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가상현실 프로그램과 운동심상훈련이 정상 노인의 족저압과 균형능력, 우울 및 낙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김소현 남부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가상현실 프로그램과 운동심상훈련이 정상 노인의 족저압과 균형능력, 우울 및 낙상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김소현 지도교수 : 조성현 물리치료학과 남부대학교 대학원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화 사회에서 낙상의 위험이 높은 노인에게 가상현실 프로그램과 운동심상훈련을 적용하여 족저압과 균형능력, 우울 및 낙상효능감을 비교함으로써 재활 분야에서 노인의 낙상 예방을 위한 효과적인 중재방법으로 타당한지 알아보고자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정상 노인 36명을 대상으로 가상현실군 12명, 심상훈련군 12명, 대조군 12명을 무작위로 배치하였으나 심상훈련군 탈락자 2명으로 가상현실군 12명, 심상훈련군 10명, 대조군 12명 총 3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가상현실군은 6주 간 주당 3회 30분, 심상훈련군은 6주 간 주당 3회 20분 치료 중재를 실시하였으며, 대조군은 어떠한 치료 중재도 하지 않았다. 각 그룹은 훈련 전 평가를 시행하였고, 훈련이 종료되는 6주 후에 평가를 시행 후 2주 뒤인 8주 후 추적조사를 실시하여 집단 간 · 내의 치료 중재 효과를 알아보았다. 족저압과 정적 균형능력인 몸 중심 이동 면적, 개안 및 폐안 균형 감각을 측정하기 위해 Gaitview(Alfoots Co., Korea)를 사용하였고, 동적 균형능력은 일어나 걸어가기 검사(Timed up and go, TUG)를 시행하였다. 노인 우울 척도(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를 사용하여 우울 정도를 측정하였으며, 낙상효능감 척도(Falls efficacy scale, FES)를 사용하여 낙상효능감을 측정하였다. 연구결과에 대한 자료분석은 SPSS 23.0 for windows를 이용하여 측정된 각 변인에 대한 기술통계치인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각 집단 내 사전, 사후, 추적검사 사이의 기간에 따른 변화를 비교하기 위해 이원배치 반복측정 분산분석(two-way repeated measures ANOVA)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집단의 주 효과가 있는 경우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사용하였고, 시기의 주 효과가 있는 경우 일원배치 반복측정 분산분석(one-way repeated measures ANOVA)을 사용하였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에 대한 사후검정은 Tukey 검정으로 실시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수준(α)은 .05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사전조사(0주), 사후조사(6주), 추적조사(8주) 세 기간과 집단의 상호작용은 모든 변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5). 기간에 따라 가상현실 프로그램은 족저압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5), 운동심상훈련은 좌 · 우 정적 족저압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05), 좌 · 우 정적 족저압을 제외한 족저압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정적 균형능력은 가상현실군과 심상훈련군 모두 몸 중심 이동 면적에서 훈련 전보다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또한 개안 및 폐안 시 균형 감각 모두 가상현실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p<.05) 심상훈련군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TUG와 우울, 낙상효능감에서 두 집단 모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5). 집단 간 개안 균형 감각은 사후조사(6주)에서 가상현실군과 대조군, 심상훈련군과 대조군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5), TUG는 사후조사(6주)에서 가상현실군과 대조군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우울은 사후조사(6주)와 추적조사(8주)에서 가상현실군과 대조군, 심상훈련군과 대조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이러한 결과를 미루어 볼 때, 가상현실 프로그램이 운동심상훈련보다 정적 균형능력 향상과 낙상 예방에 더욱 효과적인 중재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운동심상훈련 또한 족저압과 균형능력, 우울 및 낙상효능감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기 때문에 향후 낙상 예방에 효과적인 중재방법으로써 가상현실 프로그램과 운동심상훈련에 대하여 다양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특히 본 연구는 노인에게 가상현실 프로그램과 운동심상훈련을 적용하여 정량화되고 객관적인 족저압 측정을 시행하여 노인의 보행과 균형능력에 긍정적 효과를 보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노인의 낙상 예방에 대한 질적인 연구에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며, 추후 지속적으로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대나무의 활성 성분 연구

        김소현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Phyllostachys bambusoides and Sasa borealis are two species belonging to bamboos, which are perennial grasses distributed widely in Asian countries including Korea, China and Japan. These plants have also been used in folklore medicine for the treatment of diabetes, arthritic pain, rheumatism and for their antidiuretic, antitussive, antipyretic activity. The culms of Phyllostachys bambusoides and the leaves of Sasa borealis were extracted with 80% MeOH and the concd extracts were successively partitioned with n-hexane, CHCl3, EtOAc and n-BuOH, respectively. In the course of searching for bioactive compounds, six compounds were isolated from the n-hexane and CHCl3 extracts of bamboos, as guided by their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The structures were determined as coniferaldehyde (1), vanillin (2), 2-hydroxy-4-methoxycinnamic acid (3), coniferyl alcohol (4), p-coumaric acid (5) and syringic acid (6). The structures of these compounds were identified by analysis of spectral data including 1D- and 2D-NMR spectra as well as by comparison of their data with the published values. Antioxidant activities of compounds 1-6 were evaluated for their DPPH radical scavenging effects, and compounds 5 and 6 showed similar activities compared with vitamin C. 대나무는 다년생 풀로서 전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그 중 한국 남부지방에는 Phyllostachys와 Sasa 속이 자생하고 있다. 대나무는 예로부터 민간에서 약재로 사용하였으며, 특히 전통적으로 항산화 능력과 관계가 깊은 병의 치료에 이용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왕대 줄기와 조릿대 잎에서 항산화 활성이 있는 물질을 탐색하였다. 왕대줄기와 조릿대 잎을 80% MeOH로 추출한 후, n-hexane, CHCl3, EtOAc, n-BuOH과 aqueous 분획으로 나누고, 항산화 활성을 나타낸 분획에 대해 column chromatography를 실시하여 6종의 화합물을 분리, 정제하였다. NMR, UV, IR, MS 등 각종 분광분석법을 통하여 분석한 결과, 이 화합물들의 화학구조를 coniferaldehyde (1), vanillin (2), 2-hydroxy-4-methoxycinnamic acid (3), coniferyl alcohol (4), p-coumaric acid (5) 및 syringic acid (6)로 동정하였다. 이 중에서 2-hydroxy-4-methoxycinnamic acid (3)와 coniferyl alcohol (4)은 대나무에서 처음으로, 그리고 syringic acid (6)는 조릿대에서 처음으로 분리되었다. 6종 화합물의 항산화 활성은 DPPH를 이용한 라디칼 소거능으로 측정하였으며, 이 중에서 p-coumaric acid (5)와 syringic acid (6)가 vitamin C와 비슷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냈다.

      • 한국 초등학생의 영어 무성마찰음 오류 분석

        김소현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paper addresses the error types of English voiceless fricatives spoken by Korean elementary students. For this purpose, 31 words which include voiceless fricatives were collected from the elementary school textbook based on the basic word list issu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in 2011. They were class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of fricatives: onset and coda. Six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with no special pronunciation training in advance. They were 5th and 6th graders aged 12~13. The students read the words right before recording to make sure that they could read the words. Their production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The transcribed data were divided into correct and incorrect productions. The incorrect productions were subclassified in accordance with the error types such as replacement and insertion. From this experiment, the following results were drawn. The overall error rate of the Korean elementary students' productions of the English voiceless fricatives was not very high and accounted for 26.8%. Considering the error types, almost all of the students substituted target fricatives with other sounds except for just one, insertion. There was a big positional difference. That is, the subjects performed worse in the onset positions showing 62.7% of error rate than in the coda position (37.3%). Investigating each phoneme, Korean students showed a high error rate for the inter-dental and labio-dental fricatives (/ɵ/: 59.5%, /f/: 49.3%), in contrast with a very low error rate for the alveolar and palato-alveolar fricatives (/s/: 6.9%, /ʃ/: 3.5%). This suggests that the fricatives which are not in the inventory of the Korean fricatives are harder for Korean students to acquire than those which exist in Korean as phonemes or their variants. This study shows that it is not quite easy for Korean elementary students to acquire English voiceless fricatives. Thus, it is necessary that Korean elementary students need to be provided with more systematic pronunciation training. The effective pronunciation teaching could help to improve the ability of understanding the target language and to increase their communicative ability with more acceptable pronunciation in real situations.

      • 베트남인 학습자의 한국어 마찰음과 파찰음 발음 연구

        김소현 경희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Studies considering L1 are needed for effective pronunciation education. With more and more Vietnamese in Korea, studies about them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re insufficient compared with those about English or Chinese. Previous studies showed that Vietnamese have the most difficulties in pronunciation of Korean fricatives and affricates. Not many intensive studies about the reason, however, were carried out.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ronunciation of Korean fricatives and affricates by Vietnamese, based on PAM and SLM, and then to provide the result as basic data of Korean language pronunciation education for Vietnamese. Experiments were conducted about the perception and the production of fricatives and affricates with fifty Vietnamese in the basic level of Korean language. And by measuring various physical values based on acoustic phonetics, scientific and objective reasons of the errors were tried to find out. In the perception analysis of fricatives, /ㅅ/ is pronounced more accurately than /ㅆ/ in the word-initial position, and similarly accurately in the word-medial position. But both are pronounced more accurately in the word-initial . In the production analysis, both /ㅅ/ and /ㅆ/ are pronounced more accurately than average, but /ㅆ/ is pronounced more accurately contrary to the perception analysis. In the acoustic phonetics analysis, the friction duration of /ㅅ/ in the word-initial is longer than that of Korean native speakers, and that of /ㅆ/ is similar. The breathing duration of /ㅅ/ is shorter, but /ㅆ/ longer. It means that Vietnamese have less understanding of the breathing duration of /ㅅ/ in the word-initial. Longer friction duration in /ㅅ/ In the word-medial position, shorter in /ㅆ/. Having similar friction duration of /ㅆ/ compared with that of Korean speakers means that Vietnamese pronounce /ㅆ/ more accurately than /ㅅ/. In the perception analysis of affricates, /ㅊ/ is pronounced accurately in the word-initial, /ㅈ/ in the word-medial relatively. In the production analysis, /ㅈ/ and /ㅉ/ are pronounced more accurately than /ㅊ/. In the acoustic phonetics analysis, no significant difference is in /ㅈ/ and /ㅉ/ in the VOT value contrary to that of Korean speakers. Also no meaningful distinction in /ㅈ/, /ㅉ/, and /ㅊ/ in the pitch value by both men and women. In the word-medial, there is similar closure duration. However, in the VOT value, no significant difference is between /ㅈ/ and /ㅉ/, /ㅉ/ and /ㅊ/, contrary to Korean speakers'. And, in the pitch value, no meaningful distinction between /ㅈ/ and /ㅉ/, /ㅈ/ and /ㅊ/. In the VOT value and the pitch value, /ㅉ/ is closest to that of Korean spearkers', but /ㅈ/ and /ㅊ/ are much different. It mean that Vietnamese have a little more difficulties in /ㅈ/ and /ㅊ/ than /ㅉ/.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rial to objectively and scientifically clarify the production of Korean fricatives and affricates by Vietnamese, using perception, measurement, and acoustic phonetics analyses altogether. In addition, with few data to show acoustic phonetics features about the pronunciation of fricatives and affricates of Korean language by Vietnamese, this study is meaningful as basic materials of pronunciation education for them. 효과적인 발음 교육을 위해서는 학습자의 모국어를 고려한 발음 연구가 필요하다. 현재 한국 내 베트남인 학습자들의 비중은 점점 커지고 있으나,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베트남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영어나 중국어권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비해 그 수가 부족하다. 베트남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선행 연구들에서 베트남인 학습자들은 한국어의 마찰음과 파찰음 발음을 가장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그 원인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고에서는 말소리의 지각적 동화모형인 PAM과 말소리 학습 모형인 SLM에 근거하여 베트남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마찰음과 파찰음 발음 양상을 살펴보고, 그 결과를 베트남인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 발음 교육의 기초 자료로 제공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초급 수준의 베트남인 학습자 50명을 대상으로 마찰음과 파찰음 발음에 대한 지각과 산출 실험을 실시하였고, 음향음성학적인 분석을 통해 마찰음과 파찰음 발음에 대한 다양한 물리적 수치를 측정하여 과학적이고 객관적으로 오류의 원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마찰음 발음에 대한 지각 실험 결과 어두 위치에서는 평음 /ㅅ/의 지각률이 경음 /ㅆ/의 지각률보다 더 높게 나타났고, 어중 위치에서는 평음 /ㅅ/와 경음 /ㅆ/의 지각률이 비슷하게 나타났으나 평음 /ㅅ/와 경음 /ㅆ/ 모두 어두 위치에서보다 더 높은 지각률을 보였다. 산출 실험에서는 평음 /ㅅ/와 경음 /ㅆ/ 발음에 대해 모두 보통 이상의 평가를 받았으나 지각 실험과 달리 경음 /ㅆ/의 발음이 좀 더 정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음향음성학적 분석에서는 베트남인 학습자들이 한국인 화자들에 비해 어두 위치에서 평음의 마찰 구간을 길게 발음하였고, 경음의 마찰 구간은 한국인 화자와 비슷하게 발음하였다. 기식 구간의 경우 한국인 화자에 비해 평음의 기식 구간은 짧게, 경음의 기식 구간은 길게 발음하여 베트남인 학습자들이 어두 위치에서 평음 /ㅅ/의 기식 구간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중 위치에서는 한국인 화자들에 비해 평음의 마찰 구간은 길게 발음하고, 경음의 마찰 구간을 짧게 발음하였다. 분석 결과 경음 /ㅆ/의 경우 마찰 구간 등이 한국인 화자의 발화 결과에 근사한 값을 보여 평음 /ㅅ/보다 경음 /ㅆ/를 더 정확하게 발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파찰음 발음에 대한 지각 실험 결과 어두 위치에서는 격음 /ㅊ/의 지각률이, 어중 위치에서는 평음 /ㅈ/의 지각률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산출 실험에서는 평음 /ㅈ/와 경음 /ㅉ/를 격음 /ㅊ/보다 더 정확하게 발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향음성학적 분석에서 베트남인 학습자들은 한국인 화자들과 달리 평음과 경음의 VOT 값 간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피치 값에서는 남녀 화자 모두 평음, 격음, 경음의 피치 값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어중 위치에서 폐쇄 기간의 경우 한국인 화자들과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그러나 VOT 값의 경우 한국인 화자들과 달리 평음과 격음, 격음과 경음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피치 값에서는 평음과 격음, 평음과 경음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분석 결과 경음 /ㅉ/의 경우 VOT 값, 피치 값 등에서 한국인 화자의 발화 결과에 가장 근사했으며, 평음 /ㅈ/와 격음 /ㅊ/의 경우 한국인 화자의 발화 결과와 많은 차이를 보였다. 이를 통해 베트남인 학습자들이 경음 /ㅉ/에 비해 평음 /ㅈ/와 격음 /ㅊ/의 발음을 좀 더 어려워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존의 베트남인 학습자 대상 발음 연구들에서 각각 사용하였던 지각, 산출, 음향음성학적 연구 방법을 모두 사용하여 베트남인 학습자들의 마찰음과 파찰음 발음 양상을 보다 객관적이고 과학적으로 밝히고자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고의 음향음성학적 분석 결과는 베트남인 학습자들의 한국어 마찰음과 파찰음 발음에 대한 음향음성적인 특징을 보여주는 자료가 거의 없는 실정에서 이들의 발음 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 중등학교 상관관계와 종속관계 지도 방법 개선을 위한 대학교재 비교 분석

        김소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통계학은 불확실한 상황에 관한 귀납적 추론에 관하여 이를 평가하고 새로운 추론의 방법을 연구, 개발, 응용하는 학문으로 확실한 가정에서 출발하여 연역추론 위주로 불멸의 진리를 추구하는 수학의 다른 영역과는 구분된다(이영하, 2009a). 상관은 부족한 정보와 완전하지 않은 관계를 가지고 추론하는 개연추론의 중요한 도구로서 오류의 가능성을 갖고 있다. 오류의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통계적 추론이 중요하게 여겨지는 이유는 바로 유용성이다. 따라서 몇 개의 예외로 인해서 완벽한 인과관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거의 사실이라고 생각된다면 상관을 개연추론의 도구로 사용하는 것이 현명하다(이영하, 2009b). 이러한 상관개념의 발달과 관련된 수학교육학적 연구는 심리학자인 Piaget와 Inhelder(1958)에 의해 처음으로 시작되었는데, 학생들에게 눈 색깔과 머리카락 색의 상관표를 제시하여 상관관계를 파악하도록 하였다. 학생들의 반응을 살펴보면, 결국 피아제가 말하는 상관관계는 두 개의 변인에 대한 조건부 분포의 비교를 다루는 주제로서 ‘조건부 분포의 변화 관계’를 뜻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때 알고자 하는 대상이 두 범주형 변수가 아닌 수치적 변수라면 무한히 많은 조건부 분포가 있어 그 모두를 비교하기는 거의 불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각각의 조건부 분포의 가운데만 비교해 나가는 방법을 생각하여, 조건부 분포의 가운데가 일직선을 이루는지 여부와 강도를 나타내는 문제를 생각하게 된다. 즉, 여기서 말하는 상관관계는 두 변수간의 ‘대략적 일차함수 관계’를 의미한다. 본 논문은 상관관계가 위의 두 가지 의미를 통합하기에 일어날 수 있는 혼란을 가라앉히고자 ‘조건부 분포의 변화 관계’를 종속관계, ‘대략적인 일차함수의 관계’를 상관관계, 그리고 이 둘을 통합하는 용어로 연합관계를 정의하여 사용하였다. 현재 우리나라의 중등 수학과 교육과정에서는 상관관계가 잠시 사라졌지만, 상관관계 교육의 의의와 더불어 엑셀 등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관관계를 가르치는 방향으로 이동 중인 세계 수학교육과정의 전반적인 현실을 감안해 볼 때 조만 간 우리나라에서도 다시 복원 될 것이 예상되는 주제임으로 연구할 가치가 여전하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피아제의 상관논리 이론 이래로 심리학, 교육학 등의 학문에서는 종속관계를 상관관계의 일종으로 처리하는 등 연합관계를 다루는 데 있어 학문간 혼란이 존재한다. 통계학과와 교육학분야를 넘나들어야 하는 수학교육학의 입장에서는 매우 혼란스러운 상황으로, 상관관계 내용이 교육과정에 복원되는 그 때를 대비하여 앞서 말한 혼란은 미리 정리되어야 할 것이라 생각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현재 교육과정을 입안해 가는 과정에서 학문간 전문가들 사이에 상호 소통의 문제를 일으키고 있는 점은 없는지를 살피고자 통계학과, 심리통계, 교육통계, 사회통계, 경영통계 등에서 사용되는 대학교재를 중심으로 이 문제를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연합관계 내용이 우리나라 수학 교육과정에 다시 들어오게 될 때를 대비하여, 중등학교에서 연합관계 지도를 위한 대안을 모색하기 위해 그 방안을 외국의 MIC교과서와 Algebra Common Core교과서 분석을 통해 제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 번째, 학문간 교재에서 나타난 연합관계의 의미와 가치, 개념에 따른 구분, 용어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이다. · 연합관계의 의미와 가치에 대해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교재에서 두 현상 사이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연합관계가 필요하다는 언급이 있지만, 연합관계의 의미와 가치가 예측에 있음을 언급한 교재는 과반수 이하의 교재에서 나타났다. · 연합관계를 개념에 따라 구분하는지에 대해 분석한 결과, 교육학 통계교재는 상관관계, 종속관계, 기타관계 모두를 상관관계의 개념으로 서술하였다. 반면, 통계학, 경영학 통계교재는 상관관계, 종속관계, 기타관계를 서로 구분하여 서술하였다. · 연합관계의 학문간 용어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상관관계’, ‘양의 상관관계, 음의 상관관계’, ‘변수, 변량, 변인, 속성’의 용어 부분에서 학문간 일관성이 보이지 않았다. 또한, 대부분의 교재에서 상관도는 ‘산포도’, 상관표는 ‘분할표’란 용어를 사용하고 있었다. 두 번째, 외국교과서를 통한 확률·통계 중등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분석한 결과이다. · 상관도 지도 시, 그리는 방법보다 이를 통해 어떤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지를 알게 하였다. 상관도는 그래픽 계산기 및 엑셀을 통해 제시될 수 있음을 보인다. 또한, 상관관계는 예측에 그 가치를 두고 있는데, 이를 위해선 회귀선과 같은 직선이 필요하다는 것을 지도하여 상관관계를 회귀의 문제까지 확장하여 생각하도록 하였다. 이때, 얻어진 대안은 회귀분석을 통해 회귀선을 구하게 하기보다 학생들이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직선을 직접 그려보게 하거나, 그래픽 계산기나 엑셀을 이용하여 그리도록 하는 것이다. · 사건의 독립 및 종속 개념과 같은 종속관계 개념이 조건부 분포의 변화개념임을 지도하기 위해 상관표와 수형도를 사용하였다. 이때, 얻어진 대안은 일반적 형태의 상관표 보다는 기본적인 상관표를 제시하여 직관적으로 조건부 분포를 비교해보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의 연구 결과로부터 확률·통계 단원의 연합관계를 어떤 흐름으로 지도해야 하는가에 대해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 다루고 있는 종속관계를 상관표를 활용하여 소개하는 것이 좋겠다. 즉, 상관표를 통해 직관적으로 조건부 분포를 비교해보도록 하여 피아제가 이야기한 조건부 분포의 변화 관계로서의 종속관계를 지도하는 것이 좋겠다. 이때, 대학교재와 일관성 있는 교육과정 용어 선택을 위하여 상관표 대신 ‘분할표’라는 용어를 제언한다. 둘째, 7차 교육과정에서 다루었던 상관관계는 회귀문제로 확장하여 소개하는 것이 좋겠다. 이때, 회귀선 지도는 회귀분석을 통해 직접 구하게 하기 보다는 직관적으로 적절한 직선을 그리게 하든가 그래픽계산기, 엑셀 등의 테크놀로지 기기를 활용하는 것이 좋겠다. 또한, 상관관계 부분에서 상관표는 상관도와 다른 특징적 교수학습이 드러나지 않으므로 삭제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 생각한다. Correlation has the possibility of error as a significant tool of plausible reasoning which infers with insufficient information and incomplete relation. Despite this possibility, the reason that makes statistical inference regarded important is its practicality. Therefore, if we think that it is nearly true, it will be sensible using correlation as the tool for plausible reasoning, even though it doesn’t make perfect causality due to some exceptions (Lee Young-ha, 2009b). Mathematics educational research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correlation was started for the first time by Piaget and Inhelder (1958) who were psychologists. They made students grasp the correlation by suggesting correlation tables of eye colors and hair colors. Observing the responses from students, we can conclude what Piaget suggested as correlation is ‘variation of relation in conditional distribution’, the subject dealing with comparison of conditional distribution about two varieties. If we want to know numerical variable, not categorical variable, it will be impossible to compare them all, because there are infinite number of conditional distributions. In this case, we consider whether the center of conditional distribution makes straight line or not and think about representing the intensity by comparing only center of each conditional distribution. That is, this correlation means ‘approximately linear functional relation’ between two variables. Not to cause any confusion while correlation integrates above two meanings, this dissertation uses the term dependent relation for ‘variation of relation in conditional distribution’, correlation for ‘approximately linear functional relation’, and associative relation for integrating both. Recently, correlation is omitted in Korean secondary mathematics education curriculum. Nevertheless, correlation can be expected to be part of the curriculum again, considering the current of mathematics education teaching correlation by using computer programs such as excel as well as the significance of teaching correlation. However, since Piaget’s correlational reasoning theory, there has been inter-discipline confusion in dealing with associative relation. In certain areas like psychology or pedagogy, dependent relation has been regarded as a subordinate of correlation. This is quite perplexed situation for mathematics education, as a mediator of statistics and pedagogy. The problem should be resolved to prepare the reappearance of correlation in curriculum. To overcome this difficulty, we mainly examined college coursebooks of statistics, psychological statistics, educational statistics, social statistics, and business statistics and suggested the alternatives to instruct associative relation in probability and statistics of secondary school curriculum by analyzing the foreign textbooks of MIC and Algebra Common Core. The results are following: First is the analysis about the meaning and the value of associative relation, classification by concept, and the differences of term in the inter-discipline textbooks. · Result from analyzing the meaning and the value of associative relation shows that most textbooks refer to the necessity of associative relation to examine the relevance between two phenomena. In contrast, less than half of them address that the meaning and the value of associative relation are lying on the prediction. · Focusing on the classification, coursebooks of educational statistics puts correlation, dependent relation, and other relation under the same branch: the concept of correlation. Meanwhile, in the textbooks from statistics and business statistics classify each of them separately. · When it comes to divergence of terminology among the disciplines, there is no consistency on using terms such as correlation, positive correlation, negative correlation, variable, value, variety, and attribute. Moreover, most of the coursebooks use terms like scatter plot instead of correlation tables, and contingency tables to mention correlation diagram. Second are the implications for probability and statistics of secondary school curriculum from the foreign textbooks. · Students can be taught we need straight line such as regression line to predict. By expanding correlation to regression, students can realize the practicality of linear function. The alternative yielded from this point is making students draw appropriate line by themselves or letting them use graphic calculator or excel program to draw the line rather than finding the regression line through the regression analysis. · To teach that dependent relation as in independent and subordinate concept of event is the variation concept of conditional distribution, these books use correlation tables and tree diagram. It elicits the alternative that suggests the basic form of correlation tables instead of the general form of correlation tables to help students compare the conditional distribution intuitively. Based on the research consequences above, we make two suggestions for with which tendency we instruct students the associative relation on the chapter of probability and statistics. First, we propose to introduce dependent relation in 2007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ssociating with correlation tables. That is, it is better to have students to compare the conditional distribution with the correlation tables intuitively and teach them dependent relation as the variation relation of what Piaget mentioned as conditional distribution. Second, we suggest expanding the correlation dealt in 7th national curriculum to the regression matter. At this point, instruction of regression line had better be proceeded to make students draw appropriate line intuitively or let them use graphic calculator or excel program rather than to find the line by themselves through the regression analysis.

      • MRI 와 전기 임피던스를 이용한 온도분포 촬영에 관한 연구

        김소현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열적인 방법으로 시술을 할 때 발생한 생체 조직의 온도 변화는 생체조직의 전기임피던스 변화를 야기하는데 이 전기임피던스 변화가 자기공명영상의 위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생체 조직 전기임피던스는 조직 부위에 따라 다르나 온도계수가 평균적으로 -2.0%/oC에 이를 만큼 온도에 민감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생체에 전류를 주입할 경우 생체 내 전류 분포는 임피던스 분포에 따라 결정되어지고, 따라서 생체 내 전류에 의해 발생되는 자계의 분포도 임피던스 분포에 따라 좌우된다. 자기공명영상의 위상으로부터 자계의 분포 정보를 알 수 있으므로 자기공명영상의 위상은 임피던스 분포에 대한 정보를 내포한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열적인 치료 방법으로 야기되는 생체 조직의 온도 변화가 자기공명영상의 위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제 도전성 실리콘 모델과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모의 실험을 통해 분석했다. 분석 결과 생체조직의 온도 상승에 따른 임피던스 변화는 자기공명영상의 위상에 측정이 가능한 수준의 변화를 야기함을 알 수 있었다. 이 위상 변화 정보는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해 생체 내부 온도를 감시하는 경우에 사용될 수 있을 것 으로 기대되고 향후 MRI와 생체 전기 임피던스를 이용한 생체 내 온도분포 촬영에 관한 새로운 방법을 제시할 것이다.

      • 천연염료의 매염에 따른 염색성 및 물성에 관한 연구 : 소목과 꼭두서니를 중심으로

        김소현 漢陽大學校 大學院 199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적색계 천연염료중 소목과 꼭두서니의 매염제에 의한 염색성 및 물성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각 염재로부터 염액을 추출하여 적정온도에서 염색-매염과정을 3회 반복한 후, 매염제의 종류와농도에 따른 염직물의 염착량, 최대흡수파장(λmax), 표면색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매염제의 농도에 따른 염직물의 색차와 염착량을 통해 적정매염농도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일광과 세탁에 의한 염색물의 색상변화추이와 매장후의 염색물의 강도보존율을 측정하여 각 염료와 매염제에 의한 항미생물성을 알아보았다. 1. 색소추출액의 흡광도 소목과 꼭두서니 추출액은 적색을 나타내는 파장범위인 460-500nm에서 최대흡수파장을 보였고, 소목이 꼭두서니보다 농도가 높았다. 2. 매염제 처리에 따른 염색성 및 색상변화 1) 매염제의 종류와 농도에 따른 염착량과 색상변화 전반적으로 매염제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염착량이 증가하였으며, 소목의 경우 매염처리에 의해 염직물의 최대흡수파장이 이동하였다. 색상은매염처리에 의해 a*값이 증가하여 reddish 해지고 b*값이 감소하여 blueish해짐을 알수 있었고, 명도는 낮아졌다. 소목으로 염색한 견직물의 색차 및 염착량을 통해 적정매염농도를 추정하면 Al과 Cr은 1%에서 Cu, Fe, Sn은 1%를 조금 넘는 농도로 볼 수 있었다. 2) 염색-매염의 반복횟수에 따른 색상변화 염색-매염과정을 반복할수록 색상은 a*값이 증가하여 reddish해지고 b*값의 감소로 bluish한 경향을 보이고 있다. 또한 명도는 낮아지고, 채도는 Al, Sn매염에 의해서만 높게 나타났다. 1회 매염처리보다 2회 매염처리후의 색차가 크게 나타났다. 3) 매염제 농도에 따른 금속이온 흡착량 매염제 농도가 증가할수록 금속이온의 흡착량이 증가하였고 Fe가 Cr보다 많이 흡착하였다. 3. 일광에 의한 색상변화 (내일광성) 일광에 의해서 소목과 꼭두서니 모두 색상의 변화가 컸는데, a*값의 감소로 적색기가 감소하였고, 대체로 명도는 높아지고, 채도는 낮아졌으나 꼭두서니견직물중 Fe매염제의 경우에는 명도가 낮아져 색상이 더 어두워지고 있다. 색상의 변화추이는 전반적으로 일광조사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한쪽방향을 향해 모이는 변화추이를 보였다. 일광견뢰도는 견직물에서는 Fe와 Cu매염에 의해서 견뢰도가 다소 향상되었다. 4. 세탁에 의한 색상변화(내세탁성) 소목과 꼭두서니 모두 세탁에 의해 색상의 변화가 크게 일어났는데, 세탁액의 알카리성과 염료성분과의 작용에 의한 것으로 보이며, b*값의 감소로 색상이 bluish해지는 경향을 보였다. 5. 매장에 의한 강도변화 (항미생물성) 매장에 의해 면직물의 강도보존율이 견직물보다 크게 떨어졌다. 강도보존에 영향을 미친 매염제로는 견섬유의 경우 Cr, 면섬유는 Cu매염에의해 강도보존율이 크게 향상된 결과를 보여주었다.

      • 특수교사가 인식하는 일반학교 특수학급 고등학생 및 전공과학생의 진로?직업교육과정 현실과 연계방안

        김소현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일반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고등학생 및 전공과학생의 진로・직업교육과정의 현실 및 연계방안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일반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고등학생 또는 전공과학생을 대상으로 진로・직업교육과정을 운영한 경험이 있는 A지역 특수교사 6인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학교 특수학급 고등학생의 진로・직업교육과정은 졸업 이후의 전환에 중점을 두는 경향이 있었으며 특히 대학 및 전공과 진학 준비라는 두 가지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았다. 아울러, FGI 결과는 장애인 복지 카드 미발급 학생을 위한 진로・직업교육과정 개발의 필요성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둘째, 일반학교 특수학급 전공과학생의 진로・직업교육과정은 전반적으로 학생의 취업에 초점을 두고 있었으나 성공적인 취업을 위해서는 학부모 및 사업체의 인식 개선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일반학교에 설치된 전공과의 진로・직업교육과정이 취업 위주로 이루어지는 것에서 나아가 각 전공과별 유형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셋째, 일반학교 특수학급 고등학생 및 전공과학생의 진로・직업교육과정 연계방안으로는 교육내용의 연계, 도전행동 중재 방안 마련, 장애인 복지 카드 발급 문제 개선, 연계기관의 활용이 제시되었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장애인으로 등록하지 않은 특수교육대상자를 위한 졸업 후 진로대책 모색, 전공과 유형별 기준 마련, 연계기관을 포함한 진로・직업교육과정 관련 인력의 업무 부담감 경감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urrent situation and connection methods of career and vocational curriculum of high school and majoring course students in special classes recognized by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a focus group interview(FGI) was conducted with 6 special education teachers from area A who had operation experiences in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for high school students or majoring course students attending special classes in general school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areer and vocational curriculum of high school students in special classes tended to focus on transition after graduation, and in particular, there were many cases where they were conducted in two directions: college or majoring course. In addition, the FGI results showed the need to develop a career and vocational curriculum for students who did not issue a handicapped welfare card. Second, the career and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of majoring course students in special classes generally focused on employment, but it was confirmed that parents and businesses needed to improve their perceptions for successful employment. It also showed that the career and vocational curriculum of majoring course established in general schools needed to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ways, considering the type of each majoring course, rather than focusing on employment. Third, as a way to connect career and vocational curriculum of high school and majoring course students in special classes, linkage of educational content, preparation of challenging behavior intervention plans, improvement of the issue of issuance of handicapped welfare cards, and the use of affiliated institutions were suggested.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e need to seek a career plan after graduation for special education students who are not registered as handicapped, prepare standards for each type of majoring course, and reduce the burden of work on career and vocational curriculum-related personnel, including associated institutions.

      • 노동인권교육 프로그램이 발달장애인의 노동인권 인식과 자기결정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김소현 대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노동인권은 노동자의 인간 존엄성과 관련된 특수한 권리로서 마땅히 노동을 하는 모든 사람은 보장받아야 한다. 그러나 발달장애인의 경우 그들이 지닌 특성으로 인해 노동인권 침해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문제상황에 대한 인식의 부족과 대처방법에 대한 지식의 부재로 인해 침해 상황에 직면했을 때 적절하게 대처하거나 조정해 나가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들의 노동인권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국가와 조직 차원의 제도적인 조치도 필요하지만, 장기적이고 궁극적인 관점에서 노동인권교육을 통한 권리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대처능력 향상이 요구된다. 노동인권교육을 통해 변화된 인식과 대처능력의 향상은 자기결정능력을 통해 발휘될 수 있다. 자신의 권리를 인식하고 목표행동을 성취하여 스스로의 인권을 보호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자기결정은 발달장애인의 노동인권교육에 있어 매우 중요한 성취목표이다. 발달장애인에게 노동인권교육의 제공과 자기결정능력의 향상이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노동인권에 관한 국내 연구는 실제적인 중재연구보다도 실태조사와 이론적 논의에 그치는 상황이다. 더구나 현존하는 중재 연구는 비장애인 혹은 학령기 학생을 대상으로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노동인권 침해에 취약한 학령기 이후의 발달장애 성인을 대상으로 노동인권교육 프로그램을 중재하였고, 또한 학습한 내용을 실천할 수 있는 노동환경(인턴)과 유사한 교육환경을 제공함으로써 노동인권 인식과 자기결정능력 향상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사전-사후검사 통제집단 설계를 채택하였으며, 경북에 위치한 K센터의 인턴쉽에 참여하고 있는 발달장애 성인 28명을 각각 실험집단(14명)과 통제집단(14명)으로 구분하여 실험집단에게만 노동인권교육 프로그램을 처치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험도구로 사용한 노동인권교육 프로그램은 국립특수교육원(2020)의 노동인권 교육자료를 기초하여 연구대상과 실험 장소의 환경에 맞춰 재구성한 것으로 회기당 50분씩 총 16회기로 진행하였다. 노동인권교육 프로그램이 연구참여자의 노동인권 인식과 자기결정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연구자가 개발한 ‘노동인권인식 검사도구’와 ‘자기결정능력 검사도구’를 본 연구의 검사도구로 사용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을 알아보기 위해 노동인권인식 검사와 자기결정능력 검사의 사전 점수에 대해 두 독립 표본 t-검정을 실시하여 집단 동질성을 검증하였고, 본 프로그램의 실시 전과 후의 노동인권 인식과 자기결정능력 향상에 미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각 검사의 사전·사후의 차이 점수(변화점수)를 계산한 후, 이를 종속변수로 통계적 분석을 하였다. 또한 실험집단 내 변인에 따른 집단 간의 사전·사후 차이 비교 분석하였으며,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하여 노동인권교육 프로그램이 집단과 장애의 정도(등급)에 따라 노동인권 인식과 자기결정능력 향상에 어떤 상호작용효과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동인권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노동인권인식 총점의 사전사후 변화량을 비교한 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미하게 큰 폭으로 향상되었다. 노동인권인식은 7가지 하위영역으로 구분되는데, 각 하위영역 별로 살펴본 결과 근로의 기본적 지식과 원리, 노동인권 침해 예방, 노동인권 문제상황인식에서는 두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반면 노동의 의미, 노동자의 권리, 노동인권 침해 대처, 직업윤리 및 직업세계관에는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노동인권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자기결정능력 총점의 사전사후 변화량을 비교한 결과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미하게 큰 폭으로 향상되었다. 자기결정능력은 5가지 하위영역으로 구분되는데, 각 하위영역 별로 살펴본 결과 모든 하위영역인 문제 확인하기, 결정하기 주체, 대안 모색하기, 결과 예측하기, 결정하기에서 두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노동인권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노동인권인식과 자기결정능력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던 실험집단 중 남성과 여성의 사전사후 차이를 비교 분석한 결과 남성과 여성 간에는 노동인권인식, 자기결정능력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노동인권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노동인권인식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던 실험집단 중 노동경험에 따른 집단 간의 사전사후 차이를 비교 분석한 결과 노동인권인식 하위영역 중 ‘노동인권 문제상황인식’ 영역에서 노동경험이 있는 집단이 노동경험이 없는 집단보다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반면, 자기결정능력에서는 노동경험에 따른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다섯째, 노동인권교육 프로그램이 집단(실험집단, 통제집단)과 장애의 정도(등급)에 따라 노동인권 인식과 자기결정능력 향상에 어떤 상호작용효과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노동인권인식과 자기결정능력에서 모두 집단과 장애등급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노동인권교육 프로그램이 학령기 이후 성인 발달장애인의 노동인권 인식과 자기결정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노동인권교육 프로그램이 학령기 이후의 발달장애인이 안정된 직업생활로의 전환을 돕는 전환교육의 의미와 동시에 평생교육으로서의 의미를 가진다. 또한 노동인권과 관련하여 지식과 기술, 태도를 체계적인 내용 안에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제공하였고, 다양한 활동들이 회기별로 지속적으로 제공되어 연구 참여자가 다양한 시각에서의 사고와 간접경험의 기회가 제공하였다. 뿐만 아니라, 노동인권 교육내용을 실천할 수 있는 환경의 제공을 통해 적응력과 응용력이 부족한 발달장애인들에게 실제적인 적용과 참여를 이끌어냈다는 점에서 실천적인 중재로서의 의의를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the labor human rights education program to enhance the perception of labor human rights and self-determination ability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this end, 28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are undergoing an internship at the vocational education and lifelong education center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of fourteen and control group of fourteen, and pretest and a posttest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improvement of their perception of labor human rights and self-determination ability. The effectiveness of the labor human rights education program was verified by performing a prior homogeneity test between groups, two independent samples t-test, and two-way ANOVA. The labor human rights education program was reconstructed according to the research subject and experimental location of this study based on the labor human rights education data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Special Education (2020). Program interventions were provided for a total of 16 sessions, 50 minutes per session. In addition, the effectiveness was investigated by providing an environment similar to a job in which the contents of education could be practiced. As the test tools, the ‘Labor Human Rights Awareness Test Tool’ and ‘Self-Determination Ability Test Tool’ developed by the researcher through a review of prior literature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labor human right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the three sub-elements of the perception of labor human rights. Secon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lf-determination abilit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five sub-elements of self-determination abilit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ird, as a result of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between groups according to labor experience within the experimental group, in the ‘labor human rights problem situation awareness' area among the sub-domains of labor human rights awareness, the group with labor experience was compared to the group without labor experience. There was a mo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labor rights education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recognition of labor rights and self-determination ability of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the labor human rights education program has the meaning of transition education that helps the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fter school age transition to a stable work life, as well as the meaning of lifelong education. In addition, it has significance as a practical intervention in that it led to practical application and participation for the people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lack adaptability and application ability by providing an educational environment in which the contents of labor human rights education can be practiced.

      • 특수학급 교사의 교권침해 경험 실태 및 교권보호에 대한 인식과 지원방안

        김소현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ntends to find out the current status and causes of educational authority infringement of special classes teachers in secondary school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s well as the recognition and support plans for the protection of teachers educational authority. In addition,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correlationship in perceptions on educational authority infringement, educational authority protection and its support plans upon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eachers. To verify the research problem, this study distributed a questionnaire was to a total of 127 special class teachers in 55 middle schools and 79 schools in 24 schools belonging to the Gwangju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and requested responses to such questionnaire. The total collected questionnaire was 92 copies and the recovery rate was about 73%, which was used for analysis of the results. Using SPSS 22.0 program, this study used technical statistics such as mean, standard deviation, and frequency for the status about awareness and support plan for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educational authority infringement practice, and its educational authority protection of teachers in charge of special classes, and analyzed by conducting independent sample t-ttest for verification and mean difference among groups through crossover analysis. First, the actual state of the educational authority infringement can be divided into the subject and the cause, degree, place, and time of occurrence according to the subject. Parents accounted for the most subject of educational authority infringement, followed by students. The degree of severity was more than five times higher for those who said they were more serious than those who said they were not. Teachers are experiencing serious trauma due to violent language and physical assault. Classrooms were most of the places where teacher educational authority infringement occurred with other opinions such as the classroom, the principal's office, and SNS. The occurrence time appeared in various forms such as class time, parent interviews, and student guidance, but the notable point is that the frequency of occurrence after work is high, so countermeasures are needed. Second, it is possible to summarize the awareness degree of special teachers about the current educational authority protection policy and additional support plans. First, when asked if they knew the basic plan for the educational authority protection of teacher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more than half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don‘t know about it. In particular, the percentage of respondents who say they don't know in their 30's and younger teachers seems to need policy education for low-career teachers. In the establishment of educational policy for infringement of teachers' authority, there were high responses to reflect the opinions of special teachers. For the question about the counseling institution and groups for handling of educational authority infringement to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response was in the order of the school educational authority protection committee, the Gwangju Metropolitan City Teacher Rights Healing Support Center, and the educational authority counseling place of Korean Teachers and Educational Workers Union. On the other hand, the response that they do not know also shows a number that cannot be ignored, suggesting that there is a need to actively promote active publicity to counseling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dealing with teacher rights infringement, and to actively develop programs in connection with front-line schools. When asked how to deal with infringement of teaching authority, the response methods were different for each group. In the group with less than 10 years of educational experience and total teaching experience, they said that they would tolerate or do not take action, and in the group with more than 10 years, they follow the instruction after they report to their managers. In regard to this, in response to the reason why it is difficult to actively cope with and resolve the infringement of teachers' authority, the recognition of they being a special teacher was the highest. Nex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insufficient coordination by school managers, and that it was to maintain a trust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students. As for support plans related to the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it was found that first of all, a social atmosphere that respects teachers should be strengthened to prevent and protect the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In the subgroup analysis for the subject to provide support necessary for the teachers who experienced infringement of teaching authority, schools were selected most in the teachers in their under 30s, and the Office of Education and related organizations in the teachers in their over 30s. As for the efforts of teachers to prevent educational authority infringement and protection of educational authority, it was found that enhancement of expertise should be strengthened, while establishment of a department in charge of teaching rights and the coordination role of school managers. Therefore, this study came to the conclusion that in order to improve pride and self-esteem as a special teacher, it is necessary in reality to strengthen the role of coordination of school administrators by establishing a department in charge of educational authority as well as the Office of Education and related organizations in order to intensify the coordination role of school managers.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중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들의 교권침해 실태 현황 및 원인 그리고 교권보호에 대한 인식과 지원방안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교권침해 실태, 교권보호에 대한 인식과 지원방안에는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가를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 문제 검증을 위해 광주광역시 교육청 소속 중학교는 55개교, 고등학교는 24개교 총 79개 학교의 특수학급 교사 총127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여 설문 응답을 요청하였다. 총 회수한 설문지는 92부, 회수율은 약 73%이었고 이를 결과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SPSS 22.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특수학급 담당교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교권침해 실태, 교권보호에 대한 인식과 지원방안에 대한 현황에 대하여 평균, 표준편차, 빈도 등 기술 통계를 이용하였고, 교차분석을 통한 검증과 집단 간 평균 차이 검증을 위해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이상의 연구과정을 종합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권침해의 실태는 그 주체와 주체에 따른 발생 원인, 정도, 장소, 시간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교권침해의 주체는 학부모가 가장 많았고 그다음으로 학생이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심각함의 정도는 심각하다는 응답이 그렇지 않다는 응답보다 5배 이상 높았다. 교사는 폭언, 물리적 폭행으로 인한 심각한 트라우마를 겪고 있다. 교권침해가 이루어지는 장소로는 교실이 대부분이었으며 교무실, 교장실, SNS 등의 기타 의견도 있었다. 발생 시간은 수업 시간, 학부모 면담, 학생지도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으나 주목할 만한 점은 퇴근 이후의 발생빈도가 높게 나타나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둘째, 현재 시행되고 있는 교권보호 정책에 대한 특수교사들의 인식 정도와 추가적인 지원방안에 대해 정리하여 볼 수 있다. 먼저 광주광역시 교육청 교권보호 기본계획을 알고 있느냐에 대한 질문에 절반 이상의 응답자가 모른다고 대답하였다. 특히 30대 이하의 교사집단에서 모른다는 응답비율이 높아 저경력교사 대상의 정책 교육이 필요해 보인다. 교권침해 교육정책 수립 시 특수교사의 의견반영을 요구하는 응답도 높게 나왔다. 특수교육 교사의 교권침해 발생 시 처리 상담기관 및 단체에 대한 질문에 학교교권보호 위원회, 광주광역시 교권치유 지원센터, 전교조 교권상담마당의 순서로 응답하였다. 한편 모른다는 응답도 무시할 수 없는 수치를 나타내 교권침해 처리 상담기관 및 단체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와 일선 학교와의 연계 프로그램 등을 적극적으로 개발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 현재 교권침해가 발생했을 경우 어떻게 대처하고 있냐는 질문에 집단별로 그 방법이 달랐는데 교육경력과 총 교직경력 10년 미만 집단에서는 묵인 또는 조치하지 않는다였고, 교육경력과 총교직경력 10년 이상 집단에서는 관리자 보고 후 지시를 따르는 것이었다. 이와 관련하여 교권침해 발생 시 적극적인 대처와 해결이 어려운 이유에 대한 응답에서 특수교사라서라는 인식이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학교관리자 조정 미흡, 학부모와 학생과의 신뢰관계 유지를 위해 등으로 나타났다. 교권침해 발생과 관련된 지원방안으로는 우선 교권침해 예방과 보호를 위해 교사를 존중하는 사회적 분위기를 강화해야 한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권침해 경험 교사에게 필요한 지원을 제공해야 할 주체로는 하위 집단별 분석에서는 30대 미만의 교사에서는 학교, 30대 이상에서는 교육청과 관련 기관을 가장 많이 선택했다. 교권침해 예방과 교권보호를 위한 교사의 노력으로는 전문성 향상, 학교의 노력으로는 교권 업무담당부서의 설치와 학교관리자의 조정 역할 강화되어야 한다고 나타났다. 따라서 특수교사로서의 자부심과 자존감 향상을 위해 교육청과 관련기관은 물론 학교 내 교권 업무를 담당할 부서를 설치, 학교 관리자의 조정 역활에 대한 강화가 현실적으로 필요하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