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촉매연소를 이용한 수소버너의 작동 특성에 관한 연구

        김태영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paper considers some comparisons of characteristic of catalyst combustion between a single layer of platinum catalyst, double layer of platinum and nickel catalysts and mixture of platinum and nickel catalysts. Some experiments of temperature distribution at different positions and characteristic of combustion in low temperature region were done in order to find an applicable possibility as a house-cooking burner. 오늘날 인류는 인구의 증가와 산업의 고도화로 인한 에너지 소비의 급격한 증가로 화석연료의 고갈과 환경오염의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수소는 물로부터 얻을 수 있는 무한한 자원량과 청정에너지라는 점에서 현재의 에너지문제를 해결할 대체에너지원으로 크게 각광받고 있다. 이미 수소연료전지 자동차는 상용화 의 단계에 있으며, 수소생산과 저장에 관한 연구가 세계적으로 활발하게 이루어 지고 있다. 수소의 독특한 특징 중 하나는 백금이나 팔라듐 같은 촉매가 소량만 있으면 불꽃이 나지 않는 연소,즉 촉매연소를 하는 점이다.수소를 연료로하는 촉매연소는 친환경적이며 안정성이 높다. 본 연구는 가정에서 사용할 수 있는 조리용 버너를 제작하여 활용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해 Pt만 사용한 촉매, Pt와 Ni을 이중층으로 만든 촉매, Pt와 Ni을 혼합하여 만든 촉매의 연소 특성을 비교하고 연소기에서 위치별 온도 분포, 저온영역에서 연소 특성을 실험하고 고찰하였다.

      • 고교 학업중단 병사의 학력보완을 위한 학습참여에 관한 연구 : 검정고시 합격 병사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태영 숭실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learning participation for scholastic ability supplementation of non-educated soldiers. Subjects of the study are `how is the learning progress of scholastic ability supplementation for non-educated soldiers?' and `what is the meaning of educational motive of learning progress for non-educated soldiers?' and it is accomplished by the `basis-theory' method suggested by Corbin and Strauss. Participants for this study are fifteen of non-educated soldiers, who have experienced life-long support while serving in the army, and also succeeded passing General Education Development for college entrance. Data are collected based on relative data of GED, web-sites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booklets and official documents of supplementation of GED in army and observation and important interviews to create theory. Contents of interview are based on procedures of `basis-theory' through recording and proceeded by data-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ed; Firstly, there are 11 categories, 25 sub-categories and 92 concepts due to the result of open coding. Secondly, based on the analysis of paradigm category in axial coding, causal conditions are `unstability of household and community' and `experiencing severance of learning' and contextual condition is finding the new self while serving in the army'. The central process is `expecting new life through GED' and `showing one's true feelings by conversation' is an intervening option. Also, `creation of a burden on education', `executives and men of courage are given attention and support', `active utilization of cyber network room' and `achievement of continuous educational support and inspiration' have led to an interaction strategy to be appeared. As a result, there is a change in improvement by `succeeding the GED while serving in the army' and 'gaining a new goal in one's life'. Thirdly, as a result of selective coding, `expecting new life through GED' is the main category of course and learning participation through life-long education of non-educated soldiers who have not finished highschools. Fourthly, process analysis is a stage where individuals accept a new challenge after joining the army which is influenced by persuasion and encouragement from acquaintance. Active stage followed by variations is a stage where new variations extend and manage the assimilated. Discord stage is where they experience hardship through new defiance and new procedure. Seed-creation stage is where they find self-confidence and hopeful future through satisfaction by overcoming new challenges and discord. Fifthly, an individual influential factor during the learning participation and process of GED while serving in the army because of the casual matrix is self-development and spontaneous participation through national support. The organizational influential factor is an individual's self-development contributes to national growth and it is a national -scaled policy promotion. There have been less interest on learning-participation to supplement scholastic ability of non-educated soldiers who have not finished highschools, beginning with this study however, it will suggest a new solution for those soldiers who are vulnerable to life-long education and for life-long learning society realization. 본 연구는 고교 학업중단 병사의 학력보완을 위한 학습참여에 관하여 연구하는 것이다. 연구문제는 ‘고교 학업중단 병사의 학력보완을 위한 학습 참여의 의미는 어떠한가?’와 ‘고교 학업중단 병사의 학력보완을 위한 학습과정은 어떠한가?’로 Corbin과 Strauss가 제시한 근거이론방법으로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고교 학업중단 병사로서, 군 복무중 군 평생학습 지원을 받은 경험이 있고, 군 복무중 고졸 검정고시 합격경험이 있는 14명이다. 자료 수집은 2013년 5월부터 2014년 4월까지 12개월 동안 군 복무중 고졸 검정고시 관련 자료, 군 인적 자원개발 홈페이지, 군 검정고시 지원 홍보물과 공문서, 그리고 이론 생성에서 가장 중요한 인터뷰, 관찰로 이루어졌다. 인터뷰 내용은 녹음과 기록을 하여 근거이론의 절차에 따라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고,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방 코딩 결과로 92개의 개념과 25개의 하위범주 그리고 11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둘째, 축 코딩에서 패러다임의 범주 분석결과를 보면 인과적 조건은 ‘가정과 사회적으로 불안정함’과 ‘학습의 단절을 경험함’이었고, ‘군 복무중 새로운 자아를 발견함’은 맥락적 조건이었다. 중심 현상은 ‘검정고시를 통해 변화되는 삶을 기대함’이었고, ‘면담을 통해 내면을 보임’은 중재적 조건이었다. 또한, ‘학습에 대한 부담감이 생김’과 ‘간부와 용사들의 관심과 지원을 받음’ 그리고 ‘사이버 지식정보방을 적극 활용함’과 ‘지속적인 학습지원과 격려가 이루어짐’은 작용/상호작용 전략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로 ‘군 복무중 고졸 검정고시에 합격함’과 ‘인생에 새로운 목표가 생김’으로 발전하는 변화가 일어나게 되었다. 셋째, 선택 코딩 결과를 보면, 고교 학업중단 병사의 군 평생학습을 통한 학습참여 및 과정의 핵심 범주는 ‘검정고시를 통해 변화되는 삶을 기대함’이었다. 넷째, 과정분석은 군 입대후, 주변의 권유와 독려로 새로운 도전을 받아들이는 단계이다. 변화에 발맞춘 활동 단계는 새로운 변화가 유입된 것을 관리하고 확대하는 단계이다. 갈등 단계에는 새로운 도전과 과정에서 힘들고 어려움을 겪는 단계이다. 종자 생성 단계는 새로운 도전과 갈등을 이겨내고 이루어냄으로써, 만족감을 통해 자신감과 더 나아갈 수 있는 희망적인 미래를 발견하는 단계이다. 다섯째, 조건/결과 매트릭스에 의한 군 복무중 고졸 검정고시 학습 참여 및 과정에서 개인 차원의 영향요인은 국가적인 지원을 통한 자기발전과 자발적인 참여였다. 조직 차원의 영향요인은 개인의 자기개발이 국가의 발전에 이바지한다는 국가적 차원에서의 정책 추진이었다. 고교 학업중단 병사의 학력보완을 위한 학습참여에 관한 연구가 본 연구 이전에는 찾아보기 어려웠으나, 본 연구를 시작으로 군 복무중 평생교육 취약계층과 군 평생학습사회 구현을 위한 새로운 연구로 이어져 군 평생학습사회를 구현하는 데 하나의 방안을 제시하게 될 것이다.

      • 주거권 실현을 위한 주거비 지원의 법적 고찰

        김태영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housing supply ratio, which refers to the ratio of housing units relative to the number of household, is more than 100%, but there are a lot of people to live in poor homes do not meet the minimum housing standards, because of lack of income ability to afford housing expenses. This means that the minimum housing standards and housing expenses affordability are inseparable, and vital solution for housing poverty means to housing subsidy system.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eek improvements of housing subsidy legislation for improving housing rights. Recently, enacted Housing Security Act and Housing benefit Act, etc., interest and importance for housing rights and housing welfare has increased more than ever. Housing rights mean to "everyone's right to enjoy an appropriate housing", "right to enjoy housing conditions befitting human dignity", and "meeting a minimum standard in human residence". Housing rights are characterized as civil liberties and social rights. Because housing rights include claiming right for adequate housing to state and stability in housing. Housing policy for guaranteeing housing rights can be largely divided into supply and demand support policy. In the past as housing shortages absolutely, countries focused on housing supply support policy. But nowadays, countries focus on demand support policy to improve housing expenses affordability for adequate housing. Recently enacted Housing benefit Act separated from other benefits etc., our country is also interested in housing subsidy system. To actualize housing rights, it suggests the following improvements in this study. Firstly, it is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housing subsidy systems of various law needs to be improved so that people have easier access to the system. Housing subsidy system or housing expenses support system is a mean of welfare policy and housing policy. So, Housing Benefit Act as well as Korea Housing Finance Corporation Act and National Housing &Urban Funds Act are legislations about housing subsidy. Government departments and operating agencies of systems are different. However, there is no information that people can see an overview of the whole housing subsidy system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systems is also unclear. So it is difficult to see if there are any housing subsidy systems. They will be one of the plans to define clearly between them relations within a legal framework, consolidate similar systems and also to integrate the operating authority for the efficient operation. To integrate the operating authority will be able to discover of persons who need to support housing expenses. We can expect substantially increased effect of housing subsidy system. Secondly, housing subsidy systems need a connection with other housing policy for stability of living and realization of housing rights. For example, housing subsidy so that they can be reflected in the real rents, amendment of law related with housing rent must be combined with housing subsidy system. Public housing offering will also be considered. Purpose enlarged benefit eligibility by amending Housing Benefit Act is of course welcome to the side of housing stability for low-income people, but in order to ensure the effectiveness of that amendment will be supported by a system like the guarantee of processing period for rapid support and personnel expansion etc. Therefore thirdly, the amendment enlarged benefit eligibility must be combined with establishing an exclusive and professional operating agency for investigation, selection and administration and personnel expanding and offering of proper information. Fourthly, guarantees for specific procedures are required, such as processing period specified, stating clearly about decision and hearing procedure for enhancing applicant rights and stabilizing service delivery system. There is no regulation about processing period from applying to notifying decision and stating reason about disadvantageous action in current law. We need to establish the process of legal for respecting rule of law in realization of housing rights. Fifthly,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efficient delivery system for enhancing realization of housing welfare effects. Social welfare system is realized through delivery system. Delivery system is a series of relationship system connected to the needs and resources and service suppliers and demanders. Housing subsidy systems have different legal basis, but effectiveness of delivery system will be enhanced by operating of merging agencies. Sixthly, to ensure housing welfare the most efficientl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guarantee administrative remedy. Administrative remedy will be able to recover rights which violated by illegal or unfair action. Generally, disadvantaged groups are difficult to recognize proceeding of administrative remedy and access it. In addition to, there is no regulation about it in Housing Benefit Act. So if anyone to need administrative remedy in the process, they should see other act like National Basic Living Security Act. This situation will lead to delay to exercise their rights and finally they can not exercise their rights against their will because of lapse of the period. Therefore, explicit procedure of administrative remedy need for enhancing accessibility and achieving the aim of administrative remedy. Housing policies such as housing benefit also have so much technical and expertise. So not only operating authorities but also authorities for administrative remedy have expertise. These should be strengthened legally. Lastly, housing rights are prerequisite for guaranteing human dignity beyond a mere welfare. According to Housing Security Act, each and every human being should have their right to live adequate housing. There should be a legal environment created where a living worthy of human dignity is recognized as the fundamental right that goes well beyond receiving benefits of dispensation to secure a minimum standard of living. Overview of the housing subsidy system of other countries, it took more than 10 years before the time in earnest, and continue to change and improve the system. We will strive for continuous change and development, rather than expecting the housing subsidy system settled in a short time. 주거비 지원의 법적 고찰 필요성 주택보급율이 100%를 초과하였음에도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최저주거기준에 미달하는 열악한 주택에서 삶을 지속할 수밖에 없는 이유는 주거비를 감당할 소득능력, 즉 주거비 지불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이는 최저주거기준과 주거비 지불능력이 불가분의 관계에 있으며, 주거권 실현을 위한 주거복지 정책 중 주거 빈곤의 핵심적인 해결방법이 주거비 지원제도라는 사실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주거권의 개념에 대한 정립을 바탕으로 주거부담이 크고, 주거수준 향상이 보다 절실하다고 할 수 있는 사회경제적 약자인 저소득가구의 주거비 지원 법제들의 현황을 살펴보고, 실질적 주거권 향상을 위한 주거비 지원 법제의 개선점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주거권과 주거복지 사회복지는 사회적 합의 규범인 욕구(needs) 충족을 위해 집합적인 노력을 경주하는 체계이다. 사회복지를 실천한다는 것은 욕구를 충족하는 것이고, 인권을 실현하는 것이다. 열악한 주거수준은 고용기회나 교육기회 등 다양한 측면에서 열악한 생활의 원인이 되고, 주거문제는 인간존엄의 필수적인 전제조건이기 때문에 인권으로서의 주거권 실현을 위한 주거복지는 간과해서는 안되는 중요한 사회복지영역이다. 주거권은 국가에 의해 실현되는 생존권적인 기본권의 특성을 지닌다. 주거권의 실현에는 국가에 의해 이루어져야 하는 측면 외에도, 국가에 의한 무분별한 개발사업 등에 의해 침해되지 않고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주거를 향유하고 유지할 수 있는 권리도 포함된다. 즉, 주거권은 생존권적 측면과 함께 자유권적, 재산권적 측면도 지닌 종합적 성격의 기본권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최소한의 생존보장을 위한 주거복지 실현은 국가의 책무로 보고 법률의 근거가 없더라도 직접 주거권에 기해 국가에 요구할 수 있는 권리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주거권 실현을 위한 주거지원 정책 주거권은 헌법상 권리로 도출될 수 있지만 주거권에 대한 중요성 인식과 실질적 보장을 위해 주거권을 법률로 명문화해야 한다는 논의가 있었다. 이러한 논의 속에 2015년 6월 22일「주거기본법」이 제정되었다. 「주거기본법」은 주거권을 국민의 권리로 선언하고(제2조), 주거권 보장을 위한 주거 정책을 수립하고 시행할 의무가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에 있음을 규정하고 있다(제3조). 주거권 실현을 위한 주거지원 정책은 ‘주택생산자 보조방식’과 ‘주택소비자 보조방식’ 혹은 ‘건물에 대한 보조(건물보조)’와 ‘사람에 대한 보조(주택수당)’로 나눌 수 있다. 주택의 양적인 충족이 이루어지는 시기와 때를 같이 하여 주거지원 정책은 생산자 보조방식에서 벗어나 소비자 보조방식으로 변화하게 되었다. 생산자 주거지원제도로는 공공임대주택, 매입임대주택 제도 등이 있으며, 소비자 주거지원제도로는 주거급여, 저리의 주택자금 대출, 주택자금 대출을 위한 보증제도 등이 있다. 주거지원 정책 수단으로서의 주거비 지원 법제 주거비 지원 규정을 두고 있는 법률로는 「긴급복지지원법」, 「노인복지법」, 「주거급여법」, 「주택도시기금법」, 「한국주택금융공사법」 등이 있다. 이 법률 중 본 연구에서는 일시적 지원이나, 노인 등 특정 대상에 한정한 지원이 아닌 경제적 상황에 기초하여 계속적으로 지원하는 제도에 관한 법률을 검토대상으로 하였다. 기초필수적인 주거복지를 위한 제도라고 할 수 있는 공공부조 제도를 규정한 「주거급여법」과 일반적인 주거복지 실현을 위한 주거비 지원 제도를 담고 있는 「주택도시기금법」, 「한국주택금융공사법」의 주거비 지원 제도를 중심으로 검토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다른 나라의 주거비 지원 법제 여러 나라의 주거복지를 위한 주거지원 정책은 주택공급 지원에서 주택수요자 지원인 주거비 지원으로 이동되었다. 우리보다 오랜 기간 주거비 지원제도를 시행해온 다른 나라의 운영사례를 통하여 우리나라 현행 주거비 지원제도의 개선점이 있는지 모색해 보았다. 본 고에서 살펴본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일본의 주거비 지원 제도의 세부적인 운영기준은 다르지만, 공통적으로 가구특성을 반영하여 지원대상자를 선정하고, 소득과 임대료에 기반하고 있으며, 하나의 기관에서 주거비 지원 제도를 통합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그 외에도 미국은 최저주거수준 충족여부를 지원 요건으로 함으로써 실질적 주거환경 보장을 도모하고 있고, 일본은 급지를 세분화하여 실질적 지역 임대료가 반영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독일은 온라인 신청제도를 활용하고, 프랑스는 제도간 우선순위를 명시하고 있어 제도의 접근성을 제고하고 있다. 또한 영국은 주거비 지원 가구의 노동의욕 고취를 위하여 계속적으로 소득과의 관계 기준을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에 대하여 검토하여 제도에 반영하고 있다. 우리의 주거비 지원도 실질적인 주거권 실현으로 이어질 수 될 수 있도록 끊임없이 노력해 나가야 할 것이다. 주거권 실현을 위한 주거비 지원제도의 실체법상 개선 기초필수적인 주거복지부터 초과적인 주거복지까지 실현하기 위해서는 예산을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체계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주거급여법」, 「주택도시기금법」, 「한국주택금융공사법」상의 각 제도를 통합적으로 정비할 필요가 있다. 주거권 실현을 위해 주거비 지원 제도 자체를 마련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제도의 실효성 확보를 위해서는 마련된 주거비 지원 제도를 국민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2015년 12월 1일 주거지원 제도를 일괄 안내하는 국토교통부의‘마이홈’ 주거지원 안내시스템이 시행되었다. ‘마이홈’에서는 주거급여 뿐만 아니라 주택도시기금공사와 한국주택금융공사의 주택금융 제도에 대하여도 소개를 하고 있다. 그러나 제도에 대한 간단한 개념이 설시되어 있을 뿐, 통합적인 운영이 이루어지지 않아 수요자에게 적합한 주거비 지원 제도를 찾기가 쉽지 않고, 제도의 차별성이 거의 없는 개인보증 상품이 주택도시기금공사와 한국주택금융공사에서 여전히 중복 운영되고 있다. 따라서 효율적인 지원을 위해서 주거비 지원 제도의 체계정비가 필요하다. 주거비 지원 제도의 체계정비를 위하여 우선, 제도와 기관의 역할 정립이 필요하다. 각 주거비 지원 제도의 역할을 임대료 지불이 어려운 최저소득층부터, 정부지원시 주택구입이 가능한 계층에 대한 주거비 지원 등으로 역할을 분담하여야 한다. 예컨대 가장 복지가 시급하고 필수적인 부분에 대한 공공부조는 주거급여가 담당하고, 민간 부문에서 소외되는 영세민·저소득 가구의 안정적 주택금융, 장기 주택금융 제공부문은 공공기관인 주택도시기금공사와 한국주택금융공사가 담당하되, 주택도시기금공사와 한국주택금융공사의 역할을 구분하여, 각 기관에서 시행하고 있는 유사한 제도는 통합하고, 제도의 중복을 적절히 제거해 나가야 한다. 현재는 국토교통부와 금융위원회에서 두 기관을 관장하고 있는 관계로 중복된 제도시행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주거비 지원제도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하여 하나의 소관부처에서 총괄할 필요가 있다. 또한 고소득층은 민간 부문뿐만 아니라 공공부문의 주거비 지원제도를 선택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역할분담을 통해 제도를 정비해야 한다. 나아가 주거권 실현을 위하여 주거비 보조제도는 다른 주거지원 정책 수단들과 연계할 필요가 있다. 예컨대, 임대료 지불이 어려운 최저소득층은 최저수준 이상의 주택공급을 받을 수 있도록 공공임대주택 지원과 함께, 주거급여, 저리의 전월세 자금 지원을 실시한다. 저소득층 중 주택구입능력이 부족한 계층은 주택구입을 지원하기 위하여 저렴한 공공주택 공급과 저리의 자금 지원이 필요하다. 중간소득층의 주거안정을 위해서는 공공 주택금융 지원제도와 함께 중소형 분양주택의 확대정책이 연계될 때 주거비 지원 효과가 제고될 수 있다. 주거권 실현을 위한 주거비 지원제도의 절차규범 개선 생활이 어려운 주거급여 신청자들의 주거안정을 위해서는 주거급여의 신속한 지원이 필요하다. 신속한 주거급여 집행을 위해 처리기한 명시 등 세부적 절차를 행정입법의 형태로 마련할 필요가 있다. 또한 거동이 불편하거나 인지능력이 부족한 대상자들의 지원을 위하여 온라인 신청 제도의 활용과 「사회보장급여의 이용·제공 및 수급권자 발굴에 관한 법률」의 직권신청 활용도 필요하다. 주거비 지원의 공정성을 담보하고 지원 신청자의 권리강화를 위해 이유 부기와 청문 절차의 명시도 마련되어야 한다. 주거권 실현을 위한 주거비 지원제도의 전달체계 개선 주거비 지원 제도의 근거법률이 「주거급여법」, 「주택도시기금법」, 「한국주택금융공사법」으로 나뉘어 있고, 국토교통부와 금융위원회에서 별도 관장하고 있는 상황에서 집행 기관을 통합하는 것만으로도 전달체계의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을 것이다. 2015년 12월 23일 시행된 「주거기본법」에 근거하여 ‘주거복지센터’를 기초지방자치단위로 설치하고, 주거복지센터에서 통합적으로 주거비 지원 정책을 수행하는 방안도 고려해 볼 수 있다. 제도의 통합 운영은 주거비 지원 제도를 유기적이고 통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게 하여, 중복으로 마련된 제도를 제거하고, 제도 신청의 유도 및 지원 대상자의 발굴도 가능하게 할 것이다. 주거비 지원을 보다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시행하기 위하여 통합적인 주거비 지원 정책 수행이 필요하다. 주거권 실현을 위한 주거비 지원제도의 권리구제절차 개선 공공부조 수급자들은 일반적으로 권리구제 법률에 대한 충분한 지식을 갖기 어렵고, 비용을 지불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아 이들에 대한 권리구제는 생계유지를 위해 신속하게 처리되고, 비용이 최소화되도록 법제화할 필요가 있다. 주거급여 중지결정에 대한 이의신청절차는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따라 통지받은 때로부터 60일 이내에 이의신청할 수 있다. 이는 「행정심판법」이 처분이 있음을 안날로부터 90일, 처분이 있은 날부터 180일로 정한 청구기간에 비하여 매우 짧다. 또한 이의신청 처리기간은 최장 80일이 소요되어 그 기간 동안 생계유지를 위한 조치를 받지 못하고, 주거급여 신청 결과의 통지시 이유부기 등을 명시하고 있지 않아 신청자는 적극적으로 권리구제를 신청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권리구제는 수급권 행사에 따른 일련의 절차들이 법취지와 생존권 보장이라는 목적에 부합되게 진행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나아가 위법, 부당한 처분에 의해 침해된 권리의 회복과 보장을 위해 중요하다. 특히 주거급여 수급권자의 결핍된 상황을 고려할 때 권리구제의 의미는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 주거급여 수급자의 의사에 반하는 권리행사의 지연 또는 해태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수급권자에게 이유부기 등 정보제공의무가 강화되고, 권리구제 절차에 대한 명시가 필요하다. 그리고 주거급여 권리구제는 수급권자의 생존적 위기 해소와 관련된 점을 고려하여 신속하게 이루어 질 수 있도록 권리구제 기산점 및 제기기간, 처리기간에 대한 재조정이 필요하다. 또한 주거급여 등 주거복지 정책은 전문성과 기술적인 부분이 많다. 불복절차 심사기관도 전문적인 지식을 가지고 있어야 효율적이고 신속한 구제절차가 진행될 수 있으므로, 보다 객관적이고 공정한 권리구제를 위해 이를 전담할 심사기관과 인력규정을 입법적으로 보완할 필요가 있다. 주거권은 궁극적으로 인간존엄성 보장을 위한 전제적 요건이 되어야 함을 간과해서는 안된다. 「주거기본법」에서 선언하였듯이 궁극적으로 모든 인간이 적절한 주거환경에서 살아갈 권리를 인정받고 보장될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최저생활 보장을 위한 시혜적 급부를 하는 것에 만족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다운 생활을 당위적 권리로 인정하는 법적 분위기가 조성될 수 있어야 한다. 다른 국가들의 주거비 지원제도는 시행이 본격화되기까지 10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었고, 주거생활의 안정을 위하여 계속해서 개선되고 있다. 우리도 짧은 시기에 주거비 지원제도 정착을 기대하기보다는 지속적인 변화와 발전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 Development of Co-Fe Bimetallic Catalysts for High-Calorific Synthetic Natural Gas Production : 고발열량 합성천연가스를 위한 Co-Fe 바이메탈 촉매 개발

        김태영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기온변화의 주요 원인물질인 CO2의 경우 석탄화력발전에서 가장 높은 배출량 차지하고 있다. 이에 대한 문제인식이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 발전 비중이 변화하고 있으며, 현재 상대적으로 친환경적인 천연가스발전의 비중이 늘어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불균일촉매를 활용하여 석탄가스화복합발전에서 생성되는 합성가스 (CO + H2)를 활용하여 천연가스발전에 사용할 수 있는 고발열량의 합성천연가스를 제조할 수 있는 연구결과에 대해 기술하고자 한다. 합성가스를 화학적으로 전환하는 대표적인 반응인 ‘합성천연가스 제조 공정 (CO + 3H2 = CH4 + H2O)을 통해 일산화탄소와 수소를 반응시켜 발전 에너지원인 CH4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합성천연가스(synthetic natural gas, SNG)의 경우 주성분이 CH4이므로 발열량은 약 9,520 kcal/Nm3으로 국내 천연가스 발전기준 발열량(10,400 kcal/Nm3)의 하한선보다 낮은 발열량을 가진다. 이러한 합성천연가스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프로판과 부탄의 혼합기체가스인 액화석유가스 (liquefied petroleum gas)를 저발열량 천연가스에 첨가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LPG의 가격은 유가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으며, LPG를 주입하여 열량을 증가시키는 방법은 석유 대체재로서 천연가스의 역할이 제한된다. 따라서 합성 천연가스공정에서 C1 + C2-C4를 동시에 생산하는 기술이 필요한 상황이다. 기존 메탄화 반응에는 낮은 가격과 높은 활성을 가지는 Ni 기반 촉매를 주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Ni 촉매의 경우 높은 CH4 선택도로 인해 C2-C4를 생성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합성가스로부터 C2-C4 범위의 탄화수소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Fischer-Tropsch (FT) 반응이 필요로 하며, FT 공정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촉매로는 철, 코발트 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촉매의 종류 및 실험조건에 따라 탄화수소의 선택도가 변화하므로 선택적인 C2-C4 탄화수소 생산을 위해서는 적절한 반응성을 가지는 촉매 조성 및 실험조건이 필요하다. 최근 합성가스로부터 고발열량 천연가스를 생산하기위해 코발트 또는 철 기반 촉매를 사용하여 C2-C4 탄화수소 선택도를 증가시키는 연구가 수행되었다. 일본 연구진에서 처음으로 고발열량 천연가스 연구를 진행하였고, 코발트계 촉매(Co-Mn-Ru/Al2O3)를 사용하여 고발열량 합성천연가스를 생산하였다. 그러나 생성된 합성천연가스의 발열량은 한국의 표준 발열량의 하한선보다 약간 높은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또한 Fe 기반 촉매를 사용하여 다양한 전처리 조건 (침탄 및 환원)에서 연구가 되었습니다. 주로 탄화철로 구성된 Carburized Fe 기반 촉매는 침탄 전처리 과정에서 표면 균열과 작은 탄화물 결정의 형성으로 인해 환원된 촉매보다 더 큰 CO 전환율을 달성했습니다. Zn 첨가를 통해 C2-C4 탄화수소에 대한 선택성을 향상시키고 C5+ 탄화수소에 대한 선택성을 억제할 수 있었다. Cu의 경우 탄화수소 선택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반응표면에서 H2 흡착을 촉진시켜 파라핀/올레핀 비율을 증가시켰다. 고발열량 합성천연가스 생성하기 위하여 Co계, Fe계 기반 촉매 등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그러나 Co-Fe 기반 이종금속 촉매의 활성 및 조성 최적화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며, 또한 반응 조건(합성가스 비, 온도, 압력, 공간속도)에 따른 탄화수소 생성물의 선택도 특성에 대해서도 미미하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비율의 Co-Fe 기반 촉매를 제조하여 다양한 실험조건에서 촉매 활성 및 C2-C4 탄화수소 선택도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습윤 함침법을 활용하여 알루미나(ℽ-Al2O3) 담체에 Co-Fe 비율별로 담지된 촉매를 합성하여 다음 반응 조건 10bar, 300℃, 6000ml/g/h에서 CO 수소화 반응을 진행하였다. Co-Fe 비율변화에 따른 촉매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촉매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XRD 분석을 통해 Co-Fe 비율이 감소함에 따라 Co3O4 peak 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고, Co-Fe 비율이 1:3에서는 Co3O4 peak 대신 CoO peak이 확인되었는데, 이는 Fe2O3 구조안에서 CoO의 혼합상이 생성되기 때문이었다. 촉매의 Co-Fe 비율에 따라 Co-Fe 혼합상이 생성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로 인해 Co, Fe의 환원온도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CO 수소화 반응활성의 경우 Fe 금속촉매가 Co 금속에 비해 낮은 활성을 보였다. Co-Fe 이종금속 촉매에서는 Co-Fe 구조 변화로 인해 Fe 금속의 환원성이 개선되어 Fe 단일금속 촉매에 비해 활성이 증가하였다. C2-C4 탄화수소 선택도의 경우 Fe 금속이 Co 금속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5Co-15Fe/ℽ-Al2O3 이종금속 촉매에서 Fe 단일 금속촉매에 비해 반응활성이 개선됨가 동시에 높은 C2-C4 탄화수소를 생성하는 것을 보였다. 따라서, 제조된 촉매 중에서 5Co-15Fe/ℽ-Al2O3 촉매가 CO 수소화 반응을 통해 C2-C4 탄화수소를 생성하기에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5Co-15Fe/ℽ-Al2O3 촉매를 사용하여 CO 수소화 반응 실험 조건(H2/CO 비율, 공간 속도, 반응 압력 및 온도)에 따른 반응활성 및 생성물의 선택도에 영향을 살펴보았다. 높은 파라핀 비율 및 부산물 생성 감소 (C5, CO2). CO 전환은 공간 속도가 감소하고 반응 압력과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H4 수율은 증가하고 C2+ 수율은 모든 반응 압력과 공간 속도에서 반응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또한 더 높은 반응 압력 (20 bar)에서 향상된 CH4 수율은 더 높은 반응 압력이 2차 CO2 메탄화 반응에 유리한 조건으로 확인하였다. 파라핀 비율은 H2/CO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CO 전환과 양의 상관 관계를 보이지만, 반응 압력과 온도는 H2/CO 비율 3.0에서 파라핀 비율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최적 조건은 H2/CO 3.0, 공간 속도 4000mL/g/h, 반응 압력 20bar, 온도 300 ℃에서 FT 촉매 (5Co-15Fe /Al2O3)는 높은 파라핀 비율 (0.90)로 높은 경질 탄화수소 수율 (31.2 % CH4 및 36.1 % C2–C4)을 나타났다. Co-Fe-Al 촉매 제조방법을 공침법으로 전환하여 촉매의 균질성 및 산업적으로 합성하기 위해 본 연구를 통해 제시되었다. 20, 30, 40, 50wt.% (Co/Fe 비율 = 1/3)의 서로 다른 금속 함량을 갖는 CFAl 촉매를 공침법으로 제조 후 반응 특성을 비교하였다. 공침법으로 제조된 Co-Fe-Al 촉매의 경우 금속/알루미나 비율에 따라 구조 변화가 나타났고, Co-Fe-Al 촉매의 금속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Co-Fe-Al 스피넬의 비율이 감소하여 환원성이 개선되었다. 촉매 중 40CFAl가 높은 C2-C4 탄화수소 수율을 나타내므로 파일럿 규모 합성을 하기위해 최적의 촉매제조 함량로 선택하였고 파일럿 규모 합성에서 성공적으로 재생산하였습니다. 더욱이, 펠릿화된 촉매(40CFAl_P)는 반응조건(20bar, 350℃, 4000mL/g/h)에서 높은 경질 탄화수소(CH4: 59.3% 및 C2–C4: 18.8%) 및 낮은 부산물(C5+: 4.1% 및 CO2: 17.8%) 선택성을 보였다. 상기 FT 촉매(5Co-15Fe/ℽ-Al2O3)의 경우 높은 CO 전환율(91.5%)과 높은 C2-C4 선택도(28.2%)를 나타내지만, 부산물인 C5+ (26.0%) 및 CO2(22.3%)를 상당량 생성되므로 이를 감소시킬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중층 반응기에 하이브리드 촉매(FT+크래킹)를 도입하여 액체 및 왁스성 탄화수소(C5+)를 경질 탄화수소(CH4 및 C2-C4)로 전환반응에 적용시켰다. 크래킹 촉매로는 SAPO-34 제올라이트와 Ni 촉매를 사용하였다. 단층 반응기의 FT 촉매(5Co-15Fe/ℽ-Al2O3)와 비교하여 SAPO-34 및 Ni 촉매는 이중층 반응기에서 C5+ 탄화수소를 경질 탄화수소(CH4 및 C2-C4)로 분해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Ni 촉매의 경우 CO 전환율을 향상시키고 CO2 메탄화를 통해 CO2 선택성을 상당량 감소시켰다. 이중층 반응기의 하이브리드 촉매(FT+크래킹)는 단일층 FT 촉매에 비해 CO 수소화에 대한 우수한 촉매 성능을 보였으며 C2-C4 경질 파라핀 탄화수소를 생성하기에 적합하였다. 더 나아가 Ni을 Fe 및 Co-Fe 촉매에 첨가하였을 경우 경질 탄화수소(CH4 및 C2-C4) 및 부산물 형성(C5+ 및 CO2)에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였다. 촉매내 니켈이 첨가되었을 경우 금속 분산 및 환원성이 향상되어 촉매 활성이 향상됨을 발견하였다. CH4 선택성이 Ni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고 C2+ 및 CO2 선택성은 감소하였다. 또한, Ni 함량이 증가할수록 높은 CH4 선택도와 낮은 CO2 선택도는 Ni-Fe 합금이 메탄화 반응을 촉진시킨 것으로 판단된다. 촉매 내 Ni의 존재는 부산물 (C5+ 및 CO2)을 감소시키지만, 생성된 가스의 발열량은 더 높은 CH4 생성량으로 인해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에 기초하여, Fe-Ni 이종금속 촉매와 비교해 5Co-15Fe-5Ni/ℽ-Al2O3 삼종금속 촉매는 낮은 부산물 수율(14.1% C5+ 및 12.1% CO2)과 함께 높은 경질 탄화수소 수율(51.7% CH4 및 21.8% C2-C4)을 보였다. 또한 표준 발열량(10,400 kcal/Nm3)보다 높은 발열량을 가지면서 가장 높은 C1-C4 탄화수소 생산율(530 mL/h)을 보였다.

      • 초등 고학년 학습자를 위한 반응활동 중심의 영어 수업 방안 모색

        김태영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class that elicits the learners' involvement in the English class as well as satisfy the upper graders' intellectual level through Readers' Theater(RT), one of the Response-based activities. To accomplish these objective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1) What happens to the condition of the students' literacy through RT? 2) How does the RT influence upper graders' tendency and attitude toward English learning? 3) What are the teachers' roles to promote RT in EFL setting? For this qualitative study, scripts written by the students through RT, questionnaires, interviews, teacher's field notes and videos were used as tools for the collection, analysis, coding and categorizing of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included the following. Firstly, the students' new experience of written English had led to the literacy development through RT. That is, the students made a progress in their writing by having been motivated to write as well as in their reading fluency through the partner reading. Furthermore, the use of RT contributed to students' natural vocabulary learning by writing and reading scripts together. Secondly, students showed positive changes in their tendency and attitude toward English learning. They then, changed into engaged learners through a succession of learner-centered RT activities. In other words, students became eager to engage themselves in an active class, and using RT evoked their cooperation. In addition, students became motivated and confident in English learning, being stimulated to study English more. Thirdly, the analysis of this study resulted in three roles of the teacher in implementing RT in EFL primary classrooms, according to the stage of the class: teacher as a guide for scaffolding; the teacher as a supporter for promoting the students' activity; and the teacher as a facilitator for leading students to the next stage. Finally, a model for using RT in primary schools is presented. In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everal suggestions are provided as follows. Firstly, developing a variety of teaching model is needed and texts that can be used according to the diverse grades, activities and language levels need to be developed. Secondly, there should be a follow-up long-term study, which should include many students with various English learning backgrounds. Thirdly, it is necessary to design teaching models for upper graders. Fourthly, a number of high quality response-based programs need to be devised for English learning. Finally, there should be more studies based on the teachers' role in a primary classroom in an EFL setting. 본 연구의 목적은 텍스트를 활용한 반응활동의 하나인 Readers' Theater(RT)를 활용하여 초등 고학년 학습자들의 인지적 수준을 만족시키면서, 학습에의 활발한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는 활동 중심의 영어 수업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RT를 활용한 문학 반응활동을 통해서 초등 고학년 학습자의 영어 문자 학습은 어떠한 발전 과정을 보이는가? 둘째, RT활동을 통해 고학년 학습자들의 학습 성향 및 태도는 어떻게 변화하는가? 셋째, 효과적인 반응활동 중심의 수업을 위한 교사의 역할은 무엇인가? 이상에서 제기한 연구문제에 답하기 위하여 학습자들이 작성한 대본, 설문, 면담 자료, 교사 관찰일지, 수업 녹화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부호화(coding)하여 주제를 찾아 범주화하는 질적 연구의 방법으로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의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먼저, 문학을 활용한 반응활동으로서 RT를 적용하였을 때, 고학년 학습자들은 새로운 방법의 영어 읽기, 쓰기 활동으로 문자 학습과 관련한 몇 가지 발전 모습을 보였다. 첫째, 이야기를 듣고 창의적으로 내용을 재구성하여 대본을 쓰는 활동은 쓰기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였으며 이는 새로운 의미를 만들기 위한 학습자들의 실질적인 RT 대본 쓰기로 이어졌다. 둘째, 학습자들은 대본을 작성한 후 자신의 대사를 모둠원들과 함께 호흡을 맞추어 읽어가는 상호작용적 읽기 과정을 통하여 읽기 유창성을 개발할 수 있었다. 셋째, 문학을 활용한 읽기·쓰기 활동을 통하여 학습자들은 유의미한 상황에서 자연스럽게 어휘를 습득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학습자들은 문자 학습에 대한 다양하고 새로운 경험을 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어 문식력(literacy)이 성장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는, 학습자들은 문학 반응활동인 RT를 통하여 영어 학습 성향 및 태도에 변화를 보이면서 주체적 학습자로 성장할 수 있었다. 첫째, 대본 발표 활동을 통하여 학습자들은 자기표현에 소극적인 고학년의 성향을 벗어나 수업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둘째, RT 활동은 대본의 작성부터 연습, 대본 발표에 이르기까지 특성상 모둠을 기반으로 한 활동중심의 협력학습이기 때문에 그 과정에서 공동체 의식을 함양할 수 있었다. 셋째, RT 활동을 통하여 학습자들은 영어 학습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을 되찾게 되었고, 이는 꾸준히 영어를 학습하고자 하는 동기 유발로 이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RT 중심의 반응활동에서는 활동 단계에 따른 교사의 특별한 역할이 요구되었다. 따라서 RT를 초등교육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교사의 역할을 ‘발판을 마련해주는 안내자로서의 교사,’ ‘활동과정에서의 조력자로서의 교사,’ ‘다음 단계로 이끌어주는 촉진자로서의 교사’의 세 가지로 제시하였다. 이상에서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문학 반응활동인 RT를 초등단계의 EFL 교실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수업 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위한 구체적인 지도 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하여 RT 활동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현장 교사들이 RT 활동에 보다 쉽게 접근하여 수업에 활용하기 위한 보다 다양한 수업 모형 개발과 함께 학년별, 활동별, 수준별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텍스트의 확보가 필요하다. 둘째, 학습자 중심의 문학 반응 활동인 RT가 초등학교 현장에 널리 보급되기 위하여 연구에 참여 하는 대상 인원수와 연구 기간을 좀 더 늘려 보다 심도 있고 광범위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고학년 학습자의 인지적 수준에 맞는 다양한 영어 교수·학습 방법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재량 시간과 아침 활동 시간외에 정규 교과 수업 시간이나 방과 후 수업, 특별 활동 등의 다양한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과 여러 가지 수준 높은 반응활동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이 있다. 다섯째, 초등학교에서 영어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의 역할을 중심으로 하여 영어 교육 전반에 대한 판단과 인식, 자세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 B-16 흑색종세포와 Mycoplasma pneumoniae 항원이 마우스 성상세포의 IL-1β, IL-2, IL-6, IL-10, IL-12, TNF-α생성에 미치는 영향

        김태영 고신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박사

        RANK : 247631

        연구배경: Mycoplasma pneumoniae(M. pneumoniae)는 이형폐렴을 일으키고, 합병증으로 뇌척수막염, 뇌염 등을 일으킨다. 그러나, 이들 질병의 발생기전은 아직도 명확히 밝혀져 있지 않다. 중추신경계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은 주로 성상세포나 소교세포에서 생성된다고 한다. Pietsch 등은 M. pneumoniae를 호흡기도로 감염시킨 마우스의 폐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이 생성된다고 하였다. 신경교종 등의 뇌종양에서 성상세포 등이 생성하는 사이토카인에 대한 연구보고는 많이 있으나 종양세포와 세균의 균체성분 및 마이코플라스마를 동시에 자극하였을 때 성상세포가 생성하는 사이토카인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 최근에 대두되고 있는 마이코플라스마의 종양원인설에 비추어 종양세포가 뇌에 전이되었을 때 성상세포는 어떤 사이토카인을 생성하여 반응하게 되며, 종양세포와 M. pneumoniae 항원으로 동시에 자극되었을 때 어떤 사이토카인을 생성하게 되는 지를 알아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목적: B-16 흑색종 세포, M. pneumoniae 항원 단독 혹은 동시에 처치한 쥐 성상세포의 배양액에서 염증성 cytokine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이 연구를 하였다. 재료 및 방법: 성상세포(1×10^6cells/ml)는 24 well plate에서 배양하고 각 well에 LPS 10 ng/ml , IFN-γ 10 μg/ml, M. pneumoniae 항원 10 mg/ml을 단독 혹은 동시에 처치하여 37℃에 CO₂ 농도를 5%로 한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24, 48, 72시간 후에 각 well의 배양부유액을 각각 100μl 씩을 채취한 후 IL-1β, IL-2, IL-6, IL-10, IL-12, TNF-α의 ELISA kits를 이용하여 각 cytokine을 정량분석하였다. 결과: 성상세포의 배양 well에 LPS, IFN-γ, B-16 세포를 각각 단독으로 처리한 48 시간 후에 IL-1β의 농도는 대조군보다 낮았으나(p<0.05), M. pneumoniae 항원 단독 혹은 B-16과 M. pneumoniae, 혹은 B-16, IFN-γ와 M. pneumoniae를 동시에 처치한 48, 72시간 후에 IL-1β의 농도는 각각 대조군보다 높았다(p<0.01). 성상세포의 배양 well에 LPS, IFN-γ, B-16 세포나 M. pneumoniae 항원 단독, 혹은 B-16과, M. pneumoniae, 혹은 B-16, IFN-γ, M. pneumoniae를 동시에 처치한 24, 48, 72시간 후에 IL-2의 농도는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다. 성상세포의 배양 well에 LPS, IFN-γ를 단독 처리한 24, 48시간 후에 IL-6의 농도는 대조군보다 높았으며(p<0.05), B-16, M. pneumoniae 단독 혹은 B-16과 M. pneumoniae, 혹은 B-16, IFN-γ, M. pneumoniae를 동시에 처리한 24, 48, 72시간 후에 IL-6의 농도는 각각 대조군보다 높았다(p<0.01). 성상세포의 배양 well에 LPS나 IFN-γ를 단독으로 처치한 24, 48, 72시간 후에 IL-10의 농도는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으나, B-16, M. pneumoniae 단독 혹은 B-16과 M. pneumoniae, 혹은 B-16, IFN-γ, M. pneumoniae를 동시에 처치한 24, 48, 72시간 후에 IL-10의 농도는 대조군보다 높았다(p<0.01). 성상세포의 배양 well에 IFN-γ나 B-16세포를 단독으로 처치 24, 48, 72시간 후에 IL-12의 농도는 각각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으나, LPS, M. pneumoniae 단독 혹은 B-16과 M. pneumoniae, 혹은 B-16, IFN-γ, M. pneumoniae를 동시에 처치한 24시간 후에 IL-12의 농도는 대조군보다 높았다(p<0.01). 성상세포의 배양 well에 LPS나 IFN-γ를 단독으로 처치한 24, 48, 72시간 후 TNF-α의 농도는 대조군과 차이가 없었으나, M. pneumoniae, B-16 단독 혹은 B-16과 M. pneumoniae, 혹은 B-16, IFN-γ, M. pneumoniae를 동시에 처치한 24, 48시간 후 TNF-α의 농도는 각각 대조군보다 높았다(p<0.01). 결론: 이상의 결과로써 성상세포를 M. pneumoniae 항원, B-16 세포, IFN-γ 단독으로 처치한 경우보다 M. pneumoniae 항원, B-16 세포, IFN-γ를 동시에 처치한 경우에 IL-1β, IL-6, IL-12, TNF-α 등의 염증성 cytokine의 생성이 많이 되어 면역반응이 증강되지만, IL-10의 생성 또한 많아져 면역반응을 조절하게 됨을 알 수 있었다. Background: Mycoplasma pneumoniae is a common respiratory pathogen, that is responsible for mild acute respiratory infections and severe central nervous system infections such as meningitis and encephalitis. However, the mechanisms of theses diseases have been poorly understood. The oncogenic potential of mycoplasmas has been recently carefully realized that they are shown to cause chromosomal changes and in vitro cell transformations. However, few studies have been reported the prevalence of mycoplasmas infection in human cancers. Objectiv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level of inflammatory cytokines in the culture supernatants of mouse astrocytes stimulated with LPS, IFN-γ, M. pneumoniae antigen and B-16 melanoma cells. Materials and Methods: Astrocytes(1x10^6cell/ml) were cultured in the 24 well plate, and was added 10 ng/ml of LPS, 10 ㎍ of IFN-γ, 10 ㎎ of M. pneumoniae antigen, and B-16 melanoma cells in each well, and was incubated at 37oC, 5% CO2 incubator. The 100 ㎕ of culture supernatant of each well was harvested on 24, 48, 72 hours after incubation, for the quantitative assay of each cytokine by the ELISA kits(Genzyme, USA). Results: The concentration of IL-1β in the culture supernatant of astrocytes was not increased by treatment of LPS, IFN-γ, B-16 cells alone. However, it was increased by adminstration of M. pneumoniae, B-16+M. pneumoniae, and B-16+IFN-γ+M. pneumoniae during experimental period. The concentration of IL-2 in the culture supernatant of astrocytes was not increased by adminstration of LPS, IFN-γ, B-16 cells, and M. pneumoniae antigen of B-16+M. pneumoniae, and B-16+IFN-γ+M. pneumoniae during experimental period. The concentration of IL-6 in the culture supernatant of astrocytes was increased by adminstration of LPS, IFN-γ alone, but it was highly increased by treatment of M. pneumoniae and B-16 cells alone, or combination of B-16+M. pneumoniae, and B-16+IFN-γ+M. pneumoniae during experimental period. The concentration of IL-10 in the culture supernatant of astrocytes was not increased by treatment of LPS and IFN-γ alone, but it was highly increased by adminstration of M. pneumoniae, B-16 cells, B-16+M. pneumoniae, and B-16+IFN-γ+M. pneumoniae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The concentration of IL-12 in the culture supernatant of astrocytes was not increased by adminstration of IFN-γ and B-16 cells alone, but it was highly increased by adminstration of M. pneumoniae and LPS, B-16+M. pneumoniae, and B-16+IFN-γ+M. pneumoniae during experimental period. The concentration of TNF-α in the culture supernatant of astrocytes was not increased by administration of LPS and IFN-γ alone, but it was highly increased by administration of M. pneumoniae and B-16 cells, B-16+M. pneumoniae, and B-16+IFN-γ+M. pneumoniae during experimental period.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inflammatory cytokines production of astrocytes would be augmented by mixed exposure with M. pneumoniae antigen, B-16 cell and IFN-γ than single exposure with M. pneumoniae antigen, B-16 cell and IFN-γ. The immune suppressive cytokine IL-10 production of astrocytes also would be augmented by exposure with M. peumoniae antigen, which may be act downregulation of immune response.

      • 얼굴인식 데이터의 효과적인 분산처리를 위한 비트보정 압축 및 복원 방법

        김태영 인하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얼굴정보 데이터베이스의 규모는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대용량 얼굴정보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하여 분산컴퓨팅 기반 얼굴인식이 매력적인 방법으로 꼽히고 있다. 이에 따라 얼굴인식의 분산처리를 위한 효과적인 방법 역시 최근 연구의 중요한 주제로 거론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비트보정을 통하여 압축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을 통해 얼굴인식을 위한 효과적인 분산처리 방법을 제안한다. 데이터는 일치하지 않는 두 개의 범위를 지닌다. 하나는 값을 표현하기 위한 범위이고 다른 하나는 값이 분포하는 범위이다. 일반적으로 값이 분포하는 범위가 데이터의 크기를 결정하며, 값이 분포하는 범위에 비해 넓다. 비트보정을 통한 데이터 압축은 이러한 두 범위 사이의 차이점을 제거함으로써, 전송 데이터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효과적인 방법의 분산컴퓨팅 기반 얼굴인식을 제공할 수 있다. 실험 결과는 비트보정을 통한 압축 데이터 전송방법은 전송하는 데이터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것을 통해 전체적인 처리시간을 감소시키고, 합리적인 인식률을 유지하는 것을 보여준다. Scale of facial information database is getting more and more larger. distributed computing based face recognition is very attractive method for processing the hugh amount of facial data. In proportion as this trend, effective method for distributed processing of face recognition is important subject of recent study In this paper, We proposed compressed with bit conversion data transfer methods for efficient distributed processing for face recognition. Data have two range which are not corresponding each other. One is the range of value representation, and other one is the spread range of value. In general, value representation range determines the data size, and more wider than value spread range. By the eliminated difference between two range using data compressed with bit conversion method, we can reduce the transferred data size and provide effective methods for face recognition using distributed computing Experimental results shows that compressed data transfer with bit converstion method reduced processing time for face recognition progress by the decreased size of transferred data with reasonable recognition rate, efficient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