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과 캐나다 거주 어머니들의 부모신념, 양육태도 및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

        김명혜 숙명여자대학교 2006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한국 거주 어머니, 캐나다 이민자 어머니 및 캐나다 조기유학생 자녀를 동반한 어머니들의 부모신념과 양육 태도, 그리고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는 어머니들이 자녀를 양육함에 있어서 어떠한 부모신념과 양육태도를 갖고 있는가를 이해할 수 있으며 그것이 문화권의 차이에서 나오는 것인지 아니면 한국의 문화적인 특성을 나타내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부모자녀관계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인식, 자녀양육에 있어서 확고한 가치관이나 목표설정 등 부모 교육에 필요한 내용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3학년에서 6학년의 자녀를 둔 한국 거주 어머니 135명, 캐나다 이민자 어머니 113명, 그리고 캐나다 조기 유학생 자녀를 동반한 어머니 90명이었다. 부모신념척도는 본 연구자가 외국의 척도를 번안하여 타당화한 것을 사용하였고, 양육태도를 보기 위해서는 ‘부모와 자녀관계 진단 검사’를, 그리고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빈도, 백분율, 요인분석, Cronbach' α 계수, 변량분석, t-test, 중다회귀분석,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한국 거주 어머니, 캐나다 이민자 어머니, 캐나다 조기 유학생 자녀를 동반한 어머니들 간의 부모신념은 아동중심신념만이 차이가 있었다. 이는 다른 문화권에 살고 있지만 같은 문화배경을 지니고 있는 한국 어머니들의 부모신념에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세 집단 간의 양육태도에는 차이가 있었다. 캐나다 이민자 어머니들이 부정적인 양육태도의 경향이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3) 부모신념은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아동중심신념이 높을수록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의 입장에서 자녀가 스스로 결정하고 자녀의 얘기를 경청해 줄 때 자녀는 스스로 문제해결을 할 수 있고 주도적으로 다른 사람들을 이끌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4) 아동중심신념과 부모중심신념은 양육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문화전달신념은 양육태도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양육태도는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일관성 있는 관계가 나타나지는 않았다. 6) 부모신념은 양육태도를 통해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양육태도가 부모신념과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seeks to explore the Maternal parental beliefs, parenting attitude and children's sense of social competence among Korean mothers residing in Korea and those residing in Canada as immigrants or custodians. By comparing Korean mothers living in Korea and in Canada, this study enables one to understand the possible differences in parenting attitude and whether the differences are attributable to the Korean culture or the differences in their reside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serve as a useful reference for enhancing and understanding parent-children relationships and identifying desirable parenting attitude. The sample consisted of three groups of Korean mothers with children of third to six grade; 135 residing in Korea, 113 residing in Canada as immigrants, and 90 residing in Canada accompanying their children. The measure of parental beliefs was adapted from similar studies of other countries. Parenting attitude was measured based on the outcome of a diagnostic test of parent-children relationship. A measure of children's sense of social competence was developed. Data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frequency and percentage distribution, factor analysis, Cronbach's α coefficient, ANOVA, t-tes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Parenting beliefs varied only with respect to child-centered parenting beliefs among the three groups of Korean mothers. This finding suggests that the Korean mothers with the same cultural background have similar parental attitude despite the differences in their residence. 2) A difference was found among the three groups with respect to parenting attitude. The immigrant group exhibited the least negative parenting attitude. 3) Parental belief was found to affect the children's sense of social competence. In particular, the stronger the child-centered parenting beliefs was associated with the stronger sense of social competence. This suggests the children of the mothers who listen to them and respect their own decision-making tend to be more capable of solving their own problems and assuming a leadership role. 4) Although child-centered parenting beliefs and adult-centered parenting beliefs were found to affect parenting attitude, cultural-transformation beliefs had no impact on parenting attitude. 5) Parenting attitude and children's sense of competence were found to be associated with each other, but not in a consistent manner. 6) Parental beliefs were found to affect children's sense of social competence indirectly through their parenting attitude. In other words, parenting attitude appears to serve as a medium between parental beliefs and their children's sense of social competence.

      • 봉화군 청옥산의 약용식물 분류

        김명혜 선문대학교 통합의학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약용식물의 탐색과 함께 식물을 이용한 약용산업과 자연치유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하여 경북 봉화군 청옥산에 분포하는 약용식물의 출현 종류 및 활용 분류를 조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청옥산에 분포하는 현대의학(대한민국약전, 10개정판 생약규격집 포함)과 전통의학 (동의보감, 방약합편, 향약집성방)의 약용식물은 총 132분류군이었다. 현대의학의 약용식물은 50과 79속에 딸린 82종 10변종 1품종의 총 93분류군이었고, 전통의학의 약용식물은 46과 80속에 딸린 90종 8변종 1품종의 총 99분류군이었다. 2. 청옥산에 분포하는 전통의학 약용식물 99분류군의 고서별 출현은 향약집성방이 99분류군 (100%)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동의보감 81분류군 (81.8%), 방약합편 67분류군 (67.7%) 순이었다. 3. 봉화군 청옥산에 분포하는 현대의학의 자생 약용식물은 83분류군 (89.2%)이었고, 침입식물은 10분류군 (10.8%)이었으며, 전통의학의 자생 약용식물은 92분류군 (92.9%)이었고, 침입식물은 7분류군 (7.1%)이었다. 4. 약용식물의 과별 분류는 현대의학과 전통의학 모두 국화과 (각각 8분류군)가 가장 많았으며, 생활형별 분류는 현대의학과 전통의학 출현 모두 초본이 목본보다 2배 정도 많았으며, 초본 중에는 반지중식물이 가장 많았다. 5. 약용식물의 이용부위에 따른 분류는 현대의학과 전통의학 모두 뿌리 (각각 34분류군, 33분류군)가 가장 많았으며, 효능용도에 따른 분류는 현대의학과 전통의학 모두 청열약 (각각 24분류군, 22분류군)이 가장 많았다. 6. 청옥산에 분포하는 약용식물 중 현대의학과 전통의학에 모두 나타나는 공통의 약용식물은 총 60분류군 (유사도지수 0.62)이었다. 대한민국약전, 동의보감, 방약합편, 향약집성방에 모두 공통적으로 출현하는 약용식물은 48분류군이었으며, 이들 사이의 약용식물은 동의보감과 향약집성방의 유사도지수가 0.91로 유사성이 가장 높았다.

      • 유아 포트폴리오 평가 개선을 위한 유치원 교사 동료장학 실행연구

        김명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seeking and implementing the ways that kindergarten teachers operate the peer supervision in efficient manners, and figuring out that the peer supervision influences on the teachers. Through this, this study will propose the desirable directions of the peer supervision for kindergarten teachers and provide the guides for improving the children portfolio which is the content of the peer supervision. The questions for this study which were set according to the purposes are: 1. What are the operating ways of kindergarten teachers’ peer supervision for improving children portfolio evaluation? 2. What are change of teacher who took part in the kindergarten teachers’ peer supervision for improving children portfolio evaluatio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3 teachers who worked at public kindergartens in Seoul, and the period of this study was from February 22 to April 30 in 2010. This study progressed by realizing the problems of kindergarten teachers’ peer supervision and seeking the ways to solve the problems, the 1st implementation, evaluating the 1st implementation and seeking the 2nd ways, the 2nd implementation, evaluating the 2nd implementation and seeking the 3rd ways, the 3rd implementation and evaluating the 1st, 2nd and 3rd implementations in order. This study analyzed by the studying question by symbolizing and classifying the copies of conference of the kindergarten teachers’ peer supervision, the dairies of participation and observation, and the copies of in-depth interviews with the teachers. In addition, this collected and analyzed the journals of teachers, the revised children portfolio materials, the weekly and thedaily educational plans applied the evaluating plans, and each kind of material of the participants. The following results are from this study. Firstly, it was the problems that th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mentioned that the peer supervision operated the one-shot type without focusing on the fields, and just concentrated on the open class in an other-directed way as a result, it was not really helpful for teachers. The ways to solve these problems were diversifying the methods and the forms of the peer supervision, and operating them for the teachers to feel success. Furthermore, the focusesof the peer supervision were for improving the children portfolio evaluation resulted from the necessities and requests of the participants, analyzing the problems of the children portfolio and seeking and implementing the ways to solve the problems. In the 1st implementation, this studydiversified the ways of the peer supervision, and carried out making agreements of themes, reading and discussing the professional books, and writing journals. What’s more, this uploaded the journals by utilizing online cafes as well as offline ones in terms of forms of the peer supervision and divided each material and information. The organizations of the peer supervision were grouped by teachers who were in the similar development stages and had interests, and implemented and operated the improvements of the children portfolio by step. This study set the focus of the peer supervision for improving the children portfolio evaluation, built the systematic plans of the children portfolio evaluation, found and implemented the ways to integrate teaching and evaluation, and collected materials by diversifying the contents of the children portfolio. As a result of the 1st implementation, the participated teachers wanted to know about the practical parts about the contents of the peer supervision, and recognized the difficulties of offline meetings. In addition, the ways to improve the portfolio which were contents of the peer supervision were required to be changed. The ways of the peer supervision in the 2nd implementation were reading theses which enabled to know about the practical parts, and implementing the peer supervision by utilizing the online chatting rooms by considering the convenience of the participated teachers. At this stage, the ways to improve the portfolio which were the contents of the peer supervision were changed. As a result of the 2nd implementation, the recent tendencies about the contents of the peer supervision were essential to know. This study realized the necessity to utilize the children portfolio evaluation as the ways to improve the portfolio which were the contents of the peer supervision. The ways of the peer supervision in the 3rd implementationwere reading theses which enable to know the recent tendencies. As the contents of the peer supervision, the materials of the children portfolio evaluation were used for consulting with the parents, and the consulting materialswere collected for the portfolio materials. Secondly, by operating the kindergarten teachers’ peer supervision in effective manners, the knowledgeand techniques of the participated teachers related to the children portfolio evaluation were developed. While collecting the materials of the children portfolio evaluation, the participated teachers developed their understanding about and intimacies with children. Furthermore, they formed the trustable relationship with the parents by consulting with them based on the objective and realistic reasons by utilizing the children portfolio. Also, th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peer supervision improved their self-reflection considerations by participating in the peer supervision in the continuous and various ways, and strengthened their confidence in professionalism as kindergarten teachers. In contrast, they changed their thinking about the peer supervision positively, realized the importance of cooperation, and had the willingness for the new peer supervision for developing its professionalism. This resulted in the cooperative culture which supported the professional growth of the teachers.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들이 유아 포트폴리오 평가 개선을 위한 동료장학을 실행하고, 동료장학 후 교사의 변화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통해 유치원 교사 동료장학의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는 한편 동료장학의 내용인 유아 포트폴리오 개선방향에 대한 지침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연구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 포트폴리오 평가 개선을 위한 유치원 교사 동료장학의 운영 방안은 무엇인가? 2. 유아 포트폴리오 평가 개선을 위한 동료장학에 참여한 교사의 변화는 어떠한가?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시 공립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 3명이며 연구 기간은 2010년 2월 22일부터 2010년 4월30일까지이다. 연구는 유치원 교사 동료장학의 문제점 인식 및 해결 방안모색, 1차 실행, 1차 실행 평가 및 2차 방안 모색, 2차 실행, 2차 실행 평가 및 3차 방안 모색, 3차 방안 실행, 1,2,3차 실행 평가 순으로 진행되었다. 동료장학의 협의회 전 사본, 참여관찰일지, 교사 심층면담 전 사본 자료 등을 부호화하고 범주화하여 연구 문제 별로 분석하였다. 또한 교사들의 저널, 개선된 유아 포트폴리오 자료, 평가 계획이 반영된 주간교육계획안과 일일 교육계획안, 연구 참여자들의 각종 기록 등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자는 동료장학이 수업 공개 중심으로만 타율적으로 내용의 초점 없이 운영되어 교사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지 못하다는 문제점을 인식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점에 따른 해결 방안으로 교사의 다양한 반성적 사고를 자극하기 위해 동료장학의 방법 및 형태를 다양화하였다. 교사들이 적극적으로 동료장학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동료장학의 운영을 단계적으로 실행하였다. 또한 참여자들의 필요와 요구를 반영하여 동료장학의 내용을 유아 포트폴리오 평가 개선으로 정하였다. 1차 실행에서는 동료장학의 방법을 다양화하여 주제 협의하기, 전문서적 읽기, 저널쓰기를 실행하였다. 또한 동료장학의 형태를 오프라인뿐 아니라 온라인 카페를 활용하여 저널을 올리고 공유하였으며 각종 자료와 정보를 나누었다. 동료장학을 성공 감을 느낄 수 있도록 단계적으로 실행하며 운영하였다. 동료장학 내용의 초점을 유아 포트폴리오 평가 개선으로 정하고 유아 포트폴리오 평가의 체계적인 계획을 세우고, 교수와 평가를 통합하는 방안을 찾아 실행하였고 유아 포트폴리오의 내용을 다양화 하며 자료를 수집하였다. 1차 실행의 결과 참여 교사들은 동료장학 내용에 대한 실제적인 부분에 대해 알고 싶어 하였으며 오프라인 모임의 어려움을 인식하였다. 또한 동료장학의 내용인 포트폴리오 개선방안의 수정이 필요하였다. 2차 실행에서 동료장학의 방법 중 주제 협의하기, 저널쓰기와 동료장학의 운영 은 그대로 진행하였다. 수정된 사항으로는 동료장학의 방법에서 실제적인 부분에 대해 알 수 있는 논문읽기를 하였고 동료장학의 형태에서 참여 교사들의 편리성을 고려하여 온라인 대화방을 활용하여 동료장학을 실행하였다. 그리고 동료장학의 내용인 포트폴리오 개선 방안에 대한 수정이 이루어졌다. 2차 실행의 결과 동료장학 내용에 대한 최근 경향을 알 필요를 느꼈다. 동료장학의 내용인 포트폴리오 개선 방안에서 유아 포트폴리오 평가 활용의 필요성을 인식하였다. 3차 실행에서는 동료장학의 방법 중 주제 협의하기, 저널쓰기와 동료장학의 형태, 동료장학의 운영은 그대로 진행하였다. 수정사항으로는 동료장학의 방법에서 최근 경향을 알 수 있는 논문을 읽었다. 동료장학의 내용으로 유아 포트폴리오 평가 자료를 학부모 상담에 활용하였고 상담 내용을 포트폴리오 자료로 수집하였다. 둘째, 유치원 교사 동료장학을 통해 참여 교사들은 유아 포트폴리오 평가에 관련된 지식과 기술이 발달되었다. 유아 포트폴리오 평가를 통해 유아와 더욱 많은 상호작용을 하게 됨으로써 유아에 대한 이해와 친밀감이 형성되었다. 또한 유아 포트폴리오를 활용하여 구체적이고 사실적인 근거에 의해 상담을 함으로써 학부모와 신뢰 로 운 관계를 형성할 수 있었다. 또한 동료장학에 참여한 교사들은 다양한 방법의 동료장학에 참여함으로써 반성적 사고능력이 신장되었고, 유치원 교사로서 자신감이 증진되었다. 한편 교사들은 동료장학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바뀌었고 협력의 중요성을 깨달았으며 교사의 전문적 성장을 지지하는 협력적 문화를 조성하게 되었다.

      • Anderson의 교육목표 분류체계에 따른 학습목표 비교 분석 : 2007 개정과 2009 개정 중학교 3학년 수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김명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Educational objects are to externally express what students want to be changed through educational processes (Bloom, 1956, p.26), and become to propose directions and contents of curriculum compositions because they display what students learn from teachers instructions (Byeon Young-gye, Lee Sang-soo, 2003; Jeong Beom-mo, 1961). On the other hand, 2009 revised curriculum was made by reflecting policy keynotes called conversion to the curriculum that prepared for the era of globalization together with retrospection on overall 2007 revised curriculum, and it was clarifying creativeness and humanity as elementary knowledge and competitiveness to democratic citizens in the 21st century (Ministry of Education and Science Technology, 2009). This study tried in present point of time when revised 2007 and revised 2009 curriculum are being mixed will become a method of confirming which differences are existed between proposing educational objects in 2009 revised curriculum and existing curriculum by using Anderson (2001)’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s, latest revision of Bloom’s classification system and whether educational objectives suitable to purposes and directions of new 2009 revised curriculum are presented to textbooks. In order to achieve above purposes, the study set up issues same as the follows. 1. Whether differences are existed between revised 2007 and revised 2009 curriculum in Grade 3 mathematics textbooks of middle school? 1) Are there differences in educational objects of textbooks by each curriculum? 2) Are there differences in educational objects by 5 scopes (number and algorithm, character and formula, function, probability and statistics, geometry) having been suggested in mathematics curriculum? 2. Are there differences in interpretations of coders (teachers) about educational objects? 3. Are educational objects including cognitive process dimension that has large interpretation differences between coders (teachers) matched with corresponding education contents? This study used a sequential mixed research method. First of all, this study carried out a consensus investigations on 2007 & 2009 revised mathematics textbook for Grade 3 students in middle school through quantitative researches (frequency, ratio, technical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analyzed alternative educational objects by using Anderson (2001)’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The study grasped distribution differences by educational objects between 2007 & 2009 revised curriculum, textbooks, and scopes, and did a qualitative approach compared and analyzed education contents after executing Text analysis as a case of reviewing differences of their interpretations such like how coders (teachers) understood educational objects actually. Also, this study analyzed matching of cognitive dimension levels between educational objects suggested in textbooks and education contents (articles) after confirming differences of interpretation by verbs of educational objects. For solving research issues having been suggested above, the study analyzed collected educational objects based on Anderson (2001)’s knowledge dimension and cognitive dimension, and thus could get following conclusions. The research result of Issue 1 is same as the following. Though distribution differences of educational objects between 2007 revised curriculum and 2009 revised one were not displayed from the knowledge dimension, its differences from cognitive dimension showed significantly. However, levels on knowledge dimension and cognitive dimension were analyzed as not being raised according to revised curriculum. Merely, a fact could be known that statements of educational objects in 2009 revised curriculum became diversified than 2007 revised textbook. The knowledge dimension level on educational objects of probability and statistics was rather lowered at 2009 revision than 2007 revision, and the cognitive dimension level on geometry was shown as being enhances compared to 2007 revision. The result of Issue 2 is as follows. The verb that had the largest differences in interpretations was ‘understand (can understand),’ and the secondary differences were come out from ‘know (can know)’. Educational objects using action verbs that directed detailed behaviors were small in coding kinds, and were shown as having little differences in interpretations, and also the average of coding match ratio on each verb totally used in textbooks displayed 67.17%. The research result of Issue 3 is same as the following. As the result of analyzing verb parts of 1517 articles having educational objects like ‘understand,’ a fact could be known that article levels from ‘1.1 noticing’ as the lowest cognitive dimension to ‘6.3 calculating’ as the highest cognitive dimension were distributed widely and diversely. Specially, the article corresponded to ‘2. understand’ level of Anderson (2001)’s taxonomy system was 40.6% among totals, and was not high in matching degrees of educational objects and learning contents.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based on this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Reconsideration on composing high-level educational objects meeting with revised directions on curriculum is required, and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rticles that contain more diversity, high knowledge, cognitive process dimension could be confirmed. Also, preparing for a method of being able to enhance levels of educational objects that has been stayed in factual knowledge at now is necessary by setting educational objects so as to raise ‘probability and statistics’ unit as reasonable judging tools on a lot of uncertain phenomena. The verb like ‘understand’ having various meanings is necessary to be defined more minutely as detailed forms of student performances showing each object’s characteristics, and linguistic characteristics shall be proposed in addition to mathematical knowledge when mentioning educational objects. In addition, if teachers who are progressing classes with textbooks really participate in setting stages on educational objects among curriculum-developing stages, it could enhance consistency of curriculum by lessening differences of interpretations on educational objects. Furthermore, revision of widening the scope of ‘2. understand’ is required for properly applying Anderson (2001)’s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to mathematics objects in our country. Finally, comparative researches on total processes of mathematics, sequences of instructional objectives by scopes, verbs according to matching degrees between educational objects and learning contents, distributions of educational objects in foreign mathematics textbooks together with sequence researches by scopes of educational objects could be proposed. 교육목표는 학생이 교육적 과정을 통하여 변화되기를 바라는 것을 외현적으로 표현한 것이며(Bloom, 1956, p.26), 학생이 교사의 지도를 통해 무엇을 배우게 될 것인지를 나타내므로 교육과정 구성의 방향과 내용을 제시하여 준다(변영계·이상수, 2003; 정범모, 1961). 한편, 2009 개정 교육과정은 2007 개정 교육과정 전반에 대한 성찰과 세계화 시대에 대비한 교육과정으로의 전환이라는 정책 기조를 반영하여 개정되었으며, 창의·인성을 21세기 민주 시민에게 필요한 소양과 경쟁력으로 밝히고 있다(교육과학기술부, 2009). 2007 개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이 혼재되어 시행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시도되는 본 연구는 Bloom의 분류체계의 최신 개정인 Anderson(2001)의 학습목표 분류체계를 이용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이 제시하는 학습목표가 기존 교육과정과 어떤 차이점 있는지, 그리고 새로운 2009 개정 교육과정의 목적과 방향에 적합한 학습목표가 교과서에 제시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한 방법이 될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Anderson의 교육 목표 분류체계에 근거하여, 2007 개정과 2009 개정 중학교 3학년 수학 교과서의 학습목표 분포는 차이가 있는가? 1) 각 교육과정 별 교과서의 학습목표 분포의 차이가 있는가? 2) 수학과 교육과정에 제시된 다섯 가지 영역(수와 연산, 문자와 식, 함수, 확률과 통계, 기하)별 학습목표의 분포의 차이가 있는가? 2. 학습목표에 대한 코더(교사)들의 해석에 차이가 있는가? 3. 코더(교사)들 간에 해석의 차이가 큰 인지과정 차원을 포함한 학습목표와 그 해당 학습 내용이 서로 일치하는가? 본 연구는 순차적 혼합연구방법을 사용하였다. 우선 양적 연구(빈도, 비율, 기술통계, 상관분석)를 통하여 2007 개정과 2009 개정 중학교 3학년 수학 교과서를 전수 조사하였으며, 차시별 학습목표를 Anderson의 교육목표 분류체계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2007 개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 간 학습목표 분포와 교과서별 분포, 영역별 분포 차이를 파악하고, 코더(교사)들이 실제로 학습목표를 어떻게 이해하는지, 그들 간의 해석의 차이를 하나의 사례로서 텍스트 분석(Text analysis)하여 교과서의 학습내용과 비교 분석하는 질적 접근을 하였다. 또한 학습목표의 동사별 해석의 차이를 확인해보고, 교과서에 제시된 학습목표와 학습내용(문항)과의 인지과정 차원 수준의 일치를 질적으로 코드화하여 분석하였다. 위에서 제시된 연구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집된 학습목표들을 Anderson의 학습목표 분류체계의 지식 차원(Knowledge dimension)과 인지과정 차원(Cognitive dimension)에 기초하여 분석함으로써 아래와 같은 결론을 얻었다. 연구문제 1의 연구 결과는 아래와 같다. 지식 차원에서 2007 개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서 간 학습목표 분포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인지과정 차원의 학습목표 분포의 차이는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교육과정 개정에 따라 학습목표의 지식 차원 수준과 인지과정 차원의 수준은 높아지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만, 2009 개정 교과서의 학습목표 진술이 2007 개정 교과서에 비해 다양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확률과 통계’ 영역의 학습목표에 대한 지식 차원 수준은 2007 개정보다 2009 개정에서 오히려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하’영역의 학습목표에 대한 인지과정 차원의 수준은 2007 개정에 비해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문제 2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해석의 차이가 가장 큰 동사는 ‘이해한다(이해할 수 있다)’이며, 해석 차이가 두 번째로 큰 동사는 ‘안다(알 수 있다)’이다. 구체적인 행동을 지시하는 행위동사(action verb)들을 사용한 학습목표들이 코딩의 종류가 적고, 해석의 차이도 작게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적으로 교과서에 사용된 각 동사에 대한 코딩 일치비율의 평균은 67.17%로 나타났다. 연구문제 3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해한다’를 학습목표로 갖는 문항 1517개의 동사 부분을 코딩하여 분석한 결과, 가장 낮은 인지과정 차원인 ‘1.1 알아차리기’부터 가장 높은 인지과정 차원인 ‘6.3 산출하기’까지 문항의 수준이 광범위하고 다양하게 분포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Anderson(2001)의 분류체계의 ‘2. 이해하다’ 수준에 해당하는 문항은 전체의 40.6%로 학습목표와 학습내용의 일치정도가 높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토대로 한 결론과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에 부합하는 고차원적인 학습목표의 구성에 대한 재고가 필요하며, 좀 더 다양하고 높은 지식과 인지과정 차원을 담은 문항의 개발이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여러 가지 불확실한 현상에 대한 합리적인 판단 도구로서의 ‘확률과 통계’ 단원의 가치를 높일 수 있는 학습목표를 설정하여, 현재의 ‘사실적 지식’ 수준에 머물러 있는 학습목표의 수준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이해하다’와 같이 여러 가지 의미를 포함하는 동사는 각 목표의 특징을 나타내는 학생 수행의 구체적 형태로 좀 더 상세히 정의될 필요가 있으며, 학습목표 진술 시, 수학적인 지식뿐만 아니라 언어적 특성도 고려하여 제시되어야 한다. 또한 실제로 교과서를 가지고 수업을 진행하는 교사들이 교육과정 개발 단계 중 학습목표의 설정 단계에 함께 참여한다면, 교사들의 학습목표에 대한 해석의 차이를 줄여 교육과정의 일관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Anderson의 교육목표 분류체계를 우리나라 수학과 학습목표에 알맞게 적용하기 위해서는 ‘2. 이해하다’의 범주를 넓히는 수정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수학과 전 과정에 대한 학습목표 비교 연구, 학습목표의 영역별 계열성 연구, 학습목표와 학습내용 간의 일치 정도에 따른 동사별 비교 연구, 외국수학 교과서와의 학습목표의 분포 비교 연구를 제언할 수 있다.

      • 거제 포로수용소의 다크 투어리즘 활성화 방안

        김명혜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다크 투어리즘은 해외에서 시작된 개념으로 해외에서는 1990년대부터 다크 투어리즘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한국에서는 2000년대 제주 4․3사건의 활성화를 계기로 다크 투어리즘의 개념이 도입되었다. 이 중 제주 4․3기념재단 및 기념공원, 5․18기념재단은 지자체의 관련 조례를 통하여 재단의 운영체계를 마련하고 관련 유적지의 보존 및 활용에 관하여 지자체 조례를 통한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각 재단은 워싱턴 홀로코스트 기념관, 폴란드 아우슈비츠 수용소와 마찬가지로 자료의 수집 및 활용, 기념사업 등을 담당하고 있었으며, 한국의 재단들은 사건 관련 유족이나 당사자에 관한 지원 사업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거제 포로수용소는 6.25전쟁당시 거제에 있던 포로수용소를 대상으로 하고 있어 유산관광의 대상지가 되며, 6.25전쟁이라는 역사적 배경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다크 투어리즘의 대상지가 된다. 뿐만 아니라 거제시는 거제 포로수용소 관련 기록물을 세계기록유산에 등재하기 위해 관련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거제시는 관광정책 활성화를 시작하면서 시립박물관, 미술관의 건립, 정글돔 개관, 둔덕기성 활성화 사업 등 각종 문화시설 및 문화유산에 관한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이와 함께 거제 포로수용소 평화파크 조성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거제시는 거제 포로수용소 평화파크 조성사업을 진행하면서 스토리텔링을 통한 콘텐츠 발굴과, 포로수용소라는 어두운 이미지에서 탈피하여 포로들이 음악회, 운동회, 취미생활 등 국제 협약에 의해 자유와 평화를 누렸던 포로수용소라는 세계 유일의 특화된 콘텐츠를 발굴하는 것을 목표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거제 포로수용소의 다크 투어리즘 활성화 방안에 그 목적을 두고 국내외 다크 투어리즘 유산에 대하여 분석하고 거제시와 거제 포로수용소 사례를 통해 거제시의 관광환경 분석과 거제 포로수용소의 현황을 분석하고, 거제 포로수용소의 활성화를 위한 국내외 사례 분석을 통하여 거제 포로수용소의 다크 투어리즘적 활성화 방안을 연구하고자 했다.

      • 제주도 세계지질공원 스토리텔링 콘텐츠 개발사례- 산방산 · 용머리해안 과학 테마북을 중심으로

        김명혜 제주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산방산과 용머리해안 과학 테마북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제주도 세계지질공원 스토리텔링 콘텐츠 개발의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제주도 세계지질공원에 대한 관심 및 호감도를 높이고, 지질명소 산방산과 용머리해안의 가치와 중요성을 부각시키며, 지질명소의 신비성을 알려주는 동시에 관광객의 마음을 설레게 하는 과학 테마북 제작을 통해 제주 문화콘텐츠의 개발 및 활용에 기여하고자 한다. 제주도 세계지질공원 과학 테마북 개발은 제주의 브랜드 가치 향상 및 관광산업과의 연계성을 확보하고 제주도 세계지질공원을 홍보하고 부각시키는 부수적인 효과도 겨냥한다. 따라서 제주의 경쟁력 확보차원은 물론 제주도 세계지질공원의 가치를 홍보하고 관리 보전하는 차원에서도 제주도 세계지질공원 과학 테마북 개발은 매우 중요한 동시에 필요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연구 결과의 신뢰성과 객관성을 위해 현장 답사를 통해 여러 자료를 수집했고, 도민과 관광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010년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스토리텔링학과에서 한국과학창의재단의 융합문화사업의 일환으로 추진한 과학 스토리텔링 프로젝트 중 산방산과 용머리해안 과학 테마북 개발 사례를 참고하였다. 과학 테마북 개발 모형은 스토리 작성의 일반적인 기본전략을 바탕으로 시작-중간-끝의 3 단계로 구성을 시도했다. 또한 내용을 풀어가는 방식에서는 엄마가 아들에게 들려주는 이야기 형식을 사용하였고, 핵심 주제인 산-바다-바람의 상징성을 드러낼 수 있도록 공간을 산방산-용머리해안-해안길로 배치했다. 요컨대 산방산과 용머리해안을 주제로 한 과학 테마북은 산, 바다, 바람이라는 자연을 통해 제주인의 삶과 문화를 융합적으로 조망하는 작업이라 할 수 있다. 한 걸음 더 나아가 제주의 탄생과 관련된 지질명소와 인간의 감성에 자극을 주는 스토리텔링 「제주도 세계지질공원의 스토리텔링 콘텐츠 개발 연구」는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이야기 문화상품의 창출은 물론이고 수요자의 인성과 감성까지 키워주는 교육 자료로도 활용될 수 있다. 제주도 세계지질공원 스토리텔링 콘텐츠 개발의 활성화 차원에서 몇 가지 제언이 필요하다. ⅰ) 제주도 세계지질공원에 대한 지역자산으로서의 가치인식을 촉구하고, ⅱ) 제주도 세계지질공원 인증 후 효과분석 및 구체적인 관리방안 모색을 위한 조사와 연구가 필요하며, ⅲ) 제주도 세계지질공원 과학 테마북처럼 지질명소 관련 스토리텔링 콘텐츠 개발을 활성화해야 하며, ⅳ) 향후 스마트폰과 연계한 스토리텔링 콘텐츠 개발이 필요하다. 스토리텔링 콘텐츠 개발은 시대의 흐름에 부응하는 세계적인 추세이므로, 산방산과 용머리해안의 과학 테마북 개발의 성과는 제주도의 스토리텔링 콘텐츠 개발을 비롯하여 다양한 문화산업 발전의 밑거름이 될 것이다. 궁극적으로 제주도 세계지질공원 스토리텔링 콘텐츠의 개발은 지질자원에 국한되지 않고 생물, 역사, 문화, 고고학 등 다양한 요소를 포괄하여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과 지질관광 코스를 연계시킨 지속가능한 발전 방안을 추진해야 한다.

      • 국내잡지 디자인의 문제점과 개선점에 대한 연구 : 컴퓨터 잡지를 중심으로

        김명혜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21세기 디지털시대로 도래하면서 세계는 글로벌 지식기반경제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인터넷으로 대표되는 정보통신기술분야(ICT :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의 급속한 발전과 지속적인 세계화 확대에 따른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도 디지털 혁명을 표방하며 이미 세계적인 조류에 편승하고 있다. 잡지는 시대의 거울이자 그 사회의 문화를 간직하는 매체이다. 잡지의 역사는 산업혁명 시기부터 발전하기 시작하여 이제는 디지털 콘텐츠를 다루는 정보매체로서의 역할까지 관심이 더욱 증폭되고 있다. 정보사회에서 필요한 수많은 정보와 지식은 이미 나와 있거나 현재 만들어지고 있는 데이터 베이스에 상당부분 의존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21세기의 잡지매체는 그 어떤 분야보다 정보와 지식의 생산과 유통에 중추적인 역할을 해나가야 한다. 이에 본 논문은 변모하는 패러다임에 적응하여 매체로서의 위상을 정립할 수 있는 국내 잡지의 생존전략에 대한 내용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전반적인 잡지계의 현황을 고찰하되 특히 IT업계의 동향을 포착하고 컴퓨터 기반지식을 전달하는 컴퓨터 잡지에 그 중점을 두었다. 2장에서는 문헌을 토대로 잡지 디자인의 역사와, 잡지를 이루고 있는 구조 및 요소에 대해 알아보았다. 먼저 국내·외 잡지 디자인의 발전과정을 도표와 사진으로 시대에 맞게 정리하여 쉽게 이해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 전체적인 잡지 디자인의 연표를 플로우차트(Flow Chart)로 작성하여 자료화가 될 수 있도록 보여주었다. 3장에서는 객관적인 사실을 바탕으로 하여 국내 잡지 흐름속에서 컴퓨터 잡지의 시장 현황에 중점을 두어 살펴보았다. 또 100년 남짓 가파르게 발전한 우리잡지역사에서 그저 묵과했던 국내 잡지 디자인의 문제점과 컴퓨터 잡지 디자인의 현시점을 파악해 보았다. 그 안에는 현 업계에서 몸담고 있는 매체 책임자와의 인터뷰 내용을 참고하여 현장의 실상을 반영하였다. 따라서 이 장에서는 앞의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컴퓨터 잡지가 발전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첫째, 잡지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확립이다. 한국의 우수한 IT기술과 IT도서의 질로서 컨텐츠를 수출하여 고부가가치를 창출한다면 잡지계에도 큰 의의가 될 것이다. 둘째, 생존을 위한 새로운 독자타겟을 설정하고 새로운 시장개척을 해야한다. 중장년층, 여성층, 어린이타겟 잡지도 모색되어야한다. 셋째, On·off라인의 균형있는 콘텐츠 발전이 이루어져야 한다. On·Off라인 매체는 서로 상반되는 매체가 아닌 상호 보완되어야 하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넷째, 다양하고 과학적인 마케팅 툴의 도입이 중요하다. 잡지의 브랜드가 사회적인 공신력을 갖게 되면서 이벤트나 부대사업의 수익구조가 동반되기 마련인 것이다. 최근에는 커스텀매거진(Costomer Magazine), 즉 고객을 위한 맞춤잡지가 등장했으며, 기업의 정보와 독자를 On·Off라인을 넘나들며 조화롭게 연결시키는 방법으로 수익구조와도 연결시키고 있다. 4장에서는 컴퓨터 잡지 디자인의 개선을 위해 해결해야 하는 방안을 점검하다. 이 장에서는 실제 사례들을 자료로 첨부하였다. 각 장의 설명에 도움이 될 만한 외국의 우수 잡지 레이아웃과 국내발행 월간HOWpc, 월간HOW Internet의 레이아웃을 첨부하였다. 또 동종매체 중 비교적 디자인이 간결한 컴퓨터 잡지 6종을 2002년 5월호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따라서 컴퓨터 잡지에 대한 다음과 같은 디자인 개선점을 들 수 있다. 첫째, 제작단가를 합리화시키고 과학적인 경영을 해야 한다. 이에 따른 기획부터 마케팅까지의 개발 프로세스 혁신이 시급하고, 첨단 프로세스를 적용하여 제작원가와 공정기간을 줄이는 방법을 끊임없이 모색해야 한다. 둘째, 광고 단가의 경쟁력을 높여서 아름다운 외형의 잡지를 만들어야 한다. 타 잡지에 비해 높은 CPM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낮게 책정되어 있는 광고단가에서 고단가 전략을 이루어 부피를 줄이고 배열에 있어서도 디자인을 고려해야 한다. 셋째, 체계적인 아트디렉션을 이루어 잡지의 차별화를 이루어야한다. 일관성 있는 타이포그래피 도입은 잡지의 아이덴티티를 유지한다. 컴퓨터 잡지의 비교적 리듬감 없는 기사 성격에 전문지의 면모를 살려줄 수 없는 일러스트레이션의 도입과 콘텐츠를 소화해 내는 일러스트레이터 발굴이 필요하다. 또 촬영비 절감의 차원에서 무분별하게 사용하는 수입 이미지 CD사용을 절제해야한다. 넷째, 프리랜서 인력의 적절한 활용으로 경비를 절감하고 전문인력을 배양해야 한다. 또 아웃소싱된 외주 디자인 스튜디오일지라도 디자인 진행에서 만큼은 아트디렉션의 중심이 바로 서야한다. 본 논문의 결론은 한국의 잡지업계가 20세기형 경영방식에서 벗어나 세계적인 추세에 따라 디지털 시대에 알맞은 잡지양식의 구조에 적극 나서야 한다는 것이며 디지털 기술과의 상호보완적인 관계로 On·off라인의 균형있는 발전방향을 도모해야 한다는 것이다. 컴퓨터 잡지 디자인의 위상이 정립되어 고부가가치를 창출할 지식상품으로서 당당한 매체로 생존하기 위한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 As twenty first century has come, the world has been changed to global knowledge-based industry rapidly. That means competition is getting sharper as rapid improvement of ICT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field, which internet represents, and continuous globalization. Our country also swam digital revolution with the current of the times. Magazine is a mirror of the times and medium of keeping the culture. The history of magazine started to develop in Industry Revolution Age and now the interests in the magazine, which plays a role even as information vehicle dealing with digital contents, is more intensive; To get essential huge volume of information and knowledge in the information oriented society, we cannot but depend on database which has already made or being made. Therefore, in the twenty first century, magazine has to play a pivotal role in production and circulation of information and knowledge more than in any other field. As to the issue, I studied on the strategy for existence of domestic magazine for the firm existence to adjust to changing paradigm. Concerning of current magazine trend overall, I especially read IT business trend and focused on computer magazine which inform basic information of computer. I conducted to research history of magazine design and structure and elements consisting of magazine based on documents at the second chapter. Firstly, I organized charts and photos of domestic and overseas magazine design in chronological order for better understanding its improvements. I also reorganized a chronological table of magazine design into a floor chart for making data. At the third chapter, I focused on the computer magazine market situation in the middle of domestic market based on objective information. I grasped problems of domestic magazine design and current situation of computer magazine design, which has been overlooked over the 100 years its history while it developed rapidly. I wrote that its real situation referring to an interview with a manager working in the industry. In this chapter, I drew up the efficient plan that computer magazine can be improved on the basis of the before-mentioned study results. First, foundation of magazine brand identity is important. It will be meaningful in the magazine industry if it brings high-value added through exporting high-level IT technology and high quality contents of IT books. Second, Targeting a new customer for existence and finding a new market is needed with an effort to make a magazine for just middle and aged bracket, women bracket and children bracket. Third, I suggest that balanced contents development in both online and offline be necessary. Online and offline must be for mutual benefit not for contrary medium each other. Fourth, it is important to introduce of various and scientific marketing tools. As magazine brand has social awareness, it brings incidental earnings such as event and related business. Recently, Customer magazine, which is ready-made magazine for customer, released and also the company information and customer can be connected over online and offline freely. It is related to making money. At the fourth chapter, I was challenged to find the ways to improve computer magazine design appending real cases. 1 also appended layout of well-made foreign magazine and layout of home computer magazine such as 『HOW pc』, and 『HOW Internet, issued monthly. I analyzed six different computer magazines issued May. 2002, which have rather simple and well-made design compared to other magazines. Remedies for computer magazine design are following; First, Publishers need to find the way to reduce the unit cost and do scientific management so that innovation of development process planning to marketing is urgent need. Constant study on reducing unit cost and process working time are necessary as well. Second, Making an effort to issue beautiful covered magazine as enhancing cost-efficiency of advertising is asked. Though computer magazine has high CPM comparing to other marketing mix, its advertisement unit price is fixed low. Accordingly, directors have to work out competitive unit price strategy reducing volume of magazine and concerning design in arrangement. Third, Computer magazine should be differentiated through systematic art direction to others. Coherent introduction of typography keeps identity of magazine. The article in computer magazine is not rhythmic, so they need to introduce illustration to make distinguished professional magazine.,which is specific in certain fields, and find illustrators who are competent for working with huge amount of contents. In the reason of reducing cost of photographing, they do not have to use imported image CD injudiciously. Fourth, publishers would better to employ free-lancers to reduce costs and educate professionals at the same time. Art direction has to be kept in design processing even though it is taken outsourcing activity in design studio. In my thesis, my conclusion is that our magazine industry should go forward with fitted structure in the digital world, global trend, not twenty century's business management. That is, it has to keep balanced development with digital technology in online and offline for mutual benefit. It is essential that we work out the strategy for existence of computer magazine as high value added knowledge products based on good recognition of our computer magazine desig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