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韓國의 民畵와 그 現代的 適用에 관하여

        김용숙 東國大學校 敎育大學院 1997 국내석사

        RANK : 247631

        '國際化(국제화)'로 대변되는 현대의 문화상황에서 한국 정신문화의 傳統(전통)과 現代化 要求(현대화 요구)의 상호충돌은 피할 수 없는 시대적 추세이다. 한국의 현대미술은 열려진 국제감각에 의해 서구미술의 도입 속에서 내용뿐만이 아니라 표현방식 면에서도 多樣性(다양성)과 個別性(개별성)을 보여 이른바 탈 장르, 장르의 혼합현상, 재료사용의 개방성, 이를 통한 표현의 극대화현상이 분출되고 있다. 또, 90년대에 들어와서 80년대의 水墨(수묵)과 彩色(채색)의 작업 형태를 벗어나서 서구의 構造性(구조성)을 받아들이는 경향 - 사진 · 입체작업 · 설치 · 테크놀로지 등 재료와 소재에 구애를 받지 않는 자유분방한 실험의 다양한 현상들이 나타나고 있다. 이렇듯 다양한 현상의 중심 축에는 언제나 전통의 계승과 연관되어 거론된다. 전통이란 공통집단의 체험과 지식의 산물로써 역사를 통해 나타나는 고유한 형식으로 새로운 풍조에 의해 쉽게 말살될 수 없는 특수성을 갖고 있는 民族的 有産(민족적 유산)이기 때문이다. 예술은 그 시대의 사회적 · 문화적 상황을 가늠하게 하는 역할을 하고 있음을 생각할 때, 현대미술의 상황 속에서 우리의 예술의지와 세계관이 담긴 전통미술양식을 찾고 이를 현대화의 요구에 새롭게 계승시키고 발전시키는 일은 매우 바람직한 일이다. 그러므로 본 고에서는 우리 고유의 조형미의 원형을 찾으려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 전통의 현대적 수용을 위한 방향으로 민족적 정서가 담긴 民畵(민화)를 살펴봄으로써 그 시대의 사회적 여건 속에서 추출되는 민중의 美意識(미의식)을 파악하며, 민화의 미적, 전통적 가치의 설정과 함께 조형적 특성을 분석하여 민화의 올바른 미술사적 이해를 도우려 한다. 또한 민화와 한국 현대회화와의 비교 분석을 통하여 민화가 현대회화에 어떻게 수용되고 발전되었는지 알아보고, 이것을 기초로 하여 한국 현대회화의 발전가능성의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The so-called globalization in modern culture situation, the tradition of Korea's mental culture and modernization demand is yet to collide. Korea's modern art is an introduction of the occident art as an opened international sense, not only in the content but also in the way of expressing shows variety and individuality like those of category, the mixture phenomenon of category, the greatest phenomenon of expressing is gushing out due to this. Moreover in the coming of the nineties, out of the chinese talk and painting form in the eighties and aptitude of accepting the occidental structuralism. Photographs, three dimensional work, installation technology etc. It does not stick to the material or the subject and variety of state in an unrestrained experiment. Thus, in the center of a various phenomeon, inheritance of a tradition is always connected. A tradition is the experience of a community group and the result of a knowledge. It is a national heritage unique, unerasable by the new trend that comes out of the history in a peculiar form. When Art is thought about the situation of a society and culture in a certain period estimating its job. It is desirable taking over today's demand developing, finding a tradition art style filled with our artistic reliance and the worldview in a modern art situation Therefore in this writing we focus on getting back our native, original form of the formative art. Look at a folk painting filled with national mood for a traditional modernized acception, understanding the extract of people's thoughts on beauty in a society circumstances, the beauty of a folk painting, choosing a traditional value the unique shape help understanding the right artistic thoughts. Moreover from a comparison analysis between a folk painting and korean modern art painting find out how folk paintings were accepted and developed in modern paintings and this as a base present the development possibility of korean modern art.

      • 명감나무엽의 피부상재균주에 대한 항균효과와 보습효과에 관한 연구

        김용숙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31

        최근에 자연주의와 웰빙이 선호되면서 화장품에서도 천연원료를 이용한 천연화장품에 대한 연구와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예로부터 약용 또는 식용으로 사용되어온 명감나무는 해열, 해독, 염증완화 등의 효과가 알려져 있으나, 천연화장품의 소재와 관련된 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명감나무엽의 화장품 원료로서 사용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일반성분을 분석하였고, 안전성 평가를 위한 세포생존율 측정과 인체폐쇄첩포실험을 시행하였으며, 명감나무엽 에탄올추출물로 제조한 화장수에 UV를 조사하고 온도의 조건을 변화시켜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그리고 유효성으로 항균, 항산화, 미백, 보습효과를 검색하고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일반성분 분석에서 명감나무엽은 10.53%의 수분, 55.84%의 조섬유, 10.54%의 조단백, 4.89%의 조회분, 1.50%의 조지방을 함유하였다. 명감나무엽 에탄올추출물의 안전성 평가에서 멜라노마세포와 신장세포의 생존율은 고농도인 200㎕/㎖에서 각각 225.70 ± 0.21%, 102.60 ± 0.09%를 나타냈고, 5%로 제조한 화장수를 20대 여대생 30명에게 24시간 폐쇄첩포 후 수포발생(-), 홍반(-), 부종(-), 알러지(-) 등의 변화가 나타나지 않음으로써 화장품으로 피부에 사용 시 안전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안정성 평가에서는 5% 화장수를 제조하여 UV 조사와 -4℃, -20℃, 40℃에서 12 ~ 72시간 동안 방치하였을 때 이물질형성, 산패 등의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명도값(L*), 적색도값(a*), 황색도값(b*)의 변화가 약간 나타남으로써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차광용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유효성 평가에서 명감나무 에탄올추출물은 S. aureus, S. epidermidis 균주에서 양성대조물질인 GM보다 작은 크기의 clean zone을 생성하였고, P. acnes 균주에서는 150㎕/㎖에서 19㎜ 크기의 clean zone을 생성하여 양성대조물질인 CLM 30㎕/㎖에서 생성한 13.5㎜보다 크게 나타남으로써 여드름균주에 대한 항균활성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명감나무엽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150㎕/㎖를 P. acne에 처리했을 때 25㎜ 크기의 clean zone을 형성함으로써 30㎕/㎖의 CLM이 형성한 13.5㎜ 크기의 clean zone보다 크게 나타나 항균활성이 우수하였다. 미백효과 검색에서 명감나무엽 에탄올추출물을 70㎕/㎖ 처리 시 tyrosinase의 활성억제가 66.95 ± 0.33%로 양성대조물질인 kojic acid 5㎎/㎖보다 약간 약하고, DOPA 산화저해 효과는 70㎕/㎖ 농도에서 96.6 ± 0.48%로 kojic acid 5㎎/㎖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육안적 그리고 현미학적 관찰에서 멜라노마세포에 명감나무엽 에탄올추출물을 100㎕/㎖로 처리하였을 때 멜라닌 색소(pigment)의 생성이 무처리한 대조군(++) 보다 약(+)하게 나타남으로써 우수한 미백효과가 확인되었다. 명감나무엽 에탄올추출물의 DPPH와 SO 소거능은 75㎕/㎖에서 83.24 ± 0.01와 150㎕/㎖에서 70.6 ± 0.03로 양성대조물질인 0.1㎎/㎖ BHT 그리고 Vit C와 비슷하게 나타남으로써 우수한 항산화 활성이 관찰되었다. 보습력 평가에서는 실험 전보다 항온항습조건에서 6시간 방치 후 피부표면의 수분량은 무처리부위에서 10.48%, 3차 증류수처리부위에서 8.78%, 5% 명감나무엽 화장수처리부위에서 5.63%가 감소하였고, 경피수분손실량은 무처리부위에서 14.6%, 3차 증류수처리부위에서 10.1%, 5% 명감나무엽 화장수처리부위에서 5.59% 증가됨으로써 명감나무엽 화장수가 보습력이 우수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20대 여대생 30명을 대상으로 명감나무엽 화장수의 사용성에 대해서 설문조사하였을 때, ‘색상’은 3.93 ± 0.78, ‘향’은 3.53 ± 0.63, ‘퍼짐성’은 3.57 ± 0.68, ‘도포 후 느낌’은 4.00 ± 0.78, ‘흡수력’은 3.83 ± 0.75로 5가지 항목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되었다. 따라서 명감나무엽 에탄올추출물은 in vitro와 in vivo에서 안전성이 높고, 화장수는 빛에 대한 안정성 낮았으며, 유효성 검색에서 P. acnes에 대한 우수한 항균력, 미백효과와 항산화효과 및 보습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기에 명감나무엽 에탄올추출물은 천연의 다기능 화장품 소재로서 활용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사료된다. Many plants have enormous therapeutic and cosmetic potential as antimicrobial, antioxidative and whitening. Smilax china (S. china) is extensively used in traditional medicine as well as in Korea for several medicinal purposes including their use in detoxication, dermatitis, nephrititis, and anticonvalunts. so that, the aims of the current study were to validate and assess the safety, effectiveness, usability of S. china on cosmetical grounds using the ethanol extract in vitro and vivo levels. As a result, the general composite analysis was shown that S. china contains 55.84% crude fiber, 10.54% crude protein, 10.53% water, 4.89% crude ash, and 1.50% crude fat. S. china ethanol extract has shown the better cell viability of the melanoma cells and the elongated cells in higher concentration. Through the human body closed-patch test that 5% S. china ethanol extract was applied to 30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20s, it was observed that there was no change in skin such as bubble(-), erythema(-), edema(-), allergy(-) and so on. Therefore, it is safe to use on the human skin. In the safety test, when the tonic water made from 5% S. china ethanol extract was exposed to UV, and the changes in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were observed at -4℃, -20℃, and 40℃ for 12 ~ 72 hours both through microscopy and color-difference meter, there was no serious problem in safety as a tonic water as no foreign substances and acidification is found with some decreasing brightness(L*) and red color tone(a*) and increasing yellow color tone(b*). In the validity test, the antibiosis has been examined that 5% S. china ethanol extract formed smaller clean zone in S. aureus and S. epidermidis host than the positive control GM, which was very weak, while the clean zone in P. acne was 19mm in 150㎕/㎖ that is higher than 13.5㎜ in 30㎕/㎖ CLM, showing a very excellent antibiosis. Also the excellent antimicrobial activities has been verified as in concentration of 150㎕/㎖ ethylacetate fraction from S. china ethanol extract formed 25mm size clean zone in P. acne that was higher than 13.5 mm clean zone in 30㎕/㎖ CLM. In the whitening effect test, 70㎕/㎖ S. china ethanol extract suppressed 66.95 ± 0.33% viability in tyrosinase, which is little lower than the positive control, 5㎎/㎖ kojic acid, while the DOPA oxidation suppression effect was 96.6 ± 0.48% in 70㎕/㎖ concentration and higher synthesis suppression than 5㎎/㎖ kojic acid. Also in the physical and microscopic observation, as 100㎕/㎖ S. china ethanol extract was treated to the melanoma cell, the melanin pigment was less generated than the control group without treatment. Therefore, it has been verified to have an excellent whitening effect. The excellent antioxidative effect has been observed as DPPH and SO scavenging of S. china ethanol extract resulted in 83.24±0.01 at 75㎕/㎖ concentration and 70.6 ± 0.03 at 150㎕/㎖ concentration, which were similar to the positive controls of 0.1㎎/㎖ BHT and Vit C. The moisturizing effects have been examined that after 6 hours under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condition, the water amount on the skin surface decreased 10.48% in no treatment group, 8.78% in 3rd distilled water group, and 5.63% in 5% sponge gourd tonic water group, while the transepidermal water loss increased 14.6% in no treatment group, 10.1% in 3rd distilled water group, and 5.49% in 5% sponge gourd tonic water group. Therefore, the test has shown that 5% S. china ethanol extract has better moisturizing effect than in no treatment and the 3rd distilled water group. When the surveys were conducted on the usability of 5% S. china tonic water with 30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20s, the result was positive with 3.93 ± 0.78 in 'color', 3.53 ± 0.63 in 'fragrance', 3.57 ± 0.68 in 'spreadability', 4.00 ± 0.78 in 'after application', and 3.83 ± 0.75 in 'absorption'. Therefore, S. china ethanol extract was shown to be safe from the human body closed-patch test and the cell viability measurement. The safety and validity test for tonic water was excellent in effect of antioxidation, whitening, DPPH- and SO-scavenging, antimicrobial activities and moisturizing. It is considered that S. china ethanol extract has a high potentiality as a multi function cosmetic material.

      • 청각장애아동 통합교육에 대한 유치원교사와 초등교사의 인식 조사

        김용숙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치원교사와 초등 교사를 대상으로 청각장애아동 통합 교육에 대한 교사의 준비도, 또래관계, 인적 · 행정적 지원, 통합의 시기 형태, 통합의 필요성 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라북도 중 · 소도시에 재직중인 유치원교사 130명과 초등학교 저학년 교사 132명으로 총 262명이 연구대상이 되었다.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5개 영역의 문항으로 구성되었는데 이중 통합의 형태 · 시기에 대한 내적 합치도가 너무 저조하여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각장애아동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의 준비도에서는 유치원교사와 초등교사 모두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또래관계에 대한 유치원교사와 초등교사간의 인식에서는 두 집단 모두가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상대적으로 유치원교사가 초등교사보다 '일반아동에 의해 언어발달이 촉진될 것이다'의 문항에서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인적 · 행정적 지원에 대한 유치원교사와 초등교사간의 인식에서 두 집단 모두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유치원교사가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넷째, 통합의 필요성에 대한 유치원교사와 초등교사간의 인식정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모든 문항에서 유치원교사가 초등교사보다 통합에 대하여 매우 긍정적이어서 통합은 빠를수록 효과가 있음을 인식할 수 있었다. 앞으로 장애아동에 대한 연구뿐만 아니라 장애유형에 따른 연구, 세부적인 장애관련 연수기관의 지정, 다양한 연수기회, 장애아동을 위한 적절한 교수학습 프로그램이 연구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o what extent kindergarten teachers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ready for inclusive education for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and how they perceived their peer relationship, human resources and administrative support for them, the right timing and right type of inclusive education, and its necessity.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62 teachers from small urban communities in north Jeolla province. Out of them, 130 teachers worked at kindergartens, and the others were in charge of lower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A survey was conducted with questionnaires that handled five segments, but the item internal consistency about the right timing and type of inclusive education was too low, and this segment was ruled out.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readiness for inclusive education for hearing-impaired children, both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sidered themselves well prepared for that,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gap between them. Second, both groups viewed the peer relationship of children with hearing impairment favorably,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gap between them. But the kindergarten teachers thought that those children's verbal development would be more accelerated by their contact with nondisabled children, compared to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ird, the kindergarten teachers had a higher opinion about human resources and administrative support for inclusive education, but the gap between the two groups were insignificant. Fourth, their view of the necessity of inclusive educa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The kindergarten teachers put very higher value on that in every regard than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did, and this fact showed that earlier integrated education could produce better results. In the future, it's required to make more research in educa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 effects of the type of disability, to select training institutes for education for youth with disabilities, to provide teachers with a wide variety of training opportunities, and to prepare efficient teaching-learning program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 항공사에 대한 온라인 구전이 정보수용 및 승객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용숙 韓國航空大學校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온라인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는 정보환경과 정보채널의 급속한 변화는 항공사를 이용하는 승객들에게 새로운 패턴의 구매형태를 불러 일으켰고, 승객들은 이제 더 이상 특정 항공사가 제공하는 일방적 정보나 광고에 의존하지 않게 되었다. 온라인 구전을 통해 얻어진 항공사에 대한 다양한 경험적 정보는 구매에 따른 위험과 불확실성을 회피하고 위험을 감소시켜 주어 항공상품 구매결정 시 의존하는 비중이 매우 높아지게 되었다. 이와 같이 항공사를 이용한 승객들의 온라인 구전이 항공사의 전략 수립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지만 항공사에 대한 온라인 구전이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연구한 학술적 노력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항공사 이용객을 대상으로 온라인 구전을 통하여 항공사를 선택 할 때 어떤 변수에 많은 주안점을 두고 선택하는 지를 파악하여 마케팅에서의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두 번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조사 대상은 온라인 구전을 통해 항공사 이용 경험이 있는 내국인 이용객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지Ⅰ의 조사기간은 2016년 12월 12일부터 2017년 1월 12일까지 약 4주 동안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연구모형 Ⅰ의 연구를 위해 270부를 분석하였고, 이후 연구모형 Ⅱ를 위해 설문조사 부수를 늘려 2017년 2월1일부터 2월10일까지 약 10일 동안 설문조사를 추가로 실시하여 362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모형 Ⅲ을 위한 설문지 Ⅱ의 조사기간은 2017년 4월 1일부터 4월 18일까지 약 20일간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495개의 표본을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설문지의 응답률을 높이기 위하여 직접 모집단 대상자를 면접하여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기재한 후 회수 하였다. 세 가지 연구 모형에 대하여 분석은 구조방정식을 이용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Ⅰ은 구조방정식 분석을 통해 온라인 구전이 정보수용과 고객만족. 행동의도 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온라인 구전은 정보수용과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 Ⅱ에서는 온라인 구전이 구전의존도, 정보수용, 신뢰,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온라인 구전은 정보 수용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보수용은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 정보수용과 행동의도간의 관계에서는 유의하지 않아 직접적인 영향 관계를 나타내지는 않았는데 이는 기존 선행연구와는 다른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기업이 배포하는 객관적 자료가 아닌 개개인이 온라인 구전 후기를 통해서 얻은 주관적인 정보라는 점에서 한계가 있어 이와 같은 결과가 나온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정보수용이 태도, 태도가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침으로써 태도가 정보수용과 행동의도간의 매개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구 Ⅲ에서는 항공사의 온라인 구전에 영향을 미치는 특성 변수들이 정보수용을 통하여 승객들의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논증의 질, 정보 매력성, 정보 인식, 정보 스타일, 정보원 신뢰성 등 5가지 온라인 구전 특성 변수들 중 정보원 신뢰성, 정보 스타일, 정보 매력성이 온라인 구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온라인 구전에 대한 행동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이미지이고,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태도가 정보수용보다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어 항공사에는 이미지와 태도가 가장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다.

      • 대학도서관 이용자교육에 대한 외국인 유학생과 사서의 인식연구

        김용숙 전주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user education for university library is being perceived by foreign students. In order to achieve such goal the study selected foreign exchange students and librarians from 22 4-year universities located within Daejeon‧Chungcheong region with more than 200 foreign students. Preliminary research was conducted using survey followed by 7 weeks of main survey between March 11th 2020 to April 30th 2020. Frequency analysis was used on data collected from 325 surveys collected from foreign exchange students and 71 surveys collected from librarians. The result of the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 First, foreign exchange students had been unable to participate in user education in most cases, and more than half of the respondents were aware of the necessity of such education. On the other hand, foreign exchange students you have the experience of taking part in such education programs were found to be highly satisfied by such programs. Second, 73% of the foreign students responded that have not experienced various services provided by the library while 77.9% of those you have had the chance to use such services responded that they are satisfied with them. Third, less than half of the foreign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have used the documents in library while those who have used the library responded that they were highly satisfied with the experience. Those who responded that they have not used the library replied that the main reasons are that they either do not know how to use the data archived at the library or that they have other difficulties in using the facility. Fourth, foreign students replied that they prefer websites, APP, SNS, and other methods using IT device as a means to advertise library user education programs. Fifth, foreign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are highly satisfied with the facility and the environment the library offers and replied that it is equipped with an appropriate environment for using and searching data. Sixth, although all university libraries manage user education targeted for Korean students, more than 80% of them answered that they do not have a separate user education for foreign students while the such educational programs have been highly effective. The universities who manage such program responded that such programs, each lasting for 30 minutes to 1 hour, are offered regularly and are advertised through official announcements and postings on official websites both of which differ from the methods preferred by foreign students (website, APP, SNS). Seventh, those who do not hold user education program for foreign students reponded that the mains reasons are lack resources in libraries including lack of human resources, fianancial resources, and librarian’s interest as well as lack of user interest and demands for such programs. Eighth, librarians responded problems with user education for foreign students are lack of infrastructure for user education including manpower and facility, lack of interest and passive participation of users, lack of support from the university, librarian’s lack of professional knowledge ot handle such educational probrams, and lack of advertisement and responsibility from libraries. Ninth, the librarians responded that improvement of librarian competency, more support from university, more interest among users, and making such programs as a mandatory program are required to resolve the issues involving user education for foreign students. Tenth, librarians responded that improved librarian competency, establishment of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other department handling matters involving foreign students, setting separate personnel for user education, develop facility and service, implementation of compulsory education system, diversification of user education, and enhancement of library and librarian responsibility are required for activating user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how university library user education is perceived by conducting a survey on foreign students and librarians from 22 4-year university located within Daejeon‧Chungcheong region that have more than 200 foreign students. It is difficult to use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a generalization since it is conducted on samples collected from pools limited to a particular region. Thus there are limits to using the results as a generalization of university library user education for foreign students in Korea.

      • 장기요양 5등급 재가 방문요양보호사의 치매 지식과 치매문제행동 요양부담감에 관한 연구

        김용숙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장기요양 5등급 재가 방문요양보호사의 치매지식과 치매문제행동 요양부담감 정도를 파악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B시내 장기요양 재가센터에 재직 중이면서 장기 요양 5등급 방문요양 서비스를 제공하는 요양보호사 92명이다. 자료수집기간은 2018년 5월 19일~2018년 8월16일이었으며 총 100부를 배부하여 신뢰도가 떨어지는 8부를 제외하고 92부를 최종 대상으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에 사용한 도구로 치매지식은 정선미(2004)가 노인 전문 요양시설 생활보조원의 치매지식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용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치매문제행동 요양부담감은 김경애(2003)가 치매환자를 돌보는 간병인이나 생활보조원 대상으로 치매문제행동에 대하여 느끼는 요양부담감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4.0을 사용하였고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수와 백분율을 구하였고 설문문항의 신뢰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Cronbach's α를 구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치매지식과 문제행동 요양부담감 점수를 파악하기 위하여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고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치매지식과 요양 부담감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증과 One-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증으로 Scheffe Test을 실시하였다. 치매지식과 요양 부담감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구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치매지식의 점수는 20점 만점에 16.28점 이었으며, 평균평점은 .81점 이었다. 치매지식의 하위항목들의 평균평점은 질병지식은 .77점, 치료지식 .88점, 간호지식 .87점 이었다. 둘째, 요양부담감 점수는 100점 만점에 39.01점 이었으며, 평균평점은 5점 만점에 1.56점 이었다. 요양부담감 하위항목들의 평균평점은 공격성 1.48점, 초조성 1.57점, 간호에 저항 1.63점, 신체증상 1.50점, 신경증상 1.58점, 정신과적 증상 1.63점 이었다. 셋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징에 따른 치매지식에 차이를 보이는 특성은 학력(F=8.55, p<.001), 치매노인 돌봄 경험(t=7.34, p<.001), 치매지식관련 교육받은 횟수(F=13.10, p<.001) 이었다. 치매지식의 하위항목인 질병지식에 차이를 보이는 특성은 학력(F=4.05, p<.001), 치매노인 돌봄 경험(t=6.14, p<.001), 치매지식관련 교육받은 횟수(F=7.42, p=.001) 이었다. 치료지식에 차이를 보이는 특성은 치매노인 돌봄 경험(t=2.64, p=.011) 이었다. 과거 치매노인 돌봄경험은 있다가 없다 보다 높았다. 간호지식에 차이를 보이는 특성은 학력(F=6.56, p<.001), 치매노인 돌봄 경험(t=3.29, p=.002), 치매지식관련 교육받은 횟수(F=7.59, p=.001), 1년 동안 교육필요횟수(F=5.81, p=.041) 이었다. 넷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징에 따른 치매문제행동 전체 요양부담감에 차이를 보이는 특성은 학력(F=3.64, p=.002)과 치매노인 돌봄경험 이었다. 요양부담감의 하위항목인 초조성에 차이를 보이는 특성은 학력(F=2.30, p=.040) 이고 간호에 저항에 차이를 보이는 특성은 학력(F=6.75, p<.001), 과거 치매노인 돌봄경험(t=-2.34, p=.021) 이었다. 신체증상에 차이를 보이는 특성은 과거 치매노인 돌봄경험(t=-2.22, p=.029) 이었다. 정신과적 증상에 차이를 보이는 특성은 학력(F=2.30, p=.001), 과거 치매노인 돌봄경험(t=-2.21, p=.030) 이었다. 이는 치매지식이 최종학력, 치매노인 돌봄경험과 상관이 있다는 것과 같은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른 장기요양 5등급 방문요양보호사의 치매지식은 선행연구들의 요양보호사 치매지식 점수보다는 높게 나타났다. 이것은 치매등급 대상자를 방문서비스하는 요양보호사는 자격증 취득 이후 다시 치매전문 교육을 받아야 하고 치매인지활동을 돕는 서비스를 하고 있는 만큼 당연한 결과라 생각된다. 한편, 치매지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최종 학력, 치매노인 돌봄 유무, 치매교육 횟수인 것으로 보아 치매의 이론적배경도 중요하지만 실제로 치매환자를 돌본 경험도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치매문제행동 요양부담감 또한 수급자나 가족들의 서비스 요구도가 증가함에 따라 요양부담감도 더 높아질 것으로 생각된다. 요양부담감도 최종학력과 치매관련 교육횟수가 영향요인으로 나타나 장기요양 5등급 방문요양보호사에게 치매와 관련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추후교육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Key Word: 장기요양, 치매, 방문요양보호사, 치매지식, 요양부담감,

      • 오픈주방시스템이 주방종사원의 직무몰입 및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용숙 경기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2006년 3대 트렌드는 ‘실용주의, 컨버전스, 휴머니즘’이다. 외식업계도 이와 같은 소비자의 트렌드에 발맞추기 위하여 소비자의 관음주의를 충족시키고 고객과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서비스 방안으로 식당의 인테리어, 주방시스템, 종업원의 유니폼, 메뉴아이템 등을 바꾸고 있다. 특히 자연주의, 웰빙주의 등이 유행하면서 국내 외식업체들은 앞 다투어 주방을 오픈키친으로 레노베이션 하고 있다. 오픈 주방 시스템은 고객들과 친근감을 형성시켜 편안한 분위기를 조성하는 동시에 조리장면을 공개함으로써 신뢰감을 주고 주방에서 바로 조리된 메뉴를 고객 앞에 제공함으로 신선함 음식이라는 점을 어필한다. 미국이나 유럽 등 선진국에서는 밝고 깨끗한 오픈 키친이 이미 주방의 새로운 트랜드로 자리 잡아 가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얼마 전까지만 해도 호텔 내에 있는 이태리 레스토랑과 일식레스토랑에서나 볼 수 있었던 오픈주방이 최근에는 패밀리레스토랑, 패스트푸드, 한식전문점까지 확산되고 있는 추세다. 러나 오픈주방시스템이 종업원이 효율적으로 일하기 편하게 설계되었는지 분석이 필요하다. 고객의 욕구 충족을 위한 주방시스템은 주방종사원에게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주방종사원의 모든 행동이 고객에게 노출되므로 종사원의 심리적인 부담과 함께 직무에 몰입에 방해요인이 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직무스트레스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외식기업에서 사용하고 있는 여러 프로모션 유형 중 외식고객이 가장 선호하고, 재방문 의사에 영향을 주는 프로모션 방법은 무엇인지 규명하여 날로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외식시장에서 경쟁적 우위와 기업의 이익을 극대화 할 수 있는 하나의 방법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적 연구방법과 실증적 연구방법을 병행하였고, 본 조사의 실증분석을 위한 자료 수집은 외식기업을 이용하는 고객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지는 320부를 배포한 후 307부를 회수하였으며, 그 중 불성실한 응답지 38부를 제외한 총 269부가 실증분석의 자료로 사용되었다. 본 연구는 정확한 통계처리를 위하여 수집된 자료를 데이터 코딩(Data coding)과 데이터 크리닝(Data cleaning) 과정을 거쳐, SPSS WIN 12.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데이터의 분석을 위하여 빈도분석, 교차분석, 신뢰도 분석, 타당도 분석, 요인분석, 일원분산분석(ANOVA)을 이용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오픈주방시스템의 주방환경요소에 대한 조사대상자의 지각정도를 분석한 결과, ‘예방환경요인’, ‘인적환경요인’, ‘물리적 환경요인’, ‘위생환경요인’의 4개 요인이 도출되었고, 직무몰입에 대해서는 ‘업무만족’, ‘업무능력’, ‘업무체계’, ‘업무적합도’의 4개요인, 그리고 직무스트레스에 대해서는 ‘자기불안감’, ‘자아존중감’, ‘외적스트레스’, ‘내적스트레스’의 4개 요인이 도출되었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오픈주방시스템의 지각도, 직무몰입, 직무스트레스에의 차이검증을 한 결과 별에 따라서는 주방의 위생환경 처리에 관해 여성의 지각정도가 높고, 오픈주방시스템에서 일하는 여성의 업무 만족이 남성에 비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연령에 따라서는 ‘40세 이상’이 직무스트레스가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직무몰입의 ‘업무만족’, ‘업무능력’, ‘업무체계’ 요인과, 직무스트레스의 ‘자아존중감’ 요인은 학력이 높아질수록 높게 나타났으나, 직무스트레스의 ‘자기불안감’ 이나 ‘내적스트레스’ 요인은 학력이 낮아질수록 높게 나타나 다소 차이를 보였으며, 기혼자가 직무에 있어 만족이나 보람이 크고 반면 스트레스는 적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근무부서에 따른 차이검증 결과 베이커리, 연회주방, 양식당 등이 주방의 물리적 작업 환경에 대해 충분하고 적합하다고 응답한 것으로 나타났고, 역시 한식당, 베이커리, 연회주방, 양식당 등은 업무의 효율화와 체계화가 잘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근속년수에 따라서는 ‘예방환경요인’(M=4.00)과 ‘인적환경요인’(M=3.43)에 대해서는 비교적 만족한다고 응답하였으며, 19년 이상 종사하고 있는 응답자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물리적환경요인’과 ‘위생환경요인’에 대해서는 ‘10년 이상 종사자’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또한 ‘직무몰입요인’에 대해서도 근속연수에 대해 많은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장기 종사자일수록 직무에 대한 만족이나 보람이 더 크게 나타났고, 반면 ‘자기불안감’이나 ‘외적스트레스’와 관련된 직무 스트레스는 종사한 년수가 적을수록 비교적 높게 나타나 업무에 대한 적응기간과 비례하여 업무에 대해 근속년수가 많아지고 적응이 되어가면서 그에 따른 직무 스트레스도 줄어들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직급에 따라서는 직무몰입은 직급이 높은 응답자들에게서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나 직무스트레스는 전체적으로 낮게 나타나 근속연수와 연관되어 적응기간이 필요하고 업무에 적응과 함께 업무에 대한 자신감을 갖는다면 자기 불안감 등은 줄어들 것으로 판단된다. 월 평균소득에 따라서 근속연수와 직급이 높고 월평균 소득이 많을수록 직무에 대한 만족감과 자부심이 크며, 자신과 자신이 하는 일에 대한 자아 존중감 역시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오픈주방시스템의 환경요인과 직무몰입간의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 오픈주방시스템의 환경요인은 오픈주방시스템에서 일하는 조사대상자의 업무 능률을 높이고 자신의 업무에 대한 만족을 높일 수 있게 하며, 종업원에 대한 정기적인 검진이나 주방 위생 및 안전에 대해 정기적인 관리가 잘 이루어 질 때 업무에 대한 능력발휘나 목표달성이 더 잘 이루어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오픈주방시스템의 환경요인의 적절성은 업무의 체계화를 높일 수 있게 하며, 종사원의 인적관리나 인사제도의 적절성이 잘 이루어질 때 오픈주방시스템을 통한 직무수행도 잘 이루어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오픈주방시스템의 환경요인과 종사원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 종업원에 대한 정기적인 검진이나 주방 위생 및 안전에 대해 정기적인 관리가 잘 이루어 질 때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자기 불안감이 줄어들고 업무에 대한 부담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줄어들며, 종업원에 대한 정기적인 검진이나 주방 위생 및 안전에 대해 정기적인 관리가 잘 이루어지고, 종사원에 대한 인사제도, 위생시설 등이 잘 이루어질수록 자신이 하고 있는 일에 대한 만족과 보람을 느끼고 이에 따라 직무 스트레스도 줄어들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종업원에 대한 정기적인 검진이나 주방 위생 및 안전에 대해 정기적인 관리가 잘 이루어 질 때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느낄 수 있는 절망감이나 무력감 등의 스트레스가 줄어들 것으로 보이며, 직무 스트레스가 줄어들어야 업무에 대한 만족이나 보람 역시 높아질 것으로 분석되었다.

      • 초등학교 환경미술교육 프로그램 연구

        김용숙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We are now living in the society where we can meet a variety of information and we can also experience the rapid growth. That is the characters of 21century. Most of the people enjoy the quality life owing to abundant material. At the same time, however, the people face the destruction of environments because of environmental pollu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of environmental Art Education and to design the environmental Art Education so that we can help the students to extend the conscience for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 For this study, we can feel the necessity of environmental Art Education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the relevant theory. And looked through the relevant educational contents related to environments in the art class and analyzed the things that the teachers and students think about regarding environmental Art Education. Based on this, we developed the environmental Art Education program by using many environmental art education related elements on purpose and these programs include the following steps. In the preparatory stage, we tried to help the trainee to have interest in the science and motivate enough thoughts and guide the students to united purpose regarding the environmental subject so that they can select the purpose by person by person or by group. Through the primary study, the student can collect material or search for the relevant contents and make them to prepare for the expressing material so that they can concentrate on the study. In the aesthetic experience stage, can help the student to think over and feel the relevant subjects through the study in site such as playgrounds, flower bed, a public garden or park. If the students need to study through the sculpture, we should help the student to find the related materials, tools, expression contents, artistic principle, etc. In the artistic presentation stage, we need to motivate the students to express the relevant subjects but we need to think over how to make them expressed considering of the ability of expression or relevant subject by person by person or by group. At the same time, we need to let them use the environmental-oriented material. In the appreciation stage, we need to suggest the view point considering of the environmental things. We need to make them have the eye to appreciate his art or the friend's art. In the long run, they must appreciate the expert's sculpture. Of course, we must teach them the check points or altitude in appreciation. In the arrangement stage, we should help the students to put the used materials in place. In addition, we should confirm if they make up the mind for the environmental-oriented respects. Based on above programs, we planned the specific Art Education program. This education is for the students who are between 3rd grade and 6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and we applied environment-related lessons in curriculum intentionally. And I applied the guidance planned for 3rd grade students for which I am in charge of. In conclusion, they came to have the eyes to estimate the aesthetic respect through environmental education. In addition, they can enhance the ability to use a variety of reused materials, environmental-oriented material, etc, which is very helpful for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and the development of aesthetic respect. They also feel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 by through the restoration program which they experience in the arrangement stage.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ctual conditions of environmental Art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and develop the environmental Art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tudent. I hope that the succeeding research is come up with continuously based on this thesis and I hope also it can contribute to the art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21세기는 정보의 다양화와 과학의 첨단화로 인하여 급속한 사회적 변화를 가져왔고, 이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은 편리한 문명과 물질적 풍요를 누리고 있다. 반면, 가치관의 혼란과 인간성의 상실, 무엇보다도 환경오염으로 인한 생태계 파괴라는 문제점을 안고 살아가고 있다. 환경미술이란 오늘날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환경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동체 의식을 가지고 환경과 미술과의 질서와 조화를 추구하는 미술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환경미술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위한 환경미술교육 프로그램을 구안하여 학생들의 환경보존의식과 조형사고를 확장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를 위해, 현대미술에 있어서의 ‘환경미술’과 학자들의 ‘환경’에 대한 정의를 살펴보고, 연구와 관련하여 용어의 의미를 제한하였다. 그리고 ‘미술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를 살펴보아, ‘환경미술교육’의 개념과 의미를 생각해 보고, 초등학교 환경미술교육 프로그램의 방향을 생각해보았다. 그리고 초등학교 환경미술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미술교과서와 지도서의 환경 관련 내용을 분석하고, 교사와 학생의 환경미술교육 관련 인지 실태를 조사,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미술교과에 환경 관련 요소들을 의도적으로 투입시킨 환경미술교육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는데, 이 프로그램은 다음과 같은 단계들을 포함한다. 준비 단계는 학습자의 풍부한 발상을 유도하되 자연에 관심을 갖도록 하며, 환경미술 관련 공통 목표를 안내하여, 개별 및 모둠별 목표를 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선수학습으로 관련 자료를 수집하거나 관련 내용을 탐색하도록 하며, 적합한 표현 재료를 준비하도록 하여 학습자 중심의 수업이 전개될 수 있도록 한다. 미적체험 단계에서는 학교운동장이나 화단, 근처의 공원이나 현장학습장소 등을 통해 자연을 직접 체험하도록 하여 충분히 생각하고 느끼도록 한다. 대상이 조형물일 경우는 표현내용과 방법, 재료와 용구, 조형요소와 원리 등을 탐색해보도록 한다. 표현단계에서는 환경 관련 주제를 표현하도록 하되, 학습자의 표현능력과 주제의 특성에 따라 개인 또는 모둠별로 표현한다. 또한 주제에 적합한 재료와 용구를 사용하되, 자연물이나 재활용품, 환경친화적 재료를 사용하도록 한다. 감상 단계에서는 환경 관련 감상 관점을 제시하는데, 자신과 친구들이 만든 작품뿐 아니라 작가의 조형물과 자연물까지도 감상할 수 있는 눈을 갖도록 한다. 물론 감상시의 유의점 및 태도에 대한 지도도 이루어져야 한다. 정리 단계에서는 주변정리를 하되, 재료 및 용구 뿐 아니라 관찰하고 표현한 자연물을 그대로 되돌리기 활동이 있어야 한다. 또한 학습자의 환경 친화적 태도 형성의 정도를 확인하는 과정도 있어야 한다. 위와 같은 환경미술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구체적인 미술과 수업을 계획하였다. 제7차 교육과정 초등학교 3학년부터 6학년까지의 미술교과에 환경 관련 수업의 수업지도안을 계획하였다. 그리고 연구자가 가르쳤던 3학년을 대상으로 환경미술교육 프로그램이 적용된 수업 지도안을 적용시켜 보았다. 그 결과 학생들은 자연 체험을 통해 자연의 아름다움을 느끼는 미적 안목을 갖게 되었다. 또한 자연물, 재활용품, 환경친화적적 재료 등을 사용하여 미술에 있어서의 창의성 계발과 미적 감각을 신장시킬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체험한 자연을 원래대로 되돌리기와 완성된 미술작품을 분리하고 재활용하는 과정을 통하여, 환경보호활동을 직접 실천하도록 함으로써 환경보전을 위한 실천 의지를 다질 수 있었다. 위 논고는 초등학교의 환경미술교육 실태를 조사, 분석하여 초등학교 환경미술교육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이를 적용해봄으로써 환경미술교육의 효율적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 것으로, 앞으로 후속연구를 계속하여 환경미술교육에 크게 기여할 것을 제언한다.

      • 공공기관의 전략적 사회공헌활동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한국연구재단 및 유관기관의 교육기부활동을 중심으로

        김용숙 목원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공공기관의 전략적 사회공헌활동이 조직효과성 요소인 조직몰입도와 직무만족, 조직 이미지(사회적 평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범위는 연구관리 전문기관인 한국연구재단과 유관기관의 교육기부활동으로 한정하였다. 연구방법은 가설검증을 중심으로 한 설문조사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가설은 대가설 4개와 이에 대한 각각의 세부연구가설을 설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교육기부활동에 참여하는 내부 구성원들은 활동참여에 대한 만족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기부활동에 대한 의미성을 일반적인 사회공헌활동보다 높게 부여하였다. 조직몰입의 8개 구성요인과 직무만족의 13개 구성요인, 그리고 조직 이미지(사회적 평가)의 3개의 구성요인 등 모두에서 긍정적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단순한 자원봉사활동 등과 비교해 볼 때, 전략적 사회공헌활동에 대한 내부구성원의 긍정적 인식이 보다 높다는 것을 말해준다. 둘째, 가설검정 결과, 첫 번째 가설인 1-1은 부분적으로 채택되었다. 만족도에서 성별, 연령 간에 그리고 의미성 인식에서는 연령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지만, 교육기부활동에 대한 구성원들의 만족도나 의미성 인식이 모든 영역에서 높게 나타나고 있는 상황에서 이러한 각 인구통계학적 요인간의 인식차이는 커다란 의미를 부여하기는 어렵다. 조직몰입에 대한 영향 면에서, 요인분석에 의해 수렴된 ‘활동성격’, ‘활동체계성’, ‘전문성’ 등 3개의 전략적 사회공헌활동 변인은 8개의 조직몰입 구성변인 모두에 정(正)의 인과관계를 나타냈고, 유의미한 영향관계에 있음을 나타냈다. 직무만족에 대한 영향 면에서, ‘활동성격’, ‘활동체계성’, ‘전문성’ 등 3개의 변인은 13개의 직무만족 구성변인 모두에 정(正)의 인과관계를 나타냈고, 유의미한 영향관계에 있음을 나타냈다. 조직 이미지(사회적 평가)에 대한 영향 면에서, ‘활동성격’, ‘활동체계성’, ‘전문성’ 등 3개의 변인은 3개의 조직 이미지 구성변인 모두에 정(正)의 인과관계를 나타냈고, 유의미한 영향관계에 있음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전략적 사회공헌활동(변인)이 조직 효과성에 대한 영향요인 중 하나라는 것을 검증해 주는 것이다. 다만 전략적 사회공헌활동을 구성하는 7개의 구성변인 간에 조직 효과성 변수에 미치는 영향 정도는 동일하지는 않으며, 이에 따라 정책적 방향이나 내용에 차이를 두어야 한다는 것을 말해준다. 셋째, 외부 고객평가의 경우, 교육기부활동의 만족도와 의미에 대한 인식이 모두 높았다. 특히, 조직의 업무 이해도와 전략적 사회공헌활동을 추진하는 조직 이미지에 대한 긍정적 인식도 높았다. 동시에 프로그램 유형별 평가나 지역별 고객평가, 연령별 고객평가 측면에서 만족도와 의미 인식은 모두 높았다. 그러나 인구통계학적 요인들 간의 차이는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보이지 않았다. 이 분석결과를 보면 전략적 사회공헌활동의 요소 중 하나인 조직 이미지(사회적 평가)의 개선이 국내외적으로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결과는 공공기관의 목표, 사업특성, 전문성 등을 반영하여 공공기관의 사회공헌활동 방향을 추후 추진하며, 조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즉, 공공기관이 그동안 수행해온 경영평가에 대한 일반적인 사회공헌활동과는 다른 전략적 사회공헌활동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조직에 대한 내부 조직의 헌신, 직무 만족도, 자부심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공공기관이 추구하는 조직적 목표도 충족시킬 수 있는 결과로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는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