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마른비만인 대학생들에 대한 8주간의 유산소 운동과 복합운동 프로그램이 신체조성에 미치는 영향

        권태현 국민대학교 스포츠산업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키에 대한 체중이 정상범위에 있지만 여자는 체지방률이 30%이상, 남자는 체지방률이 25%이상인 마른비만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8주 동안 실시하는 유산소 운동과 복합운동프로그램이 신체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마른비만인 대학생16명을 대상으로 각각 8명씩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구분하여 실험군은 복합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대조군은 유산소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신체조성(체중, 체지방률, 제지방량, BMI) 성분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모든 측정항목은 기술통계량인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집단 내, 집단 간 평균차 검증을 위해 일원반복분산방법(one-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d)을 적용하였으며, 상호작용이 나타날 경우 독립 표본 T검정(Independent t-test)을 실시하였다. 가설 검증의 통계적 유의수준은 p<.05로 하였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8주간의 유산소운동프로그램, 복합운동프로그램 참여에 따라 신체조성 성분 중 유산소 운동과 복합운동 프로그램 전-후 체중(kg)변화에 대한 집단 간의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유산소 운동과 복합운동 프로그램 전-후 체지방률에 대한 집단 간의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3). 제지방량에서는 유산소 운동과 복합운동 프로그램의 전-후 집단 간의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BMI에서는 유산소 운동과 복합운동 프로그램 전-후 집단 간의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This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an 8-week aerobics and resistance program on body composition with reference to normal range BMI. Sixteen college students with at least 30% body fat in the case of females and at least 25% body fat in the case of males were recruited and divided into an "aerobics group" and "resistance group", each with 8 students. Both groups were measured on the body composition variables of body weight, body fat percentage, lean body mass, and BMI. The averages and standard deviations of all variables were calculated, and a one-way repeated measures ANOVA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average differences with respect to between groups, within groups, and mutual relations. In cases where mutual relations were observed, an independent t-test was performed. P-values of .05 were used for determining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results. Results showed significant within-group differences in body weight after the 8-week aerobics and resistance program. As for body fat percentage, both between-group and mutual relation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For lean body mas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for within-group, between-group, and mutual relation comparisons. Finally, for BMI,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for within-group factors only.

      •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기업가정신을 매개효과로

        권태현 호서대학교 글로벌창업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세계적인 경제 불황과 노동 시장의 변화 속에서 직장 생활에 대한 불안정성은 더욱 확대되고, 사회적으로 창업환경이 고조되고 있는 흐름속에서 자신의 미래를 위해 계획적인 경력개발 활동을 준비하고자 하는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기업가정신을 매개로 하여 창업의지에 미치고 있는지를 실증분석 하였다. 이를 위해 20세 이상 성인 남녀 152명을 대상으로 2022년 10월 27일부터 11월 7일까지 약 2주 동안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티언 경력태도의 자기주도성은 기업가정신의 진취성, 혁신성, 위험감수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프로티언 경력태도의 가치지향성은 기업가정신의 진취성, 혁신성, 위험감수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업가정신은 자기주도성과 창업의지 사이에서는 완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업가정신은 가치지향성과 창업의지 사이에서는 부분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의 시사점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 생애에 걸쳐 자기 스스로 경력을 설계하고 관리함에 있어 자기주도성과 가치지향성은 기업과정신과 창업의지를 강화하는데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프로티언 경력태도의 자기주도성과 창업의지 사이에서 기업가정신은 완전매개역할을 하는 것은 자기주도성이 기업가정신을 통해서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새로 확인하였다. 특히 경력단절 여성이나 사회적 약자 및 은퇴자의 경우 새로운 직업을 창업하기 위해서는 자기 경력을 주도적으로 설계하고 관리함으로써 창업의지가 강화됨을 시사한다. 셋째, 프로티언 경력태도의 가치지향성은 기업가정신을 통해서 창업의지에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타인의 시신을 의식하지 않고 자신이 원하는 가치관에 따라 창업을 하기도 함을 시사한다. 그러므로 창업의지를 고취하는 프로그램 개발 시, 왜 창업을 해야하는 지에 대한 목적을 제시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is aimed at protean people who are preparing for planned career development activities for their future amidst the global economic recession and changes in the labor market, the instability of work life is expanding, and the social start-up environment is on the rise.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career attitudes affect entrepreneurial intention through the mediating of entrepreneurship.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for about two weeks from October 27 to November 7, 2022, targeting 152 adult men and women aged 20 years or older.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self-directed of protean's career attitude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initiative, innovation, and risk-taking of entrepreneurship. Second, the value-driven of protean's career attitude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entrepreneurship's initiative, innovation, and risk-taking. Third, entrepreneurship was found to have a complete mediating effect between self-directed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Fourth, entrepreneurship was found to have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value-driven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of this thesi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self-directed and value-driven are important factors in strengthening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in designing and managing one's own career throughout life. Second, it was newly confirmed that entrepreneurship plays a complete mediating role between self-directed of the protean career attitude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and that self-directed affects entrepreneurial intention through entrepreneurship.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career-interrupted women, the socially disadvantaged, and retirees, it suggests that entrepreneurial intention is strengthened by proactively designing and managing their own careers in order to start a new job. Third, the value-oriented of protean's career attitude suggests that although entrepreneurship influences entrepreneurial intention, it also suggests that entrepreneurs start a business according to the values ​​they want without being aware of others' bodies. Therefore, it suggests that it is important to present a purpose for why you should start a business when developing a program that inspires entrepreneurship.

      • 쓰기 성취기준에 따른 학생 예시문 선정에 관한 연구

        권태현 한국교원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8639

        이 연구는 국가 수준의 쓰기 영역 성취기준을 분석하고 그 성취 수준을 보여주는 학생 예시문을 선정함으로써 성취기준에 대한 구체적 이해를 돕고 쓰기 평가 및 교수․학습의 과정에서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성취기준은 학습을 통해 도달해야 하는 학습자의 지식이나 능력 및 특성에 대한 진술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그러나 현재의 성취 기준 진술은 이러한 도달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에 어려움이 있다. 특히, 학생들의 직접적 수행이 강조되는 쓰기 영역에서는 성취기준의 진술만으로 학생들의 쓰기 수행을 평가하고 지도하기가 쉽지 않다. 이 연구에서는 쓰기 성취 수준을 보여주는 학생 글을 선정하여 제시함으로써 성취기준의 추상성을 극복하고 도달점을 현시하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 다루는 각 장의 구체적인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Ⅱ장에서는 학생 예시문 선정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먼저 작문 교육의 이론적 맥락을 통해 학생 예시문의 개념과 특성을 살펴보고 기존의 모범문 혹은 시범문과 변별되는 학생 예시문의 기능을 규정하였다. 또한 외국의 쓰기 성취기준 및 학생 예시문 제시 사례를 통해 효과적인 예시문 선정 및 제시 방안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쓰기 성취기준의 선별, 성취수준 및 평가기준의 개발, 쓰기 과제의 구성 방안, 예시문 평가 및 신뢰도 추정 방법에 이르는 학생 예시문 선정의 원리를 마련하였다. Ⅲ장에서는 학생 예시문 선정을 위한 구체적인 연구 방법을 기술하였다. 우선 연구 대상이 되는 쓰기 영역 성취기준의 체계를 분석하고 전국의 중․고등학생의 글 825편을 예시문 선정을 위한 연구 대상으로 수집하였음을 제시하였다. 또한 성취기준의 선별 및 검토를 위해 작문교육 박사과정 이상의 전문가 5인이 참여하였으며 1차: 총체적 평가를 위해 경력 10년 이상의 국어교사 3인이, 2차: 분석적 평가를 위해 전국의 국어교사 32명이 참여하였음을 밝혔다. 또한 선정된 예시문의 질적 분석을 위해 작문교육 석사과정 이상의 전문가 9인이 참여하였음을 밝혔다. 끝으로 쓰기 성취기준 선별과 학생 예시문에 대한 질적 분석에 활용한 분석 도구를 소개하고 연구의 절차를 제시하였다. Ⅳ장에서는 학생 예시문의 선정 과정과 그 구체적 결과를 제시하며 논의를 전개하였다. 이 연구는 크게 학생 예시문 선정을 위한 쓰기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의 설정, 학생 예시문의 수집과 평가, 학생 예시문의 검증 및 제시의 세 단계의 연구 절차로 구분할 수 있다. 첫 번째 연구 단계에서는 예시문 선정의 근거가 되는 쓰기 성취기준을 선별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교육과정의 개정과 관계없이 지속적으로 활용 가능한 예시문을 선정하기 위해 기존의 쓰기 성취기준 중 보다 항존적인 성격의 쓰기 성취기준을 선별하여 예시문 선정의 근거로 삼았다. 이를 위해 전문가 평정의 방법을 통해 쓰기의 기본 원리 및 기능에 관한 성취기준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NAEA)의 쓰기 성취기준에서 추출하고, 쓰기의 실제와 관련한 성취기준을 2009 국어과 교육과정의 내용 성취기준에서 추출하여 학생 예시문 선정을 위한 쓰기 성취기준을 학교 급별로 각각 마련하였다. 이 같은 과정을 통해 중학교군(M) 9개, 고등학교군(H) 9개의 총 18개의 쓰기 성취기준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선별된 성취기준을 근거로 하여 학생 예시문의 성취수준을 상, 중, 하 세 수준으로 진술하였다. 성취수준의 진술은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NAEA)와 2009 국어과 교육과정의 성취수준 진술 방향을 참고하여 성취기준에 제시된 쓰기 수행 수준을 상, 중, 하의 세 수준으로 진술하였다. 또한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을 바탕으로 실제 학생들의 글을 평가하기 위한 학년 별 평가 기준을 마련하였다. 평가 기준은 총체적 평가 기준과 분석적 평가 기준으로 구분하여 개발하였다. 총체적 평가는 수집된 예시문의 수준을 구분하기 위한 것이며 분석적 평가는 학생들의 글을 내용, 조직, 표현의 영역으로 세분화하여 평가함으로써 구체적인 평가 정보를 얻고, 신뢰도 추정을 통해 모평균을 구하기 위한 평가에 해당한다. 두 번째 연구 단계에서는 실제로 학생들의 글을 수집하여 평가하였다. 이 단계에서는 학생들의 글을 수집하기에 앞서 글 유형에 따른 쓰기 평가 과제를 개발하였다. 글의 유형은 국내외 대단위 쓰기 평가 및 쓰기 연구 문헌을 참고하여 설명문, 논설문, 서사문으로 선정하고 학생들의 학령 및 배경지식, 과제의 친숙도 등을 고려하여 쓰기 과제를 개발하였다. 쓰기 과제는 학년 및 글 유형에 따라 총 6개를 개발하였다. 다음으로 예시문을 실제로 수집하고 평가하여 성취수준별 예시문을 선정하는 과정을 진행하였다. 이 과정에서는 예시문 선정 계획에 따라 대단위 쓰기 평가를 시행하여 예시문을 수집하고 2차에 걸친 예시문 평가 과정을 통해 성취 수준을 대표하는 학생 예시문을 수집하였다. 학생 글에 대한 수집 및 평가 과정에서는 학년 및 지역에 따라 총 825편의 예시문이 수집되었다. 1차 평가에서는 수집된 예시문 825편을 대상으로 쓰기 평가 전문가 3인이 총체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총체적 평가 결과의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해 일반화가능도 계수를 살펴본 결과, 0.95(절대적 G 계수)의 높은 신뢰도를 확인하였다. 총체적 평가에 따른 군집 분석 결과에 따라 825편의 글을 성취수준 상(118편, 14.3%), 중(336편, 40.7%), 하(371편, 44.9%)로 분류하였으며 통계 수치와 연구자의 분석에 의거하여 이 중 학년 및 글 유형별 성취수준에 따라 60편의 글을 선정하여 분석적 평가를 실시하였다. 2차: 분석적 평가에서는 1차 평가의 결과 선정된 60편의 글을 대상으로 전국의 국어교사 32명이 평가자로 참여하였다. 2차 평가의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해 일반화가능도 이론 및 문항 반응 이론에 근거한 라쉬 모형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일반화가능도 계수가 0.94(절대적 G 계수)로 나타나 매우 높은 신뢰도 수준을 보였으며 라쉬 모형에서도 대부분의 평가자들이 95% 신뢰수준 내에 위치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2차 평가의 결과를 토대로 성취수준 예시문을 추출하였다. 이 과정에서 보다 높은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해 다국면 라쉬 모형에서 도출된 평가자 일관성을 확인하여 적합한 평가자들의 평가 결과만을 활용하여 최고점, 평균점, 최저점의 글을 각각 성취수준 상, 중, 하의 예시문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이 과정에서 추리 통계 방법을 적용하여 예시문의 모평균을 추정하였다. 모평균은 평가 점수의 평균 범위를 구함으로써 평가자의 모집단, 즉 우리나라 국어교사들이 해당 글에 대해 평균 몇 점을 부여하는지를 알려주는 정보이다. 예시문의 모평균을 제시하게 되면 예시문의 객관성과 평가 신뢰도를 높일 수 있어 쓰기 평가 및 교수․학습의 과정에서의 활용도가 더욱 높아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이 연구에서는 성취수준에 따른 학생 예시문 18편(학년×글 유형×성취수준)을 선정하고 그에 대한 평가 결과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선정된 예시문에 대한 질적 분석을 시행하여 성취수준을 검증하고 예시문에 대한 제시 방식을 설정하는 과정을 진행하였다. 전문가 분석은 선정된 예시문의 질적 특성을 구체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예시문의 성취수준을 검증하고 해석의 정보를 산출하기 위한 과정이다. 이를 위해 쓰기 기능 요인별로 내용, 조직, 표현의 분석 팀을 구성하였으며 작문 교육 석사과정 이상의 전문가 9명이 분석에 참여하였다. 전문가 분석 과정에서는 모든 예시문이 성취수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취기준에 따른 해당 글의 쓰기 특질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학생 예시문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예시문의 선정 과정에서 타당도와 신뢰도를 확보해야 할 뿐만 아니라 예시문을 효과적으로 제시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국외의 예시문 제시 방식을 분석하고 전문가 협의의 과정을 통해 학생 예시문의 제시 방식에 포함되어야 할 요소를 추출하였다. 그 결과, 학생 예시문 자료집에는 쓰기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 예시문에 대한 평가 기준 및 쓰기 과제를 제시하고, 실제 학생 글과 관련된 쓰기의 맥락, 성취기준과 관련한 핵심적인 글의 특징, 성취요소, 글에 대한 논평, 학생 예시문의 활용 방법을 제시하기로 결정하였다. 이와 같은 체계에 따라 이 연구에서는 연구 결과를 종합한 ‘학생 예시문 자료집’을 부록으로 제시하였다. 끝으로 이 연구에서는 선정 결과를 토대로 학생 예시문의 활용 방법을 안내하였다. 예시문 활용 방법은 크게 쓰기 교수․학습과 쓰기평가의 측면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먼저 쓰기 교수․학습의 측면에서 학생 예시문은 쓰기 성취기준의 구체적 이해와 실제적인 쓰기 수업을 진행하는 교수 도구로서 기능할 수 있다. 외국의 ‘학습 예시문(Benchmark Paper)’ 활용과 학생 예시문의 선정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수업 목표의 설정(쓰기 성취기준 및 성취 요소) → 학생 예시문의 분석을 통한 성취기준의 이해 → 쓰기 수행 → 쓰기평가 및 학생 예시문과의 비교, 대조 → 고쳐쓰기’에 이르는 활용 모형을 제시하였다. 한편, 학생 예시문은 쓰기 평가의 신뢰도 및 효율을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평가 예시문 관련 연구 및 본 연구의 예시문 선정 결과를 토대로 쓰기평가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구성한 쓰기평가 모형은 ‘쓰기평가 계획의 수립 → 쓰기 수행 → 학생 예시문의 분석 및 평가 협의 → 학생 예시문과의 비교, 대조를 통한 쓰기평가 → 모평균을 활용한 쓰기평가 결과의 검증’의 과정을 거친다. 이와 같은 평가 모형에 따라 쓰기평가를 실시할 경우, 평가 기준을 구체화한 평가 예시문을 준거로 활용함으로써 보다 표준화된 쓰기평가를 실시할 수 있으며 평가자의 평가 일관성을 조정함으로써 평가 전문성 신장에도 기여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성취기준 진술이 갖는 문제점을 진단하고 핵심적인 성격의 성취기준을 선별하여 예시문 선정의 근거를 마련한 점, 타당도와 신뢰도를 갖춘 학생 예시문을 선정하여, 성취기준의 이해를 돕고 쓰기평가 및 교수․학습의 과정에서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참고 자료를 제공한 점, 학생 예시문을 수집, 평가, 제시하는 전 과정을 체계화함으로써 향후 다양한 교육 주체가 학생 예시문을 선정하는데 지침으로 삼을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한 점 등을 의의로 삼을 수 있다.

      •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도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권태현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639

        Cloud computing has given rise to innovative services that promise to promote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y f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big data, and the Internet of Things. Effective management of cloud-based information resources is important because of society’s deepening dependence on information technology. Cloud computing has grown explosively since its beginnings in 2006. The global cloud computing market is expected to rapidly increase from USD 175.8 billion in 2018 to USD 278.3 billion in 2021, which represents an increase of 17.6% (Gartner, 2017). The cloud computing market in Korea is also expected to increase from 1.63 trillion in 2017 to 3.44 trillion won in 2021. The number of companies that provide cloud computing services in Korea has increased from 535 in 2016 to 700 in 2017. The size of the Korean cloud market (including public and private clouds) is smaller compared to overseas markets. The government has indicated support for the development of the cloud industry. However, the expansion of cloud computing in Korea has been impeded by the lack of understanding among customers regarding cloud computing and various surrounding factors despite the introduction of legislations relating to cloud computing development and protection of users’ rights in 2015. Hybrid cloud computing is a recent paradigm. Microsoft defines it as “a computing environment that combines a public cloud and a private cloud by allowing data and applications to be shared between them.” It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provide an optimal system customized to the different needs and circumstances of its customers without limiting them to a specific supplier, which is why companies of all sizes have started to adopt it. This article presents research on hybrid clouds from users’ viewpoint. The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the expansion of the cloud market in Korea and elsewhere.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that can positively and negatively impact the intention of customers to adopt Hybrid cloud computing. We studied multiple perspectives and real-world factors that influence the adoption of cloud computing and determined how they are reflected in the intention to adopt cloud computing. Our findings can help increase the adoption of Hybrid cloud computing. We combined existing theory with a research model that we constructed and employed the combination to perform a survey to obtain data for empirical analyses. We developed and distributed questionnaires to gather data that was then analyzed through reliability analysis, validation analysis, path analysis, hypothesis testing, and the goodness of fit test. The path coefficients enabled us to determine the relative level of influence of each factor on the performance expectancy, effort expectancy, and the intention to adopt. Availability had the highest influence on performance expectancy, followed by security, scalability, and technical suitability. Availability also had the highest influence on effort expectancy, followed by scalability. Security and technical suitability were not significantly influential on effort expectancy. Lastly, effort expectancy had the highest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adopt, followed by performance expectancy, organizational competency, and relative advantages. Technical competency and reduction in maintenance costs were not significantly influential on the intention to adopt. 최근 클라우드는 인공지능(AI), 빅데이터(BigData), 사물인터넷(IoT) 등과 융합하여, 4차 산업혁명을 촉진하는 혁신적 서비스로 진화하고 있다. 기술활용의 확대에 따른 IT 의존성 심화와 이로 인한 클라우드 기반의 정보자원의 효과적인 관리의 중요성이 부각 되고 있다. 2006년부터 시작된 클라우드 컴퓨팅은 폭발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2018년 글로벌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은 1,758억 달러에서 2021년 2,783억달러로 성장률 17.6%로 급성장중이며(Gartner, 2017), 국내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 규모도 2017년 1.63조에서 2021년 3.44조원으로 예상하고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을 제공하는 기업도 2016년 535개에서 2017년 700로 증가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2015년 클라우드컴퓨팅 발전 및 이용자 보호에 관한 법률이 마련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클라우드에 대한 이해 부족 및 다양한 환경적인 요인들로 인하여 신속한 확산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는 최근 2~3년간 비약적인 기술혁신으로 시장에 도입체계를 갖추었다. 국내 클라우드 시장은(퍼블릭, 프라이빗 포함) 국외 대비 작은 사이즈의 시장을 가지고 있으며, 클라우드 시장의 발전을 위해 정부가 주도적으로 클라우드 관련 산업 육성을 위하여 기반 마련에 노력하고 있다.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는 특정 공급기업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황에 부합하는 최적의 시스템 활용이 장점이기 때문에 대기업, 중소기업, 스타트업에서 주목하였다. 이를 통해 사용자 관점에서 바라보는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연구를 통해 클라우드 시장확산에 도움이 되고자 연구를 진행했다. 본 연구는 하이브리드 클라우드의 도입에 대한 여러 긍정적, 부정적 시각과 관점이 공존하는 시점에서 하이브리드 클라우드의 도입 의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긍정적 요인들을 고려하여 이러한 요인들이 도입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함으로서, 현재 하이브리드 클라우드의 실제 도입율 저하 및 보다 빠른 확산 추세에 관한 방안을 고찰하고 효율적인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문헌조사 및 선행논문 등의 검토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목적에 맞는 연구모델 및 가설을 설정한다. 연구모델에서 사용하는 변수들의 조작적정의를 선행연구를 통해 명확히 하고 변수의 측정항목을 설정한다. 변수의 측정항목을 활용하여 설문조사를 수행하고, 연구의 연구모델을 실증분석하는데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취합한다.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 및 취합된 데이터는 신뢰성 분석과 타당성 분석, 적합도 검증, 경로분석, 가설검증을 실시한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논문의 결론을 작성하고, 연구의 시사점,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 등을 제시한다. 연구결과는 경로계수를 비교하여 요인별로 성과기대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분석한 결과 ①가용성, ②보안성, ③확장성, ④기술적 적합성 순으로 나타났다. 즉, 성과기대에는 가용성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노력기대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분석한 결과 ①가용성, ②확장성 순으로 나타났으며 보안성, 기술적 적합성은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도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를 분석한 결과, ①노력기대, ②성과기대, ③조직역량, ④상대적 이점 순으로 나타났으며, 기술역량, 유지비용절감은 도입의도에 영향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고용과 노동을 매개로 한 동시대 예술 작업 연구

        권태현 한국예술종합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이 논문은 동시대 예술 작업에서 예술가의 고용과 피고용자의 노동에서 파생된 관계가 매개되는 경향을 다룬다. 예술 생산에서 발생하는 고용과 노동을 전면적으로 형식화하는 작업들을 연구의 대상으로 삼아 사회의 정치경제적인 조건과 복잡하게 상호 연동되는 생산관계(relations of production)가 예술에서 드러나는 양상을 살피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노동자 계급의 착취를 예술 형식 안에서 반복하는 산티아고 시에라(Santiago Sierra)의 작업, 미술을 둘러싼 노동의 문제를 직접 다루면서도 패러디와 픽션의 전략으로 윤리적 문제를 돌파하는 김홍석의 방법론, 그리고 크라우드 워킹(crowd working) 플랫폼과 알고리즘 기반 이미지 생성 등 동시대 자본주의의 기술적 토대를 전술적으로 전유하여 변화된 생산관계에서 비롯된 문제들을 폭로하는 귀도 세니(Guido Segni)의 사례를 중점적으로 분석한다. 일련의 논의를 예술 노동 담론과 함께 검토하면서 동시대 자본주의 맥락에서 예술의 생산관계와 산업적인 생산관계가 교차되는 문제가 드러난다. 또한 포드주의, 포스트 포드주의, 후기 산업 사회 등으로 논의되는 정치경제적 구조의 변화가 예술 작업에서 어떻게 매개되는지 계보학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신자유주의의 외주화 경향이나 노동 유연화 등의 변화가 예술 제도와 연동되는 문제, 그리고 플랫폼과 인공지능 등 동시대의 기술적 변화에서 비롯된 노동의 문제가 예술 생산에 반영되는 양상도 파악된다. 나아가 동시대 미술에서 주요한 형식으로 여겨지는 사회적 관계 일반에 대한 기존의 진단을 생산관계와 계급의 문제를 경유하여 비판적으로 점검할 수 있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이 연구는 예술 형식과 물질적 조건이 상호 영향을 주고 받는 문제를 다시 돌아보고, 정치와 미학을 윤리로 대체하는 윤리적 전회라는 비평적 경향 속에서 정치적인 미술의 가능성을 다시 한번 조명하면서 기존의 예술 비평 담론에 대한 비판을 입체적으로 보완하는 것을 시도한다. This thesis is on the tendency of the relationship derived from the employment of artists and the labor of employees in contemporary art works to be mediated. The subject of research is the aspect that the changes in relations of production that are complexly interlinked with the political and economic conditions of society are revealed in contemporary art works. From this point of view, Santiago Sierra's work, which repeats the exploitation of the working class within the art form, Kim Hong-seok's methodology, which breaks through ethical problems through parody and fiction strategies, and Guido Segni's work, that tactically appropriates the technological base of contemporary capitalism, such as crowd-working platforms and algorithm-based image generation are analyzed as examples of this research. Through this, this thesis critically check the existing diagnosis of the general social relations, which is considered a major form in contemporary art. In addition, while reviewing a series of discussions with the discourse of art labor, it is possible to genealogically analyze how changes in the political and economic structure discussed in the notions of Fordism, Post-Fordism, and Post-Industrial Society are mediated in art works. Changes such as neoliberalism's tendency to outsource and labor flexibility are linked to the art production, and labor problems stemming from contemporary technologies such as platform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re also reflected in art works. Through these discussions, this thesis analyzes labor in art production, looks back on the problem of material conditions in art form, and attempts to complement criticism of existing art discourse by shedding light on the possibility of political art in the critical trend of 'ethical turn' that repalce politics and aesthetics with ethics.

      • 작두콩을 이용한 약선차 개발

        권태현 대구한의대학교 한방산업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작두콩을 활용한 약선차의 개발과 자료 제공에 목적을 두었다. 먼저 한의학 및 약선서와 선행연구 등을 참고하여 작두콩과 배합할 수 있고 항산화 효능과 면역력 강화에 효과가 있는 약재를 조사하였다. 작두콩과 황기, 건강, 육계, 황정 4가지 재료를 선정하여 약선설계에 따라 각 재료의 비율을 달리한 5가지 작두콩약선차(A, B, C, D, E)를 제조하였고 이안평가법으로 검토하였다. 제조한 5가지 작두콩약선차의 기호도 조사를 실시하여 가장 좋은 평가를 받은 작두콩약선차(C)를 선정하여 6가지 방법으로 항산화 분석을 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총 polyphenol 함량은 작두콩이 39.89±0.01 mg GAE/g, 작두콩약선차(C)는 36.12±0.13 mg GAE/g로 작두콩이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다음으로 총 flavonoid 함량은 작두콩이 4.99±0.11 mg QE/g, 작두콩약선차(C)는 4.56±0.19 mg QE/g로 측정되었으며 두 값의 차이에 따른 유의성은 없었다. DPPH IC50값 측정 결과에서는 작두콩은 DPPH가 82.77 ㎍/㎖, 작두콩약선차(C)는 96.02±1.25 ㎍/㎖로 측정되었으며, ABTS IC50값 측정 결과에서는 작두콩은 94.36 ㎍/㎖, 작두콩약선차(C)는 123.79 ㎍/㎖로 측정되었다. 측정 결과 작두콩의 IC50의 값과 작두콩약선차(C)의 IC50의 값의 차이는 매우 미미하였다. 환원력 측정 시험 결과 시료의 농도 250 ㎍/㎖을 기준으로 작두콩은 0.52±0.0049, 작두콩약선차(C)는 0.41±0.0039의 환원력을 보였으며 시료의 농도를 500 ㎍/㎖로 2배 증가하였을 때, 작두콩은 0.97±0.0446로 87.6%의 증가율을 보였으며, 작두콩약선차(C)는 0.74± 0.0169로 81.6%이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수산기 소거 활성 측정 시험 결과 각 시료는 농도 의존적으로 소거 능력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1000 ㎍/㎖의 농도를 처리했을 경우 작두콩은 64.3%, 작두콩약선차(C)는 63.1%의 억제 효과가 확인되었으며, IC50값은 작두콩 336.07±9.71 ㎍/㎖, 작두콩약선차(C)가 301.64±1.94 ㎍/㎖으로 두 값의 차이는 비슷하였다. 그러나 250 ㎍/㎖ 이하의 저농도에서는 작두콩약선차(C)의 소거능력이 작두콩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작두콩 단독으로 처리했을 때와 작두콩약선차(C) 간의 항산화 능력의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작두콩약선차(C)에 동일한 함량의 작두콩을 포함할 경우 더 높은 항산화능을 나타낼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상의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오랫동안 꾸준히 마시며 효과를 기대하는 약선차에는 저농도의 작두콩약선차가 더욱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이와 함께 작두콩약선차의 섭취용량과 농도, 복용기간에 따른 항산화 효과에 관한 연구와 항산화 이외의 기능성에 관한 더욱 많은 연구도 필요하다고 생각되며 본 연구가 작두콩을 이용한 기능성 식품의 개발에 참고 자료로 도움이 되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Yaksun Tea and provide data using sword bean (Canavalia gladiata). First, pharmaceuticals that can be combined with sword bean and are effective in strengthening antioxidant efficacy and immunity were investigated by referring to oriental medicine, related books, and previous studies. Sword bean, and four ingredients astragalus root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 dried root of ginger(Zingiber officinale Rosc.), Cinnamon (Cinnamomum cassia Presl), and dried root of Solomon's Seal (Polygonatum sibiricum Redoute) were selected, and five sword bean Yaksun Tea (A,B,C,D,E) with different ratios of each material were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weak line design and reviewed as Lee-Ahn evaluation. We conducted a preference survey on the five sword bean Yaksun Tea manufactured, selected the sword bean Yaksun Tea(C) that received the best evaluation, and analyzed antioxidants in six way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was 39.89±0.01 mg GAE/g for sword bean and 36.12±0.13 mg GAE/g for sword bean Yaksun Tea(C). Sword bean was high, but there was no significance. Next, the total flavonoid content was measured at 4.99±0.11 mg QE/g for sword bean and 4.56±0.19 mg QE/g for sword bean Yaksun Tea(C), and there was no significance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values. According to the DPPH IC50 value measurement result, DPPH was measured at 82.77μg/ml for sword bean and 96.02±1.25μg/ml for sword bean Yaksun Tea(C). And ABTS IC50 value measurement result, sword bean was measured at 94.36μg/ml and sword bean Yaksun Tea(C) was 123.79μg/ml. As a result of the measuremen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values was very insignificant. As a result of reducing power passay, sword bean was measured to be 0.52±0.0049 and sword bean Yaksun Tea(C) to 0.41±0.0039 based on 250μg/ml of the sample concentration. When the concentration of the sample was increased to 500μg/ml, sword bean showed an increase of 87.6% to 0.97±0.0446 and sword bean Yaksun Tea(C) showed an increase of 81.6% to 0.74±0.0169. As a result of the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t was confirmed that each sample increased depending on the concentration. Although no significance was shown when the concentration of 1000μg/ml was treated, the inhibitory effect of 64.3% for sword bean and 63.1% for sword bean Yaksun Tea(C) was confirmed, and the IC50 value was 336.07±9.71μg/ml for sword bean and 301.64±1.94μg/ml for sword bean Yaksun Tea(C),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values was similar.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ce, but at a low concentration of 250μg/ml or less, the erasure capacity of sword bean Yaksun Tea(C) was higher than that of sword bean. Through the above stud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ntioxidant capacity between sword bean alone and sword bean Yaksun Tea(C), and it can be determined that sword bean Yaksun Tea(C) will exhibit higher antioxidant capacity if the same content of sword bean is included. Based on the above experimental results, it is judged that low concentration sword bean Yaksun Tea(C) is more suitable for Yaksun Tea, which drinks steadily for a long time and expects an effect.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antioxidant effect according to the intake capacity, concentration, and duration of sword bean Yaksun Tea, and more studies on functionality other than antioxidant.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helpful as a reference for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s using sword be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