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가정전문간호사의 의사소통 유형에 따른 주돌봄자의 자기효능감과 스트레스 대처방식

        김묘선 대전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나라는 암을 비롯한 여러 원인으로 기능장애를 가진 만성질환자들이 증가하고 있어 만성질환자들을 가정에서 돌보아야 하는 경우가 많아 가정전문간호사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다. 최근 5년 사이 가정간호 센터에 연간 방문건수는 2013년 336,000건에서 580,000건으로 증가하여 가정간호 서비스의 수요는 꾸준히 증가 하고 있다. 가정간호 서비스를 받고 있는 환자의 주돌봄자는 가정에서 환자를 돌봄으로 인해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문제들을 경험하며 가정전문간호사의 의사소통 행위를 간호 중재 기법으로 활용하여 주돌봄자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을 기대하며 선행연구에서 간호사는 정보제공적, 친화적 의사소통 유형을 사용 할수록 환자의 자기효능감은 높게 지각하였다. 본 연구는 가정전문간호사의 의사소통 유형에 따른 주돌봄자의 자기효능감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이를 위해 D지역 소재 4개의 300병상이상의 종합병원에서 가정간호센터에 등록된 3개월 이상의 가정간호를 받고 있는 주돌봄자 123명을 대상으로 2018년 1월 1일부터 2월 27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의 도구는 정수연(2007)의 의사소통 측정도구, 최윤숙(2017)이 번안한 돌봄 효능감 측정도구, 신혜진과 김대창(2002)가 번안한 한국판 스트레스 대처 전략 검사지(K-CSI)를 이용하여 측정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 목적에 따라 기술통계(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으로 분석 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정전문간호사의 의사소통 유형은 5점 척도로 정보제공적 의사소통 유형이 4.60±.52점, 친화적 의사소통 유형 4.46±.53점, 권위적 의사소통 유형 2.16±.53점으로 주돌봄자는 가정전문간호사를 정보제공적이고 친화적 의사소 통 유형을 사용한다고 지각하였다. 자기효능감은 4점 척도로 2.91±.52점으로 다소 높게 나타났으며, 스트레스 대처방식은 3점 척도로 사회적 지지추구 2.05±.40점, 문제해결 중심 2.47±.37점, 회피중심 대처1.68±32점으로 나타났다. 주돌봄자는 문제해결중심 대처방식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가정전문간호사의 의사소통 유형에서 특별한 차이는 없었고, 자기효능감에서는 주돌봄자의 가정에서의 역할에서 환자와 살림을 병행 하였을때 효능감은 높게 나타났고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주돌봄자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에서 월 가구 소득이 100만원 이하의 그룹과 주돌봄자의 건강지각 상태가‘하’인 그룹에서 회피중심대처를 많이 사용하였고, 환자를 돌보는 시간이 8시간 이내인 그룹에서 사회적 지지추구 대처방식을 많이 사용하였다. 3. 의사소통유형에 따른 주돌봄자의 자기효능감에서 주돌봄자는 가정전문간호사의 정보제공적-친화적 의사소통에 효능감이 높았으며 친화적, 정보제공적 순으로 높았다. 주돌봄자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따른 가정전문간호사의 의사소통유형에서 문제해결중심 대처방식 에서 간호사의 정보제공적-친화적 유형이 높게 나타났고 정보제공적, 친화적 의사소통 순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추구 대처방식에서 가정전문간호사의 친화적 의사소통 유형이 가장 높게 났으며 정보제공적-친화적 유형, 정보제공적 의사소통 유형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가정전문간호사는 정보제공적이고 친화적인 의사소통 중심의 간호를 수행할 수 있도록 간호 계획을 세우고 주돌봄자의 상황에 맞는 의사소통 유형을 사용하여 자기효능감을 높여줄 수 있을 것을 기대하며 주돌봄자의 스트레스 대처방식에도 긍정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을 기대해본다. 본 연구는 D시 종합병원 이상의 가정간호센터에 등록된 환자의 주돌봄자를 대상으로 시행한 연구로 연구결과의 일반화를 위해 향후 다양한 지역으로 확대연구가 필요함을 제언한다. *주요 용어: 가정전문간호사의 의사소통 유형, 주돌봄자, 자기효능감, 스트레스 대처방식

      • 급·배기구의 위치 및 급기 각도에 따른 환기성능 및 실내 열환경 연구

        김묘선 서울산업대학교 에너지환경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오늘날의 대부분의 건물은 자연환기보다는 강제급기를 이용하여 실의 냉방과 난방 부하를 조절하고 실내 공기의 쾌적성을 유지한다. 또한 건물의 단열화, 기밀화로 그에 대한 의존도와 요구 조건이 높아지고 있다. 계절별로 대응해야하는 실의 부화가 변하고, 그에 맞춰 급기온도가 달라져 급기구에서 급기되는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기류분포가 변화여 실의 쾌적성 및 냉방과 난방시의 성능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건물에서 사용되는 에너지의 사용량을 절감하기 위해서 냉방과 난방 부하를 제거하는 강제급기에서의 에너지 효율을 증가시켜야한다. 그러나 실제 건물에서 공조의 말단 부분인 급기구와 배기구에 대한 설계는 설계자의 편의나 조명설비나 소화설비 등에 맞추어서 설계되고 있는 형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일반 사무실 공간을 대상으로 급기구와 배기구의 위치 변화에 따른 실내의 기류분포와 실의 환기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전산유체해석을 통해서 예측 분석하고,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냉방시의 급기 온도의 변화에 따라서 급기 각도의 변화를 주어 에너지 소비량을 계산, 비교하여 실내의 온열환경과 건물의 에너지 절감측면에서 가장 효율적인 급기구와 배기구의 조건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공조용 송풍량을 결정할 때에 실내온도와 급기되는 공기온도와의 차가 중요한 요소가 된다. 일반적으로 냉방시의 온도차는 10∼15℃, 난방시에는 5∼15℃이다. 그러나 냉난방시 실내온도와 급기 온도의 차를 크게 할 경우 송풍량이 적어서 송풍계통설비가 소형을 되어 에너지가 절약되나 실내 공기 분포의 악화, 재실인원의 불쾌감 발생 등의 결과가 발생한다. 사무실 공간에서 기류분포와 환기효율 및 에너지 소비의 절감을 위한 적절한 급기구와 배기구의 조건을 제시하기 위한 변수로는 공조공간의 형상, 실의 분할 방법, 급기구의 말단 형상, 급기구와 배기구의 배치와 공조기의 송풍량 및 급기온도 등이 있다. 위의 변수들 사무실의 급·배기구의 배치에 변화를 주어 실내의 기류분포와 환기효율을 계산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냉·난방시의 급기구 말단의 각도를 제외한 실의 모든 변수를 고정시켜 냉·난방시의 가장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급기구와 배기구의 배치 및 급기 각도를 판단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치해석을 이용하여 급기구와 배기구의 위치와 급기 각도 변화에 따른 실내의 공기 유동을 해석하기에 앞서서 시뮬레이션 검증작업을 위해서 간단한 환기실험을 수행하여 실험과 수치해석을 정량적으로 비교한 결과 정량적인 온도 차이는 있어도 정성적으로는 실험과 수치해석이 일치하였다. 따라서 수치해석이 실험을 잘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등온 조건시의 일체형 환기장치에서 Case 2의 기류분포는 정면에서 급기가 되고 양 측면에서 배기가 되고 있어 Case 1의 경우와는 달리 신선한 공기가 실내로 유입이 된 후에 배기가 되고 있어 실내 전체에서 환기가 잘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국소공기연령은 실 전체 거주구역의 평균으로는 Case 1이 913초, Case 2가 879초로 공기연령이 Case 2가 더 환기가 잘 이루어지고, 또한 거주구역과 실 전체를 비교했을 경우에 Case 1의 경우에는 실 전체가 880초로 거주구역의 평균보다 약 30초 낮아서 불필요한 부분에서 환기가 더 잘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 등온 조건시 원형 급·배기구에서 기류분포를 살펴보면 Case 3과 5와 같이 각각의 급기구가 가까이 배치된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실의 전반에 걸쳐서 기류가 도달하는 것을 볼 수 있고, 이는 기류가 같이 모여 있는 것이 실내의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라인형 급·배기구의 기류분포를 보면 Case 9의 경우가 실내의 중심부분에서의 속도벡터가 더 커서 수평으로 급기구가 배치된 Case 8의 경우보다 실내의 환기성능이 더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4) 등온 조건시 원형 급·배기구에서 Case 3은 실내의 거주구역보다 비거주구역의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더 낮고, 반면에 실내의 중심에서 급기되고 있는 Case 5의 경우에는 거주구역의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비거주구역보다 더 낮음을 알 수 있다. 이는 Case 5는 815초로 Case 3의 822초 보다 국소공기연령이 작은 것을 통해서 Case 5의 환기성능이 더 좋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라인형 급·배기구의 국소공기연령을 보면 Case 8의 표준편차는 0.21로 Case 9보 약 0.15 낮지만 Case 8의 국소공기연령이 827.4초로 약 10초 더 작어서 환가성능이 더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5) 각도 변화에 따른 온도분포와 속도벡터에서 냉방시에 수평으로 급기되는 경우가 수직으로 급기되는 경우보다 실내의 평균 온도가 23.47℃로 높았으나, 상하온도차와 온도의 표준편차의 값이 더 적음을 알 수 있었다. 난방시에 수직으로 급기되는 경우가 수평으로 급기되는 경우보다 실의 평균 온도가 26.19℃로 높고, 상하온도차와 표준편차의 값이 작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급기되는 공기의 온도에 따른 부력의 효과로 난방시에 수평으로 급기되는 경우, 기류가 실내로 순환하지 않고 상부에만 체류하다가 Most builds are controlled by air supply system rather than natural ventilation for both cooling and heating load and keep indoor comfort. Because of insulated buildings, also dependence and requirements about its system are growing. A room's load is changed in a response to change for seasons and it has an effect on the supply temperature. In the result, air distribution is changed and influence comfort indexes in room as well as cooling and heating performance. For saving the usage of energy in building, we have to increase energy efficiency of diffusers for air supply system. However, design about diffuser that is a small part in air supply system is of secondary importance compared with lighting system, fire extinguishing and design's conveni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dict and analyze the influence of locations of supply/exhaust diffusers and to show influence on both air distribution and ventilation efficiency in office building using the numerical analysis. And then change of supply temperature and angle influences energy consumption. In the result, this study suggest ideal conditions about supply and exhaust diffusers in aspect of thermal comfort and energy saving. The major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o verify the accuracy of the numerical analysis, the measurement of CO₂ concentration by a step-down method has been conducted. Since both experimental and numerical results are in good agreement, simulation can be used to predict results for various conditions of ventilation methods. (2) In isothermal ventilation unite, Case 2 which supplies fresh air from the center and towards the room, and returns exhaust air through the sides shows the best performance compare with Case 1. Outdoor fresh air is effectively introduced to the inner indoor space by this method. In local mean age of air, average of residence area of Case 1 is 913 sec and Case 2 is 879 sec. Also room area of Case 2 is 880 sec that is unnecessary ventilation to compare residence area with room area. (3) In isothermal circular supply and exhaust diffuser, Case 3 and Case 5 shows that air distribution arrives through the room compare with other cases, and then gathering air distribution is influence on the ventilation. Air distribution of slotted supply and exhaust shows that ventilation performance of Case 9 is better than Case 8 because velocity vector is bigger in center of the room. (4) In isothermal circular supply and exhaust diffuser, Case 3 is that CO₂ concentration is lower in non-residence area than residence area. In other hands, Case 5 which supplies air from the center is higher in non-residence area than residence area. This local mean age of air in Case 5 is 815 sec and Case 3 is 822 sec, Case 5 is good ventilation performance in the result of that air. Local mean age of air and standard mean deviation of slotted supply and exhaust shows that standard mean deviation of Case 8(0.21) and Case 9(0.15) is little difference, but Case 8 is superior to the Case 9. Because local mean age of air of Case 8 is 827.4 sec, this value is lower about 10 sec than Case 9. (5) Effect of angle of supply air on cooling and heating performances of office space is studied by numerical simulation. For air supply system, air is supplied vertically(90°) and horizontally(10°). Due to buoyancy, the supply angle affects the performance of cooling and heating. In cooling, since the cold supply air tends to move downward due to its high density, horizontal supply angle is better for uniform temperature distribution. In heating, however, vertical supply angle is preferred for better mean and uniform temperature distribution. (6) For the energy consumption analysis of angle change, in cooling, horizontal supply is able to decrease about 8 % rather than vertical supply. On the other hand, in heating, vertical supply is able to decrease about 5 % rather than horizontal supply.

      • 고경력 교사의 역할수행과 학년조직효과성의 관계

        김묘선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동학년 내 동료 간의 협력활동에서 많은 현장경험지식을 가진 고경력 교사들이 동학년 조직의 효과를 높이는데 어떤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가에 관심을 가지고 시작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의 목적은 동학년 내 고경력 교사의 역할수행 수준과 학년조직효과성의 관계를 살펴 고경력 교사들의 경험적 지식을 활용하고 학교교육에 동참하도록 유도하는 방안 마련의 기초 자료 제공에 있다. 연구의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동학년 교사가 지각하고 있는 고경력 교사의 역할수행 수준은 어떠한가? 둘째, 교사가 지각하고 있는 학년조직효과성은 어떠한가? 셋째, 고경력 교사의 역할수행 수준과 학년조직효과성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 문제의 해결을 위해 먼저 선행 연구 분석을 통한 문헌 연구와 질문지를 통한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다.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고경력 교사의 개념과 동학년에서의 역할, 학년조직효과성의 개념과 구성요인 등을 설정하였다. 질문지는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질문지를 연구에 맞게 수정 및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독립변인인 고경력 교사의 역할은 지도조언, 인화조성, 역할모델의 3개 하위변인과 15개의 문항으로, 종속변인인 학년조직효과성은 직무성과, 직무만족, 조직적응성, 조직몰입의 4개 하위변인과 19개의 문항으로 구성하여 사용하였다. 연구문제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은 고경력 교사의 역할 수행 수준을 비교적 높게 지각하고 있었으며, 하위 요소별로는 인화조성의 역할을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초등학교 교사들은 학년조직효과성을 비교적 높게 지각하고 있었으며, 학년조직효과성의 하위 요소 중 조직몰입을 가장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경력 교사의 역할수행수준이 학년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중다회귀분석한 결과, 고경력 교사의 역할수행은 학년조직효과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경력 교사의 역할수행 중 인화조성이 학년조직효과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ole performance of experienced teacher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grade levels in the same grades in order to provide basic data for planning measures which use the experiential knowledge of experienced teachers and induce them to participate in school education.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ccording to the research objective as below. First, how is the level of role performance by experienced teachers which teachers of same grade levels perceive? Second, how is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grade levels which teachers perceive? Third, how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experienced teachers’ role performance and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grade levels? In order to solve the questions of this research, an analysis was first conducted on previous studies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a survey research was performed using a questionnaire. Through the analysis on previous studies, the concept of experienced teachers, their role in same grade levels, the concept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grade levels and the components were decided. A questionnaire used in previous studies was employed after some modifications and supplement to sui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e independent variable ‘role of experienced teachers’ consisted of 3 sub-variables including guidance and advice, creating harmony, and role model, with 15 questions. The dependent variabl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f grade levels’ consisted of 4 sub-variables including job performanc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adaptabilit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ith 19 questions. Online survey was requested to 38 elementary schools based in the city of Seoul to draw a research result, and valid 255 copies of 437 retrieved copie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For analysis,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through the research. First, an environment which allows experienced teachers to actively participate in school management should be created. Second, customized trainings should be provided for experienced teachers which enhance their capacity to easily share their filed knowledge with new teachers. Third, a community culture should be vitalized between teachers of same grades. Fourth, a school culture should be established where experienced teachers are respected and promoted as education experts.

      •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의 인간성장에 관한 이해

        김묘선 선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가정연합의 인간성장에 대한 이해를 살펴보았다. 성장은 탄생과 완성의 사이를 잇는 큰 주제이다. 모든 생명체가 존재의 가치를 온전히 실현할 수 있도록 발전해가는 과정이다. 성장에 대한 이해를 연구함으로써 가정연합에서 추구하는 인간상이 무엇이며, 인생의 목적에 대해서 알 수 있다. 그러나 가정연합에서 성장을 주제로 한 연구가 드물었고, 비슷한 주제의 연구에서도 성장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로 나아가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성장이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 성장에 대한 목표가 무엇인지, 성장의 원칙과 방법이 어떠한 것인지, 어떠한 환경에서 성장하는지를 연구하였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로 가정연합의 주요 서적인 『원리강론』, 『통일사상요강』, 문선명 한학자 선생님의 말씀, 관련 주제의 연구물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연합에서의 성장의 개념은 영적 성장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영적으로 수준이 높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영적 성장에는 마음의 성장, 영인체 성장, 내적인 성장 등이 포함된다. 둘째, 영적 성장의 목표를 3대축복 완성, 사위기대 완성, 신인애일체로 이해하였다. 3대축복은 인격을 완성하고 가정을 완성하고 주관성을 완성하라는 의미이다. 3대축복은 사위기대의 토대 위에서 완성된다. 개체적 사위기대와 가정적 사위기대 및 주관적 사위기대를 완성해야 한다. 인간은 이러한 사위기대 완성의 과정에서 사랑을 실천하고 하늘부모님과 사랑으로서 하나되는 신인애일체를 목표로 살아간다. 이러한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 대상격위에서 주체격위로 성장하며, 지적으로는 주관성에서 객관성으로, 정적으로는 자애성에서 애타성 또는 이기성에서 이타성으로, 의적으로는 타율성에서 자율성으로 성장한다. 넷째, 성장의 원칙은 다섯 가지로 정리하였다. 인간은 수수작용과 사위기대의 틀을 통해서 성장하고, 소생기 장성기 완성기의 질서적인 3단계를 거쳐 성장한다. 인간은 책임분담을 이루어 성장한다. 타락한 인간은 성장과정에서 메시아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자라면서 조상이 쌓아놓은 심정적 기대와 과학기술의 발달 등 시대적 혜택을 통해 성장한다. 다섯째, 성장의 방법을 책임분담, 심정체휼, 정성과 영적체험으로 구분하여 서술하였다. 책임분담은 하늘부모님과의 관계, 타인과의 관계, 만물과의 관계에서 사랑을 실천하는 것이다. 심정을 체휼하는 것은 하늘부모님의 심정을 온몸으로 절절하게 느끼는 것이다. 체휼은 지식의 습득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심정은 지정의의 통합적인 경험으로 체득하는 것이다. 정성과 영적체험을 통해 타락성을 벗고 하늘부모님을 중심으로 성장할 수 있다. 여섯째, 인간은 여러 집단과 환경에 소속되어 살아가는데 대표적으로 가정, 학교, 교회, 사회로 나누어 서술하였다. 인간이 소속되어 살아가는 환경의 내용은 모두 영양소가 되어 성장의 발판이 된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연합에서 성장을 주제로 한 연구물은 드물다. 영적 성장과 관련한 영성훈련, 영성교육에서도 인간의 성장을 체계적으로 다루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성장을 전반적으로 살펴보는 시도를 하였다. 둘째, 인간은 성상과 형상의 통일체로 영인체와 육신으로 이루어진 존재이다. 지금까지 영적 성장의 의미를 영인체 성장에 중심으로 두고 육신의 중요성을 논의하지 않았다. 영적 성장은 육신생활을 하는 동안 육신을 터로 하여 생심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하늘부모님으로부터 오는 생소와 육신으로부터 오는 생력요소의 수수작용으로 성장한다. 그러므로 영적 성장에서 육신을 분리하여 보는 것이 타당한지 의문을 제기하며 영적 성장의 범위를 새롭게 제시하였다. 셋째, 성장의 방향성에 초점을 두고 연구하였다. 인간은 소생기, 장성기, 완성기의 질서적 3단계의 성장기간을 거치며 영인체는 영형체, 생명체, 생령체로 성장한다. 그리고 현재 가정연합에서 영적 성장 단계의 연령 구분에 대해 구체적으로 논하기 어렵다. 인간이 성장 목표를 향하여 대상격위에서 주체격위로의 성장, 마음의 기능인 지정의의 성장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시사점은 이와 같다. 첫째, 가정연합에서 성장을 주제로 한 연구물이 드물다. 지속적이고 다양한 방면의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영적 성장의 의미를 영인체 성장에 중심으로 두고 육신의 중요성을 논의하지 않았다. 영적 성장과 육신의 성장을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연구할 필요가 있다. 셋째, 현재 상태로는 가정연합에서 영적 성장 단계의 연령 구분에 대해 구체적으로 논하기 어렵다. 성장의 단계, 각 단계의 연령, 어떠한 발달과제로서 성장하는지 연구할 필요가 있다. 가정연합에서 인간의 영적 성장에 대한 논의와 연구가 적극적으로 이루어져 성장에 대한 체계적인 정립이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로 가정연합의 교육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논의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examines the understanding of human growth in Family Federation. Growth is a big theme that connects birth and completion. It can be said that it is a process of development so that all living things can fully realize the value of existence. By studying the understanding of growth, you can learn about the human image pursued by Family Federation and the purpose of life. However, studies on growth in the Family Federation were rare, and even studies on similar subjects did not advance to a detailed discussion on growth. Therefore, in this study, what is the meaning of growth, what is the goal for growth, what are the principles and methods of growth, and what kind of environment the growth is conducted in. The research method analyzed the main books of Family Federation, Divine Principle, Unification Through, Sun Myeong Moon, Hak Ja Han Moon's words, and research on related topic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ncept of growth in Family Federation is focused on spiritual growth and means being spiritually elevated. Spiritual growth includes the growth of the mind, the growth of the Spirit Self, and the inner growth. Second, the goal of spiritual growth was understood as the completion of the three great blessings, the completion of The Four Position Foundation, and the unity of God and man. The three great blessings mean to complete the personality, complete the family, and complete the subjectivity. The three great blessings are completed on the basis of The Four Position Foundation. The individual Four Position Foundation and the familial Four Position Foundation and the subjective Four Position Foundation must be completed. Humans practice love in the process of completing The Four Position Foundation and live with the goal of becoming one with Heavenly Parent through love.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we grow from object to subject, intellectually from subjectivity to objectivity, statically from loving-kindness to altruism or selfishness to altruism, and spiritually from heteronomy to autonomy. Fourth, the principles of growth are summarized into five categories. Humans grow through the framework of Give and Receive Action and The Four Position Foundation, and grow through three orderly stages: Formation stage, Growth stage, and Completion stage. Humans grow by achieving Responsibility. Fallen human beings absolutely need the Messiah in the process of growth. Growing up, you grow through the benefits of the times, such as the emotional expectations built up by your ancestors and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Fifth, the methods of growth were described by dividing them into Responsibility, compassion, devotion and spiritual experience. Responsibility is to practice love in your relationship with Heavenly Parent, with others, and with all things. To sympathize with your heart is to feel Heavenly Parent's feelings with all your heart. Compassion is not achieved through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The feeling is to be acquired through the integrated experience of Jihyo. Through devotion and spiritual experience, we can get rid of our depravity and grow with our Heavenly Parents. Sixth, human beings belong to various groups and environments, and are representatively divided into home, school, church, and society. All of the contents of the environment in which humans belong and live become nutrients and become a stepping stone for growth.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studies on growth in Family Federation are rare. Even spiritual training and spiritual education related to spiritual growth did not systematically deal with human growth. In this study, an attempt was made to look at growth as a whole. Second, human beings are the unity of the image and the image, consisting of the Spirit Self and the body. So far, the importance of the body has not been discussed with the meaning of spiritual growth centered on the growth of the Spirit Self. Spiritual growth takes place with the body as the foundation and centered on the heart, and grows through the Give and Receive Action of the Life element from Heavenly Parents and the Vitality element from the physical body. Therefore, the scope of spiritual growth was newly proposed, raising questions about whether it is appropriate to separate the body from spiritual growth. Third, the study focused on the direction of growth. Humans go through three orderly growth stages: Formation stage, Growth stage, and Completion stage, and Spirit Self grows into Form spirit, Life spirit, and Divine spirit. And in the current state, it is difficult to specifically discuss the age division of the spiritual growth stage in the Family Federation. The growth of human beings from the object level to the subject person level toward the goal of growth, and the growth of the meaning of the mind, which is a function of the mind, were examined. The implications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few studies on growth in Family Federation. Continuous and diverse research is needed. Second, the importance of the body was not discussed with the meaning of spiritual growth centered on the growth of the Spirit Self.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and study spiritual growth and physical growth in an integrated way. Third, in the current state, it is difficult to specifically discuss the age division of the spiritual growth stage in the Family Federation.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stage of growth, the age of each stage, and what kind of developmental task it is to grow. Discussion and research on human spiritual growth are actively conducted in Family Federation, so a systematic establishment of growth is necessary.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seems that it is possible to discuss the education of Family Federation in detail.

      • Loop-based sequencer (루프 기반 시퀀서)를 활용한 프로젝트 교수 학습 지도안의 연구 : 고등학교 음악과 생활을 중심으로

        김묘선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IT 산업과 디지털 미디어의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좋은 기기와 장치들의 창출이 음악 분야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면서 음악 교육 분야 에서도 음악에 장치를 활용된 형태들이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움직임을 반영하여 연구자는 Loop based sequencer를 활용한 많은 장치 중의 하나인 Loop station에 주목하게 되었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Loop station을 통하여 음악의 재생과 형식의 구조를 이해하고 Loop station을 활용하여 음악을 만들어가는 과정도 음악으로 인식하도록 하였으며 음악을 만들기 위하여 Loop station을 보조적인 장치로 사용 되도록 학습 지도안을 구안하였다. 이 장치는 학교 교육에 도입되어야 할 장치이며 이후의 더 많은 장치들이 개발 되어 교육적으로 활성화 되어야하는 부분이다. 더욱 다양한 디지털화 된 기기들이 등장함으로서 이로 인하여 학생들의 자발적인 음악적 참여를 통해 음악의 활성화를 기대해 볼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논문은 2015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강조한 ‘창의 융합형 인재’ 를 양성하기 위해 6가지의 역량을 제시하였으며 이 역량을 학습 역량으로 포함 시켜 다음과 같은 5가지의 학습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음악 만들기에 필요한 부분을 학습자와 교수 자가 토의를 통하여 수업 과정을 계획하게 되면서 수업의 주체가 교수 자가 아닌 학습자도 주체자임을 인식 하도록 하였다. 둘째, Loop Station을 활용하여 음악이 만들어 지는 과정을 이미지화 시키면서 학습자의 자발적인 학습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다. 셋째, 교과서에 제시된 활동에서 벗어나 교육과정을 토대로 교과서를 재구성함으로써 활동 간의 연계성을 갖게 되므로 확산적 사고와 수렴적 사고를 기대 할 수 있다. 교과서에 제시된 소단원을 주 주제로 정하고, 이에 따른 부 주제는 교육과정의 틀 안에서 교과서에 제시된 부분으로 정하게 되어 주 주제와 부 주제 간의 연계성을 갖도록 한다. 또한 부 주제의 내용에는 우리나라 음악만이 아닌 다른 문화를 간접적으로 체험함으로써 편중된 음악관을 갖지 않고 서로의 문화를 공감하는 태도를 기를 수 있도록 한다. 넷째, Loop Station을 통해 음악 이라는 과목이 다른 교과의 부수적 과목으로 전락되는 것이 아니라 음악만이 가지고 있는 자생적 힘을 가진 과목으로 재조명 될 수 있다. 다섯째, Loop Station을 통하여 다양한 테크놀로지 교육 분야를 기대 해 볼 수 있다. Loop Station는 기타의 전문 Effecter로 분류 하였으나 오늘날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발전으로 인해 교육 분야 까지 활용 되는 표본을 본 논문을 통해 알 수 있다. 그리하여 본 연구를 통해 무한한 테크놀로지들이 교육에 활용 되어 학습자들에게 새로운 음악적 접근이 음악적 창의성을 신장 시키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해 본다. According to the advent of the IT industry and digital media era, they have influences on expanding to produce better equipments and devices in the field of music. Considering the period movement, the researcher focused on Loop station, one of many kinds of devices utilizing loop-based sequencer. This study devised the teaching learning syllabus to make students understand recycling and formal structure of music and use them as subsidiary device through Loop station to make songs. This device should be introduced in the school education and this part should be supported educationally by developing the more and better equipment. By providing more variable digital devices, we can expect musical activation through students’ spontaneous participation. Thus, this study can expect the following five learning effects including learning elements of six capabilities to have creative fusing human resources that is emphasiz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First, students will be able to recognize that the subject of lesson is not only the teachers but also learners, planning the lesson courses by students and teacher’s discussing the parts of making music. Second, students will be able to participate in the lesson actively with imaging the process of making music through Loop station. Third, students will be able to develop divergent and convergent thingking ability by reorganizing the textbook in accordance with the curriculum over the activities that the textbook just suggested. In the work, the main subject utilizes small units in the textbook and the subsidiary theme arranges the parts in the frame of the curriculum, and thus there are the connectivities between the main subject and the subsidiary subject. In addition, in the content of the subsidiary theme, the students will be able to develop attitudes of sympathizing the cultures by experiencing other cultures altogether, not the only Korean music with the point of weighted views. Fourth, students will be able to shed new light on the music having the autonomous strength, making music course not being degraded to subsidiary subjects of the others. Fifth, students will be able to expect to expand various technological educational fields through Loop station. Although Loop Station is classified as specialized effecter of guitar, the study introduces the samples that is utilized beyond the educational field thanks to the advace of digital technology. Therefore, the researcher expects to develop students' musical creativity caused by this study that introduces to apply indefinite technologies to the education and opens the new field of musical approach to the learners.

      • 메이크업 종사자의 긍정심리자본이 조직몰입 정도에 따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김묘선 한성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뷰티 산업 종사자 중 메이크업 종사자의 긍정심리자본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들 관계에서 조직몰입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검증한 논문이다. 이를 위해 관련된 선행 연구의 고찰을 통해서 이론적 배경을 정립하고 설문을 통한 실증조사가 이루어졌다. 그 결과 첫째, 메이크업 종사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긍정심리자본은 다르게 나타났다. 긍정심리자본은 연령, 결혼상태, 자녀유무, 최종학력, 직무경험 년 수 에 따라 사람마다 다르게 나타났다. 둘째, 메이크업 종사자의 긍정심리자본이 낮은 사람보다 높은 사람이 조직 몰입이 높게 나타났다. 긍정심리자본은 조직몰입과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긍정심리자본의 하위요소인 자기효능감과 희망, 낙관주의가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메이크업 종사자의 긍정심리자본이 낮은 사람보다 높은 사람이 직무만족이 높게 나타났다. 긍정심리자본은 직무만족과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긍정심리자본의 하위요소인 낙관주의는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메이크업 종사자의 긍정심리자본과 직무만족의 관계에서 조직몰입은 부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메이크업 종사자에게 긍정심리자본과 조직몰입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이며 조직몰입은 긍정심리자본과 직무만족에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보면 메이크업 종사자에게 내재되어 있는 긍정심리자본을 이끌어내고 조직에 몰입할 수 있도록 심리적 요인을 증진시켜주면 현장에서 유발되는 다양한 직무스트레스와 감정노동의 부정성을 감소시키고 산업 전반적으로 바람직한 결과를 나타낼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보아 메이크업 종사자의 긍정심리자본의 심리적 역량을 발견하고 개발하는 인력관리가 필요함을 시사하며 메이크업 종사자의 인력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기업의 관리 전략을 적용하여 기초자료를 제공한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make – up workers on job satisfaction among the beauty industry workers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hese relationships. For this purpose, the theoretical background was established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related precedent studies and the empirical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the questionnaire. As a result,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was different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make - up worker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varies from person to person depending on age, marital status, parental status, final educational background, and years of work experience. Second,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make - up workers is higher than the low psychological capital.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self - efficacy, hope, and optimism, which are sub - factor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d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job satisfaction is higher in people with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than those with low psychological capital.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job satisfaction, and optimism, a sub-factor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had a positive (+) effect on job satisfaction. Fourth, organizational commitment plays a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job satisfaction of make – up practitioners. In other words,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re the main variables influencing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plays a mediating role in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job satisfaction for make - up work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inherent in make-up practitioners is promoted and the psychological factors that can be incorporated into the organization are promoted, it is possible to reduce various job stresses and negativities of emotional labor induced in the field, . It is meaningful that the management of make - up workers is needed to discover and develop the psychological competence of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f make - up workers. It is meaningful to provide the basic data by applying the management strategy of the company to systematically manage the workforce of make - up workers.

      • Effect of rhBMP-2 on mineralization of human periodontal ligament cells under high glucose condition in vitro : rhBMP-2가 고농도 당에서 배양된 치주인대 세포의 광물화 형성과정에 미치는 영향

        김묘선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치주질환의 발생과 심도는 당뇨환자에서 전형적으로 증가하게 되는데 특히 대사조절이 잘 안 되는 경우에 더욱 현저하다. 이로 인해 치주질환을 당뇨병의 여섯 번째 합병증으로 명명하게 되었고, 고농도 당에 대한 치주인대세포반응은 당뇨환자의 창상치유와 치주조직 재생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BMPs는 치주인대에서 유래된 세포의 치주재생에 관련된 세포활성도를 증가시키는 성장인자 중 하나이며 이 중 BMP-2는 가장 강력한 성장인자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다양한 농도의 rhBMP-2가 고농도 당에서 배양된 치주인대세포의 성장, 분화와 광물화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험하였다. 치주인대세포는 정상농도의 당 (1100mg/L of glucose) 또는 고농도의 당 (4500mg/L of glucose)에서 배양되었고 0, 50, 100, 300, 500 ng/ml 농도의 rhBMP-2에 일정기간 노출되었다. 세포 활성도를 측정하기 위해 배양 4, 7일째 MTT assay를 시행하였다. ALP 활성도는 10일째 측정하였다. 배양 28일째, alizarin red S 용액으로 염색하여 광물화 결절 양상을 광학현미경으로 관찰하고 축적된 칼슘량을 측정하였다. 배양 4, 7일째 rhBMP-2 투여농도에 따라 정상농도 당군, 고농도 당군 모두에서 활성도가 억제되는 양상을 보였다. 배양 10일째, 고농도 당군과 정상농도 당군 모두 rhBMP-2 투여농도에 따라 ALP 활성도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고 고농도 당군에서 정상농도 당군에 비해 ALP 활성도가 억제되는 경향을 보였다. 배양 28일째, 정상농도 당군과 고농도 당군 모두에서 100 ng/ml 이상의 rhBMP-2 투여시 광물화결절을 관찰할 수 있었고 광물화 정도는 rhBMP-2의 농도에 따라 증가되는 양상을 보였다. 정상농도 당군에 비해 고농도 당군에서, 광물화결절 형성양상은 100 ng/ml rhBMP-2 투여시 억제된 것으로 나타났으나 300, 500 ng/ml rhBMP-2 투여시에는 정상 당군과 거의 같은 정도까지 증가하여 매우 많은 광물화결절 형성양상과 결절의 염색양상을 보여주었다. 축적된 칼슘량을 측정해 본 결과, 정상농도 당군과 고농도 당군 모두에서 rhBMP-2 투여량에 비례하여 증가했으며 50, 100 ng/ml rhBMP-2 투여시 정상농도에 비해 고농도 당군에서 칼슘 축적이 억제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 결과는 염색된 광물화 결절의 형성양상과 유사했다. 본 연구에서 rhBMP-2가 고농도의 당이 존재할 때 치주인대세포 증식, 분화, 광물화 과정에 영향을 주며 이는 rhBMP-2의 농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하여 향후 임상에 적용하기 위해 rhBMP-2의 적절한 농도설정과 적용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 논과 밭 토양의 메탄생성과 메탄생성 세균의 군집 구조 비교

        김묘선 한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orrelations among the methane creation, chemical analysis of soils and the amount of methane producing bacteria based on the seasons and cropping protocols in the organic farming soil, agriculture soil without chemicals, traditional farmed soil with insecticides and pesticides, dried field soil and greenhouse soil, respectively. The composition of methanogenic community was analyzed by PAUP and NJ tree based on the mcrA gene. 1.The water content of paddy field soil was higher than ordinary field soil. The moist content was gradually decreased as time goes by November. However, the contents of TN, TC and hydrogen gradually increased during the same period in organic farming soil, emptiness farming soil, traditional farmed soil and dried field soil, respectively. 2.Methanogenic bacteria were showed more dominant type in November compare with August. 3.Hydrogen and acetic acid utilizing methogens were dominant types in the tested regions, and the largest methanogen communities were greenhouse soil and traditional farmed soil with insecticides and pesticides. 4.The methan production was dramatically increased up to three weeks from inoculation in all of August samples including acetate. However, its production was showed static state after three weeks. Especially, organic farming soil including formate and hydrogen, respectively, was produced relatively large amount of methane as well as emptiness soil. The relative abundance of methane was produced in organic farming soil adding acetate, hydrogen, and formate, respectively, of November samples. 5.Phylogenetic analysis was showed diversity of methanogen in paddy field samples. However, only a few clusters were analyzed in dried field samples, which mean these methanogens may candidate new species. 친환경농법인 유기농법과 무농약 농법, 농약을 사용하는 관행 농법의 논토양과, 밭과 비닐하우스의 토양 등 총 5종류의 토양의 계절과 농법에 따른 메탄 생성량과 메탄 생성 세균의 수를 알아보고, 토양의 화학적 성분을 조사하여 그들의 관계를 분석하고, mcrA gene을 이용한 메탄 생성세균의 군집 구조는 PAUP*을 이용하여 유연관계를 검토하기 위해 NJ tree를 작성하여 유전적 유사성을 검토하였다. 1. 토양의 화학적 성분은 논 농법이 일반 밭의 농법보다 수분함량이 높았고, 8월보다는 11월로 갈수록 수분의 함량이 감소하였으며, TN, TC, Hydrogen는 유기농 농법과 관행농 농법 그리고 밭이 11월로 갈수록 증가하는 비슷한 경향을 띄었으며, 무농약 농법과 비닐하우스에서는 검출되지 않았다. 2. 메탄생성 세균은 11월이 8월에 비해 비교적 메탄생성 세균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 토양 내에는 Methanogen이 상당수 존재하며, formic acid 보다 hydrogen 과 acetic acid의 메탄생성 세균이 상당수 존재하는 것을 확인 하였으며, 비닐하우스와 관행농법에서 메탄을 생성하는 세균의 양이 가장 많이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4. acetate를 넣어준 8월 모든 토양 시료에서는 처음 3주까지는 급격히 메탄 생성량이 많아졌지만 3주 후부터는 메탄생성량이 일정한 것을 확인하였다. formate와 hydrogen을 넣어준 시료에서는 무농약과 유기농의 메탄생성량이 많았고, 11월은 대체적으로 모든 기질에서 유기농의 토양 시료에서 메탄생성량이 많음을 확인하였다. 5. 계통학적 분석에서 논은 다양한 Methanogen이 분포하는 반면 밭의 유전자는 일부 Cluster에 집중된 것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비교군과 비교했을 때 비교군에 포함되지 않아 밝혀지지 않은 신종일 확률이 높다고 판단되었다.

      • 영유아기 자녀를 둔 맞벌이가정 아버지가 양육과정에서 겪는 어려움과 극복방법

        김묘선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영유아기 자녀를 둔 맞벌이 가정의 아버지가 영육과정에서 겪는 어려움과 극복방법에 관한 연구로 실제 아버지들이 양육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은 어떤 것이며 극복은 어떻게 하고 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그들을 이해하고 우리나라의 자녀양육에 대한 환경을 도울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영유아기 자녀를 둔 맞벌이 가정의 아버지 10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 집단면담, 참여연구자저널 등을 실시 후 이를 토대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아버지들은 자녀와 함께 할 수 있는 시간부족, 자녀교육에 대한 부담감, 자녀를 돌보느라 급격히 떨어지는 체력, 아내에게 미안함, 회사 내 육아를 바라보는 부정적인 시선 등에서 어려움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아버지들은 육아와 가정일을 아내와 함께 분담하고, 자녀를 양육하며 생기는 어려움을 다양한 매체를 통해 극복하고 있었다. 또한 자녀와의 의사소통을 위해 눈높이 맞추기, 맞벌이 생활을 하고 있는 아내의 마음 이해하기, 회사에서 인정받는 직장인으로 살아가기 등 양육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fathers' difficulties and overcoming strategies in raising young children in double-income family. Through ethnographic method, fathers' difficulties and coping strategies were analyzed for providing an environment for better child-rearing.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0 fathers in double-income families through in-depth interviews, group interviews and researcher's journal writing. The results showed that fathers felt difficult because of lack of time, a sense of burden for child education, decrease of physical strength, feeling sorry to wives, and negative perspective of child-rearing in workplace. They also revealed their strategies for overcoming difficulties such as sharing houseworks with wives, trying to overcome through various media, keeping an eye level with child, understanding wives who worked for both house and job, and working hard to be recognized by companie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is a need for recognition, system, and socio-cultural atmosphere to support child-rearing freely without minding ot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