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영어교육에서 트위터 활용을 통한 학생의 쓰기 능력 변화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강정미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초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트위터를 활용한 영어쓰기 수업을 실시하여 그 변화과정과 결과를 살펴본 사례 연구이다. 트위터 수업 후에 나타난 학생들의 영어 쓰기 능력 변화, 트위터 영어 쓰기 변화의 양상 및 정의적 영역의 변화를 탐색하였다. 각각의 수업은 학습자들의 관심사와 흥미를 반영한 주별 일기쓰기 과제를 살펴보는 쓰기 전 단계, 노트 일기를 통해 통제쓰기와 유도쓰기를 하고 트위터에 자유쓰기를 하는 쓰기 중 단계, 트위터 친구들의 글을 읽고 자신의 글에 대한 답글을 확인하는 쓰기 후 단계로 이루어졌다. 수준별 학생들의 트위터 쓰기의 변화과정을 분석하기 위하여 메시지 통일성, 어휘, 기술, 한국어:영어 비율, 메시지 전달력, 시각 자료의 활용여부에 근거하여 분석하였으며, 사전, 사후 설문과 3차에 걸친 인터뷰는 학생들의 영어 쓰기 능력 및 인식의 변화와 트위터에 대한 반응을 탐색하는 자료로 활용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트위터를 활용한 영어교육이 현재 영어 쓰기 교육에 다양한 재료를 재공해줄 수 있는 실질적인 방안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에 참여한 7명의 학생 가운데 5명이 다양한 측면에서 자신의 영어쓰기 능력을 점검하며 성공적인 변화를 보였다. 영어를 어렵게만 느꼈던 알파벳도 모르는 학생은 컴퓨터만 있으면 영어는 언제든지 배울 수 있는 배움의 장이라고 인식하는 긍정적인 변화도 보였다. 트위터 수업을 하면서 상위 학습자, 중위 학습자, 하위 학습자는 영어 실력과 관계없이 트윗 수준이 꾸준히 향상되다가 후반부에 유지되거나 (5) 하락하는 경향 (2)을 보였다. 항목별로 살펴보면 첫째, 메시지 통일성은 7명 중 2명의 상위 학습자를 제외하고 수업의 중반부로 갈수록 증가하다가 후반부에서 들어서서 다시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으며 상위 학습자는 통일성이 증가하여 꾸준히 유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의 후반부에서 학습자들 간의 채팅성 단문이 증가하고 ‘광장 효과’에 의해 글의 주제가 수시로 바뀌어 메시지 통일성이 줄어들었다. 둘째, 어휘 부분에서 중위 학습자 1명을 제외한 하위와 중위 학습자들은 수업의 중기에서 어휘 수준이 증가하고 후기에는 하락하는 경향을 보였다. 상위 학습자들은 어휘 수준이 증가하고 꾸준히 유지되었다. 후반부에는 대부분의 학습자들이 문자와 경쟁적으로 시각 자료를 활용하여 의사소통하는 경향이 도드라져 어휘 사용에 영향을 주었다. 셋째, 기술적인 면에서 중위권 1명과 상위권 1명을 제외한 대다수의 학습자들은 수업의 중반부에 증가하여 후반부에서 유지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나머지 두 학생은 2차 인터뷰에서 수업 중 시각 자료를 보느라 글을 작성할 시간이 부족하였다고 밝혔고 기술적인 부분에도 영향을 주었다고 하였다. 학생들은 시각 자료를 다음과 같은 목적으로 활용하고 있었다. 학습의 초반부에서는 하위 학습자가 영어를 모르거나 영어 타자가 느린 학습자들의 의사소통 수단으로 활용이 되었다. 수업의 중반부와 후반부에서는 빠른 감정표현을 위한 메시지 전달 역할, 트위터의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광장 효과’ 역할, 글의 이해를 돕는 보조수단의 역할, 언어표현과 경쟁하여 메시지 전달을 극대화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하여 학습자들의 트윗의 양과 질에 긍정적 혹은 부정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학생들이 트위터를 사용할 때 다음과 같은 정의적 영역의 변화 및 특징들이 도출되었다. 첫째, 학습자들은 트위터 영어 쓰기 활동을 통하여 영어 쓰기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을 얻고 참여도가 증가하였으며 불안감이 줄어들었다. 둘째, 트위터의 실시간성, 간결성, 개방성, 확산성으로 인해 학습자들의 학습 환경에 변화가 일어났고 학생들의 트윗의 양과 질, 정의적 영역에 변화를 주었다. 트위터의 실시간성과 개방성으로 인해 학습자들은 빠르고 쉽게 트윗을 통해 유의미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었다. 트위터의 간결성으로 인해 참여자들은 간단한 메시지를 작성하였는데 글쓰기에 대한 심리적 부담감이 줄어들고 참여도가 증가하였으며 트윗의 양이 증가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트위터의 개방성과 확산성으로 인해 학습자들은 친구들의 글을 공유할 수 있었고 트윗의 양과 질도 상승하였다. 결과적으로 트위터를 활용한 영어 일기쓰기 활동을 통해 초등학교 저학년 학습자들은 영어 쓰기 능력과 더불어 시각 자료의 활용 능력을 발달시키고 영어 쓰기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가질 수 있었다. 학생들은 트위터를 통해 주제별로 일기를 작성하였으며 트위터의 특성을 활용하여 또래와 트윗을 공유하고 유의미한 의사소통을 하면서 일기쓰기 능력을 향상시켰다. 또한 정보화 시대에 필요한 시각 자료의 필요성을 인식했고, 학생들은 의사소통을 위해 시각 자료를 다양한 용도로 활용함을 확인했다. 또한 트위터의 특성이 학습자의 학습 환경에 영향을 주고 학습자의 글의 양과 질 및 정의적 영역에도 긴밀한 연관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쓰기를 처음 시작하는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탐색했다는 점, 트위터를 활용하여 쓰기 교육을 실시하여 쓰기 능력과 태도의 변화를 가시적으로 확인했다는 점, 학습자들의 글쓰기와 시각 자료의 관계 변화를 확인하였다는 점, 트위터의 특성이 학습자들에게 제공하는 학습 환경과 그것이 학생들의 학습과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밝혔다는 점을 의의로 삼을 수 있다. 본 연구와 시행과정에서 나타난 결과를 통해 트위터를 활용한 영어 쓰기 교육은 다수의 토론과 토의 및 사후 쓰기 과정의 돌려읽기 방법으로 적용해 볼만한 내재적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 의미단위 인지를 통한 영어지문낭독이 독해 유창성과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5학년 대상 사례연구

        강정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recent information age, English fluency is very important to facilitate social life and acquire a lot of information. In English learning, there are four areas of reading, writing, speaking and listening, and in the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EFL) learning environment like ours, learners have the easiest access to the reading area, so there has been a lot of education focused on reading. Reading fluency in English is becoming very important in Korea because reading test are a large part of the college entrance exam and various qualification exams. To be fluent, reading requires the ability to perceive words as meaning units, not every word, which can soon lead to fast reading. Fast reading involves not only the speed of reading but the ability to understand the content correctly. In Korea's English education environment, the length of text becomes longer from the fifth grade, which requires the technology to correctly grasp the English text with meaning units. Therefore, in this study, five fifth graders of elementary school were studied to find out how reading comprehension of semantic units affects reading fluency, and furthermore, what changes are made to confidence and interest. In previous studies, there were many studies on improving reading skills by memorizing each separated sentence witch is not related with whole text, but there was no study on improving reading skills by memorizing whole paragraphs with contexts and reading aloud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refore, there is a difference from previous studies in that this study memorized contextual paragraphs with one topic. There are two research questions in this study. The first question is how the effect of improving the cognitive ability of semantic units on reading fluency. The second is how the effect of improving the cognitive ability of semantics unit changed the confidence and interest in learning English. Therefore, here is the cases study of fiv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see if there were positive changes. The research method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method was implemented and the change was observed in order to identify the change in reading fluency. Before implementing this method, an English reading assessment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reading level of students and select English reading texts to match their level. In order to maximize the effect of this learning method, students were given a pre-explanation on the rules of reading aloud in English according to the semantic unit, and a paragraph memorization assignment according to each level was given for 24 weeks. The paragraph, which completed the memorization exercise as a task, was read aloud during the next class and each students gave feedback checking recording with a teacher to correctly recognize the errors in reading with units of meaning. Through a post-English reading comprehension assessment after 24 weeks of study, the researchers observed the change to reading fluency in both speed and test scores. Second, by utilizing pre-questionnaire, interviews, observation notes, and student class activity log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semantic unit cognitive ability on confidence and interest in English learning was observed and the changes are described in depth. Based on these data collection and observations, this learning method suggests the following conclusion. First, this method of learning has improved the cognitive ability of the semantic unit. By applying the principle of reading aloud in semantic units, reading each word in short semantic units was corrected through feedback, and the students' ability to recognize text in semantic units was observed as the width of the eye span was increased. Over and over again, the error rate decrease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positive change in the cognitive ability of reading with a meaningful unit. Second, it was observed that this method had a positive effect on reading fluency and improved reading speed and comprehension through this method. An analysis of reading achievement through pre- and post-reading evaluation showed that overall reading speed was faster than before this method was implemented, and comprehension of reading texts was also improved as the correct answer rate of reading increased. Third, this case study shows that this learning method has a positive effect on learners' confidence and interest. Before starting the study, a survey about students' confidence in learning English found a number of answers to their lack of self-confidence, but after the study, their motivation and confidence in reading aloud and reading fluency were improved. Many aspects of active participation with curiosity about the article have been observed, which has led to increase in interest in English learning. Based on the above observations, the four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First, memorization of sentences with context rather than simple sentences makes reading exercises more natural to learners. Learning contextual sentences allows learners to practice reading in semantic units while thinking about content, which also helps them improve reading comprehension. Second, the training of reading aloud, rather than just reading with eyes, helps learners a lot because it gives them the right amount of tension, which increases the intensity of the exercise themselves. In addition, important thing in reading aloud with semantic units is to go through the process of feedback with teachers, which will decrease errors and further extend the length of semantic units. Third, it is effective for learners to choose the text that corresponds to the learner's level in order to be good at semantic unit recognition training. Selecting text that fits the students' level will make it easier to recognize meaningful units by increasing understanding and will be effective in improving fast reading. Fourth, if this method is used as part of other activities in English class, it will have a synergy effect with other areas. If the curriculum, which includes this learning method as a part of the class, is used steadily over time, not in the short term, but in the long term, students will be able to develop not only confidence and interest, but also reading fluency to understand text correctly. 현대와 같은 정보화 시대에서 원활한 사회생활과 많은 정보의 습득을 위해서 영어의 유창성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우리나라와 같은 외국어로서의 영어(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EFL)의 학습 환경에서는 네 가지 영역인 읽기, 듣기, 쓰기, 말하기 영역 중에 읽기를 가장 쉽게 접할 수가 있기 때문에 주로 읽기에 대한 교육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에서는 입시와 각종 자격시험에서 읽기 영역은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독해의 유창성이 매우 중요시되고 있다. 독해가 유창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단어 하나하나에 의미를 두는 것이 아니라 의미단위로 인지하는 능력이 필요하며 이는 곧 속독으로 이어질 수 있다. 속독이란 단지 읽기의 속도만 빠른 것이 아니라 지문의 내용을 바르게 이해하는 능력까지 포함한다. 우리나라의 영어교육은 5학년부터 지문의 길이가 길어지고 학습을 요하는 시기이므로 이 시기에는 영어지문을 의미단위로 파악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5학년 초등학교 학생 5명을 대상으로 의미단위 인지가 독해의 유창성과 정의적 영역 중 자신감과 흥미도에 어떠한 변화를 주는지에 대해 사례 연구를 하였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개별의 문장 연습를 통한 독해능력향상에 대한 연구는 다수 있었으나,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여러 문장으로 이루어진 맥락이 있는 지문을 통째로 연습하고 소리내어 읽는 방식을 통한 독해능력 향상에 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나의 주제로 이루어진 긴 지문의 일부를 발췌함으로써 맥락이 있는 지문을 훈련하였음이 기존의 연구와 다르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두 가지로 설정하였다. 첫 번째로는 의미단위 인지능력 향상이 독해 유창성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으며, 두 번째로는 의미단위 인지능력 향상이 영어학습의 정의적 영역인 자신감과 흥미도에 어떠한 변화를 주었는지를 관찰하였다. 이 연구문제에서 제시하는 바를 5명의 초등학생들의 사례를 통해 면밀히 관찰하고 기술하여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연구방법에 대해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독해의 유창성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영어지문낭독 학습법을 실시하고 그에 따른 변화를 관찰하였다. 관찰을 시작하기 전 사전 영어독해 평가지를 통해 이 학습법을 실행하기 전의 점수를 알아보고 학생들의 수준에 맞는 영어지문을 선정하였다. 이 학습법의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 수업 전에 학생들에게 영어지문을 의미단위로 끊어읽는 규칙에 대한 설명을 하였으며, 매 수업마다 지문암기과제를 부여하였다. 과제로 암기연습을 완료한 지문은 다음 회차 수업시간에 발표하였으며, 녹음을 활용하여 의미단위 끊어읽기의 오류가 있는 부분을 올바르게 인지시키는 피드백을 하였다. 24주의 학습이 끝난 후에 사후 영어독해 평가를 통하여 이 영어지문낭독 학습법이 독해 유창성에 미친 변화를 관찰하고 기록하였다. 둘째, 영어 학습에 대한 정의적 영역인 자신감과 흥미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정의적 영역에 관한 사전 설문지, 면담, 관찰노트, 학생 수업활동일지를 활용하여 그 변화를 관찰하고 심층적으로 기술하였다. 이러한 자료수집과 관찰을 바탕으로 연구한 바 영어지문낭독 학습법은 다음과 같은 결론을 시사한다. 첫째, 영어지문낭독 학습법은 영어 독해에 있어서 의미단위 인지능력에 향상을 가져왔다. 영어지문을 소리내어 읽기 활동을 통해 학생들의 의미단위 끊어읽기의 수행정도를 확인하였으며 오류의 수정을 위하여 지속적인 피드백을 실시하였다. 인지단위의 원칙을 적용하여 단어마다 끊어읽거나 짧은 의미단위로 읽는 오류를 피드백을 통하여 수정하였고, 이를 통해 학생들의 시각영역(eye span)의 폭이 커짐에 따라 의미덩어리로 인식하는 능력이 향상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회차를 거듭할수록 의미단위로 끊어읽기의 오류률이 감소하였으며 이를 통해 의미단위 인지능력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영어지문낭독 학습법이 독해 유창성에 가져온 변화를 살펴보면, 이 학습법을 통하여 독해 속도와 독해 이해력이 향상되는 긍정적인 영향을 관찰할 수 있었다. 사전·사후 독해 평가지를 통하여 독해 성취도를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이 학습법을 시행하기 이전보다 독해 속도가 빨라졌으며 독해지문의 정답률이 상승한 것으로 보아 독해지문에 대한 이해도 또한 향상되었다는 것이 관찰되었다. 셋째, 영어지문낭독 학습법은 학습자의 자신감과 흥미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준다는 것을 이 사례연구를 통해 알 수 있다. 이 학습법을 시작하기 전 영어 학습에 대한 자신감에 관한 설문 조사에서 자신감 결여에 관한 답변을 다수 발견할 수 있었지만 이 학습을 진행하고 나서 점차적으로 영어 학습에 대한 자신감이 상승되는 면이 관찰되었다. 또한 영어 학습에 대한 흥미도 또한 상승하였는데, 이는 해당 수업시간의 영어지문 내용에 대해 호기심과 관심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학습하는 면이 상당수 관찰되었음을 통해 알 수 있었다. 또한 회차를 거듭할수록 의미단위 끊어읽기 피드백에 관심과 의욕이 많아지는 것이 관찰되었으며 이것이 독해 유창성 평가에서도 성적 상승으로 연결된 것을 관찰한 바, 이 학습법은 영어 학습에 대한 흥미도의 상승의 변화를 가져왔다고 할 수 있다. 이상의 관찰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가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단순 문장이 아닌 맥락이 있는 지문을 통한 훈련은 학습자에게 의미단위로 끊어읽기 활동을 더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맥락이 있는 지문은 학습자로 하여금 내용을 생각하면서 의미단위로 끊어읽기를 훈련하게 하므로 이는 독해 이해력에도 도움이 된다. 둘째, 단순히 눈으로 읽기에 그치지 않고 그것을 소리내어 읽는 훈련은 학습자에게 알맞은 정도의 긴장감을 주게 되어 학습자 스스로 연습의 강도를 높이게 되므로 학습자들에게 많은 도움을 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의미단위로 소리내어 끊어읽기 훈련은 교사가 직접 들으면서 오류 부분에 대한 피드백 하는 과정을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오류가 직접적으로 수정되고 의미단위의 길이가 더 확장될 것이다. 셋째, 학습자들이 의미단위 인지 훈련을 잘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수준에 맞는 지문을 선택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수준에 맞는 지문내용은 영어지문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게 되어 의미단위 인지를 더 수월하게 하고 이는 속독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넷째, 영어지문낭독 학습법을 영어수업의 일부로 활용한다면 다른 영역들과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수업의 일부로 활용하는 커리큘럼을 단기적이 아니라 장기의 시간을 두고 꾸준히 한다면 학생들의 자신감과 흥미도의 신장뿐만 아니라 지문을 올바르게 이해하면서 속독할 수 있는 독해 유창성을 기를 수 있을 것이다.

      • 존 힉의 신정론 연구

        강정미 협성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We express a lot of pain and suffering in historical events and personal events. we sometimes look away from pains, and at times share heartly to suffering. Then, we are worried about a cause of pains, and think of God giving suffering to us maybe. Do the Christianity have a adequate comfort and a understanded solution? In addition, the writer thanks that today needs the work of demonstration on the problem of theodicy. These works should approach not only in Christianity but also out Christianity. Therefore the writer recognizes that John Hick's work studying deeply a cause of pain and suffering can become the important materials. John Hick's study have the Augustinian type of theodicy, the Iirenaean type of theodicy and John Hick's theodicy. Specially, John Hick show Iirenaean type of theodicy as response to contradiction and limit of the Augustinian type of theodicy and John Hick follows Iirenaean type of theodicy. Chapter II dead with the Augustinian type of theodicy. John Hick divides four characters on Augustinian type of theodicy. First, a nature of the Evil is a lack of goodness. It means that the Evil don't exist. John Hick criticizes that Augustine didn't grasp clearly a nature of the evil. Second, the origin of the evil is a free will using un-rightly of Human. John Hick criticizes that these logic evade God' responsibility on the evil wholly. John Hick points out a contradiction that God don't have responsibility and God also can judge the evil. Third, its character is the principle of plenitude to explain the evil. All bad things and good things is a small being to attain the principle of plenitude. John Hick criticizes that the principle of plenitude expose a impersonal relation of God and Human. Fourth, its character is the aesthetic them. It means that a sin of the world, a judge of the sin, and the evil are not only a goodness but also a beautiful harmony through God' eyes. John Hick points out the impersonal thing about these theme. Chapter Ⅲ discussed John Hick response to limit and contradiction of the Augustinian type of theodicy. John Hick suggests that man was created as an imperfect, immature creature who was to undergo moral development and growth and finally be brought to the perfection intended for him by Maker. On the evil, John Hick pictures it as something that occurred in the childhood of the race. Thus the picture is development and teleological. That is the vale of soul-making theodicy. The sin and evil ultimately serve the good purpose of God in the eschatological resolution.

      • 코다이(Zoltán Kodály) 교수법을 활용한 바이올린 학습지도안 연구 : 초등학교 5, 6학년을 중심으로

        강정미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is a research about a violin teaching plan utilizing Zoltán Kodály method. How students can easily understand music theories and approach to the violin practicing using Zoltán Kodály method among music teaching methods is emphasized in this study and six lessons were put into practice based on this. Also a survey, containing both pre-post evaluation forms and questionnaires which were filled out by 20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after-school violin classes(each 10 students of 5th and 6th graders) whose school was located in Jeju City, Jeju Self-Governing Province, was carried out. The researcher analyzed the result comparing the evaluation forms and questionnaires held before and after the six lessons which asks about how much they are interested in music classes, how they think of the violin, how much experience they have in the violin, how much they can read the syllable names, how much they know about rhythms and beats, if they have an experience in composing and how much they are interested in composing.As a result, responses indicated that their interests on the music class became higher after attending the researcher's lessons than before and comprehension and learning ability appeared to be very effective during music theory classes and violin practicing classes. Also, their interests on the music class and composition and opinions of the violin were improved a little through the class and a lot in reading the syllable names and understanding the rhythms and beats compared to those before attending the class. Of course, there were not good aspects only. Limitations on results would exist because the researcher did not make the teaching plan by utilizing all the Kodály teaching methods, and restrictions in generalizing the result would be inevitable because the learners the researcher had were only 20 students and the levels of all the 20 students were not equivalent as well. Therefore, the researcher's class has to make opportunities of being able to share it with expanded numbers of students by making teaching plans utilizing more Kodály methods. In addition, the researcher has to concern about whether the great effect could be expected by making more questionnaire contents and evaluation forms looking into and judging students' tendencies further. If educational tools on the music theories and the violin practices are widen through detailed research methods, music education would develop increasingly in the future. 본 연구는 코다이(Zoltán Kodály) 교수법을 활용한 바이올린 학습지도안에 대 한 연구이며, 음악교수법 중에서 코다이 교수법을 활용하여 학생들이 음악이론과 바이올린을 쉽게 이해하고 다가올 수 있을까라는 것에 중점을 두고 학습지도안 6차시를 시연하였고, 제주지역 A 초등학교 5학년 학생 10명, 6학년 학생 10명, 총 20명 학생을 대상으로 사전 · 사후 평가지와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음악 수업 대한 흥미도, 바이올린에 대한 생각, 바이올린을 접해본 경험, 계이 름 읽기, 리듬 읽기, 박자 앍기, 작곡의 경험 및 흥미도를 설문지를 통하여 사전 · 사후로 비교 분석하였고, 평가지를 통하여 사전 · 사후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초등학생 5, 6학년 학생들은 본 연구자의 수업을 듣기 전보다 들은 후 음악 수업 흥미도에 대한 반응이 높아졌고, 음악 이론 수업과 바이올린 실기 수업을 통해 이해력과 습득력이 매우 효과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수업을 받기 전에 비해 수업을 통해 음악 수업에 대한 흥미도와 바이올 린에 대한 생각, 작곡에 대한 흥미도도 조금씩은 향상되었으며, 특히 계이름 읽 기, 리듬 읽기, 박자에 대한 이해도가 높게 나타났다. 물론 좋은 점만 있었던 것 은 아니다. 본 연구자는 모든 코다이 교수법을 활용하여 지도안을 작성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결과에 대해 제한이 있을 수 있으며, 학생 20명으로만 수업을 하였으며, 20명 학생의 수준이 동일하지 않으므로 이를 일반화 하는데 제한이 있을 수 있 다.따라서 본 연구자의 수업은 더 많은 코다이 교수법을 활용한 지도안을 작성 하여, 많은 학생들과 함께 이 수업을 공유해 나갈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야 할 것이다. 또한 더 많은 설문지 내용과 평가지 내용을 작성하여 학생들의 성향을 더 많이 알아보고 판단하여, 더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지도 고민해 나가야 할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방법을 통하여 음악 이론 교육과 바이올린 실기 교육의 장 을 넓혀 간다면 앞으로의 음악 교육은 더욱 더 발전해 나갈 것이다.

      • 우리나라 성인의 당뇨병 전단계 관련 요인 연구 : 제 5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2011-2012)

        강정미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2010년 미국 당뇨병학회(American Diabetes Association)은 당뇨병의 새로운 진단 기준으로 당화혈색소를 추가적으로 채택할 것을 권고하였다. 미국당뇨병학회 기준에 의하면 당뇨병 전단계는 공복혈당장애(impaired fasting glucose), 내당능장애 (impaired glucose tolerance), 당화혈색소(glycated hemoglobin, HbA1C) 5.7-6.4%으로 정의된다. 당뇨병 전단계는 당뇨병의 주요 위험인자이며, 심혈관 질환 발생 위험도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다. 그리고 우리 나라 뿐 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당뇨병 전단계 유병율이 증가 추세이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당뇨병 전단계의 관련 요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번 연구는 제 5기 국민건강영양조사 2차년도(2011), 3차년도 (2012)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총 16,575명 중에 30세 미만인 자(5,178명)를 제외하였다. 8시간 미만 금식을 한 자(396명), 금식시간이 결측인 자 (563명), 당화혈색소 또는 공복혈당이 결측인 자(474명)를 제외하였다. 당뇨병은 의사로부터 당뇨병을 진단 받았거나 약물 치료 중인 자, 공복혈당이 126mg/dL 이상이거나, 당화혈색소가 6.5% 이상인 자로 정의하고, 이에 해당하는1,402명을 제외하였다. 빈혈이 있거나 혈색소 과다에 해당하는 자(923명), 그 외 결측치가 있는 자(438명)를 제외하고 최종 7,201명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당뇨병 전단계는 공복혈당 100-125mg/dL이거나 당화혈색소가 5.7-6.4% 인 경우로 정의하였다. 모든 연구 결과는 제 5기 2차년도 및 3차년도에 해당하는 가중치를 사용하였으며, 복합표본설계 자료 분석용 방법(Survey procedure)을 사용하였다. 정상 혈당군과 당뇨병 전단계군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으며, 단변수 분석으로 Rao-Scott Chi-square test를 사용하였고, 다변수 분석으로 surve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를 사용하였다. 최종 연구 대상자 중에서 당뇨병 전단계는 3,466명 (48.1%)이었다. 다변수 분석 결과 30-39세에 비해, 40-49세(OR=1.39, 95%CI=1.14-1.70), 50-59세(OR=2.61, 95%CI=2.11-3.23), 60-69세(OR=3.75, 95%CI=2.95-4.78), 70세 이상(OR=3.40 95%CI=2.45-4.72)에서 당뇨병 전단계 교차비가 통계적 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여자에 비해 남자가(OR=1.40, 95%CI=1.13-1.75), 고혈압이 없는 경우에 비해 고혈압이 있는 경우(OR=1.25, 95%CI=1.04-1.50), 고지혈증이 없는 경우에 비해 고지혈증이 있는 경우(OR=1.73, 95%CI=1.39-2.14), 당뇨병 가족력이 없는 경우에 비해 당뇨병 가족력이 있는 경우 (OR=1.51, 95%CI=1.27-1.80) 당뇨병 전단계 교차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또한, 비만이 없는 경우에 비해 비만이 있는 경우(OR=1.49, 95%CI=1.25-1.78), 복부 비만이 없는 경우에 비해 복부 비만이 있는 경우(OR=1.54, 95%CI=1.28-1.85), 비흡연자 및 과거 흡연자에 비해 현재 흡연자의 경우(OR=1.32, 95%CI=1.09-1.61) 당뇨병 전단계 교차비가 통계적 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에너지필요추정량과 비교 시 일일 총에너지 섭취량이 충분한 군을 기준으로 일일 총에너지 섭취량이 부족한 경우 당뇨병 전단계 교차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OR=0.84, 95%CI=0.72-0.98). 미혼자에 비해 배우자와 이혼하였거나 사별한 경우 당뇨병 전단계 교차비가 유의하게 높았다(OR=1.61, 95%CI=1.11-2.33). 이번 연구는 기존 진단 기준인 공복혈당 뿐 만 아니라, 새로운 진단 기준인 당화혈색소를 포함하여 당뇨병 전단계를 분류하고, 최근 국민건강 영양조사 자료를 토대로 그와 관련된 요인을 전반적으로 분석한 것에 의의가 있다. 이번 연구 결과 고령자, 남자, 고혈압 유병자, 고지혈증 유병자, 당뇨병 가족력이 있는 자, 비만인 자, 복부 비만이 있는 자, 흡연자, 미혼인 경우에 비해 배우자와 이혼하였거나 사별한 경우 당뇨병 전단계 위험이 높았다. 일일 총에너지섭취량이 충분한 섭취자에 비해 부족 섭취자의 경우 당뇨병 전단계의 위험이 낮았다. 2001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토대로 공복혈당장애의 관련 요인을 분석한 선행 연구와 본 연구 결과를 비교해보면, 선행연구에서 공복혈당장애 는 비만, 고혈압, 고지혈증, 당뇨병 가족력과 관련이 있었고, 본 연구 결과와 동일하였다. 선행 연구에서는 거주지역, 음주도 관련이 있었으나 본 연구 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선행연구에서 흡연과 공복혈당장애는 관련이 없었으 나, 본 연구에서는 흡연은 당뇨병 전단계와 관련이 있었다. 당뇨병 전단계의 위험이 있는 인구 집단을 선별하고, 금연, 체중관리, 식이조절 등의 행동 개선 및 정기 검진을 통해 당뇨병 발생 예방 및 적정 수준의 혈당 관리를 할 수 있도록 건강증진 및 만성질환 관리 정책이 수립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 국내 유통사료 및 돈분뇨의 중금속 함량 분석

        강정미 건국대학교 농축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safety of animal feed was evaluated by analyzing heavy metal levels in cattle, swine, and poultry feed produced in Korea during specific production years. After analyzing the levels of Cu, Zn and P in pig breeding mixed feed relative to Minimum Regulation Levels (MRL) which have been strengthened because of the possibility of soil pollution, the results were compared with pig breeding standard. In addition, soil pollution was addressed by analyzing Cu, Zn, and P in swine waste. The average concentrations of heavy metals in 2004, 2005, 2006 and the first half of 2007 were as follows: Pb 0.45, 0.23, 0.41, 0.65 ppm, Cr 0.94, 0.91, 2.09, 1.83 ppm, Cd 0.04, 0.03 , 0.04, 0.04 ppm, As 0.52, 0.42, 0.77, 0.39 ppm, Se 0.67, 0.39, 0.33, 0.28 ppm, and Hg 0.004, 0.004, 0.002, 0.001 ppm in cattle feed Pb 0.27, 0.15, 0.14, 0.19 ppm, Cr 0.91, 0.61, 1.23, 1.50 ppm, Cd 0.07, 0.05, 0.06, 0.09 ppm, As 0.49, 0.45, 0.62, 0.46 ppm, Se 0.49, 0.35, 0.41, 0.1 6ppm, and Hg 0.005, 0.002, 0.004, 0.002 ppm in swine feed Pb 0.63, 0.26, 0.19, 0.33 ppm, Cr 1.33, 0.71, 1.76, 1.46 ppm, Cd 0.10, 0.05, 0.05, 0.07 ppm, As 0.43, 0.35, 0.62, 0.66 ppm, and Hg 0.02, 0.004, 0.003, 0.001 ppm in poultry feed. Based on these results, the Cd concentration exceeded the MRL in one swine feed sample in 2005, and four swine feed samples and one poultry feed sample in 2006. However, the concentrations of other metals were much lower than the MRLs. The Cu and Zn levels in piglet feed produced in 2004 were 105.3 ppm and 108.98 ppm, respectively the levels in growing pig feed were 69.04 ppm and 87.31 ppm and in finishing pig and pregnancy feed the Cu and ZN levels were 24.90 ppm and 80.81 ppm. Five samples exceeded the MRL for Cu and 12 samples exceeded the MRL for Zn. The average concentrations of Cu and Zn in 2005, 2006, and the first half of 2007, in order, were as follows: Cu 74.26, 73.34, 70.80 ppm, Zn 92.22, 89.20, and 79.73 ppm in piglet feed Cu 57.67, 53.00, and 41.53 ppm, Zn 77.61, 72.20, and 59.84 ppm in growing pig(Early periods) feed; Cu 33.90, 28.98, 29.59 ppm, Zn 68.59, 61.63, 63.20 ppm in growing pig(Late periods) feed; Cu 19.75, 14.93, 16.42 ppm, Zn 63.71, 59.30, 56.52 ppm in finishing and pregnancy swine feed. 6 samples exceeded the MRL for Cu and 15 samples exceeded the MRL for Zn in 2005, 9 samples exceeded the MRL for Cu and 21 samples exceeded the MRL for Zn in 2006, and 4 samples each exceeded the MRLs for Cu and Zn in the first half of 2007. The average concentrations of P in pig breeding mixed feed were 0.67, 0.72, and 0.78% in 2004, 2005, and 2006, respectively. Compared with the concentrations in swine waste, it appears that 60% of P was eliminated in swine waste. Based on the analysis of swine waste by breeding stage, Cu was present at 65.2, 71.49, and 65.66 ppm, and Zn was present at 351.50, 332.6, and 349.4 ppm in piglet, finishing, and sow waste, respectively. Based on results according to the type of piggery, Cu was present at 59.9, 69.42, and 65.2 ppm, and Zn was present at 608.27, 227.64, and 116.75 ppm in sludge, sawdust, and labor force, respectively. Based on the results according to manure-processing steps (compost, liquid manure, and clarification), Cu was present at 72.22, 4.32, and 1.45 ppm, and Zn was present at 480.88, 15.77, and 5.08 ppm, respectively. The P concentration in swine waste was 4916.16 ppm in piglet, 4306.00 ppm in finishing, 4174.33 ppm in sow, 5614.00 ppm in sawdust, 4694.00 ppm in labor force, and 0.35% in sludge. In addition, its concentration was 11611.87 ppm in compost, 1481.09 ppm in liquid manure and 143 ppm in clarification. 국내에서 생산된 배합사료 중 소사료, 돼지사료, 닭사료의 유해중금속 함량을 분석하여 사료의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토양오염의 우려로 허용기준이 강화된 양돈용 배합사료 중의 구리, 아연 및 인 함량을 분석하여 돼지사양에서 필요한 요구량과 비교하였으며, 사료를 통한 돈분 중의 구리, 아연 및 인 함량을 분석하여 토양오염의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1. 사료중 유해중금속을 ICP-AES (Jobin Yvon, JY. Ultima plus. France)와 Mecury Analyzer SP-3DS (Nippon Instrument. Japen)를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상반기까지 허용기준을 초과한 성분을 제외한 평균 함량은 소사료에서 납이 0.45, 0.23, 0.41, 0.65 ppm, 크롬 0.94, 0.91, 2.09, 1.83 ppm, 카드뮴 0.04, 0.03, 0.04, 0.04 ppm, 비소 0.52, 0.42, 0.77, 0.39 ppm, 셀레늄 0.67, 0.39, 0.33, 0.28 ppm, 수은 0.004, 0.004, 0.002, 0.001 ppm이 검출되었다. 돼지사료에서 납 0.27, 0.15, 0.14, 0.19 ppm, 크롬 0.91, 0.61, 1.23, 1.50 ppm, 카드뮴 0.07, 0.05, 0.06, 0.09 ppm, 비소 0.49, 0.45, 0.62, 0.46 ppm, 셀레늄 0.35, 0.35, 0.41, 0.16 ppm, 수은 0.005, 0.002, 0.004, 0.002 ppm이 검출되었으며, 닭사료에서 납 0.63, 0.26, 0.19, 0.33 ppm, 크롬 1.33, 0.71, 1.76, 1.46 ppm, 카드뮴 0.10, 0.05, 0.05, 0.07 ppm, 비소 0.43, 0.35, 0.62, 0.66 ppm, 셀레늄 0.46, 0.43, 0.54, 0.41 ppm, 수은 0.002, 0.004, 0.003, 0.001 ppm이었다. 조사결과 카드뮴이 2005년 돼지사료 총 987점 중 1점, 2006년 돼지사료 총 1,239점 중 4점, 닭사료 총 778점 중 1점이 허용기준을 초과하였으며, 다른 유해성분은 허용기준치보다 매우 낮은 수치를 보였다. 2. 토양오염의 우려로 허용기준이 강화되고 있는 양돈용 배합사료 중의 구리와 아연을 분석한 결과 2004년도 젖뗀돼지 및 젖먹이돼지용 사료의 구리는 105.3 ppm, 아연 108.98 ppm이었다. 육성돈용 사료는 구리 69.04 ppm, 아연 87.31 ppm, 비육돈 및 종돈용 사료는 구리 24.90 ppm, 아연 80.81 ppm으로 측정되었고. 구리 5점과 아연 12점이 허용기준을 초과하였다. 2005년, 2006 년, 2007년 상반기의 분석결과 젖뗀돼지 및 젖먹이 돼지용 사료의 구리는 각 각 74.26, 73.34, 70.80 ppm, 아연 92.22, 89.20, 79.73 ppm이었고, 육성돈 전기용 사료는 구리가 57.67, 53.00, 41.53 ppm, 아연 77.61, 72.20, 59.84 ppm, 육성돈후기용 사료에서 구리가 33.90, 28.98, 29.59 ppm, 아연 68.59, 61.63, 63.20 ppm으로 측정되었다. 비육돈 및 종돈용 사료중 구리는 19.75, 14.93, 16.42 ppm, 아연 63.71, 59.30, 56.52 ppm이었다. 2005년 구리 6점, 아 연 15점, 2006년 구리 9점, 아연 21점, 2007년 상반기 구리 4점, 아연 4점이 허용기준을 초과하여 검출되었다. 3. 양돈용 배합사료중의 인은 대부분 분뇨로 배출되고 있어, 환경적인 측면에서 또한 관심사가 되고 있다. 2004년, 2005년, 2006년까지 분석한 결과 각각 평균 함량은 0.67, 0.72 0.78 % 이었으며 돈분중의 함량과 비교해 볼때 사료중 높은 인성분이 돈분으로 약 60% 정도가 배출되어 영양손실로 이어질 뿐만아니라 토양오염의 가능성이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4. 토양오염으로 문제가 대두되고 있는 돈분뇨를 사육단계별로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자돈, 비육돈, 모돈에서 구리가 각각 65.2, 71.49, 65.66 ppm이 아연에서 351.50, 332.6, 349.4 ppm이 검출되었다. 돈사유형별로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 슬러리, 톱밥, 인력에서는 구리가 각각 59.9, 69.42, 65.2 ppm, 아연이 608.27, 227.64, 116.75 ppm이, 분뇨처리공정별로 분류한 퇴비, 액비, 정화에서 구리가 각각 72.22, 4.32, 1.45 ppm, 아연이 480.88, 15.77, 5.08 ppm이 검출되었다. 5. 돈분뇨중 인의 분석결과 사육단계별 농도는 자돈에서 4916.16, 육성돈 4306.00, 모돈 4174.33 ppm 검출되었다. 돈사유형별로 톱밥에서 5614.00 ppm, 인력과 슬러지에서 각각 4694.00, 3487.20 ppm 이었다. 분뇨처리공정별 농도는 퇴비에서 가장 높은 검출치 11611.87 ppm을 보였으며, 액비와 정화에서 각 각 1481.09 ppm, 143.00 ppm이었다.

      • 재활전문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과 안전간호활동 수행의 관계

        강정미 고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들어 급속한 산업사회로의 변화에 따른 교통사고, 산업재해 등으로 인한 만성질환 환자 및 후천적 장애인이 증가하고 있어, 다양한 질환을 가진 사용자들을 위한 의료재활의 요구도가 증가됨에 따라 재활전문병원도 증가 추세에 있다. 재활치료는 운동치료와 보행치료가 주가 되어 낙상 등의 안전사고 발생율이 높아 환자의 안전이 중요하다. 그래서 재활전문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주된 업무는 안전간호활동이며, 이러한 안전간호활동 수행은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재활전문병원 간호사들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과 안전간호활동 수행 정도를 알아보고 관련 영향 요인을 파악해봄으로써, 재활전문병원 간호사들의 안전간호활동 수행을 증진시키기 위한 간호 중재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재활전문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과 안전간호활동 수행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B광역시에 소재한 4개 재활전문병원에서 현재 병원 근무 경력 6개월 이상의 간호사 194명이었고, 자료수집기간은 2014년 8월 18일부터 2014년 9월 13일까지였다. 자료수집 방법은 공용 기관 생명윤리위원회 승인 후 해당 병원 간호부와 수간호사에게 승인 후, 자기기입형 구조화된 설문지을 통해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로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 측정은 미국 The Agency for health Research and Quality(AHRQ, 2004)에서 개발한 Hospital Survey on Patient Safety Culture 도구를 김정은 등(2007)이 수정, 번역한 환자의 안전 설문조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안전간호활동 수행 측정은 의료기관평가원에서 개발한 안전평가항목을 토대로 박소정(2008)이 개발한 도구를 본 연구자가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서술통계, t-test, ANOVA와 Scheffé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 요약은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 정도는 평균 153.98±12.25(도구 범위; 43-215), 평균평점 3.58±0.28(척도범위; 1-5)로 비교적 높았다. 이를 하위영역별 분석 결과, 직속상관/관리자의 태도영역이 평균평점 3.87±0.46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은 병원/병동근무환경영역 평균평점 3.61±0.29, 병원영역 평균 평점 3.54±0.35, 사고보고의 빈도영역 3.49±0.62, 의사소통과 절차영역 평균평점이 3.45±0.48순이었으며, 가장 낮은 하위영역은 환자의 안전도영역으로 평균평점 3.17±0.51로 나타났다. 안전간호활동 수행 정도는 평균이 284.87±31.29(도구범위; 68-340), 평균평점 4.18±0.46(척도범위; 1-5)으로 상당히 높은 수준이었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안전간호활동 수행 정도는 결혼상태(t=-2.60, p=.010), 연령(F=5.44, p=.005), 안전교육을 받은 경험(t=3.94,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기혼군이 미혼군에 비해, 안전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군이 없는 군에 비해 안전간호활동 수행 정도가 더 높았다. 연령 사후 검증 결과 41세 이상 군이 21세-30세 이하군 보다 안전간호활동 수행 정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3. 대상자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과 안전간호활동 수행의 관계는 중등도의 순상관관계(r=.57, p<.001)가 있었다. 이는 인식의 하위영역 중 병원/병동 근무환경(r=.54, p<.001), 의사소통과 절차(r=.42, p<.001), 병원(r=.43, p<.001)영역에서 안전간호활동 수행과 각각 중등도의 관계를 보였다. 4. 대상자의 안전간호활동 수행 영향 요인은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의 하위영역 6개 중 병원/병동 근무환경(ß=0.177, t= 2.113 , p<.001), 사고보고의 빈도(ß=0.180, t=2.749, p=.004), 병원(ß=0.215, t=2.564, p=.011)등 3개 영역이었고, 안전교육을 받은 경험(ß=-2.812, t=-2.812, p=.001), 결혼상태(ß=0.164, t=2 .536, p=.012)로 총 설명력은 23.1%이었다. 이 중 가장 큰 영향 요인은 병원/병동 근무환경이었다. 결론적으로 재활전문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은 비교적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안전간호활동 수행은 상당히 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재활전문병원 간호사의 인식이 긍정적일수록 수행은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간호활동 수행의 영향 요인은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 하위영역 중 병원/병동 근무환경, 사고보고의 빈도, 병원으로 6개 중 3개의 하위영역으로 나타났다. 이중 가장 큰 영향요인은 병원/병동 근무환경이었다. 따라서 수행을 잘하기 위해서는 병원/병동 근무환경이 보고에 대해 허용적인 분위기를 만들어야하고, 체계적인 인력관리, 문제의 촛점을 개인이 아닌 조직에 맞추어야 하며, 상호 존중하는 분위기를 만들어 주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양극값 퍼지이론을 이용한 반군에서의 아이디얼 이론의 연구

        강정미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論文은 兩極퍼지 集合을 使用하여 반군에서의 부분반군, 좌(우)아이디얼, bi-아이디얼, (1,2)-아디얼, 및 좌(우) 듀오반군에 대한 硏究를 수행한다. 兩極퍼지 부분반군, 兩極퍼지 좌(우)아이디얼, 兩極퍼지 bi-아이디얼, 兩極퍼지 (1,2)-아디얼 및 兩極퍼지 좌(우) 듀오반군을 定義하고 適切한 例를 提示하며, 나아가 서로간의 관계와 關聯된 性質 및 特性化를 硏究한다. 兩極퍼지 (1,2)-아디얼이 兩極퍼지 bi-아이디얼이 되게 하는 조건과 兩極퍼지 bi-아이디얼이 兩極퍼지 우-아이디얼이 도게 하는 조건들을 硏究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