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아의 또래 유능성 및 공감능력과 유아의 행복감의 관계

        김온유 계명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competence and empathic ability with happiness of young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155 five-year-old children attending one of six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young children in D Metropolitan city and G city.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observational instruments for measuring peer competence, empathic ability, and happiness. Data were analyzed with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young children’s peer competence and their happiness. Secondly,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appeared between young children’s empathic ability and perspective-taking their feeling of happiness. Also, a positive correlation appeared between fantasy with spirituality and relationship with teachers, and a positive correlation appeared between empathic awakening with the whole happiness. Thirdly, the variables that most significantly explain young children’s happiness were sociability, prosocial behavior, leadership in peer relation, and perspective-taking. These findings imply that the empathic ability and peer competence are important prediction variables to explain the happiness of young children, and could be utilized as a basis to develop an effective education program of happiness for young children.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또래 유능성 및 공감능력과 유아의 행복감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D광역시, G시에 위치한 유아교육기관 6곳의 만 5세 155명이다. 유아의 또래 유능성, 유아의 공감능력과 유아의 행복감 검사도구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과 단계선택방식의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또래 유능성과 행복감과의 관계에서 유아의 또래 유능성 전체와 유아의 행복감 전체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공감능력과 행복감과의 상관관계에서 유아의 공감능력 전체 및 조망취하기는 유아의 행복감 전체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상상하기는 영성, 교사 관계와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공감적 각성은 행복감 전체와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행복감을 가장 의미 있게 설명하는 변인은 사교성, 친사회성, 주도성, 조망취하기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가 행복한 생활을 하기 위해서는 유아의 공감능력과 또래 유능성이 중요함을 밝히며, 효과적인 유아 행복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기초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Frederic Chopin의 Piano Sonata No. 3 in b minor, Op. 58의 분석 연구

        김온유 창원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19세기 폴란드 출신의 작곡가 쇼팽은 자신만의 독보적인 아름다운 선율로 사람들의 감수성을 자극해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가장 사랑받는 피아노 음악가로 손꼽힌다. 쇼팽이 활동했던 19세기는 산업 혁명의 영향으로 피아노의 발달과 클래식 음악의 대중화가 일어났던 시기이며, 이 시기에는 새로운 음악에 대한 수요 증가로 많은 피아노곡들이 작곡되고 출판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따라 자신의 모든 재능을 피아노 음악에 쏟아부은 쇼팽은 왈츠, 마주르카, 폴로네이즈, 스케르초, 녹턴 등 다양한 성격소품들을 작곡하였다. 쇼팽은 수많은 피아노 작품 중 3개의 소나타를 남기고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그의 원숙미가 돋보이는 대규모의 마지막 소나타인 <Piano Sonata No.3 in b minor, Op.58>을 살펴본다. 이 작품은 1844년 쇼팽의 예술적 영감과 음악 어법이 절정에 달했던 시기에 작곡되어 그의 선율, 리듬, 화성, 형식, 템포 루바토, 페달적인 특징들을 모두 담고 있다. 쇼팽은 이 소나타에서 독창적인 음악어법을 드러나게 하기 위하여 외형적으로 전통적 소나타 형식의 구조를 따르면서도 악장의 템포 구성과 주제의 재현 순서를 바꾸는 등 형식의 틀에 얽매이지 않는 구성을 보인다. 또한 여러 종류의 변화화음과 불협화음을 포함한 혁신적인 화성과 자유로운 비화성음의 사용, 반음계적 진행을 통한 전조와 이명동음을 이용한 전조 사용 등을 통해 전조의 무한한 가능성을 보여준다. 본 논문에서는 소나타 3번의 심도 있는 분석을 통해 연주자로 하여금 쇼팽의 음악적 특징과 다양한 음악적 기법들을 깊이 이해하고, 작곡가의 의도대로 낭만적인 정서를 충실히 표현할 수 있도록 한다. Frédéric Chopin (1810–1849), a Polish composer wrote primarily for solo piano and has maintained worldwide renown by touching audiences’ emotion with his poetic melody. The nineteenth century when Chopin was active in his career saw the Industrial Revolution, which in turn classical music was popularized and piano physical went through innovations such as the cast iron frame and aliquot stringing gave grand pianos a more powerful sound. As a result, the demand for piano music increased, and many composers at the time wrote and published a lot of piano music. Chopin dedicated his time to write piano music and left various character pieces such as Waltzes, Mazurkas, Polonaises, Scherzos, Nocturnes. Especially, Chopin wrote three piano sonatas. This dissertation will take a close look at his Piano Sonata No. 3 in b minor, Op. 58 which is the last sonata on a large scale among his piano sonatas. Chopin’s b minor Sonata was written in 1844 when Chopin has a mature compositional language, so it comprised his unique melodies, rhythms, harmonies, forms, tempos, rubatos, pedal technics. He exploited a traditional sonata form but at the same time, he changed a formal tempo model and recapitulated a subject in a different way to deviate the tradition, which reflected Chopin’s noble musical language. In addition, this work was cast in innovative harmonies including borrowed chords and dissonances, freer use of non-chord tones, and chromatic modulations/ enharmonic modulations with the unlimited possibility of modulations. Through the intensive study of Chopin’s Sonata in b minor, this dissertation will contribute to a performer’s understanding of Chopin’s musical characteristics and various musical techniques and to a performer’s expression of romantic emotions as the composer’s intention.

      • 고등학교 현대음악 감상 학습에 대한 연구 : -쇤베르크(Arnold Schoenberg)의 「바르샤바의 생존자」 (A Survivor from Warsaw, op.46)를 중심으로-

        김온유 경희대학교 음악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음악은 객관적이고 새로운 정신세계를 전통적인 방법이 아닌 새로운 아이디어와 표현기법에 의해 쓰여진 음악으로 학생들에게 창의적이고 실험적인 학습을 제공하며, 미래의 음악 문화를 받아들이는데 필요한 새로운 미적 감각을 갖도록 도와준다. 그러나 현재 학교 음악교육에서 실행되는 음악교과서는 현대음악의 비중이 매우 적고 교육내용 또한 매우 편협하게 이루어져 있다. 이런 이유에서 본 논문은 고등학생들에게 보다 다양하고 체계적인 현대음악 감상교육을 위하여 학습지도안을 연구하였다. 현행 교육과정은 포괄적이고, 활동중심의 음악교육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음악 활동 과정과 내용들을 통해 학생들이 직접적으로 학습에 참여하고, 여러 다른 지식과의 통합적 학습을 하며, 상상력과 창의력을 높이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현대음악의 여러 가지 표현어법과 실험성, 대담성, 그리고 그 안에 담고 있는 시대정신은 학생들의 호기심을 유발하고, 상상력을 자극하며 창의성을 높여주는 데 많은 자료들과 기회들을 제공한다. 이러한 내용에 따라 본 연구자는 현대음악 학습의 단계별 지도 방법을 제시하고, 그 방법에 준하여 실제적인 학습지도안을 제시하였다. 실제적인 현대음악 학습은 고등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하여 쇤베르크의 ‘바르샤바의 생존자’를 제재곡으로 선정하였다. 이 작품을 선택한 이유는 현행 교육과정의 내용에 포함되어 있고, 음악구조, 역사,·언어의 성격이 고등학교 2학년 과정에 적합하다고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전쟁의 참상을 그대로 표현한 작품의 배경을 통해 인간의 평등, 인권의 중요성과 관련하여 사회적·역사적 맥락 안에서 흥미롭게 현대음악 학습에 접근하도록 하였다. 현대음악의 학습은 이처럼 학생들에게 다양한 음악활동과 기회들을 제공해 줄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음악 교과와 더불어 총체적인 지식을 습득하는 것에도 꼭 필요한 학습의 한 부분임에도 아직 많은 연구 자료가 필요하고, 실제 현장에서 교육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 않는 실정이다. 이러한 교육에 대한 많은 연구와 교사들의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수업모형의 모색이 많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음악적 단서 및 후속 자극에 따른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공동주의 반응 행동 비교

        김온유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적 단서 및 후속 자극 유형에 따라 자폐스펙트럼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이하 ASD) 아동의 공동주의 반응 행동이 달라지는지 알아보고, 이를 일반(Neurotypically developing, 이하 NT) 아동의 규준 자료를 바탕으로 비교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참여 대상자는 만 3세에서 5세 사이의 ASD 아동 13명과 신경학적 발달장애가 없는 NT 아동 14명이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서 공동주의 반응 행동을 유도하는 요인으로 확인된 단서 및 후속 자극의 유형을 공동주의 행동 및 사회적 행동의 맥락에서 통합적으로 제공하였다. 공동주의 반응을 유도하는 선행 자극으로 음악적 단서와 언어적 단서를 구성하고 아동의 공동주의 반응에 대한 후속 자극으로 언어 자극, 소리 자극, 음악 자극에 따라 총 6가지 과제를 구성하였다. 과제는 6가지 조건을 2회 반복하여 총 12회 과제 조건을 제시하였고, 조건 제시 순서는 무작위로 결정하였다. 기본 실험 절차는 주의의 대상(즉, 악기)에 대한 단서(언어적 단서 대 음악적 단서)를 제공하고 대상자의 주의 전환이 3초 내 일어나는지 평가한다. 대상자의 공동주의 반응 행동이 나타난 경우, 후속 자극(언어 후속 자극 대 소리 후속 자극 대 음악 후속 자극)을 제공하여 대상자가 연구자에의 사회적 참조 행동이 나타나는지 평가하였다. 각 대상자의 공동주의 반응 행동은 3점 척도로 평가하였고, 후속 자극에 따른 사회적 참조 행동은 발생 빈도를 측정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단서를 제공했을 때 ASD 아동의 공동주의 반응 행동은 NT 아동에 비해 낮게 나타났으나, 음악적 단서가 언어적 단서에 비해 공동주의 반응 행동 수준을 높게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ASD 아동의 공동주의 반응이 즉각적이고 정확하게 유도되었다는 선행연구와 일치한 결과를 보여준다. 또한 후속 자극 유형에 따른 사회적 참조 행동에서 나타나는 차이를 분석한 결과, ASD 아동과 NT 아동 간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지만, 후속 자극 유형에 따라 해당 행동이 나타나는 데 유의한 차이를 볼 수 있었는데 ASD 아동의 경우, 음악 후속 자극이 사회적 참조 행동의 빈도를 가장 많이 증가시키는 자극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음악 자극이 단순한 감각자극으로써 주의를 유도하는 즉각적인 효과를 제공하는 것에서 나아가 사회적 의미를 반영한 자극으로써 대상자로 하여금 자극을 제공하는 타인(즉, 연구자)의 사회적, 정서적 정보를 이해하고 사회적 반응으로 나타나도록 유도하는데 그 적용 범위가 확장되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본 연구 결과를 통해 ASD 아동의 공동주의 행동 이후 상호작용 시도나 참여와 같이, 의미 있는 사회적 행동으로 이어줄 수 있는 요인에 있어 후속 음악 자극이 사회적 맥락에서 참조 행동을 강화하는 사회적 강화로써 역할을 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청각 자극에서 구분된 음악 자극과 소리 자극 간 ASD 아동의 사회적 참조 행동을 체계적으로 비교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추후 ASD 아동 대상 공동주의 반응을 목표로 하는 중재를 구성할 때 후속 음악 자극의 효과적인 사용에 대한 근거로 제시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whether joint attention behaviors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depending on attentional cues and reinforcing stimulus. The study seeks to compare these behaviors with neurotypically developing (NT) children using normative data.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include 13 children with ASD and 14 NT children without neurological developmental disorders aged 3 to 5 years. Based on prior research confirming the types of attentional cues and subsequent reinforcing stimulus as factors influencing joint attention response behaviors, this study classified attentional cues into musical and verbal cues, and reinforcing stimulus types into verbal stimulation, auditory stimulation, and musical stimulation. Thus, a total of six conditions were established. Each condition was repeated twice, resulting in a total of 12 trials provided to each individual chil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when attentional cues were provided, joint attention response behaviors in children with ASD were lower compared to NT children. However, it was observed that musical cues induced higher levels of joint attention response behaviors compared to verbal cues. This finding is significant in confirming the impact factors of musical attention cues as proved in previous research. Additionally, when reinforcing stimulus were provided, ASD children exhibited higher social referencing behaviors based on the type of musical reinforcing stimulus. This suggests that musical reinforcing stimulus go beyond providing immediate effects as simple sensory stimuli inducing attention, expanding their applicability to include social behaviors as social reinforcing stimulus. Through this research, it was confirmed that musical reinforcing stimulus can reinforce referential behaviors in the social context, such as attempts or engagement in meaningful social behaviors following joint attention behaviors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Additionally, a systematic comparison between musical stimulus and sound stimulus in the auditory stimulus revealed the social referential behaviors of ASD children. These findings may serve as evidence for the effective use of musical reinforcing stimulus in the construction of interventions targeting joint attention responses in ASD children.

      • 한국 신학대학교들의 설교교육에 대한 소고 : 감리교신학대학교, 서울신학대학교, 장로회신학대학교, 총신대학교, 침례신학대학교의 설교교육과 설교교육인력에 대한 연구

        김온유 서울신학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began with the question 'What is the content of Korean Homiletics, and what is its position and direction?' However, Christianity has developed greatly, and in a cultural context with inundating theological education institutions, it is difficult to include the wide range of contents of Homiletics in a single master’s thesis. In German-centered European biblical scholarship, Homiletics originated from systematic theologians and systematic theology, and Homiletics in the US-centered English-speaking biblical scholarship developed from Biblical theologians and theology of the Bible. In other words, great difficulty is imposed to study Homiletics content and position in European and English-American cultures, as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a comprehensive study on systematic theology and theology of Bible. Therefore,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oo broad to be studied in a single master's thesis. However, the historical peculiarities of Korean Homiletics development enabled us to study this bold subject, as Korean Homiletics started with a distinct academic identity that is different from other cultures. An example of this is Pyong-yang Theological Seminary. Regarded as the beginning of Korean theological education institutions, the Seminary already had a professor of Homiletics, Charles Allen Clark, and Homiletics was taught as a thoroughly distinguished theology field from other fiels. In addition, most Korean theological education institutions today have professors who majored in Homiletics, and professors majoring in systematic theology or biblical studies are not involved in Homiletics. Naturally, Korean Homiletics was solely owned by Homiletics scholars and professors. In the end, the question 'What is the content of Korea Homiletics and what is its position and direction?' can be answered as 'a study of preaching education and preaching education personnel in theological education institutions' without accompanying comprehensive research in other theological fields. In addition, given that most of the Homiletics professors at major Korean theological seminaries are first- or second-generation Korean scholars, research on this subject can be sufficiently presented as a master's thesis. The researcher analyzed and studied various Homiletics-related materials introduced in Korea and received greater assurance and conviction through dialogue with Dr. Jung In-Gyo, the supervisor of this paper, and was led to pursue this study. The scope of this paper is as follows. First, I have included five theological educational institutions that represent Korea as the scope of my research: Graduate School of Theology at Methodist Theological University (Professor Lee Sung-Min), Graduate School of Theology at Seoul Theological University (Professor Jung In-Gyo), Graduate School of Theology at Presbyterian University and Theological Seminary (Professor Kim Un-Yong), Graduate School of Theology at Chongshin University (Professor Kim Chang-Hun), and Graduate School of Theology at Korea Baptist Theological University (Professor Moon Sang-Ki). Second, the scope of the course was limited to subjects on preaching taught from first semester of 2011 to first semester of 2016. Third, I used the materials provided by homepages of each institution and the data from interviews with Homiletics professors of each institution. The contents of this paper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valuation criteria for preaching education and preaching education personnel were presented. In this section, evaluation criteria presented in this paper were comprehensively studied, as pedagogical evaluation criteria for the curriculum evaluation and homiletics evaluation criteria for the homiletics evaluation were presented. Through this, the study presents a concrete framework of the universal evaluation standard for the evaluation of the preaching education, which had not been conducted in Korean Homiletics research to date. Second, the study and evaluation of the curriculum of the graduate theology schools and the place of preaching subjects in the curriculum were presented. In this section, a comprehensive evaluation of educational goals, contents of education, and organizational structure of each educational institution, as well as the degree of concentration in theological fields and the concentration of preaching in the curriculum were studied and evaluated. Through this, the study provides concrete data on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curriculum for each educational institution and the positioning of preaching education in the curriculum. Third, a detailed analysis on the preaching education personnel was attempted. In this section, the academic foundation of preaching education personnel, their academic tendency through book and transcript, and their educational interest through the courses that they established were studied and evaluated. Through this study, I present a detailed and comprehensive study and evaluation on the academic and educational capacity of preaching teachers in each educational institution. Fourth, a concrete evaluation of preaching education was presented. In this section, an evaluation was made on the alternatives of educational institutions, considering the depth of research for Homiletics subjects, the organizational aspects, and the competence aspects of preaching education personnel to promote preaching education. This suggests a concrete alternative to where each education institutions should be directed to promote preaching education. Overall, this study presents the current situation of preaching education in five theological educational institutions representing Korea, the academic and educational characteristics of preaching education personnel in each educational institution, suggestions for promoting preaching education in each educational institution, and the ideal model for preaching education in Korean theological universitie

      • 고순도 알긴산 제조와 특성평가를 통한 재생의학적 응용에 관한 연구

        김온유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알긴산은 캡슐화된 세포의 활성도 및 쉬운 생산성 등으로 인하여 세포배양을 위한 3D 지지체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체내 이식시 알긴산캡슐에 대한 숙주의 면역거부반응으로 인하여 캡슐화된 세포의 기능상실, 대식세포의 과증식으로 인하여 캡슐이식의 문제점을 야기 시킨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Korbutt방법을 이용하여 고순도 알긴산을 제조하였다. 고순도 알긴산 제조과정은 활성탄으로 알긴산 내 불순물을 제거한 후, 여과튜브를 이용하여 알긴산 분자사슬 내 불필요한 짧은사슬을 제거하는 과정을 통하여 제조하였다. 이러한 고순도 알긴산의 효과는 특성분석 및 구조분석과 세포 생존률분석 및 면역반응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특성분석결과 고순도 알긴산에서 면역거부반응의 주원인인 단백질 함량이 감소되었고, 짧은 사슬제거와 에스터화에 의해 분자량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1H-NMR분석을 통하여 면역자극인자의 활동을 야기 시키는 만뉴론산 함량이 감소됨을 확인하였다. 고순도 알긴산을 제조한 후, 이에 관한 응용연구를 도모하기 하고자 섬유륜세포를 고순도 알긴산과 본연의 알긴산에 파종한 후 MTT 분석을 통하여 세포 친화도를 확인하고 섬유륜세포에서 발생하는 특이적 유전자 발현을 확인하기 위하여 PCR을 수행하였다. 또한 알긴산 캡슐에 포접된 섬유륜 세포의 in vivo 환경에서의 세포 거동을 관찰하기 위하여 누드마우스 피하에 이식한 뒤 4 주 후 적출하여 조직학적 염색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in vitro, in vivo 모두에서 본연의 알긴산에서 보다 고순도 알긴산에서 섬유륜세포의 친화도나 표현형유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보아 고순도 알긴산이 추간판 디스크재생에 있어서 유용한 생체재료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Alginate, a polysaccharide extracted from brown seaweed, remains the most widely used biomaterial for immobilizing cells to be transplanted, that is, for forming the microcapsule core, because of the good viability of encapsulated cell and the relatively ease processing for cell encapsulation. However, the main drawback is the immune rejection in vivo. To overcome this problem, we have developed using Korbutt method for alginate purification. Alginate solution was purified by removing proteins and short chain through and ultracentrifugation followed by multiple filtration and precipitation. We analyzed the properties such as protein, viscosity, 1H-NMR, cell viability and immune response of alginate before and after purific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difed Korbutt purification method reduced the amounts of known contaminants, that is, proteins and 1H-NMR, the proportion of guluronic acid increased and mannuronic acid conversely decreased with the purification process. After alginate was purified, purified alginate microcapsules were used for intervertebral disc regeneration. Annulus fibrosus(AF) cell were seeded in purified and non-purified alginate microcapsules, and then cell viability and proliferation were analyzed by 3-(4,5-dimethylthiazol-2-yl)-2,5 diphenyltetrazolium bromide(MTT assay) and was performed to assess Reverse transcription - polymerase chain reaction(RT-PCR). AF cell-loaded alginate microcapsules were implanted into a back of BALB/c-nu nude mouse, and the tissues surrounding implants were harvested and evaluated by histology through H&E, MTS, Safranin-O staining after 4 week. In this study, AF cells in purified alginate microcapsules had higher cell survival rate and more phenotype expression than those in non-purified alginate microcapsules.

      • 기독대학생의 불안수준과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불안특성 분석과 목회상담학적 함의

        김온유 총신대학교 목회신학전문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 연구는 기독대학생의 불안수준과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불안특성을 조사 연구하여 목회상담학적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독대학생들이 가지는 대학생활에서의 특성들은 불안이라는 문제 앞에서 다양하고도 특별한 불안유형과 특성의 수준들이 있다고 가정하고 그 불안수준과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불안특성들을 연구하기 위해 그 설문조사를 하였고 그들의 일반적인 특성, 불안수준(고, 중, 저)에 따른 진로장벽, 심리적 특성, 신앙생활의 차이, 불안과 영향 변인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불안요인은 무엇인지 체계적으로 살펴보았다. 대상 표집은 조사 당시 신학과 332명, 일반학과 1350여명(합1682여명)인 기독교종합대학 총신대학교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무선 표집 되었다. 그 가운데 500명 대상을 무작위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설문조사 기간은 2017년 4월 1일부터 6월 5일까지 실시하였고, 총 500부를 배부하여 471부를 회수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문제에 따른 분석 방법으로 첫째, 기독대학생의 일반적인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기독대학생의 수준(고, 중, 저)에 따른 진로장벽, 심리적 특성과 신앙생활의 차이는 어떠한지를 파악하기 위하여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셋째, 기독대학생의 불안과 영향 변인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넷째, 기독대학생의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지 체계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위계적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한 결과 불안 저 집단은 전체 중 19.3%, 중 집단은 62.6%, 고 집단은 18%로 분포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로 나타났다. 첫째, 연구결과 진로 및 진로 특성이 불안에 미치는 영향력 결과를 살펴보면, 진로계획으로써 대학 졸업 후의 진로는 결정여부를 질문한 결과, ‘그렇다’가 76.1%, ‘아니다’ 23.9%로 과반수이상이 진로를 결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 졸업 후의 진로는 어떻게 계획하고 있는지를 질문한 결과에는 ‘취업’이 32.4%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는 대학원 진학, 기타, 유학 순이었다. 대학 졸업 후의 취업(혹은 진학)을 위하여 어느 정도 준비하고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에서는 ‘보통’이 33.3%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별로 열심히 하고 있지 않음’, ‘비교적 열심히 하고 있음’, ‘전혀 하고 있지 않음’, ‘매우 열심히 하고 있음’ 순으로 나타났다. 즉 졸업 후의 진로결정(대학원진학 포함)이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장벽은 진로에 대한 불안으로 인한 심리적 고통인데 대인관계 어려움, 자기명확성 부족, 경제적 어려움, 중요한 타인과의 갈등, 직업 정보의 부족, 나이문제, 신체적 열등감, 흥미부족, 미래 불안들은 기독 대학생의 불안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독 대학생의 심리적 특성이 불안에 미치는 영향력의 결과를 살펴보면, 회복탄력성과 부모애착이 기독 대학생의 불안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회복탄력성이 높을수록, 부모애착도가 안정적으로 형성되었을수록 불안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독 대학생의 신앙생활 특성이 불안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면, 성경읽기, 교회생활참여도, 교회에서의 신앙 상담 경험, 상담기관 상담 경험이 기독 대학생의 불안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앙생활 특성이 불안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교회 신앙 상담 경험, 성경읽기, 교회생활참여도, 상담기관 상담 경험 순으로 기독 대학생의 불안에 부적 관계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독 대학생의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인 조사결과 가정경제수준이 높을수록, 가정의 분위기가 화목할수록 불안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으로 기독대학생의 불안요인을 감소시킬 수 있는 목회적 상담으로써 진로장벽의 제거, 탄력성 회복, 가족애착의 함양, 신앙상담과 영성 함양 등을 해 주어야 할 것이며 제도적인 지원과 대학교 내의 상담센터를 최대로 활용하는 것이 기독대학생들의 건강한 대학생활과 장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후속연구에서는 기독대학생들의 불안요인과 불안유형의 극복에 대해 조사하고 평가할 수 있는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전문적인 연구와 프로그램 계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것과 이 연구가 기독대학원생들에게도 확장되는 것을 제안한다. Major in Pastoral Counseling Professional Graduate School of Pastoral Theology Chngsahin University Kim, Ohn-you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counseling method of the pastoral care by studying anxiety level and anxiety affecting anxiety level of Christian college students. The characteristics of Christian college students in college life are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re are various and specific types of anxiety and trait characteristics before the problem of anxiety. In order to study the anxiety characteristics that affect the level of anxiety and anxiety. The questionnaire was us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barrier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beliefs, anxiety and influence variables according to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anxiety level (high, middle, low) We examined systematically the factors. The sample was randomly sampled for college students at Chongshin University.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April 1, 2017 to June 5, 2017, and a total of 500 copies were distributed and 471 copies were collected. First,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Christian college students. Second, one way ANOVA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 of career barrier,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faith life according to the level of Christian college students (high, middle, low). Third,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and influence variables of Christian college students. Fourth, we conducte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systematically factors influencing anxiety of Christian college studen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anxiety level was classified as high, middle, and low, and the anxiety group was distributed in 19.3% of the total, 62.6% of the middle group, and 18% of the high group. As a result of the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survey, which shows the anxiety of Christian college students, the higher the level of home economics and the better the home atmosphere, the lower the level of anxiety. The effects of career and career characteristics on anxiety were examined, and career planning, graduate school entrance, and career barriers were foun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anxiety of Christian college students. The results of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Christian college students on anxiety showed that resilience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anxiety of the theological college students. The effect of religious life characteristics on the anxiety of Christian college studen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anxiety of the theological college students, the Bible reading, participation in church life, experience of faith counseling in church, and counseling agency experi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factors affecting the anxiety of the students were found to be influenced by the experience of church faith counseling, Bible reading, church life participation, counseling agency counseling. In conclusion, as a pastoral counseling that can reduce the anxiety factors of Christian college students, it is necessary to remove career barriers, restore resilience, foster family attachment, faith counseling, and spiritual growth. It will have an impact. In the follow - up study,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measurement tools and validation studies that can investigate and evaluate the anxiety factors and anxiety types of Christian college students and suggest that this study should be expanded to Christian graduate students. In other words, it is urgent to develop professional researches and programs to solve the pathological problems and causes of the anxiety level of Christian college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