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아유르베다 체질과 오행체질 비교 연구 -체질에 따른 식이요법 중심으로

        김옥진 선문대학교 통합의학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63

        국문초록 아유르베다 체질과 오행체질 비교 연구 김 옥 진 자연치유전공 선문대학교 통합의학대학원 지도교수:이 거 룡 현대인들은 시대의 빠른 변화 속에 과도한 긴장, 지나친 경쟁사회, 높은 스트레스, 숨 막힌 공해 속에 살고 있다. 또한 식이섭취는 칼로리적, 영양학적, 인스턴트, 무분별한 식사, 개인주의 식생활, 간편함과 멋 추구, 자연식품(유기농식품, 친환경식품), 전통식품, 건강식품, 맞춤형 식품, 외식 문화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져 가고 있다. 그와 함께 질병은 약물이나 병원치료로도 해결되지 않는 각종 암, 스트레스성 질환, 생활습관 병, 만성질환으로 인한 환자들은 더더욱 급격히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그로인해 건강지향성 식품이 대두되고 건강과 장수를 위한 식품 즉, 항암, 면역강화, 노화억제, 고령자용 식품, 비만방지, 성인병예방과 개선 식품, 건강유지와 향상식품을 요구하면서 더불어 자연치유에 대한 관심도 점점 높아져 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자연치유의 핵심이고 가장 기본인 식이요법을 강조함에 있어 체질에 따른 식이섭취의 중요성을 깨달아 인도의 전통 자연의학이자 지혜가 담긴 아유르베다(Āyur-Veda)의 『짜라까 상히따(Caraka Saṁhitā)』에 근거해서 체질별 식이요법(mātrāśī)과 중국의 전통의학서이자 지혜서인 『황제내경(黃帝內經)』의 오행론을 근거해서 오행 체질별 식이요법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로 진행하였다. 먼저 두 체계의 사상적 배경을 살펴보고, 근본 물질 요소의 속성을 살펴 체질, 맛과 음식과 인체와의 관계, 체질별 식이요법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고찰을 위해 세 가지 연구를 설정하였다. 첫째, 아유르베다와 오행론의 체질 비교분석, 둘째, 아유르베다와 오행론의 체질에 따른 식이요법 비교분석, 셋째, 위의 두 의학의 체질별 식이요법에서 우리나라 현대인들에게 필요한 식이 요법 효용성은 무엇인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아유르베다와 오행론은 우주와 자연과 인간은 모두 동일하다는 점에서 출발하는 것과 육체적, 정신적, 영적인 건강에서 식이섭취가 크나큰 역할을 한다는 점을 강조함에서 공통점이 있다. 체질에 있어서 아유르베다의 체질(doṣa)은 우주적 본질들, 즉 지, 수, 화, 풍, 공 등 5가지 원소들에 대한 기본골격을 이루며 신체적 세 체질(tri-doṣas), 곧 바따 체질(vāta-doṣa), 삣따 체질(pitta-doṣa), 까파 체질(kapha-doṣa)을, 오행체질은 우주의 다섯 가지 물질요소 속성대로 목형, 화형, 토형, 금형, 수형으로 바탕이 되었다. 두 의학체계에서는 공통적으로 체질에 따른 맛과 음식을 섭취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단맛, 신맛, 매운맛, 쓴맛, 짠맛, 떫은맛(담백한 맛) 이영주(2011), 오행체질과 오미별 음식섭취 및 장부질병 관계, p.29. 아유르베다 여섯 가지 맛이고 오행은 다섯 가지 맛이지만 떫은맛을 더하여 두 체계의 맛을 동일하게 보았다. 의 섭취에 따라 질병을 증가, 또는 완화시키고, 감정과 마음의 상태도 영향을 미치므로 체질에 따라 섭취해야 할 음식과 맛, 절제해야 하는 음식과 맛을 밝히고 있다. 주제어: 아유르베다의 체질, 오행체질, 6가지 맛, 체질식이요법,

      • 눈꽃동충하초 추출물이 쥐의 대식세포에서 TNF-α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김옥진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Mushrooms have been valued as an edible and medicinal resources. Paecilomyces tenuipes is one of the medicinal entomopathogenic fungi. To understand the molecular mechanism of the effect of Paecilomyces tenuipes extract, we have tested whether Paecilomyces tenuipes regulate TNF-α expression. Paecilomyces tenuipes and Cordyceps militaris extracts were prepared by methanol extraction. P. tenuipes and C. militaris extracts stimulate the TNF-α promoter activity in RAW 264.7 cells permanently transfected with TNF-α promoter luciferase vector. And RT-PCR analysis showed that P. tenuipes extract increased the levels of TNF-α mRNA in RAW 264.7 cells in a dose-dependent manner suggesting that Paecilomyces tenuipes extract increases TNF-α expression in RAW 264.7 cells at expression of TNF-α gene. Furthermore Paecilomyces tenuipes can also induce the NFκB gene expression in a dose-dependent manner in RAW 264.7 cells permanently transfected with the pNF-κB-Luc construct containing three repeated NFκB factor binding site. This results indicate that P. tenuipes and C. militaris extract can induce TNF-α expression via NFκB. To confirm the NFκB-dependent activation of TNF-α expression, mRNA of iNOS mRNA was analyzed by RT-PCR. The results also represent that P. tenuipes triggeres the NFκB gene activation. This study shows that the Paecilomyces tenuipes extract activates immune response via increasing NF-κB-dependent TNF-α promoter gene expression.

      • 知識基盤經濟와 勞動市場構造 變化에 관한 硏究

        金玉鎭 조선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47

        In the 21st century, it is anticipated that high-tech will play a leading role in the change of industrial structure with rapid technical progress, and the demand for skilled workers with higher academic career will increase in labor market, and the population structure in Korea will change from the aging society to the aged society. The mid-long term change of economic environment such as globalization and informationalization in the course of switching over to knowledge-intensive society will give lots of influences on labor market. In the side of labor supply, there will be such changes as slowdown of increasing rate of labor supply, decrease of the number of young people and increase of the number of middle-aged people, increase of women labor force participation rate, and increase of persons with higher academic career. In the side of demand for labor, there will be such changes as increase of demand for multi-skilled workers and experts in information analysis and scientific technology, reformation of wage and promotion systems, strong request for the flexibility of labor market, increase of investment in technical education, vocational training and R&D. The influences of economic environment change on labor market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industrial structures are changing rapidly due to the globalization and the development of knowledge-intensive industry, and so skill mismatch and disposition of manpower between rising and declining industries are becoming important labor problem. Accordingly, the devices shall be necessary for the employment adjustment of surplus labor in declining industries, retraining of workers for reallocation, and smooth turnover of labor. Second, the globalization requires managers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production factors, labor in especial, the life cycle of product to be short, and production organization to shift into the just-in-time system. Therefore, firms will try to acquire, by all means, the flexibility of labor market, and core workers will be assured of employment for life, but peripheral workers will be employed for expediency temporarily. Accordingly, the wage system will change from the seniority system to the efficiency wage system. Third, the type of employment will be various, and irregular employment such as part-time, temporary, daily, dispatched, contract employments, and outsourcing will be increasingly prevailing. Firms shall necessarily establish new standards relating to wage and promotion, etc. for irregular employment. Fourth, informationalizaion and technology-knowledge intensification causes to increase the demand for mufti-skilled workers who have the ability to handle computer, NC(numerical control) machine, CAD/CAM(computer aided design/computer aided manufacturing), CMS(cash management system), FMS(flexible manufacturing system), etc.. Therefore, self development, technical and informational educations, and vocational training in the firm will be activated, and the investment for these will be increasing. Fifth, the slowdown of the increasing rate of labor supply means, in mid-long term, the fact that labor force is decreasing in numbers. To solve this problem of the shortage of labor supply, the participation rate of idle labor force such as women, the aged and the youth will necessarily increase. Especially the number of women desiring to take part in economic activity will rise due to the spread of household electric appliances, highly schooling, birthrate decrease, higher wage, and so on. Sixth, the manpower of production work will become short because of the general tendency that most people with higher academic background are avoiding production work, and the ratio of the youth is decreasing. Therefore, the firms could not help substituting capital and technology for labor. Seventh, women will be asking for the guarantee of their employment for life according as they enter more and more into labor market. Along with the general trend of enforcing the impartial employment law for women and reducing the provisions to protect women, the sexual dualism will be diminishing in labor market. Eighth, it is expected to transit to the aged society in Korea in 2005. And so new system of wage and labor standard should be established for the reemployment of the aged who have already retired.

      • 재귀반사 잉크를 이용한 패턴 형성 및 보안 응용 연구

        김옥진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지금까지 유통되고 있는 기존 화폐는 대부분 빛이 충분히 존재하는 환경에서만 육안으로 위조방지 기술을 확인 할 수 있다. 반면에 위폐의 사용은 대부분 화폐를 여러 장 함께 사용하는 경우와 빛이 충분하지 않은 야간의 경우에 유통되는 것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고 본다. 여러 장을 함께 사용할 경우에는 그 위폐의 감별 확인이 어렵겠지만, 빛이 부족한 야간의 경우에는 조금만 관심을 가질 수 있게 만들어 주는 장치만 있다면 위폐에 대한 감별을 쉽게 할 수 있을 것이며 이로 인하여 지금까지 적용되고 있는 위조방지장치들을 유심히 확인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빛이 부족한 상태에서도 쉽게 위폐여부를 의심 할 수 있게 만들어 주는 1차적인 요소가 절실하다 사료된다. 이번 연구는 빛의 반사 성질 중 입사광과 출사광의 방향이 같은 재귀반사(retro-reflection)성질을 이용한 특수 잉크를 제조 사용하여, 첫째 손쉽게 위폐여부의 의심을 할 수 있는 동기부여, 둘째 특별한 장치 없이 대다수의 사람들이 휴대 하고 있는 휴대폰 단말기를 통한 위폐여부 확인, 셋째 스캐너와 디지털 프린터, 복사기 등을 통하여 같은 효과를 낼 수 없게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이러한 재귀반사 잉크를 홀로 사용하지 않고, 다른 여러 특성을 나타내는 물질(Ag페이스트)과 혼용함으로써 2차적 위조를 방지하는 효과 또한 두고자 한다. Most of the existing money that has been circulated so far has been able to identify the anti-counterfeiting with naked eyes only in the presence of light. On the other hand, the use of counterfeiting of multiple currencies and circulation of this money is mostly done at night when there is not enough light. If you use multiple chapters together, it may be difficult to identify the counterfeit, but if you have a device that allows you to detect the counterfeit in the case of night, it will be helpfu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have a primary factor that makes it easy to suspect whether or not it is counterfeit even in the case of insufficient light. In this study, we used a special ink with retro-reflection property that is the property of the surface that reflects light back to the source with a minimum scattering. First motivation was to make it user friendly. Secondly, an effort was made to make it compatible with cell phone. For security purposes third motivation was that the same effect cannot be obtained through a copying machine or similar devices. In addition, the effect of preventing secondary forgery by mixing such a recursive reflection ink with a material (Ag paste) exhibiting various other characteristics without using the ink alone is also intended.

      • 드러나는 것과 감추어지는 것

        김옥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 시대를 살아가는 인간은 그 안에서 자신이 속한 시대의 영향을 받는다. 또한, 이미지의 홍수로 특징지워지는 현대 사회는 우리에게 엄청난 양의 시각적 경험들을 제공해주고, 그러한 다양한 경험 속에서 인간은 어느 순간 상실된 자아의 모습을 발견하게 될지도 모른다. 본인은 이러한 것을 작품을 통하여 들을 수 있는 것을, 느낄 수 있는 것을, 보이는 것을 가지고 들리지 않는 것과 만져지지 않는 것과 볼 수 없는 것을 담아 놓고 싶을 때가 있다. 보이는 것을 통하여 보이지 않는 것을 담아 느끼게 해 주고 싶은 욕망이 있다. 형식에 담겨 있는 내용을 주고 받고 싶을 때가 있다. 그리고 들을 수 있는 것, 느낄 수 있는 것, 보이는 것이 감추어지고, 들리지 않는 것과 만져지지 않는 것과 볼 수 없는 것을 드러나 보이게 하고 싶다. 본 작업은 사진과 천을 통한 표현으로 드러나는 것과 감추어지는 것, 투명과 불투명, 단편과 복합 등 화면의 이중적인 유희를 보이고자한다. 드러나는 것과 감추어 지는 것은 실제 눈에 보이는 것 보다 감추어 진 것이 더욱 드러나는 것을 의미한다. 그것을 표현하기 위해 드러나 있는 몸의 형상을 통해 감추어진 마음을 알아 감으로써 내면의 세계를 드러내는 것을 사진적 이미지로 투명성과 반복성을 통해 표현해 보고 천을 통한 표현으로 감추어 진 것을 더욱 드러나 보기게 표현하는데 주력하였다. 만약 내용에 치우쳐 역동적인 표현이 불가능하게 되면 그것은 죽은 표현이 되며 형식에만 치우친다면 그것 또한 공허하게 된다. 마치 우리 인간에게 있어서도 몸과 마음이 있다면 정신과 육체, 몸과 마음이 결국 하나가 되어 인간을 이루고 있듯이 몸을 빌어 그 사람의 형상을 보게 되고 그 형상을 통해 마음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지금 스스로에 작품과 그 근본에 대해 물음을 던진다. 본인에게 있어서 본 연구를 통하여 그간에 전개된 작업들이 체계적으로 정리해 왔는지 정리를 해 보면서 질문에 근접할 수 있는 해답을 찾아가는 과정을 보이게 될 것이다. 이 논문을 쓰면서 생각의 깊이뿐만 아니라 표현과 매체와의 관계 또한 넓히게 되기를 원한다. 작업의 과정 속에서 작업이 스스로가 말하고자 하는 것의 사고의 차이를 느끼게 되며, 그 폭을 좁혀나가기 위해 노력하고, 이로 인해 작가의 조형세계로 더욱 나아가기를 원하는 연구가 될 것이다. 본 논문은 실재 본인의 작품 12개를 중심으로 분석과 새로운 해석을 곁들이며, 실재 조형이론에 접하고자 한다. Artists usually try to convey subjects from something that has sound, feeling and visible visuals to the unheard untouchable things. There is always a desire to show what is seen to something that is not. I would like to expose the things, which can be watched, felt and heard. My work deals with transparency, borrowing the medium from photography and the use of lighting. Because the artists reveal themselves through there art work they would like to give life of the things inside themselves through a specific subject or object. And by having to be able to communicate with the viewer and have a response with the artwork, there is a truthful meaning in the work itself. So to an artist putting in an objective expression into the work is the key factor. Through that expression there is the artists purpose of work and from that concrete form is made. In other words the artist purpose of work is the contents, and concrete form is the expression of the contents. The content and form of my work is expressed in using elements like transparency, photography and lighting. If the contents are too focused then the artist starts to have difficulties to express freely and if the form is too emphasized the work becomes hollow. Like the human body the soul and spirit must be the same as with the body itself. Through the body, which is the form of the human being we feel and realize the spirit of the person. In my work the elements that forms the work are the connection of the soul and body. To see it enlarge it has the same relation with visual and non-visual the transparent and non-transparent, the single and numerous etc. Many dual meanings are compressed inside my work. It is like realizing the soul of the human by getting to know the inner side of the person. I will try to show the inner side of the human and would like to call it love. How can objects, the universe and natural resources be revealed with love? With what the tinted autumnal leaves hidden inside the green leaves, the fruit that is concealed in the flower, the spirit behind the body, the life hidden in the seed, the love inside the soul. Who can an artist reveal the subjects above into a medium? How can we extract a long time of period into a single moment? How can it be visually modeled? From this question my artwork has been seeded. From this thought I questioned myself deeply and that progressed into an idea. As arranging my thesis I ask myself if my work has been systematically approached and through my work you will see my journey in trying to find the answers I questioned. I hope not only my thoughts buy the relation between expression and medium has broadened. Trough this work progress I noticed the gap between the work itself and what I thought. My work is the endurance of shortening that gap and I hope from the things I learned I hope I achieved a larger boundary as an artist in the art field. In this thesis ten of my art works were analyzed with new interpretations, which were also applied to formative art theories.

      • 백자를 이용한 차도구(茶道具) 디자인 개발 연구

        김옥진 호남대학교 사회융합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의 차 문화와 도자기는 삼국시대와 고려시대의 최대의 전성기를 누렸던 이후 조선시대에 억불숭유 정책으로 인하여 불교와 함께 쇠퇴하기 시작해 일제 강점기를 지나면서 차 문화뿐만 아니라 우리의 다양한 문화들까지도 거의 전통의 맥을 잃어가게 되었다. 그 후 1980년대부터 전통문화의 계승과 보급을 위하여 차의 재배와 생산이 많아지면서 점차 차 문화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으며, 또한 차가 갖는 사회적, 문화적 기능과 더불어 약리적 효능에 의해 차 문화에 관심이 증가되면서 차뿐만이 아니라 차도구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차도구에 있어서 그 소재와 유형은 매우 다양하고 시대에 따라 많은 변화를 가져왔으며, 도자재로서의 차도구는 점토재료와 유약에서 주는 질감과 기물에서 보이는 조형미는 모든 차 애호가들이 가장 선호하고 선택하는 최고의 다구인 것이다. 그중에서도 백자의 차도구는 단아한 백색의 찻그릇에 차 고유의 색깔을 그대로 드러나 보이게 하여 그윽한 차향 느낄 수 있는 가장 좋은 도자기이자 차도구의 백미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우리의 전통이 깃들어 있는 조선조 백자는 성리학적 의식세계를 반영하듯 흰색 그 자체의 힘을 극대화하여 백자의 기형이나 문양, 색감에 있어서 선이 곱고 색이 순하여 아름다우며, 가장 선비적이고 절제된 자태를 보이며 깨끗하고 정적인 특유의 개성을 지니고 있어 차도구로서도 전통적, 심미적 가치와 함께 현대사회에서도 차로써 사람들이 함께 대화와 소통은 물론 서로 교감할 수 있는 최적의 도구이자 예술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위하여 조선백자의 발달 배경과 일반적 조형적 특징에 관하여 일반적으로 고찰하고, 차의 발생과 발달배경, 차도구의 시대적 특징, 유형 및 조형성에 관하여 관련 자료들을 조사하고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와 함께 우리 고유의 조선백자를 기본으로 하여 전통미와 현대적인 감각을 접목한 찻그릇을 디자인하여 새로운 개념의 차도구 시작품을 제작하고자 하였으며 차도구의 다양한 문양이나 장식기법보다는 제작과정에서 일어나는 유약의 질감과 유색 및 타 재료와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장식의 표현기법과 개발에 주안점을 두고자 하였다. 백자 차도구 시작품을 디자인함에 있어서, 기본적인 도구로 다관, 찻잔, 찻잔받침, 물 식힘 사발, 퇴수기, 등이 현대 차 문화생활에 간편한 차 생활을 하는데 편리하도록 간결하면서도 절제된 여유로움을 강조하면서 순박한 백자토를 활용하여 제작하였으며 다관 뚜껑손잡이와 다관 손잡이에는 백자와 잘 어울릴 수 있는 고온 열처리한 옻칠을 하여 순수함에서 강함을 추구하고자 하였다. 또한 찻잔받침, 퇴수기 받침은 많은 사람들에게 자연변화에 잘 순응하면서 자연에의 순화미의 상징이자 자연의 소재에 깊은 의미를 부여하기도 한, 강한 생명의 꽃인 연꽃을 기본 방향으로 하였으며, 부분적으로는 흑유를 시유하여 포인트로서 백자의 순수함을 역설적으로 강조하여 표현하고자 하였다. 특히 외래에서 들어오는 많은 차도구들 사이에서 한국의 절제된 순박함과 청순한 정서를 살리고자 백자 차도구의 미적표현과 실용성과 기능성을 살리고자 했으며, 백색 순도가 높은 점토를 태토로 하여 고온소성하면 화려하게 드러나 보이지만 태토에 적합한 유약과 온도조절을 통해 조선백자에서 느낄 수 있는 검소하고 소박한 은근한 백색의 느낌과 청순함에서 오는 절제된 여유로움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차 생활을 하는데 있어서도 기본적인 좋은 차와 좋은 차도구가 떨어질 수 없는 관계라는 것을 강조함과 아울러, 차도구의 각 용도에 따른 기물들의 형태를 중요시 하였으며,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다양성이 공존하는 현대사회에서 전통적 조형요소들을 기반으로 현대의 시대적 감각에 맞는 새로운 차도구의 재해석과 현대 차도구의 다양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연구자의 시작품으로서 이를 표현하고자 하였다. 앞으로도 더욱 다양한 재료와 유형의 차도구의 디자인 연구와 시제품 개발로 차 애호가들로부터 소장하고 싶은 새로운 개념의 예술품이자 실용품으로서 존재하기를 바라며, 현대인들에게는 감성적 여유와 안식을 위한 필요충분한 도구로서 보다 자리매김 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해 본다.

      • Project MUSE를 적용한 박물관 교육 프로그램 개발 : 국립 고궁 박물관을 중심으로

        김옥진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학습자 스스로 주체적으로 학습의 방향과 과정을 구성하는 학습 사회 속에서 다중지능이론을 기반으로 한 학습자 중심의 박물관 교육 프로그램을 구안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의 내용적 범위는 H. Gardner의 다중 지능 이론을 중심으로 하였으며, 다중 지능 이론을 바탕으로 한 학교 교육과 박물관 교육의 연계성을 고려하였다. 따라서 ‘Harvard Project Zero’의 박물관-학교연계 프로그램인 Project MUSE (Museums Uniting with Schools in Education)의 교육적 접근법을 프로그램 구성의 기본 원리로 설정하였다. 프로그램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뮤즈게임(Generic game)활동과 도입법(Entry Point Approach)을 통하여 국립 고궁박물관의 유물과 전시를 이해하고, 학습자의 강점지능을 활성화하는 학습전략을 통해 초등 5학년 교과 과정과 연계된 조선의 왕과 왕실 문화를 이해할 수 있는 학습활동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프로젝트 뮤즈를 적용한 박물관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 개발과 관련하여 학습 주제를 추출하기 위하여 프로그램 적용 대상인 박물관을 선정하였다. 둘째, 해당 박물관의 전시 유물과 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계성을 고찰하였다. 셋째, 박물관에서의 교육을 위한 박물관의 전시실별 대표 유물 및 중심 유물을 선정하였다. 넷째, 앞 선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교육 프로그램의 주제를 선정하였다. 다섯째, 선정된 주제를 바탕으로 학습 목표를 설정하였다. 여섯째, Project MUSE의 교육적 접근법을 활용하여 학습 활동을 구성하였다. 이 학습 과정은 크게 3가지 단계로 생각해 볼 수 있는데, 첫 번째는 뮤즈 게임을 활용한 개별학습 활동이고, 두 번째 단계는 유물 이해를 위한 도입법의 적용 과정이며, 세 번째 단계는 다중지능의 강점지능을 활용하는 주제 중심 접근법의 과정이다. 본 연구는 Project MUSE의 대표적 학습활동인 뮤즈 게임(Generic game)과 학습구조설계의 기반인 도입법(EPA)을 적용하여 개별 학습자의 성향과 흥미를 고려하고, 학교 교육과의 연계를 보다 활성화하기 위하여, 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을 새롭게 재구성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박물관에서의 학습 활동이, 객관적 자료와 정보의 습득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재현된 전시의 의미와 가치를 찾아내고 이해하는 박물관의 고유한 학습 기능이 활성화되기를 기대해 본다. 주요어 : 다중지능 이론, 박물관 교육, 프로젝트 뮤즈, 뮤즈 게임, 도입법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configure the learner-centered educational museum programs that learners can learn by themselves with the direction of the initiative process based on the multiple intelligences theory.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cope of this study is, H. Gardner's Multiple Intelligences theory was centered, based on multiple intelligences which is related to learners between school education and museum education. Therefore, Project Museums Uniting with Schools in Education(MUSE) as a partial research of the Harvard Project Zero was set to the basic principles of configuration. Because Project MUSE turned the focus from subject or theme to learner, and to connections that are based on the activity of learning itself. The mainly contents of the program apply to Generic game as a thinking tool and Entry Point Approach through the National Palace Museum's artifacts and exhibits. The program is to understand culture and heritage about the king and the royal family of Chosun Dynasty for fifth-grader's history class with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In this study, the process of developing educational programs of museum based on Project Muse are as follows: First, one of the museum was chosen by relevance to learner's multiple intelligence and main learning theme was extracted from museum exhibits. Second, that the museum's exhibits and artifacts were examined the connectivity between school curriculum and learning activity through visiting museum. Third, representative and main artifacts was chosen by standards for the possibility of theme-based learning and understanding museum educational goal. Fourth, the educational learning theme or topic was chosen by the former analysis. Fifth, the learning objectives was set based on those chosen theme. Sixth, Project MUSE's educational approach was utilized to configure the 3 stages of learning activities. the first stage is Generic game for individual learning activities, the second stage is the application of Entry Point Approach for understanding about each artifacts and the exhibits, third stage is the process-oriented learning approach with learner's intelligence from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This research suggested that how to develop the museum program newly based on the Generic game as a learning activity and Entry Point Approach as learning strategy of Project MUSE in the Multiple Intelligence theory. And this study proposed that how to configure and consider the individual learner's preferences and interests from school education to museum education. And I hope that learning activities with multiple intelligence with visiting museums will be activated not only the acquisition of objective data and information but also finding meaning and value of the recreated exhibition to understand the museum's own learning function. Key words : Multiple Intelligence(MI), Project Zero, Project MUSE, Museum Education, Generic game, Entry Point Approach(EPA) * A thesis submitted in partial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of Education.

      • 영어 동화를 바탕으로 그래픽 구성도와 유도 작문을 활용한 7세의 영어 쓰기 지도

        김옥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첫째, 유아 학습자의 글쓰기 활동 시 그래픽 구성도(graphic organizer)가 글의 유창성과 다양성에 영향을 주는가? 둘째, 유아 학습의 글쓰기 활동 시 유도 작문(guided writing)이 글의 구성력에 영향을 주는가? 셋째, 그래픽 구성도(graphic organizer)와 유도 작문(guided writing)을 사용한 쓰기 활동이 쓰기 능력 향상에 영향을 준다면 어떤 식의 쓰기 접근이 필요한가? 에 대한 것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실험을 위해 11명의 7세 유아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실험집단을 구성하여 5주간 실험수업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자는 완전참여자로서 수업을 진행하고 학습자들을 관찰하였다.첫 번째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학습자들의 쓰기 결과물을 글의 유창성과 다양성 부분에 대해 분석하였다. 글의 유창성 및 다양성에 대한 결과는 1~2주에 실행된 유도 작문만을 사용한 경우 평가 ‘상’에 해당하는 쓰기 결과물이 3개였고, 3주에 실행된 유도 작문과 개인별로 실행된 그래픽 구성도를 사용한 경우 중 ‘상’에 해당하는 쓰기 결과물이 5개였다. 4주에 실행된 유도 작문과 그룹으로 그래픽 구성도를 3가지 작성한 경우 중 ‘상’에 해당하는 쓰기 결과물이 6개였고, 5주에 실행된 유도 작문과 그룹으로 그래픽 구성도를 6가지 작성한 경우 중 ‘상’에 해당하는 숫자가 9개로 가장 높았다. 다양성에 대한 측면에서는 그래픽 구성도를 개인별고 한 3주와 그래픽 구성도를 그룹으로 진행하며 많은 예시문을 사용하여 학습자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한 5주에 더욱 다양하게 나왔다.두 번째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학습자들의 쓰기 결과물을 글의 구성력 부분에 대해 분석하였다. 글의 구성력에 대한 결과는 평가 ‘중’에 해당하는 수준인 주어진 문장의 형태와 비슷하거나 같은 경우에 대한 결과물의 개수로 볼 때 1주부터 5주까지 점차적으로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실험 집단이 수행한 유도 작문과 그래픽 구성도를 활용한 쓰기 활동을 관찰하고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낼 수 있었다.첫째, 그래픽 구성도는 유아 학습자들에게 본인의 생각을 글로써 표현할 수 있도록 생각을 정리하고 단어를 선택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으며 이는 글의 다양성과 글의 의사소통 측면에서 유창성의 향상과 글의 다양성으로 이어졌다.둘째, 유도 작문을 통한 쓰기 활동은 7세의 유아 학습자들에게 쓰기에 대한 두려움을 없애주며 쓰기를 시작할 수 있도록 돕는 촉진제 역할을 했으며 주어진 예문을 통해 단 시간에 목표 문형(target language)을 습득하는데 도움을 주었다.셋째, 유도 작문을 통한 문형은 단순해야 하며 유도 작문을 활용하기 전 말하기와 듣기, 읽기를 통해 충분히 문형에 대한 친밀도를 높여야 한다.세 번째 연구 문제는 ‘그래픽 구성도(graphic organizer)와 유도 작문(guided writing)을 사용한 쓰기 활동이 쓰기 능력 향상에 영향을 준다면 어떤 식의 쓰기 접근이 필요한가?’였다. 첫 번째와 두 번째 연구 결과에서 얻어진 결과를 바탕으로 볼 때 그래픽 구성도와 유도 작문은 유아 학습자의 글쓰기 능력 향상에 많은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 학습자의 글쓰기 접근 결과를 모색해본 결과 가장 중요한 것은 유아 학습자의 글쓰기 자체에 대한 흥미를 도모하여 동기를 유발시키는 것이다.Brown(2001)은 유아 학습자들의 내면의 동기를 중요시 여겼으며 ESL 교실 상황에서 내면의 동기를 유발시킬 수 있는 수업 방법을 제시하였다. 그것은 다음과 같다. 쓰기 수업을 생각의 과정으로 간주하여 학습자들이 본인들의 의사를 자유롭고 편안하게 발달시켜야 한다. 또한 읽기 수업에서는 학습자들이 본인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글을 이해할 수 있도록 지지해야 한다고 언급하였다. 그가 제시한 방법은 본 연구의 목적과 결과에 비추어 볼 때 일맥상통한다고 생각한다.Cameron(2001)에 따르면 EFL 환경에서 7세까지의 유아 학습자의 읽기와 쓰기를 발달시키기 위해서 문장의 관점에서 짧은 문장들을 여러 번 반복해서 써보고 그 문장들은 학습자에게 개인적인 경험으로 비춰줘서 내면화가 되어야 하며 여러 번 큰 소리로 읽어야 한다고 한다. 이 또한 본 연구의 실험 설계와 적합한 것이라 생각된다.따라서 유아 학습자의 쓰기 활동을 지도할 때는 유아 학습자들의 흥미도를 증진시켜야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반복된 패턴과 동작적 요소를 갖춘 활동이 되어 학습자들의 글쓰기에 대한 불안심리를 줄여야 한다. 또한 학습자들의 생각을 자연스럽게 의사소통의 한 방법으로써 글쓰기에 반영할 수 있도록 교수자가 글쓰기 활동을 이끌어야 한다.본 연구를 일반화하기에는 다음과 같은 제한점이 있다.첫째,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이 11명이고 영어유치원을 2년 이상 재학했기 때문에 연구의 결과를 7세의 모든 학습자에게 일반화하는데 무리가 있다.둘째, 본 연구자가 단독으로 실행을 진행했기 때문에 연구자의 편견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으므로 결과의 정확성에 제한이 있을 수 있다.셋째, 5주로 한정된 쓰기 활동이었으므로 유아 학습자들의 쓰기 발달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부족할 수 있으므로 결과의 정확성에 제한이 있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n writing competent particularly fluency, variety of words and sentence structure through experimental lessons by adopting graphic organizer and guided writing based on story books.In order to verify this study, a writing lesson plan including a graphic organizer and guided writing is produced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eleven seven-year-old children, seven boys and four girls, prior to entering elementary school, who had been attending an English kindergarten in Suwon City for approximately 2 years. The experimental lessons were conducted by the author over a period of five weeks, in five, 35-minute period a week. The lesson plan and materials for lessons which were made by author were used. Five English story books were used in total. Each of books was used in every week. Before young learners had writing lessons, a researcher helped them fully understand of the plot, words and sentence structures of the English story books. A practical writing activity is conducted on the last lesson of the week.The verification of this study is based on results of young learners' writing activity and the author's observation. The writing results of the young learner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writing standards of Anderson & Walberg(1974) and Heaton(1988). The components of the writing standards were applied and changed appropriate to the level of the young learners. In order to prove the three purposes of this study, advanced, intermediate, and elementary standards are used to analyze the content fluency of writing based on a communicative approach. Also the number of new words which were not in the English story book were counted to analyze the variety of words. Finally, to analyze how well young learners recognized and understood sentence templates through guided writing based on the English story book, advanced, intermediate, and elementary standards are used.The results were as follows.First, the graphic organizers have tremendous positive effects on arranging thoughts and selecting words to express young learners's thoughts. There was a clear improvement in writing results, in terms of the variety words and fluency focused on communication.Second, writing activities using guided writing for seven-year-children showed that using guided writing reduces the anxiety of writing and helps stimulate young learners to start writing. Also young learners acquired target language in a short amount of time.Third, the template sentence of guided writing should be simplified, and before applying the guided writing, the young learners should be familiar with the template sentences through speaking, listening and reading.Forth, according to above three results, there is clear evidence that graphic organizers and guided writing lead great improvement in young learners' writing competency. Given these results, the most important point in writing activities is encouragement, which is motivated by the young learners' interest in writing itself.Through the above results, it is revealed that the application of writing activities including graphic organizers and guided writing for seven years olds have positive effects on writing competency by reducing anxiety and the rejection of writing, and by creating in young learners on interest in writing itself.

      • 이기영의 『고향』연구

        김옥진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 시대를 나타내는 문학은 언제나 그 시대가 지닌 삶의 모습과 구조적 모순을 드러냄으로 해서 그 모순을 극복하려고 한다. 특히, 소설은 삶의 양상을 잘 드러내는 것이므로 사회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그렇다고 소설이 꼭 그 시대의 삶을 진실되게 기록했다고 말할 수는 없다. 이는 다만 다양한 삶의 모습에서 하나의 통일된 논거로 보편적 삶의 모습을 제시하기도 하고 그 시대의 구조적 모순을 표현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일제 지배하에 있어서 농촌이 지니고 있었던 조선인이 지닐 수 있었던 삶의 양상을 잘 나타나고 있다. 『고향』 은 당시 이기영이 살고 있었던 일제치하 조선의 농촌을 배경으로 한 농민소설이다. 당시 발표된, 농촌을 배경으로한 소설 가운데 『고향』은 프롤레타리아 소설의 대표작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농촌을 배경으로 한 작품이면서도 평자들의 논의에서 비교적 소외되어 왔다. 그 이유는 민촌의 문단행적과 긴밀한 관계를 갖고 있다. 이렇게 한 작가의 작품을 다루는 데 있어서 그의 사회적 배경에 치중한다거나 그의 프로문학적 인상을 중점적으로 다루어 오고 있었던 것이 현재까지 이기영을 논하는 주된 논점이었던 것도 사실이다. 원래 한 작가가 쓴 작품에서 작품 전체를 지배하는 일정한 원리를 밝히기 위해서는 작가에 대한 총체적인 연구가 필요하지만 그 연구는 방대하고 여러 가지 어려운 점이 있다. 따라서 본고는 이기영의 『고향』에 나타나는 인물들이 어떠한 의식의 발전 과정을 겪게 되는가 하는 것을 고찰함으로해서 해서 이기영이 형상화하고자 하는 인물의 유형을 분석하고자 했다. 본고의 제 2장에서는 민촌이 살았던 시대의 시대적 배경에 대하여 고찰해 보고, 그러한 시대적 상황 속에서 민촌의 삶은 어떠했는가 하는 전기적 연구도 실행했다. 제 3장에서는 『고향』의 서사구조를 분석하였다. 여기서는 서사의 중심 틀로 현실을 반영하는 중심 서사구조와, 에피소드를 중심으로 펼쳐지는 주변 서사 구조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제 4장은 『고향』에 나타나는 인물의 유형을 셋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는데, 그 인물의 유형을 정립하는 것은 매우 가치 있는 일이다. 특히 본고에서는 혁신적 인물과 대립관계에 놓인 부정적 인물, 그리고 이들 양쪽 모두에게 영향을 받는 중도적 인물로 나누어 그들의 의식이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보고자 했다. 혁신적 인물은 보통 사람들의 통념적인 삶의 질서에서 이탈된 삶을 살아가는 예외적인 인물로서 삶에서 가치를 추구하는 인물이다. 부정적 인물이란 작가가 의식적으로 부정적으로 묘사하는 인물이다. 중도적 인물은 사회의 법칙을 이해는 하지만 적극적이지 못한 인물이다. 자기가 지향하고자 하는 방향을 알지 못하지만 진보적 인물과 보수적 인물의 중간에서 현실의 문제를 깨닫게 되는 인물인것이다. 이러한 인물의 유형에 따라 분석하고 결론에서 요약 정리함으로써 논의를 끝냈다. 『고향』은 프로문학의 한계인 이념 편향의 공식적이고 평면적인 전개 방식을 탈피하여 사실주의적 수법에 의해 표현하려고 한 작가의 노력이 엿보인다. 김희준이 지니고 있었던 인간적인 갈등에서 그 갈등을 이념으로 승화하고자 했던 모습과 안승학을 대표로 하는 보수주의적 성격의 전형을 보여 주었고, 중도적 성향의 인물은 민촌의 농촌 체험을 실감나게 했으며, 작품 전체의 구조에서도 당시 지배계급과 피지배 계급의 갈등이 리얼하게 표현되었다. 그리고 인물들의 의식 전환도 주인공의 지향 의지와 현실적 한계에 의해 점진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렇게 『고향』의 인물을 분석해 보았다. 이 인물의 유형이 『고향』 한편만 가지고 이야기 될 수 있는지는 분명한 한계이며 이는 또 다른 연구를 기대하도록 요구한다. 나아가 좀 더 많은 납·월북 작가에 대한 논의가 심층적으로 전개되어 분단된 문학사가 하나가 되기를 바라며 『고향』이 지닌 위치가 문학사적으로 자리매김되리라 믿는다. The literature which represents its always shows ye features of its life and inconsistency of its society. So the writer intend to conquer inconsistency of the society. Especially, novel shows the aspects of its life, and so novel can express the features of the society accurately. But of can not be said that novel writes down only true aspects of its society. This merely shows us that novel represents not only universal features of life but also structural inconsistency of society at that time with a united argument in the various features of life. Our life under the Japan represents the features of life at that time and structural inconsistency. Among them, the aspects of the agricultural life show the features of life and structural inconsistency of the Korean people. 『Ko Hyang』 is the peasant novel which represents the features of farm village that Min-ch'on was living during 1930's. 『Ko Hyang』 is one of the masterpiece of the proletarian novel, which was published with a farm village for a background at that time. Though it is the novel which was backgrounded farm village, it was neglected by critics. It has something to do with Min-Ch'on's literary work of a writer, we mainly have dealt with his social background or literary impression of his work so far. If we want to find out unified principles of a literary work, it is necessary that we study everything about a writer wholly. But it is very massive and there are many difficulties. So in this paper I'll study the stream of consciousness of the characters in his work at first, as a result I'll analyze the types of characters which Min-co'on intends to represent in his novel,『Ko Hyang』. In chapter Ⅱ of this paper, I investigated the background of the times when Min-ch'on lived. And I also examined "How was Min-ch'on's life under such a circumstance?" In chapter Ⅲ, Ⅰ analyzed three types of characters which were described in 『Ko Hyang』. But it was very difficult when I classified the types of the characters. The three types are progressive characters, conservative characters and intermediate characters which are influenced by the fore two characters. The three types are progressive characters, conservative characters and intermediate characters which are influenced by the fore two characters. And I tried to study how to change their consciousness. Progressive characters are exceptive characters broken away from the common life. And they pursue true worth through life. Conservative characters are negative characters which the writer describe with distinct purpose. Intermediate characters understand social principles but they are not active. Intermediate characters don't know where to go but they realize present problems between progressive characters and conser-vative characters. According to these types of characters. I analyzed and summarized this novel at the end. We can find out a writer's effort in 『Ko Hyang』 which he intended to describe through realism. He avoided formal and plane descriptive methods of ideological prejudice, which is limitation of proletarian literature. We can find out the typical conservative tendency Kim Hui-Jun's human conflict and his effort to sublimate from his conflict to ideology and An Sung-Hak's too. Intermediate characters showed Min-ch'on's experience in the farm village, In the point of entire structure it shows the real conflict between the ruling classes and the governed classes. And the consciousness conversion of the characters was described gradually because of protagonist's intention or realistic limitation. I analyzed the types of characters in 『Ko Hyang』 which were shown above. It is still my question whether we can simply classify the types of characters with only 『Ko Hyang』 or not. But it was my limitation to study the types of figures. It is necessary that we study much more writers who were kidnapped to North Korea or went to North Korea. And we have to make the divided literary history into one. If we can do as we discussed, I believe that we can look into the true aspects of 『Ko Hyang』 in another metho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