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생용 자기성찰지능 척도 및 프로그램 개발

        권오정 忠南大學校 2008 국내박사

        RANK : 247631

        Intrapersonal intelligence means one´s abilities to understand his own emotion and potential, control oneself and plan for the future. So its very important intelligence for self-realization. It has been emphasized as it is motivation to activate other intelligences in Multiple Intelligence. But the scale to assessment the intrapersonal intelligence independently, and the programs to improve have not been found.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verify the factors of intrapersonal intelligence. And the other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develop an assessment scale and enhancement program for intrapersonal intelligence. The main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 First, intrapersonal intelligence consists of the three areas : self-understanding, self-controling, self-planning. Each of them had a cognitive and a functional factor. In detail the above, intrapersonal intelligence has the six factors, that is, 'the recognition of emotion and potential', 'the practical using ability of emotion' in the self-understanding area, 'the decision ability' and 'the impulse control' in the self-controling area, 'the establishment about the aim' and 'the consistency for success' in the self-planning area. Second, Intrapersonal Intelligence Assessment Scale(IIAS) developed in the present study. The validity and the reliability of IIAS was significant statistically, respectively. The IIAS consisted of the six factors in three areas.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234 students. On the analysis of the factors and the proving validation process were the 37 items composed. KMO & Bartlet's Test in the process of validation shows the value 0.81 as good as excellent. In the CF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six factors on the Eigen Value and scree-test makes sure of 49.8% of persuasion in the accumulation distribution. Also good-fitness of the three areas and six factors structure and the items turns out valid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ird, the intrapersonal intelligence enhancement program(I am-do-will Program) developed by the present researcher is efficient of improving the intrapersonal intelligence. To prove the effect of the program the II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checked the pre-post test scores and degree of satisfaction. The main effect of the program shows F=24.6 as meaningful difference as p<.001 in the result of ANCOVA. Each areas and factors in intrapersonal intelligence has the meaningful difference, too. The degree of satisfaction about the program shows 73.0% that is as enough as 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program. The implication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 First, the factors of intrapersonal intelligence were identified. That is 'the recognition of emotion and potential', 'the practical using ability of emotion' , 'the decision ability', 'the impulse control' , 'the establishment about the aim', 'the consistency for success. Until now, the research on sub-factors of the Multiple Intelligence has stayed on the early stage. Therefore the debate of the entity of the intrapersonal intelligence has continued. The researcher defines the six factors of the three areas in it. The present study helps to study the intrapersonal intelligence. Second, a reliable assessment scale for Intrapersonal Intelligence(IIAS) is developed. It means that the assessment scales for the intrapersonal intelligence was made on the first through IIAS and its valid process. Third, the efficient program for the enhancement of the intrapersonal intelligence was developed. It has trouble in practicing a program in education that there has not been as the scale of the program. This program will make students improve his own ability on the planning of the future and prepare for self-realization on the basis of understanding and controling himself. The Intrapersonal Intelligence program(I am-do-will Program) can be operated effectively without time and space and economic limitation. Especially the program will be applied to the sixth-grade students who will go on to higher learning institutions efficiently. 자기성찰지능은 자기 자신의 정서와 능력을 바르게 이해하고 조절하며 미래를 설계하는 능력으로 개인의 자아실현을 위해 매우 중요한 지능이다. 자기성찰지능은 다중지능이론 중에서 다른 지능들을 활성화 하는 動因으로서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나 지능을 독립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도구나 이것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연구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성찰지능의 구성요인을 확인하여 타당한 척도를 개발하고 자기성찰지능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효과를 검증하고자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 알아보고자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자기성찰지능은 어떻게 측정할 수 있는가? 2. 자기성찰지능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할 수 있는가? 연구의 내용은 크게 자기성찰지능 척도개발과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으로 나누어진다. 척도개발에서는 문헌고찰을 통해 자기성찰지능 구성요인을 설계하고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으로 요인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에서는 자기성찰지능 향상 프로그램의 모형을 개발하고 그 모형을 근거로 ADDIE모형에 따라 자기성찰지능 향상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프로그램은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4개월간 15차시에 걸쳐 적용되었으며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위해 ANCOVA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확인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성찰지능은 ‘자기이해’, ‘자기조절’ 그리고 ‘자기설계’의 3영역과 각 영역에서 인지적 요인과 기능적 요인으로 설계된 6개의 하위 요인으로 구성된다. 6요인은 자기이해영역의 ‘정서와 능력에 대한 인식’과 ‘정서활용능력’요인, 자기조절영역의 ‘판단능력’과 ‘충동통제’요인, 그리고 자기설계영역의 ‘목표설정’과 ‘성취지향’요인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자기성찰지능 척도는 통계적으로 타당성과 신뢰도 측면에서 의미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자기성찰지능 척도는 관련 정의 및 문헌고찰을 통해 제시한 3영역 6요인 설계를 바탕으로 제작되었으며 23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요인분석과 신뢰도 검증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37문항이 구성되었다. 타당화 과정에서 KMO측도의 측정치가 .81로 우수한 정도를 보였고 확인요인분석에서는 고유치와 스크리도표를 근거로 본 연구자가 제안한 6요인으로 고정하여 검증한 결과 누적설명분산 49.8%의 설명력을 확보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에서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3영역 6요인의 설계와 문항구성의 적합도가 우수함이 검증되어 척도의 타당성이 확인되었다. 셋째, 본 연구에서 개발한 자기성찰지능 향상 프로그램(I am-do-will Program)은 초등학생들의 자기성찰지능을 발달시키는데 효과적이다. 자기성찰지능 프로그램 처치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 본 연구자가 개발한 자기성찰지능 척도(IIAS)로 사전ㆍ사후검사와 만족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공변량분석(ANCOVA) 결과 자기성찰지능 프로그램의 주 효과는 F=24.6으로 p<.001수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성찰지능의 각 영역과 하위요인에서도 유의한 수준의 차이가 있고 프로그램 만족도는 73.0%로 나타나 자기성찰지능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가 검증되었다. 위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자기성찰지능 척도 및 프로그램개발 연구의 의의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를 통해 자기성찰지능의 구성요인이 제시되었다. 지금까지 다중지능의 하위지능에 대한 연구가 초기단계여서 자기성찰지능도 그 구성요인을 명확하게 분석한 척도나 프로그램의 연구가 없는 실정이다. 그래서 자기성찰지능의 실체에 대한 논란이 계속되었으나 본 연구 결과 자기성찰지능 3영역과 6요인이 제시됨으로써 자기성찰지능의 구성요소를 분명히 하였다. 둘째, 독립적인 자기성찰지능 척도가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 자기성찰지능을 측정하는 도구로서 자기성찰지능검사(IIAS)를 제작하고 타당화 과정을 거쳐 제시함으로써 자기성찰지능 측정도구가 최초로 개발되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셋째, 자기성찰지능 향상에 효과적인 프로그램이 개발되었다. 자기성찰지능 프로그램도 척도와 마찬가지로 지금까지 개발된 사례가 없어 교육적으로 활용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향후 학생들에게 자기성찰지능 향상 프로그램을 적용한다면 자신의 이해와 조절을 바탕으로 미래를 설계하는 능력을 향상시켜 자아실현을 위한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자기성찰지능 프로그램(I am-do-will Program)은 운영상 시간적 공간적 그리고 경제적 제약이 없이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급학교 진학을 앞둔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에게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커뮤니티 댄스 참여를 통한 번영

        권오정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커뮤니티 댄스 참여자들이 참여 과정에서 경험한 긍정적인 심리체험과 참여 이후 일상에 미친 영향력을 탐색한 뒤, 이를 번영 구성요소를 토대로 구체화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커뮤니티 댄스에 2회 이상 참여한 성인 90명을 대상으로 개방형설문을 통해 참여체험을 수집한 뒤, 이 중 7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 내용분석과 내용 타당도 검증, 연역적 자료 전개를 통해 구체화하였다. 연구결과 참여 과정에서의 긍정심리체험은 성취감, 표현, 탈출, 몰입, 특별감, 자기발견, 소통, 숙련감의 8개 일반영역으로 추출되었으며, 참여 이후 일상에 미친 영향력은 용기함양, 긍정심리자본 획득, 사회적 관계망 확장, 예술 관심도 상승, 생활기술 형성의 5개 일반영역으로 추출되었다. 마지막으로 커뮤니티 댄스 참여 과정과 참여 이후의 심리체험을 종합한 뒤, 이를 번영 구성요소를 토대로 구체화하였다. 참여자 5명의 사례에 각각의 번영 구성개념을 투영하고, 참여의 전 과정을 시간축 기반으로 전개해 도식화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종합한 결과, 커뮤니티 댄스는 단순한 무용 체험만으로 그치지 않고 참여자의 일상을 긍정적으로 영위할 수 있는 자원 형성에 기여하였다. 특히 번영 구성요소인 긍정정서, 몰입, 의미, 관계, 성취가 체험 전반으로 확산되어 일상생활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커뮤니티 댄스 참여자 개개인의 심리체험에 주목하고 이를 참여 과정과 이후의 연장선상에서 탐색함으로써 춤을 통한 삶의 변화와 장기적인 영향력에 접근한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가 무용의 심리적 가치 논의를 확장시키고, 커뮤니티 댄스의 개념 정립과 효과 제시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해본다.

      • 조선시대 여성의 재산상속 사례 연구 : 해주정씨가 고문서의 해제

        권오정 韓國學大學院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조선시대 재산상속 연구는 균분상속에서 장자우대상속으로의 변화상과 그 요인을 밝히는 데 집중해 왔다. 남녀차별적인 그리고 장자를 우대하는 한말의 상속관행이 우리의 “전통”이 아니었다는 사실의 발견은 조선전기가 후기 사회와는 완전히 다른 사회였다는 성찰을 가져왔다. 그러한 변화가 왜 나타났는지를 규명하기 위해 이루어진 많은 연구들은 조선 초기 정책입안자들의 지배이념이었던 주자학과 종법적 가족질서가 정책과 교육을 통해 점차 사회 전반으로 확산되고 내면화된 결과인 동시에 조선후기 재지사족들이 직면하였던 경제적 신분적 도전을 극복하기 위한 전략적 선택이었다고 지적하였다. 특히 조선후기의 장자우대상속은 봉사를 명분으로 한 장자의 집안 공동재산에 대한 이용 및관리권한의 확대에 기인하다는 점이 크다는 점에서 장자상속과는 차별적인 것이다. 그만큼 제자균분의식은 조선후기까지 강고하게 지속되었다. 반면 봉사에 있어 딸과 사위가 배제되어 갔던 만큼 상속에서의 차별도 관행으로 자리 잡았다. 본고는 그러한 상속관행의 변화를 사례연구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고려말 이래로 사회의 습속이었던 제자녀균분상속 관행과 새로운 가족질서에 기반한 장자우대상속이 한 가문의 맥락 속에서 부딪치고 타협하며 실현되는 양상을 밝힘으로써 상속 관행의 변화상을 좀 더 세밀하게 규명하고자 하였다. 왕실 외손가이자 재경관인 가문 이었던 해주정씨가는 다량의 상속문서를 오늘날까지 전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15~16세기 分財記가 다량 포함되어 있다는 점에서 좋은 사례연구의 대상이다. 특히 이 시기 여성 財主의 분재기가 주를 이루고, 공주•후궁•대군부인•사족부인 등 신분적으로 다채롭고 이혼여성과 여승 등 다양한 사례를 포함하고 있어 조선전기 여성의 재산상속에 대한 다양한 이해에 접근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15~16세기 분재기 분석을 통해 조선전기 여성의 재산상속의 다양한 사례를 밝히고, 17-18세기 상속문서 속에 나타나는 균분상속과 장자우대상속의 양상, 이 속에서 나타난 여성 상속권의 변화와 그 의미를 분석하였다. 15~16세기 상속문서는 어머니와 무후한 여성의 유형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일반적 상속유형에 속하는 어머니의 경우로는 鄭眉壽의 처 이씨와 그 며느리 권씨의 상속사례를 검토하였고, 무후한 여성의 유형으로는 永膺大君 棄別夫人 정씨와 단종비 魯山君夫人 송씨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이 사례들은 조선전기 재경귀족가문과 왕실 여성들이 어머니로서 가졌던 가산처분 권한과 그 양상을 보여주고 있으며, 자식을 두지 못하였던 여성들이 오늘의 삶과 내일의 사후를 위해 자기 재산을 어떻게 분재하였는지를 드러내고 있다. 남편 사후 홀로된 어머니는 집안의 어른으로서 가산 상속의 시기와 상속재산의 분정을 주재하였다. 귀족가문의 경제적 기반은 분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기본 조건이 되었다. 장수한 이씨는 고령의 나이에 이르기까지 분재와 상속재산에 대한 조정을 행하 였으며, 일정 부분 자기 재산을 사망 직전까지 유지하였다. 상류층의 무후한 여성들도 자신의 사후 상장례와 봉사를 중심으로 재산을 상속하였다. 남편의 다른 자녀에게 의지할수 없었던 기별여성의 경우는 친정의 질자에게 상속을 집중하여 사후 분묘수호와 봉사의 안정을 꾀하였다. 더불어 부분적으로는 생전 자신에게 보여준 공을 따져 친척과 지인들 에게 소량의 재산을 증여함으로써 외로운 삶을 함께할 전략으로 삼았다. 자식이 없어 효라는 절대도덕의 힘을 빌릴 수 없었던 이들 무후한 여성들은 적절한 경제적 보상을 통하여 친척간의 화목을 도모하였다. 또한 노산군부인 송씨는 불교 수행자내 사승관계집단의 상속과 봉사조 재산의 상속을 동시에 행한 예이다. 17세기 정씨가 상속문서의 가장 큰 특징은 이 세기에 걸쳐 다섯 세대 동안 화회문기가 작성되었다는 점이다. 화회문기를 통해서는 남녀균분적 상속관행이 지속되었다. 17세기 초 철저한 균분과 田庄의 분할 상속은 균등한 여성 상속권에 대한 증좌였다. 그러나 17세기 중반 이후 전답에 있어 남자 형제들을 중심으로 하는 가산운영이 두드러지기 시작하였다. 균분에 위배되지는 않았으나 주요 전장의 분할상속이 중단되었고, 딸들에게는 외가로부터 전래된 ‘원지’의 전답만을 배분하는 모습도 나타났다. 자녀의 화회분재와 병행하여 17세기에는 재주에 의한 승중조, 봉사조 별급 관행이 나타나고 강화되었다. 이전 시기와 달리 장자계열에게 독점적으로 世傳되는 상속이라는 점에서 정씨가의 17세기 승증조, 봉사조 별급을 장자 별급이라고 부를 수 있다. 또 별급 이후 다음 세대의 화회분재에서 이 재산이 제외된다는 점에서 균분상속 흐름과 분리된 장자 별급 상속 흐름이 형성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장자 별급은 장자가 단독으로 봉사를 전담하는 관행에 의해 정당화되고 강화되었다. 윤회봉사가 중단되고 봉사가 장자와 등치되면서 봉사조 재원의 장자계열 세전이 마땅한 것으로 인식되었다. 윤회봉사를 철회한 차자와 딸들은 자신들의 상속몫을 헐어 봉사를 행할 장자에게 내어 주었다. 따라서 조선후기의 남녀차별적인 장자우대상속으로의 전환은 봉사 몫 재산의 증대와 그 관리자 로서 장자 또는 남자를 배려한 성격을 강하게 가졌다. 요컨대 장자와 남자를 우대하고 여성을 차별한 것보다는 봉사자를 우대한 것이었다. 정씨가에는 17세기 내내 어머니의 상속 사례는 보이지 않는다. 현전하는 상속문서가 불러일으킨 왜곡일 수 있으나 다소 간의 별급을 제외하고는 어머니에 의한 주요한 가산 구처가 없었음은 분명하다. 바로 전 시기인 16세기에 어머니와 할머니가 가산 상속을 주도한 것과는 매우 대비되는 현상이다. 일단 남편보다 장수한 아내가 적었고, 남편 사후 오래도록 생존하였던 정식의 처 엄씨의 경우에도 그 사후 자녀들이 화회분집하는 형식으로 가산을 나누어 가졌다. 정씨가로서는 17세기에는 남성들에 의해 가문운영이 주도되었 다고 말할 수 있다. 정미수 사후 오래 동안 미관에 머물렀던 정씨가는 정효준 아들 대에 이르러 과경과 출사로 현달한 아들들이 가문을 이끌어갔다. 이러한 가문내 어머니의 입지 약화는 양자의 사례에서 극명하게 드러난다. 16세기 초정미수 부처는 동성 내 먼 친척 조카를 계후자로 삼았다. 정미수의 처 이씨는 친정 질녀를 며느리로 들여 부처 모두 혈연으로 이어지고 경제적 이해도 일치하는 양자 부부를 들였다. 계후자가 아니라 계후자 부부를 세운 것이다. 이에 이씨의 상속문서에서는 항상 남편의 친척과 친정의 친척이 함께 증인과 필집으로 등장하였다. 이씨의 친정 재산이 전계 되는 만큼 친정쪽 인물을 증필로 세워 후일의 분쟁을 대비한 것이다. 반면 17세기 말 정중휘의 장자 정이령의 양자는 바로 손아래 동생 정지령의 맏아들이 었다. 차자의 아들로 계후하는 것은 조선후기 사족가문의 전형적인 입후였다. 양모 경씨가 양자에게 내린 상속문서에는 친정쪽 인물은 보이지 않고 양자의 친부인 시동생 정지 령이 필집을 담당하거나 그 사후에는 아들 정운보가 참여하였다. 16세기 부부 공동의 봉사자이자 재산상속자에서 부계의 가계계승자로 양자의 성격이 변모한 것이다. 어머니가더 이상 자신의 재산을 본족에게 전할 수 없는 부계중심적 입후 관행의 성립은 아내 재산권의 독자성이 크게 약화되었음을 상징적으로 드러내는 것이다. Unlike Goryeo, Joseon was a country founded on ideological basis of Neo-Confucianism. In order to strengthen the legitimacy of the new dynasty, Buddhism, which had been prevalent in the previous dynasty, was strongly criticized for its evils, and rebellion was justified as a renovation to reform it. Policy makers of the early Joseon period determined the major policies based on Neo-Confucian doctrine, and the result was codified into the law. Along with this policy impact, the Joseon society has undergone a great change as Neo-Confucianism, the dominant ideology of the entire intellectual society, has been internalized. Families and relatives were one of the areas where such change was prominent. Buddhist family rituals have been replaced by Confucian clan rules, and the bi-lateral family order, which emphasized not only the paternal system but also the maternal system, gradually shifted to the paternal line centered, and then to the primogeniture centered. Accordingly, the gender equality inheritance practice of the late Goryeo period was gradually shifted to the gender discrimination inheritance, and to the primogeniture centered inheritance practice. These changes have been reinforced since the middle of the 17th century and are known to have settled in the middle of the next century. This study has specifically tracked the changes in property inheritance through the case of a lineage. We analyzed how the changes in the overall inheritance practices identified through collective data analysis appear in the specific context of a lineage, and the existing customs move toward a new flow of finding a compromise in a new social environment. The difficulty of this type of case study was the rarity of the early Joseon period materials. However, old document materials held by the head family of Haeju Jeong lineage recently excavated is the subject of an excellent case study since they cover not only inheritance documents of the entire period from the early Joseon to the late Joseon but also the amount is abundant. Especially noteworthy is the fact that most of the inheritees of the early Joseon inheritance documents were not only females but also women of various positions such as mother of Seoul noble family, divorced aunt, king's concubine, princess, and deposed queen. Therefore, by analyzing various cases of inheritance of properties of women in Joseon, it is possible to obtain a specific understanding about the inheritance of noble family and royal women in Seoul. In addition, through the analysis of inheritance documents of the late Joseon period, we examined whether the conventional equalized inheritance was changed to the eldest son preference inheritance of Confucian clan rules unilinearly or the two flows of inheritance were realized while reaching compromises. The Jeong lineage of Haeju became a noble family by getting related by marriage with the second king of Joseon. The marriage with the royal family continued to the next generation, and the children of Jeong became daughters-in-law of Taejong and Sejong in turn, and became a son-in-law of Munjong, the next King. In the power struggle surrounding the throne that occurred as Munjong died early and his young son became a new king, the Jeong lineage also underwent a great trial. When this devastation came to an end as the son and the son-in-law of Munjong were met with death, the royal family protected Munjong’s daughter and his grandchildren politically and supported economically in order to gain public opinion. The grandson became a son-in-law of the new ruling circle of the new king to grow into a high court official. As a result, the Jeong lineage recovered the old fame and economic wealth again as the daughter’s family of the royal family. It was in the mid-seventeenth century that the Jeongs had once again returned to high offices. During this period, five sons of Jeong family passed the high civil service examination and became high court officials, to enjoy the revival of their former glory. However, after this generation, the Jeongs were gradually pushed out from political power as the political force they belonged to lost in the power struggle at the court. So, by the mid-eighteenth century, the Jeongs had to move their political base to a peripheral area of the country’s capital. There are two types of inheritance cases of women during the first half of Joseon period that can be seen through the property inheritance documents of this lineage. In one type, the mother bequeaths the property to her children, another type concerns the women who do not have children. A representative for the first type is the case of wife Lee of Mi-soo Jeong, a grandchild of King Munjong. Lee, who was entrusted with inheritance disposition for the entire family before her husband’s death except for a part of the property, mainly bequeathed to her grandchildren. This was necessitated because her adopted son died before her. Lee did not bequeath to her grandchildren at one time, but gave them a reasonable amount for each of their grandchildren' s life events. For coming-of-age ceremony, she bequeathed a property for their ancestral ceremony. For wedding of her grandchildren, she bequeathed the property of their share. Besides, she bequeathed a large amount to those who were starting their official career as a mater of celebration. In consideration of the complaints of her grandchildren, she also made frequent adjustments. As a woman who had no children, one can count aunt Jeong of Mi-soo Jeong who was divorced as a daughter-in-law of King Se-jong. Aunt Jeong bequeathed a considerable amount to nephew Mi-soo Jeong of her parents’ home for funeral and ancestral ceremonies. She was active in providing economic rewards to her relatives and acquaintances for their kindness and hospitality for comfort of life. Aunt Song of Mi-soo Jeong became a queen by marriage, but after her husband’s death found herself in a dangerous situation politically. So, she embraced the Buddhist faith and declared a political and social break. She became the head monk of Jeongeop-won, a Buddhist temple for royal women and inherited houses and farms from a senior who takes the same teacher. She built a new house on it using the timber from the royal family and lived with her disciples who were her former maidens-in-waiting from her palace days. She bequeathed part of her property to these disciples, and bequeathed the remainder to Mi-soo Jeong who was entrusted with the work after her death. When ancestral ceremony for her husband was allowed by the central government, she built a shrine and held ancestral ceremonies for her husband herself. When Mi-soo Jeong died before her, she entrusted Lee, the wife of Mi-soo Jeong, with the work related to her husband’s shrine and taken care of graveyard. Although there were suggestions that she should adopt a son, she was concerned with a possible political dispute regarding the ancestral ceremony for her self and her husband and bequeathed the property to the wife of her nephew for ancestral ceremonies. The main flow in property inheritance of the Jeong lineage during the seventeenth century took the form of dividing the property among children in mutual agreement after the death of their mother. In this kind of inheritance, the practice of equalized inheritance continued as in the first half of Joseon period. But in content, especially in management of rice paddy and field, daughters were excluded. In separation from this flow, a special inheritance was carried out by fathers and grandfathers that is intended to reward economically on the occasion of success in high civil service examinations of their sons and grandsons. During this period when there were many successes in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fathers and grandfathers bequeathed property for the eldest son for his success in the examination and bequeathed property for primogeniture, which were exclusive only to the eldest sons and grandsons. The property so inherited was excluded from other property that was subject to the inheritance by agreement. Two different flows of inheritance continued in this form. In the case of Jeong lineage, this practice was shifted to preference inheritance to the eldest son line as adoption was needed since there was no male heir around the end of the seventeenth century. This practice was reinforced again as the custom of holding ancestral ceremonies in turn among children stopped and the practice of exclusive holding by the eldest son of ancestral ceremonies became a common place. Since then, the property for the ancestral ceremony inherited by the firstborn was recognized as the property of the lineage, rather than the possessions of the eldest son and grandson, and as is well known, it settled as a wealth of lineage propert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In the inheritance of the Jeong lineage, there are various examples of inheritance of noble women and royal women in the first half of Joseon period. In addition, the change in the inheritance practice during the second half of Joseon period showed not a unilinear shift from equalized inheritance among children to the eldest son preference inheritance but a parallel development of two flows of inheritance until the reinforcement of the eldest son preference inheritance with the exclusive entrustment of ancestral ceremony to the eldest son as the occasion. In this regard, the inheritance practice settled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has the character of favoring the eldest son or a male as the manager for increased service (ancestral ceremony) resource and related property rather than treating the eldest son preferentially and discriminating women.

      • Enhanced characteristics of TCO films with (SiO₂)₃(ZnO)_(7) gas barrier layer on various plastic substrates

        권오정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Flexible OLED에 적용 가능한 보호층은 치밀한 비정질 구조, 높은 극성을 가져야 하며, 높은 광 투과도를 나타내야 하며, 가장 중요한 수분과 산소의 투과를 차단하여야 한다. 또한 TCO층의 계면층의 역할을 해야한다. 본 연구에서는 SZO 단층박막으로 가시광 영역에서 약 80 % 이상의 높은 광 투과율과 10^(-3) g/m²ㆍday 이하의 낮은 수분 투과율을 보이는 보호층 물질을 사용하여 TCO 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SZO층 유무에 따라 가시광 영역에서 80%이상의 높은 광 투과율과, XRD 측정 결과 ITO/SZO/PEN 시편을 제외한 모든 시편이 비정질 구조이며, 낮은 면저항으로 우수한 전기적 특성의 향상을 나타내었다. 또한, bending test 결과 우수한 완충적 역할로 TCO층을 보호하였다. 이는 Flexible OLED에 적용가능한 보호층으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유리형성자 SiO₂에 극성이 큰 유리 변형자 ZnO가 첨가됨으로써 박막의 구조가 치밀해지고, 극성이 증가함으로써, 결과적으로 TCO 층에 영향을 주어 전기적 특성의 향상 뿐 아니라, Flexible OLED에 필요한 bending test 에서도 획기적인 결과를 나타내었다고 설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험에서는 SZO 보호층이 TCO 박막의 특성의 향상에 많은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실험을 통하여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Flexible display에 적용되는 보호층은 치밀한 비정질 구조, 큰 극성, 높은 광 투과율, 그리고 공정의 용이성 및 투명전극의 특성향상 및 완충적 역할을 만족시켜야 한다. 본 실험에서는 RF-magnetron sputtering system 방식으로 제작된 플라스틱 기판위의 (SiO₂)₃(ZnO)_(7) 무기혼합박막은 그 위에 증착된 TCO(ITO, IZO)층에 전기적 특성의 향상 뿐 아니라 Flexible display에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특히 IZO 투명전극의 경우 SZO층을 가스베리어층으로 사용할 경우 상업화에 적용가능한 뛰어난 광학적, 전기적인 특성을 가지며, 추후 SZO 단일 층 및 다층구조 형성시 FOLED에도 적용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In this work, (SiO₂)₃(ZnO)_(7) at.% (SZO) film was coated on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and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substrates to be used as a gas barrier layer. The PEN and PET with a SZO gas barrier layer showed a very low water vapor transmission rate of less than 10-3 g/m2/day. These PEN and PET were used as flexible substrate for transparent conductive oxide (TCO) films such as In2O3-SnO2 (ITO) and In2O3-ZnO (IZO). The ITO and IZO films with 200 nm thick were deposited on PEN and PET without and with a SZO gas barrier layer at room temperature in a pure Ar gas atmosphere by using the rf-magnetron sputtering system. In order to study the application possibility for flexible display, their electrical conductivity and stability due to the physical damage after bending test of TCO films with a SZO gas barrier layer were investigated. The electrical property of TCO films deposited on PEN and PET substrate with a SZO gas barrier layer (TCOs/SZO/PEN, TCOs/SZO/PET) were significantly improved as compared to those of ITO film deposited on a bare PEN and PET substrates without a SZO barrier layer (TCOs/PEN, TCOs/PET). The electrical conductivity of TCOs/SZO/PEN and TCOs/SZO/PET films were hypothesized to be a result of SZO layer acting as a protecting layer to water vapor in air or organic solvents diffusing from PEN and PET during deposition of TCO films. In addition, the improved electrical stability of TCOs/SZO/PEN and TCOs/SZO/PET films were also hypothesized to be a result of the SZO layer acting as a buffer layer improving adhesion between TCO films and PEN/PET substrate. Thus, we suggest that the PEN/PET with a SZO gas barrier layer are sufficiently transparent and has a superior protection ability against the permeation of water vapor, so that it can be applied to substrate for TCO films in flexible display.

      • 고분자 액정 넥트윅(network)에 의한 안정화 모드(mode) 개발

        권오정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정보화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들은 필수품인 정보 디스플레이 시스템이 사회 경제적으로 매우 중요한 요소임을 알고 있다. 그러나 현재 생산 판매되고 있는 LCD 제품들은 기본적으로 휨이 가능하지 않고, 역학적 안정성이 충분치 않아 휴대 가능한 display로서 부적합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역학적으로 안정성이 띄어난 고분자 액정을 사용하여 표시장치와 기억소자로서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mode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개발고자 주력하였다. 이를 위하여 휨이 가능한 기판에 사용할 수 있는 SCLCP/LC(side chain liquid crystalline polymer/low molecular weight liquid crystal) composite system으로 network을 형성하여 안정성을 확인하고 전기 광학적 특성을 측정해 보았다. 여기에 사용된 고분자는 새롭게 합성된 Poly-oxcentane으로 저분자 액정의 혼합 비율, 고분자 혼합계의 조성비율 등을 바꿔가면서 특성 개선을 위하여 연구하였다. 구동 방식으로는 주파수의 크기에 따라 투과 상태와 산란 상태가 연속적으로 일어날 수 있게 하였으며, 주파수 크기에 따른 구조적 mechanism을 분석하였다. 또한 하루 이상의 긴 지속시간(retention time)을 확인함으로써 memory device로의 응용가치를 확인하였다.

      • 슈퍼커패시터를 이용한 회생에너지 증대 및 제동에 관한 연구

        權五正 全南大學校 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전기자동차는 기술의 발전과 함께 실생활에 적용하기 위한 시점에 이르렀다. 그 중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전지를 이용한 차량에 대한 기대는 대단히 크다. 대부분의 자동차 회사들은 승용차에 적용할 목적으로 중소형 차량용 연료전지시스템을 개발하는 추세이다. 또한 소형 차량 일수록 전기자동차의 장점을 최대한 살릴 수 있다. 이러한 추세는 미국 일본 및 유럽 전동차량 보급시책에서도 알 수 있다. 본 논문의 목표는 1.2kW 고분자 전해질형 연료전지를 이용한 초소형 전기자동차용 전기적 제동 장비를 설계하는 것이다. 본 장비는 BLDC 모터와 소용량의 슈퍼커패시터 뱅크를 이용하여 회생제동에 관하여 실험하였다. BLDC 모터의 발전 전압이 낮은 경우에도, 슈퍼커패시터(EDLC)는 뱅크를 전환함으로서 회생제동량을 증가 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회생에너지 증대 및 제동은 슈퍼커패시터(EDLC)의 SoC 상태와 전류의 영향을 받음을 실험을 통하여 알 수 있었으며, 전기적 제동법은 발생제동과 회생제동을 적절히 조합해야 함을 알았다. Electric vehicle has been come to our life as the automobile and power electronic technology developed. Among those of electric vehicles, PEMFC has reached high expectation. Automobile companies are developing compact car fuel cell system for applying to the vehicle. A merit of electric vehicle can be useful as it gets smaller. Recent research of popularizing electronic vehicle in America, Japan and Europe has reported this trend. This paper explains the experiment about electrical braking equipment which will be used 1.2kW PEMFC HEV. The experiment equipment is made of BLDC motor and super capacitor(EDLC). The circuit is designed for regeneration braking that can save the energy from low voltage of generation with BLDC motor. Increasing a regeneration energy from braking system is effected with regeneration current and SoC of super capacitor(EDLC). Electrical braking in electrical vehicle is suitable for regeneration braking with dynamic braking together.

      • 紹修書院 景濂亭詩 硏究

        권오정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Different from previous researches focused on Sosoo-Seowon building itself and its historical meaning,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about Gyeong-ryeom-jeong poem that was written in Sosoo-Seowon. The pavilion of Gyeong-ryeom-jeong was made for the poets to write poem or take a rest. Gyeong-ryeom-jeong was the first Seowon(Lecture Hall) built in Korea and it was fuctioned as a place for poets to write poem and take a rest until 19th centuries. This study covered about Gyeong-ryeom-jeong‘s function as a place for taking rest and Gyeong-ryeom-jeong poem's changed writer beauty awareness. First, Ju Se-Bung built pavilion matching the nature, naming it Gyeong-ryeom-jeong. This is not just for enjoying nature but for relating 性理學的's point of view showing Juja's Muijungsa(武夷精舍) and Muigugok(武夷九曲). In short, the pavilion is built for not just enjoying Gyeong-ryeom-jeong but for disciplining oneself. Second, Gyeong-ryeom-jeong provided poets with places of writing poetry between 16th and 19th centuries. By providing place for writing poetry, Gyeong-ryeom-jeong became a center of local poet groups. Third, a willingness to acquire Chunri(天理) expressed as Yeonbieoyak(鳶飛魚躍) is revealed through natural phenomenons. Acquiring the Chunri(天理), abandoning Inyok(人慾), and looking nature with contemplation in Gyeong-ryeom-jeong poem, it was expressed as aesthetic world. Fourth, Gwangpungjewol(光風霽月) is the topic of Gyeong-ryeom-jeong poem. This is not only talking about Sansuaeho(山水愛好) but also acquiring the Chunri(天理), abandoning Inyok(人慾), and longing for ideal personality. Fifth, Since Imjin War(壬辰倭亂), the writers who have suffered a crisis of national consciousness of the city is a self-esteem and keep the suspension have to go after a writer has to look at consciousness. In addition, through Gyeong-ryeom-jeong poem, this study is a good data to look at the reality awareness of intellectuals in those days. Also, most of the Gyeong-ryeom-jeong poem writers resided in near Sosoo-Seowon. They are good source of information about local writers and literary circle. I hope that Gyeong-ryeom-jeong poem and other writers should be researched and discussed again in the future.

      • 항공사 사무장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승무원들의 서비스 지향성과 동기부여에 미치는 영향

        권오정 한국항공대학교 경영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요 약 악화일로에 있는 작금의 항공시장은 항공사들로 하여금 불가피하게 위기전략경영을 요구하고 있다. 대표적인 서비스 산업 군에 속하는 항공 산업이 불황탈출을 위해 선택할 방안은 그리 다양하지 않다. 언제나 그렇듯이 서비스 산업이 위기 탈출을 위해 선택하는 가장 보편적인 방안은 고객만족에 따른 고객확보이다. 왜냐하면 서비스 산업은 태생에서부터 고객의 선택에 전적으로 의존하도록 구조화 되어있기 때문이다. 여러모로 사업을 다각화 해보지만 위기경영의 핵심은 결국 고객만족 서비스로 귀착 되어 진다. 기존고객유지, 신규고객확보 전략은 어쩌면 당연히 예정된 수순일 지도 모른다. 여기에서 항공사들이 주목하는 부분이 고객담당 현장직원들의 서비스 수행능력이다. 본 연구에서는 일차 적으로 최 일선에서 고객응대를 담당하고 있는 항공사 승무원의 역할에 초점을 맞추었다. 먼저 선행연구를 통해 정립된 이론적 요소들을 분석하여 영향변수들을 선정하였다. 고객만족의 단초가 되는 항공기 승무원의 자발적 서비스 수행 의도와 이를 유도해내는 동기부여 그리고 고객서비스 수행의 발로인 서비스 지향성이 그 요인들이다. 이어서 항공사 승무원의 동기부여와 서비스 지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찾아보았으며 그 중에서 가장 측근에서 승무원의 서비스 태도와 행동을 관리하는 사무장을 대상으로 삼았다. 다양한 사무장의 역할과 임무 중에서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독립변수로 선정하여 그 영향 정도를 분석하였다. 정리하면 항공사 승무원의 서비스 지향성과 동기부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사무장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선정하여 서로간의 상관관계를 실증 분석하였다. 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무장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승무원의 서비스 지향성에 양(+)의 영향을 미친다. 둘째, 사무장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승무원의 동기부여에 양(+)의 영향을 미친다. 실증분석은 사무장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독립변수로 삼고 승무원의 서비스 지향성과 동기부여를 종속 변수로 삼아 그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사무장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에 대한 설문의 요인분석결과에 따라 가장 수치가 높은 4개 요인을 추출하였다. 승무원의 서비스 지향성과 동기부여의 요인분석결과에서는 각각 3개의 요인을 추출하였다. 각각의 설문에서 추출된 변수 들을 회귀분석 자료로 사용하여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사무장의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승무원들의 서비스 지향성과 동기부여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설은 모두 검증 되었다.

      • PEMFC용 BOP 설계와 기동정지 특성에 관한 연구

        권오정 전남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31

        최근 연료전지의 제품화 및 상용화에 대한 보고가 늘고 있다. 연료전지의 구성부품에 대한 화학공학적 연구는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으나, 연료전지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장시간 운전하는 BOP(Balance Of Plant) 운전 기술에 대한 부분은 업체의 노하우(know-how) 형태로 공개되지 않은 경우가 많다. 반면 연료전지 업계에서는 전산해석 및 전기화학 재료 연구 외에 BOP를 연구하는 인력에 대한 수요가 있다. 전기화학 이론과 열역학과 유체역학 등 기계공학 이론의 바탕에 전기전자제어 기술이 필요한 BOP 운전 기술을 연구하는 것은 연료전지 산업을 조기에 성숙시키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연료전지의 열관리, 물관리 시스템을 설계하고, 안정적인 운전을 위한 기동정지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고, 실제 차량에 적용하여 시스템의 효용성을 확인하는 것을 본 연구의 목적으로 잡았다. 구체적으로는 아래와 같은 연구를 수행하였다. 3장에서는 마이크로컨트롤러(Micro-controller)를 이용한 BOP를 제어하기 위한 측정 항목을 정리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압력센서 및 온습도센서를 이용하여 BOP의 운전 상태를 모니터링하였다. 기존의 많은 연구에서 온도 및 압력만 측정한 것과 대비하여, 습도 정보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상대습도 제어기’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COMSOLTM을 이용한 전산해석을 통하여, 팬(fan)의 중심부에서 30 mm이상 떨어지면 팬에서 발생한 유체의 흐름이 스택(stack)의 벽면을 부딪친 후 역류하여 팬의 블레이드(blade)를 간섭하는 현상이 줄어듦을 확인하였다. 4장에서는 앞서 설명한 온습도센서를 이용하여 BOP중 가습 시스템 부분을 개선하고자 상대습도 제어기를 모터밸브(motor valve)를 사용하여 제작하는 내용을 기술하였다. 모터밸브를 사용한 상대습도 제어기를 연료전지 수화(水和) 과정에 적용해 본 결과, 솔레노이드밸브(solenoid valve)를 이용하여 On/Off 제어하는 시스템과 달리, PID 제어를 수행할 수 있었으며, 상대습도가 목표에 수렴하고, 목표 수렴 후에는 전력 소모 없이 모터가 움직이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5장에서는 운전 정지 시 반응기체를 제거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기동 할 때 반응기체를 투입하는 순서, 정지 시점에서 반응기체를 제거하는 방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전압과 압력을 분석하였고, 최적의 기동 방법과 정지 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연료전지의 전압과 압력과의 이론식을 유도하고, 실측된 압력으로 계산된 곡선과 전압 곡선이 유사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6장에서는 BOP를 이용하여 연료전지의 성능을 측정하고, 스택과 BOP의 동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골프카를 개조한 ‘자율주행 소형 차량’에 BOP와 전력변환기를 부착하고 실험한 ‘차량 부하 실험’에 관한 내용을 기술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