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한국 독립 다큐멘터리의 1970~80년대 여성 노동 운동사 다시 쓰기 : <우리들은 정의파다>, <꽃다운>, <스와니:1989 아세아스와니 원정투쟁의 기록>
본 연구는 2000년대 후반 당시의 여성 노동 운동의 투쟁에 영향을 받아 과거를 새롭게 조명하고 또한 그 조명한 과거가 현재의 투쟁에 새로운 동력이 될 수 있고자 하는 바람에서 만들어졌다고 볼 수 있는 7,80년대 여성 노동 운동을 다룬 다큐멘터리 세 편(<꽃다운>, <우리들은 정의파다>, <스와니: 1989 아세아스와니 원정투쟁의 기록>)을 분석 대상으로 삼는다. 이 다큐멘터리들이 역사를 재구성하는 전략을 살펴본다. 이 다큐멘터리들은 공통적으로 오랜 기간 비가시화된 여성 노동 운동의 사례들에 주목해, 이들의 선구자적 위상을 부각시킴으로써 노동 운동의 역사를 다시 쓰고자 한다. 이를 통해 87년 노동자 대투쟁을 기원으로 삼는 ‘남성 노동자 신화’를 전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의의를 인정하면서도, 과거 여성 노동 운동의 사례들이 그 자체로 여성 운동의 선구적 사례들이기도 했음을 보다 강조할 필요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특히 이 다큐멘터리들이 포함하고는 있지만 강조되지 못하고 노동 운동 서사 속으로 봉합되고 마는 섹슈얼리티와 젠더의 문제들을 징후적으로 들여다보고자 한다. 먼저 <꽃다운>에서 동원되고 있는 여성의 이미지의 위험성을 분석하고, 그럼에도 그 이미지를 활용하는 것이 여성 노동자 스스로가 차용하는 수동적 가면임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우리들은 정의파다>에 대한 분석에서는 노동자 계급 의식의 성장에 의한 노동조합의 설립, 이에 대한 사측과 공권력의 무자비한 폭력에 의한 탄압, 그리고 현재까지 이어지는 저항이라는 영화의 주된 서사 속으로 서둘러 봉합되고 있는 ‘공순이 낙인’과 ‘나체 투쟁 이미지’에 주목하였다. 이를 통해 노동자 계급 의식의 성장으로 환원되지 않는 여성으로서 겪은 차별의 경험들을 드러내고자 하였으며, 동시에 바로 그 여성으로서 겪은 섹슈얼리티의 위계화에 의한 억압의 경험이 ‘도덕적이고 성적으로 문란하지 않은 노동자’ 정체성으로 여성 노동자 스스로를 보호하게 함으로써 ‘나체 투쟁 이미지’를 노동 운동의 서사 속에서 의미화 할 수밖에 없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스와니: 1989 아세아스와니 원정투쟁의 기록>에 대한 분석에서는 한-일 노동자 연대 투쟁이 노동자 계급 정체성에 의한 연대뿐만이 아니라 민족적이고 젠더적인 이슈들에 의해 추동되고 있음을 영화 속에서 드러내고자 했으며, 이를 통해 여성 노동자들의 투쟁 과정이 필연적으로 젠더적일 수밖에 없음을 나타내고자 하였다. This study analyses three independent documentary films: We Are Not Defeated, We shall overcome, Swany-Recording of Protest Trip of Asia Swany in 1989. These documentaries deal with the issue of women workers in South Korea during the 1970s and 1980s. These films were influenced by 2000s women’s labour movement that happened at the time they were made. They share a common interest in foregrounding the female workers’ 1970s and 1980s struggles that have remained forgotten for too long, and rewriting the history of South Korean female workers’ labour movement. In doing so, they can contribute to subversion of ‘Male Worker Myth’ that has often considered ‘The 1987 Great Labour Struggle’ as an origin of labour movement in South Korea. In order to further investigate this point, the thesis insists on the necessity of productively articulating the issue of women workers with gender and sexuality issues. That is because sexuality and gender issues have not been fully made visible within the issue of female workers. What matters here, thus, is to examine how the above-mentioned documentary films depicts the topic of women workers with their relevance to distinguished but overlapped issues including sexuality and gender, thus laying the groundwork for investing the issue of women workers from a different angle.
집단미술치료가 대학 운동선수의 정서적 요인에 미치는 효과 : 스트레스, 우울감, 자아존중감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대학 운동선수의 각종 스트레스, 우울감 및 자아존중감 등 정서적 요인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1차 임상실험은 집단미술치료가 대학 운동선수의 스트레스 및 우울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대학 운동선수 36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분한 다음, 실험집단에게는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고 통제집단에게는 아무런 처지를 하지 않은 채, 우울감 및 스트레스 척도의 사전·사후 평균점수를 비교하였다. 실험집단에 대하여 2012년 8월 31일부터 2013년 1월 4일까지 주 1회, 회기 당 120분씩 총 18회기에 걸쳐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였으며, 집단미술치료 진행과정은 도입 30분, 집단활동 60분, 소통의 시간 및 마무리는 30분으로 구성되었다. 자료처리는 SPSS 17.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전점수를 공변량으로 하는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여 집단 간 차이의 통계적 유의성을 분석하였다. 한편 2차 임상실험은 집단미술치료가 대학 운동선수의 스트레스, 우울감 그리고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대학 운동선수 68명을 대상으로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한 후 사전검사 및 사후검사 점수를 비교․분석하였다. 2013년 8월 30일부터 동년 12월 16일까지 주 1회, 회기 당 120분씩 총 15회기에 걸쳐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였으며, 자료처리는 SPSS 17.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전·사후의 평균에 대한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하여 각 척도의 집단미술치료 효과를 분석하였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얻은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운동스트레스에 대한 평균점수가 사전보다 사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아져서, 집단미술치료가 운동스트레스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고 해석할 수 있다. 둘째, 지각된 스트레스에 대한 효과의 경우 1차 및 2차 임상실험에서 동일하게 평균점수가 사전보다 사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아져서 집단미술치료가 대학 운동선수의 지각된 스트레스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고 해석할 수 있다. 셋째, 학업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대한 평균점수는 사전검사보다 사후검사에서 약간 증가되었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넷째, ‘빗속의 사람’그림검사에 의한 스트레스 평균점수는 사전보다 사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아졌으므로 집단미술치료가 스트레스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고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스트레스 대처능력에서는 사전보다 사후에 평균점수가 약간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다섯째, 우울감에 대한 효과의 경우 1차 및 2차 임상실험에서 동일하게 평균점수가 사전보다 사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아져서, 집단미술치료가 우울감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고 해석할 수 있다. 여섯째, 자아존중감의 평균점수는 사전보다 사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아졌다. 따라서 집단미술치료가 대학 운동선수의 자아존중감 증진에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집단미술치료가 대학 운동선수의 스트레스, 우울감 등과 같은 부정적 정서요인은 감소시키고 자아존중감과 같은 긍정적 정서요인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일반 대학생들이 많이 겪는 학업이나 생활관련 스트레스 외에 훈련이나 대회에서의 성패에 따라 많은 부정적 정서 증상을 겪게 되는 대학 운동선수에게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는 것은 운동선수 자신의 정신건강의 증진은 물론 경기력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다문화가정의 주거실태 및 부동산 인식에 관한 연구 : 서울 가리봉 재정비촉진지구를 중심으로
김선명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2012 국내석사
세계의 개방화 및 국제교류의 활성화 그리고 정보화로 오늘날 지구촌은 하루가 다르게 변화되어가고 있다. 우리나라도 외국인의 국내 정착이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국제결혼을 통한 다문화가정의 증가로 다문화사회로의 진입이 본격화되어가고 있다. 2012년 2월 출입국관리소 자료에 의한 외국인 수는 136만을 넘어서며 우리나라도 점차 다인종 다문화사회로 변모해 가고 있다. 다문화가정이란 한국인과 외국인 간의 결혼으로 이루어진 가정을 말하며, 1980년대 이후부터 증가하고 있는 외국인 이주는 초기에는 산업 부문 인력난의 해소를 위한 이주노동자의 비중이 컸으나 최근은 결혼을 통한 아시아 여성의 이동이 점차 증가하는 추세다. 이는 남성과 여성의 성비 불균형으로 농어촌 지역과 사회적 취약계층 남성들이 결혼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한국 내부의 문제점에서 비롯되었다. 2008년 3월 21일에는 ⌜다문화 가족지원법⌟을 제정하여 법적 근거를 마련하였고, 2008년 12월 1일에는 보건복지부의 생애 주기별 맞춤형 지원확대대책 발표 등 다문화가족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다각적인 노력을 모색하고 있다. 다문화가족의 지원을 위한 기본계획을 수립하도록 법에 규정되어 있지만, 주거생활과 관련된 내용은 찾아보기 어렵다. 다문화가족의 생활환경 중에서 주거생활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고, 생활이 다른 공간에서 느끼는 이질감으로 생활적응이 어렵고, 생활의 불편을 느낀다면, 다문화가족의 지원이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볼 수 없다. 이방인으로서 느끼는 주거공간에 대한 이질감을 없애주고, 가정생활의 원만함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주거생활공간에 대한 불편사항을 적극 파악하여 개선해 줄 수 있는 지원시스템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가리봉 재정비촉진지역은 다른 지역과 달라 공업지역이 많고 외국에서 온 정착이민이 많아 이들을 위한 대책이나 공업지대 특유의 서민 가정을 위한 주거 대책이 절실히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이 앞으로 급속도로 증가하는 현실에서 선행연구를 검토결과 복지문제와 교육문제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이나 부동산에 접근한 연구가 별로 없었다. 그래서 구로구 가리봉 재정비촉진사업을 중심으로 다문화가정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다문화가정의 주거실태 및 부동산 인식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가리봉 재정비촉진지구 내의 다문화가정의 주거 환경이 매우 열악하다. 이러한 주거 환경은 다문화가정의 안정적 정착에 저해요인이 되고 있기 때문에 정책적인 배려가 필요하다. 다문화가정의 주거실태와 부동산 인식에 관한 연구의 결과를 통한 시사점을 도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재정비촉진사업을 추진함에 다문화가정에 대한 홍보와 교육이 필요하다. 둘째, 재정비촉진사업을 추진함에서 다문화가정에 대한 재입주 및 이주대책 수립이 필요하다. 셋째, 다문화가정은 기존 거주지에 함께 모여 살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해주는 것, 재입주할 수 있도록 저렴한 주거비용 환경을 조성해줄 필요가 있다. 넷째, 다문화가정이 재정비촉진사업 후에 정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다섯째, 재정비촉진사업 후의 사후관리 및 계획 수립이 필요하다. 여섯째, 재정비촉진사업 시 다문화가정에 대한 인적특성을 고려한 계획수립이 필요하다. 그간 재정비촉진사업이 사업의 효율성을 위해서 추진되어온 만큼 앞으로는 늘어나는 다문화가정을 정비계획수립 시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적극적인 검토와 계획수립이 뒤따를 필요가 있다. With the opening of the world, revitalization of international exchange, and informatization, the global community today is changing everyday. In Korea, the settlements of the foreigners are increasing, and especially, with the increase of the multi-cultured family through international marriages, we are really entering the multi-cultured society. The number of foreigners, according to the data of immigration office as of Feb. 2012, reached 1,360,000, and Korea is also gradually changing to multi-race multi-cultured society. Multi-cultured family refers to the family created by the marriage between a Korean and a foreigner, and the moving in of foreigners that began to increase from 1980's, were mostly the moving in of the workers to solve the manpower shortage in the industry in the early stage, but recently, the moving in of Asian women through marriage is in the trend of gradual increase. This was caused by the problem in Korea that, with the unbalanced ratio of men and women, men in socially weaker class such as farming and fishing village are having difficulties of marriage. In Mar. 21, 2008, ⌜Multi-Cultured Family Support Act⌟ was enacted to prepare the legal ground, and multilateral efforts are tri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multi-cultured families such as the announcement of the customized support expansion plan for each life cycle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on Dec. 1, 2008. It is specified in the law to establish the basic plan to support multi-cultured families, but it is hard to find the contents related to residential living. Among the living environment of the multi-cultured families, the proportion of the residential living is high, and if it is difficult to adopt to the living with the sense of the differences in the space with different living, and if they feel inconvenient in living, it cannot be said that the support for multi-cultured family is well carried out. To remove the sense of differences that are felt by the foreigners in the residential space and to maintain the harmony of the family, the supporting system that can actively find and enhance the inconveniences in the residential living space. The Garibong reorganization promotion project needs urgent plans for those who came from overseas and the residential plans for the low income family unique to the industrial region, since the area includes a lot of industrial districts unlike other regions. Therefore, as we see few researches approaching the real estate in prior researches while the multi-cultured families are rapidly growing, this study tried to research the residential status and the perception of the multi-cultured families toward real estate in the region of Guro-gu Garibong reorganization promotion project area to propose the political enhancement that can be practically utilized in the practical business of the reorganization promotion projects in the future.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the multi-cultured families in Garibong reorganization promotion district is very poor. Such residential environment becomes the element hindering the stable settlement of the multi-cultured families, so political considerations are necessary.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on the residential status of the multi-cultured families and their perception toward real estate, and the implications are derived as follows. First, publicity and education for multi-cultured families is necessary in the execution of reorganization promotion projects.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plans for moving in and resettlement of the multi-cultured families in the execution of reorganization promotion projects. Third, it is necessary to create the environment for multi-cultured families to be able to live in the previous residence together and to create environment of low cost residential environment to be able to move in again. Fourth, various support plans shall be sought for the multi-cultured families to be able to settle down after the reorganization promotion project. Fifth, post management and establishment of the plans are necessary after the reorganization promotion project. Sixth,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lan considering the human characteristics of the multi-cultured families during the reorganization promotion project. Since the reorganization promotion projects were carried out for the efficiency of the project, so it is necessary to actively review and establish plan to have the ever increasing multi-cultured families as the issues to be considered during the establishment of reorganization plans in the future.
김선명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1994 국내석사
에른스트는 프로이트의 학설에 영향을 받아 인간내면의 무의식 세계를 조형적으로 표출하고자 정신분석학에 기초를 둔 자동기술법적 제 화법을 다양하게 창안하여 독창적인 작품세계를 구축해 나갔던 초현실주의의 대표적인 화가였다. 에른스트의 예술세계는 초현실주의 운동의 중심축과 같은 역할을 했다. 초현실주의 운동이 처음에는 시인이 중심이된 문학운동에서 출발하였으나 정작 초현실주의 예술세계가 구체적이면서도 강렬하게 살아났던 것은 미술분야에서였다. 그 미술분야의 핵심적인 화가가 바로 에른스트였던 것이다. 그는 인간내면의 무의식 세계를 독특한 주제와 다양한 기법적 효과로 작품화 했으며, 특히 그 성장과정에서 체험한 환각적 체험은 보는것에 대한 보다 폭넓은 환상적 자유를 마음껏 누리게 하여 갖가지 기법을 자연스럽게 도입하게 되었다. 그의 작품세계에는 항시 삶과 환상적 체험이 결부되는 것이 다른 작가와 구별되는 점인데, 환상적 바탕이 되는 체험으로 새와 인간을 혼동하는 감각 세계와의 접촉, 숲속에서의 즐거움과 공포가 뒤섞인 감정과 누이의 죽음을 체험한 허무는 에른스트의 작품속에 큰 비중을 차지했다. 에른스트 작품에서 보이는 환상적 이미지는 그의 출생의 신비와 더불어 성장 과정에서 겪게되는 여러가지 체험들에 의해 일어나는 우연의 법칙아래 새로운 이미지 표현을 추구하고 꼴라류, 프로타쥬, 그라타쥬, 데칼코마니등과 같은 기법을 사용하여 현대 회화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이것은 작품제작에 있어 금기시되어 왔던 화가 자신의 무의도적 계기에 대한 관심을 더욱 깊게 하였다. 뿐만 아니라 관념을 해방시키기 위한 생경한 오브제의 도입과 제시는 사물에 대한 습관적인 관점을 배제하였음과 동시에 사물에 대한 무한한 상상력을 표출하였으며, 사물에 대한 새로운 발견과 창조의 행위까지도 미술개념에 넣어야 한다는 문제점까지 제시하였다. 단순히 묘사해서 그린다는 개념도 자연의 재현적인 의미보다는 비현실적인 이미지의 상상적인 결합에서 오는 새로운 세계의 표현으로 꿈꾸듯이 자유롭게 그린다는 의미로 전환하게 되어 인간의 상상에 자유를 주어야한다는 초현실주의의 선언을 실제적으로 뒷받침하였다 에른스트의 예술이 보여준 그 깊고 다양한 정신과 표현의 세계는 당시에 상당한 충격과 신선한 자극을 주었다. 그러한 신선한 충격과 자극은 에른스트 작품에서 볼 수 있는 현실적 질서감각을 뒤바꾸는 모순적인 상황 조성과 환상적 표현을 통한 신비적 분위기의 환기등으로 이루어졌던 것 임은 물론이다. 에른스트는 시대를 앞서간 진정한 아방가르드 정신의 선구자였던 것이다. 그의 예술세계가 남긴 심오한 정신과 신선한 화법은 아직까지도 많은 작가들에게 끊임없는 창작의 샘이 되어 주고 있는 것이다.
F.J. HAYDN의 Oratorio "Die Scho^pfung"에 관한분석연구 : 합창이 들어있는 곡을 중심으로
김선명 檀國大學校 敎育大學院 1993 국내석사
Die Scho^pfung은 구약성서의 창세기와 Milton의 실락원을 토대로하여 Lidley 가 각색한 후 Swieten이 독일어로 번역한 것을 Franz Joseph Haydn(1732-1809)이 Oratorio로 작곡한 것이다. 이것은 천지창조의 과정을 음악화 한 것으로서 3부로 되어 있으며 제1부는 천치의 창조, 제2부는 동식물의 창조, 제3부는 아담과 이브의 창조를 내용으로 하고 있다. 5명의 독창자, 합창 및 오케스트라의 편성으로 되어 있는데 극적 구성, 내용에 따른 절묘한 선률과 화성, 오케스트라의 적절한 효과 등 빼어난 예술적 가치를 갖고 있는 훌륭한 작품이다. 본 논문은 제1장의 서론에서는 연구의 목적, 연구의 방법 및 한계를 다루었고 제2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으로 Haydn의 Oratorio를 고찰하었으며, 제3장에서는 작품의 작곡경위 및 내용과 구성을 다루었다. 본론에 해당하는 제4장에서는 "Die Scho^pfung"의 합창이 들어있는 곡들을 골라 형식, 리듬, 선율, 화성 등의 음악적 내용들을 연구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형식및 구성은 2부와 3부 형식이 주로 사용되었고, 대위법적인 것이 많으며, Stretto 양식이 많이 사용되었다. 둘째, 화성과 선율은 온음계적 화성과 다양한 전조의 변화로서 2도, 3도 음정이 연결되는 부드러운 선율이 주로 사용 되었다. 셋째, 리듬과 가사는 당김음 등 다양한 리듬니 사용되었고, 반복된 가사 등으로 내용전달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넷째, 관현악이 다양한 화성적 색채로 어우러져 Oratorio가 갖고 있는 장면의 분위기를 충분히 이해할 수 있게 되어 있다. "Die Scho^pfung" is based on the Genesis of the Old Testament and the Milton's Paradise Lost. It was dramatized by Lidley, and translated into German by Swieten and later composed as an Oratorio by Franz Joseph Haydn(1732-1809). It is the musical process of the creation of the universe, and it is made up of three parts. The first part deals with the creation of the universe, the second part is about the creation of all the animals and plants and the third part has the contents of the creating of Adam and Eve. It is composed of five soloists, chorus and orchestra, and it is an excellent masterpiece which has a dramatic formation, exquisite melody and harmony and the appropriate effects of orchestra. The first chapter of this thesis is the preface which introduces the purpose, the method and the limit of the study. The second chapter is mainly about ,the theorical background of Haydn's Oratorio. And the third chapter deals with the process of the composition of this work, and it also treats the contents and the formation of this work. And the fourth chapter is the main subject. It selected some pieces including the chorale of "Die Scho^pfung" and analyzed its musical contents such as form, rhythm, melody and harmony. The conclusions came ou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st chorales consist of two or three parts in formation and structure. And a lot of counterpart elements and stretto style were mainly used. Second, a diatonic harmony and various changes of modulation were combined by two or three degree musical intervals to make soft melody. Third, a variety of rhythms such as syncopation were used and repeated words help to communicate the meaning of this work. Fourth, the orchestra plays the work with harmonic tone so that the audience can fully understand the atmosphere of the scene of oratorio.
김선명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예술가의 창작 활동이란 외부세력으로부터 받은 영향이 예술가의 내면세계와 마주하여 본인만의 언어로서 표출되는 것이다. 예술가의 창작은 자기 자신의 자아를 끊임없이 탐구하고 질문하여 숨 고르기조차 힘든 이 세상 속에서 자아를 스스로 돌아보며 정체성을 찾아가는 길, 그 속에서 내면의 진실과 마주하고 자신을 기록하는 것이다. 그 길은 때로는 혼란을 야기하고 위안보다는 더욱 큰 괴로움을 주기도 하지만 “예술가가 되는 것은 자신을 감수하는 법을 배워 작품에 개성을 싣는 것” 이기에 혼란스러움을 받아들이고 이겨내며 자신만의 목소리를 따라 작품을 창조해 나가야 한다. 본인은 시끄러운 세상 속 혼자만의 시간을 갖는다. 그 시간은 온전한 나만의 세상을 찾을 수 있게 해주고 나만의 방식으로 세상에 존재할 수 있게 해준다. 본인에게 그림은 무엇 하나 자유로이 할 수 없었던‘나’라는 아이에게 온전한 내가 될 수 있는 세계를 만들어주었고 그로 인해 스스로를 알아가는 기회를 주었다. 흰 공간 속 그림이라는 세상에 들어가면 다른 사람의 시선으로부터의 자유로움을 느낄 수 있었고, 행동으로 옮기지 못하는 나의 부끄러운 자학 또는 이룰 수 없는 나의 꿈, 현실에서는 표출할 수 없는 것들을 풀어 낼 수 있었다. 그것은 어디에서도 느낄 수 없는 나만의 카타르시스로 삶에서 무수히 느끼는‘불행한 상태’를 이겨내고 억압의 정신적 해소와 아픔의 치유를 얻을 수 있었다. 이 논문에서 본인은 불행한 상태를 이겨내고자 사용한 내면의 언어로 어떻게 작품이 만들어졌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기록을 남기려 한다.
Basically, there are three kinds of wireless networks: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WLANs),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s), and wireless wide area networks (WWANs). WLANs and WPANs are used for short distance communications and WWANs cover wide areas. This dissertation focuses on improving the performance and provisioning the quality of service (QoS) to the medium access control (MAC) layers for the short-range wireless networks, especially the IEEE 802.11/11e WLANs and the IEEE 802.15.3 high-rate WPANs. The IEEE 802.11 WLAN employs a distributed coordination function (DCF) MAC, which is a contention-based distribution channel access mechanism for stations to share the wireless medium. However, performance of the DCF drops dramatically in terms of throughput, delay, and jitter due to high collision probability as the number of active stations becomes larg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IEEE 802.11 DCF mechanism, we propose a distributed collision resolution (DCR) scheme. Our idea is based on the estimation of the channel contention level, by measuring collision probability observed on the channel at each station. In order to reduce collision probability, the proposed scheme limits the number of stations contending at the same time according to the channel contention level. Performance of the proposed scheme is investigated by numerical analysis and simulation. Our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scheme is very effective in terms of high throughput and low delay and jitter under a wide range of contention levels. The DCF does not differentiate between traffic classes. In this scheme a station might have to wait for an arbitrarily long time to send a frame so that real-time applications such as voice and video may suffer intolerable delay. To support multimedia applications with tight QoS requirements in the IEEE 802.11 DCF MAC, the IEEE 802.11e EDCA (Enhanced distributed channel access) has been drafted. However, at high loads, the EDCA does not guarantee the QoS of multimedia applications even though it provides higher priority since it is a contention-based MAC protocol. We propose a QoS supporting DCR (QDCR) scheme, which enhances the QoS performance for higher priority classes by reducing the collision probability and providing better service differentiation. It is an enhanced version of the DCR scheme. In the WPANs, the successful design of channel time allocation algorithm is a key factor in guaranteeing the various QoS requirements for the stringent real-time constraints of multimedia services. For providing delay guarantees to multimedia traffics such as MPEG streams in the IEEE 802.15.3 high-rate WPANs, we propose two channel time allocation algorithms: dynamic and deterministic. The algorithms exploit the characteristics of MPEG stream. The dynamic algorithm uses mini packets for feedback control in order to deliver dynamic parameters for channel time requests from devices (DEVs) to the piconet coordinator (PNC). In this scheme, the duration of channel time allocated to a DEV for a superframe is changed dynamically depending on the MPEG frame type, traffic load, and delay bound of the frame, etc. In the dynamic scheme, the PNC is able to change their channel time allocation positions within each superframe. If a DEV does not receive a beacon frame, it is unable to use the allocated channel time. To avoid performance degradation due to lost beacons, we propose a deterministic scheme, which exploits the pseudo-static channel time allocation and the periodic nature of MPEG stream. Performance of the proposed schemes is investigated by simulation. Our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schemes are highly effective when it comes to high performance while guaranteeing the delay bound compared to conventional schemes.
고등학교·실업팀 유도선수들의 경쟁상태불안과 스트레스에 대한 연구
본 연구는 유도선수들의 경기와 관련하여 일상생활에서 느끼는 스트레스의 근원 및 경기 시 느끼는 스트레스 요인(운동외적 요인, 운동내적 요인)과 경쟁상태불안(인지적불안, 신체적불안, 상태자신감)이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는데 목적이 있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시 및 경기도 소재 고등학교와 실업팀 남녀 유도선수를 대상으로 조사 분석하였으며, 경쟁상태불안과 스트레스요인의 관계를 규명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성별에 따른 유도 선수들의 경쟁상태불안 요인 중 인지적불안과 신체적불안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상태자신감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남자가 여자보다 상태자신감이 높았다(p<.01).또한, 고교팀 성별에 따른 유도 선수들의 경쟁상태불안 요인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실업팀 성별에 따른 유도 선수들의 경쟁상태불안 요인 중 상태자신감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1), 남자가 여자보다 높은 자신감이 나타났다. 소속에 따른 유도 선수들의 경쟁상태 불안 요인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평균값은 신체적불안을 제외한 나머지 하위요인 인지적불안과 자신감요인은 실업팀이 고교팀보다 높았다. 둘째, 성별에 따른 유도 선수들의 스트레스 요인 중 운동외적요인과 운동내적요인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또한, 고교팀 성별에 따른 유도 선수들의 스트레스 요인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실업팀 성별에 따른 유도 선수들의 스트레스 요인 중 운동외적요인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p<.01), 남자가 여자보다 더 많은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속에 따른 유도 선수들의 스트레스 요인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평균값은 실업팀이 고교팀보다 높았다. 셋째, 유도선수들의 경쟁상태불안과 스트레스 요인과의 관계 검증에서 운동내적요인과 운동외적요인이 정적인 상관관계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신체적불안과 인지적불안요인, 상태자신감과 신체적불안 요인, 운동내적요인과 인지적불안요인, 운동내적요인과 신체적불안요인, 운동외적요인과 인지적불안요인, 운동외적요인과 신체적불안요인, 운동외적요인과 상태자신감요인 모두 정적인 상관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the competitive state anxiety of judo players to their stress in a bid to determine whether there would be any differences in their daily stress, game-related stress(motor-related factors and motor-unrelated factors) and competitive state anxiety(cognitive anxiety, physical anxiety and state confidenc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high school judo players and business judo team play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ho included both boys and girl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competitive state anxiety by gender, there were no significant gender gaps in cognitive anxiety and physical anxiety, and a significant gender gap was found only in state confidence. But the male players excelled the female players in state confidence(p<.01). In the case of the competitive state anxiety of the high school players by gender, gender mad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o their competitive state anxiety. In regard to the competitive state anxiety of the business team players by gender, there was a significant gender gap just in state confidence(p<.01), and the male players were more confident than the females. The institutions to which they belonged mad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o their competitive state anxiety. But the collective averages of the business teams in cognitive anxiety and confidence, which were two subfactors of competitive state anxiety,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high school teams, whereas no gaps were found in physical anxiety. Second, concerning the stress of the judo players by gender, there were no significant gaps according to gender in either motor-related or motor-unrelated factors. Among the high school players, gender mad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o their stress. In the case of the business team players, significant gaps were found only in motor- unrelated factors(p<.01). The male players suffered more stress than the females. The institutions to which the judo players belonged mad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to their stress, but the collective averages of the business team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high school teams. Third, a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etitive state anxiety and stress of the judo players, motor-related and motor-unrelated factors had the closest positive correlation to stress, an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hysical anxiety and cognitive anxiety, between state confidence and physical anxiety, between motor-related and motor-unrelated factors, between motor-related factors and physical anxiety, between motor-unrelated factors and cognitive anxiety, between motor-unrelated factors and physical anxiety and between motor- unrelated factors and state confid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