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철도관광상품 서비스품질이 신뢰, 고객만족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김채원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철도관광상품에 대한 고객의 기대가 고급화됨에 따라 새로운 교통이념 패러다임에 맞추어 서비스품질을 철도관광상품에 접목하여 철도서비스품질 요인을 도출하고 신뢰, 고객만족 및 충성도에 영향을 파악하고자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는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철도관광상품 서비스품질 문제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개선하여 충성고객 확보를 도모하여 경쟁력 있는 관광사업 발전에 기여하고자 함이다. 철도관광상품 서비스품질이 신뢰, 고객만족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철도관광상품 서비스품질이 신뢰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한 연구가설의 상대적 영향력은 관광성이 신뢰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다음으로 연계성, 분위기성, 안락성 등의 순으로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과거의 철도관광은 최종 관광지만이 관광목적인 것으로 인식되었지만 앞으로의 철도관광은 경유공간과 이동수단을 통하여 최종 관광지 등이 모두 복합관광 목적화 되는 관광목적지 다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대중교통수단과의 연계가 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철도관광상품의 상품성이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한 연구가설의 검증결과 철도관광상품 요인 중 특히 안전성과 서비스성 요인이 철도관광상품에 대한 고객만족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 예측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신상품 개발 시 참여자의 역할을 강화하고 전문성을 잘 반영하여 다양한 관광상품을 통해 고객만족에 최우선을 하여야 한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고객만족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관광전문인력 양성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여 관광상품 전문가를 양성하고 여행 전문업체 파견근무를 통해 상품기획을 위한 전문적인 노하우 습득을 할 필요성이 있다. 셋째, 철도관광상품에 대한 신뢰는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한 연구가설의 검증 결과, 철도관광상품에 대한 신뢰는 고객만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철도관광상품에 대한 신뢰가 높을수록 고객만족도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신뢰가 고객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 예측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철도관광상품에 대한 고객만족은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한 연구가설의 검증결과, 철도관광상품에 대한 고객만족은 충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철도관광상품에 대한 고객만족도가 높을수록 고객의 충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고객만족이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예측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가설검증 결과를 종합해 보면, 철도관광상품 서비스품질 요인 중 연계성과 안락성, 관광성, 분위기성은 철도관광상품에 대한 신뢰에 영향을 미치고, 이렇게 형성된 신뢰는 충성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면서 고객만족을 통해서도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철도관광상품 서비스품질 요인 중 안전성과 서비스성은 신뢰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고,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고객만족을 통해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충성고객을 확보하여 관광경쟁력 강화에 도움이 되는 철도관광상품 서비스품질 향상을 위한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선진철도 외국 기업의 철도관광상품의 서비스품질 측정을 통하여 외국 선진철도기업의 글로벌화에 따른 준비와 국내기업의 해외 진출에 대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re is a remarkable increase in customers' needs for railroad tour products. For this reason, this study sought to link service quality to railroad tour products in line with the new paradigm of the transportation concept, to identify the influential factors for reliability, customer satisfaction, and loyalty based on surveys of the current situations and literature review, and to derive the implications concerning what factors the key capability should be focused on. This intends to effectively manage and improve the recurring service issues of the railroad tour products, receive the support of loyal customers, and boost the competitive development of tour businesses. The service quality effects of railroad tour products on customer reliability, customer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ve influence of hypothetical influence variables that the service quality of railroad tour products will influence reliability showed that tourist attraction had the greatest effect on reliability, followed by connectivity, atmosphere, and comfort. It was found that the greatest influential factor for customer reliability when using railroad tour products was the image or reputation of the tourist destinations. Furthermore, it was beneficial to receive accurate tourist information from the staff in order to stay informed on various tour programs until the final tourist destination. In the past, railroad tours focused on the final destinations; however, future railroad tours should have a good linkage with mass transportation modes and properly handle the diversification of the tourist destinations involving a combination of transit spaces, modes of transport, and final destinations. Second, we verified the hypothesis that product attraction will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thereby revealing that safety and serviceability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customer satisfaction on railroad tour products. This suggests that when developing new products, the roles of the participants should be strengthened, professionalism should be well reflected, and diverse products should be developed, so that the first priority would be customer satisfaction. In order to meet customer satisfaction, there is a need to operate educational programs for encouraging the tourism professionals to nurture tourism product experts, and to acquire knowledge and experience on product planning by dispatching staff to work at tour specialist firms. Third, we verified the hypothesis that customer reliability on railroad tour products will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This suggests that a higher reliability on railroad tour products will result in a higher customer satisfaction, and reliability is an important positive predictive factor of customer satisfaction. Fourth, we verified the hypothesis that customer satisfaction on railroad tour products will have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customer loyalty. This suggests that a higher customer satisfaction regarding railroad tour products will result in a higher customer loyalty, and customer satisfaction is an important positive factor of loyalty. Based on the verification results of the above hypotheses on the service quality factors of railroad tour products, connectivity, and comfort, tourist attraction and atmosphere have effects on customer satisfaction with regard to reliability on railroad tour products, thereby directly influencing loyalty. Meanwhile, it was found that the service quality factors of railroad tour products (e.g., safety and serviceability) had no direct effects on reliability, but these have influenced customer satisfaction, thereby suggesting that customer satisfac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loyalty. Therefore, this study presented operating measures to help in securing loyal customers and boosting tourism competitivenes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ould be used to measure the service quality of railroad tour products of the advanced foreign corporations, prepare for the globalization of advanced railroad companies in foreign countries, and help domestic companies enter the overseas markets.

      • 소스 커뮤니티 관점에서 유형·무형유산 연계교육 방안 : 국립부여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김채원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As the number of domestic museums gradually increases, th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museums to enhance local access and expand opportunities for cultural enjoyment is also on the rise. The preexisting museums that are in operation are striving to come up with better services, having acknowledged this particular policy direction. Also, museums are attempting to set forth various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based on the new paradigm shift. In this regard,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museum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source community, discuss educational measures, facilitate their roles, and diversify participation. Source community refers to the original owners or their ancestors of the artifacts displayed in museums. It is the idea that claims all duties regarding museum artifacts must be carried out from their perspectives. Based on this theory, this paper sought ways to collaborate with the source community by linking tangible and intangible heritage as a space for dialogue to build up various discourses, rather than relying on tangible heritage-based museum education developed and operated focusing on museum artifacts. In order to provide the source community that could collaborate with the Buyeo National Museum, a tangible asset-based museum, this paper suggests the following theoretical arguments. First of all, as a theoretical review of the concept and background of source communities, the paper attempted to grasp the flow and changing trends the source communities are formed in. Furthermore, to apply the concept to Korea, it organized the key points required for active source communities by clarifying the premises needed to build source communities from a new governance perspective. Secondly, the research conducted case studies for collaboration with source communities in domestic museum education fields, focusing on comparison between the educational programs of the research subjects Buyeo National Museum and Jeju National Museum. Jeju National Museum’s operation was focused on telling the stories of the lifestyles of the local elderly while developing education for them. It was considered a model example in source communication-based museum education process, as the collaboration with the source community was seen in all processes of educational development including casting, pre-interview, creation of educational materials, and learning. Thirdly, the scope of source communities that could collaborate with the Buyeo National Museum was categorized into village units exhibiting community cultures, preservation groups that protect the Baekje culture through research, restoration and reenactment, and institutional units including intangible cultural assets. Each case was researched to seek measures to apply to the Buyeo National Museum education. Fourthly, the research suggested an educational plan and development measure to link tangible artifacts to transmitting culture of source communities and researched methods to further facilitate them. Improving the awareness of educational experts, preparing specialized educational means for each museum, and actualizing unique plans turned out to be the necessary steps. The paper emphasized that forming a cooperative network of experts over various fields could help activate the planning, developing, and learning of the source community-based education.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recognize the necessity of participation and roles of source communities in museum education for intangible and tangible asset-linked education and to suggest ways to activate them. The paper attempted to envision a future pathway for museum education by highlighting the importance of this dialogue,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local networks from the standpoint of museums and source communities as local-specific educational institutes, and persuading building a collaborative system. 국내 박물관 건립 수가 점차 증가하는 현재의 추세에서 지역접근성을 높이고 문화향유 기회를 확대하기 위한 노력에 따라 박물관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도 점차 높아지고 있다. 기존에 설립·운영되고 있는 박물관은 이러한 정책적 방향을 인식하고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한 박물관은 새로운 패러다임 변화에 입각하여 박물관학의 학제 간 다각적인 접근을 도모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흐름 속에서 생성된 개념인 소스 커뮤니티(source community) 관점에서 박물관 교육을 분석하고 학습 방안에 대한 논의와 더불어 이들의 역할과 참여방안을 활성화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소스 커뮤니티란 박물관에 소장된 유물의 원래 주인 또는 해당 집단의 후손들을 뜻하며, 이들의 관점에서 박물관의 소장품과 관련된 업무를 수행해야 함을 주장하는 개념이다. 이와 같은 이론을 토대로 박물관 소장품을 중심으로 개발·운영되는 유형유산 기반의 박물관 교육을 지양하고, 다양한 담론을 형성할 수 있는 대화의 장으로서 유형·무형유산의 연계성을 통해 소스 커뮤니티와의 협력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유형유산 중심의 국립부여박물관과 협력할 수 있는 소스 커뮤니티를 제시하고 박물관 교육과정에서 적용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논지를 전개하였다. 첫 번째는 소스 커뮤니티의 개념과 등장배경에 대한 이론적 고찰로 박물관의 변화 양상에서 어떠한 흐름 속에서 생성되었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해당 개념을 국내에 적용하기 위하여 뉴거버넌스 관점에서 소스 커뮤니티 구축을 위한 관계를 정리하여 소스 커뮤니티가 활성화되기 위한 핵심적 사항에 대한 논의를 정리하였다. 두 번째는 국내의 박물관 교육에서 소스 커뮤니티와의 협력을 위한 사례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적용 대상인 국립부여박물관과 국립제주박물관의 교육프로그램을 비교 연구하였다. 국립제주박물관의 경우는 지역의 어르신의 생활문화와 관련된 교육을 개발하는데 그들의 관점에서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다. 또한 교수학습 개발의 과정에서 소스 커뮤니티와의 협력으로 섭외, 사전 인터뷰, 교육자료 제작, 학습 과정의 전 단계에서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소스 커뮤니티 관점에서 박물관 교수학습 과정의 모범적 사례로 연구하였다. 세 번째는 국립부여박물관과 협력할 수 있는 소스 커뮤니티의 범위를 마을단위의 공동체 문화를 가지고 있는 집단, 연구·복원·재현을 통해 백제문화를 정비하고 있는 보존회와 같은 소스 커뮤니티, 그리고 무형문화재 보유자와 같이 제도적인 차원에 속하는 소스 커뮤니티로 구분하여 각 사례를 조사하였고, 이를 통해 국립부여박물관 교육에 적용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네 번째로 박물관에서 유형의 소장품과 소스 커뮤니티의 전승문화를 연계하기 위한 교육 계획(안) 및 교육개발 방안을 제시하였고, 이에 따라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연구하였다. 교육관련 전문가 집단의 인식 개선과 박물관의 특화된 교수학습방안을 마련하고 특성있는 계획을 구체화하는 것이 필요하며 각계 종사자들이 협력하여 네트워크를 형성한다면 소스 커뮤니티 기반의 교육 개발·계획, 학습과정에서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는 박물관의 유형·무형유산 연계 교육을 위한 박물관 교육에서 소스 커뮤니티의 참여와 역할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이를 통해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논의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지역의 특성을 살린 특화된 교육기관으로서 박물관과 소스 커뮤니티 관점에서 지역 네트워크의 중요성, 그리고 협력적 체계 구축을 통한 박물관 교육의 발전적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 한국어 초급 학습자를 위한 불규칙 활용 교육 방안 연구

        김채원 동덕여자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국어 문법 교육의 목표가 한국어에 대한 직관이 없는 외국인에게 의사소통을 위한 지식 전달이라는 점을 감안할 때 불규칙 활용은 외국인 학습자에게 ‘문법 항목’으로서 가르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한국어 교육 현장을 보면, 어떤 한국어 교재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불규칙 활용을 문법 항목으로 제시하기도 하고 그렇지 않기도 한다. 이에 이 논문은 불규칙의 개념과 용어의 외연을 정하고 불규칙 활용 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한 후, 불규칙 활용 교육 방안을 마련하였다. 이 논문에서 다룬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불규칙 활용은 규칙 용언의 유무와 관계없이 활용할 때, 용언의 어간이나 어미의 ‘표기’가 바뀌는 현상이다. 한국어 문법 교육에서는 형태의 가변성으로 용언의 불규칙성을 판단한다. 그러나 이러한 정의는 발음으로 인한 형태 변화까지 고려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표기’ 변화라는 구체적인 조건을 더하여 불규칙 활용의 개념을 제시하였다. 둘째, 불규칙 활용은 11개를 인정하였고, 그중에서 8개의 불규칙 활용을 문법 항목으로 제안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15가지의 불규칙 활용을 분류하였다. 그러나 현대 국어에서 거의 쓰이지 않는 불규칙 활용이나 공시적인 불규칙 논의로 끌고 오기 어려운 불규칙 활용 등을 불규칙 현상에서 제외하였다. 인정한 불규칙 활용 중 교육적 효용성을 고려하여 8개의 불규칙 활용만 문법 항목으로서의 불규칙 활용으로 정하였다. 셋째, 불규칙 활용은 ‘초급’에서 다루어져야 하는 문법 항목이다. ‘TOPIK’의 문법 문제나 ‘국제통용 한국어 교육 표준모형 2단계’ 등을 살펴볼 때, 불규칙 활용은 초급에서 다루어야 할 현상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불규칙 용언은 일상생활에서 사용 빈도가 높다. 외국인이 일상생활에 필요한 기초적인 언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 초급의 목표라는 점을 고려하면 불규칙 활용은 초급 단계에서 가르쳐야 한다. 넷째, 불규칙 활용이 실제 교육 현장에서 어떻게 제시되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한국어 교육 기관에서 편찬한 교재 5종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불규칙 제시 단계, 불규칙 용어, 문법 설명 방식, 외국어 번역 여부, 도식 제시 여부, 예문의 종류, 활용표 제시 여부, 규칙 활용 제시 여부, 연습 종류 등을 기준으로 살펴보았다. 교재마다 불규칙 활용을 제시하는 방식이 다른 것은 물론, 동일한 교재 내에서도 기술 방식이 다른 경우가 있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다섯째, 불규칙 활용의 제시 순서는 ‘ㄷ, ㅂ, ㅡ, ㄹ, 르, 러, ㅎ, ㅅ’ 순으로 제시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이는 불규칙 용언의 전형성, 난이도, 어휘 개수와 어휘 빈도, 불규칙 활용 양상, 학습 관련 어휘 등을 고려한 결과이다. 이 연구는 외국인이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 불규칙 활용을 학습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밝히고 불규칙 활용의 교육 방안을 마련했다는 것에서 의의가 있다. 한국어 교육에서 불규칙 활용 자체의 연구나 불규칙 활용의 교육 방안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Considering that the goal of Korean grammar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is to impart knowledge for communication to foreigners who do not have intuition about Korean, irregular conjugation needs to be taught to foreign learners as ‘grammatical items’. However, if you look at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al site, irregular conjugation is presented as a grammatical item or not, depending on which Korean language textbook is used. Thus, I account for the concept of irregularity, propose the need of irregular conjugation for education, and come up with an irregular conjugation education plan.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rregular conjugation is a phenomenon in which the 'marking' of the stem or end of the word changes when used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the regular verb stem is present.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community judges irregularities in terms of variability in form. However, this definition has a problem that should be considered the change of form due to pronunciation. To supplement this, I proposed the concept of irregular conjugation adding the specific condition of 'marking' changes. Second, this study was recognized 11 irregular conjugations and proposed 8 of them as grammatical items. 15 irregular conjugations were classified through previous studies. However, irregular conjugations, which are rarely used in the contemporary Korean language or are difficult to attract due to public irregular discussions, were excluded from the irregularities. Of the irregular conjugations recognized, only 8 irregular conjugations were determined as grammatical items, taking into account educational utility. Third, irregular conjugation is a grammatical item for ‘the beginning level’. Looking at TOPIK's grammar questions and the second stage of ‘the international Korean language education standard model’, we can see that irregular conjugation is a phenomenon that should be dealt with at the beginner's level. In addition, irregular terms are frequently used in everyday life. Considering that it is a beginner's goal to be able to perform basic language functions necessary for daily life, irregular conjugation should be taught at the beginner's level. Fourth, to see how irregular conjugation is presented at the actual educational site, five textbooks compiled by Korean language educational institutions were selected and analyzed. This study looked at irregular presentation stages, irregular terms, grammar explanation methods, foreign language translation, schematic presentation, type of example sentence, utilization table presentation, rule use presentation, exercise type, etc. It was found that the method of presenting irregular conjugation of each textbook is different and that the technique method is different within the same textbook. Fifth, the order of irregular conjugation is ‘ㄷ, ㅂ, ㅡ, ㄹ, 르, 러, ㅎ, ㅅ’. It is the consequence of considering the typicality of irregular words, difficulty, number of vocabulary and frequency of vocabulary, irregular conjugation patterns, and learning-related vocabulary. Th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ed that foreigners need to learn irregular conjugation to communicate smoothly and prepared educational methods for irregular conjugation. It is expected that studies on irregular conjug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education methods for irregular conjugation can be done actively.

      • 유기체적 상상을 통한 미래적 공간들 :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김채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본인이 설치 미술 분야에서 7년 이상에 걸쳐 작업한 두 개의 시리즈, <스페이스 오딧세이>와 <딥 심플리씨티>를 바탕으로 본인 작업의 주제와 표현 방식을 고찰한 것이다. <스페이스 오딧세이> 시리즈는 현대를 사는 도시인들의 꿈과 갈망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는 작업이며, <딥 심플리씨티> 시리즈는 우주의 생성과 그 끝없는 진화와 변화에 대한 가능성을 고민한 작업이다. 현대인들의 대부분이 거주하는 공간인 현대 도시는 풀이나 나무 같은 생물의 군락과 같은 방식으로 생성되고, 먹이와 자원에 의존해 팽창하며, 사람과 건물의 숫자에서의 과도한 밀도 때문에 포화 상태에 이르면 스스로 괴로워하며 정체되고 만다는 점에서 유기체와 흡사한 모습의 생명 현상을 보인다. 또 앞으로 인류가 우주로 그 손길을 뻗치게 될 때 만들어질 우주 도시나 우주 구조물도 지구상의 현대 도시의 모습과 흡사한 방식으로 유기체적 생명 현상을 보이게 될 것이다. 본인은 이러한 유기체적 생명 현상을 가지는 현대 도시의 다양한 모습과 미래 우주 도시가 띠게 될 상상적 형태에 주목하였다. 또 그러한 현대 도시의 모습과 미래 우주 도시의 형태에 대한 예술적 표현을 통해 현대인의 꿈과 갈망을 헤아려보고자 하였으며 이것이 본인의 첫 번째 시리즈 작품 <스페이스 오딧세이>의 주제이다. 존 그리빈은 이 세상의 한정 없는 혼돈 (chaos)의 근저에 존재하는 단순함을 딥 심플리씨티 (deep simplicity)라고 불렀다. 인간의 힘으로 감당할 수 없는 거대한 자연 (mother nature)에 의한 예측할 수 없는 천재지변의 경우에도 그 근저에는 ‘아주 작은 하나의 단순한 상황’이 존재할 뿐이다. 그러나 이 단순한 상황이 일으킨 물결이 복제되어 전체 망으로 퍼져 나감으로써 종국적으로는 거대한 사건이 일어나고 말게 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존 그리빈이 말한 이 깊은 단순함 (deep simplicity)은 거대한 사건의 근저에만 존재할 뿐, 표면상에 스스로의 모습을 드러내지 않는다. 표면상에는 질서와 혼돈이 교묘하게 결합된 일종의 복잡한 질서 ‘카오스모스 (chaosmos)’의 모습만이 나타날 뿐이다. 본인의 두 번째 시리즈 <딥 심플리씨티>는 이렇게 우주의 근저에 존재하는 ‘깊은 단순함 (deep simplicity)을 말하고자 한 것이다. 그러나 <딥 심플리씨티> 시리즈는 이 단순함을 그대로 구현한 것이 아니라 질서(cosmos)인 유토피아(utopia)와 혼돈(chaos)인 헤테로토피아 (heterotopia)가 표면상에서 교묘하게 결합하여 ‘복잡한 질서’로서 공존하는 모습을 탐구하고 있다. 즉 ‘실재하지 않는 이상적인 공간인 유토피아’와 ‘실재하지만 이질적인 공간인 디스토피아’가 혼재한 모습인 이 세상과 우주를 드러내는 것이다. 특히 이 작품에서는 미셀 푸코가 말 한 바 ‘장소가 없는 장소’로서 ‘뒤집힌 혼성의 장소’인 헤테로토피아의 개념과 원리를 표현하기에 주력함으로써 본인 작업의 이론적인 근거로 삼았다. 이 작품에서는 또 우주가 프랙탈 (fractal) 구조에 의해 자기 유사성 (self-similarity)과 순환성(recursiveness)의 법칙에 의해 확장해 나가며 공간을 형성하는 현상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본인은 또 이 작품들과는 별도로, 관객을 위해 이 설치 작품을 전시한 전시 공간에 대한 장소적 개념으로서 마크 오제가 도입한 개념인 비장소 (non-places)의 개념을 원용하였다. 마크 오제가 말한 바 비장소는 사람들이 실제로 거주하는 곳이 아니라 다른 곳으로 떠나기 위해 잠시 들르는 환승의 장소이고, 사람들이 서로 만나는 곳이 아니라 지나가기 위해 스치기만 할 뿐인 곳을 의미한다. 이는 또 마크 오제가 말 한 바 그대로 현대 사회와 현대 도시의 특징이기도 하다. 이상의 논의를 바탕으로 위 두 개의 작품 시리즈에서 본인은 이 세상의 서로 병립할 수 있는 혹은 병립하기 어려운 다양한 개념들이 그 정체성을 드러내고 다양한 경계의 단면을 연출하며 복잡한 세상을 만들어내는 모습을 표현하였다. 특히 이 두 개의 시리즈 작품들에서는 사건과 사물이 만들어 내는 경계적 상황에 주목하여 다양한 매체로 ‘경계성’의 특성에 대한 풍부한 표현의 가능성을 살리기 위해 여러 방면으로 서술했다. 네트워크의 바다에서 살아가는 현대인은 기술에 근거하고 질서가 확립돼 있는 것으로 보이는 무한한 네크워크의 세계에서 서로 얽히며 융합하는 삶의 방식을 통해 오히려 혼돈과 무질서를 만들어 낸다. 본인의 두 개의 작품에서는 객관적이고 유연한 사고를 통해 한편으로는 이러한 현대인의 모습을 상기시키고 또 다른 한편으로는 수많은 미래적 경계의 단면 상황을 제시하기 위해 애썼다. 나아가 삶과 예술을 연결하고 인간의 미래 환경과 관련한 새로운 미학적 관점을 제시하고자 다양한 매체와 설치 방식을 시도하였다. 궁극적으로 본인은 현대인들이 예술을 통하여 스스로의 문화적 유전자를 발견할 수 있는 설치 공간을 창출하는 적극적이고 실천적인 예술을 지향하고자 한다. This study is a consideration on the theme and expression of two series art pieces of me in installation fine art, <Space Odyssey> and <Deep Simplicity> which have been created over more than Seven years. The series <Space Odessey> is a work including the story on the dream and craving of urbanites who lives in modern times, and the series <Deep Simplicity> is a work in which I agonized concerning the possibility on the creation, endless evolution and change of the universe. Modern cities which is a space where most of modern people reside show a vital phenomenon which is similar to that of organisms in that modern cities are created in the way just as the colony of living things like grasses and trees, that they expand relying on foods and resources, that they cannot avoid suffering pain and being stagnant if they reach to saturation according to excessive high density in the number of people and buildings. Also it is anticipated that space cities and space structures which will be made when humankind extend their hands to space will also manifest organic vital phenomenon in a similar appearance of modern cities on the earth. I paid attention to the diverse appearances of modern cities which have this organic vital phenomenon and the imaginative figures which future space cities will have. And I attempted to fathom the dreams and cravings of modern people through the artistic presentation for these appearances of modern cities and figures of future space cities, which are the themes of my first series work <Space Odyssey>. John Gribbin called the simplicity which exists on the basis of the infinite chaos of this world as Deep Simplicity. In case of the unpredictable natural calamity by mother nature which is unable to cope with by human ability, merely a minute simple situation exists on the basis of it. However it ends in that a magnificent event occurs inevitably as the waves which this simple situation generated, are replicated and spreaded into an entire network. In this context, the deep simplicity which John Gribbin referred exists only on the basis of a magnificent event, and it does not reveal it`s appearance on the surface. On the surface, only the appearance of chaosmos which is a kind of complicated order in which order and chaos are connected elaborately. The second series work of me <Deep Simplicity> is one by which I would like to say about this deep simplicity which exists on the basis of the universe. However my series work, <Deep Simplicity> does not implement the simplicity which John Gribbin said as it is, but explores the appearance in which utopia which is equivalent to order and heterotopia which is equivalent to chaos are elaborately connected on the surface and coexist as a complicated order. That is, the work reveals this world and the universe which have the appearance in which utopia which is a nonexistent ideal space and distopia which is existent but heterogeneous space exist in mixing. Particularly, in this work, I struggled to be faithful to the theoretical basis of my work as I concentrated to present the concept and theory of heterotopia which is 'a place without a place' and 'a reversed and mixed place' according to the reference of Michel Foucault. In this work, I also attempted to present the phenomenon that the universe forms space as it expands continually according to the rule of self-similarity and recursiveness by fractal structure. Also I cited the concept of non-places which was introduced by Marc Auge as place concept for the exhibition space in which these two series works were displayed for the audience apart from the works themselves. The non-places referred by Marc Auge mean not the places where people reside in reality, but the places for transfer where people drop in only for a moment to depart to other places, as well as not the places where people meet together, but the places where people only touch one another to pass by. These are also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society and modern cities just as Marc Auge explained. In the two series works, I rendered the appearance that the various concepts which are compatible mutually or which are difficult to be compatible one another create this complicated world as they reveal their identities and act out and show diverse sections of their boundaries on the theoretical basis of above explanation. Particularly in the two series works, I strived to make use of the infinite possibility of expression on the characteristic of 'boundary' with various media as I paid attention to the situation of boundaries which events and objects create. Modern people who live in the sea of networks rather produce chaos and disorder through the way of life in which individuals get entangled and blended in the world of infinite networks which is based on technology and seems to be established in order. In the two series works of mine, I made great effort to remind the appearance of modern people like this on one hand, and to suggest numbers of sectional situations in the future on the other hand through an objective and flexible way of thinking. Further, I attempted diverse media and installation methods to connect human life and art, and to suggest a new aesthetic viewpoint concerning the future circumstance of humans.

      • 근육움직임을 이용한 바디페인팅 퍼포먼스 연출에 대한 연구

        김채원 서경대학교 미용예술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Late in the 20th century, various cultures, the movement to create new system, and the new art trend to regard unique and creative individuality represented under the influence of postmodernism. Interests and demands for body painting are increasing because it creates performance art in combination with the other art. Body painting is painting and designing onto the human skin. It is designed after considering the solid shape and frame of the human body, because the resulting artwork is not on a flat canvas and on the solid body directly. Also, it is important to create the image using movements of the human body muscle as a visual design factor.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movements of the human body muscle, propose choreography and a floor pattern design, and produce the body painting performance art. This study aimed to analyze movements of the human body muscle, propose the space design for concept of the work, and aimed formative research of visual space art which is body painting performance production through the combination of body painting design, choreograph, and stage space design. The proces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o find the method to apply design images through analyze examples of body painting which is used the movement of muscle, based on literatures and documents of preceding researched about character of body painting and muscle, also various literatures and visual researches relative with culture, art and dance. secondly, the work of body paint to apply the design image by movements of the human body muscle are presented, and proposed the direction about the work production as a body painting performance in combination with choreograph and a space desig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 1. Body painting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performance art. Body painting provides design images, paintings and colors to performance art, on the other hand, performance art supplies body painting with the whole artistic acts of the human body. 2. The design image of body painting can take advantage of movements of the human body muscles. The trapezius and the shoulder of the back have a great effects on images, and the deltoid muscle of the arms controls all movements of the arms. 3. The work of body painting painted an elephant shows the expressive qualities by movements of the human body muscles, various expressions and the movement of a trunk. As a result, body painting is the synthetic art to image internal expression on the human body and to create extemporary performance art. Therefore, it is expected to become a foundation of method to apply body painting design image, and a practical research of body painting performance production 20세기후반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으로 문화의 다양화가 인정되고 존중 받으면서 새로운 질서를 창조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났다. 그리고 예술전반에서도 획일화 된 미의 기준을 따르기 보다는 개인의 독특하고 창조적인 개성을 중시하는 경향이 나타나게 되었다. 최근 퍼포먼스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바디페인팅의 예술적 관념적인 차원으로 다양한 시도가 되고 있다. 이에 바디페인팅과 기존의 타 예술을 결합하여 동반자로서 자리매김 하였으며, 퍼포먼스를 자아낼 수 있어 대중적인 관심과 수요가 증가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신체의 배부와 상지에 해당하는 근육 움직임을 분석하며, 근육 움직임을 바탕으로 한 바디페인팅 디자인 이미지의 적용방법을 알아보고, 작품 컨셉에 맞는 공간디자인(Space Design)을 제안하고 이를 통해 바디페인팅 디자인과 안무, 무대 공간디자인을 결합하여 바디페인팅 퍼포먼스연출이라는 시 공간예술로서의 조형성 탐구에 목적이 있다. 본 논문의 연구방법은 첫째, 바디페인팅과 근육의 특성, 퍼포먼스에 관한 문헌 및 선행연구 자료를 중심으로 하여 사회, 문화, 예술, 무용에 관계된 다양한 문헌과 시각자료 등을 바탕으로 근육움직임을 이용한 바디페인팅 작품사례를 분석하여 디자인 이미지 적용방법을 알아보았다. 둘째, 바디페인팅 작품을 제작하여 근육움직임에 따른 적용 가능한 디자인 이미지를 제안하고, 안무와 공간디자인을 접목해 바디페인팅 퍼포먼스로서 작품연출에 대해 방향제시를 했다. 본 논문은 바디페인팅을 신체 종합예술로 승화시키기 위해 연구를 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바디페인팅과 퍼포먼스의 문헌적 고찰을 통하여 신체와 소품들을 이용해 현장에서 행해지는 퍼포먼스와 바디페인팅은 예술적 요소에 있어서 거의 유사하며, 퍼포먼스에 결여된 디자인 이미지와 그림, 색채 등을 바디페인팅이 보충하고, 인체의 총체적 예술행위를 퍼포먼스가 보충해 줄 수 있다는 걸 알 수 있었다. 둘째, 신체의 근육움직임에 대한 해부학적 연구와 작품사례 분석을 통하여 근육의 특성과 움직임을 세부적으로 연구할 수 있었다. 배부의 근인 승모근과 견갑거근이 제일 많이 작용 하고, 상지의 근인 삼각근이 팔의 모든 움직임에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바디페인팅 디자인 이미지의 적용 방법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코끼리 무늬를 바디페인팅에 접목시킨 작품 제작을 통하여 근육 움직임에 따른 표현적 특성과 코끼리 이미지에 대한 다양한 표정변화와 코의 풍부한 움직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바디페인팅은 인간의 몸을 대상으로 내적 표현을 이미지화 하여 즉흥적인 퍼포먼스를 자아낼 수 있는 신체 종합예술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바디페인팅 디자인 이미지 적용방법에 기초가 되고 바디페인팅 퍼포먼스연출에 있어 응용자료로 조금이나마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지문 감정의 증거가치에 관한 연구

        김채원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No forensic evidence proves all the facts. So do fingerprints and DNA evidence, which have strong evidential value in forensic science area. These evidences have more solid power when interpreted together with other evidence. Through holistic interpretation, the fact that we found comes closer to the truth. The features observed in fingerprints have been used as evidence without question for over a hundred years on the premise that they are very unique and persist a lifetime. If two whole different fingerprints are examined, the chance of accidentally having the same characteristics and fusion arrangement converge at zero. However, most of the fingerprints left on the scene have been partially or distorted. It has never been proven that the fingerprints left in part or distorted are unique. Forensic scientists are discuss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fingerprint examination. Through continuous research, forensic scientists are trying to make fingerprint examination methodology scientifically. The question “Is the fingerprint examination result reliable forensic evidence?” is the starting point of this study, and the author followed the footsteps left by the fingerprint community to answer these questions. The reliability of fingerprint examination result has been accepted in the court where fingerprint evidence has been an issue, and based on this, fingerprint evidence has solidified legal stability so far. On the other hand, scientists believe that it is difficult to regard it as science because the reproducibility, reliability and feasibility of fingerprinting have not been properly verified. This study reviews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fingerprint evidence through surveying literatures and theoretically and practically examines ACE-V, which is fingerprint examination methodology. This study suggested countermeasures. In Korea, the number of feature points needed to determine that two fingerprint images have the same origin should be 12. This numerical standard is strict compared to other countries. According to this standard, no error in fingerprint identification has been reported in South Korea so far. However, the empirical fact does not guarantee that such an identification error will not happen in the future. For now, it is most desirable to jump on the bandwagon to ensure the accuracy of fingerprint examination results by making the methods as scientific as possible. Most importantly, the expertise of the fingerprint examiners should be strengthened. This requires continuous professional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and a strict certification system. Next,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ability of the fingerprint examiners to testify, to provide the basis for the results they have determined in court, and to improve their examination reports and reporting methods so that they can explain the degree of certainty of the decision. Finally, financial support is needed. Through this, academics can carry out probabilistic studies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fingerprint examination or to scientifically explain the results of fingerprint examination, and fingerprint examiners can be provided continuous education. The ability to interpret the source of fingerprint evidence is more important. The better fingerprint examiner interprets, the higher the evidential value. Even without mentioning the history of fingerprint, fingerprint evidence is used as generally accepted evidence. But there is always the possibility of errors occurring in the process of fingerprint examination. Rather than not being able to exist the same two fingerprints in the world, it would be more appropriate to apply a methodology that minimizes the possibility of errors in determining whether the fingerprints originated from someone's fingers. This is why we should continue to study scientific methodologies and make efforts to verify their validity, instead of claiming that we are 100 percent sure of fingerprint examination. This study expects that further studies follow and fingerprint examination in South Korea gets more reliable. 어떤 법과학 증거도 모든 사실을 전적으로 증명해주지 않는다. 강력한 개인식별 수단으로 인식된 지문이나 DNA도 마찬가지다. 이러한 증거들은 다른 증거들과 함께 해석될 때 더 견고한 힘을 갖게 된다. 그리고 그렇게 알아낸 사실은 진실에 가까워진다. 지문에서 관찰되는 특징은 매우 독특하고 평생 지속한다는 전제하에 100여 년이 넘는 긴 시간 동안 의문 없이 증거로 사용되어왔다. 온전한 두 개의 서로 다른 지문이라면 우연히 같은 특징과 융선 배열을 가질 가능성은 0에 수렴한다. 하지만 현장에 남겨진 지문은 대부분 부분적이거나 왜곡이 발생한 상태이다. 부분적으로 남겨진 지문이 독특하다는 것은 증명된 적이 없다. 외국에서는 이렇듯 부분적이거나 왜곡이 발생한 상태의 지문을 감정한 결과가 과학적 증거로 사용되기 위해서 갖춰야 할 자격에 대해 활발한 논의를 하고 있고,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지문 감정 방법론에 과학성을 채워 넣는 노력을 하고 있다. “지문 감정 결과는 믿을 수 있는 법과학 증거인가?”라는 의문이 본 연구의 출발점이며, 이러한 물음에 응답하기 위해 법과학계가 지금까지 지나온 발자취를 따라가 보았다. 지문 증거가 쟁점이 되었던 판결에서 지문 감정 결과의 신뢰성은 받아들여졌으며, 이를 바탕으로 지문은 지금까지 법적 안정성을 견고하게 다져왔다. 반면 과학성을 매우 엄격하게 따지는 일부 과학자들은 지문 감정의 재현가능성(reproducibility), 신뢰성(reliability), 타당성(validity) 검증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했기 때문에 과학이라고 보기 어렵다는 견해를 갖고 있다. 먼저 본 연구에서는 지문 감정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고찰해보고 지문 감정 방법론인 ACE-V를 이론적·실무적으로 정립한 후, 우리나라에서도 발생할 수 있는 지문 증거에 대한 도전을 극복할 방안과 지문 감정 제도를 더 견고하게 만드는 데 필요한 제도적 개선방안에 대해 제언하고자 하였다. 우리나라는 지문 일치 판정을 하는데 특징점이 최소 12개가 일치해야 한다는 수량적 기준을 사용해오고 있으며, 이 기준은 다른 나라와 비교하면 매우 엄격한 기준이다. 이러한 기준을 택하고 있는 덕분에 우리나라에서는 지금까지 한 번도 오류 사례가 보고된 적 없이 지문 증거를 안전하게 사용해올 수 있었다. 그러나 지금까지 오류가 없었다는 경험적 사실이 앞으로도 그러한 일이 없으리라는 것을 보장해주는 것은 아니다. 외국의 지문 연구자들이 감정 방법을 최대한 과학적으로 하여 지문 감정 결과의 정확성을 확보하고 신뢰할 수 있는 증거로 사용하려는 노력에 우리도 동참할 필요가 있다. 지문 감정 제도를 완전히 뒤집는 방식의 개선보다는 지금의 것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면서 부족한 부분을 채워나가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연구에서 검토한 다양한 지문 관련 연구 및 보고서와 판례를 토대로 우리나라 지문 감정의 증거가치를 강화하는 방안은 다음과 같다. 무엇보다 가장 중요한 것은 지문을 다루는 사람의 전문성이 강화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지속적인 전문 교육 및 훈련 프로그램과 엄격한 자격인증제도가 마련되어야 한다. 다음으로는 감정관들의 증언 능력을 키워서 법정에서 자신이 판정한 결과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고, 그 결정의 확실성의 정도를 설명할 수 있도록 감정 보고서와 보고방식을 개선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충분한 재정적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통해 학계에서는 지문의 신뢰성 확보를 위한 연구나 지문 감정 결과를 과학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확률적 연구를 수행할 수 있으며 실무에서는 지문 감정관에게 지속적인 교육을 제공할 수 있고, 지문 감정관의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할 수 있다. 법과학적 증거 중에서 가장 안정적으로 사용되어온 지문의 역사를 언급하지 않더라도 지문은 일반적으로 승인된 신뢰할 수 있는 증거로 사용되고 있다. 증거와 증명방법이 과학적인가를 판단하는 어떤 기준에 비추어보더라도 지문 감정 결과는 법정에서 충분히 수용되는 증거임에는 이론(異論)의 여지가 없다. 하지만 감정 과정에서 일어날 수 있는 오류의 가능성은 언제나 존재한다. 지문증거에 대한 질문으로는 “이 세상에 똑같은 두 개의 지문은 존재할 수 없는가?”보다는 “이 지문이 누군가의 손가락에서 유래된 것임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오류의 가능성을 최소화하는 방법론을 적용했는가?”가 더 적절할 것이다. 우리가 지문 감정을 100% 확신한다는 주장을 하는 대신 과학적 방법론을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그 타당성을 검증하는 노력을 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지문은 현출 및 증강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이 지문이 왜 그 사람의 것인지를 해석할 수 있는 능력이 더 중요하다. 지문이 갖는 의미를 해석하고 그것이 언어로 표현되어야 증거로서의 가치를 갖게 된다. 그러한 점에서 본 연구가 토대가 되어 지문 감정과 관련된 후속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기를 바란다.

      • 지문감식 및 감정절차상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채원 순천향대학교 법과학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연구자가 참여관찰 방법(participant observation)을 통하여 자동지문검색시스템(AFIS)을 직접 구동하는 과정에서 발견한 우리나라 지문 감식과 감정 절차상의 문제점을 제기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경찰 과학수사요원 그룹과 감정관 그룹을 대상으로 설문 및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경찰 과학수사요원을 대상으로 한 심층 면담 결과, 지문 감식과 관련하여 표준화되고 공식화된 절차가 없으며, 주로 도제식 교육(OJT)으로 기법을 전수받고 있었다. 과학수사요원이 받는 공식적인 교육에 대한 만족도는 매우 낮았다. 또한, 과학수사요원이 참여하고 있는 숙련도 평가는 엄격한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감정관을 대상으로 한 심층 면담 결과, 지문 감정 업무는 표준화된 절차로 수행하고 있으나 1차 감정관이 내린 판정 결과를 검증하는 과정에서 과중한 감정 업무 여건상 일대일 대조(single sample test)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눈가림 검정(blind test)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두 그룹 간 비교 분석 결과, 과학수사요원이 인식하는 좋은 현장지문 현출 지문의 가치와 감정관 그룹이 인식하는 감정하기 좋은 지문의 가치에는 차이가 존재하였다. 실무자를 통해 파악한 문제점과 다각도로 분석한 다양한 선행 연구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 지문 증거의 증거가치 향상을 위하여 제시한 개선방안은 크게 세 가지이다. 첫째, 경찰 과학수사요원과 감정관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일관성 있고 재현할 수 있도록 고안된 표준운영절차가 마련되어야 하며, 수요자 중심의 체계적인 교육과 훈련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기법과 기술의 사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공인된 인정 기관에서 제공하고 있는 자격인증 기준을 참고하여 숙련도 평가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 둘째, 증거의 무결성 확보를 위한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현재 우리나라 감식 및 감정 절차상 주관적인 요소가 개입할 수 있는 부분이 존재하므로, 과학수사요원과 감정관을 위한 표준운영절차(SOP)서류에 업무 수행 과정을 기록으로 남길 것을 명시하여야 한다. 셋째, 기본에 충실한 교육의 확충이 시급하다. 새로운 분야를 도입하는 데 급급하기보다는 과학수사요원의 직무 특성상 현장에서 가장 많이 다루는 지문 분야와 법사진학 분야에 대한 교육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경찰 과학수사요원과 감정관 그룹이 인식하는 지문증거의 가치판단 차이를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새로운 시도라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하자면 본 연구는 지문 감식과 감정에 관한 연구의 끝이 아니라 또 다른 시작이다. 그리고 그 시작의 한 걸음을 어떻게 뗄 것인가는 법과학자들이 우리나라 법과학의 발전을 위하여 양질의 고민을 지속적으로 할 것인가에 달려있다. 경찰 과학수사요원과 감정관은 업무적으로 밀접한 연관이 있다. 그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가 토대가 되어 과학적인 검증을 거친 여러 후속 연구가 계속되기를 기대한다.

      • Analysis of charge transport mechanism of high-performance Dibenzothiopheno[6,5-b:6’,5’-f]thieno[3,2-b]thiophene (DBTTT) single crystal field-effect transistors

        김채원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신소재공학과 신소재공학전공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This study presents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and intrinsic properties of DBTTT single crystals. Mobility of DBTTT single crystal FETs as higher as 35.69 cm2/V•s at room temperature was calculated. Through X-ray diffraction (XRD) analysis and cross polarized microscopy we confirmed well-grown DBTTT single crystals along (001) axis. We found two types of DBTTT single crystals, which are platelet shape (α-phase) and micro-ribbon shape (β-phase). They exhibited different electrical characteristics, α-phase of DBTTT SC-FETs showed better electrical characteristics such as mobility compared to β-phase of SC-FETs. Therefore, we used α-phase of DBTTT SC-FETs to investigate charge transport mechanism. By measuring electrical characteristics along with channel directions, we confirmed that DBTTT SC-FETs exhibited isotropic mobility maintaining high mobility. As we measured electrical properties in low-temperature region, we observed thermally activated transport and band-like transport in different temperature regions. Firstly, thermally activated transport was observed in the range from 300 K to 205 K, and then band-like transport was observed below 205 K. Especially, rapid mobility drop was found in initial temperature region (300 K< T <280 K). After calculating trap density of states (trap DOS) in initial range, we confirmed that high activation energy can lead to mobility decrease. Trap DOS of DBTTT single crystal has similar values with other kinds of organic single crystals such as rubrene, DB-TTF, and pentacene, which proved DBTTT single crystal has comparable quality. Furthermore, we measured terahertz raman spectroscopy which allows us to know change of lattice structure and phase polymorphs by comparing intensity and raman shift. Comparing raman peaks between 300 K and 200 K, we observed the polymorphs showing shifted raman peaks and we concluded that polymorphs make the transition of charge transport mechanism in DBTTT single crystal. 본 연구는 DBTTT 유기 단결정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전하이동 메커니즘 분석에 대한 내용이다. DBTTT 단결정을 이용하여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를 제작하였을 때, 전기이동도 는 상온에서 측정하였을 때 35.69 cm2/Vs 만큼 높은 값을 얻을 수 있었다. XRD 분석과 교차 편광 현미경을 통해서 DBTTT 단결정이 (001) 방향으로 성장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DBTTT 단결정 전계효과 트랜짓터에서 채널 방향에 따라서 전기이동도를 확인함으로써 DBTTT 단결정 전계효과 트랜지스터가 등방성 전기이동도 특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DBTTT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전지적 특성을 저온에서 측정함으로써 thermally activated 전하이동 특성 (300 K < T < 205 K)과 band-like 전하이동 특성 (T < 205 K) 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특히 초기 온도 범위 (300 K < T < 280 K)에서는 급격하게 전기이동도가 감소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Trap density of states (trap DOS)의 값을 확인하여 DBTTT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값이 rubrene, pentacene과 같은 좋은 특성을 보이는 다른 종류의 유기 단결정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trap DOS 값과 비슷한 값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Trap DOS를 계산하는 과정에서 활성화 에너지를 계산하였고, 초기 온도 범위에서의 급격한 전기이동도 의 감소가 높은 활성화 에너지에 의한 결과라고 추측할 수 있었다. 테라헤르츠 라만 분광법을 이용하여 200 cm-1 이하에서의 라만 분광 결과를 저온에서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대표적으로 300 K와 200 K에서의 라만 분광 결과를 확인하여, peak의 이동을 확인하였고, 온도가 낮아짐에 따라서 DBTTT 단결정에서 polymorph가 일어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polymorph의 변화가 DBTTT 단결정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에서의 전하 이동 메커니즘의 변화에 영향을 미쳤다고 확인할 수 있었다. 우리는 위 연구가 저분자 반도체 물질의 본질적인 특성 연구와 좋은 특성을 가지는 새로운 유기 반도체 물질의 설계에 기여 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교육과정과 중등 음악교사 임용시험의 연계성 연구

        김채원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교육대학원의 음악교육전공 교육과정과 중등 음악교사 임용시험 문항을 분석하여 이 둘 사이의 연계성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7~2019년도의 임용시험 66문항과 서울시 소재 교육대학원 11곳의 음악교육전공 교육과정과 강의계획서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연계성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교육학은 22.7%, 교과내용학 서양음악은 36.3%, 교과내용학 국악은 41%의 비율을 나타냈다. 교과내용학 서양음악은 음악 분석 및 형식론이 12.1%로 가장 많이 출제되었고, 출제되지 않은 대위법과 작곡을 제외하고 피아노 반주법이 3%로 가장 적게 출제되었으며, 교과내용학 국악은 국악개론이 21.2%로 가장 많이 출제되었고 한국음악사와 장구반주법이 6.1%로 가장 적게 출제되어 과목별로 차이를 보였다. 둘째, 각 교육대학원마다 다양하게 교육과정이 운영되고 있었으며 과목 개설 수가 가장 많은 학교는 42개, 가장 적은 학교는 15개로 큰 차이를 보였다. 또한 기본이수과목의 경우에는 학교마다 9~13개가 개설되어 약간의 차이가 있었으며 기본이수과목이 모두 개설된 학교는 없었다. 셋째, 기본이수과목과 임용시험의 과목 및 평가영역이 차이를 보였다. 기본이수과목에는 국악가창지도법, 음악(국악)교수법, 전공실기, 시창·청음이 있지만 임용시험 평가영역에는 해당하지 않았다. 반대로 임용시험 과목 및 평가영역에는 대위법과 작곡이 포함되어 있으나 기본이수과목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또한 임용시험에서는 음악 분석 및 형식론, 국악개론이 많이 출제되고 대위법, 작곡, 피아노반주법이 적게 출제된 반면 교육대학원에서는 서양음악사, 피아노반주법이 많이 개설되었으며 장구반주법이 적게 개설되어 임용시험의 출제 수와 기본이수과목의 개설이 반드시 일치하지 않음을 볼 수 있다. 이에 예비교사의 시험부담을 줄일 수 있도록 교육대학원의 과목 개설과 임용시험의 평가영역이 밀접하게 연계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기를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