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엔터테인먼트 기업의 자원과 경영성과 간의 관계 : 케이컬처(K-Culture)엔테테인먼트 기업의 자원과 경영성과 간의 관계

        김정섭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13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펜로즈(Penrose, 1959)의 자원기반이론(resource-based theory)을 토대로 우리나라 종합엔터테인먼트 기업들의 경영 현황을 학술적 측면에서 정밀 고찰하여 경영적 함의점을 도출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금융감독 기관의 검증을 거친 경영 자료를 토대로 기업의 경영 현황을 분석하여 최근 놀라운 성장세를 이끈 우리나라 엔터테인먼트 기업의 자원과 자원, 자원과 성과 간 유기적인 구조를 학술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자원기반이론(RBT)은 지난 20년간 산업조직론과 함께 양대 축을 이뤄온 기업의 전략경영이론 가운데 하나다. 분석을 위해 음원기획-외주제작-매니지먼트 등의 사업 다각화 체제를 구축하여 동질성이 있는 엔터테인먼트 업종의 상장사 전체(11개 기업)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분석대상 기업들은 국내외 활동을 통해 ‘한류(Korean Wave)’에 이어 ‘케이컬처(K-culture)’란 브랜드로 대중문화의 영향력을 동양문화권에 이어 서구문화권으로 확대하고 있다. 분석 기간은 공통분석이 가능한 2011년과 2012년(2년간)으로 한정하였으며 분석 데이터는 공시자료를 중심으로 수집하였다. 연구문제는 성과의 창출에 기여하는 자원 간의 결합구조와 상호관계에 대한 이론적 논의와 가설을 토대로 기업 전체의 구조와 기업 유형별 구조에서 각각 자원과 자원 및 성과의 관계가 어떠한지 심층 고찰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원기반이론의 체계에 따라 자원을 인적․지식․네트워크․재무․실물․브랜드․CSR자원 등 7가지로, 성과지표는 매출액, 영업이익, 토빈의 Q, 연간성장률 등 4가지로, 통제변수는 직원수, 직원의 평균근속연한, 기업의 연한 등 3가지로 나누어 설정하였다. 이 가운데 인적․지식․네트워크․재무․실물자원은 기업 공시자료 등을 토대로 측정하였으며, 브랜드․CSR자원은 각각 기업평가 전문기관인 증권사와 외부전문가(기자, 프로듀서 80명)를 통해 측정하였다. 통계분석은 변인들 간의 연관성과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기 위해 11개 기업의 2개 연도분 데이터인 22개 표본에 대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선행하였다. 그 뒤 연구의 유의도를 높이기 위해 이를 1000개로 리샘플링해 통제변수의 영향을 제거한 다음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독립변수와 종속변인 간의 인과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아울러 대상 기업을 핵심 수익모델에 따라 음원기획·제작기반형기업, 연예매니지먼트기반형기업, 외주기획·제작가반형기업 등 3개 그룹으로 세분화하여 자원과 자원, 성과와 자원 간 영향 관계의 기업 유형별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엔터테인먼트 기업 경영에서 핵심 역할을 한 자원은 7개 자원 가운데 지식자원, 재무자원, 실물자원, 브랜드자원, CSR자원으로 나타났다. 지식자원은 각각 인적․브랜드․재무자원에 상호 영향을 미치는데, 성과지표 가운데 직접 매출액에 영향을 주는 동시에 재무자원을 통해 영업이익과 토빈의 Q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자원은 인적자원에 영향을 주는 동시에 지식․재무자원에 순차적으로 영향을 주면서 간접적으로 영업이익과 토빈의 Q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물자원은 매출액에, CSR자원은 토빈의 Q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성과에 부분적으로 기여한 자원은 네트워크자원을 제외한 6개 자원이지만 4가지 성과지표에 모두 기여한 자원이 없다는 점이 드러났다. 특히 연간성장률에 영향을 미치는 자원이 존재하지 않았다. 구체적으로 첫 번째 연구문제인 자원 상호 간의 회귀분석에서는 엔터테인먼트기업이 보유한 자원들 가운데 지식자원․재무자원, 지식자원․브랜드자원, 극히 미약하지만 지식자원․인적자원의 조합이 각각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나머지 자원 간 인과관계는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기업 유형별 분석에서는 추가적으로 재무자원․브랜드자원, 재무자원․CSR자원 간에 상호 영향성이 나타나는 등 자원 간 관계가 기업 전체의 구조보다는 활발하게 나타났다. 두 번째 연구문제인 성과와 자원 간 회귀분석에서 기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자원은 지식․재무․실물․브랜드․CSR자원으로 나타났다. 이 가운데 매출액과 지식자원, 영업이익과 재무․브랜드자원, 토빈의 Q와 재무․브랜드․CSR자원 간에 각각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 성과지표와 자원 간에는 인과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기업 유형별 분석에서는 매출액에 대하여 CSR자원이, 토빈의 Q에 대하여 실물자원이, 연간성장률에 대하여 지식․재무․브랜드자원이 각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원과 자원, 자원과 성과 간 영향 관계의 기업 유형별 차이 분석에서 음원기획․제작기반형기업은 외주기획․제작기반형기업과 정 반대의 특성을 보였으며 매니지먼트기반형기업은 중간적인 특성을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엔터테인먼트 기업 경영에서는 전체적으로 각 자원의 활용도가 낮고 자원 간 정합성(整合性)이 부족한 데다 경영전략의 범주에서 성과와 자원 간 연계성(連繫性)이 미약하였다는 문제점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우리나라 엔터테인먼트 기업들은 기업 경영 차원에서 자원 간 정합성을 극대화하고 경영전략과 연계되어 성과에 대한 직접 기여도를 높이도록 자원 관리를 전문화해야 한다. 카플란과 노튼(Kaplan & Norton, 2004, 2006)의 지적처럼 자원구조도 실물․재무자원에 덜 의존하고 지식․네트워크자원을 중심으로 미래 가치를 창출하는 ‘지식창조기업’으로의 완전하게 탈바꿈해야 한다. 산업 측면에서는 경영 안정화에 만전을 기하고 네트워크자원과 CSR자원의 조성과 활용을 보다 체계화하여야 한다. 정책적으로는 자원의 육성, 효율적 배분, 활용에서 나타나는 각종 문제와 병폐를 바로잡고 산업의 건강성을 회복하기 위해 ‘매니지먼트 사업 등록제’와 ‘매니지먼트업과 외주제작업의 겸영 금지’ 등의 정책 도입을 적극적으로 논의해야 한다.

      • 인터넷멀티미디어방송 출범이후 국내 유료방송의 최소운용채널 규모와 신규채널 수요에 관한 연구 : 방송통신위원회의 채널편성 정책 변화와 채널선택 이론을 중심으로

        김정섭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방송·통신 융합을 상징하는 매체로 2008년 말 출범한 인터넷멀티미디어방송(IPTV)의 사업 추진 과정에서 유료방송 업계간 콘텐츠 수급 문제를 놓고 극심한 갈등이 빚어져 방송업계 최대의 쟁점으로 떠올랐다. 방송통신위원회와 IPTV 업체들은 별도의 채널을 마련하지 않은 채 IPTV 사업의 안착에만 급급하여 케이블 TV 등 기존 유료방송의 콘텐츠(PP)를 그대로 공급받는 것을 목표로 방송법시행령 개정에 나섰다. 그러자 케이블 TV와 스카이라이프 등 기존 유료 방송업계가 방송법시행령 개정에 강력하게 반대하여 결국 정책 추진이 무산되었다. 방송통신위원회가 개정하려던 방송법시행령의 핵심 조항은 유료방송의 ‘최소운용채널’ 규정을 대폭 완화하는 내용이었다. 이 규정은 방송법과 방송법시행령 제5장 53조 등에 “종합유선방송 사업자(SO) 및 일반 위성방송 사업자는 전체 운용 TV 방송채널 수를 70개 이상으로 할 것”이라 명시된 것을 지칭한다. 이 조항은 유료방송 시장의 기득권자인 케이블 TV나 스카이라이프와 달리 후발 주자인 IPTV에게는 콘텐츠 확보를 어렵게 하는 사업의 ‘장애물’이었다. 이에 따라 IPTV 출범을 계기로 다자간 경쟁체제에 접어든 국내 유료방송 시장에서 최소운용채널 규정의 존치에 대한 타당성과 그 개선 방향을 찾아보는 것은 긴요한 연구과제로 인식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방송법과 방송법시행령 등 최소운용채널에 관한 법제와 외국 사례를 분석한 결과 현행 최소운용채널 규정은 방송의 공익성과 공공성, 다양성 이론을 반영하고 있어 유지되는 것이 합당하다고 평가되었다. 다만 지상파방송은 민영방송과 콘텐츠의 차별화를 유도하고 지상파 계열 PP들은 다른 일반 PP와 같은 조건으로 지상파의 콘텐츠를 공급받도록 법제 개선의 필요성이 지적되었다. 공익채널은 의무전송채널에서 제외하여 일반 채널과의 동등 경쟁을 촉진하고 종교채널은 무료 VOD 채널로 전환하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둘째, 유료방송의 최소운용채널 수는 콘텐츠의 다양성 확보, 유료방송의 수익성, 시청자의 매체 이용 행태, 기술적 수용력 등을 고려하여 현행 규정인 ‘70개 이상’을 유지하는 것이 합당하다고 평가되었다. 셋째, 쌍방향 디지털 매체시대에는 기존 연구와 시청행태 조사, 방송업계의 준비 상황을 고려할 때 디지털케이블TV, 스카이라이프, IPTV에서 모두 전통적 인기 장르인 드라마, 영화, 뉴스, 스포츠 채널이 주력 채널이 될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같은 결과에 비춰 정부와 규제기관은 단기적으로 채널의 질적 수준과 다양성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최소운용채널 정책을 정비해야 한다. 장기적으로는 기존 유료방송 산업을 다시 획정하여 콘텐츠(채널)와 네트워크(플랫폼)로 분리, 규제와 진흥을 이원화하고 양자가 대등한 입장에서 비즈니스를 하도록 촉진해야 한다. <목 차> 제1장 서 론 1 1.1 연구 목적 1 1.2 연구문제와 연구방법 3 1.2.1 연구문제 3 1.2.2 연구방법 5 1.3 논문의 구성 7 제2장 이론적 논의와 선행연구 8 2.1 채널선택 이론과 수용자 환경 8 2.1.1 공익성과 수용자 복지 8 2.1.2 매체경쟁 및 기술확산과 채널선택 12 2.1.3 시청습관과 채널 레퍼토리 15 2.2 뉴미디어 도입과 방송채널 정책 19 2.2.1 케이블TV의 채널정책 21 2.2.2 디지털위성방송의 채널정책 23 2.2.3 위성DMB와 지상파DMB의 채널정책 24 2.2.4 IPTV의 채널정책 26 2.3 선행연구 27 2.4 연구문제 30 제3장 자료 수집과 분석 32 3.1 연구방법과 관점 32 3.2 유료방송 채널편성의 특징 분석 33 3.3 최소운용채널의 적정 규모에 대한 분석 35 3.3.1 정책·제도적 접근과 분석방법 36 3.3.2 산업적 접근과 분석방법 38 3.3.3 기술적 접근과 분석방법 40 3.4 디지털시대의 채널수요 분석방법 41 제4장 연구 결과 46 4.1 유료방송의 채널편성 현황과 특징 46 4.1.1 S0, 위성방송, IPTV의 채널편성 실태와 문제점 46 4.1.2 채널수급에 관한 S0, 위성방송, IPTV의 갈등구조 49 4.2 최소운용채널 관련 법제분석과 시사점 52 4.2.1 최소운용채널 제도 52 4.2.2 의무전송채널과 공익채널 55 4.3 최소운용채널의 적정 규모 60 4.4 쌍방향 디지털 시대의 신규채널 수요 68 제5장 요약 및 결론 75 5.1 결과의 요약 75 5.2 정책적 제언과 연구의 한계 79 5.2.1 채널정책 개선과 시장 재획정에 대한 제언 79 5.2.2 연구의 한계 83 참고문헌 84 부 록 87 ABSTRACT 92

      • 산불피해지에서 회복정도에 따른 물질생산과 영양염류 분포

        김정섭 公州大學校 大學院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he present study attempts to compare biomass production and nutrient distribution in unburned site(Unburned), ground fire(G-2) and crown fire (C-1, C-3) site damaged by forest fire(2000) and then recovery degree in Samcheuk area during 4-year. we used the allometric equation(Kim and Yoon, 1972; Lee et al., 2004) for calculating biomass and 0.25 m2 litter trap for litter production. We used micro-kjeldal method determinating total nitrogen(T-N) and ICP/AES analysing phosphorus(P), potassium(K), calcium(Ca), magnesium(Mg) of soil and litter (Allen et al., 1974). Biomass(ton/ha) showed Unburned 175.2, C-1 57.9, C-3 114.1, G-2 60.4 in 2007, Unburned 178.9, C-1 60.3, C-3 124.2, G-2 62.2 in 2008, Unburned 182.9, C-1 64.2, C-3 136.5, G-2 64.3 in 2009, Unburned 187.7, C-1 68.8, C-3 148.6, G-2 66.7 in 2010. Net productivity(ton/ha·yr) showed Unburned 3.6, C-1 2.3, C-3 11.1, G-2 1.8 in 2008, Unburned 4.1, C-1 3.9, C-3 11.2, G-2 2.2 in 2009, Unburned 4.8, C-1 4.6, C-3 12.1, G-2 2.4 in 2010. Litter production(kg/ha) showed Unburned 7735.2 ± 2557.3, C-1 1166.6 ± 697.9, C-3 2968.8 ± 438.9, G-2 2918.3 ± 418.4 from 2007 to 2010. T-N(%) is shown 0.80, 0.91, 0.94, 0.68 with Unburned, C-1, C-3, G-2 order in nutrient content of plant litter from 2007 to 2010, and P(㎍/g) is shown 40.99, 30.73, 26.85, 23.22, K(㎍/g) is shown 82.91, 136.90, 94.76, 75.82, Ca(㎍/g) is shown 593.04, 853.61, 813.17, 594.60, Mg(㎍/g) is shown 50.38, 72.19, 58.10, 55.32. T-N(%) is shown 0.06, 0.03, 0.04, 0.04 with Unburned, C-1, C-3, G-2 order in nutrient content of soil from 2007 to 2010, and P(㎍/g) is shown 32.69, 7.30, 5.07, 10.07, K(㎍/g) is shown 579.46, 236.73, 166.48, 294.75, Ca(㎍/g) is shown 63.62, 48.51, 49.81, 48.60, Mg(㎍/g) is shown 614.48. 103.94, 114.34, 119.34. Soil respiration(g CO2‧ m-2 ‧ hr-1) of Unburned and C-1 is shown respectively 0.77, 0.27 (g CO2 ‧ m-2 ‧ hr-1) in September and 0.52, 0.25 (g CO2 ‧ m-2 ‧ hr-1) in October.

      • DC Bias 전류 유입에 의한 전력용 변압기의 동작 특성 변화

        김정섭 충북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With the rise of global warming issue today, global efforts are underway, including the Paris Agreement. As a result, the need to develop eco-friendly, high-efficiency, and high-performance facilities is increasing. Since the research for optimal design of electrical machines was continued, It is difficult to develop devices that are more advanced than previous one. So increase transmission efficiency, by increase transmission voltage 365kV to 765kV, is the most appropriate way to slove the current environment issue. But increase transmission voltage has some critical risk on maintain stable power grid, because of unexpected DC Bias Current like Geomagnetically Induced Current. In this paper, analyze the Geomagnetically Induced Current, which is DC Bias inflow Current and Find the effects of DC Bias Current on power transformer operation through an experimental transformer manufactured using the 23PHD080 sample, which is manufactured same as 765kV power transformer.

      • 플라톤의 이데아와 사이버공간의 비교 고찰

        김정섭 선문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글에서 필자는 컴퓨터 사이버 세계의 존재에 대한 형이상학적인 생각이 무엇인지 고찰하고, 사이버 세계가 현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그리고 필자는 먼저 사이버 세계를 살펴보면서, 그 세계가 합리적인 세계인가에 대한 고찰과 더불어 윤리적인 접근을 하기 위한 기초를 마련하려고 시도하였다. 사이버 세계가 현재 많은 영역을 차지하고 있고 계속 그 영역을 넓혀가고 있는데, 그 속도가 기하급수적이라서 철학적인 입장에서 정리의 필요성을 느꼈다. 다시 말해서 사이버 세계에 대하여 계속 방임하여도 좋을 만큼 영향력이 적지 않다는 것이다. 그리고 사이버공간에 대해서는 아무래도 윤리적인 접근이 먼저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러한 윤리적인 접근이 있기 전에 사실은 인식론적, 논리적, 형이상학적인 고찰이 먼저 이루어져 있어야만 할 것 같아서 이와 같은 시도를 하게 된 것이다. 먼저 이글은 플라톤의 이데아에 대한 개념 정리와 컴퓨터 사이버 세계에 대한 범주를 먼저 정했다. 또 이글은 플라톤의 이데아의 특징과 사이버 세계의 특성 가운데 유사한 부분을 살펴보았다. 결론적으로 필자는 이러한 시도가 필요하고 또 가능하다고 판단한다. 이글에서 필자는 컴퓨터 공학에서 사용하는 용어를 그대로 사용하는 등 관련 논문에서 사용하는 개념들을 우선 이해하는 수준에서 형이상학, 인식론, 논리학, 윤리학과 미학의 관점으로 연구하였다. 이데아는 영원불변한 보편세계이다. 반면에 사이버세계는 인간들이 꾸미는 가변적 세계이다. 이데아와 사이버공간이 이러한 차이성이 있음은 분명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이버공간의 모델로서의 플라톤의 윤리학과 보편적 미학의 논의는 가능하다. 다시 말해서 필자는 사이버공간에서 필요한 윤리의 모델로서 보편적 윤리를 도입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고 또 필자는 영혼의 정화에 필요한 아름다움에 대한 미학을 사이버공간에 도입하여 사이버공간을 정화하고 싶은 것이다. 그리고 이 글은 여기서 인문과학과 사회과학 전반에 걸쳐 컴퓨터와 인터넷 세계에 대하여 철학이 주도적으로 그 흐름을 읽고 분석하여, 사이버공간에서 보다 합리적인 견지에서 플라톤과 그 후의 철학자들이 꿈꾸던 각종 이데올로기 이해의 폭을 확장할 수 있고, 그 연장선상에서 컴퓨터 사이버공간에서 각종 이데올로기를 내세우던 사람들이 못 다 이룬 그들의 목적을 수행해 나갈 수 있도록 그 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플라톤의 이데아 사상을 컴퓨터 그래픽 기술과 프로그램 기법을 통하여 이해를 도울 수 있는 길을 제시하게 될 것이다. 끝으로 이글이 사이버공간에 대하여 형이상학적이고, 윤리적인 접근이 늘어나도록 아이디어를 제공하고, 나아가 같은 종류의 연구가 늘어나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is to inquire into the metaphysical ideas regarding to the existence of computer cyberspace and its effect toward the reality. Contemplating the cyberspace in the first place, I made an effort to found a basis for an ethical approach combined with considering whether such cyberspace is a rational one or not. As the cyberspace expands its category of dealing in the world by an exponential rate, it was found to be necessary to theorize such phenomenon from a philosophical perspective. This paper, first, defined the conceptions regarding Plato's Idea and the realms of computer cyberspace; then, looked into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attributes between two. Idea is a constant and universal world; whereas, cyberspace is a variable one which is fabricated by human. There clearly is such a difference between Idea and cyberspace. Not with standing, cyberspace as a model can be appraised in the light of Plato's ethics and universal aesthetics. In other words, what the I am trying to accomplish here is to adopt universal ethics on cyberspace as a model of necessary ethics. Moreover, it is the author's intention to purify the cyberspace by introducing the aesthetics regarding the beauty required for the purification of the soul. In conclusion, I believe that such attempt is not only necessary but also possible.

      • 다윗과 밧세바의 결혼과 철기문명

        김정섭 계명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사무엘상 11장-12장에서 보도되고 있는 다윗과 밧세바 이야기는 이스라엘의 위대한 왕 다윗이 간음죄을 저지르고 그 남편까지도 살해하는 범죄를 저질렀음에도 불구하고 회개하고 용서받아서 다윗과 밧세바 사이에 태어난 솔로몬은 하나님의 사랑을 받아서 왕위를 계승하고 다윗왕조를 굳건히 세우게 된다는 서술은 후대의 신명기 사가의 신학적 의도에 의해 개정된 결과임을 알 수 있었다. 그동안의 사무엘상 11장-12장의 연구는 주로 다윗의 강간이나 아니면 간통이냐의 논쟁이 주를 이루고 있다. 하지만, 다윗과 밧세바 이야기의 초기 본문을 복원한 연구를 바탕으로 성경에 보도된 다윗과 밧세바의 결혼이 치정사건이 아니라 정략결혼을 통한 정치적 연합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러한 정략결혼의 이유로 철기문명과 관련하여 히타이트(헷 족속)의 후손으로 예루살렘에 정착한 철기 제작 기술과 연관 있는 밧세바 집안과 정치적 연합이었음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동기 및 목적을 밝히고, 연구사들을 살펴 본 후 역사적 재구성을 위한 다양한 연구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특히 그동안 소홀했던 사회과학적 연구 방법을 비롯해 다양한 연구 방법들을 도구로 삼아 다윗과 밧세바 이야기의 역사를 재구성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과정으로 다윗 시대 즈음의 이스라엘과 이웃 나라들을 살펴보았고 다윗 왕위 등극 사화들을 중심으로 사울과 다윗에 대한 바른 인식과 함께 성경의 저자의 친다윗적, 친왕권적 서술 의도에 관하여 인식할 수 있었다. 다윗의 결혼에 관하여 다윗의 아내들인 아비가일과 아히노암, 마아가, 미갈에 대한 연구를 통해 다윗의 결혼들이 정치적 목적으로 자신의 세력 신장을 꾀한 정략결혼들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청동기 문명에서 철기 문명 시대로 전환기에 놓인 이스라엘의 상황 중에서 사울 시대 철기 제작 기술이 빈약했던 이스라엘이 주전 10세기 무렵 비약적인 철기 무기와 농기구의 증가를 보인 것은 블레셋의 봉신으로 활약했던 다윗이 용병이나 다른 이방세력들과의 연합을 통해 철기 제작기술을 획득할 수 있었을 가능성을 짐작할 수 있었다. 다윗과 밧세바 이야기의 초기 본문을 연구한 한동구의 연구를 면밀히 살펴봄으로써 다윗과 밧세바 이야기의 초기 본문은 다윗과 밧세바의 간음의 문제가 아니라, 전쟁에서 죽은 부하 장수 우리야의 아내인 밧세바를 불쌍히 여겨 자신의 아내로 받아들인 다윗 왕은 축복을 받아 그들 사이의 아들 솔로몬의 왕위계승은 정당하다고 묘사하고 있는 친다윗, 친솔로몬, 친왕권적인 초기 본문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우리야와 밧세바의 정체에 대한 연구들을 통해서 우리야와 밧세바는 헷 족속인 히타이트의 유민으로 예루살렘에 정착한 세도가의 일원이었음을 짐작할 수 있었다. 특히 헷 족속의 후손으로 예루살렘의 세도가의 딸인 밧세바와의 결혼을 통해 다윗은 철기 관련 세력과 정치적 연합을 이룰 수 있었음을 짐작해 볼 수 있었다. This study searches king David and Bathsheba story reported in 1 Samuel 11-12 was amended by later theological intent of Deuteronomist; the content of the story is that although king David had committed adultery and killed Bathsheba's husband, king David repent and received forgiveness and became a great king of Israel and Solomon, born from David and Bathsheba, succeeded to the throne and the love of God be firmly established the Davidic dynasty. The main issue of recent studies for chapter of 1 Samuel 11-12 was whether king David assaulted and raped or committed adultery with Bathsheba. But based on a study to restore the initial text of the story of David and Bathsheba, this study says that the marriage of David and Bathsheba, the events described in the Bible, was not a crime of passion but political union through a marriage of convenience. The marriage of convenience was established to maintain the relationship with the descendants of the Hittite who have advanced iron making technology and Bathsheba's families were one of them. This study wants to reconfigure the actual history of the story of king David and Bathsheba by using social scientific research methods that had previously neglected and other research methods This study examines the period of king David's Israel and neighboring countries. In the History of Rise of David, this study discovers the correct recognition for king Saul and king David, and recognizes about the narrative intent of the authors of the Bible: an amicable attitude with David and kingship. This study recognizes that David's wives, Abigail the widow of Nabal of Carmel and Ahinoam of Jezreel, Maacah daughter of Talmai king of Geshur, Michal daughter of king Saul, were of convenience marriages with David to attempt penetration of their own political purposes. When the situation of Israel lay in the transition from the Bronze Age to the Iron Age, king Saul's Israel had no technology of forging iron. However in the 10th century BC, iron weapons and agricultural implements rapidly increased in Israel. This study assumes that the possibility of iron production technology could be obtained through David's mercenary or vassal of the Philistines and the union of the forces of the Gentiles. This study, examines closely Han dong-gu's study for the initial text of the story of David and Bathsheba, concludes that the initial text of the story of David and Bathsheba is not a matter of adultery of David and Bathsheba, instead it is the king David's pitiful reaction for Bathsheba who became a widow from Uriah's death at the war. For David's righteous action God blessed them and their son Solomon. Solomon was loved by God, and his succession of the throne was justified according to the initial text of the story of David and Bathsheba. Therefore the initial text of the story of David and Bathsheba had an amicable attitude with David and Solomon kingships. In addition, through the study of the identity of Uriah and Bathsheba, this study can guess that they were the descendants of influent refugees in Jerusalem from the Hittite who played a influent role with producing iron weapons. This study can conclude that through marriage with Bathsheba, David could achieve political coalition with forces who were relevant technology of forging ir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