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미술품 전시과정에서 참여자 경험의 상호작용 연구

        강석태 추계예술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7647

        Exhibition of artworks meets audience and communicates with them after going through conceptualizing artworks, fabrication, and installation. Artists preparing for an exhibition for the first time make the exhibition through a lot of trial and error in reality. Previous studies evaluating the exhibition procedure mainly focused on exhibition plan at a museum. There were only limited data for individual artists preparing for a private exhibition in a galler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have a vivid study at the aspects of artists and audiences in the exhibition process. I want to embody the empirical factors in mutual interactions, which delivers to audiences, by analyzing each exhibition step and studying experience analysi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mpirical factors by studying and analyzing interactions between creators and audiences during artworks exhibition preparation and an exhibition and propose means to effectively deliver the message of an artist by systematically preparing an exhibition. This study made a qualitative approach based on the investigator’s exhibition experience to understand the interactions between creative empirical factors and emotional empirical factors during an artwork exhibition. I selected and analyzed direct experiences from fabricating and appreciating four artwork exhibitions. An investigator conducted interviews regarding exhibition experiences to analyze experience during each exhibition and effects associated with it. Interview results were analyzed. Interviews were made on experiences of artists, exhibition planners, managers of an exhibition and creative space, and general audiences, who directly participated in the exhibition. The study was conducted by applying analytical criteria during exhibitions to creative experiences and emotional experiences. Analysis elements during exhibition were induced from art production for 15 years, previous studies, viewing of my and other artists’ exhibitions, the theory of art, and empirical aspects from critique. Results of exhibition process analysis for studying interaction were as follows. First, the exhibition planning procedure was a step to planning the theme of an exhibition, exhibition location, and overall schedule. An exhibition proposal should be prepared and prosecuted. The exhibition planning procedure should define the meaning and symbolism of exhibition theme, which an artist wanted to deliver through the exhibition. A good exhibition should deliver exhibition them. Exhibition space could facilitate the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during viewing exhibition, so it should be decided carefully. Secondly, although various works are involved in creating an artwork, the method to express the content and theme of a work was an important fact in communication results during viewing. The contents of a good work meant to deliver the intention of an artist to audiences as its original intention. An artist could show symbolic images to express the theme and a theme and a story in an artwork could be created into an empirical image after being interpreted by audiences. The success of delivering exhibition contents to audiences was directly related to the depth of communication. The harmony between the medium used for producing the artwork and the theme played a role to improve the completeness of the work. Thirdly, a workbook, which matched well with the exhibition theme during exhibition PR process, brought a secondary viewing effect by delivering portions not understood during an exhibition or transferring images after an exhibition. A workbook, directed designed by an artist, could increase the autonomy and creativity of design. Moreover, effective use of a press release increased the publicity effect and the usage of advertisement through a press release was more effective in a special exhibition than space rent exhibition. Fourthly, artwork installation was an important step to easily deliver the intention of an artist through space during an exhibition. During an exhibition, an artist and audiences created a process of communication through interactions with audiences. An artist could accumulate evaluation elements about an exhibition with having a conversation with audiences. The experience of having a communication with audiences helped an artist to decide the direction of next exhibition. A special exhibition had many advantages in managing space than space rent exhibition in the process of an exhibition. Conclusions obtained from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t an internal growth of an artist in creative experience, experience through interaction was created when an artist took a viewer’s viewpoint on the final artwork rather than immersion during a creation. An artist experienced internal growth through healing during a creation process and externalizing experiences. Secondly, at the interaction factor with audiences in creative experience, a creator could feel a responsibility or a duty through direct conversation or reaction with audiences, who viewed the artwork. It was found that it acted as a non-material result that could provide perceptional depth to the work direction and courage. Thirdly, at art consumption and distribution in creative experience, artwork sale starting from an individual exhibition was a starting point of art consumption and an art market. The experience of art sale through an exhibition was reflected the active artwork of an artist and it could be a foundation of publication of art and qualitative growth. Fourthly, at communication with an artwork in emotional experience, audiences could experience more communication when they felt sympathy with the story of an artist in an artwork. Moreover, a communication could start only when story read from an artwork interacted with the internal experience of an audience. If an audience had an effort to recreate his/her own experience and a will to communica 미술품 전시는 작품구상의 단계부터 제작과 설치과정을 거쳐 관객과 만나고, 소통하게 된다. 처음으로 전시를 준비하는 작가들의 경우 많은 시행착오를 거쳐 전시를 제작하는 것이 현실이다. 전시과정에 관해 연구된 자료는 미술관, 박물관 전시기획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이며, 갤러리 공간에서 개인전준비를 하는 작가의 관점으로 만들어진 자료는 한정적이다. 따라서 이러한 전시과정에 있어 작가와 관람자적 관점에 따른 현장감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전시과정별 분석과 경험분석을 연구하여 감상자에게 전달되는 상호소통작용의 경험요소를 구체화시켜 창작에 반영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미술품 전시의 제작과정, 전시진행과정에서 창작자와 관람자간의 상호작용관계를 연구하고 분석해 봄으로써, 상호작용의 경험 요인을 찾고, 전시제작과정에서 체계적으로 준비하여 창작자의 메시지가 관람자에게 효과적으로 소통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미술품 전시과정에서 경험되는 창작적 경험요소와 감상적 경험요소들의 상호작용을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자의 전시경험을 토대로 한 질적 연구로 접근했다. 총 4회의 미술품 전시를 제작하고, 감상한 직접 경험을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자는 각 전시과정의 경험분석과 이에 따른 전시과정의 효과분석을 위해 전시현장 경험에 대한 인터뷰를 했으며, 인터뷰결과를 분석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총 4회의 전시를 직접 관람한 작가, 전시기획자, 전시・창작 공간 운영자, 일반 관람자를 대상으로 경험에 대한 인터뷰를 했다. 전시과정의 분석기준을 창작적 경험과 감상적 경험에 적용하여 연구하였으며, 전시과정의 분석요소는 15년간의 작품제작과 선행연구, 본인의 전시를 포함한 다른 작가의 전시 관람, 미술이론, 평론을 통한 경험적 관점에 의해 도출하였다. 상호작용 연구를 위한 전시과정 분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시기획과정은 전시의 주제설정, 전시장소 결정, 전체 일정을 구상하는 단계이며, 전시기획서를 작성하여 계획을 수립하고 추진해 나간다. 전시기획과정에서는 전시를 통해 작가가 전달하려는 전시주제의 의미와 상징성이 정립되어야 하며, 좋은 전시가 되기 위해서는 전시주제의 전달이 이루어져야한다. 전시공간은 감상에 있어 소통과 상호작용을 원활하게 하기 때문에 신중히 결정하는 것이 좋다. 둘째, 작품제작과정은 여러 가지 작업이 수반되겠지만, 작품의 내용과 주제의 표현방법이 감상에 있어 소통결과에 중요한 비중을 가졌다. 좋은 작품의 내용은 작가가 표현하고자하는 주제의 서술이 감상자에게 그대로 읽혀지는 것이다. 작가는 주제 표현을 위해 상징적인 이미지를 보여줄 수 있으며, 작품에 나타난 주제와 이야기는 관람자의 해석을 거쳐 경험적 이미지로 생성되기도 하였다. 전시의 내용전달 여부는 소통의 깊이와도 직접적인 관계가 있었으며, 작품제작에 사용된 매체와 주제와의 조화는 작품의 완성도를 높여주는 역할을 하였다. 셋째, 전시홍보과정에서 전시주제와 어울리는 도록은 전시에서 이해하지 못한 부분이나, 전시후 이미지전달을 통해 2차 감상의 효과를 가진다. 작가가 직접 디자인한 전시도록은 디자인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살릴 수 있다. 또한 효과적인 보도 자료의 활용은 홍보효과를 높여주며, 보도 자료를 통한 홍보의 활용도는 대관전시보다 기획전시의 경우가 더욱 효과적이었다. 넷째, 전시진행과정에서는 전시를 통해 작가가 이야기하려는 내용이 공간을 통해 잘 전해지도록 작품설치가 중요한 단계이다. 전시진행과정에서는 관람자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작가와 관람자가 소통되는 과정이 생성된다. 전시장에서 관람자와의 대화를 가지며 전시에 대한 평가요소를 축적할 수 있는데, 관람자와의 소통을 경험하는 것은 다음 전시를 위한 방향설정에 도움을 주었다. 전시진행과정에 있어 기획전시가 대관전시보다 공간운영관리에 있어 유리한 점이 많았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창작적 경험의 창작자 내적성장에서 창작과정 중에 몰입보다는 완성된 작품에 감상자적 관점을 취할 때 상호작용을 통한 경험이 생성된다. 작가는 창작과정에서 치유와 경험의 외재화를 통한 내적성장을 경험한다. 둘째, 창작적 경험의 관람자와 상호작용요소는 작품을 본 관람자와의 직접적인 대화나 반응을 통해 창작자는 책임감과 사명감을 느낄 수도 있다. 그것은 작업방향에 깊이감과 용기를 줄 수 있는 비물질적 결과물로 작용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창작적 경험의 예술소비유통에서 개인전시에서부터 시작되는 작품판매는 예술소비와 미술시장의 시작점이기도 하다. 전시를 통한 작품판매의 경험은 창작자의 왕성한 활동으로 반영되고 미술의 대중화와 질적 성장의 밑거름이 될 수 있다. 넷째, 감상적 경험의 작품과의 소통에서 감상자는 작품에 담겨진 작가의 이야기를 공감할 때 더 많은 소통을 경험할 수 있었다. 또한 작품에서 읽혀진 이야기가 관람자의 내적 경험과 상호작용을 할 때 비로소 소통이

      • 왕종개 Cobitis longicorpus의 生態

        姜錫泰 전북대학교 1980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was to perform the ecological data of Cobitis longicorpus which is very common in the upper part of the Seomjin river and the Nagdong river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 A number of C.longicorpus are found in the stream located at Unkyori, Baegun-myeon, Jinan-gun and Pyeongji-ri, Maryeong-myeon, jinangun, Jeonrabug-do Province. The area studied has pebble bottoms. The flow velocity of the river ranges from 30cm to 90cm per second under normal conditions. The sex ratio of male to female was 1:1.74 and the total length of female was about 20-3mm longer than that of male. Length-frequencies in this population indicate that 10-40mm fish group is underyearling, 40-80mm is a yearling, 80-110mm is two-year-old, and 110-140mm is three-year-old. And the fish longer than 140mm in total length is regarded as being over four-year-old. Based on the ratio of gonadal weight to body weight, spawning in this species began at the end of May and expanded well into the beginning of June with water temperature 19-22C. and the individuals became sexually mature over the two-year-old. The number of eggs was counted from ten matured female fish. The mean number of eggs was 3143(range 2375--3993). The contents of stomach in the other twenty specimens captured in June 1979 were investigated. While the fry fed almcst on the algae, the foods in the adult were largely aquatic inaects. The scale in the other sixteen specimens collected in July 1979 were observed. The scale with the specimen which is about 32mm in total length appeared. According as individual grow, the size of scale grow and the number of radial groove increased.

      • 조셉슨 현상 구현을 위한 원자칩 기반 보즈 : 아인슈타인 응축 시스템

        강석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T+Z 도선으로 새롭게 디자인된 원자칩과 안정적인 양방향 전류 제어 회로를 적용하여 더욱 간단하고 효율적인 87Rb 보즈-아인슈타인 응축(Bose-Einstein condensation:BEC) 생성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이 시스템은 본 연구진에서 기존에 사용한 원자칩의 절반 영역만을 사용하여 BEC를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나머지 절반 영역의 도선들을 BEC의 파동함수를 조절하는 등의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양방향 전류제어가 가능한 회로를 적용함으로써 3차원 공간에 자기장 생성을 위한 6쌍의 코일 중 3쌍의 코일과 각 코일의 전원장치를 제거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하여 시스템을 더욱 심플하게 개선하고 외부 전류원에 의한 잡음 요소를 줄일 수 있는 구조를 갖추었다. 이 장비를 통하여 포획장의 진동수 (130, 140, 140)Hz, 칩 표면으로부터의 거리 180m의 조건에서 28.9(10)nK의 온도를 가지는 9.3(1.31)×103개의 원자로 구성된 BEC를 생성하였다. 또한 기존 BEC 생성 시스템의 원자칩이 만드는 RF 입은 이중 우물 퍼텐셜과 비대칭성 조절 능력을 이용하여 조셉슨 동역학 실현 가능성을 연구하였다. 먼저 조셉슨 접합의 조건을 찾기 위해 실험적으로 조절 가능한 매개 변수에 따른 퍼텐셜의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조셉슨 연구의 핵심인 초기 원자 수 차이 비율을 실험적으로 생성하고 그 측정값과 수치적 결과가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그 다음으로 초기 원자 수 차이 비율에 따라 이중-우물 퍼텐셜 파동함수의 변화를 계산함으로써 조셉슨 현상을 수치적으로 시뮬레이션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우리의 실험 조건에서 초기 원자 수 차이 비율에 따라 조셉슨 진동(사인형 진동, 비조화 진동) 및 거시적 양자 점유 현상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조셉슨 현상이 발생 가능한 RF 입은 이중 우물 퍼텐셜의 특성을 계산함으로써 실험적으로 구현가능한 범위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축한 T+Z 원자칩 기반의 BEC 생성 시스템은 응축 원자의 동역학 및 간섭계 응용 연구에 활용할 수 있다. 특히, 원자칩에 대칭적으로 존재하는 두 T 도선 중 1개만을 사용하여 BEC 생성이 가능하므로, 나머지 도선을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본 원자칩 기반 시스템에서 외부 광학적 필드를 추가하지 않고 조셉슨 현상이 구현 가능함을 수치적으로 입증하였기 때문에, 향후에 조셉슨 현상을 활용한 포획된 원자 간섭계 및 초전도 양자 간섭 장치를 구현하기 위한 간단하고 소형화된 플랫폼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 H.264 Video CODEC의 ASIC 구현

        강석태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An ASIC implementation of the H.264 Video CODEC is presented in this thesis. The H.264 CODEC implementation result meets Baseline Profile, Level3.0 of H.264 standard. The key point in the H.264 CODEC hardware implementation is to solve problems that are many requirement of the external memory bandwidth and high complexity of the operation process. In this research, the external memory access was minimized with using the internal memory and the operation process was separated with each module uses the pipelining of MB(Macroblock) unit.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when implemented in ASIC, the implemented H.264 CODEC can encode and decode D1 30f/s image in real-time.

      • 스마트러닝 통합시스템 서비스 부문 설계

        강석태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Lately the smart device fever has become much more intense all over the world and it seems not to easily stop. Because of this fever, now over 20,000,000 people use a smart phone. Also, the development of social network such as Facebook, Twiter, Kakaostory has been highly noticeable. Therefore, the users of smart devices upload the photos and VTR easily and share information from others all over the world. It shows that the two-way interaction network where suppliers can be consumers has been built. Moreover, smart devices can lead to the smart society that can be effectively connected to various fields. Thought education office in-local encourages using e-learning lately, it is hard to enhance the learning effect by using the existing e-learning because of one-sided method and limited contents. Especially, the existing e-learning cannot satisfy individual learners who expect customized education. Trough this study, the problems from the existing e-learning that has on-sided method and limited contents can be solved. Also, this study can provide integrated smart learning system that can adapt changeable educational environment flexibly.

      • 교육용 파일서버의 보안대책 강화에 관한 연구

        강석태 韓瑞大學校 敎育大學院 敎育學科 2003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컴퓨터 네트워크 보안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급속히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보안대책을 제공하기가 쉽지 않다. 최근 인터넷 환경에서의 보안대책은 주로 네트워크 응용 수준의 보안 대책인 침입차단시스템(Firewall), 침입탐지시스템(IDS, Intrusion Detection System)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런 응용 수준에서의 보안대책은 중요한 정보를 담고 있는 인트라넷 내부 서버에 대한 보호를 위해서는 근원적 한계를 가지고 있으므로 충분한 보안대책이 될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응용 수준에서 보안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보안 운영체제의 활용이 서버보안 측면에서 기본적으로 전제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파일서버의 특성과 파일서버의 보안상 문제점을 살펴보고, 전국단위 교육행정정보시스템의 구축으로 인한 학교 종합정보관리시스템을 이미 구현된 보안 운영체제를 이용하여 교육용 파일서버로 재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본 논문의 목적은 학교 종합정보관리시스템용 서버를 보안 운영체제를 이용한 교육용 파일서버로 활용하였을 때의 보안대책이 보다 강력한 보안기능을 제공한다는 것을 알아보는 것이다. 서버의 보안 취약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방법으로 운영체제의 강제적 보안 매커니즘이 보다 강력한 보안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보안 운영체제를 이용하였을 때, 서버에 대한 모든 주체와 객체에 대한 보안 레이블을 부여하고, 새로운 프로세스의 생성에 따른 보안 레이블이 자동상속과 접근제어 모델에 근거한 강제적 보안 매커니즘은 보다 강력한 보안기능을 제공한다. 시험 평가에서 보았듯이, 일반적인 컴퓨터 네트워크 상에서 발생되는 해킹 공격에 대해 보안 운영체제를 교육용 파일서버에 적용함으로써 일반적인 UNIX나 Linux 운영체제에서 발생되었던 보안 취약점을 보완 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보안 운영체제를 이용한 교육행정정보시스템의 안전한 서비스 제공 방안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하다. 학생·교직원 및 관계 기관의 모든 사용자 정보를 불법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노력은 계속 되어져야 한다. 특히 연구가 더 필요한 부분으로는 27개의 업무시스템에서 생산되는 모든 정보는 시스템간의 연계를 통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교육행정정보시스템의 구축에 있어 보안이 필수적인 부분이라 하겠다. In these days, although the recognition for the necessity of computer network security has been increased, the security system is not properly provided. Recently the security system of internet circumstance has been mainly composed of the network application level Firewall and IDS(Intrusion Detection System). However the function of the security system has been so limited that the way of protecting the intra-net server with the critical information can't be the sufficient system. Therefore security secure os needs to be concerned to not only protect server but also overcome the limitation of security system in application level. The characteristic of file server and the weak point of file server for security have been mentioned and the plan to use Assembled SIMS(Schoo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by the EAIS (Nation Education Administration Information System) has been studied to reutilize with the already established security secure os for the educational file server.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of proving that the sufficient security function is possibly provided when SIMS is used for the educational file server. The mandatory security mechanism of secure os is the efficient security function to complement the weak point of server. In utilizing the security secure os, if the security level of every subject and object of server is provided, the mandatory security mechanism by automatic security inheritance and access control model operates more efficient security function by the new process. As it was confirmed on the test evaluation, the security weak point of UNIX or Linux secure os is possibly complemented by the applying the security secure os on the educational file server against the hacking occurred on the general computer network Now, the study for the safe service of EAIS with the security secure os needs to be continued.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o prevent from the illegal access to every user's information of students, faculty members, and people related to educational institution. Especially all information produced from the other systems in Educational area are essential to keep security to establish EAIS through the close connection between the syste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