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노후화된 해양 설비의 해체 및 재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곽민영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Thousands of offshore facilities are approaching obsolescence and will require to be removed within the next decades. The decommissioning of offshore facilities are unavoidable issues at some point in the future as the platform reach end of their useful production lifetimes. Since the decommissioning project is not a business that generates economic benefits compared to the massive decommissioning cost, it can not easily be undertaken by companies and governments. Also, decommissioning of offshore oil and gas platforms raises many complex issues including regulatory requirements, technical feasibility, health, safety, socio-economic, environmental impacts, economics and strategies. The first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international and regional regulations and decommissioning procedures in order to strategically develop the rapidly growing offshore decommissioning market. The second is to propose 'rig-to-reef' option and 'offshore aquaculture' option, which are methods to reduce the cost of decommissioning and create economic and environmental benefits by reutilizing the structures. Finally, this study analyzes business feasibility for two reutilization options by conducting a legal, technical and economic assessments of the abandoned offshore platform in Indonesia.

      • 다문화가정 영유아의 어린이집 적응지원 방안

        곽민영 목포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Korean society is rapidly moving towards becoming a multi-cultural society these days. The increase of multi-cultural families could be a important growth engine for the nation’s development. However, this should be built on the family members’ adaptation to korean society. The number of multi-cultural children reaches 168,583 in 2012 and infants and young children under 6 takes 62.1% of them. Rapidly moving towards a multi-cultural society, the authorities are providing more support for multi-cultural families. But the support has been limited to such as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Fortunately, studies on the actual condition survey for adaptation of young children in families and supporting plans are increasing these days. Looking into the recent trends of the related studies, teacher’s perspective or educational programs for multi-cultural children is beginning to represent an increasing share of total studies. Those studies suggest that viewpoints of teachers in educational institution for young children and conducting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are extremely important. According to a statistical research, Jeollanam-do and Jeollabuk-do ranked the first and second place for number of international marriage and child birth. This study aims to looking into the adaptation degree of the multi-cultural children and teachers’ perspective of multi-culture, educational programs.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 1. 68.1 percent of those surveyed said they had no experience of multi-cultural events, which means that majority of the teachers don’t have a proper chance to get to know about multi-cultural families’ features. 2. Nursing teacher’s communication level, professionalism towards multi-cultural children and skill level for teaching methods are below the average in general. 3. 84.7 percent of those surveyed said they don’t conduct multi-cultural education. Even so, they just do without any help of special educational materials. 4. 69% of the teachers thought educational material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are insufficient and 47.1% of the respondents told the biggest difficulty in multi-cultural education is communication with parents. 5. Adaptation level of young children in multi-cultural families is good, but 40% of the respondents answered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is shown among them. 6. The biggest problems in adaptation are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and ‘lack of parental concerns’. Immediate needs for supporting infants and young children are ‘special training programs for teachers’ and ‘manpower’.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some ways to enhance adaptation degree of the multi-cultural children as followings. Giving proper opportunity for various training programs for teachers’ perspective and teaching skills. Nationwide studies related to multi-cultural education are necessary and various studies on the factors influencing teachers’ educational quality are also urgent. Also, expanding parent education program, language supporting plans in day-care center and hiring migrant women as assistant teachers are necessary. 최근 한국사회는 다문화사회로의 진행이 점차 빨라지고 있다. 다문화가정의 증가는 여러 문제점들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의 성장과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망은 다문화가정 구성원, 특히 다문화가정 자녀의 우리사회에의 적응과 건전한 성장이 전제되어야만 가능하다. 다문화가정 자녀는 2012년 기준 168,583명이며, 이들 가운데 만6세 미만의 영유아자녀는 104,694명으로 전체 자녀의 62.1%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사회가 진행됨에 따라 우리 정부에서도 다문화가정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그동안 다문화 관련 연구와 정책 지원대상은 주로 국제결혼가정, 특히 이주여성 가정 등에 편중된 경향이 있었으나, 최근 들어 다문화가정 영유아의 적응실태 및 지원방안들에 대한 연구가 영유아의 수적인 증가에 발맞추어 함께 증가하고 있다. 최근 다문화가정아동들의 적응에 관한 연구의 흐름을 살펴보면 영유아의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이라고 할 수 있는 유아교육기관의 교사의 인식과 태도 ․ 다문화교육프로그램의 실시 여부에 대한 연구가 많아지고 있다. 이들 연구에서는 영유아와 많은 시간을 함께하고 교육적으로 가장 민감한 영유아기의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인식과 태도, 다문화교육의 실시 등이 다문화 영유아에게 미치는 중요성에 대해 밝히고 있다. 전남지역은 전북지역과 함께 다문화가정 혼인건수와 아동출생건수가 전국에서 가장 많은 곳으로 통계청 조사 결과 밝혀지고 있으나, 다문화가정 영유아의 적응에 관한 연구는 진행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 근거하여 전남지역의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하여 다문화에 대한 인식과 태도 ․ 다문화교육프로그램의 실시 여부, 다문화가정 영유아의 적응정도 등을 살펴보았는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① 어린이집 교사들은 68.1%가 다문화관련 행사에 참여해 보지 못하였다고 응답하여 다문화관련 행사 경험들이 많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다문화가정의 형성 및 특성, 다양한 문화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② 보육교사의 다문화교육 관련 능력, 즉 다문화가정 유아의 발달과 학습지원, 다문화교육을 위한 교수방법의 능숙도, 다문화가정 부모와의 의사소통 등에서 평균이하의 점수를 기록하였다. ③ 어린이집에서의 다문화교육 지도 실태를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84.7%가 다문화교육을 실시하지 않는다고 응답하였으며 교육방법은 특별한 교재 없이 단순히 말로 하는 경우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④ 교사들은 69%가 다문화교육을 위한 학습자료가 모자라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다문화교육에 대한 본인의 전문성 수준이 평균이하인 것으로 응답하였다. 한편 다문화교육을 실시하는 데 어려운 점에 대한 질문에서는 부모와의 의사소통이 47.1%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⑤ 다문화가정 영유아들의 어린이집에서의 전반적인 적응정도를 묻는 질문에서는 60.9%가 적응을 잘하고 있다고 응답하였고, 신체발달이나 정서발달, 인지발달 영역은 보통이다 라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언어발달영역에서는 발달이 늦다 라는 응답이 40%로 나타나 다문화 영유아들은 상대적으로 언어발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⑥ 다문화가정 영유아 적응의 가장 큰 문제점은 무엇이냐에 대한 질문에 대해서는 언어발달의 지연과 부모의 관심부족이 가장 많은 응답을 차지하였다. 교사가 다문화가정 유아를 지원하기 위해서 가장 필요로 하는 것이 무인가에 대한 응답에서는 연수와 인력지원이 가장 많은 응답을 기록하였다. 이러한 실태조사 결과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정 영유아의 적응지원을 위해 어린이집 교사의 인식 제고 및 연수 지원, 다문화가정 영유아에 대한 인식 전환 및 적응 지원, 어린이집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지원, 어린이집의 부모교육 활성화 및 다문화가정 부모 참여 유도, 다문화가정 부모를 위한 포괄적․통합적 지원, 이주여성 보육보조교사제 도입, 다문화 가정 영유아 언어지원 등을 지원방안으로 제시하였다.

      • 비만 중년여성의 건강증진행위와 심대사성 위험요인간의 관련성

        곽민영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비만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건강증진행위와 심대사성 위험요인과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S구, J구 보건소의 대사증후군 센터네 내원한 주민들 중 만18세 이상 65세 미만, BMI ≧ 25㎏/㎡ 인 비만 중년여성 63명을 대상으로 연구 참여에 동의한 이후에 연구자가 직접 심대사성 위험요인인 생리적 지표 검사를 실시하였다. 건강증진행위 수준은 건강증진 생활양식 도구 Ⅱ(HPLP Ⅱ)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건강증진 생활양식 도구 Ⅱ는 건강책임, 신체활동, 영양, 정신적성장, 스트레스관리의 6개의 하위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을 산출하였으며,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첫째, 건강증진행위총점과 심대사성 위험요인과의 관련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건강증진행위의 6개의 하부영역 중에서 신체활동(Beta=-.27, p=.028)과 영양(Beta=-.25, p=.032)은 심대사성 위험요인중 하나인 허리둘레와 유의한 관련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양 영역은 중성지방(Beta=-.25, p=.046)과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다. 셋째, 건강증진행위 수준과 대사증후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건강증진생활양식 도구 의 하부영역인 신체활동과 영양이 심대사성 위험요인 중 허리둘레와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으며, 영양 영역은 중성지방과도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는 결과를 바탕으로 심대사성 위험요인의 수준이 부분적으로 건강증진행위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건강증진행위총점과 심대사성 위험요인과는 유의한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고, 대사증후군 유병률과도 유의한 관련성이 없었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연구 참여자들이 서울시 2개 보건소에 표출된 표본이기 때문에 우리나라 비만 중년여성을 대표하는 표본이라 할 수 없고, 둘째, 건강증진행위와 심대사성 위험요인을 횡단적으로 자료수집 하였기 때문에 원인과 상관관계 보장을 할 수 없다. 셋째, 건강증진행위의 하부영역 일부와 심대사성 위험요인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에도 불구하고 건강증진행위와 총점과의 관련성이 없었기 때문에 표본의 크기를 높인 차후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국내외적으로 처음으로 비만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행위와 생리적 지표간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한데 의의가 크다. 특히 건강증진행위 가운데서 신체활동과 영양이 허리둘레와 관련이 있다는 연구결과는 심혈관질환예방을 위한 건강결과 지표인 심대사성 위험요인이 건강증진 생활양식 도구에 의해 측정된 건강증진행위에 의해 일부 반영되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앞으로 건강증진행위와 건강결과와의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Cumulative testicular and sex hormonal effects of the mixture of Di(2-ethylhexyl) phthalate (DEHP) and dibutyl phthalate (DBP) in male sprague-dawley rats

        곽민영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내분비계 장애물질로 잘 알려져 있는 프탈레이트류는 플라스틱 가소제로서 PVC 계열의 생활용품 및 의료용품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전의 연구들에서 프탈레이트류의 각 물질에 대한 독성이 많이 보고된 바 있으며 그에 따라 위해성 평가도 많이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프탈레이트류는 단일 물질로 인체에 노출되는 것이 아니라 복합적으로 여러 프탈레이트류가 함께 노출이 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반해 복합적인 노출에 따른 독성 평가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프탈레이트류 가운데 가장 많이 생산되고 소비되는 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와 디부틸프탈레이트의 두 물질의 혼합물에 대한 1개월 시험을 수행하여 수컷 Sprague-Dawley 랫드의 생식기계에 나타나는 독성을 단일 노출과 함께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복합체의 고농도군 (50 mg DEHP/kg+50 mg DBP/kg)과 최고농도군 (500 mg DEHP/kg+500 mg DBP/kg) 에서 고환의 절대적 및 상대적인 무게, 고환 내 정자수, 혈액 내 성호르몬 농도 등이 대조군 및 동일한 농도의 단일 물질 투여군보다 현저히 감소하였으며 병리조직학적 병변 또한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을 비추어 볼 때, 복합체가 단일물질보다 더 큰 독성 작용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를 근거로 본 연구에서는 DEHP와 DBP의 복합체에 대한 NOAEL 값을 5 mg/kg으로 설정하였다. Phthalate which are known as endocrine-disrupting chemicals, are widely used to soften and add flexibility to polyvinyl chloride (PVC) consumer and industrial products. Many studies have reported that exposure to either di(2-ethylhexyl) phthalate (DEHP) or dibutyl phthalate (DBP) induces serious harmful effects related to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toxicity in human and animals. Such studies are limited, however, to the evaluation of mixtures of endocrine disruptors including phthalate esters. In the present study,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mixture of DEHP and DBP on the male reproductive system, an in-vivo experiment was performed on Sprague-Dawley rats. Male rats were treated orally with DEHP (0.5, 5, 50, and 500 mg/kg), DBP (0.5, 5, 50, and 500 mg/kg), or their mixture. After one-month administration, the absolute and relative testes weights, total sperm number, sperm number per gram of testes, daily sperm production, and T, E2, and ASD concentrations of the rats that had been treated with DEHP, DBP or their mixture were reduced in a dose-dependent manner. Especially, the aforementioned variable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animals in the highest-mixture-dose group (500 mg/kg DEHP combined with 500 mg/kg DBP). Moreover, the testes in rats that had been treated with the highest mixture dose were observed to have manifested more severe histopathological changes than the tissues that were exposed to a single chemical. These data suggest that the mixture of DEHP and DBP could produce synergistic adverse effects on the human reproductive system. Considering these hormonal, testicular, and histopathological effects, the 5 mg/kg mixture dose level, 50 mg/kg DEHP, and 500 mg/kg DBP were identified as having the no observed adverse effect levels (NOAELs) in this study.

      •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교육기관 원장 특성의 경로분석

        곽민영 광주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전문성이 어떠한 경로를 거쳐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지를 검증해 보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원장의 전문성, 원장과 교사간의 교환관계, 교사 유아 상호작용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2.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원장의 전문성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어떠한 경로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 대상은 임의적으로 표집된 광주와 전남 지역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는데, 만 3세반과 4세반, 그리고 5세반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로서, 원장의 리더십과 전문성에 대한 경험을 고려하여 현 근무지에서 연구대상 원장과 함께 최소 1년 이상 근무한 교사를 선정하여 조사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의 종속변인인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측정을 위해 설문대상 교사가 자기가 담임하고 있는 반 유아 중 4명의 유아(남녀 각 2명)를 무선 표집하는 방식으로 선정하여 조사에 응답하도록 하였다. 연구 도구는 독립변수로 유아교육기관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원장의 전문성을, 종속변수로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발달을, 그리고 경로변인으로 원장-교사관계와 교사-유아관계를 사용하였다.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로는 Sashkin(1992)이 개발한 측정문항을 강영숙(2013)이 유아 교육기관에 맞게 문항을 재구성한 척도를 사용하였고, 원장의 전문성을 측정하기 위한 연구도구는 지성애(2001)가 ‘영유아 보육시설장과 교사의 전문적 자질에 관한 조사연구’에서 개발한 척도를 본 연구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원장-교사 교환관계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Grane와 Uhl-Bien(1995)이 개발한 LMX-7(Leader Member Exchange-7)를 이병수(2011)가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유아교육 프로그램 평정척도를 기초로 수정한 이정숙(2003)의 연구도구를 강병재와 백영숙(2013)이 영유아교사에 맞게 수정보완한 자기보고식 평정척도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측정은 LaFreniere와 Dumas(1996)가 개발한 ‘사회적 유능감과 행동평정(Social Competence and Behavior Evaluation)의 간편형을 번안한 권연희(2003)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총 293부가 최종 연구자료로 사용되었는데,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과 AMO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원장의 전문성, 원장과 교사간의 교환관계, 교사 유아 상호작용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변인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Pearson의 상관계수를 산출하였고,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독립변인과 경로변인의 영향력을 판단하기 위하여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본 연구의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첫 번째 연구문제와 관련해서 독립변인인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원장의 전문성은 경로변인인원장-교사 교환관계와 교사-유아 상호작용 그리고 종속변인인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 모두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로변인인 원장-교사 교환관계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종속변인인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간에도 의미 있는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독립변인인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 또는 원장의 전문성이 높으면, 원장-교사 교환관계 및 교사-유아 상호작용이 높고, 나아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도 높아지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따라서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원장의 전문성은 최종적으로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둘째, 두 번째 연구문제와 관련해서 경로분석 결과 독립변인인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원장의 전문성은 종속변인인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경로변인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영향력의 정도는 의미 있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 모형이 수리적으로 확인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전문성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발달에 영향을 미친다는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전문성을 높일 수 있는 원장 자격제도 개선, 보수교육과정 개선 등 다각적인 정책적, 실천적인 노력이 필요함을 시사해준다.

      • 공연기획의 마케팅 성공사례 연구 : 연극열전을 중심으로

        곽민영 상명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A corporate must reap profit In order for its industry to grow. Within the art industry, there are people who disdain commercialization and believe artistic work is the priority. However, that is inadequate for industrial growth. Performing arts institutions and their related parties must make profits to attract the best human resources and external sources of investments. The abundant resources will lead to enhancement of art work and eventually, the increased number of audience. Performing arts industry will evolve by going through these cyclical phases. In the case where the top tier producers of performing arts do not make any earnings, the producers may still be able to prolong its heritage with the support from their sponsors or some maniacs but the likeliness of its industry to develop and flourish will be minute. Due to the lack of recognition (publicity) of performing arts marketing, the marketing activity has been defined as merely the sales promotion activity and distorts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performing arts. In addition, rather than informing the activities of performing arts itself, it has been packaged which distorted the essence of performing arts. The attitude of taking the marketing activity as profit maximizing activity within the performing arts world, that is, considering the marketing activity merely the sales promotion of tickets. As a matter of fact, the performing arts marketing includes the function of informing the activity of performing arts and pursuit of profit maximization but the ultimate goal of performing arts is to create a condition that a complete and intact performing arts product can be consumed. The ultimate goal of marketing in performing arts is to specify the needs and wants of the prospective audience then develop and convey the performing arts work, services, and ideas that match the needs and wants of the prospective audience, also enabling each performing arts producers to minimize cost and maximize both customer satisfaction and economic value. The vitality of performing arts marketing are: increase in the number of audience, privatization of national and public theaters, establishment of the notion of performing arts management and broadening the classes of audience that fulfils the needs of various periods. Marketing was definitely in need for even the small sized art market in the past. However, the difference of with or without marketing was not clearly visible. In comparison with the modern performing arts industry, marketing plays one of the primary roles in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performance. The big names that have been mentioned in the media is said to gain a lot of support. It is easy to find investors for the works like ‘Yeon-guk Yeol-jun’ that have grasped plenty of interest from the public. Although there are criticism of casting celebrities on the stage and commercialization, it is indisputable that this is one of the marketing strategies that spur the want of audience for other various performances. Performing arts marketing is based on the notion of conventional marketing since its purpose and roles are in line with marketing in nature. But a lot of different aspects exist due to the uniqueness of performing arts compared to conventional marketing. The only objective of conventional marketing is to maximize profit through customer satisfaction. Conversely, the production of stage performances that corresponds to the wants of audience cannot fulfill the want and desire through merely focusing on the needs and wants of the audience. The artists’ message with artistic creativeness and social issues are conveyed through the performing arts. In this respect, the success of performing arts marketing’s ultimate goal is a matter of, how to blend the issue of commercialization and its roles in the society in harmony. Fine tuning is needed for marketing strategies that encompasses the social purposes with specific genres and topics that each performance pursues. Appropriate conventional marketing strategies must be applied to performing arts along with imagination and creativeness. 산업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우선 기업이 이익을 내야 한다. 예술계 일각에서는 상업성을 추구하는 것을 경시하고 예술성 높은 작품만을 만들면 된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지만 그것만으로는 산업이 성장 발전하지 못한다. 공연 기업과 공연에 관계하는 사람들이 이익을 남길 수 있어야 우수한 인력이 모이고 외부로부터 투자 자금이 들어오게 된다. 이러한 풍부한 자원을 바탕으로 더 좋은 작품이 제작되면 더 많은 관람객이 공연장을 찾게 된다. 이렇게 선순환 과정을 거쳐서 공연 산업이 발전하는 것이다. 공연을 제작하는 주체와 그곳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돈을 벌지 못하면, 후원자들이나 일부 마니아들을 중심으로 그 주체가 연명은 해나갈 수 있겠지만 더 이상의 성장과 발전은 기대하기 힘들다. 공연 마케팅의 인식부족으로 인해 단지 마케팅은 판촉을 위한 활동으로 규정짓고 공연예술 활동의 특성을 왜곡하여 공연예술 활동 그 자체를 알리기보다 그것을 포장하여 공연예술의 본질을 왜곡시키기도 하였다. 공연예술계 자체 내에서 마케팅을 공연예술의 영리추구에만 집착된 개념으로 받아들이는 태도, 즉 단순히 공연입장권 판촉행위로만 간주하였다. 물론 공연예술 활동을 널리 알리고 영리 추구도 마케팅 활동에 포함되지만 공연예술 활동의 궁극적인 목적은 좀 더 많은 사람이 좀 더 완성된 공연예술 상품을 소비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는 것이다. 공연예술 마케팅은 최종적으로 관객의 욕구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그에 일치되는 공연작품과 서비스 또는 아이디어를 기획·개발하고 사실을 전달하며 각 공연활동의 주체가 최소한의 비용으로 최대의 고객만족, 최대의 경제적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공연예술 활동의 궁극적인 목적인 좀 더 많은 고객들이 완성도가 높은 공연예술 상품을 소비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 나가는 것이다. 공연 마케팅의 활성화는 관객 수의 증가, 국공립 극장의 민영화, 예술경영 개념의 확립, 관객층의 확충 등 시대적 필요에 따른 것이다. 과거 예술가가 주도한 소규모 예술시장에서도 분명 마케팅은 필요했다. 하지만 마케팅이 있으나 없으나 그 차이는 미미했다. 이에 비해 최근의 공연시장에서는 마케팅이 공연의 성공으로 직결될 정도로 그 역할이 커졌다. 매스컴에 이름이 오르내린 작품은 흥행에 커다란 응원군을 등에 업고 무대에 오르는 셈이다. “연극열전”과 같이 세간의 관심을 끌만한 작품에는 시중의 유동자금이 투자하겠다고 줄을 서기도 한다. 스타들을 무대에 올리고, 상업화에 치우친다는 논란이 있지만, 연극을 경험하게 하며 또 다른 공연에 발걸음을 재촉할 수 있도록 만드는 마케팅 전략의 하나임에는 틀림이 없다. 공연 마케팅도 어디까지나 마케팅이어서 일반적인 마케팅 개념에 기초한다. 하지만 공연예술의 독특한 면 때문에 일반 마케팅과 다른 점도 많다. 일반 마케팅은 고객만족을 통해 수익을 극대화하는 것이 목표이다. 그러나 공연은 단순히 관객들이 원하는 작품을 만드는 것만으로 무엇인가 허전한 느낌을 가질 수 있다. 작품을 통해 예술가의 메시지를 많은 관객들에게 알리는 예술적 창조와 사회적 역할이 추가된다. 이런 점에서 공연 마케팅의 궁극적인 성공 여부는 단순히 수익을 늘리는 것뿐만 아니라, 공연의 이윤 논리와 사회적 기능을 어떻게 조화롭게 절충해 나가느냐하는 좀 더 복잡 미묘한 변수를 안게 된다. 공연 장르나 주제마다 지향하는 나름의 예술적, 사회적 목표에 걸맞은 마케팅 전략을 찾아가는 미조정(fine tuning)이 필요한 것이다. 상상력과 창의력을 발휘하여 일반 마케팅의 미덕을 공연제품에 적절히 적용시켜야 한다고 본 연구자는 생각한다.

      • 소방공무원의 외상후 성장 관련요인

        곽민영 인제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초록 소방공무원의 외상후 성장 관련요인 곽 민 영 (지도교수 : 배 정 이) 간호학과 인제대학교 대학원 목적 : 일반인구의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유병률은 2.12%이나 각종 사고와 재해로 인한 응급상황에 노출되는 소방공무원의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유병률은 11.1~36.8%로 높게 보고되고 있어 최근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소방공무원들이 경험하는 긍정적인 정신・심리적 변화인 외상후 성장 정도와 관련요인을 규명하여, 외상후 스트레스장애로의 이행을 예방하고 정신건강증진을 도모하기 위한 간호중재 지침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방법 : 본 연구의 설계는 서술적 조사연구로서, 2015년 8월 1일부터 31일까지 부산광역시 소재의 2개 소방서에서 근무하는 소방공무원 18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도구는 총 5개로서, 한국판 사건충격척도 개정판(Impact of Event Scale-Revised Korean version; IES-R-K), 회복탄력성 척도(Resilience Scale), 가족적응성과 응집성 평가 척도 III(Family Adaptability & Cohesion Evaluation Scale III; FACES-III)중 응집성 척도, 조직몰입 도구(Organizational Commitment Questionnaire; OCQ), 한국판 외상후 성장 척도(Korean version of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K-PTGI)로 구성된 구조화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을 이용하여 연구의 목적에 따라 기술통계, 독립표본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및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의 대상자는 남성이 94.6%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고, 연령별로는 30-40대가 87.1%로 가장 많은 분포를 차지하고 있었다. 교육수준은 대졸 이상이 77.4%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고 대상자의 83.9%가 배우자가 있었으며, 종교가 없는 경우가 73.1%였다. 또한 대상자의 직급은 34.4%가 소방장이었고 직능별로는 화재 진압이 54.8%, 3교대 근무자가 87.1%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2. 대상자의 외상후 성장 정도는 평균 46.3±17.20점(0∼80점 범위)이었으며, 외상후 스트레스 정도는 평균 10.2±13.34점(0∼88점 범위)으로 17.2%가 고위험군(25점 이상)으로 나타났다. 회복탄력성 정도는 평균 102.8±11.85점(27∼135점 범위), 가족응집력 정도는 평균 37.6±4.14점(10∼50점 범위), 조직몰입 정도는 평균 84.6±15.95점(15∼105점 범위)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외상후 성장 정도를 분석한 결과, 성별에 따라 여성의 외상후 성장이 남성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t=-11.74, p<.001), 직급에 따라서는 소방장이 소방사나 소방교에 비하여(F=3.97, p=.009), 직능별로는 구급 업무 담당자가 행정 업무 담당자에 비하여(F=2.47, p=.047)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총 근무경력이 25년 이상인 대상자가 15년 미만에 비하여(F=3.09, p=.011), 현재 담당 업무의 수행기간에 있어서 25년 이상인 대상자가 5년 미만인 경우에 비하여(F=2.47, p=.034) 외상후 성장 정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4. 대상자의 외상후 성장과 외상후 스트레스, 회복탄력성, 가족응집력, 조직몰입 간의 상관관계를 검정한 결과, 외상후 성장은 회복탄력성(r=.28, p<.001), 가족응집력(r=.22, p=.003), 조직몰입(r=.52,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외상후 스트레스는 회복탄력성(r=-.33, p<.001), 조직몰입(r=-.32, p<.001)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회복탄력성은 가족응집력(r=.43, p<.001), 조직몰입(r=.40, p<.001)과, 조직몰입은 가족응집력(r=.26,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5. 소방공무원의 외상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은 가족응집력(β=.15, p=.044), 조직몰입(β=.61, p<.001), 성별(β=.16, p=.023) 및 현재 담당 업무의 수행기간(β=.28, p=.001)이었다. 이들 요인들의 외상후 성장에 대한 설명력은 43.1%였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소방공무원의 외상후 성장은 회복탄력성, 가족응집력, 조직몰입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관련요인은 가족응집력, 조직몰입, 성별 및 현재 담당 업무의 수행기간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외상사건 이후의 위기개입 및 후속 조치 차원에서 벗어나 예방적 차원에서 개인의 조직몰입을 강화하고 가족응집력을 높여 외상후 성장을 촉진시키는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이 필요하다. 중심 단어 :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정신적 회복탄력성, 가족, 조직 Abstract Posttraumatic growth and related factors in firefighters Minyeong Kwak (Advisor : Prof. Jeongyee Bae, Ph.D) Department of Nursing Graduate School, Inje University Objectives : Although th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s(PTSD) prevalence rate in ordinary people is 2.12%, that of firefighters who are exposed to emergency situations from various accidents and disasters is relatively high with 11.1% to 36.8%, and is recently becoming a social issu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osttraumatic growth(PTG), a positive mental and psychological change experienced by firefighters, and its related factors to prevent PTSD an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nursing intervention guidelines for mental health promotion. Methods :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with 186 firefighters working in two fire stations in Busan Metropolitan City, conducted from August 1, 2015 to August 31, 2015. There were 5 research tools in the structuralized survey, including questions about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Korean version (IES-R-K), Resilience Scale, Family Cohesion Scale of Family Adaptability & Cohesion Evaluation Scale III (FACES-III), Organizational Commitment Questionnaire (OCQ), and Korean version of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K-PTGI).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for independent samples,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research, with SPSS WIN 18.0. Results :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the following. 1. Most of the subjects were male with 94.6%, and the highest age group was thirties to forties with 87.1%. In terms of education, college graduates were the highest with 77.4%. 83.9% of the subjects were married and 73.1% did not have a religion. In terms of rank, 34.4% were fire sergeants, and in terms of field of work, 54.8% were extinguishing fire and 87.1% were three-shift workers. 2. The average degree of posttraumatic growth of the subjects was 46.3±17.20 (on a 0 to 80 scale), and the average degree of posttraumatic stress was 10.2±13.34 (on a 0 to 88 scale), which showed that 17.2% were in the high risk group (25 and higher). The average degree of resilience was 102.8±11.85 (on a 27 to 135 scale), the average degree of family adaptability was 37.6±4.14 (on a 10 to 50 scale) and the average degree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84.6±15.95 (on a 15 to 105 scale). 3. After analyzing the degree of posttraumatic growth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in terms of gender, the degree in femal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males (t=-11.74, p<.001). In terms of rank, the degree in fire sergeant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regular firefighters or senior fire sergeants (F=3.97, p=.009), and in terms of field of work, the degree in emergency-related worker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administrative-related workers (F=2.47, p=.047). As well, the degree in the subjects with total work experience of 25 years or mo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subjects with total work experience of under 15 years (F=3.09, p=.011), and the degree in the subjects with experience of 25 years or more in the current fiel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subjects with experience of less than 5 years in the current field (F=2.47, p=.034). 4. After calculating the correlation among the posttraumatic growth, posttraumatic stress, resilience, family adaptabilit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posttraumatic growth was shown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resilience (r=.28, p<.001), family adaptability (r=.22, p=.003)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r=.52, p<.001). As well, posttraumatic stress was shown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resilience (r=-.33, p<.001)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r=-.32, p<.001). Resilience was shown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family adaptability (r=.43, p<.001)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r=.40, p<.001),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shown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family adaptability (r=.26, p<.001). 5. The related factors that affect the posttraumatic growth of firefighers were family adaptability (β=.15, p=.044), organizational commitment (β=.61, p<.001), gender (β=.16, p=.023) and work experience in the current field (β=.28, p=.001).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factors for posttraumatic growth was 43.1%. Conclusions :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posttraumatic growth of firefighters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resilience, family adaptability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related factors are family adaptability, gender and work experience in the current field. Thus there needs to b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an intervention program that focuses on prevention by strengthening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the individuals and heighten family adaptability to promote post-traumatic growth, instead of focusing on crisis intervention and follow-up programs after the traumatic experiences. Key Words : Postrraumatic stress disorders, Psychological resilience, Family, Organization

      • 유치원 교사의 교육과정 외 업무와 시간 활용에 대한 현황 및 인식

        곽민영 아주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 교육의 중요한 인적 자원인 유치원 교사들이 당면하고 있는 업무 부담과 시간 부족의 문제점을 해결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느끼고, 효율적인 업무 수행을 위하여 시간을 적절히 활용하는 방안을 찾아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고, 교육 활동에 집중할 수 있는 교육 환경을 조성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치원 교사의 1일 근무 현황은 어떠한가? 2. 유치원 교사의 교육과정 외 업무 수행 현황은 어떠한가? 3. 유치원 교사들의 교육과정 외 업무에 대한 시간 활용 인식은 어떠한가? 4. 유치원 교사의 교육과정 외 업무와 시간 활용에 대한 어려움 어떠한가? 5. 수업 준비를 위한 시간 활용의 효율적인 해결방안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유치원 교사의 교육과정 외 업무 수행 및 시간 활용에 대한 효율적인 해결방안을 알아보고자 설문 조사를 통한 양적 분석 결과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해석을 위해 후속으로 질적 사례 연구를 수반한 혼합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교사의 1일 근무시간에 대해 살펴본 결과 유치원 교사는 근로기준법 1일 8시간보다 높게 근무하며, 교육과정 외 업무 시간량에 대해 평균적으로 ‘많은 편이다’라고 인식하였다. 따라서 장시간 근무로 인한 업무 부담을 개선하기 위해서 근무시간의 탄력적 운영 및 초과근무 시 수당을 지원하여 근무 여건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육과정 외 업무 수행에 대한 기관 유형별 차이 검정 결과 ‘유아, 학부모 관리 및 교육 관련 행사’, ‘행정 및 사무 처리’, ‘전문성 신장 및 대인관계 조성 및 유지’의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행정 및 사무 처리’과 ‘전문성 신장 및 대인관계 조성 및 유지’의 영역에서 공립유치원 교사가 사립유치원 교사보다 수행 빈도가 높았다. ‘유아, 학부모 관리 및 교육 관련 행사’ 영역에서는 사립유치원 교사가 공립유치원 교사보다 수행 빈도가 높았다. 변인에 따른 차이 결과에서 학급 수, 원감 유무, 행정사무의 유무, 보조교사의 유무는 유치원 교사의 행정적 업무 부담을 줄이고 교육 관련 업무에 집중할 수 있게 도움을 주는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셋째, 유치원 교사의 교육과정 외 업무에 대한 시간 활용 인식 조사 결과 유치원 교사는 시간 활용을 어려워하였다. ‘수업 준비’, ‘교수-학습 준비 및 평가’, ‘자기 개발 및 전문성 신장’을 위한 시간이 부족하고, 업무량이 많아 업무 부담이 높다고 인식하였다. 교사와의 면담에서도 유치원 교사는 과중한 업무로 인하여 시간이 부족하고 시간 활용이 어렵다고 하였다. 또한 기관 유형별 차이 분석 결석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공립유치원은 행정업무와 개인 담당업무의 부담을 개선할 수 있도록 행정전담교사를 배치하고, 사립유치원은 청소나 차량 지도 등을 위한 보조 인원을 충원하여, 적절한 역할 분담을 통하여 업무를 경감시키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또한 기관에서는 교사들이 자기계발을 할 수 있는 연수의 기회를 확대하고, 학업의 진학을 할 수 있는 환경이 되도록 지원과 이해가 요구된다. 넷째, 유치원 교사의 교육과정 외 수업 준비를 위한 시간 활용의 효율적인 해결방안으로 교사는 업무를 인식하고 우선순위를 정하여 계획적으로 시간을 활용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행·제정적인 부분에서는 청소 전문 인력이나 담당 인력 배치, 행정전담교사 배치, 부담임이나 보조교사의 인력을 충원하여 적절한 역할분담으로 업무의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 또한 업무의 간소화, 적절한 업무분장, 행사 줄이기, 교대 대 유아 수 줄이기 등의 업무를 경감시키는 방안을 실현할 수 있는 제도적 개선이 요구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