA(Isotropic Conductive Adhesives), ACA(Anisotropic Conductive Adhesives), NCA(Non Conductive Adhesives)로 분류할 수 있다. 이들은 그러한 전도성 입자량의 차이에 의해 각각의 공정과 특성에 차이가 있다. 주로 페이스트 형태로 사용되는 NCA는 전도성 입자를 함유하지 않아 ACA에 비해 저렴하고 경화속도가 빠르며 극미세 접속피치에 대응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어 현재 플립칩 공정에 적용이 시도되는 단계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구조용 피착재와 접착제간의 접착력 향상을 목적으로 포뮬레이션 에 첨가되는 커플링제의 종류와 함량 변화에 따른 강도를 평가하여 포뮬레이션을 최적화 시켰다. 또한 피착재 표면처리 효과에 따른 강도를 평가하였다. 또한, 전자용 접착제의 다양한 성분 중 고온 후경화형 NCP의 공정에 맞는 포뮬레이션을 하기 위해, 촉매제의 함량을 변화시킨 후 경화 기구를 분석하기 위해서 DSC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를 사용하였다. Dynamic DSC 측정을 이용하여 경화 시작온도와 경화 피크온도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NCP의 상용화에 있어서 중요한 보이드를 제거하기 위해서 다양한 공정에 따른 평가와 첨가제를 넣음으로서의 효과를 보이드 수와 전단강도로 평가하였다.

      •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죽음불안, 삶의 의미가 신체화 증상에 미치는 영향 : 지역사회 중심으로

        김해연 가야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지역사회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 죽음불안, 삶의 의미가 신체화 증상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K도와 B시에 있는 65세 이상 노인 241명을 임의 표출하였으며, 자료 수집기간은 2018년 2월 1일부터 3월 25일까지였다. 연구도구는 주관적 건강상태, 죽음불안, 삶의 의미, 신체화 증상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1.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t-test와 ANOVA로 분석 후 Scheffé 사후검정, 피어슨의 상관관계분석(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단계적 다중 회귀분석(Multiple Stepwis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본 연구의 대상자는 평균 연령이 73.83±7.29세이며 여자가 63.1%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교육정도에서는 무학이 가장 많았고 종교는 불교가 높았다. 동거형태에서는 배우자와 함께가 가장 높았고 소득에서는 50만원 미만이 높았으며 생활 만족은 보통이다가 높았다. 대화상대에서는 있는 노인이 가장 많았으며 죽음에 대한 교육 경험이 없는 노인이 높게 나타났고 현재 신체질환 수에서는 1-2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대상자의 신체화 증상은 총점 26점 만점에 평균 7.20±4.47점, 주관적 건강상태는 5점 만점에 평균 3.15±.82점, 죽음불안은 4점 만점에 평균 2.42±.53점, 삶의 의미는 총점 140점 만점에 평균 94.12±17.14점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신체화 증상의 정도는 성별(t=-2.65, p=.008), 연령(F=15.34, p<.001), 최종학력(F=12.51, p<.001), 동거가족(F=10.88, p<.001), 소득(F=15.79, p<.001), 생활만족(F=9.52, p<.001), 대화상대(t=-2.06, p=.041), 현재 신체질환 수(F=13.15, 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주관적 건강상태는 죽음불안(r=-.16, p=.011), 신체화 증상(r=-.46,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의 상관관계, 삶의 의미(r=.40, p<.001)와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 죽음불안은 삶의 의미(r=-.25, p<.001)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의 상관관계, 신체화 증상(r=.32, p<.001)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상관관계, 삶의 의미는 신체화 증상(r=-.47,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지역사회 노인의 신체화 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주관적 건강상태(β=-.28, p<.001), 삶의 의미(β=-.25, p<.001), 학력(β=-.18, p=.002), 죽음불안(β=.18, p=.001), 순으로 신체화 증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변인은 36.5%의 설명력을 보였다(F=35.45, p<.001). 따라서 지역사회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지 않을수록, 삶의 의미가 낮을수록, 학력이 낮을수록, 죽음불안이 높을수록, 신체화 증상이 높아짐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신체화 증상을 감소시키는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다 생각된다. This descriptive study was undertaken in order to investigate how subjective health status, death anxiety and life meaning of the elderly living in local commnity might influence somatization. 241 participants who were 65 years of age or older and living in K city and B city were sampled at random. The study data have been collected from February 1 to March 25, 2018. The used study methods were subjective health status, death anxiety, life meaning and somatization. Using SPSS WIN 21.0 program,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age of the elderly was 73.83±7.29 and 63.1% of them were women. In educational background, uneducated participants were most common. In religion, Buddhism was most common. Participants who were living with their spouse had large proportion statistically and monthly income below 500,000 wons were answered most and in living satisfaction, most common participants answered common. Most common participants had the parties to talk with. Most common participants had no experience of death education and had one or two physical diseases. Second, the average point from a 26-point-scale for somatization was 7.20±4.47. The average point from a 5-point-scale for subjective health status was 3.15±.82.. The average point from a 4-point-scale for death anxiety was 2.42±.53 and the average point from a 140-point-scale for life meaning was 94.12±17.14. Third, examining somatization in accordance with general characteristics, it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x (t=-2.65, p=.008), age(F=15.34, p<.001), educational background(F=12.51, p<.001), family living together(F=10.88, p<.001), income(F=15.79, p<.001), living satisfaction(F=9.52, p<.001), parties to talk with(t2.059, p=.041) and present physical disease(F=13.145, p<.001). Fourth,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subjective health status had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death anxiety(r=-.16, p=.011) and somatization(r=-.46, p<.001)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life meaning(r=.40, p<.001). Death anxiety had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life meaning(r=-.25, p<.001)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somatization(r=.32, p<.001). Life meaning had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somatization(r=-.47, p<.001). Fifth, it showed that the factors which influence somatization of the elderly in local community were subjective health status(β=-.28, p<.001), life meaning(β=-.25, p<.001), educational background(β=-.18, p=.002) and death anxiety(β=.18, p<.001), which accounted for 36.5%(F=35.45, p<.001). In conclusion, the result was obtained that somatization of the elderly was shown high when subjective health status was not good, meaning of life was thought to be useless, educational level was low and death anxiety was high. Therefore, a program which can reduce somatization should be developed and utilized.

      • 콜라주(Collage) 기법을 이용한 웹디자인 연구 : 웹 사이트 메인화면을 중심으로

        김해연 숭실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웹디자인에 있어서 콜라주 기법의 적용은 시각적 질서와 직관성을 유지시켜 준다. 직관적인 웹디자인은 효율성을 창출하며, 사용자를 배려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실용성과 기능성을 가장 우선해야 하며 심미성이 추가된다면 효과적인 웹디자인이라 할 수 있다. 즉, 기능에 충실하고 목적을 달성시키는데 주효하며 독창적이고 차별적인 요소가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보다 효과적인 웹사이트 디자인을 위한 콜라주 기법의 적용에 관한 연구로 다양한 종류의 웹사이트를 제작하는데 황금비례나 루트비례를 적용하는 콜라주기법을 제안한다. 선택된 웹사이트 분석함에 있어서 사용자 입장에서 시각적 측면의 분석을 위조로 다루었지만 개발자 입장에서 좀 더 심도 있는 연구가 필요하리라 본다. 피상적인 웹사이트를 느끼기보다는 디자인 개념의 충실한 이해를 통하여 접근하면 더 심도 있는 분석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국의 디자인을 따라 하기에 급급한 현실을 극복할 수 있으며, 나아가 트렌드를 제시할 수 있는 안목을 가지게 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콜라주 기법의 방법론을 분석함으로써 웹사이트 디자인을 연구함에 있어서 콜라주기법의 특성과 의미를 파악하고 이러한 특성을 바탕으로 실제사례들을 연구하고자 한다. Collage technique is a system which objectively and scientifically represents subjective and sensuous elements and modulates them. Application of collage techniques in web design maintains visual organization and intuition. Intuitive web design creates efficiency and is seen as considerative for users. Effective web design may have practicality and functionality at the basis with aesthetic aspects added to them. In other word, web design should concentrate on its functions and purposes, but also include the creative and differentiating elements. This study is about the application of collage techniques for more effective web-site design, proposing a collage technique applied with golden ratio and root ratio by formulating various web sites. The analysis of the selected web sites has been done mainly on visual aspects from users' point of view, and analysis from developers' point of view will be needed for a deeper study.

      • 유아교사와 초등교사의 다문화 감수성이 다문화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비교

        김해연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와 초등교사의 다문화감수성과 교수효능감의 차이를 알아보고, 다문화 감수성이 다문화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사와 초등교사의 다문화 감수성과 다문화 교수효능감은 어떠한가? 2. 유아교사와 초등교사의 다문화 감수성과 다문화 교수효능감에 차이가 있는가? 2-1. 유아교사와 초등교사의 다문화 감수성에 차이가 있는가? 2-2. 유아교사와 초등교사의 다문화 교수효능감에 차이가 있는가? 3. 유아교사와 초등교사의 다문화 감수성과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4. 유아교사와 초등교사의 다문화 감수성이 다문화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4-1. 유아교사의 다문화 감수성이 다문화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4-2. 초등교사의 다문화 감수성이 다문화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충남과 경기도에 소재한 유치원에 재직 중인 유아교사 202명과 초등학교에 재직 중인 초등교사 216명으로 총 418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도구는 유아교사와 초등교사의 다문화 감수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Chen과 Starosta(2000)가 개발하고 김옥순(2008)이 번안한 ‘다문화 감수성척도(Intercultural Sensitivity scale)’를 토대로 이철현(2013)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다문화 교수효능감은 Guyton와 Wesche(2005)가 개발한 다문화 교수효능감 척도(Multicultural Efficacy Scale: MES)를 최충옥과 모경환(2007)이 번역, 수정한 것을 김혜자(2009)가 유아교사에 맞게 수정한 것을 사용하였다. 자료 수집은 설문지를 통해 이루어졌고, 본 연구를 위한 자료 분석은 기술 분석,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t검증(t-test), 상관관계 분석(Pearson),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 및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으로 자료 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와 초등교사의 다문화 감수성과 교수효능감은 모두 중간 값 이상으로 나타나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 감수성에 있어서 유아교사와 초등교사 모두 다문화적 지식습득태도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다문화 교수소양, 다문화적 개방과 수용태도, 다문화적 실천의지, 다문화적 기회균등, 다문화 지식 순이었다. 그리고 유아교사의 근무기관 유형에 따라 다문화 감수성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공립 유치원 교사가 사립 유치원 교사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효능감에 있어서는 유아교사와 초등교사 모두 인간관계 측면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일반생활 측면, 수업기능 측면 순이었다. 그리고 유아교사의 다문화 교수효능감은 학력과 경력, 다문화아동 교육경험, 다문화수업 수강경험, 다문화교사 연수경험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학력과 경력이 높을수록 다문화 교수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다문화 교육 및 다문화 수업 수강경험과 연수경험이 있는 교사가 없는 교사보다 다문화 교수효능감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초등교사의 다문화 교수효능감은 다문화아동 교육경험, 다문화교사 연수경험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다문화 아동교육 경험과 다문화 연수경험이 있는 교사가 없는 교사보다 교수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 교사의 학력과 경력이 다문화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보여주는 것이고, 유아교사와 초등교사 모두에게 다문화 교육경험이나 다문화 연수경험이 높은 다문화 교수효능감에 중요한 변인임을 보여준다. 따라서 유아교사의 학력 지양과 경력 유지에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있고, 유아 및 초등교사 모두에게 다문화 관련 교사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둘째, 유아교사와 초등교사의 다문화 감수성과 다문화 교수효능감에서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전체적인 다문화 감수성과 다문화 교수효능감 모두 유아교사보다 초등교사가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다문화 감수성과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모든 하위요인에서도 유아교사보다 초등교사가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다문화 감수성과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일반적 특성에서 살펴보면 기관유형, 학력, 연령, 경력, 다문화 연수경험에서 초등교사가 유아교사보다 차이를 높게 나타냈다. 또 다른 어떠한 요인 때문에 유아교사의 다문화 감수성과 다문화 교수효능감이 초등교사 보다 낮게 나타났는지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하고, 유아교사의 다문화 감수성과 다문화 교수효능감을 높일 수 있도록 교육부의 관심과 국가적인 정책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셋째, 유아교사와 초등교사의 다문화 감수성과 다문화 교수효능감 사이에 모든 하위요인에서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의 경우 일반생활 효능감은 다문화적 개방과 수용태도, 수업기능 효능감은 다문화적 지식, 인간관계 효능감은 다문화적 개방과 수용태도에서 상관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교사의 경우 일반생활 효능감은 다문화 실천의지, 수업기능 효능감은 다문화적 지식, 인간관계 효능감은 다문화 교수소양에서 상관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유아교사와 초등교사 모두 다문화 감수성이 높을수록 다문화 교수효능감도 높게 나타났다는 것으로, 유아교사와 초등교사가 현장에서 다문화 교육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교사의 다문화 감수성 향상을 통한 다문화 교수효능감 향상을 위해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넷째, 유아교사 다문화 교수효능감에 대한 다문화 감수성의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다문화 교수효능감에 대한 다문화 감수성의 설명력은 36.9%로 나타났고, 다문화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개인적 특성변인에서는 학력과 경력이었다. 그리고 다문화 감수성 하위요인에서는 다문화 지식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 개방과 수용태도, 다문화 교수소양, 다문화적 실천의지 순이었다. 초등교사 다문화 교수효능감에 대한 다문화 감수성의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다문화 교수효능감에 대한 다문화 감수성의 설명력은 32.7%로 나타났고, 다문화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개인적 특성변인에서는 학력 뿐 이었다. 그리고 다문화 감수성 하위요인에서는 다문화 지식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 다문화 교수소양, 다문화적 실천의지 순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다문화 감수성이 높을수록 다문화 교수효능감이 높아져 유아교사와 초등교사 모두 교육 현장에서 다문화 교육을 실시할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유아교사와 초등교사 모두 다문화 감수성 하위 요인 중 다문화적 지식이 다문화 교수효능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결과로 볼 때, 다문화 교육 실천을 위해서는 교사가 가지고 있는 다문화 지식이 가장 중요하게 보여주는 것으로 다문화적 지식 함양에 도움이 되는 다문화 관련 교사교육 및 교사 연수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실시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ffect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multi- cultural teaching efficacy. Research problem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are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2. Is there any difference in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multi- cultural teaching efficacy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2-1. Is there any difference in multi-cultural sensitivity between kinderg arten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2-2. Is there any difference in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between kindergarten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3. What is correlation between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multi- cultural teaching efficacy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4. What is effect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4-1. What is effect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of kindergarten teachers on multi- cultural teaching efficacy? 4-2. What is effect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418 teachers working for kindergartens and elementary schools in Chungcheongnamdo and Gyoenggido(kindergarten teachers: 202, elementary school teachers: 216). Intercultural Sensitivity scale that was developed by Chen and Starosta(2000) and translated by Kim Oc-soon to measure multi-cultural sensibility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used. A tool developed by Lee Cheol-hyun(2013) was used. As far as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was concerned, Multicultural Efficacy Scale(MES) which was developed by Guyton and Wesche(2005) and translated by Choi Chung-oc and Mo Gyeong-hwan(2007) and revised by Kim Hye-ja(2009) was used. Data was collected from survey. Data was analyzed by using descriptive analysis, One-way ANOVA, t-test, correlation analysis (Pearso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teaching efficacy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more than median value which is relatively high. As far as multi-cultural sensitivity is concerned, multi-cultural knowledge acquisition attitude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is the highest, followed by multi-cultural teaching refinement, multi-cultural openness and acceptance, a will to practice multi-cultural education, equal multi-cultural opportunity and multi-cultural knowledge. Multi-cultural sensitivity of public kindergarten teachers is higher than that of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As far as teaching efficacy is concerned, human relations are the highest, followed by everyday life and class function in both kindergarten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of kindergarten teacher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level of education, experience, experience in teachi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experience in taking multi-cultural classes and experience in training of multi-cultural teachers. The higher level of education and experience are, the higher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is. Teaching efficacy of teachers who have experience of taking multi-cultural classes and training is higher than that of teachers who do not have.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experience in teachi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experience in training of multi-cultural teachers. Teaching efficacy of teachers who have experience in teachi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experience in training of multi-cultural teachers is higher than that of teachers who do not have. Such result suggests that level of education and experience are variables affecting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experience in multi-cultural education or experience in multi-cultural training are important variables affecting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in both kindergarten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It is necessary to make an effort to improve level of education and experience and provide multi-culture related training programs for kindergarten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Second,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kindergarten teachers. Sub factors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kindergarten teachers. Difference in institution type, level of education, age, experience and experience in multi-cultural train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greater than that of kindergarten teachers. Follow-up research on why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kindergarten teachers is needed. It is necessary for government to support so that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of kindergarten teachers can be enhanced. Third, there i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As far as kindergarten teachers are concerned, everyday life efficacy has the highest positive correlation with multi-cultural openness and acceptance, class function efficacy has the highest positive correlation with multi-cultural knowledge and human relation efficacy has the highest positive correlation with multi-cultural openness and acceptance. As far as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concerned, everyday life efficacy has the highest positive correlation with a will to practice multi-cultural education, class function efficacy has the highest positive correlation with multi-cultural knowledge and human relation efficacy has the highest positive correlation with multi-culture teaching refinement. The higher multi-culture sensitivity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is, the higher multi-culture teaching efficacy is. Such a result suggests that constant effort toward improvement of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is needed. Fourth, as far as effect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on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of kindergarten teachers is concerned, explanation ability of multi-cultural sensibility over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was 36.9%. Elements that affect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in personal characteristics variables are level of education and experience. As far as sub-factors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are concerned, multi-cultural knowledge is the highest followed by openness and acceptance, multi-cultural teaching refinement, a will to practice multi-cultural education. As far as effect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on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s concerned, explanation ability of multi-cultural sensibility over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was 32.7%. Elements that affect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in personal characteristics variables are level of education. As far as sub-factors of multi-cultural sensitivity are concerned, multi-cultural knowledge is the highest followed by multi-cultural refinement and a will to practice multi-cultural education. Such a result suggests that the higher multi-cultural sensitivity is, the higher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is, the greater possibility that kindergarten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practice multi-cultural education. That multi-cultural knowledge out of sub factors of multi-cultural sensibility has the greatest effect on multi-cultural teaching efficacy suggests that multi-cultural knowledge that teachers have is the most important to practice multi-cultural practice which imply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multi-culture related training programs that help improve multi-cultural knowled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