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년여성의 대학원 학습경험이 경력전환 과정에 주는 의미

        김나리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47

        국문초록 중년여성의 대학원 학습경험이 경력전환 과정에 주는 의미 김나리 평생교육·HRD전공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대학원 학습경험이 경력전환 과정에 주는 의미를 연구하였으며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원 학습 참여 동기는 무엇인가? 둘째, 대학원에서의 학습경험은 어떠한가?, 셋째, 대학원 학습경험 과정이 경력전환에 미치는 의미는 어떠한가? 이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방법으로 기술하고 분석하였고 연구참여자는 의도적 표집 방법과 눈덩이 표집 방법으로 8명을 선정하였으며, 대면·비대면 인터뷰를 2회 실시하였다. 인터뷰 전에 연구목적, 연구주제를 참여자들에게 설명하였으며 참여와 인터뷰 녹음에 대한 동의를 받고 녹음을 진행하였다. 녹취록 작성 후 개방 코딩으로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코딩을 통하여 도출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중년여성의 대학원 학습 참여 동기는 첫째, 업무와 자신의 변화 필요성을 느낌, 둘째, 새로운 커리어를 추구함, 셋째, 현재 업무의 전문성을 키우기 바람, 넷째, 현재 업무에 도움을 얻고싶음 이렇게 네 가지로 나타났다. 중년여성들은 엄마이자 아내이고 딸이며 며느리 역할을 하는 가정과 현재의 업무와 관련된 사회적 위치에서의 역할, 그리고 학업의 병행에 어려움을 겪었다. 신체적 노화에 따른 체력의 한계와 시간의 제약도 힘든 점이었다. 또한 코로나19 팬데믹이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이루어진 비대면 수업 등으로 참여자들은 대학원 적응이 힘들었지만 동기들, 교수와의 새로운 관계 맺음 속에서 학습 외적으로도 도움을 주고받으며 변화하는 자신을 느낄 수 있었다. 그리고 가족과 지인들의 지지 속에서 학업의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었다. 중년여성들이 학습을 지속할 수 있는 것은 무엇보다 가족의 지지와 학교의 교수자, 동기들과의 관계임을 알 수 있다. 중년여성들에게 대학원 과제와 발표를 준비하는 과정은 자신의 역량을 강화하는 과정이었고 업무와 실생활에 적용하면서 그 힘듦이 긍정적인 변화를 주었다. 참여자들은 대학원 졸업 후 석사학위라는 타이틀과 전공 관련 자격증 취득으로 외부로부터의 인정, 본인의 높은 자신감 등을 기대한다. 강의 속 이론적으로 깊이 있는 내용뿐만 아니라 학습 준비과정에서의 역량 강화는 현실 지향적인 중년여성 학습자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참여자들은 대학원 학습경험을 통해 졸업 후 경력전환을 고려하거나 현 업무를 유지함을 고려하고 있다. 여기에서 초기의 대학원 학습 참여 동기가 바뀌어지기도 했다. 참여자들은 전문성을 더 키우고 깊이 있는 배움을 위해 박사과정 진학을 준비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또한 현재 업무를 유지하면서 분야와 대상의 확장을 계획하기도 하며, 취득한 자격증으로 새로운 곳으로 취업도 준비중이다. ABSTRACT The Meaning of Middle-aged Women’s Graduate school Learning Experience on Career Transition Process Kim, Na Ri Major of Lifelong Education & HRD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oongsil Universit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meaning of the graduate course experience of middle-aged women in the career transformation process.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 First, what are the motives for participating in graduate courses? Second, how is the learning experience in graduate school? Third, what is the meaning of the graduate course experience process on career transformation? Qualitative research was implemented for this study and the 8 participants were selected by purposive sampling and snowball sampling. contact & non-contact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each participant twice. The researcher explained the purpose and subjects of the study to the participants before the interview, and the participants agreed with the participation of the study and record of the interview. The data were analyzed by open coding after the recorded tape is made, and the following research results were drawn from the coding. First of all, the motives of middle-aged women were the improvement of the ability related to the current career, necessity of current work's expansion, and seeking for a stable career. Middle-age women have been struggling with the gap between the family role as a mother, wife, daughter, and daughter-in-law and their role in the social position related to their current careers. They have had to take these roles while pursuing their studies. physical limits and restricted time became another difficulty. Furthermore, the participants revealed that they felt difficulty to adapting to the non-contact lectures in the exceptional situation called 'pandemic'. However, they answered that they felt a change from the new relationship with the class of the same semester and professors as well as their help. The support from family also helped them to overcome these difficulties. The answers of the survey revealed that the support from family and relationships between friends and professors help middle-aged women to carry on the course. For them, the preparation for assignments and presentations is the process of improvement of their abilities and they applied the results of the preparation to their work and real life. The difficulties they felt made a positive change in their lives. The participants expect high self-esteem and acknowledgment from outside with their master's degree and licenses related to their majors. Not only the thoughtful theoretical contents of the lectures but also the ability improvement from the preparation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reality-oriented middle-aged female learners. The participants have considered both career transformation and retainment of their careers from the graduate course experience. Sometimes their early motives of participation in the graduate course have been changed. The participants showed themselves preparing to enter a doctoral program to improve their professionality and learn more thoughtful content. Moreover, they planned the expansion of the area and target of their current work or prepared for the new employment with the licenses they acquired.

      • 금속 산화물 나노입자 표면에 대한 무결점 코팅 기술 개발 및 이의 화장품 적용

        김나리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에서는, 금속 원자와 배위결합을 이루며 중합이 가능한 유기물 단량체(polymerizable chelating agent)를 사용한 새로운 표면 처리 기술을 개발하여, 금속 산화물 나노 입자 표면에 결함이 없는(indefect) 코팅 박막을 형성시켰다. 이를 통해 분산안정제의 사용 없이 고농도의 균질한 분산을 가능하게 하고, 입자의 재응집을 억제하여 분산안정성을 개선시켰다. 금속 원자와 배위결합을 이루며 중합이 가능한 유기물 단량체(polymerizable chelating agent)인 2-(acetoacetoxy)ethyl methacrylate(AAEMA)를 다양한 반응 비율로 titanium dioxide 나노 분체와 반응시켜, titanium dioxide 입자 표면에 결함이 없는(indefect) p-AAEMA 코팅박막을 형성시켰다. 표면 처리가 된 titanium dioxide 입자의 형태는 TEM을 통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단량체의 양이 증가할수록, 코팅 박막의 평균 두께는 두꺼워졌다. FT-IR 측정을 통해 코팅 박막의 구조를 분석한 결과, AAEMA는 금속원자와 배위 결합하고 중합됨으로써 titanium dioxide 입자 표면에 p-AAEMA 코팅 박막으로 형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표면 처리의 무결성(indefect)은 유기물 색 변화에 의한 광촉매 활성 측정으로 확인하였다. 박막이 형성된 나노 입자는 수상과 유상에 각각 50 wt%의 고농도로 균질한 분산이 가능하였고, 시간 경과에 따른 입자 사이즈 변화가 거의 없었다. 또한 표면 처리가 된 titanium dioxide가 표면 처리가 되지 않은 titanium dioxide보다 표면 전위가 크며, 분산매의 pH가 높을수록, p-AAEMA에 사용된 단량체 양이 많아질수록 입자 표면 전위가 더욱 증가되어 분산 안정도가 더 향상되어질 것으로 예상되었다. 박막의 두께에 따라 분체의 색상변화가 나타났으며, 이는 확산반사스펙트럼을 통해 380 ~ 500nm 파장대의 흡수율 증가 때문으로 설명되었다. 이러한 특징을 토대로 p-AAEMA가 코팅된 titanium dioxide 분체는, 자외선 및 블루라이트의 차단 소재로써 활용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new surface modificaton technique using a polymerizable chelating agent. This enables homogeneous dispersion at a high concentration without the use of a dispersion stabilizer, and suppresses re-aggregation of particles to improve dispersion stability. The reaction of 2- (acetoacetoxy) ethyl methacrylate (AAEMA), a polymerizable chealating agent coordinating with metal atoms, with titanium dioxide nanoparticles at various reaction ratios yielded indefect p-AAEMA film. The morphology of modified titanium dioxide particles surface was analyzed by TEM. As the amount of monomer used in the preparation was increased, the average thickness of the coating film was thicker. As a result of FT-IR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AAEMA was formed as a p-AAEMA coating film on the surface of titanium dioxide particles by coordination bonding with metal atoms and polymerizing. Indefect of surface treatment was confirmed by photocatalytic activity measurement by organic color change. The nanoparticles coated with p-AAEMA were able to homogeneously disperse at a high concentration of 50% in water phase and oil phase, respectively. And there was little change in particle size with time. Also, titanium dioxide coated with p-AAEMA has a higher surface potential value than non coated titanium dioxide. And when the pH of the dispersion medium is high and the amount of the monomer used is large, the surface potential value is further increased and the dispersion stability will be enhanced. The color change of the powder was shown by the thickness of the film. It was explained by the increase of the absorption ratio of the 380 ~ 500nm wavelength band.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it is considered that the titanium dioxide powder coated with p-AAEMA can be used as a blocking material for ultraviolet light and blue light.

      • 첫 자녀를 양육하는 미술치료사의 아동미술치료 체험 연구

        김나리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미술치료사에게 있어 첫 자녀를 양육하는 과정은 생의 중요한 전환기를 맞는 것이며, 신체적 심리적인 환경의 변화를 맞이하는 일이기에 이는 미술치료사로서의 전문가적 자질을 재형성하는 과정이다. 첫 자녀를 양육하는 미술치료사는 아동미술을 수행하는 과정을 통해 개인적인 통찰과 전문가로서의 성장의 기회를 갖는다. 따라서 미술치료사의 개인적 삶의 경험이 임상현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다루는 것은 임상현장에 있는 미술치료사에게 필요하다.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미술치료사는 내담자에게 안전한 환경을 만들어주어야 하는데, 자신의 행동, 태도, 감정 등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계속해서 자신의 상태에 대해 인식하고 있는 것이 필요하다. 아동 미술치료에서는 내담자와 치료사의 관계가 치료의 성공여부에도 크게 영향을 미치게 된다. 따라서 미술치료사가 자신의 자녀를 양육하면서 겪는 내적 갈등은 내담자를 만나는 중에 드러날 수 있고 내담자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아동 내담자와 자녀 사이에서 일어나는 역동들을 점검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 자녀를 양육하는 미술치료사가 아동미술치료를 수행하는 경험을 다루고, 그 과정에 대한 체험의 의미를 이해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첫 자녀를 양육하는 미술치료사가 아동미술치료를 수행하는 경험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를 돕고, 미술치료사가 첫 자녀를 양육하며 아동미술치료를 수행하는 과정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둔다. 미술치료사가 처음으로 자녀를 양육하는 과정에서 야기되는 다양한 문제를 이해함으로써 여성미술치료사만이 가질 수 있는 출산과 양육과정에 대한 올바른 경험과 자원을 제공하고 아동미술치료를 수행하며 임상미술치료에서 전문성을 갖고자 하는 임상미술치료사의 교육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문제는 “첫 자녀를 양육하는 미술치료사가 아동미술치료를 수행하는 그 체험의 의미는 무엇인가?”이다. 본 연구는 첫 자녀를 양육하는 미술치료사가 아동미술치료를 수행하는 체험을 생생하게 보여줌으로써 그 의미와 본질을 이해하기 위해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이는 첫 자녀를 양육하는 미술치료사가 아동미술치료를 수행하는 과정에 대한 반성을 한다는 점에서 이미 겪은 체험에 대한 회고적인 반성과정인 본 연구 방법론과 일치한다. 따라서 아동미술치료를 수행하는 미술치료사가 첫 자녀를 양육하는 체험에 적합한 연구방법론으로 보았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아동미술치료를 수행하며 첫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미술치료사 13명으로, 모두 석사학위를 취득하고 임상현장에서 최소5년에서 최대8년을 활동하고 있다. 연구 참여자는 만6세 이하의 영유아기 자녀를 둔 여성 미술치료사이며, 출산 후 법정 출산휴가 기간만 휴직한 뒤 바로 복직하여 아동미술치료와 자녀 양육을 함께하고 있다고 보고하였다. 심층면담은 2015년 6월부터 10월까지 5개월 동안 진행되었고, 1~3회까지의 심층면담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자는 자료 수집과정으로 첫 번째 연구자의 경험을 기술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첫 자녀를 양육하는 미술치료사의 아동미술치료 체험은 어떠한 것이며, 그 체험이 미술치료사에게 주는 의미는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형성하였다. 자료 수집은 본 연구자의 경험과 심층면담, 문학 및 예술작품에 걸쳐 이루어졌다. <아이와 첫 만남 그리고 현실과의 만남>, <첫 아이가 주는 책임감과 행복감 사이에 섬>, <엄마와 미술치료사 사이에서 끊임없이 고민함>, <멋진 미술치료사로 나를 느끼길 원함>, <아동 미술치료 안에서 내 아이를 느낌>, <첫 자녀 양육경험이 아동미술치료 안에서 살아있는 지식으로 녹아듦>, <미술치료사로서의 성장과 발전에 목말라 함>, <미술치료사인 나를 탐색하고 점검하고자 노력함>, <아이와 함께 성장하는 미술치료사 엄마>, <미술치료사로서 아이에게 다가감>으로 총 10개의 본질적 주제와 33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첫 자녀를 양육하는 미술치료사는 심리적 불안과 갈등 신체적 고단함을 나타냈고, 이 과정을 통해 자신과 아이에게 적합한 어머니상을 형성하며 강인함을 얻게 되었다. 둘째, 아동미술치료를 수행하며 첫 자녀를 양육하는 과정을 통해 미술치료사로서, 그리고 엄마로서의 역할의 균형을 이루기 위한 내적 통찰을 통해 미술치료사로서, 엄마로서 성장의 기회가 되었다. 셋째, 첫 자녀를 양육하는 미술치료사가 아동미술치료를 수행하는 과정을 통해 자신의 욕구를 인식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느낌과 동시에 미술치료사로서의 긍정적인 성장의 계기를 맞았다. 본 연구는 미술치료사가 첫 자녀를 양육하는 과정을 통한 자기 문제 인식과 통찰의 기회를 모색하였고 전문가로서의 성장에 초점을 맞춰, 그동안 다루어지지 않았던 미술치료사의 양육경험과 아동미술치료 경험에 대한 기초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미술치료사의 재교육 프로그램의 기초 자료가 될 것이며, 결혼과 출산을 경험한 미술치료사나 앞으로 경

      • ARP filtering 알고리즘을 통한 강화된 ARP poisoning 방지 기법

        김나리 崇實大學校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general, ARP (Address Resolution Protocol) is the protocol designed to verify hardware address and IP address of the nodes which is configure the network, it is used to find someone's MAC address using the specific IP address on an Ethernet network and it does not support mutual authentication during the packet is exchanging, got a crucial structural defects, so it easy to get network attack called ARP Poisoning. ARP Poisoning is exploited as a variety of hacking techniques,and continually causing more damage. There is many study to prevent attack using ARP poisoning, but it needs the modification of existing protocols, or require additional expensive equipment so it is difficult to apply in practice. In this paper, propose effective ARP poisoning defense mechanism without changing existing network protocols, Proposed mechanism is using some sort of Agent which acts as a firewall to filter the ARP packet so it can have the ability to prevent ARP poisoning. In this paper, the first it prevent to communicate other subnet thorugh the gateway which is using to ARP poisoning, Second, it prevent ARP poisoning attacks in the subnet. the end, it prevent PC using by attacker to do ARP poisoning attack the other PC. 일반적으로 ARP는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들의 하드웨어 주소와 IP 주소를 확인하기 위해 고안된 프로토콜로, 본래 이더넷 네트워크상에서 특정 IP 주소를 갖는 상대 사용자의 MAC 주소를 찾는데 사용되는 것이며, 패킷을 주고받는 상호간의 인증을 지원하지 않는 결정적인 구조적 결함을 가지고 있어, ARP Poisoning이라 불리는 네트워크 공격을 쉽게 받게 된다. ARP Poisoning은 다양하게 악용되는 해킹 기법으로 지속적으로 많은 피해를 일으키고 있다. ARP poisoning 공격을 이용한 침해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기존 프로토콜의 수정이나 고가의 장비 추가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실무에 적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기존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변경 없이 쉽게 적용 가능한 효율적인 ARP Poisoning 방어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기법은 일종의 방화벽 역할을 하는 에이전트를 이용해 ARP 패킷을 필터링하여 ARP poisoning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본 논문에 에이전트는 ARP 패킷을 필터링하여 패킷에 포함된 IP/MAC을 단말이 ARP table에 포함하고 있는 IP/MAC과 비교하여 필터링하여 첫째로 ARP poisoning에 이용되고 있는 게이트웨이를 통해 서브넷 이외로 통신이 이루어지는 것을 막으며, 둘째 서브넷 안에서의 내부 공격에 의한 ARP poisoning을 방지하며, 마지막으로 자신의 PC가 공격자의 공격에 이용되어 ARP Poisoning하는 것을 막는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기법은 기존의 기법들이 특정 서버나, 프로토콜이 구성되어 있는 망에서의 보안만 가능 했던 단점을 벗어나 제안한 에이전트가 설치되어 있는 단말은 어느 망에서나 단말의 ARP poisoning을 막을 수 있다.

      • 무의식의 이중 구조를 통합한 표현방법 연구

        김나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은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한 사람으로서 연구자의 작품들이 어떻게 무의식의 이중구조를 통합하고 표현하고 있는가에 관한 시각적 표현에 관련한 연구이다. 연구자는 융(Carl Gustav Jung, 1875~1961), 라캉(Jacques Marie Émile Lacan, 1901~1981) 등에 의해 설명되어 온 무의식(unconscious)과, 페르소나(persona) 의 개념으로 현대 사회에서의 주체를 어떻게 규정하고 있는가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들의 연구를 토대로 페르소나로 설명될 수 있는 사회화된 주체와 라캉의 개념에 따른 거울단계 이전 주체와의 자기 자신 간의 관계에 대해 분석해 하였다. 이러한 분석은 사회화된 인격과 내면에 존재하는 인격 간의 차이를 구조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주체의 두 가지 구조 양상에 대한 연구는 결국 이 둘 간의 통합의 시도, 다시 말해, 새로운 ‘자기(self)’라는 통합된 주체 가능성을 작품을 통해 시각적으로 구현해 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연구자는 사회적 자아와 내면의 자아 사이의 통합을 구현하기 위한 소재로써 인물의 변형태인 인형을 사용한다. 인형은 그 형태가 그로테스크(grotesque)와 아브젝시옹(abjection)이라는 개념으로 설명할 수 있는 제작 과정을 거친다. 인형이 갖는 이중적 의미와 왜곡과 변형의 방법에 대한 미술사적 근거는 인체형의 과장된 변형을 주로 사용하는 작가들인 한스 벨머(Hans Bellmer, 1902~1975), 채프만(Dinos Chapman, 1962~, Jake Chapman, 1966~)을 선행 연구 작가로 살펴보았다. 작품의 소재인 인형들은 표정을 통해 의도나 성격을 드러내는 캐릭터화된 인물들이다. 이들은 오브제로써의 인형(doll)과 변형된 인물인 인형화(humanlike)의 두 가지 양태로 나타난다. 그리고 이들에 대한 비유의 대상으로 영화 주인공 마틸다(Matilda)라는 인물을 가져왔다. 마틸다 연작은 드로잉과 판화기법을 응용한 회화, 오브제를 이용한 설치물 등 다양한 기법을 통해 표현되었다. 회화와 오브제, 설치 작품에서 사용하는 왜곡과 변형의 방법으로는 디폼(deform), 인폼(inform), 리폼(reform)의 세 가지 개념을 통해 특성이 설명된다. 본 논문은 본인을 포함한 현대인의 주체 구조를 논리적으로 인식하고 이를 이중 구조로 파악한 후, 인형이라는 시각적 대리물을 통해 이 둘 간의 통합을 시도한다. 이러한 행위를 통해 보다 명료한 자기 인식과 시각예술 표현에 있어서 새로운 영역과 방법을 모색한다. This study is on the author's integration and expression of the dual structure of unconsciousness, in visual format, as a person living in modern society. The author examined how a human being is defined in the modern society through the concept of "unconsciousness "or "persona" which is explained by Carl Gustave Jung (1875~1961) and Jacques-Marie-Émile Lacan (1901~1981). Based on their studi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ized being that can be explained by persona and the "self" - the state before Lacan's so-called "mirror stage" - was analyzed. Such analysis enables the systematic recognition of differences between socialized and inner character. The study of the dual structural aspects of a human being is ultimately an attempt to integrate the two, in other words, an attempt to visually implement a new integrated identity called "self" in artworks. The material used to embody such synthesis between the social self and the inner self are dolls; the small-scale figure of a human being. The dolls go through the production process that can be described in the concept of "grotesque" and "abjection". For the research on the dual meaning of dolls and their historical basis on the method of distortion and deformation, Hans Bellmer (1902~1975), and the Chapman brothers - Dinos Chapman (1962~) and Jake Chapman (1966~) - were chosen as the leading artists to be considered. The dolls, consumed as the material for the author's artworks, are characterized figures that show intent or personality through facial expressions. They appear in two forms; doll as an object, and as the deformed figure in human-like appearance. Also, as a metaphorical subject to all this, brought in was the character "Matilda" from Luc Besson's film, <Léon: The Professional> (1994). The Matilda series was created through various techniques such as drawing, printing, installations, etc. For the methods of distortion and deformation used in painting, object, and installation works, the three concepts of deformation, reformation and information explains the process. This paper logically recognizes the identity of a modern citizen including the author, understands the identity in double structure, and attempts to integrate the dual structure using the visual surrogate of the doll. Through such effort, clearer self-awareness is sought after, along with new areas and ways of expressing visual art.

      • 체험활동 중심의 수학 학습이 학생들의 수학 학업성취도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나리 광주교육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수학은 21세기 과학기술의 급속한 발달에 토대가 되었으며 학생들의 논리적 사고력, 창의적 문제 해결력 등을 신장시켜주는 핵심 교과이다. 그러나 많은 학생들에게 수학은 단순히 공식을 외워서 문제를 푸는 과목, 또는 재미없고 어려우며 일상생활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 불필요한 과목으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다. 교육과학기술부(2012)는 수학교육의 문제점을 개선시키고자 ‘수학교육선진화 방안’을 발표했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쉽게 배우고 재미있게 익히는 수학’, ‘더불어 함께하는 수학’, ‘생각하는 힘을 기르는 수학’을 시행함으로써 자신감과 수학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기르기 위해 학교 수학교육의 변화를 시도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제 2차 수학교육종합계획’(2015)은 ‘배움을 즐기는 수학교육’을 목표로 세워 발표하였다. 학생들이 수학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향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체험‧탐구 중심의 수학교육’을 강조했다. ‘체험과 탐구 중심의 수학교육’이란 다양한 수학체험활동이다. 탐구‧체험 중심의 수학체험활동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수학에 대한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었다. 21세기를 살아갈 우리 초등학생들에게 수학은 타교과와 매우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음을 이해시켜야 한다. 실생활의 상황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수학은 반드시 필요로 한다는 것을 깨닫도록 해야 한다. 지식과 이해만을 강조하는 수업은 지루하고 발전적이지 않다. 하지만 자신이 직접 체험하며 이해한 지식은 오래 기억된다. 논리적이며 추상적인 수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직접적인 경험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체험학습의 수학을 교수·학습에 적용, 그 결과를 분석하여 수학학업성취도와 수학적 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초등학교 2학년 수학과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수학적 체험활동에 적용할만한 학습요소를 선정하고 체험학습 중심의 수학학습을 구안하였다. 체험활동 중심의 수학학습을 교수·학습에 적용하고 결과를 분석하고자 연구의 대상은 광주광역시 소재의 S초등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사전 수학학업성취도 검사를 실시하여 본 연구자가 지도한 실험반 25명과 동질집단인 비교반 1개 학급 25명을 선정하였다. 수학과 수업에 있어 체험활동 중심의 수학학습을 적용한 실험반과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수학학습을 적용한 비교반 간의 학업성취도 검사는 단원평가지를 이용하여 검사하였다. 한국교육개발원(1992)에서 개발한 검사지를 이용해 수학적 태도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2학년 수학과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재구성하여 체험활동 중심의 수학학습을 통한 교수·학습 방법의 적용은 수학학업성취도 신장에 효과적이었다. 둘째, 체험활동 중심의 수학학습은 생활 속에서 직접 탐구하고, 수학적 원리를 발견해 봄으로써 학생들의 수학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었다. 이외에 체험활동 중심의 수학학습은 실생활 속에서의 주제를 선정하였으며, 학생들이 생각한 것을 이야기 해보는 일련의 과정은 수학적 의사소통능력 신장에 효과적이었다. 이 연구에서 나타난 체험활동 중심의 수학 교수·학습은 수학적 학업성취도에 효과가 있었다. 수학적 태도와 수학적 의사소통능력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앞으로 체험활동 중심의 수학학습에 다양한 수업 자료가 개발되어 수업에 활용되었으면 한다.

      • 직장여성의 건강보조식품 섭취실태

        金나리 淑明女子大學校 傳統文化藝術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scertain the response to the intake of health supplement foods according to employment status in order to contribute to the proper intake of health supplement foods for the health improvement of Korean citizens. The survey respondents were female in their twenties to forties, residing in Seoul or part of the Kyunggi region. Currently employed and unemployed women were compared.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test scores, actual intake status and lifestyles were gauged. This study attemptedto determine if employment status affected the intake of health supplement foods. Within the survey, the largest majority of respondents agreed correctly with the statement, "health supplement foods are advantageous to the human body." The item that received the most incorrect responses was "Ginseng products are health supplement foods." Among the 25 test questions, the majority answered 11-15 correctly. Employment status and intake status did not have much effect on the test score. However, as education level increased, so did the test scores. 354 respondents (88.5%) said that they have taken at least one kind of health supplement in the past year; 46 respondents (11.5%) said that they have not. 167 respondents (47.2%) have taken lactobacillus 92 respondents (26%) have taken green plum extract. Among employed respondents, 107 (30.0%) have taken lactobacillus and 60 (16.9%) have taken enzyme products. Among unemployed respondents, 60 (16.9%) have taken lactobacillus and 42 (11.9%) have taken green plum extract. As for the reason why they take health supplement foods, 163 respondents (40.7%) said "to improve health" 143 (35.8%) respondents said "to supplement nutrition." Examining motives for intake, 142 respondents (35.4%) said because of encouragement from family and friends 66 respondents (16.5%) said from reading the newspaper, magazines and books. When examining the place and method of purchasing health supplement foods 123 respondents (30.0%) purchased from a pharmacy, 69 respondents (17.2%) purchased from a visiting salesperson. After intake, when investigating the subjective effect, 254 respondents (63.5%) reported"Just OK," and 92 respondents (23.0%) said their health improved. When examining the one-time purchase price, 138 respondents(34.4%) paid W50,000-100,000; 102 respondents (25.5%) paid W20,000-40,000. For frequency of intake, 217 respondents (54.2%) said one type, 120 respondents (30.0%) said two types. When asked if the price was reasonable, 234 respondents (58.5%) said the price was expensive, 81 respondents (20.2%) said it was reasonable. Examining reasons for not taking health supplement foods, 18 respondents (4.5%) said they couldn't rely on it to improve health, 11 respondents (2.8%) said that they didn't feel it was necessary for good health. Among the categories: reasons for intake, motives, place and method of purchase, subjective effects after intake, one-time purchase price, average monthly expenditures, frequency of intake, and reasons for non-intake, the responseswere similar between the employed and unemployed groups. There was a relationship between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intake of health supplement foods according to employment status and intake of enzyme products and lactobacillus(P<.05). There was relationship on every level between age and intake of health food supplements(P<.01).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 level and income to intake of health supplement foods. There was a relationship between intake and employment status and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intake and smoking and drinking(P<.01, P<.05). There was also a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intake and sufficient sleep, regular meals and stress management(P<.01, P<.05). Although, ideally, one would think that employed women would be more likely to invest in their health since they have to tend to household duties as well, generally, there was no relationship. And the only things that the working women ingested more were enzyme products and lactobacillus(P<.05). But as age increases the rate of intake was also found to increase(P<.01, P<.05). In a complicated society, eating habits and patterns change, and there can be excesses, overemphasis or lack of items in a diet which can all lead to various diseases. In an effort to contribute in even a small way to promote better health, this report aims to reveal the positive effects of health supplement foods in preventing such modern ailments. This report also attempts to promote health supplement foods as a way to improve one's diet and to educate readers about health supplement foods. 본 연구는 직장유무에 따른 여성들의 건강보조식품섭취실태를 파악하여, 건강식품 및 건강보조식품에 대한 올바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자료를 얻고자 수행되었다. 조사대상자는 서울 및 일부 경기도 지역에 거주하는 20대~40대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고, 현재 직장을 다니고 있는 여성과 직장을 다니지 않은 여성을 비교하여, 인구사회학적 환경, 인지도, 섭취실태, 생활양식를 알아보고, 직장유무가 건강보조식품의 섭취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건강보조식품에 대한 인지도에서 ‘건강보조식품은 인체에 이로운 물질이 있다’는 정답자가 가장 많았다. 인삼제품을 건강보조식품으로 잘못 알고 있는 사람이 오답자로 가장 많았다. 25문항 중 11~15점을 맞춘 사람이 가장 많았다. 직장유무, 섭취유무는 인지도에 별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학력이 높아질수록 인지도가 증가되었다. 최근 1년간 건강보조식품을 한 가지라도 섭취한 적이 있다고 응답한 자는 354명(88.5%)이고, 없다고 응답한자는 46명(11.5%)이다. 전체적으로 유산균 167명(47.2%)이 가장 많았고, 매실추출물 92명(26.0%)으로 높았다. 직장이 있는 사람은 유산균 107명(30.0%), 효소제품 60명(16.9%)순이며, 직장이 없는 사람은 유산균 60명(16.9%), 매실추출식품 42명(11.9%)순으로 높았다. 건강보조식품 섭취이유은 건강증진 163명(40.7%), 영양보충 143명(35.8%)순이며, 섭취동기을 보면, 가족, 친지의 귄유가 142명(35.4%), 신문, 잡지, 서적을 보고 66명(16.5%)순이었다. 구입 장소 및 방법으로는, 약국 120명(30.0%), 방문판매가 69명(17.2%)순으로 가장 많았고, 섭취 후 주관적인 효과를 살펴보면, ‘그저 그렇다’가 254명(63.5%), ‘좋아졌다’가 92명(23.0%)순이다. 1회 구입가격을 살펴보면, 5~10만원이 138명(34.4%), 2~4만원이 102명(25.5%)순이며, 섭취빈도을 살펴보면, 1종이 217명(54.2%), 2종이 120명(30.0%)순이며, 가격만족도를 살펴보면, ‘비싸다’가 234명(58.5%), ‘적당하다’가 81명(20.2%)순이다. 섭취하지 않은 이유를 살펴보면, ‘효과를 신뢰하지 못한다’가 18명(4.5%), ‘건전하므로 필요성을 못 느낀다’가 11명(2.8%)순이다. 직장의 유무에 따른 섭취이유, 동기, 구입장소 및 방법, 섭취 후 주관적인 효과, 1회 구입가격, 월평균지출비용, 섭취빈도, 섭취하지 않은 이유도 비슷하였다.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건강보조식품섭취실태는 연령에 따라 상관관계가 있었으며(P<.01), 직장유무, 학력, 수입은 건강보조식품섭취와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직장여성들은 일과 가사일을 병행함으로써, 건강한 생활을 유지하기 위해 건강보조식품을 더 많이 섭취할 것이라고 여겨졌으나 효소식품과 유산균식품을 제외하고는 직장유무 건강보조식품의 섭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볼 수 있었다. 복잡한 사회 구조하에서 식생활 패턴의 변화로 영양의 과잉, 편중, 결핍 등으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건강보조식품은 어디까지나 식생활의 개선 차원의 식품이라는 사실을 밝혀주고, 소비자들이 건강보조식품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가지고 효능을 효율적으로 관리하여 국민건강 증진에 기여하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남성지배 학과 여대생과 여성지배 학과 여대생의 성역할 정체감, 성역할 갈등과 진로 정체감 및 진로 결정수준과의 관계

        김나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research is aimed at figuring out the difference and relationship of the sex role, the sex role conflict, the vocational identity, and the vocational decision level between female university students of male-dominant majors and those of female-dominant majors. The male-dominant majors and the female-dominant majors were selected as the majors whose male and female ratio was over at least 2:1 based on the statistical data as to the 2009 admission situations for each major, and the number of samples used by this research was a total of 276, consisting of 109 from male-dominant majors and 167 from female-dominant majors. As a research tool, Korean Sex Role Inventory; KSRI was used to measure the sex role, and Sex Role Conflict Scale; SRCS translated in Korean was used to measure the sex role conflict. Korean-version VIS adapting Vocational Identity Scale; VIS, one of the subordinate scales of My Vocational Situation(MVS) was used to measure the vocational identity, and Career Decision Scale; CDS adapted in Korean was used to measure the vocational decision level. This research’s conclusions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nducting the verification of male-dominant majors and female-dominant majors for each variable, it was observed that the female sex identity was meaningfully high at female-dominant majors and there was no difference for the other variables. Second, as a result of conducting a correlation analysis in order to figure out the relevance among each variable in the whole female student group, it was observed that the vocational identity showed the static correlation with the male sex identity and the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female sex identity, and the vocational decision level showed the static correlation with the male sex identity, and the results of such a meaningful relationship were equally confirmed in th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sex role conflict showed the static correlation with the male sex identity. Third, in order to figure out the relevance among each variable of the two groups of male-dominant majors and female-dominant majors, the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from which the vocational identity showed the static correlation with the male sex identity both at male-dominant majors and female-dominant majors, and the vocational decision level showed the static correlation with the male sex identity only at male-dominant majors, and the results of such a meaningful relationship were equally confirmed in the regression analysis. In addition, the sex role conflict showed the static correlation with the male sex identity only at female-dominant major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have the following meanings. First, this research supports the previous researches which showed that those who choose a womanly vocation are higher than those who choose a manly vocation in terms of the female sex identity point. Second, this research found that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female students of male-dominant majors and those of female-dominant majors in terms of the male sex identity, the sex role conflict, and the conviction toward vocation, saying that the vocation conviction level between the two groups is not different and is at a similar state unlike the general expectation that the vocational identity or the vocational decision level is higher if they go to the traditional vocation for the sex role. Third, this research shows that the female sex identity should be studied as a meaningful variable in the future vocation researches by displaying the result that the female sex identity can lower the vocational identity while supporting the previous researches showing that the male sex identity has more to do with vocations as a sex role. Fourth, the result that the higher the female sex identity is at male-dominant majors, the lower the vocational identity becomes present female students with a high female sex identity at male-dominant majors with the problem of how to deal with their own female sex identity and vocational identity without conflicting with each other. On the basis of those results, this research will be able to give a more detailed and effective help by recognizing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o what attention should be given according to an interviewee’s major at a consulting agency in universities or when a vocational consultation for university students is conducted. 본 연구는 남성지배 학과 여대생과 여성지배 학과 여대생의 성역할 정체감, 성역할 갈등과 진로 정체감, 진로 결정수준의 차이와 그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남성지배 학과와 여성지배 학과는 2009년 전공별 입학상황의 통계 자료를 기준으로 남녀 비율이 최소 2:1 이상인 학과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에 사용된 표본 수는 총 276부, 남성지배 학과 109부와 여성지배 학과 167부였다. 연구 도구는 성역할 정체감을 측정하기 위해 한국형 성역할 검사(Korean Sex Role Inventory; KSRI)를, 성역할 갈등을 측정하기 위해 한국어로 번안된 성역할 갈등척도(Sex Role Conflic Scale; SRCS)를 사용했다. 진로 정체감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My Vocational Situation(MVS)의 하위 척도 중 하나인 진로정체감척도(Vocational Identitiy Scale; VIS)를 번안한 한국형 VIS를, 진로 결정수준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한국어로 번안된 진로결정검사 (Career Decision Scale; CDS)를 사용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변인별로 남성지배 학과와 여성지배 학과의 t검증을 실시한 결과 여성지배 학과에서 여성성 정체감이 유의하게 높았고 다른 나머지 변인별 차이는 없었다. 둘째, 전체 여학생 집단에서의 각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한 상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진로 정체감은 남성성 정체감과 정적 상관, 여성성 정체감과 부적 상관을 보였고, 진로 결정수준은 남성성 정체감과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성역할 갈등은 남성성 정체감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셋째, 남성지배 학과와 여성지배 학과 두 집단의 각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두 집단별로 상관 분석을 독립적으로 실시한 결과 진로 정체감은 남성지배 학과와 여성지배 학과 모두에서 남성성 정체감과 정적 상관을 보였고, 진로 결정수준은 남성지배 학과에서만 남성성 정체감과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여성지배 학과에서만 성역할 갈등이 남성성 정체감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아래와 같은 의미를 가진다. 첫째, 이 연구는 여성적 직업을 선택한 사람이 남성지배적 직업을 선택한 사람보다 여성성 정체감 점수가 더 높다는 선행 연구들을 지지한다. 둘째, 남성지배 학과와 여성지배 학과의 여대생들 간에 남성성 정체감, 성역할 갈등, 진로에 대한 확신에 의미 있는 차이가 없으며 이는 성역할에 전통적인 진로로 진학한 경우 진로 정체감이나 진로 결정수준이 더 높을 것이라는 일반적인 예상과는 다르다. 셋째, 이 연구는 진로와 보다 밀접한 관련이 있는 성역할 정체감은 남성성 정체감이라는 선행 연구들을 지지하면서 여성성 정체감이 진로 정체감을 낮출 수 있다는 결과를 보여줌으로써 앞으로의 진로 연구에 있어서 여성성 정체감도 의미 있는 변인으로 연구되어야 할 필요성을 보여 준다. 넷째, 남성지배 학과에서 여성성 정체감이 높을수록 진로 정체감이 낮아진다는 결과는 남성지배 학과에서 높은 여성성을 가지고 있는 여대생들에게 자신의 여성성 정체감과 진로 정체감을 어떻게 하면 상충되지 않게 다루어 줄 수 있는가 하는 문제를 제기한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대학 상담 기관 등에서 여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진로 결정과 진로 정체감에 대한 상담을 할 때, 학과에 상관없이 남성성 정체감에 보다 주의를 기울이면서 특히 여성성 정체감이 진로 정체감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지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며, 여성지배 학과에 다니는 여자 대학생의 경우 남성성 정체감이 성역할 갈등을 높이지 않는지 살펴보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