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김승옥 소설의 화자 연구 : 청년 화자 '나'와 그 교육적 가치

        김학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고는 청년 화자 ‘나’의 특징과 서사유형을 정리하여 이를 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김승옥 소설의 청년 화자 ‘나’는 빈번하게 나타난다. 24편의 김승옥 소설 중 9편인 &#65378;생명연습&#65379;, &#65378;역사&#65379;, &#65378;환상수첩&#65379;, &#65378;확인해본 열다섯 개의 고정관념&#65379;, &#65378;무진기행&#65379;, &#65378;서울 1964년 겨울&#65379;, &#65378;내가 훔친 여름&#65379;, &#65378;그와 나&#65379;, &#65378;서울의 달빛 0章&#65379;에서 청년 화자 ‘나’가 나타난다. 9편의 소설 속에는 김승옥의 대표작이라고 볼 수 있는 &#65378;생명연습&#65379;, &#65378;역사&#65379;, &#65378;환상수첩&#65379;, &#65378;무진기행&#65379;, &#65378;서울 1964년 겨울&#65379;이 포함되며, 따라서 청년 화자 ‘나’의 모습은 김승옥 소설의 중요한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김승옥 소설에서 청년 화자 ‘나’는 모두 무력하고 수동적인 모습을 보인다. 청년은 가장 적극적이고 힘이 넘칠 시기인데, 청년 화자 ‘나’는 일반적인 청년의 특징과 반대되는 모습으로 나타난다. ‘나’는 타인과의 관계에 있어서 수동적이며, 특히 여성과의 관계에 있어서 이러한 ‘나’의 모습은 강조된다. 청년 화자 ‘나’의 무력하고 수동적인 모습은 소설의 서술과 관련이 있다. 청년 화자 ‘나’는 관찰자이거나, 관찰자적 태도를 보인다. 청년 화자 ‘나’가 주인공인 경우에도 ‘나’는 사건을 적극적으로 이끌어가지 못하며 사건의 중심에서 조금 벗어나 있다. 청년 화자 ‘나’의 이러한 관찰자적 태도와 무력하고 수동적인 모습은 서로 어울린다. 이러한 ‘나’의 모습은 소설의 마지막까지 변화하지 않으며 ‘나’의 정신적 성장도 이루어지지 않는다. ‘나’는 현실과 타협하거나 자살한다. ‘나’가 성장하지 않는 것 역시 무력하고 수동적인 모습과 관찰자적 태도와 관련이 있다. ‘나’는 무력하고 수동적이기 때문에 성장의 기회를 놓치거나 성장에 관심을 갖지 못한다. 또, ‘나’는 관찰자적 태도를 유지하며 사건에서 한 발짝 벗어나 있기 때문에 성장은 ‘나’가 아니라 소설의 다른 등장인물의 몫이 된다. 살펴본 청년 화자 ‘나’는 <청년 화자 ‘나’>라는 서사유형으로 정리될 수 있다. 서사유형 <청년 화자 ‘나’>는 ‘나’의 여러 특징을 보여주는 서사단락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를 통해 김승옥 소설들의 관계와 특징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청년 화자 ‘나’의 모습은 교육적 측면에서도 가치를 찾을 수 있다. 청년 화자 ‘나’는 학생들과 나이가 비슷하거나 연령대가 가깝기 때문에 학생들의 공감을 이끌어내기에 적합하다. 그리고 학생들이 곧 겪게 되거나 이미 겪고 있는 문제를 보여줄 수 있기 때문에 학생들의 정신적 성숙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또, ‘나’의 모습과 관찰자적 태도는 문체, 사건, 주제와 관련이 있으며 이는 소설이 하나의 유기적인 구조체라는 것을 보여주는 좋은 제재가 된다. 마지막으로 서사유형 <청년 화자 ‘나’>는 김승옥의 많은 소설 중, 특정 소설을 교육의 제재로 선정하는 경우에 그 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때까지 김승옥 소설에 대한 교육적 연구는 미진하였다. 본고에서는 김승옥 소설에서 반복되는 청년 화자 ‘나’의 모습을 통해 그의 소설 세계의 한 흐름을 짚고, 이를 교육에 반영하여 김승옥 소설의 교육적 가치를 입증하고자 하였다.

      • 미술치료가 한 부모가정 아동의 스트레스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학찬 신라대학교 상담치료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미술치료가 한 부모가정 아동의 스트레스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개인미술치료를 실시하였고 회기 중에 “짝 프로그램”을 일부 추가하였다. 대상 아동은 B시 소재 초등학교 4학년에 재학 중인 여학생으로 또래관계가 형성 되지 않는 어려움 등으로 의뢰되었다. 미술치료 프로그램은 B시 S 지역아동센터에서 2018년 10월부터 2019년 3월까지 주1 회 50분 동안 총 24회기에 걸쳐 실시되었고 프로그램 중 15회 ~ 20회기에 걸친 6회기 동안은 친사회적 행동 향상을 위해 또래와 함께하는 짝 미술치료를 실시 하 였다. 측정 도구로는 아동의 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하여 박선희(1991)가 개발하고 최영희 (2002)가 청소년의 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하였던 내용을 재구성하여 초등학교 아동들에게 사용하였던 것이며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서 Wrightsman(1974)가 사용한 이타성 척도, Eisenberg(1989)의 이타성 자기보고척도 및 Fey(1995)가 사용한 타인수용척도를 분석하여 정희원.김경연(2005)이 개발한 척도 를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투사그림검사로는 동적학교 생활화(KSD)그림검사의 사전 . 사후 결과를 비교 분석 하였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분석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가 스트레스지각 검사의 하위영역인 학교생활, 자신문제, 가정생활에서 스트레스가 줄어드는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고 대인관계에서는 약간의 스트레 스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친사회적 행동 척도 검사에서 전체적인 점수는 상승하여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양보 및 자기희생 하위영역에서는 미미한 수준의 점수 하락이 나타났다. 셋째. 동적학교생활화(KSD) 그림검사에서 나타난 친구와의 관계에 있어 변화는 긍정적이었다. 사전검사에서는 짝지의 괴롭힘과 폭행으로 인하여 학교생활이 아동에게는 부정적인 장소이었으나, 사후검사에서는 사전검사 때 보다 많은 친구가 표현되고 역동성이 보이는 등 학교가 긍정적인 장소로 변화한 것을 볼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미술치료가 한 부모가정 아동의 스트레스 감소와 친사회적 행동 향상 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rt therapy on stress and prosocial behaviors of single parent family children by performing personal art therapy. And some “pair programs”have been added in this process. The target child is a 4th grade female student attending elementary school in B city. It was commissioned by the mother's request that there was a problem with peer relationships. The art therapy program was held at the local children's center for a total of 24 sessions from October 2018 to March 2019, once a week for 50 minutes. During the six sessions of 15 to 20 sessions of the program, art therapy with peers was conducted to improve prosocial behavior. As a measurement tool, it was developed by Park Sunhee (1991) to measure the stress of the child, and Choi Younghee (2002) reconstructed the contents used to measure the stress of the youth and used it for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order to measure the level of social behavior of children, Jeong Hee Won and Kim Kyung Yeonwe analyzed the altruistic scale used by Wrightsman(1974), the self-report scale of altruistic by Eisenberg(1989) and the scale of other people used by FEY, And the developed scale was reconstructed by them(2005). The picture test was conducted by comparing the pre and post test of Kinetic School Drawing(KSD) picture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rt therapy showed a positive change in stress, which is a sub - area of stress perception, in school life, self - problem, and family life.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re is a little but increased stress Second, the pro-social behavior scale test showed a positive effect on the overall score, but a slight drop in scores on the concession and self-sacrifice sub-area. Third, the change of between friends was positive in the KSD picture test. In the pre-test, school life was a negative place for the child due to the bullying and assault of the partner. But in the post-test, it is seen that more friends are expressed and dynamism , and the school has changed into a positive place. In conclusion, art therapy has positive effects on stress reduction and prosocial behavior improvement of child in a single parent family.

      • 중등 교과서에 수록된 한국현대소설의 아버지 양상 연구

        김학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고는 제도교육으로서 이루어지는 문학교육의 특성에 주목하여 문학교육에서 형상화된 시대상을 중등 교과서에 수록된 한국현대소설의 아버지 양상을 통해 규명하였다. 제도교육으로서의 문학교육은 사회 구성원들에게 사회에 대한 인식을 공유·전달·강화·재생산한다. 그리고 교과서는 제도교육이 지향하는 개인과 공동체의 상(狀)을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실체다. 그러나 소설은 끊임없이 변화하는 본질적 특성이 있기 때문에 중등 교과서에 수록된 한국현대소설은 교육과정의 목적에 반드시 종속되는 것은 아니다. 또, 교육과정에 따라 교과서가 집필되는 맥락에는 다양한 변인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고는 중등 교과서에 수록된 개별 한국현대소설을 제도교육의 차원에서 파악하되 이를 교육과정이나 지배 이데올로기의 결과 또는 시대사의 일부로 환원하는 문제를 지양하고 개별 작품의 자율성과 내적 질서를 존중하기 위해 아버지 양상에 주목한다. 아버지는 근대소설의 기원과 성격을 설명하는 기준점이 된다는 점, 아버지에 대한 관념의 변화가 개인적·국가적 차원의 의식과 무의식에 영향을 미치고 사회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점, 아버지를 중심으로 한 가족제도가 국가·사회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는 점에서 아버지 양상을 살펴보는 일은 그 타당성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중등 교과서에 수록된 한국현대소설을 아버지 양상에 따라 살펴보았을 때 식민지기는 크게 두 가지 측면에서 근대 문제와 관련된 비판과 대안의 모색이 나타난다. 첫 번째 유형은 아버지 세대를 통해 전근대를 부정하고 아들 세대를 통해 그 대안을 모색한 것이다. 봉건적 가치관에 머물러 있고 ‘돈’에 집착하는 아버지 세대에 대한 강렬한 비판은 전근대에 대한 부정과 동시에 근대에 대한 적극적 모색의 일환이었던 것이다. 아들 세대의 현실주의와 인간애 또는 사회주의 역시 그 모색의 일환이었다고 할 수 있다. 두 번째 유형은 근대적인 것에 대한 매혹과 그 가치를 인정하면서도 아버지를 통해 근대적인 것에 대한 비판의 거리를 마련한 것이다. 식민지 근대의 이중적인 상황을 아버지의 정신 또는 마음을 강조하는 것으로 모색했다고 할 수 있다. 한국전쟁기는 크게 세 가지 측면에서 전쟁과 분단문제를 다룸으로써 가족관계의 재설정 문제를 형상화한다. 첫 번째 유형은 전쟁의 수난을 견디는 방법으로 세대 간의 연대를 모색한 것이다. 전쟁은 죽음, 육체적 장애, 정신적 상처, 공동체의 파괴 등 회복하기 어려운 문제를 낳았지만 세대 간의 연대는 이를 견디는 희망이 될 수 있다. 한국전쟁으로 생긴 수난에 대한 방안을 아버지의 질서를 계승하거나 아버지의 정신적 가치에 적극적으로 의미를 부여하는 것으로 모색하고, 이것이 아들 세대에게 이어지는 것을 통해 한국전쟁이라는 거대한 비극을 견디는 방법을 마련했던 것이다. 두 번째 유형은 전쟁으로 인해 달라진 부권제의 모습과 관련된 것이다. 한국전쟁 중 아버지의 부재는 곧 기존 질서의 부재를 상징적으로 나타내며, 다시 전쟁 이전의 질서가 회복되는 일은 불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어떤 식으로든 전쟁 이후 부권은 변화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세 번째 유형은 분단문제를 유자의 정신적 화해라는 측면에서 모색한 것이다. 유자의식은 분단문제와 비극의 책임 문제를 회피하지 않되, 아버지와 아들이라는 관계를 통해 이해와 화해를 도모할 수 있었던 방법이었다고 할 수 있다. 산업화기는 크게 세 가지 측면에서 산업화로 인한 문제를 비판하고 그 대안을 아버지의 긍정과 계승을 통해 보여준다. 첫 번째 유형은 도시개발의 문제를 아버지에 대한 연민을 통해 비판한 것이다. 비루한 아버지에 대한 연민만큼 아버지를 힘들게 하는 도시개발 문제에 대한 비판은 보다 설득력을 얻는다. 연민의 대상으로서의 아버지는 빈곤에서 탈출하기 위해 경제성장이 필요하다는 개발 논리를 비판하고 그 이면을 보여주는 방법이었다고 할 수 있다. 두 번째 유형은 아버지의 전통예술에 대한 긍정을 통해 산업화 시대의 정신적 가치를 모색한 것이다. 아버지의 전통예술은 개발 논리의 이면과 중산층의 허위의식을 성찰하게 하고 정신적 가치의 중요성을 보여줄 수 있는 방법이었던 것이다. 세 번째 유형은 대리 아버지의 선(善)을 지향하고 계승하는 일을 통해 부정적인 현실을 비판한 것이다. 아버지의 정의와 인정, 이상화된 아버지의 모습은 타락한 세태를 비판하고 반성과 성찰을 제공하는 동시에 다음 세대에게 인간과 공동체에 대한 희망을 가지게 하는 방법이었다고 할 수 있다. 중등 교과서에 수록된 한국현대소설은 식민지기를 근대의 문제로, 한국전쟁기를 전쟁과 분단의 문제로, 산업화기를 산업화가 가져온 사회적 문제로 각각 형상화해 왔으며, 아버지 양상은 이러한 시대의 성격을 유의미하게 유형화하고 규명할 수 있는 준거로 시대 문제에 대한 모색과 그 결과를 드러낸다는 의미를 갖는다.

      • 초등학교 학업중단 위기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향상을 위한 상담 사례 연구

        김학찬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a case study of personal counseling of fifth-grade elementary school boys who are facing a crisis of interruption due to various factors such as poor family environment, resistance to study, and lack of peer relationship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crease the self-esteem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are on the verge of school life maladjustment and academic interruption, and to induce social improvement and positive change through counseling activities based on Adler's personal psychology theory. The research problems establish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rom the perspective of individual psychology, what are the causes of problematic behavior and ways to improve children at risk of discontinuation of school? Second, what are the goals and appropriate strategies for counseling for children in danger of discontinuation based on personal psychology? Third, what is the effect of personal psychological counseling on children in danger of discontinuing school? In order to solve the research problem, the cause and improvement direction of the problem behavior of children at risk of school interruption were set through case conceptualization, and a total of 14 consultations were conducted based on this. In addition, based on Adler's personal psychology theory, detailed goals of counseling and final goals that can be reached through them were set. In actual counseling, based on Adler's personal psychology theory, the counseling strategy was applied according to the child's situation. Finally,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individual psychological counseling, a pre- and post-scale test was conducted on children's self-esteem and sociality, and a sentence completion test was performed in advance and post-mortem to know the inner change of the client. In addition, it was intended to prove the effectiveness of counseling by analyzing the interviews of classmates and the feelings of children participating in counseling.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obtained according to this research method are as follows. First, the depressed state due to various factors such as children's school and family was found to be the cause of problem behavior. Second, the difficulty of forming peer relationships was found to be the cause of problem behavior because school life was not normally achieved due to rejection of study. Third, in counseling based on Adler's personal psychology theory, there was a change in self-esteem and sociality of children in crisis of academic suspension. These results prove that the Adler theory-centered personal counseling conducted in this study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self-esteem, sociality, and problem behavior of children who are on the verge of discontinuation. 이 연구는 불우한 가정환경, 학업에 대한 거부감, 또래 관계 형성 기회의 부재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학업중단 위기를 겪고 있는 초등학교 5학년 남학생의 개인 상담 사례 연구이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아들러의 개인심리학 이론에 기반한 상담 활동을 통해, 학교 생활 부적응과 그로 인한 학업 중단 위기에 놓인 초등학교 학생의 자아존중감을 높이고 사회성 향상 및 긍정적인 변화를 유도하여 문제 상황에서 벗어날 수 있게 하는 데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심리학적 관점에서 학업중단 위기아동의 문제행동 원인과 개선방안은 무엇인가? 둘째, 개인심리학을 바탕으로 한 학업중단 위기아동에 대한 상담의 목표와 적합한 전략은 무엇인가? 셋째, 학업중단 위기아동에 대한 개인심리학적 상담의 효과는 어떠한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례개념화를 통해 학업중단 위기아동의 문제 행동의 원인과 개선 방향성을 설정하였고 이를 토대로 상담을 총 14회기 진행하였다. 또한 아들러 개인심리학 이론에 근거하여 상담의 세부목표와 이를 통해 도달할 수 있는 최종목표를 설정하였다. 실제 상담에서 아들러 개인심리학 이론에 근거하여 상담의 전략을 아동의 상황에 맞게 적용하였다. 마지막으로 개인심리학적 상담의 효과성을 분석하기 위해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에 대한 사전, 사후 척도 검사를 실시하였고 내담자의 내면의 변화를 알기 위해 문장완성검사를 사전, 사후 실시하고 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학급 친구들의 인터뷰와 상담 참여 아동의 소감문을 분석하여 상담의 효과성에 대해 입증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방법에 따라 얻어진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학교, 가정 등의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낙담한 상태가 문제행동의 원인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업에 대한 거부감으로 학교 생활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또래관계 형성의 어려움이 문제행동의 원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들러 개인심리학 이론을 기반으로 한 상담에서 학업중단 위기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이 향상되는 변화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이 연구에서 실시한 아들러 이론 중심의 개인 상담이 학업중단 위기에 놓인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및 문제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입증해준다.

      • 치과병원 경영전략 사례 : 개원 유형별 경영분석 중심

        김학찬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의 치과 병원 경영환경은 치과의사의 자연증가로 인한 치과의사 1인당 환자수의 감소로 인한 경쟁의 심화, 환자요구의 다양화, 서비스요구의 고급화, 네트워크치과, 중, 대형치과의 등장, 치과시설 및 서비스의 상향평준화 현상 등으로 심한 내부적 변화를 맞이하고 있다. 이에 따라 치과계에는 변화된 경영방식이 도입되게 되었다. 치과의원 개원형태는 크게2가지유형으로 구분된다. 그 첫 번째가 전통적인 단독개원이며 또 하나는 공동개원 형태이다. 이 논문에서는 위의 언급한 2개의 유형 외에 2가지 형태를 더 첨가하여 아래와 같이 4가지의 치과 개원 유형으로 분류하여 설문조사 하였다. 1) 경영지분을 보유한 원장들과 고용된 의사로 구성된 치과 2) 경영지분을 보유한 원장들로만 구성된 치과 3) 전 지분을 보유 경영중인 원장1명과 고용의사로 구성된 치과 4) 원장1명으로 구성된 치과 위의 4가지 유형의 45개 치과병원을 설문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게 되었다. 공동개원 형태가 단독개원 형태보다 치과의 경영 성과 측면에서는 우위에 있다는 결론이 나왔으나, 파트너쉽 분열에 대한 위험이 상존하여 고위험,고수익이라는 투자의 기본원칙이 입증 되었다. 한편 단독개원 형태는 안정성, 관리의 용이성 등의 강점이 계속 보장 될 수 없고 노후에 대한 준비가 전혀 안되어 있다는 단점이 있다. 본 연구의 결과로 과거와 달리 치과 개원가에서 새로운 이슈로 검토해야 하는 사항이 있다면 그것은 "성공"에 대한 정의이다. 치과의사의 성공 모델 요소는 크게 3가지이다. 1) 자신이 원하는 삶의 방식 2) 고품질의 진료를 통한 사회기여 3) 경제적 성취도 성공모델이란 이세가지 요소의 우선 순위와 비중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치과 개원 유형, 경영전략 등을 결정하기에 앞서 치과의사 본인의 성공에 대한 정의를 먼저 내리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Recently dental clinic management type is being divided into group practice and solo in general, for much more fierce competition with each other dental clinics. In this study we have classified dental management type to partner & pay, partners, solo & pay and solo, in which surveyed their management indexes. We have known, through survey of 45 samples of dental clinics, that group practice dental clinics are much more high-returned in gross product by one dentist and more productive for labor cost, rental cost, material cost etc than solo dental clinic. But group practice is not always alternative to solo for every dentist because management type is for vision, mission, want and life-style of each dentist. So the strategy of dental management should be defined to define "My success" and "Goal", set up a management plan and tactics.

      • User Interface Design for Semi-Autonomous Teleoperation of Manipulator-Stage Systems on Vertical Flexible Beam

        김학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An user interface design is presented for semi-autonomous teleoperation system consisting of 3-DOF manipulator, 1-DOF linear stage, and flexible beam erected vertically. To perform peg-in-hole task with the manipulator on the vibrated beam effectively, LQR(Linear Quadratic Regulator) based control is applied for autonomous vibration suppression control. Three strain gauges, one IMU(Inertial Measurement Unit), and motor encoders are used for system on-boar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user interface, teleoperation framework which contains 3D visual information from HMD(Head Mounted Display), haptic feedback from haptic device is proposed in this paper. Optimization for 3D camera placement was performed with respect of human perception. Results of human subject study for our proposed interface show that 3D visual information with HMD device and haptic feedback help the peg-in-hole task in the best performances.

      • 高等學校 倫理敎育의 開善을 위한 分析的 硏究

        김학찬 仁荷大學校 敎育大學院 1980 국내석사

        RANK : 247615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oint out problems facing us in carrying out proper function of ethics education in high school and suggest possible measures toward improving them in the way it should be done. The ethics course is to teach the younger generations to form the sound conception of emotional view of value. Judging from today's atmosphere seen in schools, however, one can easily come to the conclusion that is not just the case. Instead, all they value highly in school activities is only the success in the examination to enter universities - so much so that one may deny any existence of education in school functioning. I'm afraid that the very subject that I think should exert its whole efforts to achieve the-way-it-should-be-object more than any other subject, tends to be falling into one of those memory-minded ones which are considered absolutely important only to the preparation for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proceedings of education in ethics as a whole and extract example to be desired and suggest ways to put them right. Firstly, the virtues of ethical value which are being stressed as important in the text book are hardly the ones which the teenagers of the new age will take seriously but the ones belonging to the remote ages which art there merely for the sake of enumeration. Secondly, the formation of a sound view of emotional value is what this course should administer to and the substance and the methods of the course must be directed toward behaviorism instead of wasting time in solving questions on the premises of college examination. Thridly, ethics is a new subject recently brought in the school curriculum to be taught as an established course before teachers trained in the subject were being available and yet there seems no action visible to correct the situation. There are hardly any universities around which carry as independent department providing subjects in ethics. Therefore qualification for the subject is being given to graduates quite to the subject matter of the course. I would like to further suggest that the present memory-minded or exam-oriented evaluation system should be stopped from judging school works. All the virtues of value dealt with in the text book have been extracted and been compared with these of various ages and of many countries' ranging from the East to the West. And it is found that these stressed in the books are not much different from those compared. The society in which we live continues to change as civilization progresses. New virtues of ethical value should be developed to be effective as a guiding force among younger generations, especially those living in industrial society.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the firm establishment of ethical view of value in the mind of the rising generations, the Ministry of Education must see to it that the ethics teachers be expert on the matter and more so than those engaged in the other subjects, and that there should be not any teacher trained in other subjects teaching ethics as there is nothing better to d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