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수중 레이저 무선 통신에서 기울어진 펄스 위치 변조 기법에 관한 연구

        김세림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수중에서는 매질의 특성 때문에 주로 음향통신기술을 사용한다. 하지만 음향통신기술은 여러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안 할 수 있는 방법으로 광을 이용한 무선 통신 의 연구가 각광받고 있다. 무선 광 통신을 할 때의 채널 특성으로 흡수와 산란이 중요한 요소이다. 흡수와 산란을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흡수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전자기 스펙트럼의 청록색 부분의 낮은 흡수 창을 활용한다. 산란 현상은 물 자체 보다 물속에 용해되어 있는 여러 물질과 입자에 의해 일어난다. 이때 산란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탁도이다. 지금까지 많은 연구들은 탁도를 고려하지 않은 환경에서 실험이 이루어졌지만 본 논문에서는 수조실험 시 물의 탁도를 고려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또한 흡수와 산란에 따른 수중 감쇠 특성을 설명한다. 무선 광 통신을 할 때, 주로 쓰이는 방식은 펄스 위치 변조 방식과 온-오프 키잉 방식이다. 펄스 위치 변조 방식은 다양하게 변형하여 각각의 장점을 가진 변형된 펄스 위치 변조 방식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사각 펄스을 이용한 방식이 아닌 기울어진 펄스를 이용한 새로운 방식을 제안하였다. 모의실험을 통해 기존의 방식과 제안된 방식을 비트 오류율 관점과 대역폭 효율 관점에서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비트 오류율 관점에서는 기존의 방식이 우수했지만 대역폭 효율 관점에서는 제안된 방식이 우수하였다.

      • CMLS이론에 따른 리듬지도방안 연구 : 중학교 음악교과서 제재곡을 중심으로

        김세림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산업혁명의 산유물인 기계는 현대 사회에 와서 인간이 따라갈 수 없는 방대한 정보력을 가지게 되었고, 이에 따라 인공지능까지 개발하게 되었다. 급격하게 발전하는 기계도 모방할 수 없는 인간만이 지니고 있는 몇가지 특성이 있는데, 그중에 하나인 인간의 창의력은 기계와 견줄 수 없는 특별한 경쟁력을 가지고 있다. 이는 선천적으로 타고나기도 하지만 교육을 통해 키울 수도 있는데 특히 음악교육이 창의성 개발에 효과적이다. 음악은 학습자의 주관적인 견해가 자유롭게 반영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다른 교과에 비해 적은 수업 시수로 인해 여러가지 영역의 음악활동을 교육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이런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해 짧은 수업시간 내에도 효율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통합적인 지도방안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음악교육에서의 현 실정에 대응하기 위해 프로세스의 통합적 음악학습단계이론(CMLS)을 적용하여 빠르게 습득할 수 있는 리듬교육 지도방안을 제시하였다. 음악의 기본 3요소 중 하나인 리듬의 정의와 필요성, 리듬학습의 방법론을 살펴본 후 피아제와 가드너의 발달단계 이론에 따라 중학생을 대상으로하여 수업지도안을 계획하였다. CMLS이론을 적용한 지도안은 각 단계마다 여러가지 활동이 내재되어 있으며, 가락학습과 리듬학습 및 학습내용이 종합으로 이루어진 11단계 중 리듬학습에 해당하는 5단계를 모듈화하여 통합적으로 수업을 계획하였다. 통합적 음악학습단계이론 모형을 적용하여 적극적 감지, 내면화, 외면화, 기호화, 종합의 단계로 리듬학습 지도안을 작성하였다. 본 지도안을 수업에 적용하였을 때 기대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적 음악학습단계이론을 적용하여 여러 가지 활동영역을 계획하여 지도하기에 용이하다. 신체표현, 창작, 가창 및 악기활동의 학습방법을 CMLS이론에 내재되어있어 체계적인 수업을 할 수 있겠다. 둘째, 음악교육에서 리듬이 다른 영역에 비해 비교적 쉽게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리듬을 주제로 하였다. 리듬교육을 좀 더 흥미롭게 교육하기 위해 달크로즈, 코다이, 오르프의 리듬교육 방법론을 적절히 활용하였다. 또, 다양한 리듬교육의 예를 보여주기 위해 2박 계열과 3박 계열의 제재곡을 선정하여 리듬패턴을 추출하여 지도안을 작성하였다. 마지막으로, 청각중심의 교육으로 음악의 본질적으로 다가가는 과정에서 학습자의 문제해결 능력을 창의적이고 주도적으로 개발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CMLS이론을 적용한 리듬지도방안을 통해 여러가지 활동영역을 통합적으로 사용하고 학습자에게 주어진 과제를 창의적이며 주도적으로 문제 해결할 수 있도록 기대해 볼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한 가지 활동에만 치중하는 수업에서 벗어나 학습자가 여러가지 활동을 통합적인 수업을 통해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학습을 체험하여 음악성과 예술적 견해를 넓힐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machine, which is a product of the industrial revolution, has developed a vast amount of intelligence that human beings can not keep up with in modern society, and has developed artificial intelligence. There are several characteristics that only humans can not imitate rapidly developing machines. One of them, human creativity, has a unique competitive power that can not be matched by machines. It can be born by birth, but it can be raised through education. Especially music education is effective for creativity development. Music can be freely reflected in the learner's subjective opinion. However, compared to other subjects, music is not able to educate music activities in various areas due to a small number of classes.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provide an integrated teaching method that can efficiently learn within a short class time. In this study, we suggest a rhythm education guidance method that can be quickly learned by applying the process of Comprehensive Music Learning Sequence(CMLS) in order to respond to the current situation in music education. The definition and necessity of rhythm, which is one of the basic three elements of music, and methodology of rhythm learning were studied. Then,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stage theory of Piaget and Gardner, teaching method in CMLS theory has applied various activities in each stage, and modularized the 5steps corresponding to rhythm learning among the 11stages in which melody learning and rhythm learning are integrated. By applying the theoretical model of the integrated music learning stage, rhythm learning teaching method was developed as active sensing, internalization, externalization, symbolization, synthesis. First, it is easy to plan and teach various activity areas by applying Comprehensive Music Learning Sequence. The CMLS theory is embedded in the learning method of body expression, creation, singing, and musical instrument activity, so that we can have classes systematically. Second, rhythm is selected as the subject because it is relatively easy to approach in music education than other areas. In order to educate the rhythm education more interestingly, the rhythm education methodology of Emile Jaques-Dalcroze, Zoltan Kodaly and Carl Orff are applied. Also, to show examples of various rhythm education, rhythm patterns are extracted by selecting rhythm patterns of 2-beat and 3-beat, then teaching method is done. Finally, it helps students to develop their own problem-solving ability creatively and initiatively in the course of intrinsically approaching music through hearing-oriented education. Through the rhythmic teaching method applying CMLS theory, various activities can be used integrally and the learner can expect to be able to solve the problems which are given to the learner creatively and initiatively. Through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learners will be able to experience musical and artistic views by experiencing systematic and efficient learning through various lessons integrated activities.

      • 설득형 시조의 담화구조 연구

        김세림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담화론적 관점에서 시조 텍스트를 유형화하고 유형에 따른 양상과 구조를 분석한 뒤 그에 따른 수사 전략을 모색하는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담화의 대표적인 목적인 ‘설득’을 중심으로 그 보편적인 원리와 구조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도출된 설득 기제를 텍스트에 적용하여 시조를 유형화 및 구조화하고 사용된 수사 전략을 제시하는 것을 주요한 목적으로 한다. 인간이 사회적 동물이라는 진부한 전제를 두고 본다면 타인을 설득하는 행위는 사회 안에서 살아남기 위한 생존 수단이며 필수적인 언어 능력이다. 또한 문학은 경험과 공감을 바탕으로 진술한다는 점에서 타인을 향한 설득적 목적을 찾을 수 있는 장르이다. 구체성과 맥락성이 풍부하고 다양한 전략을 만들어낼 수 있는 텍스트의 한 종류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문학 연구자들에게 설득과 그 담화양식은 매력적인 주제가 될 수 있다. 한편 문학 장르 중 시조는 장르 특유의 텍스트성, 역사성, 형식성, 교술성 등의 특질에 따라 설득 담화로 볼 수 있는 조건을 가지고 있다. 담화는 의사소통 과정에 작용하는 화자, 청자, 의사소통 맥락, 상황을 고려한다는 것인데 시조 텍스트 역시 설득 담화로서 같은 요소와 자질을 밝혀낼 수 있는 것이다. 시조를 설득적 말하기로, 거시적으로는 담론의 한 부분으로 볼 수 있다는 점이 문학 텍스트의 설득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는 지점이 된다. 본 연구의 Ⅱ장에서는 먼저 범람하는 수사법 관련 논의들과 설득에 대한 이론들을 정리하여 설득의 보편적 원리, 타당한 구조를 추출하는 것에서 시작한다. 이는 시조를 담화로 보는 관점의 주축이 될 것이며 이를 바탕으로 담화로서의 시조의 특징과 개념 및 특성을 밝혀 새로운 유형화 시도의 토대로 삼는다. 설득형 시조의 재개념화는 텍스트 해석 중심의 시조연구사에서 화자와 청자의 맥락을 도입한 담론적 접근이 어떤 의의를 지닐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Ⅲ장에서는 설득형 시조를 담화 유형에 따라 분류하고 그 양상을 파악한다. 먼저 1절에서는 극적인 대화를 이루는 대화 형식 기반의 설득형 시조를 살핀다. 대화(對話)는 화자와 청자가 서로 이야기를 주고받으며 의미를 전달하는 방식이므로 이 유형은 화자와 청자가 모두 등장하여 화자 간 상호 발화가 이루어지는 유형과, 암묵적 청자가 등장하는 화자 청자 간 일방 발화 유형으로 나누어 구별된다. 전자는 화자와 청자간의 관계 형성에 따라 협조적 상호 발화와 대립형 상호 발화로, 후자는 화자의 어조와 내용에 따라 권유형 일방 발화와 훈계형 일방 발화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2절에서는 독백 형식 기반의 설득형 시조를 유형화하였다. 독백은 내면 안에서 삶의 힘을 발견하고 이를 함양하고자 외부로 토해내는 성찰적 행위 중 자신과 말하는 부재자를 전제하는 방식이다. 작가와 화자가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에서 나누어 본다면, 작중화자와의 일치 때는 교사형과 반면교사형으로 독백이 진행된다. 작중화자를 따로 둔다면 이는 발화의 목적에 따라 다시 구별될 것이다. 이후 Ⅳ장에서는 담화의 전개 구조를 살피고자 설득형 시조의 구조와 사용된 수사 전략을 분석한다. 1절에서는 설득형 시조의 논리 구조를 파악하고 이 구조가 담화로서의 시조에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 보았다. 수사학적 논리 구조를 적용하였을 때 시조의 논리는 유사 귀납적 구조를 보이는 귀납 기반형 구조와, 유사 연역적 구조를 보이는 연역 기반형 구조로 나뉜다. 귀납적 구조에는 수사적 논증의 분류에 따라 사례제시형, 유추형, 인과관계형의 시조를 찾을 수 있었고 연역적 구조에서는 연쇄 삼단형, 대증식 삼단형, 생략 삼단형의 시조를 유형화하였다. 여기에 사용된 설득형 시조의 수사 전략들은 크게 심리에 호소하기, 자료의 오류를 이용하기, 귀납적 오류를 활용하기 등이다. 청자 혹은 독자의 심리에 호소하기 위해서는 권위에 의존하거나 유머에 기대어 심리를 자극하는 시조들이 발견되었다. 흑백사고나 거짓 딜레마를 활용하여 자료의 오류를 이용하는 시조들은 2절의 유형에 분류되었으며, 성급한 일반화와 거짓 원인을 활용하여 설득을 꾀하는 시조들은 3절의 귀납적 오류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았다. 본고에서는 시조 유형화의 연장선에서 담론적 접근을 통해 시조를 새롭게 유형화하고 그 구조와 전략을 제시하였다 이는 문학 텍스트에서 사용되는 언어가 일상에서 사용되는 언어와 전제의 차이만 있을 뿐 용법의 차이까지 다른 것은 아니라는 견해를 따르는 것이며, 시조의 3장 구성의 구조적 의의가 가능성의 측면에서만 제시되는 점을 보완하여 새로운 구성 원리와 구조적 의미를 찾으려는 시도가 될 것이라 기대한다.

      • 원예치료가 노숙인 재활시설 생활인의 손기능과 사회?심리?정서적 행동 특성에 미치는 영향

        김세림 목포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노숙인 재활시설 생활인을 대상으로 원예치료를 실시하여 노숙인의 손기능과 사회‧심리‧정서적 행동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전라남도 무안군에 위치한 A노숙인 재활시설에 입소하여 생활하는 생활인 10명을 대상으로 2013년 4월 30일부터 2013년 10월 24일 까지 총 20회기 프로그램을 주 1회, 회당 2시간씩 실시하였다. 원예치료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Purdue Pegboard 측정도구와 사회‧심리‧정서적 행동 특성 척도지를 이용하여 프로그램 전과 후에 측정하였으며, 매회기마다 관찰평가를 실시하였다. 원예치료 프로그램은 씨앗 파종하기, 허브 삽목하기, 화단에 꽃심기, 고구마심기, 배추심기, 텃밭 가꾸기 등 활동적이고 손기능 운동에 도움을 주며, 사회성 향상과 정서안정에 도움을 주는 프로그램 중심으로 프로그램이 진행되었다.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통한 노숙인 재활시설 생활인의 손기능 변화는 오른손(11.84 → 12.89, p=0.045), 왼손(10.54 → 10.77, p=0.001), 양손(8.37 → 9.05, p=0.000), 조립(16.77 → 20, p=0.000) 모두 평균이 증가했고,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통한 노숙인 재활시설 생활인의 사회‧심리적 행동 특성은 점수가 증가할수록 향상된 것으로, 평균이 49.5점에서 54.1점으로 4.6점 증가하여 통계적(p=0.000)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적 행동 특성 검사는 점수가 낮을수록 향상된 것으로, 49.2점에서 45.4점으로 3.8점 감소하여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고, 통계적(p=0.001)으로도 유의성이 나타났다. 원예치료 활동에 대해 무관심했던 대상자들이 프로그램에 조금씩 관심을 가지고 참여하면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거나 이야기를 나누는 등 사회성이 향상된 것을 보여주었으며, 자연과 함께하는 활동을 통해 운동기관을 자극시키고 섬세한 손동작 및 인지능력을 향상시켜 주는 등 재활에 도움을 주고, 식물을 만지면서 작품과 결과물을 통해 우울과 두려움 같은 부정적인 감정을 줄어들게 하여 정서적으로 안정감을 가지는데 도움을 주었다. 따라서 원예치료는 노숙인 재활시설 생활인의 손기능과 사회‧심리‧정서적 행동 특성 변화에 효과적임을 볼 수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of the effect of horticultural therapy on the hand function, sociality, mentality and emotional behavior of residents in rehabilitation facility for homeless. This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 ‘A’ rehabilitation facility for homeless which is located in Muan-gun, Jeollanam-do, and ten residents in ‘A’ rehabilitation facility were participated in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s(HTP). HTP were performed once (2 hours) per weeks to 20 times from April 30 to October 24, 2013. To examine the effects of HTP, it was used the Purdue Pegboard for measurement of hand function, and social, psychological and emotional behavior scale was used for evaluation of sociality, mentality, and emotional change between before and after HTP. The HTP were composed with sowing, cutting, planting flower in garden, planting sweet potato, planting cabbage, and tending a vegetable garden. In hand function test of ten subjects by Purdue Pegboard, right hand function significantly increased by 12.89 after HTP compared to 11.84 before HTP, and left hand function was improved by 10.77 after HTP compared to 10.54 before HTP. Also, both hands function was increased by 9.05 after HTP compared to 8.37 before HTP, and assembling function of hands was improved by 20 after HTP compared to 16.77 before HTP. Therefore, HTP was effective in promoting the hand function of residents in rehabilitation facility for homeless. The value of social and psychological behavior of subjects showed high grade of 54.1 after HTP compared to 49.5 before HTP. Also, the value of emotional behavior was lowered significantly by 45.4 after HTP to 49.2 before HTP. Therefore, the HTP is considered as effective method for improvement of social, psychological and emotional behavior characteristics of residents in rehabilitation facility for homeless.

      • 인슐린 면역 측정법에서의 항인슐린 항체의 간섭효과와 재조합 인슐린과의 교차반응

        김세림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배경 : 혈중 인슐린 검사는 저혈당 감별진단에 주로 사용되고, 당뇨병 세부 분류에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측정법마다 재조합 인슐린 치료제에 대한 다양한 정도의 교차반응이 있으며, 항인슐린 항체에 의한 간섭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예전 수기법으로 진행되던 방사면역측정법과는 달리 최근 사용되는 자동화 면역측정법에서는 항인슐린 항체의 영향에 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여러 측정법들 간에도 표준화가 아직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동화 면역 측정법인 Immuno-eletrochemiluminescent-metric Assay(IECMA)를 이용한 인슐린 검사에서의 항인슐린 항체에 의한 간섭효과와 재조합 인슐린 치료제 두 종류에 대한 교차반응 정도를 평가하고, 다른 측정법과의 비교 평가를 통해 상기 검사의 임상적 유용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 2008년 6~9월 건국대학교병원에서 식전 인슐린 검사가 의뢰된 93 건(지속적 피하 인슐린 주입법 치료를 받고 있는 제 2형 당뇨병 환자 검체 74건, 건강검진 대상자 검체 20건)에 대해 MODULAR analyzer E170 (Roche Diagnostics, Mannheim, German)으로 전처리 없이 바로 측정한 혈중 인슐린 농도(직접 측정 인슐린, direct insulin)와 함께, 의무기록 상 병력과 치료기간, 공복혈당, C-peptide를 함께 조사하였다. 항인슐린 항체에 의한 간섭효과의 유무를 알아보기 위하여 87건의 잔여 검체를 대상으로 항인슐린 항체의 농도를 측정한 후, 20% Polyethylene Glycol (PEG) 용액으로 항체 침강을 시킨 상층액에서 총 인슐린(total insulin)과 유리 인슐린(free insulin)을 측정하여 항인슐린 항체의 유무에 따라 전처리 전 직접 측정 인슐린(direct insulin) 농도와 차이를 보이는 지를 알아보았다. 위의 잔여 검체 중 40 검체를 대상으로 Advia Centaur Immunoassay System (Simens, Erlangen, Germany)와 manual INS-IRMA assay (BioSource, Nivelles, Belgium)로 각각 인슐린 농도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마지막으로, 재조합 인슐린에 대한 교차반응 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insulin aspart (NovoRapid, Novo Nordisk)와 insulin glulisine (Apidra, Sanofi-Aventis)의 100 IU/mL 정주용액을 7% Bovine Serum Albumin에 희석(30, 100, 300, 1000 mIU/L) 후 각각 혈중 인슐린 농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 대상군을 항인슐린 항체 농도의 증가 정도에 따라 임의로 4개의 그룹(항인슐린 항체 5.4% 미만, 5.4~20%, 20~40%, 40% 이상)으로 나누어 비교하였을 때, E170으로 측정한 direct insulin과 total insulin 및 free insulin 세 값은 모두 항인슐린 항체 농도가 높은 군으로 갈수록 유의하게 증가하였다(모두 p < .001). 항인슐린 항체가 음성(항인슐린 항체 5.4% 미만)인 군에서는 E170 direct, total 및 free insulin 간의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으나(p=0.256), 항인슐린 항체가 양성인 군에서는 세 값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 .001). 항인슐린 항체의 농도가 가장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E170 total insulin과 direct insulin으로서 결정계수는 각각 0.719(p < .001)와 0.620(p < .001) 이었다. E170으로 측정한 인슐린 농도는 insulin IRMA assay보다 Advia Centaur 측정값과 더 나은 상관관계를 보였다(R2= 0.421, p < .001 vs. R2= 0.767, p < .001). E170과 IRMA assay 사이의 평균차이는 26.14%로 E170이 IRMA assay보다 높게 보고됨을 알 수 있었고, 이때 E170 측정값이 높게 보고되는 경향은 인슐린 농도가 높아질 수록 더 심화되는 비례오차를 보였다(y = 2.0899x - 0.5491). 재조합 인슐린에 대한 교차반응 평가에서는 교차반응비(원용액 농도에 대한 측정된 값의 비율)가 두 종류의 인슐린 모두 각각의 농도에서 0.7 % 미만으로 영향이 없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 항인슐린 항체의 농도가 높을 수록 E170으로 측정한 direct insulin 농도는 체내에서 실제 기능을 하는 free insulin보다 과다 측정됨을 확인함으로써 항인슐린 항체에 따른 간섭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나 그 원인으로서 E170 direct insulin과 total insulin 간 차이가 크지 않은 점으로 E170으로 측정한 direct insulin이 항체와 결합한 형태와 결합하지 않은 형태(free insulin)을 모두 포함하는 total insulin을 반영하기 때문이라는 것을 추측할 수 있었다. Advia Centaur와 IRMA assay로 측정한 인슐린 측정값 또한 정도에는 차이가 있었지만 모두 항인슐린 항체에 의한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다. 측정법 간 비교에서 비슷한 측정 원리를 이용하는 E170과 Advia Centaur는 비교적 우수한 상관관계를 보였지만, IRMA assay와는 차이를 보여 검사법 간 표준화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교차반응 분석에서는 E170 인슐린 면역측정법이 최근에 사용되는 재조합 인슐린(insulin glulisine, insulin aspart)과 교차반응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상기 인슐린 제제로 치료를 받고있는 환자에서 인슐린 면역측정법이 내인성 인슐린 분비능과 인슐린 저항성 평가에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주기적인 항인슐린 항체 검사를 병행하여 항체 양성일 경우 인슐린 측정 시 PEG 전처리 후에 시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 코다이 교수법을 활용한 바이올린 지도방안 연구 : 아동기를 중심으로

        김세림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음악은 모든 이의 것이다.”라고 말했던 코다이(Zoltán Kodály, 1882∼1967)는 모든 사람이 음악교육을 통해 음악적 소양을 기르면 창조적이고 인간적이며 보다 풍부한 삶을 영위할 수 있다고 믿었다. 본 논문은 코다이 교수법의 특징을 정확히 이해하고, 아동기의 음악 발달 능력에 따른 바이올린 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지도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코다이 교수법을 활용한 바이올린 지도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첫째, 이론적 배경으로 코다이의 생애, 음악교육 사상, 교수법의 특징을 고찰한다. 둘째, 기악교육의 중요성을 살피고 아동기의 발달특징과 음악적 능력의 발달에 대해서 정리한다. 셋째, 위 내용을 근거로 교수-학습 지도안을 설계하였다. 총 9차시의 교수-학습 지도안으로 구성하였으며 초급 수준의 초등학교 1∼2학년을 대상으로 한다. 제재곡은 일반적으로 바이올린 교육에 사용 되는 교재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음악적 능력을 고려하여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학습대상이 바이올린을 처음 접하는 학생이므로 음악 기초이론과 바이올린의 기본적인 연주에 관한 내용으로 이루어진다. 연주 기술 위주의 일방적인 지도방식에서 벗어나 학생의 발달단계를 고려하여 신체활동과 가창 등으로 구성하였다. 학생들의 능동적인 수업 참여를 끌어냄으로써 자발적인 흥미 유발과 음악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도 신장을 목표로 한다. 코다이 교수법을 활용한 바이올린 지도방안은 바이올린을 처음 접하는학생들에게 리듬을 말로 표현하며 익히고, 손기호를 통해서 독보력을 신장시키며 정확한 리듬감으로 연주할 수 있도록 하였다. 기존의 획일화된 기악교육에서 벗어나 코다이의 교수법을 통하여 언어를 익히듯이 자연스럽게 음악을 익히고 악기를 연주하고 습득하는 과정이 음악의 아름다움을 느끼는 동시에 전인적 인간으로 성장 할 수 있는 소중한 음악적 경험이 되길 기대해 본다. Kodály (1882∼1967), the established music educator who quoted ‘Let music belong to everyone.’ firmly believed that all human would be able to lead a more creative, humane and richer life through the embracement of music education.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accurately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Kodály music education concept and present violin education method applicable to the varying musical aptness in childhood. The Violin education methods on Kodály concept were formulated in the following ways. First, Kodály’s personal life, philosophies on music and characteristics of education method were observed based on theoretical framework. Second, justification on the importance of instrumental music education and the observation on characteristics of childhood and musical ability developments were analyzed. Third, on the basis of the above findings, present teaching and education methods were structured. A total of 9 structures were developed subject to children from first grade to second grade of primary school children. The musical pieces were selected from general music education books and Musical compositions were selected in reference to the basic level of musical ability among children and general levels of textbooks used to educate children. The research is composed of content relevant to the elementary music theories and education level for students unfamiliar with music education. Eliminating one-way educational method, the method strategically acknowledged children’s development phase and utilized physical movements and vocal exercise. By encouraging voluntary involvement out of the students, the method aims to explore interest stimulation and enhancement of musical understanding. Violin education strategy that fundaments on the Kodály concept was structured for students to express and understand rhythms vocally, develop music expression capability through the development of finger movements for rhythmic accuracy. Hopefully, not on the basis of standardized instrumental education, but on the Kodály method, students can learn music as much like learning language and also expect that the process of acquiring the way of managing musical instruments can make students feel the beauty of music and wish it to be a valuable musical experience for them to grow well-rounded persons.

      • Riboflavin과 생체전환 isoalloxazine 유도체의 다양한 광원 하에서의 화학적 특성변화 및 생체시스템에서의 안전성과 기능성 평가

        김세림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Riboflavin (Rb) and its biotransformed metabolites including flavin mononucleotide (FMN) and flavin adenine dinucleotide (FAD) have an isoalloxazine ring as a common photoactive moiety. In this study, photostability and photosensitizing properties of Rb, FMN, and FAD were evaluated under a regular fluorescent light and different LEDs (blue, red, green, and whit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photochemical reaction were also investigated during the photooxidation processes. The photostability of the isoalloxazine derivative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type of light source and its illuminance, as well as the alkyl group structure of each derivative bound to the isoalloxazine ring and their concentrations. Among the derivatives, FAD was most stable under irradiation of all types of light. Among the lights irradiated, Blue LED induced the most rapid photodegradation of the derivatives; their half-lives of Rb, FMN, and FAD at 50 μM under 50 lx Blue LED were 0.88, 0.38, and 5.04 h, respectively. HPLC analyses for the degradation products from the derivatives under Blue LED irradiation indicated that lumichrome (LC) was a common photooxidation product from each derivative. Rb and FMN showed more potent photosensitizing activities than FAD under irradiation of all types of light. Blue LED also induced the strongest photosensitizing activities of all Rb derivatives. Enhancement of DCF fluorescence by Rb was most pronounced under light, indicating that ROS generation due to its photosensitizing activity was most prominent. Rb and FMN significantly enhanced lipid peroxidation up to 4 μM, whereas the extent of lipid oxidation rather decreased at higher concentrations. FAD promoted lipid oxidation more potently under light with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up to 32 μM. Photo-degraded Rb and FMN showed a potent Fe (II) chelating activity, whereas the activity of FAD was not observed. All the derivatives displayed an antioxidant potential, showing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reducing activity of Fe (III) to Fe (II) only when irradiated with light. Rb and FMN induced the most potent phototoxicity in both keratinocyte (HaCaT) and human lens epithelial cells (HLE B-3). In particular, HLE B-3 were much more sensitive to the phototoxicity induced by the derivatives than HaCaT. The cytotoxicity and H2O2 generation induced by Rb under light showed a big difference in different culture media including PBS, HBSS, and phenol red free DMEM (RPF-D). In particular, Rb induced the greatest response in RPF-D containing basal amino acids. Therefore, a potential for the interactions between Rb derivatives and different amino acids under light was evaluated in the nitro blue tetrazolium (NBT) reduction system, and the consequent effects through these interactions on the Rb-induced photosensitizing reactions including ROS generation and phototoxicity were also analyzed. NBT-reducing properties of Rb, LC, lumiflavin (LF), and FMN under blue LED irradiation were investigated in the presence of different 21 amino acids. The NBT reduction occurred effectively in the combined reaction system of Rb derivatives with 6 amino acids including His, Met, Cys, Arg, Hyp, and Asn. Among the Rb derivatives, Rb and FNM displayed the most potent NBT reduction activity in the presence of the amino acids. The NBT reduction was induced by Cys even without Rb, regardless of the light irradiation. SOD strongly inhibited the NBT reduction induced Rb combined with the 5 amino acids except Cys. Rb-induced ROS generation decreased in the combined reaction with Met, His, and Cys during light irradiation. However, the amount of H2O2 produced in each combined reaction increased as the concentrations of Rb and each amino acid increased. The phototoxicity of Rb in skin cells was enhanced amino acid concentration-dependently in the presence of Rb under light. In addition, the interaction of Rb derivatives with iron ions in the O/W system was also analyzed. Lipid peroxidation induced by the derivatives was more pronounced in the presence of metal ions under light. However, all three derivatives significantly inhibited the Fenton reaction-induced lipid peroxidation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The present study indicates that the Rb and its derivatives could play dual roles as pro- and anti-oxidant and cause photo-damages on the living system in light-stimulated conditions. These results also suggest that Rb and its isoalloxazine derivatives may cause deterioration of food quality or biological changes in vivo through interactions with various food ingredients and biomolecules, including amino acids and iron ion under light. Therefore, when Rb and its derivatives are used as ingredients in various foods and cosmetics, it needs to be carefully considered photosensitizing properties of these derivatives and their consequent effects on quality degradation of the products as well as physiological actions in body. Riboflavin (Rb) and its biotransformed metabolites including flavin mononucleotide (FMN) and flavin adenine dinucleotide (FAD) have an isoalloxazine ring as a common photoactive moiety. In this study, photostability and photosensitizing properties of Rb, FMN, and FAD were evaluated under a regular fluorescent light and different LEDs (blue, red, green, and whit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photochemical reaction were also investigated during the photooxidation processes. The photostability of the isoalloxazine derivative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depending on the type of light source and its illuminance, as well as the alkyl group structure of each derivative bound to the isoalloxazine ring and their concentrations. Among the derivatives, FAD was most stable under irradiation of all types of light. Among the lights irradiated, Blue LED induced the most rapid photodegradation of the derivatives; their half-lives of Rb, FMN, and FAD at 50 μM under 50 lx Blue LED were 0.88, 0.38, and 5.04 h, respectively. HPLC analyses for the degradation products from the derivatives under Blue LED irradiation indicated that lumichrome (LC) was a common photooxidation product from each derivative. Rb and FMN showed more potent photosensitizing activities than FAD under irradiation of all types of light. Blue LED also induced the strongest photosensitizing activities of all Rb derivatives. Enhancement of DCF fluorescence by Rb was most pronounced under light, indicating that ROS generation due to its photosensitizing activity was most prominent. Rb and FMN significantly enhanced lipid peroxidation up to 4 μM, whereas the extent of lipid oxidation rather decreased at higher concentrations. FAD promoted lipid oxidation more potently under light with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up to 32 μM. Photo-degraded Rb and FMN showed a potent Fe (II) chelating activity, whereas the activity of FAD was not observed. All the derivatives displayed an antioxidant potential, showing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reducing activity of Fe (III) to Fe (II) only when irradiated with light. Rb and FMN induced the most potent phototoxicity in both keratinocyte (HaCaT) and human lens epithelial cells (HLE B-3). In particular, HLE B-3 were much more sensitive to the phototoxicity induced by the derivatives than HaCaT. The cytotoxicity and H2O2 generation induced by Rb under light showed a big difference in different culture media including PBS, HBSS, and phenol red free DMEM (RPF-D). In particular, Rb induced the greatest response in RPF-D containing basal amino acids. Therefore, a potential for the interactions between Rb derivatives and different amino acids under light was evaluated in the nitro blue tetrazolium (NBT) reduction system, and the consequent effects through these interactions on the Rb-induced photosensitizing reactions including ROS generation and phototoxicity were also analyzed. NBT-reducing properties of Rb, LC, lumiflavin (LF), and FMN under blue LED irradiation were investigated in the presence of different 21 amino acids. The NBT reduction occurred effectively in the combined reaction system of Rb derivatives with 6 amino acids including His, Met, Cys, Arg, Hyp, and Asn. Among the Rb derivatives, Rb and FNM displayed the most potent NBT reduction activity in the presence of the amino acids. The NBT reduction was induced by Cys even without Rb, regardless of the light irradiation. SOD strongly inhibited the NBT reduction induced Rb combined with the 5 amino acids except Cys. Rb-induced ROS generation decreased in the combined reaction with Met, His, and Cys during light irradiation. However, the amount of H2O2 produced in each combined reaction increased as the concentrations of Rb and each amino acid increased. The phototoxicity of Rb in skin cells was enhanced amino acid concentration-dependently in the presence of Rb under light. In addition, the interaction of Rb derivatives with iron ions in the O/W system was also analyzed. Lipid peroxidation induced by the derivatives was more pronounced in the presence of metal ions under light. However, all three derivatives significantly inhibited the Fenton reaction-induced lipid peroxidation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The present study indicates that the Rb and its derivatives could play dual roles as pro- and anti-oxidant and cause photo-damages on the living system in light-stimulated conditions. These results also suggest that Rb and its isoalloxazine derivatives may cause deterioration of food quality or biological changes in vivo through interactions with various food ingredients and biomolecules, including amino acids and iron ion under light. Therefore, when Rb and its derivatives are used as ingredients in various foods and cosmetics, it needs to be carefully considered photosensitizing properties of these derivatives and their consequent effects on quality degradation of the products as well as physiological actions in body.

      • 호서지역 원삼국~백제시대 철겸의 변천과 지역상

        김세림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철겸은 현재의 낫과 용도 및 형태가 유사한 농공구로, 기능은 수확구·벌채구·목공구로 추정이 가능하다. 청동기시대 이후 농경문화의 발전이 이루어지며, 잘 익은 낟알만을 선별하여 수확해야 했던 방식에서 벗어나 포기 채 한 번에 수확을 할 수 있는 철겸이 출현한다. 청동기시대에 수확을 담당하였던 반월형 석도 대신 초창기에는 철도자가 그 역할을 해오다가, 초기철기시대 이후 창원 다호리 1호분에서 출토된 철겸을 기점으로 철겸이 그 기능을 도맡기 시작한다. 본고에서는 호서지역 원삼국~백제시대 출토 철겸을 대상으로 형식 분류하고, 그에 따라 단계 설정하여 시기별 변천상과 지역상을 밝히고자 하였다. 형식분류 속성대상은 ①겸신폭(A식·B식) ②겸신·선단부 형태(Ⅰ·Ⅱ·Ⅲ·Ⅳ식)으로 설정한 결과 8가지 형식으로 분류된다. 시기는 2세기~7세기 대로 5단계를 설정하여 변천상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3세기 후반에 속하는 1단계는 겸신폭이 넓은 A식이 우세하고 3세기 후반 이후부터 점차 겸신폭이 좁은 B식이 출토되기 시작한다. 선단부가 미약하게 꺾인 형태인 Ⅱ식이 이른 시기부터 확인되지만 4세기 대 이후로 선단부 꺾임이 적극적인 Ⅲ식이 증가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사비기에 해당하는 5단계 출토품 중 부소산성에서 출토된 철겸은 겸신폭과 길이가 특대형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미 기능을 인지하고 제작한 것으로 보인다. 호서지역 철겸으로 본 지역상은 크게 소지역상과 타 지역과의 비교를 통한 지역상으로 나눠 검토하였다. 먼저 소지역상은 앞서 구분한 5개 권역을 살펴본 결과 개별 권역별로 특징들을 간취해 낼 수 없었지만 차령산맥을 기준으로 서해안지역권과 비서해안지역권의 양상이 다른 것으로 판단되었다. 서해안지역권은 철겸 길이와 겸신폭이 각각 30cm, 4cm 이상으로 다른 비서해안지역권 출토품과 달리 크기가 특대형에 해당하는 특징을 가진다. 다음으로 호서지역의 지역상을 살피기 위해 타 지역인 중부지역·영산강유역·영남지역을 대상으로 연구 성과를 검토하고 본고 형식분류안을 적용하여 비교해 본 결과 호서지역과 같이 2~3세기 대에 겸신폭이 넓은 A식이 확인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늦은 시기로 이행할수록 겸신폭이 좁아지며 선단부가 급격하게 휘는 Ⅲ식이 증가한다. An ancient age iron sickle is a farming tool which has similar use and form with modern farming tool, sickle. It is believed that iron sickle was used as a harvesting tool, mowing tool or woodworking tool during ancient age. Until the Bronze Age, farmers chose and harvested only the well-ripened grains; however, as farming culture advanced, farmers began to harvest grains by head. Accordingly, an iron sickle appeared to cut grains by head. In the beginning, iron knife replaced semi-lunar shaped stone knife, which was used in cutting grains by head during the Bronze Age. After the early Iron Age, iron sickle took charge of cutting grains by head as proved by the iron sickle found in the no. 1 tomb at Daho-ri, Changwon.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classifying the forms of iron sickles in Hoseo area from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to Baekje Period, setting up steps on the transition and clarifying the transition pattern and area identity by way of iron sickles. The property objects for form classification were established as ① blade width (type A,B) and ② shape of blade and point (typesⅠ,Ⅱ,Ⅲ and Ⅳ). As the result of such classification, it was possible to classify iron sickles into 8 different forms. The period set-up to explore the transition pattern of iron sickle is 5 steps from 2nd century to 7th century. The result was that, ‘type A’ iron sickle with wide blade is majority during the 1st step beginning from late 3rd century. Then ‘type B’ iron sickles with narrow blade are found for the period later than late 3rd century. ‘Type II’ is an iron sickle with its point slightly bent. ‘Type II’ iron sickles are found from the early period. After the 4th century, ‘type III’iron sickles with point with active bending began to increase. The 5th step excavated iron sickles belong to Sabi Period. Among them, the iron sickles excavated at the Buso Mountain Fortress are ‘super large type’with long and wide blade. It is believed that those were made after learning the function of a sickle. The area identity seen by the iron sickles in Hoseo area was studied in two ways. One is small-area identity and the other is area identity through comparison with other areas. First, 5 zones were studied for small-area identity. It was not possible to find characteristics by zone;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pattern is different between west coast zone and the zone east of Charyeong Mountain Range. The iron sickles found in west coast zone has length more than 30cm and width more than 4cm. They are super large type iron sickles compared to the excavated iron sickles found in the east of Charyeong Mountain Range. In order to explore the area identity of Hoseo area, the existing study literature on the iron sickles found in Jungbu area, Yeongsan-gang River basin and Yeongnam area were examined and the form classification used in this study was applied on the iron sickles found other areas. It was possible to find ‘type A’ iron sickles with wide blade in other areas for the 2nd century and 3rd century; which is similar to Hoseo area. As time passed by, the blade width became narrower and ‘type Ⅲ’ iron sickle with rapid bending point became the majority.

      • 근로빈곤층의 빈곤경험유형에 관한 연구

        김세림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경제위기 이후 우리나라의 노동시장의 변화는 모든 사회 구성원들에게 직간접적으로 많은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경제위기 이후 노동시장의 변화로 인해 급증한 근로빈곤층을 대상으로 하여 근로빈곤층이 경험하는 빈곤의 동태적 특성을 분석한 연구이다. 근로빈곤층이 경험하는 빈곤의 동태적 특성은 빈곤에 머무르는 기간은 짧지만, 복수빈곤주기를 가진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빈곤에 재진입, 즉 반복빈곤을 경험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근로빈곤층의 경우 빈곤으로부터 이탈한 가구의 절반 이상이 낮은 소득수준에 머물러 있기 때문이다. 한편, 이러한 반복빈곤을 빈곤기간만을 고려해 단기빈곤으로 해석하는 것은 장기빈곤의 규모를 과소추계하고, 빈곤상태간의 이동성을 과대평가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빈곤기간만을 가지고 빈곤경험유형을 판단하는 것은 오류가 있다. 반복빈곤층 가운데 상당수가 반복되는 빈곤으로 인해 장기간에 걸쳐 빈곤을 경험한다고 하지만, 반복빈곤층 내 빈곤주기의 횟수는 다양할 뿐만 아니라 소득의 차이도 있어서 항상(恒常)빈곤을 경험하는 집단이 있는 반면, 일시적으로 빈곤을 경험하는 집단도 존재하기 때문에 모든 반복빈곤층을 장기빈곤층으로 간주해서는 안 된다. 따라서 근로빈곤층의 빈곤경험을 유형화할 때 빈곤기간, 빈곤주기, 그리고 항상(恒常)소득을 기준으로 빈곤경험을 명확히 분류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근로빈곤층을 정의하고 위에서 언급한 세 가지 기준으로 빈곤경험유형을 분류하고, 그 유형을 결정하는 요인이 무엇인지 분석하였다. 분석자료로 노동패널 1차부터 10차까지의 자료를 활용하였고, 다항로짓분석을 통계방법으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국노동패널 자료를 분석한 결과 빈곤 경험 사례의 대부분이 일시빈곤이었다. 또한 평균 45세 정도로 근로 가능한 연령층이며, 고등학교 졸업이하의 학력을 가진 계층이었다. 노동시장에서의 특성을 보면 대부분의 근로빈곤층이 취업상태에 있었으며 종사상지위는 상용직을 가장 많았다. 이러한 결과는 취업여부 차제가 빈곤을 결정한다기보다는 취업의 질이 빈곤탈출에 영향을 준다고 할 수 있다. 빈곤경험유형을 결정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에서 가구 및 가구주 특성 중 성별, 건강상태, 가구원 수, 가구 내 취업자 수는 근로빈곤층의 빈곤경험유형을 결정하는 요인이었는데, 특히 성별과 가구 내 취업자 수는 빈곤경험유형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이었다. 또한 인적자본특성인 학력변수 역시 빈곤경험유형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변수임이 확인되었다. 이는 소득에 가장 큰 부분인 근로소득의 원천이 되는 노동시장에서 상대적으로 취약한 여성과 저학력의 계층이 빈곤을 경험할 때, 일시빈곤보다는 항상빈곤을 경험하고, 항상빈곤 보다는 장기간 빈곤에 머무르는 계속빈곤에 머무를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빈곤경험유형을 결정하는 요인으로 종사상지위는 빈곤경험유형을 결정하는데 매우 중요한 변수임이 확인되었다. 상용직일수록 계속빈곤보다는 항상빈곤을, 항상빈곤보다 일시빈곤을 경험할 확률이 높아진다는 것을 발견하였는데 이는 취업여부도 중요하지만 취업의 질이 빈곤경험유형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임을 말해준다. 이를 통해 도출할 수 있는 연구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그것은 기존의 빈곤이행연구에서는 시도하지 않았던 10년이라는 비교적 장기간의 동태적 분석을 시도하였다는 것이다. 기존의 빈곤의 동태성 연구들에서 연구의 한계로 지적받았던 빈곤측정기간을 확장시킴으로써 그것의 한계를 넘어섰다고 말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 이론적 기반으로 삼고 있는 항상소득가설에 준거한 연구가 이루어졌다고 말할 수 있다. 또한 근로빈곤층의 빈곤경험유형을 결정짓는 요인들을 분석함을 통해 각 유형별로 정책적으로 다양한 접근이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The changes in the Korean economic and social structures as a result of the economic crisis of the 1990’s have greatly affected members of Korean society. A key effect was the transformation of the labor market, which led to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number of “working poor”. Previous studies conducted on this class of working poor have included both statistical and dynamic analyses. This study focuses on the dynamic of poverty, specifically addressing poverty spells, the period of poverty duration, and permanent income. These factors were combined to produce a proportional indicator for each individual included in this study. Based on this indicator, this study has attempted to define the working poor, to qualifying the types of poverty experienced by the working poor, and then to further refine the factors used to determine each type of poverty. This study utilizes the ten most recent sets of annual KLIPS data, analyzed using a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majority of working poor (about 75.72%) experience transitory poverty. This study also establishes the determinants of the types of poverty experienced by the working po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household (the number of workers in the household and the total number of household members), the characteristics of the head of the household (that individual’s age, gender, and education level), the conditions of the labor market for the head of the household, and the assets of the household. The conditions of the labor market in which the head of the household is employed was shown to be a critical factor in determining the poverty level of that household.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working poor must not only work, but also have access to other sources of economic support if they are to escape poverty. In conclusion, anti-poverty policies in Korea must be developed to include provisions that address the challenges faced by these working po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