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동물 이미지의 의인화 과정을 통한 자아 표상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김은송 한남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동물을 의인화하는 과정을 통해 자아 표상을 연구하고자 한 본인의 작업은 사회에 속한 인간의 일상 모습을 관찰하고 동물의 이미지로 투영하여 표현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환경에 따라 변화하는 내면의 자아를 탐구하고 사회가 요구하는 일원으로 살아가며 잊고 있던 나 자신의 본질을 집중적으로 바라보았다. 외면상 사회 혹은 타인이 바라보는 정체된 시선보다 지극히 개인적인 관념과 감정의 시선으로 본인의 존재와 본질을 해석하고 바라볼 수 있도록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자 한다. 우리 인간은 살아가면서 많은 경험을 한다. 어떠한 의식과 경험으로부터 자아는 기억을 남기고 감정을 갖는다. 내면에서부터 이루어지는 감정의 변화는 표정을 통해 다양하게 표출되며 감정의 변화는, 곧 자아를 이루는 구성 요인으로 볼 수 있다. 과거 고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많은 미술가들은 동물 안에 깃든 사람의 모습을 발견하고 이를 다양한 상징적 의미로 표현해왔다. 동물과 인간 자신의 삶에 대해 관심을 갖고 관찰하며 시대의 의식과 감정, 사상 등 끊임없는 정신 활동의 발전과 변화를 반영하고자 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본인 작품은 유년시절에 대한 기억과 경험으로 익숙하고 친근하게 느껴지는 동물의 모습을 의인화하여 사회 속에서 현실과 이상을 갈등하고 혼란스러워하는 인간에 주목하였으며, 내면의 자아가 겪는 감정의 변화를 표상하고자 했다. 동물들을 친숙히 하며 자연스레 교감하고 관찰하게 되면서 시작된 본인의 작업은 동물의 모습이 마치 인간인 본인 또는 타인의 모습과도 같다는 생각을 모티브로 하였다. 사회 혹은 타자와의 사이에서 겪는 자아 정체성의 혼란과 나 자신의 주체로 살아가고 싶다는 갈망이자 ‘나는 누구인가’라는 끝없는 질문을 동물 이미지를 빌어 본인의 감정과 관점을 우의적으로 형상화하는 것에 의의를 두었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사의(寫意)적으로 표현된 내면을 이해하고 작품에 나타나는 자아의 상징성을 분석하는데 초점을 맞추었다. 작업 소재인 동물은 사회에 속한 현대인 혹은 본인의 이중성을 표현하고자 주된 이미지로 이용하였으며 의인화하는 과정을 통해 인간사의 다양한 관계와 인간의 이면을 은유적으로 전달하고자 하였다. 결과적으로 동물 의인화는 겉으로 보여지는 모습부터 내면까지 주관적인 시점에서 감정을 이입시킨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논문은 본인 작품을 통해 보는 이로 하여금 자기 자신의 정체성과 내면을 사유해 볼 수 있도록 의도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론적 배경과 개념을 정립하고 인간과 동물을 해학적으로 풀어내어 작품에 도입한 미술가로 마르크 샤갈과 그랑빌을 비롯해 해리 위티어, 다니엘 리의 작품을 함께 연구하여 구체적으로 본인 작품 제작의 초석이 될 수 있도록 했다. 궁극적으로 오늘날 사회 속에서 종잡을 수 없는 인간의 미묘한 관계와 개인이 가지고 있는 이면의 모습을 포착하고자 한 본인은 이를 평면회화로 형상화함으로써 앞으로의 작업을 통해 삶에 대해 깊이 성찰하고 자아의 새로운 발견과 의식의 깨달음을 얻고자 한다.

      • 요양병원 간호사의 대인관계능력, 극복력, 직무만족이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은송 창신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Korea has become an aged society with the rapidly growing elderly population and Long-term care hospitals have sharply increased. As a result, it is very important to manage the quality at long-term care hospitals and nursing work performance has been very important. This descriptive study aimed to investigate interpersonal relations, psychological resilience, job satisfaction and nursing work performance of nurs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their relationship and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factors on nursing work performance. to improve the quality at long-term care hospitals. The study subjects were nurses that have been working for more than 6 months at 17 long-term care hospitals in Gyeongsangnam-do. The survey has been conducted from December 10, 2018 to February 15, 2019. The tool of interpersonal relations used is Relationship Change Scale (RCS) developed by Guerney (1977), translated by Mun, Sun-Mo (1980) and revised by Jang, Hye-Suk (2008). The instrument of Psychological Resilience was made by Park, Mi Mi and Park Jee-Won. Job satisfaction tool was developed by Slavitt, Stamps, Piedmont and Hasse (1978), translated and factor-analyzed by Park, Sung-Ae, Yun, Soon-Nyoung (1992) and modified by An, Eun-Mi (2012). The tool of nursing work performance was created by Go, Yu-kyung, Lee Tae-wha & Im Ji-young (2007).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Schéffe's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the SPSS/WIN 23.0 Program.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earch subjects were 95.5% female and 4.5% male. The average age was 41.46±10.42 year-old and ‘40∼49’ was the biggest group at 30.4%. The majority of them were the married at 79.9%, most declared their religion was ‘nothing’ at 46,9%. The biggest share of the subjects had ‘3year-professional college graduate as their final education level at 60.3%. 74.6% of the subjects’ position of work was ‘General nurse’, and 42.9% of them had ‘1 shift’ for their type of working shift at 42.9%, 24.0% of them had a total clinical career of ‘more than 5years~10years or less’, 47.8% of them had a career in long-term care hospital for ‘3 years or less’, 53.6% of them had a salary of ‘2 million won or more~less than 2.5 million won’. 2. The average score of interpersonal relations of the subject was 3.56±0.39 point. in sub-dimension, Intimacy was the highest(3.69) and Openness was the lowest(3.40). The average score of Psychological Resilience of the subject was 3.69±0.47 point. In sub-dimension, Situational pattern(3.77) was the highest and dispositional pattern(3.57) was the lowest. The average score of Job satisfaction of the subject was 3.15±0.38 point. In sub-dimension, Interaction factor was the highest(3.66) and Pay factor was the lowest(2.66). The average score of nursing work performance of the subject was 3.73±0.41 point. In sub-dimension, Competency was the highest(3.81) and Application of nursing process was the lowest. 3. The interpersonal relations of the subject according to said individual’s general characteristic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final education(F=6.61, p<.001), the type of work (F=4.04, p=.008), number of beds(F=3.39, p=.035), the Psychological resilience of the subject with individual’s general characteristic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age(F=6.65, p<.001), marital status(t=3.21, p=.002), religion(F=4.51, p=.002), final education(F=7.11, p<.001), the type at workplace(F=7.23, p<.001), total clinical career(F=2.97, p=.020), number of beds(F=6.93 p=.001). the job satisfaction of the subject with individual’s general characteristics had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with final education(F=5.08, p=.002), the type of work at workplace(F=2.77, p=.042), total clinical career(F=2.95, p=.021). the nursing work performance of the subject with individual’s general characteristic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gender(t=-2.45, p<.015), age(F=10.65, p<.001), marital status(t=4.12, p<.001), final education(F=6.76, p<.001), the position at workplace(F=5.46, p=.001), type of work at (F=6.85, p<.001), total clinical career(F=9.00, p<.001), career in long-term care hospital (F=3.80, p<.024). 4.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analysis, interpersonal relation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Psychological Resilience(r=.67, p<.001), job satisfaction(r=.34, p<.001) and nursing work performace(r=.53, p<.001). Psychological Resilienc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r=.42, p<.001) and nursing work performace(r=.66, p<.001). Job satisfac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nursing work performace(r=.47, p<.001). 5. The result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nursing work performance, the regression mode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sychological resilience(β=.42, p<.001), job satisfaction(β=.21, p<.001), interpersonal relations(β=.17, p=.008) were influencing on the nursing work performance, and the explanatory power(F=23.17, p<.001) among these variables was 54.6% .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Nursing work performance of nurs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is affected by Psychological Resilience, Job satisfaction, interpersonal relations. In order to enhance nursing work performance of nurses in long-term hospital, it is important to improve their ability to overcome clinical stress situations, increase job satisfaction, and enhance interpersonal skills among various members. In addition, systematic and policy support such as relevant programs and work environment to enhance nursing work performance of the nurses in long-term care hospitals should be provided. 요양병원 간호사의 대인관계능력, 극복력, 직무만족, 간호업무성과에 대한 관련성을 확인하고, 간호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함으로써 요양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의 질 향상을 위한 방안을 수립하고자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대상자는 경상남도에 소재한 17곳의 요양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 중 해당 경력 6개월 이상의 간호사로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자의적으로 연구 참여에 동의한 간호사 총 22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8년 12월 10일부터 2019년 2월 15일까지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인관계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Guerney (1977)가 개발한 대인관계 변화척도(Relationship Change Scale, RCS)를 문선모(1980)가 번역한 것을 장혜숙(2008)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극복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박미미와 박지원(2016)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직무만족을 측정하기 위해 Slavitt, Stamps, Piedmont와 Hasse (1978)가 개발하고 박성애와 윤순녕(1992)이 요인분석한 것을 안은미(2012)가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간호업무성과를 측정하기 위해 고유경, 이태화, 임지영(2007)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3.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Scheffe’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의 제 특성은 ‘여성’ 95.5%(214명), ‘남성’ 4.5%(10명)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41.46±10.42세이며, ‘40세∼49세’가 30.4%(68명)로 가장 많았다. 결혼 상태는 ‘기혼’ 79.9%(179명)였고, 종교는 ‘없음’이 46.9%(105명)로 가장 많았으며, 학력은 ‘3년제 간호대학 졸업’이 60.2%(135명)로 가장 많았다. 직위는 ‘일반간호사’ 74.5%(167명), 근무형태는 ‘고정근무’ 42.9%(96명), 총 근무경력은 ‘5년 초과∼10년 이하’ 24.0%(54명), 요양병원 경력은 ‘3년 이하’ 47.8%(107명)로 가장 많았으며, 월급은 ‘200만원 초과∼250만원 이하’가 53.5%(120명)로 가장 많았다. 2. 연구대상자의 대인관계능력 평균은 3.56±0.39점이었고, 하위영역 중 친근감(3.69점)이 가장 높았으며, 개방성(3.40점)이 가장 낮았다. 연구대상자의 극복력 평균은 3.69±0.47점이었고, 하위영역 중 상황적 패턴(3.77점)이 가장 높았으며, 기질적 패턴(3.57점)이 가장 낮았다. 연구대상자의 직무만족 평균은 3.15±0.38점이었고, 하위영역 중 상호작용(3.66점)이 가장 높았고, 보수(2.66점)가 가장 낮았다. 연구대상자의 간호업무성과 평균은 3.73±0.41점이었고, 하위영역 중 업무수행능력(3.81점)이 가장 높았으며, 간호과정적용(3.60점)이 가장 낮았다. 3. 연구대상자의 제 특성에 따른 대인관계능력은 최종학력(F=6.61, p<.001), 근무형태(F=4.04, p=.008), 병상 수(F=3.39, p=.035)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연구대상자의 제 특성에 따른 극복력은 연령(F=6.65, p<.001), 결혼 상태(t=3.21, p=.002), 종교(F=4.51, p=.002), 최종학력(F=7.11, p<.001), 근무형태(F=7.23, p<.001), 총 근무경력(F=2.97, p=.020), 병상 수(F=6.93 p=.001)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연구대상자의 제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은 최종학력(F=5.08, p=.002), 근무형태(F=2.77, p=.042), 총 근무경력(F=2.95, p=.021)에 차이가 있었고, 연구대상자의 제 특성에 따른 간호업무성과는 성별(t=-2.45, p<.015), 연령(F=10.65, p<.001), 결혼 상태(t=4.12, p<.001), 최종학력(F=6.76, p<.001), 직위(F=5.46, p=.001), 근무형태(F=6.85, p<.001), 총 근무경력(F=9.00, p<.001), 요양병원 경력(F=3.80, p<.024)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연구대상자의 대인관계능력, 극복력, 직무만족, 간호업무성과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대인관계능력은 극복력(r=.67, p<.001), 직무만족(r=.34, p<.001) 및 간호업무성과(r=.53, p<.001)와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극복력은 직무만족(r=.42, p<.001) 및 간호업무성과(r=.66, p<.001)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고, 직무만족은 간호업무성과와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r=.47, p<.001). 5. 연구대상자의 간호업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한 결과, 극복력(β=.42, p<.001), 직무만족(β=.21, p<.001), 대인관계능력(β=.17, p=.008) 순으로 산출되었다. 간호업무성과 회귀분석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F=23.17, p<.001), 간호업무성과의 설명력은 54.6%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요양병원 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요양병원 간호사의 간호업무성과를 증진하기 위해서는 임상에서 직면하는 다양한 스트레스 상황에서의 극복력을 향상시키고, 보수와 근무환경 등의 직무만족을 증가시키며 여러 병원구성원 간의 대인관계능력을 높이는 것이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요양병원 간호사들의 간호업무성과를 증진시키기 위한 관련 프로그램 및 근무환경 및 평가시스템 등 조직적·정책적인 뒷받침도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 한국어 미래 시간 부사어 교육 방안 연구

        김은송 아주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meaning discrimination by dividing "soon," "shortly," "later," "after," “a little later”, “hereafter” and "in the near future" among the future time adverbials in modern Korean into event-time adverbials and reference-time adverbials, and to suggest future time adverbials in Korean education based on analysis results and corpus. To this end, future time adverbials were subdivided ba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day-to-day constraints, binding relationships, pragmatic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in registers, and were based on actual use cases of corpus. Chapter 2 examines the basic discussion of future time adverbials. First, the semantic characteristics of future time adverbials were largely classified into event-time adverbials "soon", "shortly", "a little later", and "in the near future", reference-time adverbials "later", "after", and "hereafter", and then the time adverbials were considered through detailed criteria were considered. In particular, the criteria for 'the presence or absence of identity day-to-day' are not commonly used discriminatory properties when discussing the semantic characteristics of adverbials, but in the case of future adverbials, it was analyzed based on [+day-to-day] and [-day-to-day]. In addition, differences in combination relationships and differences in pragmatic characteristics, which are important factors that determine the success or failure of communication, were all included in the category. Chapters 3 and 4 were prepared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criteria of future time adverbials according to this standard. In Chapter 3, future time adverbials were divided into event-time adverbials of the reference-time adverbials. Based on "soon" which is the most frequently appeared adverb among time adverbials at the time of the incident, each characteristic and constraint were examined, investigated and mother-to-mother combination, sentence-ending constraints, overlapping use, and pragmatic characteristics. In the case of reference-time adverbials , 'later-after-hereafter' was analyzed as the same discriminatory characteristics. In addition, a picture was presented so that learners could grasp the meaning at a glance by collecting and schematizing future time adverbials. In the case of event-time adverbials "shortly," "soon," and "a little later," which have properties of [day-to-day], have the narrowest gap between the utterance-time and the evnt-time of future, and "soon" and "a little later" are listed in order. It should be noted that "soon" can be done on and after the day of the event, and if the event is the day of the event, the time interval is narrower than "a little later". Future time adverbials after the day are "a little later," "Soon," "in the near future," and "later," of which "in the near future" is only possible after the day of the incident.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later', 'after', and 'herelater', which are the reference-time adverbials, all have common attributes presented after the standard time, so they are schematized based on the combined relationship. For example, "hereafter" is combined with specific time expressions such as "after 9 o'clock" and "after 10 o'clock," and "later" is schematized based on the fact that it can be used only with adverbials such as "the head of the household", "first", and "really". In Chapter 4, based on the discrimination characteristics presented in Chapter 3, the educational plan for future time adverbial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discussed. First, the matters to be presented in education were divided into semantic characteristics, syntactic characteristics, and pragmatic characteristics, and then a five-step teaching-learning guidance plan was prepared to present the composition of the actual class. Through these discussions, this study discussed the meaning discrimination of each future time adverb based on its discriminatory characteristics, targeting future time adverb words that were rarely discuss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based on this, it is meaningful. However, only some of the future adverbials were selected and analyzed, and there is a lack of detailed analysis of individual adverbials. In addition, it is regrettable that the future time adverb's class could not be presented in the form of a specific teaching plan.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more diverse verification methods and analysis studies will continue on future time adverbials, and future time adverbials research for Korean teachers and learners will continue. 본 연구는 현대 한국어의 미래 시간 부사어 중 ‘곧’, ‘금방’, ‘나중에’, ‘다음에’, ‘이따가’, ‘이후에’, ‘조만간’을 사건시 시간 부사어와 기준시 시간 부사어로 나누어 의미 변별 특성을 살펴보고, 분석 결과와 코퍼스 분석을 바탕으로 한국어 교육에서의 미래 시간 부사어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미래 시간 부사어를 당일성 제약의 유무와 결합 관계, 화용적 특성, 사용역(register)의 차이를 기준으로 삼아 세분화하였고, 코퍼스의 실제 용례를 기반으로 하였다. 2장에서는 미래 시간 부사어의 기본적 논의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미래 시간 부사어의 의미적 특성을 크게 사건시 시간 부사어 ‘곧’, ‘금방’, ‘이따가’, ‘조만간’과, 기준시 시간 부사어 ‘나중에’, ‘다음에’, ‘이후에’로 분류하여 시간 부사어를 각 범주에 포함하였으며, 이후 세부적 기준을 통해 기준시 시간 부사어와 사건시 시간 부사어를 고찰하였다. 특히, ‘당일성 제약의 유무’ 기준은 부사어의 의미적 특성을 논할 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변별 속성은 아니나 미래 시간 부사어의 경우 [당일성]이 변별 특성 중 하나로 작용할 수 있음을 통해 [+당일성]과 [-당일성]으로 기준을 두어 분석하였다. 이와 더해 결합 관계의 차이와 의사소통의 성패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인 화용적 특성의 차이까지 범주에 모두 포함시켰다. 이 기준에 따른 미래 시간 부사어의 분류 기준에 따라 3장, 4장이 마련되었다. 3장에서는 미래 시간 부사어를 사건시 시간 부사어와 기준시 시간 부사어로 나누어 논의하였다. 사건시 시간 부사어 중 가장 출현 빈도가 높은 ‘곧’을 기준으로 ‘곧-이따가’, ‘이따가-나중에’, ‘곧-금방’, ‘곧-조만간’을 발화시, 조사·어미 결합, 문장 종결적 제약, 동사·명사·부사와의 결합 관계, 중복 사용, 화용적 특성을 중심으로 각각의 특성과 제약을 살펴보았다. 기준시 시간 부사어의 경우 ‘나중에-다음에-이후에’를 동일한 변별적 특성으로 분석하였다. 이에 더해 미래 시간 부사어를 모아 도식화하여 학습자들이 한눈에 의미를 파악할 수 있도록 그림을 제시하였다. 사건시 시간 부사어의 경우 [당일성] 속성을 지닌 ‘금방’, ‘곧’, ‘나중에’중 ‘금방’이 발화시와 미래 사건시 사이의 간격이 가장 좁으며, 차례대로 ‘곧’과 ‘이따가’가 나열된다. 특기할 점은 ‘곧’은 사건시가 발화시 당일과 당일 이후 모두 가능하며 사건시가 발화시의 당일일 경우 시간 간격은 ‘이따가’ 보다 좁다는 것이다. 당일 이후 미래 시간 부사어는 ‘이따가’, ‘곧’, ‘조만간’, ‘나중에’ 이며, 이중 ‘조만간’은 발화시가 사건시 당일 이후만 가능하다. 한편 기준시 시간 부사어인 ‘다음에’, ‘이후에’, ‘나중에’의 경우 모두 사건시가 기준시 이후에 제시되는 공통 속성이 있어 결합 관계를 바탕으로 도식화하였다. 가령 ‘이후에’의 경우 ‘9시 이후에’, ‘10시 이후에’ 등의 구체적인 시간 표현과 결합하며, ‘나중에’의 경우 유일하게 ‘가장’, ‘제일’, ‘정말’ 등의 정도 부사와 공기하여 사용될 수 있다는 점을 바탕으로 도식화하여 나타내었다. 4장에서는 3장에서 제시한 변별 특성을 바탕으로 한국어 교육에서 미래 시간 부사어의 교육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먼저 교육에 제시되어야 할 사항들을 의미적 특성, 결합 관계, 화용적 특성으로 나누어 정리한 후, 5단계 교수-학습지도안을 작성하여, 실제 수업의 구성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통하여 본 연구는 기존의 한국어 교육에서 논의의 대상이 거의 되지 않았던 미래 시간 부사어를 대상으로 삼아 변별적 특성을 기준으로 각 미래 시간 부사어의 의미 변별을 논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교육에서 학습자에게 제시할 방법에 관해 서술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그러나 미래 시간 부사어 중 일부만 선정하여 분석하였고, 개별 부사어의 세부적인 분석에 대해서는 부족함이 있다. 또한, 미래 시간 부사어의 수업을 구체적인 교안의 형식으로 제시하지 못하고 예시의 형식으로만 제시한 점이 아쉽다. 따라서 앞으로 미래 시간 부사어에 대해 더욱 다양한 검증 방법과 분석 연구가 지속되어 한국어 교사와 학습자들을 위한 미래 시간 부사어 연구가 지속해서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채만식의 해방기 작품에 나타나는 경계인적 특성 연구

        김은송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dissertation researches how Chae Man-sik characterises his in-between figures in his novels which are written in the Liberation Period in Korea. Moreover, this work investigates several possibilities how these figures resist and overcome in the novels. Normally, many research works focus on his 1930’s works, otherwise his works in the Liberation Period are not sufficiently researched yet. Although there are some researches for his works in the Liberation Period, but still it is mainly focused on his attitudes which are related on his confession and reflection about his fault. To complement his meaning in the Korean novel history, this study shows new points of his novel using the idea of the homosaker and the concept of boundary people. Especially, in the Chapter 2, this work deals with three his works, [Yeok-Ro], [So Nyeon Eun- Ja Ran Da] and [Do-Ya-Ji], to show how Chae Man-sik describes the social expulsion of older generations and the maturity of future generations by social circumstances in 1940’s of Korea. It can be partially presumed that the discrimination of the author is revealed on his description in his works, which shows the all of the older generations cannot be reached on their utopian future (symbolised by a certain region). There are several interesting features are appeared on Chae Man-sik’s works in the Liberation Period, the one is the elimination of the right to speak of the in-between people and the second is the impossibility of the boundary people who wants to participate in their future. The third feature on his novels in the Liberation Period is the suggestion of the possibility beyond boundary which represents by a young person figure on his novels. These young figures are grown up and recovered his own identity with the evident plan for the labour and the future during the harsh situation. Particularly, it can be found on his work that the social captivity of younger generation which is oppressed by older generation. There is one of the exemplified character, Tae-Seok who is a main character on the one of Chae Man-sik’s work [Do-Ya-Ji]. This novel draws the conflicts between each generations. It might be supposed by the novel that these works on the period are apparently distinctive, comparing with the other works of Chae Man-Sik. That is why he used to illustrate these kinds conflicts by the younger figure on the novel who shows some specific feautres like in-between people who is eliminated own rights to speak. Also, it can be realised that Chae Man-Sik believes that the conflicts are proceeding to more productive and progressive way, because the conflicts are based on the critics of older generations. In the Chapter 4, this study analyses two homo sacer figures in his novel, [Nak-Jo]. The first figure is the Subaltern. The existence of the Subaltern can be the main subjective event which exchanges the position of the power and subverts the imperial power when the Japanese imperialism is collapsed, because the Subaltern has been persecuted, not participated in the imperialism. The latter figure is which already has a guilty of the pro-imperialism, so the figure cannot rescue their own identity and rights. Nevertheless, the latter can also get a chance to recover their own indentity and rights by critics, who is described as “Chun-Ja” and “bright grandmother” in his expanded version of [History] series. They operates as Chora space by themselves and reveals as the character to make new norms, resistingly previous patriarchal criterion. As a result, this research tries to reveal Chae Man-sik's reflection was not a passive form, but the active practice of excluding himself from the mainstream and looking at future generations. His silence does not mean simply that he wants to connivance of what he has done, but he wants to remove his right to speak and to reflect his expectations for the future generations. For this point of view about Chae Man-Sik, this study will be one of the demonstrations to research more about his acivitism idea. 본 논문에서는 채만식의 해방기 작품에 나타나는 경계인의 특징을 규정하고 그를 극복하는 가능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채만식의 작품은 주로 1930년대를 위주로 연구되어 왔고, 해방기 작품에 대한 관심은 비교적 적은 편이었다. 또한 기존 연구가 고백과 반성이라는 작가의 태도를 중점으로 다루었던바, 이러한 지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경계인, 혹은 호모 사케르라는 개념을 차용하여 작품에서 새로운 의미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제2장에서는 「역로」와 「소년은 자란다」, 「도야지」 세 작품을 중심으로 기성세대의 도태와 미래세대를 중심으로 성장하는 모습을 다루었다. 작품에 등장하는 기성세대들이 모두 자신이 지향한 미래(특정 지역으로 상징되는)에 당도하지 못한다는 작가의 서술은 그 자신의 고립을 반영한 것이라 추측할 수 있었다. 발언권을 삭제 당하고 미래에 참여하지 못하는 것은 채만식의 해방기 작품 전반에 나타나는 경계인의 특성이다. 또한 고난을 통해 성장하고 노동과 미래에 대한 명확한 계획을 통해 당사자성을 회복하는 소년의 모습은 경계의 극복가능성을 예고하는 것이기도ㅗ 하다. 세대 간의 갈등을 다룬 작품인 「도야지」를 통해 기성세대의 영향권 아래에 있는 신세대의 부자유스러움을 살폈다. 그가 미래세대임에도 불구하고 발언권을 박탈당한 경계인의 특징을 보이는 것은 채만식의 다른 작품에서 세대 간의 결별을 등장시킨 이유이기도 하다. 또한 태석을 제외한 미래세대들이 기득권에 대해 비판을 가하는 모습은 세대 간의 갈등이 보다 생산적인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제4장에서는 「낙조」에 나타나는 호모 사케르의 유형을 두 가지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먼저는 서발턴의 존재인데, 이들은 착취와 발언권에 대한 박탈 등의 박해를 당하지만 친일의 죄과가 없기 때문에 이후 제국주의 권력이 붕괴될 때 주권자와 자리바꿈을 실현하며 그 권력을 전복시키는 주체가 된다. 후자는 친일의 죄과가 있는 화자로서 그 전적으로 인해 당사자성을 회복할 기회를 얻지 못한다. 하지만 그에 대한 비판자를 통해 회복의 가능성을 엿볼 수 있는데, 이는 ‘춘자’라는 인물과 그가 확대된 형태인 「역사」 연작의 ‘총기 좋은 할머니’를 통해서다. 이들은 스스로 코라 공간으로 작용하며 이전의 가부장적 규범을 위반하고 새로운 규범을 산출하는 역할로 등장한다. 이상의 논의를 통하여 채만식의 반성은 소극적인 형태가 아니라 스스로를 주류로부터 배제시키고 이후의 세대를 조망하는 적극적인 행위에 의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그의 침묵이 단순하게 죄과에 대해 묵인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발언권을 삭제하고 미래에 대한 기대를 보다 온전히 반영하기 위한 수단인 것이다.

      • 단회성 후두하근 침 처치가 햄스트링 유연성 및 고유수용감각에 미치는 효과

        김은송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후두하근에 대한 단회성 침 처치가 즉각적으로 햄스트링 근육의 유연성 및 고유수용감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시행하였다. 주 2회 이상 운동을 하는 42명의 성인 남성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침 처치 집단(acupuncture; n=14), 거짓침 처치 집단(sham acupuncture; n=14), 자가근막이완 집단(self-myofascial release; n=14)으로 무작위 배정하였다. 중재 직전과 직후에 햄스트링 유연성 검사, 경추 고유수용감각 검사(Joint position error test), 하지 고유수용감각 검사(Tandem romberg test)의 3가지를 측정하였으며 반복측정에 의한 이원분산분석(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을 실시하여 효과를 검증하였다. 사후 값에 대한 집단 간 차이는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sample t-test)를, 각 집단 내의 시기 간 차이는 대응표본 t-검정(Paired t-test)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때 모든 통계적 유의수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중재 방법에 따른 햄스트링 유연성의 변화를 확인한 결과 좌측, 우측 모두 측정 시기, 시기 x 집단 간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으며, 사후 검증 결과 침 처치 집단과(좌측, p=.001; 우측, p<.001), 자가근막이완 집단(좌측, p=.038; 우측, p=.004)에서 실험 전·후 양측 햄스트링 유연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2. 중재 방법에 따른 경추 고유수용감각의 변화를 확인한 결과 침 처치 후 경추의 오른쪽 고유수용감각 오차가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20), 거짓침 처치 후 경추의 왼쪽 고유수용감각 오차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4). 3. 중재 방법에 따른 하지 고유수용감각의 변화를 확인한 결과 측정 시기, 집단 × 시기,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단회성 침 처치는 즉각적인 햄스트링 유연성 증가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존의 치료법인 자가근막이완법과 유사한 수준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를 통해서 침 처치 시 근막이라는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할 수 있으며, 햄스트링에 직접 중재를 적용하기 어려운 경우 적용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 옵션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mmediate effect of one bout acupunture to suboccipital muscle on the hamstring flexibility and proprioception. Forty-two adult men who exercise at least twice a week were randomized to the acupuncture group (n=14), the sham acupuncture group (n=14), and the self-myofascial release group (n=14). Hamstring flexibility test, cervical joint position error test, and lower extremity proprioception test (Tandem romberg test) were measured immediately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Two-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was performed to verify the effect. Differences between groups were analyzed using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differences between time periods within each group were analyzed using the paired t-test. All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s were set to p<.05. The results and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change in hamstring flexibility according to the intervention method had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the time and time x groups for both left and right sides. As a result of the post analysis, bilateral hamstring flexibilit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cupuncture group (left, p=.001; right, p<.001) and in the self-myofascial release group (left, p=.038; right, p=.004). 2. The change in cervical proprioception according to the intervention method were shown The right cervical proprioception error after acupuncture was significantly reduced (p=.020), and the left cervical proprioception error after sham acupuncture was significantly reduced (p=.004). 3.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ime, time x groups, and the groups in the change of lower extremities proprioception according to the intervention method. Based on the above study results, acupuncture treatment was shown to be effective in increasing hamstring flexibility immediately, and it is thought to have a similar level of effect with self-myofascial release. Through this, a new approach applying the concept of fascia in acupuncture treatment can be suggested. Also, it will be possible to suggest a new treatment option that can be applied when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intervention directly to the hamstring.

      • 초등교원 양성 대학의 피아노 교육과정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조사 연구

        김은송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All elementary schools are operated through a classroom (homeroom) teacher system based on the principles of integration of subjects. Therefore, elementary school teachers must be able to teach all subjects proficiently and professionally regardless of their specialties or majors. Furthermore, universities are providing more specialized train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order to cultivate teachers with such abilities. The current music education curriculum emphasizes music education focused on practical aspects. Due to versatile use and high utilization, piano is the most widely used instrument for accompaniment or support in the classroom. Accordingly, universities which train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sist that students should focus much of their time in taking piano classes; however, the number of teachers who actually use the piano in the elementary school classroom to conduct a music class is very few. There are two reasons. First, as computer-based multimedia education materials became more readily available, piano disappeared from classrooms. Second, teachers either cannot or have no confidence in playing the piano. This is because they cannot have all piano ability required by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 through the piano curriculum in the universities. Based on this fact, this research analyzes the cases of education deman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garding the piano curriculum in universities for train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is research has been designed to provide guidance for developing piano education of preliminary teachers. In order to study the conditions of piano classes in universities for train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five of thirteen universities that train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selected through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he data for the demands for education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was collected through a survey as well as face-to-face interviews with 100 music teachers that had over one year of experienc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showed that, at universities of education, piano classes was required for all preliminary teachers. It is designed the curriculum so that it was included as a general education course, major course, and intensive course. In addition, the universities also educated preliminary teachers to have basic knowledge and competence regarding piano and accompaniment proficiency by using small piano pieces, and well-known songs. However, when teachers are required teach music in elementary schools, they need the ability to provide accompaniment to a repertoire in textbooks, and the ability for accurate and quick first reading and skills of score reading, as well as the ability for transposition. Such abilities were difficult to acquire through the contents of the courses offered at universities. Despite the reality,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ve a high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piano education for preliminary teachers, and they were positive about the necessity of piano education for preliminary teachers.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teach music in the field wanted to make the curriculum of universities more practical and useful. Based on this research, it can be concluded that integrating the needs of university classes and the demands by current teachers will lead to a better direction for piano education of preliminary teachers. By doing so, music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will develop more effectively. 초등교육은 교과 간 통합의 원리를 바탕으로 하여, 모든 학교가 학급 담임제를 채택하여 운영하고 있다. 따라서 초등교사는 본인의 전공과 무관하게 모든 과목을 능숙하고 전문성 있게 가르칠 수 있어야 하며, 초등교사 양성대학에서는 이러한 교사를 양성하기 위하여 다양한 교육과정을 통해 초등교사를 전문적으로 양성하고 있다. 현행 음악과 교육과정에서는 실음 중심의 음악교육을 강조하고 있고, 피아노는 반주악기 및 수업 보조악기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쓰임새가 다양하여 음악 수업 활용도가 높다. 이에 따라 초등교사 양성대학에서는 학생들에게 많은 시간을 할애하여 피아노 수업을 수강하게 하고 있으나, 초등학교 현장에서는 실제로 피아노를 직접 사용하여 음악 수업을 하는 교사의 수가 매우 적다. 거기에는 크게 두 가지의 이유가 있다. 첫째로는 컴퓨터 기반의 멀티미디어 교육 자료가 보급되기 시작되었고 이에 따라 학교 현장에 피아노가 사라지고 있기 때문이며, 둘째로는 교사들이 피아노 연주를 할 수 없거나 연주에 자신감이 없기 때문인데 이는 대학에서 운영되고 있는 피아노 교육과정을 통해서 초등학교 현장에서 교사들이 필요로 하는 피아노 연주 능력을 모두 갖추기 어렵다는 점에서 기인한다. 이러한 현상을 바탕으로 하여, 본 연구는 초등교사 양성대학의 피아노 교육과정에 대한 현직 초등교사의 교육요구 사례를 분석하고 예비교사 피아노 교육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설계되었다. 초등교사 양성 대학의 피아노 실기 수업 실태 조사를 위하여 전국의 13개 초등교사 양성 대학 중 5개 학교를 편의 표집하였으며, 현직 초등교사의 교육요구 사례를 알아보기 위하여 음악교과 지도 경력이 1년 이상인 현직 교사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 및 대면 인터뷰를 하였다. 그 결과, 초등교사 양성 대학에서는 교양과정ㆍ전공과정ㆍ심화과정으로 교육과정을 구성하여 모든 예비교사에게 피아노 실기 교육을 시키고 있으며 피아노 연주곡이나 간단한 소품, 널리 알려진 동요 등을 활용하여 피아노 실기와 반주법에 관한 기초적인 소양을 갖추도록 교육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초등학교 현장에서 음악 교과를 지도할 때는 교과서 제재곡 반주법, 즉흥 연주, 정확하고 빠른 독보 능력, 간단한 조옮김 능력 등이 필요하며 이러한 능력은 대학교에서 제공한 실기 수업의 내용으로부터 쉽게 전이되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직 초등교사들은 예비교사의 피아노 실기 교육의 중요성을 매우 높게 인식하고 있으며, 예비교사 피아노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현장에서 음악을 가르치고 있는 초등교사들은 초등교사 양성 대학의 교육과정이 보다 실질적이고 활용성 있는 내용으로 구성되기를 원하였으나, 한편으로는 피아노 실기 능력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갖추는 데에는 상당한 노력과 시간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간과하고 있다는 사실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요구사례들을 통하여 더 나은 예비교사 피아노 교육에 대한 방향이 설정될 것과, 음악을 대하는 교사들의 태도와 인식이 개선되어 초등학교 음악교육이 더욱 효과적인 방향으로 발전될 것을 기대한다.

      • 한국과 중국의 창작 비파협주곡 분석과 비교연구 : 정동희 작곡 비파협주곡 『연어』와 오조강(吴祖强),왕비초(王燕樵),류덕해(刘德海)작곡 비파협주곡 『초원소자매(草原小姐妹)』를 중심으로

        김은송 한국예술종합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비파(琵琶)는 우리나라에서 삼국시대부터 대한제국까지 여러 방면에서 중요한 악기로 쓰여 왔으며 최근에는 개량향비파에 대한 다양한 시도와 연주자들의 기량확대, 중국 현대비파의 연주법을 개량향비파에 적용시키는 점으로 인해 비파에 대한 재조명이 이루어지며 음악적 가치가 다시 살아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의 개량향비파와 중국의 현대비파를 비교하고, 비파가 쓰이는 다양한 방식에 대해 고찰하였다. 또한 독창적인 음악어법을 제시한 작품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는 한국의 정동희 작곡 비파 협주곡 『연어』와 중국의 오조강, 왕비초, 류덕해작곡 『초원소자매』를 작곡기법과 음악형식 및 연주법의 관점에서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향비파는 독특한 체계를 갖춘 우리 악기로써 80년대 복원했던 괘의 배열에서 사이사이의 괘들을 보강한 개량향비파로 발전되었고 중국도 본래의 비파에 현을 개량하고 오른손의 연주법이 발달되면서 현대비파로 거듭나게 되었다. 둘째, 정동희 작곡 비파 협주곡『연어』는 안도현의 시 『연어』를 악곡에 담아낸 작품으로 하나의 주제선율로 확장, 리듬, 선율등을 변형과 모방을 시켜 전곡을 이끌어 갔으며 중국 현대 비파 연주법을 적용 하여 개량 향비파로 연주되었다. 셋째, 오조강, 왕비초, 류덕해 작곡 『초원소자매』는 몽골인 롱매와 옥영의 실제 이야기를 담아낸 작품으로 소나타 형식에 의거하여 작곡되었다. 넷째, 비파의 다양한 연주기법으로써 음색적 확장의 가능성을 알 수 있었다. 중국의 현대 비파 연주법을 한국어로 번역하였으며 한국의 개량 향비파에 적용시켜 다양한 연주 기법을 확장시켰다. 다섯째, 비파 협주곡 『연어』에서 2분박 3분박의 박자를 분절, 교합하여 여러 가지의 리듬을 재창조 할 수 있으며 2분박 3분박의 혼합박을 적극 활용하여 새로운 리듬의 창작과 발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중국의 현대 비파는 오랜 시간 동안 시간과 정성을 통해 개량되어졌으며 수많은 시행착오 끝에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민족악기로서 자리매김을 하고 있다. 우리의 개량 향비파는 단절의 아픔을 겪었고 개량의 한계성을 느낀 시기를 보내었지만 몇몇의 비파 연주자들에 의하여 다시금 회복하는 시기이다. 현재에는 사실상 우리 고유의 주법은 남아 있지 않기 때문에 중국의 연주법을 받아들여 우리 음악화 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또한 한국 전통 방식에 입각한 전통 주법을 발전시키는 것은 후학들에게 중요한 과제가 될 것이다. 그리고 축적된 현대비파 작곡기법들을 받아 드린다면 연주자의 기량을 발전시킬 수 있음은 물론 『연어』와 『초원소자매』의 분석과 비교를 통하여 도출해낸 결론이 창작 비파협주곡의 좋은 발판이 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새로운 방식을 향해 발전해 나가는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게 되길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