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김치에 관한 식문화 체험이 김치 섭취에 미치는 영향

        文宣喜 淑明女子大學校 傳統文化藝術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37359

        Nothing is more important than food for peoples living. The way of thinking is changing from eating habits for living to food culture for feeding the mouth. So it is necessary to meet the cultural needs for Korean eating habits by considering modern taste that emphasizes health and an aesthetic tendency. Today the term of dietary culture was frequently used for the contents of common peoples dishes; that is, a very simple daily meal consisting of rice, soup, kimchi, bread, noodles, and so on. Such a daily meal can be called dietary culture in that it is formed by ancestors adapting themselves to using and overcoming natural environments in each country to settle, develop, transform, and hand down eating habits. So this daily meal is regarded as a historical cultural product that is still used. However, we now fail to recognize the daily meal as a concept of culture because we eat it every day. Food must be understood as culture. It is never just a material to provide human life with energy to move the body. It also acts as a mediator between human beings. On this ground, food must be seen as culture. Thus, so is the culture of kimchi. Chemical change and cooking processes in kimchi itself always place it on the material side. However, the cookery and symbols of kimchi form Korean peoples ideals of kimchi. These things put together conclusively resulted in kimchi-making for the winter, forming the current culture of kimchi. Although the increase in the use of processed or cooked foods due to the development of the food industry resulted in the reduction in time for cooking and the increase in convenience, the reduced time for cooking, and increased convenience unfortunately caused traditional foods as cultural heritage to be kept off our menu. An individual eating habit, which isnt formed temporarily, but permanently and has a life-long effect, is very important, particularly, in childhood; however, children today tend to become familiar early with a westernized menu and convenient instant food. As it is important to preserve our specific traditional culture and change it into a product with commercial value in order to survive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with increasing cultural competition, it is indispensible to educate children for traditional food culture. For this reason, this study selected a Kimchi Field Museum as a place to provide children who will lead in this generation in the future with an opportunity to naturally use kimchi typical of Korean traditional foods and a spot for cultural education to uphold the culture of kimchi. This study first intends to refer to literature on kimchi representative of dietary culture and then determines how experiences in food culture of kimchi affect the intake of kimchi among old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visit the kimchi museum. Rather than recommending kimchi as traditional healthful food, children will be made to feel curious about the culture of kimchi through experiences in food culture at a museum and then satisfy their curiosity about eating culture by adding some entertainment. For this study, an experiential group was formed which consisted of old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food culture at the Kimchi Field Museum in Samsung-dong, Gangnam-gu, Seoul, with the control group which consisted of those at Ilwon Elementary School in Ilwon-dong, Gangnam-gu, Seoul who had never visited a kimchi museum. Measured were subjects general properties, actual conditions of the intake and use of kimchi, preference for kimchi, and educational effects of experiences in food culture of kimchi; a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easy sentences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to understand and respond easily. A total of 460 copies, 230 from each group, were collected and analyzed; frequency analysis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subjects general properties; and cross-tabulation analysis x²(p) was conducted to examine differences in awareness of effects of experiences in food culture on the intake of kimchi. Empirical analyses were all implemented at p<.05, p<.01, and p<.001 significance levels; the SPSSWIN 11.0 program was used for statistical processing, thus producing the following results: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food culture at a kimchi museum showed more positive significance in such properties as preference, recognition, and intake of kimchi than the control group. And there were many students who recognized the traditional food, kimchi, as healthful fermented food according to the social tendency of increasing concerns about eating patterns and health in the well-being ag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se a kimchi museum as a learning and educational place to deliver general information on kimchi and make efforts to operate a museum that can move ahead of the times as a communication spot where children can become familiar with kimchi. It is also necessary to use the museum as a place for elementary children to experience dietary culture that meets their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needs, considering their physical, cognitive, and social development, and allow it to play a role of a channel for cultural transmission that helps understand traditional dietary culture, including that of kimchi typical of traditional food correctly and have pride. 음식은 사람이 살아가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 예전의 먹고 살기 위한 식생활에서 요즘은 눈으로 먹고, 입으로 즐기는 食文化로 음식에 대한 사고가 바뀌었다. 본 연구에서는 앞으로 이 세대를 이끌어 나갈 어린이들에게 한국의 전통 음식을 대표하는 김치를 자연스럽게 접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주기 위한 공간으로 김치 문화를 계승하고 있는 문화 교육의 장인 김치박물관의 역할을 진단해 보고 박물관 체험이 김치 섭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서울시 강남구 삼성동에 위치한 김치박물관에서 김치에 관한 식문화 체험을 한 초등학교 고학년생들을 체험군으로 하고, 비체험군으로는 김치박물관을 관람한 적이 없는 서울시 강남구 일원동에 위치한 일원초등학교 고학년생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 측정 도구로는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김치 섭취 실태 및 이용 현황, 김치 기호도 조사, 김치에 관한 식문화 체험에 따른 교육 효과로 구성하였고, 설문지의 내용은 초등학교 학생들이 쉽게 이해하고 응답할 수 있도록 쉬운 문장으로 작성하였다. 집단별 설문지 230부씩 총 460부를 회수하여 분석에 활용하였고,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을 실시하고, 교차분석 x²(p)를 실시하여 식문화 체험이 김치 섭취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집단간 인식 차이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은 모두 유의수준 p<.05, p<.01, p<.001 에서 검증하였으며, 통계처리는 SPSSWIN 1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김치박물관에서 식문화 체험을 한 어린이들은 비체험군에 비해 김치에 대한 기호도 및 인지도, 섭취도 등에서 더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웰빙시대의 식생활 패턴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사회적 추세에 맞게 전통식품인 김치를 건강 발효식품으로 인지하고 있는 학생들이 많았다. 그리고 음식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의 중요성을 잘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식품을 통하여 건강을 증진시키고 질병을 예방하고자 하는 적극적인 자세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김치박물관은 김치에 대한 일반적인 정보 전달을 하는 학습과 교육의 장소로 이용되고, 어린이들이 친숙하게 김치를 접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의 장으로 초등학교 학생들의 신체적, 인지적, 사회 정서적 발달 과정을 고려하여 이들의 발달 특징과 요구(Needs)에 맞게 식생활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장소로 이용되고, 전통음식을 대표하는 김치문화를 비롯해 전통식생활 문화를 올바르게 이해시켜 주면서 자긍심을 갖도록 하는 문화 전승 통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더욱 많은 노력이 기울여져야 할 것이다.

      • 초등학교 특기적성 교육을 위한 가야금병창 연구

        金榮純 淑明女子大學校 傳統文化藝術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37343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특기적성 과목 중 가야금병창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특기적성교육은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정규교과목 이외 방과 후에 학생들의 정서 함양을 목적으로 초·중·고등학교에서 활발하게 실시되고 있다. 이 중 가야금병창은 학습 과정에서 기악(가야금)과 가창활동이 동시에 수행되어 인지력 발달에 도움을 주고, 단체 연주활동을 통해 협동과 사회성을 기를 수 있어 예능교육과 인성교육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교육효과를 지니고 있다. 그러나 가야금병창의 학습활동은 아직까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어 본 연구자는 체계적인 교수방법을 고안해 내고자 경기 남부 수원 일대의 초등학교에서 가야금 및 가야금병창을 지도하는 강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그 결과 환경개선에 관한 문제와 수업방법에 관한 많은 문제점이 나타났다. 가야금 병창의 원활한 수업을 위해서는 프로그램의 적극적인 홍보 및 전공교실 확보를 위해 학교나 교육청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지도자들은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 가야금병창 수업을 체계적으로 진행 할 수 있는 지도방법을 개발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본 연구자의 교육경험을 바탕으로 체계적인 학습내용 및 제재곡을 제시해 보았다. 첫 번째 처음으로 가야금병창을 접하는 학생들에게는 전통음악이 생소하게 느껴지므로 가야금과 병창, ‘전통음악의 음계’, ‘가사’ 등을 쉽게 이해시켜 이질감이 생기지 않는 지도방법을 제시하였다. 두 번째 실제 수업을 진행하기에 앞서 학습내용을 미리 감상해보고, 장단과 리듬을 익히게 한 다음 발성 및 노래를 익히게 하고 가야금 주법을 가르친다. 그리고 마지막 단계에서 병창을 할 수 있도록 체계적 학습방법으로 지도 한다. 세 번째 악보를 사용하되 노래와 주법은 되도록 빨리 암기시키고 학생들에게 지도자의 입모양이나 주법을 따라 부르게 한다. 소리를 낼 때 입모양이 여러 가지 형태로 나타나는데 이 때 잘못된 입모양을 나타나게 되면 음절이나 발성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지도자의 입모양과 주법을 정확히 따라해 바른 자세를 갖도록 지도해야 한다. 네 번째 실기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발표회를 개최하거나 경연대회에 참가하는 것이 좋다. 이로 인해 개인의 실력을 향상시킬 뿐 만 아니라 협동심과 자아 성취감을 느낄 수 있다. 다섯 번째 효율적인 가야금병창 교수를 위해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학생들에게 맞는 눈높이 수업을 진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지도자들은 학생들에게 맞는 제재곡 개발이 가장 필요하고 생각하여 본 연구자는 <개구리 소리> 및 <눈꽃송이> 등을 가야금병창 제재곡으로 개발해 보았다. 이렇게 교육환경과 학습내용 및 방법을 꾸준히 연구한다면 초등학교 특기적성교육에서 가야금병창 교육은 지금보다 더욱 체계화되고 활성화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된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finding ideas to utilize Gayageum-byungchang as a part of extra school activities at elementary schools. Extra school activities are being offered besides regular classes at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to help students to improve their emotional capacities. Gayageum-byungchang, which is offered as one of the extra school activities, is performed by playing Gayageum and singing, and, while performing in groups with other students, it helps students to learn both artistic and humanistic minds. However the extra school activity involving Gayageum-byungchang is not being offered to students in a systematic way, so, to develop a systematic teaching method of Gayageum-byungchang, I have surveyed teachers who teach Gayageum or Gayageum-byungchang at elementary schools in South side of Suwon in Kyonggi. As the result, many problems in the teaching environment that need to be improved and in the method of teaching have been found. To offer Gayageum-byungchang class students in good learning environment, like having a dedicated class room for Gayageum-byungchang, continuing efforts are necessary to get publicities, interests and financial supports from schools and the Offices of Education. Moreover, teachers need a systematic method of teaching Gayageum -byungchang to enhance the educational effects. Therefore, based on my experiences as a teacher, I propose a systematic teaching contents and sample songs to play. First, for the students who encounter Gayageum-byungchang first time, I propose to help them to understand Gayageum-byungchang, scales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lyrics, etc. first, so they can become familiar with Gayageum-byungchang. Second, before practicing, let the students listen recorded music, learn the rhythm of music that the teacher plans to teach, learn the lyrics and vocalization, and techniques to play Gayageum. After going through those steps, students can practice Gayageum-byungchang as the last step of the learning. Third, let the student to memorize the score to practice, and sing and play in correct manner. If students sing in wrong mouth shapes, they can mispronounce the lyrics, and the same goes to the techniques, so they should be coached to play in correct techniques. Fourth, in order to enhance educational effects, teachers should prepare recitals or encourage students to compete in competitions. By engaging in those activities, students can not only improve their quality of performances, but can improve the students' feeling of cooperation and accomplishment. In this study, I have chosen <Frogs' singing> and <Snow flowers> as sample songs for Gayageum-byungchang. If we continue to try to improve the educational environments and contents, Gayageum-byungchang teaching as an extra school activity can be adopted by many schools.

      • 박일훈의 18현 가야금 작품에 표현된 전통적 요소 분석 : <요맹기>·<금빙>·<가락놀음>을 중심으로

        金貞姸 淑明女子大學校 傳統文化藝術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37343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Park, il-hun 18-stringed Gayageum’itself and the Korean traditional elements that are expressed in Park's musical works -<Yomaenggi>·<Geumbing>·<Garak-Noreum>- for 18-stringed Gayageum. Because there are some conventional misunderstanding about his 18-stringed Gayageum, it deal with his instrument and relations between his instrument and his works. The musical scholars and existing studies also strongly reference the Korean traditional elements of Park's works, but it was obscure because it was not analyse in detail. So, this study focuses on how related with his works for 18-stringed Gayageum. The result is as follows. Park's 18-stringed Gayageum is made in 1986 which is extended high tone by adding 6 sting to classical music Gayageum and maintains classical music Gayageum's original shape and tone color by using own silk thread which is material of Dolgoe·Yang - Idu·Budeul·string. Specialfeature is enlarged resonance and lessened unnecessary movement by small and square contact face between Anjok and instrument. By making higher Anjok s height in lower tone to make sound well and useful left hands movement. The Anjok s height of 18th string is 7㎝and lower tensioned 1st string is 8.5㎝. As the result of analysis about <Yomaenggi>·<Geumbing>·<Garak-Noreum> by beat, rhythm, Shigimsae, scale, mode, and form is, Major feature in beat and rhythm is ‘rhythm according to breath’which is when playing the performance of Hanbatang, these pieces revealed relatively long breath ahead of next movement. The other feature is a ‘phenomenon of free rhythm’without any beat which is performed arbitrary by player. <Garak-Noreum> which is expressed feature of beat and rhythm strongly focus on tune, and rhythms of Ganggu are appear in Gayageums melody. Although it is a creative musical work for 18-stringed Gayageum, not to use both hands as much as possible for expression of Shigimsae. In <Yomaenggi> and <Geumbing>, there is a Daseureum part to express momentary deep string play called ‘Nonghyeon’. All three works often used or markedly expressed traditional instrument skills such as Nonghyeon, snapping syncopation, Chuseong, Toeseong, Jeonseong and Yeo-eum. There is a classical musics Shigimsae skill which is two rhythm melody played in second rhythm by Nonghyeon skill in <Geumbing>. In <Garak-Noreum>, there is a lighter Jeonseong than classical music, that shows expansion for traditional skill. In aspect of scale and mode, three works made up with scale of southern regions(Namdo) Gyemyeon scale and Gyeonggi folk song. Although there are something different scale in <Yomaenggi> and <Garak-Noreum>, but the common features of these works are southern regions(Namdo) Gyemyeon scale s melody is appear partially or entirely. All three works are made up with the ‘according to tempo’for the form. Only <Yomaenggi> become gradually faster which is not clear form like a <Geumbing> or <Garak-Noreum>, it started with the Daseureum and become gradually faster. This form is a ‘form according to tempo’. Above mentioned, <Yomaenggi>·<Geumbing>·<Garak-Noreum> contained such a remarkable expression of various characteristics inherent Korean traditional elements for preservation tradition. For this reason, Park's works evaluated that contains traditional elements so much. His effort to maintain traditional elements appeared at this point like adherence to five tone scale of classical music, melody and shape of instrument. Therefore, Parks 18-stringed Gayageum which contains vegetable property tone color is a proper instrument for playing Parks creative works that include traditional elements. 본 연구는‘ 박일훈 18현 가야금’과 18현 가야금 작품 <요맹기>· <금빙>· <가락놀음>을 중심으로 한국음악의 전통적 요소를 분석한 논문이다. 기존 학계 및 연주계에서는 18현 가야금에 대하여 인식이 잘못되어 있어서‘박일훈 18현 가야금’에 대해서 알아보고 그의 18현 가야금 작품과 어떻게 연계되었는지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아울러 박일훈 작품에 대해 기존 연구 및 평론가들의 논평에서는 한국 전통음악의 요소와 특징을 강하게 표현하고 있는 것으로 언급되고 있으나 이러한 평가들은 박일훈 작품에 표현된 전통 음악적 특징에 관한 구체적인 분석연구를 토대로 한 것이 아니어서 모호하다. 이에 본고에서는 <요맹기>· <금빙>· <가락놀음>을 중심으로 한국음악의 전통적 요소가 박일훈의 창작품에 구체적으로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지 살펴 1 9 8 6년 만들어진‘ 박일훈 18현 가야금’은 정악가야금 배열 위에 6현을 추가하여 고음부분을 확장시켰고 돌괘· 양 이두· 부들· 현의 재료인 명주실을 그대로 사용하여 전통가야금인 정악가야금의 모형과 음색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큰 특징으로는 안족이 기존과는 달리 악기와 닿는 면이 적고 그 면이 사각형으로 되어 있어 공명이 커지고 불필요한 움직임이 적어졌다. 안족의 키는 제1현이 8.5㎝인데 비해 제18현 안족의 키는 7㎝로 차이를 두어 장력이 약한 저음 부분의 안족을 높여 소리가 잘 나고 왼손의 움직임이 편리하도록 만든 악기임을 알 수 있었다. <요맹기>· <금빙>· <가락놀음>에 표현된 전통적 요소를 여러 학자들이 언급한 장단 및 박자· 시김새· 음계 및 선법·형식 중심으로 알아본 결과, 장단 및 박자에서 나타나는 특징으로는 악곡마다 한바탕을 연주할 때 다음 곡으로 넘어가기 전 긴 호흡을 하고 들어가는‘ 호흡에 따른 박자’와 정해진 박자가 아닌 연주자 임의대로 진행해 나가는 무장단의‘ 자유리듬’이 보인다. <가락놀음>에서는 장단 및 박자의 전통적인 특징이 가장 뚜렷하게 나타나는데 민속악 장단의 장구 가락이 가야금 선율의 리듬으로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시김새를 표현하기 위하여 18현 개량가야금을 위한 창작곡임에도 불구하고 양손사용을 가급적 자제하였고 <요맹기>와 <금빙>은 진한 농현을 표현하기 위한‘ 다스름’부분이 있으며 3곡 모두 농현, 꺾는 기법, 추성, 퇴성, 전성, 여음으로 소리 내는 기법이 주로 사용되었다. 특징적인 것은 <금빙>에서의 정악에 나타나는 시김새로 한 박인 음은 처음부터 농현하고 두 박인 음은 두 번째 박에 농현하는 기법과 <가락놀음>에서의 전통기법의 확대로 보이는 전통음악에서 사용하던 전성보다 가벼운 전성이 보인다. 음계 및 선법에서는 3곡 모두 남도민요 음계와 경기민요 음계의 선율로 구성되었다. <요맹기>와 <가락놀음>에서는 그 밖에도 음들의 출현도 보이지만 이 작품들은 공통적으로 남도계면조의 선율이 악장 전체나 부분적으로 나타나서 남도민요 느낌이든다. 형식에서는 세 작품 모두‘ 빠르기에 따른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만, <요맹기>는 악장 내에서 점차 빠르게 진행되는 형식으로 <금빙>이나 <가락놀음>과 같이 뚜렷한 형식으로 되어 있지는 않지만 전체적으로 볼 때 다스름으로 시작하여 점차 빠르게 진행하여 급격하게 몰아주는 형식으로‘ 빠르기에 따른 형식’에 해당한다. 이상에서 살핀 것처럼 <요맹기>· <금빙>· <가락놀음>에서는 한국음악의 전통적 요소가 다양한 형태로 많이 활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이유로 박일훈의 창작곡은 전통성이 강하게 느껴진다고 평가받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아울러 그의 작품에서 말하는 전통성은‘ 박일훈 18현 가야금’에서도 전통 가야금의 5음 음계 고수 및 음색과 모형의 형태로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전통적 요소가 많이 나타나는 박일훈의 18현 가야금 창작곡은 전통성을 유지하고 있는‘ 박일훈 18현 가야금’으로 연주했을 때 제 맛을 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전통주 이용 실태 및 활성화 방안

        金瑩周 淑明女子大學校 傳統文化藝術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37343

        Now we are forgetting the taste for korean traditional wine because of foreign wine.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exam the recognition and use for the traditional wine and to consider the problems of traditional wine industry and the plan for its popularization. For the study, general people in Seoul and Gyounggi were surveyed. Among the subjects, 51.3% of males drank once or twice a week and 33.2% of females drank once or twice a month. In their amount of drinking once, 57.9% of males drank one or two bottles of Soju and 23% of females did so. According to the results of survey, males drank more than females. With regard to drinking places, females drank more frequently at home than males while males drank more frequently at other places except home. Males enjoyed drinking in order of Soju and beer and females in order of beer and Soju. Males' favorite wines were in order of Soju, beer and korean traditional wines while females' in order of beer, wine and Soju. Females preferred low-proof wines to males. They answered that they drank traditional wines because the wines had good taste and smell. They enjoyed drinking Ceongju and sorts of Yakju most and then in order of sorts of Takju and fruit wines. They answered that they didn't choose traditional wines because it was difficult to find them. Some people answered that they didn't know. Males wanted to get presents in order of traditional wines, whisky and wine while females in order of wine, traditional wines and whisky. On the other hand, males wanted to give presents in order of wine, traditional wines and whisky. As the result shows, males wanted to use traditional wines as a present while females wine. Among the study subjects, most of them thought that they were proud of traditional wines as a cultural asset while some thought that the wines had not developed yet. And most of them showed that they were interested in the traditional wines over a little more. Males had purchased the traditional wines more than females. The older they were, the more they had purchased. They purchased them to present, to drink themselves and to serve to their ancestors. Considering the side dishes for the traditional wines, they answered that jeon (panfried food) and kimchi were suitable for sorts of takju, sorts of zzim (smothered food) for cheongju and sorts of yakju, and sorts of zzigae (a sort of stew) and tang (a sort of broth) for distilling spirits. The study subjects recognized highly Korean traditional wines in order of Baekseju, Sansachun, Cheongha, Maesilju, Bokbunjaju, Ogapiju, Yidong Makgeolli and Andong Soju while they recognized lowly them in order of Gyemyoungju, Songnoju, Yangonju, Omegisul and Yulju. The wines which had been designated as the traditional wines were recognized less than the wines which had not been designated. The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degree of recognition for traditional wines according to gender and age. Most of the survey respondents didn't know about traditional wines. They thought that in order to develope the traditional wine industry should be improved in order of the following; the places for purchasing and selling them should be increased, skills and management should be supported, a policy for encouraging the industry should be introduced, multi-product developments such as regional festivals and food should be supported, certificate systems should be organized and supported, specific materials should be supplied smoothly, product places of wines should be marked and a system to display their efficacy should be introduced. To popularize the traditional wines, they answered that some policies should be carried out; they should be publicized more intensively, competitive and differential traditional wines should be developed, their qualities should be enhanced, distribution networks should be increased immediately, education proper for them should be made, merchandising for them should be performed and marketing should be intensified. 본 연구에서는 외국산 주류에 밀려 전통주의 맥이 끊겨가고 있는 지금, 전통주에 대한 인식과 이용실태를 살펴보고 전통주산업의 문제점과 대중화방안 등을 고찰해봄으로써 전통주의 활성화를 모색하고자 서울·경기지역의 일반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전통주 이용실태 조사를 하였다. 음주횟수에서는 남자는 51.3%가 일주일에 1~2회 술을 마시고, 여자는 33.2%가 한달에 한두 번 마시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회 음주량은 남자는 57.9%, 여자는 23%가 소주 한병~두병을 마신다고 하였다. 남자가 여자보다 술을 더 자주, 많이 마시는 것으로 나타났다. 음주 장소는 여자는 집에서 더 자주 술을 마시는 것으로 나타났고, 남자는 집 외의 장소에서 마실 기회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즐겨 마시는 술은 남자는 소주, 맥주, 전통주 순이었고, 여자는 맥주, 소주, 와인 순으로 나타났다. 가장 좋아하는 술은 남자는 소주, 맥주, 전통주 순이었으며, 여자는 맥주, 와인, 소주 순으로 답하였다. 여자가 남자보다 도수가 낮은 술을 선호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전통주를 좋아하는 이유는 ‘맛이 좋아서’, ‘향이 좋아서’를 들었으며, 즐겨먹는 전통주는 청주 및 약주류가 가장 많았으며, 탁주류, 과실주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전통주를 선택하지 않은 이유는 ‘구하기 어려워서’, ‘잘 모르겠다’ 순으로 답하였다. 선물로 받고 싶은 술은 남자는 전통주, 위스키, 와인 순이었고, 여자는 와인, 전통주, 위스키 순이었다. 선물로 주고 싶은 술은 남자는 전통주, 위스키, 와인 순이었고, 여자는 와인, 전통주, 위스키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남자는 전통주를, 여자는 와인을 선물로 이용하고 싶음을 알 수 있었다. 전통주 구입경험은 남자가 여자보다, 연령이 높을수록 구입경험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입이유는 선물하려고, 직접 먹으려고, 제사상에 올리려고 순으로 답하였다. 전통주에 어울리는 안주는 탁주류에는 전, 김치가 어울린다고 하였으며, 청주 및 약주류는 전, 찜류가 어울리며, 증류주류에는 국물이 있는 찌개, 탕류가 어울린다고 하였다. 술에 대한 전반적인 인지도는 백세주, 산사춘, 청하, 매실주, 복분자주, 오가피주, 이동막걸리, 쌀막걸리, 안동소주 등의 순으로 인지도가 높았으며, 계명주, 송로주, 향온주, 오메기술, 율주 등은 인지도가 낮았다. 전통주의 인지도가 전통주로 지정되어 있지 않은 술에 비해 인지도가 더 낮게 나타났다. 인지도는 성별과 연령에 따라 차이를 보였으며, 조사대상자 대분분이 전통주에 대해 잘 모르고 있었다. 전통주에 대해서는 자랑스러운 문화유산이라는 생각이 가장 많았으며, 반면에 아직 발전 하지 못한 술이라는 생각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부분이 조금 이상 전통주에 관심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주를 발전시키기 위해 전통주 산업이 우선적으로 개선해야 할 점은 구매, 판매 할 수 있는 곳의 증대, 기술 및 경영지원과 산업육성정책 도입, 지역축제 및 향토음식 등과의 복합 상품개발지원과 인증제도에 연계한 체계적인 지원과 육성, 특수원료의 안정적 공급과 주류의 원료 생산지 및 효능표시제도 도입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전통주의 대중화를 위해서는 홍보를 강화하고, 경쟁적 차별성이 있는 전통주를 개발, 품질을 고급화하여 판매, 보급 할 수 있는 유통망을 증대시켜야 하는 것이 시급하고, 전통주의 올바른 교육과 상품화에 대한 홍보 및 마케팅이 강화 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 해주검무의 춤사위 고찰

        朴徑美 淑明女子大學校 傳統文化藝術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37343

        본 논문은 지금까지 연구가 소홀하였던 양소운의 해주검무를 연구함으로써 해주검무만이 가지고 있는 춤사위들을 사진으로 무보화 하였다. 따라서 춤사위의 특징들을 규명하고 문헌화하여 해주검무의 전통춤으로서의 가치와 이에 따른 앞으로의 가능성을 제시하고 보존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검무(劍舞)는 일명 검기무(劍器舞)라 하는 춤으로 일반적으로 무동(舞童)과 여기(女妓)에 의해 궁중에서 연희를 목적으로 추어진 궁중계열의 무용을 말한다. 또한 한국 춤의 역사라 하여도 과언이 아닐 만큼 검무는 상고시대, 삼국시대와 고려시대 그리고 조선시대를 거쳐 현재의 진주·해주·통영 ·평양 검무 등으로 그 맥을 이어오고 있다. 해주검무는 조선시대 지방감영과 교방청이 설치되었던 황해도 해주지방에서 연희되던 검무로 이 지역은 검무 외에도 명기(名妓)들에 의해 전통예능이 다양하게 연행되었다. 그러나 조선왕조의 몰락으로 궁중여악이 폐지됨에 따라 지방의 교방청도 해체되어, 지방권번을 중심으로 그 명맥을 유지하여 왔다. 이춤의 구성은 원래 2열 2행의 4검무로 이루어져 있으나, 현재는 8검무로도 공연되어진다. 다른 지방의 검무 춤사위에 비해 도약을 하는 동작이 없고 상체의 움직임 보다는 무릎 굴신을 많이 사용하여 춤에 무게감이 있으면서도 반면 칼춤 춤사위의 경우에는 칼을 뿌리는 동작보다는 돌리면서 추는 칼춤사위가 많아 활달한 면도 갖추고 있다. 마주 선 2열 종대, 2열이 겹쳐서 선 1열 종대, 연풍대의 원형 등과 같은 일정한 대형을 갖추고 있다. 장단에 있어서도 지방 특유의 황해도 시나위라는 음악을 사용하여 주로 늦은 타령과 잦은 타령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외에도 같은 동작을 좌우로 반복함으로서, 주요한 동작을 강조하는 동작의 반복성과 작품전체에 걸쳐 일정한 패턴을 유지하면서 춤이 진행되어 진다는 것이다. 이러한 괄목할 만한 춤사위의 특성을 갖고 있는 해주검무의 연구가 결코 소홀해서는 안 될 것이다. 또한 북한에서 조차 사라졌다고 사료되어지는 양소운이 보유한 해주검무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연구 발전시켜 하나의 전통 무용공연예술로의 확고한 자리매김을 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As the photo collection and classification of individual movement of "Yang So-un's Haeju Sword Dance" which has so far been neglected, this paper aims to suggest its values as a traditional dance and preserve its development potential. A sword dance (geommu in Korean) belongs to palace dancing by dancing children and ladies, usually for celebrations. It can reflect the entire history of Korean dancing in a way. Passing through the ancient times, the Three-Kingdom Era, the Goryeo Dynasty, and the Joseon Dynasty, it is breathing alive in the versions of Jinju, Haeju, Tongyeong, and Pyeongyang. Among them, the sword dance originated from Haeju in Hwanghae-do was especially popular owing to the gisaeng school there for training female entertainers good at singing and dancing. With the collapse of Joseon, however, traditional performances and palace music came to a halt. Afterwards, only a few gisaeng clubs have endeavored to preserve Haeju dance. Originally, this included 4 people dancing in a double line and a double file. At present, 4 or 8 people take part. Compared with other local versions, Haeju dance has no leaping movement and uses knees more than upper body to make it look heavy. In addition, rather than throwing ones, there are more sword swinging movements. The formations are a double file facing each other, a single file, and a round form. Shamanic music called Hwanghae-do sinawi based on slow and frequent melodies is used. Another characteristic is the repetition of the same movements left and right to go through the entire dancing in a consistent pattern. In conclusion, the research of Haeju Sword Dance should not be carelessly treated as it holds some valuable characteristics. Even though it is reportedly performed no more in North Korea, Yang So-un's Haeju Sword Dance will have to be studied and developed more so it can take root as one of Korea's proud traditional stage art works.

      • 대전 줄풍류의 전승과 음악적 특징 : 매사(梅史) 이경호 선생 악보를 중심으로

        權貞玉 淑明女子大學校 傳統文化藝術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37327

        In this study, we decoded the『Daejeon Joolpoongryu Hanja (Chinese character) Kooeumbo』which was arranged by Lee Kyung Ho in 1935 and studied about Daejeon Poongryu's transmission style to know about the transmission of Daejeon Poongryu. And to find the Daejeon Joolpoongryu's musical feature focused on the Daejeon, Eeli and the Kookakwon's (Classical Music Institute) Kayaguem melody based on the Lee Kyung Ho's 『Daejeon Joolpoongryu Hanja (Chinese character) Kooeumbo』, Kang Nak Seung's『Hyangje Joolpoongryu Kayageum Jeungbo』and a coauthor Kim Ki Soo and Choi Choong Oong's 『Kayaguem Jeongakbo』by comparing law of tuning, law of oral sound, division of scene, number of rhythm beat, way of rhythm beat, organization tune and melody,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drawn. First, Daejeon Poongryu has been a Youlhoe from the era of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After liberation, YoulKaek (member of Youlhoe) had a Youlhoe in YoulKaek's home without name of Youlhoe until the early on 1960's. Daejeon Jeongakwon which was set up in 1965 was flourishing until in the late 1970's. It made a Choongnam university's Kookak meeting in 1976, taught Daejeon Poongryu and performed local Kookak related events. However, due to the foundation of Daejeon City Kookakwon early on 1980's, it had a off season. And then, a meeting of Hanbat Jeongak was established in 1991 to transmit the Poongryu culture tradition and to cultivate individual's gift. It has been flourished up to now. A music score of the Daejeon Poongryu handed down both Kwanak score which is used in the 1960's and Hyunak score - Daejeon Poongryu Hanja (Chinese character) Kooeumbo and Daejeon Poongryu Hanguel (Korean character) Kooeumbo - which was arranged by Lee Kyung Ho in 1935. Second, Daejeon Joolpoongryu's law of Johyun and law of oral sound are same as those of Eeli's because Daejeon and Eeli utilize Sanjo Kayaguem. In case of Kookakwon, it has Jeongak’s law of Johyun and law of oral sound since it utilizes Jeongak Kayaguem. Therefore in the case of law of Johyun and law of oral sound, Daejeon and Eeli are the same but different to Kookakwon. Third, Daejeon and Eeli is same but different to Kookakwon in Seryungsan · Karakjeji · Sanghyundodri's division of scene. Hahyundodri · Yeombooldodri · Taryung · Koonak's division of scene is all different but the total number of rhythm beat is all the same. Forth, a rhythm of Daejeon Joolpoongryu's Taryung · Koonak was written by hand in score as 8 beat but 12 beat in both Eeli's and Kookakwon's. Actually written by hand in score as 8 beat but due to the ornament, real performance was considered as a 12 beat. The reason can be drawn owing to the different publishing year. Fifth, Daejeon Joolpoongryu's appeared sound from Seryungsan to Taryung is Hwang, Tae, Choong, Im, Moo, Koonak is Hwang, Tae, Ko, Choong, Im, Nam. Tae and Moo are frequently used in Daejeon Poongryu. The reason of Tae's frequent appearance is due to the differences of law of Johyun and passing sound. Different states account for law of Johyun is when the process is going from the Daehwang to Hwang in Kookakwon. Also passing sound is appeared when Hwang is going up to the Choong and Choong is going down to the Hwang. The reason of Moo is the difference method of performance. In the case of using Im 'Dduldong' in Kookakwon, Moo-Im sound is performed as same portion not used 'Dduldong' method. So that sounds are remarkably appeared. Sixth, the melody of Daejeon, Eeli and Kookakwon Joolpoongryu is almost similar but they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due to the differences such as tune method, techniques, melody, rhythm beat, and passing sound etc. In the case of Daejeon two minute rhythm and passing sound are frequently appeared. It is considered as a long rhythm which is appeared in Kookakwon is segmented in Daejeon. 'Sllkidoong', 'Ssaraeng', 'Dduldong', 'Ddul', 'Jeonsung and 'Yuntwingkim' techniques which are observed in Kookakwon are appeared in Daejeon with short rhythm and different sound. 본 연구에서는 대전 풍류의 전승에 대해 알아보기 위하여 대전 풍류의 전승 양상과 1935년 이경호가 정리한『 대전 줄풍류 한자 구음보』를 해제 하였다. 그리고 대전과 이리, 국악원의 가야금 선율을 중심으로 대전 줄풍류의 음악적 특징을 살펴보고자 이경호의『대전 줄풍류 한자 구음보』, 강낙승의『 향제 줄풍류 가야금 증보』, 김기수ㆍ최충웅 공저의『 가야금 정악보 』를 참고하여 조현법과 구음법, 장 구분, 장단 수, 장단, 출현음, 선율을 서로 비교 해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대전풍류는 일제 강점기부터 율회가 있었고 해방이후, 1960년대 초까지는 율회의 명칭 없이 율객들의 집에서 율회를 가졌다고 한다. 1965년에 창립한 대전정악원은 1970년대 후반까지 많은 율객들로 흥성하여 1976년 충남대학교 국악연구회를 만들어 대전풍류를 지도하고 지역의 국악 관련 행사를 수행토록 하였다. 1980년대 초 대전시립연정국악원이 생겨 침체기를 맞기도 하였으나 1991년 연로한 대전풍류 율객들과 그들에게 지도를 받은 젊은 풍류인들이 이 지역의 풍류문화 전통을 계승하고 개인품성 함양을 목적으로 한밭정악회를 창립하여 현재까지 대전풍류 전승을 위하여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대전풍류의 악보는 1960년대에 사용했던 것으로 관악악보와 1935년 이경호가 정리한 현악악보인 대전 줄풍류 한자 구음보와 한글 구음보가 전해 내려오고 있다. 둘째, 대전 줄풍류의 조현법과 구음법은 이리 줄풍류와 같다. 대전과 이리는 산조 가야금을 사용하기 때문에 산조 조현법ㆍ구음법과 같고, 국악원은 정악 가야금을 사용하기 때문에 정악 조현법ㆍ구음법과 같다. 그러므로 조현법과구음법에서는 대전과 이리는 같고 국악원과는 다르다. 셋째, 장 구분을 분석한 결과 세령산ㆍ가락제지ㆍ상현도드리에서 대전과 이리는 같게 나타나고, 하현도드리ㆍ염불도드리ㆍ타령ㆍ군악은 대전과 이리, 국악원 모두 다르게 나타난다. 그러나 세령산~군악까지의 총 장단수는 같다. 넷째, 대전 줄풍류의 타령ㆍ군악 장단은 한 장단이 8박으로 기보되어 있고 이리와 국악원은 12박으로 기보되어 있다. 기보는 8박이지만 꾸밈음의 미묘한 차이로 인하여 실제 연주는 12박으로 느껴진다. 이러한 이유는 악보의 출판년도가 다르기 때문에 시대적인 차이와도 관련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다섯째, 대전 줄풍류 출현음은 세령산부터 타령까지는 黃, 太, 仲, 林, 無 군악에서는 黃, 太, 故, 仲, 林, 南이 옥타브로 출현한다. 대전 줄풍류에서는 특히 太와 無가 많이 출현한다. 太가 출현하는 이유는 조현법의 차이와 경과음의 출현으로 분석된다. 조현법의 차이로 나타나는 현상은 국악원의 대광에서 광으로 진행할 때이고, 경과음의 출현은 광에서 중으로 상행할 때와 중에서 광으로 하행할 때이다. 무의 경우는 연주 수법의 차이로 나타난다. 국악원 람 ‘뜰똥’ 수법을 사용할 때 ‘뜰똥’ 수법을 사용하지 않고 무-람 음을 균등하게 분할하여 연주하는 과정에서 악상에 두드러지게 나타난 것으로 분석된다. 여섯째, 대전과 이리, 국악원 줄풍류의 선율은 거의 유사하나 조현법에 의한 선율의 차이, 분박의 차이, 경과음의 차이, 수법의 차이, 선율형의 차이 등으로 다르게 나타난다. 대전에서는 2분박과 경과음이 많이 나타나며 국악원의 긴박의 음을 대전에서는 음을 분화시켜 리듬이 세분화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된다. 국악원에서 나타나는 ‘슬기둥’, ‘싸랭’, ‘뜰똥’, ‘뜰’, ‘전성’, ‘연튕김’ 수법이 대전에서는 단(單)음과 다른 음으로 나타난다.

      • 라바노테이션의 표기법을 통한『時用舞譜』의 재해석 연구

        李志英 淑明女子大學校 傳統文化藝術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37327

        한국 전통 무용의 경우 극히 최근까지도 단순히 스승에게서 제자로의 동작 모방을 통한 전달식 전수형태로 전해지는 의인 승계의 방식으로 교육되어져 왔으며, 이 경우 전수자의 자의식, 참여의식, 기억력 등의 정신적인 요인과 기능도, 숙련도, 소양도 등의 신체적인 요인에 따라 원형 보존의 정확도에서 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그러므로 그 뿌리를 가늠해보고 뼈대를 세워 정통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형태를 기록하여 보존하고 올바르게 해석 및 재현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시용무보』는 종묘제례일무의 순서와 술어를 그림과 문자로 기록한 고서로, 주역의 수리적 음양법 및 음양적 수법에 기초하여 과학적인 방법으로 종묘제례일무의 원형을 기록하고 있는 무용 기록법이라는 점에서 올바른 해석을 통해 종묘제례일무를 재현할 수 있을 때 그 전통문화의 정통성이 부여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종묘제례일무에 대한 표기 원리를 서양의 검증된 표기법인 라바노테이션에 적용하여 종묘제례일무의 표기법으로써의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시용무보』에 사용된 술어들의 구성체계에 있어서의 수리적 법칙성과 어법, 음양법에 따른 무구의 파지법(把持法)과 운수법(運手法) 및 악무(樂舞)의 배합법에 대한 이해를 통해 종묘제례일무의 작무법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종묘제례일무 중 「보태평지무」의 「희문」에 대한 시연과정을 채보하여 라바노테이션의 적용을 통해 표기하였다. 그리고 상체의 움직임에 초점을 맞추어 『시용무보』와 비교 및 분석하였다. 그 결과 『시용무보』는 종묘제례일무에 대하여 내절외신(內折外伸)의 원리를 바탕으로 한 한자술어를 통해 수무(手舞) 궤적(軌跡)의 3차원적인 변화를 묘사하여 그 춤의 원형을 기록하고 있기 때문에 한자술어의 해석을 통해 그 동작의 형태와 의미를 파악하여 원형의 춤동작을 재현해낼 수 있다는 결론에 도달하였으며, 이에 비해 시각적인 특징을 묘사하는 상징기호를 통해 움직임을 묘사하는 라바노테이션의 경우 역시 춤 동작의 정확한 재현이 가능했으며, 이 때 『시용무보』에 사용된 음양법의 원리에 대한 이해를 통한 일무의 본 춤사위 및 이음사위에 대한 별도의 표기를 필요로 함이 숙제로 남았다. 끝으로, 『시용무보』는 성리학의 이기론적 사유관에 입각하여 무용을 음양법의 원리에 기초한 한자 술어로 재구성한 무보로써, 종묘제례일무에 대한 3차원의 수무궤적(手舞軌跡)을 훌륭히 묘사함과 동시에 춤동작의 구술어로서의 기능을 하게 됨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우리의 독창적인 무용기록법으로써 세계에 내세울 수 있는 중요한 자산임을 입증하게 되었다. In the korean traditional dance, an original dance generally has been inherited from a master to a follower by copying the action of a masters dance. In this case, the preservation of the original dance may differ in degree depending upon the mental and physical ability of the follower. T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original and inherited form of the dance can always be. In order to find out the root of the dance and give it originality, we have to record it and be able to analyze and reproduce it correctly through the record. The Siyongmubo is the old book in which the dance sequence and the predicate in the Jongmyo Jaerye Ilmu(the royal ancestors’ shrine ancestor-memorial ceremonies Ilmu) was inscribed by using the picture and letter. Based on the Book of Changes, the original dance of the Ilmu was inscribed on it. So, if we analyze the Siyongmubo and reproduce the Ilmu from it correctly, we can give the dance originality. In this paper, I explained the analysis of the Siyongmubo executed by Kim-Yong and studied how to inscribe the dance in it. And I tried to apply the Labanotation to the Ilmu analyzed from the Siyongmubo and suggested the possibility as the tool for inscribing the Ilmu. To this purpose, At the first, I analyzed the mathematical rule and grammar of the predicates used in Siyongmubo, the mathod of catching the tools for the dance and moving the hands and the mathod of combining the music with dance. At the secon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huimun(bright letter) in Siyongmubo, I reproduced the Ilmu and again inscribed the dance by applying the labanotation. As a result,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 fold and unfold, the original dance of the Ilmu was inscribed in the Siyongmubo with the predicates made of a Chinese character. And the inscription described the 3 - dimensional tracks of moving the hands very well and it was possible that I analized the dance depending upon the intention of the choreographer of the Ilmu. When applying the Labanotation to the Ilmu, it was necessary to inscribe the connection motion between two original motions separately. Compensating the fact enable the Labanotation to be able to inscribe the Ilmu well enough.

      • 황의종 작곡 <뱃노래 변주곡>의 25현 가야금 주법 연구

        禹旻廷 淑明女子大學校 傳統文化藝術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37327

        본 논문은 황의종 작곡 <뱃노래 변주곡>의 25현 가야금 주법 연구이다. 현재 25현 가야금은 기존의 전통주법 이외에 서양의 분산화음·글리산도·스타카토·아르페지오 등의 연주방법을 모두 수용하고 있다. 25현 가야금 연주 시 서양의 주법이 출현하는 곡을 자유롭게 연주하는데 어려움이 따른다. 25현 가야금의 주법체계는 지금까지의 연구 성과에도 불구하고 더 많은 연구를 필요로 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25현 가야금 작품의 실제 연주를 통해 가장 효율적인 연주법을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첫째, 작곡자 및 작품개요에 대해서 살피고 둘째, <뱃노래 변주곡>을 각 장단별로 여섯 개로 구분하여, 작곡자의 원본악보에 기록되지 않은 <뱃노래 변주곡>의 연주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뱃노래 변주곡>의 특징적 주법을 연구하기 위하여 분산화음·글리산도·오스티나토·스타카토·아르페지오 등의 선율을 발췌하고, 효율적으로 연주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이상의 연구를 통하여 알게 된 효율적인 연주법을 연주법이 표기되지 않은 원본악보에 부기(附記)한 ‘연주악보’를 부록으로 제시하였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뱃노래 변주곡>의 특징적인 주법 연구에 중점을 두었는데, 이를 위해서 전통적인 가야금 주법 이외에 외국의 발현악기에서 사용되는 주법들을 다양하게 활용하였다. 그 결과 <뱃노래 변주곡>에 출현하는 분산화음·글리산도·오스티나토·스타카토·아르페지오의 주법을 각 유형별로 분석해 보았다. 첫째, 분산화음 주법은 ①6음이 상행 후 하행하는 패턴 ②3음이 두 번 상행 또는 하행하는 패턴 ③3옥타브에 걸쳐 3음이 상행 후 하행하는 패턴으로 구분하여 줄을 쉽게 잡을 수 있고, 수법이 한손에 치우치지 않고, 음을 균일하게 뜯을 수 있으며 악상 또한 자연스럽게 나타낼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둘째, 글리산도 주법은 왼손의 글리산도와 오른손의 옥타브 연주가 일회씩 교차하는 주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쟁의 주법을 변형하여 긁는 위치·범위·강도·속도 등을 고려한 주법을 제시하였다. 셋째, 오스티나토 주법은 <뱃노래 변주곡>에서 4-3-2-1지로 빠르게 연주하는 방법이다. 필자는 네 음의 또렷한 소리와 팔에 힘을 빼는데 도움이 되도록 제시하였다. 넷째, 스타카토 주법은 동시화음을 한손 또는 양손으로 막는 패턴으로 나타난다. 스타카토의 여러 방법 중 소리를 낸 손가락으로 다시 그 줄을 막아주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아르페지오 주법은 화음을 아래에서 위로 또는 위에서 아래로 빠르게 연주하는 장식음의 한 형태로 각각의 음을 한 호흡으로 빠르고 고르게 들릴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상 <뱃노래 변주곡>을 중심으로 연주법을 분석한 본 연구는 이와 유사한 패턴이 출현하는 25현 가야금 연주곡에 다양하게 응용할 수 있으며 25현 가야금 주법의 기초체계 적립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The object of this thesis is to study on the techniques of playing on Paennorae Variations, composed by Hwang, Eui-Jong. The song encompasses the western techniques of playing, such as the Consecutive Chord, Glissando, the Simultaneous Chord and Arpeggio, except the traditional techniques of playing. However, I have found much difficulty to practice and play that song with the western techniques, because they have not been explained and organized explicitly up to now. Therefore, I want to analyze and suggest the effective ways to practice and play them on Paennorae Variations through this thesis. In line with that, I have added and explained a new set of techniques that is not to be shown on Mr. Hwangs original note. Also, after extracting the technical patterns characterizing the Paennorae Variations, I have compared them with things on textbooks and musical notes for other stringed instruments. And the following are these. Firstly, there are many patterns of a Consecutive Chord on Mr. Hwangs original note. One of them is a set of six scales up and down again. Till now, the techniques for playing the pattern have been L321 R321 L123 R123, L4321 R321234 L12 or L4321 R32123 L123. Among them, I found out if one once gets used to the fingering of the set of last L4321 R32123 L123, then he could create smoother sounds. Also, it is more effective to divide into three scales, if more than three scales (as one set) go up and down more than twice. The reason why is that one can create six scales (one set of three scales in each hand) equally and express the theme naturally with controlling the strings more easily with using both hands in unbiased manner. Secondly, the mixed technique of Glissando and octave that one plays with a left hands Glissando and a right hands octave one after the other comes from the adjustment of techniques of Jiang, a Chinese instrument, to a 25-string Kayaguem. This technique has been developed aggressively. One could play more effectively if he gives careful thoughts about touching location, extension, strength, speed and etc. Thirdly, those four consecutive chords on Paennorae Variations, 4-3-2-1, represent the waves. For this part, they suggest to lift ones wrist from Hyun-Chim in the North Korea. However, I suggest him to rest wrist on Hyun-Chim and empower four fingers equally, so that he could get the more clear sounds and relaxation. Fourthly, I suggest to play more elastically and lively, if he applies staccato technique to all the same patterns showing on the 23rd measure in Goodgerie. Among many kinds in staccato technique, I suggest him to use the very "fingers" that creates sounds, so that he could cut those sounds completely. Finally, when it comes to arpeggio, a sort of ornamental technique that plays the chords from the top to the bottom and backward very quickly, one should practice and play the each sound quickly and evenly as one breathe. I think we could apply those explained techniques to the 25-string Kayaguem songs that have the same patterns of chords for the more effective playings. I hope this thesis could provide a bit of help for those who tries to hav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techniques of 25-string Kayaguem and learn to play the Paennorae Variations in the future. Thanks.

      • 시판 음료의 이용현황

        金效進 淑明女子大學校 傳統文化藝術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37327

        This study surveyed elementary school, junior high school, high school and university students. The object of the study was to discover beverage preference and sales trends among specific age groups.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seek a plan to develop traditional Korean beverages. 45.7% of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purchase beverages at supermarkets. When selecting a beverage, the percentage of persons who consider taste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was the highest. When classified by age, infants were found to rank taste as most important, followed by brand names and thirst quenching ability in that order. Elementary students and junior high school students ranked taste and price. High school students replied that, in order, taste, thirst quenching and then price were the most important. According to our survey, we learned that most respondents put a premium on taste over health factors. - As for everyday beverages, carbonated and milk beverages were the topFruit and sports drinks were next, followed by mineral waters. - Among different age groups pre-schoolers preferred milks and dairythe most, followed by fruit drinks; elementary students rankedbeverages first andwaters second;middle-school students ranked milks and dairy drinks first with carbonated drinks second; college students preferred milks and dairy drinksand carbonated drinks next. - When asked about their favorite brands, respondents answered, in descending order, Coca-Cola, Chilsung, then Milkis. The rankings of favorite brands among different age groups are as following: Teddy Bear Pooh, Orange Coup, and then Coca Cola for the pre-schoolers; Apple Demisoda, Nestle Peach, and then Apple Sunny Ten for the elementary students; Chilsung Cider, Orange Fanta, and then Teddy Bear Pooh for the middle-school students; Orange Coup, Chilsung Cider, and then Coca Cola for the college students. - Concerning preferences of milk brands and dairy drinks, the following preferences were given: Seoul Milk followed by Einstein for the pre-schoolers;Einstein and then Seoul Milk for the elementary students; Seoul Milk, Cocoa Milk, and then BingraeMilk for the middle-school students; Seoul Milk and then Bingrae Banana Milk for the high-school students; Seoul Milk and then Bingrae Banana Milk for the college students. - In questions concerning fruit drinks, the general favorites in descending order were Cold, then Jeju Tangerine, followed by Podo Bongbong. - With respect to age groups, the pre-schoolers picked Jeju Tangerine and then Cold; the elementary students Podo Bongbong and then Cold; the middle-school students Jeju Tangerine and then Cold; the high-school students Cold and then Jeju Tangerine; and the college students Cold and then Jeju Tangerine. - As far as sports drinks are concerned, respondents generally preferred Pocari Sweat first, followed by Gatorade, and then Amino Up.regards Sikhei brands, their top picks were Birak Sikhei, followed by Big-House Sikhei, and then Jun-tong-jib Sikhei. - The rankings of the other kinds of drinks are as follows (descending order): Healthdrinks: Mi-ero Fiber, Bacchus, Kwang-dong Vita 500. Teas: Lets Be, Nescafe, Bosung Green Tea, Capucchino Can coffee. Mineral waters: Samdasoo, Soonsoo, Puris, Jinro Mineral Water. 본 연구는 유치원, 초등, 중, 고등학생 그리고 대학생 을 대상으로 시판 음료 섭취현황을 알아보아 전통 음청류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시도되었다. -. 음료 구매 장소는 전체 응답자의 45.7%가 슈퍼마켓에서 구 매 한다고 답했으며, 음료 선택 시 고려사항으로는 맛을 고려한다는 응답자가 가장 많았다. 연령별로는 유치원 아동의 경우는 맛, 상품 명, 갈증해소의 순서로, 초등학생들은 맛, 가격, 양의 순서로 중학생들은 맛, 가격, 양, 고등학생들은 맛, 갈증해소, 가격의 순으로 높았다. 본 응답을 통해서도 대부분의 응답자가 음료 구매 시 건강보다는 맛을 더 중시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상용하는 음료에 대한 질문에서는 탄산음료와 우유가 가장 이용 빈도가 높았으며, 그 다음 과채류 음료, 스포츠 음료, 생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유치원 아동의 경우는 우유 및 유제품, 과채류 음료, 초등학생은 탄산음료, 생수 , 중학생은 탄산음료, 우유 유제품 순 , 고등학생들은 우유 및 유제품, 탄산음료 그리고 대학생들은 유유 및 유제품 탄산음료 순서로 많이 마신다고 답했다. -. 브랜드 별 선택비율에 대한 조사에서는 탄산음료 중에서는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 음료는 한국코카콜라, 칠성사이다, 밀키스 순서로 높게 나타났다. 연령별 선호 브랜드 음료는 유치원아동은 곰돌이 푸, 쿠우 오렌지, 코카콜라 순서 ,초등학생들은 데미소다 애플, 네스티 복숭아, 써니텐 애플 순서로 답했고, 중학생들은 칠성사이다, 환타 오렌지, 곰돌이 푸 순서로 그리고 대학생들은 쿠우 오렌지 , 칠성사이다, 코카콜라 순서로 선택빈도가 높았다. -. 우유 및 유제품 브랜드 별 선호도는 유치원 아동들은 서울우유, 아인슈타인, 초등학생들은 아인슈타인, 서울우유, 중학생들은 서울우유 ,코코아 우유, 빙그레 바나나 우유, 고등학생들은 서울우유, 빙그레 바나나 우유 , 그리고 대학생들은 서울유유, 빙그레 바나나 우유 순서로 선호도가 높았다. -. 과채류 음료는 콜드, 제주감귤, 포도봉봉 순으로 선호도가 높았으며, 연령별로는 유치원 아동들은 제주감귤, 콜드 순으로 초등학생들은 포도봉봉, 콜드, 중학생들은 제주감귤, 콜드, 고등학생들은 콜드, 제주감귤 그리고 대학생들은 콜드, 제주감귤 순으로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 스포츠 음료 브랜드 별 선호도는 포카리스웨트, 게토레이, 아미노 업 순서로 선호하였으며, 식혜음료 브랜드 선호도에서는 비락식혜, 큰집식혜, 전통 집 식혜 순으로 선호도가 높았다. -. 건강 기능성 음료는 미에로 화이바 , 박카스 , 광동 비타 500순서로 다류에서는 레스비, 네스카페, 보성 녹차, 카푸치노 캔 커피 순으로 선호도를 나타냈다. -. 생수 브랜드 별 선호도는 삼다수, 순수, 퓨리스, 진로석수 순으로 높은 선호도를 나타냈다.

      • 한영숙류 태평무 중 도살푸리 춤사위 형태분석 : 『時用舞譜』 술어의 절신법 중심으로

        朴熹淑 淑明女子大學校 傳統文化藝術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37327

        As for the characteristics of Taepyungmu, its movements are very delicate, elegant and moderate. Especially, the foot movements are various, looking like walking on the clouds lightly and promptly, which are the great charm that Taepyungmu conveys. Speaking in brief, Taepyungmu is the most technical dance of foot movements, as well as correct dance with aesthetic form moving in silence together with Seungmu(Buddist dance) and Salpuli dance. The criteria of the study on hand movement in such dances are borrowed from the technical terms of 『Siyongmubo』. 『Siyongmubo』has the name of the body parts and of the eight directions indicating the body positions as well as the gerund showing movements. Based on them, dance movements are determined with group of letters harmonized, and a technical term, that is to say, dance movement is formed when a name is given to a movement. Also, technical term is gerund showing dance movement. Therefore, a series of procedures in which hand(arm) should move is all set up in each technical term. Such simple movements are defined in 49 technical terms, which means the changes of Yin and Yang that bends and stretches. It is defined as the dance movements of Ilmu to indicate up and down, left and right, front and rear, and inside and outside only with basic movements of bending and stretching. When indicating the number of dance movements, you can see the exact number of movements, that is to say, the number of dances in case of Ilmu, It is general to continue dance movements in accordance with beat in folk dance. Considering the number of dance movements in one beat, the number of folding and unfolding both hands, the changes of folding and unfolding according to one beat, the number of folding and unfolding according to one maru and the relevant technical skills were analysed as follows. While analysing the number of folding and unfolding both hands according to one beat, the name of directions was explained. When folding and unfolding was divided into folding left hand, folding right hand, unfolding left hand, and unfolding right hand, the number of folding left hand is 95 times and folding right hand 117 times. As for the number of unfolding, the number of unfolding left hand is 73 times and unfolding right hand 50 times. Therefore, it appeared that the number of folding right hand is more than folding left hand. Also, as for the changes of folding and unfolding according to one beat, as it i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folk dance to dance in accordance with the number of beat, the number of the changes of folding and unfolding left hand are 32 times in one beat and the changes of folding and unfolding right hand are 47 times. As for the number of folding and unfolding according to one maru, based on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folk dance considering 4 beats as one bar, one maru of dance was regarded as 4 beats. As a result, the number of left folding and unfolding was 32 times, and the number of right folding and unfolding was 46 times. The total number of changes of left and right folding and unfolding is 78 times. Therefore, you can see that the movements of right hand are more obvious rather than left hand as a feature of folk dance. Lastly, examining the changes of beats organized with folding and unfolding as a unit of dance movements, you can see folding movement of the first time in the first beat is continued to the second time in the second beat, and unfolding movement of the second time in the second beat is continued to the third time in the second beat and folding movement of the third time in the second beat continued to the third time in the fourth beat. The procedures from the 1st beat to the 40th beat are as follows. In the changes of folding and unfolding the left and right hand in the Dosalpuli rhythm of Han, Young Suk-type Taepyungmu, the number of the changes of folding and unfolding the left hand are 31 times, and the number of the changes of folding and unfolding the right hand are 46 times. Among this, the number of folding left hand is 15 times and the number of unfolding left hand is also 15 times. In addition, the number of folding right hand is 22 times, and the number of unfolding right hand is 23 times. It shows that there are more changes in the right hand, and the left hand lies on the stomach holding skirts to show foot movements. There are many hand movements using single hand or both hands to express rapid and cheerful foot movements in Taepyungmu. Therefore, there are more right hand movements in the Dosalpuli rhythm of Han, Young Suk-type Taepyungmu from the point of moderation and Yin and Yang. Although the basic dance together with Seungmu (Buddist dance) and Salpuli dance is well organized with moderation and Yin and Yang, it is considered that when Hang Young Sik re-organized it as Hol dance, she used right side of the body more due to her personal preference. Finally, dance movements are made by repeating the bending and stretching procedures and they become more pleased and fun when rhythm and melody is added. More academic approach is done to our folk dance. Our folk dance which is close to extempore amusement is not only up to the dancer's sentiment but also leads to certain way. More study is required to find the way and estimate its numerical val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