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정신지체인의 性徵과 성교육

        김창호 단국대학교 1996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사춘기 정신지체인의 부모를 대상으로 하여 자녀의 성적발달을 알아보고 그들에게 적합한 성교육 방향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와 경기도에 소재한 특수학교 4개교에 재학중인 중. 고등부 통학생 150명과 장애인복지관 2개소에 재학중인 80명으로 총 23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그중 122부를 회수하여 자료처리에 부적절한 8부를 제외시키고 114부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성교육, 성의식, 성행동, 이성관을 21개 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자료처리는 빈도, 백분율로 처리하였으며 그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옴과 같다. 1. 성교육에 대한 결론 1) 남녀별 경우는 '성교육이 필요하다'에 대하여 남녀 각각 88.6% 와 72.7%로 모두가 높게 나타나고 '필요하지 않다'에서는 남녀 각각 11.4%와 27.3%로 나타난다. 이것은 성교육 필요성에 대하여는 전적으로 동의하고 있다. 2) 연령별 경우는 성교육 실시여부는 13-15세와 22-24세의 경우는 '가끔한다'가 가장 높게 나타나고 나머지 연령대에서는 '거의 하지 않는다'가 가장 높게 나타난다. 아직은 대부분 가정에서 성교육의 필요성은 느끼지만 실제로 가정에서 성 지도는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난다. 3) 학교와 복지관 경우는 가정에서 성교육 담당자는 두 기관 모두 '어머니'가 가장 많이 담당하고 있으며 복지관 경우는 사설교육기관 또는 전문가가 지도한다가 25%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 특색이다. 이것은 복지관에서 성교육프로그램 운영이 외부강사 초청으로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2. 성의식에 대한 결론 1) 남녀별 경우는 자녀의 2차성징 징후에 대한 부모의 심리상태는 '신변처리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걱정했다'에서 남녀 각각 37.1%와 56.8%로 나타나고 '당연하게 받아 들였다'에서는 남녀 각각 37.1%와 22.7%로 나타난다. 이것온 남자의 경우는 단순한 신체적 변화만 있지만 여자의 경우는 신체적 변화와 생리시와 같온 뒷처리 문제가 있기 때문이며 또한, 여자 자녀를 둔 부모가 심리적으로 더 많이 걱정하고 염려하고 있다. 사정 경험 유무는 '경험이 있다'가 가장 높게 47.1%로 나타나고 '모르겠다'가 30.0%로 나타난다. 이것은 사춘기 정신지체 자녀를 둔 부모는 더욱 자녀의 행동에 세밀한 부분까지 알아야 하며 그래야만 불확실한 성지식과 그릇된 성의식로 부터 보호하여 올바른 성적발달이 되도록 지도하여 사전에 문제행동을 예방해야 한다. 2) 연령별 경우는 최초의 사정시기는 16-18세에서 44.3%로 가장 높았다. 초경의 시기는 연령적으로 13-15세에서 54.6%로 가장 높게 나타난다. 3) 학교와 북지관 경우는 사청 경험 유무는 '경험했다'가 학교는 40.0%, 복지관용 60.0%로 나타난다. 특히, 복지관의 경우는 과반수 이상이 경험한 것으로 나타나서 현실성 있고 구체적인 성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또한 '모르겠다'에서는 두 기관이 각각 28.9%와 32.0%로 나타난다. 이것은 정신지체인의 사정이 은밀히 이루어지는 경우와 부모의 관심 부족으로 나타난 결과이다. 3. 성행동애 대한 결론 1) 남녀별 경우, 자위행위의 유무는 '자위행위를 한다'가 남녀 각각 48.6%와 15.9%로 남자가 훨씬 높다. 이것은 남자의 경우는 자위행위에 대한 교육프로그램이 더 필요하다. 자위 행위시 주변환경 구별여부는 '주변환경을 고려해서 한다'에서 남녀 각각 44.3%와 20.5%로 나타나고 '보지 않아서 모르겠다'에서는 남녀 각각 45.3%와 37.5%로 나타난다. 이것은 남자가 여자보다 주변여건을 고려해서 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그 이유는 자위행위를 남자가 더 많이 하기 때문에 가정에서 남자 자녀에게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성 교육올 하기 때문이다. 2) 연령별 경우는 이성과의 애무 실시 여부와 애무시 주변환경 구별 여부에서는 전 연령층에서 '보지 않아서 모르겠다'가 가장 높게 나타난다. 애무와 자위행위가 음성적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부모가 일상생활에서 관찰하기 어려운 면도 있기 때문이다. 3) 학교와 복지관 경우는 자위행위시 주변환경 구별여부에서 '주변환경을 고려해서 한다'에서는 학교가 31.1%, 복지관이 42.5%으로 복지관이 높게 나타난다. 즉, 학교는 대부분 이론중심의 지도가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에 복지관은 구체적이고 현실성이 있는 실제적인 내용으로 지도하기 때문이다. 4. 이성관에 대한 결론 1) 남녀별 경우는 자녀가 이성에 대한 관심을 표현했을 때 부모의 견해는 '상대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물어본다'가 남녀 각각 45.7%와 45.5%로 가장 높게 나타나고 또한 '우습게 여겨 대수롭지 않게 여겼다'가 남녀가 각각 32.9%와 27.3%로 나타난다. 이것은 정신지체인 자녀의 성적 발달에 대하여 과거보다는 상당히 긍정적으로 변화하고 있으나 과거와 같이 지능이 떨어지므로 이성에 대한 관심이 없을 거라고 생각했던 과거의 부정적인 견해가 아직도 남아있다. 2) 연령별 경우는 자녀가 이성에 대한 관심을 표현했을 때 부모의 견해는 22-24세의 경우는 '기대를 갖고 흐뭇해 한다'에서 반응이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이것은 부모의 일방적인 기대보다는 현실적으로 자녀 스스가 본인의 행동에 대한 책임은 질 수 없기 때문에 기대보다는 염려를 한다는 것으로 나타난다. 현재 이성으로 대하는 대상은 22-24세의 경우는 학교 급우가 13.3%로 나타나고 '연예인'은 60.0%로 가장 높게 나타난다. 이것은 사춘기 정신지체인이 매스미디어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으며 그 영향의 결과로 여자 정신지체인의 경우는 연예인이 가장 높게 나타난다. 3) 학교와 북지관 경우는 현재 이성으로 대하는 대상은 학교의 경우는 '학교 급우'가 48.6%로 가장 높고 복지관의 경우는, 연예인이 40.0%로 가장 높게 나타난다. 이것은 복지관의 경우는 사회적 통합 내지는 직업적 재활을 위한 시설이다. 즉 사회생활의 일환으로 복지관에 다니며 대인관계의 폭도 학교에 다니는 경우보다 넓기 때문이다.

      • 경상분지 양산단층대구간 파괴 비탈면에서 불연속면 전단강도 평가

        김창호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47

        본 연구에서는 부산∼울산간 고속도로 건설공사 중 파괴된(또는 파괴가 우려되는) 비탈면의 절리, 층리, 단층 등과 관련된 불연속면에 대한 전단강도 재산정이 시도되었다. 역해석 대신 설계시 조사가 어려운 불연속면의 전단강도를 face mapping을 이용하여 산정하였다. 전단강도 산정은 불연속면에 대한 면밀히 조사된 자료(불연속면의 상태, 지하수 유출 유무, 충진물의 유무 및 종류 등)와 파괴형태 등을 반영하여 이루어졌다. 한계평형법에 의한 역해석은 산정된 전단강도를 적용하여 현장에서 요구되는 비탈면의 안전율(건기시 1.5, 우시기 1.2)를 확인하고 보강공법을 적용하는데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총 153개의 비탈면 파괴사례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졌으나 절리, 층리, 단층과 관련된 131개의 재산정된 전단강도가 본 논문에 제시되었다. 총 153개의 대규모 자료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진 점과 아직까지 많은 연구가 진행되지 않은 경상분지 퇴적암을 대상으로 한 점, 그리고 절리, 층리, 단층 등 불연속면을 구체적으로 구분하고 충진물의 영향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한 점 등이 기존 연구와 차별되는 부분이다. 연구 결과는 기존에 설계시 사용하고 있는 문헌자료와 비교 되었으며, 불연속면각과 내부마찰각의 상관관계도 제시되었다. 암반불연속면에 대한 전단강도 산정은 비탈면 절취 이전에 그 특성을 완전하게 파악하는 데는 많은 어려움이 있는 문제인데, 현장에서 실제 적용되고 있는 방안을 대규모 사례에 대한 체계적 분석을 통해 정립하고 경상분지 퇴적암 불연속면의 전단강도 특성을 세밀하게 분석하여 동일 분야의 연구에 큰 이바지를 한 것으로 판단된다.

      • 사용후 핵연료의 방사능 특성

        김창호 충북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고리 PWR 원자로에서 척출하고 17년이 지난 사용후 핵연료(SNF)의 방사성 변화특성을 연구하였다. 특성 조사를 위해 SNF에 남아있는 와 , 그리고 의 연쇄붕괴에 대하여 4번째 딸핵까지 시간에 따른 방사능 특성 변화를 계산하였다. 그리고 SNF의 핵분열 생성물의 방사능 변화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SNF의 감마선 스펙트럼을 측정한 결과를 이용하여 , , 핵종의 방사능 특성변화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척출 직후 SNF의 총 방사능이 Bq로 나타났다. 그리고 척출 후 핵분열 생성물의 방사능은 로 예상할 수 있었다. 그러나 약 년 정도가 지나면 핵분열 생성물의 방사능은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약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또 총 방사능은 년부터 점차로 약해지기 시작하여 년이 지나면 거의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약해짐을 확인하였다. In this thesis, we studied radioactive changes of spent nuclear fuel(SNF) which are removed from gori PWR reactor, 17 years ago. For the investigation of characteristics of radioactivity of and in the SNF, we calculated their chain decay radioactivity to fourth daughter nuclide. And for the radioactivity of fission products, we measured the gamma ray spectra of SNF then using these results of SNF’s gamma spectrum, investigated radioactive characteristics of . Radioactivity of SNF just after removing form the reactor was Bq. And after years, the radioactivity of fission products were confirmed weak enough to be ignored. Then after years from the beginning of SNF cooling, the total activity is investigated as and start to gradually weaken. Finally after years, the total activity is negligibly weakened.

      • 국가지원사업이 e-비즈니스 산업발전에 미치는 영향

        김창호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With the advent of information era in the 21th century, the government of each nation is supporting all the things in competent and highly profitable field with systematic and overall plans. Preparing the independence of technology against an industrially advanced nation and the world-wide information war of future, our government is also pursuing a active support policy from various angles to develop a core technology for next generation suitable for our characteristics and spurring to create a new growth power through this efforts. Until now, our nation succeeded in building "IT Korea" in deed as well as in name due to various complex factors such as supports of government, constant efforts of enterprise for the development of new technology and the national character suitable for IT industry. For example, The technology of IT-SoC is just around the corner toward the third power nation of the world. What is more, we recorded the third score of the world in ISI(Information Society Index) for three consecutive years and the first score of the world in DOI(Digital Opportunity Index) for three consecutive years. Nevertheless, there were still not a few negative sides. A double support at several department of government, a moral laxity of government officer and enterpriser and a indiscreet and short-sighted technical development that ignored a capacity of enterprise and the possibility of business success caused intensive doubt against the business supported by government. At the more, the ruleless aid for enterprises that lost a self-survival ability brought about a problem distorting efficient resource distribution and the principle of equity. In other words, Intensive doubt on whether the business supported by government has a fruitful result or not as well as which field should be priorly supported by government was called in question. However, the study on effect factor related to private section about the result analysis has been actively accomplished. On the other hand, the study on the result analysis related to government section is astonishingly insignificant. Recently, as the strategy of research and development to create new power growth, in a response to new market created by the strategy of IT839(Blue Ocean), the Minist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stablished road map for system, parts and material according to development of IT service in order to consolidate the structure of good circulation(Value Chain) related to parts-system-service industry. This means that the IT industry as well as IT-SoC industry are developed together through the business supported by government and finally e-business industry is also developed. Based on above points, effects that the business supported by government has an influence on e-business industry is analyzed and actually proved in proposed paper. First,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business supported by government and development of e-business industry is analyzed and actually proved. Secondly, if there is the causal relationship, what is the most effective is analyzed. And third, whether the effect of the business supported by government differs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enterprise is analyzed. Finally, based on the result of above analysis, the plan for improvement of the business supported by government is proposed and the doubt against the business supported by government is removed through examination of priority according to group of business supported and location. In this paper, based on an established model of preceeding study, the questionnaires is drew up. The fund support for technology development occupying the great part among the business supported by government and the support of marketing are derived as independent variable. Development of human resource, improvement of competitiveness, profitability and increase of technical property relatively peculiar elements in e-business industry, in comparison to different industry, are derived as dependent variable. The questionnaire survey is limited in e-business related enterprises that received the support by government satisfying both of the business supported by government as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development of e-business industry as dependent variable, and it is just surveyed by CEO and executives, who know the benefits of enterprise obtained from the business supported by government and are able to judge rightly the change of enterprise due to benefits from the business supported by government. Based on the collective materials, validity and reliability is examined and the hypothesis of study is verifi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rom these result, integrated model o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business supported by government and the development of e-business industry is proposed. Using the SPSS version 12.0, Materials collected from the questionnaire survey is analyzed.

      • 自動車保險 選擇診療의 問題點과 改善方案에 관한 硏究

        김창호 건국대학교 경영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행법과 보험관례상 우리나라에서 교통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 사고피해자들은 손해배상의무를 지는 가해자와 그의 민사상 책임을 위임받은 보험회사의 의료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으로 되어 있는데, 이는 보험회사들이 사고 피해자가 빠른 시간 내에 사회의 일원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관련법과 약관에 따라 충분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으로 보상체계가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실무적으로 교통사고 환자들은 일방적으로 사고를 입은 피해자임에도 불구하고 사고후 병원에 입원하는 시점부터 퇴원 시점에 이르는 치료과정 전반에 걸쳐 몇 가지 사안에서 완전한 보상을 받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 중에 최근 이슈중의 한가지가 과거 특진비라고 불리었던 선택진료비에 관한 문제이다. 이는 의료계와 보험업계의 첨예한 대립과 복잡한 이해관계로 인하여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있고, 관련부처 또한 뚜렷한 해결방법을 제시하지 못하는 동안 대다수 교통사고 피해자만이 고통을 겪게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보험업계는 자동차보험의 진료비 및 가산율이 건강보험이나 산재보험에 비해 지나치게 높은 수가를 적용하고 있고, 병원 수익이 흑자로 전환되었으므로 선진국에 존재하지 아니하는 선택진료제도를 폐지하자고 주장하고 있으나, 의료업계는 자동차보험진료수가의 하향조정은 결국 의료서비스의 질적 저하를 초래하고, 아직 병원의 수익이 적자를 면치 못하고 있어 선택진료제도를 폐지하는 것은 병원수익에 막대한 차질을 초래하므로 거부의사를 주장하고 있다. 따라서 양 업계의 주장을 토대로 자동차보험 선택진료의 존폐유무를 검토하기 위하여 보다 근본적인 자동차보험 진료수가 체계, 특히 진료수가 수준과 가산율을 중심으로 건강보험제도와의 비교·분석을 통해 현행 진료수가 및 선택진료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아울러 의약분업 이후 병원의 경영수지 분석을 통하여 선택진료제도의 문제점에 대한 적절한 보완대책을 마련코자 한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자동차보험 및 건강보험통계를 기본자료로 자동차보험진료비가 건강보험 진료비보다 높은 이유를 분석하였고, 최근에 발표된 각종 연구보고서, 논문 및 관련법규를 토대로 진료수가 현실화에 따른 선택진료제도의 개선방안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위해 관련전문가 및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병행하여 사용하였다. 세부 조사내용으로 자동차보험과 건강보험의 진료수가, 진료내용 및 가산율 등 항목별 특성을 상호 비교·분석하여 자동차보험 환자와 건강보험 환자의 수가차이 여부를 파악한 결과, 자동차보험수가가 건강보험수가 보다 높으며, 건강보험수가가 상당부분 현실화되었다는 결론에 이르렀고, 자동차 보험진료수가는 향후 산재보험수가와 더불어 건강보험 수가와 일원화되어야 하고 선택진료제도는 폐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The current laws and insurance practices in Korea maintain that the victims of traffic accidents are to receive payment for medical services provided by the wrongdoers liable for the damages and the insurance companies entrusted with the civil liabilities of the wrongdoers, which ensures that insurance companies provide proper medical services, under applicable law and insurance clauses, for the victims of accidents to return to their old status as members of the society as soon as possible. However, actually, it has been revealed that the patients of traffic accidents, even the one-sided victims of traffic accidents, do not get proper compensation with respect to some of the items occurring from their admission into the hospitals to their discharge from the hospitals, and one of the recent items at issue are "the selective consultation fees which used to be called "special consultation fees." No solution has yet been found to problems due to the sharp conflict of opinions and the complicated interest between the medical profession and insurance industry, and the relevant authority has failed to come up with any clear-cut solutions on the issue, resulting in a majority of traffic accident victims who are suffering as a result. While the insurance industry has been arguing that since the consultation fees and the mark-ups in automobile insurance apply exorbitantly high medical charges compared to the health insurance and the industrial disaster compensation insurance, and the hospital operation has turned black, the selective consultation system, which is not in force in advanced countries, should be done away with, and the medical profession, however, has been countering the argument of the insurance industry by insisting that the downward adjustment of the medical service charges with respect to automobile insurance will result in reduced quality of medical services and moreover, hospital operation is still in the red. In addition, abolishing the selective consultation system will bring about enormous setbacks in the operation of hospitals. Under such circumstances, I intend to analyze the problems involved in the current medical service charges and the selective consultation system through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ystem around the more fundamental medical service charges system, especially the level and mark-ups of the medical service charges in order to determine maintenance or abolition of the selective consultation system in automobile insurance on the basis of the foregoing arguments of the two sides, and I also intend to prepare proper complementary measures for problems involved in the selective consultation system. To meet the foregoing necessity, I analyze why the medical service charges in automobile insurance are higher than those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on the basis of the basic data of automobile insurance and national health insurance, and look into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selective consultation system on the heels of readjustment of the medical service charges to a realistic level on the basis of various research reports, recently written theses and applicable laws. I also used questionnaires to relevant experts and consumers in parallel to this end. For detailed investigation items, I make a comparative study of itemized characteristics of the medical service charges, contents of the medical services and mark-ups between automobile insurance and national health insurance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in medical service charges between patients covered under automobile insurance and national health insurance and discover that the medical service charges in automobile insurance were higher. I conclude that the medical service charges in national health insurance have to be substantially readjusted to a realistic level. As a result, medical service charges in automobile insurance, along with industrial disaster compensation insurance should be in line with national health insurance and the selective consultation system should be abolished.

      • 대화학습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발문의 개발과 수업의 실제

        김창호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Moral education is not a matter of letting the children answer some questions or memorize some rules but of letting them interpret the questions, join dialogues, reach agreements and act themselves. To do this, it's very important for teachers to understand what values the children are struggling with, try to sympathize and dialogue with them and enjoy their reaching agreements together and have them take a series of learning experiences for real actions. I want to suggest "Dialogue learning" here. Of course, for effective dialogue activities, teachers should consider proper questions most important to help the children think and share their own opinions, and lead them to a certain dialogue for an expected goal. Proper questions will play a role of engaging the children with their own opinions in active dialogues about some moral issues. Therefore all the children will be the active participants. Such dialogues and interactions can improve their understanding step by step so that their imaginative and creative power may be stronger and also their moral discernment may be a lot deep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