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육정보시스템에서의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보안

        김보선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8639

        국가 경쟁력 향상의 수단으로 전자정부 사업이 본격화되고 국가 차원의 관리를 위해 집적된 개인 정보 규모가 대형화되면서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증대하였다. 그동안 개인 정보에 대한 유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여러 단계의 보안 시스템을 운영할 뿐만 아니라 법, 제도의 개선 및 개인정보보호정책의 실현 등 정부 수준의 다양한 노력이 전개되어왔다. 그러나 보안 사고 중 80%가 내부 사용자에 의한 것이고, 전체 중 60%를 미리 탐지하지 못하였다는 해외 사례 통계를 볼 때 현실적으로 이를 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의 제공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보안 방법으로 개인 정보에 대한 접근을 제어하기 위한 역할기반접근제어 확장 모델과 개인 정보 자체를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 데이터베이스 암호화 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접근 제어 방법으로는 사용자의 역할에 따라 사용자가 접근하는 자원을 제한하는 RBAC(Role-based Access Control)가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는 개인 정보 객체의 자기정보결정권에 대한 개념을 반영하고 있지 않으며 개인 정보 접근에 대한 관리 감독 기능이 제공되지 않으므로 개인 정보를 보호하는 기능이라 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 개인정보보호를 위해 제시한 RBAC 확장 모델에서는 관리자가 정보 주체의 입장에서 정보 접근 및 사용을 통제할 수 있도록 자료권한과 자료권한 배정이라는 구성 요소를 추가한다. 또한 정보 객체를 비개인 정보와 개인 정보로 구별하여 관리한다. 개인 정보 자체를 보호하는 수단으로 제안한 데이터베이스 암호화 시스템 구축에 관하여는 개인 정보를 다룰 수 있는 권한을 가진 업무 담당자만 개인 정보를 암복호화할 수 있도록 암복호화 키 생성 및 공유 방안에 대해 논의한다.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암호화 시스템 설계 방안으로 데이터 암호화 키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관리하고 암호화 키의 보안을 위해 마스터 키와 기관 인증서를 사용하여 암호화 키를 암호화한 상태로 저장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개인 정보 관리 권한이 있는 담당자가 키를 획득할 수 있고 개인 정보를 복호화 할 수 있도록 역할기반접근제어 확장 시스템과 인증키를 사용하여 시스템 구조를 설계함으로써 내부 관리자 및 외부 해커로부터 개인 정보의 암복호화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한다. 이 외에 데이터베이스 암호화 시스템을 설계하는데 있어서 반드시 고려해야 할 점은 빈번히 발생하는 암복호화 과정에 의하여 성능이 저하되는가의 여부이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한 데이터베이스 암호화 시스템을 대상으로 암호문 및 평문에 대한 성능 비교 실험을 통해 개인 정보 암호화가 시스템 부하에 비교적 영향이 적음을 제시한다. Korea government chose its E-government based on rapid and advanced information technology as a means to achieve national competitiveness. E-government project resulted in huge accumulation of database which contains privacy at the national level. Huge amount of collecting and storing personal information have caused concerns about possibility of infringement on privacy and social requirements for preservation of privacy. In the mean time, E-government has maintained the multi-level security system and made effective measures through amendment of laws and regulations as well as activation of privacy protection policy. On the back of a statistics conducted overseas, where 80% of incidents of security violations were made by inside users, and 60% of the total was not detected in advance, the security management system was to be developed inevitably by necessity. In this paper, users' access control to privacy and data encryption over sensitive personal information are proposed and discussed as a way to secure database security. A mechanism to access control which are widely used nowadays is RBAC (Role-based Access Control) model. RBAC model was proposed and standardized by NIST (National Insti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in the late 1990's. But this does not contain the concept of information flow control to the self nor supervise the access of personal inform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d extended RBAC model for privacy preservation. The significance of extended RBAC model is that allowance of access to privacy stored in a system can be implemented as two components called data right and assignment of data right. Second proposed mechanism for privacy preservation is the database level of personal data encryption. We discussed about the various ways of key management and the secure access ways to encryption key and decryption key by the person who is in charge of managing personal data. We adopted a data encryption key stored in a database system and extended RBAC model in designing the architecture of database encryption system for privacy preservation. Maintaining security of data encryption is done through storing a data encryption key as an encrypted form using a master key. Master key is also stored as encrypted form using institutional certificate key. In the worse case of leakage of data encryption key, master key, and institutional certificate key, malicious users can not access the encrypted personal data without authentication key which is assigned to a user who successfully passes log-in process. Because frequent encryption and decryption process cause the performance degradations, one of the important issues in designing database encryption system is to improve the performance and efficiency. In this paper we demonstrated the personal information encryption does not significantly impact the performance degradation through estimating response time and throughput between the plain text and encrypted data.

      • 병리적 자기애와 정서인식에 대한 상위인지의 관계

        김보선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39

        Metacognitive impairment is considered to be a hallmark crucial to explaining in interpersonal difficulties of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NPD). Current studies suggests important things that NPD lack accurate metacognitions about emotional states but empirical evidence is insufficien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differential metacognition of emotion recognition in young adults with pathological narcissism as compared to control subjects by using relative and global measures, and to investigate relations among relative meta-accuracy and performance. A pathological narcissism group (n=36) and control group (n=36) was selected among 495 undergraduate students based on scores on the Pathological Narcissism Inventory(PNI) and Symptom Check List 90-Revision(SCL-90-R). Relative meta-accuracy is calculated at the gamma correlation, means of within participant correlations between confidence ratings and correct vs. incorrect responses on the emotion recognition task. And global meta-accuracy is calculated at the Pearson correlation between questionnaire(Interpersonal Reactivity Index, Mind-Reading Belief Scale) response and proportion correct on the emotion recognition task.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the pathological narcissism group showed reduced metacognition of emotion recognition in the relative meta-accuracy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indicated in the global meta-accuracy. In the retrospective condition, the control group rose the relative meta-accuracy compared to the prospective condition, but the pathological narcissism group does not indicate the difference of the relative meta-accuracy according to the condition.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the pathological narcissism group showed low mean proportion correct on the Emotional Expression Multimorph Task, while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indicated in confidence judgments, and in the high level condition, the mean confidence were high compare with the control group. In the meanwhile, people who were better at the emotion recognition task also tended to be more accurate in their relative metacognitive assessments. As a result of the study, individuals with pathological narcissism revealed the high self-confidence even when the emotional awareness was difficult and the prudence was lacking when the test was accompanied. This kind of traits seems to have an effect on the damage to their metacognitive impairment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long with th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상위인지 손상은 자기애성 성격장애의 전형적인 특징이자 대인관계의 상호작용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다른 사람의 정서인식에 대한 상위인지의 손상은 자기애성 성격장애 병리에서 중요한 부분인 것으로 제기되어 왔으나 이러한 명제에 대한 실증적인 증거가 부족했다. 본 연구는 1) 병리적 자기애 집단의 정서인식에 대한 상위인지를 통제집단과 비교하기 위해 relative 상위인지 측정법과 global 상위인지 측정법을 이용하여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고, 2) 집단 간 정서인식에 대한 relative 상위인지와 정서인식 정확도의 관련성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병리적 자기애 집단(n=36)과 통제집단(n=36)을 대상으로, 먼저 정서인식에 대한 relative 상위인지와 global 상위인지를 평가하였다. relative 상위인지는 얼굴 표정 정서인식 과제에서 확신판단점수와 정·오반응 사이의 감마 상관 계수이며, global 상위인지는 정서인식에 대한 자기보고식 설문(대인관계 반응지수, 마음-읽기 신념 척도)과 얼굴 표정 정서인식 과제 정반응율의 관련성이다. 다음으로 정서인식에 대한 relative 상위인지와 얼굴표정 정서인식 과제 정반응율의 관련성을 보았다. 연구결과, global 측정에서는 상위인지의 집단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relative 측정에서는 병리적 자기애 집단이 정상 통제집단과 비교하여 정서인식에 대한 상위인지 능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통제집단은 회상판단조건에서 예상판단조건에 비해 relative 상위인지가 높아졌으나, 병리적 자기애 집단은 판단조건에 따른 relative 상위인지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얼굴표정 정서인식 과제 정반응율은 병리적 자기애 집단이 낮게 나타났으나, 판단점수에서는 통제집단과 차이가 나지 않았으며, 난이도 상 조건에서는 통제집단보다 높게 확신 판단을 하였다. 마지막으로 정서인식에 대한 relative 상위인지와 얼굴표정 정서인식 과제의 정반응율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global 상위인지 측정법 보다 relative 상위인지 측정법이 정서인식에 대한 상위인지 능력을 측정하기에는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또한 병리적 자기애 집단이 얼굴표정 정서인식 과제 정반응율이 상대적으로 낮으면서, 판단점수에서는 차이가 나지 않고 난이도 상에서 과확신 하는 부분으로 인해 낮은 relative 상위인지를 나타내었음을 시사한다. 그리고 회상판단조건에서 수행의 동반성 또한 relative 상위인지의 차이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정서인식과 정서인식에 대한 relative 상위인지의 관련성은 병리적 자기애의 공감능력 결핍에 대한 치료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 완벽주의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김보선 아주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완벽주의와 자기자비 및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를 밝히고 완벽주의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개인기준·평가염려 완벽주의, 자기자비와 삶의 만족도 간의 상관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개인기준·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삶의 만족도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가 매개 역할을 하는가? 이를 위해, 서울, 경기 및 기타 지역의 20∼30대 성인 남녀 300명을 대상으로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FMPS), 한국판 자기자비 척도, 삶의 만족도 척도를 사용하여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개인기준·평가염려 완벽주의, 자기자비, 삶의 만족도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고, 개인기준·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 모형을 설정한 뒤,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자기자비의 부분매개모형을 연구모형으로, 완전매개모형을 경쟁모형으로 설정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SPSS 18.0과 AMO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기준 완벽주의는 삶의 만족도와 상관이 유의하지 않았고, 평가염려 완벽주의는 삶의 만족도와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그리고 개인기준 완벽주의는 자기자비와의 상관이 유의하지 않았고, 평가염려 완벽주의는 자기자비와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자기자비는 삶의 만족도와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개인기준·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부분매개를 가정한 연구모형이 완전매개를 가정한 경쟁모형보다 자료를 더 잘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20∼30대 성인 남녀의 완벽주의 성향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임을 확인하였으나, 자기자비가 20∼30대 성인 남녀의 완벽주의 성향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매개 역할은 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 유아 주도 놀이의 지원을 위한 실행연구

        김보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유아 주도 놀이의 지원을 위한 실행연구를 진행하여 실행과정과 그 과정에서 유아와 교사에게 어떠한 변화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유아 주도 놀이를 위한 실행 방안 모색과 실행과정을 통해 유아 놀이의 질을 향상시키고, 교사의 유아 주도 놀이의 실행과 지원 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유아 주도 놀이의 지원을 위한 실행과정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유아 주도 놀이의 지원을 위한 실행과정에서 나타난 교사의 변화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유아 주도 놀이의 지원을 위한 실행과정에서 나타난 유아의 변화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2020년 5월부터 10월까지 부산의 N 유치원 만 5세 27명의 무궁화반에서 실시하였다. 자료는 참여관찰, 동영상 및 사진, 연구자의 저널, 동료교사와의 면담, 일일활동일지 작성 등의 방법을 활용하여 수집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주도 놀이의 지원을 위한 실행과정은 5단계에 걸쳐 이루어졌다. 놀이 상황에서 유아의 주도성보다는 교사의 주도성이 높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으로 유아 주도의 놀이를 실시하며 유아들의 주도성 및 놀이 모습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유아들이 자신의 흥미에 따라 놀이를 선택하여 진행하고, 필요한 놀이 공간을 스스로 구성하여 놀이하며, 또래와 서로 배우고 가르치며 놀이하는 등 주도적으로 놀이하는 모습이 관찰되었으나, 여전히 교사가 먼저 놀이를 제안하거나, 놀이 중에 개입하여 진행하는 등, 교사가 주도하는 모습이 보이고, 정리정돈과 놀이 공간 이동으로 인한 놀이가 중단되는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따라서 도출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수정된 실행계획을 실시하면서 유아의 놀이를 따라가며 유아 놀이 지원하기를 실행하여 유아들의 변화를 관찰하고 재 반영하는 순환적인 과정을 통해 유아와 교사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둘째, 유아 주도 놀이의 지원을 위한 실행과정을 통해 교사는 유아의 놀이를 따라가며 유아의 놀이를 지원하면서, 유아의 놀이를 더 깊이 들여다보고, 유아와 유아의 놀이에 대해 이해하게 되었으며, 유아의 놀이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유아 주도 놀이의 실행과 지원을 위해 연구하는 교사로 조금 더 성장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유아 주도 놀이의 지원을 위한 실행과정을 통해 유아는 연구 초기와는 달리 놀이에 능동적으로 참여하고, 놀이 속에서 또래와 서로 소통하고 협력하며, 자발적으로 주도적 놀이를 실행하고 확장시켜 가는 모습이 관찰되어 긍정적인 변화가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결과는 유아의 놀이를 따라가는 교사 지원 태도와 유아 놀이를 이해하고 지원하기 위한 관찰 기록의 중요성 등 유아 주도 놀이를 위한 교사 역할과 지원 방안에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This study conducts an action research on facilitating child-initiated play, and examines the action research process and what changes appear to children and a teacher in the proces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mprove the quality of children’s play and provide basic data on how to facilitate child-initiated play by a teacher. The research question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1. How is the action research process of facilitating child-initiated play? 2. What is children change in the action research process of facilitating child-initiated play? 3. What is teacher change in the action research process of facilitating child-initiated play?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May to October, 2020. Data were collected using methods such as participatory observation, video recording, taking pictures, writing journals of researcher, interviewing with fellow teachers, and writing daily activity journal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twenty-seven 5-year-old children in M class at N kindergarten in B c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ction research on facilitating child-initiated play was carried out in five stages. Child-initiated play was conducted, in a play situation, as a way to improve the problem of the teacher's higher initiative comparing to children’s initiative and the changes in the children's initiative and play were observed. As a result, it was observed that children chose and proceeded with play according to their interests, organized necessary play spaces by themselves, and showed teaching-learning relationship with their peers. On the other hand, the direct instruction by a teacher was still observed, such as suggesting how to play or intervening during play. Therefore, as a plan to improve the derived problems, revised action was planned and conducted. Finally, positive changes in children and a teacher were observed through a cyclic process of following and observing children’s play, supporting their play, and observing and re-reflecting changes in children. Second, a teacher as researcher has changed through action process of facilitating child-initiated play into a teacher who has deepened understanding of children and children's play, providing values on hypotheses of children, acknowledging creative ability of children in using play material, and supporting children’s play. Third, children showed their change through action process of facilitating child-initiated play, participating in play actively, communicating and cooperating with peers during play, and proceeding child-initiated play. O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e importance for teacher attitude and capability of facilitating child-initiated play through action research. The findings of this study serve as basic data for teachers to explore the process of seeking and implementing action plan for child-initiated play.

      • 호텔기업의 유동적 객실 가격 정책이 호텔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

        김보선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호텔 기업의 다양한 객실가격 정책 중 유동적 객실가격 정책에 한정하여, Hanks(1992)와 Kimes(2002)의 선행 연구를 중심으로 객실 예약이 이루어진 후, 예약과정의 할인율 정책에 따른 제한과 혜택(보상)이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과 민감한 수요 시장의 제한, 혜택 정책의 만족도에 따라 형성된 브랜드 자산이 고객 만족, 재방문,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적으로 연구하여, 호텔이 브랜드 자산을 구축하는데 있어 가장 주안점을 두어야 할 부분에 참고지침을 제공하려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브랜드 자산은 Aaker(1991)등의 연구에서 사용되고 검증된 브랜드 자산 구성요소(지각된 품질,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충성도, 브랜드 인지도)를 중심으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고 수행하기 위하여 유동적 객실 가격정책(제한, 혜텍), 브랜드 자산에 관련된 국내⋅외의 문헌과 기타 자료를 수집하고 선행연구의 고찰을 통해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으며 이를 검증하기 위한 변수의 측정과 문항을 구성하였다. 설문지는 서울지역 특 1급 호텔 객실 이용객(내국인 한정)을 대상으로 시행 SPSS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으로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과 기술 통계분석(descriptives analysis), 신뢰도 분석(reliability analysis)과 회귀분석(regression analysis)의 통계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실증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객실 예약 후 할인 정책에 따른 제한(환불 가능성, 일정 변경 가능성), 보상 정책의 만족도가 호텔 브랜드의 지각된 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경로 분석 결과, 제한 정책의 환불 가능성과 보상 정책은 지각된 품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객실 예약 후 할인 정책에 따른 제한(환불 가능성, 일정 변경 가능성), 보상 정책의 만족도가 호텔 브랜드의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경로 분석 결과, 제한 정책의 환불 가능성과 보상 정책은 호텔의 브랜드 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객실 예약 후 할인 정책에 따른 제한(환불 가능성, 일정 변경 가능성), 보상 정책의 만족도가 호텔 브랜드의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경로 분석 결과, 제한 정책의 환불 가능성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객실 예약 후 할인 정책에 따른 제한(환불 가능성, 일정 변경 가능성), 보상 정책의 만족도가 호텔 브랜드의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경로 분석 결과, 제한, 보상 정책이 브랜드 인지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객실 예약 후 할인 정책에 따른 제한(환불 가능성, 일정 변경 가능성), 보상 정책의 만족도에 따라 형성된 브랜드 자산이 고객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경로 분석 결과, 브랜드 충성도와 브랜드 인지도는 고객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객실 예약 후 할인 정책에 따른 제한(환불 가능성, 일정 변경 가능성), 보상 정책의 만족도에 따라 형성된 브랜드 자산이 재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경로 분석 결과, 브랜드 충성도와 브랜드 인지도가 재방문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객실 예약 후 할인 정책에 따른 제한(환불 가능성, 일정 변경 가능성), 보상 정책의 만족도에 따라 형성된 브랜드 자산이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경로 분석 결과, 브랜드 충성도가 구전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호텔이 제공하는 제한, 보상 정책은 브랜드 자산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 즉 지각된 품질,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호텔이 제공하는 제한, 보상 정책의 만족도에 따라 평가된 호텔의 브랜드 자산이 호텔의 전반적 만족도, 재방문, 구전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브랜드 충성도가 전반적 만족도, 재방문, 구전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호텔은 소비자의 경험이 브랜드 자산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인식하고 호텔 고객과의 장기적인 관계형성을 통해 고품질의 브랜드를 창출시킴으로써 고객들의 브랜드 충성도를 높이고 이를 통해 고객의 전반적 만족도, 재방문, 구전 의도를 긍정적으로 형성하여 기업의 잠재적 이익을 확보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선행 연구에서는 거의 제시되지 않았던 호텔 객실 이용 고객을 대상으로 유동적 가격 정책(제한, 혜택)을 독립 변수로 하여 브랜드 자산 형성과의 관계를 규명하고, 나아가 형성된 브랜드 자산이 고객만족, 재방문,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plores an issue of hotel's flexible pricing policy(limits and benefits) on brand equity in hotel industry at super deluxe hotels and deluxe hotels in Seoul, Korea. Documentary and empirical studies are performed to accomplish the aim of this study. Various books, theses, papers and statistical outputs have been applied for theory basis of hotel pricing policy and hotel brand equity. Those outcomes are used for the deduction of impact of Hotel's Flexible Pricing Policy on Brand Equity in Hotel Industry for the actual proof and analysis. The survey conducted from Oct. 15th through Nov. 14th, 2010. Total of 200 questionnaire were distributed to native customers who have stayed super deluxe hotels and deluxe hotel in Seoul, Korea. Among the total of 200 questionnaire, 157 questionnaire were used for the analyses. Seven hypotheses were proposed and tested using SPSS package.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contribute as follows; (In this study, limits policy get within possibility of refund and possibility of changing schedule) First, possibility of refund and benefits according to room reservation are positively related to perceived quality. Second, possibility of refund and benefits according to room reservation are positively related to brand image. Third, possibility of refund according to room reservation are positively related to brand loyalty. Forth, limits and benefits according to room reservation are negatively related to brand awareness. Fifth, Brand loyalty and brand awareness organized by limits and benefits according to room reservation are positively related to customer satisfaction. Sixth, Brand loyalty and brand awareness organized by limits and benefits according to room reservation are positively related to revisiting intention. Final, Brand loyalty organized by limits and benefits according to room reservation are positively related to recommendation intention. In conclusion, Hotel industry have to aware that customers' experience are huge influenced for organizing hotel brand equity and keep trying to improve the value of their own brand equity through long-term relationship with customer.

      • 건강백세운동교실 참여 노인의 체력과 우울 정도 변화에 관한 연구

        김보선 경기대학교 스포츠과학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건강백세운동교실 프로그램 참여한 노인들의 체력과 우울정도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을 둔다. 분석도구로 노인의 우울정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한국판 단축형 노인우울 척도(Bae, 1996.)를 사용하였고 체력은 Rikli & Jones(2001)가 개발한 노인 체력 검사를 이용하여 전신 지구력, 견관절 유연성, 정적 평형성, 하지 근력과 상완 근력 등의 항목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보다 정확하게 노인들의 체력과 우울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건강백세운동교실 프로그램 참여를 전ㆍ후하여 주요 변인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각각 도출한 후 본 연구의 가설 점증을 위해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본 연구의 목적과 절차를 설명한 후 연구 참여에 동의한 2개 노인 복지관의 65세 이상 노인 중 운동 참여횟수가 80% 이상인 82명으로, 본 연구를 위해 2012년 3월부터 2012년 11월까지 32주간 주 2회 50분의 건강백세운동교실에 참여하였다. 운동참여 전․후 노인우울과 노인체력을 측정하고 분석한 본 연구의 결과, 건강백세운동교실 프로그램 참여 대상자는 체력이 향상되어 유산소 지구력, 정적 평형성 및 상완 근력, 하지 근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있었으며 우울정도 또한 감소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있었으나, 견관절 유연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백세운동교실 프로그램에 참여는 노인의 개별적 체력의 증가와 우울 감소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고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인구고령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고 노인의 정신적·신체적 건강의 중요성이 중요한 현안으로 떠오르고 있는 작금의 상황에서, 본 연구 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백세운동교실 프로그램 참여가 노인의 체력 증가와 우울 감소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고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향후 노인이 쉽게 접근할 수 있고 더욱 더 다양하고 효과적인 운동프로그램이 개발된다면 노년의 건강한 삶은 물론 건강한 사회를 구축하는 데도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중학교 일과 에너지 단원 읽기자료의 유형별 선호도 분석

        김보선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중학교 3학년 과학 교과 중에서 ‘일과 에너지 단원에 관련한 과학사, 생활과학, 지식정리, 시사적 내용의 읽기 자료를 제작하여 수업에 활용해 보았을 때, 4가지 유형별 선호도를 조사함으로서 현 교사들이 과학수업에 활용할 다양한 과학 읽기 자료를 선택할 때 도움을 주고자함에 그 의미를 둔다. 중학교 3학년 일과 에너지 단원에서 읽기 자료를 제작하기에 앞서 학생들의 과학 관련 독서와 과학 교과서 읽기 자료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설문지를 제작하여 조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과학사’, ‘생활과학’, ‘지식 정리’, ‘시사적 내용’의 4가지 유형별 ‘지레의 원리’ 와 ‘에너지’에 대한 주제로 8차시 분량의 읽기 자료를 제작하여 수업의 정리단계에서 제시한 후 읽기 자료 유형별 흥미도와 선호도를 조사해 보았다. 그 결과 전반적으로 큰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학생들이 읽기 자료에 대한 흥미를 느끼는 이유를 분석해 의미가 비슷한 답변으로 묶어 범주화한 결과 ‘역사적 내용’, ‘선행지식 유무’, ‘내용 흥미도’, ‘내용 이해도’, ‘사사 내용’, ‘실생활 관련’, ‘글의 구성’ 으로 흥미 요소로 정할 수 있었다. 학생들의 답변을 흥미 요소별로 분석한 결과 읽기 자료의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은 과학사는 ‘역사적 내용’, 생활과학은 ‘실생활 관련’, ‘시사적 내용’은 ‘시사 내용’의 흥미 요소가 두드러질 것으로 예상했으나 대부분의 읽기 자료의 흥미도를 보면 ‘글의 구성’ 과 ‘선행 지식 유무’ 에 대한 흥미 요소에 많은 비중이 차지함을 보인다. 이는 학생들의 독서량과 관계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과학에 대한 관심과 흥미는 있으나 실제로 적극적인 태도로 과학 관련 독서를 하지 않는다. 따라서 평소 과학 관련 독서량이 부족하여 그 만큼 과학 용어와 문장의 길이에 부담이 되어 흥미를 잃는 요인으로 작용하였음으로 생각된다. 읽기 자료 선호도는 유형별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선호도는 도움 정도 보다는 흥미도와 관련됨을 보인다. 선호도는 읽기자료 유형별 내용에 따른 차이보다는 읽기자료의 글의 구성, 이미 알고 있는 내용인가, 그림과 수식 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해석된다. 즉 학생들이 선호하는 읽기자료는 과학에 대한 흥미를 어느 만큼 불러일으킬 수 있는가 하는 문제이다. 흥미 있는 읽기자료라는 것은 읽기자료 내용 자체 보다는 학생들이 이미 알고 있는 내용인지, 쉽게 이해 할 수 있도록 글이 구성이 되어있는지 등이 흥미의 요소로 크게 작용됨을 볼 수 있었다.

      • 화법 교육을 위한 상호작용 활성화 능력 신장 프로그램 개발 연구

        김보선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purpose of the thesis is to develop and conduct a research on a program that will help initiate and promote transactions between participants in conversations. Transactions are the building block of speaking and listening. It is important to facilitate transactions in order to lead a successful conversation. Thus, teaching and learning in conversation skill classes should focus on how to facilitate those transactions. There are two types of programs cited in this thesis. One includes systematic contents related to facilitating transactions in conversations. It presents ideas in the category of ‘The nature of conversations’ and explains the definition of transaction, the necessity of facilitating transactions, etc. Also, in the category of ‘The function of conversation’, strategies for promoting transactions during conversations and how to further a conversation are listed. Lastly, in the category of ‘The attitude towards conversations’, there are contents that may help improve participants’ attitude during conversations. The other is a program specifically designed to enhance one’s ability to facilitate transactions during conversations. The first step is ‘recognition’category. This is heavily focused on letting participants of a conversation obtain background knowledge and learn how to behave during conversation since it has the top priority in conversations. The second step is about ‘strategies’category. In this stage, participants will learn the two crucial strategies, how to make conversations and how to have a much further conversation. The last step is 'actuality' category. This step is to actually put those strategies into action. In this stage, participants will use the previously learned strategies in a real conversation. While taking part in each program, participants will go through a learning process, which is ‘comprehension’-‘application’-‘evaluation’. All the stages in these programs include activities that can be easily applied to real-life conversations and examples of learner-based learning/teaching plans. This thesis has a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emphasized transaction among participants during speaking and listening and presented systematic programs to facilitate conversation skills related to participants’ transactions. If the programs are appropriately implemented in classes while taking each learner’s differences and their learning environment into account, they will act as an excellent fertilizer to boost students’ ability to lead a successful conversation. 이 논문의 목적은 대화 상황에서 참여자들의 상호작용 활성화 능력 신장을 위한 프로그램을 연구하고 개발하는 것이다. 듣기·말하기는 상호작용을 전제로 한다. 상호작용을 활성화하는 것은 성공적인 대화를 이끄는 데 중요하다. 그렇기 때문에 화법 교육에서는 대화 참여자들의 상호작용 활성화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교수·학습을 전개해나가야 한다. 이 논문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은 크게 두 가지 부분으로 나누어 설명할 수 있다. 먼저, 상호작용 활성화 능력 신장을 위한 교육 내용 체계를 제시하였다. 첫째, ‘상호작용성’의 의미, ‘상호작용 활성화의 필요성’ 등과 관련된 학습 내용을 ‘대화의 본질’ 영역으로 제시하였다. 둘째, ‘대화의 기능’ 영역에는 상호작용 활성화를 위한 대화 진행 과정상의 전략과 대화 촉진을 위한 전략을 학습 내용으로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대화의 태도’ 영역에는 상호작용 활성화를 위한 대화 참여자들의 태도에 대한 학습 내용이 있다. 다음으로 상호작용 활성화 능력 신장을 위한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1단계는 ‘인식’ 범주이다. 이 단계에서는 상호작용 활성화에 대한 기본 지식, 태도에 대한 학습에 주 목적이 있다. 이는 상호작용 활성화 능력 신장을 위해 필수적이기에 프로그램 중 가장 첫 번째 단계로 구성하였다. 2단계는 ‘전략’ 범주이다. 상호작용 활성화 능력 신장을 위한 핵심적인 전략인 대화 진행 전략과 대화 촉진 전략을 학습 하는 단계이다. 마지막으로 ‘실제’ 범주가 있다. 앞선 단계에서 학습한 내용을 종합하여 실제 대화 상황에 적용해보도록 한다. 각 프로그램별로 ‘이해’-‘적용’-‘평가’의 학습 과정을 따르도록 하였다. 프로그램 단계별로 실제 언어생활과 밀접한 관련을 지닌 활동과 함께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안을 예시로 제시하였다. 이 논문은 듣기·말하기의 ‘상호작용성’에 주목하여 학습자들의 상호작용 활성화 능력 신장을 위한 체계적인 프로그램을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 개발된 프로그램을 교육 현장과 학습자의 개인차를 고려하여 활용한다면 중학생의 상호작용 활성화 능력 신장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학습 방법이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