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24K Magic>분석을 통한 브루노 마스(Bruno Mars)의 음악 어법 연구

        김영신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47

        20세기부터 대량 생산, 대량 소비되는 문화의 중요한 요소로 오락성, 상업성, 유행성의 특징을 갖는 대중음악은 문화 흐름의 영향을 받으며 다양한 형태로 변화와 발전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대중음악 아티스트들의 음악을 탐구하는 중, 데뷔 이후부터 현재까지 음악과 문화에 영향을 끼치고 있는 브루노 마스(Bruno Mars)의 음악에 초점을 맞추게 되었다. 본 논문은 레트로 음악으로 채워진 <24K Magic> 앨범의 음악 어법 연구를 목적으로 한다. 이 앨범은 브루노 마스의 10대 시절, 파티의 감정을 재현하고자 하였고 한 편의 영화처럼 가사의 스토리가 연결된다. 또한 레트로 음악이지만 트렌디한 사운드를 표현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의도로 창작한 브루노 마스의 <24K Magic> 앨범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음악 어법의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로, 조성의 모호함으로 안정감을 배제하고 있다. 토닉 코드를 하이브리드 코드로 변형시키고 쓰임을 최소로 하여 IVm9코드가 곡을 이끌고 있는 점, 한 곡에서 전조를 반복하여 여러 조가 공존하여 곡을 표현하고 있다. 둘째로, 화성 표현의 독창성이다. 현 시대의 대중음악에서 주요한 보이싱 기법인 하이브리드 코드를 일찍이 시도하여 자신의 곡에 접목시킨 것을 관찰하였다. 전조와 위종지 기법으로 아웃트로를 표현하여 예상하지 못한 화성진행으로 그의 독창성을 발휘하였다. 셋째로, 화성이 주는 감성과 가사의 조화를 이끌어 내어 가사의 기조와 화성감을 연결시키고 있다. 넷째로, 장르의 혼종을 나타내고 있다. Funk와 R&B가 중심이 되어 Soul, hiphop, New Jack Swing의 전통 흑인음악 장르를 융합하여 흑인음악의 다양성을 한 곡에 나타내고 있다. 다섯째로, 레트로 음악의 형식을 탈피하였다. 곡 구성적인 측면에 인트로를 짧게 표현하여 3분 내외의 곡으로 표현하여 현 시대의 곡 형식이 반영되어 Intro를 축소 시킨 그의 창작 의도를 살펴볼 수 있었다. 여섯째로, 현시대의 청감 방식으로 마스터링 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과거 음악과 비교 했을 때 전체 라우드니스는 높아지고 모든 음역대가 잘 들리도록 마스터링되어 과거 레트로 음악과의 진일보된 결합을 나타내었다. 브루노 마스의 <24K Magic> 앨범은 정통 흑인음악에 대한 탐구와 시대의 흐름을 반영하여 자신의 음악적 정체성을 명확하게 한 앨범이라 볼 수 있다. 트렌드가 빠르게 바뀌는 현시대에서 작곡가와 프로듀서를 포함한 창작자들에게 대중음악의 모태가 되는 음악의 탐구는 지속적으로 이루어 져야 한다. 본 논문이 과거 음악과 트렌드를 연구하는 대중음악 창작자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란다. 주제어 : 브루노 마스(Bruno Mars), <24K Magic>앨범, 레트로 음악, 트렌드, 흑인음악장르 Since the 20th century, popular music, which has characteristics of entertainment, commerciality, and popularity as an important element of mass-produced and mass-consumed culture, is influenced by cultural trends and shows change and development in various forms. While exploring the music of these pop artists, it focused on the music of Bruno Mars, which has influenced music and culture since its debut to the presen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music vocabulary of the album "24K Magic" filled with retro music. The album attempted to recreate the feelings of partying in Bruno Mars' teenage years, and the story of the lyrics is connected like a movie. It is also retro music, but it was intended to express a trendy sou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by analyzing the musical expressions of Bruno Mars' "24K Magic" album created with this intention. First, the ambiguity of the composition excludes a sense of stability. The IVm9 code is leading the song by transforming the tonic code into a hybrid code and minimizing its use, and several groups coexist by repeating the precursor in one song to express the song. Secondly, it is the originality of the Martian expression. It was observed that hybrid code, a major voicing technique in popular music of the present era, was attempted early and incorporated into one's own song. He showed his originality by expressing an outro with the modulation and gastric end technique and expressing an unexpected ending. Third, by drawing out the harmony of the emotions and lyrics given by Hwaseong, it connects the keynote of the lyrics and the sense of harmony. Fourth, it represents a mix of genres. With Funk and R&B at the center, the diversity of black music is expressed in one song by fusing traditional black music genres of Soul, hippop, and New Jack Swing. Fourth, it broke away from the form of retro music. In terms of song composition, the intro was briefly expressed and expressed as a song within 3 minutes, reflecting the current era's song format, and it was possible to examine his creative intention to reduce the intro. Fifth, it was possible to observe that it was mastered in the present hearing method. Compared to past music, it was observed that the overall loudspeaker was elevated and mastered so that all ranges could be heard well, indicating an advanced combination with past retro music. Bruno Mars' "24K Magic" album can be seen as an album that clarifies his musical identity by reflecting the exploration of authentic black music and the trend of the times. In the present era of rapid change in trends, the exploration of music, which is the birthplace of popular music, should be continued for creators, including composers and producers. I hope this paper will help pop music creators who study past music and combine trends.Keywords: Bruno Mars, 24K Magic album, retro music, trend, black music genre

      • 백제 聖王의 王權强化정책

        김영신 조선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247647

        King Sungwang (A.D 523-554 ) transferred the capital to Sabi sixteen years after he acceded to the throne. It was a base of political renovation. He changed the name of the country to Nambuyeo and reformed governmental organizations into twenty sections. He also set local governmental organizations in good condition and accommodated commandments of Buddhism to establish governmental ideas. The studies published relating to reinforcement of sovereign power of King Sungwang are categorized into two parts as follows : the one that emphasized political history and local governmental system of Baekje and the other about Buddhism and commandments. In addition, there are studies on kings, but there are few on Sungwang's transfer of the capital to Sabi and his accomplishments. This is because there are little information that say actual situations of his day. This study intends to examine the background and aims of the transfer of the capital, which is a starting point for establishment of king Sungwang's soverign power, based on the existing information. Then it will discuss and review his reform of federal and local governmental organizations and his governmental intentions through an emphasis on commandments of Buddhism.

      • 자발적 양육비혼모의 생애과정 연구 : 슛제의 이야기식 인터뷰 방법을 중심으로

        김영신 조선대학교 2011 국내박사

        RANK : 247647

        자발적 양육비혼모의 생애과정 연구 -Focusing on the Qualitative-biographical Methodology of Fritz Schütze - 김 영 신 지도교수: 김 용 섭 사회복지학과 조선대학교 대학원 본 연구의 목적은 30-40대에 자발적 의지로 출산하여 아이를 양육하기로 결정한 비혼모들을 대상으로 자발적인 임신과 출산, 양육선택의 결과로 살아가면서 느끼게 되는 주관적 경험의 의미에 대해 탐색적 연구를 수행하는 것이다. 이들은 기존 연구에서 다뤄왔던 사회적․성적 일탈자나 수동적 존재로서의 비혼모들이 아닌 결혼을 철저히 ‘선택’의 문제로 보면서 아이를 출산하고, 또한 아이를 양육함에 있어서도 자발적인 의지를 가지고자 했던 여성들이라는 점에서 기존 연구들과는 차이가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를 통해 고찰하고자 하는 것은 여성이 비혼모가 되어가는 과정에서 얻게 되는 새로운 인식은 무엇이며, 양육비혼모의 삶을 선택한 이유와 아이 양육과정이 그들의 삶을 재조명하도록 만드는가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10년 9월부터 시작하여 2010년 12월까지 4개월 동안 30-40대로 자발적으로 아이를 출산 후 양육하는 비혼모 3명과 슛제(Schütze)의 이야기식 인터뷰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슛제(Schütze)의 4단계 분석과 인생진행과정구조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텍스트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연구 참여자별로 구술된 생애사를 재구성하고, 생애사 전체에서 나타나는 핵심적인 주제들을 분석하는 두 가지 방식으로 연구텍스트를 작성하였다. 전체적인 자발적 비혼모의 생애사로부터 아래와 같이 총 7가지의 핵심적인 주제가 의미 있는 결과(finding)로서 분석되었다. ‘비혼모 되기’ 단계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주제는 첫째, ‘자발적 임신’이다. 물론 사례별로 차이는 있으나 결혼이나 친부의 존재와 상관없이 아이를 더 원했다는 점, 초기에 임신을 인지한 상태에서도 아이 친부와의 결혼을 처음부터 전제로 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자발적 임신이라고 보는 것이다. 둘째, 출산 선택을 함에 있어 본인의 적극적 의지가 반영되었다는 것이다. 기존 연구들에서는 비혼모 출산의 가장 큰 이유로 ‘낙태시기를 놓쳐서’라는 대답이 가장 많았으나, 본 연구의 사례들에서는 단순히 ‘낙태시기를 놓쳐서’라는 사유로는 완전히 설명되지 않는 부분들이 발견되었다. 특히 본 연구의 사례들에서 흥미로운 점은 아이를 가지게 된 동기는 어찌되었던, 사례 여성들은 모두 임신 사실을 비교적 초기에 인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출산 전에 아이를 꼭 낳아야겠다는 자기 확신이 있었다는 점이다. 또한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결혼과는 별개로 오래전부터 아이 양육에 대한 강한 욕구를 가지고 있으며, 아이에 대한 가치를 가장 높게 생각했기 때문에 입양이나 낙태에 대해서는 거의 고려하지 않았다. 이들은 아이 양육을 아이에 대한 부담감과 기쁨을 둘 다 가지는 어머니라는 새로운 역할을 창조하고, 자신과 아이로 이루어진 새로운 가족을 형성하는, 즉 삶에 대한 하나의 도약판으로 생각하였다. 이런 측면에서 본다면 이들은 한국사회의 고정 관념에 의해 생각해왔던 피해자로서의 비혼모들이 아닌 결혼과 출산을 자신의 선택의 문제로 보면서 주체적 삶을 살고자 했던 여성들이라는 점에서 기존 연구들과 큰 차이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이들이 ‘자발적’으로 출산과 양육을 선택하게 된 데에는 그녀들의 ‘나이’라는 변수가 작용했을 것으로 보인다. 이혼과 아이 친부와의 결별 등 결혼에 적합한 배우자를 찾는데 실패한 사례 여성들은 30대 중․후반의 나이에 이르게 되었고, 이러한 시기는 여성 스스로 더 이상 아이를 가질 수 없을 지도 모른다는 것을 지각하게 만들었다. 그래서 결혼이라는 목표는 달성할 수 없었지만, 차선의 선택으로 자신이 아이를 키우기로 결정하였다. 즉, 홀로 어머니 되기를 추구하는 여성들의 결정은 적합한 결혼상대자를 찾지 못함과 모성에 대해 경험하고 싶은 마음이 함께 작용한 결과인 것이다. 결혼에 대한 이슈는 논쟁적일 수 있고, 지연되기도 하며 심지어는 안할 수 도 있지만 많은 여성들이 아이를 갖고 싶어 하는 것은 본능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한국 사회에서 30대 후반과 40대 초반이라는 나이는 사람들로 하여금 이들을 이혼 혹은 남편과 일찍 사별한 한부모 여성으로 생각게 하기 쉬웠다. 따라서 이들은 10대 후반이나 20대 초반 비혼모들이 일상적으로 받는 시선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웠다. 그리고 사례 여성들은 모두 직장 생활과 같은 사회생활 경험이 있었기 때문에 이런 활동들을 통해 구축한 경제적 기반과 자립의 가능성은 어린 비혼모들보다 상대적으로 아이를 혼자 양육하기에 나은 조건이 될 수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어린 비혼모들의 경우 상당수가 아이를 임신하고 출산하면서 원 가족에게 그 사실을 숨기거나, 혹은 원가족과의 관계가 단절되어 그들의 존재를 다시 받아들여주기까지 상당시간이 걸리는 반면, 본 연구의 사례여성들은 결혼적령기를 넘긴 나이이거나, 이미 한 번의 결혼경험을 통해 아픔을 가지고 있기에 이들의 경우 비혼모의 삶을 자발적으로 선택한다 했을 때 어린 비혼모들보다 원 가족에게 받아들여지기가 훨씬 쉬웠다. 따라서 이러한 30-40대 양육비혼모들의 사례는 같은 양육비혼모라도 비혼모의 나이와 결혼경험, 직업, 비혼부와의 관계, 원 가족과의 관계 등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비혼모들의 출산과 양육동기에 대해 기존 연구들에서의 접근방법과는 달리 좀 더 세밀한 분석이 있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넷째, 본 연구의 사례들에서 나타난 아이 친부들은 배우자로서, 아이의 아버지로서 적절하지 않다고 여겨지는 사람들로서, 사례여성들은 자신과 아이를 위해 아이 친부와 결별하고 스스로 비혼모의 삶을 택하였다. 이러한 모습은 아직도 ‘아무리 그래도 혼자보다 남편이 있는 게 낫다’는 과거 우리 사회의 사고방식에서 찾아보기 힘든 것이다. 동시에 이들은 아버지 없는 가정이라는 사회적 낙인을 거부하고 있으며, 자신들을 스스로 ‘선택한 가족’으로서 인식하고 있다. 나아가 이들은 스스로 선택한 가족을 그들 자신의 힘으로 부양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기 위해 노력하며, 여성 돌봄 전담자라는 위치에서 독립하여 단지 남들과 조금 ‘다를 뿐’이라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들을 단순히 정상가족에 편입되지 못한 비혼모로 보는 시선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다음으로 ‘비혼모로 살아가기’ 단계에서 나타나는 주제는 크게 세 가지 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경제적 어려움’과 ‘직업에 대한 인식’ 그리고 ‘사회적 편견’이 바로 그것이다. 첫째, 입양모나 기혼모와는 달리 양육비혼모에게는 경제적 안정이 가장 시급한 문제로, 생활비나 주거마련, 아이 양육비 등 비혼모 뿐만 아니라 그 자녀의 삶의 질 전반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오늘날과 같은 자본주의 사회에서 경제력은 단순히 돈이 없다는 것에 그치지 않고, 비혼모들의 정체성과 사회적 낙인화와 부모세대를 넘어 그 자녀들의 세대까지 그 빈곤의 문제가 계승될 수 있다는 데 더 큰 문제가 있다. 둘째, 경제적 어려움은 이들의 직업에 대한 인식에서도 잘 드러난다. 본 연구에 참여한 양육비혼모들의 직업을 보면 무직이거나 육아휴직, 직업훈련과 같은 정부의 무료자활사업에 참여하고 있었다. 기초생활수급자로 선정되어 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학생이거나 직업이 없어야하기 때문에 적극적으로 일을 하기에는 부담이 있는 것이 현실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기초생활수급비용만으로는 아이와 엄마, 두 사람의 미래를 준비하기는커녕 당장의 생활을 꾸려나가기에도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기에 사례여성들은 지원을 받으면서도 경제적 불안정성에 불안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은 경제적 어려움을 가장 크게 느끼는 데다 생계벌이 가능자가 1인 뿐이기 때문에 안정적이고 수입이 좋은 일자리인 전문직을 선호하였고, 이를 위해 다시 학교에 입학하거나, 전문자격증을 취득하는 등의 노력을 하고 있었다. 그러나 비혼모라는 이유로 직장에서 차별을 받는 등 불이익을 경험하기도 하였다. 셋째, 본 연구의 사례들을 분석해 본 결과 사례여성들은 사람들의 편견어린 시선에 당당함, 망설임, 혹은 숨기기 등으로 대처하고 있었고, 동일한 사례여성이라도 상대에 따라 대응방식은 다르게 나타났다. 임신과 출산에 있어 적극적이고 주체적인 선택을 한 이들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비혼모에 대한 사회의 편견으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울 수는 없었던 것이다. 게다가 비혼모의 삶을 선택함으로써 아이를 낳기 전 관계를 맺었던 사람들과 출산 후 관계를 맺게 되는 사람들이 바뀌어, 주위 사람들과 교류가 쉽지 않거나 심지어 고립되는 경험을 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아이가 성장함에 따라 아버지의 부재에 대해 어떻게 설명해야할지 고민은 많지만 정작 아이를 양육할 때 어떻게 대처해야할지를 몰라 망설이고 있었다. 귀찮은 배우자가 없다는 점에서는 환영이고, 자신이 원했던 아이를 키운다는 점에서는 자신들의 삶의 질이 높다고 생각하면서도 다른 사람의 도움을 전혀 받을 수 없기 때문에 아이에게 한부모라는 오점을 남기게 될까봐 걱정하기도 했다. 또한 그들의 아이들과 관련된 행복을 묘사하는 중에도 이들은 종종 “힘들다”라고 고백했다. 그들은 모순과도 같은 이런 이중성에 대해 설명하지는 않았지만 이것은 단순히 그들을 위한 혼잣말로 보인다. 따라서 이 “힘들다”라는 말은 여성에게는 아직도 선택에 대한 옵션들이 그리 많지 않은 현실임을 시사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자녀를 자발적 의지로 출산 후 양육하는 비혼모들의 경험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그 경험의 과정을 해석함으로써 비혼모의 출산과 양육경험에 대한 의미를 새로이 고찰했다는 함의를 지닌다. 기존의 연구에서 비혼모를 사회적 일탈자나 수동적 존재로서 바라봤던 것과는 달리 본 연구의 비혼모들은 결혼을 철저히 ‘선택’의 문제로 보면서 아이를 출산하고, 또한 아이를 양육함에 있어서도 자발적인 의지를 가지고자 했던 여성들이라는 점에서 기존 연구들과는 차이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비혼모와 그 자녀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 자료로서 비혼 모자 가정을 위한 가족복지정책에 기여함과 동시에 우리나라의 비혼모 및 한부모 가족의 복지제도에 대한 폭넓은 논의를 가능하게 하였다. key words: Schütze, life reconstruction, qualitative-biographical methodology, singles by choice, unwed mother, narrative interview Abstract A Study on the Lives of Mothers Who are Single By Choice - Focusing on the Qualitative-biographical Methodology of Fritz Schütze - Kim Young Shin Advisor: Prof. Kim Yong Seop, Ph. D.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erform the exploratory research about the meaning of subjective experience which is being felt in life as a result of choosing the voluntary pregnancy, childbirth and child-rearing targeting singles by choice who decided to give childbirth to and raise their child voluntarily in their thirties and forties. It can be said that there is a difference from the existing studies in the sense that they are not the singles by choice as the social and sexual deviant or passive existence who have been dealt with in the existing studies but the women who regarded marriage thoroughly as the matter of ‘choice’ and tried to have voluntary will also in giving childbirth to and raising their child. Therefore, the points to be investigated through this study would be: what is the new awareness that women can obtain in the process of becoming singles by choice and whether the reasons why they chose the life of a child-rearing singles by choice and the child-rearing process make their life re-observed. For four months from its beginning in September 2010 until December 2010, this study collected data by the method of Schütze’s narrative interview with three singles by choice in their thirties and forties who voluntarily gave childbirth to and are raising their child, and the text was analyzed using Schütze’s 4-stage analysis and analysis of biographical process structure. Through such analyses, research text was prepared in two ways of reconstructing the dictated biography and analyzing key themes appearing in the whole biography. The following seven key themes were analyzed as the meaningful findings from the overall biography of the singles by choice. The first theme which commonly appeared in the stage of “becoming singles by choice’ is the ‘voluntary pregnancy.’ Although there are of course some differences by case, it is considered to be the voluntary pregnancy in the regard that singles by choice wanted her children more regardless of the marriage or existence of her children’s real father and that the marriage to the father was not presupposed from the beginning. Secondly, aggressive will of singles by choice themselves was reflected in making a choice for childbirth. In the existing studies, most of the answers were ‘just missed the right time for abortion’ as the biggest reason of childbirth, but parts which cannot be fully explained simply by reason of ‘just missed the right time for abortion’ were found in the cases of this study. In particular, the interesting point in the cases of this study is that, all case women had self-confidence in giving childbirth to their child at any cost even though they were aware of their pregnancy relatively early no matter whatever motivation they had. And, the case women almost did not consider adoption or abortion because they had a strong desire of raising their child from a long time ago separately from marriage and thought highly of the value for their child. They regarded child-rearing as a springboard for life creating a new role as a mother having both of a burden and joy and forming a new family which consists of themselves and their child. From this aspect, it can be said that there is a difference from the existing studies in the sense that they tried to live a subjective life looking at marriage and childbirth as the matters of their choice, not as singles by choice who have been regarded as victims of the fixed idea in the Korean society. Thirdly, it seems that a variable, i.e. their ‘age’ acted in their choosing childbirth and child-rearing ‘voluntarily’. The case women who failed to find suitable spouses for marriage reached the age in their middle and late thirties and such a time made women perceive that they might not able to have their child any longer. Therefore, they could not achieve the goal of marriage, but decided to raise their child as the second best choice. That is, the decision of the women seeking to be a single mother is the result of the failure in finding a suitable marital partner and desire of experiencing maternal love which acted together. That’s because the issues on the marriage could be controversial, delayed and even not happened but many women instinctively want to have their child. Furthermore, in the Korean society, the age in the late thirties and early forties was easy to make people regard the women as a single parent woman who divorced or was bereaved of her husband. Therefore, singles by choice in their late tenth and early twentieth were relatively free from people’s eyes which were routinely received. And, as all case women had the social life experience like work life, the economic base and possibility of self-reliance which were built up through such activities were found to be relatively better child-rearing conditions for raising their child alone than those of young unwed mothers. Finally, as the case women were past the best age to marry or had pains from the past marriage, it was much easier for them to be accepted by their original family than young unwed mothers in case that they voluntarily chose the life as singles by choice while many young unwed mothers disguise the fact of pregnancy or childbirth from their original family or the relationship with their family becomes cut off, requiring a significant amount of time for their existence to be re-accepted by their family. Therefore, it could be seen that the child-rearing singles by choice in their thirties and forties have differences from the young unwed mothers depending on the age, experience in marriage, job, relationship with the unwed father and relationship with their original family, etc. even if they are the same child-rearing singles by choice, and it is suggested that there should be more detailed analysis in the studies on the childbirth and motivation for child-rearing of the unwed mothers differently from the approaching methods of the existing studies. Fourthly, the fathers of a child appeared in this study are the people who are not considered to be appropriate as a spouse or a father, and the case women broke up with the father of their child for mother and child themselves. This thought was hard to find in our society’s way of thinking in the past, i.e. ‘still better to have a husband than being alone’. At the same time, singles by choice are rejecting the social stigma of fatherless families and recognizing themselves as the ‘chosen family’ of their own. Moreover, they are trying to develop the ability to support their family chosen by themselves. They are trying to be independent from the position of wholly responsible caring women, and are emphasizing the point that they are only ‘a little bit different’ from others. Therefore, there must be a limit in the eyes which simply look at them as singles by choice who failed to form a normal family. The next theme appeared in the stage of ‘living as singles by choice’ was widely analyzed in three ways: economic difficulties, perception of the job and social prejudice. Firstly, unlike the adoptive mothers or wed mothers, the economic stability, as the most matter, was found to affect the overall quality of life of the child as well as singles by choice in living expenses, preparation of residence and child-rearing expenses. And, in the capitalistic society like today, more serious problem is that the economic power does not end up simply in having no money but the poverty problem of singles by choice can be succeeded to the generation of their child over identify, social stigma and generation.. Secondly, the economic difficulties are also well revealed in their perception of the job. The child-rearing singles by choice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had no jobs or were participating in the free rehabilitation programs like parental leave or vocational training operated by the government. That’s because they must be a student or have no job in order to be selected as the beneficiaries of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guarantee in order to receive the support from government and therefore they have burdens in finding jobs and working aggressively. However, as the support from the basic livelihood guarantee is ridiculously insufficient even for leading a life, far from preparing for the future of singles by choice and their children. the case women were appeared to become uneasy about the economic instability despite the support. And, as they feel the economic difficulties most seriously and the possible earner is only one person, they preferred stable professional occupation with a good income and were doing their best efforts including going back to school or obtaining certificates. But, they experienced disadvantages such as discrimination in the workplace only by reason of being unwed mother. , Third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ases of this study, the case women were handling other people’s prejudice with confidence, hesitation or hiding, and even the same case women showed different response depending on the people they faced. Although they made an aggressive and independent choice for the pregnancy and childbirth, it did not mean that they were completely free from the social prejudice against unwed mothers. Furthermore, by choosing a life as singles by choice, people who were in relationship with before and after childbirth were changed, and thus they had difficulties interacting with the people around or even experienced isolation. And, as the child grows up, they were thinking a lot about how to explain the absence of the child’ father, but they were hesitant as they did not know how to deal with it when actually raising their child. Though they like the fact that they have no awkward husband and think that their own quality of life is high, they also worried about the possibility of leaving a stain of a single parent to their child as they cannot have help from others at all. Even when depicting their happiness related to their child, they often confessed “it’s so hard”. They did not explain the contradiction-like duality but looked like they were talking to themselves. Therefore, the word “it’s so hard” suggests that there are still not so many options for choice for women. This study specifically presents the experience of the child-rearing singles by choice who voluntarily gave childbirth to their child, and by interpreting such experience process, and has the implications that the meaning of the childbirth of the singles by choice and child-rearing experience have been newly investigated. It can be said that there is a difference from the existing studies in the sense that singles by choice in this study are the women who regarded marriage thoroughly as the matter of ‘choice’ and tried also to have voluntary will in giving childbirth to and raising their child differently from the fact that they were regarded as the social deviant or passive existence in the existing studies. In addition, as the basic data to improve quality of life of singles by choices and their children,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ntributed to the family welfare policy for the unwed fatherless families and simultaneously made it possible to have a wide discussion about Korea’s welfare system for unwed mothers and single-parent families. Key words: Schütze, life reconstruction, qualitative-biographical methodology, singles by choice, unwed mother, narrative interview

      • 언택트 문화 확산으로 인한 시각예술분야 온라인 향후 기반 변화와 모색방향

        김영신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뉴미디어 매체의 등장에 따라 시각예술 분야는 온라인 기반으로 비대면 서비스를 점진적으로 확장 해왔다. 이로 인해 시각예술분야에서는 향유방식 및 유통을 온라인 기반으로 옮기며 변화에 대비하고 있었다. 하지만 올해 2020년 3월부터 코로나 19 바이러스에 의한 언택트 문화 확산으로 인해 비대면 서비스에 대한 필요성이 절대적으로 부각 되면서 예상보다 빠르고 급격하게 업계 전체의 변화를 겪었다. 본 연구는 언택트 문화 확산으로 인한 시각예술의 국내 온라인 기반 변화를 살펴보고 모색하고자 한다. ‘언택트’란 ‘접촉하다’라는 의미를 가진 ‘Contact’에 부정의 의미를 담은 접두사 ‘Un-‘을 합성한 ‘비대면’ ‘비접촉’ 의미를 지진 신조어로써 기존과 다르게 일상에서 대면으로 이뤄진 모든 현상이 비대면으로 전환되며 하나의 새로운 문화현상이 되었다. 이에 따른 사례 분석을 위해 시각예술 기관, 정책, 민간 사례로 나누어 온라인 기반 변화를 살펴 보았고 향후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인한 활동제약으로 비대면 시각예술 분야 활성화 방안은 다음과 같이 모색했다. 첫째, 새로운 시각예술 콘텐츠 개발에 대한 지원 및 시도가 이루어져야 한다. 공익 또는 홍보 목적 무료 콘텐츠가 주로 이루어져 있는 상황이라 사업체 및 민간 차원에서의 시각예술 콘텐츠 개발을 위한 지원이 있어야 한다. 두번째, 온라인 기초로 대중을 상대하는 유통기반 구축이 필요하다. 고가 미술품 거래 가능한 일부 영역 외로 유통기반이 미비한 상황이다. 비대면 향유방식의 또다른 형태로 좀 더 다양한 계층에서 시각예술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온라인 유통기반 구축이 필요하다. 셋째, 온라인 창작 및 유통을 위한 신기술 교육, 신직업군 육성, 기술기반 창업 등의 정부 지원 강화가 필요하다. 시각예술 분야 종사자와 기업의 기술 역량 및 관련 경험이 부족하여 비대면 환경에 대응할 준비가 미흡한 상황이기에 민간 치원의 지원보다 정부의 지원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상황이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비대면 시각예술 향유 기반이 온라인으로 확대되어 시각예술 분야 성장의 토양 마련이 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 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으며 향후 활발한 후속 연구를 기대한다.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and the emergence of new media after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visual arts have gradually expanded non-face-to-face services based on online. Because of this, a field of visual arts prepared for the changes in appreciation methods and distribution to online platform. Under the circumstances, in 2020, the industry experienced a rapid change since the necessity of non-face-to-face services was required due to the wide spread of covid-19 in March, 2020.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changes in visual arts based on domestic online because of the expansion of untack culture. As "untact" is the new word which consists of un (a prefix meaning "negative") + "contact" and means non-contact, it has become one of new cultural phenomenons that all daily activities are changed from contact to non-contact. For analyzing a case study under the circumstances, the changes in an online platform were examined by dividing visual art organizations, policies, and private cases and this study attempted to seek the activation plan for a field of non-contact visual arts due to the restriction of activity caused by the covid19 situation. The results are shown below. First, supports and attempts to develop new visual arts contents should be conducted. Since free contents focusing on public interest or advertisement are dominated, supports to develop visual arts contents should be conducted in terms of companies and private interests.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distribution bases for the public based on online. Behind certain fields that can deal a high-priced piece of art, distribution bases are not sufficien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online distribution bases in order to increase the accessibility of visual arts in various classes as other types of non-contact appreciation methods. Third, government supports for new technology education, new occupations, startup companies, etc. are required in order to create online and distribution. As visual arts personnel and companies fail to prepare to meet non-contact environment due to the lack of the technological capacities and experiences, government supports is absolutely critical in comparison with private supports. Thus,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suggested the plans that make a contribution to the growth of a field of visual arts by expanding the fundament to appreciate non-contact visual arts on online and further studies are expected.

      • 분만실 간호단위 성과평가지표 개발

        김영신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분만실 간호단위의 성과평가지표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Kaplan과 Norton(1992)이 개발한 균형성과표(BSC; Balanced Scorecard)를 개념적 틀로 하여 분만실 간호단위의 성과평가지표를 개발하는 방법론적 연구이다.$$a$$a연구대상은 일 대학병원의 분만실 간호단위를 선정하였으며, 구축과정은 5단계로서 1단계는 BSC구축 준비단계, 2단계는 전략적 목표 수립을 위한 질문 도출, 3단계는 분만실 간호단위의 전략적 목표 확인, 4단계는 분만실 간호단위 예비성과지표 선정, 5단계는 분만실 간호단위 성과평가지표 확정을 하는 과정을 거쳤다. 자료수집은 각 단계별로 2005년 9월 27일에서 10월31일까지 문헌고찰과 심층면담 방법을 통하여 분만실 간호단위의 전략적 목표를 확인하였다. 도출된 전략적 목표를 바탕으로 전문가 집단의 자문과 분만실 간호사 전수로 구성된 실무자 집단의 3차례 합의 과정을 통해 분만실 간호단위 성과지표를 개발하였다.$$a$$a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a$$a1. 연구 대상 단위의 전략적 목표는 균형성과표의 네 가지 관점의 심층면담과 기존 분만실 목표를 참고하여 확인하였다. 재무관점에서는 병원수익에 기여할 수 있는 전략을 수립, 고객 관점에서는 고객을 만족하게 하기위하여 간호 가치의 명제를 반영, 내부업무 프로세스 관점에서는 간호의 질 향상, 학습과 성장 관점에서는 간호역량 향상이었다. 이러한 전략 목표들은 분만실의 사명인 고객에게 최적의 간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전문직으로서의 성장을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a$$a2. 분만실 간호단위 사명을 실천하기 위하여 도출된 전략 목표는 관점별로 재무관점에서 2개, 고객관점에서 4개, 내부업무 프로세스관점에서 6개, 학습과 성장관점에서 2개의 지표를 선정하였다. 재무 관점에서 ‘간호수익 증가율’ ‘관리비용 감소율’, 고객관점에서 ‘고객 만족도’ ‘환자 및 보호자에게 치료와 간호계획을 충분히 설명한 건수’ ‘고객의 간호사이미지 점수’ ‘고객유치율’, 내부업무 프로세스 관점에서 ‘직접간호시간’ ‘간호사 인력 비율’ ‘간호과정을 적용하여 간호문제를 해결 한 건수’ ‘개발된 프로토콜의 적용 건수’ ‘관련부서의 간호이미지 점수’ ‘간호사고 발생건수’였으며, 학습과 성장의 관점에서 ‘교육 및 연구 참여건수’ ‘간호사 만족도’로서 총 14개의 예비성과 지표를 도출하였다.$$a$$a3. 개발된 예비성과 지표는 전문가 자문, 분만실 간호사 전수의 합의과정을 거쳐 타당도 검증을 하였다. 확정된 분만실 간호단위의 성과지표는 고객 관점에서 ‘고객 유치율’ ‘간호사고 발생건수’의 타당도가 낮아 이를 제외시켜 재무관점 2개, 고객관점 3개, 내부업무 프로세스관점에서 5개, 학습과 성장 관점에서 2개로 최종 12개의 성과평가지표를 확정하였다.$$a$$a균형성과표(BSC)를 이용하여 분만실 간호단위의 성과평가지표를 개발하는 과정을 통해 의료 환경변화에 따른 W병원 분만실의 변화에 대한 전략수립의 방향을 제공하고 간호단위 분만실에서 시작한 성과평가지표 개발이 간호조직의 성과관리에 대한 관심과 객관적이고 공정한 평가의 틀을 수립하는 기초를 제공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또한 조직 구성원들이 조직의 성공과 변화를 위하여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갈 것에 대해 관심과 변화를 갖게 된 것은 본 연구의 커다란 성과였다.$$a$$a This study was a methodogical study conducted to develop performance measurement indicators for nursing on delivery units. It was based of the Balanced Scorecard developed by Kaplan and Norton (1992).$$a$$aThe delivery room of a general hospital was selected for the study. The study was conducted in five phases: 1) preparation phase, 2) design of questionnaire toestablish strategic goals, 3) set strategic goals for nursing on delivery units, 4) development of preliminary performance indicators for nursing on delivery units and 5) finalize performance indicators for delivery nurse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in-depth interviews during the period from September 27 through October 31, 2005, and strategic goals were set for nursing on delivery units. Before performance measurement indicators were finalized advice from experts and the working-level group, delivery room nurses, were incorporated with strategic goals and the feasibility of indicators was verified.$$a$$aStudy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a$$a1. Strategic goals for nursing on delivery units were identifi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conducted according to the four perspectives in the Balanced Scorecard and for current goals being pursued. From the customer perspective, the importance of nursing care was emphasized. From the internal business perspective, improvement in nursing care service was the focus. From thelearning & growth perspective, improvement in the ability of nurses was emphasized. Thus strategic goals focused on improving nursing care service to provide patient-oriented nursing care.$$a$$a2. As a result, two performance measurement indicators were developed for the financial perspective: rate of nursing revenue growth and rate of manageable cost reduction. Four performance measurement indicators were developed for the customer perspective: patient satisfaction, rate of explanation of treatment and nursing care plansto patients and their families, patient''s evaluation score for nurse image and rate of customer attraction. Six performance measurement indicators were developed for internal business perspective: time consumed for direct nursing care, ratio of nurses to total employees, the number of nursing accidents, the number of incidences in which nursing care solved problems, the number of incidences to which the protocols were applied and co-workers'' evaluation score for nurse image. Two performance measurement indicators were developed for the learning & growth perspective: the number of participation in training and research activities and nurse job satisfaction. A total of 14 preliminary performance measurement indicators were developed$$a$$a3. The feasibility of these preliminary performance measurement indicators was verified through consultation with experts and discussions with delivery room nurses. Given its low feasibility, the indicator of 'rate of customer attraction' was removed, bringing total number of indicators to 13.$$a$$aIt was meaningful to identify directions in which nurses should move to offer patient-oriented nursing care by developing goals and performance measurement indicators for nursing on delivery units based on the BSC. The study established strategies for nursing in the delivery room of W hospital for better adaptation to the changing medical environment. The performance measurement indicators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used as a tool for objective and impartial performance measurement and to promote interest in the performance of nurses in the delivery room.$$a$$a

      • 도심 철도시설 하부 유휴공간의 선형공원화에 따른 이용행태와 교류증진 인식연구

        김영신 서울시립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철도시설 유휴공간에 조성되는 공원이 증가하며 지역주민 커뮤니티 공간 확보, 연결성 증가 등 긍정적 효과가 나타나는 반면, 이용집단 간 이용목적에 따른 행위차이로 지역주민에게 피해를 주는 사례도 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심 철도시설 하부 유휴공간 공원화에 따라 지역주민의 교류가 증진되고, 교류증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공원을 효율적이고 지속적으로 이용․관리하는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먼저 이론적 고찰을 통해 선형공원의 특성을 도출하였다. 선형공원은 도시공간을 연결하고 접근성이 좋아 도시민의 일상과 밀착되어 사회적·문화적 교류가 가능한 생활밀착형 공공공간이다. 연접성, 연결성, 접근성, 관통성의 특징을 가지며 도심 내 지역 간 교류의 상호작용을 촉진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현장연구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이용자 인식조사를 통해 실제 철도시설 유휴공간의 선형공원화에 따른 교류증진 효과와 인식을 알아보았다. 대상지는 철도를 고가화하고 하부 선하구간을 공원으로 변화시킨 부산그린라인파크로 최근 조성되어 활발히 이용 중에 있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심 철도시설 하부 유휴공간 선형공원화의 교류증진 효과이다. 부산그린라인파크 내에서는 교류증진의 정도를 알 수 있는 이웃 간 접촉빈도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또한 만남에 대한 기대감과 친밀 향상정도도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인식은 이동을 목적으로 하는 집단보다 공원 내 여가활동을 하는 집단에서 더 두드러지게 나타났는데 공원 내 체류시간이 높은 여가활동 집단이 사회적 활동을 통해 교류기회가 더 높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교류증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다. 긍정적 요인으로는 연계성과 접근 편이성 등 선형공원이 가진 특성 즉, 연결성을 강화시켜 주는 요인에 대한 인식이 높았다. 부정적 요인으로는 역사나 횡단보도로 인한 단절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선형공원의 가장 큰 강점인 연결성을 약화시키는 결점이라 할 수 있다. 그 외 훼손행위에 대한 불만으로 이동집단과 여가활동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났는데 이동집단은 흡연에 대해 불만족을 나타낸 반면 여가활동 집단은 음주나 이륜차 통행에 대한 불만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교류증진 활성화를 위한 관리방안이다. 공원의 가치를 증대시키고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관주도의 관리뿐만 아니라 주민이 직접 참여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공원을 이용하는 지역주민 스스로 훼손행위를 인지하고 훼손행위를 함께 관리해나가는 것이 지역의 예산절감, 자원의 가치 상승, 지역이미지 제고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이에 본 연구는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관주도와 주민참여 두 가지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관 주도의 관리는 계도나 규제보다는 이용자들이 미처 알지 못했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스스로 공원 훼손행위를 줄이게 하는 방안이다. 부산그린라인파크 이용자들은 이륜차 통행, 흡연에 대한 불만이 높았다. 따라서 이륜차의 통행금지 구역, 흡연금지 구역 등 공원 내 금지된 행위를 알려줄 수 있는 정보제공 역할을 관에서 주도적으로 해야 한다. 주민참여 측면에서는 스스로 공원을 깨끗하게 가꾸는 정화활동이나 공원지킴이 등 활동가 역할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방안이다. 이러한 역할은 공원 애착심을 향상시킬 수 있는 좋은 방안으로 추후 부산그린라인파크의 효율적 운영과 관리를 위해 접목시켜 볼 필요가 있다. 이상 본 연구를 통해 선형공원을 이용하는 이용목적별 집단 간 교류 증진 인식차이를 확인하고 이용행태별 부정적 요인에 대한 관리방안을 구조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부산그린라인파크는 철도시설 유휴공간을 활용한 선형공원으로 단절성을 저해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관리프로그램을 적절히 융합하여 체계화한다면 이용자 간 교류활성화를 통한 지속적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Amid the increased no. of parks created in unoccupied spaces under urban railway facilities, there are several positive effects accompanied, such as increased spaces for local communities and increased connectivity. However, we cannot ignore its negative influence, such as causing troubles to local residents due to a difference in the purpose of use among user group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elements which might positively influence the social exchange between local residents led by park projects to be made at unoccupied spaces under urban railway facilities in order to effectively and sustainable use and manage those parks. Anteriorly, through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features of linear parks have been investigated. Linear parks are a life-friendly public space which connect urban spaces and so accessible that local residents could easily have social and cultural exchanges. Having unique features, of continuity, connectivity, accessibility, and penetrability, it promotes social interactions between urban districts. In the field study, based on the aforementioned features, a survey on users’ perception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actual effects of linear park projects, which were to be made under urban railway facilities, and awareness of the public about these projects. A study on the site is Busan Green Line Park, which has been recently created in an unoccupied space created y elevating the existing railwa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 linear park projects on idle spaces under urban railway facilities were shown to have an effect of promoting social exchanges. It was shown that the frequency of contact between neighbors, indicating a level of social exchanges, in the Busan Green Line Park was shown to be very high. In addition, expectancy for social meetings and intimacy were shown to be significantly high. Such awareness was shown to be more evident in a group having leisure activities in the park than a group visiting the park to move and it might be due to that the former group has more chances to have social exchanges through social activities since they spend more time in the park. Second, there are several factors that promote social exchanges. As for positive factors, there was the highest public awareness about factors of a linear park; such as connectivity and access convenience enhancing the connectivity of the park. For negative factors, discreteness caused by crosswalks was shown to have the highest public awareness. It could be considered a defect, which could aggravate the strongest strength of a linear park, connectivity. As for complaints about park-damaging activities,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a moving group and a leisure group. While the moving group expressed the highest dissatisfaction about smoking, the leisure group expressed the highest dissatisfaction about drinking and two-wheeled vehicle traffic. Third, there is a management plan for promoting social exchanges. To enhance and maintain the value of a park, it would be important to devise a management plan to allow local residents to take part. Local residents, who are also actual users of a park, should be aware of negative consequences of their actions and manage their actions on their own. It is much advisable in terms of budget reduction, enhancement of resource values, and enhancement of local images.

      • 군집분석을 이용한 도시간선도로의 도로기능분류 : 서울시 간선도로를 중심으로

        김영신 漢城大學校 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re have been studies on grouping highways by its functions, but almost no studies were made for grouping city highways. Due to heavy traffics, city highways are not able to perform their own roles as a "highway". Also, the standard for grouping the highway by its functions are based on road planning and specifications which don'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raffics. For those reasons, I have organized city highway's functions by using Cluster Analysis with using traffic characteristic variations. I used traffic characteristics like traffic volume, figures for weekend traffic, speed calculation and etc. for each city highways to organize 55 city highways in Seoul by its functions. I have compared my outputs with outputs from using AADT method. Outputs from AADT method have classified the characteristic of highways by its total number of lines and traffic density, but I have used traffic density per line as my main variation to come up with outputs which reflects the actual traffic. Also, I have proved my experiment that it reflects characteristics of traffics by comparing my analysis to Seoul City highway function assortment system. Conclusions for my paper(thesis) are first, my proposal is more effective than present highway grouping method which can not reflect some characteristics of present highways and second, function grouping system which I propose, will give more positive effects in designing and planning seoul highways for its extension.

      • 스페인 관광 선택속성에 관한 중요도와 만족도 분석

        김영신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스페인을 다녀간 관광객들의 스페인 관광 선택속성과 만족도를 파악하여 스페인 관광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한 변수의 추출과 실증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중요도-성취도 분석(IPA)을 통해 향후 발전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실증분석은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각 관광지 항목에 대해여 유의한 값에 대하여 각 항목들 간의 상관계수를 이용하여 동질적인 차원으로 축소하거나 요약함으로써 다변량 분석방법 중 요인분석(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또한 방문 전 ? 후의 기대감과 성취도,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스페인 관광을 선택하는 속성은 기후 및 날씨가 가장 높고, 안정성이 다음이었다. 만족도는 역사문화유적지가 가장 높았고, 지역축제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스페인 관광을 선택속성의 요인을 보면,?매력성?, ?시설?, ?편의성?, ?친절성?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본 연구에서 매력성 요인은 ?청결성?, ?자연경관?, ? 관광이미지?, ?역사문화 유적지의 매력?이다. 시설요인은 편의시설, 숙박시설, 여행부대시설이다. 편의성은 ?기후 및 날씨?, ?교통 편리성?, ?교통 접근성?이다. 마지막으로 친절성은 지역주민의 친절성과 종사원 친절성을 의미한다. 넷째, 중요도와 만족도가 Ⅰ사분면에 해당하는 지속 유지해야하는 스페인 관광 선택 속성은 ?자연경관?, ?역사/문화 유적지의 매력물?, ?기후 및 날씨?, ?교통 편리성?, ?교통 접근성?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II사분면은 중요도는 높지만, 만족도가 평균보다 낮아서 우선적으로 개선해야하는 요소로는 ?청결성?으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중요도가 낮은 III사분면과 IV사분면은 낮은우선순위 및 과잉노력지양 등 마케팅적 노력이 필요하지 않은 항목으로 분류되어 해석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III사분면에 위치한 ?종사원 친절성?의 경우 평균값에 근접했는데 만족도는 낮게 나타나 이러한 항목들도 고려해야한다고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중요도와 만족도가 낮은 IV사분면은, 현재의 마케팅 노력이 과잉되어 있는 요소들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항목으로는 ?이미지?로 나타나서 스페인의 이미지를 변화시키려는 마케팅 비용을 줄이고 다른 곳으로 전환하면 더 효율적인 마케팅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선택속성과 재방문, 추천의사 영향관계를 보면 재방문의사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스페인 관광 선택속성 요인으로는 스페인 관광 선택속성 요인 중 ?매력성?과 ?시설?이 재방문의사와 추천의사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스페인 방문 전 ? 후의 기대감과 성취감 분석(IPA) 연구 를 통해 나타난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주로 패키지여행을 선호하는 특성을 고려하여 한국인들을 위한 다양한 신상품개발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여야 한다. 둘째, 스페인 관광객들의 기대감과 성취도를 보다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전체 관광체계 내에서 교통은 매우 중요한 구성요소이고 특히 스페인에서는 도시간 거리가 상대적으로 멀기 때문에 스페인을 여행할 경우 교통은 결정적인 요소가 될 수밖에 없다. 셋째, 구전과 광고 및 인터넷을 통한 스페인 관광 홍보 방안을 적극 모색하여야 한다. 구전은 관광지 이미지 형성을 위한 가장 중요한 원천이므로, 구전을 통한 스페인 홍보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본 연구의 의의는 동일기간 동일 관광객을 대상으로 스페인 방문 전 선택속성과 방문 후의 만족도 변화를 연구 했다는 점과 스페인에 대한 관광상품과 마케팅적인 대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향후 연구를 발전을 시키기 위해서는 관광자의 여행동기와 관광지 선택속성 간의 관계, 다양한 문화와 생활을 체험할 수 있는 관광지와 다양한 정보유형이 관광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등 충분한 조사기간을 거쳐 심층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is directed to understand the rate of satisfaction and reason for decision, and vitalize Spanish tour through acquiring the basic information of the field. The research has proved and extracted variables in analysis through pre-research, and proposed ways of improvement through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IPA). The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frequency, and factor analysis has been used by reducing the factors of tourism by finding a correlation between them, and reducing them into a homogeneous dimension. Also, regression analysis has been used to find the expectation before touring, and?satisfaction of performance after the tour. ? According to research, the first and major reason for people touring Spain was because of weather, followed by safety. The satisfaction rate was highest at historical artifacts and national heritages, and the local festivals came out to be the lowest. Secondly, according to research, people choose?Spain for being attractive, facilities, ease, and hospitality. Third, the reason for attractiveness?is that the country is clean, nature-landscape, fame for tour, and the attractiveness of national?heritage. The facilities include utilities, accommodations, and tour guides. Weather and atmosphere, ease in transportation, and approach to transportation are included in the ease of the country. Finally, hospitality includes service, and friendliness of the local people. Fourth, the?qualities and properties that should be kept maintained were: nature-landscape, national heritage, weather and atmosphere, ease in transportation, which were included in the I?section. Next, the Section II, which has a lower satisfaction than its importance, included cleanness of the country that should be improved. Normally, the factors in Section III and IV do not require?a lot of effort and marketing, because it has a low priority. Therefore, they are not analysed. However, the service rate was near average, but the satisfaction came out to be very low, and therefore should be considered thoroughly. Finally, the 4th section, which has a low importance and satisfaction rate, include those with excessive marketing effort. These factors turn out to be the "image" of Spain, and decreasing the marketing price and investing on others would turn out to be more effective. Lastly, looking at the reasons for visiting and revisiting and recommendations, the?factors that have a statistically noticeable effect include Spain's attractiveness and facilities. The two have a positive effect on recommendation and revisitation. According to the researches, a conclusion can be drawn from the before/after expectation and?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IPA).? The research suggests the following; first, extension of investment in new products should be?done for Koreans who prefer package travelling. Secondly, in order to raise and create a positiveness in the expectation and performances in visitors of Spain, transportation is one of the biggest factors, because the distance between cities in Spain is very big. Therefore, transportation has?to be an important factor. Thridly, advertisement of tourism in Spain through people should be actively searched. Suggestion through people is the most important source of image making, and oral advertisement should be searched. The actions of the research can be found in that the research has been done upon the same tourists at the same time,?and their expectation rate and the satisfaction rate after the tour have been thoroughly analysed. Also, it can be found in?that suggestion of Spain's marketing plans and tour products have been made. For further improvement, fi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ourist's motivation and reason for touring, diversity of culture, and variety of information's effect on satisfaction should be investigated slowly and thoroughly.?

      • 신경병성 통증 쥐에서 반복적인 케타민 주입 후 내설발생에 관한 연구

        김영신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Ketamine, an N-methyl-D-aspartate antagonist, reduces pain by decreasing central sensitization and pain windup. However, chronic ketamine use can cause tolerance, dependency, impaired consciousness, urinary symptoms, and abdominal pain.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epeated ketamine injections and ketamine readministration after discontinuation in a rat model of neuropathic pain. To induce neuropathic pain, partial sciatic nerve ligation (PSNL) was performed in 15 male Wistar rats, and these animal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PSNL (control), PSNL + ketamine 5 mg/kg (K5), and PSNL + ketamine 10 mg/kg (K10; n=5 each). Ketamine was injected intraperitoneally daily for 4 weeks, discontinued for 2 weeks, and then readministered for 1 week. Following PSNL, the mechanical withdrawal threshold was determined weekly using the Von Frey. The K5 group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K10 group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mechanical withdrawal threshold, presented here as the target force (in g), at 21 and 28 days compared to the time point before ketamine injection (mean±SE, 276.0±24.0 vs. 21.6±2.7 and 300.0±0.0 vs. 21.6±2.7, respectively; P<0.01) and at 14, 21, and 28 day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108.2±51.2 vs. 2.7±1.3, 276.0±24.0 vs. 2.5±1.5, and 300.0±0.0 vs. 4.0±0.0, respectively; P<0.05). However, in the K10 group, the ketamine effects decreased significantly at 7 days after readministration compared to those after 28 days of repeated injections (P<0.05). In the K10 group, repeated ketamine injection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antinociceptive effect for >2 weeks, but this ketamine effect decreased after drug readministration. In conclusion, if ketamine is administered repeatedly, the antinociceptive effect of ketamine appears after 2 weeks. However, when re-administered for 1 week after discontinuation of administration for 2 weeks, the effect of ketamine was reduced compared to the first administration. N-methyl-D-aspartate 길항제인 케타민은 중심신경감작의 감소와 통증증폭현상을 감소시킴으로서 통증을 줄인다. 그러나 만성적인 케타민의 사용은 내성, 의존, 의식 저하, 비뇨기계 증상 및 복부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신경병증성 통증 쥐에서 반복적인 케타민 투여의 효과와 케타민 투여 중단 후 재투여의 효과에 대해 조사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신경병증성 통증을 유도하기 위해, 15마리의 수컷 Wistar rat에게 편측좌골신경결착(PSNL)을 시행하였으며, 이들을 각각 5마리씩 3개의 그룹으로 나누었다:PSNL(대조군), PSNL + 케타민 5mg/kg (K5), PSNL + 케타민 10mg/kg (K10). 케타민 은 4주간 매일 복강내 투여되었으며, 2주간 투여 중단 후, 1주간 재투여되었다. 편측좌골신경결착 이후, 기계적자극에 대한 움츠림 반응의 역치는 매주 Von Frey test를 이용하여 결정되었다. K5군에서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K10군에서는 케타민 투여 21일과 28일의 기계적 자극에 대한 움츠림 반응의 역치가 케타민 투여 전과 비교하여 증가되었으며 (mean±SE, 276.0±24.0 vs. 21.6±2.7 and 300.0±0.0 vs. 21.6±2.7, respectively; P<0.01), 대조군과 비교하여서도 14일, 21일, 28일에는 증가된 모습을 보였다 (108.2±51.2 vs. 2.7±1.3, 276.0±24.0 vs. 2.5±1.5, and 300.0±0.0 vs. 4.0±0.0, respectively; P<0.05). 그러나 K10군에서, 케타민의 재투여 후 7일째의 케타민의 효과가 케타민 반복투여 시 28일째의 효과와 비교하여 유의하게 감소 하였다. K10군에서 2주이상 케타민의 반복적인 투여 시 항통각효과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이 케타민의 효과는 재투여 시 감소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으로는 케타민을 반복적으로 투여하는 경우 2주 이후부터 케타민에 의한 항통각효과가 나타나지만, 4주간 투여 후 2주간의 중단 이후 1주일간 재투여하였을 때, 처음 투여할 때보다 케타민의 효과가 감소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