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성인의 우울증 및 식사의 질과 대사증후군 간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김인선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한국 성인을 대상으로 우울증 및 식사의 질과 대사증후군 간의 연관성을 탐색하고 식사의 질이 우울증과 대사증후군 간 연관성을 변화시키는지(교호작용 또는 조절효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우울증 선별도구(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 항목의 조사가 실시된 2014, 2016, 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선정 기준에 따라 만 19세~80세 성인 총 13,571명을 분석에 포함하였다. 우울 수준은 PHQ-9 총 점수를 기준으로 정상군(0-4), 중간 우울군(5-9), 고우울군(≥10)으로 나누었으며, 식사의 질은 한국인을 위한 식생활평가지수 총점에 따라 3분위수로 분류하였다(T1-하위군, T2-중위군, T3-상위군). 결과 변수에는 개별 영양소 섭취량, 영양소 적정섭취비·평균 적정섭취비(Nutrient adequacy ratio, NAR·Mean adequacy ratio, MAR), 식생활평가지수(Korean healthy eating index, KHEI), 대사증후군 지표인 허리둘레, 중성지방, HDL-콜레스테롤, 수축기 및 이완기혈압, 공복혈당이 포함되었다. 복합표본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우울증, 식사의 질 그룹에 따른 독립 변수 간 차이를 비교하고 복합표본 로지스틱 분석을 통해 우울 수준과 식사의 질에 따른 대사증후군의 유병 위험도를 분석하였다. 식사의 질이 우울 수준과 대사증후군 간의 연관성을 변화시키는지(effect modification) 탐색하기 위해서 식사의 질로 층화하여 정상군 대비 대사증후군 위험요인 및 대사증후군 유병에 대한 교차비(odds ratio, OR)와 신뢰구간(95% confidence interval, CI), 교차비의 선형성(P for trend)을 확인하였다. 우울 수준에 따른 영양소 섭취 상태 및 식사의 질을 비교한 결과, 모든 11가지 영양소의 NAR이 정상군, 중간 우울군에 비해 고우울군에서 낮았다(탄수화물, 비타민 C, 칼슘, 총 식이섬유, 단백질, 비타민 B1, 비타민 B2, 나이아신, 인, 칼륨, 철 각 P<0.001). 식생활평가지수 총점은 정상군, 중간 우울군, 고우울군 순으로 감소했다 (P<0.001). 우울 수준에 따른 대사증후군 및 구성 요소의 교차비의 경우, 정상군에 비하여 고우울군에서 대사증후군(OR: 1.555, 95% CI: 1.1232-1.962), 고중성지방혈증(OR: 1.445, 95% CI: 1.170-1.785), 고혈당(OR: 1.292, 95% CI: 1.053-1.586) 위험에 대한 교차비가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저HDL-콜레스테롤혈증의 경우 정상군보다 중간 우울군의 교차비가 유의하게 높았다(OR: 1.840, 95% CI: 1.327-2.552). 앞서 언급된 4가지 항목의 경우 우울수준이 증가할수록 교차비가 증가하는 선형성도 유의하게 나타났다(P for trend<0.001; <0.001; 0.013; 0.040). 식사의 질의 경우 하위군 대비 상위군에서 복부비만 위험에 대한 교차비가 낮게 나타났지만(OR: 0.794, 95% CI: 0.661-0.954, P for trend= 0.014) 이외의 지표와 대사증후군 위험에 대한 교차비 및 선형성은 유의하지 않았다. 식사의 질로 층화하여 우울 수준에 따른 대사증후군 위험도를 분석한 결과, 대사증후군(OR: 1.840, 95% CI: 1.327-2.552), 복부비만(OR: 1.655, 95% CI: 1.001-2.737), 저HDL-콜레스테롤혈증(OR: 1.433, 95% CI: 1.068-1.950)에 대한 교차비가 식생활평가지수 점수가 낮은 하위군, 즉, 식사의 질이 낮은 군에서만 정상군 대비 고우울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대사증후군과 저HDL-콜레스테롤혈증의 경우 식사의 질 하위군에서만 우울수준이 증가하면 유병 위험이 증가하는 선형성 또한 유의했다(P for trend=0.002; 0.004). 성별로 층화하였을 때 남성의 경우 대사증후군 위험에 대한 교차비가 정상군보다 고우울군에서 유의미하게 높았고(OR: 2.523, 95% CI: 1.528-4.168, P for trend=0.016) 여성에서는 연관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추가로 유산소 신체활동 수준을 교란변수로 보정하였을 때도 대사증후군의 구성요소 및 대사증후군의 유병 위험은 이전의 결과와 유사했다. 단, 고중성지방혈증의 경우 유산소 신체활동 수준 보정 전후 결과의 차이가 존재했다. 보정 전 분석 결과에서는 식사의 질 층화여부와 관계없이 정상군 대비 우울군의 유병 위험이 높았지만, 보정 후 식사의 질 층화 전 우울 수준이 높아질수록 교차비의 선형성이 증가하였던(P for trend=0.003) 결과가 층화 후 사라졌다(HEI T1;T2;T3, P for trend=0.123; 0.310; 0.010). 본 연구 결과, 우울증과 대사증후군 간 연관성은 확인하였지만 식사의 질과 대사증후군 간의 유의한 연관성은 없었다. 또한 대사증후군 유병 위험에 대한 우울증과 식사의 질 간의 교호작용은 유의하지 않았으며 (P=0.501), 신체활동 수준이 두 질환의 연관성에 미치는 직접적인 효과는 확인할 수 없었다. 그러나 식사의 질로 층화 시 식사의 질이 높아질수록 우울증과 대사증후군 간의 연관성이 사라져 우울군의 대사증후군 유병 위험에 있어 식사의 질의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음을 추정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종합하자면, 일반적인 한국 성인 인구집단에서 건강한 식생활은 우울 수준이 높은 사람의 대사증후군 유병 위험을 상쇄시킬 수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단면(cross-sectional) 연구라는 특성상 인과관계를 규명할 수 없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표준화된 도구와 한국인을 대표할 수 있는 국가수준의 자료를 기반으로 한국 성인의 우울증, 대사증후군, 식사의 질 세 요소 간 관련성을 확인한 첫 연구인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생각된다. 향후 고우울군의 대사증후군 발생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는 개인 및 환경적 요소를 탐색할 경우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Several studies have hypothesized that depression and metabolic syndrome may exist concurrently because the two diseases share unhealthy life styles as risk factors such as diet quality.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ssociations between depression, diet quality, and metabolic syndrome, and to examine whether diet quality modifies or interacts an association between depression and metabolic syndrome. A total of 13,571 Korean adults aged 19 to 80 from 2014, 2016, 2018 Korea National Health Examination Survey data. Subjects were divided into subgroups according to depression normal (0-4), moderate (5-9), and high depression (≥10) groups based on PHQ-9(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scores), and diet quality (third quartile groups according to KHEI(Korea Health Eating Index) scores). We used complex sampl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to estimate odds ratio (OR) and 95% confidence interval (CI) of risk of metabolic syndrome and its components. Models were further stratified by diet quality levels to explore whether diet quality modifies the association between depression severity and metabolic syndrome. Depression severity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risk of metabolic syndrome (P for trend<0.001) but such an association did not exist between diet quality and metabolic syndrome (P for trend=0.134) after adjustment for age, sex, drinking status, education level, and energy intake. Only in the lowest diet quality group, high depression group showed a higher risk of metabolic syndrome (OR: 1.840, 95% CI: 1.327-2.552) and of low HDL-cholesterol (OR: 1.433, 95% CI: 1.068-1.950) compared with normal group. This remained significant among men but not in women. After further adjustment for physical activity, the OR of hypertriglyceridemia became insignificant after stratified with diet quality. The associations between depression severity and metabolic syndrome were disappeared in the second and third tertiles of diet quality groups. Our results suggest that healthy diet quality could offset the increased risk of metabolic syndrome for those with high depression in the general Korean adult population.

      • 창의성 계발을 위한 중학교 협력종합예술활동 교과협력수업 사례연구 : -뮤지컬 분야를 중심으로-

        김인선 세종대학교 융합예술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collaborative team teaching via musical comprehensive art activities on creativity development, and to present the reference model of 'Comprehensive Art Activities' as one of educational approaches which can help students to develop creative and comprehensive thinking by harmonizing 'musical play' and 'academic curricula' cooperatively. Therefore, the study i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education (the musical play), education policy (the collaborative art activity), and creativity development after academically examining the definition and the components of creativity and the need of creativity education. Based on such theoretical studies, we have studied in depth the case from G Middle-school in Guro-gu, Seoul which is a good class model for collaborative team teaching via musical comprehensive art activities. The researchers participated as observers to observe, record and organize the series of processes including pre-planning stage for operation of collaborative teaching of musical and Arts as core subject, team teaching course planning stage, discussion with teachers and musical instructors for collaborative team teaching, design and application stage for musical play and lastly the performance presentation. In addition, this study sought to discuss the effectiveness of collaborative team teaching via cooperative composite art activities by individually interviewing students and teachers in depth with survey.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e cas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collaborative team teaching via cooperative composite art activities was conducted with common educational purpose in cooperation with musical play and different subjects such as Korean language, Ethics, Sociology, Science and Art. This helps students to develop creativity by leading them to think in creative way, and providing them an opportunity to integrate their existing knowledges and abilities. Secondly, the musical collaborative team teaching helps students not only to obtain knowledge but also to holistically develop communication ability, cooperation ability, expression ability, empathy ability and so on. Thirdly, the study presented the reference model for team teaching by observing and recording the entire process of the musical collaborative team teaching. Fourthly, improvement in education methods can be expected by utilizing the case from G Middle-school where demonstratively operates 'collaborative art activities' Based on above results, this case study has made following suggestions; Firstly, this study is not conducted as comparative study that this does not consist of control group. If the effectiveness of musical collaborative team teaching on creativity development can be verified through pre and post-examination, more objective results can be expected. Secondly, further studies can be conducted for collaborating science-based subjects such as Mathematics and Physics to offer effective creativity development in such fields as well through collaborative team teaching. Thirdly, this study suggests for further researches to be conducted to establish an institutional foundation for successful operation of collaborative team teaching throguh musical comprehensive art activities in many other schools. The futuristic society in the 21st century demands for cultivation of creative convergent talents. In order to arouse a change in paradigm of traditional cramming and entrance-exam-centered education, it is highly recommended for varies of researches to be done to induce students to develop knowledges and abilities holistically in fields of arts education as well. 본 연구는 뮤지컬 협력종합예술활동을 통한 교과협력수업이 중학생의 창의성 계발에 어떤 효과를 미치는지 그 효용성을 알아보고, 더불어 학생들로 하여금 예술장르인 ‘뮤지컬’과 ‘교과교육’을 융합·협력하도록 하여 창의적이며 통합적인 사고를 할 수 있는 교육방법으로써의 ‘협력종합예술활동’의 모델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창의성의 정의와 구성요소, 창의성 교육의 필요성 등에 대해 학문적으로 검토해본 후 ‘뮤지컬’이라는 예술교육과 ‘협력종합예술활동’이라는 교육정책과 창의성 교육의 상관관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와 같은 이론적 연구를 바탕으로 뮤지컬 협력종합예술활동을 통한 교과협력수업의 모델이 될 만한 서울 구로구에 소재한 G중학교의 사례를 심층적으로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가 관찰자로 참여하여 교과와 뮤지컬의 협력수업 운영을 위한 사전 기획 단계, 협력 수업을 위한 교사와 뮤지컬 강사와의 회의, 협력수업 교육 계획안 , 창작 뮤지컬 설계 및 적용 단계, 공연 발표까지 일련의 과정을 관찰·기록, 정리하였다. 또한 협력 수업 종료 후 설문조사 및 교사와 학생들과의 심층 인터뷰를 통해 중학교 협력종합예술활동을 통한 뮤지컬 교과협력수업의 효용성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위 같은 사례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뮤지컬 협력종합예술활동을 통한 교과협력수업은 뮤지컬 희곡을 창작하고 공연 발표하는 공통의 교육목표를 가지고 국어, 사회, 도덕, 과학, 음악 교과와 뮤지컬이 협력하여 수업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창의적으로 사고하고 기존의 지식과 기술을 융합·통합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여 창의성 계발을 꾀할 수 있다. 둘째, 뮤지컬 교과협력수업은 지식적인 앎뿐만 아니라 의사소통능력, 협력능력, 표현능력, 공감능력, 자발성 등 학생들이 전인적으로 발달할 수 있도록 돕는다. 셋째, 뮤지컬 협력종합예술활동을 통한 교과협력수업의 전 과정을 관찰·기록함으로써 참고할만한 협력수업의 모델을 제시하였다. 넷째, ‘중학교 협력종합예술활동’을 시범적으로 운영되는 G중학교의 사례를 활용하여 진일보한 교육으로 보완·개선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뮤지컬 교과협력수업을 한 대상과 그렇지 않은 대상과의 비교연구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뮤지컬 교과협력수업이 학생들의 창의성 계발에 어떤 효과를 나타내는지 사전, 사후 검사를 통해 그 효과성을 검증한다면 더 객관적인 연구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수학, 물리 등과 같은 이질적인 교과와의 교과협력수업에 대한 연구를 통해 더욱 효과적인 창의성 계발과 증진을 위한 뮤지컬 교과협력수업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뮤지컬 협력종합예술활동을 통한 교과협력수업이 많은 학교에 시행되기 위해서 그에 따른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연구가 이뤄져야할 것이다. 21세기 미래사회에 요구되는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해 주입식 교육, 입시 위주의 교육을 탈피하고 기능 교육 위주였던 예술교육에도 패러다임의 변화가 일어나 학생들이 전인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바란다.

      • 분자생물학적 방법을 이용한 한국과 중국 호수의 저질토에서 황환원세균의 다양성과 수직적 분포

        金仁善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Sulfate reduction, mediated by sulfate reducing bacteria (SRB), is the most important remineralization pathway in sediments. In sediments of lakes in Korea (Lake Sihwa and Lake Soyang) and China (Lake Aha and Lake Erhai), the diversity and vertical distribution of sulfate reducing bacteria were investigated by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FISH),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DGGE),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functional gene (dsrA) clones. As results of FISH method, SRB from sediment in Lakes of China were located to deeper layer than those in Lakes of Korea. SRB were not detected below 19 cm and 10 cm depth in sediments of Lake Sihwa and Lake Soyang, respectively. In case of lakes in Korea, the proportion of SRB ranged from 2.9 to 25.6% (Lake Sihwa) and ranged from 0.6 to 7.1% (Lake Soyang). For lakes in China, the proportions of SRB ranged from 0.6 to 19.4% and from 2.9 to 11.2% within sediments from Lake Aha and Lake Erhai, respectively. The high peaks of SRB numbers in sediments of all sampling sites were appeared at depths between 0 cm and 2 cm. In DGGE analysis, all six major groups of SRB were presented in both sediment of Lake Sihwa and Lake Aha. Especially, the Desulfotomaculum and the Desulfobulbus group were dominant in Lake Sihwa and Lake Aha, respectively and the diversity of SRB also were higher than those of other groups. The band patterns didn't show big difference depending on the different depth. A total of 68 dsrA clones from sediment samples of Lake Sihwa and Lake Aha affiliated with the Deltaproteobacteria and the Firmicutes and were divided into ten clusters (I∼X) with 87% sequence similarity cutoff value. Sequences retrieved from sediment of Lake Sihwa revealed a higher numbers than those of Lake Aha, demonstrating a higher diversity of dsrA gene in Lake Sihwa. The dsrA genes were dominant at 2cm depths, which pattern was the consistent with results represented in FISH. None of the clusters contains both Lake Sihwa and Lake Aha clones except only cluster VIIIb. These result indicated that the diversity and abundance of SRB were different with environmental conditions.

      • 감정노동, 일-생활 균형, 임파워먼트가 중소병원간호사의 전문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김인선 순천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감정노동, 일-생활균형, 임파워먼트가 중소병원간호사의 전문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전문직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전라남도 여수시, 순천시, 광양시에 소재한 중소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로서 근무경력 6개월 이상인 간호사 240명이다. 연구도구는 감정노동 9문항, 일-생활 균형 29문항, 임파워먼트 12문항, 전문직 삶의 질 30문항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자료수집은 2022년 4월 19일부터 4월30일까지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6.0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t-test), 분산분석(ANOVA) 및 사후검증(Sche ffé test ), 상관관계분석(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으로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대상자의 감정노동 점수는 45점 만점에 27.25±5.68점, 일-생활 균형점수는 145점 만점에 92.48±20.51점, 임파워먼트 점수는 60점 만점에 40.92±6.67점, 전문직 삶의 질은 150점 만점에 102.72±14.81점이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연구대상자의 전문직 삶의 질은 성별(t=-2.14, p=.033), 결혼상태(t=2.84, p=.005), 종교(t=2.65, =.009), 학력(F=4.04, p=.019)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연구대상자의 전문직 삶의 질은 감정노동(r=-.550, p<.001)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 일-생활 균형(r=.680, p<.001), 임파워먼트(r=.454, p<.001)와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일-생활 균형(β=.44, p<.001), 임파워먼트(β=.28, p<.001), 감정노동(β=-.27, p<.001), 결혼상태(β=.10, p=.029)는 전문직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일-생활 균형과 임파워먼트가 긍정적일수록, 감정노동이 낮을수록, 결혼상태는 기혼일 때 전문직 삶의 질의 수준이 높아지며 이들 변수는 중소병원간호사의 전문직 삶의 질의 62.1%을 설명하였다(F=42.86, p<.001). 본 연구결과를 통해 중소병원간호사의 전문직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일-생활 균형을 조절할 수 있는 방안과 감정노동을 낮추고 임파워먼트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간호관리 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한다면 중소병원간호사의 전문직 삶의 질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핵심어 : 감정노동, 일-생활 균형, 임파워먼트, 중소병원간호사, 전문직 삶의 질 This descriptive survey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work-life balance (WLB), and empowerment on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ProQOL) and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improving ProQOL in nurses of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Two hundred and forty nurses of a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 in the cities of Yeosu, Suncheon, and Gwangyang with at least six months of experience were enrolled. A structured questionnaire consisting of nine items for emotional labor, 29 items for WLB, 12 items for empowerment, and 30 items for ProQOL was used. Data was collected from April 19, 2022 to April 30, 2022.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t-test, ANOVA, Scheffe test for post-hoc comparison,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PSS 26.0 softwar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The mean emotional labor score was 27.25±5.68 out of 45, and the mean WLB score was 92.48±20.51 out of 145. The mean empowerment score was 40.92±6.67 out of 60, and the mean ProQOL score was 102.72±14.81 out of 150. The participants’ ProQOL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d according to sex (t=-2.14, p=.033), marital status (t=2.84, p=.005), religion (t=2.65, p=.009), and education level (F=4.04, p=.019). ProQOL was significant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emotional labor (r=-.550, p<.001) and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WLB (r=.680, p<.001) and empowerment (r=.454, p<.001). WLB (β=.44, p<.001), empowerment (β=.28, p<.001), emotional labor (β =-.27, p<.001) and marital status (β=.10, p=.029) were identified as the predictors of ProQOL, where ProQOL increased with decreasing emotional labor and increasing WLB and empowerment. These factors explained 62.1% of the variance of ProQOL among nurses of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F=42.86, p<.001). Based on these findings, measures that help nurses adjust WLB and nursing management interventions that decrease emotional labor and increase empowerment should be developed to enhance ProQOL of nurses in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 국제결혼부부의 의사소통 및 스트레스대처가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 : 친밀감의 매개효과와 사회적지지의 조절효과

        김인선 경상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국제결혼부부의 결혼만족 수준을 파악하고, 결혼만족과 관련된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경상남도에 거주하는 중국출생 아내와 한국인남편, 베트남출생 아내와 한국인남편, 필리핀출생의 아내와 한국인남편, 캄보디아 출생의 아내와 한국인남편이다. 부부 161쌍 332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데이터 분석을 위해 통계패키지 SPSS 21.0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 t-test, ANOVA and correlation. 그리고 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하였다. 다음과 같이 연구결과를 요약한다. 결혼만족의 일반적 수준은 한국인남편이 외국인아내보다 다소 높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아니다. 또한 의사소통유형 및 스트레스대처방식에서도 부부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부부의 의사소통유형과 스트레스대처방식에 따른 집단 간 결혼만족 수준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친밀감은 의사소통 및 스트레스대처와 결혼만족 간 부분매개역할을 하였고, 사회적지지는 의사소통 및 스트레스대처가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효과가 없었다. 주요발견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부부의 교육수준 별 결혼만족 수준에 차이가 있고, 월평균수입은 결혼만족 수준과 상관이 있었다. 또한 외국인아내 중 필리핀출생이 중국출생 보다 결혼만족 수준이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한국인남편은 개인적 만남을 통하여 결혼한 사람이 친구나 동료의 소개로 만나서 결혼 한 사람보다 결혼만족 수준이 유의하게 높았다. 셋째, 결혼 전에 들었던 배우자에 대한 정보가 결혼 후 일치하였는가에 대한 정보일치도 정도에 따라 결혼만족 수준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부부 모두 정보가 일치한다고 응답한 사람이 일치하지 않다고 응답한 사람보다 결혼만족 수준이 유의하게 높았다. 넷째, 의사소통유형이나 스트레스대처방식에서 부부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다만 의사소통유형 중 파트너요구-자기철회의 의사소통에서 부부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일반적으로 아내가 요구하고 남편이 철회하는 의사소통을 나타내는데 반해 외국인아내가 한국인남편보다 더 요구하거나 더 철회하는 의사소통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스트레스대처방식 중 자신의 위임대처에서 부부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일상생활에서 사소한 일들을 외국인아내가 한국인남편보다 더 떠 맡아서 한다는 것이다. 다섯째, 부부의 의사소통유형이나 스트레스대처방식에 따라 부부의 결혼만족 수준에 차이가 있었다. 즉 부부 모두 건설적 의사소통을 하는 집단과 부부 모두 긍정적 대처방식을 사용하는 집단이 다른 집단에 비해 결혼만족 수준이 가장 유의하게 높았다. 여섯째, 부부 모두 건설적 의사소통을 할수록 결혼만족 수준이 높아지고, 부부 모두 긍정적 대처방식을 사용할수록 결혼만족 수준이 높아진다. 일곱째, 부부 모두 건설적 의사소통을 할수록 친밀감은 높아지고 친밀감이 높아지면 결혼만족 수준이 높아진다. 또한 부부 모두 긍정적 대처방식을 사용할수록 친밀감은 높아지고 친밀감이 높아지면 결혼만족 수준이 높아진다. 여덟째, 사회적지지는 부부의 의사소통 및 스트레스대처가 결혼만족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는 효과가 없었다. 다만 조절하는 효과가 악하지만 외국인아내의 의사소통이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적지지가 조절하는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위 연구결과는 부부의 차이를 고려하는 효과적 개입방안을 구성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부부 모두를 대상으로 하는 통합적 개입방안을 구성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함의를 제공한다. 첫째, 국제결혼부부의 결혼해체를 방지하기 위하여 결혼만족 수준을 높인다. 둘째, 국제결혼부부의 건설적 의사소통기술과 긍정적 스트레스대처기술의 향상을 위한 교육 등 부부의 역량강화를 위한 대안으로써 부부관계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셋째, 국제결혼부부의 결혼만족 수준을 높이기 위하여 친밀감의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arital satisfaction level of international married couples and to analyze the factors related to marital satisfaction. The survey subjects of this study are international married couples consisting of Korean husband and foreign wives living in Gyeongnam Province. The survey subjects are Korean husbands and Chinese-born wives, Korean husbands and Vietnamese-born wives, Korean husbands and Philippine-born wives, Korean husbands and Cambodian-born wives. 322 data cases from 161 couples were collected and used for the analysis. Statistical analyses were descriptive statistics using t-test, ANOVA and correlation, and advanced statistic using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Statistical software SPSS 21.0 version was utilized for the analyses of the collected data. The 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 general level of marital satisfaction of Korean husbands was somewhat higher than that of their foreign born wives,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ddition,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couples in communication pattern and stress coping. However,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marital satisfaction level between groups according to the couple's communication pattern and stress coping. Intimacy played a part of mediation between communica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intimacy also played a part of mediation between stress coping and marital satisfaction. Social support had no effect on moderating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and stress coping on marital satisfaction. The major findings as follows. First, among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married couples showed difference in marital satisfaction level according to educational level, and monthly average income was correlated to marital satisfaction level. In addition, the marital satisfaction level of the Philippine wive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hinese wives Second, Korean husbands married through personal encounter had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marital satisfaction than Korean husbands married through friend or colleague introduction.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marital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degree of information agreement on whether the information of the couples heard before marriage matched with the information of the couples after marriage. The marital satisfaction level of the couples who answered that the information was very consistent was significantly higher. Fourt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uples in communication pattern and stress coping.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artner demand-self withdraw for the couples in communication. The wife demand-husband withdraw is general in communication, but the results showed that demand and withdraw of foreign wives was more than that of Korean husbands. In addi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uples in delegated dyadic coping by oneself (DDCO). This means that foreign wives take on more things in daily life than Korean husbands do. Fifth, there was a difference in marital satisfaction level according to the couple's communication pattern and stress coping. In other words, the couple with constructive communication and with positive stress coping had the highest levels of marital satisfaction. Sixth, the more constructive communication the couple has, the higher the marital satisfaction level. the more positive stress coping the couple has, the higher the marital satisfaction level. Seventh, as coupl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constructively, intimacy increases. and the more intimacy increases, the higher the level of marital satisfaction. Also, as couple has the more positive coping, the higher the level of intimacy. and the higher the level of intimacy, the higher the level of marital satisfaction. Eighth, social support had no moderating effects of communication and stress coping on marital satisfaction. However, although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was weak, social support had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communication of foreign wives on marital satisfaction. Therefore, the above findings will not only be an effective intervention that takes into account the differences between husband and wife, but also be helpful for constructing an integrated intervention for the couples. The results of the study provide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the level of marital satisfaction should be high to prevent marital dissolution of the international married couples. Second, a program for improving couple relationship should be developed as an alternative for strengthening the capability of couples, such as the edu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constructive communication skill and for the improvement of positive stress coping. Third, a program for improving intimacy should be developed for the international marriage couple to have a higher level of marital satisfaction.

      • 어둠에서의 유음의 인지와 발화 :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을 중심으로

        김인선 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erception and Production of English Word Initial Liquids: With Reference to First Year Middle School Students Most Koreans can't distinguish between Korean liquid /ㄹ/ and English liquids, /l/ and /r/ because of phonetic and phonological difference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earlier Korean learner's acquisitional pattern in English of /l/ and /r/.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n experiment with the Korean native speakers' perception and production of English word initial liquids /l/ and /r/ with Korean first year of middle school students. Forty four Korean learners of English participated for perception experiment, and six participated for production experiment. Fourteen minimal pairs with word initial liquids followed by one of the vowel set /i, e, æ, ə, u, o, a/ were used as stimuli. The results show that perception errors of /l/(27.75%) was a greater problem than that of /r/(18.33) for Korean learners of English. The perception results of /l/ and /r/ according to position of tongue showed an increase in difficulty in the order of front → central → back vowels, an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ongue, mid → high → low vowels for /l/ and low → mid → high vowels for /r/. On the other hand, Korean learners of English had more difficulty in pronouncing /r/(65.07%) than /l/(19.70%). The position of the tongue when producing a /l/ showed an increase in difficulty in the order of central → back → front vowels but producing a /r/ in the order of back → front → central. As for the height of tongue, the error rate in producing /l/ was about the same between high and low vowels but the middle vowels showed the least number of errors, while it was in the order of low → high → mid vowels for producing /r/. A systematic phonetic approach based on a comparative study of Korean and English phonemes is essential for the effective and efficient learning for Korean learners. By introducing systematic phonemes, Korean speakers' pronunciation clarity and listening proficiency would be greatly enhanced.

      • 성격유형과 감각추구성향, 헤어스타일 행동이 미용실 선택에 미치는 영향

        김인선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개개인의 성격유형과 감각추구성향, 그리고 헤어스타일 행동의 관련성을 분석하고, 이들 요인이 미용실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미용 산업 관리의 기초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한 연구모형에는 독립변수로서 성격유형, 헤어스타일 행동, 그리고 감각추구성향이, 그리고 종속변수로 미용실 선택이 포함되었다. 연구 자료는 구조화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경상남도 양산시에 거주하는 여성 225명을 대상으로 수집하였다. 실증분석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용실 선택(가격/서비스의 질, 평범/고급형, 집근처/번화가)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변이를 분석한 결과, 가격/서비스의 질 차원에서는 유의한 변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평범/고급형 차원에 있어서는 연령별로는 40대에서, 경제수준별로는 상층에서 고급미용실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근처/번화가 차원에서는 연령별로 30세 미만 그룹이, 결혼상태별로는 미혼이, 소득수준별로는 150만원 미만인 그룹이, 직업에서는 학생이 번화가 미용실을 선호하였다. 둘째, 성격유형 중 외향성과 내향성 차원에서는 외향성이, 감각형과 직관형 차원에서는 직관형이 유의하게 높은 감각추구성향을 보였다. 헤어스타일 행동 변수 중 정숙성은 인식형/판단형 차원 중 판단형과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셋째, 헤어스타일 행동 중 유행성은 미용실 선택(저렴/고급형)에, 또한 감각추구성향과 유행성은 집근처/번화가 미용실 선택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미용서비스 산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개인의 성격유형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헤어스타일 행동이 어떠한지를 분석하여 효과적인 미용서비스 관리 및 마케팅 전략을 세워야 함을 시사한다.

      • 毅菴 柳麟錫의 簡札 연구 : 毅菴集을 중심으로

        金仁善 강원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A study on Letters of Ryu Inseok ―Focusing on ��Uiamjip(毅菴集)��― Kim, In Sun Department of History Graduate School of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Uiamjip(毅菴集)” was published in 1917 by disciples of Ryu Inseok, two years after death. From 1861 to 1915, there are a total of 895 Letters and 10 Letters whose year of writing was unknown. As for the contents of the Letters in “Uiamjip(毅菴集)”, majority was about greetings followed by political situation, academic and activities of Loyal troop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905 Letters closely for analysis. This study also attempt to understand the people who received Letters and to understand their relationship. Ryu Inseok inherited the Hwaseo School's neo-Confucian ideology and passed it on to thousands of people throughout his life. In particular, he sent and received Letters on in-depth academic contents on “Jungyong(中庸)” and “Daehak(大學)” with his master Yi Hang-Ro(李恒老), Kim Pyeong-Muk(金平黙), Ryu Jung-Gyo(柳重敎). Many Letters are questions and answers on academic issues. Such academic Letters continued when Ryu was exiled abroad. The target of Letters did not distinguish between the literary figures and non-literary figures. It means that he was an ideological mentor among the intellectuals in times of turbulence. There are also Letters expressing their views on the intense controversial issues of ‘Simseol(心說)’ within the Hwaseo School(華西學派) at the time. In Letters, he showed his regret by the influx of western civilization that ruined the traditional society of the Joseon Dynasty. On the other hand, he criticized the incompetent government bureaucrats who had overlooked the crisis of Joseon. In particular, Letters criticized the reformist politics of pro-Japanese bureaucrats and the Japanese government too. Through the Letters of scholarship and the political situation, it is known that Ryu Inseok had a lot of worries about reaction to the crisis of the country’s neo-Confucian scholars and intellectuals. In 1895, Ryu Inseok entered into activities of Loyal troops in the wake of the Eulmi Incident and the Ordinance prohibiting topknots. At the request of his disciples, he became head of Hojwauibyeongjin(胡坐義兵陣) leading the Loyal troops. Afterwards, he organized anti-Japanese groups in Joseon, China and Russia and progressed anti-Japanese struggles. During this period, he sent Letters to many unspecified people, including his disciples and Loyal troops colleagues encouraging their spirit. In addition, he sent many greeting and condolence Letters to friends and relatives and also exchanged Letters to people related to publication of books. In doing so, he contributed to the smoothness of publishing. And, he sent Letters to the Chinese government, Yuan Shikai of China and other intellectuals arguing that Chinse must restore the Way of Sinocentrism. Based on the above information, his relationship was figured out. Out of the 554 people who received Letters of Ryu Inseok, 141 were literary figures and their origins are very diverse including Gwanseo(關西), Haeseo(海西), Gyeonggi-do(京畿道), Chungcheong-do(忠淸道), Gangwon-do(江原道), Hambyeongbuk-do(咸鏡北道) and Gyeongsangbuk-do(慶尙北道). Among them, people from Gwanseo and Haeseo region account for large portion. It was because he remained in the area before the exile of the country and returning to the country and he opened Gangseuprye(講習禮) and Hyangeymrye(鄕飮禮) at Haeseo at its center. At this time, he communicated with many people forming master-disciple relationship and exchanged Letters many times. The basis of this fact can be found in Letters in which he remarked that young Confucian scholars in this area were loyal and faithful. Besides, Letters were exchanged with the people of the Nosa School and Hanju School too without limitation. And, it was found that while performing activities of Loyal troops, he had justification and confidence of the civilian army activities at home and abroad. As such, Ryu Inseok made every effort to speak and persuade about the confused political situation of the time through Letters, and suggested a direction to take as intellectuals by forming coherence of many people including diverse reasons and academic schools. 毅菴 柳麟錫의 簡札 연구 ―��毅菴集��을 중심으로― 金 仁 善 江原大學校 大學院 史學科 ��의암집��은 의암 유인석 사후 2년 뒤인 1917년 제자들에 의해 간행되었다. 1861년부터 1915년까지 총 895편의 간찰들과 연도미상인 간찰 10편 등 총 905편이 수록되어 있다. ��의암집��에 수록되어 있는 간찰들의 내용은 안부 등의 내용이 가장 많으며 그 다음으로 시국, 학문 그리고 의병활동 등의 순이다. 본 논문은 ��의암집��의 간찰 905편을 면밀히 분석하여 그 내용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간찰을 받은 인물들을 파악하여 교유관계에 대해서도 파악하고자 하였다. 화서학파의 성리학적 사상을 정통으로 계승한 유인석은 생애 전반에 걸쳐 수많은 사람들과 간찰을 주고받았다. 특히 스승이었던 화서 이항로와 중암 김평묵, 성재 유중교 등과 ��중용�� 및 ��대학�� 등 학문에 대해 깊이 있는 내용의 간찰들을 주고받았으며 학문에 대하여 질문하면 답을 하는 형식의 간찰들도 여러 편 있다. 이러한 학문관련 간찰을 유인석이 국외로 망명해 있을 때에도 계속 되었는데 간찰의 대상은 문인과 비문인을 구분하지 않았다. 이것은 당시 혼란스러웠던 시대에 유인석이 지식인들 사이에서 중심이 되는 정신적 스승이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당시 화서학파 내에서 격렬하게 논쟁 중이었던 심설논쟁에 대하여 자신의 의견을 밝히는 간찰들도 있다. 그 밖에도 유인석은 시국에 관한 간찰을 통해 서양문물의 유입으로 인하여 조선의 전통사회가 혼란에 빠지는 모습을 안타까워하였고, 한편으로는 이런 조선의 위기를 방관한 무능한 조선의 관료들을 비판하였다. 특히 친일관료들의 개혁정치와 일본의 정부를 향해서도 간찰을 통하여 서슴없이 비판하였다. 학문과 시국에 관한 간찰을 통해 유인석은 나라의 존폐위기에 성리학자와 지식인으로서 어떻게 대처해나가야 할지에 대해 많은 고민을 하였음을 알 수 있다. 유인석은 1895년 을미사변과 단발령을 계기로 의병활동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당초 중국으로 망명하여 수의하려고 하였으나 제자들의 요청으로 호좌의병진 창의대장 자리에 올라 의병들을 이끌게 되었다. 이후 유인석은 조선·중국·러시아를 오가면서 항일단체를 조직하고 항일투쟁을 전개하였다. 이 시기 유인석은 국내외에서 의병활동을 하고 있거나 거의를 준비하고 있는 제자 및 의병 동료들을 비롯하여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에게도 간찰을 보내 그들의 사기를 독려하고 격려하였다. 이외에도 유인석은 친인척들의 건강과 안부 및 죽음에 대해 위로하는 등의 간찰들과 문집간행에 관련된 사람들과 간찰을 주고받음으로써 간행의 원활함을 도왔고, 중국정부와 중국의 원세개를 비롯한 지식인들에게도 간찰을 보내 향후 중국이 다시 중화의 도를 되찾아야 한다는 주장을 하였다. 위의 내용들을 바탕으로 유인석의 교유관계에 대해서도 파악할 수 있었다. 유인석의 간찰을 받은 사람들 554명 중 141명이 문인들이며, 이들의 출신지역은 관서·해서·경기도·충청도·강원도·함경북도·경상북도 등으로 매우 다양하다. 이들 지역 중 관서와 해서지방의 사람들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유인석이 국외로 망명하기 전과 국내로 돌아왔을 때 주로 머물렀던 지역이 해서지역이며 이곳을 중심으로 다른 지역을 돌며 강습례와 향음례 등을 열었기 때문이다. 이 때 수많은 사람들과 교유하며 사제관계를 맺고 이들과 수차례 간찰을 주고받았는데 이러한 사실의 근거는 유인석이 해서지역의 젊은 유학자들에 대해 충성되고 신의가 있다라고 말한 간찰에서 살펴볼 수 있다. 그밖에도 노사학파와 한주학파의 사람들과 간찰을 주고받았는데 이를 통해 학파와 지역에 한정되지 않고 교유관계를 한 사실도 알 수 있었다. 또한 국내외에서 의병활동을 전개하면서 의병활동의 정당성과 확고한 의지가 있었다는 점을 알 수 있었으며 유인석의 의병활동 과정 또한 파악할 수 있었다. 이처럼 유인석은 혼란스러웠던 당시 시국의 상황 속에서 간찰을 통해 의병활동의 참여를 독려하기 위하여 적극적으로 이야기하고 설득하고자 노력하였으며, 지역과 학파에 제한되지 않고 수많은 사람들과 교유하면서 그들로 하여금 결속력을 다지게 하여 지식인으로서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여 주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