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다차원 스펙트럼 해석법을 이용한 자동차 현가장치의 진동 전달 경로 규명에 관한 연구
본 연구에서는 스프링-댐퍼계의 수동형 현가장치를 자동차 현가계의 선형역학 모델(1/4 모델 )을 기초로 하여 운전석에서 느끼게 되는 상하진동에 영향을 주는 진동 주파수 성분을 알아보고 질량과 강성계수를 통해 다양한 입력을 구성하였다. 출력은 운전석에서 느끼게 되는 진동으로 가정하고, 각 입력들과 출력사이의 기여 정도를 다차원 스펙트럼 해석법을 이용하여 분석해 본다. MATLAB 의 GUI 환경을 사용하여 다차원 스펙트럼 해석법을 적용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구성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입출력 사이의 일반기여도함수, 부분기여도함수 및 다중기여도함수를 이용하여 각각의 입력원으로부터 출력까지의 기여도 및 입력원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일반기여도함수의 계산에 있어서 입력원의 크기가 달라지는 경우에 대한 시뮬레이션을 실행하였다. 전달경로 규명에 관한 연구로는 입력 순서 결정에 따른 기여출력스펙트럼의 표현과 변화 등을 알아보며, 다중기여도함수와 기여출력 스펙트럼을 이용하여 출력을 나타낼 수 있는 적절한 입력 개수 선정 방법에 대한 시뮬레이션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전달경로의 차단 등을 통해서 전달경로의 특성 규명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Virtual testing(simulation)을 통해 자동차의 승차감 향상을 위해서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문제가 되는 진동원을 적은 비용과 시간으로 찾아내어 이 부분에 대한 진동 저감대책을 세우기 위한 기본 과정으로 적용하게 될 것이다. Recently, the study on the frequency analysis method is widely used in order to evaluate the dynamic characteristic of a structure. In this paper, the transfer path identification and the estimation of the output are simulated by using the multi-dimensional spectrum analysis method (MDSA) by modeling the vehicle suspension system that correlates with inputs and by applying the frequency analysis method. In the case of coupling between inputs, it is possible to separate each element by the MDSA method. Main simulations are to find order of inputs by using the coherent output spectrum and to select optimal number of inputs by using the multiple coherence function. Also, the transfer path characteristic is identified in terms of overall integrated contribution level by shielding the transfer path of each input.
한국과 중국의 고등학교 수학교과서 비교 연구 : 함수 및 도형의 방정식 영역을 중심으로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중국의 고등학교 수학교과서를 함수 및 도형의 방정식 영역을 중심으로 내용 구성과 전개방식, 제시하고 있는 문제의 유형과 그 해결과정, 단원별 학습 내용의 측면에서 비교 분석하여 교과서 및 학습자료 개발뿐만 아니라 교과 지도 개선을 위한 의미있는 시사점을 찾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연구문제A) 한국과 중국의 고등학교 수학교과서 내용 구성 및 전개 방식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2. (연구문제B) 한국과 중국의 고등학교 수학교과서에서 제시하고 있는 문제의 유형과 문제 해결 과정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3. (연구문제C) 한국과 중국의 고등학교 수학교과서에서 다루는 함수 및 도형의 방정식 학습 내용에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이와 같은 세 가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한국의 고등학교 수학교과서 총 6권과 중국의 연변교육출판사에 출판한 중국 고등학교 수학교과서 8권 중에서 표본교과서를 선정하여 각 교과서를 비교 연구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분석틀에 의거하여 총 6가지 측면에서 한국과 중국의 고등학교 수학교과서를 비교·분석하였고,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요약하고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교과서의 구성(AC)면에서 비교 분석한 결과 한국은 학습주제에 대해 여러 학년과 과목을 거치면서 점진적으로 심화시켜나가는 나선형, 분산형 구성이었지만 중국은 하나의 주제를 특정 학년에서 집중적으로 다루면서 다른 학년 간에 학습 내용이 중복되는 것을 최대한 피하는 집중형, 선형적 구성을 띄고 있었다. 중국은 고등학교 선택 과목에서 한국보다 수준이 높은 학습 내용을 다루고 있었지만 한국의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적분법에 대해서는 어느 과목에서도 전혀 다루지 않고 있었다. 또한 비구조화된 발문을 지속적으로 제시하면서 현재 학습하는 내용과 탐구해야할 과제들에 대해 수시로 생각해볼 기회를 제공하고 있었다. 반면 한국은 이전 학습 내용의 확인과 함께 학습목표, 후속 학습 내용들을 위한 새로운 성질과 정리를 명확하게 표현하였으나 중국은 이전에 배운 학습 내용을 확인하는 단계가 없었으며 학습 목표의 제시도 별도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내용 전개 방식(AF)면에서 비교 분석한 결과 한국은 학습목표 제시 이후 [생각열기], [생각펼치기], [생각다듬기]로 나아가는 과정을 통해 동기 유발을 하고 있었지만 중국은 간단하게 동기유발 이후 중단원에서는 따로 동기 유발의 과정이 드러나지 않았다. 또한 한국은 [스스로 확인하기]를 통해서 3단계(기초다지기, 기본익히기, 실력굳히기)로, 중국은 2단계(연습문제 A조, 연습문제 B조)에 걸쳐 수준별 학습을 지원하고 있었으며 학습한 수학 개념들을 학생들이 왜 배워야하는지에 대한 본질적 물음에 대한 답을 [단락총화]를 통해 제시하고 있었고 [실습작업]에서 소집단 협력학습을 통해 보고서를 작성해보는 활동까지 유도하고 있었다. 제시하고 있는 문제의 유형(BT)면에서 5가지 행동 영역(계산, 이해, 추론, 내적 문제해결, 외적 문제해결)에 따라 교과서의 문제들을 분류해본 결과 한국은 [이해]-[계산]-[내적 문제해결]-[외적 문제해결]-[추론]의 순으로, 중국은 [이해]-[계산]-[외적 문제해결]-[추론]-[내적 문제해결]의 순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고, 특히 중국은 추론 영역의 문제를 한국에 비해 상당히 중요시하고 있었다. 또한 한국은 수학 내적, 외적 문제 상황에의 활용을 문제 해결 능력의 마지막 단계로 제시하는 [현실 문제상황]-[개념학습]-[연습문제]-[수학 내적, 외적 문제해결]의 구성이었으나 중국은 실생활로부터의 수학적 개념 및 성질의 귀납 추론을 중시하였고, 개념학습 이후 곧바로 수학 외적 상황을 지속적으로 제시하여 학습한 내용을 현실 상황에서 어떻게 활용하는지에 초점을 맞춘 구성으로 [개념학습]-[수학 외적 문제상황 해결]-[연습문제]-[내적, 외적 문제상황 해결]의 전개 방식을 취하고 있었다. 문제 해결과정(BS) 제시 면에서 비교 분석한 결과 중국은 예제의 풀이를 [예]-[분석]-[풀이]의 3단계로 해결 과정을 제시하고 있었고, [분석]이라는 단계를 통해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발견하는 과정과 그 방법에 대해 제시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과정은 한국에서는 다루지 않고 있었다. 문제 해결과정에서 한국은 주로 지오지브라(Geogebra)를 통해 함수 그래프의 시각화와 기하학적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 활용하였고, 중국은 전자계산기, 기하화판, 엑셀(Excel) 등을 사용하여 정확한 값의 계산, 학생의 해결과정에 대한 정당성 부여, 함수 그래프의 시각화 등 여러 측면에서 공학 도구를 활용하고 있었다. 함수 단원 학습내용(CF)면에서 비교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함수 단원에서 배우는 내용은 한국보다 중국이 엄밀하게 다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국과 중국 모두 함수를 집합 사이의 임의의 대응이라는 관점으로 함수를 도입하였으나 중국은 를 독립변수로 부르며 가 변화하고 있다는 변화의 관점까지 같이 도입하려 하였다. 중국은 함수를 표현하는 세 가지 방법으로 해석적 방법, 그래프적 방법, 수표적 방법으로 제시하고 이 방법들을 여러 함수가 도입될 때마다 상호 번역해보는 활동을 강조하고 있었다. 한국은 반복적인 연습 문제 해결 과정을 거쳐 내적, 외적 문제 해결 과정으로까지 사고의 확산을 유도하고 있었지만 중국은 함수 그래프의 전체적, 질적 접근을 통해서 현실의 문제 상황을 모델링하고 문제 상황을 수학적으로 재해석하는 도구로써의 함수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또한 한국과 중국 모두 다양한 함수의 예를 들고 있었으나 중국은 한국이 제시하지 않고 있는 불연속적인 함수, 구간에 따라 달라지는 함수 등을 함수 그래프의 도입과 함께 제시하여 학생들이 함수에 대한 인식론적 장애를 갖지 않도록 다양한 함수를 담고 있었다. 도형의 방정식 단원 학습내용(CA)면에서 비교 분석한 결과 한국은 연역적으로 도형의 방정식을 바로 도입하고 있지만 중국의 경우 직선과 원을 결정하기 위해서 필요한 기하적 요소를 탐구하게 해보고 그 결과 발견하게 된 기하적 요소를 수학적으로 표현하게 하면서 도입하였다. 이차곡선 단원에서는 한국의 경우 포물선, 타원, 쌍곡선의 정의에 입각하여 각 곡선의 기하학적 특징을 살피려고 하였지만 중국은 포물선, 타원, 쌍곡선의 그래프 자체가 갖는 기하학적 특성(그래프의 범위, 정점, 대칭성, 이심률)에 주목하여 이를 주로 학습하게 하였다. 중국과 한국의 교과서는 모두 유클리드 기하의 종합적 방법과 해석 기하의 대수적 방법이 조화를 이루지는 못하고 있었다. 한국과 중국의 고등학교 수학교과서를 함수 및 도형의 방정식 영역을 중심으로 비교 분석한 결과, 한국의 고등학교 수학교과서에서도 함수의 그래프 지도시 질적 접근, 전체적 접근에 따른 지도 내용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중국은 함수 도입시 그래프의 전체적인 형태를 먼저 살펴보는 전체적 접근, 질적 접근이 이루어진 뒤 양적 접근과 점별, 국소적 접근을 통해 조금씩 수치적이고 대수적으로 정확하게 표현하여 그래프를 해석하는 단계로 나아가고 있었다. 하지만 한국은 함수의 정의이후 점별, 국소적, 양적 접근이 주를 이루고 있었고, 교과서에서 제시하고 있는 문제들의 제시 순서에 대해 생각해볼 필요성이 있었다. 한국의 경우 [현실 문제상황]-[개념학습]-[연습문제]-[수학 내적, 외적 문제해결]의 순서로 문제들이 제시되고 있었고, 동기 유발에서 실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문제 상황들로부터 출발하여 예제와 연습문제를 마친 뒤 수학 내적, 외적 문제해결을 문제 해결의 마지막 단계로 정해놓고 나아가는 직선적인 구성이었지만 중국은 [개념학습]-[수학 외적 문제상황 해결]-[연습문제]-[내적, 외적 문제상황 해결]의 순으로 학습 초기에 수학 외적 문제상황의 해결 경험을 통해 학습한 내용이 현실에서 어떻게 활용이 되며, 현실 상황을 어떻게 분석하는지에 대해 문제를 통해 지속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동기 유발과 함께 학습한 내용을 견고히 다져나가는 구성이었다. 또한 문제 해결과정에서 문제 해결에 결정적 역할을 한 사실이나 조건, 문제 해결 방법을 발견하게 된 과정에 대한 내용 제시 그리고 문제 해결 후 후속으로 제시되는 문제들에 대한 일반화된 문제 해결 과정의 제시에 대해 생각해볼 필요성이 있다. 중국의 교과서에서는 [예]-[분석]-[풀이]의 3단계를 거쳐 문제 해결 과정을 제시하고 있었으며 [분석]의 단계에서 문제 해결에 필요한 사실이나 실마리 등을 제공하고 있었다. 또한 문제 해결 후 일반적으로 문제 해결에 필요한 일련의 과정들을 일반화하여 제시함으로써 다른 후속 문제들에서도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적용해보도록 유도하였고, 함수 단원에서 번역 활동을 조금 더 강조해서 다룰 필요성이 있다. 한국도 함수를 나타내는 표현에 대해 상호 번역해보는 기회를 제공하고는 있었지만 중국에 비해 이러한 표현들 사이의 번역 활동 자체는 부족해 보였다. 중국은 각 함수 단원마다 이러한 활동을 강조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활동을 통해 함수를 다루는 유연한 사고와 각 표현이 갖는 장단점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국의 교과서도 도형의 방정식 도입 시에 기하적 요소를 탐구하는 활동을 추가할 필요가 있다. 또한 현재 한국 교과서에서는 도형의 방정식을 기울기 정의 후, 연역적으로 도입하고 있었으며 왜 기울기라는 기하적 요소가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별도로 언급하지 않고 있었다. 함수 및 도형의 방정식 영역에서 추론 영역를 다루는 문제와 개념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함수 및 도형의 방정식 이외의 다른 영역을 중심으로, 또한 수학 교과 이외의 다른 과목에서도 한국과 중국의 교과서의 추가적인 비교 연구의 필요성을 느꼈으며, 한국의 고등학교 교육 현장에서 중국의 고등학교 수학교과서를 활용해 개발한 자료를 수업에 투입한 질적 연구를 통해 중국의 수학교육과정이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과 효과에 대해 분석하여 장점으로 나타나는 부분은 한국의 교과서 구성과 개발에 적극 반영할 필요성이 있을 것이다.
강현석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This study consisted of three independent papers on multi-family housing. Each paper investigates determinants of a management fee of multi-family housing, the influencing factors of employing its management worker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inimum wage and the employment conditions of multi-family housing security guards. In part I, introduction, the background, purpose, and structure of the study were introduced, and in part II, the significance of multi-family housing management and the employment conditions of related workers were reviewed with the institutional perspective. In part III, IV, and V, empirical researches were performed for each subject. Finally, in part VI,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integrated, implications were drawn, and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tasks for future studies were presented. In the first article, the purpose is to establish three models on total management fee, common management fee, and individual fee and to quantify the effect of variables on each management fee model. It is noted from the fact that apartment housing management fee is affected by several factors including physical and local characteristics. The results are as follows: As a regional factor, the common management fee was lower in Giheung-Gu and Cheoin-Gu compared to Suji-Gu by 28.959 and 46.534 won/㎡. The management fee was the highest in sold multi-family housing compared to rental ones for all the three models. The individual management fee was strongly affected by heating type, resulting in higher management fee for district heating system. In addition, more recent multi-family housing was associated with higher total management fee and individual fee compared to old ones. The number of households showed negative(-) effects in all three models, being found to be economies of scale. Since this empirical analysis showed that the three models of total management fee, common management fee, and individual fee were affected by different determinants with different magnitudes one another, therefore, draws a conclusion that the efficient operation of management fee requires a differentiated response plan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of the determinants of major items of management fee. The purpose of the second article is to identify influencing factors of employment for multi-family housing management workers such as security guards, and cleaners and to quantify their influences. It was noted that the employment of multi-family housing management workers is affected by various variables such as regional factors and parking control system install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more recent multi-family housing (Pangyo/Gwanggyo) employed fewer workers for all three kinds of jobs compared to the older one (Bundang), by 2.472 persons per complex for the manager, 1.609 for the cleaner, and especially 6.274 for the security guard. This implies that a more effective job creation policies such as new work to improve management service quality and job discovery are needed to force new employment of an appropriate number of workers in the newly built multi-family housings. The third article empirically analyzes the effect of minimum wage on the employment, wage, and working hours of multi-family housing security guards. This was due to the recent sharp increase in the minimum wage, which became a restriction of demand for security guards, and most of the multi-family housings are quick to repose on labor cos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for each 1% increase in the minimum wage, the employed worker per complex decreased 0.023 or 0.081, the monthly wage increased 0.41-0.74% or 0.79, and monthly working hours decreased 0.61-0.70 hours or 0.53 hours. Consequently in order for the effect of policy to be realized by reflecting the minimum wage increase to the security guard wage increase without loss, the statutory working hours of security guards should be stipulated at a level similar to that of general workers by amending the supervisory worker regulations, or the improvements such as the introduction of welfare support policies that directly benefit the security guard are needed. 본 연구는 공동주택과 관련된 세 개의 독립된 논문으로 구성하였다. 각각의 논문은 크게 공동주택 관리비의 결정요인, 공동주택 관리 종사자의 고용변동요인, 그리고 최저임금과 공동주택 경비원의 고용여건과의 관계를 다루고 있다. 1장 서론은 연구의 배경과 목적, 연구의 구성 등을 살펴보고, 2장에서는 공동주택관리의 의의 및 종사자의 고용여건을 제도적 측면에서 검토했다. 3장에서 5장까지는 각각의 주제별로 실증연구를 수행하였다. 끝으로 6장 결론에서는 연구결과를 종합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연구의 한계와 향후 과제를 제시했다. 첫 번째 연구는 전체관리비, 공용관리비 및 개별사용료의 세 가지 모형을 설정하여 어떤 변수가 세가지 모형의 관리비 결정요인으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계량화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공동주택 관리비가 물리적 특성 및 지역요인 등 여러 요인의 영향을 받는다는 점에 착안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지역요인으로 공용관리비는 수지구보다 기흥구와 처인구가 각각 단위면적(㎡)당 28.959원과 46.534원이 낮게 나타났다. 소유형태요인은 분양 공동주택이 세 모형 모두에서 높은 관리비가 부과됐다. 개별사용료는 난방형식의 영향을 크게 받아 지역난방일수록 관리비가 높았으며, 최근에 지어진 공동주택일수록 전체관리비와 개별사용료가 높았다. 세대수는 세 가지 모형 모두에서 음(-)의 영향력을 미쳐 규모의 경제가 작용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따라서, 본 실증분석에서는 세 가지 모형 모두가 각각 다른 결정요인으로부터 다른 크기의 영향을 받아, 관리비 주요항목의 성격에 따라 차별적인 대응방안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갖는다. 두 번째 연구는 관리원, 경비원 및 청소원 등 세 가지 모형 각각의 고용변동요인을 찾아내고 그 영향력을 계량화하는데 목적을 뒀다. 종사자의 고용변동이 지역요인 등 다양한 변수의 영향을 받는다는 점에 착안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2기 신도시 공동주택에서 세 모형의 종사자 모두가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보다 최근에 지어진 판교 및 광교신도시가 분당신도시보다 관리원은 단지당 2.472명, 청소원은 1.609명, 경비원은 6.274명이 적은 결과를 보여줬다. 따라서, 신규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관리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키는 업무를 발굴하는 등의 적극적인 고용창출 정책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세 번째 실증분석은 최저임금제가 공동주택 경비원의 근로자수, 임금 및 근로시간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최근 최저임금이 급격하게 오른데다 공동주택 공급의 한계로 경비원 노동수요가 제한되었고, 대부분의 공동주택단지가 인건비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현상에 착안했다. 실증분석 결과에 따르면 최저임금이 1% 인상될 때마다 경비원수는 약 0.023명 또는 0.081명이 줄어들고, 월 임금은 0.41~0.74% 또는 0.79%가 증가하며, 월 근로시간은 0.61~0.70시간 또는 0.53시간이 감소하는 결과를 도출했다. 최저임금이 오른다 해도 경비원 임금을 곧바로 인상하는 대신에 경비원의 감축, 근로시간의 조정 등의 방법을 적용하여 선택적으로 반응한다는 실증적 결과를 보였다. 특히 공동주택 경비원의 고용감소 수치와 월 임금의 낮은 인상률은 경시될 수 없는 수준으로 분석된다. 따라서, 최저임금제가 목표로 하는 고용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경비원의 근로시간을 일반근로자 수준으로 규정하거나 경비원에게 직접적인 혜택이 미치는 복지지원정책이 필요하다는 정책적인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비 온음계적 딸림화음에서 블루스 스타일 즉흥 연주 연구 : 로벤 포드 음악에서
강현석 상명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12 국내석사
Modern pop music is based on the blues and jazz have been developed. Pop music is popular. And it's a simple blues elements and jazz improvisation and harmony has all the elements. In particular, this paper features the music of Robben Ford in Nondiatonic Dominant chords, blues and jazz elements that are organically connected with play are studied. Robben Ford’s improvisation similar to Play Eric Clapton, but with an obvious difference compared with improvisation to Play, is analyzed. And as it embodies the characteristics of improvisation. Robben Ford materialized as a result of music, jazz harmony with the progress to play pop music, studied improvisation. Ray Charles song, band ‘H. and’ song and creation song are studied by applying the results. And its effects are described. 현대 팝음악은 블루스와 재즈에 기반을 두고 발전해 왔다. 팝 음악은 대중적이면서도 간결한 블루스 요소와 즉흥적이며 화성적인 재즈 요소를 모두 지닌다. 기타의 즉흥 연주법에서도 이 두 가지 요소는 계속 발전되었다. 이 논문은 로벤 포드의 음악의 특징 중에서도 특히 비 온음계적 딸림화음에서 블루스적이고 재즈적인 요소들이 어떻게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연주되었는지 연구한다. 또 로벤 포드의 즉흥 연주법과 유사하면서 분명한 차이를 보이고 있는 에릭 클랩튼(Eric Clapton)의 즉흥연주법과 비교, 분석하여 로벤 포드의 블루스 스타일 즉흥 연주의 특성을 구체화한다. 로벤 포드 음악의 이 구체화 된 결과로 재즈적 화성 진행을 갖는 팝 장르 음악의 즉흥 연주법을 연구한다. 또 그것을 레이 찰스(Ray Chales)와 밴드(H. And)의 곡, 그리고 창작곡'선물’에서 적용하고 그 효과를 설명한다.
관절 좌표 이미지 패치를 이용한 다중 스트림 신경망을 통한 수화 인식
최근 들어, 딥러닝(Deep-Learning)과 기계학습(Machine Learn-ing)을 이용한 알고리즘을 통한 수화 인식에 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다양한 종류의 정보를 요구하는 수화의 특성 때문에 단어 단위 수화 인식은 다양한 방법론들이 제시되었다. 수화 인식에 대한 기법은 이미지 기반의 방법과 자세 기반의 방법으로 나뉜다. 초반에는 이미지 기반의 합성곱 신경망만을 이용하는 방법들이 나와서 준수한 성능을 보였다. 이미지 기반의 방법들은 주로 수화의 전체적인 정보에 집중했다. 그 이후에는 행동 인식 분야에서 많이 사용하던 자세 기반의 관절 정보를 이용한 그래프 합성곱 신경망을 적용했다. 이때, 얻은 정보들은 대부분 수화에서 관계성에만 집중했다, 하지만, 단일 스트림 신경망으로 얻을 수 있는 정보로는 다양한 종류의 정보가 필요한 수화 특징을 잡아내는데 부족했고, 많은 논문이 다중 신경망을 통해서 수화 인식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얻었다. 본 논문에서는 수화 인식에서 중요한 얼굴과 손의 지역적인 정보를 얻기 위한 데이터 형태인 관절 주변 이미지 패치와 트랜스포머 네트워크를 활용한 다중 스트림 네트워크를 제안한다. Recently, there are many researches about word level Sign Language Recognition (SLR) using Deep Learning (DL) and Machine Learning (ML) algorithms. Various methods have been proposed to increase performance of SLR due to properties of sign language which demand many kinds of information need to recognition. Approaches for SLR are divided into image-based methods and pose-based methods. At first, image based methods using 3-dimension convolution neural network (3d-CNN) got high accuracy on public datasets. These methods focused on global information of sign language (SL) video. After, pose based approaches using graph convolutional network (GCN) and skeleton data in action recognition (AR) appeared. However, information from single stream methods had limitation of catching features of SL which needed various kind of information, so many methods tried to use multi stream and ensemble methods to improve performance of SLR. In this paper, we propose joint point image patch and multi-stream neural network utilizing transformer network to obtain important local information of face and hand point
노령의 대퇴골 경부 골절 환자에 대한 양극성 고관절 반치환술
대퇴골 경부 골절은 노령의 환자에서 해결해야 할 중요한 문제로서 현재 내고정술의 괄목할만한 발전에도 불구하고 불유합 및 무혈성괴사의 합병증이 많이 발생함으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공 관절치환술이 대두되었고 특히 노령의 환자에게 권장되고 있다. 저자는 1996년 3월부터 2000년 2월까지, 전위된 대퇴골 경부 골절로 인해 양극성 고관절 반치환술로 치료한 65세이상 노령환자 25례를 대상으로, 최소 6개월에서 최장 3년 10개월까지, 평균 18개월 추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전위된 대퇴골 경부 골절환자의 평균 연령은 76세였다. 2. 수상 원인의 대부분은 실족이었으며 골절 분류상 대부분은 골두하 골절이었고, Garden씨 분류 제 3형이었다. 3. 동반된 내과 질환은 고혈압이 9례(36%)로 가장 많이 차지하였다. 4. 합병증으로 수술중 대퇴골절 1례(4%), 대퇴골 전자부 견열골절 1례(4%), 술 후 창상감염 1례(4%)가 있었다. 5. 전위된 대퇴골 경부 골절을 양극성 고관절 반치환술로 치료하여 Lunceford의 고관절 기능 평가방법으로 평가한 임상적 결과는 우수 13례(52%), 양호 6례(24%), 보통 4례(16%), 불량 2례(8%)였다. 노령 환자에서 전위된 대퇴골 경부 골절의 치료로, 양극성 고관절 반치환술은 만족할만한 치료방법이지만 환자가 다치기전의 활동수준으로 회복되기 위해서는 수술 후 좀 더 적극적인 재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Even though internal fixation is considered as logical choice of treatment options for femoral neck fracture, non-union and avascular necrosis are frequently encountered especially in elderly patients. To avoid there complications, prosthetic replacement has been advocated recently. So, the author reviewed 25 cases of bipolar hemiarthroplasty which had been performed from April, 1996 to February, 2000 for the displaced femoral neck fractures in elderly patients over 65 years old and followed up for average 18 months with a range frome 6 months to 3 years and 10 months.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 1. The mean of the patients were 76 years old who have displaced femoral neck fracture. 2. The most common cause of injury was slip down and most common type was subcapital fracture and Garden type Ⅲ. 3. The most common associated medical problems were hypertension in 9 cases(36%). 4. The complications were intraoperative proximal femoral fracture(1case, 4%), intraoperative greater trochanter avulsion fracture(1case, 4%), early deep wound infection(1case, 4%). 5. The clinical result was focused on functional hip assessment of bipolar hemiarthroplasty after displaced femoral neck fracture, and functional results evaluated by Lunceford's method were excellent 13 in cases(52%), good in 6 cases(24%), fair in 4 cases(16%), poor in 2 cases(8%). The bipolar hemiarthroplasty was considered as a recommendable method for the displaced femoral neck fracture in the elderly patients but more active postoperative rehabilitation should be required for good functional recovery to preinjury activity level.
자동차 엔진용 캠커버 AZ91D의 주물결함 제어에 관한 연구
마그네슘 합금은 낮은 밀도, 높은 비강도, 우수한 주조성, 가공성, 진동 흡수성, 소음 차폐 특성 등으로 인하여 자동차 부품 산업분야에서 주목을 받고 있는 대표적인 경량화 재료이다. 이러한 마그네슘 합금의 제조에는 주로 다이캐스팅 공정이 사용되고 있으며 공기, 가스의 포집, 개재물의 혼입 및 미충진 불량지역등과 같은 제조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여러 인자들을 경험에 의존한 시행착오에 의해서 주조방안을 최적화 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 엔진용 캠커버 부품의 유동 및 응고현상을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한 예측으로 경제적, 시간적 손실을 줄이고 이에 더 나아가 실제로 적용된 조건을 토대로 실제품을 제작하여 특성을 분석하였다. 다이캐스팅 주조에서의 공정 변수로는 고정 인자와 유동인자로 나눌 수 있는데 처음에는 유동 인자인 용탕의 온도에 따른 주물결함의 변화에 대해서 알아보기 위해서 용탕의 온도를 각각 670℃, 680℃, 690℃로 바꾸어서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러나 용탕 온도의 변화에 따른 주물의 결함예측지역과 그 정도가 별다른 변화를 보이지 않아 새로운 주조 방안을 도입하여 보았다. 강한 압력으로 용탕을 밀어 넣어 제품을 얻어내는 다이캐스팅 공정에서 온도의 인자보다 중요한 인자가 충진에 관한 것임을 상기하여 새로운 주조 방안을 모색하게 되었다. 먼저 충진 거동을 보다 균일적으로 맞추기 위하여 제품의 두께를 증가시켜 2.8t에서 3.5t로 25% 증가시켰으며 이에 따른 슬리브의 고석, 저속 속도와 거리를 변화시켰다. 마지막으로 균일한 냉각속도를 위하여 6개의 320℃의 내열채널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1차 주조 해석 방안에서 수축, 기공등과 같은 결함의 감소등의 변화를 예측할 수 없었으나, 2차 주조 해석 방안에서는 보다 명확하게 예상되는 결함이 줄어드는 현상을 확인 할 수 있었고, 이에 따라 해석 결과를 모태로 실제 공정에 적용하여 시제품을 제작하였다. 제작된 시제품에 대하여 여러 가지 기본적인 특성 분석을 하였으며 이러한 특성분석의 결과와 해석결과가 대부분 일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토복령 추출물을 첨가한 소스의 항산화 활성 및 유통기한 설정에 관한 연구
본 연구는 항산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는 토복령 추출물을 소스류에 첨가하여 식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진행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용한 기능성을 가지고 있는 토복령의 활용도 증진을 위해 토복령 추출물을 0%, 0.5%, 1.0%, 1.5%의 농도별로 부대찌개 소스, 순두부찌개 소스에 첨가하여 5oC, 20oC의 저장온도 조건에서 8주간 저장하며 품질 특성을 관찰하였고, 토복령이 가지고 있는 항산화력을 식품에 적용하여 천연 식품 보존료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pH, 염도, 당도 측정실험은 3회 반복 측정하여 평균값을 구했다. 부대찌개 소스의 pH 값은 5oC 1주차에서 대조구 5.48, 0.5% 5.47, 1.0% 5.48, 1.5% 5.40이며 6주차까지 ±1 정도의 차이를 보였다. 순두부찌개 소스는 1주차에서 대조구 5.59, 0.5% 5.59, 1.0% 5.51, 1.5% 5.53이며 6주동안 5.40 - 5.68의 변화를 보였다. 부대찌개 소스의 염도는 5oC 1주차에서 대조구 24.3, 0.5% 25.0, 1.0% 25.0, 1.5% 25.7이며 6주차까지 24.0 - 25.7의 변화를 보였다. 순두부찌개 소스는 5oC 1주차에서 대조구 20.3, 0.5% 21.0, 1.0% 21.7, 1.5% 22.0이며 6주차까지 20.3 - 22.7의 변화를 보였다. 염도는 순두부찌개 실험구에서 저장온도에 따라 2정도의 차이가 있었지만, 대조구와는 큰 차이가 없으므로 시료의 염도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사료된다. 부대찌개 소스의 당도는 5oC 1주차에서 대조구 25.3, 0.5% 25.3, 1.0% 25.6, 1.5% 25.8이며 토복령 추출물의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당도가 소폭 상승하였다. 순두부찌개 소스 역시 5oC 1주차에서 대조구 21.7, 0.5% 21.6, 1.0% 22.1, 1.5% 22.1으로 토복령 추출물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소폭 증가하였다. 하지만 모든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0.5 이내에 차이를 보였으므로 토복령 추출물은 당도 변화에 대해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은 부대찌개 5oC 저장조건에서 15.134, 0.5% 18.429, 1.0% 21.034, 1.5% 23.946으로 첨가량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순두부찌개 역시 대조구 11.533, 0.5% 13.602, 1.0% 15.556, 1.5% 17.931로 증가하였다. 토복령 추출물을 첨가한 처리구들은 대조구에 비해 라디칼 소거 활성이 높게 나타났고, 첨가된 추출물의 양이 증가할수록 라디칼 소거 활성도 증가하였다. 시료의 온도 차이에 따른 라디칼 소거 활성은 두 가지 소스 모두 1% 처리구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5oC씨의 저장조건에서 다른 온도에 비해 차이가 더 크게 측정 되었다 생균수 측정은 대장균과 효모곰팡이균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일반세균과 젖산균은 저장기간에 따라 증가하였지만 토복령 추출물이 첨가된 처리구들은 대조구에 비해 균수가 감소되었다. 부대찌개 소스에 비해 순두부찌개 소스에서 일반세균수, 젖산균수 모두 많은 양이 검출되었다. 5oC 온도조건은 20oC에 비해 균수 증가량이 적었으며 유통기한도 1주일 정도 지속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료가 유통기한 경과 시점 결과를 볼 때, 저장온도에 따른 유통기한은 1주일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토복령 추출물을 1.0%, 1.5% 첨가한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1주일의 유통기한을 연장 시키는 것도 확인하였다. 또한 생균수 측정 실험에서 토복령 추출물을 1.0% 1.5% 첨가에 따른 차이가 매우 적었으므로 식품에 대한 토복령 추출물의 최적 첨가농도는 1.0%로 예측 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토복령 추출물은 부대찌개 소스 및 순두부찌개 소스의 저장성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소재로 볼 수 있으며 이를 응용하여 다양한 식품 분야에서 천연 보존료로 사용 될 것으로 생각된다.
강현석 한국항공대학교 항공경영대학원 2011 국내석사
우리나라가 해방 이후 신생 독립국으로서 괄목한 성장과 발전을 이룰 수 있었던 것은 공무원과 공무원 조직의 공로가 컸다고 할 것이다. 공무원은 앞으로도 이 나라의 발전을 계속 이끌 것이고 국리민복을 위해 헌신할 것이다. 이들 공무원들이 사명감을 가지고 신바람 나게 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공무원에 대한 인적자원 관리는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공무원의 인적자원 관리를 통한 직무성과를 높이기 위해서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해 문헌연구와 공무원에 대한 설문조사를 병행했다. 고양시청 직원 270명에 대해 공무원으로서 직무의욕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이 무엇인지, 공무원의 직무의욕에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되는 요인은 무엇인지, 그리고 공무원으로서의 직무수행 만족도는 어느 정도인지 알아보는 설문을 시행하면서 다음의 두 가지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기로 했다. ①공무원 인적자원관리는 공무원의 직무몰입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②공무원 인적자원관리는 공무원의 이직의향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설문조사에서 공무원의 직무성과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은 급여와 승진 그리고 상사의 인정감 및 동료와의 관계로 나타났고, 직무성과에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되는 요인에 대한 만족도는 승진 소요 년수와 승급 및 급여 상승폭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항목에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무수행 만족도도 대체로 높아 공무원직을 그만 두고 싶은 의향은 별로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에 대한 검증 결과는 다소 의외로 나왔다. 공무원에 대한 인적자원관리 요인 중 승진이나 급여, 포상, 징계 등은 공무원의 직무몰입에 별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고 의외로 교육, 휴가와 직무수행에 대한 성취감, 업무의 공정한 배분이나 출퇴근 거리, 근무시간 등이 직무몰입에 영향을 크게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무원의 이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역시 교육, 휴가이고, 승진이나 급여 등 다른 요인은 별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상당히 이례적이다. 일반적으로 공무원의 사기를 드높여 직무몰입을 크게 할 것으로 기대되는 승진이나 급여수준, 복리후생이 동기부여 요인으로도 이직을 고려하는 요인으로도 크게 작용하지 않고 오히려 교육, 휴가가 직무를 몰입시키고 이직까지 고려하게 하는 요인으로 밝혀진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정책 등 결정권자가 그 결정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을 경우 그것이 정당하고 올바르게, 그리고 투명하게 결정되어야 한다는 의지의 표현이라고 보여 진다. 조직의 수장이나 의사결정권자는 오직 능력과 성과에 따라 올바르고 정당하게 의사를 결정하고 과실을 배분해야 할 것이다. The Republic of Korea, a newly independent nation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has made marvelous growth and development by heavily contributing public servants and its organization. The public servant will continuously lead our nation's development as well as contribute to national interests and the welfare of the people. Having a sense of mission and doing work with having high moral by the public servant, we need the management of public servant human resource. In this study, the objective was to find out what management skills are needed to promote hard work of public human resource while simultaneously performing the documents research and the survey on the public servants. 270 public servants of Goyang were surveyed to find out what the most influential factor for the will to carry out duties of the public servant, and which factor will be anticipated on influencing the will to carry out duties of the public servant, how much are you satisfied on your duty performance as public servant. The following two hypotheses were established; ① The management of public servant human resource may affect on the immersion of the public servant duty. ② The management of public servant human resource may affect the intention of changing their occupation. In this survey,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on the public servant are salary, promotion, recognition by their bosses and relationship with their colleagues. The satisfaction degree on anticipating factors to influence the will to carry out duties appeared with satisfaction in most categories except the extended width for the requirement years to promotion, getting a promotion and salary. Also, the satisfaction degree on duty performance appeared high so that the public servant may not intend to change his job. However the verification result of hypotheses appeared more or less unexpectedly. The human resource management factors for public servants such as promotion, salary, award, discipline, etc appeared to hardly influence their duty immersion. Unexpectedly the following factors such as education, leave, feeling of accomplishment on duty performance, fair distribution of workload, commutation distance, duty hours, etc appeared to intensively influence on their duty immersion. Also, the influential factors on change of occupation were education, leave but other factors such as promotion or salary appeared to hardly influence their duty immersion. The result of the above study is very unprecedented. Generally we expected that promotion, salary, moral and welfare and recreation are not much affected on factors for motivation and consideration of occupation change. On the contrary it is clarified that education and leave are the factors to immerse their duty and to consider their job change. This study may show the expression of the will by policy decision makers to influence heavily on the matters in order that they make a decision with justice, righteousness and transparency. So the head of the organization or decision maker makes a decision and contributes merits and demerits with justice and righteousness on the basis of only ability and resul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