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비전통적 매체를 이용한 브랜드 구축 방법에 대한 사례연구

        권오덕 高麗大學校 經營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대중매체를 활용하여 막대한 예산을 투입해서 브랜드를 구축하는 기존의 방법을 배제하고, 최근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비전통적매체를 활용하여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브랜드를 구축하는 방법을 찾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한 세부적인 방법으로 최근 각광 받고 있는 몇 가지 브랜드커뮤니케이션의 사례연구를 통하여 기존의 획일적인 대중매체를 통한커뮤니케이션에서 탈피, 새로운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수단을 활용하여 효율적인 브랜드를 구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실제로 대안적 매체를 통한 브랜드 구축의 필요성을 가지고 있는 'S'사의 'H'브랜드를 연구 과제로 선정하고, 'H'브랜드가 처한 시장 상황과 기업 환경 속에서 어떠한 대안적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성공적으로 브랜드를 구축할 것인지를 연구해 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험 및 이를 바탕으로 한 구전(W0.M.) 마케팅을 적극 활용한다. 즉, 기존 프리미엄 브랜드 구축의 성공사례(Z, P브랜드)를 기반으로 제품의 우수성 및 생활의 자부심을 체험할 수 있게 각종 제품의 진열, 전시를 통해 새로운 커뮤니티, 새로운 Lifestyle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브랜드이미지를 제고시킴으로써 target 소비자 층을 중심으로 긍정적인 효과를 파급할 수 있게 한다. 둘째, 이벤트 개최나 행사후원을 통해 대상 소비자 층의 관심 및 참여를 유도하고 해당 이벤트 및 행사를 PR과 연계하여 사전에 이를 계획하고 조정함으로써 PR효과를 극대화해서, 투입 예산대비 최대한의 브랜드 구축효과를 볼 수 있게 한다. 셋째, 새로운 Lifestyle을 추구하는 여성 소비자 층이 많이 활용하고 있는 인터넷을 이용하여 자체 홈페이지를 개설, 운영하고 방문자들의 관심을 유도할 수 있는 컨텐츠를 다양하게 제공해주며, 이를 통해 지속적인 커뮤니티를 형성해서 방문객들과 직접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장기적인 브랜드구축에 활용할 수 있게 한다. 본 연구 결과는 대중매체에 지나치게 의존하지 않고도 다양한 브랜드커뮤니케이션 방법을 활용하여 효과적, 효율적으로 브랜드를 구축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해 주고 있다. 현재 기업이 처한 다양한 커뮤니케이션환경과 한정된 기업의 자원을 감안할 때 이러한 대중매체에 치우치지 않는 효율적인 브랜드 커뮤니케이션을 활용하여 브랜드를 구축하는 방법은 기업의 브랜드 구축 및 마케팅을 담당하는 실무자들에게 다양한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다.

      • 시멘트 혼합토로 보강된 하천제방의 안정해석

        권오덕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development of bank design technology is essential to do to maximize the size safety degree which use bank body. The bank design technology does not only mean that achieve simple stability examination deciding size of section of bank by design flood discharge that is presented in the design standard, but also the bank needs a bThe development of bank design technology is essential to do to maximize the size safety degree which use bank body. The bank design technology does not only mean that achieve simple stability examination deciding size of section of bank by design flood discharge that is presented in the design standard, but also the bank needs a basis technology considering the various special quality that is shapes and building materials as bank is a part of rivers and a river has special qualities by each section. For example, a river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irrigation is designed considering outside of bend's effects as part of shrinking and if a river's scour is continued and a riverbed's decline occurs, a bank's slope placed on the outside of bank is exposed on the risk of erosion. The method to estimate these risk depends on which river wall engineering method is used. Also, the using of building materials is limitations by spot's circumstance. This time, the choice of building materials needs estimations of various kinds problem occurrence possibility that is a stability, a leaking water and so on for use of materials in river bed and riverside considering economic and constructibility and for use of materials that is not suitable to regulations. In this paper, the body using the mixing soils that mixed cement and aggregates in river bed and surrounding is estimated to a suitability by design and building in the contry and abroad. And the river designed standard is investigated for the suitability estimation of materials. And select to representative points in the upstream, the midstream and the downstream and collect soils and perform the laboratory experimentation for earth and sand and the cement mixing soil because of improvement of engineering charicteristics.sis technology considering the various special quality that is shapes and building materials as bank is a part of rivers and a river has special qualities by each section. For example, a river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irrigation is designed considering outside of bend's effects as part of shrinking and if a river's scour is continued and a riverbed's decline occurs, a bank's slope placed on the outside of bank is exposed on the risk of erosion. The method to estimate these risk depends on which river wall engineering method is used. Also, the using of building materials is limitations by spot's circumstance. This time, the choice of building materials needs estimations of various kinds problem occurrence possibility that is a stability, a leaking water and so on for use of materials in river bed and riverside considering economic and constructibility and for use of materials that is not suitable to regulations. In this paper, the body using the mixing soils that mixed cement and aggregates in river bed and surrounding is estimated to a suitability by design and building in the contry and abroad. And the river designed standard is investigated for the suitability estimation of materials. And select to representative points in the upstream, the midstream and the downstream and collect soils and perform the laboratory experimentation for earth and sand and the cement mixing soil because of improvement of engineering charicteristics.

      • 광섬유 센서를 이용한 구조물 안전진단 연구

        권오덕 韓國産業技術大學校 産業技術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에서는 터널, 교량, 댐, 기타 건축 구조물의 기계적인 경시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유리로 만들어진 광섬유센서(Fiber Optic Sensor)를 제작하여 1차로 환경적인 요인에 대한 검증 및 광원의 안정성 시험을 하였고 2차로 기계적인 인장(Strain)시험 시스템을 구축하여 실제 토목이나 건축 현장에서 발생되고 있는 진동이나 균열에 대한 광섬유 센서 시스템의 적용 가능성을 연구하였다. 광섬유 센서는 작동 원리에 따라 간섭계 센서 및 강도센서(Intensity Sensor)로 구분 되어 진다. 간섭계 센서로는 마하젠더(Mach-Zenhnder), 마이켈슨(Michelson), 패브리패롯(Fabry-Ferot) 간섭계 센서 등이 있으며, 강도센서 로는 광섬유의 마이크로벤딩(Micro Bending)을 이용하는 광섬유스트랜드형(Fiber Strand Type) 등이 있다. 이중에서 본 실험에서는 연구결과를 활용하여 실제 현장에서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형태인 광섬유스트랜드형을 선택하였다. 광섬유가 실제 토목이나 건축 구조물에 장기간 신뢰성을 유지하면서 제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환경적인 영향에 무관하거나 환경적인 영향을 받더라도 일정한 경향을 가져야 하므로 우선 실험에 사용할 파장에서의 광원의 안정성 실험을 우선 실시하였다. 광원의 종류를 백색 광원, ASE Source, LD, LED 등을 사용하여 가장 안정화된 광원을 사용하여 실험을 하였다. 그 다음으로 실제 구조물에 부착하여 균열이나 스트레인(STRAIN)을 직접 감지하는 광섬유 센서 모듈 제작을 위해 최적의 광섬유 구조를 선정하여야 하는데 일반 장거리 통신에 많이 사용되는 단일모드 광섬유(Single-mode Optical Fiber) 보다는 벤딩에 민감한 다중모드 광섬유(Multi-mode Optical Fiber)를 선정하였고 효과적으로 구조물의 미세한 변화를 감지할 수 있게 최적의 피치(Pitch)를 갖도록 몇 가닥의 광섬유를 스트랜딩(Stranding)하여 센서 헤드를 제작하였고 이를 일정한 길이로 배치하고 외부의 물리적인 충격으로부터 광섬유를 보호하기 위해 튜브를 선정하여 광섬유를 고정하였다. 이렇게 제작된 광섬유 센서 모듈의 성능 시험을 위해 광섬유에 가해진 물리적인 힘의 변화를 감지하여 직접 볼 수 있게 프로그램을 통해 해석하여 보았다. 또한 현장에서 일어날 수 있는 물리적인 힘을 가해서 광 신호의 변화를 관찰하고 그 변형추이를 그래프화하여 해석하여 보았다. 그 외에 현장에서 물리적인 요소 이외에 환경적인 요인에 대한 변수를 관찰하기 위해서 항온실험을 실시하여 그 경향을 관찰하여 보았다. 구조물의 물리량 변화에 따라 선형적인 광파워(Optical power) 변화를 감지 가능하였고 실험에 사용한 모델이 충분히 현장에 응용 적응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In this study, the fiber optic sensor system can be applied for the detection of vibration or crack which occurs in the field of civil engineering or construction site actually was manufactured through the stability test of optic source and environmental experiments, and was researched to measure how much there are minor mechanical changes of architecture structure in dam, tunnel and bridge with the mechanic strain system including developed fiber optic sensor which is made by glass. Optic fiber sensor is classified into intensity sensor and interference sensor according to operation principle. There are Mach-Zehnder, Michelson, Fabry Ferot type in interference sensor and Fiber stranded type using Micro Bending principle in intensity sensor. Among these types, we selected Fiber Stranded Type, which is easy to install and maintain on construction site. First of all, the stability of optical sources were tested to select proper optic source which shows constant signals for long term environmental reliability test. The test was done with various kinds of sources such as white sour ce, ASE source, LD and LED, and the most stable optical source is researched. To choose an optimized fiber structure for manufacture of optic fiber sensor module which detects strain or crack in frame structure, multi-mode optical fiber was selected for its much better bending sensitivity than single-mode optical fiber which is used in long haul telecommunication network. Sensor head was made with stranded optical fibers which have optimized pitch to detect slight changes of structure and the stranded optic fiber is fixed in special polymer tube to protect from external physical shocking. The performance test of sensor module was done to monitor variation of optical power using program which directly shows physical changes in optic fiber sensor module under external physical strain loading. The environmental test is also performed to research the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temperature and humidity. The test results show the linear optical power change, so the developed model can be applied in real construction site.

      • Phosphoric acid doped sulfonated poly(arylene ether)s/poly(N-vinylimidazole) for PEMFC operation at 150-200 °C

        권오덕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A novel membrane was prepared by ionic crosslinking of different types of polymers based on the sulfonated poly(arylene ether)s (SDF-F) as acidic polymer and poly(N-vinylimidazole) as basic polymer, and doped with phosphoric acid in order to operate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PEMFC) at 150-200 ?. The SDF-F was dissolved in N-vinylimidazole (VIm). The mixed material was hot pressed at 100 ? for polymerization of VIm, and impregnated with phosphoric aci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polymers were investigated by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Fourier transform infrared (FT-IR), X-ray photoelectron spectroscopy (XPS), X-ray diffraction (XRD), 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E-SEM), and energy dispersive spectro-scopy (EDS). And the electrochemical properties were measured by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EIS) and single cell test station. The membrane had high proton conductivities at 150-200 ?. The single cell test and long time stability test were performed. The cell voltage was monitored at 150 ? with fixed current density for 1000 hours without external humidification.

      • DDS(Domain Distribution Service) 기반의 웹서비스 관리시스템 설계 및 구현

        권오덕 청운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In order to provide internet web services, the most commonly used TCP/IP protocol must be understood first. TCP/IP is an internet communicaton protocol, which is a compound word of TCP and IP, and consists of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for data flow management and accuracy check, and IP(Internet Protocol) for transmitting packets to destinations. This is an open protocol standard that connects computers th each other through internet communication between computers in a short distance and a distance. Here, the IP Address consists of 4 8 bits, and if you change it to a decimal number, a number from 0 to 255 can be entered. Humans can't remember the IP address made up of numbers and can't find the website address. To make this easier to understand, you can find a destination by mapping IP to DNS(Domain Name Service). In other words, Internet web services cannot be operated without DNS Server setting and registration. DDS(Domain Distribution Service) refers to the life cycle of creation/ modifying/ deleting only one representative domain in the DNS Server and creation/ modifying/ deleting various web service sites continuously with an integrated CMS(Contents Management Service) on an independent integrated computing resource. it refers to the domain management function that supports the integrated CMS dedicated DNS server function so that the administrator can freely implement it. Expressing the internet as a sea of information. More efficient methods are needed to open, operate, and manage multiple internet services. In this paper, a DDS-based web service management system is designed and an alternative is proposed as a system in which the main administrator can implement and integrate various web service sites with an intermediate administrator. 인터넷 웹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가장 많이 사용하는 TCP/IP 프로토콜을 먼저 이해해야 한다. TCP/IP는 인터넷 통신 규약으로 TCP와 IP의 합성어로 데이터 흐름관리 및 정확성 확인을 위한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와 패킷을 목적지까지 전송하는 IP(Internet Protocol)로 구성된다. 이는 개방형 프로토콜 표준으로 근거리 및 원거리의 컴퓨터 간 인터넷 통신으로 서로 연결을 해 준다. 여기서 IP Address는 4개의 8비트로 구성되어 이를 10진수로 바꾸면 0에서 255까지의 수가 들어갈 수 있다. 인간은 숫자로 구성된 IP Address를 기억할 수 없어 웹사이트 주소를 찾을 수 없다. 이를 보다 알기 쉽게 IP를 DNS(Domain Name System)와 매핑하여 목적지를 찾을 수 있다. 즉, DNS Server의 설정 및 등록 없이는 인터넷 웹서비스를 운영할 수 없다. DDS(Domain Distribution Service)란 하나의 대표 Domain만을 DNS Server에 등록하고 이후 지속적으로 생성되는 다양한 웹서비스 사이트를 독립된 통합 전산자원 상에서 통합된 CMS(Contents Management Service)로 생성/수정/삭제의 Life Cycle을 관리자가 자유롭게 구현 할 수 있도록 통합 CMS전용 자체 DNS서버 기능을 지원하는 Domain 관리 기능을 말한다. 인터넷을 정보의 바다라고 표현한다. 여러 개의 인터넷 서비스를 개설하고 운영하고 관리하기 위해서는 보다 효율적인 방법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메인 관리자가 중간관리자를 두고 다양한 웹서비스 사이트를 구현 및 통합 운용할 수 있는 체계로 DDS기반의 웹서비스 관리시스템을 설계하고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지역경제발전을 위한 지역금융 활성화 연구

        권오덕 한밭대학교 창업경영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최근의 여러 금융이론들은 지역경제 발전과 지역금융가 상호 보완적인 관계를 넘어서, 지역금융 발전이 지역경제의 발전을 선도한다는 주장을 제기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지역금융의 활성화는 지역경제의 발전을 위한 전제가 된다. 따라서 지역경제의 발전을 위해서는 지역금융을 활성화하기 위한 전략과 정책의 개발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지역금융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지역금융기관의 발전이 일차적 과제가 아닐 수 없다. 우리나라에서도 국내의 지역균형 발전을 위해 지역금융 활성화와 지원의 필요성이 더욱 절실해지고 있다. 또한 지역균형발전 추진방안과 지역 금융네트워크 육성, 글로벌 금융 관계 등이 국내금융환경변화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국내 지역 금융 안정이 필요한 시점이다. 지역금융은 지역과 지역은행 체제의 상호관계가 복합된 것으로 지역 독립적인 성격을 가지며, 지역경제와 지역금융이 발전하기 위해서 지역금융시장의 효율성이 지역에 작용해야한다. 지역경제와 관련을 맺는 방식을 지칭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에 적극적인 지역금융 육성에 임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지역금융의 활성화는 지역의 다양한 금융수요에 부응하고, 스스로 성장주도 산업을 발굴할 수 있는 지역금융시장의 형성을 의미한다. 이는 지역에서 시중은행인 전국형 대형금융기관과 다양한 지역금융기관이 적절한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층적 구조를 형성하고 있을 때 가능하다. 국내 지역은행이 금융시장에서 대형은행의 실적만큼 성공적인 경향을 보이고 있다. 정부는 지역금융기관으로 하여금 관계금융의 기능을 강화하고 지역금융의 부활과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위한 핵심적 역할을 담당하도록 하는 정책을 관심있게 추진해야 한다. 국내 주도 정책 중 지역균형개발을 위해 정부는 각 지방에 정부기관과 기업체를 유치하고 있어 지역은행과 더불어 지역균형발전에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stance that the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and the role of regional fiance together form complementary relationship. Also, the research was done to observe the factors of regional economy revitalization that have contributed to such relationship. It is known that the regional economic development plays an active role in the regional development. Especially, the regional banks and the regional financial institutions play major role in the development of the regional economy. The need for regional finance revitalization based on the regional financial institution is becoming poignant indeed. Also, since the plans for regional balanced developments, creation of regional financial networks, and international financial relations enormously affect the domestic financial environment, there is a strong need for the domestic regional stabilization of finance. Regional fiance is consisted of the combination of both regional areas and the regional banking systems, which as a whole deliver the characteristics of regional independence. In order to expect the regional economic and financial development, there needs to be the application of regional financial market efficiency to such areas. In other words, It shows the possible measures taken to form relationship with the regional economy. It suggests that there needs to be more attention on the growth of the regional financial sectors. Regional finance activation means the creation of regional financial market, which fulfills the expectations of various financial demands, while having an ability to discover growth stocks. This is possible when the huge financial institutions and the various regional financial institutions all together perform adequate financial services, with each having their own roles, in the regional areas. Within Korea, regional banks and other big commercial banks tend to perform equally well in the domestic financial markets. The government should take steps to strengthen the function of regional financial institutions, and establish a policy that could help the regional institutions take major role in activating the regional economy. Among the domestic policies, the government is trying to hold governmental institutions and companies in the regional areas ; the government also needs to eagerly support the regional banks to promote the "balanced economic development". Therefore, the policy frame work should be established to make a name for the regional banks, which is currently playing a limited role.

      • 平庵 權正沈의 生涯와 詩 硏究

        권오덕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이 논문은 平庵 權正(1710∼1767)의 생애와 詩世界에 대한 연구이다. 필자는 1762년에 일어난 壬午禍變이 권정침의 생애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고, 사대부로서 기층민에 대한 남다른 애정을 갖고 그들의 고통 받는 삶을 시로 표현 했다는 점에 착안하여 권정침의 생애와 詩世界에 대해 연구를 하게 되었다. 우선 권정침이 아직 학계에 본격적인 주목을 받지 못했던 인물이기 때문에, 그의 생애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는 齋 權의 방손으로 태어나 어릴 때는 蒼雪齋 權斗經에게서 글을 배웠고, 자라서는 立齋 姜再恒과 訥隱 李光庭에게서 학문을 배웠다. 권정침은 과업에 뜻이 없어 산수에 거처하며 학문을 탐구 하였으나, 慈堂의 권유로 인해 1757년 48세에 정시문과 병과로 급제하게 된다. 이후 여러 차례 소명과 사직을 거듭하다가 1762년 世子侍講院 說書의 직책에 나아가 思悼世子를 성군으로 만들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 해 윤5월에 일어난 壬午禍變으로 사도세자가 悲運을 맞이하자 향리로 돌아와 탄식하며 스스로 세상과 단절하게 된다. 권정침이 주로 교유한 인물들은 가까운 친인척과 주변 인물들로 특히 권두인의 외손자인 滄厓 李重光과 가깝게 지냈다. 권정침의『平庵集』에는 178首의 詩가 수록되어 있는데, 본고에서는 작가의 의식에 따라 ‘자연과의 교감’, ‘세계와 자아의 갈등’, ‘기층민에 대한 연민’으로 분류하여 검토하였다. 권정침의 詩世界를 검토한 결과 자연과의 교감을 표현한 시에는 자연의 경물을 보고 평담하게 담아내거나 자연과 동화되고자 하는 정서를 시로 표현하였다. 이어 세계와 자아의 갈등을 표출한 시에서는 벼슬살이에서 느끼는 괴리감과 사도세자가 임오화변으로 인하여 뒤주에 갇혀 비운의 죽음을 맞이하고 난 뒤에 느끼는 심경을 시로 표출하였다. 그리고 기층민에 대한 연민을 그려낸 시에서는 시적 구도 속에 고통 받는 기층민들의 삶을 형상화하여 곡진하게 표현하고 있다. 본고는 평암 권정침의 생애와 시세계를 살펴 본 것이다. 그의 생애와 시세계를 살펴봄으로 인해 임오화변이 세자시강원 설서의 직책에 있었던 권정침의 생애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를 알 수 있었고, 그의 시문을 통해 18세기 전반기 질고의 삶을 살아야했던 기층민들의 고단한 생활상을 알 수 있었던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This paper to consider lifetime and literary works of Pyeong Am, Kwon Jung Chim(1710~1767). I came to study up on lifetime and literary works of Kwon Jung Chim, allowing for Imohwabyeon(壬午禍變) rose in 1762 impacted on his life, and he, as an illustrious official, was an eccentric man being attached to the people suffering and he made it into a poem. First of all, for he had yet to attract the attention from the learned world, Itook a look at his career. He was born by an oblique descendantof Chung Jae Kown beol, and learned the letter in Changseoljae Kown doo kyeong when chilhood. After growing up, he was constant in his devotion to learning under Ibjae Kang Jae hang and Nuleun Lee Kwang Jeong. He did set his sight on the state examination, so just went to the greenwood to foster his own knowledge. Such being the case, he made a success in an examination at age of 48 in 1757 on his mother inducement. After repeated explanation and resignation, he was meant to led Crown Prince Sado to come to throne by holding a position in SeJaSiKangWon(世子侍講院) SeolSur(說書) in 1762. However, after Crown Prince Sado had the misfortune to be blocked from sitting on throne due to Imohwabyeon rose in 1762, he came back to his hometown and isolated himself from the world, except for interchange between with close relatives or people tied up with close relationship. Especially, he was in good contact with Lee Jung Kwang who is Kwon Doo In' grandson. 『PyeongAmJib(平庵集)』written by Kwon Jung Chim has 178 poems, I looked over by dividing them into three categories in this paper based on his consciousness, share fellings with nature, conflict between the world and ego and compassion to people. Having reviewed this poem, I found he expressed heartstrings longing for assimilating with nature in poem with sentiments coming from natural features of the season at the same time. Conflict between the world and ego represents a sense of alienation from his official life and feelings from Crown Sado's death being confined in rice bin by Imohwabyeon. In compassion to people, The poem encapsulated people suffering hard time by giving it a shape in poetical composition. I focused on lifetime and literary works of Pyeong Am, Kwon Jung Chim in this paper. This study casts a long shadow to me in that, through going over this lifetime and literary works, I come to know how much Imohwabyeon had an influence on Kwon Jung Chim holding a position in SeJaSiKangWon SeolSur and how pathetic it was to live in agony in the half of 18th-century.

      • 45°경사 거칠기가 있는 사각 채널에서의 열전달과 마찰계수의 특성

        권오덕 경상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paper described experimental and theoretical investigations on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in static square channel with one- and two-sided ribbed walls and in the reciprocating square channel with an one sided ribbed wall. For the static square channel, three dimensional numerical simulations using the CFX(version 5) software package were perform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ribbed walls on heat transfer, and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was also performed to prove the three dimensional numerical computation. The results of numerical computation by CFX software package were fairly agreed to the experimental data. For the reciprocating square channel having one-sided ribbed wall with two or four heating walls, the experimental studies investigated the effects of number of heating walls on heat transfer characteristics, at which Reynold number was ranged from 7,600 to 24,900. The rough wall had a 45° inclined square rib and the pitch-to-rib ratio(p/e) was 8, and the rib height-to-channel hydraulic diameter ratio (e/) was 0.0667. The conclusions were drawn as follow: 1. In the static channel with one ribbed wall, the Nusselt numbers on the ribbed side[B] were 53 and 58% greater than those on the adjacent smooth sides[L/R] and opposite smooth side[T], respectively. 2. The average friction factors increased with the number of ribbed walls in a static channel. The maximum friction factors obtained with ribs on two opposite walls were nearly 3.6 times greater than those measured in a smooth channel at =20,000. 3. In a reciprocating square channel, the values of heat transfer efficiencies for two heating walls were higher than those for four heating walls. 4. In a reciprocating channel, heat transfer efficiencies rose in a proportion as increasing the number of reciprocating frequencies

      • 한국 금속활자 인쇄술 연구의 논쟁점 분석

        권오덕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한국 금속활자 인쇄술 연구의 논쟁점에 대하여 ‘인쇄술 시원, 재료와 성분, 주조방법과 개‧보주, 자본과 서체 및 명칭, 형태와 조판, 판본 감별’로 구분하여 분석한 것이다. 다음은 본 논문을 종합 정리한 것이다. 첫째, 고려시대 금속활자 인쇄술의 시원에 대한 논쟁점을 분석하였다. 시원술의 논쟁점은 문헌 및 실물자료를 해석하는 관점에 의하여 ‘문종대‧숙종대‧12세기 중기‧13세기 초기’로 보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현재는 번각본 󰡔증도가󰡕와 이규보가 晉陽公 崔怡를 대신하여 쓴 「新序詳定禮文跋尾」 등의 기록과 실물활자인 증도가자의 공개와 함께 증도가자에 대한 과학적 분석 및 증도가자 번각본인 󰡔증도가󰡕와 󰡔동국이상국전집󰡕의 서체분석 등 실증적인 자료에 의하여 고증이 이루어지며 13세기 초기 금속활자 인쇄술의 시원이 정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둘째, 조선시대 주조된 금속활자의 재료와 활자 성분에 대하여 논쟁점을 분석해 보았다. 금속활자의 재료 : 논쟁의 대상이 된 금속활자는 ‘丙辰字‧丙辰倭諺字‧肅宗大字‧校書館筆書體字’이다. 병진자는 문헌의 상이한 기록으로 인해 논쟁이 되었지만 초간본 󰡔용재총화󰡕 등에서 ‘範鉛’으로 기록하고 있다는 점에서 현재는 병진자가 ‘鉛’으로 주조되었다는 견해가 정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병진왜언자와 숙종대자는 인쇄본을 분석하여 인쇄에 사용된 재료가 나무 또는 금속이라는 주장으로 연구의 논쟁이 되었지만, 현재는 병진왜언자와 숙종대자의 인쇄본을 금속활자로 보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교서관필서체자는 ‘芸閣鑄字’라는 문헌기록에 의하여 교서관필서체자가 금속이라는 논의가 있었지만, 실제 인쇄본에서는 금속활자 보다 목활자가 더 많이 사용된 것으로 확인이 되었다. 금속활자의 성분 : ‘證道歌字‧校書館印書體字‧整理字體 鐵活字’가 논쟁의 대상이 되었다. 증도가자는 2010년부터 2016년까지 다양한 과학적 분석방법에 의하여 분석결과가 발표되었는데, 2015년도에 청주고인쇄박물관에 소장된 고려시대 금속활자인 네다리형 활자에 대하여 성분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인위적인 조작의 흔적이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그러나 2016년 국립문화재연구소의 문화재보존과학센터에서 분석한 결과 인위적으로 조작된 흔적 없음이 밝혀졌다. 교서관인서체자와 정리자체 철활자는 인쇄본의 인면 분석과 문헌기록을 참고하여 활자 재료를 주장한 견해와 실물활자의 과학적 분석에 의한 활자 성분비를 제시한 견해가 상충되었다. 그러나 교서관인서체자는 실물활자의 비파괴분석에 의하여 실제 활자를 구성하고 있는 비율에서 구리의 성분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정리자체 철활자는 일부에서 재료가 나무라는 주장이 있었지만, 이 또한 비파괴분석을 통하여 Fe과 Cu 등의 성분이 확인되었다. 한편 한국의 금속활자에 대한 금속성분의 분석은 국내에서는 1960년대 들어 처음으로 이루어졌지만, 해외에서는 1930년대부터 1950년대까지 3차례 분석이 되었다. 그러나 해외의 금속활자 분석은 그 대상이 명확하지 않고 일부 분석결과는 시공간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분석결과가 제시되어 있어서 신뢰성이 많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금속활자 鑄造方法과 改‧補鑄 및 금속활자별 주조와 관련하여 선행연구에서의 이견을 분석해 보았다. 밀랍주조법(Lost wax casting)은 고려와 조선시대 금속활자 주조법에 대한 초창기 연구에서 고려시대는 밀랍주조법으로 활자가 주조 되었고, 조선시대는 󰡔용재총화󰡕에 기록된 주물사주조법으로 주조되었다는 견해에 의해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2000년대 들어서 고려 금속활자본인 󰡔직지󰡕의 실사와 실물활자인 증도가자에 대한 과학적 분석 등을 통하여 고려시대 금속활자도 밀랍주조법이 아닌 주물사주조법을 이용하여 주조되었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한편 조선 후기 壬辰字에 대하여 활자 외부에서 확인되는 돌출물 등에 근거하여 밀랍주조법으로 주조시 나타나는 결함이라는 주장이 있었다. 그러나 대상이 된 일부 임진자의 돌출물 등이 임진자뿐만이 아니라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된 다른 금속활자에서도 확인이 된다. 따라서 밀랍주조법으로 주조시 나타나는 결함으로 보기에는 어렵다. 이는 조선 후기 殯殿都監의 화재에 의해 鑄字所에도 불길이 번져 당시 보관되고 있던 활자들이 녹아서 주변 활자에 엉겨 붙음으로 인해 나타나는 현상으로 보는 것이 더 타당하다. 주물사주조법(Sand casting)은 󰡔용재총화󰡕에 기록된 금속활자 주조방법이다. 선행연구에서는 󰡔용재총화󰡕에 기록된 일체형 부자를 이용하여 주물사 주조방법과 상하분리형 부자에 의한 주물사 주조방법이 논쟁이 되었다. 즉 임진왜란 이전에는 상하일체형 父字에 의한 주조법이고 영조이후 실험을 거쳐 상하분리형 부자에 의한 주조법이 적용되었으며 활자 뒷면의 터널 모양이 임진자에서부터 시작되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그러나 조선 전기 甲辰字本 󰡔東國史略󰡕의 인면에서 활자를 잘 못 식자하여 뒷면이 꽂혀 종횡으로 찍힌 두 줄의 검은 墨跡이 확인됨에 따라 조선 전기에 이미 활자의 뒷면 모양이 터널 모양으로 주조된 사실이 확인되었다. 조선시대에는 금속활자를 주조한 뒤 기록한 鑄字事實이나 鑄字跋 그리고 實錄, 儀軌類, 󰡔慵齋叢話󰡕 등에 수록된 내용을 통하여 鑄造時期나 改鑄 또는 補鑄에 대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기록을 근거로 하여 선행연구에서는 특정 금속활자의 주조시기와 개‧보주에 대한 서로의 견해와 이견을 제시하며 연구의 논쟁점이 되기도 하였다. 조선시대 주조된 금속활자 가운데 경자자‧초주갑인자‧을해자‧갑진자‧재주갑인자‧삼주갑인자‧현종실록자 등이 대상이 되었다. 각 활자별 논쟁으로 경자자‧경진자‧병진자는 주조시기에 있어서 논쟁이 되었고, 개‧보주에 있어서는 문헌기록이나 인본의 분석에 따라 초주갑인자‧을해자‧갑진자‧병자자‧현종실록자 이견이 제시되어 논쟁이 되었다. 한편 금속활자의 주조여부에 따른 이견으로 무오자와 병자자가 논의되었고, 임진자는 주조수량에 있어서 문헌에 상이한 기록이 확인 되었으며, 조선시대 모두 6차례 새롭게 주조된 갑인자 계열의 新鑄 횟수에 있어서도 연구자들간에 이견이 제기되어 논쟁이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금속활자의 字本과 書體 그리고 활자 명칭에 대하여 선행연구에서 논쟁이 된 諸說을 고려시대와 조선시대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고려시대 : 2010년 증도가자 공개가 된 이후 증도가자와 관련하여 자형‧서체‧증도가자와 증도가자 번각본인 󰡔남명천화상송증도가󰡕 및 󰡔동국이상국전집󰡕의 서체 비교 그리고 증도가자를 3D스캔 후 복제품의 印影을 활용한 번각본의 글자와 비교하여 유사도를 측정한 연구 등이 이루어졌다. 이 과정에서 증도가자와 네다리형 활자에 대하여 자형과 서체분석 등이 연구되었는데 일부 연구자들이 비교대상을 잘못 설정하여 결과를 발표하기도 하였는데, 이는 전문적인 지식이나 정확한 이해를 하지 못하고 단순하게 결과에 나타난 수치를 가지고 잘못된 해석임이 확인되었다. 조선시대 : 조선시대 주조된 금속활자 가운데 필서체 계열의 활자는 계미자‧경자자‧초주갑인자‧을해자‧정축자‧세조 어제시 대자‧무인자‧경서 한글활자‧현종실록자가 대상이 되었다. 각 활자별 논쟁으로 계미자는 문헌의 상이한 기록에 따른 활자의 명칭과 자본 및 자체에 있어서 연구의 논쟁이 되었고, 경자자와 을해자 대자는 자본에 대한 이견이 제기되었다. 그리고 초주갑인자‧경서 한글활자‧현종실록자는 서체에 대하여 논의가 되었으며, 정축자‧무인자‧세조 어제시 대자는 활자 명칭에 있어서 논쟁이 되었다. 한편 인서체 계열의 활자로는 교서관인서체자‧율곡전서자‧정리자체 철활자‧금릉취진자‧전사자가 대상이 되었는데, 각 활자별 논쟁이 된 요소로 활자 명칭에 있어서는 교서관인서체자‧율곡전서자‧정리자체 철활자‧금릉취진자‧전사자가 논쟁이 되었고, 서체에 있어서는 금릉취진자와 전사자가 연구의 논쟁점이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섯째, 금속활자의 形態와 組版에 대한 선행연구에서의 논쟁점을 분석하였다. 형태에 있어서 대상이 된 활자는 ‘복’활자와 조선 초기의 계미자 및 경자자 그리고 조선 후기에 주조된 낙동계자와 현종실록자, 정유자로 각자의 관점에 의해 상반된 견해가 제시되었다. 한편 고려와 조선시대 조판방법과 관련하여 증도가자의 논쟁과 조선시대 조판술에 있어서 일본 학자들의 견해가 편향된 시각에서 논의가 되었다. 따라서 활자의 형태와 조판에 대한 이견을 분석하였다. 여섯째, 판본 감별에서 證道歌字 飜刻本인 󰡔南明泉和尙頌證道歌󰡕와 󰡔東國李相國全集󰡕, 󰡔直指󰡕 下卷, 󰡔古文眞寶大全󰡕, 󰡔淸凉荅順宗心要法門󰡕, 󰡔御試策󰡕, 󰡔標題句解孔子家語󰡕, 󰡔十一家註孫子󰡕를 대상으로 논쟁이 된 판본 감별에 대하여 선행연구의 이견을 고찰해 보았다. 그 결과 증도가자 번각본인 󰡔南明泉和尙頌證道歌󰡕와 을해자 번각본 󰡔標題句解孔子家語󰡕를 금속활자본으로 감별하여 논쟁이 되었고, 목활자본인 󰡔古文眞寶大全󰡕, 󰡔淸凉荅順宗心要法門󰡕, 󰡔御試策󰡕을 금속활자본으로 감별하였다. 또한 증도가자 번각본인 󰡔東國李相國全集󰡕의 저본을 증도가자로 인쇄한 금속활자본이 아닌 목판본으로 초간되었다는 주장이 있었으며, 청주 흥덕사에서 1377년에 인쇄된 금속활자본 󰡔직지󰡕 하권에 대하여 초창기 연구에서 목판본 및 목활자본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었고, 일본 궁내청 서릉부 소장의 병자자본 󰡔十一家註孫子󰡕를 계미자본으로 주장한 논의가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arguments of precedent researches mainly about the metal type printing in Korea; origination, materials, components, casting methods, recasting methods, restoration methods, origin of letters, title and typeface, shape and typesetting of metal types and determination of metal-type printed books. The summary of this study as follows. First, there were arguments about the origination of metal-type casting. There were different conclusions due to different interpretations about books of metal type and different analysis on existing metal types. Four main theories of the origination were it had been appeared in Moon-jong period(文宗朝), Suk-jong period(肅宗朝), middle of 12th century and early 13th century. Recently, the early on 13th century theory becomes dominant because of the discovery of reprinted version of Nammyungchunwhasangjeungdoga(󰡔南明泉和尙頌證道歌󰡕), Sinseosangjeonyemunbalmi(「新序詳定禮文跋尾」) and Geungdoga type(證道歌字), and the scientific analysis on Geungdoga type, and the typeface analysis on Nammyungchunwhasangjeungdoga and Donggukleesanggukjunjip(󰡔東國李相國全集󰡕). Second, there were arguments about the materials and components of four metal types of Joseon. Specifically, the materials and components of Byungjinja(丙辰字), Byungjinweonja(丙辰倭諺字), Sukjongdaeja(肅宗大字) and Gyoseogwanpilseocheja(校書館筆書體字) were controversial. Contradictory records about Byungjinja caused arguments, nowadays the theory that Byungjinja were made up of lead becomes dominant because the first printed version of Yongjaechongwha(󰡔용재총화󰡕) mentioned about the components of Byungjinja as Bumyeon(Fine Lead, 範鉛). Recently Byungjinweonja(丙辰倭諺字) and Sukjongdaeja(肅宗大字) are regarded as metal-types, and previous researches had debated whether Byungjinweonja and Sukjongdaeja were made up of wood or metal. Gyoseogwanpilseocheja had been considered as a kind of metal type since relevant records mentioned ‘Woongakjuja(芸閣鑄字)’, on the other hand, it is revealed that wooden types were more frequently used than metal types through the examination of current printed books. The materials and components Geungdoga type, Gyoseogwaninseocheja and Jungrijache iron type(整理字體 鐵活字) were also under discussion. Geungdoga type were inspected by various scientific analyzation methods through 2010 to 2016. In 2015, it is claimed that the four-legged metal type(네다리형 활자) in Cheongju Early Printing Museum were fabricated by the inspection of components. However,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 Center of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in Korea denied it because they proved that there were no signs of fabrication. By the bibliographic analysis and scientific analysis on the current types, there were contradictory conclusions on the materials and components of Gyoseogwaninseocheja and Jungrijache iron type. For Gyoseogwaninseocheja, nondestructive analysis had been conducted and proved that the main components were copper and for the Jungrijache iron type, even though there had been some assertions that it was made up of woods, nondestructive analysis proved that the main components were iron and copper. 3 times of analysis through 1930s to 1950s were conducted in abroad, domestic scientific analysis on metal types were started quite late in 1960s. However, it is proved that the scientific researches of abroad is not trustworthy considerably because they did not have distinctive objects, moreover, they proposed same conclusions in different time and space. Third, there were different theories in casting, recasting and restoration methods of each metal types. In the aspect of casting methods in Goryeo period, research was conducted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ypes were cast by wax. In the aspect of casting methods in Joseon period, research was conducted assuming that types were cast by sand based on the records of Yongjaechongwha. From 2000s, through the scientific analysis of Goryeo metal type printed version Jikji(󰡔直指󰡕) and existing Geungdoga type, metal types in Goryeo were proved as a production of sand casting. Imjinja(壬辰字) had been considered as a production of wax casting because projections were found on the surface of some Imjinja, but similar projections were also found on other metal types in National Museum of Korea. Therefore, an appropriate reason why the projections were made is; the projections are a sort of melted metal types matted on other metal types due to the conflagration of Jujaso(鑄字所) in Joseon period. Sand casting is a method of metal type casting recorded in Yongjaechongwha. Precedent researches argued about the specific methods of sand casting; whether sand casting used one mould or two(top and bottom) moulds. That is to say, precedent researches asserted that before the Japanese Invasion, sand casting method had adopted one mould and after Youngjo(英祖) period through experiments, two moulds were adopted in sand casting methods. They also asserted that the tunnel-shaped bottom face of metal types are detected from Imjinja(壬辰字) in late Joseon period, however as two small parallel lines which the size of it alike individual metal type were found on the body of the book Dongguksaryak(󰡔東國史略󰡕) Gabjinja(甲辰字) version. So it can be presumed that the tunnel-shaped bottom face of metal types had been used from early Joseon Period. When the metal type was cast and when it was recast and mended are recorded in Sillok(實錄), Uigwe(儀軌), Yongjaechongwha, and Jujasasil(鑄字事實) or Jujabal(鑄字跋) which were recorded after fulfillment of each metal type casting in Joseon period. Precedent researches had diverse ideas about the time when it was cast, recast and mended based on these records. Controversial metal types were Gyungjaja(庚子字), Chojugabinja(初鑄甲寅字), Eulhaeja(乙亥字), Gabjinja(甲辰字), Jaejugabinja(再鑄甲寅字), Samjugabinja(三鑄甲寅字), and Hyungjongsillokja(顯宗實錄字). At the aspect of cast period, Gyungjaja(庚子字), Gyungjinja(庚辰字) and Byungjinja were controversial. Chojugabinja(初鑄甲寅字), Eulhaeja(乙亥字), Gabjinja(甲辰字), Byungjaja(丙子字) and Hyungjongsillokja(顯宗實錄字) were controversial at the aspect of recast and mended period. Also, there were other arguments as; former researches debated whether Muohja(戊午字) and Byungjaja are metal types of not, contradictory records about the amount of Imjinja(壬辰字), and how many times had Gabinja been recast. Fifth, there were debates on the shapes and typesettings of metal type. Former studies had had contradictory conclusions about the shapes of metal type ‘Bok’, Gyemi metal type and Gyungja in early Joseon period, and Nakdonggyeja, Hyunjongsilokja and Jungyouja. Researches about typesetting of Geongdoga type and of metal types of Joseon period were performed by Japan partially.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various conclusions about the shapes and typesettings of metal type. Sixth, there were different conclusion of the determination of metal-type printed books like Nammyungchunwhasangjeungdoga and Donggukleesanggukjunjip, Jikji volume 2, Gomunjinbodaejon(󰡔古文眞寶大全󰡕), Chungryangdapsunjongsimyobupmun(󰡔淸凉荅順宗心要法門󰡕), Ousichaek(󰡔御試策󰡕), Pyojeguhaegongjagaou(󰡔標題句解孔子家語󰡕), Sipilgajusonja(󰡔十一家註孫子󰡕). Reprinted Geungdoga type version Nammyungchunwhasangjeungdoga and reprinted Eulhaeja version Pyojeguhaegongjagaou were determined as metal type books. Wooden type version Gomunjinbodaejon, Chungryangdapsunjongsimyobupmun, Ousichaek were determined as metal type books. Some precednet researches claimed that the origination of the first reprinted Geungdoga type version Donggukleesanggukjunjip is not metal type books but woodblock books. Early researches estimated metal type version Jikji published in 1377, Chungju Heungduksa(興德寺) as a woodblock and wooden type version. Byungjaja version Sipilgajusonja in Seroungbu(書陵部), Gungnaechung(宮內廳) Japan were once regarded as Gyemi type version.

      • 公職社會의 腐敗實態와 對應方案에 관한 硏究

        권오덕 東國大學校 行政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main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find out problems of Korean public official crimes and to suggest measures to control them. This study is dealing with public officials crimes related to their duties which are regulated in the Chapter 7 of the Criminal Law(hereafter 'public official crimes'). This study consists of five chapters. Chapter 2 provid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about public official crimes. In this chapter, the concept, type, characteristics and cause of public official crimes are reviewed. In addition, the former researches of several institutes and control measures of UK, USA, Japan, and Singapore are also reviewed. Chapter 3 analyses the realities of public official crimes, such as the actual state, judicial settlement of public official crimes, relative legal systems, and morale of public officials. Subsequently, the problems on the control of public official crimes are articulated. They include the lack of corruption control will of high ranking officials, the inadequacy of anti-corruption law system and law enforcement, ineffectiveness of corruption control policy, deterioration of public official societies, and the vagueness of recognition and the sense of value on corruption. Chapter 4 suggests control measures of public official crimes, such as strong will and initiative of ranking government of officials to root out corruption, revision of laws and deregulations, strengthening of corruption control policy, devise of morale enhancement measures. Finally, chapter 5 summarizes the main findings and recommends a couple of strategies. Korean government has tried to expose some filthiness and corruption since the Government establishment. However, so far from exposition up to recently, there is no sign of decrease. The public official crimes are usually considered as a iceberg model. It is that because we know only a part of uncovered corruption of public official, we don't know how big the iceberg in the water. If audit authority keeps under control, they are prosecuted much. However, audit authority doesn't supervise, they are decreasing. Nowadays, corruption in Korean public official society is so serious that public officials commit all sorts of absurdities and evil customs to gather wealth although they know their actions are malfeasance. People also give a bribe continuously for their own reflective interest even if they know it is illegal. Accordingly, Public official crimes are rarely decreased in spite of control measure. To be fortunate, The People's Government has enacted in 2001 The Prevention of Corruption Act and the money laundering prevention acts in order to the most strongly punish a criminal since the departure of the past governments. These laws have somewhat problems, but those should be done clearly to the bottom for the present. In enforcing these kinds of laws related to corruption prevention, we should keep on rearranging and revising unreasonable points in them to decide on punishment strictly. Further more, some efficient ways of controling the crime of public officials could be also devised. Here are my suggestions. Firstly, bribery crime recorded in the criminal law could be detained punishment for the time being, and 'a special team charged with public official crime' should be organized and introduce the system to take, seek and examine a suspect without arrest warrant. Secondly the system that the profile of an official connected to corruption publish openly should be introduced. Thirdly, the firm discipline of the public official society should be established. Fourthly, every unnecessary administrative regulation should be boldly mitigated. Fifthly, anti-corruption departments should act without cease, not in one-time campaign but exert themselves to preventive activity. And finally, the human affairs and treatment of public officials should be guaranteed in fair condition. And then Korea surely can unprecedently control public official crimes in the near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