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여행사 집단과 소비자 집단의 국외여행상품속성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에 관한 연구 : -AHP분석을 이용하여

        김태현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2016년까지 우리나라 해외여행객의 총 출국 누적 인원은 1억 6천 8백만 명에 이른다. 국외여행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만큼 국외여행 관련 소비자 피해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학계에서는 여행상품에 대한 소비자 만족도를 재고하고자, 소비자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을 미치는 여행 상품의 속성이 무엇인지 밝히는 연구가 이어져 왔다. 그러나 수많은 선행연구들에서 밝힌 소비자의 만족도 재고 방안에도 불구하고 해외여행 자유화가 약 28년이 지난 지금에도 여전히 해외여행 관련 불만족은 야기되고 있다. 이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여행상품속성에 관한 연구들에 비해 여행상품 기획자가 상품을 구성하는 개별속성에 대한 인식과 상품속성들의 중요도와 우선순위에 관한 정보를 얻기에는 한계점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외여행상품속성에 대하여 여행상품을 기획 및 판매 운영하는 여행사 집단과 소비자 집단 간의 국외여행상품속성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여행사 집단과 소비자 집단 간의 국외여행상품속성에 대한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파악하여, 소비자 집단의 국외여행상품의 핵심요인들을 최대한 반영하여 치열한 아웃바운드의 여행시장 내에서 여행사의 경쟁력을 높이고자 한다. 또한 소비자 중심의 마케팅 전략 수립, 상품 구성과 고객 맞춤 서비스 제공 등에 참고자료로 제공하여 여행객들의 불만족을 최소화하려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외여행상품속성을 구성하고 있는 핵심요인들을 파악하기 위해 문헌조사와 기존의 선행연구들을 통하여 이론적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헤비유저들로 구성된 소비자 집단과 여행업계 실무전문가들로 구성된 여행사 집단을 대상으로 1차 전문가 의견조사와 2차 쌍대비교(pairwise comparison)조사를 수행한 후에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전용 솔루션인 Expert Choice 2000을 사용하여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방법으로 수행한 결과, 국외여행상품속성에 대한 두 집단 간의 인식에 차이가 있다는 점을 증명하였다. 두 집단 간 인식의 차이에 대한 연구결과 내용으로는 먼저 1차 여행사 집단의 의견조사를 통해 평가 소기준인 계층 3의 관광목적지는 관광지 요소, 일정구성 요소, 호텔 요소로 구성 되었고, 관광지 요소를 구성하는 계층 4는 관광지 근접성, 관광지 유명도, 쇼핑물품의 신뢰성, 선택 관광의 품질성으로 구성되었다. 반면, 소비자 집단의 1차 의견조사를 통해 평가 소기준인 계층 3의 관광목적지는 관광지 요소, 일정구성 요소로만 구성되었고 관광지 요소를 구성하는 계층 4는 관광지의 많은 유적지, 관광지의 자연경관, 관광지의 편의성, 선택 관광의 다양성으로 구성되어 여행사 집단과 명백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또한 여행사 집단의 계층 3의 인적서비스는 국외여행인솔자 요소, 현지가이드 요소, 여행사 직원 요소로 구성되었고, 소비자 집단의 계층 3의 인적서비스는 외부직원 요소, 내부직원 요소로 구성되었다. 여행사 집단에서 인적서비스를 구성하는 계층 4에서는 국외여행인솔자 동행여부와 여행사직원의 예약 및 상담에 대한 충분한 시간할애로 구성되어 있는 반면에 소비자 집단의 인적서비스를 구성하는 계층 4에서는 국외여행인솔자의 목적지에 대한 정보, 국외여행인솔자의 리더십, 국외여행인솔자의 친절성으로 구성되어 여행사 집단과 차이를 보이고 있다. 마지막으로 국외여행상품속성의 핵심요인들 간의 우선순위(Priority order)를 분석해 본 결과 전체 43개의 핵심요인들 중에서 여행사 집단에서는 짜임새 있는 일정 구성(8.6%)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밝혀졌고, 관광지 매력성(7.4%), 여행상품 가격의 합리성(7.3%), 국적기 이용 여부(7.2%), 국외여행인솔자의 위기대처능력(6.5%)의 순으로 상위 5개의 핵심요인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소비자 집단에서는 관광지 매력성(10.5%)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행상품 가격의 합리성(7.6%), 여행참가 구성원(6.3%), 짜임새 있는 일정 구성(6.3%), 항공기 여정의 편의성(4.6%)의 순으로 상위 5개의 핵심요인을 형성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해 국외여행상품속성의 핵심요인들에 대한 두 집단 간의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통하여 밝혀진 여행사 집단과 소비자 집단 간의 국외여행상품속성의 핵심요인들은 향후 아웃바운드의 여행시장 내에서 여행사의 경쟁력을 높이고 소비자 중심의 마케팅 전략 수립, 상품 구성 및 서비스 제공 등에 유용한 참고자료로 제공한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결과가 유용하게 사용되어 지길 기대한다. The total number of overseas travelers in Korea reached 168 million By 2016. As the demand for overseas travel continues to increase, the consumer damage related to overseas travel is also steadily increasing. In the academic world, researches have been carried out to clarify the attributes of travel products that affect customer satisfaction in order to reconsider consumer satisfaction with travel products. However, despite numerous previous studies suggested the ways reconsidered the consumer satisfaction, there have been still dissatisfied with overseas travel products about 28 years after the Liberalization overseas travel. It was revealed that previous studies researched recognition of individual attributes of travel products, importance and priority of travel products attributes for travel planners. However these researches had a limitation in obtaining information on the travel product attributes as compared with the study of the travel product attributes for the consumer. In regard, in this study, we tried to find out the relative importance and priority of overseas travel product attributes between the travel agency group which were planning and selling and the consumer grou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ve importance and priorities of the overseas travel product attributes between the travel agency group and the consumer group, to maximize the competitiveness of the travel agency with reflected consumer’s core attributes about the overseas travel product in the fierce outbound travel market. In addition, it aims to minimize dissatisfaction of consumers by providing consumer based marketing strategies, product composition and customized service.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oretical research was carried out through the literature survey and previous researches to identify the key factors which were composed the attributes of the overseas travel product. The first Expert opinion survey was conducted for consumer group which were composed heavy users and the travel agency group which were composed with executive experts in travel industry. After conducting the first expert opinion survey and the pairwise comparison survey was conducted. The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Expert Choice 2000, which is an exclusive solution for 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 As the result of this study, it was prov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of perception between the two groups about the attributes of the Overseas travel product. As the result of perceptiv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e travel destination which was the evaluation sub-hierarchy criteria of Hierarchy 3 was composed of the element of tourist place, schedule composition and hotel through the first opinion survey of consumer group. Hierarchy 4 consisted of the element of tourist place was composed with the proximity of tourist place, reputation of tourist attraction, reliability of shopping items and quality of optional tour. On the other hand, through the first opinion survey of the consumer group, the tourist destination of Hierarchy 3, which was the evaluation sub-hierarchy criteria, was composed of only the element of tourist place and schedule composition. The Hierarchy 4 consisted of the tourist place element was composed of many historical sites, natural landscape, convenience of tourist places and variety of optional tour. It was shown definite difference from the travel agency group. In addition, the human services of the Hierarchy 3 of the travel agency group consisted of the elements of travel guide of overseas travel, local guide and travel agency staff, and the human services of the Hierarchy 3 of the consumer group consisted of the external staff and internal staff. In Hierarchy 4, which was composed with human services in the travel agency group, it consisted of whether or not to travel with overseas travel guide and sufficient time for reservation and consultation of travel agency personnel. On the other hand, in Hierarchy 4, which consisted of human service in the consumer group, was composed of information of destination, leadership and kindness of overseas travel guide. It was shown the difference from the travel agency group. Finally, the result of analysis the priority order among the key factors of the travel product attributes, In the travel agency group was found out that the most important factor was the structured schedule composition (8.6%) among the total 43 factors in the travel agency group. The tourist attraction (7.4%), the rationality of travel product prices (7.3%), the use of nationality plane (7.2%) and the ability of overseas travel guide to cope with cope with crises (6.5%) were composed of the 5 high priority factors and followed in this order. On the other hand, the tourist attraction (10.5%)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consumer group. The rationality of travel product prices (7.6%), travel participant (6.3%), structured schedule composition (6.3%) and convenience of plane travel (4.6%) was composed of the 5 high priority factors and followed in this order. 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relative importance and priority of the two groups about the key factors of the overseas travel product attributes were derived. We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hich suggested that the key factors of the travel product attributes between the travel agency group and the consumer group will be a valuable resource. Therefore it will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the travel agency in the outbound travel market and provide useful information for establishing marketing strategies, product composition and service.

      • 칼코게나이드 유리의 광대역 적외선 무반사코팅에 관한 연구

        김태현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에서는 8~12um 적외선 영역에서 Ge-Sb-Se로 이루어진 칼코게나이드계 유리의 광대역 무반사 코팅에 관해 연구하였다.

      • 수입 자동차와 국내자동차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와 구매태도에 관한 실증적 연구 : 국내소비자와 미국소비자 구매태도 비교

        김태현 전북대학교 경영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소비자들이 관심을 가지고 있는 제품 중에서 자동차를 빠질 수 없다. 하다못해 누가 자동차를 구입했다고 하면, 어떤 차종을 구입했는지 물어보며 관심을 갖는다. 수입 자동차의 판매량이 해마다 늘어나고 있다. 그리고 예년에는 경제적으로 부유한 상류층에서 구입하여지만 저렴한 수입 자동차의 모델 출시로 구입조건이 한결 나아져 젊은 사람들도 구입을 많이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외제 자동차 제품의 국내 진입에 대응하여 본 연구는 FTA협상타결로 곧 완전한 수입개방화에 앞서 국내 소비자들의 외제 자동차의 의식은 어떤지를 알아보았고, 한충민(1998) 연구자료를 이용하여 국내 소비자들의 국산 자동차와 외제 자동차에 대한 구매 행동의 차이에 대하여 조사, 비교하였다. 설문지는 전주지역을 대상으로 국산자동차를 소유하고 있는 190명과 외제 자동차를 소유하고 있는 43명의 소비자를 표본으로 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연구의 중요한 연구 결과는 첫째, 국내 소비자들은 브랜드 인지도에 대해서 국산 자동차 보다는 외제 자동차에 대한 인지도가 높게 나왔다. 외제 자동차에 대한 막연한 기대심리도 작용한 것으로 보이는데 국산 자동차의 입장에서도 이러한 신뢰를 회하려는 노력과 더 많은 마케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입 자동차가 예전보다 점유율은 늘어났지만 아직도 국내 소비자들은 수입 자동차의 브랜드에 대한 태도에서는 사회적 규범의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의 소비자들은 브랜드에 대한 개인적 규범의 영향을 받고 있는 것과는 다른 것이었다. 아직도 우리 소비자들은 수입자동차를 구입할 때 주변사람들의 영향을 받고 있는 있지만 예년의 연구와 비교해 보았을 때 사회적 규범의 영향이 낮아지고 있는 것도 중요한 연구 결과였다. 본 연구는 이론적으로 국산 자동차의 구매 행동에 초점을 두어 진행 되었던 기존의 연구를 외제 자동차와 비교하였고 미국 소비자들과의 비교연구로 확장한 것을 의의를 둘 수 있다. Automobiles can’t be left out among products consumers are mostly interested in. The sales of imported automobiles are increasing every year. Also, in recent years, imported automobiles were purchased by the upper class, who are economically affluent, but nowadays, more young people are purchasing imported automobiles. This study researched and compared Korean consumers’ preferences in buying behaviors of domestic automobiles and imported automobiles. When one person purchases an automobile, others influences his / her decision. A questionnaire was used for analysis with 190 consumers who own domestic automobiles and 43 consumers who own imported automobiles in Jeonju region. The important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s. First, Korean consumers had higher level of awareness on imported automobiles than on domestic automobiles. It seems that vague expectations on imported automobiles played a role here, and for domestic automobile manufacturers, they would have to put more efforts and marketing to retrieve confidence on their automobiles. Second, although a market share of imported automobiles has increased compared to the past, domestic consumers are still influenced by social norms in attitudes towards imported automobile brands. The result is different from that of American consumers’, who are influenced by individual norms more than by social norms.

      • eMMC를 이용한 비동기용 불휘발성 메모리 모듈 설계

        김태현 청주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논문에서는 eMMC를 이용한 비동기용 불휘발성 메모리 모듈을 구현하는 방법에 대해 제시하였다. NVSRAM은 SRAM과 불휘발성 메모리 기술이 접목된 소자로 시스템 정전시에 처리하던 데이터를 즉각적으로 백업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데이터 손실 위협을 최소화할 수 있다. 기존 NVSRAM은 해외에서 2Mbytes 단위의 높은 단가로 판매하고 있고 신뢰성 진단 기능에 많은 제한이 있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메모리 모듈은 데이터 처리를 위한 4Mbytes 단위의 PSRAM, 데이터 저장을 위한 1Gbyte 단위의 eMMC, 고성능 메모리 컨트롤러를 활용하여 구현하였다. 승압 회로를 설계 및 적용하여 모듈의 전원이 80% 이하가 되었을 때 모듈 내부의 메모리 컨트롤러로 저전압 감지 신호인 SAVE_REQ를 전달하여 데이터 백업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또한 데이터 백업 동작이 수행되는 동안에 충분한 시간을 보장할 수 있도록 승압 회로에 슈퍼 커패시터를 적용하여 모듈 전원이 ON 상태일 때는 충전하고 시스템 정전시 충전된 전력을 승압하여 모듈에 공급할 수 있도록 구현했다. 데이터 처리를 위하여 모듈 내부의 메모리 컨트롤러를 통해 PSRAM을 쓰기 동작시에 65ns, 읽기 동작시에 70ns의 Access Time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빠른 속도로 간섭받지 않고 읽기와 쓰기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비동기 방식을 적용하고 워드(Word) 단위로 송수신할 수 있도록 구현했다. 또한 메모리 컨트롤러의 SDMMC 기능을 활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도록 eMMC 데이터 저장 시스템을 구현하였다. 자가 진단 시스템 구현을 위하여 eMMC Memory Map을 설계하였으며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유지 및 관리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모듈 내부의 MPU를 통해 RTC를 구현하여 모듈의 주요 동작 상태를 기록할 수 있게 하였다. 마지막으로 모듈의 데이터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0ppm의 에러율을 보이는 에러 보정 코드를 적용한 CRC32를 구현하였다. In this thesis, a method to implement the design of asynchronous non-volatile memory module Using eMMC is presented. NVSRAM is a device that combines SRAM and non-volatile memory technology to instantly back up processed data in the event of a system power failure, minimizing the threat of data loss. Existing NVSRAM is sold abroad at a high unit price of 2Mbytes, and there are many limitations in reliability diagnosis function. The memory module designed in this thesis is implemented using the 4Mbytes of PSRAM for data processing, the one Gbyte of eMMC for data storage, and a high-performance memory controller. By designing and applying a step-up circuit, when the power of the module is less than 80%, the low voltage detection signal SAVE_REQ is transmitted to the memory controller inside the module to perform data backup operation. In order to secure sufficient time for data backup, the super capacitor is applied to the boost circuit to charge when the module power is ON, and boost the charged power in case of a system power failure and supply it to the module. For data processing, PSRAM is configured to operate with an access time of 65ns for write operations and 70ns for read operations via a memory controller inside the module. In addition, in order to perform high-speed read and write operations without interference, an asynchronous method is applied to implement word-based transmission and reception. The eMMC data storage system is implemented to utilize the SDMMC function of the memory controller to store data. To implement a self-diagnostic system, the eMMC memory map can be designed to efficiently maintain data. Also, RTC can be implemented through the MPU inside the module to record the main operating status of the module. In addition, in order to improve the data reliability of the module, CRC32 algorithm with an error correction code showing an error rate of 0ppm was implemented.

      • 부채널 공격에 안전한 슬라이딩 윈도우 기반 곱셈을 이용한 개선된 NTRUEncrypt

        김태현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 공개키 암호 알고리즘 중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알고리즘으로는 RSA, 타원곡선암호(ECC) 등이 있다. 해당 알고리즘들은 소인수분해 문제, 타원곡선상의 이산대수 문제 등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데 이러한 문제들은 양자컴퓨터의 개발 이후 Shor의 알고리즘과 같은 양자 알고리즘을 활용하면 쉽게 답이 구해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를 기반으로 하는 RSA, ECC 등의 암호 알고리즘도 취약해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따라서 NIST에서 양자컴퓨터의 개발 이후로도 안전성을 유지할 수 있는 포스트 퀀텀 암호를 공모하였으며 NTRU, McEliece, UOV, Rainbow 등이 후보로 제출되었다. 그중 NTRU의 암호화 버전인 NTRUEncrypt는 이미 2008년 IEEE P1363.1에 표준으로 채택된 바 있다. 본 논문에서는 NTRUEncrypt의 성능향상을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NTRUEncrypt는 다항식 환에서 정의되며 암호화 및 복호화 과정에서의 곱셈 연산 성능이 전체 성능을 좌우한다. NTRUEncrypt에서는 계수가 {0, 1, -1}만을 가진 다항식을 뽑아 암호화 및 복호화 과정에서 곱셈 연산을 하는데 기존의 NTRUEncrypt에서는 이 점을 이용해 인덱스 기반의 다항식 곱셈연산을 하였다. 2017년에 Pyo 등은 인덱스 기반의 다항식 곱셈연산 대신 슬라이딩 윈도우 방법을 적용하여 곱셈연산의 속도를 더 빠르게 하는 방법을 제안한 바 있다. 본 논문에서는 Pyo 등의 방법을 더 효율적으로 만들기 위해 계수 1과 –1을 함께 고려함으로써 새로운 윈도우 패턴들을 정의하고, 이들을 이용하여 연산속도를 개선하고 시간 분석과 전력 분석에 대한 부채널 공격 대응 방법을 추가한 개선된 슬라이딩 윈도우 방법을 제안한다. 시간 분석 공격에 대해서는 슬라이딩 윈도우가 적용되더라도 곱셈 연산의 수행시간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대응하였고, 전력 분석 공격에 대해서는 데이터 값을 무작위로 초기화시키고 연산순서가 무작위로 이루어지도록 대응하였다. 마르코프 체인 분석 방법을 이용해서 최적의 윈도우 크기를 구하고 이를 실험을 통해 구한 최적의 윈도우 크기와 큰 차이가 없음을 확인하였다. 기존의 슬라이딩 윈도우를 이용한 다항식 곱셈 대비 제안 방법은 최대 5.4% 향상되었고, NTRUEncrypt에 적용했을 경우 암호화 및 복호화의 경우 각각 최대 4.2%와 4.6% 향상되었다. Public key cryptographic algorithms that are widely used today include RSA and Elliptic Curve Cryptography (ECC). These algorithms are based on prime factorization problems and discrete logarithmic problems on elliptic curves, respectively. However, these problems are expected to be easily solved by using quantum algorithms such as Shor's algorithm after the development of quantum computers. In such cases, cryptographic algorithms such as RSA and ECC, which are based on these problems, are also expected to be vulnerable. So NIST held a competition to post-quantum cryptography to maintain safety even after the development of quantum computers, and NTRU, McEliece, UOV, and Rainbow were submitted as candidates. NTRUEncrypt, an encrypted version of NTRU, was already adopted as a standard in IEEE P1363.1 in 2008.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NTRUEncrypt. NTRUEncrypt is defined over a polynomial ring, and the performance of multiplication operations during encryption and decryption dominates the overall performance. NTRUEncrypt generates polynomials with only coefficients {0, 1, -1} and multiplies them during encryption and decryption. This polynomial was used to perform index-based polynomial multiplication. In 2017, Pyo et al. proposed a method to speed up multiplication by applying a sliding window method instead of the index-based polynomial multiplication. In this paper, we define new window patterns that cover coefficients 1 and -1 together to make Pyo's method more efficient. Using them, we propose an improved sliding window method that improves the computational speed and adds side channel attack countermeasures against timing analysis and power analysis. For the timing analysis attack countermeasure, the execution time of the multiplication operation was kept constant even if the sliding window was applied. For the power analysis attack countermeasure, the values are initialized to a random number and the operation order was randomly permuted. Using a Markov chain analysis method, the optimal window size was estimate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optimal window size obtained through experiments. The proposed method improves by up to 5.4% compared to the polynomial multiplication using the previous sliding window method, and when applied to NTRUEncrypt, it improves the encryption and decryption speeds by up to 4.2% and 4.6%, respectively.

      • 액정의 광 변조 특성의 응용에 관한 해석학적 연구

        김태현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액정의 광 변조 특성에 이용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안하고 이에 대한 광학적 해석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바탕으로 제안한 시스템이 보인 우수한 특성을 확인하였다. 먼저 액정의 광 변조 (light modulation) 특성에 기반한 액정전계 (electric-field-driven liquid crystal; ELC) 렌즈 디퓨저 (diffuser) 를 사용하여 사용자 환경에 맞게 액정디스플레이 (liquid crystal display; LCD) 의 시야각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시스템은 quasi-collimated backlight (QCBL) 을 사용한 액정 패널에 ELC 디퓨저를 부착하여 구성하였으며 ELC 디퓨저의 retardation을 전기적으로 조절함으로써 넓은 시야각과 좁은 시야각을 선택적으로 구현하였다. ELC 디퓨저의 설계인자인 전극구조와 셀 두께 (cell gap), 그리고 인가전압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다구찌 (Taguchi) 실험계획법을 사용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넓은 시야각의 이상적인 람버시안(Lambertian) 분포를 구현할 수 있도록 ELC 디퓨저의 retardation분포를 구하였다. ELC 디퓨저의 retardation분포를 결정하는 액정분자의 거동을 수치적으로 계산하기 위해 de Gennes의 order tensor와 Erickson-Leslie의 운동방정식을 이용하였으며 LCD 시스템의 광분포는 광선추적법으로 계산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ELC diffuser를 적용한 LCD시스템의 넓은 시야각 모드에서의 광 분포는 이상적인 Lambertian 분포 대비 84.3%의 유사성을 보였으며 넓은 시야각 특성을 갖는 IPS-LCD 이상의 시야각을 나타냈다. 또한, retardation의 변화 없이 QCBL의 좁은 광분포가 그대로 투과하는 좁은 시야각 모드에서는 광분포의 full width at half maximum(FWHM) 이 ±7도를 보였으며 시야각 20도 이상에서의 출사광의 luminance가 대부분 0에 가깝게 계산되었다. 이로부터 QCBL의 출력광이 ELC diffuser를 그대로 통과하여 제안한 LCD 시스템이 좁은 시야각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Fourier 홀로그램 재생에 가변초점 ELC Fresnel 렌즈를 적용하여 홀로그램 재생 거리를 제어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가변초점 ELC 렌즈는 두께와 응답속도를 줄이기 위해 Fresnel 렌즈의 형태로 제작하였으며 렌즈의 retardation은 렌즈의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른 액정의 거동을 계산하여 구하였다. ELC렌즈의 초점거리는 이상적인 렌즈의 retardation을 갖도록 렌즈의 각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을 적절히 조절함으로써 제어하였다. ELC렌즈의 수렴 성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파면 에러의 RMS 값을 계산하였다. 계산 결과 초점거리가 증가할수록 RMS 값이 감소하여 이상적인 렌즈에 근접했다. ELC렌즈를 적용한 Fourier 홀로그램의 이미지 평면에서의 재생영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Fresnel diffraction integral을 사용하여 공간 광 변조기 (spatial light modulator; SLM) 회절무늬와 ELC렌즈를 통과한 field를 시뮬레이션 하였다. 시뮬레이션에서 사용한 SLM은 해상도가 1920 × 1080이고 pixel pitch가 4 μm인 액정 패널이며 기준광의 파장은 632.8 nm 이다. 시뮬레이션 결과 ELC프레넬렌즈를 사용함으로써 홀로그램 재생 영상의 재생위치를 가변하면서 동시에 양호한 품질의 3차원 영상을 구현할 수 있음을 보였다. 또한, 초점거리가 짧아질수록 렌즈를 통과하는 빛의 파면 에러가 증가하였고, 이로 인해 홀로그램 재생영상의 품질저하가 발생하였다. 계산 결과, 양호한 품질의 홀로그램 이미지를 재생하기 위해서는 파면 에러의 RMS가 적어도 1파장이하인 0.3 m이상의 초점거리를 갖는 ELC렌즈가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is study, various application systems using the light modulation characteristics of the liquid crystal were presented and the methods of analysis with simulation were introduced. Based on the simulation results, the validity of study was also verified by comparing with conventional system. First, a novel method is proposed for appropriately controlling the viewing angle of liquid crystal displays (LCDs) for various usage environments by using electric-field-driven liquid crystal (ELC) lenses. The proposed system was composed of quasi-collimated backlights (QCBLs), LC panels, and ELC lenses that are used as diffusers. To achieve a wide viewing angle, light is diffused with the ELC lenses by controlling its retardation with the voltage applied to the electrodes. For private use, a narrow viewing angle is achieved by turning the ELC lenses off so that the collimated light from the QCBLs passes directly through the liquid-crystal layer of the ELC lens and travels without diffusion. To validate the proposed method, we simulated the luminance distributions of the wide-view and narrow-view modes by using a finite difference method (FDM) and Taguchi’s design of experiments method.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light distribution of the wide-view mode was 84.3% similar to the ideal Lambertian distribution and was wider than that of IPS-LCDs with wide viewing angle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he light distribution of the narrow-view mode had a full width at half maximum of 7°. The luminance of the exiting light at viewing angles of 20° and above was calculated to be close to 0. Finally, a novel method is proposed for controlling the distance of an image plane in Fourier holograms using varifocal electric-field-driven liquid-crystal (ELC) lenses. Phase Fresnel lenses are employed to reduce the thickness and response time of the ELC lenses. The voltages applied to the electrodes of the ELC Fresnel lens are adjusted so that the lens has the same retardation distribution as an ideal lens. The focal length can be controlled by changing the retardation distribution with the applied voltages. Simulations were conducted for the image reconstruction of Fourier holograms with various focal lengths of the ELC Fresnel lens. The simulation results indicate that the distance of the image plane can be properly controlled with the varifocal ELC Fresnel lens.

      • 여성영웅소설 교육 연구 : 남성영웅소설 교육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태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roblems of female hero novel education and suggest its desirable orientation in the future through the comparison with male hero novel education. There are three reasons for comparing male hero novel education with female hero novel education. First, there were few studies that compared female hero novels with other types in terms of education. Especially male and female hero novels are very similar as hero novel, there is no study comparing the two types of education in earnest. Second, most researches on female hero novel education, focused on individual novel rather than its type. To review the overall educational implications of this type of novel, comparative studies seems to be needed. Third, the number and types of male and female hero novels in textbooks are changing. It is necessary to evaluate whether these changes are reflected in the educational contents.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hero novels in middle school textbooks, high school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textbooks reflecting the 2011 and 2015-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s. In terms of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hero novels, first of all, hero novels allow us to grasp the historical continuity of Korean literature since legendary age. Second, hero novels reveal the general value and desires that people pursue. Third, in the case of the late Chosun Dynasty, hero novels show contradiction of society and confusion of value. Female hero novels also share such educational significance. Futhermore they have additional educational implications to raise a question on the gender discrimination of the day and to break gender stereotypes. This study compares the way in which these female and male hero novels are represented in textbooks. In order to compare learning activities on the same standard, the study examined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hero novels in the textbooks and compared them by the characteristics of 'aspects of conflicts',' ‘social· cultural· historical contexts’, ‘features of narrative strands’, ‘the nature and succession of Korean literature’, 'acceptance contexts', 'autonomous evaluation', and 'creative reorganization of the novel'. First, achievement standards and learning activities of male hero novels were checked. For male hero novels, "Hong Gil Dong Jeon" showed the most diverse achievement standards. In terms of learning activities, it was also the most diverse, and the cause of the conflict was mainly interpreted as a social factor. With respect to acceptance, "Hong Gil Dong Jeon", "Yoo Chung Ryul Jeon", and "So Dae Sung Jeon" all had connection with today's society, however, unlike the other two works, only "Hong Gil Dong Jeon" had connection with learners. Creative reorganization and autonomous evaluation also appeared only in "Hong Gil-dong Jeon". On the contrary, for female hero novels, the aspects of conflicts were not well revealed in learning activities and their cause was interpreted as personal factor. In terms of acceptance of learners, it could not reach an activity standard reminding learners of their own experiences, such as "Hong Gil Dong Jeon”. The analysis on the differences of the male and female hero novels is as follows. First, while there was no huge difference in the distribution of achievement standards, there were three major differences in learning activities. First, in the aspect of conflict, in the case of "Hong Gil Dong Jeon" its cause was interpreted as a social factor and induced learners to grasp it. On the other hand, for "Park Ssi Jeon" the domestic conflict was described as a personal factor rather than a social factor. Second, in relation to the problems of modern society, the activities of "Hong Gil Dong Jeon" mainly promoted learners’ individual thinking in his actual situation from the viewpoint of Gil Dong, whereas those of "Park Ssi Jeon" and "Hong Gyeo Wol Jeon” were limited to the connection to social problems. Third,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creative reorganization activities. In the case of "Hong Gil Dong Jeon", it was recommended to recognize Gil Dong is a hero who can solve today's problems. But in the case of "Hong Gyeo Wol Jeon" reorganization activity was limited to suggest 'the relation with a man' as an example. Based on the analysis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e educational directions and the example of learning activities of female hero novels in the future. For the education of female hero novels, even if the contents of the work deal with overcoming individual hardship, it is necessary for learners to point out the social factors. Second, learning activity is needed to connect them with their individual experiences and lives. Finally, in creative reorganization activities, various aspects of female hero novels, such as the heroic adventures, should be emphasized, rather than focusing only on achieving-love narratives In this research process, it is confirmed that there is weakness of female hero novel education compared to male hero novel education. In learning activities understanding the aspects of conflicts were restricted to individual factors and were not well linked to learners’ personal experiences. Moreover, this study revealed shortcomings in the reorganization activitie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several ways to improve those problems. Given that the upcoming textbooks of the 2015-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for other grades are likely to have improvement, this study cannot clarify the learning experiences of the actual learners by simply identifying the representation of current textbooks. It is expected that the limitation can be complemented by future research. 본 연구는 남성영웅소설 교육과의 비교를 통해 그동안의 여성영웅소설 교육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찾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바람직한 교육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남성영웅소설과 비교연구를 하는 이유는 세 가지 이다. 첫째, 교육 측면에서 여성영웅소설 유형에 대한 비교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특히 영웅소설로서 매우 유사한 남성영웅소설 교육과 비교한 연구는 찾기 어려웠다. 둘째, 여성영웅소설 교육 연구는 유형을 다루기보다는 개별 작품에 대한 연구가 많았다. 이러한 유형의 소설이 갖는 전반적인 교육적 의의를 재검토하기 위해서라도 유형을 비교하는 연구가 필요해 보인다. 셋째, 교과서 내에서 남성영웅소설과 여성영웅소설은 그 수록 작품의 수와 종류에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데 이러한 변화가 교육 내용에 있어서도 일어나는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연구 대상은 2011년 개정 교육과정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을 반영한 중학교 국어 교과서, 고등학교 국어 및 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영웅소설 작품을 대상으로 삼았다. 영웅소설이 갖는 교육적 의의로는 무엇보다 신화에서부터 이어지고 있는 우리 문학사의 연속성을 보여준다는 점이다. 둘째, 영웅소설은 인류가 보편적으로 추구해 온 가치나 소망을 보여주고 있다는 것이다. 셋째로는 조선 후기 영웅소설의 경우에는 당시 사회의 여러 가지 모순과 가치의 혼란을 잘 보여준다는 점이다. 여성영웅소설도 이러한 영웅소설의 일반적인 교육적 의의를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더해 당대의 성차별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고 성 고정관념을 깨뜨리는 데에 기여한다는 또 다른 의의를 갖는다. 본 연구는 남녀영웅소설이 교과서에 구현된 양상을 서로 비교하였다. 학습활동을 같은 기준에서 비교하기 위해서 교과서 수록 영웅소설의 해당 성취기준을 살펴보고 그 내용에 따라 ‘갈등의 양상’, ‘사회적·문화적·역사적 배경’, ‘서사 갈래의 특징’, ‘한국 문학의 전통과 특질’, ‘문학의 수용’, ‘주체적인 평가’, ‘문학의 창작’이라는 내용으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먼저 남성영웅소설의 성취기준과 학습활동 양상을 확인하였다. 남성영웅소설은 「홍길동전」이 가장 다양한 성취기준을 보여주고 있었다. 또 학습활동 역시 「홍길동전」이 가장 다양하게 나타났는데 갈등의 원인은 사회적인 요인에서 찾는 경우가 많았다. 수용 측면은 「홍길동전」, 「유충렬전」, 「소대성전」이 모두 오늘날의 사회와 연결시켜 생각하는 부분이 있었지만 「홍길동전」처럼 학습자와 연결시키는 활동은 다른 두 작품에는 없었다. 창작이나 주체적인 평가 역시 「홍길동전」에만 나타나고 있다. 반면 여성영웅소설에서는 학습활동에서 갈등의 양상을 잘 다루지 않거나 갈등의 원인이 개인적 요인에서 비롯된 것처럼 서술하고 있다. 또 학습자의 수용 측면에서는 「홍길동전」처럼 학습자가 스스로 자신의 경험을 떠올리는 등의 활동에는 이르지 못했다. 이를 통해서 남녀영웅소설의 차이를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성취기준의 분포로는 큰 차이가 없었지만 학습활동에서는 크게 세 가지 차이점이 나타났다. 첫째, 갈등의 양상을 다룰 때, 「홍길동전」 등에서는 그 원인을 사회적인 요인에서 찾고, 이를 학습자들이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있었지만 「박씨전」에서는 가정에서의 갈등 문제에 대하여 사회적 요인보다는 개인적 요인으로 서술하고 있는 경향이 나타났다. 둘째, 오늘날의 문제와 연결시켜 수용하는 데에 있어 「홍길동전」은 길동의 입장이 되어보거나, 길동의 상황에서 생각해보는 활동이 많이 나타났지만 「박씨전」과 「홍계월전」은 사회문제와 연결시키는 데에 그쳤다. 셋째, 창의적으로 재구성하는 활동에 있어서도 차이가 있다. 「홍길동전」의 경우, 학생들에게 오늘날 문제를 해결할 영웅적 인물로 재구성해보도록 하고 있는 반면 「홍계월전」의 경우 재구성의 예시를 남성인물과의 관계로 보여주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향후 우리가 지향할 여성영웅소설 교육 방향을 제안하고, 학습활동 예시를 제시하였다. 먼저 여성영웅소설 교육에 있어서는 작품 속 내용이 비록 주인공에게 주어진 고난을 개인적으로 극복하는 것이라 할지라도 학습자들에게는 사회적 요인을 짚어주어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학습자의 경험을 반영할 수 있는 학습활동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마지막으로 창의적으로 재구성할 때 여성영웅소설에서 애정 성취 서사에만 집중하지 말고, 영웅적 활약상 장면 등 다양한 측면에서 재구성 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남성영웅소설 교육에 비해 여성영웅소설 교육에 부족한 점이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학습활동에서 갈등의 양상을 개인적 요인에서 파악하고 있는 점이나 학습자의 경험과 연결시키지 못하는 점, 그리고 재구성 활동이 애정 문제 등에 국한되어 있는 점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이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몇 가지 방안을 제안하였다. 다만 곧 나올 다른 학년의 2015 교육과정 교과서에서는 이러한 점이 개선될 여지가 있으며, 본고에서는 교과서의 구현 양상을 파악하는 데에 그쳐 실제 학습자가 현장에서 겪는 학습 상황에 대해서는 파악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앞으로 이를 보완하는 많은 연구가 있기를 기대한다.

      • 강섬유를 보강한 순환골재 콘크리트충전 용접조립 각형강관 기둥의 전단성능에 관한 연구

        김태현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재건축과 도시 인프라 구축을 위한 노후 시설물의 철거 및 해체로 인한 건설폐기물의 발생량은 해 마다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환경부의 2019년 연도별 폐기물 발생 현황에 따르면 ‘19년도 총 폐기물 발생량(497,238톤/일)은 전년도 대비 약 11.5% 증가하고 있으며, 그중 건설폐기물(221,102톤/일)은 약 44%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천연골재의 무분별한 채취와 수도권 매립지의 사용종료 예정으로 인해 매립시설의 부족이 예상됨에 따라 환경오염 및 자원고갈 문제의 대체자원으로 순환골재의 활용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정부는 순환골재를 건축물의 신축공사를 위한 골조 공사에 활용하면 용적률 및 높이 완화 등 순환골재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내세우고 있다. 그러나 순환골재를 구조부재로 활용하기에는 품질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좋지 않으며, 불안정한 구조성능으로 인해 콘크리트용이 아닌 주로 부가가치가 낮은 도로공사용이나 성·복토용 등의 용도에만 국한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콘크리트용 순환골재의 활용성이 제한적인 이유는 기존 구조물의 철거 및 파·분쇄 과정에서 남아있는 순환골재 표면의 시멘트 페이스트가 원인이며, 이로 인해 골재의 흡수율이 높아지고 밀도가 낮아짐에 따라 천연골재 대비 내력 및 내구성이 저하된다. 또한 Shrinkage 및 Creep 현상 등이 증대되어 콘크리트 골재로 사용시 취성적인 성질 등에 취약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순환골재 콘크리트의 구조적 성능 개선과 동시에 합성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순환골재 콘크리트에 강섬유를 혼입하여, 강섬유가 가진 재료적 특성에 따라 순환골재 콘크리트의 구조적 단점과 역학적 특성을 개선하고자 한다. 또한, 용접조립 각형강관에 충전하여 강관 구속효과에 따른 순환골재 콘크리트의 구조적 성능을 개선하고자 한다. 이와 같이 강섬유 보강 용접조립 각형강관 기둥의 전단성능 검토를 위한 실험을 수행하여 탄성 및 비탄성 영역에서의 전단성능과 거동을 평가하고 각 변수(강섬유 혼입, 골재종류, 전단스팬비, 엔드플레이트 장착)들이 전단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분석하여 구조부재 사용에 대한 적합성을 검토하였다. 강섬유 보강 순환골재 콘크리트충전 용접조립 각형강관의 전단성능 실험 및 분석 결과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콘크리트의 재료별 압축강도는 재령일 7일, 14일, 28일의 양생기간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일반적인 거동을 나타내었으며, 재령일 28일 기준 강섬유 순환골재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가 무보강 순환골재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보다 미비하지만 약 9%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이는 순환골재 콘크리트에 강섬유를 보강함에 따라 압축응력에 의해 발생되는 미세균열의 진전 억제가 작용되어 무보강 순환골재 콘크리트보다 압축성능이 개선되었다고 판단된다. (2) 모든 실험체의 하중-변위 관계는 하중과 변위가 비례하게 증가하는 탄성거동을 나타내었으며, 항복 이후에도 완만한 소성거동을 나타내었다. 실험값과 국내 건축물 강구조 설계기준인 KDS 41 31 00의 전단설계식 및 평가식의 예측값을 무차원화 하여 비교한 결과, 실험값이 설계식보다 2.27배~2.66배 높은 값이 나타났으며, 실험값과 평가식의 비교에서는 1.37배~1.54배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는 강관과 콘크리트의 전단강도를 모두 고려한 평가식에서 실험값과 더 가까운 값을 보여 각형CFT의 전단강도 산정 시 콘크리트의 전단강도를 반영함이 합리적인 설계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3) 순환골재 콘크리트충전 실험체에 강섬유보강 시 실험값에 의해 1.03~1.07배 전단강도가 증진되는 것을 알수 있다. 또한, 실험값과 평가식의 예측값을 비교하여 순환골재 콘크리트 충전 실험체는 실험값이 설계식보다 1.37~1.47배 전단강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강섬유보강 순환골재 콘크리트 충전 실험체는 1.46~1.52배 높은 전단강도를 나타내었다. 이는 콘크리트 내부의 강섬유의 가교작용으로 전단에 의한 사인장균열을 억제하고 응력을 재분배하기 때문에 전단성능이 증진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4) 실험체 양 끝단의 엔드플레이트 부착 시 전단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엔드플레이트 부착 유무를 변수로 설정하여 비교하였을 때,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실험값과 평가식 예측값을 비교 시 천연골재 콘크리트 충전 실험체에서 1.52배~1.54배, 순환골재 콘크리트 충전 실험체에서 1.47배로 나타났으며, 강섬유보강 순환골재 콘크리트 충전 실험체는 1.50~1.52배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엔드플레이트의 부착 유무가 전단강도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판단된다. (5) 순환골재 콘크리트 충전 실험체는 천연골재 콘크리트 충전 실험체와 동일하게 전단스팬비가 증가할수록 전단 강도가 낮아짐을 확인하였다. 실험값과 평가식 예측값 비교 시 전단스팬비가 증가할수록 천연골재 콘크리트 충전 실험체는 0.93배 감소하였으며, 순환골재 콘크리트 충전 실험체는 0.90배 감소, 강섬유보강 순환골재 콘크리트 충전 실험체는 0.96배 감소하여 강섬유보강 시 전단성능의 감소율은 현저히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전단스팬비가 증가할 때 전단파괴를 휨파괴에서 전단파괴로 유도함에 따라 강섬유보강 시 전단강도 증진효과가 향상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6) 실험체의 응력-변형률은 순환골재 콘크리트 충전 실험체의 변형률이 커지는 경향을 나타내었지만, 실험체가 전단응력 150MPa 받을 때 까지 각 실험체의 변형률 차이는 0.0001미만으로 나타났다. 실험체의 전단응력이 증가할수록 콘크리트의 재료 구성 변화보다는 전단스팬비의 증가에 의해 변형률이 증가하는 영향을 나타내었다. (7) 강관 내부 콘크리트의 파괴시의 변형률을 0.003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순환골재 콘크리트 충전 실험체의 경우 전단응력이 저하하였지만, 강섬유를 보강함에 따라 전단응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강섬유보강 효과에 따라 응력을 받을 때 다공층에서 콘크리트와 강섬유간의 풀림 현상으로 인하여 사균열전단응력이 증가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Recently, the amount of construction waste generated by the demolition and dismantling of old facilities for reconstruction and urban infrastructure construction for improv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s gradually increasing every year. According to the current status of waste generation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n 2019, the total amount of waste generated in 2019 (497,238 tons/day) increased by about 11.5% compared to the previous year, and construction waste (221,102 tons/day) accounts for about 44%. In addition, as the shortage of reclamation facilities is expected due to the reckless collection of natural aggregates and the planned termination of landfills in the metropolitan area, social interest in using recycled aggregates as an alternative resource for envirnmental pollution and resource depletion is increasing The government is proposing various policies to revitalize recycled aggregate, such as reducing floor area ratio and height, when recycled aggregate is used for frame work for new construction. However, the social awareness of quality is not good for using recycled aggregate as a structural member, and due to unstable structural performance, it is mainly used for road construction with low added value, and is limited to uses such as construction and covering, not for concrete. The limited usability of recycled aggregate for concrete is due to the cement paste on the surface of the recycled aggregate remaining in the process of demolishing and crushing existing structures. and durability is reduced. In addition, shrinkage and creep phenomena are increased, so it has the disadvantage of being vulnerable to brittle properties when used as a concrete aggregate. In this study, as a method to improve the structural performance of recycled aggregate concrete and increase the synthesis effect at the same time, steel fibers were incorporated into recycled aggregate concrete to improve the structural disadvantages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recycled aggregate concrete according to the material properties of the steel fibers. In addition, it is intended to improve the structural performance of recycled aggregate concrete according to the steel columns restraint effect by filling the welded-assembled rectangular steel columns. In this way,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review the shear performance of the steel fiber reinforced welded-assembled rectangular steel pipe column to evaluate the shear performance and behavior in the elastic and inelastic regions, and each variable (steel fiber mixing, aggregate type, shear span ratio, and end plate installation) was The suitability for use of structural members was reviewed by analyzing the effect on shear performance. The conclusions obtained through the shear performance test and analysis results of the steel fiber reinforced recycled aggregate concrete filled welded-assembled rectangular steel columns are as follows. (1) The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by material showed a general behavior that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curing period of 7 days, 14 days, and 28 days of age. It was confirmed that the compressive strength was less than that of the compressive strength, but improved by about 9%. It is judged that the compression performance is improved compared to that of non-reinforced recycled aggregate concrete as steel fibers are reinforced in recycled aggregate concrete to suppress the progress of micro cracks caused by compressive stress. (2) The load-displacement relationship of all specimens showed elastic behavior with proportionally increased load and displacement, and showed gentle plastic behavior even after yielding. As a result of dimensionless comparison of the experimental value and the predicted values ​​of the shear design equation and evaluation equation of KDS 41 31 00, the domestic building steel structure design standard, the experimental value was 2.27 to 2.66 times higher than the design equation, and the experimental value and the evaluation equation In the comparison of , the values ​​were 1.37 to 1.54 times higher. This is closer to the experimental value in the evaluation formula that considers both the shear strength of steel pipe and concrete, so it is judged that a reasonable design is possible by reflecting the shear strength of concrete when calculating the shear strength of prismatic CFT. (3) It can be seen that the shear strength is increased by 1.03 to 1.07 times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value when the steel fiber is reinforced in the recycled aggregate concrete filling specimen. In addition, by comparing the experimental value and the predicted value of the evaluation formula, the specimen filled with recycled aggregate concrete showed 1.37 to 1.47 times higher shear strength than the design formula, and the specimen filled with steel fiber reinforced recycled aggregate concrete showed a shear strength that was 1.46 to 1.52 times higher. indicated. It is judged that the shear performance is improved because the crosslinking action of the steel fibers inside the concrete suppresses sinusoidal cracking caused by shear and redistributes the stress. (4)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n shear strength when attaching the end plates to both ends of the specimen, similar results were obtained when comparing whether or not the end plates were attached as a variable. Also, when comparing the experimental value and the predicted value of the evaluation formula, it was found to be 1.52 to 1.54 times higher in the natural aggregate concrete filling test sample, 1.47 times higher in the recycled aggregate concrete filling test sample, and 1.50 to 1.52 times higher in the steel fiber reinforced recycled aggregate concrete filling test sample. As such, it is judged that the effect of the attachment of the end plate on the shear strength is insignificant. (5) It was confirmed that the shear strength of the recycled aggregate concrete filled specimen decreased as the shear span ratio increased in the same way as the natural aggregate concrete filled specimen. When the experimental value and the evaluation formula predicted value were compared, as the shear span ratio increased, the natural aggregate concrete filled specimen decreased 0.93 times, the recycled aggregate concrete filled specimen decreased 0.90 times, and the steel fiber reinforced recycled aggregate concrete filled specimen decreased 0.96 times. It can be seen that the rate of decrease is significantly reduced. It is judged that when the shear span ratio is increased, the shear strength enhancement effect is improved when the steel fiber is reinforced as the shear failure is induced from the flexural failure to the shear failure. (6) The stress-strain of the specimen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in the strain rate of the specimen filled with recycled aggregate concrete, but the difference in strain of each specimen was less than 0.0001 until the specimen received a shear stress of 150 MPa. As the shear stress of the specimen increased, it was shown that the strain increased by the increase of the shear span ratio rather than the change in the material composition of concrete. (7) When the strain rate at the time of destruction of the concrete inside the steel pipe was set as 0.003, the shear stress decreased in the case of the recycled aggregate concrete filled specimen, but it was found that the shear stress increased as the steel fiber was reinforced. It is judged that the dead crack shear stress increases due to the annealing phenomenon between the concrete and the steel fiber in the porous layer when subjected to stress according to the steel fiber reinforcement effect.

      •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및 흑연 비율에 따른 리튬 이차 전지 음극 슬러리의 분산 안정성 및 유변물성 연구

        김태현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With the fact that the interest of secondary batteries is increasing, the stability and efficiency of lithium secondary batteries are being enhanced toward to a positive direction. Understanding the dispersion of the electrode slurry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coating process is directly related to the performance of the electrode. In the case of an anode using graphite as an active material, sodium carboxymethyl cellulose (CMC) is used as a binder due to the low dispersibility of graphite in a water system. In this thesis, both rheometer and zeta potential tester, which can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battery slurry according to the molecular weight of CMC and the content of CMC, were used for analysis. The dispersibility of CMC-based graphite slurries was evaluated by measuring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graphite slurries for two different CMCs. The high molecular weight CMC-based graphite slurry showed better dispersion stability with a relative viscosity closer to 1. In addition, a dispersion evaluation method was established to measure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solution, slurry, and supernatant, and to evaluate the adsorption of CMC to graphite in the slurry depending on the solid content by us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heological behaviors. As a result of zeta-potential measurement, when the ratio of graphite and CMC increased from 99.2:0.8 to 99.1:0.9, the zeta-potential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44.27mV to -54.68mV. Through the viscosity of the CMC soluti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viscosity of CMC and the weight percent was expressed in the form of an exponential function, and a method for evaluating the amount of adsorption between CMC and graphite was established using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the supernatant. As a result of evaluating the adsorption amount of the slurry according to CMC weight percent using the set evaluation method, the degree of adsorption increased from 0.005 to 0.41 as the ratio of graphite to CMC increased from 99.9:0.1 to 99.0:1.0. Similar to the zeta potential result, a large adsorption amount increased in the section where the weight percent of CMC was 0.8-0.9. 이차전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리튬 이차 전지의 안정성과 효율은 긍정적인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제조 공정 및 코팅 공정에서 전극 슬러리의 분산을 이해하는 것은 전극의 성능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흑연을 활물질로 사용하는 음극의 경우 수계에서 흑연의 분산성이 낮아 바인더로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CMC)를 사용한다. 본 논문에서는 CMC의 분자량과 CMC의 함량에 따른 전지 슬러리의 특성을 평가할 수 있는 레오미터와 Zeta Potential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두가지 CMC에 따른 흑연 슬러리의 유변 특성 측정을 통해 CMC 기반 흑연 슬러리의 분산성을 평가하였다. 고분자량의 CMC 기반 흑연 슬러리가 더 1에 가까운 상대 점도를 나타내 고분자량 CMC 기반 흑연 슬러리가 더 뛰어난 분산 안정성을 보였다. 또한 솔루션, 슬러리, supernatant간의 유변학적 특성을 측정하고, 유변 거동간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고형분에 따른 슬러리 내부에서의 흑연에 대한 CMC의 흡착을 평가하는 분산 평가 방법을 정립하였다. 제타 전위 측정 결과 흑연과 CMC의 비율을 99.2:0.8에서 99.1:0.9로 증가시켰을 때 제타 전위는 -44.27mV에서 -54.68mV로 크게 증가하였다. CMC 솔루션의 점도를 통해 중량 퍼센트와 CMC의 점도 간에 상관관계는 지수함수로 표현되었으며 상층액의 유변학적 특성을 이용하여 CMC와 흑연 사이의 흡착량을 평가하는 방법을 정립하였다. 설정된 평가법을 이용하여 슬러리의 흡착량을 CMC 중량%에 따라 평가한 결과, 흑연과 CMC의 비율이 99.9:0.1에서 99.0:1.0으로 증가할 수록 흡착 정도는 0.005에서 0.41로 증가하였다. 제타 전위 결과와 유사하게 CMC의 중량%가 0.8-0.9인 구간에서 큰 흡착량의 증가가 발생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