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특수학급 교사의 교권침해 경험 실태 및 교권보호에 대한 인식과 지원방안 = A Study on Current Situations of Teacher’s Authority Violation Experience Perception and Supporting Plans to Protect Teacher’s Authority of Special Education Class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782123

      • 저자
      • 발행사항

        광주 :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석사) --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 , 2021. 2

      • 발행연도

        2021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광주

      • 형태사항

        82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정은희

      • UCI식별코드

        I804:24011-200000362097

      • 소장기관
        • 조선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tends to find out the current status and causes of educational authority infringement of special classes teachers in secondary school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s well as the recognition and support plans for the protection of teache...

      This study intends to find out the current status and causes of educational authority infringement of special classes teachers in secondary school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as well as the recognition and support plans for the protection of teachers educational authority. In addition,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correlationship in perceptions on educational authority infringement, educational authority protection and its support plans upon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eachers. To verify the research problem, this study distributed a questionnaire was to a total of 127 special class teachers in 55 middle schools and 79 schools in 24 schools belonging to the Gwangju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and requested responses to such questionnaire. The total collected questionnaire was 92 copies and the recovery rate was about 73%, which was used for analysis of the results.
      Using SPSS 22.0 program, this study used technical statistics such as mean, standard deviation, and frequency for the status about awareness and support plan for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educational authority infringement practice, and its educational authority protection of teachers in charge of special classes, and analyzed by conducting independent sample t-ttest for verification and mean difference among groups through crossover analysis.
      First, the actual state of the educational authority infringement can be divided into the subject and the cause, degree, place, and time of occurrence according to the subject. Parents accounted for the most subject of educational authority infringement, followed by students. The degree of severity was more than five times higher for those who said they were more serious than those who said they were not. Teachers are experiencing serious trauma due to violent language and physical assault. Classrooms were most of the places where teacher educational authority infringement occurred with other opinions such as the classroom, the principal's office, and SNS. The occurrence time appeared in various forms such as class time, parent interviews, and student guidance, but the notable point is that the frequency of occurrence after work is high, so countermeasures are needed.
      Second, it is possible to summarize the awareness degree of special teachers about the current educational authority protection policy and additional support plans. First, when asked if they knew the basic plan for the educational authority protection of teacher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Office of Education, more than half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don‘t know about it. In particular, the percentage of respondents who say they don't know in their 30's and younger teachers seems to need policy education for low-career teachers. In the establishment of educational policy for infringement of teachers' authority, there were high responses to reflect the opinions of special teachers. For the question about the counseling institution and groups for handling of educational authority infringement to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 response was in the order of the school educational authority protection committee, the Gwangju Metropolitan City Teacher Rights Healing Support Center, and the educational authority counseling place of Korean Teachers and Educational Workers Union. On the other hand, the response that they do not know also shows a number that cannot be ignored, suggesting that there is a need to actively promote active publicity to counseling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dealing with teacher rights infringement, and to actively develop programs in connection with front-line schools. When asked how to deal with infringement of teaching authority, the response methods were different for each group. In the group with less than 10 years of educational experience and total teaching experience, they said that they would tolerate or do not take action, and in the group with more than 10 years, they follow the instruction after they report to their managers. In regard to this, in response to the reason why it is difficult to actively cope with and resolve the infringement of teachers' authority, the recognition of they being a special teacher was the highest. Nex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insufficient coordination by school managers, and that it was to maintain a trust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students.
      As for support plans related to the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it was found that first of all, a social atmosphere that respects teachers should be strengthened to prevent and protect the infringement of teachers' rights. In the subgroup analysis for the subject to provide support necessary for the teachers who experienced infringement of teaching authority, schools were selected most in the teachers in their under 30s, and the Office of Education and related organizations in the teachers in their over 30s. As for the efforts of teachers to prevent educational authority infringement and protection of educational authority, it was found that enhancement of expertise should be strengthened, while establishment of a department in charge of teaching rights and the coordination role of school managers. Therefore, this study came to the conclusion that in order to improve pride and self-esteem as a special teacher, it is necessary in reality to strengthen the role of coordination of school administrators by establishing a department in charge of educational authority as well as the Office of Education and related organizations in order to intensify the coordination role of school manager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중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들의 교권침해 실태 현황 및 원인 그리고 교권보호에 대한 인식과 지원방안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교사의 배경변인에 ...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중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들의 교권침해 실태 현황 및 원인 그리고 교권보호에 대한 인식과 지원방안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교권침해 실태, 교권보호에 대한 인식과 지원방안에는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가를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 문제 검증을 위해 광주광역시 교육청 소속 중학교는 55개교, 고등학교는 24개교 총 79개 학교의 특수학급 교사 총127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여 설문 응답을 요청하였다. 총 회수한 설문지는 92부, 회수율은 약 73%이었고 이를 결과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SPSS 22.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특수학급 담당교사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교권침해 실태, 교권보호에 대한 인식과 지원방안에 대한 현황에 대하여 평균, 표준편차, 빈도 등 기술 통계를 이용하였고, 교차분석을 통한 검증과 집단 간 평균 차이 검증을 위해 독립표본 t-test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이상의 연구과정을 종합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권침해의 실태는 그 주체와 주체에 따른 발생 원인, 정도, 장소, 시간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교권침해의 주체는 학부모가 가장 많았고 그다음으로 학생이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심각함의 정도는 심각하다는 응답이 그렇지 않다는 응답보다 5배 이상 높았다. 교사는 폭언, 물리적 폭행으로 인한 심각한 트라우마를 겪고 있다. 교권침해가 이루어지는 장소로는 교실이 대부분이었으며 교무실, 교장실, SNS 등의 기타 의견도 있었다. 발생 시간은 수업 시간, 학부모 면담, 학생지도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으나 주목할 만한 점은 퇴근 이후의 발생빈도가 높게 나타나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둘째, 현재 시행되고 있는 교권보호 정책에 대한 특수교사들의 인식 정도와 추가적인 지원방안에 대해 정리하여 볼 수 있다. 먼저 광주광역시 교육청 교권보호 기본계획을 알고 있느냐에 대한 질문에 절반 이상의 응답자가 모른다고 대답하였다. 특히 30대 이하의 교사집단에서 모른다는 응답비율이 높아 저경력교사 대상의 정책 교육이 필요해 보인다. 교권침해 교육정책 수립 시 특수교사의 의견반영을 요구하는 응답도 높게 나왔다. 특수교육 교사의 교권침해 발생 시 처리 상담기관 및 단체에 대한 질문에 학교교권보호 위원회, 광주광역시 교권치유 지원센터, 전교조 교권상담마당의 순서로 응답하였다. 한편 모른다는 응답도 무시할 수 없는 수치를 나타내 교권침해 처리 상담기관 및 단체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와 일선 학교와의 연계 프로그램 등을 적극적으로 개발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해 주고 있다. 현재 교권침해가 발생했을 경우 어떻게 대처하고 있냐는 질문에 집단별로 그 방법이 달랐는데 교육경력과 총 교직경력 10년 미만 집단에서는 묵인 또는 조치하지 않는다였고, 교육경력과 총교직경력 10년 이상 집단에서는 관리자 보고 후 지시를 따르는 것이었다. 이와 관련하여 교권침해 발생 시 적극적인 대처와 해결이 어려운 이유에 대한 응답에서 특수교사라서라는 인식이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학교관리자 조정 미흡, 학부모와 학생과의 신뢰관계 유지를 위해 등으로 나타났다.
      교권침해 발생과 관련된 지원방안으로는 우선 교권침해 예방과 보호를 위해 교사를 존중하는 사회적 분위기를 강화해야 한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권침해 경험 교사에게 필요한 지원을 제공해야 할 주체로는 하위 집단별 분석에서는 30대 미만의 교사에서는 학교, 30대 이상에서는 교육청과 관련 기관을 가장 많이 선택했다. 교권침해 예방과 교권보호를 위한 교사의 노력으로는 전문성 향상, 학교의 노력으로는 교권 업무담당부서의 설치와 학교관리자의 조정 역할 강화되어야 한다고 나타났다. 따라서 특수교사로서의 자부심과 자존감 향상을 위해 교육청과 관련기관은 물론 학교 내 교권 업무를 담당할 부서를 설치, 학교 관리자의 조정 역활에 대한 강화가 현실적으로 필요하다는 결론에 도달하게 되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표목차 ⅲ
      • 그림목차 ⅴ
      • ABSTRACT ⅵ
      • Ⅰ. 서론 1
      • 표목차 ⅲ
      • 그림목차 ⅴ
      • ABSTRACT ⅵ
      • Ⅰ.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4
      • 3. 용어의 정의 5
      • Ⅱ. 이론적 배경 6
      • 1. 교권의 개념 6
      • 2. 교권침해의 개념 및 유형 9
      • 3. 교권보호를 위한 지원방안 17
      • Ⅲ. 연구방법 25
      • 1. 연구 설계 25
      • 2. 연구 참여자 25
      • 3. 연구 도구 27
      • 4. 연구 절차 30
      • 5. 자료 처리 30
      • Ⅳ. 연구 결과 31
      • 1. 교권침해 실태 31
      • 2. 교권보호에 대한 인식 및 지원방안 41
      • Ⅴ. 논의 61
      • 1. 중‏·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교권침해 실태에 대한 논의 61
      • 2. 중‏·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교권보호에 대한 인식과 지원방안에 대한 논의 64
      • Ⅵ. 결론 및 제언 70
      • 1. 결론 70
      • 2. 연구의 제한점과 제언 72
      • 참고문헌 73
      • 부 록 7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