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김신영의 졸업 작품 「A Short Journey」해설

        김신영 동덕여자대학교 미래전략융합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63

        본 논문은 석사과정 이수를 위한 졸업 공연에서 발표한 네 곡의 작품을 분석한 것이다. 네 곡을 창작하게 된 배경을 설명하고 형식 및 음악적 특징을 설명하고자 한다. 네 곡을 통해 인생이라는 여정속에서 느끼는 감정들을 남겨보고 싶었다. 인간이라는 존재는 무엇인지, 무엇을 위해, 어디를 바라보며 살아가는지에 대해 고민하고 생각한 것을 각 네곡에 담아 표현 하고자 하였다. 이에 대한 의도하는 음악적 표현을 위해 여러가지 작곡 기법들을 반영하였다. 졸업 공연에서 연주한 네곡은 모두 본인의 창작곡이며 Piano 솔로곡이다. 작품 전체의 흐름을 통일하였으며, 각 곡의 제목에 맞게 다양한 분위기로 표현하고자 하였다. 본론을 통해 졸업 작품 ‘A Short Journey’의 배경, 음악적 특징을 차례대로 설명하고자 한다.

      • 사진의 기억을 통해 재연출된 잔상이미지에 관한 연구 : 본인의 작업을 중심으로

        김신영 홍익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현대의 우리는 살아가면서 삶의 상당히 많은 부분을 이미지로서 인식하고 지각하게 된다. 눈앞의 이미지는 ‘상(像)’으로 남고, 시간이 흐르면 그것은 ‘잔상(殘像)’을 남긴다. 이런 순간적인 인상은 그것이 정확히 무엇인지는 설명이 어렵지만 이러한 이미지는 그렇기 때문에 본인 작업의 원동력이 된다. 어떤 장면을 마주하는 순간 우리는 글을 읽듯 그 장면들을 읽고, 또 전달하고자 하게 된다. 하지만 모든 언어적 기호는 비유적인 속성을 지니게 되기 때문에 그것들을 완벽하게 소통하기란 불가능 하다. 본인의 작업은 이러한 이야기를 ‘본래 그러한 것’으로서 풀어내려 하고 있다. 모든 기억은 이미지로서 남는다. 앙리 베르그송(Henri-Louis,Bergson)은 ‘우리는 어떤 이미지의 유사성에 의해 무의식을 기억의 영역으로 끌어 들인다’ 고 말한다. 사진술과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우리는 매우 간단히 사진을 생산해 내고 또 보관할 수 있게 되었다. 과거에 대한 사진들은 그것이 담고 있는 그 시간과 장소, 그리고 감정적인 기억까지도 불러일으킨다. 사진에서 일어나는 규명할 수 없는 감정의 움직임을 ‘아우라’라고 하는데, 이는 대상과 응시자사이의 상호정신 현상을 말하는 것으로서 본인은 사진이 가지는 이러한 기억들에 관한 아우라(Aura)를 재구성하여 그 시간들의 감정을 다시 화면위로 전이 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이 작업을 위해 본인은 마음을 움직이고 관통하는 작은 이미지 조각들을 수집하여 사용한다. 수집되는 이미지는 그 순간 본래 주변의 것들에서부터 의미적으로 떨어져 나오면서 고정값이 없는 자유로운 기호로서 작용하게 되며, 이것은 화면에 놓일 때 비로소 주변의 이미지들에 의해 그 의미가 확정지어지게 되고 그 상황을 설명하게 된다. 그리고 이미지기호는 본래 사진이 가지는 인증적인 성격과 함께 그 장소와 기억에 대한 ‘인덱스’(index)로서 존재하게 된다. 이런 과정에서 본인의 작업에 반복적으로 쓰이는 모티브(motif)들이 있는데, 구름과 나무의 이미지, 건물의 구조, 인물과 동물 등은 일상에서 본인에 의해 수집되어지고 마침내 각각의 기호로서 다시 하나의 장면이 되기 위해 하나의 공간위에 재배치된다. 그리고 각각의 의미작용들은 본래의 위치를 떠나 본인의 화면 안에 자리 잡게 된다. 구름의 형상은 화면을 가득 지나가거나 다른 형태의 것이 변형되어 화면에 배치되는 감정의 덩어리이다. 이것은 나무의 형상으로 표현되기도 하고 그 자체로 어떤 감도는 분위기로 존재하기도 한다. 인물과 동물의 형상은 본인의 기억으로 대변되는 것들로서, 그림 속에 서서 직접 밀려들어오는 이미지들과 대면하고 그 순간을 감각적으로 지각하게 된다. 본인은 어떤 순간이 남긴 기억을 표현하기위해 기록으로 남겨진 (객관적인) 사진을 바탕으로 (주관적인) 본인의 감정을 조합해서 다시 하나의 장면으로 만들어 낸다. 그리고 본인에게 작용하는 이 이미지 기호들의 조합을 통해 다시 하나의 이야기를 전달하는 새로운 이미지를 만들게 되는 것이다. As we live in the modern era, our daily lives are defined as continuous perception of images. What we see with our eyes last as “impressions” and in time creates an “after-image” that lasts in our memories. This imprint, although hard to define its exact image, is what motivates and inspires my work. When confronted with a moment, we read the moment as if we read a book, then desire to convey this moment to others. However as all linguistic symbols are, in a way, metaphors, it is almost impossible to communicate these symbols to perfection. In this sense, my work attempts to address this situation “as it is.” All memories remain to us as images. Henri-Louis Bergson once said that ‘it is the similarity of the image that brings our unconsciousness back to become a part of the memory.’ The evolution of photography and digital technology has allowed us to easily produce photos and to preserve them. Photographs remind us of the time, place and even the emotional memory from the captured moments of the past. The indefinable movement of emotions in a photograph is called an ‘aura,’ which is an emotional interaction between the subject and the observer. Through my work, I am attempting to reconstruct the ‘aura’ of the memories hidden in photographs and recall the emotions of the moment captured in the frame to my canvas. I begin this process by collecting pieces of images that move and pierce my emotions. The collected images become undefined, free symbols as they are removed from their original surroundings. These symbols become redefined as they are rearranged onto a new canvas, thus re-presenting an entirely different setting. In the end, the image symbols come to possess dual meaning, first being the characteristic of the original photograph, then secondly as a newly defined “index” of memory. In this re-presenting process, I repeatedly introduce motifs collected from my everyday life, such as clouds, trees, buildings, figures and animals. As symbols, these motifs are recomposed on the stage to become another scene. The motifs are redefined, leaving their original state and gaining new meaning. Clouds are a mass of emotion positioned to fill or pass through the canvas. They are also mutated images of trees, bushes or smoke. Meanwhile the figures and animals are collected and brought in as representations of my memories. They stand in the picture sensing the moment as they face the photographic images. My work is a mixed result of subjective emotions and the objective photograph, which produces a novel scene that recalls the memory of the moment. And this combination of image symbols creates a new story to tell.

      •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통증, 불확실성, 수면양상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김신영 동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 초록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통증, 불확실성, 수면양상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김신영 동신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지도교수 : 윤경순) 본 연구는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통증, 불확실성, 수면양상, 삶의 질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간호를 위한 기초자료를 획득하고자 시도하였다. 자료 수집은 G 광역시 소재의 종합병원에서 류마티스 관절염 진단을 받은 지 3개월 이상 된 자로 외래 진료를 받고 있는 만 20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2020년 08월 01일~10월 01일까지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도구는 일반적 특성 10문항, 통증은 10cm 시각상사척도 (Visual Analogue Scale)를 사용한 통증 척도, 불확실성은 M. H. Mishel(1981)이 개발한 불확실성 척도(Mishel’s Uncertainty in Illness Scale-Cpmmunity form ; MUIS-C)를 정재원, 김문정, 이미현, 도혜경(2005)이 국문으로 변역한 불확실성 척도 23문항, 수면양상은 오진주, 김신미, 송미순 (1997)가 개발한 수면 측정도구 15문항, 삶의 질은 세계보건기구(WHO)가 제작한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Assessment Instrument-Brief : (WHOQOL - BREF)를 민성길, 이창일, 김광일, 서신영, 김동기(2000)가 번안한 한국판 삶의 질 간편 척도 (Korean version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BREF, WHOQOL-BREF) 26문항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와 One-way ANOVA, Scheffe의 사후검정, 상관관계분석, 다중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통증은 평균 5.01점, 불확실성은 평균 3.09점, 수면양상은 평균 2.86점, 삶의 질의 평균은 2.75점으로 나타났다. 2.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통증은 성별(t=-1.999, p<.05)과 최종학력(F=4.826, p<.01)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수면양상은 성별 (t=2.050, p<.05), 연령(F=3.525, p<.01), 가족력 유무 (t=-2.754, p<.01)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삶의 질은 연령(F=3.723, p<.01), 최종학력(F=6.536, p<.01), 직업(t=3.556, p<.001), 가족 월수입(F=5.032, p<.01), 가족력(t=-2.859, p<.01)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3.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삶의 질의 상관관계 분석에서 삶의 질은 통증(r=-.277, p<.001), 불확실성(r=-.606,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수면양상과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r=.603, p<.001). 4.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삶의 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변수는 불확실성(β=-.399, p<.001), 수면양상(β=.337, p<.001) 순으로 나타났고, 이 회귀모형은 적합하며 (F=21.869 p<.001) 약 56.6%의 설명력을 보였다. 즉 불확실성이 낮을수록, 수면양상이 좋을수록 삶의 질이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를 기초로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불확실성을 낮추고, 수면의 질을 높여주는 더 나은 삶의 질을 위한 체계적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주요용어 : 류마티스 관절염, 통증, 불확실성, 수면양상, 삶의 질 Abstract Impact of pain, uncertainty and sleep pattern on quality of life in rheumatoid arthritis patients Kim sin young Department of Nursing Graduate School of Dongshin University (Advisor : Yoon, Kyung So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ain, uncertainty, sleep patterns,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and check the impact on quality of life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nursing interventions that improve the quality of rheumatoid arthritis patient’s lives. the research subjects were those who receive outpatient care for more than three months since they were diagnosed with rheumatoid arthritis located in G- Metropolitan City and the research was conducted from August 1, 2020 to October 1, 2020. The assessment tools were General Characteristics 10 Item, Pain scales with a 10cm visual analysis scale, n order to measure the level of uncertainty, the Korean-translated version by Jung (2005) of the [Mishel Uncertainty in Illness Scale (MUIS)] was used, which consisted of 23 items. AS for the sleep patterns tools, 15 questions are used which are developed by Oh (1997), Quality of life is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Assessment Instrument-Breef: (WHOQOL - BREF) developed by the WHO, the korean translated version by Min(2000) of the was used, which consisted 26 items. We used the SPSS program to analyze the data. Statistics methods are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Scheffé 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pain of patients with rheumatoid arthritis was 5.01 points on average, uncertainty was 3.09, sleep patterns was 2.86 and quality of life was 2.75 points on average 2. The pai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rheumatoid arthritis patient showed meaningful differences concerning gender (t=-1.999, p<.05) and final education, (F=4.826, p<.01) Sleep pattern had meaningful gaps between concerning gender (t=2.050, p<.05), age (F=3.525, p<.01), and family history (t=-2.754, p<.01) and Quality of life presented meaningful differences concerning age (t=3.723, p<.01), final education (F=6.536, p<.01), occupation (t=3.556, p<.001), family monthly income (t=5.032, p<.01), family history (t=-2.859, p<.01). 3. In correlation analysis regarding rheumatoid arthritis patients's quality of life, The Quality of lif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with Pain (r=-.277, p<.001) and Uncertainty (r=-.606, p<.001), and meaningfully positive correlation with Sleep patterns (r=.603, p<.001). 4. The variabl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rheumatoid arthritis patients's quality of life appeared in the order of Uncertainty (β=-.399, p<.001) and Sleep patterns (β=.337, p<.001). Regression model is suitable (F=21.869, p<.001), and It showed about 56.6% of explanatory power. In other words, the lower the Uncertainty and the better the Sleep pattern, the higher the Quality of lif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uncertainty and sleep patterns is the major factor that quality of life. Therefore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for rheumatoid arthritis patients require interventions and program developments that enhance lower the uncertainty and better the sleep pattern. Key words : Rheumatoid arthritis, Pain, Uncertainty, sleep pattern, quality of life

      • 스캇 헨더슨(Scott Henderson)의 연주 기법 연구 -A, E Blues 중심으로-

        김신영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포스트모던음악학과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paper is a study about the performing technique by Scott Henderson, with Dolemite (A Blues), Hole Diggin (E Blues) which are Scott Henderson's music as a center, this paper anayzes guitar melody in depth, study theory, background flow and guitar techniques, and desires to have abroad understanding of Guitar Blues. Scott Henderson is a representive guitarist of Jazz Rock Fusion guitarist since the 1970s, and this paper will investigate about his biography, analysis of diachronic change, and Jazz Rock Fusion in the 1970s. This will consider the musical theory of Blues, and will investigate the origin, effect on the cause of occurrence of the Blues, and the development of Guitar Blues style. In studying this paper, I will attach a desciprion of the music term sign of the melody of harnomy, and ivestigate Scott Henderson's various performing technique and perfoming features. This paper will do analysis on structure of formailty about A Blues, analysis on the material of harmony, analysis on melodic structure and also de Hole Digging of E Blues in the same way. 본 논문은 스캇 헨더슨(Scott Henderson)의 연주 기법 연구로서 A, E Blues 스캇 헨더슨 곡인, Dolemite (A Blues), Hole Diggin (E Blues)를 중심으로 기타선율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이론과 배경의 흐름과 기타 기법을 연구하며. Guitar Blues에 대한 넓은 이해를 가지고자 한다. 스캇 헨더슨(Scott Henderson)는 1970 년대 이후 Jazz rock fusion의 대표하는 기타리스트이며, 그에 대한 바이오그래피, 통시적 변화 분석 및 1970년대 Jazz rock fusion 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Blues의 음악적 이론을 고찰하며, Blues의 기원과 발생원인 음악의 영향, Guitar Blues 스타일과 발전을 알아 볼 것이다. 논문을 연구 분석 하는데 있어, 화성. 선율의 음악용어 기호설명을 첨부 하며, 스캇 헨더슨(Scott Henderson)의 다양한 연주기법과 연주적 특징을 알아보며, A Blues의 Dolemite 곡 및 E blues의 Hole Digging 곡에 대한 형식과 구조 분석, 화성 진행 분석, 선율 진행 분석을 논하고자 한다.

      • 직무분석을 통한 대학도서관 직무모형 개발 연구

        김신영 연세대학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이미 미국, 영국, 일본, 호주 등의 주요 문화선진국은 도서관협회를 중심으로 오래 전에 자국의 도서관 직무를 분석하여 전모를 제시한 바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도서관계를 대표하는 도서관협회 뿐만 아니라 국공립대학도서관협의회나 사립대학도서관협의회 등 관종별 협의회와 학회에서도 대학도서관에서 어떤 직무가 수행되며 그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사서직의 전문적 업무는 무엇이며 얼마나 난해한지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조사,분석한 적이 없다. 이러한 현실에 착안하여 본 연구는 대학도서관의 직무를 분석하고 사서의 전문성을 강화하며 인사관리의 최적화와 조직관리의 효율화를 위한 전제요소라 할 수 있는 직무모형을 다음과 같은 절차와 과정을 거쳐서 제안하였다.첫째, 직무분석에 관한 배경정보는 문헌조사법으로 각종자료(학술논문, 연구보고서, 정책문서, 단행본, 학위논문, 정부간행물, 통계자료, 법령, 기타 관련자료 등)를 수집,정리하였다. 그리고 대학도서관에서 수행하는 모든 업무(직접서비스 업무 + 간접서비스 및 연계성 업무)는 각국의 직무사례와 관련협회가 작성한 직무분장표를 정밀 분석하여 국내 대학도서관을 대상으로 직무분석을 수행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였다.둘째, 대학도서관의 직무모형 개발을 위해서 설문지법과 전문가 인터뷰를 동시에 진행하였다. 이를 위하여 문헌조사, 예비조사, 방문조사, 사례분석에서 수집된 모든 업무를 검토하여 설문지를 구성하고 대학도서관에 배포하였다. 이때 설문대상은 개별 직원이 아니라 대학도서관 그 자체를 대상으로 하여 특정 업무를 담당하는 개인이 자의적으로 판단하여 응답할 경우에 초래될 신뢰성 저하를 차단하였다.셋째, 직무분석 설문 결과는 SPSS(15.0)로 통계처리하였다. 각 대학별 직무의 수행빈도와 중요성, 난이도, 최소 자격요건 등에 대한 인식도는 설립주체별(국공립,사립) 평균 차이를 검증을 위하여 독립표본 t-검증을, 도서관 규모별(대,중,소), 권역별(서울, 경인,강원, 영남, 충청, 호남,제주 등 5개 권역) 평균 차이를 검증을 위해서는 다변량분산분석(MANOVA)을, 부분적으로 모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넷째, 직무분석 결과와 전문가 집단의 인터뷰를 통한 검증 과정을 거쳐서 제안한 직무모형은 총 189개의 직무단위로 구성하였으며, 각각의 구성비율은 전문직 직무가 43.9%(83개), 준전문직 직무가 29.6%(56개), 그리고 비전문직 직무가 26.5%(50개)이다. 직무영역별로 전문직 업무는 이용서비스(23개), 장서개발과 관리(20개), 경영관리(16개), 자료조직(15개), 정보시스템 구축과 관리(9개) 순으로 구성하였다.마지막으로 제안한 직무모형에서 전문직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직무 수행요건 즉, 지식과 기술 그리고 최저 자격요건과 그 확보방안을 제시하였다. 즉, 대학도서관 사서가 양질의 전문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특수서비스 지식과 관련기술, 정보서비스 및 관련법제 이해력, 경영관리 및 분석능력, 정보시스템 운용력, 자료개발 및 조직 능력, 재무관리 기법 등 6가지 영역의 직무 수행요건을 확보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는 현행 사서 양성제도 및 정규 교과과정의 보완을 통하여 신임사서의 자질을 높이고, 현직 사서를 대상으로 한 직무교육을 개선하고 주제전문사서의 자격제도화 등을 통해서 사서의 직무능력을 강화하는 도서관계의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따라서 후속연구에서는 제시된 직무모형에 근거하여 전문직 사서의 직무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교육모형을 개발하고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필요한 자격화 방안에 관한 연구도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건강한 성인 및 면역저하자를 대상으로 한 코로나-19 백신 3차 접종 효과 연구

        김신영 조선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연구 배경 : 2019년 중국 우한에서 시작되어 전 세계로 확산한 코로나-19 감염증(COVID-19)은 SARS-CoV-2 바이러스에 의한 호흡기 감염질환이다. 코로나-19 백신은 매우 효과적이고, 중증‧사망에 대한 보호 기능을 제공하지만, 코로나-19 백신 접종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코로나-19 감염 예방 효과가 감소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3차 접종에 대한 평가는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건강한 성인과 면역저하자를 대상으로 코로나-19 백신 3차 접종 전과 접종 후에 따른 항체 면역 및 세포 면역 반응을 확인하고 3차 접종의 효능을 평가하였다. 방법 : 중화 항체 면역능 평가를 위해 plaque reduction neutralization test 50% neutralization endpoints(PRNT50)와 신속진단 키트인 surrogate virus neutralization test(sVNT)를 이용하여 바이러스 중화능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spike(S) 단백질 sandwich ELISA(RocheⓇ)를 이용하여 결합 항체가를 측정하였다. 세포 면역 평가를 위해 interferon gamma release assays(IGRAs) 분석을 통해 interferon gamma 농도를 측정하였다. 건강한 성인 35명과 COVID-19 회복 환자 60명의 혈청을 이용하여 PRNT50 역가와 sVNT 양성률(blocking, %)을 측정 후 두 방법 간에 바이러스 중화능의 상관성을 확인하였다. 코로나-19 백신 3차 접종 전과 접종 후에 건강한 성인 124명과 면역저하자(혈액암, 고형암, 류마티스, 신장 이식) 223명의 혈청을 이용하여 S 단백질 sandwich ELISA(RocheⓇ)를 이용한 결합 항체를 측정하였으며, PRNT50 역가와 sVNT 양성률(blocking, %)을 이용하여 바이러스 중화능을 확인하였다. 결과 : SPSS의 상관분석을 통해 건강한 성인들과 COVID-19 회복 환자의 PRNT50 역가와 sVNT 양성률(blocking, %) 간에 관련성을 확인한 결과 r(상관계수) 값이 0.639(P <0.001)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COVID-19 회복 환자의 회복 후 시점별 혈청을 이용하여 PRNT50 역가와 sVNT 양성률을 확인하였을 때 1주 차 추적 혈청에 비해 4주 차에 PRNT50 역가는 약 5배가 증가하였고 4주 차 추적 혈청에 비해 9∼15개월에 PRNT50 역가는 약 21배 감소하였다. sVNT 양성률는 1주 차 추적 혈청에 비해 4주 차에 약 1.5배가 증가하였으며, 4주 차 추적 혈청에 비해 9∼15개월에 약 1.5배 감소하였다. PRNT50 역가 1:10 이상을 중화항체 양성 cut-off로 했을 때 1주 차 추적 혈청에서 28명 중 20명 (71.42%)이 양성이었고, PRNT50 역가는 169.9 ± 62.91%(Mean ± SEM)이었다. sVNT 30% 이상을 양성으로 간주 했을 때, 1주 차 추적 혈청에서 19명(67.85%)이 양성이었고, sVNT 양성률은 55.53 ± 7.32%(Mean ± SEM)이었다. 4주 차 추적 혈청에서 54명 중 PRNT50 양성은 53명(98.14%)이었고, PRNT50 역가는 826.54 ± 111.7(Mean ± SEM)이었다. 4주 차 추적 혈청에서 sVNT 양성은 53명(98.14%)이었고, sVNT 양성률은 86.13 ± 2.32%(Mean ± SEM)으로 중화항체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9∼15개월 추적 혈청에서 38명 중 PRNT50 양성은 32명(84.21%)이며, 이때 PRNT50 역가는 37.68 ± 9.99이었으며, sVNT 양성은 35명(92.10%)이며, sVNT 양성률은 55.18 ± 5.04%으로 감소하였다(P <0.001). 코로나-19 백신 3차 접종 전에 비해 접종 후 1개월에 SARS-CoV-2 S 단백질 결합 항체가의 기하평균(GMT)을 비교하면 건강한 성인 그룹은 6배 증가하였고, 면역저하자의 경우 21배 증가하였다. 특히 혈액암 그룹은 14배 증가하였고, 그룹은 42배, 류마티스 그룹 그룹과 신장 이식 그룹은 15배 증가하였다. 코로나-19 백신 3차 접종 전과 비교하면 접종 후 6개월에 S 단백질 결합 항체가는 건강한 성인 그룹에서 1.4배 증가하였고, 면역저하자의 경우 7.2배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코로나-19 코로나-19 백신 3차 접종 전과 접종 후 1개월에 SARS-CoV-2 Wild-type/Alpha의 S 단백질(Original S)에 의해 유도되는 IFN-γ 기하평균(GMT)을 비교하면 건강한 성인 그룹에서 약 1.2배 증가하였고, 면역저하자는 3배 증가하였다. 특히 혈액암 그룹은 2.5배 증가하였고, 고형암 그룹은 4배, 류마티스 그룹 그룹은 4.4배, 신장 이식 그룹은 3배 증가하였다. 코로나-19 백신 3차 접종 전과 비교하여 접종 후 6개월에 건강한 성인 그룹에서 Original S 단백질 IFN-γ 기하평균은 0.4배 차이가 있었고, 면역저하자의 경우 1.75배 차이가 있었다. 면역저하자 그룹 중 혈액암 그룹은 1.3배 차이가 있었고 고형암 그룹은 2.3배, 신장 이식 그룹은 6배 차이를 보였다. 코로나-19 백신 3차 접종 전과 접종 후 1개월에 SARS-CoV-2 Beta/Gamma S 단백질(Variant S)에 의해 유도되는 IFN-γ 기하평균을 비교하면 면역저하자 그룹 중 혈액암 그룹은 약 1.6배 증가하였고, 고형암 그룹은 8배, 류마티스 그룹은 2.5배, 신장 이식 그룹은 3배 증가하였다. 건강한 성인은 백신 3차 접종 전과 접종 후 1개월간 차이는 없었다. 코로나-19 백신 3차 접종 전과 비교하여 접종 후 6개월에 건강한 성인 그룹에서 Variant S 단백질 IFN-γ 기하평균은 0.5배 차이가 있었고, 면역저하자의 경우 2배 차이가 있었다. 면역저하자 그룹 중 혈액암 그룹과 류마티스 그룹은 차이가 없었고, 고형암 그룹과 신장 이식 그룹은 3배 차이를 보였다. 코로나-19 백신 3차 접종 전과 비교해 접종 후 1개월에 sVNT 양성률은 건강한 성인 그룹은 약 1.2배 증가하였고, 면역저하자 그룹은 약 4.8배 증가하였다 코로나-19 3차 접종 후 3개월에 sVNT 양성률은 건강한 성인 그룹에서 1.17배, 면역저하자 그룹에서 5배 증가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코로나-19 백신 3차 접종 전 SARS-CoV-2 Wild-type 바이러스에 대한 PRNT50 역가는 건강한 성인에서 1:128로 가장 높았고, 면역저하자는 1:16으로 건강한 성인과 비교해 낮았으며 신장 이식 그룹은 1:8로 면역저하자 그룹 중 가장 낮았다. 코로나-19 백신 3차 접종 후 1개월에 SARS-CoV-2 Wild-type 바이러스에 대한 PRNT50 역가는 건강한 성인과 면역저하자 그룹 모두에서 증가하였다. 코로나-19 백신 3차 접종 후 시점에 따른 SARS-CoV-2 Omicron 바이러스에 대한 PRNT50 역가는 각 그룹 간 차이를 비교하면 코로나-19 백신 3차 접종 전과 접종 후 1개월에 건강한 성인과 신장 이식 그룹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P <0.05). 접종 후 3개월 이후 6개월까지 건강한 성인과 면역저하자 그룹 간에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건강한 성인 그룹은 코로나-19 백신 3차 접종 전과 비교하면 접종 후 1개월과 6개월에 SARS-CoV-2 Omicron 바이러스에 대한 PRNT50 역가는 높았다(P <0.05). 면역저하자 그룹 중 혈액암 그룹은 접종 후 1개월에 PRNT50 역가는 증가하였고(P <0.05), 혈액암 그룹과 신장 이식 그룹은 접종 후 6개월에 PRNT50 역가는 의미 있게 증가하였다(P <0.05) . 결론 : 건강한 성인뿐만 아니라 면역저하자 코로나-19 백신 3차 접종 후 1개월에 체액성 면역뿐만 아니라 세포성 면역 모두 향상되었다. 그러나 신장 이식 그룹 등 면역저하자 그룹에서 3차 접종 후의 체액성, 세포성 면역 반응이 건강한 성인보다 낮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3차 접종 후 건강한 성인과 면역저하자의 체액성, 세포성 면역 반응의 차이는 현저히 개선됨을 확인하였다. Background: COVID-19 infection, which began in Wuhan, China in 2019 and spread around the world, is a respiratory infectious disease caused by the SARS-CoV-2 virus. The COVID-19 vaccine is very effective and provides protection against severe and death, but it is reported that the effect of preventing COVID-19 infection decrease over time after vaccination, so evaluation of the 3rd vaccination is very important. In this study, antibody and cell immune responses according to before and after the 3rd COVID-19 vaccination were confirmed and the efficacy of the 3rd vaccination was evaluated for healthy adults and immunocompromised patients. Method: For antibody immunization evaluation, viral neutralization activity was measured using plaque reduction neutralization test 50% neutralization endpoints(PRNT50) and surrogate virus neutralization test(sVNT). Further, the binding antibody was measured using the spike(S) protein sandwich ELISA(RocheⓇ). Interferon gamma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through interferon-gamma release assays(IGRAs) analysis for cell immunity evaluation. The correlation between plaque reduction neutralization test 50% neutralization endpoints(PRNT50) titer and positive rate of rapid diagnosis kit for neutralization test using surrogate virus neutralization test(sVNT, GenbodyⓇ) was compared using the serum from 35 healthy people and 60 patients recovering from COVID-19. In addition, binding antibodies using S protein sandwich ELISA (RocheⓇ) were measured using serum of 124 healthy adults and 223 immunocompromised patients (hematologic malignancy, solid organ malignancy, rheumatic disease and kidney transplantation) before and after COVID-19 3rd vaccination, and virus neutralization activity was confirmed using PRNT50 titer and sVNT positive rate. Result: Through the correlation analysis of SPS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NT50 titer and sVNT positive rate of healthy adults and COVID-19 recovery patients was confirmed, and the r (correlation coefficient) valu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0.639 (P <0.001). In addition, when the PRNT50 titer and sVNT positive rates were confirmed using point-by-point serum after recovery of COVID-19 recovery patients, PRNT50 and sVNT were increased by about 5-fold in 4 weeks compared to 1 week follow-up serum and decreased by about 21-fold in 9∼15 months. The sVNT positive rate increased by about 1.5-fold per week compared to the 1-week follow-up serum, and decreased by about 1.5-fold per week in 9-15 months compared to the 4-week follow-up serum. When the PRNT50 titer of 1:10 or more was positive for neutralization antibodies, 20 out of 28 (71.42%) were positive in the primary follow-up serum, and the PRNT50 titer was 169.9 ± 62.91 (Mean ± SEM). When more than 30% of sVNT was positive, 19 (67.85%) were positive in the primary follow-up serum, and the sVNT positive rate was 55.53 ± 7.32% (Mean ± SEM). Of the 54 patients in the 4th week follow-up serum, 53 (98.14%) were positive for PRNT50 and the PRNT50 titer was 826.54 ± 111.7. In the 4th week follow-up serum, the sVNT positive was 53 (98.14%), and the sVNT positive rate was 86.13 ± 2.32% (Mean ± SEM), indicating an increased in neutralization antibodies. However, out of 38 patients in 9∼15 months follow-up serum, PRNT50 positive was 32(84.21%), at this time PRNT50 titer was 37.68 ± 9.99 (Mean ± SEM), sVNT positive was 35 (92.10%), and the sVNT positive rate decreased to 55.18 ± 5.04% (Mean ± SEM)(P <0.001). Comparing the geometric mean (GMT) of SARS-CoV-2 S protein-binding antibodies 1 month after vaccination compared to before the 3rd vaccination of the COVID-19 vaccine, the healthy adult group increased 6-fold and 21-fold for immunocompromised patients. In particular, the hematologic malignancy group increased 14-fold, the solid organ malignancy group increased 42-fold, and the rheumatic diseases group and the kidney transplantation group increased 15-fold. Compared to before the 3rd vaccin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S protein-binding antibody increased 1.4-fold in the healthy adult group and 7.2-fold in the case of immunocompromised patients at 6 months after vaccination. Comparing the IFN-γ geometric mean (GMT) induced by the S protein of SARS-CoV-2 Wild-type/Alpha before and after the 3rd vaccination of the COVID-19 vaccine, the IFN-γ GMT increased by about 1.2-fold in the healthy adult group, and the immunocompromised patients by 3-fold. In particular, the hematologic malignancy group increased 2.5-fold, the solid organ malignancy group increased 4-fold, the rheumatic diseases group increased 4.4-fold, and the kidney transplant group increased 3-fold. In addition, compared to before vaccination, there was a 0.4-fold difference in the Original S protein IFN-γ geometric mean GMT in the healthy adult group at 6 months after vaccination, and 1.75-fold difference in the case of immunocompromised patients. Among the immunocompromised patients, there was a 1.3-fold difference in hematologic malignancy, 2.3-fold difference in solid organ malignancy, and 6-fold difference in kidney transplantation patients. Comparing the IFN-γ geometric mean GMT induced by SARS-CoV-2 Beta/Gamma S protein (Variant S) before and after the 3rd vaccination of the COVID-19 vaccine, hematologic malignancy patients increased about 1.6-fold, solid organ malignancy patients increased 8-fold, rheumatoid patients increased 2.5-fold, and kidney transplant 3-fol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healthy adults before and after the 3rd vaccination. In addition, compared to before vaccination, there was a 0.5-fold difference in the variable S protein IFN-γ geometric mean GMT in the healthy adult group at 6 months after vaccination, and a 2-fold difference in the case of immunocompromised patients. Among the immunocompromised patients,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hematologic malignancy patients and rheumatoid patients, and there was a 3-fold difference between solid organ malignancy and kidney transplantation patients. Compared to before the 3rd vaccination of the COVID-19 vaccine, the sVNT positive rate increased by about 1.2-fold in the healthy adult group and 4.8-fold in the immunocompromised patient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sVNT positive rate increased 1.17-fold in the healthy adult group and 5-fold in the immunocompromised patients group at 3 months after inoculation. Prior to the 3rd vaccination of the COVID-19 vaccine, the PRNT50 titer for the SARS-CoV-2 Wild-type virus was the highest at 1:128 in healthy adults, the immunocompromised patients was lower at 1:16, compared to healthy adults, and the lowest among the immunocompromised patients at 1:8 in kidney transplant patients. In addition, the PRNT50 titer for SARS-CoV-2 Wild-type virus increased in both healthy adults and immunocompromised patients at 1 month after vaccination. The PRNT50 titer for SARS-CoV-2 Omicron virus according to the time after the 3rd vaccination of the COVID-19 vaccin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healthy adults and kidney transplant patient groups before and after vaccination 1 month (P <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healthy adults and immunocompromised patients from 3 months to 6 months after vaccination. The healthy adult group had a higher PRNT50 titer for SARS-CoV-2 Omicron virus at 1 and 6 months after inoculation compared to before vaccination 3 (P <0.05). Among the immunocompromised patients, hematologic malignancy patient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PRNT50 weight at 1 month after inoculation (P <0.05), and hematologic malignancy and kidney transplant group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PRNT50 weight at 6 months after inoculation (P <0.05). Conclusion: In addition to healthy adults, immunocompromised patients was also confirmed to improve immunogenicity such as fluidity and cellular immune responses for one month after the 3rd vaccination of the COVID-19 vaccine.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the somatic and cellular immune responses after the 3rd vaccination were lower than those of healthy adults in the immunocompromised patients such as kidney transplant group.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the difference between somatic and cellular immune responses of healthy adults and immunocompromised patients after the 3rd vaccination was significantly improved.

      • Franz Schbert의 藝術歌曲集 《Schwanengesang》에 관한 分析硏究

        金信英 淑明女子大學校 1983 국내석사

        RANK : 247631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analysis of Franz Schubert's collection of the 14 song "Schwanengesang", its characteristics are as follows. 1. Arrangement of songs: It has been generally said that these songs were roughly picked out from the songs of Schubert's last years, but after careful investigation and study for a long time, we discovered that "Schwanengesang" had been arranged in a carefully calculated manner such as fol1ows. 1) In an examination of the key of songs, we found that the first and last songs are in G Major, and it revealed a close unity of the keys. The remainder of the songs are closely related in the keys with each other except the 4th(d minor), 5th(e minor), the 9th(b^6 minor), the 10th (A^6 Major), the 12th(C Major), and 13th (b minor). 2) The arrangement of the beat is varied 3) The tempo is also varied In view of the foregoing facts, it is evident that the 14 songs were systematically arranged in a carefully calculated manner. It seems to us that this was because Schubert took part in the publication of "Schwanengesang". 2. Form of song-cycle : It was written mainly in song form (1) Strophenlied (2) Varied - Strophenlied (3) Through-composed song 3. Musical contents of songs : In all the songs of "Schwanengesang", J poetry and music are united together as fine art, and especially the melody in voice part and the harmony in piano part of the 9th song "Ihr Bild" remind us of R. Schumann. In the middle part of the 11th song "Die Stadt" the same note form based upon the minor 7cord was repeated 11times in piano part, from which the melody of voice part resulted. This note form gives us instantaneous sensitive impression. This is seen in the 12th song "Am Meer" , also. In this song, the expressions of gentle wave in each two phrases of the first and the last part, is as impressive as the tremolo symbolizing wave in the middle part. The melody structure in piano part of the 13th song "Der Doppelga¨nger" is the neutral melody between Aria and Recitative, namely, a conversational one. As these remind us of the recitative form of R. Wagner, this is one of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in songs written in his last years. 4. The characteristics of harmony : The harmony used in all the songs contains lots of refined modulations, which are in sympathy with his naturally spontaneous melody. These modulations are radical as well as bold. 5. The characteristics of voice part : His soaring instinct was well expressed in the melody of the voice part, in which the poetic modes spring up spontaneously. 6. The charactoristics of piano part : Concerning the piano part, he set it up to be on a par with the voice part so as to creat delicate shades of tune. Such beats as mummuring streams or horse hoofs were dramatically and lyrically expressed in pianos part, which could not be expressed in voice part. The 11th song is remarkable in this respect. Based upon all the characteristics mentioned above, we can say that "Schwanengesang" is the most beautiful, as it's name, and the greatest of all his works, and the most precious heritage which Schubert left for us.

      • 한반도 조류에너지 자원분포에 관한 연구

        김신영 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인류의 주 에너지원인 화석자원의 고갈과 더불어, 온실가스의 배출 급증에 따른 온난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친환경적인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삼면이 바다로 이루어져 있어 해양에서 얻을 수 있는 에너지원이 많다. 해양에서 이용가능한 무공해 에너지원으로 조석, 조류, 해류, 파랑, 해상풍 및 수온차 등이 있지만, 그 중에서 조석현상이 우세한 우리나라 서⋅남해 연안에서 이용가능한 해양에너지원 중 하나가 조류이다. 현대 과학기술로 예측할 수 있는 자연현상 중에서 가장 정확하게 잘 맞는 것 중 하나가 조석이듯이, 조류 역시 조석처럼 장기간의 관측자료가 있으면 조화분석(Harmonic Analysis) 방법 등을 통해 예측이 가능하다. 만 등에 대규모 댐을 건설하여 해수의 위치에너지인 조차를 이용하는 조력발전과 달리 조류발전은 해수의 흐름으로 수차를 돌려 발전하므로 보다 환경친화적이다. 또한 조류는 풍력과 달리 예측이 가능하고 계절변화나 기후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해수의 밀도가 공기보다 약 800∼1000배 더 크다는 점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수차를 사용하더라도 풍력보다 더 큰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해 볼 때 우리나라 전 연안에 대한 유속특성 및 잠재적 발전 가능한 조류에너지량 파악은 미래 에너지원 확보라는 측면에서 중요성은 매우 크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국립해양조사원에서 향해 안전과 조류예보정보 제공을 위하여 서⋅남해안에서 한 달 이상 장기 관측한 유속자료 중 12개 지점에 대한 2010년 1월의 자료를 취득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과 예측은 IOS tidal package의 MATLAB 버전인 T_TIDE(Pawlowicz etal., 2002)를 사용하였다. 또한 한 달 조류자료를 획득하여 조화분석을 실시한 후 12지점에 대한 연간조류에너지를 산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12지점의 위치정보와 조류분석결과, 조류타원도 및 각 지점별 연간에너지밀도를 추산하였다. 그 결과로 조류가 센 곳으로 잘 알려진 울돌목을 비롯하여 조류속이 상대적으로 빠른 수도가 많이 존재하는 전남 서남해역에는 선정한 8개 지점 중 6지점이 10 MW/m2이상의 연간에너지밀도를 나타냈다. 따라서 이 해역은 발전적지에 대한 기본 사항인 조류세기 측면에서 잠재적으로 조류에너지 발전 가능성이 높은 지역이다. 12 지점 중 4 지점(34˚34‘20’‘N, 125˚04'13''E) 전남 진도와 해남사이에 위치한 울돌목협수로에서 연간에너지밀도가 73.725 MW/m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Recently, with the main energy resources, underground resources, for human exhausted, there has been increasing interesting in environmental new regeneration energy throughout the world as global warming has been accelerated with releasing more and more greenhouse gases. Our country surrounded by the sea on three sides can get many energy resources from the sea. There is the useable pollution-free energy resource from the sea such as a tide, a tidal current, a ocean current, a wave, a sea-surface wind and a water temperature difference but among these things a tidal current we can use on the southern sea is one of the ocean energy resources. A tide, one of the natural phenomenon to be correct , is predicted by the modern technology. If we have long period observational data, a tidal current can be predicted through the Harmonic Analysis Method like a tide.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from tidal currents is more eco-friendly than the tidal power generation. Here is reason for this. The former is generating the power by using a tidal difference which is the potential energy of seawater after building a dam, while the latter is the seawater flow has a hydraulic turbine turned and then generating the power. A tidal current also can be predicted. It isn't influenced by seasonal and climate change. The seawater density is about 800∼1000 times heavier than that of the air. From these reasons,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tidal current can generate much power than wind power even if we use a relatively small sized hydraulic turbine. All things considered, Figuring out the feature of the velocity of a moving fluid all over the coasts of our country and the potentially developmental quantity of a tidal current are very important in the aspect securing future energy resources. On this, my thesis attempts to give you the safety of navigation and prediction information of tidal currents in the National Oceanographic Research Institute. So I carried out an analysis of a dozen given points which is among the velocity of a moving fluid data observed over a month on the west and south coast. An analysis and a prediction were made by T_TIDE(Pawlowicz etal., 2002) in the MATLAB version of IOS tidal package. After I got tidal current information for a month, I also did Harmonic Analysis Method and then used a method calculating a yearly tidal current energy about a dozen given points. I estimated positional information of a dozen given points, a result of a tidal current analysis, a tidal ellipse and a yearly energy density about each of a dozen given points. As a result, including Ul-Dok-mok which is well-known for the strong tide, there are many places having a fast tide speed relatively on the southwest sea in Jeollanam-do. Among 8 given points chosen from these areas, the sixth point showed a yearly energy density ten times bigger than the others. Thus this sea is the most potentially possible place for a tidal current development in that this area has an basic option for a suitable place about a tidal current intensity. Among a dozen given points, the fourth point(34˚34‘20’‘N, 125˚04'13''E), the Ul-Dok-mok narrow channel, located between Jindo and Haenam in Jeollanam-do recorded the highest yearly energy density. It was 73.725 MW/m2.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