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성경적상담운동의 역사에 관한 개혁주의생명신학적 조명

        강윤경 백석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성경적 상담운동의 역사적 흐름을 살펴보면서 아담스의 상담체계와 아담스 이후의 성경적 상담학자들의 사상을 살펴보면서 그 속에 담겨 있는 개혁주의생명신학적 특징을 밝히는 것이다. 이것을 밝히기 위하여 다음 네 가지 과제를 선정 하였다. 첫째, 성경적 상담운동의 역사적 흐름은 무엇인가? 둘째, 성경적 상담운동을 시작한 아담스의 핵심체계는 무엇인가? 셋째, 아담스 이후의 성경적 상담 학자들의 사상은 무엇인가? 넷째, 성경적상담운동에 나타난 개혁주의생명신학의 특징은 무엇인가?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경적상담운동의 역사적 흐름은 어떻게 전개되었는지를 밝혔다. 본 연구에서는 성경적상담운동의 역사적 이해를 위해서 반정신의학 운동의 역사적인 흐름을 살펴보면서 호바트 모우러(O. H. Mowrer)로부터 제이 아담스(Jay E. Adams), 그리고 데이비드 파울리슨(David A. Powlison)의 주요한 활동에 이르기까지 살펴보았다. 이러한 성경적상담운동의 역사는 네 시대로 구분할 수 있음을 보았다. 1) 1965년 이전부터 모우러와의 만남까지이다. 이때 모우러의 영향을 받은 아담스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2) 아담스의 상담 체계가 정립된 1965년에서 1969년까지의 시기이다. 이때 아담스는 성경과 신학을 바탕으로 한 상담학의 필요성을 깨닫고 성경적 원리의 목회상담을 제안하게 되었음을 보았다. 3) 1970년 이후의 내용인데, 아담스가 권면적 상담운동을 시도함으로써 만나게 된 심각한 법적 갈등을 다루고 있다. 이 시대 아담스는 그의 저서 Competent to Counsel 을 통하여 상담혁명을 일으키게 된 배경과 과정을 살펴보았다. 4) 아담스 이후 파울리슨의 출현과 2016년 현재까지이다. 아담스 이후, 성경적상담의 2세대인 데이비드 파울리슨(David Powlison), 에드워드 웰치(Edward Welch), 폴 트립(Paul Tripp)과 그들의 저서와 성경적상담의 발전상을 살펴보았다. 둘째, 이 운동을 시작한 아담스의 핵심체계는 무엇인가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여기서 하나님은 아담스의 인간조건에 대한 설명과 그것을 상담을 통해 설명하는 것이 그의 목적임을 알았다. 또한, 인간의 문제는 죄라는 사실을 보았다. 그리고 인간의 시험과 유혹과 고통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더 나아가 성경적상담자들은 죄인들을 변화시키고 고통 받는 자들을 받아주기 위하여 예수 그리스도안의 은총을 해답으로 제시하였음을 보았다. 또한, 상담은 근본적으로 목회적인 활동이며 기독교에 바탕을 둔 것이어야 한다. 셋째, 아담스 이후의 성경적상담학자들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데이비드 파울리슨과 폴 트립, 그리고 에드워드 웰치를 보았다. 그들의 상담사상에서 개혁주의생명신학과의 7대 실천운동의 핵심내용이 나타난다는 것을 발견함으로서 개혁주의생명신학과의 깊은 연관성을 확인 하였다. 넷째, 성경적 상담운동의 역사에 나타난 개혁신학과 개혁주의생명신학의 특징을 확인 하였다. 먼저 개혁신학적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하나님의 말씀이 근거가 되고 신학이 바탕이 되는 상담이라는 점이다. 2) 하나님의 통치에 대하여 강조하는 상담이라는 점이다. 3) 상담의 목적이 예수 그리스도를 알고 믿고 사랑하고 따르는 것이라는 기독론적인 상담이라는 점이다. 4) 상담은 변화를 위한, 목표 지향적사역이라는 점이다. 5) 상담의의 목적은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것이라는 점이다. 6) 여섯째, 상담에 있어서 변화를 위하여 주도적인 역할을 하시는 분은 성령이시라는 점이다. 7) 인간의 문제는 죄의 문제이며, 상담을 통하여 죄인을 하나님과 화해시키는 사역을 목사가 해야 한다는 점이다. 8) 말씀을 증거 하는 설교도 예방상담의 효과가 있다는 점이다. 9) 상담이 교회중심, 목사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이다. 10) 상담에서 하나님의 도우심을 구하는 기도를 강조한다는 점이다. 11) 모든 상담은 하나님의 영이신 성령의 해답을 찾기 위한 과정이라는 점이다. 또한, 성경적 상담운동의 역사 속에는 개혁주의생명신학의 7대 실천운동이 그대로 드러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것은 첫째, 개혁주의생명신학은 성경이 우리의 신앙과 삶의 유일한 표준임을 믿고, 개혁주의신학을 계승하려는 신앙운동이다. 둘째, 개혁주의생명신학은 지나치게 사변화된 신학을 반성하고, 하나님과 그의 말씀으로 돌아가고자 ‘신학은 학문이 아님’을 강조하여 그 본래적인 의미를 회복코자 하는 신학회복운동이다. 셋째, 개혁주의생명신학은 하나님 앞에서 자신을 돌아보고 서로를 용납하여 하나 되는 것을 추구하는 회개용서운동이다. 넷째, 개혁주의생명신학은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으로 사람을 변화시키며 우리 속에 그리스도의 영을 회복시키는 영적생명운동이다. 다섯째, 개혁주의생명신학은 성령의 도우심으로 사회, 경제, 교육, 문화, 예술 등 우리의 신앙과 삶의 모든 영역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주되심을 실현하려는 하나님나라운동이다. 여섯째, 개혁주의생명신학은 자신과 교회와 세상을 변화시키는 역동적인 실천을 추구하며, 그리스도께서 세상을 위하여 자신을 희생시킨 것같이 우리에게 주어진 모든 것들을 세상과 이웃을 위하여 나누고 섬기는 데 앞장서는 나눔 운동이다. 일곱 번째, 개혁주의생명신학은 오직 성령만이 신앙운동, 신학회복운동, 회개용서운동, 영적생명운동, 하나님나라운동, 그리고 나눔 운동을 가능하게 하심을 고백하며, 모든 일에 간절한 기도를 통하여 성령의 인도하심과 역사하심을 구하는 기도 성령운동이다. 아담스가 성경적 상담의 기초를 놓은 이래, 기독교 상담의 본산지인 미국에서 최근 성경적상담은 제2의 전성기를 맞고 있다. 많은 복음주의 그리스도인들과 교회가 성경적 상담을 받고, 훈련프로그램에 참여 하는 등 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한때, 성경적 상담이 아담스의 심리학에 대한 비판과 교회안의 성경적상담의 회복을 주장하며 보수적인 목회자에게 큰 지지를 받았으나, 복음주의 안에서 아담스의 영향력은 감소하였고, 복음주의 내 기독교 상담에서 주도적인 역할은 제한적이었다. 그러나, 21세기가 시작되면서 성경적상담은 다시 부상하고 있다. 그것은 복음주의를 대표하는 목회자들과 교단들의 지지와 새로운 리더들의 출현으로 성경적상담의 영역이 지속적으로 확장되고 있다. 이후에 성경적상담운동을 통하여 개혁주의생명신학이 확산되고 한국교회와 세계교회가 건강한 교회로 회복되길 희망한다.

      • 결혼이민여성의 심리사회적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사회적 지지 조절효과 중심으로

        강윤경 성결대학교 2012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결혼이민여성의 심리사회적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사회적 지지는 조절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고 사회적 지지의 요소인 간접적 지지(정서적 지지, 정보적 지지, 평가적 지지)와 직접적 지지(물질적 지지) 중 어떤 사회적 지지의 요소가 가장 중요한지를 밝혀내어 사회복지실천에서의 자살을 예방하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연구모형과 가설검증을 위해 결혼이민여성 현황과 인구사회학적 배경, 심리사회적 스트레스, 자살생각, 사회적 지지에 대한 개념, 변인, 관련 이론, 그리고 인구사회학적 배경과 자살생각과의 관계, 심리사회적 스트레스와 자살생각과의 관계, 사회적 지지와 자살생각과의 관계, 심리사회적 스트레스와 자살생각에 있어서 사회적 지지 정도, 심리사회적스트레스와 자살생각에 있어서 인구사회학적 배경과의 관계 등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결혼이민여성들로부터 자료수집을 얻기 위해 2012년 1월 20일부터 3월 30일까지 면접조사를 본 연구자가 직접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 275부 중 총 240부를 분석하였고 자료 분석방법은 SPSS 18.0 프로그램 등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백분율. 신뢰도 분석, 이변량 상관관계 분석, 기술통계분석, 검증과 검증을 통해 평균차이분석, 상호작용효과 가설검증을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한 연구분석에서는 위계회귀 분석이 있는데, 그 결과분석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이민여성들의 심리사회적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검증위한 평균차이분석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던 것은 ‘결혼이민여성의 출생국가는 심리사회적 스트레스에 관련이 있을 것이다’라는 <가설 1-2>가 채택되었다. 둘째, <가설 2-1> 결혼이민여성의 사회환경스트레스(직업・경제적 스트레스, 이민생활 스트레스)가 자살생각이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가설이 기각되었고 결혼이민여성의 가족환경스트레스(부모 스트레스, 부부 스트레스, 문화・가족갈등 스트레스)는 자살생각과 유의미한 결과로 나타남으로써 <가설 2-2>이 채택되었다. 셋째, 결혼이민여성의 심리사회적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자살생각이 높게 나왔으므로 <가설 3-1>은 채택되었고 조절변수인 사회적 지지는 부적 관계의 영향의 결과로 <가설 3-2>가 가설로 채택되었다. 넷째, 결혼이민여성의 심리사회적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자살생각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조절변수인 사회적 지지도 자살생각에 부적 영향의 결과를 가져옴으로써 [가설 4]가 채택되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결과분석 및 연구결과 논의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실천 및 정책적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결혼이민여성의 국가별에 따라 심리사회적 스트레스 및 자살생각을 줄이거나 예방적 방안을 사회복지실천 및 정책적 측면에서 다루여야 할 것이며 사회적 지지에 대한 자원체계망도 국가별 특성에 근거하여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결혼이민여성을 대상으로 한 가족환경스트레스 관련 스트레스 감소 훈련 집단프로그램을 사회복지실천에서 실시하여 자살예방이나 감소에 주력을 해야 할 것이다. 셋째, 결혼이주여성의 심리사회적 스트레스를 줄이는 개인상담 및 교육, 집단프로그램 및 사회적 지지 관련 자원체계망을 구축해나가야 할 것이다. 넷째, 결혼이민여성 스스로 사회적 지지를 아웃리칭(Out-Reaching) 할 수 있는 사회적 지지망을 구축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결혼이민여성의 물질적 자원체계의 구축 방안 모색 및 자살방지 밑 예방프로그램 개발 등을 위한 결혼이민여성의 역량강화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구축하는 동시에 정신보건사회복지실천에서 이들에 대한 임상적 연구들이 후속연구로 나오도록 추진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결혼이민여성의 물질적 자원체계에 대한 구체적 사회복지실천이 이루어져야 자살방지 밑 예방하고 감소하기 위하여 결혼이민여성의 역량강화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구축하는 동시에 특히, 정신보건사회복지실천에서 이들에 대한 임상적 연구들이 후속연구로 나오도록 추진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연구자의 시간적, 경제적 한계가 있었고 본 연구의 결과를 우리나라 전체의 결혼이민여성 대상으로 한 결과로 일반화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가설 중 기각된 결혼이민여성의 가족환경스트레스와 조절변수인 간접적 지지인 물질적 지지와의 부적 영향에 대한 규명하지 못한 점들이 본 연구의 한계점이라고 할 수 있다.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at social support might have adjustment effects in influencing the psychosocial stress of the international marriage of migrant women and their thoughts of committing suicide. This study intends to determine which element of social support is the most important one among the indirect support (emotional support, informational support and evaluation support) and direct support (physical support), and its aim to suggest ways to prevent suicide from the social welfare aspect. In order to have a working research model and to test the hypothesis related, this study considered advanced research such as the status of marriage of migrant women, the background of population sociology, psychosocial stress, the thought of committing suicide, the concept on social support, variables, related theory as well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ackground of population sociology and the thought of committing suicide, the relationship between psychosocial stress and thought of committing suicid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the thought of committing suicide, the degree of social support in psychosocial stress and thought of committing suicide, and the relationship with background of population sociology in psychosocial stress and thought of committing suicide. In the study of married migrant women, interviews were conducted directly by the researchers from January 20 to March 30, 2012 in order to collect data from married migrant women. 240 data out of 275 interviews collected were analyzed through the SPSS 18.0 program which includes the analysis of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for the average difference and a hypothesis testing on the interaction effect through frequency analysis, percentage,reliability analysis, bivariate correlation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F verification and t verification. There is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n research and analysis for hypothesis testing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hypothesis 1-2> was adopted from the data collected that states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verage difference analysis that verify the influence which psychosocial stress of married migrant women have on their thought of committing suicide and its relation to the psychosocial stress of these married migrant women and the psychosocial stress of their original countries is related. Second, <hypothesis 2-1> showed that there was not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social environmental stress of married migrant women (vocational and economical stress, emigration stress) and their thoughts of committing suicide. In contrary, <hypothesis 2-2> showed that the family environment, the stress of the marriage of migrant women (parental stress, marriage stress and cultural family conflict stress) was important and was a significant factor in the thought of committing suicide for the married migrant women. Third, <hypothesis 3-1> the higher the psychosocial stress of the married migrant woman showed, the higher the thought of committing suicide correlated. <hypothesis 3-1> is adopted to show the social support as an adjustment variable, whereas <hypothesis 3-2> was adopted as a hypothesis due to the influence of negative relationships. Fourth, as the psychosocial stress of married immigrant women increased, the thought of suicide also increased. Social support as an adjustment variable also had a negative impact on the thoughts of married women immigrants and their thoughts of committing suicide. Thus <hypothesis 4> was adopted. This study intends to propose social welfare practice and the political measures provided below on the basis of analysis and discussions about the research results. First, it is necessary to reduce psychosocial stress of marriage migrant women and their thought of committing suicide as per their original country or to deal with them from the social welfare practice and political viewpoint. It is also necessary to establish a resources system network for social support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an individual's country. Second,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a stress reduction training program related to family environmental stress for married migrant women from the social welfare practice viewpoint in order to concentrate on prevention or reduction of suicide. Thir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personal consultation and education, group program and a resources system network related to social support so as to reduce psychosocial stress of married migrant women. Fourth,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ocial support network for married migrant women to get the social support needed in their own way. Fifth,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to build a physical resource system for married migrant women. it is also necessary to develop and set up a competence strengthening program for the married migrant women for the prevention of suicide and development of suicide prevention program. At the same time, it is necessary to encourage clinical studies to appear subsequently from the mental health and social welfare practice viewpoint. Finally, due to a limited time constraint and insufficient funds, this research of married immigrant women is limited to generalizations that include all the migrant women of our country. Therefore, among the hypotheses of this study, there are limitations of this study due to the negative effect of family derived stress of married migrant women and the indirect support as an adjustment variable

      • 부모와의 의사소통이 청소년의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강윤경 한양대학교 행정·자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국문요지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청소년의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에서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에 소재하는 중학생 380명을 대상으로 부모와의 의사소통, 대인관계 성향, 자아존중감, 자기통제력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문제의 분석을 위해 빈도분석, 상관분석, 단순회기분석, 중다회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검증을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와의 개방적 의사소통이 청소년의 지배-우월적 대인관계 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관점에서 살펴보면, 부모와의 의사소통이 개방적일수록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높아지고, 부모와의 개방적 의사소통이 청소년의 지배-우월적 대인관계 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청소년의 자기통제력 관점에서 살펴보면, 청소년의 지배-우월적 대인관계 성향에 부분적인 영향을 주는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와의 개방적 의사소통이 청소년의 독립-책임적 대인관계 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관점에서 살펴보면, 부모와의 의사소통이 개방적일수록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높아지고, 부모와의 개방적 의사소통이 청소년의 독립-책임적 대인관계 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청소년의 자기통제력 관점에서 살펴보면, 청소년의 독립-책임적 대인관계 성향에 부분적인 영향을 주는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와의 개방적 의사소통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을 통해 청소년의 동정-수용적 대인관계 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완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청소년의 자기통제력도 부모와의 개방적 의사소통을 통해 청소년의 동정-수용적 대인관계 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완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자녀의 개방적 의사소통이 청소년의 동정-수용적 대인관계에는 직접적 영향이 없다는 것을 나타내며, 부모-자녀의 개방적 의사소통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청소년의 자기통제력을 통해 청소년의 동정-수용적 대인관계 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넷째, 부모와의 개방적 의사소통이 청소년의 사교-우호적 대인관계 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관점에서 살펴보면, 부모와의 의사소통이 개방적일수록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높아지고, 부모와의 개방적 의사소통이 청소년의 사교-우호적 대인관계 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청소년의 자기통제력 관점에서 살펴보면, 청소년의 사교-우호적 대인관계 성향에 부분적인 영향을 주는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부모와의 개방적 의사소통이 청소년의 반항-불신적 대인관계 성향에 미치는 효과에서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은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와의 개방적 의사소통이 청소년의 반항-불신적 대인관계 성향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청소년의 자기통제력이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면서도, 청소년의 자기통제력이라는 매개변인에 의해 직접효과가 감소하는 부분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부모와의 의사소통과 청소년의 대인관계를 이해하는데 보다 구체적인 설명을 제공하였으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청소년의 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부모와의 개방적이고 기능적인 의사소통을 통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청소년의 자기통제력을 높여 줌으로써 청소년들이 심리적으로 건강하고 자신감 있는 성인으로 성장 해 나갈 수 있도록 다양한 활동들을 개발하고, 청소년들의 대인관계 개선과 생활에 필요한 역량 강화의 필요성을 밝혔다는 점에서 학문적, 실용적 의의가 있다고 보여 진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주요어 : 부모와의 의사소통, 청소년의 대인관계, 자아존중감, 자기통제력

      • 유치원 특별활동 지도교사의 자기평가와 원장의 교사평가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강윤경 강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유치원 특별활동 지도교사의 자기평가와 원장의 교사평가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특별활동 지도교사의 개인적 특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유치원 특별활동 지도교사의 자기평가가 직무만족도에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셋째, 유치원 특별활동 지도교사의 자기평가와 원장의 교사평가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경기도 남부지역의 사립유치원 35개 시설의 특별활동 지도교사 109명과 유치원 원장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유치원 특별활동 지도교사의 개인적 특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남자교사와 기혼 교사, 연령이 33세 이상인 교사의 직무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4년제 대학졸업자의 직무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전문대 졸업자는 보수와 승진에서 직무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유아체육자격교사의 직무만족도는 근무환경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경력이7년 이상인 교사와 1기관에 수업을 다니는 교사의 만족도가 높았다. 반면에 2기관에 수업을 다니는 교사는 업무량에 만족을 하였으며 , 1시간 이상 수업을 하는 교사의 경우 직무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 특별활동 지도교사의 자기평가가 직무만족도에미치는 영향에서는 직무만족도의 직무자체, 원장과의 관계, 사회적 인식, 전반만족은 자기평가와 정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 직무만족도의 근무환경 , 직무전반, 업무량은 자기평가의 교직태도, 유아지식, 자신평가에 전체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치원 특별활동 지도교사에 대한 자기평가와 원장의 교사평가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직무만족도의 직무자체와 자기평가의 교직태도, 유아지식이 유의하게 영향을 주었다. 직무만족도의 원장과의 관계는 자기평가의 교직태도, 자신평가에 영향을 주었다. 직무만족도의 사회적 인식, 전반만족은 자기평가의 유아지식, 자신평가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직무만족도의 유치원에 대한 느낌은 자기평가의 교직태도와 원장의 교사평가인자체평가에 영향을 주었으며, 직무만족도의 근무환경, 직무전반, 업무량은 자기평가의 자신평가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다. 한편 직무만족도의 보수승진은 원장의 교사평가인 전달실행,평가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특별활동 지도교사의 개인적 특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가정, 육아문제에 따른 직업선택의 폭이 넓어 기혼자와 경력·연령이 많은 교사가 대체적으로 만족을 하였고, 유치원 원장의 4년제 대학졸업자에 대한 신뢰도가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주었으며, 전문대 졸업자는 학력에 비해 급여에 대한 만족이 높았다. 근무환경에 따른 음악, 미술등과 체육의 만족도가 상이하게 나타난걸 보면 특별활동 수업환경에 대한 관심과 배려가 필요하다. 음악, 미술 등의 교사보다 유아·보육자격교사의 유치원에 대한 느낌과 이해가 긍정적이었다. 1기관의 유치원에 수업을 다니는 교사는 직무에 대해 만족을 하고 2기관의 적당한 업무량과 1시간이상 수업을 하는 교사의 만족이 높고, 많은 기관에 수업을 다니는 교사의 경우엔 만족도가 높지 않아 업무와 유아의 상호작용에 긍정적이지 않음을 예상할 수 있었다. 둘째, 유치원 특별활동 지도교사에 대한 자기평가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유치원에 대한 직무만족도의 직무자체, 원장과의 관계는 긍정적인 만족이었으나, 직무만족도의업무나 유치원에 대한 느낌·수업에 관련된 수업계획·실행은 유의하게 영향을 주지 않아 유치원에 대한느낌과 특별활동의수업계획과 실행에 대해 유의한 영향을 줄 수 있도록 관심을 촉구해야만 한다. 셋째, 유치원 특별활동 지도교사의 자기평가와 원장의 교사평가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원장의 교사평가보다 자기평가의 교직태도, 유아지식이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가장 중요한 것은 자기평가의 자신평가로 나타났다. 즉 유치원 원장과 특별활동 지도교사는 개인적이고 독립적인 관계로 서로 많은 영향을 주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유치원 특별활동이 정착되어 유아교육에 긍정적으로 기여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s of the self-evalua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in charge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teacher evaluation by principals on job satisfaction level.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to serve the purpose : 1. What influence do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kindergarten teachers in charge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exert on their job satisfaction? 2. What influence does the self-evalua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in charge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exert on their job satisfaction? 3. What influence do the self-evaluation of kindergarten teachers in charge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teacher evaluation by principals exert on their job satisfact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09 teachers in charge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and principals at 35 private kindergartens located in the southern area of Gyeonggi province.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oncerning the impacts of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kindergarten teachers in charge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on their job satisfaction, those who were male, who were married and who were at the age of 33 and up expressed higher job satisfaction. The teachers who received university education were better satisfied, and those who received junior college education were more gratified with pay and promotion. The certified pre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found their working environments more satisfactory, and those whose career was seven years or more and who belonged to an institution only expressed higher job satisfaction. In contrast, the teachers who worked at two different institutions were more pleased with their workload, and those who gave a lesson or more a day expressed higher job satisfaction. Second, as to the influence of their self-evaluation on job satisfaction, self-evaluation had a positive correlation to satisfaction level with the job itself, relationship with the principals, social perception and overall satisfaction level. Job satisfaction level, working environments, overall duties and workload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elf-evaluation of professional attitude, knowledge on preschoolers and self-assessment, which were all self-evaluation subfactors. Third, in regard to the impact of their self-evaluation and evaluation by the principals on job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was under the significant influence of satisfaction level with the job itself, self- evaluation of professional attitude, and knowledge on preschoolers, which were the self-evaluation subfactors. The relationship with the principals exercis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self-evaluation of professional attitude and self-assessment. Social perception and overall satisfaction level affected knowledge on preschoolers and self-assessment in a significant way. Working environments, overall duties and workload had a significant impact on self-assessment. Satisfaction level with pay and promotion exercised a significant influence on evaluation of conveying what to teach and performing extracurricular activities, which were part of evaluation by the principals, and that affected the teachers' satisfaction with the evaluation by the principals in a significant manner as well.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reached: First, in terms of the influence of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kindergarten teachers in charge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on job satisfaction, the married, more experienced and older teachers were more satisfied on the whole as they had a wide option for occupation. The principals' confidence in the university graduates affected their job satisfaction, and the junior college graduates found their pay satisfactory when they took their academic credential into account. Their satisfaction level with teaching music, art and physical education hinged on working environments, which indicated that it's required to pay closer attention to educational setting for extracurricular activities. The certified childcare teachers took a more positive view of their kindergartens than the certified music and art teachers, and the former got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ir kindergartens than the latter. Those who worked at a kindergarten were more contented with their duties, and those who were responsible for proper workload at two different kindergartens and who gave a lesson or more a day expressed higher satisfaction. The teachers who worked at many kindergartens were unsatisfied and didn't view their duties and interaction with preschoolers favorably. Second, in relation to the impact of self-evaluation on job satisfaction, they were pleased with the job itself and relationship with the principals, but their satisfaction level wasn't affected significantly by their duties, feelings about the kindergartens, instructional planning and the implementation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Therefore they should be stimulated to have a better feeling about their kindergartens and pay more attention to instructional planning and how to conduct extracurricular activities. Third, concerning the impact of self-evaluation and evaluation by the principals on job satisfaction level, self-evaluation of professional attitude and knowledge on preschoolers exercised a more positive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level than evaluation by the principals, and self- assessment was identified as the most crucial variable. It indicated that the teachers in charge of extracurricular activities had not a subordinate relationship but an equal relationship with the principals, and that the two groups didn't have a lot of influence on each other. Give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re should be accelerated efforts to make kindergarten extracurricular activities take root in order to make a contribution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 대형 통신 사업자의 CRM 성공전략 : 성공/실패 사례를 중심으로

        강윤경 이화여자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논문의 배경은 CRM시장에서 통신산업이 매년 많은 시장점유율을 확보하여 높은 성장률을 나타내고 있고, 통신시장에서의 CRM 성공 및 추진가능에 대한 빈도가 높아져 가고 있지만 통신시장에서 가장 성공적 CRM을 제시한 자료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통신시장에서의 가장 성공적 CRM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연구는 선진 통신 사업자의 CRM 추진 기업들의 성공 및 실패 유형을 분석하여 현재 CRM을 추진중인 통신사업자 들이나 또는 그 외 많은 기업들에게 적용 가능한 CRM 핵심 성공 요인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 자료는 CRM을 추진중인 국내 대형 통신사업자의 하나인 K사와 S사의 CRM추진 현황을 통하여 성공 및 실패요인을 담당자 인터뷰 및 고객 접점부서 직원들의 의견을 사실적 내용으로 작성되었다. 본 연구자료가 현장에서 생생하게 살아있는 목소리를 통하여 고객관계관리의 현주소는 어디이며, CRM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고객만족이 CRM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고객서비스분야에서 일하는 현장 직원들의 의견 및 사례를 통하여 통신시장에서 가장 성공적 CRM 방법을 제시 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CRM 서비스 시장이 연간 누적 높은 성장률을 나타내어 2005년에는 643억 달러라는 높은 매출을 기록 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그리고 CRM 어플리케이션 시장에서 통신시장이 차지하는 비율이 점점 높아지고 있는 만큼 본 자료가 통신서비스 시장 및 많은 기업들에게 CRM추진 및 도입을 위해 매우 유용한 자료로 사용되기를 바란다. 또한 CRM이 기업의 수익창출의 중요한 요소라던 잘못된 환상에 대한 제고로서도 활용되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how the best practices in CRM in the telecom industry because there have been no documents presenting CRM success story even though telecommunications industry boasts an influential market share and high growth rate in CRM market . This thesis adopted case analysis of successes or failures stories of leading telecommunications companies such as K company and S company to derive key success factors and apply them to telecom and other companies Sources of thesis include staff interviews and surveys at K company and S company. I hope this report will contribute to recognizing where we are in Customer-Relationship Management how much influence customer satisfaction has on CRM, thereby demonstrating prime examples in CRM in telecommunications industry. Thanks to a surging growth rate every year, CRM market is estimated to record a high sales volume of around 64.3 billion US dollars in 2005. Given the proportion telecom industry takes in CRM market, I hope this report will be informative for companies interested in introducing and implementing CRM. In addition, I hope this thesis will contribute to break the misconception that CRM is a profit-making source in the Corporate world. Thank you.

      • Evaluation of enteral formulas for health and nutrition among stroke patients

        강윤경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Enteral nutritional support has been used via tube feeding for dysphagic stroke patients. We performed long and short term trials to evaluate the effects of commercial enteral nutrition on health and nutritional status in stroke patients (mRS=3~5) and quality of life in their caregivers. For a long term study, we recruited chronic (≥1 yrs) stroke patients (N=6) and administered them 6 cans/day (1,200 kcal) of the commercial enteral formula, N, for 6 months. We collected peripheral blood from them at 0, 2, 4 and 6 months. For a short term study, we recruited acute (≤3 months) stroke patients (N=12) and randomly administered them two different commercial enteral formulas, N or J, for 2 weeks. We collected Keywords: stroke, enteral nutrition, health and nutritional biomarkers, malondialdehyde, sense of competence questionnaire. their blood at 0, 4, 7 and 14 day of the administration. Blood samples were analyzed to quantify 19 health and nutrition related biomarkers and an oxidative stress biomarker, malondialdehyde (MDA). We also obtained the sense of competence questionnaire (SCQ) from all caregivers at ‘before’ and ‘after trials’ to assess their quality of life. As results, the enteral formula, N, improved hemoglobin and hematocrit levels in the long term trial. The SCQ levels of caregivers were improved in the long term treatment (p<0.05). In a case of the short term study, both of enteral formulas were helpful to maintain nutritional status of the patients. In addition, MDA levels were decreased in the total acute patients following formula consumption (p<0.1). Most of health and nutrition outcomes were not different, even though there are big differences in formulation and price of the two products. Thus, we evaluate the formula N has equal nutritional efficacy compared to the formula J. In addition, long term use of enteral formula N can be useful to health and nutrition of stroke patients, and the quality of life in their caregivers. 경장영양은 경구섭취가 불가능한 환자의 위장관에 관을 삽입하여 영양을 공급하는 영양지원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하곤란의 뇌졸중 환자 (mRS=3~5)를 중심으로 시판 경장영양식, N이 환자의 건강 및 영양상태 및 간병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장&#8729;단기 임상연구를 수행하였다. 장기간 연구에서는 만성(1년≥)뇌졸중 환자 6명을 모집하여, 6개월 동안 시판 경장영양식 N을 공급하고, 0, 2, 4, 6 개월에 환자의 말초혈을 채집하였다. 단기실험에서는 급성(≤3개월) 뇌졸중 환자 12명을 모집하고 무작위 배정하여 2집단으로 나눈 뒤, 2주 동안 시판 경장영양식 N 혹은 J를 공급하였다. 말초혈은 0, 4, 7, 14일에 채집하였다. 채집한 말초혈에서 19종의 영양 생체지표와 산화손상지표인 말론디알데하이드 (malondialdehyde)를 분석하여, 경장영양식에 의한 뇌졸중환자의 영양상태 및 질병 상태 변화를 평가하였다. 또한 환자의 간병인에서 실험 전, 후에 간병인 부담감 설문(sense of competence questionnaire, SCQ)을 실시하여 간병 부담감, 즉, 삶의 질에 대한 경장영양식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경장영양식 N의 장기투여 결과, 비정상 범주의 헤모글로빈 및 헤마토크리트가 정상범주로 개선되었고, 간병인의 간병부담감도 감소하였다 (p<0.05). 단기투여에서 2 종의 경장영양식 모두 각각 환자의 건강 및 영양상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또한 전체 급성환자의 MDA 수준은 실험 2주 동안 감소하였다 (p<0.1). 두 종류의 경장영양식은 영양소 조성 및 가격에서 큰 차이가 있었으나, 대부분의 건강 및 영양 지표에서 유의적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경장영양식 N은 장기투여 시 뇌졸중환자의 건강, 영양 유지 및 간병인의 삶의 질 개선 측면에서 도움이 되며, 단기투여 시 가격대비 양호한 영양 상태 유지 및 산화적 손상 억제 효과를 나타내, 뇌졸중 환자에 유용한 영양식으로 평가된다.

      • 김동리의 『사반의 십자가』연구

        강윤경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Kim Dongri is one of the most discussed writers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He pursued literature as a pure art rather than an ideological instrument, and suggested humanism that advocates recovery and safeguard of humanity. He also sublimated shamanism, a type of humanism unique to Korea, into an art. He can be therefore said to have laid the cultural foundation for Korean spirits to serve the world. This study reviewed the pattern through which Kim Dongri perceived folk beliefs in his works. In his literature, the perception pattern extends to Korean supernaturalism beyond the simple racial mysticism. Kim Dongri's the Cross of Savahn clearly shows the pattern through which he perceives Christianity. Although most of critics consider the Cross of Savahn as a Christian novel, the novel seeks a new idea that can harmonize heaven and earth, and unite the two into one. None would argue against the assertion that the Cross of Savahn is the ultimate novel of Kim Dongri to create a literature of the third humanism by investigating the distance between god and man, and by creating a new god. Viewed from this point of view, the Jesus portrayed in the novel is a Jesus made by the religious imagination of Kim Dongri rather than the Jesus based on Christianity. His subjective view of god appears to have permeated in the work so much and his investigation on god is superficially suggested. This indicates that Kim Dongri does not intend to look into Christian doctrines from the outset. Rather than that, his propensity for national spirits that has been disappearing has motivated him to have interest in shamanism, and he contrasts it with modern traditional ideas as a way to highlight the latter. In the Cross of Savahn, Kim Dongri has investigated and revealed the state of Enlightenment respectively of Jesus who is the founder of Christianity and the redeemer of humanity, and Savahn, the savior of the Jewish nation. Through the contrast between Jesus and Savahn, Kim doubles the meaning of death for redemption and realization of powerful messiah. He expresses the dual meaning of Koreans' salvation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through the contrast between Jesus as the redeemer for rebirth of soul and heavenly messiah, and Savahn as the national savior in this world and the earthly messiah. In other words, he combined the spiritual history of redemption and rebirth of human souls with the national history of national salvation for strong implication of the rebirth of both heavenly messiah and earthly messiah. Kim does not conclude that human salvation depends on either of Christianity or shamanism. He admits that realization of both human salvation and national salvation is hampered in reality, and he asserts that human relationship and humanity should be first recovered to overcome the hamper. As we have seen from his assertion about the third humanism, he asserts in the novel that we should realize that humans are not a creation of god, but a production of nature, and should live in harmony with nature that is equal to god.

      • 조선 초기 사찰 조영의 규제와 실제

        강윤경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고려 말, 세속화된 불교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며 排佛論議를 전개했던 신진사대부들은 조선 건국의 주역으로서 새로운 왕조 조선의 이념 체계 수립과 국가의 재정적 ‧ 군사적 기반을 다지기 위해 다양한 排佛策을 추진하였다. 이 중 사찰 조영의 통제는, 사찰이 승려의 수행처이자 종교 의례를 집행하는 聖所로서 불교의 교단과 교법을 유지하고 존속시키기 위한 견고한 기반이라는 점에서 숭유억불의 국가적 시책을 구현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배불책이라 할 수 있다. 이에 유신들은 󰡔經濟六典󰡕과 󰡔續六典󰡕, 그리고 󰡔經國大典󰡕을 편찬하면서 寺刹 造營의 통제를 위한 규정을 마련하였다. 즉 사찰의 新創은 금지하였고, 重修 ‧ 重創의 경우에는 일정한 절차를 거쳐 허가 받아 허용하는 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조선 초기 사찰의 조영은 사찰조영규정에 의해 철저하게 통제되어 일시에 가시적인 성과를 거두지는 못하였다. 특히 왕을 비롯한 왕실 세력이 사찰 조영을 주도하였다는 점은 사찰 조영 통제에 가장 큰 걸림돌이 되었다. 前朝의 불교정책을 그대로 계승하려 했던 태조는 물론이고 사원전과 사원노비의 정리 및 전국에 242寺만을 공인하는 등 강력한 배불정책을 시행한 태종도 開慶寺를 창건하는 등 사찰 조영을 추진하였다. 또한 禪 ‧ 敎 兩宗으로 불교의 종파를 통폐합하고 36寺만을 공인하는 혹독한 배불 정책을 시행했던 세종은 치세 중기 이후 信佛적 태도를 보이며 유신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檜巖寺와 興天寺의 중수를 강행하였다. 나아가 완연한 好佛的 태도를 보이는 치세 후반기에는 사찰의 신창 금지 규정을 위배하며 內佛堂의 재건을 지시하였다. 潛邸時節부터 확고한 신불심을 보였던 세조는 왕으로서의 취약한 정통성을 극복하기 위해 숭불정책을 실시하였으며 이러한 숭불정책의 일환으로 圓覺寺를 비롯한 많은 사찰을 조영하였다. 성종대에는 대왕대비를 비롯한 왕실 불교 세력과 세조의 승하 이후 왕권이 약화된 기회를 이용하여 불교를 억제하려는 유신 사이의 대립 속에서 왕실과 관련이 없는 사찰일 경우에는 이를 통제하고자 하는 유신들의 의견을 반영하였으나 왕실과 관련된 사찰의 조영은 유신들의 격렬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대체로 이루어졌다. 이처럼 조선 초기에 왕에 의한 사찰의 조영이 지속적으로 추진되었지만 이것도 배불이라는 시대적 흐름 속에서 더 이상 예외일 수는 없었다. 조선 초기의 사찰 조영은 개별 왕들의 정치적 상황 및 불교에 대한 태도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유교적 지배 체제가 점차 자리잡아 가고 사찰조영규정이 정비 ‧ 강화에 따라 서서히 통제되어 갔다. 이런 상황 속에서 외방에서의 사사로운 조영이 부분적으로 없지 않았겠지만 점차 어려워졌고, 그 사이 많은 사찰들이 망폐에 이르게 되었다. 이는 본격적인 배불을 추진하는 태종조로부터 성종대까지 점진적으로 진행되었던 배불 정책의 결과라 하겠다.

      •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진로발달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강윤경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10년간 국내에서 이루어진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진로발달에 미치는 효과를 양적으로 분석하고 일반화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진로발달에 미치는 전체 평균 효과크기는 어떠한가? 둘째,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조절변인, 진로발달의 종속변인, 진로집단상담의 접근방법에 따른 효과크기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2007년부터 2016년 3월까지 최근 10년간 국내에서 발표된 석·박사 학위 논문 및 학술지 중에서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분석대상으로 하여 최종 109편을 분석대상 논문으로 선정하였다. 분석대상 자료의 동질성검정과 이질성검정을 통해 랜덤효과모형의 타당성을 확인하고 랜덤효과모형으로 결과 값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09편을 대상으로 888개의 효과크기를 산출하였으며, 전체 평균 효과크기는 0.805로 Cohen(1988)의 효과크기 기준으로 큰 효과크기를 나타냈다. 둘째, 프로그램의 조절변인에 따른 효과크기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특수학교에서 여학생에게 2학년을 대상으로 9∼11명에게 9∼12회로 5∼6주 동안 60∼89분으로 운영할 때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셋째, 진로발달의 종속변인에 따른 효과크기는 진로준비행동이 가장 큰 효과를 나타냈다. 넷째, 진로집단상담의 이론적 접근방법에서는 진로학습이론과 성격유형론이, 매체 활용 접근방법에서는 독서 활용이 가장 큰 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는 최근 10년간 국내에서 이루어진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진로발달에 얼마나 효과가 있는지 양적분석을 통해 일반화하였다. 프로그램의 조절변인, 진로발달의 종속변인, 진로집단상담의 접근방법에 따른 효과크기를 분석함으로서, 고등학생의 진로발달을 위한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학교현장에서 적용·실행하는데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