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소병원 간호사의 근접오류보고의향에 미치는 영향요인

        김세진 고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47

        중소병원 간호사의 근접오류보고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김세진 고신대학교대학원 간 호 학 과 지도교수 정귀임 국 문 요 약 근접오류보고의향은 환자에게 발생할 수 있었던 사고나 상황에 대하여 보고를 하고자 하는 개인의 의도를 파악하는 것으로 실제 근접오류보고 행위를 예측할 수 있어 환자안전을 위하여 중요하다. 간호사는 환자에게 직접 간호를 제공하므로 근접오류의 상황들을 다른 의료직종보다 잘 인식할 수 있다. 하지만 중소병원은 열악한 근무환경으로 인하여 간호 인력이 부족한 실정에서 간호사의 근접오류보고의향은 낮을 것으로 여겨진다. 이에 본 연구는 중소병원 간호사의 근접오류보고의향 정도와 근접오류보고의향 영향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중소병원의 근접오류보고 활성화를 위한 관리 및 중재 전략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경남 소재 K 시의 200병상 이상 4곳의 중소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 205명이었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9년 6월 20일부터 7월 20일까지였으며 자료수집 방법은 B 광역시 소재 K 대학교 기관생명윤리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후 해당 병원을 방문하여 간호부와 수간호사에게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설명하고 협조를 구하였다. 그 후 구조화된 설문지를 연구 대상자에게 배부하여 서면동의를 받고 작성 후 회수하였다. 본 연구의 근접오류보고의향 측정 도구는 김명수(2010)가 개발한 근접오류보고의향 도구를 사용하였다. 환자안전침묵 측정 도구는 Van Dyne, Ang & Botero(2003)이 개발한 종업원침묵 도구를 Tangirala & Ramanujam (2008)이 수정·보완한 환자안전침묵 도구를 한정원(2018)이 번역· 역 번역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안전동기 측정 도구는 Von Thaden(2006)이 개발하고 김승주(2014)가 수정·보완한 안전동기 도구를 사용하였다. 상사신뢰 측정 도구는 Cook & Wall(1980)이 개발하고 이황(2004)이 수정·보완한 상사신뢰 도구를 사용하였다. 조직의사소통만족 측정 도구는 Downs & Hazen(1977)이 개발하고 홍은미(2007)가 수정·보완한 조직의사소통만족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은 SPSS 24.0 program(SPSS Korea data solution Inc.)을 이용하여 평균, 평균평점과 표준편차, 최솟값과 최댓값, t-test, ANOVA, Scheffé test 및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대상자의 근접오류보고의향 정도는 평균 220.24±60.39(도구범위:0- 300), 평균평점 73.41±20.13(척도범위:0-100)로 중간보다 높았다. 환자안전침묵 정도는 평균 11.34±3.20(도구범위:5-25), 평균평점 2.27±0.64(척도범위:1-5)로 중간보다 낮았다. 안전동기 정도는 평균 19.30±3.01(도구범위 :6-30), 평균평점 3.22±0.50(척도범위:1-5)로 중간보다 약간 높았다. 상사신뢰 정도는 평균 24.05±3.54(도구범위:6-30), 평균평점 4.01±0.59(척도범위 :1-5)로 중간보다 높았다. 조직의사소통만족 정도는 평균 79.45±8.44(도구범위:24-100), 평균평점 3.31±0.35(척도범위:1-5)로 중간보다 약간 높았다. 2. 대상자의 제 특성에 다른 근접오류보고의향 정도는 근무관련 특성 중 임상경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F=6.284, p=.002). 사후검정 결과 임상경력 7년 이상(240.45±54.73)이 4년~6년(205.36±64.11)보다 근접오류보고의향 정도가 더 높았다. 안전사고보고관련 특성 중 에는 안전사고보고 절차인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2.843, p=.006). 안전사고 보고절차를 알고 있는 군(195.00±58.48)이 모르는 군(218.58±59.51)보다 근접오류보고의향 정도가 더 높았다. 3. 대상자의 근접오류보고의향 정도와 환자안전침묵 정도는 중등도의 음의 상관관계(r=-.395, p<.001), 근접오류보고의향 정도와 환자안전동기 정도는 강한 양의 상관관계(r=.406, p=.001), 근접오류보고의향 정도와 상사신뢰 정도는 약한 양의 상관관계(r=.149, p=.033), 그리고 근접오류보고의향 정도와 조직의사소통만족 정도는 약한 양의 상관관계(r=.300, p<.001)로 나타났다. 4. 대상자의 근접오류보고의향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안전동기(β=.328, p<.001)로 나타났고, 다음으로 환자안전침묵(β=-.285, p<.001), 안전사고보고절차인지(β=.142, p=.021)순으로 나타났다. 측정 변수들의 근접오류보고의향에 대한 설명력은 26.2%이었다. 결론적으로 중소병원 간호사의 근접오류보고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안전동기, 환자안전침묵, 안전사고보고절차인지로 나타났다. 따라서 중소병원 간호사의 근접오류보고의향을 높이기 위해서는 환자안전교육을 통한 안전동기를 증진시키고 개인 및 조직의 의사소통훈련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환자안전침묵을 낮추어야 한다. 그리고 중소병원 간호사들이 안전사고보고절차에 대하여 잘 알 수 있도록 보고절차를 명확히 하고 간소화하여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주요용어 : 환자안전침묵, 안전동기, 상사신뢰, 조직의사소통만족, 근접오류보고의향

      • 한국 Born Global기업의 국제화 전략에 관한 연구

        김세진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success factors born global firms in Korea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ir internationalization processes. The export behavior and internationalization processes of firms have been the topic of widespread research efforts during the past 30 years. New empirical studies of the export behavior of firms have challenged many findings of actual export behavior reported in the traditional internationalization literature. It has been demonstrated that many firms now do not develop in incremental stages with respect to their international activities. Firms are often reported to start international activities right from their birth, to enter very distant markets right away, and to enter multiple countries at once.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and former studies, in this paper the born global firms' internationalization process is assumed to depend upon the entrepreneurs, experience, background and network; product characteristics; degree of internationalization. The result of this paper demonstrates that born global firms' internationalization process is totally different from the that of traditional internationalization theories. In addition Korean born global firms were found to proceed jump over or even proceed in a reverse order (leaf-frogging) than the traditional firms. Many of the Korean born global firms, however, seemed to follow the traditional stages along their internationalization process.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at although a few Korean born global firms deviate from the traditional behavior of firms, the internationalization stage model still seems to have a high degree of explanatory power.

      • 국제 중재의 제 3자 펀딩 입법의 의의 및 시사점 : 싱가포르·홍콩 입법 중심으로

        김세진 동아대학교 국제전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제 중재 절차에서 제 3자 펀딩의 이용은 급속하게 발전해왔다. 2017년 국제 중재의 선두주자인 싱가포르와 홍콩은 처음으로 제 3자 펀딩을 적법 절차로 인정하는 입법을 진행하면서 주목을 받았다. 제 3자 펀딩은 중재의 한쪽 당사자가 제 3자로부터 중재 절차에서 발생하는 비용에 대하여 자금을 제공받아 진행하고, 최종배상금으로부터 일정한 수익금을 받는 것을 의미한다. 제 3자 펀딩은 700 년 전, 사법절차가 남용의 원인이 되고, 공공질서의 반한다는 이유로 소송유지·원조 금지 조항(Doctrine of Maintenance and Champerty)으로 금지되어왔다. 최근 대표적으로 영국과 영연방 국가인 호주를 비롯하여 많은 국가들이 금지조항을 폐지함으로써, 소극적으로 제 3자 펀딩을 허용하였다. 하지만, 제도적 기준이 명확하지 않아, 제 3자 펀딩의 이용을 절차상 문제로 여겨 중재판정의 승인 및 집행 거부, 제 3자 펀딩 계약 당사자 간의 새로운 분쟁 발생과 같은 상황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상황에도 불구하고, 국제 중재 실무에서는 제 3자 펀딩 이용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다. 그리하여 근대적 시각에서 벗어나 시대를 반영하여 제 3자 펀딩에 대한 절차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적절한 규칙과 기준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졌다. 이러한 가운데 싱가포르와 홍콩의 국제중재에서 제 3자 펀딩을 적법한 절차로 인정하는 입법은 시의적절한 입법이자 국제적 주목을 받을 만하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싱가포르와 홍콩은 장기간 동안 제 3자 펀딩과 관련된 타 국가들의 입장 및 상황에 대해 분석하고, 공청회와 입법관련 기관과의 논의를 통하여 신중하게 제 3자 펀딩에 접근하고 있다. 싱가포르와 홍콩은 한국 기업의 중재 이용률이 높은 관할지로서, 그들의 제 3자 펀딩에 대한 접근방식과 입법에 관심을 가져야한다. 더불어 국제 중재의 허브로 성장을 준비하는 한국은 국제 중재의 제 3자 펀딩의 현황 및 동향에 대한 분석이 필요함을 제시하고자 한다.

      • 대형병원 자위소방대 역량강화에 관한 연구

        김세진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대형병원은 심신이 불편한 사람들이 진료와 치료를 목적으로 이용하게 되는 시설로, 재실자의 대부분은 환자 또는 일반인인 불특정 다수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재실자 구성은 화재 등 재난상황시 신속한 대피가 어려워 대형 인명피해의 위험성이 상시 존재한다. 또한 병원의 대형화, 다양한 용도의 복합화, 복잡한 병원 내 공간 구성 등으로 화재발생 초기 대응이나 화재진압의 어려움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대형병원은 다른 어떤 건물보다도 초기대응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형병원의 초기대응을 위한 자위소방대의 구성 및 대응체계 등의 현황분석, 실제 대형병원의 자위소방대 조직 및 운용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문제점을 바탕으로 전문 인터뷰 등을 통해 대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1차 인터뷰 대상과 결과, 2차 인터뷰 대상과 결과, 3차 인터뷰 대상과 결과를 활용하여 화재 초기 대응능력으로 방재실로 화재신고, 소화기 사용법 숙지, 소화전 사용법 숙지, 비상연락망 숙지, 특수부서 환자 대피 및 이송방법으로 피난안내도 숙지, 피난집결지 숙지, 병원 연결통로 숙지, 소방훈련방법 보완으로 병동 및 부서의 특성에 맞는 화재대응 훈련, 각자의 임무 숙지 등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를 자위소방대의 교육훈련에 활용함으로써 자위소방대 역량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러한, 대형병원의 자위소방대 조직 실태조사 및 분석을 바탕으로 화재 시 자위소방대의 효과적인 대응역량을 갖춤으로써 환자를 포함한 재실자의 인명안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A large hospital is a facility used by people with physical and mental disabilities for treatment and treatment Most of the occupants can be seen as an unspecified number of patients or the general public this type of occupant composition makes it difficult to evacuate quickly in the event of a disaster such as a fire so there is always a risk of large-scale casualties. ln addition there are difficulties in initial response or fire suppression due to the enlargement of the hospital the complexity of various uses and the complex configuration of the space in the hospital. For this reason large hospitals are more Early response is important therefore in this study for the initial response of large hospitals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the self-defense fire brigade composition and response system the actual organization and operation cases of the self-defense fire brigade in large hospitals were analyzed Based on the problems derived from this we tried to find altematives through professional interviews 1st interview subjects and results 2nd interview subjects and results 3rd interview subjects and results using the 3rd interview subjects and results to report a fire to the disaster prevention room with the ability to respond to a fire Familiarity Familiarity with Evacuation center Familiarity with Hospital connection Routes As a supplement to fire training methods fire response training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wards and departments was suggested ln addition it was judged that it would contribute to strengthening the capabilities of the self-Defense Forces by utilizing them for education and training. Based on the survey and analysis of the self-defense fire brigade organization in such large hospitals , it is expected that the self-defense fire brigade will have effective response capabilities in case of fire thereby contributing to the safety of the lives of occupants including patients.

      • 레몬글라스 첨가 미트소스의 최적제조에 관한 연구

        김세진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Food has different taste depending on original scent. Even if food is tasty, but does not have scent, the purpose of the food can't be accomplished, so a spice is considered as a critical element. In Western food culture, various kinds of spices are used, which remove odors of fish and meats, improve taste and scent and play a role as preservatives. Spices are extracted from flowers, stems, roots, leaves and skin of plants. These are brewed while cooked. Lemongrass is herb that smells like lemon as the name indicates. It is a critical main ingredient of Tom Yum Goong, one of the three greatest soups in the world. When the leaves of lemongrass that look like silver grass are torn and rubbed, they smell like lemon. The ingredient of the scent is citral, which is the same as lemon and takes up 70~80% of essential oils. The essential oil of lemongrass is used for candy, soap, perfume, hair conditioner and medicine. The part used for cooking is mostly the white part near the root, and it is used for chicken soup, sauce and fish dishes. Young yellow leave are made into teas, which have great scent, improve digestion and prevent anemia. They are also used to cure diarrhea, fever and headache. 1001 Foods You Must Taste Before You Die. Frances Case (2009). Maronie Books. Sauce is usually used for western food, improves colors, flavor and taste, enhances appetite and nutritional value, maintains moist and functions to mix ingredients well. Choi SK (2004). Theory and Practice of Sauce. Hyeong-seol Publishing Co, pp 21-40, Seoul. For meat sauce, ground beef is completely sauteed. Carrots, onions, salary and garlic are sauteed. After the sauteed beef and vegetables are mixed, tomato paste is added and stirred with spatula to prevent sauce pan from being burned. With tomato puree, bay leaves, oregano, basil, dried clove buds added, it is slowly cooked in a low heat and seasoned with salt. The consumption of sauce is increasing because people eat it as normal meals and convenience food due to the development of food and restaurant industry along with the popularity of western food. Among them, tomato sauce is one of the five greatest original sauces in western food culture, and it is especially used for pasta of Italian food. It is also used for various dishes including fish, vegetables and meats. Lycopersicon esculeulentum Mill in tomatoes prevents lung cancer, stomach cancer and prostate cancer and have excellent effects on kidney, high blood pressure, diabetes, low blood pressure, anemia. This is because tomatoes have a variety of bio-active substances, and especially they are supply food of lycopene, which is excellent on anticancer effect and anti-oxidative activity. Kim HR, Ahn JB (2014). Analysis of free aminoacids and polyphenol compounds from lycopene variety of cherry tomatoes. The Korean J Culinary Res 20(3):37-49. In producing sauce with tomatoes that have various bio-active substances, this study did not use starch or roux as thickening materials, but instead used the original thickness of tomatoes and tomato puree, and the quality of tomato meat sauce was intended to analyz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lemongrass that has medical action. In addition, through a sensory test, the optimized sauce with the most proper mixture in taste and preference was selected, and through tests of anti-oxidation, chromaticity, concentration and Ph, a new type of tomato meat sauce that has the optimum condition was intended to be produced. 음식은 특유한 향기에 따라 맛에 차이가 있는데, 맛이 있어도 향기가 없으면 음식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으므로 소스에서 향신료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본다. 서양음식에서는 여러 종류의 향신료를 사용하는데, 이들은 생선류, 육류 등의 잡내를 제거하고 , 또는 음식의 향과 맛 을 증진시키고 방부제의 역할도 한다. 향신료는 식물의 꽃, 줄기, 뿌리 , 잎 , 씨앗, 껍질 등에서 채취한다. 이것을 조리하는 동안 방향성분을 우러나게 한다. 레몬그라스는 이름과 같이 레몬 향이 나는 허브다. 세계 3대 수프인 태국의 톰얌쿵에 꼭 들어가는 주요 재료다. 레몬그라스는 억새처럼 생긴 잎은 찢어서 비비면 레몬향이 난다. 이 향의 성분은 레몬과 같은 ‘시트랄(Citral)’로서 정유의 70~80%를 차지한다. 레몬그라스의 정유는 캔디, 비누, 향수, 린스, 약품 등 에 사용된다. 요리에 쓰는 부위는 뿌리 쪽에 있는 하얀 부분을 주로 사용하는데 닭고기, 스프, 소스 와 생선요리에 주로 쓰인다. 노란색 어린잎은 차로 만들어 사용하면 향기가 좋고 소화를 촉진하고 빈혈을 예방하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다. 설사, 발열, 복통, 두통 등의 치료에도 쓰이는데 살균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소스는 서양요리에서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요리에 색상과 풍미, 맛을 더해주며 식욕과 영양가를 증진시키고, 수분을 유지시켜 주고, 재료들이 서로 잘 어울리게 하는 역할을 한다 미트소스는 쇠고기 간 것을 넣고 완전히 볶은 뒤 다진 당근, 양파, 샐러리에 마늘을 첨가하여 볶는다. 볶은 쇠고기와 볶은 야채를 모두 합쳐서 섞은 후 토마토 페이스트를 넣고 소스팬이 눋지 않게 주걱으로 저어준다. 토마토 퓨레와 월계수잎, 오레가노, 바질, 정향 등의 향신료를 넣고 약한불로 서서히 끓인 후 소금으로 간을 맞추어 이용한다. 소스는 식생활의 서구화와 더불어 섭취량이 증가하면서 외식 및 식품 산업의 발전에 의하여 일반식과 간편식 으로 많이 섭취하고 있어 소비량이 증가하는추세이다. 그중 토마토 소스는 서양요리에서 5대 모태 소스 중에 하나이며 특히 이탈리아 음식에서 파스타 요리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생선 야채 고기류 등 다양한 요리에 활용하는 소스이다 토마토. (Lycopersicon esculeulentum Mill.)는 위암(stomach cancer) 뿐만 아니라 전립선암(prostate cancer), 폐암을 예방하고 , 신장, 고혈압, 당뇨, 저혈압, 빈혈, 심장장애 에도 월등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토마토가 여러 생리 활성 물질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인데, 특히 항암작용과 항산화력 이 우수한 lycopene의 주요 급원식품이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생리 활성 물질을 가지는 토마토를 이용한 소스를 제조함에 있어 농후제로서의 전분(starch) 이나 루(roux)를 사용하지 않고 토마토와 토마토 퓨레의 자체적인 농도만을 이용하여 소스를 제조하였으며 약리작용을 가지는 레몬글라스의 첨가량에 따른 토마토 미트소스의 품질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관능검사를 통하여 맛 과 선호도 에서 가장 우수한 배합 비율을 가진 최적화된 소스를 선별하고자하며, 항산화 검사, 색도, 농도 , Ph 등의 검사를 통해 최적 조건을 갖춘 새로운 토마토 미트소스를 제조하고자 하였다.

      • 인터랙티브 광고의 감동을 위한 사용자 경험 디자인 연구

        김세진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사회의 급속한 기술의 발달은 광고 매체 유형의 다양화를 가져왔다. 기존 광고 매체가 주로 TV와 인쇄 매체를 사용했다면 이제는 인터넷, 모바일, 디지털 사이니지 등의 디지털 매체를 이용한 인터랙티브 광고가 새로운 성장사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인터랙티브 광고의 가장 큰 특징은 기존 광고 매체인 TV와 인쇄에서는 불가능했던 사용자 참여가 가능하다는 점과 이로 인해 상호작용을 통해 다양한 경험을 창출할 수 있다는 점을 전통적 광고와의 차이점으로 들 수 있다. 인터랙티브 광고는 전통적인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을 벗어나 고객과의 소통을 통해 브랜드를 알리고 함께 호흡하기 위한 방식이며, 고객 즉 사용자들에게 가치 있는 브랜드 경험을 선사한다. 이처럼 인터랙티브 광고는 무궁무진한 발전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한국에서 시행된 인터랙티브 광고는 터치, 사진 찍기, 검색, SNS 공유와 같은 단순한 인터랙션만 제공하는 광고들이 지배적이었다. 또한 현재의 인터랙티브 광고는 사용자 경험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수반되지 않은 채로 프로모션(promotion)이 기획되어 거액을 투자해도 실패하는 사례도 생기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에서 출발하여 인터랙티브 광고를 통해 사용자에게 감동 경험을 제공하고 더욱 효과적인 프로모션 방식들을 연구하고자 시작되었다. 현재 광고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것은 흔히 감성 광고, 감성 프로모션이라 불리는 감동 마케팅이다. 광고와 마케팅에서 ‘감동’은 과거에도 흔히 사용되어 왔던 개념으로 전통적인 광고 매체인 TV와 인쇄광고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그 때문에 지금까지 기존 광고 매체의 ‘감동’에 대한 연구는 많이 있었지만, 새로운 매체인 인터랙티브 광고에서의 ‘감동’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효과적인 인터랙티브 광고의 사용자 경험을 위해, 광고를 통해 느낄 수 있는 여러 가지 감성 중 ‘감동’에 초점을 맞춰 인터랙티브 광고에 적용될 수 있는 ‘감동 요소’를 제안하고자 한다. 각각의 요소인 감각, 공감, 관계, 실천은 Wright 외 2인(2003)의 ‘경험의 네 가지 구조’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정립했으며, 이에 따른 모듈은 Burnt Schmidt(1999)의 총체적 체험 모듈을 바탕으로 세워졌다. 도출된 감동 요소와 감동 모듈을 통해 감동의 경험이란 단일 요소가 아닌 다중 요소의 결합으로 발생하며 이는 서로 다른 속성의 감동 경험을 선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정립된 감동 요소(감각, 공감, 관계, 실천)를 적용한 인터랙티브 프로모션인 ‘가장 따뜻한 위로’를 UX(user experience) 프로세스에 따라 제작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결과인 감동 요소와 감동 모듈은 앞으로의 인터랙티브 광고에서 차별화된 감동 경험을 위한 도구로써 사용될 수 있으며, 인터랙티브 광고의 속성에 맞춰 제안되었지만 다양한 형태로 응용하여 체험 마케팅이나 광고 분야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인터랙티브 광고의 사용자 경험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연구가 지속되길 기대한다. The rapid development of technology in modern society has diversified the types of advertising media. Television and print media had been mainly leveraged for advertising in the past. However, interactive advertising that utilizes digital media such as mobile device and digital signage is gaining a lot of attention as a new growth business. One of the prominent features of interactive advertising is that it allows for the participation of customers, which was impossible in the conventional advertising media such as television and print. Interactive advertising is a method of informing specific brands through communicating directly with customers rather than leveraging the traditional brand propagation method. Therefore, it provides users valuable brand experience. As such, interactive advertising contains a limitless growth potential. However, those interactive advertisings presented in South Korea have involved only simple interaction. Moreover, interactive advertising is usually planned without a sufficient understanding of users and relevant experiences. On that account, there have been many failures resulting therefrom albeit enormous capital was invested. Hereupon, this study aimed to provide users better experiences associated with interactive advertising based on the aforementioned problems and also examine effective promotion methods for interactive advertising. Currently, the so-called delightful marketing, which is also referred to as emotional advertising, is in the limelight in the advertising field. delight is a concept that has been frequently leveraged in the advertising and marketing field. Hence,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that focused on delight aspect of the conventional advertising media. Nonetheless, there has been an insufficient number of studies on 5delight’ in interactive advertising that could be deemed as a new advertising medium. In this regard, this study aims to propose 5delightful elements’ that can be leveraged in interactive advertising with focus on delight out of several sensual elements that can be felt through advertising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ffective user experience associated with interactive advertising. The aforementioned 5delightful elements’ include sense, empathy, relationship and practice, which were established based on the 5Four Structure of Experience’ proposed by Wright et al. (2003). The module associated therewith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holistic experience module of Bernd Schmitt(2013). Experience of delight takes place with an integration of multi-element through deducted delightful elements and delight module rather than single element. This study learned that it could provide delightful experience having mutually different properties. Furthermore, this study created the interactive promotion called 5the Warmest Consolation’, which leveraged the established delightful elements in accordance with UX process. Lastly, the outcomes of this study that are the delightful elements and delight module can be leveraged as a tool for differentiated delightful experience in interactive advertising. Also, it can be applied in experience marketing or advertising field although it was originally proposed for the properties of interactive advertising. In addi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a momentum that enables many researchers to continue their study on user experience of interactive advertising with a proper understanding thereof.

      • 한국증권시장에서 리츠의 이익정보공시효과에 관한 실증적 연구

        김세진 창원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리츠에 대한 이익예측오차와 다양한 변수들이 누적초과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사건연구방법론을 이용하여 리츠의 이익공시에 따른 누적초과수익률을 산출하고, 누적초과수익률을 주식수익률에 영향력을 가진다고 알려진 변수들에 대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다. 먼저 리츠의 이익공시 전후의 누적초과수익률이 존재하는가를 확인하고, 이익예측오차가 누적초과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다음으로 이익예측오차, 시장정보 불확실성, 기업정보 불확실성, 투자심리 등이 리츠의 누적초과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한다. 본 연구에서의 분석기간은 2010년 1월부터 2013년 12월까지의 기간으로 분기별 이익정보공시에 따른 자료를 분석하며, 분석대상은 이 기간 동안에 한국거래소(KRX)에 상장되어 있는 모든 리츠이다. 이익정보에 관한 분기별 공시자료는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에서 공시하는 자료를 이용하였다. 이익예측오차는 단순예측모형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시장정보 불확실성의 대용변수는 한국거래소에서 발표하는 KOSPI 200 변동성지수를 이용하였다. 기업정보 불확실성은 3요인모형을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투자심리는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ECOS)에서 발표하는 월별 소비자심리지수를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리츠 이익정보공시에 따른 주가의 반응은 이익공시일 전후에 약간 상승하는 패턴을 보이기는 하지만, 이익공시 이전이나 이후에 특별한 주가표류현상이 존재한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이익공시 이전의 D-27일에서 D-20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상당한 수준의 주가반응이 존재하였다. 리츠의 이익정보공시에 따른 주가반응은 이익 자체의 크기보다는 투자자의 예상이익에 대비한 이익의 크기에 의해 주로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익예측오차에 따른 주가반응을 리츠 유형별(자기관리 리츠, 위탁관리 리츠, 기업구조조정 리츠)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주가반응은 주로 자기관리 리츠에서 나타난 현상으로 확인되었다. 이익예측오차, 시장정보 불확실성, 기업정보 불확실성, 투자심리 등이 누적초과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이익예측오차는 누적초과수익률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정보 불확실성, 기업정보 불확실성, 투자심리 등도 누적초과수익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변수의 누적초과수익률에 대한 영향력은 변수별로 상이하였는데, 시장정보 불확실성과 기업정보 불확실성 등은 일관성 있게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투자심리는 상호작용의 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시장정보 불확실성은 리츠의 이익정보공시 이후보다 이전에 주가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더욱 컸으며, 이익예측오차와 상호작용 시에는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정보 불확실성은 리츠의 누적초과수익률에 가장 큰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투자심리는 예측오차와 상호작용시 누적초과수익률에 음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장정보 불확실성 및 기업정보 불확실성과 함께 추가할 경우 상호작용의 효과가 증폭되어 누적초과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이 커진다고 할 수 있다.

      • 테러리스트의 심리와 조직특성 분석

        김세진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sychological motive of terrorists and figure out its relationship with terrorism. Another purpose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 of terrorism organization with terroristic disaster. This study would be useful to prevent terrorism or to negotiate with terrorists when terrorisms occur. The study analyzed terrorism cases, which occurred during 1990s and after, because terrorism trends had changed after the collapse of the Union of Soviet Socialist Republics in 1991 and those before 1990’s are not much relevant to the understanding of recent terrorisms. But we used chronological veiw to study terroristic events to collect data efficiently. It was difficult to collect credible materials on the terrorists’ psychological status and growing environment. The number of terrorism cases is small and it was impossible for us to interview the terrorists directly. Also, a myriad of terrorism organizations have their treaties arbitrally. Therefore, case study was selected as the most proper research method for this study. We gathered several data of terrorists from 1990 to 2012, terrorism organizations and terroristic disaster by looking into Internet and bibliography. Among the data, we investigated six major terrorists’ personal characteristics, psychological status and etc, whose data are relatively credible. In addition, we investigated ten major terrorism organizations and terroristic disasters. The more data collected means that the more accuracy would be guaranteed. We applied three basic psychological theories to analyze the cases: Frustration-Aggression, Negative Identity and Narcissistic Rage theory. We also found personal disorder theories to strengthen the cases and complement each other. Although terrorist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y are found to be similar in their terrible childhood and single parent. However,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he analyzed data’s volume to conclude the finding to be general. The government may need to collect data on terrorism organizations and terrorists as much as possible and make these database become similar to criminal profiles to prevent from terrorism or minimize damage by terrorists. Key words : case study, terrorists, psychological motive, terrorism organization, characteristic of terrorism organization

      • 치주염 및 주관적 구강기능과 신체· 정신건강의 관련성

        김세진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63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physical health and mental health through subjective oral function, which is a parameter of household income, education level, health behavior, and oral health behavior. The relationship between periodontitis, subjecive oral function, physical health, and mental health were analyzed by middle-aged and older people groups. Methods: This study used raw data from the 6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conducted from January 2013 to December 2015. The final study included 12,319 subjects without any missing values in all the variables used in the analysis among the subjects aged 30 years and older, but except those under 30 years of age.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using Pearson`s correlation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study used SPSS 25.0 and AMOS 22.0 in processing the data. Results: The fitness index of the model was selected as the final model: GFI= .98, AGFI= .96, SRMR= .047, NFI= .95, TLI= .93, CFI= .95.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middle-aged model, periodontitis was influenced by health behavior(β= .24), and subjective oral function was most influenced by household income and education level(β= .41). Physical health was most influenced by household income and education(β= -.30), and mental health had the greatest impact on household income and education(β= -.19).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older people, periodontitis was most influenced by health behavior(β= .13), and subjective oral function was most influenced by household income and education level(β= .37). Physical health and mental health were most influenced by subjective oral function(β= -.32, β= -.21), followed by household income and education level(β= -.28, β= -.20).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 model that takes into account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as well as subjective oral function and periodontal disease as factors affecting physical health and mental health by age group. In order to improve the physical health and mental health related to oral health, I suggest that appropriate oral health education and preventive activities should be conducted for each age group.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치주염 및 주관적 구강기능과 신체 및 정신건강의 관련성에 대해 우리나라 성인을 중장년층과 노년층으로 나누어 알아보고자 한다. 또한 소득 및 교육수준, 건강행태, 구강 건강행태가 주관적 구강기능을 매개로 하여 신체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요인들의 직. 간접효과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연구 방법 : 본 연구는 2013년 1월부터 2015년 12월까지 수행된 제6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 자료를 이용하였다. 만 30세 미만을 제외한 30세 이상 성인 중 분석에 사용된 모든 변수 중에서 결측치가 없는 12,319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측정변수 간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통계분석을 위해 SPSS 25.0과 AMOS 22.0 Program을 사용하였다. 결과 : 최종 모형의 적합도 지수는 GFI= .98, AGFI= .96, SRMR= .047, NFI= .95, TLI= .93, CFI= .95로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장년층 모형의 분석 결과, 치주염에 대해서 건강 행태(β = .24)는 가장 큰 직접효과를 보였고, 주관적 구강기능, 신체 건강, 정신건강에 대해서 소득 및 교육수준(β = .41, β= -.30, β = -19)이 모두 가장 큰 유의한 직접효과가 있었다. 노년층 모형의 분석 결과, 치주염에 대해서 건강 행태(β = .13)만 직접효과를 보였고, 주관적 구강기능에 대해서 소득 및 교육 수준(β = .37)이 가장 큰 직접효과를 보였다. 신체 건강과 정신건강에 대해서 주관적 구강기능(β = -32, β = -21)이 가장 큰 직접효과를 보였고, 다음으로 소득 및 교육수준이 유의한 직접효과(β= -.28, (β= -.20)와 총효과(β= -.40, β= -.28)를 보였다. 결론 : 연령층별로 신체 건강,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주관적 구강기능, 치주질환 뿐만 아니라 다양한 환경적 요인을 추가하여 모형을 구축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구강 건강과 관련하여 신체 건강과 정신건강 향상을 위해 연령층별 특성에 알맞은 구강 보건교육과 예방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생애주기별 구강보건 교육체계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도 및 섭취실태

        김세진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대학생의 인식도 및 섭취실태를 단국대학교 재학생 400 (남 137명, 여 263명)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여 알아보았다. ‘건강기능식품의 법률적인 정의’는 여학생 145명 (55.13%)이 남학생 57명 (41.61%)보다 더 많이 알고 있었다. ‘평소 건강기능식품 섭취 필요성에 대해 건강기능식품 섭취가 필요하다’고 220명 (55.00%)이 응답했고, ‘아니다’라고 180명 (45.00%)이 응답해 섭취가 필요하다는 응답이 높았다. 최근 1년 동안 건강기능식품을 섭취한 경험 여부에서 ‘섭취한 경험이 없다’는 응답 (55.75%)이 높았고, 섭취하고 있는 건강기능식품은 ‘비타민제품’ (37.00%)이라고 가장 많이 응답했으며, 섭취하고 있는 건강기능식품을 통해 개선하고자 하는 기능은 ‘피로개선’ (28.00%)이었다. 건강기능식품을 섭취하고 해당 기능에 맞는 효과를 경험했는지에 대해서는 ‘그저 그렇다’는 응답이 118명 (66.67%)으로 가장 높았고, ‘그렇다’ 49명 (27.68%), ‘아니다 10명’ (5.65%) 순으로 대부분 긍정적이었다. 건강기능식품을 꾸준히 섭취하는지 여부에는 ‘그렇다’ 73명 (41.24%), ‘아니다’ 104명 (58.76%)으로 조사되었고, 현재 섭취하고 있는 건강기능식품의 섭취기간은 ‘3개월 이하’가 75명 (42.37%)으로 가장 많이 응답했다. 섭취하고 있는 건강기능식품의 구매자는 ‘부모님이 구매 한다’가 134명 (75.70%)으로 가장 많았으며, 본인이 직접 구입했다면 건강기능식품의 1회 평균 구입비용은 ‘5만원 이하’ (59.46%)가 가장 높았다. 건강기능식품의 구입 장소는 ‘인터넷 구입’이 23명 (45.10%)으로 가장 많았으며, 건강기능식품을 구매할 때 확인하는 내용은 ‘제품의 영양·기능정보’ (45.60%)로 가장 높았다.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에 대한 정보 출처는 ‘인터넷/스마트폰’ (42.10%)이 가장 많았으며, 건강기능식품을 섭취할 때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제품의 기능성’ (57.63%)이라고 응답하였다. 건강기능식품 섭취 시 부작용 경험 여부는 ‘경험하지 않았다’가 170명 (96.05%) 으로 대부분 부작용을 경험하지 않았다. 부작용을 경험하였을 경우 신고 여부는 7명 (3.95%)으로 대부분 해당기관에 신고하지 않았다. 건강기능식품을 섭취하고 있는 조사대상자들은 가장 큰 문제점으로 ‘허위/과대광고’라고 81명 (45.76%)이 가장 높게 응답하였고, 건강기능식품을 앞으로도 계속 섭취 할 계획 여부에는 ‘있다’가 143명 (80.79%) 이었다. 과거에 건강기능식품을 섭취해 보았으나 ‘해당기능의 효과가 없어서’ 앞으로 섭취 계획이 없다고 99명 (23.30%)이 응답하였다. 조사대상자의 대부분은 건강기능식품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기능성을 중요시 여겼으며, 필요한 정보취득과 구입은 인터넷을 이용하였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erception and intake pattern of health functional food of college students.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400 Dankook University students composed of 137 males and 263 females. More female respondents (55.13%) were aware the legal definition of function food than male respondents (41.61%). Two hundred twenty respondents answered the necessity of functional food intake; one the other and, 180 (45.00%) were in the opposite side. There were 55.75%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re was no experience of consuming functional foods. Vitamin products were the most consumed (37.00%). The anticipating function from the consuming functional food was releasing tiredness (28.00%). For the question for experiencing functional effect, 118 respondents (66.67%) rated ‘so-so’, 49 respondents (27.68%) answered positively and 10 students (5.65%) were answered negatively. The question about whether to take the health functional foods continuously or not was answered for ‘Yes’ by 73 respondents (41.24%) and ‘No’ by 104 respondents (58.76%). Seventy five respondents (42.37%) answered ‘Within 3 months’ for the intake period of the functional foods past one year. The question for who purchases of the functional foods was responded that 134 respondents (75.70%) were ‘Parents’. If the respondents purchased functional food by themselves, they paid below 50,000 won (59.46%). Internet purchase was the main root for buying functional foods (45.10%) for self-purchase respondents. Respondents confirmed nutrition and functional information of the product when purchasing functional food (45.60%). The resource of information about the functional food was mainly obtained by ‘Internet/Smart phone’ (42.10%). Functionality (57.63%)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consuming functional foods. A hundred seventy respondents (96.05%) had ‘No experience’ in the side effects and only 7 respondents (3.95%) experienced side effect during consuming functional foods. ‘Mis/exaggerated advertisements’ was the most serious problem in functional foods (45.76%). A hundred forty three respondents (80.79%) had the intention to continuously intake functional foods. About a quarter of respondents (23.30%) had no plan to intake functional food due to the lack of functionality. Most of the respondents considered functional foods positively by putting values on their functionality, and used the Internet to get the information and purchase for functional foo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