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머감각, 대인관계능력과 자아존중감의 관계에 대한 경로분석 :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김지민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conducted mainly for the purpose of examining into a path analysis to relations among humor sense, interpersonal ability, and self-esteem targeted to young people. To this end, the article explored differences in interpersonal ability and self-esteem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y subjects, and tackled relations of relations among humor sense, interpersonal ability, and self-esteem, and investigated the effect of humor sense on interpersonal ability and self-esteem. Finally, verified a path model, and drew following conclusion. First, the results of examining into differences of interpersonal ability, and self-esteem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tudy subjects are as follows. they indicated that interpersonal ability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religion, monthly average pocket-money. On the contrary, interpersonal ability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school marks. Also the results showed that high school students in their mid level were higher in interpersonal ability than those in their lower level. Next, they indicated that self-esteem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They could find out male students tend to more positively assess themselves compared to female ones. The school marks showed that high school students in their top and mid level tend to more positively assess themselves than those in their lower level. On the contrary, self-esteem had not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existence of religion and monthly pocket money. Second, the results of exploring relations among humor sense, interpersonal ability and self-esteem are as follows. They showed that humor sense, interpersonal ability displayed a positive correlation in the signification correlation of humor sense, interpersonal ability. In other words, it means the higher humor sense becomes, the higher interpersonal ability becomes. Next, humor sense and self-esteem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in signification correlative relation. That is, it means the higher humor sense becomes, the higher self-esteem becomes, in turn, the higher self-esteem becomes, the higher humor sense becomes. However, correlative extent between humor sense and self-esteem was rather low. Also interpersonal ability and self-esteem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in signification correlative relation. Third, the results of exploring the effect of humor on interpersonal ability and self-esteem are as follows. Humor sense had a positive effect in carrying a significant influence on interpersonal ability. This could find out that humor sense performs a positive role improving interpersonal ability. On one hand, humor had a positive effect in carrying a significant influence on self-esteem. Humor sense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esteem, but showed a low persuasive limit. Interpersonal abilityhad a positive effect in carrying a significant influence on self-esteem. This could find out that interpersonal ability performs a positive role enhancing self-esteem. Finally, the results of verifying the fit of a path model on the effect of humor sens on interpersonal ability and self-esteem are as follows. The results of modifying a research model based on the findings of regression analysis and confirming the fit extent, the fit extent of the modified path model falls under a proper level in all absolute fir index and normed fit index. Looking at the content of this path, humor sense had a direct effect on interpersonal ability, which had a direct effect on self-esteem. On one hand, humor had a indirect effect on self-esteem. 본 연구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유머감각, 대인관계능력과 자아존중감의 관계에 대한 경로분석을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인관계능력과 자아존중감의 차이를 살펴보았고, 유머감각과 대인관계능력 및 자아존중감간의 관계를 알아보았으며, 유머감각이 대인관계능력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경로모형을 검증하였다.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대인관계능력과 자아존중감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 종교 유무, 월 평균 용돈에 따라 대인관계능력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학교 성적에 따라 대인관계능력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중위권의 고등학생은 하위권의 고등학생에 비해 대인관계능력이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음으로 성과 학교 성적에 따라 자아존중감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학생은 여학생에 비하여 자신을 보다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학교 성적에 있어 상위권과 중위권인 고등학생은 하위권인 고등학생에 비해 자신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종교 유무와 월 평균 용돈에 따라 자아존중감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머감각과 대인관계능력 및 자아존중감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머감각과 대인관계능력은 유의한 상관을 보임에 있어 정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즉 유머감각이 높을수록 대인관계능력은 높아지며, 대인관계능력이 높을수록 유머감각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유머감각과 자아존중감이 유의한 상관을 보임에 있어 정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즉 유머감각이 높을수록 자아존중감은 높아지며,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유머감각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유머감각과 자아존중감 간의 상관 정도는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인관계능력과 자아존중감은 유의한 상관을 보임에 있어 정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유머감각이 대인관계능력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유머감각이 대인관계능력에 대해 유의한 영향을 미침에 있어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를 통해 유머감각은 대인관계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수행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유머감각이 자아존중감에 대해 유의한 영향을 미침에 있어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유머감각이 자아존중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기는 하였으나 다소 설명력이 낮은 한계를 보였다. 대인관계능력은 자아존중감에 대해 유의한 영향을 미침에 있어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를 통해 대인관계능력은 자아존중감을 높이는데 긍정적인 역할을 수행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유머감각이 대인관계능력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경로모형의 적합성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회귀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연구모형을 수정하여 적합도를 확인한 결과, 수정된 경로모형의 적합도는 절대적합지수와 증분적합지수 모두에 있어서 적합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로에 대한 내용을 살펴보면, 유머감각은 대인관계능력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인관계능력은 자아존중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유머감각은 자아존중감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과 지각된 진로장벽에 관한 연구 :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와 학업중단이유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지민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Career development does not mean just a getting a quality job for adolescents. Adolescents have progressively involved in career development for living the life they want. However, unlike other adolescents, out-of-school youths struggle to prepare for their careers without adequate career supports, and they perceive more career barriers than their peers who are in school. In particular, out-of-school youths are more likely to be exposed to various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than those who are in schoool. The social stigma perceived by out-of-school youths influences on increasing perceived career barriers. The internalized social stigma decrease self-esteem of out-of-school youths, and lowered self-esteem increases the perceived career barriers, which frustrates their career development. Therefore, we analyzed the mediating role of self-esteem between social stigma and perceived career barriers and the moderating role of reasons for school dropout, in particular. Although reasons for school dropout is pivotal in understanding the lives of out-of-school youths, only a few studies have heavily focused on the variable. Therefore, we categorized four reasons for school dropout rather than considering them as a group and we conducted a moderated mediated model for the study. In conclusion, we suggested that customized interventions for each group are definitely required. To conduct research, we used the second data from “School Dropout Panel Survey” published by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in South Korea and 454 out-of-school youths were analyzed for the study. Analysis tools were SPSS 25.0 and SPSS PROCESS macro v4.0.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d analysis,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moderated medi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social stigma perceived by out-of-school youth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perceived career barriers. Secondly, social stigma perceived by out-of-school youth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self-esteem, and lowered self-esteem increased the degree of perceived career barriers. Third, self-esteem of out-of-school youth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tigma, and perceived career barriers. Fourth, unexpectedly, ‘alternative reasons’ were more vulnerable to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er social stigma and lowered self-esteem. The result shows that the social stigma have more negative impact on ‘alternative reasons’ rather than ‘personal·family’ reasons. Based on these findings, we suggested practical policy and interventions for out-of-school youths. First, in order to lower social stigma, integrated policies regardless of their school status and inclusive social awareness. Second, in order to strengthen self-esteem of out-of-school youths there should be consistent rapport between social workers and out-of-school youth, which eventually enables them to arrange more effective interventions, instead of excessive institutional affiliations. It should be also arranged for the flow of qualified counselors into welfare community service centers or Korea Youth Counseling & Welfare Institute, who are familiar with client’s characteristics. Third, we suggested that customized services for out-of-school youths with alternative reasons, because they turned out to be the most vulnerable to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social stigma and lowered self-esteem. They are more likely to have higher career aspirations than other types of out-of-school youths, however, the perceived social stigma dramatically decreases their self-esteem. Therefore, counseling services for enhancing the self-esteem should be progressively arranged for those types. Fourth, dropout prevention measures including dropout probation policy should be more reinforced for reduction of social cost induced by school dropouts. Finally, we suggested the importance of giving out the quality education to out-of-school youths, because they are part of human capitals for the future society. 청소년에게 있어 진로란 단순하게 취업만을 의미하는 게 아니다. 진로는 청소년의 생애 전반에 걸쳐 발달하는 것으로, 청소년기는 원하는 삶을 살기 위해 진로를 설계하는 중요한 때이다. 그러나, 학교 청소년과 달리 학교를 떠난 청소년은 정보와 각종 지원의 부족으로 진로를 준비하는 것조차 어려우며, 다양한 진로장벽을 지각하고 있다. 무엇보다 학교라는 울타리 밖에서 경험하게 되는 다양한 사회적 차별과 낙인은 학교 밖 청소년의 지각된 진로장벽을 증가시키고 있다. 사회적 낙인감을 내재화할수록 청소년의 자기가치인 자아존중감은 낮아지며, 낮아진 자아존중감은 진로발달에 있어 장벽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 자아존중감, 지각된 진로장벽의 관계를 검증하였으며, 이들의 다양한 유형에 따라 다른 결과가 나타나는지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학교 밖 청소년의 학업중단이유는 학교 밖 청소년의 다양한 삶의 유형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한 변수임에도 불구하고, 선행연구에서 중점적으로 다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업중단이유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학교 밖 청소년을 유형별로 개입하여야 함을 제안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학업중단청소년 패널조사” 2차년도 조사를 사용했으며, 총 454명의 연구대상자를 분석하였다. SPSS 25.0과 SPSS PROCESS macro 4.0의 분석툴을 사용하여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신뢰도 분석을 포함한 기초 통계분석부터 카이제곱 검증, 독립표본 t-test, 일원배치 분산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 분석 그리고 조절된 매개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은 지각된 진로장벽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 둘째,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은 자아존중감을 감소시키고 있었으며, 낮아진 자아존중감은 지각된 진로장벽을 증가시키고 있었다. 셋째, 학교 밖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은 사회적 낙인감과 지각된 진로장벽의 영향을 부분매개하고 있었다. 넷째, 예상과 달리 대안사유로 학교를 중단한 청소년들이 사회적 낙인감과 자아존중감 측면에 있어 더욱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적 낙인감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개인·가정 사유보다 대안사유에 속하는 청소년에게서 더욱 크게 나타난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실천적·정책적 제언을 하였다. 첫째, 학교 밖 청소년의 사회적 낙인감을 완화하기 위해 재학 여부에 상관없이 정책적 지원대상을 정해야 할 것과 학교 밖 청소년에 대한 사회적 인식의 변화를 제안하였다. 둘째, 학교 밖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킬 프로그램과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외부와의 잦은 연계보다는 기관담당자와 지속적인 라포형성이 중요함을 제안하였다. 또한, 학교 밖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특성에 능통한 전문상담사와 사회복지사의 유입을 위해 다양한 제도적인 장치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사회적 낙인감을 경험할수록 자아존중감이 낮아지는 관계에 있어 취약한 대안사유에 속한 청소년에게도 집중적인 서비스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자발적으로 학교를 중단한 대안사유 유형의 경우 진로포부와 열망이 강한 편임에도 불구하고 높은 수준의 사회적 낙인감을 겪게 되면서 심리정서적으로 취약해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유형에게도 심리상담서비스 및 자아존중감 향상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넷째, 학업중단 현상은 궁극적으로 사회적 비용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학업중단을 예방하는 학업중단숙려제와 같은 제도의 내실화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학교 밖 청소년에게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여 미래사회의 인적자본에 투자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 55세 이상 고령자의 폐결핵 질병 경험과 관련 요인

        김지민 忠南大學校 大學院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2020년 한국의 결핵 발생률은 OECD 국가 중 가장 높으며, 결핵 신환자는 감소하고 있지만, 고령층의 결핵 신환자는 증가하고있다. 본 연구는 한국인을 대표하는 대규모 표본을 대상으로 폐결핵 질병 경험과 관련된 요인을 알아보고자한다.본 연구는 제 7차, 제 8차 국민건강영양조사(KNHANES) 자료를 사용하였다.국민건강영양조사(KNHANES)는 국민의 건강상태, 건강행태, 식품 및 영양상태 등을 조사하여 국민건강상태를 파악하고 예측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보건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KNHANES) 제7기(2016~2018) 및 제8기(2018~2020) 자료를 이용하여 폐결핵 진단과 관련된 문항에 응답한 55세 이상 11,554명을 분석하였다. 폐결핵 질병 경험에 따른 인구·사회·경제학적 특성과 건강행태 및 만성질환 유병 여부 관련성은 Rao-scott chi- square test를 적용하여 비교하였다. 폐결핵 질병 경험에 따른 관련 요인은 복합 표본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연령을 보정한 교차비(OR)와 그의 95% 신뢰구간을 구하였다. 모든 분석은 SPSS(ver. 26.0) 통계 패키지를 사용하였으며, p value <0.05가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판단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남성, 고령자, 저체중, 경제적 어려움으로 식량이 부족한 경우 폐결핵 질병 경험률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폐결핵 질병 경험에 따른 관련 요인은 남자가 여자보다 높았고(OR: 2.03, 95%[CI], 1.64-2.52), 체질량지수(BMI)에서는 저체중이 비만보다 높았다(OR: 3.33, 95%[CI], 2.11-5.27).식생활 형편에서는 폐결핵의 질병 경험에 따른 관련 요인은 충분한 양과 다양한 식사보다 경제적으로 어렵고 식량이 부족한 경우가 더 높았다(OR: 3.17, 95%[CI], 1.38-7.23).또한 연령별로 분석한 결과 폐결핵 질병 경험에 따른 관련 요인은 연령별로 다른 것을 확인하였다.고령층에서의 지속적인 결핵 발생은 지역사회의 결핵 감염 확산의 지속적인 감염원이 될 수 있다. 본 연구가 초고령화 사회 진입에 따른 선제적 결핵 예방에 대응하기 위한 관리정책 수립의 근거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SPSS(ver. 26.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폐결핵 경험에 따른 인구· 사회·경제학적 특성과 건강행태 및 만성질환 유병 여부 관련성은 Rao-scott chi- square test를 적용하여 비교하였으며, 폐결핵 질병 경험에 따른 관련 요인은 복합 표본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연령을 보정한 교차비와 그의 95% 신뢰구간을 구하였다. 모든 통계량의 유의수준은 p<0.05로 하였다.본 연구를 통해 55세 이상 연구 대상자의 폐결핵 질병 경험에 따른 인구·사회·경제학적 특성은 남자, 고연령에서 건강행태 및 만성질환 유병 여부 관련 비교 결과는 저체중, 경제적으로 어려워 자주 먹을 것이 부족한 경우에서 폐결핵 질병 경험이 높은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폐결핵 질병 경험에 따른 관련 요인은 성별, 체질량지수, 식생활 형편에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여자에 비해 남자의 교차비가 2.03배(95%, CI: 1.64- 2.52) 높았으며, 체질량지수에서는 비만에 비해 저체중의 교차비가 3.33배(95% CI: 2.11-5.27) 높았다. 식생활 형편에서는 충분하면서 다양한 음식 섭취에 비해 경제적인 이유로 자주 먹을 것이 부족한 경우 교차비가 3.17배(95%, CI: 1.38-7.23) 높았다. 또한 연령별 분석한 결과 폐결핵 질병 경험의 특성 및 관련 요인은 연령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고령층에서의 지속적인 결핵 발생은 지역사회 결핵 감염 확산의 주요 감염원이 될 수 있기에 본 연구가 초고령화 사회 진입에 따른 선제적 결핵 예방에 대응하기 위한 관리정책 수립의 근거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goal of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s to understand and predict the national health status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people's health status, health behavior, food and nutritional status, and it is being used as basic data for health policy.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7th (2016-2018) and the 8th(2018-2020) KNHANES and analyzed 11,554 aged 55 years or older who responded to the items related to the diagnosis of pulmonary tuberculosis wer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population, social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health behaviors, and prevalence of chronic diseases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pulmonary tuberculosis was compared through a complex sample design chi-square test analysis. Through age-adjusting complex-sam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association with related factors influencing the experience of pulmonary tuberculosis disease was evaluated by estimating the odds ratio(OR) and 95% confidence intervals. The program used the SPSS(ver. 26) statistics package, a p value <0.05 was consider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experience rate of pulmonary tuberculosis diseas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en, the elderly, underweight, and often lacking food due to financially difficulties. Related factors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pulmonary tuberculosis disease was higher in males than females(OR: 2.03, 95% [CI], 1.64-2.52), and in body mass index(BMI), underweight was higher than obesity(OR: 3.33, 95% [CI], 2.11-5.27). In food security, the related factors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pulmonary tuberculosis was higher financially difficult and often lack of food than sufficient amount and variety of food(OR: 3.17, 95% [CI], 1.38-7.23).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sis by age, it was confirmed that the related factors according to the experience of pulmonary tuberculosis disease differed by age. Persistent tuberculosis outbreaks among the elderly can be a persistent source of infection in the communit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s for establishing management policies to respond to preemptive tuberculosis prevention in accordance with the entry into a super-aging society.

      •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 자기수용으로 조절된 해석편향의 매개효과

        김지민 대구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선행요인인 완벽주의 성격 요인을 직접 변화시키기 보다는 매개변인으로서 해석편향과 해석편향을 조절하는 자기수용에 대한 개입이 가능할 것으로 가정되었다. 이에 본 구는 연구는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해석편향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하여 20대 일반성인 318명을 대상으로 사회적 공포 척도(SPS),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MPS), 긍정적인 사회적 결과의 가치절하 척도(DPSOS), 자기수용 척도(USAQ-R)를 이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연구자료는 SPSS 27.0과 SPSS Macro를 활용하여 매개효과, 조절효과,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해석편향은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해석편향의 매개효과를 자기수용이 조절하여 조절된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에 따라 사회불안에 관한 심리적 개입에서 해석편향에 개입하는 경우 자기수용의 양상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제한점과 향후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주요어 : 사회부과 완벽주의, 사회불안, 해석편향, 자기수용 In the process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influencing social anxiety, it was hypothesized that it would be possible to intervene in interpretation bias and self-acceptance that controls interpretation bias as a mediating variable rather than directly changing the perfectionism personality factor, which is an antecedent factor. Accordingly, this study confirmed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pretation bia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ocial anxiety. To this end, 318 general adults in their 20s were surveyed using the Social Fear Scale (SPS), the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MPS), the Devaluation Scale of Positive Social Outcomes (DPSOS), and the Self-Acceptance Scale (USAQ-R). A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collected research data, SPSS 27.0 and SPSS Macro were used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moderated effect, and modulated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interpretation bias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ocial anxiety.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social anxiety, the mediating effect of interpretation bias was moderated by self-acceptance, and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was found to be significan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an be said that it is desirable to consider the aspect of self-acceptance when intervening in interpretation bias in psychological intervention on social anxiety. Finally,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Keywords: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social anxiety, interpretation bias, self-acceptance

      • 도시 오픈스페이스의 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경주시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지민 경주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A study on the present situation and improvement of urban open space - Focused on the case of Gyeong Ju - Kim Ji Min Department of Urban Engineering The Graduate School Gyeongju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Jung, Hyun) (Abstract) The urban open space has been recognized as a space for biological needs from its narrow concept of a space of public health while downtown environment is deteriorating. Therefore, its function has a very important meaning as a social space since it has a close relation with townspeople for its function as a people of people´s meeting and rest. In the aspect of function, how to plan and utilize the open space can influence not only the scene of a town but also change townspeople´s cultural taste and bent; and it can also create pleasant and comfortable downtown environment. Though the constituent in the artificial structures forming the scene of a to are highly qualitative and excellent in function and structure, they impinge each other or interconnected since they are too closely located. Therefore each constituent can´t have its original effect as intended. Generally in such kind of situation, the open space can play a role to controls or regulate each part of the heterogeneous design unit; to buffer the impact between constituent; and to harmoniously connect downtown environment with natural environment. The open space should be considered in downtown development, emphasizing townspeople´s walking and bicycling than their using automobiles, and it should be designed to be safe for walking as a street full of attractive elements so that townspeople wish to walk on it. A there would be open spaces such as a Heaven for walkers - the downtown sidewalk, the park where people enjoy walking in a beautiful, natural scene, the square where some cultural events can be opened, the promenade or walk surrounded by green space, etc. In this regard, the significance o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sound direction for Gyeong Ju environment to be reformed and reconstructed through general, systematic consideration of opea space for good downtown environment at a chance for Gyeong Ju environment to be reorganized.

      • 금융 업무를 위한 내용 중심 한국어 교육 방안 연구 : 결혼 이민자를 대상으로

        김지민 韓國外國語大學校 KFL大學院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ed to prepare a plan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related to financial institution services which were insufficien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cusing on for married immigrants. This study conducted a demand survey on the need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bout financial services for married immigrants and looked into how Korean language textbooks on the market are organized in relation to financial services. As a result, all of the subjects made married immigrants feel the need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bout financial services, and only the content of current Korean textbooks has not been enough for smooth communication about as they have been serving financial services at financial institution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a plan for Korean education about specific financial services. In addition, it proposed a specific teaching-learning plan using step-by-step Korean language activities for ‘Installment savings’ in the 3rd week during the four weeks of classes.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examined financial services for married immigrants, which has not been dealt with. However, there are limitations since the subjects of the demand survey can't represent all married immigrants, and it is unfortunate that the class evaluation and instructional feedback on the teaching plan were not provided because it didn't carry out actual classes. Therefore, it is hoped that follow-up studies will provide a concrete and diverse education plan based on this study.

      • 한국 성인의 아침식사 실천률 관련요인

        김지민 경북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한국 성인의 아침식사 실천률 관련요인을 알아보고자 질병관리본부에서 수행한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자료 중 3차년도(2015년)의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질병관리본부, 2015). 이 데이터는 총 7,380명 중 청소년과 노인을 제외한 성인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만성질환 현재 유병인구를 제외한 결과 1,759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한국 성인의 아침식사 실천율 관련 요인을 봤을 때 남성에서 유효한 변수는 연령과 흡연이였으며, 연령은 남성과 여성 모두 20대보다 50대가 아침식사 실천률이 높았으며, 특히 여성의 경우 50대뿐만 아니라 40대에서도 20대보다 아침식사 실천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흡연에서는 여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만 남성 비흡연자가 흡연자보다 아침식사 실천을 더 많이 하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의 아침식사 실천율 관련 요인에서 유효한 변수는 연령과 직업, 1년간 체중조절 여부, 우울감 인지율이였으며, 직업에서는 비육체적 노동자보다 무직인 사람이 아침식사를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의하였다. 1년간 체중조절 여부에서는 체중유지노력을 하려는 사람이 아침식사 실천률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우울감 인지율에 있어서는 우울감이 없는 사람들이 아침식사를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의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아침식사 실천율을 높기 위해서는 연령, 흡연유무, 직업, 체중조절여부 및 우울감 인지율을 고려하여 대상자 특성에 맞는 맞춤형 보건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has analyzed raw data of the third year (2015) out of the Sixth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2015) carried out by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in order to find out breakfast intake frequency for Korean adults. The data has been derived from 1,759 adults excluding the current prevalence population of chronic diseases, youth and old persons selected from a total of 7,380 survey targets. Considering factors related to breakfast intake frequency for Korean adults, effective variables of men include ages and smoking. For ages, both men and women in their 50s including women in their 40s showed higher frequency of eating breakfast than those in their 20s,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Although smoking in wome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male smokers eat breakfast more than nonsmokers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Effective variables of factors related to breakfast intake frequency for women include age, profession, whether or not to have weight control for one year and the rate of depression recognition. In terms of profession, unemployed persons showed higher frequency of eating breakfast than non-physical workers with significant difference. From a viewpoint of whether or not to have weight control for one year, those who have made effort to control their body weight showed higher frequency of eating breakfast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For the rate of depression recognition, those who have no depression showed having much breakfast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As a result, it is thought that customized health programs for the subject persons are required to increase eating frequency of breakfast considering ages, smoking status, profession, whether or not to have weight control and the rate of depression recognition.

      • 유전 알고리즘과 셀 오토마타를 이용한 절차적 게임 콘텐츠 생성

        김지민 한림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게임 산업이 발전하면서 콘텐츠의 생성 속도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콘텐츠가 소비되고 있고 , 플레이어의 게임 숙련도에 적합한 레벨의 게임 콘텐츠들이 지속적으로 제공될 것을 필요로 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활용되는 방법이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을 이용한 절차적 콘텐츠 생성(Procedural Content Generation, PCG)이다. 디자이너의 개입과 관계없이 자동적으로 콘텐츠를 생성하려는 시도가 계속 되고 있으며, 여러 게임 장르에서 다양한 형태의 게임 콘텐츠를 생성하는데 사용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절차적 콘텐츠 생성을 위한 두 가지 방법을 제안한다. 첫 번째 방법은 절차적 맵 생성을 이진 공간 분할과 셀 오토마타를 이용하여 생성하는 방법이다. 이진 공간 분할을 이용하면 원하는 공간의 수를 지정할 수 있으며, 셀오토마타를 이용하여 생성한 절차적 맵의 통로를 탐색하는데 걸리는 시간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이진 공간 분할과 셀 오토마타를 이용하여 생성된 절차적 맵의 유용성을 보인다. 두 번째 방법은 유전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플레이어에게 적합한 난이도를 가지고 있는 다양한 종류의 몬스터를 자동 생성하는 절차적 방법이다. 몬스터들의 주요 속성을 유전자로 구성하고 다양한 종류의 몬스터 유전자들로 염색체를 만들어 이용한다. 생성된 몬스터와 플레이어의 전투 시뮬레이션으로 유전자를 평가하여 선택 후 교배한다. 제안 방법을 이용해 플레이어 적응형 몬스터들을 유전 알고리즘에 기반을 두어 절차적으로 생성하고, 염색체 개수에 따라 생성된 몬스터의 다양성을 비교해본다. As the game industry is blooming, the generation of contents is far behind the consumption of contents. With this reason, it is necessary to afford the game contents considering level of game player's skill. In order to effectively solve this problem, Procedural Content Generation(PCG)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AI) is one of the plausible options. Many researchers keep trying to generate automatic contents without game level designers' help in various game contents. In this paper, we propose two methods for procedural content generation. The first method is to generate procedural maps using binary space division and cell automata. Binary space partitioning allows you to specify the number of spaces you want, and it also reduces the time it takes to navigate the path of procedural maps created by using cell automata. In this way, we show the usefulness of procedural maps generated using binary space division and cell automata. The second method is a procedural method that automatically generates various kinds of monsters with appropriate difficulty using genetic algorithms. The major properties of monsters are composed of genes and various types of monster genes are used to make chromosomes. The combat simulation of the generated monster and player evaluates the genes, selects them, and crosses them. Using the proposed method, player adaptive monsters are generated procedurally based on the genetic algorithm, and the diversity of the monsters genera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chromosomes are compa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