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가브리엘 포레의 「다정한 노래 op.61」 : 전체 9곡의 음악적 특징 및 연관성을 중심으로

        김상화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는 음악사에 있어서 전통적인 조성이 붕괴되어가고, 그에 따른 문제점들을 해결해가면서 새로운 시도들이 나타나는 근대음악의 시대이다. 이 시기의 프랑스 작곡가인 포레(Gabriel Urbain Faure' 1845-1924)는 낭만주의 음악과 근대음악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 작곡가이다. 그는 전통을 존중하면서도 조성이나 형식에 있어서 좀더 자유로와지고자 노력하였는데, 그러한 그의 작품경향은 동시대 작곡가이며 인상주의 음악의 대표인 드뷔시(Claude Debussy 1862-1918)나 라벨(Maurice Ravel 1875-1937)에게도 많은 영향을 끼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포레의 가곡작품 중 대표작으로 꼽히고 있는 「다정한 노래」의 분석연구를 통하여 이 곡을 연주하는 이들에게 포레의 음악어법과 프랑스 가곡의 이해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먼저 프랑스 예술가곡의 역사와 음악적 특성을 살펴본 후, 포레의 생애와 작품세계에 대해 알아본다. 「다정한 노래」는 포레의 작품시기 중 제2기에 속하는 것으로 프랑스의 상징주의 시인 베를레느(Paul Verlaine 1844-1896)의 시에 곡을 붙인 것이며 전체 9곡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연가곡의 작품분석에서는 시 · 선율 · 화성 · 형식 · 리듬 · 구성 · 반주성부의 음형을 중심으로 포레의 음악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분석의 결과, 「다정한 노래」 는 아홉 개의 곡이 진행되는 동안 다섯 개의 주제를 여러 곡에 반복 · 변형하여 사용함으로써 전 곡이 음악적 통일성과 연관성을 맺고 있다. 또한 각 곡의 진행은 시의 내용에 맞춰 묘사적으로 작곡되었다. 전체적으로 형식구성이나 화성 · 대위법 · 피아노 음형 · 성악성부의 선율 등이 아홉 개의 시들이 가지고 있는 온화하고 사랑스러운 내용, 내면적인 갈등과 환희 등을 잘 표현하고 있다. 또한 포레는 이 연가곡에 5음음계와 교회선법을 사용하여 고전 · 낭만주의 시대의 장 · 단조의 체계를 탈피하여 인상주의적 시도를 보인다. 그러므로 포레의 「다정한 노래」 는 독일 낭만주의 예술가곡에서 보여지는 음악적 특징과 프랑스적 전통 및 세기전환기의 인상주의적 기법이 사용된 작품으로 한 시대를 마감하면서 동시에 20세기의 새로운 출발점에 놓인 곡이라 할 수 있다. In musical history, the end of 19th C through the early years of 20th C is the period when modern music was starting while the ways of traditional composition was collapsing and the problems resulted from the traditional styles were being settled with new trials. Gabriel Urbain Faure (1845-1924), a French composer in that era, played an important role in connecting the romantic music and the modern music. He tried to be more free in composition and forms of music while respecting traditions of the previous time as well. His trend of work had much impact on two contemporary composers works; Claude Debussy (1862-1918) and Maurice Ravel (1875-1937), who were the representatives of impressionism. This thesis was intended to help the performers of 「La Bonne Chanson」, his representative work, understand more Fuares musical language and French art song through analytical study on La Bonne Chanson. This study was divided into two parts. French art songs history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usic genre were reviewed in the first part of the study and Faures life and works were followed. 「La Bonne Chanson」, which is belonged to the second stage out of his four chronological style periods and consisted of nine pieces, is the song written by virtue of the selection and arrangement of Paul Verlaines (1844-1896) poem to form a story. The analysis of this song cycles was made in terms of Faures musical characteristics focusing on the poetry, melody, harmony, form, rhythm, composition, and the melody form of piano part in 「La Bonne Chanson」. The result of analysis of 「La Bonne Chanson」 in this study shows that it is the work well-unified with musical connections by repeating and transforming five themes while all pieces are played. In addition, all pieces were written with descriptive skills representing the content of the poetry well. On a whole, 「La Bonne Chanson」 reflects the mild and charming story, inner confliction, and joy told in the nine poetries well through the form organization, harmony, counterpoint, piano figure, the melody of part of vocal music etc of the song cycles. Besides Faure made the impressionistic attempts breaking from the traditional system of major and minor key of the traditional romantic era by adding five tone scales and church modes to this song cycles. Therefore, Faures 「La Bonne Chanson」 can be said the transitional work in which the impressionistic techniques were attempted at the starting point of 20 th century not only adopting the goals and techniques of German romantic music but also keeping French musical tradition alive at a time.

      • 체위변화 운동과 유산소성 운동 프로그램이 중년여성의 혈압 및 총경동맥 혈류변인에 미치는 영향

        김상화 대구대학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In order to study on a 12 week research on how regularly taken posture change exercises along with aerobic exercises influences on blood pressure and blood flow velocity of common carotid artery, 20 persons of 30-40 aged women who have been attending a fitness club in city P over 1 year have been divided into the following 2 groups : 1)10 persons who have been training hand-standings (as posture exercise) and aerobic exercise at the same time VS 2)10 persons who have been just taking aerobic exercise. Those who were asked to carry out posture change exercise were organized in groups of 3.and each person was required to do hand-standing for 3 minutes using secondary equipments, and then allowed to take a 9 minute recess - this whole process was repeated 3 times. The intensity of the aerobic exercise was set as 60~80% HRmax. Analyzing the Blood Pressure, Blood Flow Velocity of common carotid artery (maximum blood velocity, minimum blood velocity, mean blood velocity, resistive index, pulse index, heart rate) of both groups when they a) were under stable condition before and after taking exercise / b) werein the course of taking isometric exercise (after 30 seconds have passed, after 1min + 30sec have passed, after 2min &+ 30sec have passed) / c) have finished exercise and 30 seconds have passed, the following results were acquired : 1. The blood pressure variation of the group taking both posture change exercise andaerobic exercise remarkably decreased compared to the group just taking aerobic exercise under stable condition. 2. The blood pressure variation of the group taking both posture change exercise and aerobic exercise remarkably decreased compared to the group just taking aerobic exercise when they were in the course of taking isometric exercise (after 30 seconds have passed, after 1min + 30sec have passed, after 2min &+ 30sec have passed). 3. The blood pressure variation of the group taking both posture change exercise and aerobic remarkably decreased compared to the group just taking aerobic exercise when 30 seconds have passed after finishing exercise. 4. After finishing the process of this 12 week program, the maximum blood velocity, minimum blood velocity, mean blood velocity of the right common carotid artery of both groups increased a) under stable condition / b) in the course of taking isometric exercise (after 30 seconds have passed, after 1min + 30sec have passed, after 2min &+ 30sec have passed)/ c) when 30 seconds have passed after finishing exercise before starting this 12 week program. 5. The resistive index of the right common carotid artery of the group taking both posture change exercise and aerobic exercise remarkably decreased compared to the group just taking aerobic exercise under stable condition. 6. The pulse index of the right common carotid artery of the group taking both posture change exercise and aerobic exercise remarkably decreased compared to the group just taking aerobic exercise under stable condition. 7. The pulse index of the right common carotid artery of both groups remarkably decreased when 30 seconds have passed after finishing exercise compared to the situation before starting exercise. 8. In conclusion, we can say that taking posture change exercise and aerobic exercise side by side leads to the increase of the maximum blood velocity, minimum blood velocity, mean blood velocity of the right common carotid artery, and at the same time leads to the decrease of resistive index, pulse index, heart rate, and blood pressure which finally improves the function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of the middle-aged women.

      • 대학수학능력시험 외국어 영역 지문과 고등학교 영어교과서 본문의 독해 난이도 비교

        김상화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논문은 우리나라 영어교육의 양대 축인 대학수학능력시험 외국어(영어)영역의 지문과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의 본문 내용의 독해 난이도를 문장단위에서 구문구조 분석이라는 방법으로 하여 양 텍스트의 독해 난이도의 차이를 관찰, 해석함을 목적으로 한다. 텍스트의 독해에 필수적이며 독해를 어렵게 한다고 연구된 구문들을 난이도 판단기준 항목으로 하였으며 이러한 구문을 포함하는 문장의 출현 빈도 (frequency)가 높을수록 난이도가 상승한다고 보아, 각 항목에 해당하는 문장의 출현 빈도를 통계 처리하여 난이도를 객관적으로 수량화했다. 독해는 독자의 스키마를 비롯한 여러 가지 과정과 지식이 관련된 복잡한 과정이지만 가장 기본적이고 필수적인 것은 기본 구문에 대한 이해이므로 대용어, 문장 연결사, 논리적 연결어, 수동태, 관계대명사, 부정사, 분사 구문, 사역동사 구문, 문장요소 이동, 강조 구문, 부정문, 명사화, 병치, 불연속, 후치수식(총 15개 항목)을 난이도 판단 항목으로 추출하였다. 이 항목을 텍스트에 적용하여 통계 처리한 결과, 15개 항목 전반에 걸쳐 수능시험과 교과서의 독해 난이도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이 비슷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 난이도 판단 기준 항목이 영문 독해의 기본적인 구문일 경우, 혹은 텍스트의 결속장치에 관한 것일 경우 혹은 출현 빈도가 낮은 고급 구문일 경우에도 수능시험과 교과서의 독해 난이도에는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수능시험 지문의 독해 난이도는 그 구문 구조의 측면에서 볼 때, 고등학교 교육 과정과 이반되지 않는 적절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지문의 독해 난이도를 적절히 유지하려는 노력들도 성공을 거두고 있다고 평가 내린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시사점으로 교과서를 기본으로 한 구문 교육의 충실화, 실제 자료를 중심으로 광범위한 읽기 자료의 제공, 학생 중심의 읽기 수업 진행, 읽기 전략의 학습 등을 수업 변화 방안으로 제언한다. This study serves to observe and interprete the feature of readability of in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section of KSAT and English textbooks of Korean high School, by comparing the two texts in sentence by sentence level in terms of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the English structure. The first step is to make a criteria list of English structures which are considered basic and essential in understanding texts and make reading difficult. The degree of difficulty is quantified by statistic processing of frequency of the sentences comprising the structures listed in each item of the list. If the percentage of KSAT is higher than that of textbook in one item, that means that text of KSAT is more difficult than the textbook in that item. The 15 items of the list are proforms, sentence connectives, logical connecters, passive construction, relatives, infinitives, participle construction, causative construction, transposed elements, anticipatory "it" construction, negation, nominalization, apposition, discontinuity, and post modifiers. Applying the criteria to the texts, it is found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levels of readability of KSAT and the textbooks. No significant difference is found between the levels of readability whether the criteria relates basic structure of 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or cohesive devices, or high level structures of low frequency. In conclusion, the authority succeeded in controlling the readability level of KSAT in harmony with Korean high school education of English and its various efforts to harmonize with the target level have been successful. In this context, I suggest that the English teachers should have balanced focus on English structure in reading classes; provide extensive authentic reading materials for students; have student-centered reading classes; have speed reading training; and give strategy based instructions.

      • 초등학교 수업에서 수학적 의사소통의 목표 설정 및 지도의 실제

        김상화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pplication and recognition of mathematical communication in elementary classes through questionnaire surveys with teachers and students in order to determine the importance and efficacy of various methods of establishing mathematical communication, to set appropriate targets for school-year levels and types of mathematical communication, and to provide suggestions for desirable roles for teachers through selected case studies. The following research objects outlin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What is the status and recognition of mathematical communication in elementary classes? B. What are suitable targets in mathematical communication for low, middle and high grade levels of elementary school? C. How are mathematical communication classes by types being realized? First, I classify mathematical communication into four types as Discourse, Representation, Operation and Complex and refer to them collectively as the 'D.R.O.C pattern'. A questionnaire survey with teachers and student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its status and recognition. I have listed achievement factors based on the D.R.O.C pattern hearing opinions from specialists to set a target, then set a final target after a 2nd survey with specialists and teachers. Considering achievement factors for each type, I have implemented a case study of classes with 2nd, 4th, and 6th-year elementary school students (one class per typ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as to the results of the status of mathematical communication and its recognition, I have found that student-centered instruction, an improvement in teachers’ recognition of the efficiency of mathematical communication classes, and improved reference materials and training are urgently required for effective class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lasses in which teachers were responsible for thought and ones in which the students were responsible for thought, and there were also many cases in which teachers who were teaching lower grade classes which had already applied the revised curriculum thought that the mathematical communication class was not so effective. Second, I have set targets for mathematical communication in elementary schools suitable to its status and students’ levels in our country. In NCTM (2000), standards of communication were presented only from kindergarten to 12th grade students, and, for four separate grade bands(prekindergarten through grade 2, grades 3-5, grades 6-8, grades 9-12), they presented characteristics of the same age group through analysis of classes where communication was active and the stated roles of teachers were suitable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chool year. In this study, in order to make the findings accessible to teachers in the field, I have classified types into Discourse, Representation, Operation and Complex (D.R.O.C Pattern) according to method of delivery, and presented achievement factors in detail for low, middle and high grades within each type. Though it may be premature to set firm targets and achievement factors for each school year group, we hope to raise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m in the field by presenting targets and achievement factors in detail for mathematical communication. Third, after planning an effective class and analyzing the successes and failures of what the teachers have applied in the field, I have provided materials with which teachers in the field can construct real, effective classes. More specifically, in the class based on Discourse, since it is more likely to be a teacher's explanatory class, it was found to be necessary to plan and lead a postscript intentionally to derive student's ideas. In the class based on Representation, after the Representation activities, students need to be provided with time to articulate their ideas so that they can find the mathematical meaning of the representations and have an opportunity for reflective thinking. It is also necessary to conduct the class flexibly by combining the mathematics class because there is likely to be a shortage of time. In the class based on Operation, since it is more likely to be full of activity, students must be provided with time to articulate their ideas so that they can understand the mathematical concepts. It was also found to be important to plan well before the class in order to deliver contents as clearly and simply as possible. In the class based on Complex, since more than two types are important, it is necessary to balance time between the types so as not to be biased to one item. And in classes utilizing multimedia, in addition to the visual component, a discourse process was found to be important to enable students to understand the mathematical contents clearly. It may be difficult to conduct a desirable class to raise the ability of mathematical communication in real mathematics classes just by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mathematical communication. It is most urgent for teachers in the fiel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mathematical communication. However, it is also necessary to acquire information on how to teach it to achieve what kind of target. In that meaning, the target of a mathematical communication set and presentation of classes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suggestions and reference materials for teacher's instruction to raise the ability of a mathematical communication which is required in the revision curriculum. 본 연구는 초등학교 수학수업에서의 수학적 의사소통의 중요성과 그 방안을 살펴보고자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수학적 의사소통 활용 실태와 인식 정도를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학적 의사소통 유형별로 학년급에 따른 수준을 고려하여 목표를 설정하는 것과 수업 사례를 통해 바람직한 수업을 위한 교사의 역할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가. 초등학교 수업에서 수학적 의사소통에 대한 실태와 인식은 어떠한가? 1) 교사들의 수학적 의사소통 활용 실태와 인식은 어떠한가? 2) 학생들의 수학적 의사소통 활용 실태와 인식은 어떠한가? 나. 초등학교 저·중·고학년 수준에 맞는 수학적 의사소통의 목표는 무엇인가? 1) 수학교육전문가들이 생각하는 수학적 의사소통의 목표는 무엇인가? 2) 교사가 생각하는 수학적 의사소통의 목표는 무엇인가? 다. 수학적 의사소통 유형에 따른 수업은 각각 어떻게 구현되는가? 1) 담화(Discourse) 중심 수업은 어떻게 구현되는가? 2) 표현(Representation) 중심 수업은 어떻게 구현되는가? 3) 조작(Operation) 중심 수업은 어떻게 구현되는가? 4) 복합(Complex) 중심 수업은 어떻게 구현되는가? 각 연구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 방법으로 첫째, 수학적 의사소통 활용 실태와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서 지역별 학교 수 비율에 맞추어 31개 학교를 무선 표집하고 표집된 학교의 교사와 2·4·6학년 한 학급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법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둘째, 수학적 의사소통 목표 설정을 위해서 초등수학교육 전문가에게 1차 개방형 설문지로 유형(담화·표현·조작·복합 중심)별 성취요소들을 수렴하고 전문가와 교사를 대상으로 2차 체크리스트 및 기술형 설문지를 실시하여 적절성을 검토하여 수정·보완한 최종 목표를 설정하였다. 셋째, 수학적 의사소통 구현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2·4·6학년 각각 유형별로 1차시씩 총 12차시의 수업안을 구안하고 수업자를 선정하여 수업의도와 수업안대로 수업을 실시하였으며, 수업 사례에서 각 유형 및 학년급별 목표에 대한 성취수준 및 Advanced Flanders 분석법을 통한 언어 상호작용 분석으로 바람직한 교사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수학적 의사소통 활용 실태와 인식 조사 결과 학생 중심 수업 및 수학적 의사소통 수업의 효율성에 대한 교사의 인식 개선 및 효과적인 수업 방안에 대한 연수 및 참고 자료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교사와 학생이 생각하는 수업형태에 큰 차이가 드러났고, 이미 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되고 있는 저학년을 맡은 교사들이 수학적 의사소통 관련 수업을 하면서도 효율적이지 않다고 여기는 경우가 많았다. 둘째, 우리나라 실태와 학생들의 수준을 고려하여 초등학교에서의 수학적 의사소통 목표를 설정하였다. NCTM(2000)에서는 유아·유치원~12학년에 대한 의사소통 규준만 제시하고 학년군별로는 의사소통이 활발한 수업에서 나타난 에피소드를 통해 그 또래 학생들의 특성을 제시하고 학년군 특성에 맞게 교사의 역할을 구분하여 진술하고 있는 반면, 본 연구에서는 현장교사들에게 쉽게 접근하기 위해 전달방식에 따라 담화·표현·조작·복합 유형으로 구분하였으며 각 유형별 저·중·고학년 성취요소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학년군별로 의사소통에 대한 성취요소와 목표를 설정하는 것은 조심스럽지만 학생들의 수학적 의사소통에 대해 목표와 성취 요소를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현장 적용 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셋째, 수학적 의사소통 유형에 따른 효과적인 수업안을 구안하여 현장 교사가 적용해 본 수업 사례를 통해 성공적인 측면과 그렇지 못한 부분을 분석하여 현장 교사들에게 실질적인 방안을 모색할 자료를 제공하였다. 구체적으로 담화 중심 수업에서는 다른 유형보다도 오히려 교사의 설명식 수업이 될 가능성이 크므로, 학생의 사고를 끌어내려는 발문을 의도적으로 계획하여 유도할 필요성이 드러났다. 표현 중심 수업에서는 표현활동 후에 학생들의 생각을 발표할 시간을 제공하여 표현과 관련된 수학적 의미를 찾고 반성적 사고를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시간이 부족할 경우가 많으므로 수학시간을 통합하거나 융통성 있게 운영할 필요성이 부각되었다. 조작 중심 수업에서는 활동이 주가 되기 때문에 활동으로 끝나는 수업이 되지 않도록 활동 후에 학생들이 수학적인 의미를 연결할 수 있도록 발표할 시간을 주고, 활동을 안내할 때 최대한 간단하면서도 명확하게 할 수 있도록 사전 계획의 중요성이 드러났다. 복합 중심 수업에서는 2가지 이상의 유형이 모두 중요하므로 시간도 어느 쪽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같은 비중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멀티미디어 활용 수업의 경우 시각적 활용에 그치지 않고 학생들이 수학적인 내용을 명확히 이해할 수 있는 담화 과정이 중요하다는 점이 드러났다. 수학적 의사소통의 중요성만 강조한다고 실제 수학교실에서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 신장을 위한 바람직한 수업이 이루어지기는 어렵다. 현장 교사들이 중요성을 인식하는 것이 가장 먼저 이루어져야할 일이지만 지금은 중요성 못지않게 구체적으로 어떤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어떻게 수학적 의사소통을 지도할 것인지에 대한 정보가 필요하다. 그런 의미에서 본 연구에서 설정한 수학적 의사소통의 목표와 수업사례 제시는 개정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 신장을 위한 지도를 위한 시사점과 참고자료의 역할을 하리라 기대된다.

      • Museum identity 확립을 위한 Visual coordination : 해외 Museum graphics 사례를 중심으로

        김상화 淑明女子大學校 1995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미지의 시대라고도 불리워지는 오늘날 현대 미술관들은 분명한 문화적 정체성 정립과 함께 그 특징과 성격을 독창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비주얼 아이덴티티 확립이 필요하다. 이에따라 세계의 미술관들은 경영전략으로서의 미술관 CI(Coorporate Identity)를 도입 활용하고 있다. 이는 정보화 시대에 대응하는 정보가치를 창조하고, 소비자의 미적, 정신적, 문화적인 욕구를 충족시키며, 미술관의 사회적 존재의의를 확립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의 CI는 첫째 ‘정보화 시대에 대응한 미술관의 존립기반을 확립하는 것’이며, 나아가 ‘미술관의 미래전략을 구축하고 수행해 가는 현대의 경영전략’으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CI에 있어서 디자인은 단순히 조형적인 아름다움을 넘어서 ‘미술관 비주얼 커뮤니케이션’이라는 무형의 정보가치를 개발하는 것이다. 미술관의 아이덴티티를 가장 집약적으로 시각화하여 표현한 것이, 미술관의 설립목적과 특색을 고려해 상징화시킨 심볼과 로고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오래전부터 해외의 현대 미술관들은 자신의 성격에 맞는 심볼과 로고를 이용하여, 효과적인 비주얼 코디네이션을 해오고 있다. 이에 반하여 국내의 경우 국립 현대미술관, 예술의 전당, 국립중앙박물관을 제외하고는 유수의 미술관조차 기본 디자인시스템도 갖추지 못한 실정이다. 또한, 기존의 미술관이나 문화단체에서 나오고 있는 디자인 결과물들은 일관성없이 시행되고 있으며 성의없는 제작상태를 보이고 있다. 현대미술관이 자신의 이미지를 집약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기초자료조차 없는 현 상황으로서는 급변하는 시대와 대중의 요구에 부응할 수 없다. 대표적인 문화기관으로서의 역할수행이 불가능 할 것이며, 한국미술과 문화의 국제화 또한 요원할 것이다. 이에따라, 본 논문은 ‘미술관 비주얼 아이덴티티 확립’이 미술관에 있어서 장기적이고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서 미술관 정체성확립을 돕고, 알릴 수 있는 가장 강력한 수단임을 고찰하고, 각 미술관의 특성과 커뮤니케이션의 유형에 따른 전문적인 디자인 프로그램 도입과 지속적이고 올바른 활용과 관리에 의한 비주얼 아이덴티티(Visual Identity)확립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현대사회가 요구하는 새로운 미술관의 개념정리와 함께 Visual Identity정립에 참고가 될 수 있는 국내, 국외 뮤지엄 그래픽 사례를 제시하였다. 아울러 미술관 디자이너가 갖추어야 할 소양과 능력을 고찰하고, 미술관 Visual Identity정립을 위한 미술관의 자체적인 노력과 올바른 이해 및 ‘문화와 예술이 테마가 되는 미술관의 디자인작업’에 대한 디자인계의 보다 적극적인 관심을 제안하는 바이다. It's said that these days are the age of image. The modern museum requires the establishment of Visual Identity, which can convey it's characteristic and particularity. So the museums in the world adopt and make use of the Museum Cooperate Identity as the administration strategy. This is for the creation of the value of information, filling up of the consumer's art, spiritual, and cultural desire, and the definition of the museum's existence. And for the Cooperate Identity, the design not only creates the formative beauty, but develops the Museum Visual Communication, invisible value. The most successful visual expression is symbol and logo, which are symbolized as the museum's foundation purpose and it's particularity. So the museums in the world have done efficiently the Visual Coordination, making use of it's symbol an logo. But the museums in Korea, except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rt, the Arts Center, and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don't have the basic design system. And they have made the non-coherent design works. So it's impossible to fulfil their role as representative institution and Korea's globalization of arts. This thesis claims to define that the definition of Museum Visual Identity is the most efficient method of communication, and that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e information of special design program and the continuous management of Visual Identity. This thesis suggests the new idea of modern museum and the Museum Graphics in the world which is for the reference of Visual Identity. We study the competence and culture of museum designer. This thesis suggests also that we must have the continuous interest in the museum design which is theme of culture and art.

      • 수영 동호인들의 생활체육 참여에 따른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운동지속

        김상화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수영 동호인들의 생활체육 참여에 따른 일반적인 특성에 따라 신체적 자기효능감과 운동지속에 어떠한 영향이 미치는지 규명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